결재문서

2017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실적 결과보고서

문서번호 보건의료정책과-6279 결재일자 2018.2.23. 공개여부 대시민공개 방침번호 시 민 ★전문관 정신보건팀장 보건의료정책과장 송현이 함형희 02/23 박유미 2017년 서울시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실적 결과보고서 2018. 2. 시민건강국 (보건의료정책과) 목 차 1.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실적 개요 1 2. 자살예방시행계획 세부사업별 추진실적 2 2-1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2-2 서울시 자살 현황 및 추이 3. 추진방향과 전략 5 3-1 서울시 자살예방사업의 추진 방향과 전략 4. 추진 체계 5 4-1 추진 체계도 5. 추진과정 7 5-1 세부사업 추진 내용 및 평가 6. 사업 관리 및 지원 27 6-1 사업 관리 6-2 사업 지원 7. 예산 집행 실적 29 8. 자체평가 29 8-1 자체 평가계획 및 실행 8-2 평가결과 분석 및 개선 방안 8-3 차기년도 자살예방시행계획에 대한 반영 사항 9. 사업 성과 32 9-1 성과목표 달성도 9-2 주요 사업성과 10. 생명사랑 지킴이(자살예방 게이트 키퍼) 양성 실적 34 Ⅰ ‘17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실적 개요 3대 전략 10대 과제 연번 세부사업명 제외 사유 (구체적 근거 제시) ① 범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①-1. 자살 관련 사회 인식 개선 ①-1-1 생명존중문화 조성 및 자살예방 홍보강화 추진 ①-1-2 자살 관련 언론보도 개선 추진 ①-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①-2-1 자살예방 사회복지안전망 강화 추진 ①-2-2 범부처 자살예방 협력체계 구축 추진 ①-3 자살위험 환경 개선 ①-3-1 자살수단의 접근성 차단 추진 ①-3-2 온라인상의 자살유해정보 차단 상화 추진 ②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②-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②-1-1 아동·청소년 자살예방 추진 ②-1-2 청년·중장년층 자살예방 추진 ②-1-3 노인 자살예방 추진 ②-2 자살 고위험군 지지체계 강화 ②-2-1 자살고위험군 대상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추진 ②-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②-3-1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구축 추진 ②-3-2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체계 마련 추진 ③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③-1 지역사회 자살 대응 역량 강화 ③-1-1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추진 ③-1-2 1차 의료기관의 자살예방 역량 강화 추진 ③-2 정신건강 인프라 강화 ③-2-1 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추진 ③-2-2 공공정신건강서비스 기능 확대 추진 ③-3 Gatekeeper 교육 등 자살예방 인력 확충 ③-3-1 Gatekeeper 양성 확대 추진 ③-3-2 전문가 교육 강화 추진 ③-4 근거 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③-4-1 자살 추적체계 구축 추진 ③-4-2 근거기반의 조사·연구 추진 추진 Ⅱ ‘17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세부 사업별 추진실적 ? 개 요 1. 서울시 자살예방계획 수립 배경 1) 자살예방계획의 필요성 ○ 자살사망률 OECD 34개국 자살률 1위라는 불명예 지속(‘16년 OECD) - 1위 한국 28.7명(2015년) / 2위 일본 18.7명(2013년) - 자살률 낮은 국가 : 34위 터키 2.6명 / 33위 그리스 4. 2명 - 서울시 자살률의 경우 OECD평균 자살률의 약 1,5배 ○ 자살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 필요(14년,건강보험공단) - 자살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약 6.5조원 - 20~40대가 사회경제적 손실 비용의 80%(5.2조원) 차지 ○ 국가 차원의 지자체 중심 자살예방 전략수립 강조(‘16년 보건복지부) - 제3차 자살예방기본계획을 통해 범부처·전사회적 차원의 자살예방 종합대책 강조 - 지자체 중심 자살예방사업시행계획 수립의 필요성 강조 ○ 시행계획 수립에 따른 기존 자살예방대책 보완과 점검 필요 - 제3차 자살예방기본계획에 따라 서울시자살예방종합계획(2013) 보완·점검 필요 - 자치구 자살예방사업에 대한 체계적인 계획·지원·평가 방안 필요 2) 수립근거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11.1월 제정) - 지역실정에 맞는 연도별 자살예방지원 계획 수립 및 행정적·재정적 지원 - 자살 미수자 또는 자살자의 가족 등 심리적 손상회복 지원 ○ 서울특별시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조례(‘13.3월 개정) - 자살예방을 위한 시민의 권리·의무, 시장의 책무 규정 통해 자살예방 대책 주체 명시 ○ 서울특별시 자살예방 종합계획(‘13.5월 제정) -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 민관협력체계 구축 - 자살위험군 밀착적 예방활동 강화 - 자살시도 대응강화 및 2차 확산방지 - 생애주기별 특화된 자살예방사업 추진 - 자살예방 생명존중 문화 조성 확대 2. 서울시 자살 현황 1) 서울시의 자살 현황 및 추이 ○ 서울시 자살률 - 2013년 이후 3년 연속 평균 자살률 감소 추세 ? ‘13년 25.6명 ? ‘14년 24.7명(▽0.9명) ? ‘15년 23.2명(▽1.5명) - 연령·성별 자살률 추이 : ‘14년 대비 ’15년 남녀 모두 자살률 감소 ? 단, 남성 70세 이상, 여성 10·40·60·70대 이상 전년대비 자살률 증가 (인구 10만명 당 자살자 수, 명)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계 남 여 계 남 여 계 남 여 계 25.6 35.7 15.7 24.7 34.7 15.0 23.2 32.1 14.6 10-19세 4.7 6.4 3.0 4.6 6.3 2.7 4.1 5.2 2.9 20-29세 19.5 23.7 15.3 17.0 19.3 14.6 14.4 16.8 12.1 30-39세 24.6 30.6 18.5 24.7 31.2 18.0 21.0 26.3 15.7 40-49세 28.4 41.1 15.8 28.7 42.5 15.0 27.5 36.9 18.1 50-59세 34.6 54.6 16.0 32.9 50.6 16.4 28.2 44.5 12.8 60-69세 34.2 54.8 15.3 32.5 51.1 15.5 30.3 46.3 15.7 70세이상 65.4 98.9 41.8 59.8 94.1 35.3 65.3 103.9 37.3 - 자치구 자살률 : 강북구(30.6명) 가장 높고, 서초구(15.2명) 가장 낮음 색구분 ‘15년도 자살률 범주 색구분 ‘15년도 자살률 범주 30명 이상 ~ 35명 미만 15명 이상 ~ 20명 미만 25명 이상 ~ 30명 미만 15명 미만 20명 이상 ~ 25명 미만 색구분 상위5분위 횟수 (2005~2010) 색구분 상위5분위 횟수 (2005~2010) 6회 2회 5회 1회 4회 0회 3회 【’05-‘10년 자치구 동별 자살률 현황분석 결과】 ○ 서울시 자살 문제의 특성 - 서울시 자치구별 특성에 따른 자살률 격차 심화 ? 자치구별 자살률 격차 ’13년 1.8배, ‘14년 2.3배, ’15년 2.0배 ? 자살률 격차 감소를 위해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특징 분석 및 특성화된 접근 전략 필요 【자치구별 특성】 자치구 지역특성 집중관리지역 종로구 서울시 노인 인구 비율 1위, 쪽방·홀몸 어르신 밀집지역의 상위 5분위의 높은 자살률, 다양한 인구계층 및 경제적 수준차이로 지역적 양극화 종로동, 창신동, 숭인동, 평창동 중구 저소득층·기초생활수급권자 밀집지역의 높은 자살률, 노숙·쪽방·고시원 등 밀집지역 회현동, 중림동, 신당동 용산구 사업장·유동인구 많은 지역의 높은 자살률, 노인·쪽방촌의 높은 자살률 남영동, 보광동 성동구 재개발지역 인구유입으로 인한 빈부격차 현상, 70대의 높은 자살률 송정동, 행당동, 용답동, 옥수동 광진구 영세업 밀집으로 인한 잦은 전출입, 대학가 중심의 숙박 및 음식업 발달, 높은 학생인구률, 노인인구·기초생활수급자·중국인 거주 비율 높음 중곡동, 화양동, 자양동, 군자동 동대문구 ‘15년 서울시 자살사망률 2위, 노후주택·쪽방·고시촌·유흥·도박업소·노숙인 등 재개발지역, 독거노인·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 밀집지역 자살률 증가 장안동, 답십리동, 용신동, 전농동 중랑구 인구의 지속적 감소, 노령화 지수 증가, 인구 대비 높은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면목동, 신내동, 상봉동 성북구 노인·독거노인·노인자살률 증가, 중소형 아파트·임대아파트 밀집지역 돈암동, 길음동, 월곡동 강북구 ‘12년이후 자살률 증가, 높은 노인인구·자살률, 임대아파트·기초생활수급자 밀집지역 증가 번동, 삼양동 도봉구 영세상점 및 저소득층 밀집지역 도봉동, 방학동, 창동 노원구 중장년층·7·80대 노인자살률 증가, 임대아파트·다세대 밀집, 저학력 주민 다수 월계동, 상계동 은평구 높은 40대 자살률, 높은 기초생활 수급자 및 홀몸어르신, 다세대 밀집지역 갈현동, 불광동 서대문구 상권 활성화 및 높은 대학생 인구비율, 하천주변 노인 및 취약계층 밀집 남가좌동, 신촌동, 연희동, 남가좌동 마포구 75세 이상 노인 자살률 증가, 동별 자살자 수 격차 증가 성산동, 공덕동, 대흥동 양천구 ‘12년 이후 자살률 증가, 높은 학생인구비율, 소득 및 교육수준의 불균형 신정동, 신월동 강서구 마곡지구개발로 인한 노인인구 증가, 대단위 임대아파트 내 취역계층 밀집 가양동 구로구 높은 독거노인 및 기초생활수급 노인비율, 외국인 거주 밀집지역 가리봉동, 구로동 금천구 1인 가구(20~30대, 독거노인) 증가, 인구수 대비 높은 취약인구 독산동, 시흥동 영등포구 높은 40~50대 자살률, 저소득외국인 노동자 및 복지사각계층 밀집지역 영등포동, 대림동, 신길동 동작구 높은 청장년층(20~50대) 자살사망률, 고시원 및 학원가 밀집지역 흑석동, 상도동, 노량진동 관악구 상업지구 활성화 대비 소득수준 낮음, 서울시 최고 수준의 1인 가구 비율 고시생, 사회초년생 밀집지역 신림동, 중앙동, 대학동 서초구 기초생활수급자 특정 동 집중, 보금자리 단지로 인한 취약 인구 증가 양재동, 내곡동, 방배동 강남구 높은 여성·20~30대 자살률, 높은 1인 가구·유흥업소 밀집지역, 기초생활 수급자 및 한부모가정, 장애인 밀집지역 논현동, 역삼동, 수서동, 일원동 송파구 경제적으로 취약한 집단철거민 이주지역, 일반주거·상업지역·유흥가로 구성 마천동, 거여동, 잠실본동 강동구 30대 남성자살자수 증가, 낮은 스트레스 인지율, 높은 독거노인 비율·인구밀도 암사동, 천호동, 성내동, 강일동 - 일산화탄소 중독 자살사망자수 큰 폭 증가 ? 자살수단 중 ‘일산화탄소 독작용’에 의한 자살사망자수 증가(224명→266명) (단위 : 명, %) 자살방법 2013년 2014년 2015년 전체 N % N % N % N % 합 계 2,560 100 2,467 100 2,301 100 7,328 100 목맴, 압박 및 질식에 의한 의도적 자해 1,424 55.6 1,324 53.7 1,191 51.8 3,939 53.8 살충제에 의한 자의의 중독 및 노출 43 1.7 46 1.9 37 1.6 126 1.7 높은 곳에서 뛰어내림에 의한 의도적 자해 456 17.8 424 17.2 420 18.2 1,300 17.7 일산화탄소의 독작용 259 10.1 224 9.1 266 11.6 749 10.2 기타 378 14.8 449 18.2 387 16.8 1214 16.6 ? 추진 방향과 전략 1. 서울시 자살예방사업 추진 방향과 전략 1) 비전·목표·전략 체계 2) 중점 추진 과제 모든 삶이 보호받는 서울 장기목표 2020년까지 자살률 20% 감소(2,170명) 사업목표 자살자수 : 2,301명(‘15년) → 2,250명(‘17년) → 2,200명(‘19년) 정책과제1 시민이 시민을 살리는 ‘자살예방지킴이’를 다층·중층적 양성 확대 정책과제2 적극적 자살수단 차단 및 자살선행요인 집중관리 정책과제3 자살시도 대응 강화 및 2차 확산 방지 정책과제4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굴 협력체계구축 정책과제5 자살예방 생명존중 문화 조성 지역사회 자원의 총체적 연계 및 활용 공공기관 민간기관 시민 자살예방센터, 자치구청, 보건소 경찰서, 소방서, 공공의료기관 학교, 복지관, 종교단체, 시민단체, 민간의료기관 자원봉사, 일반시민 ? 추진 체계 1. 추진 체계도 1)자살예방위원회(서울시 정신건강심사위원회)※서울특별시정신건강심사위원회와 통합운영 구 분 이 름 소 속 직 위 연락처 위원장 나 시민건강국 국 장 ☎ 02-2133-7500 부위원장 이 도봉구정신건강증진센터 센터장 ☎ 02-970-8604 위원 남 시립은평병원 병원장 ☎ 02-300-8001 위원 염 공익인권법재단 변호사 ☎ 02-3675-7740 위원 손 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 센터장 ☎ 02-3444-9934 위원 양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교 수 ☎ 02-2258-1062 위원 김 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 사무총장 HP) 위원 황 구로구보건소 보건소장 ☎ 860-3328 위원 주 남서울대학교간호학과 교 수 ☎ 041-580-2714 위원 손 돌봄사랑채 서울시사회복귀시설협회회장 ☎ 02-3409-9444 위원 서 성공회대 사회복지학과 교 수 HP) 위원 정 사회건강연구소 소 장 ☎ 02-6401-9082 위원 서 한별정신건강병원 진료원장(정신과의사) ☎ 031-986-9900 위원 김 한국정신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 장 ☎ 02-878-9968 간사 박 시민건강국 보건의료정책과 과 장 ☎ 02-2133-7505 2) 주요 추진 인력 소속 직위 이름 역할 연락처 보건의료 정책과 과장 박 서울시 자살예방사업 총괄 02-2133-7505 팀장 함 서울시 자살예방사업 책임 02-2133-7544 주무관 송 서울시 자살예방사업 담당 02-2133-7547 주무관 김 서울시민 힐링프로젝트 운영 02-2133-7549 25개 자치구 주무관 김 외 24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수행 02-2148-3602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센터장 외 황외 23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운영 02-3458-1000 생명문화버스 팀장 이 생명문화버스 사업 02-2276-7767 공감인 대표 하 서울시민 힐링프로젝트(누구에게나 엄마가 필요하다) 02-557-0853 3) 지방자치단체별 자살예방사업 공무원 현황 지역 담당 공무원 담당업무 2017년 자살예방 교육 이수 여부 자살예방 정신건강 기타(담당업무 기술) 광역시·도 서울시 박 과장 ○ ○ - - 함 팀장 ○ ○ - - 송 주무관 ○ - - 4) 유관 민관조직 소속 직위 이름 역할 연락처 서울지방경찰청 반장 계 자살예방사업 연계담당 02-700-2381 서울은평병원 원장 남 자살의시도자 응급개입 총괄 02-300-8114 소방재난본부 주무관 박 한강교량에서의 자살현황 등 02-3706-1421 서울시교육청 주무관 강 자살시도청소년연계 담당 02-3999-352 조계종 사무국장 황 조계종 살사프로젝트 담당 02-737-7378 원불교 부원장 이 원불교 살사프로젝트 담당 02-823-7452 천주교 담당자 이 가톨릭 살사프로젝트 담당 02-318-3079 기독교 팀장 고 살사프로젝트 사업 담당 02-2675-2114 시니어희망공동체 대표 송 1인가구 지원 02-2055-1245 ? 추진 과정 1. 세부사업 추진 내용 및 평가 ①-1-1. 생명존중문화 조성 및 자살예방 홍보강화 세부 사업명 생명존중문화 조성 및 자살예방 홍보강화 사업 목적 다양한 계층에 대한 자살예방 광고활동, 홍보콘텐츠 개발로 잠재적 자살 위험군의 상담서비스 유입률을 높이고자 함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7. 1. 1. ~ 12. 31. 실행 2017. 1. 1. ~ 12. 31. 수정보완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서울시민, 자살고위험군 및 자살유족, 유관기관 실무자 등 실행 서울시민, 자살고위험군 및 자살유족, 종교기관, 유관기관 실무자 등 수정보완사유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마음이음 1080’ 자살예방브랜드 활용한 마케팅, 자살예방 위한 조기개입유도·인식변화를 위한 광고·홍보물, 홍보컨텐츠 배포, 연령대별 취약계층 선정, 마음이음상담서비스 홍보·광고, 자살예방 캠페인 등 실행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생명존중 광고·홍보물제작 및 배포, 생명존중·생명사랑 홍보 포스터 공모전, 마음이음상담서비스 홍보·광고,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존중 연극제 및 심리극 등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추진 체계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및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및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4대 종단(기독교, 불교, 원불교, 천주교)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목표 자살예방 마음이음상담전화 1577-0199 이용의향률 68% 측정 방법 서울시민 자살예방 시민인식도 조사(격년조사) 목표 설정 근거 ‘15년 자살예방 관련 인식도 조사결과 (1577-0199 이용의향률 66.4%) 실행 목표 달성 내용 자살예방 마음이음상담전화 1577-0199 이용의향률 82.5% 목표 달성 수준 목표대비 14.5% 초과달성 미달성사유 없음 평가 사업 평가 서울시와 자치구 차원의 자살예방 인식개선 및 자살·자살유족서비스 등 다각적인 홍보활동으로 15787-0199 이용의향률을 향상시킬 수 있었음. 개선 방향 대상별 세부 전략과 자살예방 콘텐츠 개발 등으로 홍보 필요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①-1-2.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세부 사업명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사업 목적 인터넷 자살유해정보·언론의 자살관련 보도 등 시민참여 활성화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7. 1. 1. ~ 12. 31. 실행 2017. 1. 1. ~ 9. 30. 수정보완사유 자살예방 시민 옴부즈만 활동이 ‘17.9월말로 종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보도매체, 미디어, 자살예방 관련 행정기관, 정책입안 기관 등 실행 보도매체, 미디어, 자살예방 관련 행정기관, 정책입안 기관 등 수정보완사유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서울시 ‘자살예방 시민 옴부즈만’ 운영을 통해 언론사의 ‘자살보도 권고기준’준수여부 모니터링 및 언론자 피드백 강화 및 지속 실행 서울시 ‘3기 자살예방 시민 옴부즈만’ 운영을 통해 언론사의 ‘자살보도 권고기준’준수여부 모니터링 및 언론사 피드백을 온라인 197건, 오프라인 1회 시행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추진 체계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자살예방 시민 옴부즈만)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자살예방 시민 옴부즈만)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목표 언론보도 준수율 (지표생성) 측정 방법 (보도기준준수건수/서울시내 자살보도건수) 100 목표 설정 근거 서울시 자살언론보도의 자살보도권고기준 2.0 준수율 실행 목표 달성 내용 1.3% (5건 / 395건 100) 목표 달성 수준 1.3% 미달성사유 해당 없음 평가 사업 평가 자살사건에 대해 언론보도한 기자들이 자살사건보도 권고기준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다수이며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함. 시민옴부즈만의 경우 위촉자 수(63명)에 비해 실제 활동하는 옴부즈만의 수(4명)가 저조하고, 중앙자살예방센터의 ‘유해정보 모니터링’단과 사업이 중복되어 사업의 효율성이 낮음. 개선 방향 사업의 효과성 및 효율성을 고려하여 2018년에는 서울시자살예방센터의 자살예방 시민옴부즈만 활동을 중단하고, 보다 적극적인 대응을 위해 자살사건 발생 시 해당 자치구에서 언론보도에 대한 모니터링 및 언론대응이 가능하도록 지원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①-2-1. 자살예방 사회복지안전망 강화 세부 사업명 자살예방 사회복지안전망 강화 사업 목적 위기가정 긴급지원 등 사회안전망 강화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7. 1. 1. ~ 12. 31. 실행 2017. 1. 1. ~ 12. 31.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위기가정, 사회복지 관련 종사자, 공무원, 통합사례관리자 등 실행 위기가정, 사회복지 관련 종사자, 공무원, 통합사례관리자 등 수정보완사유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지역사회 통합적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주민센터·정신건강증진센터 등과 연계 취약계층에 대한 서비스 제공 - 사회복지공무원, 통합사례관리자 등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 취약계층 및 복지소외계층 자살위기 평가, 복지수요 발굴 및 서비스 제공 강화 ? 사회안정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한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을 통한 복지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 긴급지원 확대를 통해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상황적자살고위험군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실행 ? 지역사회 통합적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주민센터·정신건강증진센터 등과 연계 취약계층에 대한 서비스 제공 - 사회복지공무원, 통합사례관리자 등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 취약계층 및 복지소외계층 자살위기 평가, 복지수요 발굴 및 서비스 제공 강화 (구청·주민센터·정신건강복지센터·사회복지관 등 통합 사례관리 진행, 유관기관 사례회의 및 간담회 실시 등) ?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 위기가구 발굴 및 복지사각지대 해소 노력, 긴급지원 확대 - 1인가구, 고독사 방지를 위한 노력(근원적 욕구파악 및 지역사회자원연계 강화)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추진 체계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목표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지역사회 자원 연계율(지표생성) 측정 방법 자체조사(MHIS) (자살고위험군 자원연계인원/자살상담건수(서울시+자치구))100 목표 설정 근거 MHIS 접수상담 데이터 실행 목표 달성 내용 21.64% (16,413명 / 75,829명 100) 목표 달성 수준 지표생성으로 목표달성 수준 측정 불가 미달성사유 없음 평가 사업 평가 자살위험군의 사회안전망 확보를 위해 유관기관 간 사례회의 및 간담회를 진행하는 등 연계가 적절하게 이루어짐. 그러나 아직도 사각지대에 있는 복지소외계층이 많이 남아 있어 좀 더 적극적인 발굴을 통해 연계율을 점차적으로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 개선 방향 찾동사업과 연계하여 사각지대에 있는 복지소외계층에 대한 적극적인 발굴 및 욕구에 따른 적극적인 자원 연계 도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①-2-2. 범부처 자살예방 협력체계 구축 세부 사업명 범부처 자살예방 협력체계 구축 사업 목적 자살원인을 고려한 다양한 분야 접근과 자살예방시스템 구축 위함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7. 1. 1. ~ 12. 31. 실행 2017. 1. 1. ~ 12. 31.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서울시, 25개 자치구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생명존중위원회 실행 서울시,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생명존중위원회 수정보완사유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광역단위 및 자치구 자살예방위원회(협의회) 구성 및 운영 - 지역사회 자살예방사업 협력방안 및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통합서비스 연계의뢰논의 실행 - 생명존중실무협의체 및 생명존중위원회 운영 지역사회 자살예방사업 협력체계 구축 및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통합서비스 회의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추진 체계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목표 시·구 단위 자살예방위원회(협의회) 운영률 (지표생성) 측정 방법 (자살예방 위원회의 실시 건수/자치구 자살예방 위원회의 실시 건수 2) 100 목표설정근거 실제 사업의 수행여부를 판단하는 객관적 근거로 최초 목표한 건수(자치구별 위원회 개최 건 수)의 달성여부로 계획함 실행 목표달성내용 자살예방위원회 21회 개최 목표달성수준 지표생성으로 목표달성 수준 측정 불가 미달성사유 해당 없음 평가 사업 평가 자살예방위원회(협의회) 구성·운영을 통해 관련기관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자살예방 대응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할 수 있었음. 개선 방향 자살예방사업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유지 및 조직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자살예방위원회(협의회) 운영 필요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25개 자치구 보건소 실행 서울시, 25개 자치구 보건소 ①-3-1.자살수단의 접근성 차단 세부 사업명 자살수단의 접근성 차단 사업 목적 자살수단에 대한 접근 기회 제한 강화,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등으로 고위험군 발굴 및 연계 지속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7. 1. 1. ~ 12. 31. 실행 2017. 1. 1. ~ 12. 31.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관련 업체 종사자 및 소상공인, 유관기관 및 부처 실행 관련 업체 종사자 및 소상공인, 유관기관 및 부처, 자살예방지킴이 수정보완사유 사업을 수행 인력을 투입하기 위해 자살예방지킴이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여 생명지킴이 희망판매소 사업에 활용. 주요 수행 내용 계획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번개탄 유통 시 자살수단화 예방관리 강화, 유통·진열 방식 변경 등 접근 기회 제한 -번개탄 판매업소 자살예방 교육, 고농도 니코틴 용액 등 새롭게 부각되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자살위험 환경개선 -자살수단화 도구에 자살예방 상담전화 안내 및 판매처 자살예방 교육 강화 -자살시도자, 독거노인 등 자살고위험군 사례관리 시 알코올 등 물질남용 관리 강화 실행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번개탄 유통 시 자살수단화 예방관리 강화, 유통·진열 방식 변경 등 접근 기회 제한 -번개탄 판매업소 자살예방 교육, 고농도 니코틴 용액 등 새롭게 부각되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자살위험 환경개선 -자살수단화 도구에 자살예방 상담전화 안내 및 판매처 자살예방 교육 강화 -자살시도자, 독거노인 등 자살고위험군 사례관리 시 알코올 등 물질남용 관리 강화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추진 체계 계획 25개 자치구 보건소 자살예방전담요원 및 준사례관리자 실행 25개 자치구 보건소 자살예방전담요원 및 준사례관리자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목표 일산화탄소 및 투신 자살사망자수 전년대비 5% 감소 측정 방법 ((‘16년 일산화탄소 및 투신 자살사망자 수 ? ’15년 일산화탄소 및 투신 자살사망자 수) / ’15년 일산화탄소 및 투신 자살사망자 수) 100 목표 설정 근거 ‘16년 통계청 사망원인 분류 실행 목표 달성 내용 ((‘16년 일산화탄소 및 투신 자살사망자 632명 ? ’15년 일산화탄소 및 투신 자살사망자 694명) / ‘15년 일산화탄소 및 투신 자살사망자 694명) 100 목표 달성 수준 전년대비 8.9% 감소 미달성 사유 없음 평가 사업 평가 생명지킴이 희망판매소 양성 및 유지는 활성화되나, 실제 희망판매소를 통한 자살의시도자 의뢰는 저조함. 희망판매소 업소의 활동유지 및 지속적인 교육 필요 개선 방향 생명지킴이 희망판매소 동의 업소가 직접 사례를 의뢰하기 보다는 희망판매소를 통해 자살 고위험군에게 자살예방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대상자가 스스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체계 구축이 필요 추진 담당자 계획 25개 자치구 보건소 실행 25개 자치구 보건소 ①-3-2. 온라인상의 자살유해정보 차단 세부 사업명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강화 사업 목적 온라인 상 자살유해정보 노출을 감소시키고 자살유해정보 관련 대상자에 대한 정신건강서비스 연계 협력체계 구축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7. 1. 1. ~ 12. 31. 실행 2017. 1. 1. ~ 9. 30. 수정보완사유 중앙자살예방센터의 활동과 중복되는 부분이 있어 ‘17. 9월까지 활동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인터넷상 유해정보게시물, 경찰서, 포털사이트 등 실행 인터넷상 유해정보게시물, 경찰서, 포털사이트, 서울특별시 시민옴부즈만 수정보완사유 인터넷 유해정보게시물 관련 사업을 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시민옴부즈만 교육 실시 주요 수행 내용 계획 ▷유해정보 차단 조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및 관리 기준 등을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조례’ 등 관련자치법규에 규정하는 방안 검토 -경찰 사이버수사대와 연계하여 동반자살자 모집 등 치명적 자살유해정보 단속 강화 ▷유해정보차단 협력체계 구축 -서울특별시 시민옴부즈만 온라인 자살 유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강화 실행 ▷유해정보 차단 조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및 관리 기준 등을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조례’ 등 관련자치법규에 규정하는 방안 검토 -경찰 사이버수사대와 연계하여 동반자살자 모집 등 치명적 자살유해정보 단속 강화 ▷유해정보차단 협력체계 구축 -서울특별시 시민옴부즈만 온라인 자살 유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강화 -서울특별시 시민옴부즈만 자살 유해정보 모니터링 관련 교육 및 워크숍 실시 수정보완사유 유해정보차단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서울특별시 시민옴부즈만 관련 사업 진행 사업 추진 체계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시민옴부즈만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시민옴부즈만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목표 조례의 유해정보차단 제정율(지표생성) 측정 방법 (유해정보차단 조례 부분 명시한 서울시 및 자치구 / 서울시 및 자치구) 100 목표설정근거 자살유해정보 관리기준 등을 자치법규에 규정하여 지자체 중심의 사업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조례 제정률로 목표를 설정함. 실행 목표달성내용 유해정보차단 조례 재정 : 서울시 및 자치구 8개 목표달성수준 77% 미달성 사유 없음 평가 사업 평가 25개 자치구 중 자살유해정보 차단 조례를 포함한 자치구는 8개구로 전반적으로 조례 제정 확대 필요 개선 방향 기존의 광역 단위의 시민 옴부즈만 사업을 지역사회 내 자살(사망)보도 모니터링 사업으로 이관하여 자치구 주도의 지역사회의 자살(사망) 사건에 대한 관리 필요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서울시 위촉 시민옴부즈만 실행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서울시 위촉 시민옴부즈만 ②-1-1. 아동·청소년 지살예방 세부 사업명 아동·청소년 자살예방 사업 목적 아동청소년 자살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련기관과 협력체계 강화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7. 1. 1. ~ 12. 31. 실행 2017. 1. 1. ~ 12. 31.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서울시교육청, 학교(교직원), 아동청소년 서비스 기관 등 실행 서울시교육청, 학교(교직원), 아동청소년 서비스 기관 등 수정보완사유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학교 자살예방 대책 내실화 -학교의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 콘텐츠 보급 -학교 교직원 ‘gate-keeping’ 활동 강화 -서울시교육청-서울시자살예방센터-자치구 자살시도 학생 위기개입 연계체계 구축 -수다공방버스 운영을 통한 찾아가는 학교 중심 생명존중 사업 활성화 ▷학교 밖 청소년 자살예방 체계강화 -학교 밖 청소년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 인식개선을 위한 캠페인 활성화 -자치구내 학교 밖 청소년 관련 기관과의 고위험군 협력 및 의뢰 체계 강화(보건소와 청소년 쉼터, 청소년 상담기관, 대안 학교 등 업무협력 MOU 체결) -정신의료기관·정신건강복지센터 간 의뢰체계 활성화를 위한 홍보활동 강화 실행 ▷학교 자살예방 대책 내실화 -학교의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 콘텐츠 보급 -학교 교직원 ‘gate-keeping’ 활동 강화 -서울시교육청-서울시자살예방센터-자치구 자살시도 학생 위기개입 연계체계 구축 -수다공방버스 운영을 통한 찾아가는 학교 중심 생명존중 사업 활성화 -청소년을 위한 생명존중 문화조성 컨텐츠 지원(뮤지컬, 콘서트, 공연 등) ▷학교 밖 청소년 자살예방 체계강화 -학교 밖 청소년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 인식개선을 위한 캠페인 활성화 -자치구내 학교 밖 청소년 관련 기관과의 고위험군 협력 및 의뢰 체계 강화(보건소와 청소년 쉼터, 청소년 상담기관, 대안 학교 등 업무협력 MOU 체결) -정신의료기관·정신건강복지센터 간 의뢰체계 활성화를 위한 홍보활동 강화 수정보완사유 자치구 별 특성에 따른 다양한 청소년 생명존중 문화조성 사업 진행 사업 추진 체계 계획 서울시, 서울시교육청,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교육청,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목표 아동청소년 자살률 전년대비 2% 감소 측정방법 ((`16년 10대 자살률 - `15년 10대 자살률) / `15년 10대 자살률) 100 목표설정근거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실행 목표달성내용 아동청소년 자살률 전년대비 19.6% 증가 ((`16년 10대 자살률 5.5명 - `15년 10대 자살률 4.6명) / `15년 10대 자살률) 100 목표달성수준 전년대비 19.6% 증가 미달성 사유 ‘17년은 자살시도 청소년 안전망 시스템을 마련하는 단계로 추후 시스템이 활성화되기 위한 노력 필요 평가 사업 평가 -교육청과 간담회 및 리플릿 배포 등 공식적ㆍ비공식적 의사소통을 통해 서울시 소재 중·고등학교 자살시도 청소년 안전망 구축 시스템 마련 -청소년 생명존중 교육매뉴얼 활용 방법 교육·배포함으로서 학교 내 생명존중교육 활성화 도모 -학교의 요청으로 인해 인식개선 및 캠페인 지원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실제 자살위험이 있는 아동·청소년에 대한 발굴 및 개입은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음. -학교 밖 청소년 관련 기관과의 협력 및 사업 실행이 미흡함. 개선 방향 -향후 학교기반 자살시도 위기중재 프로그램을 활성화한 시스템 강화 -자살위험이 있는 아동·청소년 대상의 개입 프로그램 개발 -자살을 생각하는 연령이 낮아지고 있는 추세를 반영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으로 자살예방교육 대상 확대 -자치구 내 학교 밖 청소년 기관 간 정보교류 및 협력을 통해 유기적인 의뢰 체계 구축 마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교육청,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교육청,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②-1-2. 청년·중장년층 지살예방 세부 사업명 청년·중장년층 자살예방 사업 목적 자살예방 관련 사회인식 향상, 자살 위험군 조기발견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7. 1. 1. ~ 12. 31. 실행 2017. 1. 1. ~ 12. 31.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서울시민, 대학교, 취업관련기관, 관련단체, 의료기관 등 실행 서울시민, 대학교, 취업관련기관, 관련단체, 의료기관, 자치구 보건소, 사업장 등 수정보완사유 지역주민의 접근성이 높은 보건소 및 사업장(직장인) 내 대상으로 사업 추진 주요 수행 내용 계획 ▷대학교 및 직장 자살위기 대응 역량강화 -자치구 내 대학교 학생을 위한 생명존중 인식 향상을 위한 캠페인 활동 -학교 내 상담기관과의 업무협력 및 고위험군 의뢰쳬계 강화방안 -대학교 및 직장 내 자살고위험군 발굴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체계 강화 -근로자건강센터-정신건강복지센터 협력 및 의뢰 활성화 ▷취약계층 서비스 유입 활성화 -여성 및 1인 가구 자살예방 및 서비스 유입 활성화를 위한 사회마케팅 강화 -정신건강증진 및 생명존중을 위한 ‘누구에게나 엄마가 필요해’ 활성화 실행 ▷대학교 및 직장 자살위기 대응 역량강화 -자치구 내 대학교 학생을 위한 생명존중 인식 향상을 위한 캠페인 활동 -학교 내 상담기관과의 업무협력 및 고위험군 의뢰쳬계 강화방안 -대학교 및 직장 내 자살고위험군 발굴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체계 강화 -근로자건강센터-정신건강복지센터 협력 및 의뢰 활성화 ▷취약계층 서비스 유입 활성화 -여성 및 1인 가구 자살예방 및 서비스 유입 활성화를 위한 사회마케팅 강화 -정신건강증진 및 생명존중을 위한 ‘누구에게나 엄마가 필요해’ 활성화 -보건소 내 모성실, 대사증후군관리센터 등 이용 주민 대상 스크리닝 및 상담 실시 -동주민센터 민방위 훈련과 연계하여 마음건강검진 추진 수정보완사유 민방위, 보건소에서 취약계층 관련 사업(산후우울증 및 신체질환 등) 추진 사업 추진 체계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대학교, 취업관련기관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대학교, 취업관련기관, 동주민센터 수정보완사유 민방위 교육훈련과 연계 사업으로 인해 자치구 동주민센터와 협력하여 사업 추진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목표 청중장년층 자살률 전년대비 2% 감소 측정방법 (`16년 청중장년층 자살률(20세~64세) - `15년 청중장년층 자살률(20세-64세) / `15년 청중장년층 자살률) 100 목표설정근거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 실행 목표달성내용 청중장년층 자살률 전년대비 10.2% 감소 (`16년 청중장년층 자살률 21.1명(20세~64세) - `15년 청중장년층 자살률 23.5명(20세-64세) / `15년 청중장년층 자살률) 100 목표달성수준 전년대비 10.2% 감소 미달성사유 없음 평가 사업 평가 -자치구별 취약계층 특성 및 실정에 적합하게 청중장년층 대상군을 타겟팅하여(예: 동작구 고시생, 강남구 유흥업소 여성 등) 다양한 프로그램 구성 및 수행 -우울증 예방?관리프로그램의 참여도 및 만족도 높았으며 지역주민의 정신건강 접근성을 높임 -일반 직장 대상 교육 후 선별검사를 진행 및 고위험군에 대한 개입도 함께 진행하여 교육을 받은 기관 만족도 향상 개선 방향 -조기 발견된 우울증 대상에 대한 심화프로그램 마련 -자살위험군 조기발견 이후 정신의료기관 외 상담센터 등 다양한 자원으로 연계체계 구축 필요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대학교, 취업관련기관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대학교, 취업관련기관 ②-1-3. 노인 지살예방 세부 사업명 노인 지살예방 사업 목적 취약 노인 자살 고위험군 조기 발견 및 개입을 위한 협력체계 마련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7. 1. 1. ~ 12. 31. 실행 2017. 1. 1. ~ 12. 31.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노인, 노인 보건복지서비스 기관, 노인 관련 기관 및 단체 등 실행 노인, 노인 보건복지서비스 기관, 노인 관련 기관 및 단체, 보건소·의료기관, 자살예방지킴이 등 수정보완사유 청진기 사업 추진을 위한 보건소 및 의료기관과 협력, 독거노인 대상으로 자살예방지킴이가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준사례관리자 양성함 주요 수행 내용 계획 ▷노인 생명존중 인식개선 활성화 -노인 생명존중 및 정신건강 인식개선을 위한 대시민 참여형 캠페인 추진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자치구별 노인 자살예방 프로그램 점검 및 우수 프로그램 보급 지원 활성화 -독거노인 정서지원 및 관리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준사례관리자 양성 및 활동지원 -보건복지서비스 종사자 자살예방교육 및 훈련을 통한 ‘GATE-KEEPING' 활동 강화 -노인보건복지 서비스 자원 활성화를 위한 교육 및 정보제공 ▷노인 자살고위험군 서비스 연계 -보건소 및 의료기관 우울증 등 노인 정신건강 위험군 스크리닝(청진기 사업) -정신건강 및 자살 위험군 서비스 의뢰체계 활성화 실행 ▷노인 생명존중 인식개선 활성화 -노인 생명존중 및 정신건강 인식개선을 위한 대시민 참여형 캠페인 추진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자치구별 노인 자살예방 프로그램 점검 및 우수 프로그램 보급 지원 활성화 -자치구별 노인 자살예방 프로그램 실시(경로당, 노인복지관, 노인대학 등) -독거노인 정서지원 및 관리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준사례관리자 양성 및 활동지원 -보건복지서비스 종사자 자살예방교육 및 훈련을 통한 ‘GATE-KEEPING' 활동 강화 -노인보건복지 서비스 자원 활성화를 위한 교육 및 정보제공 ▷노인 자살고위험군 서비스 연계 -보건소 및 의료기관 우울증 등 노인 정신건강 위험군 스크리닝(청진기 사업) -노인 유관기관 치매사업과 연계를 통한 순회 마음건강검진 실시 -정신건강 및 자살 위험군 서비스 의뢰체계 활성화 수정보완사유 자치구별 실정에 맞게 지역사회 내 노인 유관기관의 욕구를 반영하여 사업 실행 사업 추진 체계 계획 서울시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복지서비스 기관 실행 서울시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복지서비스 기관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목표 노인 자살률 전년대비 3% 감소 측정방법 ((`16년 노인 자살률 - `15년 노인 자살률) / `15년 노인 자살률) 100 목표설정근거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 실행 목표달성내용 노인자살률 전넌대비 14.9% 감소 ((`16년 노인 자살률 45.2명 - `15년 노인 자살률 53.1명) / `15년 노인 자살률 53.1명) 100 목표달성수준 전년대비 14.9% 감소 미달성사유 없음 평가 사업 평가 -자치구별 지역사회 내 노인관련 기관(노인복지관, 경로당, 노인대학 등)과 민관협력하여 우울 및 자살예방 관련 특성화 프로그램 지원 사업과 취약지역 중심의 방문 선별검사 사업이 중점적으로 수행됨. -노인연령층을 구분하기 보다는 자치구 내 생명존중 캠페인을 통해 전반적인 생명존중문화 확산과 자살예방 서비스 홍보를 위한 활동을 수행함. -준사례관리자 의뢰를 통해 자살 잠재위험이 있는 노인 취약계층에 대한 조기개입과 지지체계 형성이 이루어지고 있음. 개선 방향 -노인관련 기관을 통해 발굴하기 어려운 독거노인, 거동이 불편한 노인 등 취약계층을 발견 및 개입하기 위한 1대1일 접촉 서비스의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지역사회 복지, 의료, 정신건강 연계 통합적 복지?건강서비스 제공으로 자살예방 서비스의 효율성 제고 및 안전망 강화를 위한 의뢰 체계 활성화 필요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복지서비스 기관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복지서비스 기관 ②-2-1 자살고위험군 대상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세부 사업명 자살고위험군 대상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사업 목적 자살유족 및 정신신체질환자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전략 수립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7. 1. 1. ~ 12. 31. 실행 2017. 1. 1. ~ 12. 31.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서울시 자살유족,정신질환자 및 만성신체질환자 등 실행 서울시 자살유족,정신질환자 및 만성신체질환자,노인 및 빈곤,취약계층 등 자살고위험군 수정보완사유 사회경제적인 문제로 인한 자살 고위험군 포함 주요 수행 내용 계획 자살유족 지원 및 정신신체 질환자 자살예방 실행 -자살유족 서비스유입활성화 및 자살유족의 사회인식개선을 위한 버스광고 -자살유족을 위한 서비스 지원(애도상담, 자살유족자조모임,캠프 등) -자살유족서비스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및 훈련강화 -생명이음청진기 사업 활성화 등을 통한 고위험군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 -장애인시설, 정신보건기관 간 연계체계활성화 및 ‘gate-keeping' 활동 강화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자살 고위섬 군 정기평가 및 사례관리 -퇴원 정신질환자의 자살시도예방을 위한 정신의료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추진 체계 계획 서울시,서울시자살예방센터,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서울시자살예방센터,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지역사회관련기관등 수정보완사유 지역사회 자살고위험군 발굴 대상기관 포함.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목표 -자살유족 서비스 이용 의향률 47% -정신,신체 자살 상담 증감률(16년도 21,202 건,전년대비 2% 향상) 측정방법 17년 자살실태조사 및 mhis 데이터 분석 목표설정근거 유족서비스유입확대 및 등록정신질환자 자살예방관리 유지를 위해 자살유족서비스 의향률과 자살상담 증감률을 목표로 설정함. 실행 목표달성내용 -자살유족 서비스이용 의향률 64.5% -정신,신체 자살상담( 23,093 건, 2017년) 전년대비 8.9 % 향상 목표달성수준 -자살유족 서비스이용 의향률 137% 초과 달성 -정신,신체 자살상담 증감률 445% 초과달성 미달성사유 없음 평가 사업 평가 고위험군 발굴 및 의뢰를 위해 지역사회유관기관과 의뢰체계를 구축하여 조기발견 및 개입할수 있도록 원활한 협력시스템 마련 개선 방향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을 위한 유관기관의 인식개선 및 관련교육,간담회 필요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②-3-1.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세부 사업명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구축 사업 목적 자살의시도자 위기 및 응급대응을 위한 지역사회 시스템 강화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7. 1. 1. ~ 12. 31. 실행 2017. 1. 1. ~ 12. 31.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서울시 거주 지역주민 실행 서울시 거주 지역주민 수정보완사유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자살위기전화 인프라 강화, 긴급출동 연계체계 마련 실행 - 1050핫라인(경찰전용) 개설 : 유입건수 366건 / 성공건수 275건 - 공동응급출동(경찰, 소방) : 99건 - 지역정신건강복지센터 이용 중인 자살의시도자 야간?주말 모니터링 : 866건 수정보완사유 지역사회 및 행정기관과의 원활한 연계 및 자살예방사업 활동 사업 추진 체계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전년대비 자살상담 3%증가 측정방법 ‘17년 자살상담건수 - ’16년 자살상담건수/‘16년 자살상담건수) 100 목표설정근거 MHIS 데이터 분석 실행 목표달성내용 전년대비 32,013건 증가 (73.1%증가) 구로구(577.3%), 서대문구(336.3%), 영등포구(303.6%) 순으로 증가 25개구 평균 168% 증가 목표달성수준 목표대비165% 달성 미달성 사유 없음 평가 사업 평가 자살위기상담전화 인프라 강화를 통해 상담 증가함. 개선 방향 상담인프라(인력 및 역량 강화)를 통해 위기상담전화의 질적 강화 필요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②-3-2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체계 마련 세부 사업명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체계 마련 사업 목적 자살시도자의 재시도 방지를 위한 전문서비스 체계 강화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7. 1. 1. ~ 12. 31. 실행 2017. 1. 1. ~ 12. 31.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자살시도자 실행 자살시도자 수정보완사유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자살시도자 의뢰 활성화를 위한 응급실과의 협력체계 강화 - 응급실 자살시도자 의뢰 활성화를 위한 응급처치 등 예산지원 - 자살시도자 지속적 모니터링(문자 및 편지 발송) - 자살시도자 서비스 재유입을 위한 사후관리 프로그램 강화 - 자살시도자 사회적응을 위한 보건-복지 서비스 연계체계 강화 실행 의료기관 의뢰건수 57건 모니터링 희망편지 612건 / 희망문자발송 30,697건 보건복지 서비스 연계체계 강화 495건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추진 체계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목표) 성과목표 전년대비 응급실 의뢰 5% 증가 측정방법 2016년 대비 응급실 의뢰 5% 증가(17년 응급실 의뢰건수 - 16년 응급실 의뢰건수/16년 응급실 의뢰건수) 100 목표설정근거 MHIS 데이터 분석 실행 목표달성내용 응급실 의뢰 건수 전년대비 113건 증가(25.6%증가) 목표달성수준 목표대비 20.6% 초과달성 미달성 사유 없음 평가 사업평가 자살재시도 방지를 위해 사후관리프로그램 및 연계체계 강화함. 개선방향 지역사회기반으로 한 사후관리 체계를 강화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③-1-1.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세부 사업명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사업 목적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을 위한 업무 연계 및 협력체계 강화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7. 1. 1. ~ 12. 31. 실행 2017. 1. 1. ~ 12. 31.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종교단체, 시민단체, 일반시민 등 실행 종교단체(천주교, 기독교, 원불교, 조계종), 시민단체, 일반시민 등 수정보완사유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자치구 중심 지역자살예방 안전망 구축 -자치구 단체장 중심 자살예방 활성화 체계 마련(단체장 주요공약 내 자살예방 포함) -자치구 특성에 ㄸㆍ른 자살예방 특화사업 강화 ▷종교계가 함께하는 살자사랑하자 프로젝트 지역 활성화 -종교계와 함께하는 생명존중 문화 캠페인 추진 -종교상담 및 치료 프로그램 등 특화사업 강화 -자살의시도자 및 자살유가족을 위한 종교예식 추진 실행 ▷자치구 중심 지역자살예방 안전망 구축 -자치구 단체장 중심 자살예방 활성화 체계 마련(단체장 주요공약 내 자살예방 포함) -자치구 특성에 따른 자살예방 특화사업 강화 ▷종교계가 함께하는 살자사랑하자 프로젝트 지역 활성화 -종교계와 함께하는 생명존중 문화 캠페인(성직자인식개선포럼 등) 진행 -종교상담 및 치료 프로그램 등 특화사업(기독교 유가족모임 ‘로뎀나무’, 신학적 물음 토론회, 조계종 유가족‘템플스테이’, 천주교 해바라기 슬픔 돌봄 자살유가족 피정프로그램) 강화 -자살의시도자 및 자살유가족을 위한 종교예식 진행 -자치구 중심 살사프로그램 활성화 (자치구별 정신건강 홍보 및 자살예방캠페인, 자살예방전문가 양성, 간담회 및 상담서비스 등) 수정보완사유 시장공약 사업 4년차로써 기존 종단에서의 사업에서 자치구와 종교기관이 함께 하는 지역자살예방협의체를 확대 및 구축, 이를 거점으로 자치구 중심의 살자프로젝트 자살예방사업의 활성화를 위함. 사업 추진 체계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대 종단(기독교,천주교,조계종,원불교), 자치구 동주민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대 종단(기독교,천주교,조계종,원불교), 자치구 동주민센터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목표 살사프로젝트 추진률 60% 측정방법 (살사프로젝트 추진 구 15개 / 25개 자치구) 100 목표설정근거 살사프로젝트 추진 중인 자치구 조사 실행 목표달성내용 살사프로젝트 25개 자치구 중 15개 자치구 추진(추진률 60% 목표달성수준 목표대비 100% 달성 미달성 사유 없음 평가 사업 평가 -자치구 지역별 특성에 따른 자살예방 특화사업이 진행되었음. -민관협력에 의한 종교단체들의 자살예방사업 진행으로 일반 시민 및 자살유족, 자살고위험군들에 대한 다학제적인 개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살사’프로젝트가 4년째 지속적으로 진행 및 확대가 되면서 자살예방 문화조성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서울시민의 자살률감소를 기대해볼 수 있음. 개선 방향 2018년의 경우 종단별 사업 의견 반영을 통해 4대종단 열린포럼(가칭)을 진행할 예정이며 종교계와 서울시가 자살예방사업 및 자살예방과 관련된 주제를 가지고 서울시민들과 함께 논의를 통해 자살예방에 대한 모색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임.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대 종단(기독교,천주교,조계종,원불교), 자치구 동주민센터 실행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대 종단(기독교,천주교,조계종,원불교), 자치구 동주민센터 ③-1-2. 1차 의료기관의 지살예방 역량 강화 세부 사업명 1차 의료기관의 지살예방 역량 강화 사업 목적 보건소·의료기관 이용 대상자의 자살고위험군, 우울증 조기발견 및 조기치료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7. 1. 1. ~ 12. 31. 실행 2017. 1. 1. ~ 12. 31.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일반시민, 보건소 및 의료기관 이용대상자 등 실행 일반시민, 보건소 및 의료기관 이용대상자 등 수정보완사유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보건소 이용 대상자 중심 우울증 및 자살 스크리닝 강화 -보건소 진료대상자 우울증 및 자살 스크리닝을 통한 위험군 발굴 -잠재 및 저위험군 지역사회 내 관리를 위한 준사례관리 활동 강화 ▷지역사회 의료기관 위험군 발굴체계 강화 -우울증 및 자살 스크리닝 확대를 위한 자치구-의료기관 간 업무협력 확대 -약사회 및 의료진 대상 게이트 키퍼 교육 실시 실행 ▷보건소 이용 대상자 중심 우울증 및 자살 스크리닝 강화 -보건소 진료대상자 우울증 및 자살 스크리닝을 통한 위험군 발굴 -잠재 및 저위험군 지역사회 내 관리를 위한 준사례관리 활동 강화 ▷지역사회 의료기관 위험군 발굴체계 강화 -우울증 및 자살 스크리닝 확대를 위한 자치구-의료기관 간 업무협력 확대(관내 정신과에 자가 정신건강검진 및 수거함 비치 등) -약사회 및 의료진 대상 게이트 키퍼 교육 실시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추진 체계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생명지킴 활동가(준사례관리자) 수정보완사유 보건소 내 스크리닝 시 생명지킴 활동가(준사례관리자) 투입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목표) 성과목표 1차 의료기관 스크리닝 참여기관 증감률(지표생성) 측정방법 (`17년 스크리닝 참여기관수-`16년 스크리닝 참여기관수 / `16년 스크리닝 참여기관 수) 100 목표설정근거 자치구 스크리닝 참여 의료기관 조사 실행 목표달성내용 1차 의료기관 스크리닝 참여기관 85.7% 증가 (`17년 스크리닝 참여기관수(13개)-`16년 스크리닝 참여기관수(7개) / `16년 스크리닝 참여기관 수(7개)) 100 목표달성수준 전년대비 85.7% 증가 미달성 사유 없음 평가 사업 평가 -전년 대비 실적 향상 -미실시하거나 참여에 적극적이지 않은 자치구 참여 독려 필요 -보건소 진료 대상 중 20~40대 연령층 검사 참여자 수가 적어 50대 이상으로 연령 범위가 치중됨. -보건소에서 자살위험군 발견 및 의뢰, 상담까지 진행할 수 있어 비용·시간 소모가 줄어듦. 개선 방향 -1차 의료기관의 자살예방 역량 강화 사업을 실제 수행한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질적·양적 사업 평가를 통해 추후 사업의 방향성에 대해 모색할 필요성이 있음. -보건소 방문객 대상 우울증검사 및 자살위험 초기상담에 다양한 연령층이 참여할 수 있는 홍보방안 필요.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③-2-1.지역사회정신건강 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세부 사업명 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사업 목적 정신질환자 자살률 감소를 위해 공공부문 정신건강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7. 1. 1. ~ 12. 31. 실행 2017. 1. 1. ~ 12. 31.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경찰, 자살의시도자,정신질환자 실행 경찰, 지역사회 의료기관,25개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자살의시도자,정신질환자 수정보완사유 서비스전달체계에 병원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포함 주요 수행 내용 계획 병원.정신건강복지센터 간 의뢰체계 활성화 및 정신질환자 응급개입 체계 강화 실행 -퇴원예정인 정신질환자 정신건강복지센터 의뢰 및 정보제공 -자살고위험군 유관기관과 의뢰체계 구축을 위한 mou체결 -보건소 정신건강 열린상담실 운영 -외래치료명령제 활성화를 통한 병원-센터간 의뢰체계 강화 -경찰 센터 협력 강화를 위한 mou 체결(정신과적 문제 평가 및 응급개입 협력) -1577-0199를 통한 자살의시도자 위험성 평가 및 개입강화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추진 체계 계획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의료기관 및 경찰, 소방 등 유관기관 수정보완사유 서비스 전달체계 강화를 위한 유관기관 포함.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목표 등록 정신장애인 자살률 163.3(15년)->160(17년) 측정방법 mhis 데이터 분석 목표설정근거 퇴원정신질화자의 지역연계를 강화하여 등록 정신장애인의 자살률 감소하고자 함. 실행 목표달성내용 17년도 등록회원 자살사망자수 22명 -등록 정신장애인 자살률 163.3(15년)->109(16년)->119(17년) 목표달성수준 자살률 44.3% 감소로 목표대비 1,476% 미달성 사유 없음 평가 사업 평가 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 전달체계 강화를 통해 지역사회정신건강증진 및 자살률 감소 개선 방향 정긴건강서비스체계 활성화를 위해 지속적인 협의체 유지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③-2-2. 공공정신건강 서비스 기능확대 세부 사업명 시차원의 공공정신건강서비스 기능확대 사업 목적 정신질환자 자살률 감소를 위해 공공부문 정신건강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7. 1. 1. ~ 12. 31. 실행 2017. 1. 1. ~ 12. 31.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수정보완사유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자치구 자살예방전담팀 확대 실행 -자치구 정신건강복지센터 인력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전문가 교육 실시 -자살예방지킴이 및 준사례관리자 양성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전담팀 설치 수정보완사유 서비스 기능확대를 위해 준사례관리자 및 자살예방지킴이 양성 사업 추진 체계 계획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목표 전담팀 및 기관 설치율(지표생성) 측정방법 자체조사 목표설정근거 정신보건전문요원을 통한 전문성 확보, 지역사회 정신건강 인프라 확대 실행 목표달성내용 전담팀 및 기관 설치 15개 목표달성수준 전담팀 및 기관설치 16년도(10개)->17년도(15개)로 전년대비 20% 증가 미달성 사유 없음 평가 사업 평가 지역사회 정신건강 및 자살예방 서비스기능 확대를 위해 전문성 강화 개선 방향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 및 자치구 전담팀 확대 추진 담당자 계획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③-3-1. Gatekeeper 양성 확대 세부 사업명 Gatekeeper 양성 확대 사업 목적 Gatekeeper 양성·관리함으로써 지역사회에서 자살위험징후 발견·의뢰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7. 1. 1. ~ 12. 31. 실행 2017. 1. 1. ~ 12. 31.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공무원, 정신보건시설 종사자 등 실행 공무원, 정신보건시설 종사자 등 수정보완사유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자살예방지킴이 양성체계 강화 -자치구 공무원 자살예방지킴이(Gatekeeper) 양성, 자살예방지킴이의 날 시행(매달) -지역사회 사회복지 서비스 실무자 자살예방지킴이(Gatekeeper)양성 ▷자살예방지킴이 관리체계 활성화 -온라인 자살예방 지킴이 회원관리 시스템 강화 실행 ▷자살예방지킴이 양성체계 강화 -자치구 공무원 자살예방지킴이(Gatekeeper) 양성, 자살예방지킴이의 날 시행(매달) -지역사회 사회복지 서비스 실무자 자살예방지킴이(Gatekeeper)양성 ▷자살예방지킴이 관리체계 활성화 -온라인 자살예방 지킴이 회원관리 시스템 강화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추진 체계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목표 자치구별 공무원 게이트키퍼 교육 이수 500명(지표생성) 측정방법 자치구별 게이트키퍼 교육 받은 공무원 수 목표설정근거 자체조사 실행 목표달성내용 자치구별 공무원 게이트키퍼 교육 이수 500명 수행 자치구 25개구 목표달성수준 성과목표 대비 100% 미달성 사유 없음 평가 사업 평가 -자살예방지킴이 교육 시, 보건소 통한 강사 수급 부족 관련 문의가 있었으나 실제 자살예방지킴이 강사양성교육을 실시할 때는 신청자 수가 적었음. -게이트키퍼 교육을 통한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 및 사각지대 해소함. -서울시 자살예방지킴이, 보건복지부 보고듣고말하기 교육 등 인증된 교육 활용으로 게이트키퍼 교육 효과성 향상함. 개선 방향 -서울시자살예방센터를 통해 자살예방지킴이 회원 관리 시스템 DB업로드를 통한 자치구 지원이 지속될 예정이며, 자치구 의견을 수렴하여 2018년도에 순차적으로 시스템 기능 개선 시행할 예정임. -자살예방지킴이 강사자격관리를 보다 철저히 진행하여 강사지원을 의무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각 자치구에서 기존에 양성된 강사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 -자살예방지킴이 교육 대상이 보건소 실무자로 편중된 경향이 있어, 다양한 대상으로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자살예방지킴이 교육이 실시 이후, 양성된 자살예방지킴이가 지역사회에서 자살 잠재 위험군 발견 후 연계 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보제공 등 자치구 차원의 지원 필요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③-3-2. 전문가 교육 강화 세부 사업명 전문가교육 강화 사업 목적 지역사회 자살예방 실무자들의 질적 향상을 도모 및 전문 서비스 제공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7. 1. 1. ~ 12. 31. 실행 2017. 1. 1. ~ 12. 31.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자살예방지킴이, 자치구 보건소·정신건강복지센터(자살예방사업 담당) 실행 자살예방지킴이, 자치구 보건소·정신건강복지센터(자살예방사업 담당) 수정보완사유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자살예방응급요원 과정(14시간) 의무화 -자치구 자살몌방 전담인력 응급요원 교육 의무화 -자살예방지킴이 수료 후 자살예방 응급요원교육(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실무자 포함) ▷자살예방전문가 양성 -자살예방 응급요원 교육 수료 후 자살예방 전문가 양성교육 ▷자살유족전문가 양성 -자치구 자살예방 사업인력 자살유족전문가 양성교육 실행 ▷자살예방응급요원 과정 의무화 -자치구 자살몌방 전담인력 자살예방응급요원 교육 의무화(자치구 자살예방 실무자 교육 과정에 자살예방응급요원 교육 추가) -자살예방지킴이 수료 후 자살예방 응급요원교육(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실무자 포함) ▷자살예방전문가 양성 -자살예방 응급요원 교육 수료 후 자살예방 전문가 양성교육 ▷자살유족전문가 양성 -자치구 자살예방 사업인력 자살유족전문가 양성교육 ▷전문가 교육 질 관리 강화 -보건복지부 인증 프로그램 승인 -교육 콘텐츠 보완(자살예방응급요원 템플릿 개발 및 교재 개정) 수정보완사유 -자치구 자살예방 전담인력 자살예방응급요원 교육 시 기존 교육 과정에서 현장 업무에 맞게 재구성하여 1일 교육으로 진행함. -정신건강복지법 개정에 따른 내용 개정 및 효율적인 교육 교안 마련을 위한 콘텐츠 보완 -근거기반의 전문가 교육 제공을 위한 보건복지부 인증 프로그램 승인 사업 추진 체계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위기관리팀, 유족지원팀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위기관리팀, 유족지원팀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목표) 성과목표 자살예방 실무자 교육 이수율(지표생성) 측정 방법 ((`17년 자치구 자살예방 수행인력 전문가 교육 이수자 수 - `16년 자치구 자살예방 수행인력 전문가 교육 이수자 수) / 17년 자치구 자살예방 사업 수행 인력 수) 100 목표 설정 근거 자치구 자살예방 수행인력(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전문성 도모를 위해 전문가 교육 이수를 촉진하고자 함. 실행 목표 달성 내용 자살예방 실무자 교육 이수율 14.3% ((`17년 자치구 자살예방 수행인력 전문가 교육 이수자 수 78명 - `16년 자치구 자살예방 수행인력 전문가 교육 이수자 수 28명) / 17년 자치구 자살예방 사업 수행 인력 수 350명) 100 목표 달성 수준 전년대비 14.3% 증가 미달성 사유 없음 평가 사업 평가 -재가관리사, 정신건강수련간호사, 이외 복지 및 정신보건 현장 종사자의 교육 참여 비중이 높았으며, 자살고위험군 및 취약계층 접촉 빈도가 높은 대상을 교육함으로써 자살예방응급요원 역할의 이해를 기반으로 대처능력의 현장 적용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나, 상대적으로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실무자의 교육 참여는 다소 저조함. -교육기자재의 활용으로 인해 회기별 개별상담의 실제 수퍼비전 진행에 있어 집중도 및 효과성이 향상됨. -‘유족상담의 실제’에서 유족의 심리나 상황, 사례를 추가하여 구체적 수퍼비전이 이루어지면 좋을 것으로 사료됨. 개선 방향 -자살예방사업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자살유족 관련된 전문가 교육 시 실무자 교육 참석TO 확보 및 의무 참여를 통해 교육 참여 강화가 필요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위기관리팀, 유족지원팀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위기관리팀, 유족지원팀 ③-4-1.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세부 사업명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사업 목적 자치구 자살사망자 현황을 분석하고 시민인식도 조사를 통해 자살예방계획 수립의 근거마련을 도모함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7. 1. 1. ~ 12. 31. 실행 2017. 1. 1. ~ 12. 31.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서울시민, 통계청 및 경찰청 데이터 등 실행 서울시민, 통계청 및 경찰청 데이터 등 수정보완사유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자살사망자 현황관리(통계청·경찰청 자살사망자 현황분석) -지역사회 실태조사(자살생각 현황파악, 자살예방 및 유족서비스 기관인식·이용의향 등) 실행 -자살사망자 현황관리(통계청·경찰청 자살사망자 현황분석) -지역사회 실태조사(서울시민 자살예방시민인식도 조사 등)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추진 체계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목표 관련보고서 발간 건수 (백서발간 1건) 측정 방법 실제 목표 달성건수 확인 목표 설정 근거 최초 목표한 건수의 달성여부 실행 목표 달성 내용 -자살실태분석 1건, 인식도조사 1건 발간 목표 달성 수준 -자살실태분석 100%달성, 인식도조사 100%달성 미달성사유 없음 평가 사업 평가 서울시 및 25개 자치구의 자살실태 분석 및 서울시민 자살예방 시민인식도조사를 통해 자살예방사업의 근거마련 및 방향성 수립 제시 개선 방향 지속적인 자살실태 분석과 시민의 자살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통해 서울시 및 자치구의 자살데이터를 관리하고 자살예방사업의 근거체계 필요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및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및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③-4-2. 근거기반의 조사·연구 세부 사업명 근거기반의 조사·연구 사업 목적 자살예방 연구를 통한 자살예방 근거 마련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7. 1. 1. ~ 12. 31. 실행 2017. 1. 1. ~ 12. 31. 수정보완사유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서울시민, 자살유족, 자살예방실무자 등 실행 서울시민, 자살예방실무자 등 수정보완사유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자살유족 심리부검 활성화, 자살예방연구기능 강화 실행 4050 남성자살시도자에게 필요한 사회서비스 연구, 서울시민 자살예방시민인식도 조사 수정보완사유 자살유족 심리부검의 경우 중앙전문기관에서 진행 사업 추진 체계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기획연구팀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기획연구팀, 7개 자치구 정신건강복지센터, 2개 유관기관 수정보완사유 자치구 및 유관기관 협력으로 추진체계 추가됨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목표 연구보고서 발행 및 배포 2건 측정 방법 실제 발행건수 확인 목표 설정 근거 최초 목표한 건수의 달성여부 실행 목표 달성 내용 연구보고서(서울시 4050 남성자살시도자에게 필요한 사회적 서비스연구) 발행 및 배포 1건, 인식도조사 1건 발간 목표 달성 수준 목표대비 100% 달성 미달성사유 없음 평가 사업 평가 서울시 4050 남성 자살시도자의 자살배경 및 원인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사회적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파악하여 자살예방 정책방향을 제시함. 또한 시민 인식도 조사를 통한 자살예방사업의 근거를 마련함. 개선 방향 해당 연구를 바탕으로 실제 4050 남성자살시도자에게 필요한 현실적인 서비스체계를 구축하고 실제 적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며 인식도조사의 근거를 토대로 실효성 있는 사업을 계획수립.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 사업 관리 및 지원 1. 사업 관리 1) 자살예방 시행계획 공개 계획 소통광장을 통해 대시민 부분공개(또는 비공개) 실행 소통광장을 통해 대시민 부분공개 실시(http://opengov.seoul.go.kr/sanction/11528372) 2) 관계자 의견 수렴 및 반영 ○ 보건소·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자살예방 실무자가 참여하는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설명회·역량강화 교육’ 등을 통해 의견 수렴 및 계획수립에 적극 반영 ○ 자살예방시행 계획·평가 등을 통한 서울시 자살예방사업 방향성에 대한 의견 수렴을 위한 자치구별 간담회 및 사업수행에 대한 컨설팅 진행 ○ 자살예방지킴이 교육이수자 대상 ‘자살예방지킴이의 날’ 행사(자치구별 매월 1회) 추진 3) 자살예방 시행계획 수립 과정 계획 ○ 자치구 자살예방 실무자 의견 수렴 ○ 서울시자살예방시행계획 관계기관과의 업무 협의 실행 ○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을 위한 자치구 욕구 조사 - 일시 및 방법: 2016. 12월, 이메일을 통한 의견 수렴 - 수렴내용 및 반영 결과: 자살예방시행계획 의견수렴 ○ 서울시자살예방시행계획 관계기관 업무 협의 - 일시 및 방법: 2017. 2. 20. 간담회 - 참석자: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 수렴내용 및 반영 결과 :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분석, 시행계획에 반영 ○ 서울시 자살예방사업 설명회 실시 - 일시 및 방법: 2017. 3. 2. 설명회(교육) - 참석자: 서울시, 25개 자치구(보건소) 및 지역센터,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유관기관(공감인) - 수렴내용 및 반영결과: 시행계획 방안 및 실적보고 등 의견 조정 4) 자살예방 시행계획 추진 과정 계획 ○ 자치구별 간담회와 정기적 컨설팅 실시 ○ 자살예방 실행계획을 위한 실무자 정기 간담회(역량강화교육, 회의) 실시 실행 ○ 자살예방 시행계획을 위한 지역사회 컨설팅(자치구 방문) - 일시: 2017. 4. ~ 5월 - 참석자: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자살예방실무자 - 수렴내용 및 반영결과: 자치구 자살실태 분석, 자살예방시행계획 수행 정도 및 평가 기준 점검 ○ 자살예방시행계획 점검을 위한 실무자 간담회 - 일시: 2017. 4. 6. 10월 - 참석자: 서울시, 25개 자치구(보건소) 및 지역센터, 서울시자살예방센터 - 수렴내용 및 반영결과: 시행계획 중간평가 및 사업 방향성 지속 논의 등 2. 사업 지원 <기초 지자체 자살예방사업에 대한 지원 실적> 시·군·구 지원 내용 예산 비고 서울시 계획 ○ 기반조성 -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예산지원, 자치구 내 살사프로젝트 활성화 지원 - 정책 개발 및 조례 개정 등을 통한 사업 근거 마련, ○ 위기관리 지원 - 자살의시도자 야간 및 휴일 모니터링, 응급출동 지원 - 자살의시도자 응급 및 법적 개입 등 전문 컨설팅 - 자살예방실무자 심리외상회복 프로그램 지원 ○ 전문성 향상지원 - 게이트키퍼 교육 콘텐츠 개발·보급, 자살예방 실무자 자살예방응급요원교육 - 자살예방실무자 자살예방전문가양성교육·자살유족전문가양성교육 - 자살예방 준사례관리자 교육, 게이트키퍼(자살예방지킴이)교육 강사양성 - 자살예방사업 방향성 평가 및 계획 컨설팅 지원 ○ 특화 프로그램 - 힐링프로젝트(‘누구에게나 엄마가 필요하다’), 생명문화버스 운영 ○ 홍보 및 서비스 콘텐츠 보급 - 자살의시도자 자치구 서비스 유입 활성화 홍보 -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매뉴얼 개발·보급 - 자살유족 서비스 매뉴얼·자살의시도자 동기강화상담 매뉴얼 개발·보급 - 생명이음 청진기사업’을 위한 콘텐츠 개발·보급 - 서울시 자살예방 홍보 콘텐츠 제공(자살의시도자 정서지원을 위한 ‘마음꽃·이음꽃’ 등) - 생명지킴이 희망판매소’ 콘텐츠 개발·보급 3,202백만원 실행 ○ 기반조성 -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예산(자치구별 1억 내외)지원: 25개 자치구 - 정책 개발 및 조례 개정 등: 자치구 자살예방 위원회 실시(16개구/21회) - 자치구 내 살사프로젝트 활성화 지원: 종교상담(854건), 특화프로그램(4건/142명), 종교예식(11건/202명), 자치구중심살사프로젝트(7기관) ○ 위기관리 지원 - 자살의시도자 야간 및 휴일 모니터링, 응급출동 지원 : 1050핫라인(경찰전용) 개설(유입건수 366건 / 성공건수 275건), 공동응급출동(경찰, 소방)(99건), 자살의시도자 야간?주말 모니터링(866건), 의료기관 의뢰건수(57건), 모니터링 희망편지(612건), 희망문자 발송 (30,697건), 보건복지 서비스 연계체계 강화(495건) - 자살의시도자 응급 및 법적 개입 등 전문 컨설팅 - 자살예방실무자 심리외상회복 프로그램(2회) ○ 전문성 향상지원 - 게이트키퍼 교육 콘텐츠 개발·보급(2회) - 자살예방 실무자 자살예방응급요원교육(5회/121명) - 자살예방 실무자 자살예방전문가양성교육(3회/18명) - 자살예방 실무자 자살유족전문가양성교육(2회/23명) - 자살예방 준사례관리자 교육(2회/199명) - 자살예방사업 방향성 평가 및 계획 컨설팅 지원(13개 자치구) - 게이트키퍼(자살예방지킴이)교육 강사양성(2회/28명) ○ 특화 프로그램 - 힐링프로젝트(‘누구에게나 엄마가 필요하다’): 치유활동가 양성(311명) - 생명문화버스(수다공방버스) 운영(88회/7,272명) ○ 홍보 및 서비스 콘텐츠 보급 - 자살의시도자 자치구 서비스 유입 활성화 홍보 : 방송인터넷 등 광고 홍보(128,133건) -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매뉴얼 개발·보급(1건) - 자살유족 서비스 매뉴얼 개발·보급(2건) - 자살의시도자 동기강화상담 매뉴얼 개발·보급(보건복지부 프로그램 인증 1회) - 생명이음 청진기사업’을 위한 콘텐츠 개발·보급 : 보건소 진료대상자의 PHQ-9 검사자 수(29,438건), MINI-Plus 검사자 수(5,232건) - 서울시 자살예방 홍보 콘텐츠 제공(자살의시도자 정서지원을 위한 ‘마음꽃·이음꽃’ 등)(675건) - 생명지킴이 희망판매소’ 콘텐츠 개발·보급 (6,693건) 3,202백만원 ? 예산 집행 실적 (단위: 천원) 구분 계 국비 시비(100%) 계획 집행 집행율 (%) 계획 집행 집행율 (%) 계획 집행 집행율 (%) 합계 5,693,843 5,651,855 99 - - - 5,693,843 5,651,855 99 민간경상사업보조 1,253,000 1,239,669 99 - - - 1,253,000 1,239,669 99 민간위탁금 1,645,843 1,617,186 98 - - - 1,645,843 1,617,186 98 자치단체경상보조 295,000 295,000 100 - - - 295,000 295,000 100 2,500,000 2,500,000 100 - - - 2,500,000 2,500,000 100 ? 자체 평가 평가계획 평가실행 및 결과 항목 평가지표 평가기준 평가방법 배점 실행여부 평가결과 구조 평가 (투입 목표) 인력 자살예방 전담인력 수 (보건소 3인, 센터 3인) 150명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예산 서울시 전년대비 예산 증감률 2016년 대비 5% 향상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자치구 자체 예산 확보 전년대비 증감률 2016년 대비 5% 향상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과정 평가 (산출 목표) 생명존중문화 조성 및 자살예방 홍보강화 서비스 이용 의향률 자살관련기관 서비스 의향률 68%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자살관련 언론보도 개선 언론보도 준수율 언론보도 준수율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지표생성 자살예방사회복지안전망 강화 지역자원 연계율 지역자원 연계율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지표생성 범부처 자살예방 협력체계 구축 자살예방 위원회의 달성률 자치구별 자살예방위원회 실시 횟수 연 2회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지표생성 자살수단의 접근성 차단 일산화탄소-투신 자살률 일산화탄소-투신 자살사망자수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온라인상의 자살유해정보 차단 강화 유해정보차단 조례 부분 제정률 자치구별 유해정보차단 조례 제정률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지표생성 아동청소년 아동청소년 자살률 아동청소년 십만명당 자살전년대비 2%감소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6점 청년중장년층 청년·중장년층 자살률 청년·중장년층 십만명당 자살전년대비 2%감소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노인 노인 자살률 노인층 십만명당 자살전년대비 2%감소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자살고위험군 대상별 자살예방대책추진 자살유족 서비스 의향률 2015년 47% 유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정신신체 자살상담 증감률 엠히스 데이터분석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구축 자살상담 증가율 자살상담수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체계 마련 응급실 의뢰율 응급실의뢰건수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등록정신장애인 자살률 전년대비 등록정신장애인 자살사망자수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1차 의료기관의 자살예방 역량 강화 전담팀 및 기관 설치율 전담팀 및 기관 자치구 설치 비율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지표생성 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살사프로젝트 추진률 살사프로젝트 수행 자치구 비율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공공정신건강서비스 기능 확대 청진기사업 실시율 (보건소 의료기관) 보건소 및 의료기관 사업 추진자치구 비률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6점 Gatekeeper 양성 확대 공무원 게이트키퍼 교육 이수자 수 500명 양성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전문가 교육 강화 자살예방실무자 교육 이수율 자살예방실무자 중 교육이수자수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백서발간 백서발간 1건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근거기반의 조사·연구 연구보고서 발행 연구보고서 발행건수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결과 평가 사업달성도 사업목표 달성도 사업반영여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사업평가 결과평가분석 내년계획반영여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1. 자체 평가계획 및 실행 2. 평가결과 분석(문제점 진단) 및 개선 방안 평가 결과 분석 ○ 자살관련 언론보도 개선 및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노력 부족 - 언론감시 옴부즈만 활동은 활동가들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소수의 활동가들만 소극적으로 언론감시 활동을 하는 수준이었고,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역시 옴부즈만에게만 의존한 실정임. ○ 자살예방 사회복지안전망 강화 노력 부족 - 자살위험군의 정신건강문제나 자살충동성뿐만 아니라 근원적인 욕구를 파악하고 각각의 욕구에 맞는 지역사회자원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나 가장 심각한 자살연령대인 40~50대 남성이 소외된 경우가 많았고 자원연결도 단편적인 복지서비스에 연계되는 한계를 나타냄. ○ 편차가 큰 자살예방위원회 활동 - 자치구마다 자살예방위원회가 개최되고 있으나 자치구의 자살현상을 공유하는 차원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음. 지자체장이 의지를 갖고 자치구의 대응방안을 제시하고 지역자원이 구체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구와 형식적으로 위원회를 개최하는 구 사이의 간격(위원회의 수준과 역할)이 큼. ○ 청소년, 청년, 중장년층 자살예방사업의 한계 - 서울시 25개구 모두가 생애주기별 자살예방사업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으나 다양한 정책과 서비스가 마련되고 있는 노인층에 비해 청소년, 청년, 중장년층에 대한 예방사업은 실질적인 고위험군을 서비스 영역으로 유인하지 못하고 사후대책이나 소수의 자발적 참여자들(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낮은)만을 대상으로 사업을 수행하고 있음. ○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에서 협업 부족 - 4개종단과 함께하는 ‘살사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자치구 기반 자살예방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나 형식적인 협약, 캠페인 참여 외에 실질적인 자살예방사업은 부재. 자치구 차원의 종교기관들이 가진 잠재력을 자살예방사업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음. 개선 방안 ○ 자치구 차원의 자살관련 언론보도 개선 및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기능 강화 - 자치구 자살예방 조례를 현재 8개구에서 25개구 전체로 점진적 확대하고 자치구 내 준사례관리자 활동에 언론보도 감시와 온라인 유해정보 차단 기능 포함 필요. 또한, 준사례관리자들의 활동내용을 관리하고 준사례관리자 교육과정에도 언론보도 개선과 자살유해정보 차단활동을 위한 내용을 담아 지속적인 지원 필요 ○ 보건과 복지가 통합된 자살예방 사회복지안전망 강화 - 자살문제·1인 가구문제, 고독사 문제가 유사한 인구학적 특성이 있어 현재 추진되고 있는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사업과 서울시 1인 가구 및 고독사 대책사업 등과 함께 복지사각지대에 있는 자살고위험군을 보건·복지가 통합적으로 지원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 아울러 발굴된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지역자원연계에 대한 평가를 체계화하고 실적보다는 질적인 지역사회자원이 연결될 수 있는 정책적 노력 필요 ○ 지자체장의 의지가 드러날 수 있는 자살예방위원회 활동 - 서울시 몇몇 자치구의 자살예방노력은 국가적으로도 모범사례가 되고 있고 중앙정부에서는 이를 전국적으로 확산하고자 하고 있음. 실효성 있는 자살예방 효과가 나타나는 자치구의 경우, 지자체장이 수년간에 걸쳐 자살예방위원회를 통해 자치구내 자원을 자살예방을 위해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역할 분담한 결과라고 볼 수 있음. 자살예방위원회가 실질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자체장이 직접 위원회에 참여하여 자치구 고유의 자살예방 이슈를 의제로 삼고 구체적인 방안을 토론할 수 있어야 함. ○ 생애주기별 자살예방사업 강화(단기 1순위 중장년층, 중장기 1순위 청소년, 청년) - 현실적으로 지역사회 차원에서 청소년 대상 자살예방사업(대부분 일회성)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서울시교육청과 협조체계를 통해 학교기반 자살예방의 중장기플랜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궁극적으로는 교과과정에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에 대한 내용이 들어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 단기적으로 중장년층(현재 가장 자살사망자가 많은 연령대)에 집중하면서 신체·정신 건강, 경제활동, 사회적 관계 등에 초점을 맞추고 현재 이러한 어려움을 복합적으로 겪고 있는 중장년층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필요한 자원을 연계하는 데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 동시에 중장년층의 경우는 문화적인 측면(감당하기 힘든 상황에서도 타인에게 도움을 청하지 못함. 능력이 안 되는 상황에서도 모든 것을 책임지려고 하는 특징)을 고려한 접근 필요. ○ 협업에 기반한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활성화 - 종교기관, 자치구 모두 자살예방에 대한 열정이 있고 가용 인적자원이 있으나 실질적인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성직자 및 평신도지도자들을 대상으로 한 자살예방교육은 서울시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종교기관이 지역사회 차원에서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일들을 제시할 필요가 있고 또한, 자치구 차원에서는 종교기관과 적극적인 논의과정을 통해 가능 사업을 도출하여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음. 3. 차기년도 자살예방 시행계획에 대한 반영사항 반영사항 ○ 자치구 자살률격차 해소를 위한 자치구 지원 확대 - 자살예방이 자살현상과 무관한 성과 중심의 사업에서 벗어나 자살위험성을 증가시키는 지역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근거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자치구 자살예방사업의 모니터링 및 자문 활동하며, 지자체장이 의지를 갖고 사업을 추진하는 자살예방위원회 활동, 근본적 원인에 접근하는 자살예방 활동, 발굴된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지역자원연계 등 자치구 모범사례 전파 - 자치구 내 종교기관과 구체적인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협력 가능한 종교기관 리스트 제공(현재는 자치구 담당자가 어느 종교기관에 연락을 해야 할지 막연한 상황). 일부 자치구에서 이루어진 종교기관의 사업을 토대로 자치구와 종교기관이 파트너십을 갖고 협업할 수 있는 사업에 대한 구체적 지원 ○ 찾동과 연계한 중장년층 자살예방사업 및 교육청과의 중장기 협력사업 추진 - 찾동사업에서 우선적으로 역량을 집중할 고립가구 지원지역(총34개동)을 선정할 예정이어서 이들 지역에 대한 위기관리 등 자살예방사업 실시. 또한, 자살예방 지킴이 교육을 이수한 준사례관리자 역시 고립가구 지원지역에서 핵심적인 지역주민 촉진자로 활동 가능. - 서울시교육청과는 구체적인 학교 자살예방 프로그램과 중장기 협력 안을 담은 협약을 체결하고 학교자체가 교사·학생들에게 삶의 의미를 증진시키는 보호요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사업추진 ○ 자치구 자살관련 언론보도 감시체계 구축 - 점진적으로 모든 자치구가 자살예방 조례에 자살유해정보 차단 내용을 포함하는 조례개정 필요(현재는 8개구) - 자치구 자살예방 담당자를 대상으로 자살관련 언론보도가 일반대중에게 미치는 영향을 교육하고 준사례관리자 활동에 언론보도 및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활동 포함. 해당 자치구에서 발생한 자살사망사건 보도에 대한 언론보도권고기준 준수여부 확인은 자치구 자살예방사업의 필수사항으로 강조. 개별 자치구의 자살관련 언론보도 감시활동, 자살유해정보 차단 활동은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언론감시 블로그에 올려 서울시민 모두가 언제든지 확인가능 하도록 구성. ? 사업성과 1. 성과목표 달성도 10대 과제 연번 세부사업명 실적 및 달성도 기타 성과 목표(A) 수행실적(B) 달성률 (B/A100) ①-1 자살 관련 사회 인식 개선 ①-1-1 생명존중문화 조성 및 자살예방 홍보강화 68% 82.5% 121.3% ①-1-2 자살관련 언론보도 개선 지표생성 1.3% 지표생성 ①-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①-2-1 자살예방사회복지 안전망 강화 지표생성 21.64% 지표생성 ①-2-2 범부처 자살예방 협력체계 구축 지표 생성 42% 지표생성 ①-3 자살위험 환경 개선 ①-3-1 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전년대비 5% 감소 전년대비 8.9% 감소 178% ①-3-2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강화 조례제정율(지표생성) 32% 지표생성 ②-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대책추진 ②-1-1 아동청소년자살률 2% 감소 19.6% 증가 - 980% ②-1-2 청년중장년층자살률 2% 감소 10.2% 감소 510% ②-1-3 노인자살률 2% 감소 14.9% 감소 745% ②-2 자살 고위험군 지지체계 강화 ②-2-1 자살고위험군 대상별 자살예방대책추진 자살유족서비스 의향률 47% 자살유족 서비스 의향률 64.5% 137% 정신신체 자살상담 증감률 2% 향상 정신신체 자살상담 증감률8.9%향상 445% ②-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②-3-1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구축 45,130 75,829 168.0% ②-3-2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체계 마련 463 554 119.6% ③-1 지역사회 자살 대응 역량 강화 ③-1-1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살사프로젝트 추진률 60% 살사프로젝트 추진률 60% 100% 1차 의료기관의 자살예방 역량 강화 참여기관 증감률(지표생성) 전년대비 85.7% 증가 지표생성 ③-2 정신건강 인프라 강화 ③-1-2 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등록정신장애인 자살률 163(15년)->160(17년) 등록정신장애인 자살률 119명(17년) 1,476% ③-2-2 공공정신건강서비스 기능 확대 전담팀 및 기관설치율 (지표생성) 16년도(10개)->17년도(15개) 설치율 20% 지표생성 ③-3 Gatekeeper 교육 등 자살예방 인력 확충 ③-3-1 Gatekeeper 양성 확대 자치구별 공무원교육이수 500명 자치구별 공무원교육이수 500명 이상 100% ③-3-2 전문가 교육 강화 실무자 교육 이수율(지표생성) 전년대비 14.3% 증가 지표생성 ③-4 근거기반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③-4-1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1건 1건 100% 근거기반의 조사·연구 2건 2건 100% 2. 주요 사업성과 10대과제 세부사업명 주요 성과 내용 비고 ①-1 자살관련 사회인식 개선 생명존중문화 조성 및 자살예방 홍보 강화 20세 이상 서울시민 1,5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마음이음 상담전화 1577-0199 이용 의향률’은 ‘15년 66.4%에 비해 ’17년 82.5%로 증가함. 자살사고나 충동을 느낄 때 상담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는 지표로 서울시와 자치구의 지속적인 인식개선·상담 홍보가 시민들에게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음. 같은 연구결과에서 스트레스(7.9%) 우울(7.7%), 음주(1.3%), 자살생각(2.7%) 등으로 전문기관 상담이용경험은 소수로 이용의향률과 실제이용과는 간극이 큼. 전문상담을 통한 극복사례 적극 홍보 필요 ①-3 자살위험 환경개선 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15년 일산화탄소 및 투신 자살사망자 694명에서 ’16년 632명으로 전년대비 8.9%로 감소하여 성과목표 5% 대비 178% 달성함. 자살수단(번개탄) 접근성 차단을 위한 ‘생명지킴이 희망판매소’ 사업 진행 ②-2 자살 고위험군 지지체계 강화 자살 고위험군 대상별 자살예방대책추진 ‘13년 자살사망자 14,079명 중 6,057명(43%)가 사망 1주일 전까지 의료기관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남(이중 정신과 의료이용은 1,204명). 자살사망자의 상당수가 신체건강문제를 동반하고 있어, 신체건강 진료와 자살위험성평가를 결합한 ‘생명이음 청진기 사업’ 진행. 관련 상담 건수 8.9% 증가(목표 2%). 보건소외에 일차의료기관으로 ‘생명이음 청진기사업’ 확대 필요 ③-2 정신건강 인프라 강화 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등록 정신장애인(주요우울증 포함)은 지역정신건강 차원에서는 최우선적인 자살예방실천 대상. 등록정신장애인의 자살률은 ‘16년 160명(인구10만명당)에서 ’17년 119명으로 감소함(‘17년 서울시 전체 등록회원 자살사망자수는 22명). 고위험 상태에 있는 정신증 환자, 공존질환으로 우울과 알코올문제를 병행한 환자에 대한 집중관리의 중요성 재확인. 현재 우울증 치료를 받지 않는 비율이 75%로 정신의료기관 및 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를 거부하는 대상자에 대한 대안 필요. Ⅲ ‘17년 생명사랑 지킴이(자살예방 게이트 키퍼) 양성 실적 ? 생명사랑 지킴이 양성 실적 (단위:명) 구 분 복지부 인증 자살예방 게이트 키퍼 양성자 수(명)(A) 14세 이상 시도별 인구수 (A)/(B) 계(B) 만13세~만18세(청소년) 시도별 인구수(명) × 보정계수 만19세 이상(성인) 시도별 인구수(명) × 보정계수 서울시 59,435 6,735,024 469,108 6,265,916 0.009 ? 증빙자료 ○ 인증프로램명 - 자살예방지킴이훈련프로그램(2014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8,781명 - 보고듣고 말하기 프로그램:10,654명 ※ 자료원: 중앙자살예방센터 ○ 교육인원(서울시자살예방지킴이 온라인 관리 시스템 등록인원) ※ 자치구인원 : 총 자살예방지킴이 수, 검색인원 : 2017년에 양성된 자살예방지킴이 수 붙임 ‘17년 서울시 자치구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실적 결과보고서 25부 (따로붙임). 끝.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정보

2017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실적 결과보고서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시민건강국 보건의료정책과
문서번호 보건의료정책과-6279 생산일자 2018-02-23
공개구분 공개 보존기간 5년
작성자(전화번호) 송현이 (2133-7547) 관리번호 D0000032877895
분류정보 건강 > 지역보건 > 건강증진관리 > 정신보건사업수행 > 정신건강증진사업운영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