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2020년 서울시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실적 결과보고서

문서번호 보건의료정책과-17777 결재일자 2021. 4. 20. 공개여부 부분공개(5) 방침번호 시 민 주무관 실무사무관 보건의료정책과장 전영희 이정목 04/20 윤보영 협 조 2020년 서울시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실적 결과보고서 2021.4 시민건강국 보건의료정책과 목 차 제1장 1.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실적 개요 1 2. 2020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시행사업 개요 2 1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2 2 서울시의 자살 현황 3 3. 2019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사업 평가 및 개선방향 19 4. 추진방향과 전략 21 1 서울시 자살예방사업의 추진 방향과 전략 21 5. 추진 체계 22 1 추진 체계도 22 제2장 1. 추진과정 29 1 세부사업 추진 내용 및 평가 29 2. 사업 관리 및 지원 103 1 사업 관리 103 2 사업 지원 105 3. 예산 집행 실적 105 4. 자체평가 105 1 자체 평가계획 및 실행 105 2 평가결과 분석 및 개선 방안 108 3 차기년도 자살예방시행계획에 대한 반영 사항 108 제3장 1. 사업 성과 109 1 성과목표 달성도 109 2 주요 사업성과 110 3 지자체장 자살예방사업 참여 현황 111 제4장 1. 기타 사항 111 1 추진상 한계점 및 개선사항 111 제5장 1. 생명지킴이 양성실적 112 1 생명지킴이 양성 실적 112 제1장 ‘20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실적 개요 ‘20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시행사업 요약표 3대 전략 10대 과제 연번 세부사업명 제외 사유 (구체적 근거 제시) ① 범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①-1. 자살 관련 사회 인식 개선 ①-1-1. ‘괜찮니’ 자살예방캠페인 추진 ①-1-2. 지역 언론기관 자살보도 권고기준 교육 추진 ①-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①-2-3. 자살예방정책협의회 운영 추진 ①-2-4. 지역사회 통합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추진 ①-3. 자살위험 환경 개선 ①-3-5. 자살수단의 접근성 차단 추진 ①-3-6.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강화 추진 ②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②-4.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②-4-7. 아동청소년 자살예방 추진 ②-4-8. 청년, 중장년층 자살예방 추진 ②-4-9. 노인자살예방 추진 ②-5. 자살 고위험군 지지체계 강화 ②-5-10. 자살고위험군 대상별자살예방대책추진 추진 ②-6.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②-6-11.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구축 추진 ②-6-12.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체계마련 추진 ③ 자살예방 정책 추진기반 강화 ③-7. 지역사회 자살 대응 역량 강화 ③-7-13. 지역사회 자살예방연계체계마련 추진 ③-7-14. 1차 의료기관 자살예방역량 강화 추진 ③-8. 정신건강 인프라 강화 ③-8-15.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추진 ③-8-16. 공공정신건강서비스 기능확대 추진 ③-9. 생명지킴이 교육 등 자살예방 인력 확충 ③-9-17. 생명지킴이 양성 추진 ③-9-18. 전문가교육 강화 추진 ③-10. 근거 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③-10-19. 자살추적관찰체계구축 추진 ‘20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시행사업 개요 Ⅰ. 서울시 2020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필요성 □ 효과적인 자살예방사업 수행 위한 과학적, 근거기반 자살예방사업 추진 필요 ? 서울형 자살예방정보망 분석을 통한 정보수집으로 과학적인 근거에 기초한 자살예방사업 및 정책 수립을 지원하고자 자살예방사업 지원 □ 생명존중문화 조성 위한 범부처별 협력 강화 및 사회마케팅 강화 필요 ? 자살문제는 보건영역에서의 문제가 아닌 사회, 경제, 문화, 복지영역 등 모두의 문제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범부처별 협력체계 구축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이 필요함 □ 광역단위에서 자치구 단위 자살예방사업 수행을 위한 능동적 지원체계 필요 ? 광역 단위에서 지역별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중심 자살예방사업 수행 지원을 위한 기관별 협력체계 마련, 매뉴얼 개발, 시범사업 수행 통한 모델 구축 등 다각적 측면에서 보다 능동적인 지원체계 구축 필요 2.수립근거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2019.3.) □ 서울특별시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조례(2019.1.) ? 자살예방추진계획 수립 및 시행 등(제5조) ? 자치구별 시행계획의 조정등(제6조) ? 지역사회 협력체계 구축(제9조) □ 보건복지부 자살예방 국가 행동계획(2018.1) 및 보완대책(2019.9) □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자살예방 실천계획(2020.5) Ⅱ. 서울시 자살 현황 1. 서울시 일반현황 및 특성 □ 인구현황 (단위: 명, %, %p) □ 서울시 자치구별 취약인구 현황 금년도 인구 기준 (단위: 명, %) □ 서울시 지역정신건강통계 현황 (단위 : %) □ 재정자립도 금년도 인구 기준 (단위: %) □ 자살예방서비스 관련기관 금년도 기준 (단위: 개소) 구분 기관 수(기관명) 정신건강 정신건강복지센터 서울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산하 25개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센터 서울광역자살예방센터 산하 1개 기초자살예방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강북,구로,도봉,노원 4개소 정신요양시설 3개소 정신재활시설 114개소 의료기관 정신의료기관 488개소 응급실 50개소 1차 의료기관 8,628개소 주요기관 경찰기관 서울지방경찰청 산하 32개 경찰서(서울특별시경찰청) 소방기관 서울 소방재난본부 산하 24개 소방서, 117개 119 안전센터 보건소 보건소 25개, 보건지소11개 2. 서울시 자살 현황 및 추이 □ 자살 사망 추이 전년도 대비 (단위: 자살자 수=명, 자살률=인구 100,000명당 명) ○ □ 성별 자살 사망 현황 전체 자살자 수 대비 남성/여성 자살자 수 (단위: 자살자 수=명, 백분율=%, 자살률=인구 100,000명당 명) ○ □ 연령대별 자살 사망 현황 (단위: 자살자 수=명, 자살률=인구 100,000명당 명) □ 교육정도별 자살 사망 현황 (단위: 명, %) ○ □ 수단별 자살 사망 현황 (단위: 명, %) □ 동기별 자살 사망 현황 (단위: 명, %) □ 월별 자살 사망 현황 (단위: 명, %) ○ 3. 기타현황 □ 자치구별 자살사망자수 및 특징 [2019년 자치구별 자살사망자수 및 증감률] (단위 : 명, %) □ 2019년 서울시 성별, 연령별 현황 (단위: 자살자 수=명, 자살률=인구 100,000명당 명) □ 청년 자살 현황 및 특징 청년의 식생활, 정신건강 및 정책 과제, 김기태, 보건복지포럼, 2020.6 <연령대별 스트레스 인지율 추이> <청년 그룹별 자살생각 경험 비율> 서울특별시 서울청년포털, https://youth.seoul.go.kr/site/main/content/policy_overview 2020년 서울생명사랑 국제자살 온라인 심포지엄, 2일차, 김현수 센터장 발표자료. □ 중장년 자살현황 및 특징 2019년 사망원인통계 결과, 통계청, 2020.9.22. 고의적 자해(자살) 등을 포함하여, 매년 9월경 전년도 통계를 발표함 <연령별 자살사망자수> <연령별 자살률> 2019년 중장년 자살예방 프로젝트 토론회 분석 보고서 “쓸쓸히 사라지는 중장년 남성 구하기” p.45 40~50대 남성자살시도자에게 필요한 사회서비스는 무엇인가?, 성공회대학교, 황순찬 □ 자살유족 현황 및 특징 ○ □ 주거환경이 자살에 미치는 요인 ○ SH서울주택공사 주택현황 ○ SH서울주택공사 자살 발생현황(유형별) ○ □ 시민참여 생명지킴이 운영 현황 □응급실 사후관리 현황 중앙응급의료센터(2020), 응급의료정책연구소식지 보건복지부,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2019). 자살시도자 응급의료체계 모형 개발 연구 □ 계절, 환경, 코로나 등으로 인한 영향(코로나19 제4차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 ○ <우울 위험군> 4. 서울시 자살 문제의 특성 □ 서울시 지역사회 기반 자살예방사업의 추진에 따른 자살사망률의 꾸준한 감소와 과제 ? □ 자살 다발 발생지역에 대한 전략적 접근 대책 필요 ? □ 지역맞춤형 개입에 대한 선택적 전략 계획 마련 □ 자살의 계절성 ? Ⅲ. 2019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사업 평가 및 개선 방향 사업범주 세부사업명 주요 내용 목표 결과 자체 평가 개선 방향 자살 관련 사회인식 개선 생명존중문화 조성 자살예방 홍보강화 - 자살예방, 자살유족 시민 인식개선 - 자살예방, 자살유족 서비스 이용향상 상담서비스인지율 (지표생성) 82.5% (달성) - 시민대상 인식개선캠페인, 국제심포지엄 등 시민 인식개선 기여 - 대상별 홍보전략 수립통한 서비스 이용 향상 확대 자살 관련 언론보도 개선 - 자살보도 모니터링 강화 - 자살예방 미디어 협력강화 자살예방 언론보도 활동 실적 152건 (달성) 자살유해정보·언론의 자살관련 보도 개선을 통한 자살에 대한 부정적 영향 감소 언론보도 활동 활성화 위한 자치구별 생명지킴활동가 활동 강화 자살 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자살예방 사회복지 안전망 강화 - 지역사회 통합적 사례관리 서비스 -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지역사회 자원 간 연계율 88% (미달성) 사각지대 자살고위험군 발굴 위한 유관기관 회의 및 연계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강화 위한 지속적 교육 욕구에 따른 연계 활성화 범부처 자살예방 협력체계 구축 - 자살위기평가 및 개입에 대한 교육 및 사례자문 협력부처 교육 및 자문건수 119회 7,277명 (달성) 25개 자치구 및 지역사회 유관기관 대상 사례자문 및 교육지원 자살예방 협력체계 구축 유지 및 조직 강화 필요 자살위험 환경 개선 자살수단의 접근성 차단 -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 자살위험 환경 개선 수단차단을 위한 교육 및 실천활동 3,321건 (달성) 자살수단 판매,구입단계의 게이트키핑 참여 업소 증가 적극적 게이트키핑 활동 독려를 위한 판매소 모니터링 강화 필요 온라인상의 자살유해정보 차단 강화 - 자치구 중심의 유해정보차단 체계 구축 자살유해정보 차단 관련 교육 및 활동 342명 (미달성) 유해정보차단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지원 지속 자치구 주도의 자살보도 모니터링 강화 생애주기별 자살예방대책 추진 아동·청소년 자살예방 - 학교 자살예방대책 내실화 - 학교 밖 청소년 자살예방 체계강화 아동청소년 관련기관 생명지킴이 교육양성자 수 2,135명 (달성) 학교기반 자살(자해)시도 청소년 안전망 구축 - 학교 내 자살시도자 개입 확대 - 교사 생명지킴이 양성 확대 청년·중장년층 자살예방 - 대학 내 자살예방사업 - 직장 내 자살위기 대응 역량강화사업 - 자살예방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청년? 중장년층 생명지킴이 교육 실시 6,709명 (달성) 청장년층 자살위험군 조기발견체계 활성화 취약 청장년층 정신건강 관리 및 단기 서비스 접근성 향상 자살위험군 조기발견 및 개입 유지 노인 자살예방 노인 생명존중 인식개선 활성화 - 노인 자살예방 인프라 및 네트워크 구축 - 노인 자살고위험군 서비스 연계 생명지킴 활동가 노인참여율 36.2% (달성) 생명지킴활동가 교육 등을 통한 조기개입과 정신건강서비스 연계 노인 생명지킴활동가를 통한 서비스 유입 활성화 자살 고위험군 지지체계 강화 자살고위험군 대상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 자살 유족 지원 - 신체·정신 자살상담 고위험군 상담건수 36,054건 (달성) 지역사회유관기관과 의뢰체계를 구축하여 원활한 협력시스템 마련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을 위한 유관기관 인식개선 및 관련교육, 간담회 필요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 체계 마련 24시간 자살 위기대응체계 구축 - 자살위기전화 인프라 강화 - 긴급출동 연계체계 마련 위기대응 건수 780건 (달성) 24시간 위기상담 전담팀 운영 응급개입체계 유지 - 위기대응체계유지 - 경찰 등 공공체계 확대 자살시도자 사후 관리체계 마련 - 응급실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응급실 의뢰 자살시도자 실인원수 429명 (달성)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 사후관리를 통한 재시도 방지 노력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활성화 필요 지역사회 자살 대응 역량 강화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 자치구 중심 지역자살예방 안전망 구축 - 종교계와 함께하는 살사 프로젝트 살사 프로젝트 참여 기관 생명존중 활동 232건 (달성) 자치구 내 살사프로젝트 사업 확대 살사프로젝트 사업 성과 연구 필요 - 고위험군 발굴 위한 마을지원 유관기관 연계 - 생명존중 주민참여 조직화 생명존중 주민참여 조직화 91개 지역사회 기반 주민참여를 통한 마을정신건강 안전망 구축 생명존중 주민참여 조직 내실화 1차 의료기관의 자살예방 역량 강화 - 1차 의료기관 스크리닝(보건소 포함) 강화 통한 고위험군 조기발견 및 조기치료 강화(생명이음청진기) PHQ-9 검진건수 48,411명 (달성) 보건소내에서 고위험군 발굴 노력 보건소뿐만 아니라 1차의료기관으로 확대 정신건강 인프라 강화 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 병원·센터 간 의뢰체계 활성화 - 정신질환자 응급개입 체계강화 연계기관 고위험 의뢰건수 3,181건 (달성) - 유관기관을 포함한 서비스 전달 체계 확대를 위한 노력 - 지속적인 협의체 유지 및 유관기관 협력 확대 공공 정신건강 서비스 기능 확대 - 지역사회 자살예방사업 전담인력 전문성 향상 -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환경조성 실무자 역량강화 교육 10건/ 380명 (달성) - 공공 정신건강서비스 기능 확대 - 지역사회 자살예방사업 전담인력 전문성 강화 생명지킴이 교육 등 자살예방 인력 확충 생명지킴이 양성 확대 - 생명지킴이 양성체계 강화 - 생명지킴이 관리체계 활성화 - 시민활동가 조직화 및 재구성 생명지킴이교육 이수자수 27,448명 (달성) - 보건복지 현장을 통한 고위험군 발굴 확대 - 다층적 생명지킴이 양성 확대 필요 전문가 교육 강화 - 자살예방응급요원 과정 의무화 - 자살예방·유족 전문가 양성 전문가 자살예방 교육 이수자 476명 (달성) - 자살예방 실무자 전문성 확대 필요 - 자치구자살예방실무자 전문가 교육 개정 근거 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자살 추적관찰 체계구축 - 자살통계데이터분석 분석 6건 6건 (달성) - 서울시 5개년 자살사망현황 및 ‘18년 데이터 분석 통해 자살예방사업의 근거마련에 기여 시의성 있는 통계분석을 통해 자치구 맞춤형 데이터 제공 및 활용 지원 필요 Ⅳ. 추진 방향과 전략 1. 서울시 자살예방사업의 추진 방향과 전략 2. 중점추진과제 3. 서울시 운영과제 내 자살예방사업 과제 □ 운영과제 : 「서울정신건강 2030」종합계획 내 정책 5 자살위험 없는 사회안전망 구축 Ⅴ. 추진 체계 추진 체계도 2. 자살예방위원회(자문위원회) 구분 이름 소속 직위 연락처 위원장 박 시민건강국 국 장 ☎ 02-2133-7500 부위원장 이 을지병원 교수 ☎ 02-970-8604 위원 염 공익인권볍재단 변호사 ☎ 02-3675-7740 위원 이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센터장 ☎ 02-3444-9934 위원 김 서울여자간호대학 교수 ☎ 02-2287-1735 위원 이 강북구보건소 보건소장 ☎ 02-901-7601 위원 김 서울정신건강복지센터 팀장 ☎ 02-3444-9934 위원 윤 보건의료정책과 과장 ☎ 02-2133-7505 위원 김 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 사무총장 HP) 위원 노 송파아이존 센터장 ☎ 02-2144-1192 위원 최 서울시정신재활시설협회 회장 HP) 위원 오 용인송담대학교 교수 HP) 위원 김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센터장 HP) 위원 김 - 정신질환자 HP) 위원 조 - 정신질환자 가족 HP) 3. 주요 추진 인력 1) 추진인력 역할 소속 직위 이름 역할 연락처 보건의료 정책과 과장 윤보영 서울시 자살예방사업 총괄 02-2133-7505 팀장 이정목 서울시 자살예방사업 책임 02-2133-7551 주무관 전영희 서울시 자살예방사업 담당 02-2133-7547 주무관 신현아 서울시민 힐링프로젝트 운영 02-2133-7549 25개 자치구 주무관 조 외 24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수행 02-2148-3602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센터장 외 김현수외 37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운영 02-3458-1000 생명문화버스 팀장 이 생명문화버스 사업 02-2276-7767 공감인 대표 하 서울시민 힐링프로젝트 (누구에게나 엄마가 필요하다) 02-567-0853 2) 지방자치단체별 자살예방사업 공무원 현황 지역 자살예방사업 담당 공무원 (근무기간) 담당 업무 2020년 자살예방 교육 이수 여부 자살예방 정신건강 기타 (담당업무 기술) 서울시 윤보영 과장 (2020.7.1.부터) ○ ○ 업무 총괄 × 이정목 팀장 (21.1.18.부터) ○ ○ 자살예방사업 및 정신건강증진 정책 × 전영희 주무관 (21.1.18.부터) ○ - - ○ 1.종로구 이 과장 (‘’20.1.18부터) ○ ○ - × 이 팀장 (2020.7.17.부터) ○ ○ - × 조 주무관 (2020.7.17.부터) ○ ○ - × 2.중구 김미경 과장 (2020.9.부터) ○ ○ - × 박미현 팀장 (2018.01.부터) ○ ○ - × 김나리 주무관 (2020.1.부터) ○ - - - 3.용산구 박덕 과장 ○ ○ 의약과 업무 총괄 ○ 문명 팀장 ○ ○ - - 양영 주무관 ○ - 찾동 정신건강사업 × 4.성동구 민규 과장 ○ ○ - × 임경 팀장 ○ ○ 정신, 치매사업 총괄 × 송신 주무관 ○ ○ 정신재활시설 관리 × 5.광진구 김명미 과장 ○ ○ 건강관리과 업무 총괄 ○ 이경왜 팀장 (’19.7.17부터) ○ ○ 마음건강팀 총괄 ○ 성혜영 주무관 (’19.4.1부터) ○ ○ 마음건강검진, 상담지원사업 ○ 6.동대문구 박성희 과장 ○ ○ 자살예방사업 총괄 × 손영숙 팀장 (2년 이상) ○ - 자살예방, 정신건강, 치매 ○ 김지영 주무관 ○ - 자살예방 ○ 이선미 주무관 ○ - 자살예방 ○ 손승욱 주무관 ○ - 자살예방 ○ 7.중랑구 건강증진과장 ○ ○ 건강증진과 업무 총괄 × 정신보건팀장 ○ ○ 사업실행 총괄, 협력체계 구축 × 박은지 주무관 ○ - 자살예방사업 기획 및 평가 × 8.성북구 김경희 과장 ○ ○ 의약과 업무총광 × 한미숙 팀장 ○ ○ - × 서송범 주무관 (‘19.7~) ○ - - - 이준 주무관 (‘19.1~) ○ - - ○ 9.강북구 정 과장 ○ ○ 사업총괄 - 홍 팀장 ○ ○ 자살예방업무 총괄 × 김 주무관 ○ - 사업 기획, 평가 등 사업실무 총괄 × 10.도봉구 유정자 과장 ○ ○ 사업 총괄 × 박혜옥 팀장 ○ ○ 생명존중팀 총괄 × 노한나 주무관 ○ - 사업계획 및 평가 - 11.노원구 양진모 과장 ○ ○ 자살예방사업 총괄 ○ 김정재 팀장 (‘19.7.17~) ○ - 자살예방사업 ○ 조국제 (‘19.3.1~) ○ - 자살예방사업 ○ 이순원 (‘19.7.1~) ○ - 자살예방사업 ○ 12.은평구 김성금 과장 ○ ○ 보건지소 총괄 - 곽현자 팀장 ○ ○ 응암보건지소 총괄 - 김연아 주무관 (‘19.7.16.부터 ○ - - × 13.서대문구 정훈 과장 ○ ○ 의약과 업무 총괄 × 전옥 팀장 ○ ○ 자살예방사업 총괄 × 강경 주무관 ○ - 사업기획,평가.인식개선,교육,홍보 × 14.마포구 최종익 과장 ○ ○ 건강지원팀 업무 총괄 × 최정림 팀장 ○ ○ 건강지원팀 업무 총괄 ○ 이단비 주무관 ○ ○ 자살예방사업 ○ 15.양천구 김요한 과장 ○ ○ 의약과 업무총괄 × 정춘례 팀장 ○ ○ 자살예방사업 총괄 - 이수미 주무관 ○ - - × 16.강서구 조순옥 과장 ○ ○ 건강관리과업무 총괄 × 신은미 팀장 ○ ○ 생명존중팀 총괄 ○ 구나현 주무관 ○ - 없음 ○ 17.구로구 송은철 과장 ○ ○ 의무, 약무 등 × 정연희 팀장 (‘20.7.31.부터) ○ ○ 지살예방사업 총괄 ○ 김은숙 주무관 ○ ○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증진사업 ○ 18.금천구 최 과장 ○ ○ 건강증진과 업무총괄 × 남복심 팀장 ○ ○ 정신건강 총괄 × 신서영 주무관 ○ - 없음 × 19.영등포구 김영인 과장 ○ ○ 건강증진과 업무 총괄 ○ 김영임 팀장 ○ ○ 건강증진사업 총괄 ○ 강민경 주무관 ○ ○ 재활시설, 인력관리 등 ○ 20.동작구 김형숙 과장 ○ ○ 간깅관리과 업무총괄 - 김진영 팀장 (‘19.1.부터) ○ ○ 자살예방 - 김혜인 주무관 (‘20.12.부터) ○ ○ 자살예방 ○ 21.관악구 장영애 과장 ○ ○ 지역보건과 업무 총괄 × 손경숙 팀장 ○ ○ 관악구 자살예방사업 책임 - 하미숙 주무관 (‘20.7.19까지) ○ - - - 은방울 주무관 (‘20.7.20부터) ○ - - - 22.서초구 양선희 과장 ○ ○ 건강관리과 총괄 × 황은정 팀장 ○ ○ 사업실행 총괄, 협력체계 구축 × 이수진 주무관 ○ - 사업계획, 평가, 인식개선 등 × 23.강남구 천선옥 과장 ○ ○ 건강관리과 총괄 × 이부자 팀장 ○ ○ 자살예방사업 총괄 × 이승원 주무관 ○ ○ 사업추진 및 인력관리 × 24.송파구 김경선 과장 ○ ○ 총괄 × 임현정 팀장 ○ ○ 사업실행 총괄 × 유영은 주무관 ○ - 사업계획 및 평가 × 25.강동구 정혜정 과장 ○ ○ 건강생활 총괄 ○ 김은숙 팀장 (‘19.1.8.부터) ○ ○ 없음 ○ 방선영 주무관 (‘19.1.8.부터) ○ - 없음 ○ 김다솜 주무관 (‘20.1.8.부터) ○ - 없음 ○ 4. 유관 민관조직 1) 민관조직 담당자 및 역할 조직명 담당자 연계 사업 직위 이름 연락처 소방재난본부 주무관 한강교량에서의 자살현황 및 위기개입지원 등 서울지방경찰청 경위 자살예방사업 연계 담당 서울시 교육청 주무관 자살시도청소년 연계담당 서강대학교 공공정책 대학원 교수 1577-0199 질관리 수퍼비전 사회복지실천및사례관리 성공회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1577-0199 질관리수퍼비전 사회복지 질적방법 연구 광진구정신건강 복지센터 센터장 1577-0199 질관리수퍼비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LifeHope기독교 자살예방센터 대표 살(자)사(랑하자) 프로젝트 운영 사무총장 실장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상담개발원 원장 살(자)사(랑하자) 프로젝트 운영 팀장 둥근마음 상담연구센터 센터장 살(자)사(랑하자) 프로젝트 운영 사무국장 한마음한몸운동 본부 자살예방센터 센터장 살(자)사(랑하자) 프로젝트 운영 팀장 SH서울주택 도시공사 부장 취약지역중심 자살예방사업 운영 사원 서울주택 도시공사 주임(주거복지기획부) 유족서비스 홍보 및 안내 SH공사 동북자산처 노원도봉센터 과장 SH공사의 자살예방사업 발표 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 서울지부 상무 지역사회 자살수단 통제사업 운영 상무 부장 부장 이사장 (사)한국이주민건강협회 상임이사 특수집단 생명사랑사업 운영 사무처장 특수집단 생명사랑사업 운영 중앙심리부검센터 팀원(유족지원팀) 유족발굴 및 서비스연계 치료비지원 대한정서인지행동의학회 특임이사 정신건강 교육 강사 인프라 지원 의료복지사회적 협동조합 사무국장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사업 운영 사무국장 한국주민운동교육원 선임활동가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사업단장 청년사업 운영 50+ 재단 PM 중장년 자살예방 등 50+ 캠퍼스 팀장 중장년 자살예방 등 자활센터 팀장 중장년 자살예방 등 서울시자원봉사센터 주임 중장년 자살예방 및 조직화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 빅데이터 운영 연구위원 빅데이터 운영 2) 민관조직 협력사업 수행 내용 ○ 살(자)사(사랑하자) 프로젝트 : 4대 종교계 참여 생명존중 프로젝트 기관명 사업명 수행기간 주요 협력내용 평가 LifeHope 기독교자살예방센터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상담개발원 원불교 서울교구 여성회 천주교 한마음한몸운동본부 자살예방센터 살(자) 사(사랑하자) 프로 젝트 2020. 1~12월 종교예식 12건/367명 특화프로그램 113건/390명 성직자인식개선교육 3건/153명 자치구중심 살사프로그램 활성화 - 협약3건, 교육 42건/1,134명 간담회 20건, 캠페인 37건 살사프로젝트 열린포럼 - 1건/150명 해당 종교만의 특색을 갖춘 종교예식 및 특화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통하여 참여한 유가족 만족도가 높음 일부 자치구에서는 4개 종단과 함께 업무협약 체결하는 성과가 있었음. 제2장 ‘20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사업 추진 과정 Ⅰ. 세부사업 추진 내용 및 평가 1. 자살관련사회인식개선 세부 사업명 1-1. 생명존중 문화조성 및 자살예방 홍보강화 사업 목적 다양한 계층에 대한 자살예방 홍보 콘텐츠 개발을 통해 서울시민의 서비스 인지율을 향상시키고자 함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20. 1월 ~ 12월 실행 2020.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서울시민, 자살고위험군, 자살유족,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등 실행 서울시민, 자살고위험군, 자살유족,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자살예방 시민 인식개선 및 서비스 인지율 향상 - 생애주기별 주요문제 및 취약계층 타켓팅, “자살은 예방이 가능하다.”는 인식변화유도 - 자살예방 캠페인(예 : 봄 자살 예방 캠페인, 언론사 공동 캠페인 등) - 온·오프라인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홍보 - 생명존중문화 확산을 위한 강좌·자살예방 국제 심포지엄 개최 - ‘마음이음1080’ 자살예방브랜드 활용 마케팅 및 홍보물 제작·배포 - 자살예방관련 언론보도 및 취재협조 - 자살예방연극, 생명존중콘서트 추진(민간공모사업) 실행 1) 서울시자살예방센터 홈페이지(블로그) 개선 및 운영 - 목적 : 온라인 플랫폼 유입을 활성화하여 시민들에게 자살예방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고 생명존중 문화를 확산시키고자 함 - 대상 : 서울시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홈페이지(블로그) 등 - 내용 : 홈페이지(블로그) 개선사업으로 메인 페이지 스킨 변경 및 카테고리 수정을 통해 가독성을 높임. 홈페이지 유입 활성화를 위한 지속적 관리를 위한 노력으로 게시글 업로드 향상 - 방법 (1) 홈페이지(블로그) 개선 (2) 게시글 업로드 향상 : 2019년 39건 → 2020년 169건(333%) - 기간 : 5월 ~ 12월 2) 서울시자살예방센터 페이스북 페이지 운영 - 목적 : 접근성이 용이한 온라인 플랫폼인 페이스북 페이지의 지속적 업데이트를 통해 시민들의 유입을 확대하고, 자살예방에 관한 정보를 시민들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 - 대상 : 서울시민, SNS(페이스북) 등 - 내용 : SNS(페이스북) 운영 및 관리, 지속적 홍보를 통한 유입 및 홍보 활성화 - 방법 (1) SNS(페이스북) 운영 (2) 게시글 업로드 향상 : 2019년 39건 → 2020년 170건(335%) - 기간 : 5월 ~ 12월 3)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웹진(소식지) 제작 및 발송 - 목적 : 서울시자살예방센터에서 실시된 사업, 캠페인 등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 문화조성과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된 웹진(소식지)를 제작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전달하여 자살예방 사업에 대해 알림. - 대상 : 서울시민, 생명지킴이, 25개 자치구 보건소장, 정신건강복지센터장 등 - 내용 : 서울시자살예방센터에서 실시된 사업 및 캠페인 등의 내용을 소식지 형태로 발행하여 온라인/오프라인으로 전달하여 홍보의 효과 향상 - 방법 : (1) 온라인 스티비(www.stibee.com)를 통하여 메일로 발송 (1) 연간소식지 8회 제작 및 발송(온라인, 오프라인 발송) - 기간 : 5월 ~ 12월 4) 언론네트워크구축 및 운영 - 목적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 문화조성을 확산시키기 위해 언론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보도자료 배포를 통해 자살예방 사업에 대해 알림 - 대상 : 언론사, 기자, 서울시민 등 - 내용 : 언론네트워크 구축, 보도자료 배포 - 방법 : 언론사 리스트업-35건, 언론사 보도자료 발송-26건 - 기간 : 5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실행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예산없음 집행 예산없음 변경 및 보완 사유 해당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A [변경지표] 서울시자살예방서비스 인지율 지표 생성 [이전지표] 상담서비스 이용 의향률 측정 방법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인식도 및 코비드19 정신건강조사 (2020) 목표 설정 근거 ○ 서울시자살예방서비스 인지율 관련 지표생성 ○ (관련 설문에 ‘서비스를 알고 있다.’ 라고 대답한 수/조사대상자)100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변경지표] 서울시자살예방서비스 인지율 [이전지표] 상담서비스 이용 의향률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변경지표] 서울시자살예방서비스 인지율 68%(달성률 100%) [이전지표] 상담서비스 이용 의향률 85% 미달성 사유 해당사항 없음 평가 사업 평가 ○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이 활성화됨에 따라 사회적 상황에 맞춰 온라인 플랫폼(네이버,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에 인포그래픽을 활용한 카드뉴스, 포스터 등을 토대로 홍보 콘텐츠를 제작하여 생명존중의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킴. ○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웹진(소식지)을 제작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25개 자치구 정신건강복지센터 및 보건소,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생명지킴이들에게 발송하여 자살예방 사업에 대해 공유하고 매월마다 서울시자살예방센터의 소식을 전달하여 서울시자살예방센터의 보도기사를 통해 자살예방의 부정적 인식제고 및 생명존중 문화조성에 힘씀. ○ 언론사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보도자료를 발송하여 자살예방을 위한 공론화 등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위해 노력함. 개선 방향 ○ (확대) 홈페이지, 블로그, SNS 활동 등 기존 온라인 매체를 활용한 홍보활동을 확대하고 생명존중을 위한 컨텐츠를 생산하여 보급확대할 계획임. ○ (유지) 실험기반 키워드 광고 등 서울시민이 자살예방에 대한 정보 접근성을 향상하고자 함. ○ (유지)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웹진(소식지)을 월1회 제작 및 발송하여 생명존중 문화조성을 위한 정기적인 홍보활동을 전개함. ○ (확대) 자살예방을 위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대면 및 비대면 활동을 통한 자살예방과 생명존중 문화조성 캠페인을 실시하고 공론화를 위한 전략으로서 사업을 전개할 예정임. ○ (유지) 언론사 관리를 통해 생명존중 문화조성을 위한 의제(agenda)를 선정하고 주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매체로 활용하기 위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세부 사업명 1-2. 자살관련 언론 보도 개선 사업 목적 자살에 대한 부정적 영향 감소를 위해 자살유해정보·언론의 자살관련 보도 개선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20. 1월 ~ 12월 실행 2020.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보도매체, 미디어, 자살예방 관련 행정기관, 정책입안 기관 등 실행 보도매체, 미디어, 자살예방 관련 행정기관, 정책입안 기관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자살보도 모니터링 - 각 자치구에서 발생하는 자살사망사건 기사에 대해 언론사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 여부 모니터링 및 언론사 피드백 - ‘자살보도권고기준 3.0’ 개선 및 준수 유도로 자살 부정적 영향 보도 최소화 ▷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 ‘자살보도권고기준 3.0’ 준수를 위한 집중 캠페인 - 인터넷 포털·방송국·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 시 자살상담전화 등 안내 - 지역언론대상 자살보도 권고기준 보급 및 교육, 간담회 등 실행 1) 자살보도 모니터링 - 목적 : 자살 관련 보도의 사회적 책임성 강화 및 모방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자살보도 모니터링을 실시함. 또한 최근 자살예방법 2020년 10월 시행된 「자살예방법」에 따라 온라인 미디어 및 행정기관 등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참여시켜 생명존중 문화조성을 위해 노력함. - 대상 : 보도 매체, 미디어, 자살예방 관련 행정기관, 정책 입안 기관 등 - 내용 : 보도자료 검색을 통해 <자살보도 권고기준3.0> 준수 여부 모니터링, 자살에 대한 부정적 보도 최소화를 위한 언론사 피드백 1. 기사 제목에‘자살’이나 자살을 의미하는 표현 대신‘사망’, ‘숨지다’ 등의 표현을 사용합니다. 2. 구체적인 자살 방법, 도구, 장소, 동기 등을 보도하지 않습니다. 3. 자살과 관련된 사진이나 동영상은 모방자살을 부추길 수 있으므로 유의해서 사용합니다. 4. 자살을 미화하거나 합리화하지 말고, 자살로 발생하는 부정적인 결과와 자살예방 정보를 제공합니다. 5. 자살 사건을 보도할 때에는 고인의 인격과 유가족의 사생활을 존중합니다. ※ 유명인 자살보도를 할 때 이 기준은 더욱 엄격하게 준수해야 합니다. 출처:한국기자협회 (http://www.journalist.or.kr/news/section4.html?p_num=12) - 방법 : 자살관련 보도자료에 대한 월간 검토 및 준수여부 확인 하여 언론사에 피드백, <자살보도 권고기준3.0> 준수 유도 - 기간 : 1월 ~ 12월 - 실적 : 유해환경 감시단 41건 2)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 목적 : 자살 유해정보 감소 및 자살예방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모방자살 등을 예방하여 생명존중 문화조성에 기여하고자 함. - 대상 : 보도매체, 미디어, 자살예방 관련 행정기관, 정책입안 기관 등 - 내용 : <자살보도 권고기준 3.0> 준수 집중 캠페인, 인터넷 포털, 방송국,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 시 자살상담 전화 등 안내, 지역 언론 대상 자살보도 권고 기준 보급 및 교육, 간담회 등 - 방법 : 자살유해정보 차단 관련 생명지킴활동가 교육매뉴얼 제작 및 배포 · 제작 및 배포 : 총 400부 제작, 25개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배포 · 교육매뉴얼 내용 : 언론모니터링 방법, 자살보도권고기준 3.0 안내, 언론보도 및 유해정보 모니터링 후 조치 방법 등 · 자살유해정보 차단 관련 생명지킴활동가 교육 : 총 9회, 187명 참여 · 자치구 생명지킴활동가 통한 자살관련 언론보도, 인터넷 게시글 등을 모니터링한 후 유해정보 신고, 언론정정 요청 등의 활동 실시 - 주요실적: · 자치구 자살보도 모니터링 건수 : 41건 · 자치구 자살보고 건수 중 보도준수 건수 : 20건 · 보도준수 및 정정요청 건수 : 14건 - 기간 :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전략사업팀 실행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서울시 25개 자치구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예산없음 집행 예산없음 변경 및 보완 사유 해당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A [변경지표] 자살예방 언론보도 활동실적 건수 전년대비 3% 증가 [이전지표] 지표 없음. 측정 방법 자체조사(자치구 월별 자살예방사업 실적) 목표 설정 근거 ○ 자치구 월별 자살예방사업 실적 분석 ○ 자살보도와 관련하여 사회적 책임성 강화 및 모방자살을 예방하기 위하여 언론보도 활동실적 건수를 성과목표로 설정하였으며, 성과지표로 제시하였음. ○ 기존(2020년) 성과목표에 따른 성과지표를 각 자치구의 수행실적과 합산하였으나, 해당 사업의 경우 분리되면서 2021년도 이후 성과지표의 변경이 필요함.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변경지표] 자살예방 언론보도 활동실적 3% 증가(157건) [이전지표] 자살예방 언론보도 활동실적 (151건)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변경지표] 48.4% 달성 [이전지표] 100% 미달성 사유 해당사항 없음 평가 사업 평가 ○ 언론사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자살예방에 관한 보도기사를 전달하고 시민들에게 홍보하여 자살예방 활동을 하였으나, 예산의 부족으로 적극적인 홍보활동이 되지 못함. ○ 생명지킴활동가의 역할로서 유해환경감시단 활동을 진행함. 생명지킴활동가 매뉴얼 명시하였으며, 이를 자치구에 배포하여 생명지킴활동가가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함. ○ 하지만 참여자들의 연령이 높아 온라인 활동에 어려움이 있으며, 자치구 단위에서 온라인 자살유해환경 차단 강화 사업에 대한 관심수준이 낮은 편으로 평가됨. 개선 방향 ○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강화사업에 대한 자치구의 관심을 높이고 온라인 자살유해환경감시단의 활성화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 및 보다 적극적인 활동조직 결성이 필요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세부 사업명 2-3. 자살예방 사회복지 안전망 강화 사업 목적 위기가정 긴급지원 등 사회안전망 강화, 사회복지·정신건강 연계 통합관리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20. 1월 ~ 12월 실행 2020.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위기가정, 사회복지 관련 종사자, 공무원, 통합사례관리자, 1인 가구 등 실행 위기가정, 사회복지 관련 종사자, 공무원, 통합사례관리자, 1인 가구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지역사회 IAPT 통합적 상담관리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 우울 및 자살 중저 위험군 개입율 향상을 위한 지역사회 통합적 상담 관리프로그램 개발 - 지역사회(주민센터,복지관,정신건강복지센터)와의 협업을 통한 자살고위험군 발굴 및 심리지원 서비스제공 ▷ 지역사회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연계 강화 -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연계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상황적자살고위험군 유입을 사전에 예방 (주소득자 사망?휴폐업?실직, 질병·부상, 가정폭력·성폭력 등 생계유지가 곤란한 가구) ▷ 지역사회 고립 및 고독사 자살예방 지원사업 - 고립 및 고독사 관련 조사 : 문헌연구, 집단심층면접(FGI), 사업방향성 설정 - 고립 및 고독사, 은둔과 우울 대상자 자살예방 네트워크 구축 ▷ 주거 취약계층 생명사랑 환경개선사업 - 서울주택도시공사(SH) 재계약 입주 생명사랑 프로젝트 : SH 직원 대상 생명사랑교육, SH 입주민 대상 생명사랑 콘텐츠 제작 및 보급 - 생명사랑 환경 조성 서비스디자인 접근 프로젝트 실행 [지역사회복지기반 우울증 돌봄체계] ? 사업 목적 : 서울시 소재 취약지역 사회복지관 종사자의 우울증 상담 역량강화 및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자살 중?저위험군에 대한 지역사회기반의 예방적 서비스 체계 마련 ? 사업 기간 : 2020년 7월 ~ 12월 ? 사업 대상 : 서울시 소재 종합사회복지관 종사자 ? 주요 내용 : ① 서울형 IAPT 실천을 위한 사회복지관 실무자 대상 상담 연수 ② 지역사회기반 우울증 상담 네트워크 구축 1) 서울형 IAPT 실천을 위한 사회복지관 실무자 대상 상담 연수 - 목적 : 지역사회 내 우울 및 자살에 대한 지역사회기반의 예방적 서비스체계 마련을 구축하기 위해 서울시 소재 취약지역 사회복지관 종사자의 상담 역량강화 도모 - 대상 : 서울시 소재 취약지역 내 종합사회복지관 실무자 - 내용 : 회기 일시 내용 온/오프라인 1차 2020. 08. 18. (화) 13:00 ~ 18:00 - IAPT의 이해 (주지영 _서울시자살예방센터 부센터장) - 정신건강의 이해 (서화연 _ 종로구정신건강복지센터장) 오프라인 2차 2020. 08. 25. (화) 10:00 ~ 18:00 - 해결중심상담기법 (이재원 _ 성공회대학교) 오프라인 3차 2020. 09. 02. (수) 10:00 ~ 18:00 - 동기면담 (조성희 _ 백석대학교) 온라인 4차 2020. 09. 11. (금) 10:00 ~ 18:00 - CBT의 이해 (심지아 _ 심지아상담센터장) 온라인 5차 2020. 10. 19. (월) 14:00 ~ 17:00 - 평가회 및 간담회 (전현구 _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전략사업팀장) 오프라인 - 방법 : 5회 / 38명 - 기간 : 8월 ~ 10월 2) 지역사회기반 우울증 상담 네트워크 구축 - 목적 : 지역사회 내 사회복지유관기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우울 및 자살의 중저위험군에 대한 신속한 발견 및 회복을 위한 지역회복네트워크를 구축함. - 대상 : 관악구 소재 사회복지 유관시설 회기 일시 기관명 내용 1차 2020.10.08. (목) 10:30~12:00 강감찬관악 종합사회복지관 - 영국의 IAPT에 대한 안내 및 서울형 IAPT 계획에 대한 안내 - 회복네트워크 추진 방향성 및 협조 요청 - 질의응답 2차 2020.10.13. (화) 14:00~15:00 성민종합사회복지관 - 영국의 IAPT에 대한 안내 및 서울형 IAPT 계획에 대한 안내 - 회복네트워크 추진 방향성 및 협조 요청 - 질의응답 3차 2020.11.23. (월) 14:00~15:00 (온라인진행) 관악구 소재 사회복지 유관기관 12곳 - 영국의 IAPT에 대한 안내 및 서울형 IAPT 계획에 대한 안내 - ‘우리동네 마음건강 사회복지사 양성 프로그램’ 안내 - 관악구 기반 마음건강 사회복지사 향후 방향 및 2021년 계획 안내 - 질의응답 - 내용 : - 방법 : 3회 / 21명 - 기간 : 10월 ~ 11월 [임상기반 우울증 돌봄체계] ? 사업 목적 : 임상기반 우울증 지역사회 생명돌봄체계 구축을 위하여 1차 의료기관과의 협력사업을 통해 자살고위험군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도모하고자 함 ? 사업 기간 : 2020년 5월 ~ 12월 ? 사업 대상 : 서울시특별시의사회, 서울시민, 정신건강의학과전문의 ? 주요 내용 : ① 서울특별시의사회-서울시자살예방센터 업무협약(MOU) 체결 ② 서울특별시의사회 협력 생명사랑 교육 진행 1) 서울특별시의사회-서울시자살예방센터 업무협약(MOU) 체결 - 목적 : 1차 의료기관과의 협력을 위하여 서울특별시의사회와 업무협약 체결을 통한 구체적인 자살예방사업 진행의 협력 - 대상 : 서울특별시의사회 - 내용 : 서울특별시의사회-서울시자살예방센터 업무협약(MOU) 체결 - 방법 : 1건 - 기간 : 10월 2) 서울특별시의사회 협력 생명사랑 교육 진행 - 목적 : 코로나블루 극복을 위한 서울시민 생명사랑 마을 아카데미 진행에 있어서 서울특별시 의사회와 협력하여 교육진행 - 대상 : 서울시특별시의사회, 서울시민, 정신건강의학과전문의 - 내용 : 교육 주제선정 및 강사섭외, 동영상 녹화 및 유튜브 송출, 서울시민 생명사랑 마을 아카데미 참여 홍보 - 방법 : 46개 영상 / 4,269건 조회 - 기간 : 11월 ~ 12월 ※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 IAPT 모델’은 영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경증·중등 우울증 치료 모델로, NHS에서 지역주민에 대한 심리적 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 한국에서는 강서구에서 영구임대아파트단지내 사회복지관 중심으로 지역사회 우울 및 자살 중저위험군 상담역량강화 도모 및 네트워크 구축 협력모델로 시도하여 진행되었음.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및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및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4,455,000천원 지원 집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3,788,100원 집행 변경 및 보완 사유 해당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A ○ 목 표 :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지역사회 자원 간 연계율 90% ○ 평가방법 : 자체조사(자치구 월별 자살예방사업 실적) ※(자살고위험군 자원연계인원 인정건수/전체건수) 100 측정 방법 자체조사(자치구 월별 자살예방사업 실적) 목표 설정 근거 ○ 자치구 월별 자살예방사업 실적 분석 ○ 자살예방사업의 공공성 강화 및 자살고위험군의 공공 서비스 이용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지역사회 자원 간 연계율을 측정하고자 함.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변경지표]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지역사회 자원 간 연계율 90% [이전지표]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지역사회 자원 간 연계율 88%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변경지표] 달성률 100% (연계율 90%: 1,664건) [이전지표] 달성률 100% (연계율 88%) 미달성 사유 해당사항 없음 평가 사업 평가 ○ ‘마음건강 상담연수’ 참여자 모집 시 많은 기관의 참여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음. 더 다양한 지역과 기관에서의 참여를 위해 프로그램의 이해를 높이는 방안 마련 필요. ○ 정신건강의 이해, 해결중심상담, 동기면담, 인지행동치료의 이해로 커리큘럼이 구성되어 다양한 주제의 연수를 진행할 수 있었지만, 기본적인 내용으로 이루어지고 이를 실제 현장에서 활용해보고 이에 대한 피드백(슈퍼비전)은 진행되지 못해 다소 아쉬운 점이 있었음. ○ 마음건강 상담연수 시 강사에 대한 참여자의 평가는 이루어졌지만, 본 연수 진행의 목적 및 방향성에 대한 강사의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해 아쉬웠고, 2021년에는 강사의 평가도 함께 진행되어 본 사업의 방향성에 있어 반영되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됨. ○ 2021년 관악구 기반의 네트워크 형성 추진을 위해 관악구 내 사회복지 유관기관 협의체 내에서 자발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관악구 마음건강 사회복지사’ 양성과 ‘회복 네트워크’ 형성을 계획하고자 함. ○ 자살위험군 조기발견을 위한 1차 의료기관의 협력이 강조되었으며, 이를 위한 서울특별시의사회와 업무협약(MOU)을 진행함. ○ 코로나19로 인해, 중앙차원의 서울특별시의사회와 협력이 우선 이루어졌으며, 추후 코로나19의 추이를 보아 25개 자치구 1차의료기관과의 직접협력 논의 진행 필요성 있음. ○ 코로나블루 극복을 위한 서울시민 생명사랑 마을 아카데미는 총 10개의 주제, 8명의 정신건강의학과전문의, 46개의 영상을 유튜브 채널(생명사랑 마음이음 채널)을 통해,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시민들에게 활용 가능한 콘텐츠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음. ○ 2021년에는 코로나19의 확산 추이 등을 고려하여 자치구와의 직접적인 협력 내용에 대한 고려와 함께 온라인 교육 또는 지역순회 강좌도 고려하는 등 직접적인 사업 실행의 계획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개선 방향 ○ 지역사회에서 통합적인 사례관리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종합사회복지관의 사례관리업무 사회복지사의 교육은 지속 및 확대하여 상담역량강화 교육을 진행할 계획임. ○ 사회복지사 상담 역량강화 교육과정 마련 및 진행을 통하여 사회복지사의 정신건강에 대한 이해와 중저위험군 우울 및 자살호소 대상자의 면담 진행의 지원 필요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우수활동사례 복지영역에서의 우울상담 프로젝트, 마을의 가벼운 우울을 상담해주는 사회복지사 실천단, “마복단” 사업취지 - 보건영역에서의 우울상담이 주로 이루어지는데, 복지영역에서의 우울상담의 필요성 증대 - 복지영역 취약계층의 우울 예방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상담역량교육을 제공하여 실천 현장에서의 우울 및 자살예방사업 수행 - 중·저위험군에 대한 예방적 서비스 체계를 마련하기 위하여 정신건강에 대한 이해 및 상담기법 과정 제공 사업기간 2020년 7월 ~ 12월 사업목표 서울시 사회복지관 종사 사회복지의 우울증 상담 역량강화 교육 제공을 통하여 지역주민의 중 ? 저위험 우울 상담을 통한 지역사회 자살예방에 기여하고자 함. 주요사업 내용 프로그램 대상자 선정 ? 우울 상담 역량강화 교육 커리큘럼 ? 전문가 자문을 통한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 대상자 모집 및 프로그램 적용 복지영역의 다양한 기관 및 종사자 대상, 마복단 프로그램 대상자 선정 사회복지사 대상 우울 상담 역량강화 교육 커리큘럼 구성 동기면담(MI), 인지행동치료(CBT) 마을의 가벼운 우울을 상담해주는 사회복지 실천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전문가 자문회의 실시 서울시 관내 98개 복지관 사회복지사 대상으로 모집 및 상담역량강화 교육 제공 ① 2020년 중 ? 저위험의 우울 및 자살예방 상담 역량강화를 위한 사회복지관 실무자 지원 연수 : 정신건강의 이해, IAPT 세미나, 해결중심상담기법, 동기면담, CBT의 이해, 평가회 및 간담회 등 총 5회기 마음건강상담연수를 진행하고 총 8명의 사회복지사가 수료함. (5개 자치구, 6개 기관) ② 지역사회기반 우울증 상담 네트워크 구축 : 3회의 설명회를 통해 마음건강상담연수 참여 자치구 중 2021년에는 ‘관악구’가 자치구 내 협의체 안에서 자발적이고 유기적인 소통을 통해 ‘회복네트워크’를 구축 예정. 세부추진 내용 □ 지역사회기반 돌봄실무자 역량강화 - 보건전달체계의 전담인력이 자살위험시민을 관리하는데 한계 발생 - 복지영역에서의 지역사회기반 돌봄 실무자의 우울, 자살상담 역량강화를 통해 통합지원 필요 - 복지영역의 상담 역량강화 대상자 선정 필요 : 사회복지관 사례관리를 수행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 지역사회복지관은 정신질환문제 자체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복합적 욕구를 가진 클라이언트에 반응하여 사례관리를 수행 : 아동에서 노인에 이르기까지 전 생애 발달과정에 걸친 인구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저소득층, 특수문제 주민이나, 이주민 등 다양한 문제 유형을 가진 사람들을 만남 - 지역사회 사회복지사가 만나는 지역주민의 욕구 중 46%는 자살, 폭력과 같은 위기 지원 - 사업수행의 참고정책 : 영국의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 지역사회 내 우울, 자살상담의 서비스 접근성 향상의 목적 : (차이점) 영국은 국가적 차원의 예산지원 및 전문인력 양성 지원 - 서울시 소재 98개 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우울 및 자살상담 역량강화 교육을 통한 지역사회 우울예방체계 마련 ① 프로그램 대상자 선정 - 서울시 자치구별 사회복지관수 연번 자치구 개수 비율 연번 자치구 개수 비율 합계 98 100 13 마포구 2 2.0 1 강남구 6 6.1 14 서대문구 3 3.1 2 강동구 2 2.0 15 서초구 4 4.1 3 강북구 4 4.1 16 성동구 3 3.1 4 강서구 10 10.2 17 성북구 5 5.1 5 관악구 5 5.1 18 송파구 6 6.1 6 광진구 3 3.1 19 양천구 5 5.1 7 구로구 3 3.1 20 영등포구 2 2.0 8 금천구 2 2.0 21 용산구 2 2.0 9 노원구 9 9.2 22 은평구 3 3.1 10 도봉구 3 3.1 23 종로구 1 1.0 11 동대문구 2 2.0 24 중구 3 3.1 12 동작구 6 6.1 25 중랑구 4 4.1 ○ 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 선정이유 - 자살예방 업무를 담당하는 일반 사회복지사에게는 정신건강 및 자살예방개입 실천기술이 필요하지만 현장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이 이와 관련한 기회가 부족하며, 이로 인한 상담의 어려움과 개입의 어려움을 호소함. 이미경,최윤정(2018), 재가노인지원서비스센터 사회복지사의 정신건강서비스 개입경험-우울 및 자살예방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3(4) - 지역사회기반 개입방법을 활용한 정신건강사업 프로그램은 지역공동체 접근에서 나타나는 전문가들에 의한 비전문 인력 훈련과 지도감독이 정신건강증진에 효과적인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결과도 나타나고 있음. - 감정노동을 하는 직업군 중 사회복지사는 다른 직업에 비해 소진과 스트레스 수준이 모두 높다고 보고된다(Lloyd et al., 2002; Lee TK, 2007). - 사회복지관 사업 중 사례관리 기능으로 지역사회 복지서비스의 제한점을 극복하고 보다 통합적인 서비스 전달체계로 나아가기 위해 지역사회 내 민?관 네트워크 구축 및 다양한 지역주민의 복지욕구를 연결시켜 맞춤형 서비스의 제공을 설명하고 있음. 이를 통해 중저위험 우울 및 자살 지역주민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모색이 필요함. ○ 선진국의 중?저 위험 우울 및 자살 지역주민 서비스 접근성 향상 사례 ? 시작 : 2006년 영국에서 시작됨. ? 대상 : 우울증을 포함한 자살고위험군 지역주민 ? 방법 : 정신과적 증상과 질환중심이 되는 병원치료개입이 아닌, 생애주기의 특성과 지역사회 안에서의 접근성 향상 기반 ? 목적 : 회복(지역사회로의 복귀)을 돕는 가치 전환 ? 주체 : 영국정부, 보건복지부(NHS) ? 결과 : 서비스접근성 향상 및 회복율(50%) 이상 ② 우울 상담 역량강화 교육 커리큘럼 - 서울형 우울증 및 자살 중저위험군 개입을 위한 지역사회 통합적 상담 역량강화교육 - 동기면담, 인지행동치료, 해결중심 기초과정 개설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예정) 교육대상 서울시 소재 사회복지관 종사 사회복지사 (15개 기관) 서울시 소재 사회복지관 종사 사회복지사 (8개 기관) 서울시 소재 사회복지관 종사 사회복지사 관악구사회복지시설연합회(15개 기관) 교육과정 동기면담의 기초과정 해결중심상담 기초과정 IAPT의 이해 정신건강의 이해 해결중심상담기법 동기면담 기초과정 인지행동치료의 이해 평가회 및 간담회 교육과정 OT 정신건강의 이해(우울, 불안, 자살) 선별도구 적용과 실습 상담기술(동기면담) 기초과정(16시간) 참여인원 (연인원) 32명 38명 200명 - 상담기법① 소개 : 동기면담(MI, Motivatonal Interview) ? 현장에서 마주하게 되는 대상자는 정신건강을 포함한 수많은 영향 속에서 변화에 대한 양가감정이 나타나는 순간을 함. 대상자와 함께 변화에 대한 대화와 동기면담의 이해를 통해 상담방법에 대한 기초적인 교육과 실습과정 연수. - 상담기법② 소개 :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 대상자가 가지는 마음의 어려움들을 감정과 행동보다는‘인지’, 즉 사고를 중심으로 스스로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돕고자 하며, 상황을 바라보는 인지를 변화시킴으로서 행동과 정서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기본적인 이해와 상담 기술을 익히고 적용. - 교육내용 : 실무자 교육과정 안내-비정신건강전문요원인 돌봄종사자들의 마음건강과 상담의 기초과정 제공을 통한 통합적 상담안내의 기초마련(정신건강이해 + 기초상담교육 + 실습훈련 + 네트워크) - 훈련방식 : 우울, 불안 등 정신건강 주제로 교육 + 실습 + 수퍼비전 + 시범적용 + 사례훈련 등 상담기법 체화과정의 기본코스 운영 ③ 마복단 추진체계 성과 ○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다양한 지역사회기관과의 협업을 통하여 발견된 자살고위험군에 대하여 의료, 복지, 심리, 직업, 기타 다양한 지역사회자원을 연결하기 위한 시도가 전년대비 보다 적극적으로 진행됨. ○ 1차년도(2019년) 개발단계, 2차년도(2020년) 시범운영단계, 3차년도(2021년) 실행운영단계로 연차별 계획에 따라 실행 진행 중에 있음. ○ 사회복지관에서 사례관리 등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의 교육을 통하여 정신건강에 대한 이해와 편견 감소, 우울 상담의 불안감을 낮추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본격적으로 과정 진행을 통한 효과성 평가 진행 예정임. 세부 사업명 2-4. 범부처 자살예방 협력체계 구축 사업 목적 ○ 자살위기 대응협력체계를 통한 고위험군 발굴체계 구축 ○ 적극적인 개입 및 사후관리 강화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20. 1월 ~ 12월 실행 2020.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서울형 돌봄자원(찾·동, 돌봄 SOS센터 등), 복지관, 주민센터 등 위기개입수행 유관기관 실행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서울형 돌봄자원(찾·동, 돌봄 SOS센터 등), 복지관, 주민센터 등 위기개입수행 유관기관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서울시 생명사랑 거버넌스 실천체계 구축 - 서울시 생명사랑 민관 협업-실천전략-작동체계 마련 - 자살예방 책임성 공유 위한 서울시 생명사랑 네트워크 구축 : 신년하례회, 생명사랑 대잔치 등 ▷ 자살위기평가 및 개입에 대한 교육 및 사례 자문 (타 팀 협조 필요) - 유관기관 사례자문 지원, 통합사례회의 진행 - 서울형 돌봄자원(찾·동, 돌봄SOS센터 등), 동주민센터, 복지관을 대상으로 자살고위험군 위기평가 및 개입에 대한 교육 진행 실행 1) 서울시 생명사랑 거버넌스 실천체계 구축 (1)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 목적 : 자살예방과 관련한 다양한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생명사랑 문화조성을 위한 신년 하례회, 생명사랑 대잔치, 유관기관회의 등을 기획하고 진행함. ① 신년하례회 - 목표 : 2020년 자살예방을 위해 함께 노력하는 기관들과 생명사랑을 위한 노력을 함께 다짐하고 서로를 독려하기 위함. - 일시 : 2020년 1월 16일(목) 10:30~12:00 - 장소 : 서울시청 3층 소회의실 2 - 참석자 : 총 20명(사단법인공감인, 라이프호프기독교자살예방센터, 가양3종합사회복지관, 불교상담개발원, 생명안전시민넷, 마음건강주민교육단, 둥근마음상담연구센터, 자작나무, 생명의전화, 라이프행동포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서울시청 보건의료정책과) ② 유관기관 회의 - 목표 : 자살예방 표준 사례관리 절차 및 단계별 지침안 검토의견 수렴 - 일시 : 2020년 7월 24일(금) 13:00~16:00 - 장소 : 모임공간 상연재 - 참석자 : 총 6명(금천구정신건강복지센터, 도봉구정신건강복지센터, 동대문구 정신건강복지센터, 성북구정신건강복지센터, 종로구정신건강복지센터 실무자 대표) ③ 생명사랑대잔치 - 목표 : 온라인 생명사랑 대잔치를 통하여 서울 시민 주도의 자살예방활동에 대해 기념하고 홍보하여 마음건강주민교육단 및 자살예방 사업 실무자의 주요 활동에 대하여 활동보고 및 시상하기 위함. - 일시 : 2020년 12월 17일(목) 14:00~17:00 - 촬영장소 : 갤러리 문래(유튜브 생중계로 온라인 진행) - 참석자 : 실인원 131명, 연인원 823명(마음건강주민교육단, 자치구 실무자) (2) 생명사랑 네트워크 회의 - 목표 : 서울시 자살예방을 위하여 자살예방사업 표준 사례관리 절차 및 단계별 지침 마련을 위하여 각 자치구의 의견을 수렴하고 자살예방 사업의 서비스 질 향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 - 일시 : 2020년 07월 24일(금) 13:00~16:00 - 촬영장소 : 모임공간 상연재 - 참석자 : 성북구정신건강복지센터 허00 외 8명 (3) 청년 생명사랑 네트워크 간담회 - 목적 : 서울시 청년 자살예방사업 실무자와의 협력관게 활성화를 통해 청년자살예방사업의 원활한 수행 - 대상 :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청년자살예방사업 실무자 - 내용 : 자살예방사업 방향 설정, 자살통계 상호교류, 교육 콘텐츠 제공 및 시연 등 (4) 지역사회 유관기관 네트워크 간담회 - 목적 : 특수성을 가지고 있는 이주민건강협회와 SH서울주택도시공사, 서울시교육청 등과의 정기?비정기적 간담회 통해 특수성을 가진 집단의 자살예방을 도모하기 위함. - 대상 : 이주민건강협회, SH서울주택도시공사, 서울시교육청 실무자 - 내용 : 이주민 대상 위기 현황 파악 및 위기개입 프로토콜 방안 논의, 자살예방매뉴얼 자문, 임대주택 자살현황 파악, 공동주택 자살예방 방안 논의, 청소년 자살현황 공유 및 대책 마련 논의, S-생명지기(교사편) 교육 전달식 등 (5) 마음이음 상담팀 서비스 질 관리 위원회 - 목적 : 마음이음상담 서비스의 질과 서울시민의 상담 만족도 향상 - 대상 : 마음이음상담팀 상담사 및 마음이음 상담 서비스 이용 대상자 - 내용 : QA위원회를 통한 질관리 계획 수립, 슈퍼비전교육을 통한 상담질 향상, 내외부교육 체계화 추진 (6) 유관기관 자살예방사업을 위한 업무협약 - 목적 : 자살예방을 위한 지역사회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참여시켜 지역사회를 통한 자살예방 현안을 공유하고 해결을 통해 자살예방에 기여하고자 함. - 대상 : 50+센터성북센터, 인천가톨릭대학교, 서울시 의사회 - 내용 : 업무협약을 통한 사업 활성화, 주거취약 서비스디자인 기반 연구진행, 지살고위험군을 위한 조기발견 노력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및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및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12,725,000원 집행 10,272,019원 변경 및 보완 사유 해당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A ○ 목 표 : 협력부처 교육 및 자문 건수 전년 대비 5% 상승 (‘19년 119회, 7,277명) ○ 평가방법 : 자체조사(자치구 월별 자살예방사업 실적) 측정 방법 자체조사(자치구 월별 자살예방사업 실적) 목표 설정 근거 ○ 협력부처 교육 및 자문 건 수 지표 생성 ○ 지역사회 네트워크 활성화의 일환으로 교육 및 자문 등의 광역형 자살예방센터의 역할을 강화하고 서울시 생명사랑 거버넌스 실천체계 구축의 성과 목표를 측정하기 위함.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변경지표] 협력부처 교육 및 자문 건수 전년대비 5% 상승(‘19년 119회 7,277명) [이전지표] 자살예방위원회의 달성률 70% (‘19년 66%)65회 / 101명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변경지표] [이전지표] 66% 미달성 사유 해당사항 없음 평가 사업 평가 ○ 생명사랑 대잔치의 경우 COVID19로 인하여 온라인으로 행사가 진행 되었으며, 마음건강주민교육단과 서울시 자살예방사업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행사를 진행하였으며, 공연 등 일정 중 문화 활동이 포함되어 있어 시청하는 참석자들의 호응과 만족감을 표현함. 하지만 COVID19로 인하여 기존에 예약해놨던 공공기관 대관이 일방적으로 취소되었으며, 이에 장소대관과 관련하여 민간 업체 등 장소대관의 대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음. ○ 생명사랑 서울포럼의 경우 현안에 맞는 주제를 선정하여 교육을 진행함으로써 현장 실무자의 만족도가 높았음. COVID19로 인한 코로나 블루를 비롯하여, COVID19 이후 실업과 자살, COVID19 이후 서울시민의 외로움 개입전략, COVID19 이후 청년 여성, 남성의 자살현황과 대책과 같은 실무자들에게 필요할 수 있는 내용들을 중심으로 강의를 진행하였음. ○ COVID19로 인해 기획했던 다양한 오프라인 형태의 행사들이 비대면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음. 갑작스러운 변화에도 촬영 및 영상 송출에 대한 기술들을 잘 습득하여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였음. 또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에 맞춰 오프라인 행사도 진행하였음. ○ 자살예방을 위하여 유관기관과의 강력한 네트워크를 유지하기 위하여 정기?비정기적 간담회를 개최하여, 현안에 대한 공유와 대책마련을 위한 논의의 장을 지속적으로 마련함. 개선 방향 ○ 신년하례회, 생명사랑 대잔치, 유관기관 회의 등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의 경우 기존 4대 종단 등의 참여 외에도 다양한 기관이 참석하여 민관협력의 체계를 구축 할 수 있도록 함. ○ 생명사랑 서울 포럼의 경우 기존 학술적 내용 우선의 포럼 운영에서 실무자 간 정보 교류 및 사례 및 실무에 대한 내용을 강화하여 운영 할 계획임. ○ 대상별, 영역별, 구성별 다양한 유관기관과의 폭 넓은 네트워크를 통한 자살예방을 위한 기관발굴 및 협력진행 필요.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3. 자살위험 환경 개선 세부 사업명 3-5. 자살수단의 접근성 차단 사업 목적 ○ 자살수단에 대한 접근 및 구매 기회 제한 강화 ○ 자살수단 판매처(희망판매소) 또는 인근 종사자 대상 자살예방 교육 및 캠페인을 통한 인식 개선 도모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20. 1월 ~ 12월 실행 2020.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관련 업체(숙박업소, 슈퍼마켓 등) 종사자 및 소상공인, 유관기관 및 부처, 서울시 25개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담당자 및 생명지킴활동가 실행 관련 업체(숙박업소, 슈퍼마켓 등) 종사자 및 소상공인, 유관기관 및 부처, 서울시 25개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담당자 및 생명지킴활동가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강화(유통, 진열방식)를 위한 실천활동(교육, 모니터링 등) ○ 자살위험 환경 개선을 위한 교육 및 실천활동(간담회, 모니터링 등) 실행 ○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강화(유통, 진열방식)를 위한 실천활동 - 생명지킴이 희망판매소 활동물품 제작 및 업소 대상 배포 희망판매소 스티커 2,500부, 번개탄 판매봉투 25,000부 : 생명지킴이 희망판매소 동의 업소 : 1,115개 : 희망판매소 현장 모니터링 : 3,667건 ○ 자살위험 환경 개선을 위한 교육 및 실천활동 - 한국슈퍼마켓협동조합 간담회 및 설명회 : 총 2회, 19명 연번 일 정 대 상 참여자 수 희망판매소 참여희망업소 1 2020. 2. 20 12:00~13:00 서부 슈퍼마켓협동조합 18명 12곳 2 2020. 5. 25 14:00~15:30 서초강남지부 슈퍼마켓협동조합 1명 0곳 - 주거취약지역 중심 자살예방사업을 위한 서울도시주택도시공사(SH) 간담회 : 총 2회, 12명 연번 일 정 대 상 참여자 수 1 2020. 5. 6 14:00~15:30 SH서울주택도시공사 주거복지본부 5명 2 2020. 9. 25 11:00~12:30 SH서울주택도시공사 주거복지본부 7명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및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및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SH서울도시주택공사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900천원 집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00천원 변경 및 보완 사유 간담회 및 설명회 진행 시 예산 사용되지 않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A 수단차단을 위한 교육 및 실천 활동 3,321건 자살유해정보차단관련 교육참여인원 400명 측정 방법 자체조사(자치구 월별 자살예방사업 실적) 목표 설정 근거 ○ 서울시 자치구 월별 자살예방사업 실적 2019년 활동건수 3,321건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수단차단을 위한 교육 및 실천 활동 3,667건 자살유해정보차단관련 교육참여인원 750명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110% 187% 미달성 사유 해당사항 없음 평가 사업 평가 ○ 자치구 생명지킴활동가를 중심으로 자살수단 접근 차단을 위한 교육 및 실천 활동인 희망판매소 모니터링 사업이 활발하게 수행되었음. ○ 활동물품(2종)을 통해 번개탄 판매업소 사업주들에게 자살수단(번개탄 등)차단에 대한 인식개선과 민감성을 향상시키는 기회를 마련함. ○ 설명회를 통해 ‘생명지킴이 희망판매소’사업에 동의한 슈퍼마켓을 발굴하여 자치구 보건소에 연계한 점에 있어서는 긍정적이었으나 그 사이 슈퍼마켓이 폐업하거나 연락처가 변경되는 등 변수가 많았음. 이로 인해 한국슈퍼마켓협동조합 측에서도 조합원 수 감소, 임원의 부재 등으로 적극적인 협조가 어려워 더 많은 설명회 및 간담회가 진행되지 못함. 개선 방향 ○ 자살수단의 온라인 구매가 더 쉬운 점을 고려하여 온라인 판매 플랫폼의 판매개선 요청 및 다양한 자살수단(한강교량, 주거환경 등) 통제를 위한 네트워크 활성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세부 사업명 3-6.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강화 사업 목적 ○ 온라인상 자살유해정보의 모니터링 및 신고 체계 활성화 ○ 자살유해정보 노출을 감소, 정신건강서비스 연계 협력체계 구축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20. 1월 ~ 12월 실행 2020.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서울시 25개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담당자 및 생명지킴활동가, 온?오프라인 언론사, 경찰서, 포털사이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 실행 서울시 25개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담당자 및 생명지킴활동가, 온?오프라인 언론사, 경찰서, 포털사이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자살보도 권고기준에 따른 언론보도 모니터링 ○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 안내 및 요청, 자살예방 관련 정보 제공 등 ○ 인터넷 포털, SNS 게재된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신고, 정보제공, 모니터링 실행 ○ 자살보도 권고기준에 따른 언론보도 모니터링 활동 - 자살유해정보 차단 관련 생명지킴활동가 교육매뉴얼 제작 및 배포 제작 및 배포 : 총 400부 제작, 25개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배포 교육매뉴얼 내용 : 언론모니터링 방법, 자살보도권고기준 3.0 안내, 언론보도 및 유해정보 모니터링 후 조치 방법 등 - 자살유해정보 차단 관련 생명지킴활동가 교육 : 총 9회, 187명 참여 - 자치구 생명지킴활동가 통한 자살관련 언론보도, 인터넷 게시글 등을 모니터링한 후 유해정보 신고, 언론정정 요청 등의 활동 실시 자치구 자살보도 모니터링 건수 : 41건 자치구 자살보고 건수 중 보도준수 건수 : 20건 보도준수 및 정정요청 건수 : 14건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및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및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예산 없음 집행 예산 없음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A 자살유해정보 차단 관련 교육 참여인원 수 400명 측정 방법 자체조사(자치구 월별 자살예방사업 실적) 목표 설정 근거 ○ 자살유해정보 차단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교육 참여 인원수로 목표 설정 ○ 2019년 서울시 자치구 월별 자살예방사업 실적 확인 시 생명지킴활동가 교육 수료인원 수 342명으로 더 적극적인 양성 위해 400명으로 설정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자살유해정보 차단 관련 교육 참여인원 수 750명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187% 미달성 사유 코로나바이러스19 확산으로 인하여 계획한 대면교육 진행의 어려움 발생. 계획 대비 목표 달성율 저조 평가 사업 평가 ○ 생명지킴활동가의 역할로서 유해환경감시단 활동을 진행함. 생명지킴활동가 매뉴얼 명시하였으며, 이를 자치구에 배포하여 생명지킴활동가가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함. ○ 하지만 참여자들의 연령이 높아 온라인 활동에 어려움이 있으며, 자치구 단위에서 온라인 자살유해환경 차단 강화 사업에 대한 관심수준이 낮은 편으로 평가됨. 개선 방향 ○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강화사업에 대한 자치구의 관심을 높이고 온라인 자살유해환경감시단의 활성화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 및 보다 적극적인 활동조직 결성이 필요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4. 생애주기별 자살예방대책 추진 세부 사업명 4-7. 아동·청소년 자살예방 사업 목적 ○ 아동청소년 자살예방 및 자살로 인한 사회적 혼란 최소화 위한 관련기관과 협력체계 강화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20. 1월 ~ 12월 실행 2020.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서울시교육청, 학교(교직원, 학생), 아동청소년 서비스 기관 등 실행 서울시교육청, 학교(교직원, 학생), 아동청소년 서비스 기관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학교 자살예방대책 내실화 ○ 학교 밖 청소년 자살예방 체계 강화 실행 ○ 학교 자살예방대책 내실화 - 서울시교육청 생명존중위원회 : 총 3회, 32명 서울시자살예방센터장, 부센터장, 팀장 참여하여 ‘20년 학생 자해 및 자살시도 현황 공유, 학생자살사망현황 통계 공유, 학생자살예방 접근 및 대책방안 논의함 - 학생의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 개발 및 콘텐츠 제공 2020. 11. 13 S-생명지기(교사편) 교육 전달식 실시 : 6명 참여 - 학교 교직원 대상 생명지킴이 교육 교사를 위한 생명지킴이 교육 ‘생명지기’ : 총 28회, 891명 S-생명지기(교사편) : 플랫폼 수료자 856명, 유튜브 조회 수 956건 ○ 학교 밖 청소년 자살예방 체계 강화 -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대상 생명지킴이 교육 실시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교육지원팀 실행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교육지원팀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5,038천원 집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5,038천원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A 아동·청소년 관련 기관 생명지킴이 교육 양성자 수 전년대비 5% 증가(‘19년 2,135명) 측정 방법 생명지킴이 온라인 관리 시스템 등록 회원 수 분석 목표 설정 근거 ○ 아동청소년 관련기관 생명지킴이 양성 수 확대를 통한 고위험군 의뢰체계 강화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아동·청소년 관련 기관 생명지킴이 교육 양성자 수 전년대비 26.6% 증가(‘20년 2,703명 : 생명지기 891명 + S-생명지기 수료 856명, 유튜브 956회)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126% 미달성 사유 해당사항 없음 평가 사업 평가 ○ 생명존중위원회 회의를 통해 서울시 청소년 자살(자해)시도 현황 확인 및 청소년 안전망 구축 강화를 위한 자문 및 의견을 제시함 ○ 서울시디지털생명지킴이교육 ‘S-생명지기(교사편)’을 제작 및 제공하여 교사들이 장소 및 시간 제약 없이 쉽게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었음 ○ 광역단위에서 학교를 기반으로 교육청과 협력하여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나 학교 밖 청소년 대상 자살예방 체계 강화를 위한 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 및 사업 실행수준은 미흡함 개선 방향 ○ 아동청소년 대상 생명존중 교육 개발 및 지원 필요 ○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기관과의 협력체계 마련 필요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교육지원팀 실행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교육지원팀 세부 사업명 4-8.청년·중장년층 자살예방 사업 목적 다층적 개입 방안을 통한 청년·중장년층 자살위험군 조기 발견·개입 체계 마련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20. 1월 ~ 12월 실행 2020.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서울시민, 대학교, 취업관련기관, 관련단체, 의료기관, 청?장년관련 유관기관 등 실행 서울시민, 대학교, 취업관련기관, 관련단체, 의료기관, 청?장년관련 유관기관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대학 내 자살예방사업 - 교수·직원, 대학생 대상 자살예방교육·생명지킴이 교육 - 대학교 내 상담기관과의 업무협력 및 고위험군 의뢰체계 강화방안 ▷ 직장 내 자살위기 대응 역량 강화사업 - 사업장 관리자, 직원 대상 자살예방교육·생명지킴이 교육 ▷ 자살예방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 자치구 내 청?중장년 대상 심리지원 프로그램 보급?지원 - 단기개입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지원(우울증 SBIRT:선별검사와 단기개입, 정신건강 힐링 프로그램 등) - 중장년 대상 힐링프로젝트(누구에게나 엄마가 필요하다) 추진 ▷ 중장년 남성 자살예방사업 - 중장년 남성 생명존중 컨텐츠 개발 및 보급, 자살예방 세미나 추진 - 코로나19 관련 실직자 대상 심리지원단 운영 : 고용복지플러스센터와 연계하여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추진 - 중장년 실직, 파산, 주거 고위험군 접근 네트워크 구축 실행 [청년 자살예방 사업] ? 사업 목적 : 코로나 시기 청년자살 증가 현안에 따라 청년의 고립을 포함한 청년자살예방 중점 사업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추진함 ? 사업 기간 : 5월 ~ 12월 ? 사업 대상 : 서울시 거주 청년(1인 청년가구, 주거취약 청년 등), 청년 유관기관 등 ? 주요 내용 : 1) 청년 협력 기관 네트워크 구축 사업 (총 13회) - 목적 : 청년 협력 기관(YTN라디오, 서울시청년사회서비스사업단 등)와 업무협약 및 청년자살의 심각성을 공유하고, 대안 마련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 대상 : YTN라디오, 청년 유관기관, 서울시 거주 청년 구분 일자 주 제 1) 06.16 코로나가 가져온 실업, 경제위축, 이 때 필요한 ‘마음백신’ 2) 08.11 코로나19로 직격탄 입은 청년들, 코로나는 미래의 기회를 뺏어갔어요 3) 08.18 코로나19로 20대 여성청년들이 삶이 흔들린다 4) 08.25 청년들을 위한 복지제도는 없다 5) 09.01 청년수당 같은 금융 지원, 불안한 청년들에게 큰 도움 돼 6) 09.08 보호종료아동, 코로나19 영향 훨씬 더 많이 받아 7) 09.15 20대 여성에게 가혹한 사회, 우리가 바꿀 수 있습니다 8) 09.22 코로나19, 20대 여성에게 더 가혹하다 9) 09.29 설리, 구하라의 죽음이 20대 여성들에게 영향을 끼친 이유 10) 10.06 20대가 말하는 코로나 19 속 위기를 기회와 희망으로 11) 10.13 청년이 안정적이어야 사회가 안정적이다 ‘기본소득’이 답 12) 10.20 청년 정책은 당사자가 만들어야 13) 10.27 도움을 요청하는 것을 포기하지 마세요 - 내용 : - 방법 : 업무협약(MOU) - 2건(YTN라디오, 서울시청년사회버시스사업단) 청년생명사랑 캠페인 - 총13회(조회수 6,451회) - 기간 : 6월 ~ 12월 2) 청년자살예방을 위한 현안 공유 및 네트워크 구축 사업 (6회/ 614명) - 목적 : 청년의 다면적 실태 공유를 통한 의견수렴 및 해결 방향성 제시 - 대상 : 청년관련 유관기관 등(알바노조, 서울시청년사회서비스사업단,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 법률사무소 청년, 멘탈헬스코리아, 서울시 청년청, 빈곤사회연대, 관악공동행동, 중앙대학교, YTN라디오, 서울대학교, 서강대학교 등) - 내용 : 현안 간담회, 협력 간담회, 국회 간담회 - 방법 : 6회 / 614명 - 기간 : 7월 ~ 12월 3) 실무자 및 당사자 교육 지원 사업(1회/ 15명) - 목적 : 시스터스키퍼스의 주도적 활동 지원을 통한 여성청년 당사자 문제의 제시와 인식 함양 - 대상 : 청년 정책 당사자 6명, 청년정책·보건학 전문가 2명,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직원 - 내용 : 청년정책 당사자가 제기한 주요 문제와 대안 - 방법 : 1회 / 15명 - 기간 : 10월 4) 청년 자살예방 국제 심포지엄 (2회/ 679명) - 목적 : 청년의 자살예방을 위한 국·내외 정책 및 주요 우수 사업 사례를 확인하고 민관협력의 자살예방사업의 토대를 마련함. - 대상 : 서울시민, 서울시 25개구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각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등 - 내용 : 청년 자살예방 정책(한국, 호주, 스웨덴), 청년 자살예방사업(일본-라이트링, 영국-파피루스) 등 - 방법 : 2회 / 679명 - 기간 : 11월 4일 ~ 5일 [중장년 자살예방 사업] ? 사업 목적 : 높은 자살률을 보이는 중장년 남성 자살률 감소를 위해 자살대책 마련과 실효성 있는 자살예방지원 사업을 통해 인식개선 및 자살률을 낮추고자 함 ? 사업 기간 : 7월 ~ 12월 ? 사업 대상 : 중장년 고위험군 이용 유관기관(50+센터, 서울시자원봉사센터, 서울광역자활센터 등) ? 주요 내용 : 1) 서울시 2020 중장년 자살예방을 위한 1차 간담회(4기관/ 9명) - 목적 : 중장년 유관 및 접점기관의 담당자들과 간담회를 통해 중장년 자살예방에 관한 심각성을 알리고 자살률을 낮출 수 있도록 자살예방에 관한 협력방안 공유 및 협력적 서비스 연계를 하고자 함 - 대상 : 서울시50플러스남부캠퍼스?금천50플러스센터?성북50플러스센터, 노사발전재단 등 - 내용 ? 자원봉사자들에게 생명지킴이 교육 후 실제적으로 자살고위험군을 발굴하고 개입 ? 교육 이후 활동할 수 있는 기회, 활동자격 등 같이 부여 ? 지역자활센터, 50플러스센터협의회, 서울시자원봉사센터 등 협력기관 확인, 이후 접촉예정 - 방법 : 4개 기관/9명 참여 - 기간 : 10월 29일(목) 14:00-16:00 2) 중장년 자살예방을 위한 서울시자살예방센터?성북50플러스센터 업무협약 체결(2회) - 목적 : 중장년 자살예방을 위해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 교육서비스 지원을 통해 중장년 자살예방활동을 하고자 함 - 대상 : 성북50플러스센터 - 내용 : 업무협약 내용 ? 50플러스세대 중장년층 자살 예방 지원을 위한 각종 업무 협력 ? 자살예방 전문기관으로서 50플러스세대와 함께 할 수 있는 교육 모색 ? 자살 예방 사회공헌활동을 통한 50플러스세대가 행복해 질 수 있는 전문 컨설팅 서비스 제공 - 방법 : 업무협약(MOU) 체결 - 기간 : 11월 10일(화) 09:30~10:30 3) 중장년 고위험군 유관기관 회의 - 목적 : 중장년 자살예방을 위해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중장년 남성 중심 자살예방활동가 모임을 만들어 적극적 자살예방활동을 하고자 함 - 대상 : 서울시자원봉사센터, 서울광역자활센터 - 내용 : 생명지킴이 교육 활성화 및 중장년 남성 자살예방 활동조직 구축, MOU 체결 - 방법 : 간담회 2회, 9명 - 기간 : 12월 15일 ~ 22일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기획사업팀, 전략사업팀, 교육지원팀 실행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기획사업팀, 전략사업팀, 교육지원팀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6,840,000천원 지원 집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5,662,120원 집행 변경 및 보완 사유 해당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A ○ 목 표 : 청년?중장년층 생명지킴이 교육 양성자수 전년대비 5%증가(7,044명) ○ 평가방법 : 자체조사(생명지킴이 온라인 관리시스템 등록 회원 수 분석) 측정 방법 자체 시스템 조사 목표 설정 근거 ○ 청년·중장년층 생명지킴이 교육 양성자 수 전년대비 5% 증가 ○ 청년 및 중장년을 대상으로 생명지킴이 교육을 양성하고 자살예방을 위한 고위험군 발굴 등의 지역사회 지지체계를 형성하기 위함. 실행 COVID19로 인한 사업 실적 부족 목표 달성 내용 B [변경지표] 청년·중장년층 생명지킴이 교육 양성자 수 전년 대비 5% 증가(7,044명) [이전지표] 지표 변경 필요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변경지표] 100% [이전지표] 100% 미달성 사유 해당사항 없음 평가 사업 평가 ○ 청년 자살 현 안에 따라 지역사회 고립·고독 관련 사업 대상을 청년으로 초점화하여 신속하게 대처함. ○ 청년자살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인식개선을 위해 2개 기관(YTN라디오, 서울시청년사회서비스사업단)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홍보 네트워크를 구축함. 이를 통해 더 적극적인 기관 간 업무협력이 진행됨. ○ 청년자살예방사업 추진 결과, 청년 당사자성 강화한 지지체계 마련, 정보 접근성 향상 및 연계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 활용, 청년 고위험군 대상 서비스 지원 등의 방향성이 주요하게 제시되었으며, 이를 참고한 후속 사업 추진계획 수립 필요. ○ 중장년 남성과의 접점을 만들기 위해서는 중장년 유관기관과의 네트워크가 필요했고, 중장년을 대상으로 하는 여러 유관기관과의 네트워크를 진행하며 중장년 자살의 심각성 등 자살예방 필요성 공유 ○ 서울시자원봉사센터, 서울광역자활센터 등 중장년들이 활동하는 유관기관과의 간담회를 통해 중장년 자살예방에 대한 적극적 협조, 협력적 서비스 연계의 초안을 잡을 수 있었음. ○ 중장년 유관기관과의 간담회, 회의,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중장년 남성 중심 자살예방활동가 모임 구축, 생명지킴이 교육 등 중장년을 위한 자살예방활동을 기획하고 추진 예정임. 개선 방향 ○ 청년 플랫폼을 통해 생명존중 문화조성활동을 강화하고 당사자 활동을 실시하여 지역사회 내 지지체계를 형성함. ○ 청년을 위한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보급하고 자살예방활동을 위한 정신건강에 대한 이해력을 증진하고자 함. ○ 연령별 자살사망 감소를 위한 캠페인 및 공론화를 하는 홍보활동을 전개하도록 함. ○ 대학 및 유관 기관과의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재정비 하고 생명지킴이 교육 보급 등의 교육서비스 연계 활성화 ○ 자살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을 계획하고 연령별 실효성 있는 자살예방 정책을 수립하고자 함. ○ 중장년 생명지킴이 양성을 통해 동료집단을 통한 사회적 지지체계를 형성하고자 함. ○ 중장년 생명지킴이가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하여 자살예방 활동 및 생명존중 문화조성을 할 수 있도록 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전략사업팀, 교육지원팀 실행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전략사업팀, 교육지원팀 우수활동사례 [자살현안대응사업] 청년의 자살시도?자살사망 증가에 따른 자살현안대응사업 사업취지 - 20~30대 청년의 자살시도 및 자살사망자의 전년대비 가파른 증가추세 - 취약한 청년의 안전망 확보를 위한 자살예방 공론화 필요 - 청년자살예방을 위한 인식개선과 실질적 정책마련의 사전작업으로 공론화 진행 사업기간 2020년 5월 ~ 12월 사업목표 서울시 청년의 자살예방을 위하여 현안을 공유하고 공론화를 통한 인식개선 및 청년자살예방을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자 함. 주요사업 내용 청년 자살예방을 위한 현안 파악 ? 청년 자살예방을 위한 캠페인 실시 ? 유관기관 업무협약 및 간담회/정책포럼 ? 국회의원 토론회 /국제심포지엄 청년 자살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통계수치 확인 청년 자살예방을 위한 홍보 및 캠페인 실시 (YTN)라디오 등 활용 YTN라디오, 서울시청년사회서비스사업단 등 업무협약 실시 청년자살예방 긴급간담회, 국회의원(정춘숙, 우원식) 정책포럼 및 간담회, 청년토론회, 국제심포지엄 실시 세부추진 내용 □ 청년 자살예방을 위한 현안대응사업 ? (홍보) 청년생명사랑 캠페인, SNS 상시홍보를 통한 인식개선 및 문화 조성 ? (연속 간담회) 다분야 전문가와 민·관이 함께 청년 접근 대책 논의 ? (실무회의) 관련 부처 간 실무 협력방안 논의 ? (여성 청년 모임) 전문가 및 당사자 의견을 토대로 한 여성 청년 생명사랑 동아리 모임 결성과 활동 지원 ? (업무협약) 기관 간 원활한 사업 협력 추진을 위한 MOU 체결 ? (토론회) 정책적·보건적·당사자 관점에서 청년정책 제안을 확인하고 근거 마련 ? (정책 포럼) 청년자살예방정책 제도화 실현을 위한 포럼 구분 일시 내 용 주최, 주관 참 여 1 6.16.(화) ~10.27(화) ? 청년 생명사랑 캠페인 ? 업무협약을 통한 효과적인 캠페인 추진 서울시자살예방센터 - YTN 업무협약 1회 - 출연(인터뷰) 13회 2 6.23.(화) ? 제 5차 생명사랑 서울포럼 주제선정 : “청년 여성과 청년 남성의 자살” ?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이해도 및 민감도 제고 서울시자살예방센터 - 학계 전문가 3명 -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31명 3 7.2.(목) ? 청년 자살예방 1차 긴급간담회 ? 청년자살 현안 공유를 통한 민·관 의견 수렴 서울시자살예방센터 - 서울시 포함 7개 기관 17명 4 7.6.(화) ? 서울시 7월 실무회의 ? 간담회 의견 공유 및 접근대책 논의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 5명 5 7.16.(목) ? 서울시 청년청 협의 간담회 ? 청년청 협력가능 사업 검토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 청년청 포함 10명 6 7.17.(금) ? 청년 자살예방 2차 긴급간담회 ? 청년자살예방대책 방향성 다각도 모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 학계·현장 전문가, 시민활동가 포함 5개 기관 10명 7 8.24.(월) ? 서울청년사회서비스사업단 업무협약 ? 고위험군 상담, 교내 상담인력 교육지원 등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동국대학교산학협력단 - 비대면 업무협약 체결 8 9.21.(월) ~12.31(목) ? 청년 생명사랑 동아리 결성 및 활동지원 ? (홍보)인터뷰, SNS / (참여)토론회·심포지움 등 서울시자살예방센터 COVID-19 심리지원단 - 청년정책 당사자 여성 6인으로 구성 9 9.25(금) 13:30- 15:30 ? 20대 여성 청년 자살예방을 위한 ? 국회 긴급 간담회 정춘숙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자살예방센터 - 실시간 유튜브 송출 - 조회 279회(12.14기준) 10 10.29(목) ? 청년 자살예방 정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 ? 청년정책 근거 마련 및 활동가 역량 강화 서울시자살예방센터 - 정책/보건학 전문가, 청년정책당사자 포함 15명 11 11.4(수) ~11.5(목) ? 제2회 2020 서울 자살예방 온라인 국제 심포지엄 ? 해외 청년정책 탐색과 청년당사자 정책제안 서울시자살예방센터 - 실시간 유튜브 송출 - 조회 1,222회(12.14기준) 12 12.8(화) 10:00~12:00 ? 정책포럼 자살예방 ? “코로나19 & 코로나19 이후, 청년과 여성 국민 전체의 생명을 소중히 하는 사회” 우원식 국회의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 실시간 유튜브 송출 - 조회 : 399회(12.14기준) ① 청년 자살예방을 위한 현안 파악 - 청년자살예방의 심각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통계현황을 통한 현안 파악 청년 실업률과 고용률 마음이음(1577-0199]위기상담 현황 연령별 대출 및 연체 현황(나라살림연구소) 서울지역 응급의료센터 방문 자해, 자살 시도 의심 환자 현황 ② 청년 자살예방을 위한 캠페인 실시 - 청년 자살예방의 홍보를 위한 온라인 캠페인 실시 - YTN라디오와 업무협약 체결 및 12주에 걸친 청년 주제 방송 실시 - 라디오와 유튜브 영상을 통하여 지속적인 홍보 진행 구분 일자 주제 1 2020.06.16 코로나가 가져온 실업, 경제위축, 이 때 필요한 ‘마음백신’ 2 2020.08.11 코로나19로 직격탄 입은 청년들, 코로나는 미래의 기회를 뺏어갔어요 3 2020.08.18 코로나19로 20대 여성청년들이 삶이 흔들린다 4 2020.08.25 청년들을 위한 복지제도는 없다 5 2020.09.01 청년수당 같은 금융 지원, 불안한 청년들에게 큰 도움 돼 6 2020.09.08 보호종료아동, 코로나19 영향 훨씬 더 많이 받아 7 2020.09.15 20대 여성에게 가혹한 사회, 우리가 바꿀 수 있습니다 8 2020.09.22 코로나19, 20대 여성에게 더 가혹하다 9 2020.09.29 설리, 구하라의 죽음이 20대 여성들에게 영향을 끼친 이유 10 2020.10.06 20대가 말하는 코로나 19 속 위기를 기회와 희망으로 11 2020.10.13 청년이 안정적이어야 사회가 안정적이다 ‘기본소득’이 답 12 2020.10.20 청년 정책은 당사자가 만들어야 13 2020.10.27 도움을 요청하는 것을 포기하지 마세요 ③ 유관기관 업무협약 및 간담회/정책포럼 1) 청년자살예방을 위한 현안 공유 및 네트워크 구축 사업 - 목적 : 청년의 다면적 실태 공유를 통한 의견수렴 및 해결 방향성 제시 - 대상 : 청년관련 유관기관 등(알바노조, 서울시청년사회서비스사업단,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 법률사무소 청년, 멘탈헬스코리아, 서울시 청년청, 빈곤사회연대, 관악공동행동, 중앙대학교, YTN라디오, 서울대학교, 서강대학교 등) - 내용 : 현안 간담회, 협력 간담회, 국회 간담회 - 방법 : 6회 / 614명 - 기간 : 7월 ~ 12월 - 1차 긴급 간담회 주제 및 토론자 구분 주제 및 토론자 현안공유 청년 자살 및 관련 동향 보고 요약 김현수 / 서울시COVID19심리지원단장, 서울시자살예방센터장 토론 기관소개 및 청년 자살 예방을 위한 논의 신정웅 / 알바노조 위원장 홍상민 / 청년사회서비스사업단장 김희성 /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 팀장 박인숙 / 법률사무소 청년 변호사 최연우 / 멘탈헬스코리아 대표 - 2차 긴급 간담회 주제 및 토론자 구분 주제 및 토론자 현안공유 청년 자살 및 관련 동향 보고 요약 김현수 / 서울시COVID19심리지원단장, 서울시자살예방센터장 토론 기관소개 및 청년 자살 예방을 위한 논의 장숙랑 교수 /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김윤영 활동가/ 빈곤사회연대 사무국 김혜민 PD / YTN생생경제 프로듀서 김명철·배홍일 활동가 / 관악공동행동 : (고립?고독) 고립감 해소, 접점강화, 소속감 형성, (ex. 브런치 모임) : (공동체 형성) 20대 청년을 리더로 하는 공동체 만들기 필요 : (비대면 플랫폼) 비대면 플랫폼을 통한 서비스 이용(신청 시 포함) 수치심 감소 : (당사자성) 정책 제안에 있어서 20대 청년 당사자의 머리에서 제안이 나와야 함. 기성세대는 지원해주고, 창구를 마련해주고, 원활한 사업진행을 위한 루트를 형성해주는 역할 필요 : (기존자원 활용) 공간 및 자원의 필요성에 따른, 기존 공동체, 특히 종교 소공동체 활용 방안 : (청년자살예방프로그램 개발) 기존 청소년, 중장년, 노인 자살예방프로그램은 존재, 청년자살예방프로그램은 부재함. 개발이 필요함. 2) 서울청년사회서비스 사업단 업무협약 - 일시 및 장소 : 2020.08.24.(월) / 비대면 체결 - 기관 :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협약 주요 내용 : 교내 상담센터 이용 대상 청년 자살예방 캠페인 : 교내 상담센터 이용자 중 자살 고위험군 스크리닝 : 산학협력단 근무 청년 대상 생명지킴이 교육 지원 : 상담센터 이용자 중 고위험군 위기상담(1577-0199) 지원 ④ 청년 자살예방 정책마련 토론회 / 국회의원 토론회 / 국제심포지엄 1) 청년 자살예방 정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 - 주제 : 정책적·보건학적·당사자 관점에서 접근하는 청년자살 정책 마련을 위한 발표와 토론 - 일시 및 장소: 2020.10.29.(목) 10:00-12:00 / 서울시자살예방센터 - 참여 총 15명 시 간 내 용 10:00~10:05 ? 인사말 / 김현수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센터장 주제1. 정책적으로 접근하는 청년의 자살예방 10:05~10:35 ? 발표1 / 시스터스키퍼스 : “청년 1인가구의 증가와 주거불안정” - 청년의 주거문제 / 황민영 : “청년, 디지털세상으로 나아가다.” - 청년들의 디지털행진 / 황지은 : “청년과 한국판 뉴딜정책” - 뉴딜정책 속에서 청년정책 / 서예림 10:35~10:55 ? 발표2 / 기현주 청년활동지원센터 전 센터장 : “청년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과 서비스 전달체계” 10:55~11:05 ? 토론 / 기현주 청년활동지원센터 전 센터장, 시스터스키퍼스 : “청년 자살예방을 위한 실질적 접근 전략” 주제2. 보건학적으로 접근하는 청년의 자살예방 11:05~11:35 ? 발표3 / 시스터스키퍼스 : “코로나 이후 청년들의 변화와 현재” - 청년의 문제와 무기력 / 이승희 : “청년이 원하는 일자리는?” - 청년 일자리와 삶의 질 / 박수민 : “연예인 자살과 청년의 반응” - 정신건강 정책들과 청년 접점 코드 / 박솔 11:35~11:55 ? 토론 / 조선진 가톨릭대학교 예방의학과 교수, 시스터스키퍼스 : “예방의학적 관점으로 보는 청년의 자살예방” 11:55~12:00 ? 마무리 2) 국회 자살예방 정책포럼(정춘숙, 우원식 국회의원) - 주제 : 코로나19 & 코로나19 이후, 청년과 여성 국민 전체의 생명을 소중히 하는 사회 - 일시 : 2020.09.25.(금) 13:30-15:30 / 2020.12.08.(화) 10:00-12:00 구분 주제 및 토론자 개회사 우원식 국회의원 / 더불어민주당 축사 및 인사 생명안전 시민넷 오영환 국회의원 / 국회 생명안전포럼 공동 연구 책임위원, 더불어민주당 임호선 국회의원 / 더불어민주당 발표 1. 여성 청년 자살의 인류학적 이해와 정책적 제안 이현정 교수 /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2. 여성 청년 세대의 특성과 자살, 정책 제안 장숙랑 교수 /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3. 청년 자살과 복지정책 제안 이기연 교수 / 서울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4. 코로나19&포스트코로나19 자살의 국내외 통계 동향과 정책 제안 박건우 연구원 /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5. 코로나19&포스트코로나19 자살예방 정책 제안 김현수 단장 / 서울시COVID19심리지원단 3) 서울 생명사랑 국제 자살예방 온라인 심포지엄 - 주제 : 제 2회 서울 생명사랑 국제 자살예방 온라인 심포지엄 <청년과 함께 생명의 희망을 만들어가는 서울!> - 일시 : 2020.11.04.(수) - 11.05(목) 14:00~18:00 - 방법 : ZOOM 활용 / 유튜브 실시간 송출 - 참여 : 실인원 390명 / 연인원 807건(조회수) 성과 ○ 자살사망으로 인한 청년의 어려움에 대해서 문제의식을 파악하였고, 공론화를 통하여 정책적인 뒷받침을 위한 초석을 마련함. ○ 청년 자살 현안에 따라 지역사회 고립·고독 관련 사업 대상을 청년으로 초점화하여 신속하고 단계적으로 현안에 대응함. ○ 청년자살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인식개선을 위해 유관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홍보 네트워크를 구축함. 이를 통해 청년 문제에 관하여 관계자뿐만 아니라 시민의 인식 향상을 통한 공론화를 기대함. ○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및 청년정책 당사자 대상의 교육 지원과 더불어 여성 청년의 경험을 함께 나눔으로써 실제적인 청년 정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됨. ○ 청년자살예방사업 추진 결과 ▲청년 당사자성 강화한 지지체계 마련 ▲정보 접근성 향상 및 연계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 활용 ▲청년 고위험군 대상 서비스 지원 등의 방향성이 주요하게 제시되었으며, 이를 참고한 후속 사업 추진계획 수립 필요 세부 사업명 4-9. 노인 자살예방 사업 목적 ○ 취약 노인 자살 위험군 조기 발견 및 개입을 위한 협력체계 마련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20년 1월 ~ 12월 실행 2020년 7월 ~ 8월 변경 및 보완 사유 코로나19의 방역수칙과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함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생명지킴이, 자치구 보건소 자살예방사업 담당 주무관 및 전담인력 실행 생명지킴이, 자치구 보건소 자살예방사업 담당 주무관 및 전담인력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노인 자살예방 인프라 및 네트워크 구축 ○ 노인 자살고위험군 서비스 연계 및 코로나19 우울예방 심리지원단 운영 실행 ○ 노인 자살예방 인프라 및 네트워크 구축 - 생명지킴활동가 교육 : 총 9회(10개 자치구, 187명 참여) 실시 (노인 자살위험군의 발굴 및 서비스 제공) 교육과정 : 생명지킴활동가 안내 및 행정·개인정보 관리, 상담교육, 자가돌봄교육 - 노인 대상 생명지킴이교육 비대면 자살예방 교육 및 자살예방통합프로그램(활동중심) 생명사랑 실천환경 조성 및 자살예방을 위한 주민동아리(생명지킴활동가 및 생명지킴이) 조직화 활동 지원 ○ 노인 자살고위험군 서비스 연계 및 코로나19 우울예방 심리지원단 운영 - 노인 자살고위험군 서비스 연계 노인 정신건강 위험군 스크리닝, 심리지원, 상담서비스 지원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및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및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6,560천원 집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328천원 변경 및 보완 사유 자치구별 교육으로 대관비 지출 없이 교육장소 섭외하여 진행함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A (내용, 수치) 생명지킴활동가 교육 노인(65세 이상) 참여율 40% 측정 방법 자체조사 목표 설정 근거 ○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하여, 대면교육의 어려움.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생명지킴활동가 교육 대상자 중 노인 참여율 67%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167% 미달성 사유 코로나바이러스19 확산으로 인해 교육이 어려워 참여자 수 낮음 평가 사업 평가 ○ 내용적인 부분에서 모두가(특히 노인) 이해하기 쉽게 예시를 활용하여 참석자들의 쉬운 이해를 도모하였고, 교육 중 강사와 참석자 간의 소통도 가능하여 참석자들에게 큰 도움이 됨 ○ 기존 대규모 집합교육을 변경하여 소규모 개별교육으로 진행하여 시민형 자살예방 인력 양상과 자살예방사업의 증진에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됨 개선 방향 ○ 대다수 교육 대상자가 40~60대 여성으로, 젊은 층(20, 30대)과 남성의 도입을 위한 방안 (온라인 교육, 홍보 등) 마련 필요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5. 자살 고위험군 지지체계 강화 세부 사업명 5-10.자살고위험군 대상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사업 목적 자살유족 및 신체·정신질환자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전략 수립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20년 1-12월 실행 2020년 1-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자살유족, 자살사망 경험 있는 학교·기업, 정신질환자, 만성신체질환자, 취약계층 등 자살고위험군 실행 자살유족, 자살사망 경험 있는 학교·기업, 정신질환자, 만성신체질환자, 취약계층 등 자살고위험군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자살유족지원(서비스지원, 사후중재, 모임 및 프로그램 운영 등) ○ 신체·정신질환자 자살예방 실행 1) 자살유족지원 - 지역사회 자살유족 서비스 활성화 지원 : 지역사회 자살유족의 다양한 어려움에 대한 전문적 서비스 제공 자살유족 애도상담 전화 내소 방문 기타 합계 796건 389건 104건 180건 1,469건 자살유족 의뢰체계 구축 :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69건 자살사망 사후중재 : 교사교육 2회/45명 자작나무 희망문자(22회/10,278건) : 코로나19 상황에서 자살유족 당사자 활동을 안정적으로 지원하고자 비대면 서비스 사업의 일환으로 유족의 심리안정을 도울 수 있는 정기문자 발송 3월 4월 5월 6월 7월 합계 4회/1,837건 4회/1,843건 4회/1,858건 5회/2,340건 5회/2,400건 22회/10,278건 - 자살유족 당사자 활동 지원 위한 ‘자조모임·프로그램’ 운영 자작나무(21회/178명) : 애도교육과 특강, 외부활동을 통해 자살유족들의 교류와 나눔으로 공감대 형성과 건강한 애도과정을 지원 고인별 자조모임(48회/220명) : 고인과의 관계별로 구성된 부모·자녀·배우자·형제자매 자조모임에서 다양한 주제 나눔을 통한 심리적 지지체계 형성을 지원 자살유족의 쉼 ‘회복캠프’(2회/50명) : “가을에는 단감, 자작나무에는 연대감”의 주제로 자살유족 간 연대감을 통한 회복 도모 캠프를 운영함. 레크리에이션, 미니 연주회, 고인별 소모임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같은 아픔이 있는 유족들과 함께 소통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함. 자작나무 고인별자조모임 회복캠프 합계 21회/178명 48회/220명 2회/50명 71회/448명 - 자살유족 심리지원 위한 ‘마음공간(쉼터)’ 운영 : 유족 심리안정서비스를 통한 안정적 애도과정 도모 심리안정 및 동료상담(18회/59명) : 자살사망 경험 이후 일상생활로 회복한 동료지원가 유족과 애도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동료유족 간의 경험 소통 자작나무 문화의 날(11회/34명) : 그림책 읽기, 영화감상 등 문화활동을 지원하여 유족의 정서적 환기 및 사회적 활동 기회 증가를 도모 회복프로그램(6회/48명) : 긍정적 정서 및 심리안정에 도움이 되는 공예 등의 만들기 활동을 제공함으로써 심리적 회복 지원 동아리(19회/96명) : 자살유족 당사자 대상 욕구조사를 통해 선정된 우쿨렐레와 글쓰기 두 개의 동아리 운영 심리안정 및 동료상담 문화의날 회복프로그램 동아리 합계 18회/59명 11회/34명 6회/48명 19회/96명 54회/237명 - 동료유족의 회복을 함께하는 ‘동료지원가 활동’ 지원 : 유족이 유족에게, 다른 유족의 회복을 돕는 동료지원가의 활동 지원 동료지원 활동 : 67건 간담회 1차보수교육 2차보수교육 평가회 합계 1회/7명 1회/7명 1회/8명 1회/14명 4회/36명 2) 신체·정신질환자 자살예방 - 생명이음 청진기 사업 활성화 등을 통한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 참여 의료기관 수 : 99개 기관 PHQ-9 검사자 수 : 11,959명 고위험군 수 : 1,344명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및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및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5,882천원 집행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5,882천원 변경 및 보완 사유 해당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A 자살고위험군 자살상담건수 전년대비 4% 증가 (2019년 15,124건) 측정 방법 MHIS 데이터 분석 및 서울시 자치구 실적 목표 설정 근거 자살 고위험군의 상담 서비스를 증가시키고자 상담 건수를 목표로 설정함.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자살고위험군 자살상담건수 전년대비 24.9% 증가 (2020년 18,897건) ( mhis 추출 지연되어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실적에 한해 분석)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622.5% 달성 미달성 사유 해당사항 없음 평가 사업 평가 ○ 자살유족 당사자 주도 자조모임 및 프로그램 기회를 확대하여 직접 진행하는 주체로서 건강하게 애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 ○ 코로나19 상황에서도 비대면 프로그램 활용하여 참여자 간 연대와 연결을 상기시키고 소통의 공간을 만드는데 긍정적 역할을 함. 개선 방향 ○ 자살유족 당사자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활동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유족서비스의 참여 플랫폼이 요구됨. ○ 코로나 방역상황 고려하여 주제 및 프로그램 구성이 필요함. ○ 지역사회 유관기관과 유기적 관계망을 형성하고 자살을 경험한 학교·기업 대상 사후개입 콘텐츠를 개발하여 광역단위의 지속적인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우수활동사례 [자살유족지원사업] 자살유족 당사자를 위한 자작나무서비스 운영과 효과성 평가 연구 사업취지 - 자살사망자 발생 시 최소 5명의 유족 발생으로 추계할 경우 약 10,755명의 유족이 발생함. 유족 중 약 10%가 외상(Trauma)으로 인한 심각한 어려움을 호소하며, 서울시의 경우 약 1,075명에 해당되어 자살유족서비스 이용률은 30%임. - 2005년 개별 애도상담, 2008년부터는 자작나무 모임을 시작으로 하여 참여자의 욕구 반영을 통해 모임 및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자 하였고, 2020년 자작나무서비스 이용 실인원은 324명임. - 자살유족 당사자를 위해 운영되고 있는 모임과 프로그램 운영 효과성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필요성이 대두됨. 사업기간 2020년 1월 ~ 12월 사업목표 자살유족 당사자를 위한 자작나무 서비스를 운영하고, 참여유족의 실제 경험을 바탕을 내용 및 효과를 탐색함으로써 지속적인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함. 주요사업 내용 자살유족 당사자를 위한 서비스 운영 ? 자살유족 효과성 평가 연구 ○ 자살유족 당사자 활동 : 자작나무 활동지원, 고인별 자조모임, 동료지원가 활동지원 ○ 자살유족 마음공간 ‘모이다’ 자작나무 : 심리안정 및 동료상담, 문화의 날, 회복프로그램, 자작나무 동아리 ○ 자살유족 원데이 회복캠프 ○ 사전회의 ○ IRB 심의 ○ 협력사업 위한 업무협약 체결 ○ 효과성 평가 연구 분석 세부추진 내용 1. 자살유족 당사자를 위한 자살유족서비스 운영 ① 자살유족 당사자 활동 유족 모임 및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심리적 안정과 건강한 애도, 자살유족의 자발적인 자조집단 활동을 유도하여 회복을 도모하기 위해 자살유족 당사자의 활동을 지원함. ○ 자작나무 활동지원(21회/178명) : 애도교육과 특강, 외부활동을 통해 자살유족들의 공감대 형성과 건강한 애도과정 지원 자 작 나 무 ○ 고인별 자조모임(48회/220명) : 고인과의 관계별로 구성된 부모·자녀·배우자·형제자매 자조모임에서 다양한 주제 나눔을 통한 심리적 지지체계 형성을 지원 고인별자조모임 ○ 동료지원가 활동지원(4회/36명) : 동료지원가로 양성된 유족이 다른 유족의 회복을 도울 수 있도록 간담회, 보수교육, 평가회를 통해 동료지원가의 활동 지원 및 역량 강화 동료지원가 ② 자살유족 마음공간 ‘모이다’ 자작나무 유족들의 공간 운영을 통해 자살유족 토탈 케어 서비스의 환경을 조성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애도과정을 돕고자 함. ○ 심리안정 및 동료상담(17회/58명) : 자살사망 경험 이후 일상생활로 회복한 동료지원가 유족과 애도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동료유족 간의 경험 소통 ○ 자작나무 문화의 날(11회/34명) : 그림책 읽기, 영화감상 등 문화활동을 지원하여 유족의 정서적 환기 및 사회적 활동 기회 증가를 도모 문 화 의 날 ○ 마음공간 회복프로그램(6회/42명) : 긍정적 정서 및 심리안정에 도움 되는 만들기 활동을 제공함으로써 심리적 회복 지원 회 복 프 로 그 램 ○ 자작나무 글쓰기·우쿨렐레 동아리(19회/92명) : 자살유족 당사자 대상 욕구조사를 통해 선정된 동아리 운영을 통해 활동 발표 및 도서제작 진행 우 쿨 렐 레 동 아 리 글 쓰 기 동 아 리 ③ 자살유족 원데이 회복캠프 “가을에는 단감, 자작나무에는 연대감”의 주제로 자살유족 간 연대감을 통한 회복 도모 캠프를 운영하여 같은 아픔이 있는 유족들과 함께 소통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함. 구분 내용 13:00 ? 13:30 접수 13:30 ? 13:40 오리엔테이션 13:40 ? 15:00 레크리에이션 “익어가는 연대감” 15:00 ? 16:00 미니 연주회 및 휴식 “내 마음 슬로우” 16:00 ? 17:30 고인별 모임 “연결된 우리” 17:30 ? 19:00 평가 및 마무리 2. 자살유족서비스 효과성 평가 연구 : 자살유족서비스에 참여한 자살유족의 실제 경험을 바탕을 내용 및 효과를 탐색함으로써 지속적인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함. ① 연구진행에 대한 논의 위한 사전회의 ○ 일시 : 2020년 6월 18일(목) 17:00-18:00 ○ 참석기관 :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 내용 : 기관 및 사업소개, 연구방향, 진행연구 및 보유 data 안내, 연구진 및 역할 논의 ② 연구윤리지침 준수 위한 IRB(의학연구윤리심의위원회) 심의 ○ 기간 : 2020년 9-12월 ○ 심의기관 : 명지병원 기관생명연구윤리위원회 ○ 내용 : 심의서류 연구계획 심의 신청서 외 9종 작성 및 제출, 심의결과 확인 ③ 협력사업 위한 협약 체결 및 효과성 평가 연구 분석 ○ 기간 : 2020년 9-12월 ○ 협력기관 :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구분 내용 분석방법 서울시 자살예방센터의 1박 2일 캠프 프로그램에서 진행된 자살유족의 자조모임을 질적 자료 분석법을 통해 분석함. 분석결과 - 자조모임의 참여 과정 : 필요성을 스스로 느낌, 주변에서 참여를 권유유함, 과거 긍정적 경험 등 - 자조모임의 나눔 핵심내용 : 자살사건에 대한 공유, 가족의 자살로 경험한 주요 감정, 부정적인 감정의 수용과 전환, 생활의 어려움, 회복과정 등 - 자조모임의 효과 : 타인의 삶을 통한 성찰, 삶의 의지와 동기부여, 자기효능감 제고, 동질감/친밀감 형성, 부정적 감정 해소, 가족의 자살 수용과 추모, 위로받는 느낌, 지지관계 형성, 심적 대피처 등 결 론 서울시자살예방센터의 자살유족서비스 자작나무에서 진행된 자조모임에 참여한 이들은 자조모임으로 인한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함. 특히 자조모임에서 만들어진 자살유족 간의 관계가 이들에게 사회적 안전망으로 작용하고 있었음. 보 고 서 ○ 내용 : 참여 대상자 데이터 분석, 결과보고서 작성 추진성과 - 자살유족을 위한 모임과 프로그램을 운영을 통해 당사자 주도의 참여 기회를 확대하여 건강하게 애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 - 자살유족이 서비스에 참여하는 과정과 자조모임 안에서 이루어지는 나눔의 양상 및 내용을 탐색하고, 자살유족서비스의 효과 및 이를 증진하기 위한 다차원적인 노력을 파악할 수 있었음. - 자살유족을 위한 자조모임 서비스 운영에 대한 효과성 평가를 통해 근거를 마련하여 유족서비스의 필요성을 제고한 것에 의의가 있음. 6. 자살 위기대응 및 사회관리체계 마련 세부 사업명 6-11.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사업 목적 자살의시도자 위기 및 응급대응을 위한 지역사회 시스템 강화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20년 1월 ~ 12월 실행 2020년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서울시 거주 지역주민 실행 서울시 거주 지역주민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자살위기전화 위기대응 체계 운영 ○ 긴급출동 연계체계 마련 ○ 1577-0199 상담원 역량강화 ○ 감정노동자 심리적 외상 지원 연수 실행 1) 자살위기전화 위기대응 체계 운영 1577-0199 상담전화 운영 현황 : 전체 22,962건 (전화 22,649건, 대면 132건, 온라인 181건) - 경찰 및 소방, 110, 120, 129, 1393 등과의 응급 대응 체계 협력 - 자치구 내 자살 위험군에 대한 휴일·야간 모니터링 지원체계 운영 (모니터링 761건) - 1577-0199 상담시스템 유지보수 : 기능개선 및 정기유지보수 2) 긴급출동 연계체계 마련 - 24시간 전문인력 응급출동 체계 운영 - 자살 고위험 대상자에 대한 초기 평가 및 응급 대응 조치 : 1577-0199 이용자중 자살의시도자, 경찰 및 소방 의뢰된 자살의시도자 (신체안전확보→지구대 보호조치→2인1조 출동→자살위험성 평가) 123건 출동 진행 3) 1577-0199 상담원 역량강화 - 상담 질 관리위원회 운영(4회) - 상담 질 관리 수퍼비전 운영(5회)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19,428천원 집행 19,428천원 변경 및 보완 사유 해당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A [이전지표] 위기대응건수(전년대비 3% 증가) [변경지표] 상담건수증감율(전년대비 상담건수 유지) 측정 방법 [변경지표] ‘20년 상담건수 - ’19년 상담건수 / ‘19년 상담건수) 100 목표 설정 근거 MHIS 데이터 분석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이전지표] 위기대응건수 549건 : 전년대비 위기대응건수(응급출동) 14.6% 감소 : 2019년 643건 [변경지표] 상담건수 6.1% 증가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변경지표] 6.1% 초과달성 미달성 사유 [변경지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직접적인 대면을 수행하는 위기대응건수가 감소함. 평가 사업 평가 ○ 1577-0199의 경우 전년대비 상담건수가 6.1% 증가하였으나, 자살 고위험군에 대한 현장 대응 위한 응급출동은 14.6% 감소함.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현장대응의 어려움으로 응급출동은 감소한 반면, 비대면 전화상담은 증가한 측면이 있음. ○ 질관리위원회 구성 및 운영을 통해 마음이음상담전화를 운영하며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됨. 또한 상담원들의 상담 질 향상을 위한 수퍼비전이 체계적으로 운영될 수 있었음. ○ 2019년 대비 인력이 충원되어 유입되고 있는 전화상담 응대율이 높아지면서 전반적으로 상담건수도 증가한 측면이 있음. 상담건수 증가와 응대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회선 유지가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음. 개선 방향 ○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심리적인 어려움 호소가 나타나면서 이에 대한 상담원들의 교육을 통해 다양한 문제에 대한 대처방안들에 대한 역량강화가 진행되어야 될 필요가 있음. ○ 상담원들의 상담 능력 강화를 위해 공식적인 자살관련 교육 및 상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 ○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는 24시간 상담인력의 안정적 확보와 함께 상담에 대한 지속적인 질관리와 함께 상담인력을 보호하는 차원에서의 기관 내 꾸준한 노력이 필요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우수활동사례 마음이음 위기상담(1577-0199) 상담 질 관리 사업 사업안내 - 서울시 전역에서 발생하는 자살 및 정신과적 문제에 대하여 24시간/365일 1577-0199 상담전화를 운영중임 - 다양하고 주관적인 문제에 대한 대응, 사회적 이슈에 대한 심리지원을 위해 상담사의 역량강화 및 상담 질 관리 사업체계를 구축하여 서울시민을 위한 안정적 상담 서비스 체계를 마련하고자 하였음 사업기간 2020년 1월 ~ 12월 사업목표 24시간 서울시 자살예방 핫라인 상담사 지원을 통한 안정적인 상담서비스 제공 주요사업 내용 1577-0199 24시간 자살예방 마음이음 상담 서비스 ? 자살고위험 대상자에 대한 초기 평가 및 현장대응(응급출동)평가 ? 지역사회 자살고위험군 야간·주말·휴일 모니터링 실시 ? 지역연계 대상자 사후추적관찰 서비스 자살 고위험군에 대한 위기개입 (전화, 내소, 방문) 고위험군에 대한 2인 1조 위험성 평가 및 응급개입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서비스의 연속성을 위해 모니터링 진행 지역사회 고위험군을 위한 적극적인 사후관리(F/U, 지속관리, 의뢰 후 사후 관리) ① 1577-0199 24시간 자살예방 마음이음 상담 서비스 ② 자살고위험 대상자에 대한 초기 평가 및 현장대응(응급출동)평가 총22,962건 (전년대비 6%상승) 총123건 출동진행(대응률유지) ③ 지역사회 자살고위험군 야간·주말·휴일 모니터링 실시 ④ 지역연계 대상자 사후추적관찰 서비스 사후관리 총761건 진행(전년대비 44.4%상승) 총1,782건 사후/지속관리(신설) 세부추진 내용 ○ 상담사 지원 및 상담 질 관리를 통한 내부민원 대응 체계화 : 2018, 2019년 상담사가 직접 민원을 응대하고, 공식민원인 경우에만 대응하는 방식에서, 2020년 민원이 언급된 대상자를 체계적으로 대응하는 방식으로 강화, 도입 이후 전체민원건수는 상승하였으나, 공식민원건수는 발생되지 않음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공식민원건수 9건 4건 0건 : 상담사의 근무 중 발생된 외상사건에 대한 심리지원을 공식화 하여 지원 : 상담사 질관리 향상을 위한 내외부 필수교육 목록화, 슈퍼비전 체계 신설을 통한 전문성강화 노력 구분 필수 이수 교육명 1 외부 ASSIST(자살응급처치 및 자살중재 기술훈련 프로그램) 2 외부 ASSIP(자살시도자 단기치료 프로그램) 3 내부 서울시자살예방센터안내 및 행정 OT 4 내부 마음이음상담 안내 5 내부 전화상담 유틸리티, 프로그램 안내 6 내부 전화상담의 기본 / TEST 7 내부 CTRS 교육 / 2일 후 TEST 8 내부 ISSUE6 교육 / 2일 후 TEST 9 내부 MSE 의 이해 및 적용 / 사례기록 적용시 TEST 10 내부 사례상담 경청 (고위험군 5case 이상) 11 내부 사례상담 기록 (고위험군 5case 이상) 12 내부 사례상담 3자통화 (고위험군 5case 이상) 13 내부 민원발생 대응 직무교육 ○ 비대면 상담 플랫폼으로의 변환, 시민들의 심리상담 서비스 채널 강화 : 2020년 코로나 심리상담 지원, 격리자159건, 일반인 773건, 총 932건의 코로나 관련 상담제공 ○ 지역사회 자살예방 서비스 지원 강화 : 감염병 위험으로 지역사회 자살예방 서비스에 공백이 발생, 모니터링, 전화 착신등의 지원으로 서비스 공백 최소화 노력 - 모니터링건 19년 대비 51.9% 상승 164건, 모니터링진행 19년 대비 44.4% 증가 761건 진행 - 감염병 관리를 위해 서비스가 일시 중지된 성북구자살예방센터 폐쇄 시 상담전화 착신 지원 성과 - 2017년 상담사 10명에서 2020년 11월부터 상담사 15명으로의 증원되어, 코비드 심리지원상담, 응급위기상담을 포함한 유선상담서비스를 진행하는데 있어, 평균 2회선에서 3회선으로 회선의 증가되어 응대율을 상승시켜, 더 많은 상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음 - 코로나로 인한 지역사회 사례관리 대면상담에 어려움이 예상되었으나, 서울시자살예방센터의 자살고위험군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홍보 및 확대를 통해 사례관리 연속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했다고 평가됨 - 자살예방 전담 상담팀을 운영, 전담상담사를 지원, 상담사의 소진을 예방하였으며, 상담 질 관리사업을 통해 코로나 등의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을 지원하는 상담사의 전문적 상담 기술을 높일 수 있었음. 세부 사업명 6-12.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체계마련 사업 목적 다층적 개입 방안을 통한 청년·중장년층 자살위험군 조기 발견·개입 체계 마련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20. 1월 ~ 12월 실행 2020.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서울형 돌봄자원(찾·동, 돌봄 SOS센터 등), 복지관, 주민센터 등 위기개입수행 유관기관 실행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서울형 돌봄자원(찾·동, 돌봄 SOS센터 등), 복지관, 주민센터 등 위기개입수행 유관기관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응급실 및 의료기관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 응급실 자살시도자 대상 생명사랑 키트 제작 및 보급 - 응급실 종사자 대상 가이드라인 제작 및 보급 - 응급실 관계자 대상 생명사랑 간담회 실시 -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서비스 디자인 접근방법 활용 시스템 개선 도모 - 응급의료센터 및 응급실 자살시도자-정신건강복지센터 연계 활성화 및 협력 강화 ▷ 자살시도자 위기개입 및 사후관리시스템 내실화 - 자살시도자 지속적 모니터링(문자 및 편지 발송) - 자살시도자 서비스 재유입을 위한 사후관리 프로그램 강화(6개월/12개월 F/U) - 자살시도자 사회적응을 위한 보건-복지서비스 연계체계 강화 실행 1) 응급실 및 의료기관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① 응급실 자살시도자 대상 생명사랑 키트 제작 및 보급 - 서비스디자인 기반의 생명사랑키트 개발을 위한 서비스 이용자 워크 숍 진행 : 자살시도자 및 자살유족 (5인) - 생명사랑키트 개발을 위한 서비스 이용자 대상 내용 평가 설문 진행 : 이해관계자 (8명), 자실시도자(14명) - 생명사랑키트 제작 : 데일리 활동팩 (7개), 보호자 가이드라인 (1개) 총 500세트 제작 ② 응급실 종사자 대상 가이드라인 제작 및 보급 - 응급의료종사자 대상 자문 및 인터뷰 진행 : 응급의학과 (3인), 정신 건강의학과 (1인) - 응급의료종사자 대상 생명사랑키트 전달 가이드라인 내용 자문 : 응급의학과(1인), 정신건강의학과(1인) - 생명사랑키트 전달 가이드라인 제작 : 2단 접지 리플릿 (300부) ③ 응급실 관계자 대상 생명사랑 간담회 실시 - 사업 추진을 위한 사전 자문회의: 각기 다른 유형 4기관(정신과 유,무), 총 5인 - 서울시 응급의료지원단 실행회의 : 1회 ④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서비스 디자인 접근방법 활용 시스템 개선 도모 -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개선방안’ 토론회 : 1회, 69명 ⑤ 응급의료센터 및 응급실 자살시도자-정신건강복지센터 연계 활성화 및 협력 강화 - 응급실 종사자 생명지킴이 교육 통한 인식 개선 도모 : 4개 기관, 총 45명 (응급구조사 9명, 의사: 3명, 간호사: 33명)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및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및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4,455,000천원 지원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22,875,000원 지원 집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31,149,190원 집행 변경 및 보완 사유 - 생명사랑키트 제작으로 인한 예산 증가 - 코로나로 인한 대면 서비스의 감소로 자살시도자 등에 대한 대면 개입 및 연계가 감소하였음. - 목표:응급실 의뢰 자살시도자 실인원 수 전년대비 3% 증가 (‘19년 429건) : 2020년 6월 실적이 전년동월대비 진행률 25%로 목표치 하향조정함.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A 2020년 6월 실적이 전년동월대비 진행률 25%로 목표치 하향(107명) 측정 방법 자체조사 (서울시 자치구 월별 자살예방사업 실적) 목표 설정 근거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실적 현황표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응급실 의뢰 자살시도자 실인원수 131명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변경지표] 30.5% [이전지표] 122% 미달성 사유 - 코로나19로 인하여 자살시도자 대면 연계 감소 평가 사업 평가 ○ 2019년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이 진행되었고, 동일한 연구팀과 함께 올해 사업을 진행할 수 있어 전반적으로 소통이나 과정이 원만하게 이루어짐. ○ 코로나19로 인하여 여러 변수가 발생하고 이용자 및 이해관계자 참여의 워크숍이 진행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나, 온라인을 통한 자문과 설문 등을 통해 최대한 이용자와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들을 수 있었음. ○ 올해 개발된 생명사랑키트의 배포를 위한 서울시의 협조 및 서울시 응급의료기관 종사자 대상의 설명회 등의 자리 마련이 필요함. 또한 생명사랑키트 배포 이후 이에 대한 관리 및 효과성 파악 등을 위해 응급의료기관뿐만 아니라 정신건강복지센터 대상의 협조를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고 사료됨. 개선 방향 ○ 생명사랑키트 배포 및 활용 활성화를 위한 서울시 관련 부처 및 서울시 응급의료지원단 대상의 설명회 등을 통해 협력체계 구축마련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 ○ 생명사랑키트의 효과성 연구 및 자살시도자의 사후관리 활성화를 위하여 서울시 소재 응급의료기관 및 정신건강복지센터와의 협력체계 마련이 필요함. ○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자살시도자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사후관리의 필요성 안내를 통해 응급의료기관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7. 지역사회 자살대응 역량강화 세부 사업명 7-13-1.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사업 목적 ○ 종교계, 지역사회 기반 자살예방사업을 위한 업무 연계 및 협력 체계 강화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20년 4월 ~ 12월 실행 2020년 4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경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종교단체(기독교, 불교, 원불교, 천주교), 시민단체, 일반시민 등 실행 종교단체(기독교, 불교, 원불교, 천주교), 시민단체, 일반시민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변경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종교계가 함께하는 살(자)사(랑하자) 프로젝트 지역 활성화 실행 1) 종교계가 함께하는 살(자)사(랑하자) 프로젝트 지역 활성화 ○ 자살의시도자 및 자살유족을 위한 특화사업 및 종교예식 추진 - 특화프로그램(123건/225명), 종교예식(12건/236명) 참석 종교단체별(마음이음예배, 피정, 천도재 등) 특화된 프로그램 진행 ○ 자살의코로나19 관련 우울 및 자살예방 캠페인 추진 - 대면·비대면 캠페인 진행 (340명 / 광고노출 246,053회, 광고클릭 3,609회) 대면 캠페인 : 선포식 및 기자회견, 안내지 배포 비대면 캠페인 : 지인이나 어려운 이웃에게 긍정적인 메시지 전달하기 ○ 지역밀착형 살자사랑하자 거점 종교기관 확대 운영 - 자치구 중심 살사프로그램 활성화 협약(2건), 교육(17건/254명), 간담회(3건/22명), 캠페인(19건/646명) ○ 종교계와 함게하는 살사프로젝트 포럼 추진 - 코로나시대의 생명존중과 종교계의 역할 대면·비대면 실시, 170명 참석 서울시 및 각 종단 축하메시지, 주제토론, 공동선언문 발표, 축하공연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변경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대종단(기독교, 불교, 원불교, 천주교)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대종단(기독교, 불교, 원불교, 천주교) 변경 및 보완 사유 변경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55,000천원 집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55,000천원 변경 및 보완 사유 변경 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A (내용, 수치) 살사프로젝트 참여 기관 생명존중 활동 244건 측정 방법 자체조사(서울시 자치구 실적) 목표 설정 근거 살사프로젝트 추진 중인 종단 내 사업 추진실적을 통해 자치구 사업 전개 확대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살사프로젝트 참여 기관 생명존중 활동 203건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83.2% 달성 미달성 사유 코로나19로 인해 자치구 활성화 프로그램의 실적이 예년에 비해 64.8% 부족함. 전염병 확산 에방을 위해 기관별 대면 네트워크 협력이 어려움 평가 사업 평가 ○ 유관기관과 함께 대면캠페인 (선포식, 기자회견 등)을 실시하여 봄철 자살률의 심각성을 알리는 계기가 됨 ○ 이벤트(가족·지인 등에게 긍정적인 메시지 전달)를 통해 봄철 자살의 심각성 및 예방에 대한 서울시민의 관심을 확산시키고, 코로나19의 장기화의 문제에 대응하여 생명존중 문화를 조성함 ○ 4대 종단만의 특색을 갖춘 프로그램(심리안정, 소속감 상승 등)이 참여자들의 참석률과 만족도를 높임 개선 방향 ○ 많은 시민들과 단체들에게 공유하고 공감할 수 있는 홍보방안 모색 ○ 유튜브, 블로그, SNS 등 활용 등을 통해 더 많은 서울시민들이 참여 할 수 있는 홍보활동 예정 ○ 행정 가이드 제공 및 프로그램 다양성을 위한 안내 필요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대종단(기독교, 불교, 원불교, 천주교)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대종단(기독교, 불교, 원불교, 천주교) 세부 사업명 7-13-2.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사업 목적 ○ 시민참여형 마을 공동체 자살예방사업 체계 마련 및 마을 현안 대응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20년 1월 ~ 12월 실행 2020년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경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생명지킴이, 서울시민 등 실행 생명지킴이, 서울시민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변경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조직 구축 및 교육 모임 활성화 실행 [마음건강주민교육단사업] 1)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실무자 사업설명회 및 워크숍 (총 2회/ 53 명) - 목적 : 마음건강주민교육단의 운영 및 주민 조직화와 건강동동체 이해를 통한 사업 실무의 가이드라인 제공 - 대상 :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 내용 : 사업설명회, 실무자 워크숍 - 방법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사업 설명회, 지역사회기반 건강조직의 필요성, 주민조직화의 이해 및 워크숍 - 기간 : 5월 29일, 8월 7일 2) 마음건강주민교육단 교육활동 ( 총10회/ 324명/ 조회수: 1,446회) - 목적 : 마음건강주민교육단의 교육 및 실천활동을 위한 필수 교육 실시 - 대상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단원, 서울시민, 의료사회적협동조합 - 내용 : 주민협동공동체 가능성, 변화를 위한 주민의 힘, 우울 및 자살에 대한 이해, 우울과 자살에 대한 이해 및 실제, 마음건강교육단 마음건강 안내서 사용지침, 리더(심화)교육 - 방법 : 9회 / 301명/ 조회수: 1,446회 - 기간 : 8월 25일 ~ 11월 13일 3)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실천활동(돌봄활동) - 목적 : 주민이 다른 주민에게 올바른 마음건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 이를 위한 교육 및 실천활동을 전개함. - 대상 : 서울시 10개 자치구(강남구 외 9개구, 서울시 공모사업 참여자치구) - 내용 : 주 1회 정기모임, 독거 위험군 방문활동, 40-50대 실직자 모임 - 방법 : 144명/ 9,701건 - 기간 : 12월 4) 마음건강주민교육단 발대식 및 수료식 (2회/ 200명/ 조회수: 2,035회) - 목적 : 마음건강주민교육단의 목표 확인 및 교육 및 돌봄활동을 독려하고, 그 성과를 기념하기 위함. - 대상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단원 및 지역사회 이해관계자 - 내용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선언문 발표, 수료식, 활동수기 발표, 문화 예술공연 등 - 방법 : 2회 /200명/ 조회수:2,035회 - 기간 : 8월 7일, 12월 4일 변경 및 보완 사유 ○ 마음건강주민교육단의 주요 목표인 교육활동과 조직화 활동을 위한 지원을 활성하기 위함.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대종단(기독교, 불교, 원불교, 천주교)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대종단(기독교, 불교, 원불교, 천주교) 변경 및 보완 사유 변경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13,600,000 원 집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14,221,930 원 변경 및 보완 사유 사업 계획 변경에 따른 필요 지출예산 증액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A (내용, 수치)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주민 모임 조직화 60건 측정 방법 자체조사(서울시 자치구 실적) 목표 설정 근거 서울시 자치구별 공모사업으로 운영함에 따라 성과목표 변경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조직화 수 143건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238% 달성 미달성 사유 해당없음. 평가 사업 평가 ○ 지역사회기반 시민참여형 건강 공동체의 조직화 기반 마련 ○ 매일, 주차별 개인 실천활동 목록을 제시하고 지원함으로써 서울시민의 자기돌봄의 역량강화를 위해 노력함. ○ 서울시민이 우울 및 자살에 대한 교육 및 모임활동을 전개함으로서 정신건강 및 건강의 이해능력(health literacy)를 향상함. ○ COVID19 시기의 비대면 및 소수 대면 지역사회 돌봄 실천활동 전개하여 온·오프라인의 활동을 활발히 함. 개선 방향 ○ 생명지킴이 및 마음건강주민교육단의 지속적인 활동을 위한 보수교육 형태의 교육 운영 필요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운영을 위한 교육 및 활동 컨텐츠 내용 최신화 추진 담당자 계획 생명지킴이, 서울의료사회적협동조합, 서울시민 등 실행 생명지킴이, 서울의료사회적협동조합, 서울시민 등 우수활동사례 [지역사회 자살대응 역량강화]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사업취지 - 서울특별시의 자살예방을 위하여 서울시민이 직접 참여하여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 문화조성을 위한 시민활동을 실시하는 자발적인 시민 모임 - 대표적인 활동으로 마음건강을 주제로 하는 교육활동 실시 - 캠페인 등의 지역사회 활동,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방문활동 등 돌봄활동 등의 실천활동 실시 사업기간 2020년 5월 ~ 12월 사업목표 - 서울시민의 자살예방과 마음건강을 주제로 생명존중문화조성과 인식개선을 목표로 하는 주민공동체 형성 - 자치구 자살예방사업과 함께하며, 교육을 통해 마음건강의 이해력이 높아진 주민이 또 다른 주민이 마음건강 이해력 증진 주요사업 내용 개인실천활동 ? 모임활동 ? 실천활동 ? 교육활동 100일 생명사랑실천활동 (S생명지기 홍보, 다다기가, 캠페인, 모임활동 등) 주 1회 정기모임을 통한 토론 및 교육활동 실시 캠페인, 지역신문 기고, 간담회, 유튜브 운영 등 주민강좌 개최, 교육활동, 유가족 당사자 가족 초청 등 ① 개인실천활동 : 카카오톡 오픈채팅을활용하여 100일간의 생명사랑 실천활동을 전개. 각 데일리 미션 주제를 부여하여 개별수행하고 인증하는 형태 ② 모임실천활동 : 모임활동 - ① 주1회 마주단 정기모임 : 실천활동 - ② 정기적인 온오프라인 생명사랑 캠페인, ② 생명사랑 주제 지역신문 기고 및 문집 제작, ④ 지역사회 연대 생명사랑 간담회 개최, ⑤ 유튜브 방송 개설 및 주민 참여방송 운영 : 교육활동 - ⑥ 우울 및 자살주제 주민강좌 개최, ⑦ 생명지킴이 교육 확대, ⑧ 유가족 등 당사자 초청 강의 ③ 마주단 운영 자치구 : 11개 자치구 / 144명 세부추진 내용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추진배경 - 약 8만명에 달하는 생명지킴이의 교육 이후의 지역사회 실천활동으로의 필요성 대두 - 일상생활에서의 자살예방활동으로서 정신건강과 개인의 건강을 위한 하나의 시민참여 건강공동체 활동으로 시작(포괄적 자살예방 대책으로서의 좋은 사례: 서울 강서구 등) - 자립과 자조를 기반으로 지역사회 자살예방 현안에 대한 개인의 이해관계부터 지역사회 문제 해결까지의 주도적 생명존중문화조성 과정으로서의 모임 - 이를 위한 자살예방 및 건강 이해능력 향상을 위한 우울 및 자살예방에 대한 교육활동이 강조됨. 모임활동(배움) ? 교육활동(성장) ? 실천활동(변화) ? 서로도움(신뢰) 공동체회복 우리 마을 현안 다루기 소속감 및 결속력 교육을 통한 편견해소 올바른 정보 전달 성찰과 리더쉽 형성 성찰과 책임감 학습 실천활동의 의미 탐색 지역사회 기여 대화와 토론 역할분담 자발적이고 적극적 활동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주요 과정 ? (참여 자치구-단체) 서울시 10개 자치구 참여: 강남구, 강북구, 구로구, 금천구, 도봉구, 동작구, 동대문구, 마포구, 양천구, 영등포구, 서울시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성동희망나눔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조직화) 11개 조직, 총 165명 참여 ? (모임유형: 주민 주도의 리더를 통한 주민모임 조직화) - 강남구: 주민관계 맺기 활성화, 주민 모임 내 리더 선출을 통한 주민주도모임 운영 - 강북구: 13개 동 대표 선출, 동별 간담회 실시, 동별 높은 지역 이해도를 통한 실천 활동 - 금천구: 심리상담가 등 전문가 자격의 주민을 선발하여 주민 대화 활성화 사업 - 영등포구: 지역 유관기관을 통해 모집하여 리더를 통한 모임활동을 주도하고 주민지도력을 형성 (모임유형: 건강과 자립의 목적은 둔 기조직을 활용한 주민모임 조직화) - 구로구: 기존 자원봉사자 등(기조직)을 활용한 활발한 모임구성 - 성동구: 3개 내외의 기조직 모임을 활용한 자발적인 모임활동 실시 (모임유형: 주민관계 맺기를 통한 주민모임 조직화) - 도봉구: 사업설명회 실시, 직접 모집을 통한 주민 대화 및 주민 관계 맺기 등 매개체 활용한 사업 운영, 지역주민 기반 활동 활성화 - 동대문구: 사업설명회 실시 및 직접 모집을 통한 주민 대화와 소통 등의 모임 활성화 - 동작구: 생명지킴이 및 생명지킴활동가 등의 기존 활동가들을 통한 모임활동 활성화 - 마포구: 생명지킴이, 생명지킴활동가 등의 지역자원을 활용한 주민 조직화 - 양천구: 학생으로 구성된 학교 기반 모임활동으로 주민 관계 맺기 노력 ? (교육: 정신건강 및 건강이해능력 향상) 주민강좌 개최, 생명지기 교육 확대, 유가족 초청 강연 ? (실천활동: 생명존중 문화확산을 위한 인식개선) 온·오프라인 캠페인, 생명사랑 주제 지역신문 기고 및 문집제작, 유튜브 방송 개설 및 주민참여 방송 운영 ? (지역사회 실천활동: 취약계층 돌봄지원) 1인가구 및 독거위험군 돌봄지원 ? (지역사회 네트워크) 각 자치구 별 2~20개의 지역사회자원을 주민주도 자살예방사업에 참여시킴. □ 주요사업 내용 ①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컨텐츠 제작 및 최신화 · 웹진 제작 : 모임활동에서 활용할 교육 자료와 활동지 제공 - 시기: 2020년 10월 ~ 12월 - 내용: 웹진 활용방법, 마음열기(warming-up), 마음건강(정신건강 교육자료), 마음공유(교육자료에 대한 활동지), 소식지 등 · 시민주도 생명사랑 실천전략 공개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실천전략 공개 - 시기: 2020년 11월~ 12월 - 내용: 생명사랑 실천활동(마음건강주민교육단 활동 수기 영상 등) · 마을 아카데미 운영 : 마음건강을 주제로 마을 아카데미 운영 - 시기: 2020년 11월~12월 - 내용: 코로나 우울 및 자살예방 외 9건 ②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실무자 사업설명회 및 워크숍 (총 2회/ 53 명) - 목적 : 마음건강주민교육단의 운영 및 주민 조직화와 건강 동동체 이해를 통한 사업 실무의 가이드라인 제공 - 대상 :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 내용 : 사업설명회, 실무자 워크숍 - 방법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사업 설명회, 지역사회기반 건강조직의 필요성, 주민조직화의 이해 및 워크숍 - 기간 : 5월 29일, 8월 7일 ③ 마음건강주민교육단 교육활동 ( 총10회/ 324명/ 조회수: 1,446회) - 목적 : 마음건강주민교육단의 교육 및 실천활동을 위한 필수 교육 실시 - 대상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단원, 서울시민, 의료사회적협동조합 - 내용 : 주민협동공동체 가능성, 변화를 위한 주민의 힘, 우울 및 자살에 대한 이해, 우울과 자살에 대한 이해 및 실제, 마음건강교육단 마음건강 안내서 사용지침, 리더(심화)교육 - 방법 : 9회 / 301명/ 조회수: 1,446회 - 기간 : 8월 25일 ~ 11월 13일 ④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실천활동(돌봄활동) - 목적 : 주민이 다른 주민에게 올바른 마음건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 이를 위한 교육 및 실천활동을 전개함. - 대상 : 서울시 10개 자치구(강남구 외 9개구, 서울시 공모사업 참여자치구) - 내용 : 주 1회 정기모임, 독거 위험군 방문활동, 40-50대 실직자 모임, 지; - 방법 : 144명/ 9,701건 - 기간 : 12월 ⑤ 마음건강주민교육단 발대식 및 수료식 (2회/ 200명/ 조회수: 2,035회) - 목적 : 마음건강주민교육단의 목표 확인 및 교육 및 돌봄활동을 독려하고, 그 성과를 기념하기 위함. - 대상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단원 및 지역사회 이해관계자 - 내용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선언문 발표, 수료식, 활동수기 발표, 문화 예술공연 등 - 방법 : 2회 /200명/ 조회수:2,035회 - 기간 : 8월 7일, 12월 4일 성과 ○ 정신건강 및 자살예방을 주제로 시민이 자신의 생활 속에서 자살예방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참여하여 시민이 주도하는 자살예방 사업의 토대를 마련함. ○ 자살예방에 대한 올바른 정보 이해 증진(literacy) 및 정보전달을 통한 생명존중문화조성 활동으로 편견 해소를 위해 노력함. ○ 돌봄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자살예방 및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적 지지체계로서 기능하는데 기여함. ○ 대화와 참여 등 주민이 직접 참여함으로서 자신의 지역 내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공론화하거나 지역에 적합한 맞춤형 생명존중 활동을 전개함. ○ 마음건강주민교육단사업 추진 결과 ▲건강을 주제로 하는 자발적인 주민주도의 자살예방 활동 초석마련 ▲ 마음건강에 대한 이해 증진 및 정보전달을 통한 생명존중 이해능력 증진 ▲지역사회 취약계층 돌봄을 위한 지역내 지지체계 마련에 기여하여, 지속적인 사업 운영이 필요함. 세부 사업명 7-14.1차 의료기관 자살예방 역량강화 사업 목적 ○ 보건소·의료기관 이용자 중 자살고위험군 및 우울증 조기발굴 및 개입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20년 1월 ~ 12월 실행 2020년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경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보건소 및 의료기관 이용대상자, 일반시민 등 실행 보건소 및 의료기관 이용대상자, 일반시민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변경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보건소 이용 대상자 중심 우울증 및 자살스크리닝 강화 ○ 지역사회 의료기관 자살고위험군 발굴체계 강화 실행 ○ 보건소 이용 대상자 중심 우울증 및 자살스크리닝 강화 - 보건소 진료대상자 우울증 및 자살 스크리닝을 통한 자살고위험군 발굴 진료대상의 PHQ-9 검사자 수 : 7,412명 PHQ-9 검사자 중 우울증 위험자 수 : 1,262명 PHQ-9 위험자 중 MINI-Plus 위험자 수 : 538명 자살 위험자 중 보건소 자살예방 전담요원 의뢰자 수 : 277명 전담요원 의뢰자 중 생명지킴활동가 유입자 수 : 10명 우울증 위험군 중 전담요원 상담자 수 : 545명 - 우울증으로 확인된 대상자에게 자살위험성 문진 (역할 : 진료의사) - 의뢰된 자살위험 주민은 방문 위기상담 (역할 : 전담요원) - 잠재 및 저위험군 지역사회 내 관리 위한 돌봄활동 (역할 : 생명지킴활동가) ○ 지역사회 의료기관 위험군 발굴체계 강화 - 우울증 및 자살스크리닝 확대를 위한 자치구-의료기관 간 업무협력 확대 변경 및 보완 사유 변경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생명지킴활동가(생명이음청진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생명지킴활동가(생명이음청진기) 변경 및 보완 사유 변경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없음 집행 없음 변경 및 보완 사유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A (내용, 수치) 1차 의료기관(보건소 포함) 진료대상자의 PHQ-9 검사건 수 50,831 건-> 전년동월 대비 진행률 10%로 목표 하향(4,841 건) 측정 방법 자체조사(서울시 자치구 실적) 목표 설정 근거 공공 보건서비스 외 1차 의료기관에서 우울증 및 자살 스크리닝 확대를 통한 위험군 발굴을 증가시키고자 설정함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1차 의료기관(보건소 포함) 진료대상자의 PHQ-9 검사건 수 7,412건 달성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153% 달성 변경사유 코로나19로 인해 보건소 업문전환으로 사업수행 어려움 목표:1차의료기관(보건소 포함) 진료대상자의 PHQ-9 검사건수 5% 증가(’19년 48,411건), 2020년 6월 실적이 전년동월대비 진행률 10%로 목표치 하향조정함.(4,841 건) 평가 사업 평가 ○ 본 사업의 경우 전반적으로 보건소 이용 대상자에게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영역의 고위험군 발굴에 한계가 있으며, 진료업무 중에 의사의 협조를 이끌어내기 어려운 부분도 있음 ○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모든 보건소가 선별검사 및 진료를 통해 사업진행이 어려움이 있었음 개선 방향 ○ 1차 의료기관을 통해 발굴된 잠재 및 자살 저위험군 관리를 위해 보건소 자살예방 전담요원을 거쳐 생명지킴활동가들을 활용하여 연결되고 있으나 좀 더 적극적인 사업활성화 방안 모색 필요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생명지킴활동가(생명이음청진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생명지킴활동가(생명이음청진기) 세부 사업명 8-15.지역사회기관·정신건강유관기관 의뢰체계 활성화 사업 목적 지역사회기관, 정신건강 유관기관들과의 상호교류와 자원개발을 통하여 중증 정신질환자 발굴 및 의뢰율 향상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20년 1월 ~ 12월 실행 2020년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자살의시도자, 정신질환자, 25개구 정신건강복지센터, 보건소, 동 주민센터, 경찰, 소방, 다산콜센터(120), 보건복지콜센터(129), 구청, 의료기관, 정신건강유관기관, 지역사회복지관, 학교 실행 자살의시도자, 정신질환자, 25개구 정신건강복지센터, 보건소, 동 주민센터, 경찰, 소방, 다산콜센터(120), 보건복지콜센터(129), 구청, 의료기관, 정신건강유관기관, 지역사회복지관, 학교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자살고위험군 유관기관과 의뢰체계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 추진 ○ 지역사회기관·정신건강유관기관 이용자 및 실무자 대상 정신건강복지센터 서비스 안내 및 의뢰방법 교육 ○ 지역사회기관·정신건강유관기관 통합사례회의 및 간담회 진행 ○ 1577-0199를 통한 자살의시도자 위험성 평가 및 개입 후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연계 실행 ○ 자살고위험군 유관기관과 의뢰체계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 추진 ○ 지역사회기관·정신건강유관기관 이용자 및 실무자 대상 정신건강복지센터 서비스 안내 및 의뢰방법 교육 - 자치구 자살예방 실무자 교육 연번 일자 제목 참여인원 1 4.9(목) 신규 실무자 원데이 워크샵(상반기) 48명 2 11.18(수) 신규 실무자 원데이 워크샵(하반기) 20명 3 4.23(수)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교육 88명 4 연중 찾아가는 지역사회 자살유족서비스 교육 6회/ 81명 5 연중 자살유족 사례 수퍼비전 4회/37명 ○ 지역사회기관·정신건강유관기관 통합사례회의 및 간담회 진행 ○ 1577-0199를 통한 자살의시도자 위험성 평가 및 개입 후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연계 - 기관종사자별 연계 실적 행정기관 주민자치센터 보건소 경찰 소방 다산콜센터 보건복지콜센터 구청 기타 31 28 2,280 202 79 8 24 196 의료기관 (개인)의원 정신전문병원 대학병원 종합병원 국공립병원 2 4 20 9 5 정신보건기관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주거시설 입소시설 정신요양시설 기타 1,188 16 1 2 1 21 지역사회기관 지역사회복지관 학교 아동,청소년복지기관 노인복지기관 장애인복지기관 부랑 및 노숙인 복지기관 기타복지기관 기타 10 33 11 1 2 6 11 28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의료기관 및 경찰, 소방 등 유관기관 실행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의료기관 및 경찰, 소방 등 유관기관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예산없음 집행 예산없음 변경 및 보완 사유 해당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A 연계기관 고위험군 의뢰건수(전년대비 1.5% 증가) 측정 방법 `MHIS 데이터 분석 ※ 의뢰건수 추출방법: MHIS 접수상담대장 내 자살상담?초기상담-제공제공자(기관종사자:의료기관,지역사회기관, 행정기관) 건수 ※ 목표달성 평가방법: {20년 유관기관 고위험군 의뢰건수/(19년 유관기관 고위험군 의뢰건수1.5)} 100 목표 설정 근거 다양한 지역사회기관 및 정신건강 유관기관간 의뢰체계 활성화로 자살고위험군 외부 유입 증대 도모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연계기관 고위험군 의뢰건수 4,219건 (전년대비 32.6% 증가) : 3,181건 (19년) → 4,219건(20년)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127.5% 달성 미달성 사유 해당사항 없음 평가 사업 평가 ○ 다양한 지역사회 유관기관들과의 상호 협력 및 지원 활동을 통하여 자살고위험군 발견 및 의뢰 활성화에 기여 ○ 광역단위에서 청소년(서울시교육청), 청년(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중장년(50+센터, 서울광역자활센터), 자살수단통제(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서울지부), 주거(서울도시주택공사), 이주민(한국이주민건강협회) 영역등 다양한 유관기관들과의 MOU 체결을 통하여 실질적 사업 수행을 위한 협력체계가 구축되었으며, 여러 사회적 이슈와 맞물려 자살 고위험군 발견 활성화로 연결됨. 개선 방향 ○ 향후에도 광역단위에서 대표적인 지역사회 유관기관과의 지속적인 MOU 체결을 통하여, 자살고위험군 의뢰체계 마련 및 기타 사업수행을 위한 보다 긴밀한 협력체계구축을 강화해야할 것으로 보임.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의료기관 및 경찰, 소방 등 유관기관 실행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의료기관 및 경찰, 소방 등 유관기관 8. 정신건강 인프라 강화 세부 사업명 8-16.공공 정신건강서비스 기능 확대 사업 목적 ○ 지역사회 자살예방사업 환경조성 및 전문성 강화를 통한 공공 정신건강서비스 기능 확대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20년 1월 ~ 12월 실행 2020년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경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센터 등 실행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센터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변경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지역사회 자살예방사업 전담인력 전문성 향상 ○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환경조성 실행 ○ 지역사회 자살예방사업 전담인력 전문성 향상 - 자치구 보건소 자살예방사업 전담인력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 및 자문회의 신규 실무자 1Day 워크샵 : 2회 실시(유튜브, ZOOM이용) / 68명 참석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교육 : 1회 실시(유튜브) / 88명 참석 ○ 자살예방포럼 - 목표: 다학제포럼 및 매월 정기적인 생명사랑 서울포럼 개최를 통해 시민 또는 자치구 자살예방 실무자들의 사업에 대한 최신 동향 및 사업수행실무사항 공유, 다양한 분야별 학습을 통하여 역량 강화 및 자치구 사업 수행을 지원함. - 참석자 : 총 399명(실인원) - 일정 및 내용 회 일시 주제 강사 장소 인원(명) 1회 01월 30일 1. 2020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주요사업 공유 2. 2020 서울시 민간영역의 자살예방사업 이해 3. 서울시자살예방계획 안내 및 경청 4.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소개 및 의견나눔 강연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김현수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서울시보건의료정책과 tv조선 라온홀 55 2회 03월 24일 1. 공공주택에서의 자살예방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 사례와 모색 2. 자살예방사업에서의 MHIS활용 안내 3. 2020년 봄 자살예방 및 감소 전략 이승지 (카톨릭대 도시환경공학과) 진희정 (서울시자살예방센터) 김현수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온라인 96 3회 04월 28일 1. 2019년 경찰청 자살사망 통계를 기반으로 한 통계분석 2. COVID19,감염병판데믹(대유행)시기의 자살에 대한 이해 3. 4-5월 봄철 자살예방캠페인 전략 박건우 (서울대 보건대학원) 김현수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진희정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온라인 57 4회 05월 26일 1. 코로나19 이후 실업과 자살 2. 코로나19 이후 서울시민의 외로움 개입 전략 3. 코로나블루 자살예방 특별대책 소식 및 공유 박건우 (서울대 보건대학원) 신인철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김현수(서울시자살예방센터) 온라인 48 5회 06월 23일 1. 자살고위험군을 위한 조기발굴 전략 2. 청년 여성 자살현황과 대책 3. 청년 남성 자살현황과 대책 채수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숙랑 (중앙대학교적십자간호대학) 박건우 (서울대보건대학원) 온라인 31 6회 07월 28일 1. 비대면 서비스의 가능성과 한계 2. 청년 자살 위험성과 대책 3. 서울시 청년정책과 자원분포 이기연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박건우 (서울대보건대학원) 김수빈 (서울청년활동지원센터) 온라인 30 7회 09월 22일 1. 청년의 자살 위험성과 대책Ⅰ 2. 청년의 자살 위험성과 대책Ⅱ 3. 청년의 자살 위험성과 대책Ⅲ 조성일 (서울대보건대학원) 박건우 (서울대보건대학원) 김현수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온라인 26 8회 10월 27일 1. 중장년 여성 자살 현황과 대책 2. 중장년 자살고위험군을 위한 사회서비스는 무엇인가 박건우 (서울대보건대학원) 황순찬 (성공회대 사회복지학과) 온라인 15 9회 11월 24일 1. 노인과 자살 2. 노인 자살현황과 대책 3. 노인 독거 자살고위험군을 위한 사회서비스는 무엇인가 박건우 (서울대보건대학원) 송후림(명지병원) 정인애 (서울시립강서노인복지관) 온라인 21 10회 12월 22일 1. 자살예방을 위한 자료 활용 방안과 빅데이터 구축 전략 조성일 (서울대보건대학원) 온라인 20 변경 및 보완 사유 변경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변경 및 보완 사유 변경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7,075,000 원 집행 13,377,400원 변경 및 보완 사유 변경 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A (내용, 수치) 실무자 역량강화 교육 건 수 1.5% 증가(10회) 측정 방법 자체조사(서울시 자살예방전담인력 교육, 포럼, 세미나 건수) 목표 설정 근거 지역사회 자살예방사업 환경조성 및 전문성 강화를 통한 공공 정신건강서비스 기능 확대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자살예방전담인력교육 및 월례포럼 (13회 / 555명)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130% 미달성 사유 코로나바이러스19 확산으로 인해 교육이 어려워 참여자 수 낮음 평가 사업 평가 ○ 비대면 형식으로 진행되어 참여율을 높이고 다양한 이벤트를 활용하여 참석자들의 집중도를 높였음. 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으나 비대면 온라인 교육을 처음 접해보는 참여자들이 많아 안내드리는 부분 및 적응하는 것에 대한 만족도는 다소 낮은 것으로 평가됨. ○ 온라인 교육임에도 불구하고 이탈자 없이 높은 참여율을 보임. 서울시 자살예방사업의 전반적인 설명을 통해 실무자들의 업무 이해도를 높였으나 몇몇 참석자들은 매뉴얼과 기준이 완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교육이 진행되어 불만족을 표현 ○ 생명사랑 서울포럼의 경우 현안에 맞는 주제를 선정하여 교육을 진행함으로써 현장 실무자의 만족도가 높았음. COVID19로 인한 코로나 블루를 비롯하여, COVID19 이후 실업과 자살, COVID19 이후 서울시민의 외로움 개입전략, COVID19 이후 청년 여성, 남성의 자살현황과 대책과 같은 실무자들에게 필요할 수 있는 내용들을 중심으로 강의를 진행하였음. 개선 방향 ○ 참석자들의 비대면 참여 방법에 대한 이해도가 상이하여 자세한 안내가 필요함 ○ 실적이나 매뉴얼에 대해 관련기관과 합의된 기준 안내 제시 필요. 소속기관에 따른 대상군 분리교육 실시 예정 ○ 생명사랑 서울 포럼의 경우 기존 학술적 내용 우선의 포럼 운영에서 실무자 간 정보 교류 및 사례 및 실무에 대한 내용을 강화하여 운영 할 계획임.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9. 생명지킴이 교육 등 자살예방 인력 확충 세부 사업명 9-17.생명지킴이 양성 사업 목적 ○ 생명지킴이를 양성·관리함으로써 지역사회에서의 자살위험 징후 조기발견·의뢰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20. 1월 ~ 12월 실행 2020.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초·중·고 교원, 구청 및 보건소 공무원,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등 실행 초·중·고 교원, 구청 및 보건소 공무원,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생명지킴이 양성체계 강화 및 관리체계 활성화 ○ 시민활동가 조직화 및 재구성 실행 ○ 생명지킴이 양성체계 강화 및 관리체계 활성화 - 생명지킴이 교육 교직원, 지역사회 사회복지서비스 실무자, 종교기관 및 단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통장 등 지역사회 풀뿌리 조직 대상 교육 실시 보건복지부 인증 생명지킴이 교육 : 대면 총 169회 5,375명 비대면 총 4,792명 - 매월 자치구별 생명지킴이의 날 운영 : 1,535회 8,057명 - 생명지킴이 교육 강사양성교육 : 총 3회 28명 - 생명지킴이 교육 콘텐츠 업데이트 작업 : - 생명지킴이 관리체계 활성화 생명지킴이 온라인 관리시스템 데이터센터 이관 작업 실시 매월 유지관리 지속, 자치구 문자발송 지원 - 비대면 생명지킴이 교육 ‘S-생명지기’ 개발 코로나바이러스19로 인해 대면교육이 어려워져, 누구든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비대면 교육 ‘S-생명지기(기초과정, 교사편)’을 개발하여 다양한 교육채널을 통해 보급함 S-생명지기 참여 현황 번호 교육 채널 수료인원(명)/조회수(회) 기초과정 교사편 1 서울시 비대면 자살예방교육 플랫폼 5,860명 1,015명 2 서울시 평생학습포털 13명 6명 3 서울시 공무원 인재개발원 e-러닝 12월 탑재 미탑재 4 유튜브 ‘생명사랑 마음이음 방송’ 3,164회 952회 ○ 시민활동가 조직화 및 재구성 - 생명지킴이 중 적극적인 자살예방활동에 참여할 시민을 조직하여 생명지킴활동가로 양성 - 생명지킴활동가 매뉴얼 제작 및 배포 제작 및 배포 : 총 400부 제작, 25개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배포 교육매뉴얼 내용 : 서울시 지역사회기발 자살예방사업, 생명지킴활동가 운영체계, 행정처리와 개인정보관리, 의사소통과 상담기술, 사례슈퍼비전 등 - 생명지킴활동가 교육 : 총 9회, 187명 양성 - 생명지킴활동가 활동 준사례관리 : 활동인원 1,995명 / 저위험군 상담 14,354건 생명이음청진기 : 참여 의료기관 95개 / 1차 검사자 수 7,412명 희망판매소 : 참여 업소 1,115개 / 판매소 모니터링 수 3,667건 유해환경감시단 : 언론보도 모니터링 41건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교육지원팀 실행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교육지원팀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8,106천원 집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8,106천원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A 생명지킴이 교육 이수자수 2.5% 증가 (28,134명) 측정 방법 자체조사(자치구 생명지킴이 교육 실적) 목표 설정 근거 ○ 전년도 자치구 보건복지부 인증프로그램 생명지킴이 교육 실적을 기준으로 생명지킴이 양성 수 확대를 목표로 함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생명지킴이 교육 이수자수 22.8% 감소 (‘20년 25,980명 : 생명지킴이 10,167명 + S-생명지기 수료 6,894명, 유튜브 4,116명) (‘19년 27,448명)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92% 미달성 사유 코로나바이러스19 확산으로 인해 대면교육이 어려워 참여자 수 낮음 평가 사업 평가 ○ 생명지킴이 교육 프로그램명 ‘생명지기’ 브랜드화를 통해 서울시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의 인지도 향상 및 생명지킴이 양성 수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함. ○ 코로나바이러스19로 인해 집합교육이 어려워져 비대면 또는 소규모 교육이 진행되여 생명지킴이 양성 및 생명지킴활동가 활동이 감소함 개선 방향 ○ 비대면 교육 활성화를 위한 자치구 대상 다양한 방법안내 및 비대면 교육 개발 등의 지원 필요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교육지원팀 실행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교육지원팀 우수활동사례 코로나시대 비대면 온라인 생명지킴이 교육 콘텐츠 ‘S-생명지기’ 개발 및 활용 사업취지 - 코로나19의 환경적 변화로 인한 대면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온라인 생명지킴이 교육 콘텐츠 ‘S-생명지기' 개발함 - 서울시민 및 자살위험군, 취약계층 등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자살예방 관련 민?관기관과 협약 및 협력 실시함 - 교육플랫폼을 통한 수료증 발급, 유튜브 채널을 통한 홍보, 국민은행, 대학교 등의 자체 플랫폼에 S-생명지기 탑재를 통한 활성화 진행 사업기간 2020년 7월 ~ 12월 사업목표 코로나시대 비대면 온라인 생명지킴이 교육 콘텐츠 개발을 통하여 접근성을 높이며, 영상 시청으로도 생명지킴 활동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함. 주요사업 내용 온라인 교육 콘텐츠 기획 및 제작 ? 교육 플랫폼 구축 S-생명지기 개발 ? 온라인 플랫폼 홍보 및 활용 안내 ? S-생명지기 활용을 위한 협약 실시 서울형 생명지킴이 교육 ‘생명지기’를 활용한 영상 콘텐츠 기획 S-생명지기 탑재를 위한 교육 플랫폼 구축 http://edu.suicide.or.kr S-생명지기(기초과정) S-생명지기(교사편) 교육플랫폼(수료증 발급) 유튜브 채널(영상시청) 자살예방 유관기관 홍보, 활용을 위한 안내서 제작 희망의친구들 : 다국어 S-생명지기 제작 협약(미얀마어, 중국어, 네팔어 제작) 서울시교육청 : 교사편 홍보를 위한 협약 KB국민은행 : 전직원 시청(자체플랫폼 탑재) 인덕대학교 : 대학생 자살예방을 위한 협약 ① 온라인 비대면 생명지킴이 교육 'S-생명지기‘ 참여현황 교육 채널 합계 S-생명지기 기초과정 S-생명지기 교사편 서울시 비대면 자살예방교육 플랫폼 6,894명 5,873명 1,021명 유튜브 ‘생명사랑 마음이음 방송’ 4,116건 3,164건 952건 합계 11,010건 9,037건 1,973건 (2020년) ② S-생명지기 참여 이벤트 기간 이벤트 명 이벤트 내용 참여자 당첨자 상품 9/1 ~ 9/30 S-생명지기 소문내기 S-생명지기 학습 후 플랫폼 내 학습후기 작성 266명 169명 S-생명지기 굿즈 11/1 ~ 11/15 가을맞이 생명사랑챌린지 S-생명지기 학습 후 SNS에 인증 글 게시 13명 10명 커피쿠폰, 방석, S-생명지기 굿즈 세부추진 내용 ① 온라인 교육 콘텐츠 기획 및 제작 - S-생명지기(기초과정) 개발 및 배포 선행연구 분석 (7월) ▶ 온라인 교육 플랫폼 개발 ▶ 런칭 컨퍼런스 (9월1일) ▶ 시범운영 및 수정보완 (9월) ▶ 대시민 홍보 (10월) (7월 ~ 8월) 교육 동영상 개발 - S-생명지기(교사편) 개발 및 배포 선행연구 분석 (9월) ▶ 온라인 교육 플랫폼 개발 ▶ 제작완료 시연회 (11월3일) ▶ 시범운영 및 수정보완 (11월) ▶ 대시민 홍보 (11월) (9월 ~ 10월) 교육 동영상 개발 - 코로나19로 인하여 대면교육의 어려움 발생.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작을 위한 기획 진행 - S-생명지기(기초과정) 20분으로 제작, S-생명지기(교사편) 15분으로 제작 - 교육영상 탑재를 위한 교육 플랫폼 구축 필요 ② 교육 플랫폼 구축 S-생명지기 개발 온라인 교육 플랫폼 홈페이지 교육 수료 후 수료증 S-생명지기(기초과정) S-생명지기(교사편) - 서울시자살예방 교육 플랫폼 http://edu.suicide.or.kr 구축 - S-생명지기(기초과정) 합본편, 분할편 탑재, S-생명지기(교사편) 탑재 - S-생명지기(기초과정)에는 자살시도자, 자살유족, 생명지킴이가 촬영에 협조해주어 주요 메시지 전달이 용이 - 교육플랫폼을 통한 교육 수료 시 수료증 제공(인쇄, 파일 다운로드 가능) ③ 온라인 플랫폼 홍보 및 활용 안내 - 온라인 생명지킴이 교육 콘텐츠 S-생명지기 홍보 및 플랫폼 탑재 구분 내용 비고 서울시 비대면 자살예방교육 플랫폼 - 8월 자체 교육 영상 플랫폼 구축완료 - 9월 ‘S-생명지기(기초과정)’ 탑재 - 11월 교사편 탑재 - 플랫폼 방문자 12,354명 - 회원 7,573명 가입 - 기초과정 5,860명, 교사편 1,015명 수료 서울시 평생학습포털 - 서울시평생학습포털 https://sll.seoul.go.kr/ (시민교육>법/제도>법/제도) - 플랫폼 영상 업로드를 위한 논의 - 12월 ‘S-생명지기(기초과정/교사편)’ 탑재 - 기초과정 13명, 교사편 6명 수료 서울시 공무원 인재개발원 e-러닝 - 서울시 인재개발원 https://hrd.seoul.go.kr/ (MOOC) - 생명지킴이_1차시_S-생명지기 - 12월 ‘S-생명지기(기초과정)’ 탑재 유튜브 ‘생명사랑 마음이음 방송’ - 유튜브 채널 ‘생명사랑 마음이음 방송’ https://www.youtube.com/watch?v=m3J9ZI1NFrw - 10월 ‘S-생명지기(기초과정/교사편)’ 업로드 - 기초과정 3,164회, 교사편 952회 KB국민은행 - 국민은행 전 직원(17,000여명)의 생명존중 교육을 위한 영상 요청 협의 진행 - 영상제공을 통한 자체플랫폼 탑재 - 정기적인 영상 이수자 확인 진행 - 서울시사회복지관협회(http://www.saswc.org/support/244266)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상담개발원 (http://www.kbcd.org/bbs/board.php?bo_table=board_04&wr_id=4646) - 서울시COVID19심리지원단(http://covid19seoulmind.org/prescription/4582/) - LifeHope기독교자살예방센터(http://covid19seoulmind.org/prescription/4582/) - 인덕대학교(https://jjam.induk.ac.kr/ko/program/all/view/373/description) - 양천구청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yangcheongu/posts/4043362652352419) -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S-생명지기 홍보 실시 ④ S-생명지기 활용을 위한 협약 실시 - 희망의친구들 : 다국어 S-생명지기 제작 협약(미얀마어, 중국어, 네팔어 제작) - 서울시교육청 : 교사편 홍보를 위한 협약 - KB국민은행 : 전직원 시청(자체플랫폼 탑재) - 인덕대학교 : 대학생 자살예방을 위한 협약 성과 ○ 코로나19로 인하여 대면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S-생명지기를 개발하고 배포하여 25개 자치구와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등에서 활용가능한 콘텐츠 제공. ○ 다양한 플랫폼을 통한 홍보전략을 통하여 영상이 필요한 시민들과 자살위험군에게 노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임. ○ 영상 제공을 통한 자채 교육 플랫폼 등을 활용하여 지속적인 영상 시청 및 확인이 가능함. 세부 사업명 10-19.자살 추적관찰 체계 구축 사업 목적 지역사회 자살사망자 현황 파악 및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지역사회 맞춤형 자살예방사업의 근거 마련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20. 1월 ~ 12월 실행 2020.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서울시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보건대학원) 등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서울시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보건대학원)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서울시 자살사망자 현황 분석 - 통계청·경찰청 자살사망자 통계 현황 분석 및 관련 DB 구축 - 관련 DB 비교분석을 통한 자살사망자 통합 관리체계 구축 ▷ 서울시 자살예방사업 근거마련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 빅데이터를 통한 사회경향 조사 분석 - 다양한 정보망 데이터 분석 및 지원 실행 1) 서울시 자살통계 분석 및 보고서 제작 - 전문 연구 기관과의 업무 협약을 통해 자살사망 통계 등의 전문적 분석을 실시하여 자살예방사업 계획 수립의 필요한 근거 중심의 기초자료를 제공 (6회) 제목 형태 청년 남성 자살 현황과 대책 분석 데이터, PPT 형태 분석보고서 30대 자살 현황과 대책 중장년 자살 현황과 대책 노인층 자살 현황과 대책 청소년 자살 현황과 대책 연령별 자살 현황 및 대책 2) 자살예방 자문팀 정기회의 - 서울형 자살예방 정보망 자무위원 위촉 및 강의 요청하였으며, 연구주제를 세분화 하여 연구결과에 대한 논문화 절차 사전 점검 실시 (2회) 3) 자살예방 계획 가이드라인 개발 - 자살예방 계획 수립 매뉴얼 개발 및 자살 관련 통계 자료를 분석하고 자치구에 제공함으로서 월간-연간의 정기적이고 시의성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 (14회) 내용 시기 건수 ■ 2020년 서울시 지역사회기반자살예방사업 매뉴얼 · 서울시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개요 · 서울시 지역사회 기반 자살예방사업 업무안내 ·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사업 소개 5월 1건 ■ 국가자살동향시스템 서울시 자살사망현황 월간보고 · 서울시 및 자치구의 자살사망 현황 분석 내용 매월 30일 12건 ■ 서울시 자살사망현황 연간 보고 · 서울시 2015~2019년 자살사망 현황 분석 내용 12월 23일 1건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서울시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보건대학원) 등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서울시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보건대학원)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자살예방 근거생성 지원사업 14,221,930원 지원 집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14,221,930원 집행 변경 및 보완 사유 해당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A ○ 목 표 : 자살통계 데이터 분석 6건 측정 방법 ○ 자살사망 통계 분석 건수 목표 설정 근거 ○ 자살사망 관련 데이터 분석을 통한 서울시 자살현황 파악 및 DB구축 ○ 자살사망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자살예방 추적관찰체계 구축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변경지표] 자살통계 데이터 분석 6건(최종 19건) [이전지표] 변동없음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변경지표] 317% [이전지표] 100% 미달성 사유 해당사항 없음 평가 사업 평가 ○ 사망원인통계 등 다양한 자료원을 통한 서울시 연령별 자살사망 현황 및 대책에 대해 파악함으로써 자살고위험군 등 대상군에 맞는 자살에방정책 수립 근거를 마련함. ○ 또한 관련 분석 결과들을 생명사랑 서울포럼, 월보 등의 형태로 자치구 실무자와 공유함으로써 실무자 역량강화와 질적·양적 기초자료 축적에 도움이 됨. 개선 방향 ○ 자살예방을 위한 데이터 구축 및 활용을 위한 권한을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자료원의 확보와 자살을 예측할 수 있는 정보망 구축을 위한 함께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함. ○ 통계자료 이용의 시의성 확보, 연구결과 논문화 등 자료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서울시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보건대학원) 등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서울시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보건대학원) 등 세부 사업명 9-18.전문가 교육 강화 사업 목적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대상 교육·회복서비스 제공으로 상담의 질 향상 및 외상회복 도모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20년 1-12월 실행 2020년 1-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서울시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실행 서울시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자살예방응급요원 과정(14시간) ○ 자살예방전문가 양성 ○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역량강화 교육 및 외상회복 지원 실행 ○ 자치구 자살예방 실무자 교육(3회/156명) - 신규 실무자 1Day 워크숍(2회/68명) : 서울시자살예방의 방향성 안내, 주요실적 및 지표 안내 -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교육(1회/88명) : 자살예방 주요 현안 안내, 주요 이슈, 성과지표 안내 ○ 자살예방 응급요원 교육(5회/75명) - 자살예방응급요원 대처하기(상담기법), 조별 역할연습, 슈퍼비전, 법적고려사항, 응급처치 ○ 자살예방 전문가교육(1회/24명) : 자살예방 상담기법, 사례 슈퍼비전 ○ 자살유족서비스 실무자 역량강화(10회/118명) - 찾아가는 자살유족 서비스 교육(6회/81명) : 자살유족의 상실 및 애도와 슬픔에 대한 이해, 자살유족 서비스, 애도상담 주제 다루기와 실제 내용으로 교육 진행 - 자살유족 사례 슈퍼비전(4회/37명): 애도의 수용전념치료, 자살유족의 사별 트라우마와 개입, 자살로 사별한 가족의 역동, 자살유족의 사과와 용서 주제의 교육과 사례 슈퍼비전 지원 ○ 실무자 심리지원 워크숍(2회/26명) - 심리외상 예방을 위한 워크숍, 자조모임, 힐링프로그램 진행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서울시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서울시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14,108천원 집행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14,108천원 변경 및 보완 사유 해당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A 자살예방교육 전문가과정 이수자 수 250명 ※ 2020년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수행인력 교육 이수자 수 측정 방법 서울시 자살예방사업 실적 목표 설정 근거 자치구 자살예방 수행인력(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및 유관기관 실무자의 전문성 도모를 위해 교육 이수를 촉진시키고자 이수자 수를 목표로 설정함.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자살예방교육 전문가과정 이수자 수 373명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149.2% 달성 미달성 사유 해당사항 없음 평가 사업 평가 ○ 자살예방사업 수행 실무자의 전문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교육 실시함. 실무와 업무활용, 역량강화에 대한 높은 만족도 확인함. ○ 지역사회 자살유족에 대한 민감성과 전문적 개입을 위한 교육 및 사례슈퍼비전을 통해 역량과 대응능력 향상을 지원하여 자살유족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강화함. ○ 응급, 자살 위기개입을 통해 서비스 대상자를 대면하는 실무자들의 심리적 외상 회복을 위한 창구를 마련함. 외상스트레스 척도 사전사후 검사 시 연수 이후 감소한 점수를 통해 외상회복 지원에 도움이 되었음을 확인함. 개선 방향 ○ 자살예방사업 관련 교육의 질과 실무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보수교육, 콘텐츠 개정 등의 작업을 통해 서울형 자살예방교육 체계를 구체화 할 필요성 있음. ○ 반복적인 외상을 경험하는 실무자의 심리적 외상 회복 지원을 위한 효과적 방법 고려 및 다양화 하여 소진을 예방하는 체계를 지속하는 것이 필요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10.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6-.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체계 마련 Ⅱ. 사업 관리 및 지원 1) 사업 관리 (1) 자살예방시행계획 공개 계획 소통광장을 통해 대시민 부분공개(또는 비공개) 실행 소통광장을 통해 대시민 부분공개 실시 (2) 관계자 의견수렴 및 반영 ○ 자살예방사업 수행 전 “서울시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담당자 간담회”를 통해 서울시의 자살예방사업의 방향성 설명 및 의견 수렴 ○ 자살예방 시행 계획·평가·정책 방향성에 대한 의견 수렴 등을 위한 서울시 25개구 자치구와 함께 하는 간담회 수행 ○ 자치구 월 1회 정기적인 생명사랑 월례포럼, 정책 수립을 위한 릴레이세미나 등 통한 현장 실무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함과 동시에 현실적인 반영을 위한 노력 지속함. - 월 1회 생명사랑 서울포럼내 실무자 간담회 포함 진행 ○ 생명지킴이가 참여하는 자살예방의 날 행사 추진(서울시 생명지킴이 시상식 및 지킴이가 참여하는 마을 동아리 공연 등) 전문가 자문회의 계획 2030 정신건강 위원회 자살예방 분과 1차 회의 실행 - 일시:2019.10.16.(수) - 참석자:자살유가족 대표(김),,센터실무자 대표(김), 종합사회복지관 관장(김), 성신여대 간호학과 교수(정),,경찰청 생활 질서과(정),노원 을지병원 소아정신과전문의(방) - 주요내용: 2030 서울자살예방기본 핵심 전략 및 방향 논의 계획 2030 정신건강 위원회 자살예방 분과 2차 회의 실행 - 일시:2019.10.31.(목) - 참석자:서울대학교 응급의학과(곽),자살유가족 대표(김),센터실무자 대표(김), 종합사회복지관 관장(김), 성신여대 간호학과 교수(정),노원 을지병원 소아정신과전문의(방),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박) - 주요내용: 2030 서울자살예방기본 핵심 전략 및 방향에 대한 세부내용 검토 계획 2030 정신건강 위원회 자살예방 분과 3차 회의 실행 - 일시:2019.12.10.(화) - 참석자:자살유가족 대표(김),센터실무자 대표(김), 종합사회복지관 관장(김), 노원 을지병원 소아정신과전문의(방),중앙대학교 예방의학과 교수(이) - 주요내용: 2030 자살예방계획에 정책 제안 계획 2030 서울시 정신건강종합계획 워크숍 실행 - 2020.1.16.(목), 1.17.(금) - 참석자: 보건소 , 정신건강복지센터 실무자 박 등 70명 - 주요내용: 자살예방시민중심 체계 구축 및 활성화를 위한 실제 가.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과정 나.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 과정 자치구 실무자 의견수렴 계획 ○ 자살예방 시행계획 실무자 정기 간담회 실행 ○ 자살예방 시행계획 실무자 간담회(생명사랑 서울포럼) - 일시 : 2020년 3월 ~ 11월 (총 10회) - 참석자 :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사업 관계자 - 주요내용 : 매월 생명사랑 서울포럼의 일환으로 실무자 정보공유 및 논의를 위한 간담회 시간을 진행 ⇒ 서울대 보건대학원 통계전문가 및 다학제적 전문가들의 참여 통한 이론과 현장의 지속적인 연결작업 시도, 사업수행 전문성 강화 도모. ⇒ 자살예방시행계획 사업수행 정보 및 서울시 유형별 자살사망통계분석 결과 공유 통한 근거기반 사업수행 지원, 현장 의견 수렴 및 사업 방향성 점검 기회 마련 운영위원회 계획 ○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운영위원회 실행 - 일시 : 2020년 3월 ~ 12월 (총 4회) - 참석자 :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운영위원 - 주요내용: 자살예방사업이 시민들의 참여로 이루어질수 있도록 다학제적인 운영위원을 구성하여 자살예방 인식개선, 코로나이후 심리적 대응, 근거마련, 시민참여등의 사업 방향성 점검 및 자문 코비드 19 자문회의 계획 ○ 코비드 19 심리지원단 자문회의 실행 - 일시 : 2020년 3월 ~ 12월 (총 21회) - 참석자 : 코비드19 심리지원단 단장, 소셜마케팅 전문가, 문화예술 전문가,,서울시자살예방센터 실무자, 법률전문가, 교사. 사회복지학 교수 등 - 주요내용 : 코로나로 인한 심리지원 및 자살예방을 위한 컨텐츠 및 비대면 마케팅, 다양한 대상의 웨비나. 간담회, 비대면 심리지원 영상 등에 대한 자문 청년 정책 간담회 계획 ○ 청년자살예방 긴급간담회 실행 - 일시 : 2020년 6월 ~ 12월 (총 10회) - 참석자 : 청년 당사자, 알바노조, 청년사회사업단, 법률전문가, 간호학과 교수, 인류학과 교수, 해외청년자살예방정책 전문가,청년청 등 - 주요내용 : 청년 자살 현안에 따라 지역사회 청년의 동향과 실제 정책, 인식에 대한 접근과 청년 자살예방 방향에 대한 정책제안 연번 변경 항목 (기존계획서상페이지) 변경된 내용 변경시기 변경 근거 1 세부사업 6-12 (p.76) ① 성과목표: 2020년 6월 실적이 전년동월대비 진행률 25%로 목표치 하향조정함. 2020년 7월 코로나로 인해 응급실 및 의료기관의 기능변화 및 대면의 어려움으로 인해 전년 동월대비 진행률이 25%로 하향 조정함. 2 세부사업 7-14 (p.86) ① 성과목표: 2020년 6월 실적이 전년동월대비 진행률 10%로 목표치 하향조정함. 2020년 7월 코로나로 인해 보건소 고유의 업무가 선별검사로 전환되어 사업수행의 어려움으로 전년동월대비 진행률 10%로 하향 조정함. (3) 자살예방시행계획 수정 여부 2) 사업 지원 시·군·구 지원 기준 (평정, 지원 순위 등) 지원 내역 비고 예산 지원 예산 외 기타 지원 계획 실행 계획 실행 서울시 ① 자살률이 높은 지역 ② 자치구의 인구 수 ③ 구비 부담률 시비 100% ①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전담 요원 2인 인력에 대한 인건비 지원 ② 지역밀착형 자살예방사업비 지원 - 약 8천만원(인건비+사업비 등) 자치구 지원 25개구 자치구 지원 지역밀착형 자살예방사업 수행기관인 25개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인력교육훈련 지원 시비 100% ①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신규입사자 교육 ②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교육 ③ 생명지킴이 강사양성 교육 지원 ④ 자살예방응급요원 교육 및 활동지원 ⑤ S-생명지기 비대면 생몆지킴이교육제작 및 배포 지역밀착형 자살예방사업 확산을 위해 일괄지원 시비 100% - 자살유족 및 시민참여 인식개선 위한 사회마케팅 (매체별 온라인 광고, 콘텐츠 제작, 캠페인 등) Ⅲ. 전체 예산 집행 실적 단위: 천원 구분 계(100%) 국비(%) 시비(%) 구비(%) 계획 집행 집행율 (%) 계획 집행 집행율 (%) 계획 집행 집행율 (%) 계획 집행 집행율 (%) 합계 민간경상 사업보조 950,000 921,512 97% - - - 950,000 921,512 97% - - - 민간위탁금 2,546,685 2,372,702 93.2% 43,750 15,054 34.4% 2,502,935 2,357,648 94.2% - - - 자치단체 경상보조 3,446,630 2,907,267 84.3% - - - 3,000,000 2,536,256 84.5% 446,630 371,011 83% Ⅳ. 자체평가 1) 자체 평가 계획 및 실행 - 자체평가시기 : ’ 21년 1월(펑가기간 : ’20년 1월 ~ 12월) - 평가지표 : 자살예방사업 계획에 의한 평가 - 평가결과 : 차년도 사업계획에 반영 2) 자체 평가 계획 및 실행 평가계획 평가실행 및 결과 항목 평가지표 평가 기준 평가 방법 배점 실행 여부 평가 결과 구조 평가 (투입목표) 인력 자살예방 전담인력 수 (보건소 3인, 센터 3인) 150명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보건소(자살예방사업) 및 센터 퇴사율 전담인력 퇴사율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예산 서울시 전년대비 예산 증감률 2019년 대비 5% 향상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자치구 자체 예산 확보 전년대비 증감률 2019년 대비 5% 향상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과정 평가 (산출목표) 자살 관련 사회인식 개선 서울시 자살예방상담서비스 인지율 지표생성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자살예방 언론보도 활동 실적 전년대비 3%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지역사회 자원 간 연계율 90%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협력부처 교육 및 자문 건수 전년대비 5%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자살위험 환경 개선 수단차단을 위한 교육 및 실천활동 3,321건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자살유해정보 차단 관련 교육 참여 인원 수 400명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아동청소년 관련기관 생명지킴이 교육 양성자수 전년대비 5%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청년?중장년층 생명지킴이 교육 양성자수 전년대비 5%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8점 생명지킴활동가 노인 참여율 40%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자살 고위험군 지지체계 강화 고위험군 자살상담건수 전년대비 4%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위기대응건수 전년대비 3%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6점 응급실 의뢰 자살시도자 실인원수 전년대비 목표기준 25% 하향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지역사회 자살 대응 역량 강화 살사프로젝트 참여기관 생명존중활동 건수 전년대비 5%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8점 마을단위 <안전한 마을공동체사업> 개발 확산 - 생명존중 주민참여 조직화 60개 주민모임 조직화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1차의료기관(보건소포함) 진료대상자의 PHQ-9 검사 건수 전년대비 목표기준 10% 하향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정신건강 인프라 강화 연계기관 고위험군 의뢰건수 전년대비 1.5%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실무자 역량강화 교육 전년대비 1.5%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생명지킴이 교육 등 자살예방 인력 확충 생명지킴이교육 이수자 수 전년대비 2.5%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전문가 자살예방교육 이수자 수 250명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근거 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자살통계데이터분석 6건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결과 평가 사업달성도 사업목표 달성도 사업반영여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사업평가 평가, 반영 평가, 미반영 평가, 미실시 10점 8점 6점 10점 8점 6점 ○ 10점 3) 평가결과 분석(문제점 진단) 및 개선방안 1 평가결과 분석 (문제점 진단) ○ 자살수단의 통제가 자살예방의 확실한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살수단의 온라인 판매, 교량, 주거환경개선에 대한 적극적인 통제 활동 미흡 개선 방안 ○ 서울시의 높은 자살수단으로 목맴, 투신, 가스중독의 수단통제에 대한 교량, 주거환경, 온라인 판매업체등의 협력체계 구축 2 평가결과 분석 (문제점 진단) ○ 생애주기별 자살예방대책에서 아동청소년, 청년, 중장년에 대한 협력체계는 마련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대상자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이 필요 개선 방안 ○ 맞춤형 자살예방사업 컨텐츠 개발 및 보급을 위한 청소년, 청년, 중장년 대상의 자살예방 컨텐츠 개발 및 네트워크 강화 3 평가결과 분석 (문제점 진단) ○ 코로나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비대면 컨텐츠의 보급이 시급하여 개발하였으나 컨텐츠에 대한 보완 및 비대면 컨텐츠의 다양성이 필요 개선 방안 ○ 비대면 컨텐츠에 대한 욕구와 다양성을 대상별로 파악하여 비대면 컨텐츠에 대한 효과성과 근거 마련 4) 차기년도(2021년) 자살예방시행계획에 대한 반영사항 반영 사항 ○ 서울의 자살수단 및 방법에 근거한 다양한 수단관리 - 자살수단의 온라인 판매플랫폼의 구매인증 및 협조체계논의 - 한강교량 자살예방네트워크를 위한 수난구조대, 안전총괄팀과 자살예방 협력체계구축 - 주거취약지역의 환경개선을 통한 자살예방사업 적용 및 효과성 연구 ○ 맞춤형 자살예방사업 컨텐츠 개발 및 보급 - 청소년 대상의 생명지킴이 컨텐츠 개발을 통하여 청소년 자살예방 서비스 강화 - 청년 전용 플랫폼 구축을 통해 청년 자살예방 컨텐츠를 개발하여 청년 네트워크 강화 - 중장년 자살예방 지킴이 양성 및 활동체계 구축 ○ 생명지기 교육 활성화를 위한 필요기관( 학생, 청년 등) 욕구파악 및 교육 개발 - 다양한 대상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 및 온라인 콘텐츠(S-생명지기)등 제공 및 지원을 통한 활성화 도모 제3장 ‘20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사업 추진 성과 Ⅰ. 성과목표 달성도 10대 과제 연번 세부사업(지표명) 실적 및 달성도 기타 성과 목표 (A) 수행실적 (B) 달성률 (B÷A×100) 1. 1-1. 1-1.생명존중문화 조성 및 자살예방 홍보 강화 (서울시자살예방서비스인지율(생성지표) 68% 68% 100% 지역사회 특성을 반영한 캠페인 수행 매뉴얼 개발 1-2. 1-2.자살관련 언론보도 개선 (자살예방 언론보도 활동실적) 157건 214건 136% 적극적 언론보도 수행, 언론인 협조체계 구축 2. 2-3. 2-3.자살예방 사회복지안전망 강화 (자살고위험군 지역사회 자원간 연계율) 90% (1,644건) 1,582건 96% 지역복지관 실무자들의 상담역량강화 교육 확대를 통한 지역사회 협력체계 강화 2-4. 2-4.범부처 자살예방 협력체계 구축 (협력부터 교육 및 자문 건수) 500명 430명 86% 사례관리 대상자와의 신뢰관계 구축, 만족도 증가 3. 3-5. 3-5.자살수단의 접근성 차단 (수단차단을 위한 교육 및 실천활동) 3,321건 3,667건 110% 희망판매소 모니터링 활성화 3-6. 3-6.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강화 (자살유해정보차단관련 교육참여인원) 400명 750명 187% 생명지킴활동가 및 마음건강주민교육단 교육 진행 4. 4-7. 4-7.아동·청소년 자살예방 (아동·청소년기관 생명지킴이 교육 양성자 수) 2,242명 2,703명 126% 비대면 온라인 교육 콘텐츠 개발을 통한 교육양성자 증가 4-8. 4-8.청년·중장년층 자살예방 (청년, 중장년층생명지킴이 교육) 6,134 7,044명 87% 청년자살현안에 대응하여 정책 기반 마련 4-9. 4-9.노인 자살예방 (생명지킴 활동가 교육 시 노인 참여율) 40% 67% 167% 교육 대상자 중 노인대상 홍보 활성화 5. 5-10 5-10.자살고위험군 대상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고위험군 상담건수)(2019년: 15,124건) 4% 증가 (15,190건) 24.9% 증가 (18,897건) 622.5% 자살고위험 당사자 활동 참여 기회 확대 6. 6-11. 6-11.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상담건수 전년대비 유지) 21,652건 6.1% 증가 (22,962건) 106.1% 지역사회 위기대응 활성화하기 위해 상담인력 증원 및 대응능력 강화 6-12. 6-12.자살시도자 사후관리체계 마련 (응급실 의뢰 자살시도자 연계 실인원 수 442명) 107명 131건 122% 코로나19로 인하여 자살시도자 대면 연계 감소로 25% 목표 하향 7. 7-13 7-13-1.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살사프로젝트 생명존중활동) 244건 203건 83.2% 4대 종단(기독교, 불교, 원불교, 천주교)의 자살예방사업 협력 7-13-2. 마을단위 <안전한 마을공동체사업> 개발 확산 생명존중 주민참여 조직화활동) 60건 143건 238% 마음건강에 대한 이해 증진 및 정보전달을 통한 생명존중 이해능력 증진 및 지지체계 마련 7-14. 7-14.1차 의료기관 자살예방 역량 강화 (1차 의료기관(보건소 포함) 진료대상자의 PHQ-9 검사건수) 4,841건 7,412건 153% 코로나19로 인하여 보건소 인력 및 업무변경 등으로 사업 중단 및 축소운영하여 10% 목표 하향 8. 8-15. 8-15.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연계기관 고위험군 의뢰건수) 3,181건 4,219건 127.5% 지역사회 기관 간 연계 활성화 기여 8-16. 8-16.공공 정신건강서비스 기능 확대(역량강화교육건수 10건) 10회 13회 130% 자살에 대한 다학제적 접근 및 실무자 간 소통 증대 9. 9-17. 9-17.생명지킴이 양성 (생명지킴이 이수자 수) 28,134명 25,980명 92%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교육 콘텐츠 마련 및 활용 9-18. 9-18.전문가 교육 강화 (자살예방 교육 이수자) 250명 373명 149.2%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전문성 강화를 위한 역량강화 교육 진행 10. 10-19. 10-19.자살 추적관찰 체계구축 (자살통계데이터분석) 6건 19건 317% 경찰청 데이터의 통계 분석을 통한 현안대응 Ⅱ. 주요 사업성과 10대 과제 세부사업명 주요 성과 내용 비고 생애주기별 자살예방대책 추진 4-8.청년?중장년층 생명지킴이 교육 양성자수 코로나 블루로 인한 현안에 자살예방접근 강화 - 청년, 중장년자살증가에 따라 동향을 공유하고 대응방안에 대한 마련을 위해 유관기관, 학회, 당사자,정책입안자, 해외전문가를 통해 정책입안의 필요성과 전략수립기반을 마련함 지역사회 자살 대응 역량 강화 7-13-2.마을단위 <안전한 마을공동체사업> 개발 확산 마을주민이 주체가 되어 서로 돌보는 “마주단” 시민 주도의 자살예방사업을 자치구 보건소가 지원하며, 자살예방을 위한 교육· 모임· 돌봄 실천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지지체계 형성 및 민관 합동의 생명존중문화조성사업 운영의 토대를 마련함. 생명지킴이 교육 등 자살예방 인력 확충 9-17.생명지킴이 양성 (생명지킴이 이수자 수) 비대면 생명지킴이 교육“s-생명지기” 개발 코로나 장기화로 인한 심리적 어려움에 접근성을 높이고자 비대면 생명지킴이 교육을 개발하여 자살예방의 중요성을 알리고 자살고위험군의 발굴에 적극적으로 대응함 근거 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10-19.자살 추적관찰 체계구축 자살동향분석을 통해 신속한 자살예방 대처 및 근거마련 - 국가자살동향시스템을 통한 자살동향 월간보고를 배포하여 자치구의 자살동향에 대한 데이터 공유와 월례 포럼을 통한 자살사망 통계와 실천사례에 대해 공유하여 다학제적 접근과 함께 실무자 역량강화를 위해 노력함. Ⅲ. 지자체장 자살예방사업 참여 현황 ※ 서울시 25개구별 지자체장 자살예방사업 참여에 관한 세부현황은 첨부파일 참조 ? 용산구 - 청년층 정신건강사업 지시(구청장 지시사항) ? 동대문구 - 2020.7. 구청장 주제 자살예방사업 추진경과 보고 ? 성북구 2020년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위원회 개최 - 일시 : 2020.12.16. - 방법 ; 코로나19로 인한 서면회의 ? 양천구 청소년 및 양천구민을 위한 언택트 생명존중 뮤지컬 ? 영등포구 온라인 생명사랑포럼 ‘마음건강 명의톡톡“ - 일시 : 2020.11.17. - 방법 : 유튜브 채널 라이브 송출 ? 강동구 구청장 지시사항 : 월별 자살현황 보고 제4장 ‘20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 관련 기타 사항 Ⅰ. 2020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 상 한계점 (혹은 장애요인) ? 자치구 자살예방사업의 지원과 당사자 참여의 사업 추진과정에서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변화에 비대면 서비스의 준비과정이 발생하여 사업수행 투입되는 자원이 제한적이었음. ? 응급실 사후관리,1차 의료기관 발굴 및 의뢰사업의 경우 코로나 19로 인하여 의료기관과 보건소의 사업전환으로 사업 추진의 어려움이 있서 목표를 전년동월 대비 기준으로 하향함. ? 마음이음상담(1577-0199)의 인력강화로 인프라를 확충하였지만 응급개입시 상담전화의 회선을 유지하기 어려움. ? 경찰, 소방, 자살예방 위기개입의 공동 대응을 위해 응급개입 공동매뉴얼 제작등을 통해 원활한 서비스제공이 필요함. Ⅱ. 향후 개선 방안 ? 코로나19로 인하여 비대면 콘텐츠의 다양하고 지속적인 개발 및 활용기준 필요 ? 비대면 교육에 대해 효과적인 방법을 보완하고 다양한 버전의 생명지기 교육을 개발하여 자살취약계층의 특성에 맞는 비대면 교육 체계 구축 필요 ? 서울의 인구분포와 전화유입의 현황을 고려하여 1577-0199 인프라의 확충과 응급개입에 대한 체계를 확대할 필요 ? 코로나 장기화로 인한 심리지원이 지속적으로 다양한 계층에 유지되어야 하며 코로나로 인한 우울 및 자살에 영향을 받는 연령대에 특징을 면밀하게 파악하여 지속적으로 대응체계를 마련 해야할 것으로 사료됨 제5장 ’20년 생명사랑지킴이[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실적 (단위 : 명, %) 연번 지역 복지부 인증 자살예방 생명지킴이 양성자 수(명) (A) 보정계수를 반영한 만13세 이상 시도별 인구수 복지부 인증 자살예방 생명지킴이 양성률 (A)÷(B)×100 (%) 계 (B) 만13세~만18세 (청소년) 시도별 인구수(명) × 보정계수 만19세 이상(성인) 시도별 인구수(명) × 보정계수 전체 21,177 1 서울시 7,442 2 강남구 135 3 강동구 1,307 4 강북구 816 5 강서구 962 6 관악구 1,705 7 광진구 557 8 구로구 135 9 금천구 47 10 노원구 556 11 도봉구 557 12 동대문 277 13 동작구 165 14 마포구 98 15 서대문구 121 16 서초구 372 17 성동구 815 18 성북구 321 19 송파구 1,726 20 양천구 171 21 영등포구 1,404 22 용산구 54 23 은평구 83 24 종로구 400 25 중구 239 26 중랑구 712 □ 작성 담당자 담당부서 보건의료정책과 담당자 전영희 전화번호 02-2133-7547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 결재문서본문.hwp (3.92 MB)

      PDF다운로드 원문다운로드

  • 2020년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공모사업 포함)정산서.xlsx

    비공개 문서

  • 자살 예방 교육 이수 여부 증빙자료.hwpx

    비공개 문서

문서 정보

2020년 서울시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실적 결과보고서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시민건강국 보건의료정책과
문서번호 보건의료정책과-17777 생산일자 2021-04-20
공개구분 부분공개 보존기간 5년
작성자(전화번호) 전영희 (02-2133-7547) 관리번호 D0000042390181
분류정보 건강 > 지역보건 > 건강증진관리 > 정신보건사업수행 > 정신건강증진사업운영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