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 | HWPX 파일은 공공 및 민간 분야 문서에 대한 개방성 확보를 위해 ㈜한글과컴퓨터에서 만든 XML 기반의 개방형 파일 형식이며, 서울시 결재문서는 개방형 파일인 hwpx로 생산되고 있습니다. |
○ | 서울정보소통광장에서 결재문서 열람 시 HWPX 파일이 열리지 않는 경우, 한컴오피스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사용 프로그램 버전에 따라 해당 제품을 업데이트 하거나, 프로그램이 없는 경우 뷰어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열람하시기 바랍니다. |
[이달의 핫이슈] 한강의 다리와 섬은 모두 몇 개일까요?
『영화속의 단골 촬영지』 한강의 다리와 섬은 모두 몇 개일까요?
천만 관객 시대를 연 봉준호 감독의 『괴물』, 기발한 상상력을 자극한 이해준 감독의 『김씨 표류기』 에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그 촬영 배경이 한강, 특히 서울 시민들이 자주 보고 접하는 다리(교량)와 섬들이 배경이라는 것입니다.
지난 3월말에는 전 세계인들이 주목하는 “어벤져스 2” 촬영이 있었습니다.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에 의해서 마포대교, 청담대교 등에서 성공리에 촬영을 마쳤으며, 이는 한국을 세계에 알리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이처럼 영화 속의 단골 촬영지인 한강의 다리와 섬은 모두 몇 개나 될까요? 지금부터 간략하게 대표적인 한강의 다리와 섬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강의 다리와 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한강의 다리(교량)
연번 | 다리명 | 규모(m) | 연도 | 현황 사진 | 다리이야기 | |
---|---|---|---|---|---|---|
폭 | 연장 | |||||
1 | 일산대교 | 28.6m | 1,840 | 2008.1 |
-경기도 고양시 법곳동과 김포시 걸포동을 연결하는 다리로 철새도래지 장항습지를 보호하기 위해 일체의 장식을 배제하는 친환경공법으로 건설된 유료도로 -경기도에서 교량 건설로 첫 민자사업 -자동차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지 않으며, 자전거의 통행이 가능함 |
|
2 | 김포대교 | 38.2 | 2,280 | 1997.10 |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 신곡리와 고양시 덕양구 토당동을 잇는 다리 -한강 다리 중 너비가 가장 넓은 다리-다리 일부 하부에는 군사통제구역인 백마도가 위치하고 있음 |
|
3 | 신행주대교 | 14.5 | 1,460 | 1995.5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동과 강서구 개화동을 잇는 다리 -교통량 증가로 신교를 건설하는 도중 1992년에 붕괴사고로 지연되었음 -한강다리 중 최초로 조명시설이 설치되었음(1997년) -신행주대교는 고양시에서 서울방향, 제2신행주대교는 서울에서 고양시 방향으로 각각 일방통행함 |
|
2000.12 (제2신행주대교) |
||||||
4 | 방화대교 | 31.1 | 2,559 | 2000.11 |
-강서구 방화동과 경기도 고양시 강매동을 잇는 다리로 영종도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수도권 신공항고속도로 일부 -민간자본유치촉진법에 따른 제1호 민자유치 시설사업으로 11개 건설회사의 민간자본을 공동출자하여 만든 유료도로 -2013년7월 방화대교 진입 접속 구간에 투입된 중장비가 넘어지면서 접속도로가 무너져서 3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음 |
|
5 | 마곡철교 | 10.7 | 1,090 | 2010.12 |
-강서구 마곡동과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현천동을 연결하는 철교 -총연장은 2,393m이며 이 중 한강 횡단 구간이 1,090m, 강북접속교 1,010m, 강남접속교 293m 임 -일명 마곡대교라고 하며, 한강철교, 당산철교, 잠실철교에 이어 4번째 철도 전용다리 |
|
6 | 가양대교 | 29 | 1,700 | 2002.5 |
-교각과 교각 사이의 거리가 최소 100m, 최대 180m로 국내에서 가장 길어 시각적으로 매우 간결한 느낌을 주는 다리 -인천공항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있어 강북에서 인천을 연결하는 주요 다리이며, 상암동 월드컵경기장을 중심으로 한 신도시 개발에 영향을 줌 |
|
7 | 성산대교 | 27 | 1,040 | 1980.6 |
-성산로(독립문~경인고속도로 입구) 건설과 함께 시공 -트러스 공법으로 건설 -다리의 모향은 반달형으로 직선미에 동양적 곡선미 조화시킨 독특한 조형미를 지님 |
|
8 | 양화대교 (상하류) |
18 | 1,108 | 1965.1 (구교) |
-구교(1965)와 신교(1982) 2개의 다리를 합쳐서 양화대교로 명칭함. ※ 구교 원래 명칭 : 제2한강교 -국내 기술진에 의해 세워진 최초 한강다리 -한강르네상스 일환으로 교각 철거 및 확장 공사하여 2012년10월 전면 개통함. |
|
16.2 | 1,053 | 1982.2. (신교) |
||||
9 | 당산철교 | 10 | 1,360 | 1983.12 (구교) |
-한강의 3번째 철교 -당산동의 동명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마을 산에 당집이 있기에 붙여진 이름 -트러스(truss) 형식으로 가설되어 조형미가 뛰어나고 경쾌한 느낌을 주는 다리 -1994년 성수대교 붕괴이후 안전점검 시행으로 재시공하여 1999년에 준공됨 |
|
1999.11 (신교) |
||||||
10 | 서강대교 | 29 | 1,320 | 1999.8 |
-1980년 착공되었으나, 88서울올림픽 준비와 막대한 공사비로 10년동안 공사가 중단되다가 1996년부터 단계적으로 개통하여 1999년 최종 완공됨 -한강 중간에 밤섬을 지나게 되어 주변경관과 어울리는 형태의 닐슨 아치교로 건설됨 |
|
11 | 마포대교 (상하류) |
25 | 1,389 | 1970.5 (구교) |
-한강에 4번째로 건설된 다리로 초기 명칭은 서울대교였지만, 1984년 마포대교 로 변경함 -생명의 다리 조성(2012.9)을 계기로 자살다리라는 오명을 벗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실제 자살률이 크게 낮아짐 【생명의 다리 문구】 |
|
22.75 | 1,389 | 2000.7 (신교) |
||||
22.75 | 1,389 | 2005.12 (신교) |
||||
12 | 원효대교 | 20 | 1,470 | 1981.10 |
-민자(동아건설)로 건설된 유료도로였으나, 1984년 서울시에 헌납하여 현재 무료임 -미관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국내 최초 디비닥 공법으로 건설한 다리 ※ 디비닥공법 : 콘크리트 받침대 없이 두 교각에서 콘크리트를 쳐나가다가 만나는 지점에서 연결하는 방법 |
|
13 | 한강철교 | 5.6 | 1,113 | 1900.7 |
-1900년에 건립된 한강최초의 다리 -6.25전쟁때 폭파되고 1969년 복구 완료하여 오늘의 모습을 갖춤 【한강철교 교각하부에 있는 탄흔자국】 -2006년6월10일 대한민국 등록문화재 제250호 지정 |
|
1969.6 | ||||||
1995 | ||||||
14 | 한강대교 | 18.4 | 1,005 |
1917.10 |
- 한강 위에 놓은 최초의 인도교 - 1925년 대홍수때 일부 유실, 1937년 현재 규모와 같은 교량을 준공하였으나, 이마저도 6.25전쟁때 폭파하여 1982년에 비로소 완전 복구하였음 |
|
1937.5 (한강 인도교) |
||||||
1982.2 (신교) |
||||||
15 | 동작대교 | 28.6 | 1,245 | 1984.12 |
-조선시대 이곳에 동작나루가 있었기에 명칭을 동작대교로 명명함 -도로교와 지하철 4호선 전철교의 복합교량-대교 남단 상하류에 전망카페가 있어 쉽게 한강을 조망할 수 있음 【동작대교 노을카페】 |
|
16 | 반포대교 | 25 | 1,490 | 1982.6 |
-국내 최초 단일구조 2층 교량 (1층 : 잠수교, 2층 : 반포대교) -교량에 설치된 달빛무지개분수는 2008년 기네스협회에서 세계 최장교량분수로 인증 【달빛무지개분수】 |
|
17 | 잠수교 | 18 | 795 | 1976.7 |
-한강의 홍수때면 물에 잠겨 잠수교라고하며 국가비상시 안보적인 역할 수행으로 안보교라고도 함 -선박운행을 위해 다리 중간 15m 들어 올리는 승개장치가 있었으나 1985년 구조변경공사로 사라짐 【잠수교 침수】 |
|
18 | 한남대교 | 27 | 915 | 1969.12 |
-1969년 준공당시 제3한강교였으나, 1985년 현재 한남대교로 변경함 -경부고속도로 진입 제1관문 (과거 경부고속도로의 종점) |
|
19 | 동호대교 | 20.4 | 1,220 | 1984.12 |
-다리 이름은 조선시대 옥수동 앞 한강을 東湖라고 한 것에서 유래되었고 일명 금호대교라고도 함 -다리 중앙에 지하철 3호선이 지나는 철교가 있고 좌우로 2차선 도로가 위치한 복합교량 |
|
20 | 성수대교 | 35 | 1,160 | 1979.10 |
-구조물의 외관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진 최초의 다리로 구조상 게르버 트러스교로 하부경관이 넓어 한강수면에 경관을 이룸 【게르버 트러스 구조】 -1994년 성수대교 상판붕괴 참사로 49명의 사상자가 발생함 【성수대교 붕괴 참사】 -붕괴된 교량을 1997년 재건설하였으며, 2004년에는 현재 왕복8차선으로 확장함 |
|
1997.8 | ||||||
2004.12 | ||||||
21 | 영동대교 | 25 | 1,065 | 1973.11 |
-영동(永東)은 영등포의 동쪽에 있는 지역이라는 뜻으로, 1970년대 강남개발 당시 강남이라는 명칭이 자리잡기전에 붙여진 이름임 -다리건설로 인하여 청담동,삼성동 일원 개발을 촉진하는데 큰 기여를 함 |
|
22 | 청담대교 | 27 | 1,211 | 2001.2 |
-명칭은 옛날 이 일대 한강변의 물이 맑아 청숫골이라고 부른데서 유래됨 -국내 최초의 복층교량으로 아래층은 철도교, 위층은 자동차전용 도로교임 -청담대교 하부에 한강르네상스 일환으로 뚝섬전망문화콤플렉스 건립함 【뚝섬전망문화콤플렉스】 |
|
23 | 잠실대교 | 35 | 1,280 | 1972.7 |
-한강에 건설된 6번째 다리 -다리 하부에 잠실수중보가 위치 -서울 동부 도로에서 도심을 거치지 않고 경부고속도로로 연결되는 교통의 요지 |
|
2004.2 | ||||||
24 | 잠실철교 | 18 | 1,270 | 1980.11 |
-잠실철교는 한강에서 도로와 철도가 같이 통행할 수 있는 최초의 다리 -교통량이 많지 않아 현재는 자전거와 보행자 전용도로로 리모델링함 |
|
25 | 올림픽대교 | 30 | 1,470 | 1990.6 |
-국내 최초의 사장교이며 88서울올림픽을 기념하는 의미에서 88m의 높이로 지어졌고 88서울올림픽이 제24회인 것을 기념하여 주탑을 연결하는 케이블수를 24개로 하였음 -주탑 4개는 동양철학에서 우주만물의 근원으로 상징되는 “연,월,일,시”와 춘하추동 4계절 및 동서남북 4방향을 나타내도록 설계하였음 |
|
26 | 천호대교 | 25.6 | 1,150 | 1976.7 |
-천호지구 개발과 천호대로 건설에 따라 종래의 광진교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하여 건설하게 되었음 -다리가 완공됨에 따라 강동구와 송파구의 급격한 발전을 가져옴 -하저터널(5호선)이 교량 하부로 지나감 |
|
27 | 광진교 | 20 | 1,056 | 1936.10 |
-한강에서 두 번째로 건설된 도로교 -6.25전쟁때 일부 파손, 홍수로 인한 부분유실 및 안전상 문제로 교각보강을 되풀이하다 완전철거 후 2005년 재개통. -2009년 걷고싶은 다리 조성으로 보행로를 확대하고 자전거 전용도로를 신설하였으며, 교량하부에 전망대가 있어 주변 경관을 조망할 수 있게 되었음. |
|
2005.6 | ||||||
28 | 강동대교 | 26.7 | 1,126 | 1991.12 |
-강동구 강일동과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을 연결하는 다리 -1990년 대홍수로 왕숙천에서 내려온 부유물에 의해 다리 일부가 유실되어 공정이 지연되는 우여곡절을 겪음 -서울외곽순환도로의 일부로 수도권지역 교통량분산과 위성도시와 교통을 원하게 함 |
|
29 | 미사대교 | 32.4 | 1,530 | 2009.7 |
-경기도 하남시 망월동과 남양주시 삼패동을 연결하는 다리로 경춘고속도로 제1공구로 건설되었음 -최초 남양주대교로 명명되었으나, 남양주시는 덕소대교로, 하남시는 미사 대교로 명명할 것을 주장하여 결국 서울지방국토관리청 시설물명선정 위원회에서 투표로 미사대교로 최종 확정하였음 |
|
30 | 팔당대교 | 24 | 935 | 1995.5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에서 하남시 창우동을 잇는 다리로 왕복4차선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쳐진 이후로 상류에 처음 있는 다리 -예전부터 여울지대가 많아 낚시터로 유명하였으나 1999년 잠실대교부터 팔당댐까지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낚시가 금지되었음 |
서울시 시사편찬위원회, 서울지명사전(historylib.seoul.go.kr), 한강의 어제와 오늘(2001)】
♣ 참고사항
☞ 한강을 북쪽 남쪽으로 종단하는 경우의 다리만 표시 (노량대교 제외)
☞ 개통 완료된 다리(교량) 수이며, 한강 발원지에 있는 다리와 미완공된 다리 제외
다리명 | 규모(m) | 개통예정 | |
---|---|---|---|
폭 | 연장 | ||
월드컵대교 | 31.4 | 1,980 | 2015.8 |
구리암사대교 | 27.5 | 1,130 | 2014.12 |
☞ 준공연도는 실제 개통과 공사 준공일 또는 최초 교량 건설과 증축과정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음
한강의 섬
연번 | 명칭 | 규모(㎡) | 위치 | 현황사진 | 섬이야기 |
---|---|---|---|---|---|
1 | 여의도 | 8,400,000 | 샛강 상류에서 서강대교 남단까지 |
맑은 모래밭이 육지에 연속되던 지형에 따라 너벌섬, 너의섬이라고 지칭한데서 유래되었으며 한자명으로 여의도(汝矣島)라 표시함 -1916년에 비행장이 건립되고 해방후에도 여의도 공항으로 쓰였으나 1970년 개발 이후 활주로 등은 현재 여의도공원으로 바뀌었음 -마포와 영등포를 잇는 교통의 요지일뿐만아니라 국회의사당 ,KBS/MBC 등 방송사, 각종 금융기관 등이 위치하여 경제의 중심지 역할을 함 |
|
2 | 선유도 | 114,000 | 양화대교 중간 |
-선유봉이라는 작은 봉우리섬으로 일제강점기에 암석채취로 깎여나갔으며, 1978~2000년까지 정수장으로 사용되다가 2002년 생태공원 재탄생함 -469m의 보행전용 교량인 아치형의 선유교는 하부에 4가지 조명을 비추어 야경이 더 아름다움 【선유교 야경 – 빨강,파랑,노랑,파랑 4색의 조화】 |
|
3 | 밤섬 | 273,503 | 서강대교 중간 |
-조선시대 뽕나무와 약초를 심고 양과 염소를 방목하였고, 1968년 한강개발을 위해 섬을 폭파하기 전까지 62세대가 살았음 -윗,아래섬으로 나누어진 이후에 20년 동안 한강 퇴적물에 의해 면적이 늘어나며 나무와 풀이 우거져 도심속 철새도래지가 되었음 -27만여㎡의 밤섬은 서울광장(1만3천㎡) 21개의 크기에 해당함 -1999년에 자연생태계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고 2012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었음 |
|
4 | 노들섬 | 149,746 | 한강대교 중간 |
-모래와 갈대숲으로 이뤄진 섬은 한강인도교가 건설된 1917년 당시 다리의 중앙에 모래언덕에 둑을 쌓으면서 중지도(中之島)라고 하였다가 1995년에 노들섬으로 개칭하였음 -노들섬 남단에는 1906년이래 한강의 결빙상태를 확인하는 곳이 있으며, 한강대교 두 번째,네번째 교각사이 상류 100m부근 공간이 남북간 띠모양으로 얼었을 때 결빙된 기준으로 삼고 있음 【한강의 결빙 관측 표지석】 |
|
5 | 서래섬 | 25,000 | 반포대교와 동작대교 중간 |
-17~19세기 때 조선시대 지도 등에는 지금 서래섬 자리에 바둑돌을 채취하던 곳으로 기도(棋島)라고도 불리는 반포섬이 있음 -1982~86년까지 올림픽대로 건설 및 한강 종합개발하면서 조성한 인공섬 -3개의 다리(서래1,2,3교)로 연결되어 있으며, 섬주위에는 수양버들이 있고 봄철에는 유채꽃 축제로 유명한 곳임 |
|
6 | 난지도 | 272,000 | 마포구 상암동 일대 남쪽:홍제천 북쪽:성산천 동쪽:남지천 둘러싸인 지역 |
-난꽃과 영지가 자라던 곳으로 중초도(中草島) 또는 오리가 물에 떠 있는 모습과 비슷하여 오리섬, 압도(鴨島)라고 하였음 -1960년까지는 유명한 신혼여행지 중 하나 -1978년부터 1993년까지 15년간 쓰레기를 매립하여 쓰레기 산이 되었으나, 1996년 안정화공사를 시작으로 해발 100m의 2개의 커다란 언덕인 하늘공원, 노을공원으로 조성되어 생태공원으로 탈바꿈하였음 |
♣ 참고사항
☞ 개발로 인하여 옛날 명칭만 남아 있거나, 현재 사라진 경우 미기재 (뚝섬, 저자도 등)
☞ 군사통제구역 제외 (백마도 – 김포대교 하부)
한강의 다리와 섬은 얼마나 달라졌을까요?
하늘에서 내려다 본 과거와 현재
하늘에서 내려다 본 과거와 현재 | |
---|---|
1972년 여의도 일대 | 2012년 여의도 일대 |
1960년대까지 한강철교, 한강대교, 한남대교, 양화대교 등 4개뿐이였으나, 1970년대 여의도 개발이 가속화되고 잠실일대 한강변을 매립하여 아파트 단지를 조성하기 시작했다. | 1982년부터 진행된 한강종합개발사업 이후 현재 금융 및 방송국, 국회의사당 등 비약적인 발전을 하였다. 한강 또한 시민들이 즐겨찾는 대표적인 휴식공간으로 자리매김하였다. |
1972년 잠실대교 일대 | 2012년 잠실대교 일대 |
1972년 잠실대교 완공후 모습 1971년까지 잠실대교 일대에는 신천진(新川津)이 있었다. |
2004년에 다리 성능 개선하여 재개통하였으며, 도심을 거치지 않고 강남 간선도로로 연결하여 새로운 교통의 한 축을 담당하였다. |
1972년 올림대교 일대 (완공전) | 2012년 올림대교 일대 |
1972년 당시 북단 구의동은 아치산 기슭에서 한강변에 이르는 긴 지형이였고, 광진구 구의동과 풍납동을 잇는 올림픽대교는 88 서울올림픽대회를 기념하여 만들어졌다. | 국내 최초의 콘크리트공법 교량으로, 강동지역 교통량 분산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중앙 4개의 주탑을 서울올림픽대회를 기념하기 위해 88m 높이로 지였다.) |
1972년 반포대교 일대 (완공전) | 2012년 반포대교/잠수교 일대 |
한국전쟁 당시 초토화된 서빙고동은 차츰 재건되었으나, 반포대교와 반포로, 서빙고로가 건설되면서 주민들이 많이 빠져나가기도 하였다. | 반포대교와 잠수교는 강북을 잇는 주요 통로 역할을 하며, 경부고속도로에서 빠져나온 차량을 도심부에 직접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
1972년 밤섬과 서강대교 일대 (완공전) | 2012년 밤섬과 서강대교 일대 |
여의도와 마포 사이에 있는 밤섬은 여의도 윤중로 개발에 필요한 골재 조달을 위해 섬을 폭파해 사라졌으나, 강물에 떠밀려온 흙과 생명들이 모여 현재 형태의 밤섬이 되었다. | 자연생태보전지역, 람사르습지로 선정된 밤섬을 가로지르는 서강대교는 많은 논란을 불러왔지만, 아치형 다리로 미관이 수려한 교량을 유명하다. |
1972년 선유도와 양화대교 일대 | 2012년 선유도과 양화대교 일대 |
선유도는 풍광이 뛰어난 봉우리였으나 1920년대 붕괴되어 현재 모습이 되었으며, 그 옆으로 제2한강교(양화대교)는 국내 기술로 지은 최초의 한강다리였다. | 선유도는 2002년 4월 폐정수장을 활용하여 생태공원을 조성하였고, 양화대교는 2012년 당시 교각 2개를 해체한 후 로체아치교를 설치하였다. (현재 완료) |
1972년 광진교와 천호대교 일대 (완공전) | 2012년 광진교과 천호대교 일대 |
협소한 광진교가 도심과 강동지역을 연결하는 유일한 다리로 간선도로망이 미비하였고, 1970년대 강동지역은 인구증가율이 낮았다. | 천호대교 건설후 강동지역은 급속한 유입인구가 늘었다. 천호대교 아래에는 1995년 말 개통한 지하철 5호선 운행을 위한 하저 터널이 있다. (수심 25m) |
1972년 성수대교 일대 (완공전) | 2012년 성수대교 일대 |
전형적인 농촌지역이였던 압구정동은 1970년대 농지가 매립되면서 아파트 단지가 들어섰다. 1979년 남북을 잇는 성수대교가 건설되어 더욱더 발전이 가속되었다. | 1994년10월21일 성수대교 일부가 붕괴하여 사상자 49명이 발생하는 참사가 일어났다. 그 이후 개보수를 거쳐 2004년 현재 모습의 성수대교로 재탄생하게 되었다. |
1972년 한남대교 일대 | 2012년 한남대교 일대 |
경부고속도로 진입 관문 역할을 하는 다리로 용산구 한남동과 강남구 신사동 사이를 잇는 제3한강교는 1969년 말에 6차로 다리로 개통되었다. | 1970년 본격적인 강남개발이 시작된 이후 강남북 교통량을 분산시켜주는 기능을 하였다. 한강종합개발이후 제3한강교에서 한남대교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
1972년 신행주대교 일대 (완공전) | 2012년 신행주대교 일대 |
개화동은 경기평야의 일부로 1968년, 방화동은 1963년 서울에 편입되었으며, 한강 하류 개화산을 사이에 두고 1978년 7월에 김포대교(구행주대교)를 가설하였다. (2004년 철거) | 1995년에 왕복 6차선의 신행주대교는 김포공항과 인천국제공항으로 진입하는 교통량을 흡수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첨부된 문서
-
한강의 다리와 섬은 모두 몇개일까요_0.pdf (5.76 MB)
원문다운로드
문서 정보
관련문서
-
등록일 : 2015-07-22 부서 : 정보공개정책과
-
등록일 : 2016-11-16 부서 : 정보공개정책과
-
등록일 : 2014-04-18 부서 : 정보공개정책과
-
등록일 : 2014-05-27 부서 : 정보공개정책과
라이브리 소셜 공유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