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사랑

[신년 기획] 2019년 달라지는 서울 생활

문서 본문

아이콘

달라지는 서울 생활

따뜻하고 편리하며 누구나 살고 싶은 서울이 되도록 더 세심하게 준비한 시민 맞춤형 지원이 황금돼지해에 풍성하게 펼쳐진다.



미래 서울

출퇴근길 지하철역에서 대출·반납하는 24시간 스마트 도서관 확충

누구나 손쉽게 도서를 빌리고 반납할 수 있는 24시간 무인 자동화 검색·대출·반납 시스템 스마트 도서관을 서울 시내 5개 구 10군데 주요 지하철 역사 안에 추가로 설치한다.

문의문의
서울도서관 02-2133-0213, 자치구별 구립도서관 홈페이지

새로워진 서울시 세금납부 서비스

서울 시민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세금 등을 납부할 수 있도록 서울시 세금납부 홈페이지(ETAX), 앱(STAX), ARS(1599-3900) 등 납부 서비스를 새롭게 개선한다. 특히 세금납부 앱(STAX)에서 지문,패턴, 얼굴 등 간편 인증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납부할 수 있다(앱스토어 ‘서울시 세금납부’ 검색).

문의문의
서울시 세금납부 고객센터 1566-3900, etax.seoul.go.kr

수돗물 정보를 한눈에 보는 아리수맵 오픈

서울 전역의 실시간 수돗물 수질 정보 및 공급 경로, 우리 동네 상수도 공사 정보, 음수대 위치 등을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의문의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 급수부 02-3146-1465,arisu.seoul.go.kr

응급 환자 소생률 향상하기 위한 모바일 출동 현황 정보 시민 제공 서비스 실시

119로 구급 신고한 시민에게 문자로 신고한 주소와 출동 정보(구급차 실시간 위치, 근처 자동심장충격기 정보 등),출동 구급대원 휴대전화 정보 등을 제공해 응급 환자 소생률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

문의문의
서울종합방재센터 전산통신과 02-726-2283

보행자와 거리 가게가 상생하는 거리 가게 허가제 시행

보행자는 쾌적한 보행 환경을 확보하고 거리 가게(노점)는 생존권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거리 가게 허가제(도로 점용 허가)를 도입한다.판매대 디자인 개발과 기반 시설 등을 지원하고, 운영자를 대상으로 위생·안전 등 정기 교육도 실시할 예정이다.

문의문의
서울시 관할 자치구 거리 가게 부서(120으로 확인 가능)

노동 존중 전태일노동복합시설 개관

노동에 대한 권리와 가치가 존중받고 보호받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전태일노동복합시설을 3월에 개관할 예정이다. 전태일기념관,노동허브, 서울노동권익센터, 공연장, 옥상쉼터 등으로 구성하며 전시, 공연, 교육, 문화 프로그램 등을 진행한다.

문의문의
노동정책담당관 02-2133-5428, 전태일노동복합시설 070-4944-3389

반려견 유실 방지 내장형 동물등록칩 지원

반려견을 잃어버렸을 때 빨리 찾을 수 있고 유기동물 발생을 줄이기 위해 3개월령 이상 반려견을 대상으로 내장형 동물등록칩 시술비를 반려견주가 1만 원을 부담하면 서울시와 (사)손해보험협회,(사)서울시 수의사회에서 부담한다.

문의문의
서울시 동물보호과 02-2124-2832

미래서울

지방 폐교 활용한 서울캠핑장 상주 감꽃마을에 추가 개장

지방의 폐교를 활용해 운영하던 전국 7개 서울캠핑장이 8개로 늘어난다. 경북 상주시에 위치한 용포분교는 4월에 개장하며 1박 사용료 2만5,300원만 내면 된다.

문의문의
서울시 교육정책과 02-2133-3923~4,서울캠핑장(통합 블로그) blog.naver.com/seoul_camp,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yeyak.seoul.go.kr

공유 퍼스널 모빌리티(PM) 시범 사업 추진

2019년에는 선정된 서울 시내 대학 캠퍼스에서 원동기 장치 자전거 면허 등을 소지한 누구나 공유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시범 사업을 추진한다.

문의문의
서울시 교통운영과 02-2133-2472

우리 동네에 특화한 구립도서관 공간 개선

노후된 구립도서관을 시민의 요구에 맞게 개선할 수 있도록 서울시가 리모델링 비용과 가구, 장비 구입 비용을 지원한다.

문의문의
서울도서관 02-2133-0212
   

안전 서울

보행자 안전을 위해 사대문 안 제한 속도 변경

보행자의 교통사고 사망을 줄이고 사람이 먼저인 교통 문화를 정착하기 위해 사대문 안 간선도로는 시속 50km/h, 이면 도로는 시속 30kkm/h로 제한 속도를 낮춘다.

문의문의
서울시 교통운영과 02-2133-2449

교통 혼잡 줄이고 보행길 만드는 도시 기반 확충

출근길 교통 혼잡을 줄이고 도로가 막혀 왕래하기 어려운 길을 연결하는 등 서울 곳곳의 도시 기반 시설을 확충한다. 하계동과 월계동을 잇는 중랑천 초안산 앞 보행교 개통, 아차산 지하차도 상부 공원 편의 시설 설치, 올림픽대로~여의도 간 진입 램프 설치,위례신도시 동부간선도로 진출입 램프 설치, 구로고가차도 철거 등이 올해 안에 이루어진다.

문의문의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 02-3708-2577~9, 8662

시민과 함께 모니터링하는 생물 다양성 우수 공원 제도 시범 운영

공원별 시민 모니터링단을 운영해 생물 전문가와 함께 도시 공원의 생물 다양성을 조사하고 평가한다. 2월 모집 예정.

문의문의
서울시 자연생태과 02-2133-2149,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 yeyak.seoul.go.kr, 서울의 산과 공원 parks.seoul.go.kr

화재 피해 줄이기 위한 전통시장 자율 소화 장치 배치

화재에 열악한 전통시장 중 소방차 진입이 어려운 골목형 시장에 소화기보다 진압력이 높은 전통시장 자율 소화 장치를 비치한다.

문의문의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예방과 02-3706-1511

전문 소방 인력 양성하기 위한 서울소방학교 전문 훈련 시설 조성·운영

서울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현장에 강한 전문 소방인력을 양성하고자 서울의 재난여건을 반영한 최적의 전문훈련시설을 조성한다. 2019년 하반기부터 훈련장 등 시범운영을 한 후 2020년부터는 시민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소방관뿐 아니라 시민 누구나 이용이 가능하다.

문의문의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소방행정과 02-3706-1540(소방재난본부 홍보기획팀), 서울소방학교 02-2106-3612~4, fire.seoul.go.kr/school

강서구 마곡119안전센터 신설

소방서가 없는 마곡지구의 안전을 강화하고, 소방 민원 업무 등을 더 빠르고 쉽게 해결하기 위해 강서구 마곡동 749-8번지 일원에 마곡119안전센터를 설치한다.

문의문의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소방행정과 02-3706-1323, 강서소방서 02-3663-5119

안전사고 긴급 구조 위한 마포대교·서강대교 영상 감시 CCTV 전면 교체

마포대교와 서강대교 교량 투신자 생존 구조율을 높이기 위해 CCTV 영상 감시 출동 시스템을 전면 교체한다. 또 SOS 생명의 전화도 설치해 자살을 예방한다.

문의문의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재난대응과 02-3706-1421

주차난 해소하기 위한 주택가 공동 주차장 확충

주택가 주차난을 해소하고, 불법 주정차를 줄이기 위해 주거 밀집 지역 일곱 곳에 공동 주차장을 조성·운영한다.

문의문의
서울시 주차계획과 02-2133-2364

누구나 손쉽게 사용 가능한 거리형 보이는 소화기 설치

소방차 통행이 어려운 곳에 설치하던 소화기를 시민 스스로 초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화재 취약 지역과 공공장소에 설치한다. 관할 소방서에 요청하면 된다.

문의문의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예방과 02-3706-1512 ffire.seoul.go.kr/school

미래서울

복지 서울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모든 동으로 확대

시민의 복지와 건강을 살피는 지역 거점이자, 동네 공동체를 지원하는 거점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찾아가는 동주민센터를 서울시 전역으로 확대한다. 서울시 복지포털 사이트에서 나만의 찾동 공무원(우리동네주무관, 복지플래너, 방문간호사)을 검색해 연락하면 찾아간다.

문의문의
서울시 자치행정과 02-2133-5838,복지포털 wis.seoul.go.kr
  

보편적 복지 실현하는 아동수당 지원 확대

소득수준과 상관없이 모든 아동에게 아동수당 10만 원을 지급한다. 0~71개월 아동을 둔 가정이라면 아동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동주민센터를 방문해 신청하거나,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복지로 모바일 앱에서 신청할 수 있다. 보호자가 부모가 아닌 경우 반드시 방문 신청을 해야 한다.

문의문의
서울시 가족담당관 02-2133-5176, 관할 자치구 아동수당 담당 부서

어린이집 부담 없이 보내도록 민간·가정 어린이집 차액 보육료 지원

민간·가정 어린이집을 다니는 만 3~5세 아동의 부모에게 정부지원금과 실제 어린이집 보육료 차액을 지원해 어린이집을 100% 무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문의문의
서울시 보육담당관 02-2133-5095

시민의 돌봄 부담 줄이는 서울 돌봄SOS센터 설치·운영

돌봄이 필요하지만 기존 제도에서는 자격이 안 돼 돌봄 서비스를받지 못하는 시민에게 돌봄SOS센터의 돌봄매니저가 다양한 돌봄서비스 정보를 제공한다. 또 필요 시 직접 방문해 대상자에게 맞는 맞춤형 돌봄 서비스를 지원함으로써 복지 사각지대를 없앤다.

문의문의
서울시 희망복지지원과 02-2133-7393, 센터 설치 구청 또는 동주민센터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아이돌봄서비스 실시

한부모가족복지시설에 입소한 분들의 자립을 돕기 위해 아이돌보미를 시설에 파견해 자녀를 무상으로 돌봐주는 서비스.아이돌봄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이용자 등록 후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다.

문의문의
서울시 가족담당관 02-2133-5171,www.idolbom.go.kr

보훈수당(참전명예·보훈예우) 인상

올해 1월부터 보훈수당을 전년 대비 2배 인상해 지급한다. 기존 수급자는 별도로 신청하지 않아도 되지만, 타 지역에서 서울로 이사한 유공자나 아직 받지 못한 경우는 관할 자치구 복지정책과에 연락해 지급 대상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문의문의
서울시 복지정책과 02-2133-7344(참전명예수당), 02-2133-7324(보훈예우수당)관할 자치구 복지정책과

서울의료원, 장애 친화 건강검진기관 지정 운영

서울의료원은 장애 특화 건강검진 장비 설치 및 주차장, 출입구 등 장애인 이동 동선 내 편의 시설을 개선하고 수화 통역 서비스,동행 서비스 등 장애 친화 건강검진기관으로 운영한다.등록 장애인이면 1월부터 예약 후 이용할 수 있다.

문의문의
서울의료원 02-2276-7000, seoulmc.or.kr

의사 결정 도와줄 치매 어르신 공공 후견 사업 확대

치매 환자가 후견인을 선임할 수 있도록 가정법원 심판 청구를 지원한다. 65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자 등 의사 결정 지원이 필요한 경우에 해당한다.

문의문의
서울시 광역치매센터 02-3431-7200, 중앙치매센터 24시간콜센터 1899-9988, seouldementia.or.kr, seoul.nid.or.kr

느린 학습자도 만족할 시끄러운 도서관 시범 운영

발달 장애와 경계선 지능 등으로 학습과 정보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느린 학습자가 소리 내어 책을 읽고 이야기도 나눌 수 있도록 시끄러운 도서관 한 곳을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또 생활연령과 인지능력에 맞춰 재구성한 쉬운 글 도서를 만들어 보급한다.

문의문의
서울도서관 02-2133-0229

서울시가 직접 돌봄 서비스 제공하는 사회서비스원(가칭) 설립

서울시가 국공립 사회복지시설을 직접 운영하고 종합 재가 센터를 신설하며 민간 서비스 기관을 지원해 장기 요양 및 장애인 활동 지원 등의 돌봄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회 서비스 종사자의 처우와 근로 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

문의문의
서울시 사회서비스혁신추진반 02-2133-7755

건강한 미래를 위한 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사업 확대

엄마가 건강해야 아이도 건강하다. 임산부가 산전, 산후에 겪는 사회적·심리적 어려움에 대처하고 부모가 양육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보편 방문, 지속 방문, 엄마 모임 등을 진행한다.

문의문의
서울시 건강증진과 02-2133-7578 또는 관할 자치구 보건소,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사업ourbaby.seoul.kr

건강한 임신, 행복한 출산을 위한 서울시 남녀 건강 출산 지원 확대

임신을 준비하고 있는 남녀에게 임신에 장애가 되는 고위험 요인을 사전에 발견하고,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임신 전 건강관리 프로그램.온라인으로도 신청할 수 있다.

문의문의
서울시 건강증진과 02-2133-7578, 홈페이지 3월경 오픈 예정

서울형 임신·출산·육아 통합 웹사이트 운영

3월(예정)부터 여러 웹사이트에 분포된 임신·출산·육아 정보를 한 곳에 모아 단계별(임신 전~출산)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여러 종류의 신청 서비스를 통합 관리하는 웹사이트를 운영한다.

문의문의
서울시 건강증진과 02-2133-7578, 홈페이지는 3월경 오픈 예정

균형 서울

어려운 지역 서점에 활기 불어넣는 서울형 책방 운영

서울 소재 서점 중 공개 모집을 통해 서울형 책방을 지원할 예정이다. 도서 유통·판매를 전담하는 고유한 기능의 책방과 책방에서 운영하는 세미나나 독서 동아리 등을 운영하는 문화 예술 책방으로 나누어 지원한다. 서울시 홈페이지와 서울도서관 SNS에서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다(3월 이후).

문의문의
서울도서관 02-2133-0213·0209,서울도서관 lib.seoul.go.kr, blog.naver.com/seoul_library

도시가스 인입 배관 설치비 분담 폐지

도시가스 회사와 도시가스 사용자가 각각 50%씩 분담하던 도시가스 인입 배관 공사비를 도시가스 회사가 100% 부담한다. 단 사용자 소유 부지 내 배관 설치비는 사용자가 부담한다.

문의문의
서울시 녹색에너지과 02-2133-3560

지역 주민 참여 독려하는 공동주택 단지 사회적 경제 기업 발굴 지원

지역 주민 참여 독려하는 공동주택 단지 사회적 경제 기업 발굴 지원

15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 단지 주민이 생활 개선 프로젝트를 실행하면 사업화가 가능한 서비스 등 공동주택 사회적 경제 기업을 설립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문의문의
서울시 사회적경제담당관 02-2133-5480, 관할 자치구 사회적경제담당 부서

음악과 자연이 풍성한 노들섬 복합 문화 공간 개장

노들섬에 500석 규모의 대중음악 전문 공연장, 음악·수공업 및 소상공인을 위한 공방과 마켓으로 이루어진 복합 공간인 문화 집합소 및 노들장터, 비오톱 1등급 구간으로 노들섬 생태 보존지인 맹꽁이 서식지 등으로 조성한 복합 문화 공간을 9월에 개장한다.

문의문의
서울시 공공재생과 02-2133-8705·8708,nodeul.org

문화적 기회 불균형 해소하는 지역 밀착형 아동·청소년예술교육센터 조성

예술교육 시설이 부족한 자치구의 아동, 청소년, 주민에게 양질의 예술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올해 두 곳을 시작으로 2022년까지 총 다섯 곳을 조성할 계획이다.

문의문의
서울시 문화시설과 02-2133-4221 

민주 서울

일상과 풍경을 바꾸는 서울시 마을건축가 제도 운영

마을건축가란 지역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마을 단위의 공간 정책을 지원하는 건축가다. 이들과 주민이 함께하는 공간 정책을 통해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하고, 서울시 전역의 균형 있는 공간 복지 지원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추진한다.

문의문의
서울시 도시공간개선반 02-2133-7630

시민과 함께하는 서울기록원 개관

서울 관련 시정 및 시민 기록과 관련한 다양한 일을 수행하는 열린 문화 기관이자 공감 아카이브로 9월에 개관할 예정이다.

문의문의
서울시 서울기록원 기록정책과 02-2133-4305,서울기록원 02-350-5600,archives.seoul.go.kr(개관 후 이용 가능)

전 국민이 참여하는 제100회 전국체전, 제39회 장애인체전 개최

전국체전이 시작된 서울의 잠실 주경기장 등 69개 경기장에서 10월 4일부터 10일까지 전국체육대회를 열고, 10월 15일부터 19일까지 잠실 주경기장 등 32개 경기장에서 전국장애인체육대회를 진행한다. 전국체전 최초로 17개 전 시도를 경유하는 성화 봉송을 진행하고, D-100일 행사, 성공 기원 이벤트, 열린 음악회 등 다양한 시민 참여 행사를 연다.

문의문의
02-2133-1874, 제100회 전국체전 페이스북www.facebook.com/100seoul2019.kr(2019년 초 공식 홈페이지와 인스타그램 개설 예정)


<2019년 달라지는 서울 생활> 책자 보기
이선민  일러스트 조성흠

문서 정보

[신년 기획] 2019년 달라지는 서울 생활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서울사랑 제공부서 시민소통담당관
작성자(책임자) 한해아 생산일 2019-01-04
관리번호 D0000035325223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