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자료

서울시 심혈관질환예방 코호트 1차 추적조사

문서 본문

  • 번호 : 9957
  • 연도 : 2015
  • 용역명 : 서울시 심혈관질환예방 코호트 1차 추적조사
  • 입력일 : 2015/01/29
  • 추진상황 : 종합평가서 제출
  • 용역수행기관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용역기간 : 2015/04/29 - 2015/12/18
  • 책임연구원 : 임도선
  • 용역분야 : 복지·보건
  • 용역기관선정방법 : 일반경쟁 입찰
  • 사업명 : 서울시 심혈관질환예방 코호트 1차 추적조사
  • 사업기간 : 2015/05/01 - 2015/11/30
  • 연구내용 : ○ 심뇌혈관질환 사망이 전체 사망자의 25%, 서울시 심뇌혈관질환 유병율은 10년간 2~3배 증가○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은 대사증후군 건강관리 필요 - 서울시민 22%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3개 이상 보유 - 서울시 대사증후군의 34%가 정기적 운동 하지 않고, 33% 주1회 음주, 40% 흡연<2013 서울시 심혈관질환 예방 코호트 조사 결과>※급격하게 변화하는 질환위험군에 과거의 연구에 기반한 코호트데이터 자료로 미래의 보건의료 정책을 수립하는 것은 부적절하며, 기초적인 수준의 인구학적 기본정보를 위주로 한 기존의 코호트 연구를 통해 개인별 심혈관질환 리스크를 조절 및 관리가 불가능함 → 정밀한 심혈관위험인자 검사 및 분석 및 서울시민에 초점을 둔 심혈관질환에 특화된 코호트가 필요
  • 담당자 : 김영임
  • 연구수행기관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문서 설명

초록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높은 대사증후군을 대상으로 신체적, 생화학적 지표와 임상경과 등을 추적조사하고 분석하여 심혈관질환 예측인자 발굴하고자 함 ○ 심뇌혈관질환 사망이 전체 사망자의 25%, 서울시 심뇌혈관질환 유병율은 10년간 2~3배 증가○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은 대사증후군 건강관리 필요 - 서울시민 22%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3개 이상 보유 - 서울시 대사증후군의 34%가 정기적 운동 하지 않고, 33% 주1회 음주, 40% 흡연<2013 서울시 심혈관질환 예방 코호트 조사 결과>※급격하게 변화하는 질환위험군에 과거의 연구에 기반한 코호트데이터 자료로 미래의 보건의료 정책을 수립하는 것은 부적절하며, 기초적인 수준의 인구학적 기본정보를 위주로 한 기존의 코호트 연구를 통해 개인별 심혈관질환 리스크를 조절 및 관리가 불가능함 → 정밀한 심혈관위험인자 검사 및 분석 및 서울시민에 초점을 둔 심혈관질환에 특화된 코호트가 필요. ○ 심뇌혈관질환 사망이 전체 사망자의 25%, 서울시 심뇌혈관질환 유병율은 10년간 2~3배 증가○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은 대사증후군 건강관리 필요 - 서울시민 22%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3개 이상 보유 - 서울시 대사증후군의 34%가 정기적 운동 하지 않고, 33% 주1회 음주, 40% 흡연<2013 서울시 심혈관질환 예방 코호트 조사 결과>※급격하게 변화하는 질환위험군에 과거의 연구에 기반한 코호트데이터 자료로 미래의 보건의료 정책을 수립하는 것은 부적절하며, 기초적인 수준의 인구학적 기본정보를 위주로 한 기존의 코호트 연구를 통해 개인별 심혈관질환 리스크를 조절 및 관리가 불가능함 → 정밀한 심혈관위험인자 검사 및 분석 및 서울시민에 초점을 둔 심혈관질환에 특화된 코호트가 필요
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3.0 마크

문서 정보

서울시 심혈관질환예방 코호트 1차 추적조사 - 문서정보 :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D0000024057183 분류 복지
원본시스템 학술용역 심사결과 제공부서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작성자(책임자) 김영임 생산일 201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