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자료

모태펀드 형태의 서울형 신성장동력펀드 조성 연구용역

문서 본문

  • 번호 : 5677
  • 연도 : 2012
  • 용역명 : 모태펀드 형태의 서울형 신성장동력펀드 조성 연구용역
  • 입력일 : 2011/09/02
  • 추진상황 : 종합평가서 제출
  • 용역수행기관 : (주)한국채권연구원
  • 용역기간 : 2012/03/22 - 2012/10/08
  • 책임연구원 : 이태호
  • 용역분야 : 산업
  • 용역기관선정방법 : 일반경쟁 입찰
  • 사업명 : 모태펀드 형태의 서울형 신성장동력펀드 조성 연구용역
  • 사업기간 : 2012/03/22 - 2012/09/21
  • 연구내용 : ○ 서울형 신성장동력펀드 조성의 타당성 분석 ○ 국내외 등의 벤처캐피탈 및 민간 벤처투자조합 결성 현황 분석 ○ 서울형 신성장동력펀드의 적정규모 및 운용기관 선정방안 도출 ○ 서울형 신성장동력펀드의 운용 체계 및 기본 구조 도출 ○ 공공 분야 및 민간 투자 활성화 방안 마련
  • 담당자 : 박은숙
  • 연구수행기관 : (주)한국채권연구원

문서 설명

초록

○ 미래 산업트렌드에 대응하여 서울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수립한 「2020 스마트 경제도시 서울」 추진
○ ‘융자’에서 ‘투자’ 중심으로 자금지원 정책 전환 필요
- 서울 산업경제 구조에 적합한 ‘투자’중심의 자금지원 정책 개발 필요
○ 모태펀드 형태의 서울형 신성장동력펀드 조성의 타당성 도출
○ 펀드 조성 기본계획 수립 및 조성형태, 조성 후 운용방법 제안
○ 공공 및 민간 투자 활성화 방안 마련 ○ 서울 경제성장률 둔화와 국가 경제 내 위상 약화에 대응한 서울경제의 지속성장을 위한 『2020 스마트 경제도시 서울』의 실효성 확보 필요
○ 서울경제 환경에 적합한 핵심산업 육성을 위한 자금원 확보
※ 8대 신성장동력산업 : 비즈니스서비스, 관광・MICE, 금융, IT융합, 바이오메디컬, 녹색산업, 콘텐츠, 디자인・패션
4대 도시형 제조업 : 인쇄, 의류봉제, 귀금속, 기계
○ 서울 산업경제 구조에 적합한 ‘투자’중심의 자금지원 정책 개발 필요 ○ 서울형 신성장동력펀드 조성의 타당성 분석
○ 국내외 등의 벤처캐피탈 및 민간 벤처투자조합 결성 현황 분석
○ 서울형 신성장동력펀드의 적정규모 및 운용기관 선정방안 도출
○ 서울형 신성장동력펀드의 운용 체계 및 기본 구조 도출
○ 공공 분야 및 민간 투자 활성화 방안 마련
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3.0 마크

문서 정보

모태펀드 형태의 서울형 신성장동력펀드 조성 연구용역 - 문서정보 :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D0000000714808 분류 경제
원본시스템 학술용역 심사결과 제공부서 (주)한국채권연구원
작성자(책임자) 박은숙 생산일 2011-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