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자료

탄소중립을 위한 건축물 온실가스 발생 실태조사 및 전생애 관리체계 구축방안 연구(건물 온실가스 실태 및 전생애 관리체계 구축방안연구)

문서 본문

  • 번호 : 26457
  • 연도 : 2020
  • 용역명 : 탄소중립을 위한 건축물 온실가스 발생 실태조사 및 전생애 관리체계 구축방안 연구(건물 온실가스 실태 및 전생애 관리체계 구축방안연구)
  • 입력일 : 2020-08-11
  • 추진상황 : 결과활용보고서 제출
  • 용역수행기관 : (재)서울특별시 서울기술연구원
  • 용역기간 : 2020-11-17 - 2021-11-16
  • 책임연구원 : 고인석
  • 용역분야 : 도시계획·주택
  • 용역기관선정방법 : 일반경쟁입찰
  • 사업비 : 245,000천원
  • 사업명 : 탄소중립을 위한 건축물 온실가스 발생 실태조사 및 전생애 관리체계 구축방안 연구
  • 사업기간 : 2020-10-30 - 2021-12-30
  • 연구내용 : ○ 빅데이터를 활용한 건축물 유형별 온실가스 발생 실태조사 및 분석 - 빅데이터(국가 건물에너지 통합시스템 등)에 근거한 건축물 온실가스 배출 유형 분석 및 분류 - 유형별 대표 건축물과 온실가스 배출 특성이 상이한 건축물의 현장조사 및 영향원인 분석 - 서울시 온실가스 감축정책의 효과분석 및 문제점 도출 ○ 서울시 특성에 적합한 건축물 유형별 온실가스 감축 정책과제 도출 -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대표 유형별 특성에 적합한 정책과제 도출 - 건축물 전생애 온실가스 관리 플랫폼 구축방안 수립 - 현 온실가스 감축정책 분석에 근거한 지원․관리 세부과제 마련 - 도시재생지역 등과 연계한 저층주거지 온실가스 감축방안 마련 - 과제별 소요 예산 및 기대효과 분석 ○ 서울시 녹색건축물 전생애 온실가스 통합 관리체계 구축방안 마련 - 설계 및 시공 단계 녹색건축 사업 및 관리현황 분석/관리방안 마련 - 운영 단계 온실가스 감축 정책 사업 및 관리현황 분석 - 온실가스 감축 정책 수행 후 운영단계 관리방안 마련 - 건축물 전생애 온실가스 관리 플랫폼 구축방안 수립 추가 과업 1. 서울시 녹색건축물 설계기준 적용 실태 조사·수집·분석 2. 서울시 녹색건축물 설계기준의 적용 효과 분석 3. 서울특별시 녹색건축물 설계기준 정비 4. 사용자 및 관계 전문가, 자치구 녹색건축 담당자 의견 수렴
  • 담당자 : 홍채원
  • 연구수행기관 : (재)서울특별시 서울기술연구원

문서 설명

초록

○근거 :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 제6조2(녹색건축물 조성사업 등)
○주요내용
- 빅데이터를 활용한 건축물 유형별 온실가스 발생 실태조사 및 분석
- 서울시 특성에 적합한 건축물 유형별 온실가스 감축 정책과제 도출
- 서울시 녹색건축물 전생애 온실가스 통합 관리체계 구축방안 마련
○사업기간 : 2020. 10. ~ 2021. 10.
○사업비 : 200,000천원[의원발의로 예산 기 편성] ○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18.9)에 발맞춘 서울시 건물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실태조사 및 저감 정책 수립 필요
○ 그린뉴딜 추진을 통한 서울시 2050년 탄소중립 비전 발표(‘20.7.)
○ 서울시 녹색건축물 1차 조성계획(‘16~20) : 건축물 생애관리 정보시스템 구축필요
추가과업
○ 그린뉴딜 추진을 통한 서울시 2050년 탄소중립 비전 발표(‘20.7.)
○ 녹색건축물 2차 조성계획(‘21~25)과 건축물 온실가스 발생실태 및 전생애 관리체계에 부합하는 녹색건축물 설계기준 개정 필요
- 탄소중립, ZEB 조기달성 목표 수립 등 로드맵 변경에 따른 개정
· 시설별 규모별 신재생에너지 의무 적용 비율 및 산정방법 등
· ZEB 의무화에 따른 용적율 인센티브 조정
○ 녹색건축물 설계기준 적용 현황 분석 자료 필요
- 탄소중립 정책과제 추진 등을 위한 녹색건축물 설계기준 적용현황 등 기초 데이터 확보 필요
○ 기 시행 중 용역의 정책과제 개발 및 조사분석 데이터와 연계 효율성 극대화
- 기 시행중 용역의 조사 분석 과업(온실가스 배출유형 등)과 연계하여 녹색건축물 설계기준 적용 효과를 분석하여 데이터 활용도 증대
- 온실가스 감축 정책과제 개발 및 녹색건축물 전생애 관리체계에 부합하는 설계기준 수립 필요(신재생에너지 시설 설치 및 유지관리 기준 등) ○ 빅데이터를 활용한 건축물 유형별 온실가스 발생 실태조사 및 분석
- 빅데이터(국가 건물에너지 통합시스템 등)에 근거한 건축물 온실가스 배출 유형 분석 및 분류
- 유형별 대표 건축물과 온실가스 배출 특성이 상이한 건축물의 현장조사 및 영향원인 분석
- 서울시 온실가스 감축정책의 효과분석 및 문제점 도출
○ 서울시 특성에 적합한 건축물 유형별 온실가스 감축 정책과제 도출
-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대표 유형별 특성에 적합한 정책과제 도출
- 건축물 전생애 온실가스 관리 플랫폼 구축방안 수립
- 현 온실가스 감축정책 분석에 근거한 지원․관리 세부과제 마련
- 도시재생지역 등과 연계한 저층주거지 온실가스 감축방안 마련
- 과제별 소요 예산 및 기대효과 분석
○ 서울시 녹색건축물 전생애 온실가스 통합 관리체계 구축방안 마련
- 설계 및 시공 단계 녹색건축 사업 및 관리현황 분석/관리방안 마련
- 운영 단계 온실가스 감축 정책 사업 및 관리현황 분석
- 온실가스 감축 정책 수행 후 운영단계 관리방안 마련
- 건축물 전생애 온실가스 관리 플랫폼 구축방안 수립
추가 과업
1. 서울시 녹색건축물 설계기준 적용 실태 조사·수집·분석
2. 서울시 녹색건축물 설계기준의 적용 효과 분석
3. 서울특별시 녹색건축물 설계기준 정비
4. 사용자 및 관계 전문가, 자치구 녹색건축 담당자 의견 수렴
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3.0 마크

문서 정보

탄소중립을 위한 건축물 온실가스 발생 실태조사 및 전생애 관리체계 구축방안 연구(건물 온실가스 실태 및 전생애 관리체계 구축방안연구) - 문서정보 :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D0000042470247 분류 주택도시계획
원본시스템 학술용역 심사결과 제공부서 (재)서울특별시 서울기술연구원
작성자(책임자) 윤별 생산일 2023-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