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상수도 시설물 노후도 종합관리계획

문서번호 기획예산과-1089 결재일자 2022. 1. 28. 공개여부 부분공개(5) 방침번호 시 민 예산팀장 기획예산과장 경영관리부장 상수도사업본부부본부장 상수도사업본부장 홍경숙 박은섭 정덕영 김권기 01/28 구아미 협 조 시설부장 강호광 미래전략연구센터장 차동훈 공간정보과장 강수성 상수도 시설물 노후도 종합관리계획 2022. 1. . 상수도사업본부 (경영관리부) 목 차 1. 검토배경 1 2. 추진경위 2 3. 예산 및 시설물 현황 3 4. 시설물 유지관리 현황 5 5. 문제점 및 개선방안 8 6. 추진계획 9 7. 기대효과 10 상수도 시설물 노후도 종합관리계획 각종 상수도 설비들의 내구연한 및 노후도 데이터를 종합하여 DB화하고, 잔존수명, 위험도 등 평가를 바탕으로 최적?적기투자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상수도 시설물 자산관리체계 구축을 추진하고자 함 - ’22. 1. 17(월) 현안업무 회의時 부본부장 요청사항 관련 - Ⅰ 검토배경 ?? 상수도 기반시설은 준공 후 30년 이상 경과에 따른 시설물 노후화로 유지관리 비용과 잠재 리스크 증가 우려 ○ 사후대응 차원의 시설물 관리체계가 아닌 선제적인 유지관리체계 필요 ?? 시설물 수명연장, 효율적 예산 활용, 시민 서비스 수준 향상에 필요한 과학적 시설관리 및 리스크 관리를 위한 종합관리체계 부재 ○ 환경부 수도시설 자산관리체계 도입 계획(2025 전국수도종합계획 : ’16년 수립) - 우리나라 상수도 실정에 맞는 자산관리시스템 구축 기준 수립, 단계적 도입, 자산관리 시행에 대한 법적 근거마련 및 관련 지침 제정(’16~’25년) ○ 환경부 자산관리시스템 표준화 및 지침, 매뉴얼 마련 용역 추진(’22.1.~’22.10.) 〈상수도 시설물 자산관리체계〉 ?? 기본정의 - 시설물 자산의 全 생애에 걸친 위험 요소를 파악하고 관리함과 동시에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 수준을 최소의 비용으로 제공하기 위해 여러가지 수단을 결합하여 필요한 의사결정을 하는 것 (2025 전국수도종합계획, 환경부) ?? 해외사례 호주 시드니 워터(Sydney Water)는 자산관리 기법으로 ’12~’16년까지 관망교체 비용 30% 절감 - 영국, 호주,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90년대부터 시설물의 자산관리체계를 도입 ? 선진국들도 심각한 시설 노후화와 재정 부족에 직면하였을 때, 자산관리 도입을 통해 문제 해결 ※ 환경부는 자산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시범사업 (부산시 등 11개 지자체 대상) 추진 중 작 성 자 경영관리부장 : 정덕영 ☎3146-1101 기획예산과장 : 박은섭 ☎1150 담당 : 홍경숙 ☎1159 Ⅱ 추진경위 ?? 물연구원 ‘상수도 자산관리체계 구축 방안 연구’를 기반으로 추진 (’17. 9.29. 전략연구과-5400호) ○ 선제적 상수도 유지관리를 위한 대안으로 자산관리체계 구축 제안 - 업무 총괄?조정은 시설부(공간정보과)에서 수행 ?? 상수도시설물 자산관리체계 구축 기본계획 수립용역 추진 ○ 용 역 명 : 상수도 시설물의 자산관리체계 구축 기본계획 수립용역 ○ 용역기간 : ’20.1.~12. (219백만원, 도화엔지니어링, 승화기술정책연구소) ○ 용역요약 - 효율적인 상수도시설 자산관리의 업무수행을 위한 부서 신설 및 위원회 구성 제안 - 자산관리 DB 구축방안, 인벤토리 DB 구성을 위한 표준 양식, 자산상태 평가, 잔존수명 예측 모듈 개발 방향, 서비스 수준 관련 평가지표 등 제시 ?? 우리시 상수도 자산관리시스템 구축사업은 환경부 시범사업 이후 추진 ○ 부산시 등 시범사업 지자체 자산관리시스템 구축현황 모니터링 예정 (’22. 2.~.) ○ 환경부 자산관리시스템 표준화 및 지침 배포 예정(’22. 11.) ※ 환경부 시범사업 개요 - 주관기관 : 환경부(11개 지자체 참여, 광역시_부산시, 대전시) - 총사업비 : 198억원(자산관리시스템 구축 180억, 표준시스템 개발 15억, 컨설팅 3억) ?유형 및 지역별 형평성, 재정자립도 등 고려 11개 지자체 선정 (단위: 백만원) 구분 합 계 환경부 부산 대전 수원 창원 제주 부안 나주 예천 의성 동해 단양 사업비 19,800 347 3,927 2,098 1,817 2,065 2,313 1,194 1,244 1,172 1,185 1,273 1,165 - 사업기간 : 2020~2022년 - 사업내용 : 상수도시설 개수, 위치, 상태 등을 DB화 → 잔존수명, 위험도 등 평가 → 최적?적기투자계획 수립 ?부산시 : 타 지자체에 적용할 수 있는 표준 자산관리시스템 개발 ?10개 지자체 : 기본단계만 구축하고, 기타 단계는 부산시에서 개발한 표준 자산관리시스템 활용 환경부는 시범사업 완료 후 자산관리시스템 구축 지침 및 매뉴얼 개발, 지자체 자체개발 유도 계획 Ⅲ 예산 및 시설물 현황 시설물 유지관리 예산 (단위 : 백만원) 구분 예산 (A) 시설물 관리 (①+②+③+④) ① 상수도 관망 관리 ② 취?정수 시설 관리 ③ 올림터? 배수지 등 관리 ④ 시설물 관리 시스템 고도화 예산(B) 비중(B/A) 합계 2,419,690 907,779 37.5% 558,048 207,774 122,066 19,891 ’22년 818,000 338,200 41.3% 221,032 74,379 41,367 1,422 ’21년 787,498 289,732 36.8% 174,038 66,447 41,491 7,756 ’20년 814,192 279,847 34.4% 162,978 66,948 39,208 10,713 ※ 시설물 노후도 증가에 따른 유지관리 비용 증가 추세 (’20년 34.4% → ’22년 41.3) 생산시설 ◈ 생산능력 : 고도정수 357만 톤/일(총 480만 톤/일) - 정수장 6개소, 취수장 4개소 ◈ 생 산 량 : 평균 310만 톤/일, 최대 345만 톤/일 ?? 정수시설 현황 (’21.12.31.기준, 단위: 천 톤/일) 정수센터 일평균 생산량 고도용량 (시설용량) 취수시설 취 수 원 해 당 수도사업소 취수장 용량 잠실 팔당 계 3,100 3,570 (4,800) 4개소 5,510 4,400 400 광 암 209 250 (400) 팔당 원수 - 400 강동 구 의 371 450 (500) 자 양 300 300 - 동부. 북부 강 북 550 200 - 뚝 도 401 600 (700) 자 양 500 500 - 중부, 서부, 동부 강 북 700 200 - 영등포 448 450 (600) 풍 납 700 600 - 서부, 강서, 남부 암 사 976 1,100 (1,600) 암 사 1,710 1,600 - 중부, 강서 남부, 강남, 강동 강 북 695 720 (1,000) 강 북 1,050 1,000 - 중부, 서부 동부, 북부 급수시설 ◈ 상수도관 : 13,432㎞ ◈ 가 압 장 : 219개소 ◈ 배 수 지 : 103개소 ◈ 급 수 전 : 2,230천전 ?? 상수도 관망 현황 (’20. 12. 31.기준) 구 별 수도관 연장(㎞) 계 급수관 배수관 송수관 도수관 공업용수관 계 13,432 3,091 9,733 517 84 8 중부 2,085 505 1,471 109 0 0 서부 1,733 411 1,273 49 0 0 동부 2,148 526 1,488 77 57 0 북부 1,278 312 896 71 0 0 강서 1,541 330 1,175 34 0 2 남부 2,108 520 1,502 69 11 6 강남 1,386 244 1,090 42 10 0 강동 1,153 243 838 66 6 0 ?? 배수지?올림터 현황 (’21. 12. 31. 기준, 단위: 개, 천㎥) 구분 배 수 지 아리수 올림터 계 지역 1차 2차 3차 계 유인 무 인 개소 용량 개소 용량 개소 용량 개소 용량 개소 용량 올림터 증압장 계 103 2,445 32 2,119 53 299 17 27 1 0.15 219 4 61 154 중부 23 169 2 70 11 83 9 16 1 0.15 43 - 18 25 서부 21 473 5 375 11 92 5 6 - - 43 1 11 31 동부 8 395 3 380 5 15 - - - - 16 1 3 12 북부 8 285 2 270 6 15 - - - - 42 - 8 34 강서 8 193 4 180 4 13 - - - - 15 - 5 10 남부 21 413 6 342 12 66 3 5 - - 22 1 8 13 강남 9 259 7 256 2 3 - - - - 30 1 5 24 강동 4 80 2 68 2 12 - - - - 8 - 3 5 광암 1 178 1 178 - - - - - - - - - - ※ 붙임1_수도계량기 및 밸브류 등 기타 시설물 현황 참조 Ⅳ 시설물 유지관리 현황 주요 시설물 경과년도 (참고 자료 : 상수도 시설 자산관리체계 구축 기본계획 수립용역 보고서, 2020.12.) 구분 계 20년 이하 21년~30년 31년~40년 41년 이상 합계 13,615 5,402 5,208 2,764 249 상수도관(㎞) 13,432 5,343 5,162 2,701 226 정수시설(개소) 9 2 2 5 - (구의2,영등포2) (암사2,강북) (광암,구의1,뚝도,,영등포1,암사1) 취수시설(개소) 6 1 2 3 - (구의?뚝도) (암사2,강북) (자양,풍납,암사1) 배수지(개소) 103 30 28 37 8 가압장(개소) ※ 무인증압장 154개소 제외 65 24 10 16 15 ※ 21년~30년에 해당하는 주요 시설물은 향후 10년이내 내용연수 30년 경과로 재정부담 가중 우려 〈내용연수〉 ?? 관련 법령 : 지방공기업법 시행규칙 별표2(건축물 등의 내용연수표), 물품관리법 제16조의2(물품의 내용연수) ※ 붙임2_지방공기업법 시행규칙 별표2 참조 - 상수도 시설물 내용연수 : 건물 40년, 구축물 30년, 관로 30년, 기계 및 전기장치 15년 - 배관자재 내용연수 : 스테인리스관?주철관?강관 30년, PVC관?PE관 20년, 아연도강관 10년 - 기타설비 내용연수 : 모터펌프 및 수ㆍ배전반 11년, 변압기 10년, 제어 밸브류 10년 시설물 유지관리 현황 ?? 시설물 정밀안전진단 및 점검 ○ 대상 시설물 (「시설물안전법 시행령」제4조 관련 별표1_제1종시설물 및 제2종시설물의 종류) 구 분 1종시설물 2종시설물 종외 시설물 대 상 ·1일공급능력 3만톤 이상의 지방상수도 ·1일공급능력 3만톤 미만의 지방상수도 배수관로, 급수시설 수원지시설, 도?송수관로, 취수시설, 취?정수장 배수지, 아리수올림터 ※ 우리시는 정수장 시설용량이 3만톤 이상으로 배?급수시설을 제외한 모든 시설이 1종시설물 ○ 실시 주기 (「시설물안전법 시행령」제8조 2항 및 제10조 1항 관련 별표3) 안전등급 정밀안전진단 정밀안전점검 건축물 그 외 시설물 A 등급 6년에 1회 이상 4년에 1회 이상 3년에 1회 이상 B?C 등급 5년에 1회 이상 3년에 1회 이상 2년에 1회 이상 D?E 등급 4년에 1회 이상 2년에 1회 이상 1년에 1회 이상 ※ 우리시 취?정수장, 배수지?올림터, 도송수관로는 B등급 이상으로서 5년에 정밀안전진단 1회, 정밀안전점검은 2년에 1회 시행, 다만, 배수지?올림터는 주기조정을 통해 4년에 정밀안전진단 1회, 2년에 정밀안전점검 1회 시행 (’22년부터 시행 예정) ○ 시설물별 정밀안전진단(점검) 추진 부서 시설물 (대상) 안전진단 안전점검 취수장 생산부_생산관리과 정수센터 정수장 도?송수관로 시설부_시설관리과 ※ 진단 1회/5년, 점검 1회/2년 (취수장~1?2차배수지 도송수관 551㎞) 배수지(101개소) 수도사업소 ※ 대상 101개소(광암, 평창 제외) 아리수올림터(65개소) ※ 65개소(무인증압장 154개소 제외) ?? 기계?전기시설 유지관리 구분 본부 주관부서 취?정수장 및 수도사업소 주요내용 기전설비 관련 유지관리 등 계획수립, 매뉴얼?지침 정비, 기전설비 순찰?점검 기전설비 운영 및 유지관리, 노후 기전설비 개량, 기전설비 순찰?점검 ?? 배수지 내부 방식 공사 ○ 에폭시로 시공된 13년 이상 경과 17개 배수지(용탈, 수포) 연차별 정비(’21 ~’30년) - 길동, 방배, 반포, 선우, 노량진, 상도, 장군봉, 신월, 용마, 대현산, 월계, 와우산, 홍은, 가좌, 북악?불광터널, 낙산 ?? 상수도 관망 관리 ○ 장기사용 송배수관(400㎜이상) 113㎞ 연차별 정비(’20 ~’24년) - '84~'85년 매설 덕타일주철관(29㎞), 41년 이상 경과된 콜타르에나멜 도복장강관(84㎞) ○ 장기사용 배급수관(350㎜이하) 342㎞ 연차별 정비(’20 ~’24년) - '84~'85년 매설 덕타일주철관(206㎞), 2세대 상수도관 중 정비가 시급한 취약 상수도관(136㎞) ※ 녹에 취약한 1세대 노후관(아연도강관, 회주철관 등) 교체실적 : (사업기간) ’84~’20년, (교체실적) 13,391㎞, (사업비) 3조 5,173억원 ?? 상수도 밸브실 등 지하시설물 관리 ○ 도로상 상수도 맨홀정밀점검(용역), 대형밸브 점검정비(용역) : 1회/2년 ○ 도·송수관 정밀안전점검·진단(용역) : 점검 1회/2년, 진단 1회/5년 ○ 지하 시설물 공동(空洞) 조사(조사비용 납부) : 1회/5년 ?? 상수도 행정업무 관련 시스템(28종) ※ 붙임3_상수도 행정업무 관련 시스템 현황 참조 구분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유지관리 시스템 재무관리 시스템 고객서비스 지원 시스템 기타시스템 시 스 템 명 1. 디지털 서울워터-ON 4. 스마트시설물관리시스템 11. 예산회계시스템 13. Arisu인포시스템 22. PDA계량기교체시스템 2. 생산관리시스템 5. 수질자동감시시스템 12. 자재관리시스템 14. 사이버고객센터 23. PDA검침시스템 3. 공급관리시스템 6. 원격감시시스템 15. 고객지원시스템 24. 통합인증시스템 7. 영상감시시스템 16. 상수도 홈페이지 25. 원격검침시스템 8. 유량감시시스템 17. 모바일아리수홈페이지 26. 수운영정보시스템 9. 상수도 GIS 시스템 18. 아리수홍보관홈페이지 27. 실험실정보관리시스템 10. 상수도 시설물 3D 시스템 19. AI상담챗봇(아리수톡) 28. 연구관리시스템 20. AI상담도우미 21. 민원통계분석시스템 Ⅴ 문제점 및 개선방안 구분 문제점 개선방안 자료 관리 방법 점검?진단 결과, 고장?수리 이력 등을 일지나 대장의 형태로 관리 (통계처리 불가) 통계처리가 가능하도록 시스템 기능개선 및 고도화로 입력 환경 개선 자료 입력 양식 시스템별 시설물 등록시 표준화된 입력 양식 부재 (취득일자, 내용연수 등 시스템별 입력 양식 상이) 표준화된 시설물 등록양식 마련 시스템간 연계성 시스템별 시설물 관리방법 상이하여 축적 데이터 활용도 낮음 (동일 시설물도 시스템별 자료관리 방법 상이하여 데이터 활용도 낮음) 시스템간 연계를 통한 빅데이터 분석?활용 가능하도록 통합관리체계 마련 의사결정 방법 누수 건수, 민원 등 시스템별 각각 제공되는 단편적 데이터에 의존하여 결정 종합적 유지관리 이력, 예측 모델을 활용할 수 있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구축 시설관리 방법 시설 관리자 중심의 의사결정에 따라 관리계획 수립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과학적 관리와 리스크 분석 가능하도록 관리방법 개선 추진방향 상수도 시설 자산관리체계 구축 (’22~’26년, 사업비 5,000백만원 소요예상) 〈상수도시설 자산관리 수행체계안〉 (참고 자료 : 상수도 시설 자산관리체계 구축 기본계획 수립용역 보고서, 2020.12.) Ⅵ 추진계획 < 1 단 계 > < 2 단 계 > < 3 단 계 > 자산관리체계 구축 기본계획 수립 ( ~ ’22년) 자산관리 통합 DB 시스템 구축 (’22~’24년) 시스템 적용 및 개선 (’23~’26년) 추진과업 주관부서 (협조부서) 추진일정 (예정) 비고 자산관리체계 구축 기본계획 수립 시설부_공간정보과 (물연구원_전략연구과 등) ’22. 1. ~ ’22. 8. 자산관리 통합 DB 시스템구축 시설부_공간정보과 (요금부_전산정보과, 물연구원_전략연구과 등) ’23. 1. ~ ’24.12. 시스템 적용 및 개선 시설부_공간정보과 (요금부_전산정보과, 물연구원_전략연구과 등) ’25. 1. ~ ’26.12. ?? <1단계> 자산관리체계 구축 기본계획 수립 ○ 환경부 시범사업 대상 11개 지자체 등 모니터링 ○ 자산 등록?분류, 시스템별 DB 현황 및 상호 연계성 분석 ○ 주요 하부 모델 조사 ○ 시설물 유지관리 업무 분석 ○ 자산관리 전략 및 자산관리체계 구축 기본계획 수립 ?? <2단계> 자산관리 통합 DB 시스템 구축 ○ 자산관리 DB 실시 설계 ○ 주요 하부 모델 개발, 시스템 간 연계를 위한 인터페이스 구성 등 ○ 자산관리 정보시스템 구축 ?? <3단계> 시스템 적용 및 개선 ○ 자산관리시스템 운영 ○ 자산관리 전략 및 시스템 보완?개선 등 Ⅶ 기대효과 예산 편성 정확도 제고&적기 투자 자산 관리 기대 효과 서비스 기대수준 충족 지속 가능성& 수요자 요구 충족 안전성/안정성 향상 리스크(Risk) 대처능력 향상 자산 상태 평가?관리 의사 결정 지원 구 분 주요내용 의사결정 지원 갱생, 교체, 보수 등의 상수도 시설 개량시 합리적인 의사결정 지원 예산 편성 정확도 제고&적기 투자 단기, 중장기 차원의 계획에 의한 예산 편성시 한정된 재원의 합리적 배분 지원으로 예산 편성의 효율성 제고 자산상태 평가?관리 상수도 시설물 자산상태 평가?관리에 따라 기대수명 증가로 인한 신설?증설 비용 저감 리스크 대처 능력 향상 상수도 시설 자산 및 중요도 등 결정, 리스크 평가로 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 가능 안전성?안정성 향상 수돗물 수질의 안전성 및 공급의 안정성 향상 지속 가능성? 수요자 요구 충족 지속가능한 상수도 시스템 구축 및 수요자의 양적?질적 서비스 수준 충족 서비스 기대수준 충족 서비스 기대 수준을 충족하기 위하여 증가하는 법적 기준 달성 붙임1 수도계량기 및 밸브류 등 기타 시설물 현황 ?? 수도계량기 현황 (’21. 12. 31. 기준, 단위: 수전) 구 경 총 계 비율 가정용 욕탕용 공 공 용 일 반 용 소 계 공공용 급수탑 사설 소화전 소 계 일반용 임시 급수 총 계 2,230,000 100.00% 1,936,078 753 18,186 18,024 87 75 274,983 274,056 927 15mm 1,862,762 83.53% 1,707,586 3 5,348 5,347 0 1 149,825 149,276 549 20mm 135,693 6.08% 61,650 8 3,442 3,440 0 2 70,593 70,437 156 25mm 96,920 4.35% 64,754 19 2,784 2,780 0 4 29,363 29,269 94 32mm 70,215 3.15% 60,964 35 1,199 1,193 0 6 8,017 7,971 46 40mm 40,584 1.82% 30,327 211 1,421 1,419 0 2 8,625 8,586 39 50mm 13,224 0.59% 5,896 345 1,880 1,865 0 15 5,103 5,061 42 소 형 2,219,398 99.52% 1,931,177 621 16,074 16,044 0 30 271,526 270,600 926 80mm 5,565 0.25% 1,720 118 1,522 1,485 3 34 2,205 2,205 0 100mm 2,580 0.12% 1,243 14 435 344 81 10 888 887 1 150mm 1,525 0.07% 1,114 0 105 102 2 1 306 306 0 200mm 641 0.03% 566 0 32 32 0 0 43 43 0 250mm 229 0.01% 207 0 11 11 0 0 11 11 0 300mm 62 0.00% 51 0 7 6 1 0 4 4 0 대 형 10,602 0.48% 4,901 132 2,112 1,980 87 45 3,457 3,456 1 ?? 밸브류 및 기타 시설물 현황 (’21. 12. 31. 기준, 단위: 개소) 사업소 합계 제수 밸브 (制水) 퇴수 밸브 (退水) 공기 밸브 (空氣) 역지 밸브 (逆止) 감압 밸브 (減壓) 소화전 (消火栓) 급수탑 (給水塔) 유량계 (流量計) 신축관 (伸縮) 수압계 (水壓) 합 계 278,521 195,356 10,043 9,843 402 172 60,201 86 589 1,514 315 중 부 44,813 30,867 1,440 1,350 74 33 10,716 22 117 127 67 서 부 39,197 28,470 1,220 1,387 37 3 7,803 11 61 190 15 동 부 27,034 18,964 787 819 72 22 6,074 10 57 161 68 북 부 33,895 24,602 1,173 1,168 80 25 6,532 16 83 176 40 강 서 33,215 23,404 1,547 1,279 34 23 6,658 7 77 155 31 남 부 45,090 31,234 1,874 1,737 41 43 9,754 11 63 297 36 강 남 31,456 21,536 1,042 1,322 53 17 7,149 6 76 222 33 강 동 23,821 16,279 960 781 11 6 5,515 3 55 186 25 붙임2 지방공기업법 시행규칙_별표2_건축물 등의 내용연수표 ■ 지방공기업법 시행규칙 [별표 2] <개정 2021. 9. 7.> 건축물 등의 내용연수표(제19조제1항제1호관련) 구분 내용연수 구조 또는 자산명 1 5년 차량 및 운반구(운수업, 기계장비 및 소비용품 임대업에 사용되는 차량 및 운반구를 제외한다), 공구, 기구 및 비품 2 12년 선박 및 항공기(어업, 운수업, 기계장비 및 소비용품 임대업에 사용되는 선박 및 항공기를 제외한다) 3 20년 벽돌구조, 블럭조, 콘크리트조, 흙구조, 흙벽구조, 목조, 나무 뼈대 회반죽 구조(목골 모르타르조), 그 밖의 구조의 모든 건물(부속설비를 포함한다)과 구축물 4 40년 철골?철근콘크리트조, 철근콘크리트조, 석조, 연와석조, 철골조의 모든 건물(부속설비를 포함한다)과 구축물 1. 건물(부속설비를 포함한다) 및 구축물이 내용연수가 서로 다른 2 이상의 복합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주된 구조에 의한 내용연수를 적용한다. 2. 구분 3과 구분 4를 적용함에 있어서 부속설비에는 당해 건물과 관련된 전기설비, 급배수?위생설비, 가스설비, 냉방?난방?통풍 및 보일러설비, 승강기설비 등 모든 부속설비를 포함하고, 구축물에는 하수도, 굴뚝, 경륜장, 포장도로, 교량, 도크, 방벽, 철탑, 터널 기타 토지에 정착한 모든 토목설비나 공작물을 포함한다. 3. 구분 3과구분4를 적용함에 있어서 건물중 변전소, 발전소, 공장, 창고, 정거장?정류장?차고용 건물, 폐수 및 폐기물처리용 건물, 「유통산업발전법 시행령」에 의한 대형점용 건물(당해 건물의 지상층에 주차장이 있는 경우에 한한다), 구축물중 굴뚝, 경륜장, 포장도로와 폐수 및 폐기물처리용 구축물과 그 밖에 진동이 심하거나 부식성 물질에 심하게 노출된 것은 내용연수를 각각 10년, 20년으로 적용한다. 4. 상하수도사업의 경우 구축물에 한하여 다음과 같이 적용한다. ?토목시설 및 그 밖의 수도시설 : 30년(취수?도수?정수?배수지설비시설 등) ?스텐레스관, 주철관, 강관 : 30년 ?폴리염화비닐(PVC)관, PE관 : 20년 ?아연도강관 : 10년 ?그 밖의 관(재질에 따라) : 20-30년 ?수도관 부속설비 : 20-30년 ?하수처리장시설 - 침전물(슬러지) 처리시설 : 20년 - 그 밖의 수처리시설 : 30년 - 중계펌프장시설 : 30년 ※ 침전물 처리시설은 농축조, 소화조, 탈수기동, 저류조(빗물, 하수, 오수 등을 모아두기 위해 설치하는 큰 통을 말한다) 등을 의미하고, 수처리시설은 침사지(沈砂池: 흙이나 모래 등을 가라앉히기 위한 못을 말한다), 유입펌프장, 1차침전지, 생물반응조, 2차침전지, 소독 및 방류시설?처리수 재이용시설 등을 의미함 ?하수관거시설 - 구조물시설(BOX 등) : 30년 - 그 밖의 하수관거시설(흄관, PC관, VR관, PE관 등) : 20년 5. 도시철도사업의 경우 구축물, 도시철도차량(부수 운반구를 포함한다)에 한하여 다음과 같이 적용한다. ㆍ 구축물(터널): 60년 ㆍ 도시철도차량: 「도시철도차량 관리에 관한 규칙」 제9조의 사용내구연한에 따른다. 붙임3 상수도 관련 시스템 현황 (’21. 12. 31. 기준) 연번 시 스 템 명 주 요 내 용 관리부서 장비운영 (이관일자) 비고 1 Arisu인포시스템 검침, 요금부과, 수납, 체납, 자동납부 등 요금관리 요금제도과 클라우드센터 (‘17. 12. 16.) 2 사이버고객센터 자가검침일 안내 및 자가검침 입력, 상하수도 요금조회, 이사요금 정산 등 클라우드센터 (‘17. 12. 16.) 3 PDA계량기교체시스템 PDA활용 계량기 교체에 필요한 정보 조회·입력 후 요금관리시스템 연계 송신 클라우드센터 (‘17. 12. 16.) 4 PDA검침시스템 PDA활용 요금검침에 필요한 정보 조회·입력 후 요금관리시스템 연계 송신 클라우드센터 (‘17. 12. 16.) ‘19년 재개발 5 디지털 서울워터-ON 15종 개별시스템 연계 - 주요현황, 수돗물현황, 시설물현황, 민원정보, 정책사업 등 실시간 시각화 전산정보과 클라우드센터 (‘20. 00. 00.) 6 고객지원시스템 민원 접수, 처리, 공개, 대장관리 등 클라우드센터 (‘18. 12. 14.) '18년 재개발 7 예산회계시스템 예산편성 및 배정, 추산, 자금배정 및 지출, 자산, 계약, 결산관리 클라우드센터 (‘17. 12. 16.) 8 자재관리시스템 자재, 계량기, 약품 수급 및 수불, 재고관리 클라우드센터 (‘18. 8. 13.) '18년 재개발 9 통합인증시스템 개별 업무시스템에 대한 단일로그인 서비스 클라우드센터 (‘17. 11. 30.) '17년 재개발 10 원격검침시스템 수도계량기 원격검침 데이터 관리 계측관리과 클라우드센터 (‘18. 3. 7.) 11 상수도 홈페이지 PC 기반 상수도 기관소개, 자료제공, 홍보 등 홍보과 클라우드센터 (‘17. 12. 16.) 12 모바일아리수홈페이지 모바일 기반 상수도 기관소개, 자료제공, 홍보 등 클라우드센터 (‘17. 12. 16.) 13 아리수홍보관홈페이지 아리수 소개, 생산과정, 홍보 동영상 등 클라우드센터 (‘17. 12. 16.) 14 AI상담챗봇(아리수톡) 요금조회, 이사정산 등 상수도 민원상담 민원분석과 클라우드센터 및 상수도사업본부 '21년 개발 15 AI상담도우미 전화민원 상담내용 텍스트 변경 및 키워드에 따른 추천답변 지원 등 상수도사업본부 '21년 개발 16 민원통계분석시스템 민원 카테고리별/지역별/채널별 키워드 분석 등 상수도사업본부 '21년 개발 17 스마트시설물관리시스템 기전설비 사양 및 운영자에 의한 점검 이력관리 기전설비과 클라우드센터 (‘18. 1. 19.) 18 수질자동감시시스템 생산 및 공급과정의 수질감시 및 공개시스템 운영 급수운영과 상수도사업본부 '19년 재개발 19 원격감시시스템 사업소 및 정수센터 시설물 제어정보 수집 (유량, 수의, 펌프, 밸브상태 등) 공간정보과 상수도사업본부 20 영상감시시스템 사업소 및 정수센터 현장CCTV 감시(펌프장, 가압장, 울타리) 상수도사업본부 21 생산관리시스템 배수지 수위 데이터 기반 수요량 예측, 생산계획 수립 상수도사업본부 22 공급관리시스템 급수운영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정보 제공 (블록관리, 관망해석) 상수도사업본부 23 수운영정보시스템 정수센터 및 수도사업소 중앙제어실의 수운영정보 기관내 공유 상수도사업본부 24 유량감시시스템 생산 및 공급과정의 유량 및 수압 감시 상수도사업본부 25 상수도 GIS 시스템 공사관리, 관망도관리, 누수관리, 시설관리 등 공간정보과 클라우드센터 (‘17. 12. 16.) 26 상수도 시설물 3D 시스템 정수장, 배수지 및 지하관로 3차원 서비스 클라우드센터 27 실험실정보관리시스템 실험실에서 생산되는 데이터 및 시약, 장비 관리 물연구원 수질연구과 클라우드센터 (‘18. 1. 19.) 28 연구관리시스템 연구과제의 기초연구부터 결과까지 연구이력 등 연구 프로세스를 기록 관리 물연구원 연구기획과 클라우드센터 (‘18. 1. 15.)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정보

상수도 시설물 노후도 종합관리계획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상수도사업본부 본부 경영관리부 기획예산과
문서번호 기획예산과-1089 생산일자 2022-01-28
공개구분 부분공개 보존기간 10년
작성자(전화번호) 홍경숙 (02-3146-1159) 관리번호 D0000044642903
분류정보 환경 > 상수도 > 상수도관련관리일반 > 상수도회계관리 > 상수도예산편성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