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서울 국악플랜 2025

문서번호 문화예술과-9748 결재일자 2020.7.6. 공개여부 부분공개(5 6) 방침번호 서울특별시장 방침 제167호 시 민 주무관 문화예술과장 문화본부장 행정1부시장 서울특별시장 김유빈 김인숙 유연식 서정협 07/06 박원순 협 조 예산담당관 김태명 관광산업과장 이은영 인생이모작지원과장 정경숙 평생교육과장 장화영 문화정책과장 김경탁 박물관과장 이성은 젠더자문관 김연주 예술정책팀장 홍우석 축제진흥팀장 김정은 예술교육팀장 조기동 공연예술팀장 차영선 서울 국악플랜 2025 2020. 6. 서 울 특 별 시 (문 화 본 부) 목 차 Ⅰ 추진 배경 1 Ⅱ 국악계 현황 및 실태 2 Ⅲ 추진 경과 12 Ⅳ ‘국악발전 2025’ 전략 19 Ⅴ 세부 추진 계획 24 ① (시민의국악) 교육, 체험, 공연 분야 24 ② (성장하는국악) 창작지원, 인프라 확충 분야 39 ③ (글로벌국악) 관광상품화, 축제 분야 61 Ⅵ 연차별 추진 및 투자 계획 79 서울 국악플랜 2025 우리 전통유산인 국악 활성화와 재도약을 위해 민선 7기 지속가능한 국악발전 기반 마련 및 중·장기 국악 발전 종합계획을 수립하고자 함 Ⅰ 추진 배경 ?? 정책 환경의 변화 ○ 삶의 가치 변화에 따른 문화욕구와 수요 증폭 - 주 52시간 도입에 따른 일과 삶의 균형 가치 증대 및 여가문화활동 욕구 증가 ○ 스스로 문화생활을 즐기는 생활문화 가치의 확산 - 일상에서 문화를 누리는 생활문화시대의 요구 증가 ○ 한류 문화에 대한 세계적 관심 확대 - 기생충의 오스카 수상, K·pop, 문화다양성 가치의 확산으로 한국문화에 관심 증대 ○ 문화시민도시 서울 비전과 민선7기 비전 확산을 위한 새로운 정책 요구 - 민선 5,6기 대비 문화수요에 대한 증가와 시민만족도 향상을 위한 정책 필요 항 목 2014년(국악플랜 1.0) 2019년(국악플랜 2.0) ?문화예술행사 관람률 71.3% 81.8% ?? ?전통예술분야 관람률 5.7% 10.3% ?? ?향후 문화예술행사 참여의향 8.1% 19.2% ?? ?? 문화생활의 양적증가 및 참여의향의 지속적 증가 <2019년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문화체육관광부> Ⅱ 국악계 현황 및 실태 【 정 부 】국악정책 문화체육관광부(공연전통예술과)가 ?문화비전 2030?을 통하여 전통문화의 보존과 창조적 계승을 목적으로 ‘기초문화예술창작 콘텐츠 지원’과 ‘전통예술 및 공연 생태계의 성장과 지원확산’을 위한 세부과제 추진중 ○ 국악의 원형 보존과 전통 전승에 기반한 고품격 공연 제작(국립국악원) - 본원 및 지방국악원(남원,진도,부산) 운영, 소속 예술단(정악단, 민속악단, 창작악단, 무용단, 기악단, 성악단 등 총 400명)을 활용 연간 약 800회의 다양한 공연 - 학술연구, 자료수집 및 아카이빙·전시 등(무형문화재 보존은 문화재청 담당) ○ 전통 기반, 동시대적 공연예술 창작 및 문화 향유기회 확대(국립극장) - 공연장 및 예술단(창극단, 국악관현악단, 무용단) 운영 통해 전통예술을 동시대적으로 시민들과 교감할 수 있도록 다양한 레퍼토리 개발 ○ 전통예술의 보급, 저변확대, 신진인력양성 지원 등(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 신진국악인 및 창작활동 지원, 전통예술인 해외 진출 지원, 공연기획 - 관심시민 대상 전통예술 강좌, 전통예술인 역량강화 교육 등 ○ 방송을 통한 국악 인구 저변확대 도모(국악방송) - 라디오, 웹TV 등을 통해 다양한 국악 프로그램 소개(‘19.12. 국악TV 개국) - ‘07년부터 창작국악 경연대회(21C 한국음악프로젝트)를 지속 개최하여 역량 있는 국악 창작자 발굴 및 지원 ○ 그 밖에 온라인 플랫폼 활용기반 콘텐츠 제작 지원(한국콘텐츠진흥원), 해외시장 진출 지원(예술경영지원센터) 등 관계기관에서 다양한 사업 추진 【 서 울 】국악자원 공연장 : 서울소재 국악 관련 공연장 ○ 국악이 주로 공연되는 서울 소재 공연장은 17개소, 종로·중구 집중(10개) - 국립국악원, 국립극장 등을 제외, 대부분 300석 이하의 중소 규모이며, 공공 공연장 외 대부분은 국악 이외에도 다양한 장르의 공연이 이루어짐 설 립 주 체 별 공 연 시 설 명 소재지 객석수 공공 (9) 중앙정부 (5) 국립국악원 서초 2,360(야외1,300) 국립극장(4개 공연장) 중구 2,439 정동극장 중구 200 한국문화의 집 강남 209 한국의 집 중구 195 서울시 (2) 서울남산국악당 중구 300 서울돈화문국악당 종로 140 기초자치단체 (2) 서울놀이마당 송파 1,500(야외) 광화문아트홀 종로 308 민간 (8) 법인 (3) 민속극장풍류 강남 149 부암아트홀 종로 120 전통문화예술공연장 종로 275 개인 및 기타 (5) 북촌창우극장 종로 150 창덕궁소극장 중구 100 상설무대 우리소리 마포 100 공간 명아락 강북 150 아트홀가얏고을 강남 77 <남산국악당> <돈화문국악당> <서울시 소재 국악 공연장, 2019> 공연 : 서울내 국악 공연 현황 ○ 연간 약 4,700건 개최되는 국악공연중 약40%(1,888건)가 서울에서 개최 - ‘13년 대비 ‘17년 국악공연횟수는 전국기준 2.9% 감소, 서울시는 10.7% 증가 - 서울 국악공연비중은 40%로 타장르 종합(55%) 수치에 비해서 낮은 수준 구 분 항 목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서울 국악 공연횟수 1,706 1,899 2,325 1,452 1,888 전년도 대비증감률 - 11.3% 22.4% -37.5% 30.0% 전체 장르 공연횟수 112,087 101,994 115,922 106,427 87,073 서울 전체 장르 내 국악비중 1.5% 1.9% 2.0% 1.4% 2.2% 전국 국악 공연횟수 4,904 5,161 5,074 4,169 4,764 전년도 대비 증감률 - 5.2% -1.7% -17.8% 14.3% 전체 장르 공연횟수 198,465 200,228 191,096 174,190 159,401 전국 전체 장르 내 국악비증 2.5% 2.6% 2.7% 2.4% 3.0% 전국 대비 서울 국악 공연 비중 34.8% 36.8% 45.8% 34.8% 39.6% 전국 대비 서울 전체 장르 공연횟수 비중 56.5% 50.9% 60.7% 61.1% 54.6% <공연예술실태조사(2014~2018), 문화체육관광부> 서울국악공연횟수 전국 국악공연횟수 <최근 5년간 국악공연 횟수 증감률, 2013~2017> ○ 전체 장르 중 예매 관객 비중은 국악이 최저수준 - 서울 공연예술 매출액은 약 1,178억원, 이중 국악공연은 7.9억원(0.7%) - 뮤지컬(49.6%)?연극(26.3%)?클래식(14.1%)?무용(4.5%)?국악(2.0%) 순 장르 매출액 공연건수 상연횟수 예매수(관객) (백만원) 비중 (건) 비중 (회) 비중 (건) 비중 연극 17,086 14.5% 717 22.2% 23,437 53.4% 1,065 26.0% 뮤지컬 85,100 72.3% 435 13.5% 16,898 38.5% 2,030 49.6% 클래식 7,004 5.9% 1,441 44.6% 1,576 3.6% 579 14.1% 오페라 1,753 1.5% 75 2.3% 153 0.3% 79 1.9% 무용 5,299 4.5% 215 6.7% 703 1.6% 186 4.5% 국악 789 0.7% 212 6.6% 695 1.6% 82 2.0% 복합 725 0.6% 136 4.2% 408 0.9% 70 1.7% 합계 117,757 100.0% 3,231 100.0% 43,870 100.0% 4,091 100.0% <서울시 공연예술 장르별 현황, 2019> ○ 공연예술 장르별 및 티켓가격대별 매출액 비중 - 3만원 미만 69.6%이며 10만원 이상은 2.3%로 최저 수준 - 국악 공연예매건수 159,012건 중 74,540건(46.9%)이 무료 공연 연극 뮤지컬 클래식 오페라 무용 국악 복합 <공연예술통합전산망(kopis), 2019> 예술인 : 국악인 및 국악단체 ○ 최근 3년간 국악분야 공연단체 꾸준히 증가 - 특히, 서울에서 활동하는 국악 분야 공연단체 수가 ‘17년 크게 증가 - 전국 500개의 국악단체 중 160여개 서울 소재, 전국 약 8천명의 국악인 중 약 30%(2,500명)가 서울에서 활동 구 분 2015년 2016년 2017년 서울 소재 국악 공연단체 수 145 142 162 전국 소재 국악 공연단체 수 460 477 509 전국 대비 서울 비중 31.5% 29.8% 31.8% ○ 국악 공연단체 인력 현황 - ‘17년 기준 국악 평균인력수는 17.7명, 단원인력수 15.9명 전체 평균보다 높은수준 구 분(%) 전체 연극 무용 양악 국악 복합 공연단체수 2,861 900 382 923 509 147 평균전체인력수 15.8 10.7 13.1 27.4 17.7 9.9 평균단원수 13.4 7.9 10.4 25.3 15.9 7.6 ○ 국악인 대다수(80%)가 실연자 중심, 타 음악 장르 대비 직무 다양성 저조 - 공연 활동 직업 비중이 높으며, 관리자 및 기획자 등의 비중은 타 장르에 비해 낮음 구분(%) 실 연 지 휘 문화예술 행정 작 곡 공연기획 기타 국 악 81.3 4.4 3.2 2.2 2.1 6.8 타 장르 음악 59.9 9.7 4.6 11.3 4.3 10.2 <공연예술실태조사(2014~2018), 문화체육관광부> 교육 : 국악 교육기관 및 인력배출 ○ 국악 관련 정규 교육기관은 전국 74개교 중 약 27%(20개교)가 서울 소재 - 서울소재 20개 학교 : 중·고교 6개, 대학교 6개, 대학원 8개 구 분 학 교 명 중학교(3) 국립국악중학교, 국립전통예술중학교, 선화예술중학교 고등학교(3) 국립국악고등학교,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선화예술고등학교 대학교(6) 백석예술대학, 서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대학원(8)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한국예술종합학교,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시내 국악 관련 정규교육기관> ○ 전국 대학·대학원에서 매년 약 500여 명의 전공자 배출, 음악 분야 전공 취업률 대비, 국악 전공자의 취업·진학률은 높은 편, - `17년 대졸 기준 : 국악전공 취업률 56.2%, 음대 취업률 49.2% 구분(명, %) 2015년 2016년 2017년 졸업생 취업률 진학률 졸업생 취업률 진학률 졸업생 취업률 진학률 대학 국악 457 51.2 17.5 453 54.9 17.2 411 56.2 18.5 음악분야 6,245 44.6 13.9 6,077 48.4 13.3 6.011 49.2 13 대학원 국악 56 66.7 12.5 71 73.8 5.6 91 73.2 7.7 음악분야 806 49.1 3.0 827 46.4 2.7 942 51 3.5 <국악 및 음악 관련 전공 졸업생/취업률/진학률, 한국교육개발원 취업통계연보,2016~2018> 【 국악향유 】 관람 : 국악 관람현황 ○ 서울 시민의 전통예술 관람률은 약 11.3%로 전국 9.3% 대비 다소 높으나 영화, 대중 음악 등 장르 대비 저조 <2018년 서울시/문화예술 행사 관람률 현황, 문화향수실태조사(2014~2018), 문화체육관광부> ○ 전통예술 관람객은 50대 이상 비율이 40대 이하 관람률 대비 높으나, 전 연령대별 미관람률이 80%이상으로 전반적 관람률은 낮음 구분 관람횟수 별 비중(%) 관람/미관람률(%) 관람횟수 평균(회) 1회 2회 3회 4회 이상 경험있음 경험없음 전체 관람 경험자 전체 5.3 2.6 0.7 0.7 9.3 90.7 0.17 1.78 15-19세 3.3 2.3 0.1 0.1 5.8 94.2 0.09 1.53 20대 2.3 0.6 0.2 0.2 3.2 96.8 0.05 1.63 30대 3.7 0.9 0.1 0.3 5.0 95.0 0.07 1.46 40대 5.1 1.7 0.5 0.6 7.9 92.1 0.13 1.66 50대 6.0 2.9 0.5 0.8 10.2 89.8 0.19 1.84 60대 8.1 5.3 1.8 1.7 17.0 83.0 0.33 1.95 70세 이상 9.2 5.9 2.1 1.1 18.2 81.8 0.34 1.84 <2018년 연령대별 전통예술행사 관람 현황> ○ 국악 등 전통예술 관람 의향은 14%로 음악 등 타 장르 대비 낮은 편 - 대중음악(33%) 〉연극(27%) 〉뮤지컬(26%) 〉전통예술(14%) 〉서양 음악(13%) 〉무용(6%) 순이며, 소폭 상승 추세 (’14년 12.6%⇒’18년 14%) ○ 관람 의향자의 국악공연 관람 시 고려사항은 ‘공연 수준’, ‘비용’, ‘접근성’ 등이며, 장애 요소는 ‘정보·부족’, ‘여유시간 부족’ 등 - 흥미 혹은 공연 수준(87.6%) 〉관람 비용(61.9%) 〉접근성(41.2%)   - 관련 정보 부족(30.2%) 〉가까운 시설 없음(16.9) 〉시간적 여유 없음(16.2%) ○ 전통예술공연 비 관람 사유는 무관심이 가장 크며, ‘과거의 경험’도 관람 의향에 부정적 영향 - ‘무관심’(20%), ‘여유시간 부족’(17.6%)이 서울 시민들의 가장 큰 비관람 사유 비관람 의향 이유(%) 관심이 없다 시간적 여유가 없다 비용이 많이 필요하다 관련 정보가 부족하다 전에 봤던 공연이 재미가 없었다 전통공연예술에 대해 잘 모른다 가까운 곳에 시설이 없다 함께 관람할 사람이 없다 없음/ 모름 서울 20 17.6 6.8 6 5.3 4.4 2.5 1.7 35.6 전국 12.4 10.7 7.5 6.1 5.7 4.5 4.2 3.4 44.6 ○ 문화예술행사에서 보완이 필요한 부분(문화예술행사 직접관람자) - 관람비용(32.0%) 〉작품의 질(26.3%) 〉근접성(18%) (단위 : %) 관람비용을 낮추어야 한다 작품의 질을 높여야 한다 가까운 곳에서 열려야 한다 관련 정보가 많아져야 한다 더욱 자주 개최 되어야한다 이해하기 쉬운 행사가 많아져야 한다 기타 <문화예술행사에서 보완이 필요한 부분, 2019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문화체육관광부> 매체 : 매체를 통한 국악 관람현황 ○ 매체를 통한 전통공연예술 이용 경험자 중 30대를 제외한 전 연령대 80% 이상이 만족, 평균 85.9%의 만족도로 높은 수치 (단위 : 명, %) 구 분 표본 수 불만족 보통 만족 전체 1,311 1.4 12.7 85.9 15-19세 29 0 12.5 87.5 20대 46 0 17.5 82.5 30대 71 8.9 59.4 31.6 40대 165 1.7 12.3 86.0 50대 287 1.7 7.4 90.8 60대 297 0.4 7.8 91.8 70세 이상 416 0.5 10.0 89.6 ○ 매체를 통한 전통예술공연 관람시 스마트기기 이용 비중의 꾸준한 증가세 - ’14년 0.8%에서 ’18년 4.1%로 약 6배 증가 (단위 : 명, %) 관람자수 TV/라디오 PC/노트북 스마트기기 비디오/DVD/CD 2014 1,110 95.5 3.2 0.7 0.5 2016 1.391 94.2 2.3 3.1 0.5 2018 1,311 93.9 1.4 4.1 0.7 <2018년 매체를 통한 전통공연예술 이용 경험자 만족도> ○ 전통예술은 타 장르 대비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관람이 현저히 낮음 - TV/라디오가 93.9%, 스마트기기는 4.1%로 특정 매체에 편중된 관람형태 (단위 : 명, %) 관람자수 TV/라디오 PC/노트북 스마트기기 비디오/DVD/CD 문학행사 489 70.4 11.3 17.0 1.3 미술전시회 444 57.3 18.2 23.6 0.9 서양음악 719 71.4 8.7 15.7 4.1 전통예술 1,311 93.9 1.4 4.1 0.7 연극 517 73.4 10.5 12.6 3.5 뮤지컬 403 65.8 9.0 20.7 4.4 무용 238 75.1 7.1 16.9 0.9 영화 8,378 70.0 11.7 16.2 2.1 대중음악 8,506 85.3 2.7 11.2 0.8 <2018년 매체를 통한 공연예술 관람 현황> 생활예술 : 서울시 내 국악 생활예술동아리 현황 ○ 문화관련 동호회 참여 경험 - ’14년 4.2% ?? ’16년 5.5% ?? ’19년 7.7% 으로 꾸준히 증가 추세 - 분야별로는 미술(1.8%)??문학행사(1.6%)??서양음악(1.0%)??전통예술(0.8%) <2019년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문화체육관광부> ○ 서울시 내 3,618개 생활예술동아리 중 국악동아리는 124개 - 최근 3년 전체 분야 생활예술동아리 86.5% 증가(1,678개), 국악 동아리 40.9% 증가(36개)로 다소 낮은 증가세 - 분야별 현황의 경우 국악 동아리는 음악(39.7%) > 미술(21.8%) > 무용 (12.0%) 에 이어 4번째로 높은 분야(3.4%)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국악 동아리 개수 88 188 124 전체 동아리 개수 1,940 3,175 3,618 전체 대비 국악 비중 4.5% 5.9% 3.4% ○ 자치구별 국악 생활예술동아리는 강서구에 가장 많음 - 자치구 별 활동 비중의 편차가 존재(강서구 14.5%, 노원구 0% 등) 자치구 국악 전체 전체 대비 국악 비중 합계 124 3,618 3.4% 강서구 19 131 4.5% 영등포구 16 170 9.4% 강남구 15 281 5.3% 양천구 12 132 9.1% 도봉구 11 203 5.4% <서울문화재단 우리동네 동아리, 2019년 10월 기준> Ⅲ 추 진 경 과 ?? 논의의 틀 마련 국악계 다양한 의견이 수렵되도록 그룹, 부문별 등 분야 전문가 라운드테이블 및 시민의견수렴을 위한 열린토론회 등 서울시 및 민?관 협력 논의 체계 구축 ‘글로벌 음악도시’ 국악분과TF : '18. 10월 ~ ’19. 2월, 5개월간 5회 개최 ○ 구 성 : 국악인, 전문가, 서울시 관계자 등 5명(남2/여4) ○ 활 동 : 국악 활성화를 위한 핵심과제 논의 <주요논의 결과> ?시대적 상황에 걸맞는 서울 국악정책의 변화 요구 - 일방적 정책 및 예산 지원 방식에서 전통예술의 소통창구 및 국악자원을 결합·연계하는 역할로의 기능 및 역할 변화 ?국립국악원이 수행하는 기능·역할과는 차별화되는 서울국악센터만의 정체성확립 - 국악계 내의 비전수립, 예술현장을 대변하는 소통체로서의 역할 - 공연행정·상주공연단체·건물 등 복합적 예술기능이 어우러져 있는 뉴욕의 링컨센터와 같은 국악의 행정, 공간, 단체(예술인)를 위한 서울국악센터 설립 필요 ?국악 미디어 콘텐츠 유통·소비 확산을 위한 디지털화 작업 지원 - 국악 분야 디지털 미디어 제작 전문 인력 양성 및 국악의 미디어 작업 추진 필요 - 소셜미디어에 적합한 국악콘텐츠(영상, 음원) 제작·지원 필요 ?국악거점 지역을 중심으로 한 우리음악축제 개최 - 국악축제를 서울을 대표하는 K-music festival로 브랜딩하고, 다양한 장르를 복합한 서울 국악브랜드 공연개발 전문가 FGI ‘국악정담’ : '19. 5월 ~ 10월, 5개월간, 총 9회 ○ 창작기획, 정책연구, 공간·미디어 3그룹 라운드테이블 운영 ○ 3그룹, 6개 분야 총 44인의 예술인(여20/남24), 전문가 등 참여 그룹 분야 부 문 구 성 창작/기획 그룹 1-1 연희/창작 국악, 전통문화 및 관련 분야 창작, 실연자 1-2 기획/매개자 국악, 전통문화 및 관련분야 공연 콘텐츠 기획 정책/연구 그룹 2-1 교육&연구/평론 국악 및 관련분야 교육, 연구기관, 평론가 2-2 정책지원 국악 및 관련분야 유관기관 정책담당자 공간/미디어 그룹 3-1 거점공간/운영자 국악 및 관련분야 공공·민간 예술감독, 운영자 3-2 미디어/마켓/축제 국악 및 관련분야 미디어매체, 축제 전문가 <주요논의 결과> ? 대중 음악과 비교, 국악에 대한 인지와 욕구 자체가 없는 것이 문제 - 교육 등 국악을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는 경로가 부족함 ? 공급자(예술가)에서 수요자(시민) 중심으로 정책 영역 확대 필요 - 고용창출, 사업지원 등 국악계의 중심이 아닌 향유자 중심의 정책 마련 ? 경계를 허무는 국악, 타 장르와 협업을 통해 확장성 도모 - 시민들의 취향 반영, 다양한 접근 방법(연출, 레퍼토리, 퍼포먼스 등) 모색 필요 ? 중앙정부 ‘전통보존·계승’과 차별화 한 서울시만의 정책 필요 - 전통의 보존, 계승에 집중하는 중앙정부와 구별하여 시민의 국악 향유에 초점 ? 서울시에 산재한 국악 관련 기관·사업의 콘트롤 타워 필요 - 시의 각 기관에서 개별 시행하는 국악 사업의 일관성·효율성·연속성 미흡 - 시 국악 사업의 연계·협력·조율과 국악계 현장 지원 기능 필요 ? 서울 국악 네트워크의 거점이자 교류 플랫폼으로서의 국악센터 설립 - 실연·창작·기획자와 타 장르 예술인이 협력할 수 있는 네트워크 거점 필요 - 해외진출, 음반제작, 홍보·마케팅 등 창작자에게 필요한 지원역할 - 물리적 시설 기능 보다 수평적인 조직의 협의체로 운영되는 허브 기능 중요 전문가 자문회의 및 관계기관 워크숍 : '19. 9. ~ 11. ○ 국악정책 수립을 위한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2회) : ’19. 9. ~ 10. - 서울국악센터 역할 및 운영 모델 집중 논의 ○ 사업 과제 의견수렴 위한 관계기관(부서) 워크숍 : ’19. 11. - 서울시 관계부서, 세종문화회관, 문화재단 등 참여 신규사업 등 논의 서울시 국악활성화 정책 토론회 : '19. 11. 29. 북촌창우극장 ○ 참 석 : 국립국악원, 한국국악협회, 전통예술진흥단 등 국악계 관계자 ○ 의 제 : 서울 국악플랜 2025 비전과 과제 공유, 정책 토론 및 의견 수렴 등 <주요논의 결과> ? 다양한 경로를 통해 시민들이 국악을 접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 - 국악이 생소한 시민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통해 국악에 대한 관심 및 인지도 제고 필요 ? 국악인들이 설 수 있는 다양한 공연 기회 제공 - 국악인들이 설 수 있는 무대의 범위를 넓혀 정식 공연장을 비롯해 다양한 장소에서 공연할 수 있는 공간(기회) 마련 필요 ? 정부정책(보존·계승)과 차별화된 서울시 정책 필요 - 시민향유지원, 콘텐츠 제작 지원 등 소프트 웨어적 방면의 서울시 역할 기대 ? 서울시 국악 활성화 정책이 동력을 갖기 위한 전담조직(팀) 설치 필요 - 시의 사업 규모와 영향력을 고려해 전담 조직과 인력 확충을 통한 실효성 있는 계획 추진 필요 ?? <국악발전 종합계획(`14.3.)> 4개 분야 32개 사업 현황 계 추진현황 (단위 : 개) 비 고 완료 계속 사업변경 미흡 미추진 32 3 14 8 4 3 분 야 단위과제(사업) 사유 국악진흥 기반조성 ① 돈화문로 국악예술당 건립·운영 ② 돈화문로 전통문화전시관 건립·운영 ③ 민요박물관 건립·운영 ④ 남산국악당 및 한옥마을 운영체계 개선 ⑤ 국악기박물관 등 건립 추진 ⑥ 국악MP선정 등 민간참여 확대 ⑦ 국악 종합정보센터(국악 아카이브) 설치 ⑧ 서울시 국악발전협의회 구성·운영 (완료) (변경) (완료) (완료) (미추진) (변경) (미추진) (변경) 우리소리박물관으로 통합 우리소리박물관으로 추진 국악발전협의회 의견 반영 국악당 예술감독제 운영 중장기 검토 필요 국악활성화 TF 등으로 변경 국악로 활성화 ① 국악로 문화지구 지정 ② 국악기공방 활성화 및 투어프로그램 운영 ③ 국악로 국악 야외공연 상설화 ④ 공연장별 특성화된 국악공연 육성 ⑤ 한옥을 활용한 국악공연 활성화 (미추진) (변경) (미흡) (변경) (계속) 둥지내몰림 등 부작용 우려(종로구) 국악투어 공연으로 변경 지역상인 민원으로 종료(`18.) 우수작품 지원으로 변경 창작역량 강화 ① 시립국악단체 역량강화 ② 국악인턴제 운영 ③ 공연장 상주단체 전통공연 지원 ④ 전통문화예술 종사자 지원 ⑤ 신진국악인 발굴·육성 (계속) (계속) (계속) (계속) (계속) 국악의 대중화 ① 초?중학생 등 국악교육 강화 ② 저소득층 국악영재 교육 ③ 국악분야 시민강좌 운영 ④ 문화예술 시민대학 국악분야 운영 ⑤ 어린이 국악오케스트라 운영 ⑥ 꿈나무 국악단 운영 ⑦ 고궁공연 등 중앙정부와 협력체계 구축 ⑧ 지방 및 해외 자매도시와 문화교류 활성화 ⑨ 민간기업 등 다양한 계층 국악공연 강화 ⑩ 국악 스토리텔링 개발 ⑪ 국악Walking Tour코스 개발운영 ⑫ 국악체험 프로그램 확대 운영 ⑬ 차별화된 국악축제 육성 ⑭ 보행전용도로를 활용한 국악공연 활성화 (계속) (계속) (계속) (미흡) (변경) (계속) (미흡) (계속) (미흡) (변경) (변경) (계속) (계속) (계속) 공모로, 국악분야 개설 담보 곤란 시범 운영후 꿈나무국악단과 통합 중앙정부의 협력노력 미흡 민간대상 사업화 곤란 국악당 투어프로그램으로 변경(`18.~) 국악당 투어프로그램으로 변경(`18.~) ?? 그간의 추진성과(서울시 국악발전 종합계획 중심)와 한계 시 국악플랜의 첫 걸음 : 서울시 국악발전 종합계획 수립(’14.3) ?? 국악 공연 비선호, 공연 단체의 자립기반 취약 및 국악의 상품성 미흡 등 문제 인식에서 출발 - 국악을 중심으로 K-Curture 환경조성, 국악 활성화를 통한 서울의 도시경쟁력 제고 및 전통예술을 바탕으로 한 관광상품 개발 등을 목표로 지난 `14년 10개년의 장기 종합계획 수립·시행 - 국악진흥 기반조성, 국악로 활성화, 창작역량 강화, 국악의 대중화 등 4대 정책과제와 9개 핵심사업을 선정하고 32개 단위사업을 개발·시행 국악진흥 기반조성 : 국악 인프라 확충 및 민관 거버넌스 구축 ○ 돈화문국악당(`16년) 및 우리소리박물관(`19년) 개관 - <돈화문지역 전통문화 보존·육성계획>에 따라 돈화문로 일대의 국악 인프라 확충 ○ 남산골 한옥마을과 남산국악당 통합운영(`14) - 위탁 운영의 효율성과 공간 활용의 시너지를 높이며 전통문화의 거점으로 위상을 제고 ○ 국악당에 전문예술감독 직위 신설 및 민간참여 확대 - 이슈별 외부 전문가 자문단 운영(국악발전협의회, 국악활성화TFT, 글로벌음악도시서울 국악분과) ○ 부지부족 및 장르별 불균형 우려에 따른 국악기박물관 미추진 - 국립국악원 박물관(서초)과의 중복, 타 장르와의 불균형 우려 ○ 국악정책 총괄 및 콘트롤타워, 국악기 전시 및 국악정보센터 조성, 시민생활 문화중심의 공간조성은 중장기 과제로 남음 ? 통합적 관점에서 국악 정책과 사업을 기획·조정하고 인적·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연계할 콘트롤 타워의 부재로 정책효과 미흡 ? 주체적 문화소비수요에 대응하여 시민들이 국악을 향유하고 체험할 수 있는 생활문화 공간 조성 및 정책관점에서의 접근 미흡 국악로 활성화 : 국악로 문화거리 조성 및 특화 운영 ○ 2014~2018년간 한옥음악회 상설공연 연 40회 이상 운영 - 한옥을 활용한 국악공연 상설화 및 보행전용 거리 국악공연 사업으로 통합 ○ 2014~2017년간 국악로 거리공연(5월~10월) 연 20회 개최 - 교통 통제로 인한 일부 민원과 ‘돈화문로 가로환경개선공사계획’에 따라 잠정 중단 ○ 국악당 특성에 맞는 도보체험+국악공연을 결합한 투어프로그램 개발 호평 - 투어형 국악프로그램 <돈화문 나들이> 및 <남산골 밤마실> 등 개발 ○ 국악로 문화지구 지정 추진 중단 - 젠트리피케이션 등을 우려하는 종로구 의견으로 추진 중단 ? 국악로 활성화를 위한 한옥음악회 상설공연 및 국악로 거리공연은 연간 50회 이상 진행되어 국악문화 조성 및 거리 활성화 기여하였으나 ? 인근 인사동, 북촌에 비해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국악거리 명소로의 브랜딩 부족 및 돈화문로 정비사업으로 주변환경의 어수선해 관광객 모객 실패 창작역량 강화 : 공연역량 강화 및 국악 전문인력 양성 ○ 차별화된 브랜드 공연으로 서울시 대표 예술단으로 위상 강화 - 서울시 국악자원인 국악관현악단과 청소년국악단 계속 운영 ○ 국악인턴제, 신진국악인 발굴·육성사업 등을 통해 전문국악인 양성 지원 - 국악인턴제 ’14~현재까지 100여명 배출, 공연장상주단체 지원 전체 장르대비 27.3% 비중 ○ 성장단계별 지원 및 고품질 콘텐츠 제작 지원사업엔 미흡 - 콘텐츠 개발과 우수한 공연작품의 확산 및 홍보에는 미흡 ?신진국악인을 발굴·육성하고 안정적 창작환경을 제공하는 등의 국악예술가 육성 지원 기반 마련 ?다만 국악연주자/기획자, 중견/신인 등 연령별, 단계별, 성별 세분화된 체계적이고 촘촘한 정책적 접근과 우수한 콘텐츠를 개발·유통·홍보하는 제작사업 미흡 국악의 대중화 : 국악 교육·공연·축제 확대 및 관광상품화 ○ 저소득층 예술영재 교육지원 및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국악분야 신설 - 국악영재 총 70여명 배출, 프로그램 17개 과정 운영(’14~’19년) ○ 거리공연 및 축제지원을 통한 국악 시민향유 확대 및 차별화된 국악축제 개최 - ’14~’17 국악한마당 운영, ’14~’18년 자치구 및 민간축제지원 5년간 총 117건, 74억원지원 ○ 단편적인 지방 및 해외도시와의 문화교류 사업예산 등의 한계 존재 - 1회성 교류 사업으로 지속적인 교류와 소통에 한계 ○ 서울만의 전통 스토리와 테마코스 개발 용역 결과 미흡으로 타 프로그램 변경 - 돈화문로 일대를 소재로 장소이동형 공연 ‘돈화문 나들이’ 국악당 프로그램 개발·운영중 ○ 일회성, 단편적 국악교육으로 인식개선엔 한계 - 시민대상 계층별 국악 교육은 점차 확대 되었으나, 국악흥미를 이끌어내는데 한계 ? 서울시의 국악 활성화 노력으로 시민 접점 확대 및 국악관련 콘텐츠를 관람할 수 있는 기반 마련 ? 그러나, 아직도 좁혀지지 않은 국악에 대한 거리감은 개선과제로 남음 총평 ○ 지자체 최초로 국악 장르의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 ○ 국악 인프라 기반을 확대 하고 시민 접근성을 향상 하는 등의 성과 ○ 신인국악인 육성 및 안정적 창작을 위한 제도적 기반 강화 ○ 국악자원을 결집하고 총괄할 국악의 구심점으로서의 역할 미흡 ○ 시민이 스스로 즐기는 생활문화 관점의 접근과 콘텐츠 제작 지원은 미흡 ○ 정책 대상별, 단계별 세분화된 접근과 시각으로 재설계 필요 ○ 대시민 접점확대와 인식확산을 위한 다양한 홍보 강화 Ⅲ 국악 발전 2025 전략 ? 시민 누구나, 언제나, 어디서나 쉽게 즐기는 국악항유권 확대 ? 국악인, 국악단체의 창작지원 역량 강화 ? 국악 글로벌화로 서울의 문화관광 핵심콘텐츠로 육성 ?? 비 전 도 비전 전 략 생활 속 국악향유권 확대 + 인적·물적 창작역량 강화 + 세계인이 즐기는 국악관광 활성화 주요 사업 [교육·체험] 1.영유아 국악교실 운영 2.국악분야 학교 예술강사 지원 3.저소득층 국악교육 확대 4.시민 국악강좌 운영 [국악인 지원] 1.국악인 창작활동·공간 지원 2.국악 일자리 확대 3.신진국악인 발굴?지원 4.시립국악관현악단 위상강화 [글로벌화] 1.국악공연단 해외진출 지원 2.온라인 콘텐츠 유통 지원 3.외국인 국악강좌 개설 4.글로벌 관람환경 개선 [공연] 1.찾아가는 국악공연 2.국악당 객석나눔 3.국악쿼터제 도입 4.국악 생활문화 활성화 [국악환경] 1.국악로 국악메카 육성 2.서울 국악센터 설치 3.국악생활문화센터 조성 4.국악 거점시설 특성화 [관광자원화, 축제] 1.국악 관광 상품 개발 2.세계적 국악관광축제 육성 3.서울 대표 국악공연 개발 4.국악 홍보?마케팅 강화 ?? 3대 정책분야 및 6대 핵심과제 시민 모두가 즐기는 국악 1-1. 태아부터 어르신까지 생애주기별 맞춤교육 확대 1-2. 일상에서 만나는 가까운 국악 새롭게 성장하는 국악 2-1. 국악인 창작지원 강화 2-2. 국악로 중심 창작 기반 강화 세계와 교류하는 글로벌 국악 3-1. 세계의 음악으로 국악 글로벌화 3-2. 국악 관광 콘텐츠 확산 ○ 세부 사업 목록【3개 분야, 6대 핵심과제, 24개 사업(신규 18개)】 주 요 사 업 소 관 부 서 1. (시민 모두가 즐기는 국악) 생활 속 국악향유권 확대(8개) 1-1. 태아부터 어르신까지 생애주기별 맞춤 국악 교육 확대 1-1-① (영유아) 영유아 국악교실 운영 신규 문화본부 문화예술과 1-1-② (청소년) 국악분야 학교예술강사 지원 계속 문화본부 문화예술과 1-1-③ (취약계층) 저소득층 국악교육 확대 계속 문화본부 문화예술과 1-1-④ (시민?어르신) 시민 국악강좌 운영 신규 평생교육국 평생교육과 복지정책실 인생이모작정책과 (50플러스재단) 1-2. 일상에서 만나는 가까운 국악 1-2-① (지 역) 시민에게 찾아가는 국악공연 신규 문화본부 문화예술과 1-2-② (소외계층) 국악당 객석나눔 신규 문화본부 문화예술과 1-2-③ (제 도) 국악 쿼터제 도입 신규 문화본부 문화예술과 1-2-④ (생활문화) 국악 생활문화 활성화 신규 문화본부 문화정책과 2. (새롭게 성장하는 국악) 인적?물적 창작역량 강화(8개) 2-1. 국악인 창작지원 강화 2-1-① (국악인) 국악인 창작활동·공간 지원 확대 문화본부 문화예술과 문화재단 2-1-② (신 인) 국악 일자리 지원확대 신규 문화본부 문화예술과 경제정책실 일자리정책과 2-1-③ (신 인) 신진 국악인 발굴?지원 확대 문화본부 문화예술과 2-1-④ (전문가) 시립국악관현악단 위상 강화 계속 세종문화회관 2-2. 국악로 중심 창작 기반 강화 2-2-① (거 점) 국악로 ‘국악의 메카’ 육성 신규 문화본부 문화예술과 2-2-② (조 직) 서울 국악센터 설치 신규 문화본부 문화예술과 2-2-③ (지 역) 국악특화 생활문화센터 설치 신규 문화본부 문화정책과 2-2-④ (거 점) 국악 거점시설 특성화 계속 문화본부 문화예술과 3. (세계와 교류하는 글로벌 국악) 세계인이 즐기는 국악관광 활성화(8개) 3-1. 세계의 음악으로 국악 글로벌화 3-1-① (해외진출) 국악공연단 해외진출 지원 신규 문화본부 문화예술과 3-1-② (온라인) 온라인 콘텐츠 음악시장 유통지원 신규 문화본부 문화예술과 3-1-③ (외국인) 외국인 국악강좌 운영 신규 문화본부 문화예술과 3-1-④ (시스템) 글로벌 관람환경 개선 신규 문화본부 문화예술과 3-2. 국악 관광 콘텐츠 확산 3-2-① (콘텐츠) 국악 관광상품 개발 신규 문화본부 문화예술과 3-2-② (축 제) 세계적 국악관광축제 육성 신규 문화본부 문화예술과 3-2-③ (콘텐츠) 서울 대표 국악 상설공연 개발 신규 문화본부 문화예술과 3-2-④ (홍 보) 국악 홍보?마케팅 강화 신규 문화본부 문화예술과 ?? 추진 체계 : 서울국악플랜 열린회의 민?관 협력 실무 협의체 구성 ○ 추진방향 - 서울국악플랜과 연계한 민관협치의 <서울국악플랜 2025 열린회의> 구성 - 시 국악정책을 연계·협력·조율할 정책협의기구로 운영 ○ 구 성(안) : 국악계(예술인), 전문가·기획자, 시, 시의회 등 15명 내외 - 당 연 직 : 문화본부장, 문화예술과장, 세종문화회관 서울국악관현악단장, 국악당 예술감독, 문화재단 예술지원 본부장 - 위 촉 직 : 국악인, 창작·기획, 정책·연구, 공간·미디어, 시의회 등 전문가 ※ 국악의 장르별(음악, 무용, 연희)·세대별(신진, 중견, 원로),성별 다양한 인적 구성의 민관협의체 ※ 전위원 성별 균형참여 구성 (특정성별 60% 초과 금지) ○ 기능/역할 : ?서울국악플랜 2025」주요 정책과제 기획·조정 및 실행방안 논의 - 민간 전문가, 市 공무원, 시의회, 산하재단 등이 모두 참여하는 위원회로서 서울시 국악정책 방향과 현안을 논의하는 정책 협의 기구 구 성(’20.6월~7월) 위 촉(’20.7월) 열린회의 운영(’20.~’21.) ??국악계, 시의회, 전문가, 서울연구원 등 분야별 추천 ??정책·기획·창작 등 다양한 분야 민간 전문가 위촉 ? ??당연직 및 외부직 15명 내외 ? ??주기 : 월1회 ??안건 : 정책과제 및 현안논의 ○ 운 영 : 주제별(월1회) 및 전체회의(분기별1회)를 통해 발전 방향 논의 - 인프라 확산, 창작지원, 교육 및 축제 등 주제별 논의 - 효율적인 토론?논의를 위해 주제별로 10명 내외 구성하여 운영 Ⅴ 추진 계획 분야 1. 시민 모두가 즐기는 국악도시 시민과의 거리를 좁히는 ‘쉬운국악’, ‘가까운국악’ 추 진 지 표 단위 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 우리아이 국악첫걸음 방문시설수 (개) 220 10 20 20 50 50 70 ○ 국악 예술강사 지원 학교수 (개) 2,434 384 390 400 410 420 430 ○ 저소득층 국악영재 교육 (명) 190 15 15 30 30 50 50 ○ 꿈나무 국악당 운영 (명) 198 28 28 30 30 32 50 ○ 50+캠퍼스, 시민대학 등 참가시민 (명) 9,450 50 400 1,000 1,000 3,000 4,000 ○ 찾아가는 국악 한마당 (개) 540 50 50 100 100 120 120 ○ 신나는 국악여행 참여 학생수 (명) 182,000 25,000 25,000 30,000 30,000 36,000 36,000 ○ 한낮의 국악마당(세종) (회) 350 40 50 55 65 70 70 ○ 한옥명소 전용거리 공연횟수 (회) 595 70 85 100 100 120 120 ○ 국악당 객석나눔 (개) 18,000 2,000 2,000 3,000 3,000 4,000 4,000 ○ 국악 쿼터제 도입 - - 권고 계속 계속 계속 계속 계속 ○ 축제참여 국악 동아리 (개) 560 50 70 100 100 120 120 과제1-1 태아부터 어르신까지 생애주기별 국악접점강화 1-1-① (영유아) 영유아 국악교실 운영 신규 영유아 대상 시설(어린이집, 키움센터)을 통해 국악 교육을 접하고 배울 수 있는 환경 조성 ?? 추진배경 ○ 어린 시절부터 국악을 흥미롭고 친근하게 느낄 수 있는 환경 조성 ○ 눈높이에 맞춘 참여?체험형 국악 교육을 통한 창의적 예술표현능력 신장 ?? 추진계획 ① (영유아)어린이집, 유치원에서 배우는 국악 교실 신규 ○ 어린이집 및 유치원 등 영유아교육시설 대상 국악교실 신설(연 70개소, 3.5만명) - 영유아기부터 우리국악음악에 대한 이해와 접근을 위한 방문 교육 시행 - 1회성 공연이 아닌 주1회 정기프로그램으로 국악체험 실시 ○ 프로그램 : 연령 제한으로 공연장 출입이 어려운 영유아 대상 프로그램 - 악기 소리 따라하기, 장단 배우기, 추임새와 민요 배우기 등 전통 악기를 직접 보고 듣고 배우며 즐길 수 있는 영유아 맞춤형 공연 제작 추진 - 영아(만2~3세), 유아(만4~5세) 등 교육대상을 세분화 한 교육 프로그램 공모 ○ 추진방법 : 한국아동국악교육협회 등 전문 국악교육업체와의 자문 및 협업(공모) 운영단체 공고·모집 지역 수요 조사 (자치구) 어린이집 및 유치원 등 선정 개선사항 및 성과분석 부모 만족도 조사 주 1회 방문 교육 <추진절차> ② (태아)예비부모와 태아를 위한 국악 태교 음악회 신설 신규 ○ 사업개요 - 대 상 : 임산부 및 영유아 학부모 - 장 소 : 남산 및 돈화문 국악당 ○ 프로그램 : 예비 엄마, 아빠와 태아에게 국악 심신 힐링 음악회 개최 - 공연 프로그램이 없는 낮시간 국악당을 활용하여 태교음악회 개최 - 임신, 육아교실 연계 또는 국악당 상설 프로그램(월 2회)으로 배치 - 대금독주, 국악앙상블, 퓨전 국악 등 아름답고 다양한 국악 공연 개최 ○ 추진방법 : 국악당 상설 프로그램 배치 ※ ’20년 시범운영 후 확대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국악첫걸음 운영횟수 10(시범) 20 20 50 50 70 ?? 연차별 투자계획 세 부 사 업 명 투 자 계 획 (단위:백만원) 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영유아 국악교실 운영 900 - 100 150 200 200 250 1-1-② (청소년) 국악분야 학교 예술강사 지원 계속 국악 전문 예술 인력을 초·중·고등학교에 지원하여 다양하고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의 기회 확대 및 활성화 지원 ?? 추진배경 ○ 국악 교육 지원을 통한 문화적 소양, 인성과 감성계발 등 창의적 인재 양성 ○ 교육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국악을 접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추진계획 ○ 국악분야강사 384개교(’20년) → 430개교 까지 확대(’25년) ○ 사업내용 : 국악이론?실기 방문 교육, 연계 프로그램 진행 - 전공자에 의한 전문교육 실시, 학교 실정에 맞는 프로그램 운영 - 우수 참여학교를 선정하여 국악관현악단 순회 연주회 등 개최(연간 약 30개교) - 예술강사 역량강화를 위한 워크숍 등 지원사업 추진 - 국악인 성비에 기반한 예술강사 지원(향후 활동 강사들의 성별통계 생산) ○ 지원대상 : 초?중?고?특수?대안학교(교육부인가) 등 ○ 지원규모 : 매년 약 400여개 학교 강사 파견 ○ 추진방법 : 운영기관 선정 후 추진(국비 1:1 매칭) ※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운영기관 선정 ?? 연차별 추진계획 성 과 지 표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국악 예술 강사 지원 학교수 384개교 390개교 400개교 410개교 420개교 430개교 ?? 연차별 투자계획 세 부 사 업 명 투 자 계 획 (단위:백만원) 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국악분야 예술 강사지원 2,446 398 398 410 410 415 415 1-1-③ (취약계층)저소득층 국악 교육 확대 계속 예술에 재능이 있는 저소득층 가정의 자녀를 적극 발굴하여 체계적인 교육지원을 통한 청소년의 예술적 잠재력 발현 및 자아실현 기회 제공 ?? 추진현황 ○ 저소득층 음악영재 학생들을 위한 1:1레슨 등 심화 국악교육 실시 ※ `16년 ~`19년 : 매년 5~10명 선발(음악영재 100명 중) ○ 교육, 현장학습, 전시회, 여름방학 캠프 등 다양한 커리큘럼으로 영재교육실시 ?? 추진계획 ① (전문교육)국악 영재 교육 확대(10명→’25년 50명) ○ 국악영재 지원대상을 연차별 확대하여 국악 장르 꿈나무 지원 기반 확대 ○ 지속적인 지원 사업으로 예술중고 및 예술대학으로의 진학 지원 ○ 추진방안 - 1년 과정/다년 과정 교육 프로그램을 병행하여 체계적인 음악 이론 및 실기 교육 - 교육 프로그램 종료 후 연 1회 이상 공개 연주회를 통한 동기부여 기회 제공 - 입시 위주의 기능교육 지양, 새로운 교육방식(예술융합교육) 적용을 통한 지원 학생의 잠재력 발현 지원 ○ 지원대상 : 기초생활보장수급권자 선정기준 중위소득 미만 가정의 국악에 재능이 있는 청소년(초3~고1) ○ 지원규모 : 저소득층 국악영재 매년 10~30명 이상 발굴?육성(성비균형선발) ○ 추진방법 : 민간위탁 수탁기관 선정 ② (심화교육) 꿈나무 국악단 운영(30명→’25년 50명) ○ 추진방향 : 문화로부터 소외된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정기적 악기지도와 합주활동을 통해 희망을 키우도록 지원 ○ 교육대상 : 다문화, 한부모 가정 등 문화소외 계층 아동?청소년(초3~고3, 성별균형 운영 및 성별통계 생산) ○ 교육기간 : 매년 3월~12월 ○ 사업내용 - 서울국악관현악단 단원들이 직접 소외계층 아동?청소년 대상 국악교육 실시 - 가야금, 해금, 아쟁, 피리, 대금 타악 등 연간 36회 교육, 여름 캠프 1회 - 수강 학생들로 구성된 ‘향상 음악회’ 개최(매년 12월) ○ 추진기관 : 세종문화회관 ○ 꿈나무국악단 구성 : 연간 28명 (2019년 12월 기준) 구 분 가야금 아쟁 피리 해금 대금 타악 계 현 원 9 2 4 6 3 4 28 【돈화문국악당 정기연주회】 【세종문화회관 정기연주회】 【여름캠프 현장】 ?? 연차별 추진계획 성 과 지 표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저소득층 국악영재 교육(명) 15 15 30 30 50 50 꿈나무 국악단 운영(명) 28 28 30 30 32 50 ?? 연차별 투자계획 세 부 사 업 명 투 자 계 획 (단위:백만원) 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저소득층 국악영재 교육 360 50 50 60 60 70 70 꿈나무 국악단 운영 240 30 30 40 40 50 50 1-1-④ (시민·어르신) 시민 국악강좌 운영 신규 서울에 소재한 교육시설과 자치구간 자원을 연계 하여 지역으로 찾아가는 교육강좌 운영 ?? 추진현황 ○ 시민대학 및 50플러스 캠퍼스를 통한 교육 강좌 제공 - 서울자유시민대학 : 인문, 서울학, 시민학, 문화 등 7개 섹션별로 5개 학습장 강의 운영 - 50플러스캠퍼스 : 국악원과 함께하는 대금교실(20명), 문화탐구 대금(20명) 등 편성 ※ 관련 시설현황 1. 서울시 50플러스 캠퍼스 - 주요시설 : 서부/중부/남부 캠퍼스 - 프로그램 : 인생2막을 위한 교육, 상담, 일, 커뮤니티, 사회공헌활동 등 2. 서울자유시민대학 - 주요시설 : 시민청, 서남권(금천), 서북권(은평), 동북권(중랑), 동남권(뚝섬) - 프로그램 : 인문, 서울학, 시민학, 문학 등 7개 학과 운영, 기획특강, 공간대관 등 운영 ?? 추진계획 ① (일반시민) 대학 연계 국악 교육?공연프로그램 개설 ○ 추진방향 : 국악을 통해 지역 예술 활성화 도모 및 대학의 사회적 역할 강화 ○ 사업내용 : 국악이론?실기 방문 교육, 공연연계 프로그램 진행 - 대학의 우수 국악자원을 활용해 인근 자치구 주민과 공유할 수 있는 국악 프로그램 운영하여 지역 문화예술 항유 확대 도모 - 전공자가 알려주는 국악기 교실, 소외계층 대상 ‘찾아가는 국악 공연’ 등 대학의 인력 및 자치구의 공간 인프라 적극 활용 ※ 서울소재 국악(한국음악)과 설치 대학(원) 현황(대학교 6개, 대학원 8개) 동국대학교 대학원(중구), 백석예술대학(서초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용산구), 서울대학교·대학원(관악구), 이화여대·대학원(서대문구), 중앙대학교 대학원(동작구), 추계예술대·대학원(서대문구), 한국예술종합학교·대학원(성북구), 한양대학교·대학원(성동구) ② (중장년) 50플러스캠퍼스, 시민대학 연계 권역별 국악강좌 운영 ○ 추진방향 : 권역별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배치 및 운영으로 국악공연을 즐기는 중장년층들에게 국악을 통한 인생2막 설계 지원 ○ 추진방법 : 커리큘럼 공모·선정 또는 센터를 통해 정규 프로그램 편성 ? ’21년 연 400명(10개소×2회×20명)→ ’25년 연 4,000명(20개소×4회×50명) ○ 협력기관 : 서울시 평생교육 진흥원(서울자유시민대학), 서울시 50플러스 캠퍼스, 자치구 문화센터 등 ○ 사업내용 - (프로그램) 국악이론/체험/국악기를 통한 인생2막 설계 등 센터별 특화 교육 프로그램 배치 및 시범사험 진행/실기 + 현장학습(국악당)을 연계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구성 - (대상구분) 국악 전공 및 관련 분야 종사 장년층 및 일반 장년층으로 구분(국악 관련 경력설계, 국악 커뮤니티 참여 교육)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연도별 추진내용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50+캠퍼스, 시민대학 등 시민 참여수(명) 50(시범) 400 1,000 1,000 2,000 4,000 ?? 연차별 투자계획 세 부 사 업 명 투 자 계 획 (단위:백만원) 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대학연계 국악강좌 및 공연제공 410 - 50 80 80 100 100 과제1-2 일상에서 만나는 가까운 국악 1-2-① (지 역)시민에게 찾아가는 국악공연 전통시장, 학교, 서울명소, 청춘극장, 복지관 등 시민밀착 지역시설에 국악 공연팀이 찾아가는 공연 시행 ?? 추진방향 ○ 지역별로 시민접점 공간에 국악을 중심으로 하는 지붕없는 공연장 운영 ○ 지역과 일상으로 찾아가는 공연을 통해 국악의 저변 확산 ?? 추진계획 ① (시민이 모이는 곳)어디든 찾아가는 국악 한마당 신규 ○ 활성화가 필요한 공간으로 찾아가는 국악공연기획(연간 120회, 5만명 관람 추진) ○ 방문대상 및 지역 - 자치구 문예회관, 복지관(26개소) : 청춘극장(서울시), 강동 구민회관, 성북 구민회관, 서대문 문화회관, 관악 문화관, 영등포 아트홀, 노원 문화예술회관 등 - 문화소외 지역 (10개소) : 구민회관, 장애인시설, 특수학교, 병원 등 - 전 통 시 장(10개소) : 경동시장, 신중앙시장(중구), 돈암시장(성북구), 방학 도깨비시장(도봉구), 신영시장(양천구) 등 - ‘잘생겼다 서울’ 명소(30개소) : 서울에 새롭게 건립된 30개 시설 서울도시건축전시관 서울우리소리박물관 모두의학교 서소문역사공원 서울함공원 문화비축기지 전태일기념관 용산공원갤러리 서울새활용플라자 돈의문박물관마을 덕수궁돌담길 회복 다시·세운 서울기록원 봉제역사관이음피움 서울하수도과학관 서울로7017 녹사평지하예술정원 상생상회 ② (학 교)초등학교 방문 국악공연 확대 ○ 서울시 초등학교 전역으로 사업 확대 연간 2만5천명 공연 혜택 - 초등학교 32개교 → 78개교 확대, 수혜학생 연간 약 2만5천명으로 확대 ○ 우수국악단체 선정 및 초등학교 방문을 통한 초등생 국악경험 제공 - ‘서울시-크라운해태’ 1:1매칭 공동협력 사업으로 추진, 서울시교육청 후원 - ‘16년~ ’19년 매년 32개 초등학교 방문공연 실시(128개교) ※ 서울시 초등학교 : 총 603개교(국공립564개, 사립39개, ’19년 기준) ○ 학교안을 비롯 학교밖(방과후)까지 국악경험을 위한 사업 확대 - 초등 방과후 키움센터(거점)로 사업을 확대하여 방문 교육 실시 신진국악단체 공모 인큐베이팅 초등학교 등 공연실시 ? 4개 분야 (극, 연희, 음악, 탈) ?관련 전문가의 1:1 멘토링을 통한 작품 훈련 육성 ?78개교 선정 (교육청 협조) ? 6개 팀 선정 (팀 당 6~10명 구성) ?초등생 눈높이에 맞춘 공연 ?공연팀별 방문 공연 <추진절차> ③ (거 리)국악 버스킹 확대 확대 ○ 국악 거리 공연을 확대 하여 연간 100회, 5만명 이상 무료공연 관람추진 - 북촌한옥마을, 세종문화회관, 국악로 등 보행전용거리 국악공연의 지역 확대 ※ 자치구 명물 거리, 은평한옥마을, 시민공원 등 공연장소 확대 추진 ○ 장소와 시기에 맞는 연주곡 및 장르 선정하고 국악기 체험, 해설이 있는 공연 등 병행 【덕수궁길 공연】 【북촌한옥마을 공연】 【감고당길 공연】 ④ (야 외)직장인 대상 한낮의 국악공연 신규 ○ 평일 점심시간 도심에서 운영되는 무료 공연 신설(연간 200회, 10만명 관람 추진) ○ 세종문화회관 중앙계단, 국악당 야외마당 등에서 볼거리 제공 ○ 추진기관 :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남산국악당, 돈화문국악당 ○ 사업내용 - 인근 직장인, 주민들이 부담 없이 관람할 수 있도록 익숙한 곡으로 기획 - 대중 친화적 판소리, 국악기 연주, 영화주제가 및 중·소규모 관현악 편성 등 <세종문화회관 야외뜨락> <돈화문국악당 국악마당> <남산한옥마을 천우각>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찾아가는 공연 횟수 50 50 100 100 120 120 참여 학생 수(명) 25,000 25,000 30,000 30,000 36,000 36,000 한낮의 국악마당(세종) 40 50 55 65 70 70 한옥명소 전용거리 공연 70 85 100 100 120 120 ?? 연차별 투자계획 세 부 사 업 명 투 자 계 획 (단위:백만원) 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찾아가는 국악 한마당 1,050 150 150 150 200 200 200 신나는 국악여행(민간매칭) 2,700 300 300 450 450 600 600 한낮의 국악마당 1,430 100 200 240 260 300 330 한옥명소 등 국악공연 1,525 195 230 250 250 300 300 1-2-② (소외계층)국악당 객석 나눔 신규 문화향유가 어려운 시민들에게 국악당 기획공연 및 투어프로그램 등 품격있는 공연 관람 기회 제공 ?? 추진방향 ○ 공연관람이 어려운 문화 소외 계층에 사전 객석을 확보하여 초청관람추진 ○ 저소득층, 지역돌봄, 청소년 등 초청을 통해 국악 대중화 및 관객발굴 ?? 국악당 객석나눔 4천석 신설 ○ 남산 및 돈화문 국악당 전체객석의 20% 나눔객석(4천석) 지정운영 - 저소득층 등 문화소외계층 단체관람 나눔객석 대폭확대 - 명예시민, 외국인 명사 등을 초청을 통한 국악 대중화 홍보 ? 저소득층 국악영재, 꿈나무국악단 등 시 국악 프로그램 교육생 포함 ? 대상공연(’20년 100회→’25년 200회), 대상객석(’20년 10%→’25년 20%) ○ 공연 소외계층 관람 전용 공연 기획(연 10회) - 이동과 관람이 어려운 장애인, 노인층 대상 쉽고 재밌는 국악 공연 기획 - 수어, 자막 운영 등을 통해 장애인 관람 환경 지원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객석나눔(명) 2,000 2,000 3,000 3,000 4,000 4,000 ?? 연차별 투자계획 세 부 사 업 명 투 자 계 획 (단위:백만원) 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객석나눔 공연사업비 180 20 20 30 30 40 40 1-2-③ (제 도)국악 쿼터제 도입 신규 시 지원 행사·축제에 일정 비율이상 국악 프로그램을 포함시키도록 하는 국악 쿼터제 도입하여 국악활성화 발판 마련 ?? 추진배경 ○ 자치구 문화관광축제 및 지역화합을 위한 마을 축제에 전통예술 공연 프로그램 배치를 통해 국악의 저변 확장(’25년까지 한시적 운영) ?? 추진계획 ○ 시비 지원 축제에서 국악 등 전통예술 프로그램 20% 이상 반영 - 서울시 지원 자치구 축제(‘19년 202건)에 전통공연예술 프로그램 포함 시행 ? 20%이상 반영 자치구 인센티브 지원(보조금 추가 교부) - 민간 지원 축제(‘19년 48건)에도 국악프로그램 포함 권장 - 단, 축제의 특성상 배치가 어렵거나 특정 장르 축제 및 예술축제는 제외 구 분 ’20년 ? ’21년~ 내 용 전통예술공연 15%이상 권고 (교부금 배포시) 전용예술공연 20% 이상 권고 (공모시 계획수립) 대 상 자치구 축제 자치구+민간축제 ○ 시 주관·주최 행사 식전 프로그램으로 국악 공연 개최(국악관현악단) - 시설 개관 행사, 국제 컨퍼런스, 해외 자매도시 초청행사 및 정례조례 등 행사 식전 프로그램으로 국악 연주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국악 쿼터제 도입 권고 계속 계속 계속 계속 계속 ?? 연차별 투자계획 : 비예산 1-2-④ (생활문화) 국악 생활문화 활성화 신규 생활국악을 즐기는 시민들에게는 무대를, 시민에게는 국악의 매력을 체험할 수 있는 축제의 한마당을 개최하여 생활 국악의 영역 확대 ?? 현 황 ○ 서울시 내 3,618개 생활예술동아리 중 국악동아리는 124개 - 자치구별 국악을 즐기는 생활문화 동아리는 꾸준히 증가 추세 ? 음악(39.7%) > 미술(21.8%) > 무용(12.0%) > 국악(3.4%) 순 - 지역별 소규모 자체 운영 국악 동아리 다수 ○ 장르별 생활문화축제 현황 구 분 주 요 내 용 서울국제생활예술 오케스트라축제 (오케스트라) - 제6회 서울국제생활예술오케스트라 축제 개최(9.21~29) - 41개 단체 (일반:31, 학생:10)참여, 14회 공연, 10,140명 관람 - 클래식, 오케스트라를 기반으로 하는 대표 생활예술축제 위댄스 춤축제 (댄스) - <위댄스캠프>,<서울춤자랑>,<위댄스페스티벌> 개최(8.15~9.21) - 마스터클래스 8회, 쇼케이스 4회, 본선 및 시상식 개최 등57개팀 730명 참가 - 누구나, 어디서나 즐길수 있는 춤을 장르특화한 생활예술축제 ?? 추진계획 ① 국악 동아리 발굴 및 국악생활문화 저변 확장 ○ 자발적·주체적 국악 생활문화 동아리 활동에 대한 지원 확대 - 자치구, 문화재단, 지역중심 네트워킹 간담회 등 지원하여 생활문화 향유 - 국악 동아리를 지원하는 장르매개자 역량강화 및 문화공간 발굴 ○ 지역중심 소형 축제 및 동아리 행사 지원 - 워크숍형 축제, 지역기반 작은 음악회, 무도회 등 장르·지역중심 축제개최 - 국악당, 동아리, 자치구 등 참여 ‘국악주간 추진’(9월~11월) ② 시민주도 국악 생활문화 축제 활성화 신규 (국악로)‘시민국악페스티벌’ 개최 ○ 기간/장소 : ’20. 10월 중 / 국악로 일대 ○ 목 적 : 자치구별 우수한 국악동호회를 선발, 공연 기회를 제공하여 국악생활문화의 역량 강화와 네트워킹 확대 ○ 참여대상 : 자치구별 동아리, 자치구 문화재단 등 - 자치구 및 문화재단을 통한 동아리 네트워크 활용 - 동호인간 경연 및 무대등단 제공을 통해 연주 수준 향상 및 국악 저변 확대 (지 역) ‘우리소리의 맥을 찾아서’ 민요축제 개최 ○ 기간/장소 : ’20. 9월 중 / 광화문 광장 등 야외 공연장 ○ 목 적 : 자치구 문화원 연합회가 주도하여 전국 교류 민요 축제 개최 ○ 참여대상 : 자치구 문화원 연합회, 자치구 문화재단 등 - 전국 각지의 명인과 전수자를 초청 지역상생과 교류의 계기로 개최 ? 경기민요, 남도민요, 동부민요, 서도민요 등 지역의 토속 민요 구성 ③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마스터 클래스’ 과정 운영 ○ 국악 애호가와 동호인 대상 서울시 예술단 단원들이 마스터 클래스 지도 ○ 악기별·수준별 강의 프로그램을 운영, 수료생·단원 합동 연주회 등 개최 - 교육 수요가 많은 대금, 가야금 등 부터 시범 운영 후 악기별, 수준별 강좌 개설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연도별 추진내용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축제 참여 동아리수 50 70 100 100 120 120 ?? 연차별 투자계획 세 부 사 업 명 투 자 계 획 (단위:백만원) 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국악로 특화거리 사업 430 30 40 80 80 100 100 지방문화원 엑스포 560 60 60 100 100 120 120 분야 2. 새롭게 성장하는 국악 인적·물적 창작역량 강화 추 진 지 표 단위 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 예술창작 활동지원 (건) 453 68 70 70 80 80 85 ○ 국악창작 공간 지원 개수 (개) 460 50 50 80 80 100 100 ○ 국악 뉴딜일자리 지원수(인턴포함) (명) 380 35 40 55 60 90 100 ○ 청년국악강좌 이수자수 (명) 760 60 100 100 150 150 200 ○ 신진국악팀 발굴 (팀) 180 20 20 30 30 40 40 ○ 국악관현악단 공연확대 (건) 41 4 6 7 8 8 8 ○ 국악 둘레길 개발?운영 (건) 560 10 50 50 100 150 200 ○ 국악로 특화거리 공연·행사 (건) 450 50 60 70 80 90 100 ○ 서울국악센터 설치 (개) - 개관준비 개관준비 개관 계속운영 계속운영 계속운영 ○ 국악 생활문화센터 조성 (개) - 개관준비 개관준비 개관준비 개관 계속운영 계속운영 ○ 남산국악당 관람객 (명) 220,000 35,000 35,000 37,000 37,000 38,000 38,000 ○ 돈화문국악당 관람객 (명) 130,000 20,000 20,000 22,000 22,000 23,000 23,000 ○ 우리소리박물관 관람객 (명) 91,000 10,000 15,000 15,000 17,000 17,000 17,000 과제2-1 국악인 창작지원 강화 2-1-① (국악인) 국악인 창작 활동·공간 지원 확대 국악인과 국악단체들에게 창작활동과 창작공간을 지원하고 안정적 창착환경을 조성하는 창작 생태계 조성 ?? 추진방향 ○ (예술인) 국악인의 성장단계별 창작 환경(창작지원, 창작활동) 지원 ○ (공 간) 유휴공간발굴 및 관련시설연계를 통해 단계별 창작 공간 확보 ① (작품)국악 창작 지원 확대 확대 ○ 전통분야 예술활동 창작지원 확대 - ’20년 전통예술분야 1,244백만원 →’25년까지 2,000백만원 - 총 68건(연희 8건, 전통무용 8건, 국악기악 및 성악 52건)→’25년까지 100건 확대 ○ 지원내용 - 창작지원금 : 신진(최대 2천만원), 유망(3천만원), 중견(4천만원/ 2년 6천만원) - 창작활동비 : 창작 활동 준비를 위한 조사, 실험 등 활동비 정액(300만원) 지급 ② (공연장)공연장 상주단체 지원 확대 확대 ○ 전통예술단체 상주지원 선정확대 - `20년 전통예술 분야 296백만원 →’25년까지 500백만원 ○ 지원내용 : 단체당 60백만원~150백만원(공연 및 프로그램 제작, 운영비, 인건비 등) ○ 기관별 역할 - (공공 공연장) 상주 예술단체에 공간 제공, 예술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한 커뮤니티 활성화 - (상주예술단체) 우수 작품 창작, 예술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단체 선정 시, 성희롱·성폭력 방지 조치 수립 등 ○ 추진기관 : 서울문화재단 ③ (창작공간)국악 창작?연습 공간 지원 신규 공연장 상주단체 선정 및 유휴공간 제공을 통한 공간지원 음악창작지원센터 등 기존 시설 활용 타장르와 협업도모 국악 창작 전용공간 조성 ’20년 ’21년 ’22년 ○ 시 보유자원 리허설룸, 체험실 등을 연습?창작 공간으로 제공(`20년) - 연습공간이 부족한 신진국악인들에게 유휴 시간대 국악당 리허설룸 등을 신진국악인에게 개방하여 연습?창작활동 공간으로 제공 - 창작 콘텐츠를 국악당 마당, 체험실 등에서 쇼케이스 형태 공개연습 기회로 제공 ※ 시 보유 자원 : 남산국악당, 돈화문국악당, 서울 음악창작 지원센터, 평화문화진지, 생활문화지원센터 등 국악당 리허설룸 (면적: 남산 144㎡/돈화문 70㎡ ) 국악당 야외마당 (면적: 남산 304㎡/돈화문 116㎡) 남산국악당 체험실 (면적: 75㎡) ○ 타 음악 장르와의 교류 위한 음악 지원 공간 제공(`21년~) - 서울음악창작지원센터 등 음악 지원시설을 국악인들이 활용 가능토록 공간 확보 - 타 장르 예술인과의 자연스러운 교류를 통해 새로운 콘텐츠 창작 유도 【서울시 음악지원 시설 현황】 구 분 서울음악창작지원센터 노들섬 특화공간 플랫폼 창동61 위 치 은평구 수색로 261 용산구 양녕로 445 도봉구 창동 1-9 시설면적 대지 585㎡, 지상2층 (연면적 708㎡) 라이브하우스 1,985㎡ 지상3층, 연면적 2456㎡ (컨테이너 61개) 공간구성 리허설 스튜디오, 공연장, 연습실, 녹음실 등 공연장, 리허설 스튜디오, 편의시설 등 컨테이너공연장, 전시관 등 전 경 ○ 국악인만을 위한 창작 전용공간 조성(`22년~) - 국악 또는 타장르 협업을 위한 창작 랩 마련 - 음원?퍼포먼스로 창작 콘텐츠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교육·전시 콘텐츠, 아카이빙 콘텐츠 등을 포함하여 제작할 수 있는 공간 구성 ※ 제작스튜디오 : 샘플 공연, 프로필 영상 촬영, 공동작업 스튜디오, 편집/녹음실 등 ○ 초기 비용이 많이 드는 스타트업 예술단체의 안정적 운영 위한 공간 지원 - 스튜디오, 녹음실, 연습실 및 사무공간 등 공간 제공 ○ 추진방법 : 국악당 내부 전용공간 조성 또는 북촌, 국악로 등 임대를 통해 전용공간 확보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예술창작 활동지원 건수 (전통예술분야) 68 70 70 80 80 85 국악창작 공간 지원 개수 (공연장상주단체 포함) 50 50 80 80 100 100 ?? 연차별 투자계획 세 부 사 업 명 투 자 계 획 (단위:백만원) 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예술창작 활동지원 (전통예술분야) 9,044 1,244 1,300 1,300 1,400 1,800 2,000 국악단체 공연장 상주지원 2,450 350 350 400 400 450 500 국악인 연습?창작 공간 제공 250 - 50 50 50 50 50 2-1-② (신인)국악 일자리 지원 확대 신규 국악 전공 청년들에게 국악분야 현장경험 기회를 제공하여 사회진출에 필요한 전공?실무역량 강화 및 전문가로의 성장 기회를 제공하고자 함 ?? 추진현황 ○ 국악분야 창작, 공연기획, 실무 등 국악단체와 연계하여 국악전공 졸업자들에게 인턴 기회 제공 - 전통문화예술기관(단체)에 파견(1기관 1명, 10개월)하여 인턴 및 실무 근무 ※ 국악인턴 지원 현황(’14년~): 100여명의 인턴 발굴 및 지원 ?? (일자리)뉴딜일자리를 통한 국악 인력 양성 신규 ○ 국악단체와 국악신인 신규 일자리 제공 연간 100명 지원(’25년) - 기존 국악인턴제의 짧은 운영기간으로 사업의 연속성이 불투명한 단점 개선 : 지속적인 근무자(최장 2년) 배치를 통해 안정적 환경 제공 - 국악 예술 현장 경험을 원하는 인력을 국악관련 단체에 배치하여 경력 형성 지원 및 역량강화 기회 제공(졸업자 성비에 기반한 성별균형지원 및 성별통계 생산) ○ 사업내용 : 국악 전공 청년을 선발하여 국악관련 단체(기관)에 배치?운영(국악단원, 기획, 제작 지원) 및 종료 후 취업 연계 ○ 추진방법 : 민간대행 운영단체 선정 - 서 울 시 : 운영단체 선정 - 운영단체 : 참여단체 및 참여자 선발 등 사업 추진 문화예술과 (사업계획 수립) 협조 : 일자리정책과 (뉴딜일자리사업 총괄) 민간대행 운영단체 (사업 수행) 참여단체 선발 참여자 선발 ○ 국악기획자 양성 과정 등 교육프로그램 등 심화프로그램 기회 제공 - 국악당 기획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심화 과정으로서의 역량 강화 지원 - 남산국악당,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예술경영지원센터 등에서 시행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 등 이수 지원 ?? (강좌) 청년국악기획자 양성 교육과정 운영 확대 ○ 남산국악당 국악전문 기획자 양성과정 ‘남학당’ 연간 200명 운영확대 - 국악전문 기획자 양성을 통해 전통예술 및 국악장르에 특화된 기획자 양성 및 실습 제공(’20년 60명 → ’25년 200명) ○ 선발대상 : 국악계 종사자 및 국악 기획 전망을 가진 학생, 일반인 등 대상으로 신청서 접수 및 심사(졸업자 성비에 기반한 성별균형지원 및 성별통계 생산) ○ 교육내용 : 공연기획, 홍보, 하우스 운영 등 이론 및 실습교육 ※ 문화예술계 성희롱, 성폭력 예방 교육 포함 이수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국악 뉴딜일자리 지원수 (명, 국악인턴포함) 35 40 40 60 90 100 청년국악 강좌 운영 이수자수(명) 60 100 100 150 150 200 ?? 연차별 투자계획 세 부 사 업 명 투 자 계 획 (단위:백만원) 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뉴딜일자리 지원 (인턴제 및 뉴딜일자리) 7,295 695 800 800 1,200 1,800 2,000 청년 국악강좌 운영 (남산국악당 운영비) 150 20 20 25 25 30 30 2-1-③ (신 인) 신진 국악인 발굴 지원 확대 창작공간과 공연기회가 부족한 신진 국악인이 예술계 진입 후 활발하게 창작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 강화 ?? 추진현황 ○ 남산국악당을 통하여 신진발굴 및 육성관련 3개 프로그램 운영중 ※ 신인 양성 프로그램 추진 현황(남산국악당, ’19년 현재 ) 프로그램명 주요내용 횟수 (회) 관객수 (명) 비고 젊은국악 ‘단장’ ??젊은 국악인 대상 경연방식으로 가능성 있는 신인 발굴 2 157 국악당 한옥?야외 ??입상팀 제작공연 : 전년도 단장 입상팀을 대상으로 한 팀별 단독공연 제작 8 1,680 ??우승팀 해외공연 : 전년도 단장 우승팀을 대상으로 해외 공연 추진 2팀 295 국악기획 ‘남학당’ ??국악기획자 양성과정, 청년 국악인들에 연주기회 제공 등 11 456 체험실 등 야외 젊은 국악 도시樂 ??청년 국악인 중심으로 낮 시간대 한옥마을을 찾는 직장인과 관광객 대상 전통공연 관객 개발 13 1,935 한옥마을 ?? 추진계획 ○ 신진 국악인 육성 프로젝트 운영 확대(’20년 3팀 → ’25년 20팀) - 공모를 통해 발굴된 신진 국악인을 전문가 멘토링, 창작 워크숍 등의 지속적인 트레이닝 과정을 통한 역량 강화 - 창작된 콘텐츠에 대한 쇼케이스, 경연 형식의 발표 등을 통해 경쟁력 확보 - 발굴 신인팀에 대해 공연기회, 음원발매 및 해외진출(공연) 등 집중 지원 등 신인 발굴 및 선정(경연) (당해년도) ? 멘토링 및 단독공연 제작지원 (차년도) ? 해외진출 및 교류추진 (차년도) ○ 신진 국악 공연팀 발굴 및 다양한 공연기회 제공을 통한 무대 역량 강화 - 시 공모사업(국악활성화)을 통해 신인대상 발굴 확대(연 20팀, 100회이상 공연) - 한옥·보행전용거리 공연, 신나는 국악여행, 국악 마티네 등 다양한 공연 기회 제공 ※ 신진 국악인 선정 심사위원 성별균형위촉, 신진 국악인 성별균형지원 및 성별통계 생산 ○ 추후 창작 공간 확보 시, 레지던시(residency) 기반 육성 도입 - 신진국악인이 안정적 환경속에서 창작에 전념할 수 있도록 상주 공간 지원 ?? 추진주체 ○ 남산국악당 : 신진국악인 발굴, 작품 제작지원 ※ 국악센터 설립전까지 남산국악당에서 신진 발굴, 작품제작 지원, 해외 진출 지원 등 추진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신인 국악인 및 국악팀 발굴수 20 20 30 30 40 40 ?? 연차별 투자계획 세 부 사 업 명 투 자 계 획 (단위:백만원) 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신인 국악인 육성 (남산국악당 사업비) 2,650 300 300 350 500 500 700 2-1-④ (전문가) 시립국악관현악단 위상 강화 계속 서울을 대표하는 국악관현악단의 위상에 걸맞는 조직 구성 및 활동 다양화 추진으로 국악관현악단 역량 강화 ?? 추진계획 ○ 정기공연 확대를 통해 시대표 국악관현악단으로의 위상 강화 - 연 4회의 정기공연을 연 6회 이상으로 확대 ※ 연간 정기공연 현황 : ’18년 5회, ’19년 4회, ’20년 4회(예정) - 장르를 뛰어 넘는 객원초청 및 협업을 통해 기량 향상 도모 ○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대표 브랜드 공연 제작 - 중소규모 공연 프로그램 등 다양한 기획을 통한 관객 개발 및 단원 기량 향상 도모 - 예술단 등 시 예술자원과 최신 융복합기술을 활용한 대표 브랜드 공연 제작 ○ 우수 신규 단원 충원을 통한 안정적 연주력 확보 - 정원 53명 대비 현원 44명이며, 그 중 연주단원은 37명에 불과하여 대부분의 공연에 객원 단원 사용 불가피 - 신규단원 충원을 통해 관현악단 안정성 도모 및 연주력 향상 ※ 현원기준 : 국립국악관현악단(58명), KBS국악관현악단(51명),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66명)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공연확대 정기공연 4회 정기공연 5회 기획공연 1회 정기공연 5회, 기획공연 2회 정기공연 6회, 기획공연 2회 정기공연 6회, 기획공연 2회 정기공연 6회, 기획공연 2회 ?? 연차별 투자계획 세 부 사 업 명 투 자 계 획 (단위:백만원) 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운영비(인건비포함) 15,387 2,210 2,364 2,521 2,683 2,763 2,846 공연사업비 2,396 256 356 386 456 466 476 과제2-2 국악로 중심 창작기반 강화 2-2-① (거 점) 국악로 ‘국악의 메카’ 로 육성 신규 돈화문로 가로환경 정비사업계획의 완공과 더불어 돈화문로 거점시설 및 자원과의 연계·협력을 통하여 세계인들이 방문하는 국악벨트로 조성 ?? 국악로 현황 ○ 구 간 : 돈화문로(창덕궁 교차로~종묘) 770m(폭22m) - 조선시대에는 왕이 행차하던 거리, 주변에 시전행랑과 피맛골, 순라길 형성 -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 국립국악원 전신), 조선성악연구소(최초의 음악학원) 등 ○ 입지현황 및 문제점 - 돈화문국악당(‘16), 우리소리박물관 개관(‘19)으로 풍부해진 국악 인프라 - 주변 인사동, 북촌, 서촌, 익선동 등이 명소로 성장한것과 달리 낙후된 이미지 ※ 돈화문로 거리정비사업(역사도심재생과, 도시기반시설본부) ‘20년 하반기 중 완료 예정 ?국악자원에 대한 결집과 활용이 부재하고 국악로에 대한 시민인식 부재 ?국악자원을 결집하고, 국악대표명소로의 브랜딩 및 관광자원화 필요 ※ 국악로 일대 국악 및 전통문화 자원 현황 <국악로 국악자원 지도, 국악스토리텔링 자원 발굴연구 2016, 서울시> <역사자원> 돈화문, 종묘, 창경궁, 순라길 <문화시설> 돈화문국악당, 우리소리박물관, 서울무형문화재 교육전시장 <국악학원 및 인물,단체> 1.정화영고법연구소/2.김뻑국예술단, 김연자판소리연구소/3.최우칠 타악 연구소/4. 김우경, 전예주, 장덕회/ 5. 전예주판소리/6. 선소리 산타령 최창남연구소/7. 한명순 소리예술원/ 8. 권하경 판소리전수소/9. 소리랑/ 10. 한순서의춤/11. 민속음악원/12. 정명숙의춤/13. 임현주전통춤/ 14.우리소리/ 15.전통문화학교/16.조유순 <국악기사> 1.성음국악사/2. 양지국악사/ 3. 한양국악사/4. 국악사돈화문/ 5. 고려국악사/6. 연악사/ 7.한국국악사/8.전통국악사/ 9.성일국악사/10.우리국악사 <전통음식, 의상> 1.대하요정, 2 송암요정 등 ① 핵심 거점시설 조성으로 국악벨트 완성 신규 ○ 서울국악당(’22년)과 국악생활문화센터(’23년) 개관으로 국악벨트 완성 ? 국악벨트 : 남산국악당(’07년)-돈화문국악당(’16년)-우리소리박물관(’19년)-서울국악센터(’22년) ○ 국악핵심 지역으로서의 입지 강화 - 거점 인프라 확장 및 활성화 추진사업 병행으로 국악의 대표거리로 브랜딩 【 국악로 일대 국악자원 지도 】 돈화문국악당 (’16년 개관) ? 우리소리박물관 (’19년 개관) ? 서울국악원 ’22년 개관 ? 국악생활문화센터 ’23년 개관 ○ 서울국악센터 市소속·산하 국악시설 및 사업의 구심점 역할 수행(’22년 개관) - ’21년 위탁기간이 종료되는 양 국악당(돈화문, 남산)의 운영 총괄 - 시 국악 자원과 국악당, 우리소리 박물관 등 주요 거점시설 간 역할조정 - 국악 관련 오프라인 전시·자료관 운영과 국악 아카이빙 및 창작-유통-소비지원 ○ 국악전용 생활문화센터 전통지역 내 자원 활용(’23년 개관) - 국악기 연습실, 국악기 체험 및 국악기 공유센터로 조성 - 관광객 및 아마추어 시민을 위한 국악전용 시민문화 공간으로 조성 돈화문국악당 (’16년 개관) + 우리소리 박물관 (’19년 개관) + 서울국악센터 ’22년 개관 + 국악생활문화센터 ’23년 개관 ? 자연음향의 공연이 가능한 국악 공연장 ? 민요, 우리소리 체험?전시 ? 국악 거점간 연계 ? 국악 정보 센터 ? 국악 확성화사업 운영 ? 국악체험, 국악기공유 ? 국악 저변확대 및 인식 개선 홍보 (공연) (전시) (정책) (체험) <국악로 자원> ② 국악벨트 활용 ‘국악둘레길 관광코스’ 개발?운영 신규 √ 국악로 옛 명소(운당여관, 국악사양성소)?돈화문국악당(공연)?우리소리박물관(전시) ? 돈화문로 맛집?멋집, 국악기상가 로 이어지는 국악 스토리텔링 둘레길 개발 및 운영 ○ 국악로 일대 상설 코스 개발을 통해 연간 50만명 방문 추진 (연계) 교육 (시범)전시 (공동기획)투어 연합콘서트 기존프로그램 활용 유관컨텐츠간 연계 공동접점의 주제선정 기획전시진행 국악당+박물관+국악로 이어지는 투어 프로그램 기획 민요를 주제로한 공통 콘서트 개최 (상설)협력 홍보 (온라인) 기획프로그램 공동 노출 및 연계페이지 구성 (오프라인) 홍보물 비치 및 안내배너를 통해 관람선 유도 우리소리박물관 : 듣고 보고 배워보는 우리소리(’20~) 공연 + 교육 - 국악당 상반기 기획 민요공연과 연계하여 박물관 내 유관 교육·체험 실시 ?(예시) 서진실의 남도민, 고요의 시선 연계교육 등 공동기획전 : 국악로 불시착(’20~) 전시 + 체험 - 박물관과 국악당의 접점에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공동기획전 개최 ?(1안) 사당패소리, (2안) 국악로 이야기 등 - 장 소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기획전 코너, 서울돈화문국악당 로비 투어프로그램 : 돈화문 나들이(’20~) 투어 + 공연 + 체험 - 국악당→우리소리박물관→국악로 명소 일대를 걸으며 숨겨진 이야기와 우리소리를 감상하는 투어프로그램 ○ 창덕궁앞 상설 국악퍼포먼스 프로그램 운영(연 200회) - 수문장교대의식 형식의 상설운영을 통해 단체 관광객 등 방문 유도 - 대중적 국악(사물놀이) 및 퍼포먼스(줄타기, 연희) 상설 운영(오전, 오후) ○ 인바운드 여행사 대상 관광상품 설명회 개최 등을 통해 상품화 주력 - 유관기관 및 해외 여행사 홍보채널 활용 마케팅 강화 - 한국여행업협회, 한국관광공사, 서울관광재단 등 네트워크 활용 ③ 국악로 특화거리 조성 확대 √ 국악로가 정비 완료되는 ‘20년 하반기 거리 활성화사업 시행 √ 관계부서(종로구청, 보행정책과 등) 협업을 통해 사업시너지 제고 ○ 국악이 매일 울려펴지는 국악의 거리 ‘국악로 특화거리 조성’ - 잔잔한 국악이 매일 울려퍼지는 고품격 있는 국악길 조성 - 소음문제 등을 고려 지역의견을 수렵하고 공연횟수 및 규모, 위치 등 선정 ○ 국악동호인들의 꿈의 무대 시민국악페스티벌 개최 - 자치구별 대표 국악동아리를 추천받아 아마추어 국악 행사 개최 (’20. 하반기) - 대 상 : 시민국악동아리. 자치구별 대표 국악동아리 추천, 경연 등 ○ 대한민국 국악제 개최 지원 - 우리나라 대표 국악잔치 ‘대한민국국악제’ 행사 지원하여 국악인의 자긍심 고취 및 국악 저변 확대 ※ 매년 9~10월 - 추진방법 : (사)한국국악협회와 협약체결하여 지원 ○ 돈화문로 활성화를 위한 차없는 보행 전용거리 행사(종로구, 보행정책과) - 구 간 : 창덕궁 앞 ~ 묘동사거리 (길이 520m, 폭 22m) - 내 용 : 국악한마당, 돈화문로 버스킹 공연 등 ○ 돈화문로 활성화 시민공모사업 및 문화행사(종로구) - 공예 및 귀금속 특화 서순라길 프리마켓(4 ~ 5월), 박물관 나들이 가족체험(5 ~ 6월) 및 시민공모를 통한 주민참여 프로그램 운영 등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국악둘레길 개발운영 10 50 50 100 150 200 국악로특화거리 공연 50 60 70 80 90 100 ?? 연차별 투자계획 ※ 국악센터, 생활문화센터 예산 제외 세 부 사 업 명 투 자 계 획 (단위:백만원) 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국악로 특화 거리조성 1,300 150 150 200 200 300 300 2-2-② (조 직) 서울국악센터 설치 신규 시 국악사업을 총괄하고 국악자원의 연계·협력·조율할 수 있는 서울국악센터를 설치하여 국악의 허브 핵심기관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고자 함 ?? 추진 방향 ○ 국악관련 기관·시설·단체를 유기적으로 엮고 국악 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지원을 통해 예술가(단체)의 성장 도모 및 건강한 국악생태계 조성 ○ 민간 예술가와 단체 중심의 창작기획 지원과 민·관 협업체계 구축으로 시민들의 국악활성화를 위한 저변 확대 도모 ?? 서울국악센터 모델(안) 서울국악센터(가칭) 서울남산국악당 국악거점협력 국악자원연계 서울돈화문국악당 시민접점사업기획 국악정보제공 국악정보센터 (전시·자료관/온라인플랫폼) 창작활성화지원 서울우리소리박물관(검토) <역 할> <조 직> ㅍ ?? 설치방안 ○ 주요 기능 국악사업 기획 및 조정 국악정보센터 + ?? 시 국악 사업의 구심점 ?? 주요 기관별 연계·협력 ?? 창작지원 및 기획?홍보?마케팅 설계 + ??오프라인 전시자료관 ??국악 콘텐츠 아카이빙 ??유통-소비위한 온라인 플랫폼 운영 국악당 통합운영 - 기관 간 협력·조율 시국·청국 등 서울시 국악 자원과 국악당·우리소리박물관 등 주요 거점시설 간 역할조정 및 연계협력 - 정보 교류의 허브 국악 관련 오프라인 전시·자료관 운영 및 국악 콘텐츠 아카이빙과 창작-유통-소비를 지원하는 온라인 플랫폼 운영 - 국악플랜 주요과제 실행 시민 저변확대를 위한 사업 기획·개발, 우수국악 해외진출지원, 국악 콘텐츠 홍보마케팅 등 중점사업 추진 ○ 개 관 : ’22년 상반기 ※ 개관시기 고려 선임대후 부지확보(검토) ○ 운영방안 : 민간위탁 + <국악플랜 2025 열린회의> ?? 단계별 추진일정 단 계 추 진 방 법 준비단계 (1단계) 2020년 ?민간이 참여하는 정책협의 기구 ‘국악플랜2025 열린회의’ 출범 -「서울국악플랜 2025」주요정책과제 기획·조정 및 국악센터의 역할·사업 구체화 ?서울 국악센터 설립 기본계획(안) 수립 ?서울 국악센터 사무공간 및 운영방안 마련 - (공간확보) 국악로 일대 국악자원 보유시설 또는 한옥공간(매입 또는 임대) ?서울 국악센터 민간위탁 사전 준비예산 편성 ? (2단계) 2021년 ? 서울 국악센터 민간위탁 추진계획안 수립(D-300) - (조직구성) 국악당 운영 20명 + 국악센터 운영 7명 내외 ? 민간위탁운영평가위원회 심의(D-300) ? 의회 동의(D-200) ? 위탁업체 선정(D-100) 수탁기관 공모→ 적격자심의→ 선정 및 공고 ? 계약심사(D-70) ? 민간위탁 협약서 심사 및 협약 체결(D-30) ? 서울국악센터 위탁조직 사전 선정(’21. 9월) - 국악센터 조직 선정 후 개관 준비 및 국악센터 내부 리모델링 등 진행 ? (3단계) 2022년 ? 서울국악센터 개관 및 운영 구 분 국악센터 설치 주요공정 예산편성 현황 및 계획 20. 6 ~ 12월 21. 1 ~3월 21. 3 ~8월 21. 10월~ 20년 본예산 21년 본예산 22년 본예산                             국악센터 ? 센터운영 개시  (위탁기관 선정) TF 운영비 (임차비) + 공사비 + 민간 위탁비 임차비 + 민간 위탁비 (공간발굴 및 확보) ? 민간위탁 절차진행 (공간설계) (공간 리모델 공사)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서울국악센터 설치 개관준비 개관준비 개관 계속운영 계속운영 계속운영 ?? 연차별 투자계획 세 부 사 업 명 투 자 계 획 (단위:백만원) 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서울국악센터 설치 2,340 40 700 400 400 400 400 서울국악센터 위탁사업비 (국악당 위탁비 포함) 31,800 4,200 4,700 5,500 5,700 5,700 6,000 2-2-③ (지 역) 국악특화 생활문화센터 설치 신규 국악동호인들의 모임?발표?정보교류의 장을 제공하고 국악체험과 국악 시민활동 공간을 위한 생활문화센터를 조성 ?? 추진배경 ○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국악 동호인들의 연습·활동 공간 부족 ○ 국악자원이 집결된 북촌, 삼청동, 돈화문로 일대에 생활예술 동아리 모임, 연습, 악기대관 등을 위한 공간 조성 ?? 추진계획 ○ 조성방향 - 지역적 특성과 역사성을 보존하여 국악문화가 접목된 공간으로 기획 - 공공한옥 매입(한옥건축자산과)을 통해 공용 공간 확보 - 연습실, 악기 체험·전시 등 아마추어 시민을 위한 국악전용 센터로 조성 ○ 센터의 기능 및 역할 공유 (공간,자원) + 국악향유 (발표,체험) + 연계지원 (홍보,관광자원) ? 지역주민 및 국악동호회 생활문화활동 공간지원 ? 동아리 양성 및 교류 프로그램 ? 악기공유 및 대여 ? 국악생활문화 활동발표 및 축제공간 제공 ? 국악체험센터 ? 국악생활문화 네트워크 및 마스터과정 지원 ? 생활문화 공감확대 및 정보제공 ? 국악 저변확대 및 인식 개선 홍보 ○ 운영방안 : 민간위탁 ○ 공간조성(안) : 국악기 연습실, 국악기 체험 및 공유센터 등 - 국악공간 : 국악기 전시 및 국악기체험센터 - 동아리모임공간 : 국악기연습실, 공유카페 등 ○ 조성방안 : 기부채납 시설 활용 및 한옥매입·리모델링 등 다각도 검토 - 향후 추진중인 기부채납시설의 확보에 따라 조성지역 선정 - 개관 및 사업운영 : ’22년도 민간위탁 예산반영 ○ 개 관 : ’23년 ?? 추진일정 ○ 한옥 밀집 조성 지역내(장소미정)임대 부지 검토 : ’20. 하반기 - 면적, 규모, 입지, 지역민원(소음) 등 고려 가능 시설 검토 ○ 생활문화센터 설치 계획 수립 : ’21. 8. ○ 시설 매입 및 리모델링 등 조성예산 편성 : ’21. 하반기 ○ 시설 조성 및 민간위탁추진계획 수립(D-300) : ’22. 1.~10. ○ 국악 특화 생활문화센터 위탁기관 선정 : ’22. 11. ○ 국악 특화 생활문화센터 개관 : ’23. 3. ※ 거점형 생활문화센터 현황 구분 신도림고리 체부동생활문화센터 낙원생활문화센터 서교생활문화센터 위 치 구로구 구로동 3-33 (연면적 752.9㎡) 종로구 체부동 188 외 2 (연면적 353.56㎡) 마포구 서교동 395-43일원 ※ 서교청년임대주택내 기부채납시설(연면적 679㎡) 종로구 삼일대로 428 ※ 역사도심재생사업연계 낙원상가 하부시설 활용 (연면적 2719㎡) 개 관 ’12.3월 개관 ’18.3월 개관 ’20.3월 예정 ’20.6월 예정 운 영 민간위탁 (위탁기관 : (재)구로문화재단) 민간위탁 (위탁기관 :기분좋은 큐엑스) 민간위탁 (위탁기관 :기분좋은 큐엑스) 미정 컨 셉 ??서남권 거점형 생활문화센터로 공간대관, 전람회, 전시회 구성 ??건축자산인 체부교회를 리모델링, 오케스트라 전용 생활문화공간으로 조성 ??악기공유센터, 수리센터, 공연이벤트홀 등 ??블랙박스형 공연장, 다목적실, 연습실 등 예 산 400백만원 398백만원 1,650백만원 930백만원 【신도림고리 생활문화지원센터】 【체부동 생활문화지원센터】 【낙원 생활문화지원센터(조감도)】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국악 생활문화센터 조성 개관준비 개관준비 개관준비 개관 계속운영 계속운영 ?? 연차별 투자계획 세 부 사 업 명 투 자 계 획 (단위:백만원) 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생활문화센터 설치 650 - - 50 200 200 200 생활문화센터 위탁사업비 1,220 - - 20 400 400 400 2-2-④ (지 역) 국악 거점시설 특성화 계속 풍부해진 국악 인프라 시설들을 유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하여 시민들에게 다양한 문화향유 기회 제공 ?? 추진방향 ○ 우리시 거점 시설별 특성화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시설별 기능을 차별화 ○ 기관별 특성화 ?? 국악 거점시설 현황 구 분 남산국악당 돈화문국악당 우리소리박물관 운영방향 신진국악인 발굴?육성 거점공간으로 운영 신진들을 위한 다양한 활동 기회 제공 자연음향의 강점을 살린 고품격 국악공연 기획 관객과의 친밀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기획 우리소리에 대한 관심 제고를 위한 전시·교육 프로그램 기획전시 및 인근 거점시설과 연계한 프로그램 개발 전 경 위 치 중구 필동(남산골한옥마을 내) 종로구 와룡동(창덕궁 앞) 종로구 와룡동(창덕궁 앞) 시설규모 대지 2,359㎡, 연면적 2,935㎡ (지상1층/지하2층) 대지 834㎡, 연면적 1,773㎡ (지상1층/지하3층) 대지 854㎡, 연면적 1,385㎡ (지상1층/지하2층) 주요시설 공연장 300석, 연습실, 전시관, 카페테리아, 야외마당 공연장 140석, 연습실, 분장실, 카페테리아, 야외마당 음원감상실, 아카이브 전시실, 상설전시관, 교육실, 수장고 운영방법 민간위탁 민간위탁 직영 (우리소리박물관팀) 사 업 비 (‘20년 기준) 2,121백만원 1,980백만원 1,446백만원 운영실적 - 공연장 가동률 평균 83% (연간 220일 사용) - 연간 이용객 약 40천명 - 공연장 가동률 평균 87% (연간 260일 사용) - 연간 이용객 약 25천명 ‘19.11.21. 개관 (매주 화~일요일 09시~19) ① 남산 국악당 운영 ?? 추진방향 ○ 청년 국악인 육성 및 국악생태계 활성화 거점 공연장으로 특화 - 청년국악인 발굴?육성 프로그램을 통해 청년국악 활성화 플랫폼 구축 - 국악 기획자 양성을 통해 국악 생태계의 자생력·경쟁력 강화 기반 마련 ○ 국악당 이용 효율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 다양화 - 국악당 주변 전통정원 등과 유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콘텐츠 발굴 - 기획대관 등 공연예술 단체와의 다양한 협업을 통해 공연장 이용률 제고 2019년 이용현황 ○ 운영횟수 및 이용객수 : 204회/ 37,801명 (단위 : 회, 명) 구분 계 기 획 공 연 대 관 소 계 공연 야외행사·교육 운영횟수 204 134 109 25 70 이용객수 34,362 24,039 21,549 2,490 10,323 ○ 공연장 가동률 : 68.0% ?? 중점 추진계획 ○ 청년국악을 중심으로 특색있는 기획 프로그램을 통한 공연장 브랜드 제고 - 한옥 공간을 활용한 〈한옥콘서트>, 전통국악에 현대적 해석을 가미한 〈남산 컨템포러리〉등 기획공연 및 우수 작품 유치 - 청년국악 ‘다시곰도다샤’, 남산컨템포러리, 한옥콘서트 등 3년간 지속한 기획공연사업을 통해 남산국악당의 고유 브랜드 기획공연 확장 ○ 역량있는 신진 국악인 발굴 및 체계적 육성 지원기관으로 발전 - 신진국악인 발굴 프로그램〈단장〉통해 발굴된 역량 있는 신진에 대해 멘토링, 홍보마케팅, 해외진출 기회 등 체계적 지원 - 젊은 국악인들의 창작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실험적인 무대 기회 제공, <젊은 국악 단장>을 레지던시형 창작워크숍 형식으로 운영 ※ ’19년 <젊은국악 단장> 1기 우승팀 ‘헤이스트링’의 영국 케이뮤직페스티벌 공연 ② 돈화문 국악당 운영 ?? 추진방향 ○ 예술성과 재미를 겸비한 돈화문국악당의 새로운 대표 프로그램 개발 - 새로운 브랜드 공연 <대륙시대>, <산조대전> - 국악당과 지역을 사유하는 이머시브 공연<돈화문 나들이> 확대·발전 ○ 전세대가 즐기는 국악당 활용의 다양화 시도 - 관객의 문턱을 낮출 수 있도록 입장 연령제한 폐지(시범운영) - 기존 대관형식이 아닌 예술가와 공연장 공동기획 형태의 <기획대관>으로 티켓, 홍보물 제작 등 지원을 통해 공연 품질 제고 도모 2019년 이용현황 ○ 운영횟수 및 이용객수 : 223회 16,718명 (단위 : 회, 명) 구분 계 기 획 공 연 대 관 소 계 공연 야외행사·교육 운영횟수 223 116 108 8 107 이용객수 19,495 10,528 10,110 418 8,967 ○ 공연장 가동률 : 76.7% ?? 중점 추진계획 ○ 고품격 기획공연과 더불어 중견 국악인들을 위한 새로운 실험 무대 제공 - 국악당을 대표하는 새로운 브랜드기획공연을 통해 대표 국악당으로 발돋움 - 명인명창〈국악의 맛〉, 중견국악인 무대〈운당여관 음악회〉등 고품격 공연 기획 - 대관 공연에도 기획·홍보·마케팅 등을 지원하여 공연수준 향상 도모 ○ 소 공연장 특색을 활용, 관객 친밀도를 높이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 국악인들의 예술과 삶에 관한 이야기 콘서트, 음반 및 제작 과정소개 등 관객 궁금증을 해소할 소재 활용 토크콘서트 프로그램 개발 - 국악 동호인들에게 공연장 무대 기회 제공〈시민국악주간〉 운영 등 ③ 우리소리박물관 운영 ?? 추진방향 : 소실되는 우리 소리의 보존 및 대중화(연중 상시 개관운영) ?? 중점 추진계획 ○ 증강현실 등 다양한 전시기법 구현으로 향토 민요에 대한 관심 제고 - 가상현실(AR), 증강현실(VR)을 통해 ‘우리소리’ 체험 - 소장 작품에 대한 음원 감상 기회 제공 ○ 어린이·청소년·외국인 대상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우리소리와 우리놀이(어린이), 국악기 제작 및 실습(청소년) - 소리로 이해하는 코리아(외국인) 등 다양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운영 ○ <돈화문국악당>, <우리소리박물관> 등 유관기관 연계 문화행사 기획 - 박물관 특별기획전과 연계한 돈화문국악당 기획공연 등 시설 간 협업 추진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남산국악당 관람객(명) 35,000 35,000 37,000 37,000 38,000 38,000 돈화문국악당 관람객(명) 20,000 20,000 22,000 22,000 23,000 23,000 우리소리박물관 관람객(명) 10,000 15,000 15,000 17,000 17,000 17,000 ?? 연차별 투자계획 세 부 사 업 명 투 자 계 획 (단위:백만원) 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남산국악당 운영 14,621 2,121 2,300 2,400 2,500 2,600 2,700 돈화문국악당 운영 13,480 1,980 2,100 2,200 2,300 2,400 2,500 우리소리박물관 운영 10,446 1,446 1,600 1,700 1,800 1,900 2,000 분야 3. 세계와 교류하는 글로벌 국악 국악 글로벌화 및 국악관광 활성화 추 진 지 표 단위 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 국악거리공연단 해외진출 (건) 70 2 5 10 15 20 20 ○ 국악 콘텐츠 제작 지원 (건) 188 8 20 30 30 50 50 ○ 외국인 국악 강좌 운영 (건) 816 20 98 98 200 200 200 ○ 국악 관람환경 개선 - - 설치 및 운영 설치 및 운영 설치 및 운영 설치 및 운영 설치 및 운영 설치 및 운영 ○ 투어 프로그램 운영 (건) 560 10 50 50 100 150 200 ○ 국악축제 참가관광객 (명) 320만 20만 30만 40만 50만 80만 100만 ○ 대표 국악 공연기획 - - 자문위구성 공연개발 공연개발 공연운영 공연운영 공연운영 ○ 국악 홍보?마케팅 확대 - - 홍보확대 홍보확대 홍보확대 홍보확대 홍보확대 홍보확대 과제3-1 세계의 음악으로 국악 글로벌화 3-1-① (해외진출) 국악 공연단 해외진출 지원 신규 우수 국악 자원의 해외진출 지원을 통한 국악의 글로벌 음악 시장 진입 촉진 및 국악 창작자의 예술 창작 의욕 고취 ?? 추진현황 ○ 남산국악당 자체기획 신진국악인 발굴?육성 프로그램(`18년~`19년 2기 추진) - 남산국악당 <젊은 국악 단장> 1기 우승팀 ‘헤이스트링’ 영국 케이뮤직페스티벌 공연 진출 ○ 청년국악기획자 양성과정 ‘남학당’ 진행(총 14회 수업, 해외 진출 관련 수업 2회) - 국악 장르 기획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 과정 운영(반기별 1회, 각 30명씩) ?? 개선방향 ○ 시민이 애호하고 세계인이 공감하는 다양한 국악공연작품 및 글로벌 아티스트 양성으로 세계 공연시장에서 활약할 수 있는 국악 신인 발굴 ?? 사업내용 ○ <젊은 국악 오디션 단장> 개편을 통한 공연팀 선발 해외 진출 지원 확대 - 거리공연에 적합한 콘텐츠, 대중성 높은 구성으로 공연팀(연희, 퓨전국악 등) 추가선발 ? `19년 <젊은 국악 단장> 선발팀, 국악거리공연 우수팀 등 선발 - 슈퍼 페스티벌 초청 외에 해외 주요 관광지 등에서 거리공연 진행 ? 영국 에딘버러, 프린지 페스티벌(거리공연축제) 및 유럽거리공연명소를 찾아가는 공연단 진출 : 온라인채널운영사, 전문기획사 협업 <단장 젊은국악> <단장 K뮤직페스티벌 공연> <국악거리공연> ○ 해외 뮤직 마켓 시장 참여를 통해 국악의 매력 전파 - 해외 공연시장 거점(런던, 뉴욕 등)과 월드뮤직페스티벌, 음악축제 등 세계적 공연시장의 안정적 진출 지원 및 지속적 관리 - 세계적 음악시장에 맞는 잠재력과 경쟁력을 갖춘 국악 아티스트 공연작품 제작·홍보·마케팅 지원(예술경영지원센터 협업) ○ 홍보 콘텐츠 제작 및 유튜브 등 중계를 통해 온라인 입소문 확대 - 거리공연 영상을 온라인 영상콘텐츠로 실시간 제작하고 현지인 반응과 인터뷰 등을 스케치 하여 노출 ○ 글로벌 음악시장 진출을 도울 수 있는 체계적 지원체계 마련 - 남산국악당의 청년국악기획자 양성과정 중 글로벌 시장 진출과 관련된 프로그램의 확장, 추가 발굴 등을 통해 글로벌 전문가 양성과정 개발 - 글로벌 공연 시장 기준과 수준을 갖춘 국악 전문 기획자·미디어콘텐츠 제작자 양성 ?? 추진기관 : 서울남산국악당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국악거리공연단 해외진출 지원(건) 2 5 10 15 20 20 ?? 연차별 투자계획 세 부 사 업 명 투 자 계 획 (단위:백만원) 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우수 국악 해외진출 지원 (남산국악당) 2,800 150 250 500 500 700 700 3-1-② (온라인) 온라인 콘텐츠 음악시장 유통지원 신규 우수한 국악 콘텐츠의 디지털 미디어화 작업 지원을 통해 뉴미디어 음악 산업에서의 경쟁력 확보하고 국악인들의 창작 및 홍보 지원 ?? 추진배경 ○ 미디어 수단의 급속한 변화에도 불구 국악에 대한 디지털화와 영상 음원 제작 등 콘텐츠 대중화에 미흡 ○ 창작 콘텐츠가 시민들에게 전달되고 나아가 음악 시장에 유통될 수 있는 선순환 구조 마련 ?? 추진계획 ○ 추진방향 : 쉽고 재미있는 국악콘텐츠의 대중화, 미디어화 제작 지원을 통해 국악 창작 지원 및 글로벌 진출 지원 ○ 기 간 : ’20년 하반기 ~ ○ 추진방안 - 우수 창작자 발굴, 영상 및 음원 등 콘텐츠 제작 -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에 업로드하기 적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지원 - 온라인 포털(네이버 온스테이지, 구글 등)과의 협업을 통한 확산 우수 창작자 발굴 콘텐츠 창작지원 소비 수요자 연계 음악시장 유통지원 콘텐츠 재생산 ○ 확산방안 ① : 우수 창작 콘텐츠의 확산 - 우수 콘텐츠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해외 음악시장에 맞춘 작품 보강·외국어 홍보 등 마케팅 지원 - 창작?유통 과정에서 미흡한 국악인들을 위한 창작·홍보 지원 - 국악 음원 특화 음향 시스템 구축 및 국악미디어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경쟁력 확보 ○ 확산방안 ② : 국악전용 콘텐츠 아카이빙 및 온라인 플랫폼 확보 - 청년 국악인의 세계 진출과 경쟁력 증진을 위한 온라인 기반의 독자적 플랫폼 구축 - 아카이빙 콘텐츠서비스를 포함하여 국악 관련 공연?인물?공간?단체?강좌 등에 대한 포탈 서비스 제공 ? 서울국악센터 설치후 온라인 아카이빙 및 정보센터 구축으로 통합 ○ 창작?유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반 문제 해결을 위한 전문 컨설팅 - 저작권, 계약체결 및 각종 법적분쟁 지원을 위한 전문가 그룹 구성?운영 <네이버 온스테이지 영상 콘텐츠>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국악 콘텐츠 제작 지원 건수 8 20 30 30 50 50 ?? 연차별 투자계획 세 부 사 업 명 투 자 계 획 (단위:백만원) 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국악 미디어컨텐츠 제작지원 1,260 110 150 200 200 300 300 3-1-③ (외국인) 외국인 대상 국악강좌 운영 신규 서울 방문 및 체류 외국인 수 증가에 따라 국악에 관심 있는 외국인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설로 국악 글로벌화 도모 ?? 현 황 ○ 다문화 글로벌 시대로 관광객 및 국내거주 외국인 꾸준히 증가 - 서울 방문 관광객 수 1,130만명, 국내장기거주 외국인 200만명 ?? 추진계획 ○ 국내거주 외국인(다문화) 및 관광객 대상 국악 체험 강좌 개설(’25년 연간 200회, 외국인 5,000명) - 대학 어학당 등과 국악당이 협력을 통한 장·단기 교육 프로그램 운영 - 역사, 도시 등 인문학적 주제와 연계된 국악 풍류 프로그램 개발 · ‘1Day/3Day Class, Weekend Class, Hobby Class, Beginner/Advanced/Master Class 등 ○ 온라인 활용 외국인 국악 경연대회 등 이벤트 개최 - 국악축제 및 행사를 통해 경연 부문 신설(유투브 온라인 공모) - 남산·돈화문국악당 등 거점시설 기획 공연에 명예시민, 외국인 명사(성별균형)를 초청하여 공연 관람 기회 제공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외국인 국악 강좌 운영(건) 20 98 98 200 200 200 ?? 연차별 투자계획 세 부 사 업 명 투 자 계 획 (단위:백만원) 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외국인 국악강좌 운영(국악당) 310 - 50 50 70 70 70 3-1-④ 글로벌 관람환경 개선 신규 내국인은 물론 외국인도 쉽게 국악을 관람할 수 있는 환경으로 국악당을 중심으로 관람환경 개선 ?? 추진현황 ○ 남산, 돈화문 국악당, 우리소리박물관 등 국악을 즐기기에 풍부한 자원은 갖춰 졌으나 - 외국인을 위한 관람환경은 아직도 미흡(다국어 홈페이지 미구축, 사전 예약 불가) ?? 추진계획 ○ (예 매) 다국어 안내, 글로벌 예매 플랫폼과 연계하여 접근성 강화 - 국악정보 다국어 홈페이지(모바일페이지) 구축 및 다양한 국악정보 수집 제공 - 다국적 예매플랫폼 및 서울패스(관광재단) 등과 연계하여 사전 예매 창구 강화 ○ (관 람) 상시 자막 및 이미지 송출을 위한 디스플레이 설치 운영 - 공연 관람시 외국어 사용자들에게 공연 안내를 위한 스마트 글라스 또는 모니터 설치 운영 ○ (상 시) 공연이 없는 때에도 방문객들을 위한 홍보영상 노출 운영 - 공연이 없는 시간대에도 국악공연을 영상으로 송출하도록 국악당 앞, 로비 입구 등 대형스크린 설치 <글로벌 서울 패스> <국악당 대형스크린 설치> ?? 연차별 추진일정 세부과제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관람환경 개선 현황조사 설치 및 프로그램, 개발운영 설치 및 프로그램, 개발운영 설치 및 프로그램, 개발운영 설치 및 프로그램, 개발운영 설치 및 프로그램, 개발운영 ?? 연차별 투자계획 세 부 사 업 명 투 자 계 획 (단위:백만원) 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남산, 돈화문 국악당 시설비 250 - 50 50 50 50 50 과제3-2 국악 관광 콘텐츠 확산 3-2-① (콘텐츠) 국악 관광 상품 개발 신규 서울에 방문한 외국인들에게 국악을 경험할 수 있는 상설 프로그램 및 국악관광코스 개발?운영 ?? 현 황 ○ 국내외 관광객들이 국악을 경험 할 수 있는 상설 운영 행사 및 국악 투어코스 부재 ○ 외국인들에게 국악당 공연프로그램의 접근성 한계 및 퍼포먼스 중심의 상설 야외프로그램 필요 ?? 추진방향 ○ 창덕궁 앞, 국악로, 고궁 등 유형자산과 국악의 무형자산이 결합된 상설 프로그램으로 서울의 관광문화예술도시 국제적 인식 제고 ?? 추진계획 ① (관광코스)상설 국악 관광 투어 둘레길 개발 돈화문국악당(공연)?서울우리소리박물관(전시)?국악로 명소로 이어지는 전통문화 둘레길 개발 및 운영 등 국악관광상품 개발 ○ 국악로 일대자원연계 전통 문화투어 코스 개발 연간 50만명 방문 추진 - 북촌우리음악극장-우리소리박물관-돈화문국악당 등과 골목골목의 명소와 국악기상, 전통찻집?맛집 등 전통문화를 만날 수 있는 투어 프로그램 개발 - 돈화문로 활성화 사업(종로구), ‘한옥마을 골목기행’(한옥150조성담당관) 등 서울시 관련 관광자원 들과 연계하여 골목길 관광자원화 협업 ○ 창덕궁앞 상설 국악퍼포먼스 프로그램 운영(연 200회) - 수문장교대의식 형식의 상설운영을 통해 일상관광 프로그램 운영 - 대중적 국악 및 퍼포먼스(줄타기, 연희) 상설 운영(오전, 오후) <덕수궁 왕궁수문장 교대의식> 운현궁-돈화문로-종로돌담길로 이어지는 골목길 코스 ○ 국악로 홍보 콘텐츠 제작(국악로 맵, 영상) 및 배포 - 국악로의 과거와 현재, 연간 행사, 주요관광지 등 관광자원 맵 제작 - 축제 및 홍보영상 제작을 통해 걷고싶고 오고싶은 곳으로 브랜딩 ※ 홍보물성별영향평가 가이드라인 반영, 홍보물 제작 시 홍보물성별영향평가 진행 ② 유관부서, 관광재단, 한국관광공사, 해외문화홍보원 등 대내외 협력기관과 연계하여 관광자원 콘텐츠 확산 ○ 해외 도시 홍보마케팅 연계 프로모션 참여 - 해외 도시 대상 서울브랜드 프로모션시 사전 축제 및 투어 정보 제공 - 관광상품을 연계한 해외기자단 프레스 투어 등 연계 추진 ○ 온?오프라인 콘텐츠를 동시에 개발하고, 대내외 온라인 매체 내 지속 배포 - 서울시 홈페이지, 서울시 외국어홈페이지(도시브랜드담당관) 활용 - 다국어(국?영?중) 제작을 통해 서울관광웹사이트?SNS를 통한 온라인 확산 ○ 기관보유 온라인 플랫폼, SNS매체, 프로그램 등 연계 상품 구성 - Visit Seoul SNS(페이스북·웨이보 등), Visit Seoul 뉴스웹진, 한류관광(hallyu.visitseoul.net) 등 온라인 플랫폼 활용 - 서울시 해외설명회, 교역전 및 박람회에 참가할 수 있도록 협조 요청 - 한국관광 홈페이지 구석구석 코리아, 해외문화홍보원 웹진 등 콘텐츠 공유 ○ 유관기관 및 해외 여행사 홍보채널 활용 마케팅 강화 - 한국여행업협회, 지역?업종별 관광협회 등 네트워크 활용(관광산업과) - 서울관광 홈페이지에 게재하여 개별관광객까지 정보제공 대상 확대 ③ 인바운드 여행사 관광 설명회 개최 ○ 서울 국악 관광에 대해 인바운드 여행사와 공동으로 상품개발 및 해외홍보 등을 통해 관광객 유치 모색 ○ 투어 및 축제정보를 적기에 제공하여 관광상품 개발 유도 - 같은 시기에 개최되고 개최장소가 인접해 있는 행사와 축제, 코스를 연계하여 상품개발 유도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투어프로그램 운영 시범 10 50 50 100 150 200 ?? 연차별 투자계획 세 부 사 업 명 투 자 계 획 (단위:백만원) 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국악활성화 사업 1,100 150 150 200 200 200 200 3-2-② (축 제)세계적 국악 관광축제 육성 신규 계절별「국악축제」를 통하여 우리 전통의 가치를 알리고 시민과 전세계인이 즐겨찾는 서울의 브랜드 축제로 육성 ?? 국악 축제 개최 현황 ○ 중 앙 : 궁중문화축전 ○ 지 방 : 영동난계국악축제, 전주세계 소리축제, 정선 아리랑제 등 ※ 전국 대표 국악 축제 현황 축제명 기간/장소 주요콘텐츠 및 특징 궁중문화축전 (문화재청) 매년 4월말 5대궁 및 종묘 · 프로그램 : 궁을 배경으로 경회루판타지, 달빛기행in축전, 종묘제례 야간공연 등 · 주요특성 : 서울 5대 궁(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경희궁) 및 종묘를 배경으로 쉽게볼 수 없는 궁중악과 미디어 조형물 퍼포먼스가 핵심 전주세계소리축제 (전라북도) 매년 10월 한국소리문화의전당 · 프로그램 : 개막 및 폐막, 어린이소리축제, 찾아가는 소리축제 등 · 주요특성 : 전통음악과 월드뮤직을 주제로한 프로그램기획, 국내외 아트스트 섭외를 통해 세계소리축제만의 아이덴티디 확립중 영동난계국악축제 (영동군) 매년 10월 난계사일원 · 프로그램 : 타북식(개막), 어가행렬, 종묘제례, 전통 및 퓨전 공연, 국악기 체험 등 · 주요특성 : 4일간 매일 주제(초지일관/송풍파랑/화이부동/여민동락)를 달리하여 국악공연 배치하여 볼거리제공 정선아리랑제 (강원도,정선군) 매년 10월 아리랑공원 · 프로그램 : 개막공연, 아리랑길놀이, 아리랑합창대회, · 주요특성 : 정선아리랑의 전승과 보존을 목적으로 1976년부터 시작, 아리랑을 주제로한 주제공연, 아리랑경연, 똇목제례 시연 등 【궁중문화축전】 【영동난계축제】 【정선아리랑제】 ?? 서울시 국악축제 개최 현황 - ’14~’17 국악한마당, ’14~대한민국 국악제 지원 등을 통해 꾸준히 국악 축제 개최 - 서울의 다양한 국악자원을 결집한 민관협력형 서울국악 축제 ’19년 최초 개최 ? 판소리, 민요, 정악 등 총 57개 프로그램 106개 국악팀 참여, 시민 6만여명 관람 ?? 연중 개최되는 국악축제를 세계적 관광축제로 육성 대표 관광자원화 추진, ’25년까지 국내외관광객 100만명 방문 ? 실내악축제(봄), 서울국악축제(여름), 서울뮤직페스티벌(K-music Day,가을), 시민국악축제(겨울) ○ 계절별 연중 이어지는 국악장르축제 개최(신규 3개) 계절 시기 축 제 명 장 소 주최 봄 4월 신규 실내악축제 국악당 서울시 5월 계속 돈화문로 국악대축제 돈화문로 종로구 여름 6월 확대 서울 국악 축제 서울광장 서울시 7월 계속 북촌 우리음악 축제 북촌일대 민간 가을 9월 확대 대한민국 국악제 돈화문로 민간 9월 신규 서울뮤직페스티벌(k-music Day) 광화문광장 서울시 겨울 11월 신규 시민국악 페스티벌 돈화문로 일대 서울시 ○ 대학생 국악전공자들과 함께하는 국악 실내악축제 신규 - 기간/장소 : 매년 4월 / 돈화문국악당 - 국악당 규모에 적합한 실내악 중 심의 레퍼토리 선보이는 음악 축제(국악전공 대학생과 협업, 재학생 성별에 기반해 대학생 성별 균형 섭외) ○ 돈화문로 국악대축제 - 개최시기 : 매년 5월 중/ 돈화문로 일대 - 돈화문로(국악로)의 지역자원과 거리 육성을 위한 주민화합 축제, 지역주민 기획 프로그램, 마켓 및 거리활성화 사업 진행 ○ 서울국악축제 : 국악대표 브랜드 축제로 육성 확대 - 개최시기 : 매년 6월 - 개최장소 : 서울남산국악당, 남산골한옥마을, 돈화문국악당, 정동극장, 북촌창우극장, 국악로, 서울민요박물관 등 - 2019년 9월 최초 개최하는 ?서울 국악 축제?의 규모를 대폭 확대하여 2020년이후 매년 6월 전통공연예술을 아우르는 대중성있는 국악축제로 개최 ※ 현대적인 젊은 감성을 반영하는 명칭으로 공모 예정 (예시) 서울 시나위, K-Music Festa, 서울풍류음악축제 등 ○ 북촌우리음악축제 - 개최시기 : 매년 6월~9월/북촌창우극장 - 북촌의 국악자원을 결합한 공간에서의 민간대표 국악음악축제로 협업강화를 통해 축제 시너지 제고 ○ 서울뮤직페스티벌(K-Music Day) 신규 - 개최시기 : 매년 9월 - 개최장소 : 광화문광장 - ‘글로벌 음악도시, 서울’을 대표하는 음악축제로 기간중 하루를 K-music(국악)을 테마로 개최, 국악을 통해 모든 세대가 즐기고 全 세계인이 보고 싶어하는 국제 뮤직위크로 육성 ○ 대한민국 국악제 - 개최시기 : 매년 9~10월 - 올해로 39회는 맞는 대표 국악인축제로 국악인의 자긍심 고취 및 국악 저변 확대 - 주최 : (사)한국국악협회, 후원 : 서울시, 한국문예위원회 등 ○ 시민국악페스티벌 신규 - 기간/장소 : ’20. 10월 중 / 국악로 일대 - 동호인들의 꿈의무대 제공을 통해 연주 수준 향상 및 국악 저변 확대 - 프로그램 : 국악 동호회들의 경연발표, 시민국악캠프, 국악 강사와 일일교습소, 시민 국악공연 등 ?? 계절별 국악축제 관광자원 콘텐츠 확산 ○ 국내외 인플루언서 및 해외 여행사 홍보채널 활용 마케팅 강화 - 해외언론, 국내외 인플루언서 등을 초청하여 국악투어+축제 프로모션 진행 - 해외 도시 홍보마케팅 프로모션 참여 및 해외기자단 프레스 투어 등 연계 추진 - 한국여행업협회, 지역?업종별 관광협회 등 네트워크 활용(관광산업과) - 해외 도시 대상 서울브랜드 프로모션시 사전 축제 및 투어 정보 제공 ○ 온?오프라인 콘텐츠를 동시에 개발하고, 대내외 온라인 매체 내 지속 배포 - 서울시 홈페이지, 서울시 외국어홈페이지(도시브랜드담당관) 활용 - 다국어(국?영?중) 제작을 통해 서울관광웹사이트?SNS를 통한 온라인 확산 ○ 기관보유 온라인 플랫폼, SNS매체, 프로그램 등 연계 상품 구성 - Visit Seoul SNS(페이스북·웨이보 등), Visit Seoul 뉴스웹진, 한류관광(hallyu.visitseoul.net) 등 온라인 플랫폼 활용 - 서울시 해외설명회, 교역전 및 박람회에 참가할 수 있도록 협조 요청 - 한국관광 홈페이지 구석구석 코리아, 해외문화홍보원 웹진 등 콘텐츠 공유 ?? 국제 관광박람회 및 여행사 초청 관광정책 설명회 등 참석 ○ 서울 국악 관광에 대해 인바운드 여행사와 공동으로 상품개발 및 해외홍보 등을 통해 관광객 유치 모색 ○ 투어 및 축제정보를 적기에 제공하여 관광상품 개발 유도 - 같은 시기에 개최되고 개최장소가 인접해 있는 행사와 축제, 코스를 연계하여 상품개발 유도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연도별 추진내용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국악축제 참가관광객(명) 200,000 300,000 400,000 500,000 800,000 1,000,000 ?? 연차별 투자계획 세 부 사 업 명 투 자 계 획 (단위:백만원) 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서울국악축제 2,730 330 400 400 500 500 600 서울뮤직페스티벌 11,400 1,500 1,500 2,000 2,000 2,200 2,200 국악로 특화거리 사업 430 30 40 80 80 100 100 국악실내악축제 510 20 50 100 100 120 120 3-2-③ (콘텐츠) 서울 대표 국악 상설공연 개발 신규 현대화된 공연수준에 맞추어 다양한 분야와의 결합과 실험을 통해 동시대성을 반영한 서울의 대표적 국악브랜드 공연 개발 ?? 현황 및 문제점 ○ 국내외 관광객 대상 서울의 인지도 높은 브랜드 공연 부재 - 서울시 산하 남산국악당, 돈화문국악당은 예술성이 높은 위주 공연 대다수 ○ 현대 공연 시장에 맞는 최첨단 공연시스템에 의한 공연물 필요 - 디지털미디어아트 등 최첨단 공연시스템 및 기술 활용 공연콘텐츠 ?? 추진방향 ○ 서울시의 고궁 등 유형자산과 국악의 무형자산이 결합된 현대적 공연작품 개발 및 상설공연으로 서울의 관광문화예술도시 국제적 인식 제고 ○ 양 국악당에서 양성된 기획자, 미디어제작자를 비롯해 창작단체 및 예술가를 활용한 선순환 제작 및 효율적 제작 시스템 구축 <일본 오사카 케렌> <북경 금면왕조> <중국 항저우 송성가무쇼> ?? 추진계획 ○ 전통 공연 예술 브랜드극 제작 위원회 설치(남산국악당) - 국악당 운영위원회 외에 전통공연예술브랜드극 제작 위원회 설치 - 뮤지컬, 무용, 영화 등 타 장르 전문기획 연출감독 구성 및 민간과의 협업 및 공동제작, 협찬 등을 통한 확대 등 ○ 현대와 장르를 넘나드는 기획으로 대표 프로그램으로 집중 개발 - 외국어 자막, 해설과 함께하는 공연 등 글로벌 공연 제작 및 운영 - MR(Mixed Reality), 홀로그램 맵핑, LED 조명등 융복합 멀티미디어 무대기술을 활용한 전통공연예술 Art&Technology 작품개발 ? 남산국악당의 ‘우수공연 공동기획’, ‘남산 컨템포러리 시즌’ 등 기존의 사업 활용, 외국인 대상 프로그램으로 전환 및 재창작 ? 정동극장의 ‘미소’, ‘난타’ 공연과 같이 넌버벌 퍼포먼스 위주의 공연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외국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공연 제작 ? 전통예술 장르에 태권도, 아크로바틱 등을 결합한 대중적, 역동적 공연작품(창작연희 레파토리 등) 개발 지원 <남산 컨템포러리 시즌> <돈화문 국악당 ‘적로’> <전통 타악기 퍼포먼스 ‘타고’>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서울브랜드 공연기획 자문위구성 공연개발 공연개발 공연운영 공연운영 공연운영 ?? 연차별 투자계획 세 부 사 업 명 투 자 계 획 (단위:백만원) 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서울브랜드 공연기획 960 10 150 200 200 200 200 3-2-④ (홍 보)국악 홍보?마케팅 강화 신규 재미없고 지루한 국악에서 친근하고 쉬운 국악으로 ‘서울만의 국악’ 홍보 마케팅 강화 ?? 필 요 성 ○ 쉬운 국악, 시민 국악, 서울만의 국악을 잘 알리기 위한 시민 인식개선 통합 홍보 필요 ?? 추진계획 지역 및 유관기관 기관(남산, 돈화문, 우리소리박물관) 보유매체 · 역사문화시설 ; 창덕궁, 종묘 · 인근상권 : 북촌, 익선동, 인사동 · 유관기관 : 서울관광재단, 한국관광공사 홈페이지, SNS(페이스북, 인스타), 기관 소식지 인적 네트워크 시 홍보매체 국악협회, 국악커뮤니티, 동호회 (ON)시홈페이지, SNS(페븍, 인스타 등), 온라인 방송 (OFF)서울사랑 시정종합지, 리플릿, 책자 예술인 공연자, 국악인, 전문가 등 민간포털 해 외 언론사협력 네이버, 카카오 등 외국어 홈페이지, SNS 신문, 잡지 기획기사, 방송 등 <국악플랜 2025 네트워크> ○ (브 랜 드) ‘시민의 국악, 내일의 국악도시 서울’ 브랜딩 - 국악 특성화 사업을 통해 국악 인식 확대 및 서울국악만의 브랜드 강화 - 국악로 맵 제작, 앱개발 등을 통해 젊은층에게 국악인식 개선 ○ (행 사) 국악당 행사 및 주요사업 시행 시 기자간담회, 쇼케이스 개최 - 주요 인사, 셀럽, 인플루언서, 국악명인 등 초청 쇼케이스 개최(성별균형초청) - 기관, 단체와의 네트워크 활용 및 지역자원간의 연계를 통해 거버넌스 구성 ○ (온 라 인) 국악 거점시설 간 연계 및 공식홈페이지 다국어 제작 등 접근성 강화 - 시설간 연계배너 설치, 프로그램 공동홍보, 도슨트 프로그램 APP 개발 - 기관간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SNS 활용 통합홍보 확대 ○ (소 통) 젊은층의 관심확대와 소통을 위한 인플루언서·블로거 등 협력 - 국악BJ, 청년 국악인들을 인플루언서로 활용(혐오, 성희롱 발언 금지) - 국악과 전통 콘텐츠에 대한 청년층의 관심 유도 ○ (문화상품개발) 국악당, 국악캐릭터 개발·활용, 대표 국악상품 개발·활용 - 국악·국악인·국악당 등 상징 캐릭터 개발, 연관상품화 통해 친근한 이미지 확산 - 한국관광공사, 서울관광재단 등과 협력하여 해외여행객 모객 및 프로그램 개발 ○ (플 랫 폼) 수요자-공급자 쌍방향 소통의 국악정보 플랫폼 개발 - 공연장정보, 공연·대관 일정, 동호인 등 국악 정보 포털 기능 - 서울국악당 설치와 더불어 연계 플랫폼 개발 및 운영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국악 홍보 확대 홍보확대 홍보확대 홍보확대 홍보확대 홍보확대 홍보확대 ?? 연차별 투자계획 세 부 사 업 명 투 자 계 획 (단위:백만원) 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국악 활성화 사업 1,060 110 150 150 200 200 250 Ⅵ 연차별 추진 및 투자 계획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정보

서울 국악플랜 2025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문화본부 문화예술과
문서번호 문화예술과-9748 생산일자 2020-07-06
공개구분 부분공개 보존기간 10년
작성자(전화번호) 김유빈 (02-2133-2570) 관리번호 D0000040317432
분류정보 문화관광 > 문화예술정책 > 문화예술정책수행 > 문화예술진흥 > 공연예술지원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