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2017년도 서울시 정부3.0 실행계획

문서번호 정보기획담당관-1768 결재일자 2017.2.2. 공개여부 부분공개(5) 방침번호 시 민 ★주무관 정보기획담당관 정보기획관 행정1부시장 한경희 이기완 최영훈 02/02 류경기 협 조 정보기획팀장 김순희 2017년도 서울시 정부3.0 실행계획 2017. 2. 정 보 기 획 관 (정보기획담당관) ☞ 해당사항이 있는 부분에 ‘ ■ ’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 비고 : 필요시 검토내용 기재) 구 분 사전 검토항목 점검 사항 검토완료 해당없음 비 고 시민 참여 ● 시민 의견 반영 및 사업 참여 방안을 검토하였습니까? 예) 청책토론회, 설문조사, 시민공모 등 □ ■ 전문가 자문 ● 관련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였습니까? 예) 자문위원회 개최, 타당성 검토, T/F 운영 등 □ ■ 갈 등 ● 이해 당사자 간 갈등발생 가능성을 검토하였습니까? 예) 주택가 공공주차장 조성, 택시 불법영업 단속 등 □ ■ 사회적 약자 배려 ●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를 검토하였습니까? 예) 여성, 아동, 장애인, 한부모 가정 등 □ ■ 선거법 ● 공직선거법에 저촉 여부를 검토하였습니까? 예) 홍보물 배포, 표창수여, 경품지급, 기부행위 등 □ ■ 안전 ● 시민 안전 위험요인과 안전대책을 검토하였습니까? 예) 장소·시설물 점검, 안전관리 인력확보 등 □ ■ 타 기관 ● 타 기관 협의·협력(타 자원 활용 등)을 하였습니까? 예) 중앙부처, 타 지자체, 투자·출연기관, 민간단체 등 ■ □ 홍 보 ● 사업홍보 방안을 검토하였습니까? 예) 보도자료, 기자 설명회, 현장 설명회 등 □ ■ 바른 우리말 ● 서울시 행정 순화어 목록을 확인하였습니까? 예) 별첨, 첨부 ⇒ 붙임, 가이드라인 ⇒ 지침 등 ■ □ 목 차 Ⅰ. 추진 개요 1 Ⅱ. 2016 주요 성과 6 Ⅲ. 2017 정책여건 및 추진방향 18 1. 정책여건 19 2. 추진목표 및 중점추진과제 20 Ⅳ. 주요과제 추진계획 22 1. 맞춤형 원스톱서비스 대폭 확대 23 2. 사회적 현안 해결 지원 강화 44 3. 민간부문 마중물 역할 활성화 63 4. 다수부처 분산정책 문제 해결 71 5. 정부3.0 변화관리 75 <붙임> 서울시 서비스정부 과제 78 Ⅰ. 추진 개요 2017 서울시 정부3.0 추진 개요 ‘정부3.0 패러다임’을 서울시 주요 정책과제 및 사업과 연계하여 추진동력을 강화함으로써 사람 중심, 시민이 행복한 서울시 구현 󰏚 정부3.0 개요 ○ 개 념 - 공공정보를 적극 개방·공유하고, 부처간 칸막이를 없애 소통·협력함으로써 국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일자리 창출과 창조경제를 지원하는 현 정부 국가운영 패러다임 - 추진기간 : ’13년 ~ ’17년(5개년) 󰏚 그간 추진경과 ○ 국정운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정부3.0 구상 발표(행자부) : ’12. 7. ○ 정부3.0 추진 기본계획 발표(행자부) : ’13. 6. ○ 서울시 열린시정 3.0 종합계획 수립 : ’13. 6.14. - 행자부 정부3.0 중점 추진과제와 서울시 대표과제를 연계하여 선정․추진 ○ 서울시 정부 3.0 실행계획 수립 추진(‘14~16년) : 매년 1월 󰏚 주요성과 ○ ‘13년 정부3.0 추진 유공 포상시 대통령 표창 수상 - 비전선포식‧실천결의대회 개최 및 데이터개방‧빅데이터 등 추진성과 인정 ○ ’14년 정부합동평가 결과 가등급 선정 - 정부3.0 추진기반 확충 및 활성화 지표 중점과제 분야 ○ ’15년 정부3.0 박람회(4.30~5.3.) 참가 - 빅데이터, 엠보팅 및 응답소 등 서울시 우수사례 홍보 ○ ‘16년 상․하반기 정부3.0 국민체험마당 서울시 전시관 운영 - 사물인터넷, 스마트불편신고 및 상권분석 등 디지털 관련정책 및 성과물 전시 󰏚 추진방향 ○ 정부3.0 발전방안과(’16.10, 행자부) 연계하여 서울시 정부3.0 주요과제 발굴·실행 ○ 추진전략 - 정부3.0 가치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성과 창출·확산으로 정부3.0 고도화 추진 - 효과적인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3.0 역할 제고 · 다수기관 협력 및 IoT, 빅데이터, 등 최신 ICT 기술을 활용한 융합전략 추진 󰏚 17년 서울시 정부3.0 중점 추진방안 ○ 맞춤형 원스톱 서비스 대폭 확대 - 시민의 특성‧유형별 요구에 따라 제공하는 맞춤형 서비스 대폭 확대 → 생애주기 등 맞춤서비스 확대, 복지사각지대 해소, One-Govermment 구현 ○ 사회적 현안 해결 지원 강화 - 안전·복지 등 주요현안의 해결에 빅데이터 분석, 기관간 협업, 최신 ICT 기술 활용, 민관협업 등 정부3.0 방식을 적극 적용 → 빅데이터 기반 신행정서비스 제공, IoT 기반 스마트행정 구현 등 ○ 민간부문 마중물 역할 활성화 - 민간부문의 자생적 활동 창출 및 활성화를 위해 데이터 개방, 클라우드 구축, 공공시설 유휴공간 지원 등 정부3.0의 촉매 기능 강화 → 클라우드 기반 지능정부 구현, 정보공개 및 공공데이터 민간활용 적극추진 ○ 다수부처 분산정책 문제 해결 - 다수기관과 관련되어 있는 사회 현안문제에 대해 정부3.0 방식 적용으로 시민편의 제고 및 효율적 사업 추진 → 기관협업으로 다문화·외국인 통합서비스 지원, 소비자피해구제 원스톱서비스 구축 󰏚 중점 추진과제 찾아가는 서비스 및 사각지대 해소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시청트럭 운영 ○복지현장상담소 개인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 ○다둥이 행복카드 ○서울시민카드 도입 ○심야콜버스 운영 빅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 행정구현 ○빅데이터 캠퍼스 ○교통예보서비스 심야전용버스 올빼미 IoT 기반 스마트행정 구현 ○사물인터넷 도시조성 ○교통신호․도로 등 스마트 교통안전시설 구축 클라우드 기반의 지능정부 구현 ○서버통합 및 가상 서버 클라우드 구축 ○지식공유시스템 정보공개 및 공공데이터 민간활용 추진 ○정보공개 지속 확대 ○열린데이터광장으로 데이터 개방 확대 다수부처 분산정책 문제 해결 ○다문화․외국인을 위한 글로벌센터 운영 ○소비자 피해구제 원스톱사이트 운영 정부3.0 추진강화를 위한 변화관리 ○내부성과평가 강화 ○수요자맞춤 홍보추진 ○맞춤형 직원교육으로 역량강화 및 성과창출 󰏚 향후 추진일정 ○ 열린정부 3.0 실행계획 수립 : ’17. 1. ○ 서울시 역점추진과제 선정 및 실적점검 : ’17. 2.~11. ※ ‘16년 교통예보시스템, 우리마을가계 상권분석 등 6건 선정 추진 ○ 서울시 정부3.0 대표브랜드 실적관리 : ’17. 8. ※ ‘16년 사물인터넷 도시조성, 찾아가는 주민센터 등 핵심성과 제출 ○ 정부3.0 국민디자인과제 발굴 및 추진 : ’17. 2.~10. ○ 정부3.0 국민체험마당 참여 : 연 2회(상‧하반기) ○ 서울시 정부3.0 우수사례 심사‧선정 : ’17. 9.~ 10. ○ 추진실적 평가 추진 : ’17. 11.~ 12. Ⅱ. 2016 주요 성과 2016 주요 성과 1. 서비스 정부 구현 □ 맞춤형 원스톱 서비스 대폭 확대 ○ 시민의 의견 및 문제해결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사업 등을 시민의 눈높이에서 설계한 다양한 맞춤형 원스톱서비스 추진 - 서울시민카드 하나로 시·구립 공공시설(약 430개소) 회원인증 및 맞춤정보 제공 - 출생신고와 함께 한번의 통합신청서 작성으로 다둥이 행복카드 발급 - 구인․구직자들에게 모바일을 통한 맞춤형 일자리 정보 실시간 제공 - 하나의 회원증으로 전국 공공도서관 이용이 가능한 책이음서비스 운영 - 문화행사 정보 통합관리를 통한 맞춤형 문화정보서비스 제공 - 모바일앱으로 언제, 어디서나, 목적지 주변 주차장을 실시간으로 이용할 수 있는 주차통합정보안내로 주차편의 서비스 제공 ○ 각종 서비스 정보안내-신청-결과까지 온라인 단일창구에서 처리 될수 있도록 부서별로 분산되어 있는 서비스를 하나로 연계․통합 - 시민생활 불편사항을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 앱으로 민원신고하고 처리결과를 받을 수 있는 ‘스마트불편신고’ 민원서비스 로딩화면 신고화면 위치선택 처리결과 - 부서/기능별로 산재해 있던 다수의 온라인민원시스템을 단일화한 통합형 민원관리시스템 ‘응답소’ 운영 □‘찾아가는 동주민센터’로 취약계층 복지 사각지대 해소 ○ 민원·행정 중심의 동주민센터를 복지·건강‧마을 거점으로 혁신 - 찾아가는 복지플래너 운영 : 어르신, 출생가정, 빈곤위기가정 대상 - 통합 복지서비스 제공 : 복지상담전문관, 동 단위 사례관리 도입 - 마을공동체 조성 : 소모임 발굴 등 통한 주민역량강화‧마을계획 - 주민자치위원회 활동 강화 및 동주민센터 공간개선 등 동 행정혁신 ○ ‘찾동’ 사업 시행 동주민센터 확대 운영 - 2015년 7월 : 13개 자치구 80개 동 - 2016년 7월 : 14개 자치구 203개 동(누적 : 18개 자치구 283개 동) ○ 사회복지․간호․마을 인력충원을 통한 찾아가는 복지실현 - 충원인력 : 총 1,941명 (2015년 : 606명, 2016년 : 1,335명) - 복지․건강 사각지대 발굴 등 현장방문 횟수 2.4배 증가 - 복지상담 건수(95%), 복지급여 신청(14%) 증가 - 빈곤위기가정 신규발굴 및 사례해결 증가 : 12,281가구 ○ 마을계획단 활동, 마을총회 개최 등을 통한 마을공동체 기반 마련 - 14개 동에서 총 1,058명의 마을계획단 구성(동 평균 75.6명) 복지플래너, 방문간호사의 방문상담(대방동) 극장으로 변신한 동주민센터(대림2동) 지하철 승강장 와이드칼라 광고 2. 유능한 정부 구현 □ 빅데이터 기반의 신 행정서비스 제공 ○ 도시문제 해결역량을 개발하고 대안 마련을 위한 빅데이터캠퍼스조성 및 운영 - 시민사회와 함께 해결할 도시문제 공동 발굴 및 민간영역 데이터 수집 - 과제분석 과정·결과 공유-교육 연계 강화 - 데이터 융합을 위한 지원 강화 및 사회 문제 분석 - 빅데이터 캠퍼스 공간 구성 및 운영(상암동 S플렉스센터 ‘16.7.14 오픈) ‧ 빅데이터분석실, 회의실, 세미나실 및 분석 지원실 등 ‧ 민‧관 빅데이터셋 4,599종,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348종 제공 ‧ 캠퍼스 이용자가 120건의 과제를 분석(‘17.1.1. 현재) ○ 데이터 기반 행정 지원을 위한 빅데이터플랫폼 분석환경 구축 - 빅데이터캠퍼스와 부서별 자체분석 활성화를 위한 통합데이터저장소 구축 - 현업부서 자체 분석 지원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활용시스템 기능강화 - 전 부서 사용자 확대에 따른 운영비용 절감을 위해 오픈소스 도입 □ 빅데이터 기반‘교통예보 구축’으로 교통혼잡 최소화 ○ ‘한발 앞선’ 교통 혼잡 예보 시행 ⇨ 교통수요 분산 및 혼잡 완화 - 한국교통연구원과 교통예측 알고리즘 공동 개발 협약(’14. 2월) - 도시고속도로 교통예보 상시 서비스 시행(’16. 1월, 157km) - 교통예측 신기술 사용 협약(’16.3월) - 시내도로(415km) 교통예측시스템 개발 및 정확성 검증(’16.4월~) - 16년 추석 교통예보서비스 시행(’16.9월) ○ 전국 지자체 최초 교통예보 시민 서비스 시행 - 도시고속도로 소통상황을 예측해 혼잡구간과 시간대를 사전에 알려주는 ‘교통예보제공’으로 시민이 빠르고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 - 언론보도 등 대시민 서비스로 시민들의 귀성․귀경 혼잡 최소화 ○ 교통수요를 분산으로 도로소통능력 증진 신기술 활용 - 실시간을 넘어, 혼잡구간 및 시간대를 미리 알려주는 교통예보 서비스 시행 - 빅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 교통정책수립으로 도로소통과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기반 조성 □ 민관협업‘서울사물인터넷 도시조성’으로 도시문제 해결 ○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서울의 도시문제 해결전략 수립 - ’15년 북촌 시범사업 → ’16년 이후 서울 전역으로 실증지역 연차별 확대 ○ ’15년 북촌 사물인터넷 실증사업 추진 - 각종 자문회의, IoT 서비스 체험 행사, 열린 포럼 등을 통한 시민참여‧ 시민주도 추진 [시민이 참여하고 시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북촌 사물인터넷 시범사업] - IoT 스타트업 및 글로벌 기업 등 30여개 민간기업 자발적 참여에 의한 민관협력 추진 [민간기업의 자발적 주도적 참여에 의한 민관협력 체계 구축] - 시에서 구축‧개방한 공공 WiFi, 콘텐츠 API를 토대로 민간기업 주도로 관광, 안전 분야 등 5개 분야 사물인터넷 서비스 18종 구축․운영 [민간기업의 자발적 주도적 참여에 의한 민관협력 체계 구축] ○ ’16년 서울 전역으로의 사물인터넷 확산 착수( ~ ’20년) - 주거분야(1개소), 관광‧상권 분야(5개소) 실증지역 신규 조성 ▸주거분야 : 관악산 벽산타운아파트 5단지(금천구) ▸관광‧상권 분야 : 홍대지역(마포구), 신촌‧이대지역(서대문구), 강남역지역(서초구), 청계천 일대 및 서울시티투어버스 운영 노선(광역) - 생활편의, 관광‧상권 활성화 등 20여종의 도시문제해결형 민간기업 서비스 발굴 및 실증 적용 □ 엠보팅 확대로 주민참여 활성화 및 정부3.0 확산 기여 ○ 엠보팅 개편을 통해 자치구 및 市교육청 등 타기관에 엠보팅 전면 확대로 지역현안과 교육정책에 대한 주민참여 활성화 및 정부3.0 확산 기여 ○ 엠보팅 이용활성화를 위한 시스템 개선 - 기관 관리자/운영자를 위한 투표관리 체계개선 및 시민 이용자를 위한 서비스 진입장벽 완화 ○ 자치구 및 학교 확대를 위한 기관 협업 추진 - 주민참여예산 사업선정 투표 등 쟁점투표 지속 시행 ․ 혁신교육지구 내 시범학교 선정을 통한 학생·학부모 의견수렴 도구로 활용 ․ 생활밀착형 지역안건 발굴을 통한 주민참여 확대 유도 ○ 참여활성화를 위한 운영방안 강구 - 중·장기적인 시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2020 성과지표 조정 추진 - 엠보팅 개편에 따른 가이드라인 등 정비 - 시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 마련 및 홍보·마케팅 추진 ※ 엠보팅 활용사례 ․ 자치구 : 주민대상 CCTV설치, 주차문제, 소음문제, 쓰레기 문제 등 지역현안 등 ․ 학 교 : 학생·학부모 대상 방과후교실, 수학여행, 학교급식 등 학교운영 등 ․ 마을-학교 연계 : 마을학교 방과후 교실, 운동장 주차장 개방 찬반 등 자치구 학교 마을-학교 연계 CCTV 설치확대 지역주민 의견수렴 학교급식 만족도 조사 마을학교 방과후 교실 프로그램 선정 3. 투명한 정부 구현 □ 공공데이터 개방 및 민간 활용 활성화 ○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사회적 활동 및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려는 시민 ‧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조사하고 제공가능한 데이터를 선별하여 개방 ○ 투명한 정부활동 및 정책 연구 활동을 하는 시민 ‧ OGP(오픈거버먼트파트너쉽)․민간 커뮤니티 참여를 통한 수요발굴 및 활용지원 ‧ 공동데이터 시각화 서비스 및 의미로 데이터 검색과 인터링킹을 가능하게 하는 LOD 서비스 오픈(`16.1) 및 제공확대(문화,관광 중심 210개) ○ 공공데이터 개방 확대 및 활용 수 증가 : 4,561개, 10억건 활용 - 공공데이터의 개방 확대(‘12년→921개, ’16년→4,561개) - 오픈데이터 실질 활용 수 증가(’12년→85백만, ’16년→10.5억) ‧ 열린데이터 광장 이용(‘12.5~’16.12) : 총 2,266백만건, 일 평균 134만건 ○ 다양한 서비스 제공 및 활용사례 발굴 - 시민이 직접 참여하고 만들어 보는 공공데이터 시각화 제작 서비스 확대 - 공공데이터 개방 소식 및 시민 활용사례 홍보(검색포털, 주간 메일링, Github, RSS) 구글, 네이버, 다음 등 검색포털 조회 서비스 주간 메일링 서비스 서울시 공공데이터 Github 공개 RSS(Rich Site Summary) 서비스 □ 정보공개서비스 품질 혁신 ○ 맞춤형 서비스 및 검색 강화를 통한 정보공개 품질 제고 - 로그인 사용자에서 전체 사용자로 맞춤형 서비스 확대 적용 - 사용자가 많이 검색하는 검색어 중심으로 연관검색어·유사어 사전 시범 구축 ○ 행정정보간 연계 및 안전한 정보공개 기반 강화 - 정보공개 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한 행정정보간 유기적 연계 강화 - 안전한 정보공개 기반 마련을 위해 개인정보 수준진단 등 보안강화 ○ 사전공표 정보의 지속적 대시민 알권리 확대 추진 - ’12년 : 64종, ’13년 : 270종 444개 업무, ’15년 : 327종 492개 업무, ’16년 : 353종 511개 업무 ○ 시민생활 밀착정보 발굴 - 시민 관심정보, 생활정보의 이해도 제고와 활용도를 위해 가공하여 제공하고, 주요 시책정보, 시민참여 사업 등 사전정보 지속적 확대 - 사전공표 정보의 현행화를 위해 실시간 모니터링 실시 및 대시민 홍보 □ 민관합동 열린정부파트너쉽(OGP) 실행계획 이행 추진 ○ 더욱 투명한 열린시정 구현을 위해 국제기구 OGP에 가입(‘16.4월) - 정부 투명성, 시민권한 증진 및 청렴성 제고를 위해 출범(‘11.9.)한 국제기구인 OGP(Open Government Partnership)의 15개 지방정부 회원으로 가입(‘16.4.) - OGP 지향 가치가 국정기조인‘정부3.0’과 부합하고, ‘혁신, 협치, 소통’이라는 시정기조와 부합함에 따라, OGP에 가입 결정 ※ 열린정부 파트너쉽(OGP)은 정부 투명성 증진, 시민권한 강화, 청렴성 제고, 신기술 도입을 목표로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국가들의 다자간 협력체 (70개국 가입, OGP본부: 미국 워싱톤, 샌프란시스코) ○ OGP와 협업을 통해 국제사회와 정부3.0 및 서울의 열린시정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멘토역할 수행 - 발굴된 우수사례는 OGP 국제협력채널과 WeGO 등 서울시 자체 협력채널을 활용하여 국제사회와 공유, 글로벌 멘토 역할 수행 <서울시 OGP 실행계획 4개 이행과제> 󰋻 시민참여 확대 및 서울형 플랫폼 정부 구현을 위해 4개 이행과제 마련 - (과제1) 시민사회와 협치를 통한 데이터기반의 도시문제 해결과제 분석 - (과제2) 시민과의 신속한 시정정보 공유 및 참여를 통한 책임성 강화 - (과제3) 시민과 함께 만드는 도시 생활 지도(Urban-Life Map) - (과제4) 더 투명한 회의정보 공개 ○ OGP 협의체 구성·운영을 통한 시민사회 인지도 제고 및 행정능률 향상 - 협의체에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여 실행계획 수립이행의 모든 과정에 참여하여 시민의 눈높이에 맞는 계획 수립 도모 - 시민과 함께 계획을 수립하고 이행함에 따라, 시민 편익제고 및 행정능률 향상 극대화 4. 일하는 방식 혁신 및 변화관리 □ 조직문화 개선으로 직원소통 및 행복한 일터 조성 ○ 일하는 방식 개선 - 메모보고 및 온라인 소통을 통한 비대면 보고 활성화 - 단기간내 추진 가능한 지시사항은 메모보고로 시달 - 표준화된 보고서 지침을 업그레이드하고 사용 의무화 ○ 일과 가정의 양립 - 장기재직휴가제, 유연근무제 활성화 등 - 획일화된 공무원의 근무형태를 개인·업무·기관별 특성에 맞게 다양화 함으로써 공직생산성 향상 및 직원 사기앙양 ○ 청사환경 개선 : 자투리 공간을 활용한 직원 창조적 휴게 공간 조성 □ 시민이 참여하는 다양한 현장소통으로 민관협치 활성화 ○정책박람회, 천만상상오아시스 등을 운영하여 시민, 시민단체, 전문가의 다양한 현장의 목소리를 서울시 정책에 반영 - 정책참여 활성화를 위한 대상별 온라인 제안시스템 상시 운영 ․ 천만상상오아시스(oasis.seoul.go.kr) : 약 16만 5천 여건 아이디어 접수, 총 871건 채택 - 정책주체로 참여할 수 있는 제안창구의 정례화 추진 ․ 정책박람회(‘광장은 시장실’, ‘여기는 시민시장실’ 등), 제안의 날 광장은 시장실 운영으로 아이디어 접수․상담 : 총 504건 접수 / 46건 채택 - 우수제안 공유 발표회 실시 등 시민제안 활성화 기여 ․ 정책박람회(www.seoulideaexpo.org) 연계 운영 □ 정부3.0 핵심가치 내재화 및 역량강화를 위한 맞춤형 직원교육 추진 ○ 정부3.0을 시정에 반영하고 전략계획 수립울 위한 맞춤형 자체교육 추진 ○ 집합교육(‘정부3.0 생활화 추진의 이해 등) : 3회 354명 수료 ○ 사이버교육(지방자치단체 정부3.0의 이해 등) : 상시운영, 4.806명 수료 □ 적극 홍보로 정부3.0 체감도 증진 ○ ‘공공데이터 개방’, ‘엠보팅을 통한 주민참여 활성화’ 및 ‘사물인터넷 도시조성’ 등 서울시 열린정부3.0 실행과제 추진사업에 대한 적극 홍보로 정부3.0 인지도 강화 및 시민참여 유도 ○ ‘시민밀착형 청책토론회 운영’, ‘디지털닥터단 운영’, 등 정책 전과정에서 민관협치 활성화 ○ 정부3.0국민체험마당 개최시 홈페이지, 청사외벽전광판 및 정류소 등 다중이용시설을 활용하여 온․오프라인 집중홍보 및 표출 Ⅲ. 정책여건 및 추진방향 1. 2017년 정책여건 □ 시민체감도 높은 성과창출로 정부3.0 고도화 추진 ○ 정부3.0 성과와 추진기반을 바탕으로 시민체감형 정책에 집중하여 성과창출 극대화 정부3.0 기반구축 ⇨ 정부3.0 내재화 ⇨ 정부3.0 생활화 ⇨ 정부3.0 지속발전 (2013년) (2014~15년) (2016년) (2017~) - 부문별 실행과제 완결 및 핵심분야 제도화 □ 효과적인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위한 정부3.0 역할 증대 ○ 다수기관 협력 및 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한 융합전략 필요 □ 열린정부(Open Goverment)에 대한 대내외적 요청 ○ 시정의 투명성·접근성, 시민참여확대 등 열린 정부 구현은 전세계적 추세 □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행정서비스에 대한 기대 증가 ○ 저출산·고령화 사회에 따른 시민들의 맞춤형 행정서비스 요구 증가 □ 정부3.0 가치를 시정목표와 연계하여 핵심과제 추진 ○ 정부3.0 실행과제 추진․집중관리로 성과창출 극대화 및 시민체감도 제고 ○ 개방·공유·소통·협력의 정부3.0 핵심가치를 바탕으로 지속 추진 - 행정정보 공개 및 공공데이터 개방 지속 확대 - 빅데이터 기반 정책 수립 및 시민 참여 및 소통 강화 - 시민 중심 개인화·최적화 맞춤형 서비스 대폭 확대 ⇨ 정부3.0 패러다임을 우리시의 성과, 혁신, 협치, 협력 가치로 확대 승화한 『서울시 정부3.0』지속 추진 2. 2017년 추진목표 및 중점추진과제 사람이 중심인 서울, 시민이 행복한 서울 추진전략 ■ 부문별 정부3.0 고도화를 위한 다양한 성과창출 및 확산 ■ 다수기관 협력 및 최신기술 활용으로 효과적인 사회문제 해결 추진방안 중점 추진 과제 맞춤형 원스톱 서비스 대폭 확대 ▶ 생애주기 등 맞춤형 서비스 지속 확대 ▶ 찾아가는 서비스로 복지 사각지대 해소 ▶ 행정서비스 One-Govermment 구현 사회적 현안 해결 지원 강화 ▶ 빅데이터 기반의 신 행정서비스 제공 ▶ 협업과 소통을 통한 정부정책역량 제고 ▶ IoT 기반 스마트 행정 구현 민간부문 마중물 역할 활성화 ▶ 클라우드 기반의 지능정부 구현 ▶ 정보공개 품질혁신 및 공공데이터 민간활용 지원 ▶ 공공시설 유휴공간 활용으로 공유경제 지원 다수부처 분산정책 문제 해결 ▶ 기관협업으로 다문화․외국인 통합서비스 지원 ▶ 소비자 피해구제 원스톱서비스 구축 정부3.0 변화관리 ▶ 정부3.0 추진을 위한 기관내부 성과평가 강화 ▶핵심가치를 내재한 다양한 홍보 및 맞춤교육 추진 Ⅳ. 주요과제 추진계획 1. 맞춤형 원스톱 서비스 대폭 확대 1 생애주기 등 맞춤형 서비스 지속 확대 1-1. 맞춤형 서비스 추진 방향 및 전략 ○ 추진 방향 - 모든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추진하되, 市 핵심사업을 대표과제로 선정 - 전 부서의 정책고객(개인/기업/취약계층)별 맞춤형으로 추진 강화 - 새로운 정보기술 등을 활용하여 맞춤형 서비스 고도화 《 서비스 제공의 현재와 미래 》 구 분 현 재(AS-IS) 미 래(TO-BE) 중심성 공급자 중심 수요자 중심 고객참여 소극적·형식적 참여 적극적·주도적 참여 대 상 일반시민(General) 개인별·유형별(Specific) 제공방식 사후적·수동적 선제적·능동적 접근성 여러 곳 방문 one-stop, 1회방문 통합성 단편적·분절적 협업·연계·통합 서비스범위 사각지대 간과 사각지대 해소 ○ 추진 전략 - 열린정부3.0 기반의 일하는 방식 개선 및 정보통신기술(ICT) 적극 활용으로 맞춤형 서비스 지속 창출 전부서(기관) ⇒ 추진방식 ⇒ 맞춤형서비스대상 ◦모든 사업 맞춤형化 ◦정책고객별 특화된 서비스 구현 ◦일하는 방식 개선 ◦선제적, 원스톱 ◦새로운 ICT 활용 ◦(대상1)개인 ◦(대상2)기업 ◦(대상3)취약계층 등 - 부분적 과제중심에서 종합적 관리체계로 전환하여 전사적 추진 1-2. 생애주기 맞춤서비스 지속 추진 □ 다둥이 행복카드 사업추진 ○ 다자녀 가정에 다양한 경제적 혜택 및 문화생활을 지원하고 서울시․기업․시민이 함께하는 가족친화적 출산양육 환경 조성 ※ 서울시 합계출산율 1.001명(2015년 기준)으로 17개 시·도 중 최저 수준 ○ 행복출산 원스톱서비스 통합처리 : 출생신고와 함께 한 번의 통합신청서 작성으로 카드발급 처리 ○ 발급대상 : 서울시 거주 2자녀 이상(막내가 만 13세 이하) 가정 ○ 주요 사업 내용 - 서 울 시 : 참여업체 발굴, 신분확인용 발급 및 홍보 - 우리은행 : 신용, 체크 발급 및 우대혜택 제공 - 참여업체 : 다둥이 행복카드를 가진 가족에게 할인 및 우대혜택 제공 ※ 카드발급 실적 : 50,504매(총 누계 396,167매) ․ 신용카드 200,706매, 체크카드 30,049매, 신분확인용카드 165,412매 ○ 다둥이 행복카드 사업 추진 - 총 4,308개 협력업체에서 할인, 추가 서비스 제공 ․ 협력업체 육아용품(5~30%), 문화시설 및 놀이시설(10~30%), 외식(10~20%) ․ 서울상상나라무료입장, 서울시공영주차장, 서울영어마을 및 서울시청소년수련관, 한강시민공원이용료(주차장, 수영장, 눈썰매장 등) 할인 등 출산/ 육아 문화/ 체육 마트/식품 청소년 시설 생활/ 금융 교육 의료/ 건강 서점/ 문구 주차장 외식 업체 도서관 기타 223 219 275 52 624 246 508 71 830 1065 48 147 □ 서울일자리플러스센터의 맞춤형 일자리 정보 제공 강화 ○ 일자리 사업과 연계하여 구직자 통합․이력관리 및 일자리성과 통합관리로 일자리 맞춤형 서비스 제공 ○ 뉴딜일자리 사업 등 참여자 맞춤형 취업지원 등 정보제공 기능 보완 ○ 중소기업에 대한 채용정보와 연계하여 상세정보 제공 - 기업신용정보 제공기관의 기업DB를 활용하여 기업 상세정보 제공 - 채용정보, 기업 상세정보, 스토리텔링 취재정보 등 통합 제공 사업내용 '15년 '16년 ‘17년 세부과제명 서울일자리 모바일앱 보급 일자리정보 통합 플랫폼 구축 서울일자리플러스센터 전산망 운영 □ 우리마을 가게상권 분석서비스 ○ 자영업을 영위하는 중소상공인 또는 창업예정자에게 유동인구, 매출액 및 창업위험지수 등 골목상권분석 정보 제공 ○ 사업추진 배경 - 우리마을 가게상권(골목상권) 내 서민 자영업자 보호·육성 필요 - 밀집 포화상태의 생계형 자영업 시장에 대한 상권 정보 제공 필요 - 시장상황 변화에 적절한 대응으로 기존 골목상권의 안정과 활성화 필요 ○ 주요 추진 내용 - 민관협력 등으로 확보한 매출데이터 등 10종 32개의 빅데이터 융합․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서울 전역의 골목상권분석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 서울 전역에 골목상권 영역 구축 – 1,008개 ․ 분석대상 : 외식업 등 생활밀착형 가게 43개 업종 - 자영업자의 창업위험도 정보를 사전에 제공하는 상권지수 개발 - 골목상권에 특화된 빅데이터셋 구축 ․ 자영업자에 가장 필요한 내 가게 앞 도로라인의 유동인구 정보 제공 도로 포인트별 유동인구 도로 라인별 유동인구 ․ 골목상권 업종별 매출액 추정 정확도 향상 * 카드소비데이터 시장 점유율 약 44% 확보로 매출추정의 정확도 향상 ․ 골목상권의 특성과 수요 대비 공급의 적절성을 반영한 지수/지표 모델 개발로 창업 위험도 정보 제공 □ 구강관리 플랫폼 구축 ○ 학생 및 아동의 구강건강 불평등 해소 및 구강의료 빅데이터 활용을 통한 구강보건산업 발전을 위해 구강관리 플랫폼 구축 ○ 서비스 대상 - 학생 치과주치의 사업에 참여하는 초등학교 4학년 34,000명 - 25개 자치구 만 18세 미만 지역아동센터 및 국민기초생활수급가구 아동 11,000명 ○ 주요 추진 내용 - 취약계층 아동의 구강건강증진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응용기술을 통해 치과주치의 사업 대상자를 통합관리 및 연계하는 플랫폼 개발 ․취약계층 아동의 의료정보 및 개인구강행동에 따라 맞춤형 구강교육 서비스 제공 ○ 구강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구강관리시스템 개발 - 통합관리 및 연계 플랫폼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 바탕으로 구강질환 관련 진단 가이드 및 진료보조가이드 프로그램 개발 ※ 구강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구강관리 시스템 구강의료 데이터수집 맞춤형 구강관리 시스템 구강질환 판단 알고리즘 서비스 제공 ① 최신 치의학 데이터 전문구강 DB 기반의 사전진단평가 구강질환 위험도평가 높음 예방진료 추천 및 지역병원 연계 · 홈메우기, 불소이용, 치석제거 · 자동예약 및 치과정보제공 ② 치과주치의사업 데이터 구강진료 DB기반의 구강진료보조 가이드 보통 맞춤형 예방교육 프로그램 ·구강위생관리 행동평가 ·구강위생관리 방법추천 ③ 구강위생 행동데이터 개인구강위생 행동분석 DB 낮음 □ 태교숲, 실버숲, 생애주기별 녹색복지 실현 ○ 1인 가구증가, 고령화 사회 진입 등 사회구조 변화와 건강복지 서비스 수요 증가로 공원녹지에서 휴식을 넘어 건강증진과 스트레스 완화 시민 수요 증가시대 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녹색복지 구현 필요 ○ 태교숲 서비스 - 대상 : 비교적 임신 안정기에 들어선 16주 이상의 임산부, 남편 등 - 숲 체험을 통한 태아와 산모와의 상호교감 기여 - 산모의 우울감과 불안감 완화로 정서안정에 도움 ※ 숲 속 음이온은 자율신경을 조절하고 혈액순환을 도와 산모의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함 ○ 실버숲 서비스 - 대상 : 만 65세 이상의 노인 - 숲에서의 다양한 활동 등을 통한 노년기 우울증, 운동능력 개선 - 심신안정 및 소외감 해소 ○ 25개 자치구 공원내 태교숲, 실버숲 대상지 선정 및 운영(‘17.1~11) 1-3. 주요분야별 맞춤형 원스톱 서비스 제공 □ 한 장으로 다양한 혜택을 누리는‘서울시민카드’도입 ○ 여러 개의 회원카드를 소지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고, 이용을 원하는 공공시설의 프로그램 등 운영정보를 하나의 카드로 언제 어디서나 통합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 ○ 회원카드를 발급·운영하는 공공시설 약 430개소, 회원 4,332천명 - 시립시설 : 29개소(서울도서관 등), 회원 873천명 - 구립시설 : 403개소(구민체육센터 등), 회원 3,459천명 ○ 서울시민카드 통합관리 플랫폼 구축·운영 추진 - 공공시설 회원카드를 모바일카드로 발급(모바일카드로 회원인증) - 공공시설 정보제공(프로그램 등 운영정보, 도서대출 등 개별 이용정보) - 회원 가입비 납부 등 결제기능 제공 - 공공시설이용 데이터를 활용한 시민의 행정수요 발굴 □ 책이음서비스 서울지역센터 운영 ○ 책이음서비스 서울지역센터 구축․운영으로 하나의 회원증으로 전국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맞춤형 서비스 ○ 서비스 대상 - 서울도서관을 포함하여 책이음서비스를 도입한 관내 참여 도서관에 방문하여 대출·반납 등 도서관 서비스 이용자(타 시·도 주민 모두 해당 ○ 주요 추진 내용 - 구축된 서울지역센터의 안정적 운영 및 신규 참여도서관에 대한 연계지원 ※ 이기종 도서프로그램 연계로 통합센터(국립중앙도서관)과의 긴밀한 협조로 각종패치 및 안정적 운영추진 - 서울지역센터의 안정적 운영 ․ DB보안솔루션 및 연계모듈 패치를 위한 지속적인 유지관리 - 연차별 서울지역 참여도서관 서비스 도입 지원 사업내용 '15년 '16년∼'17년 지역도서관 참여 지원 서울지역센터 구축 이기종 도서프로그램 연계 연차별 참여도서관 시스템 구축지원 및 운영자 교육 □ 시민생활 맞춤형 콘텐츠 서비스 활성화 ○ 서울시 분야별 홈페이지 개선 및 맞춤서비스 운영 - 간결한 정보제공과 이용자 편의성 향상을 위한 분야별 메인화면 개선 - 다양한 정보유형을 효과적으로 표출하기 위한 템플릿 개발 - 소셜댓글(트위터, 페이스북, 다음카카오 등), 스크랩(블로그, 메일 등) 등 시민들이 많이 사용하는 SNS 연동 서비스 운영 ○ 서울시 분야별 홈페이지 개인화 추천서비스 운영 - 홈페이지 분야별 사용자 로그분석을 통해 연관콘텐츠, 개인화콘텐츠, 인기콘텐츠 등 추천서비스 제공 등으로 서비스 질 향상 ○ 모바일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 강화 - 접근성 편의성이 강화된 사용자 맞춤 모바일 서비스 제공 - 모바일 신청 확대 및 지하철도착정보 등 자주 찾는 서비스 운영 - 생활편의 및 시정정보 등 이용자가 선택한 관심분야의 소식을 모바일서울앱의 푸쉬 알림으로 다양한 디바이스에 최적화하여 서비스 제공 □ 여성에게 필요한 가이드 정보 제공 ○ 서울시 여성정책정보를 손쉽게 얻고 활용할 수 있도록 종합안내 가이드북 제작 ○ 수요대상인 서울여성 및 시민이 손쉽게 얻고 활용 할 수 있도록 접점에 배포 : 동주민센터, 도서관, 여성관련 시설 등에 배포 ※ 다문화 여성을 위한 영문판 배포(‘16년 하반기) 및 중국어판 제작 예정 ○ 서울여성의 서울시 여성정책 정보력 향상을 위하여 여성가이드북을 제작하여 여성관련 시설 등에 배포 및 모바일 앱 개발 - 직업, 육아, 주거, 여가, 건강, 성폭력, 문화, 여성단체 등 기존 여성관련 정보를 통합, 스토리텔링 방식을 통해 시민흥미 유도 - 콘텐츠를 주제별로 범주화하여 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구성 함께 지키는 안전 함께 만드는 일자리 함께 나누는 돌봄 함께 꾸리는 가정 함께 즐기는 공동체 ◦안심귀가 ◦안심택배 ◦성희롱ㆍ성폭력 ◦일자리 지원 ◦일ㆍ가정양립 ◦이어쉼(쉼터) ◦아이 돌봄 ◦출산지원 ◦가정건강 ◦한부모 ◦다문화 ◦여성단체 ◦관련 시설 ◦여성ㆍ건강카페 □ 장애인 중심의 관광 편의 정보’제공 강화 ○ 장애인이 일반 관광정보와 장애인 편의시설 정보를 한눈에 쉽게 볼 수 있게 연계한 통합 서비스 제공 - 기존 장애인종합홈페이지에 관광정보를 컨텐츠로 재정립 - 서울시 산하 및 민간 포털 등에서 기 구축한 장애인관련 서비스를 조사하여 링크 또는 삽입하여 서비스 질 향상(한국관광공사의 “무장애여행” 등) ○ 시민 참여형으로 구축, 이용자 중심의 콘텐츠 생산 및 현행화 추진 □ 문화행사정보 통합관리릍 통한 맞춤형 문화정보 제공 개선 ○ 각 기관별로 분산·홍보되고 있는 각종 전시, 공연, 문화강좌 등 문화행사정보를 실시간 등록 및 수집이 가능토록 관련 통합관리시스템(서울문화포털사이트) 운영을 통해 맞춤형 문화정보 제공 ○ 주요 추진내용 - 서울문화포털 홈페이지 리뉴얼 및 기능개선 개발 (‘17.상반기) ․ 사용자 편의성 및 활용성 향상을 위한 홈페이지 리뉴얼 개발 ․ 축제정보 웹서비스 시행으로 자치구별 축제자료 관리 및 시민 홍보 - 서울문화포털 홈페이지 안정적 운영 및 관리 (‘17. 연중) ․ 25개 자치구 문화행사정보 등록 모니터링 및 실적 관리 - 개인 맞춤형 문화행사정보 검색서비스 및 월별문화행사정보 제공 - 서울문화포털 홈페이지 활성화를 위한 홍보 (‘17. 상반기) ․ 민간 문화시설(510개소) 문화포털 행사정보 등록 적극 홍보 □ 계약정보 통합 공개를 통한 계약 투명성 확보 ○ 계약업무의 체계적인 관리 및 계약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필요 ○ 계약정보를 활용하는 서울시 공무원, 일반시민 및 기업 대상으로 제공 ○ 추진목적 : 공개와 소통으로 효율적이고 투명한 서울시정 구현 ○ 주요실적 및 추진내용 - ‘서울계약마당’ 홈페이지 오픈 : ‘16.2월 ․ 본청/사업소/25개 자치구/투자출연기관의 발주계획, 입찰·개찰정보, 계약정보 통합 공개 ․ 실적증명 발급 오픈 : ‘16.7월(용역, 공사, 물품 등 3종) - 공공조달 투명성 확대를 위한 계약정보 공개 확대 ․ 홈페이지, 클린재정시스템 등 개별 공개되는 계약정보 통합 공개 - 계약정보에 대한 체계적인 통합관리로 업무 효율성 극대화 ․ 본청/사업소/자치구/투자출연기관 계약업무 정보 통합 관리 - 쌍방향 소통에 기반한 희망기업 제품구매 활성화 체계 정립 ․ 장애인기업, 여성기업 등 우수제품을 생산·판매하는 희망기업 정보 제공 □ 서울시 주차정보 통합안내서비스 개선 ○ 언제, 어디서나 이용 가능한 주차장 위치 및 여유 주차공간을 찾을 수 있는 「서울 주차정보 통합안내시스템」을 구축하여 대시민 서비스 제공 ○ 앱 & 웹서비스를 통한 주차장 이용 정보 대시민 서비스 제공으로 주차편의 및 이용 효율성 제고 - 도심 공영주차장에 우선적으로 실시간 주차정보 시스템 설치 - 실시간 주차정보 생성 주차장을 통합주차정보안내시스템을 통해 공공에서 민간으로 연계·확대 ○ 주차장 기본정보 및 실시간 주차가능 정보(공영주차장) 제공 - 기본정보(위치, 요금, 운영시간 등) : 공‧민영 3,037개소 355,727면 - 실시간 주차가능 정보┍ 공영 : 135개소 16,311면 ┗ 민영(부설) : 13개소 6,963면 ○ 주차정보통합안내시스템 확대 운영 - 공영주차장 실시간 주차정보 제공 확대 실시(’16~) - 민간주차장 실시간 주차정보 연계 확대(‘17~) ․대규모 개발 및 시설에 대한 교통영향평가시 교통개선대책에 반영 ․민-관 협력을 통한 실시간 주차정보 제공 확대 사업내용 '13년∼'14년 '15년 '16년∼'17년 주차정보통합 안내시스템 구축 및 확대운영 주차정보통합안내시스템 구축 및 운영 주차정보통합안내 시스템 운영 주차정보통합안내시스템 확대운영 도심 공영주차장 주차정보 시스템 설치(20개소) 민간주차장 실시간 주차정보 연계(40개소) □ 시각장애인 원격생활안전서비스 ○ 시각장애인의 일상활동 및 외출에 따른 위험방지 및 사고예방을 위한 정보 취약계층 맞춤형 서비스 제공 ○ 서비스 대상 : 서울시 거주 시각장애인 및 장애인 가족 ○ 주요 추진 내용 - 유비쿼터스 기반으로 한 시각장애인의 주도의 자립생활 지원 - 시각장애인의 일상활동 및 외출에 따른 위험방지 및 사고예방 기여 - 활동지원 및 서비스 환경 구현을 통한 사회참여 기회확대 및 역량 강화 ○ 추진 일정 - 엔젤아이즈앱 시스템 유지관리 및 기능개선 : ’17. 1. ~ ’17. 12. - 참여 시각장애인 분기별 시스템 교육 : ’17년 분기별(예정) 사업내용 '15년 '16년 '17년 시각장애인 원격생활안전서비스 엔젤아이즈앱 구축 등  시각장애인 모집·교육  120번수화센터 등 도우미 활동  시스템의 안정화  공공근로, 120번수화센터 등 도우미활동  시스템 유지보수 및 기능개선  분기별 시스템 교육 □ 마을세무사 운영 ○ 세금관련 고민으로 전문가 의견이 필요한 시민 및 각종 사업추진시 세금 관련 자문이 필요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전문성과 열의를 갖춘 세무전문가 상담으로 맞춤서비스 실시 ○ 운영체계 마을세무사 실무협의회 서 울 시 마을세무사 위촉 및 전반적 운영관리, 제도홍보 자 치 구 (동주민센터) 제도홍보 및 안내, 상담공간 제공 마을세무사 활동지원 및 실적관리 한국세무사고시회 마을세무사 추천 및 활동지원 서울시와 마을세무사 연계 󰋮 마을세무사 운영·관리 󰋮 의견수렴 및 제도개선 마을세무사 세무상담, 불복청구 지원 등 ○ 마을세무사 사업세부 내용 서울시 마을세무사 (서울시,한국세무사고시회, 마을세무사, 자치구 참여) 불복청구 지원 시 위탁기관 등 자문 세무상담 · 1천만원 미만 지방세 · 지방세·국세 · 1차 비대면, 2차 방문 · 세무·회계 자문 - 구성 : 25개구 208개동 213명(’16) ⇨ 241개동 246명(’17) - 주요활동 : ①세무상담 ②이의신청·심사청구 등 불복청구 지원 ③시 위탁기관 세무상담 ④(필요시) 시 세정분야 참여 ○ 주요 정책성과 - 전국 지자체 최초 세정분야 민관협력 시행(’15.1.1 ~) ․ 동 단위의 전담 마을세무사 지정으로 주민밀착형 생활행정 구현 ․ 영세사업자 지원, 현안문제 지원 등으로 마을세무사 활동영역 확대 ․ 신속·편리한 상담 및 단계별 지원체계로 시민이용 및 호응 지속 증가 ‣ 1차(전화 등) → 2차(방문) → 불복청구(이의신청 등)까지 단계적 지원 < 상담실적(’15.1~’16.11월)> - 전 자치구로 확대 및 수요층별 지원 강화, ‘2기 마을세무사’ 출범(’15.11.13) ․ 전 자치구 대상 대시민 세무상담서비스 체계 구축 ‣ 20개구 95개동 143명(1기) → 25개구 208개동 213명(2기) ․ 상담수요가 집중되어 있는 수요층(지역)대상 맞춤형 상담체계 신설 ‣ 전통시장 24개소, 8개 자치구 소상공인회를 위한 마을세무사 지정(32명) - 마을세무사 제도 전국 확대 시행(’16.6. ~, 행자부) ․ 전국 1,177명 마을세무사 무료세무상담 서비스 실시 □ 심야 콜버스 운행 ○ 추진 배경 - 심야시간 택시이용 수요에 비해 택시공급이 현저히 부족하여 고질적으로 승차거부와 골라태우기가 발생하여 시민불편 가중 -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개정으로 국토교통부가 고시한 운송사업자 및 시간대에 심야콜승합 운영이 가능해 짐 - 고질적 승차거부, 골라태우기로 시민들의 택시에 대한 이미지 훼손 ○ 서비스 대상 - 회식, 모임 등이 많은 지역내에서 귀가하려는 직장인 및 학생 - 심야시간 유동인구가 많은 상업지역내의 야간근로자, 아르바이트생, 대리운전자의 이동수단 등 ○ 주요 추진 내용 - 심야시간 교통사각지대 해소 및 택시승차난 해소를 위한 대체교통수단 확보 - 버스와 택시의 중간형태의 서비스 제공으로 심야 시민이동편의 제고 ․경로를 탄력적으로 변경하며 목적지 및 경로가 비슷한 승객을 앱으로 실시간으로 모집하여 승객을 운송해 주는 서비스 ‣ 노선이 고정되어 많은 승객을 수송하는 버스와 승객의 요구에 따라 정해진 노선이 없이 소수의 승객을 수송하는 택시의 중간 서비스 - 심야콜승합(‘심야 콜버스’) 도입 및 운영 ․운행사업자 : 법인택시회사 18개사 ․운행대수 : 17대 ․요금수준 : 중형택시 심야할증요금의 70~80% 수준 ․운행지역 : 13개 자치구 ‣ 강남·서초·송파·용산·성동·광진·관악·동작·강동·마포·영등포·동대문·중랑 - 이용방법 ①콜버스 앱 설치 → ② 신용카드 등록 → ③앱상 호출 → ④모바일 선결제 → ⑤출발지·목적지 인근 버스정류소에서 승하차 사업내용 '13년∼'14년 '15년 '16년∼'17년 심야 콜승합 도입 및 운영 - - ·서울시 지침마련(’16.6) ·전국최초 도입 및 운영(’16.7∼) ·운행대수 및 서비스지역 확대(16.10∼) □ 공공자전거(따릉이) 운영 ○ 생활 교통수단으로 자전거 이용활성화 및 대중교통과의 연계를 통한 생활권 이동서비스 제공으로 시민편의 증진을 위한 따릉이 운영 ○ 서비스 대상 : 만 15세이상 시민이면 누구나 이용가능 ○ 주요 추진내용 - 언제, 어디서나 이용가능한 환경조성을 위해 서울시 전역으로 확대운영 ․2020년까지 자전거 20,000대, 대여소 1,540개소 설치 ※ 인구 1만명당 자전거 20대, 500m마다 대여소 1개소 설치 - 생활교통수단으로 자전거 이용활성화와 생활권내 시민이동편의 증진을 위해 지하철역사, 버스정류장, 주거지역, 상가․업무시설, 학교, 공공기관 등에 대여소 설치 ○ 공공자전거 확대설치 - 공공자전거 대여소 서울시 전역으로 확대설치 ․지역 : 11개 자치구 → 25개 자치구(서울시 전역) ․규모 : 자전거 5,600대, 대여소 450개소 → 자전거 11,600대, 대여소 910개소 □ 초미세먼지예보제 시행 ○ 서울시는 ’13.10월부터 전국 최초로 초미세먼지 경보제를 도입․시행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시민들의 선제적 시민건강 보호를 위해 이틀전, 하루전 및 당일 예보를 통해 미리 초미세먼지 정보 제공 ○ 초미세먼지 예보제 운영 - 근거 : 대기환경보전법, 서울시 대기오염 예보 및 경보에 관한 조례 - 예보기관 : 환경부(국립환경연구원) - 전파기관 : 서울시(기후환경본부) - 예보 등급 예보구간 등 급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예측농도 (㎍/㎥·일) 0~15 16~50 51~100 101 이상 - 예보주기 : 매일 4회(전일 17시, 23시/ 당일 5시, 11시) - 예보 등급 ‘나쁨’ 이상시 시민 문자서비스 확대 시행(’14.2.24~) - 전파방법 ․ (평상시) 인터넷홈페이지 게재, 자치구, 기상캐스터 ․ (‘나쁨’ 이상) 자치구 및 교육청, 유치원․초․중․고교 교사 등을 포함한 희망시민(약 3만명) SMS로 전파 2 찾아가는 서비스로 복지 사각지대 해소 2-1. 복지 및 생활 서비스의 사각지대 해소 □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 민원·행정 중심의 동주민센터를 복지·건강‧마을 거점으로 혁신 ○ 사업기간 : 2015.7.1~(계속사업) ○ 서비스대상 - 정책대상자 : 기존 복지수혜자, 빈곤위기가정, 65세 도래 어르신, 출산가정 - 서브대상자 : 주민자치위원, 통․반장, 마을계획단, 일반 주민 ○ 주요 사업 내용 - 찾아가는 복지플래너 운영 : 어르신, 출생가정, 빈곤위기가정 대상 - 통합 복지서비스 제공 : 복지상담전문관, 동 단위 사례관리 도입 - 마을공동체 조성 : 소모임 발굴 등 통한 주민역량강화‧마을계획 - 주민자치위원회 활동 강화 및 동주민센터 공간개선 등 동 행정혁신 ○ 2017년 주요 추진계획 - 3단계 확대운영 : 7개구 59개 동(누적 : 24개 자치구 342개 동) - 현장 인력의 적정한 충원(사회복지인력 506명) 및 전문역량 강화 - 최일선 동주민센터를 주민 중심으로 맞춤형 개선(59개 동) ․ 건축가, 주민, 직원이 공간개선 과정에 참여하여 사용자 만족도 제고 - 정책방향 설정 및 실행 전 과정에서 민관 협치 강화 및 동 단위 민․관 거버넌스를 통한 주민자치 실현 - 도움이 필요한 시민들이 복지혜택을 충분히 누리고, 사업취지에 공감하는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대시민 홍보 추진 사업내용 '15년 '16년 '17년(계획) 「찾‧동」시행동 13개구 80개동 18개구 283개 동 24개구 342개동 □ 찾아가는 민원서비스“시청트럭”운영 ○ 추진 배경 - 오프라인 세대, 행정청 방문이 어려운 어르신 및 행정서비스 사각지역에 ‘찾아가는 서비스’지원 필요 - 소외 계층 및 지역주민에게 특화된 맞춤형 홍보·상담으로 보편적 행정 구현 및 시민요구 충족 ○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제공되는 현장 행정서비스 ○ 주요 추진 내용 - 소외계층에 대한 밀착서비스 강화 및 방문지역 다양화 ․ 방문지역 특성(취약계층 밀집지역, 이주노동자 다수지역 등)에 맞는 맞춤형 1:1 민원 행정서비스 제공 - 협업을 통한 정보 제공 콘텐츠 특화 및 다양화 ․ 관련 부서 및 기관에서 운영 중인 전문 행정 상담 및 정보제공과 연계하여 운영 효율성 기대 ○‘찾아가는 서울시청’운영 및 실적 - 운영인력 : 4명(전담요원3, 운전원1) - 운영규모 : 시청트럭(3.5톤) 1대 및 간이 상담석(텐트) - 방문지역 : 유동인구 많은 지역 중심으로 순회 방문 - 주요내용 : 일반 민원 및 행정서비스 1:1 맞춤형 전문 상담 등 ※ 민원상담·접수 및 행정정보제공, 무인민원발급기 운영(제증명 50여종 현장발급) 관련부서 및 기관과의 협업을 통한 수혜적 행정서비스 확대 사업내용 '13년∼'14년 '15년 '16년∼'17년 찾아가는 서울시청 ·방문횟수 : 67회 ·처리현황 : 총3,200건 - 상담3,069건 접수 131건 ·방문횟수 : 96회 ·처리현황 : 총4,500건 - 상담2,378건 접수 162건 □ 저소득 위기가정 발굴을 위한 찾아가는 복지 현장상담소 운영 ○ 기초생활수급자 탈락가구 등 생활고가 어려운 위기가정 우선 및 복지 관련 다양한 법률 및 금융 서비스를 원하는 일반시민 대상으로 제공 ○ 운영기간 : 2016. 2월∼12월(11개월) ○ 관리대상가구 전화 및 현장방문 상담 기관 - 취약계층 밀집지역 대상 각 자치구 지정 장소 25개소 - 지역복지시설 : 복지관 등 57개소 - 권역별 금융복지상담센터 5개소 ․상담기간 : 기관별 1일 ․상담내용 : 법률, 금융 복합상담을 통한 위기가정 지원 ○ 현장상담소 운영 실적 - 찾아가는 현장사무소 132회 운영 : 2016. 2월∼12월 - 위기가정 발굴․지원 817건 □ 서울형 기초보장제도 운영 ○ 추진근거 -「서울특별시 저소득주민의 생활안정지원에 관한 조례」제2~3조 - 서울형 기초보장제도 기본계획 (복지정책과-593, ‘13.1.8.) ○ 생활수준은 어려우나 부양의무자 등 법정기준이 맞지 않아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는 비수급 빈곤층을 지원하여 복지사각지대 해소 ○ 사업추진 및 주요지원 내용 - 복지사각지대 해소(신규 발굴 인원) : ’17년 목표(안) 󰋼 2만5천명 - 지원내용 ․ 생계급여 : 맞춤형 생계급여의 1/2 수준(최대지원액) ․ 해산․장제급여 : 해산급여 60만원, 장제급여 75만원(맞춤형 급여와 동일) - 지원대상 : 4,457명(‘16.11월 기준) ○ 서울형 기초보장제도 연차별 추진목표(실적) - 복지사각지대 해소 ※ 연차별 시행 목표 및 실적 (단위 : 명) 사업내용 '13년∼'14년 '15년 '16년∼'17년 서울형기초보장제도운영 (사각지대해소 연도별 목표) 20,000~40,000 55,000 25,000 ∼ 25,000 □ 찾아가는 복지서비스(서울형 생활복지) 실시 ○ 서울시 취약계층 및 65세이상 보편복지서비스가구를 대상으로 복지플래너와 방문간호사 방문상담를 통해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추진 ○ 주요 추진 내용 - 서울형 복지 통합정보시스템의 단계적 구축전략과 설계도를 제시하는 정보전략계획(ISP) 수립 - 찾아가는 복지 및 건강 상담 결과를 축척하여 맞춤형 복지욕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 분산된 어르신돌봄, 건강 및 민간자원관리 등을 통합하여 수혜 중복 방지와 공유를 통한 틈새 없는 복지 서비스 구현 - 모바일 서비스 도입을 통하여 방문 복지 현장 업무 지원 - 복지포털 서비스를 통한 다양한 복지시설 및 법인정보, 복지사업 및 건강 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등 ․생활복지통합정보시스템 구축 󰋼 DB통합 : 대상자 기본정보 및 서비스이력 통합 구축 - 시스템 구축 · 찾아가는 방문상담, 어르신돌봄 및 출산가정 서비스 연계 등 · 자원제공기관, 자원 배분 대상자 관리 등 민간자원관리 3 행정서비스 One-Govermment 구현 □ 시민이 참여하는‘서울스마트 불편신고’운영 ○ 시민생활 불편사항을 언제 어디서나 앱으로 민원신고하고 처리결과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시민참여 디지털 거번넌스 추진으로 시민이 체감하는 서비스 제공 - 시민참여단을 구성하여 앱에 대한 시민제안 및 의견 수렴 - 시민참여 및 민원사이트로 접수되는 건의․불편사항 접수 ○ 앱화면 (구글플레이나 애플앱스토어 다운로드) 로딩화면 신고화면 위치선택 처리결과 ○ 120다산콜센터에서 접수하고 응답소 시스템을 통해 처리 ○ 추진실적(2013-2016) 구분 계 2013 2014 2015 2016 신고건수 767,967 33,609 113,314 247,753 373,291 앱다운로드 149,405 14,439 33,837 46,595 54,534 신규신고자 61,320 5,475 10,950 17,520 27,375 ※ 1일 평균 : 신고건수 1,075건, 앱다운로드 150회, 신규신고자 75명(‘16년 기준) ※ 신고내용 : 불법주정차 > 불법광고물 > 쓰레기 > 도로파손 > 보도블럭파손 □ 응답소(민원제안통합관리시스템) 운영 ○ 민원처리의 효율성 및 투명성 제고를 목표로, 부서/기능별로 산재해 있던 다수의 온라인민원시스템을 단일화한 통합형 민원관리시스템 ○ 운영기준 - 평일 업무시간(9시~18시)에 신청한 민원‧제안은 당일 접수 - 업무시간 외에 신청한 민원‧제안은 평일 업무시간에 접수 - 접수민원은 소관부서에 분배하여 처리기한 내에 처리 - 단순‧반복 민원은 부서분배 없이 접수자가 즉시답변 처리 ○ 처리흐름 ○ 추진실적 - 각종 민원접수 창구 통일, 민원처리 속도 향상으로 시민 편의 증대 - 민원소통 창구(32개) 통합관리 ․ 처리속도 0.8일 단축(3.8→3.0), 지연처리율 10.1% 감축(15.7→5.6) ○ 처리실적 (단위 : 건, 일평균 : 근무일 기준) 구분 접수건수 처리건수 기타* 지연건수(지연율**) 평균처리기간 2016년 (1.1.~6.30.) 59,966 (496건/일) 49,355 (394건/일, 82.3%) 10,611 (17.7%) 2,779(5.6%) 3.0일 2015년 115,390 (462건/일) 95,274 (381건/일, 82.6%) 20,116 (17.4%) 5,275(5,5%) 2.9일 2. 사회적 현안 해결 지원 강화 개 요 □ 추진 방향 ○ 지식행정으로 새로운 고품질의 정책 발굴 ○ 부서간 협업을 강화하여 시민 중심 행정 추진 ○ 빅데이터기반 과학적 의사결정으로 경쟁력 있는 시정 구현 □ 달라지는 점 ○ 빅데이터 기반의 과학적·선제적 행정을 통한 정책 발굴 및 품질 제고 기존 방식 (AS-IS) 지식 공유/활용 중심(TO-BE) ㆍ과거 정책 및 동일 실패 반복 ㆍ관습적, 이론적 탁상행정 ㆍ직관과 경험에 의한 의사결정 ⇒ ㆍ지식공유 활용 정책 발굴·추진 ㆍ빅데이터 활용 증거기반 행정 ㆍ지식기반 과학적 의사결정 ○ 일하는 방식 개선 및 협업 강화로 효율적·융합적 행정 추진 기존 방식 (AS-IS) 효율적 융합행정 (TO-BE) ㆍ한정된 시·공간에서 업무 수행 ㆍ부서간 칸막이로 단절적 행정 ㆍ개별 정보화로 업무 효율성 미흡 ⇒ ㆍ일하는 방식 개선, 신나는 일터 구현 ㆍ부서간 경계없는 융복합 행정 ㆍ통합정보화로 효율적 업무 지원 1 빅데이터 기반의 신 행정서비스 제공 1-1. 빅데이터 분석으로 과학적 행정서비스 제공 □ 추진 배경 ○ 시민 요구 과제 발굴→분석/개방→시민 수혜의 선순환 구조 확보 - 시민 수요가 반영된 과제 발굴과 분석 - 활용가치가 높은 데이터셋을 BDM 구축 후 대시민 개방 ○ 산재된 분석용 데이터의 수집을 연계하여 하나의 DW로 통합 - 현업부서와 빅데이터 캠퍼스에 필요한 분석용 데이터 적시 공급 - 공공기관과 민간에서의 활용도 높은 데이터 지속적 탐색 확보 - 상용데이터 대체용 데이터 가공‧발굴로 비용 절감 ○ 신속한 정책반영을 위한 현업부서 자체분석 지원기반 마련 필요 - 현업부서 자체 분석기반 개선용 오픈소스 확대, 기존 인프라 재정비 □ 서비스 수요 및 고객 대상 ○ 서울시민, 서울시 공무원 - 과제분석 결과를 정책에 반영하여 시민에게 과학적 행정서비스 제공 - 빅데이터캠퍼스를 통한 공공데이터 및 빅데이터 분석환경 제공 □ 주요목표 및 추진내용 ① 빅데이터 캠퍼스와 부서별 자체분석 활성화를 위한 통합 BDW BDW(Big Data Warehouse): 서울시 빅데이터 분석용 통합 데이터 저장소 구축 ○ 수요 기반의 데이터 탐색 및 수집․적재․연계 - 빅데이터캠퍼스 분석 수요별 필요 데이터 수집하여 BDW에 적재․연계 - 연계 가능 현업업무시스템 데이터 연계모듈 개발 - 불법주정차 데이터 등 시민 생활에 밀접한 분석 데이터 수집·적재·연계 ○ 유사데이터 확보 및 가공을 통한 상용데이터 대체 추진 - 대체 데이터 활용 시 영향도 분석 및 활용방안 마련 <통합 BDW 구축 개념도> ② 현업부서 자체 분석 지원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활용시스템 개선 ○ 분석필요 데이터 검색․활용을 위한 데이터 서비스(맵, 추출) 제공 - 데이터맵 구축 및 데이터 검색, Sample 조회 기능 구현 - 수집된 데이터 현행화를 위한 데이터 관리기능 구현 ○ 공통 활용 데이터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기능 구현 - 시민생활에 밀접한 6대 시민데이터 공간적/시간적 분석 기능 제공 - 현업부서 자체분석 지원을 위한 분석가이드 제공 - 분석결과 및 분석사례는 빅데이터 분석활용시스템을 통해 공유 ○ 상용SW기반의 시스템을 오픈소스로 전환하고 사용환경 개선 - 상용SW(오라클, ArcGIS 등) 기반의 분석시스템을 단계별 오픈소스로 전환 1-2. 빅데이터 캠퍼스 □ 추진 배경 ○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과학적 정책결정 필요 - 공공과 민간 빅데이터의 융합‧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한 정책결정과 추진으로 다양한 사회구성원의 이해 충돌 해소 필요 ○ 빅데이터 분석·협업을 위한 인프라 기반 조성 제공 필요 - 연구기반이 취약한 대학․중소 상공인 등에게 공공의 빅데이터 인프라를 제공, 집단지성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 기반 조성 필요 ○ 기업과 창업 희망자에게 새로운 사업 기회 제공 - 정보 독점에 의한 정보 비대칭성 문제를 해소하여 소규모 기업과 청년 창업 희망자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기회 제공 필요 □ 주요 추진 내용 ① 빅데이터 캠퍼스 공간 구성 및 운영 ○ 상암동 S플렉스센터(‘16.7.14 오픈) - 분석실, 회의실 및 세미나실, 분석 지원실 등 ○ 개포동 디지털 혁신파크 - 빅데이터 분석실(2) 및 부속시설 ② 빅데이터 분석용 클라우드 시스템 구축 ○ 빅데이터 공유활용 원천 데이터 공유가 가능하도록 클라우드 기반의 분석시스템 구축 ○ 소프트웨어는 기업과의 연계를 통해 범용성이 높은 오픈소스로 구축 ③ 시민사회와 협치를 통한 데이터기반의 도시문제 해결 ○ 크라우드 소싱 기반의 민간 데이터 수집․관리․분석 지원 강화 - 시민들의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저장·분석하고 안전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 보관소를 구축 ○ 시민사회와 함께 도시문제해결 의제 공동 발굴 및 분석 - 교통, 환경, 안전 등 시민들의 삶과 밀접한 의제 발굴․분석 및 정책반영 노력 1-3. 빅데이터 활용 사회현안문제 해결 □ 첨단IT 기술을 활용한 교통예보 서비스 제공 ○ 추진 배경 - 교통혼잡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선제적 교통관리 필요성 확산 - 일기예보와 같이 사전 교통혼잡 예측, 제공을 통해 교통수요 분산 - 5년 이상 속도, 교통량 등 교통 빅데이터 축적으로 교통예보 기반 성숙 【 서비스 화면 예시】 ○ 서비스 수요 및 고객 대상 - 서비스 대상 : 서울시 전체도로 1,298km ․ 1단계 도심권 등 주요 시내도로 교통예보서비스 시행(’17.4월, 417km) ․ 2단계 서울시 전체 도로 교통예보 서비스 확대(’17.12월, 1,298km) ⇨ 정확한 검증,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로 교통예측 오류 등 위험요소 최소화 - 주요 서비스 : 도로별 교통혼잡(속도 등) 사전 예보 서비스 ․단기(1시간 이내) 및 중기(1시간 이상 ~ 7일) 도로별/시간대별 통행속도정보 예측서비스 등 - 고객대상 : 일반 시민, 내비게이션 및 포털 등 교통관련 업체, 개발자 ○ 주요 추진 내용 - “한발 앞선” 교통혼잡 예보로 교통량 수요 분산 및 혼잡 완화 ․ 도로별/시간대별 속도정보 예측 및 교통혼잡 예보 서비스 - 시내도로 교통예보시스템 확대 구축 ․ 시내도로 교통예보 프로그램 개발 등 시스템 구축 ․ 모바일 등 교통예보 대시민 서비스 개발 및 OpenAPI 제공 □ 심야전용버스(올빼미버스) 운영 ○ 대중교통 운행이 종료되는 자정 이후, 택시공급 부족 및 승차거부 등에 따른 심야 시민이동불편 해소 ○ 운영 현황 - 운영목적 : 심야·새벽시간대 시민의 이동서비스 제공 - 노선현황 : 도심(부도심)과 시계지역간 9개 노선에 70대 운영 - 운행시간 : 23:30~05:30(20~35분 간격) ○ 추진실적 및 향후계획 - 총 이용 승객수 8,772천명(‘13.9~’16.11월) ․ 하루 평균 약 7,500명(대당 161명) 이용중 - 지속적인 올빼미버스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개선방안 검토 ․ ‘16.11월 증차·신설후 이용승객수, 혼잡율 등 모니터링 2 협업과 소통을 통한 정부정책역량 제고 2-1. 협업․소통을 우선시 하는 융합행정 실현 □ 민관합동 열린정부파트너쉽(OGP) 실행계획 이행 추진 ○ 추진 배경 - 정부 투명성, 시민권한 증진 및 청렴성 제고를 위해 출범(’11.9)한 국제기구인 OGP(Open Government Partnership)의 지방정부 회원 가입(’16.4월) - OGP 지향 가치가 국정기조인 ‘정부3.0’과 부합하고, ‘혁신, 협치, 소통’이라는 시정기조와 부합함에 따라, OGP에 가입 결정 ※ 열린정부 파트너쉽(OGP)은 정부 투명성 증진, 시민권한 강화, 청렴성 제고, 신기술 도입을 목표로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국가들의 다자간 협력체 (70개국 가입, OGP본부: 미국 워싱톤, 샌프란시스코) - 민관합동 협의체 구성·운영을 통한 OGP실행계획 수립 ※ OGP 가입의무 사항인 실행계획을 민관합동으로 수립하고 이행 노력 중 < 서울시 OGP 실행계획 주요내용(’16.12~’17.12월 이행) > 󰋻 서울시의 열린정부 추진을 위한 그간 노력과 성과, 시사점 분석 󰋻 시민사회와 협력(협의체 구성·운영)을 통한 OGP 실행계획 수립 추진 󰋻 시민참여 확대 및 서울형 플랫폼 정부 구현을 위해 4개 이행과제 마련 - (과제1) 시민사회와 협치를 통한 데이터기반의 도시문제 해결과제 분석 - (과제2) 시민과의 신속한 시정정보 공유 및 참여를 통한 책임성 강화 - (과제3) 시민과 함께 만드는 도시 생활 지도(Urban-Life Map) - (과제4) 더 투명한 회의정보 공개 - 실행계획에 포함된 4개 과제의 수요자(고객대상)는 전 서울시민이 대상이며, 관련 시민사회단체와 공무원으로 구성된 OGP추진 협의체 운영을 통하여 실행계획 이행과정 전반에 대해 점검·보완 추진 ○ 주요 추진 내용 - 시민사회단체와 협업(협의체 구성·운영 등)을 통해 열린시정을 위한 ‘서울시 OGP 실행계획’ 추진현황을 함께 점검하고 보완 추진 · 분기1회 협의체 전체 회의(오프라인) 개최 및 추진현황 점검 - OGP 실행계획 수립을 위한 모든 과정을 온라인 공개 및 공유 · 이행과제별 추진현황 및 협의체 회의결과 등은 서울시 OGP 홈페이지(ogp.seoul.go.kr)에 투명하게 공개 □ 민관협업 공공무선인터넷(와이파이) 구축 ○ 시민, 관광객 등 누구나 다중 이용장소에서 무선인터넷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공공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여 도시 경쟁력 향상 및 정보격차 해소 ○ 주요 서비스 지역 -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 중심(주요거리, 관광명소, 전통시장, 공원, 광장 등) - 서울시, 자치구 및 산하기관의 청사 등 공공건물 ○ 주요 추진내용 - 서울 전역 와이파이존 구축, 공공 무선인터넷 10,000개소 설치 구 분 계 ´11 ~ ´15년 2016년 2017년 AP 설치수(대) 10,000 5,220 2,900 1,880 ○ 주요 추진실적 - 공공 와이파이 구축을 위한 서울시-이동통신사 간 협약체결(´11.6월) ․ 서울시 통신망 + 이동통신3사 AP 설치, 운영 - 공공 무선인터넷(WiFi) 개통(’12.1월) - 서울시 무선인터넷 서비스 엠블럼 제작(’12. 1월) 실내 실 외 평화공원 - 공공와이파이 운영지역 모바일 앱 서비스제공(’13.3월) ① 스마트 서울맵 다운로드 ② 스마트 서울맵 실행 ③ 위치정보표시 ④ 세부설치 지역안내 - 와이파이 이용안내 홈페이지 개발(’15.3월) □ 중요도·시급성에 따른 탄력적 의사결정시스템 가동 ○ 추진배경 - 부서 간 협조 및 의사소통 체계 미흡 - 보고 중심 회의 운영으로 의사결정 기능 미약 및 심도 있는 논의 기회 부재 - 시의적절한 현안 공유 및 의사결정을 위한 회의 개선 필요 ○ 주요추진 내용 - 회의 개선을 통한 탄력적 의사결정시스템 구축 - 회의 정례화를 통한 부서 간 상시 소통 창구 마련 - 의사결정 기능 강화 및 토론 활성화 회 의 명 운 영 방 식 집단지성광장 거시‧혁신적 담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한 토론 활성화 정례간부회의 종합적 지원이 필요한 사안에 대한 부서 간 연계 협력 강화 부시장단 연석회의 행정 1‧2부시장 소관 부서 간 연계 협력 강화 기획조정회의 부서 간 의사조정이 필요한 사항에 대한 결정 기능 강화 2-2. 시민이 직접 설계하는 서비스 프로세스 혁신 □ 시민의 제안을 정책화하는 제안제도 운영 ○ 정책참여 활성화를 위한 대상별 온라인 제안시스템 상시 운영 - 천만상상오아시스(oasis.seoul.go.kr) ․누계 : 약 16만 5천 여건 아이디어 접수, 총 871건 채택 ․실적 : (’16년)총 2,412건 접수, 60건 채택 ○ 정책주체로 참여할 수 있는 제안창구의 정례화 추진 - 정책박람회(‘광장은 시장실’, ‘여기는 시민시장실’ 등), ․ 내용 : 시장이 서울광장에 상주하며 아이디어 접수․상담 ․실적 : 총 504건 접수 / 46건 채택 - 제안의 날 ․내용 : 제안 시민과 소관부서장 면담을 통해 제안 채택여부 결정 ․실적 : 총 10회, 86건 면담(2015년 72건, 2016년 14건), 채택 및 장기검토 23건 ○ 우수제안 공유 발표회 실시 등 시민제안 활성화 기여 - 정책박람회(www.seoulideaexpo.org) 연계 운영(’17년도) □ 엠보팅(Mvoting)을 통한 주민참여 활성화 추진 ○ 추진 배경 - 市중심의 “시민참여”를 자치구 단위의 “주민참여”로 하향 확산 필요 - 지역현안, 교육정책 등에 대한 주민 의견수렴 필요성 증대 - 다양한 쟁점투표 발제와 시민참여 활성화의 선순환 환경조성 마련 ○ 서비스 수요 및 고객 대상 구분 서비스 수요 수요대상 서울시 시 정책 관련 의견수렴 서울시민, 내부직원 등 자치구 지역현안 관련 의견수렴 지역주민 교육청 교육행정 및 교육정책 관련 의견수렴 학부모, 교사, 교육전문가 등 ○ 추진방향 - 엠보팅을 통한 시민주도의 지역단위 시민협치 실현 - 시민추진단(가칭)의 의견수렴을 통한 서비스 개선 추진 - 기관대상 각종 운영지원, 홍보 및 교육 강화를 통한 엠보팅 활성화 ○ ’17년 추진계획 - 지역기반 엠보팅 확산 강화 ․ 지역단위의 생활밀착형 안건을 통한 지역현안 해결 활용 유도 ․ 자치구 참여예산투표에 대한 엠보팅 활용기관 확대 및 관련업무 지원 - 시민추진단 구성 및 운영 ․ 전문가, 일반시민 및 학부모 등 구성으로 엠보팅 서비스 개선 과정(기획,실행,평가 등)에 참여해 정책 추진 - 자치구·동 및 학교 대상 운영지원 강화 ․ 기관별 운영자 대상 엠보팅 활용 안내 및 운영자 교육 실시 - 엠보팅 서비스 개선 홍보마케팅 추진 ○ 엠보팅 주요사례 <광화문 돌길포장 교체> 1위 : 아스팔트(62.1%) 2위 : 돌포장 전면교체(14.1%) 3위 : 현재 돌포장 유지(20.4%) <공원 내 음주문제> 1위 : 음주제한 필요(85.0%) 2위 : 음주제한 불필요(15.0%) <서울시 클래식 콘서트홀> 강북콘서트홀 건립 : 필요(75.7%) 세종로공원에 건립 : 부적정(46.8%) 건립 부적정 이유 : 교통혼잡(38.9%) <친환경 경제운전 교육 참석자 대상 만족도에 대한 현장투표> □ 주민참여 예산제도 실시 ○ 매년 500억원 규모를 주민이 직접 제안하여 주민이 직접 선정하는 주민참여예산 사업 선정을 현장투표의 오프라인(Off-line)방식에서 온라인 전자투표를 도입하여 시민참여 확대 및 주민대표성 확보 ○ 서울시민 누구나: 엠보팅(mVoting) 앱을 설치하여 폰방식의 투표, PC 투표 ○ 주요 추진 내용 - 전자투표 참여인원 목표 : 10만명(전체인구의 1% 이상) - 2017 주민참여예산사업 최종선정심사에 전자투표 실시 ※ ‘17년 주민참여예산제 운영계획에 따라 운영 ○ ‘16년 추진 실적 - 주민참여예산 사업 선정 및 운영 추진 ․ 제안사업 접수(인터넷, 우편, 이메일, 방문, 다음카카오) : 4. 11 ~ 8. 15. - 시정참여형 사업 추진 ․ 제안사업에 대한 타당성 검토 및 내용 구체화 : 5.26 ~ 6.26. 총 계 복지 여성 건강 청년 문화 관광 교통 주택 일자리 환경 공원 도시 안전 청소년 20개 주제 3 3 2 2 3 3 2 1 1 502(건) 85 104 27 35 72 74 40 35 30 448(억원) 59 63 34 52 63 62 53 34 28 - 시민 엠보팅 실시(시정참여형 사업) ․ 반 영 률 : 참여예산위원(40%) + 시민 엠보팅(40%) + 설문조사(20%) ․참여현황 : 109,938명(시민 107,766, 참여예산위원 172, 설문조사 2,000) 2-3. SNS 기반 범정부 통합소통체계 실현 □ SNS 계정 의견 및 답변 시민과 공유 ○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 제기되는 시민의견 증가에 대응하고 빠르고 투명한 처리 및 공개, 공유를 통해 대시민 신뢰도 향상 ○ 서비스 수요 및 대상 구분 서비스 수요 수요대상 서울시 생생한 시민의견의 빠른 수집 내부직원(담당자, 관리자) 등 정책전문가 서울시의 주요 정책 관련 정보 민간 정책전문가, 연구원 등 일반시민 시정 현안 관련 의견 제시 및 공유 트위터, 페이스북 등 이용자 ○ 추진방향 - 트위터, 페이스북 등 주요 SNS운영 기관과의 시스템 연계 - 소통 활성화 창구로서의 SNS계정의 역할 대시민 홍보 - 국내외 유사 사례에 대한 지속적 정보 수집 및 벤치마킹 ○ ’17년 추진계획 - SNS 활용 확대를 위한 업무처리 절차 정비 ․ SNS로 수집되는 시민의견의 분류 방식 세분화 추진 ․ 단순답변, 즉시답변이 가능한 유형에 대한 신속한 대응 추진 - SNS 우수활용 기관 및 개인 평가에 따른 포상 확대 ․ SNS시민의견 반영률이 높은 부서, 기관에 대한 표창 추진 □ 재난, 위기관리 SNS 긴급메시지 전파 ○ 메르스 등 예측불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재난·위기 상황에 대응하고 시민 SNS 사용빈도 지속적 증가 추세에 따른 SNS 비상전파체계 구축 ○ 서비스 수요 및 대상 구분 서비스 수요 수요대상 서울시 재난 상황의 신속 전파 체계 내부직원(담당자, 관리자) 등 일반시민 재난·위기 상황에의 대응 SNS로 전파가능한 모든 시민 기 타 재난·위기 관련 협력 체계 구축 서울시와 인접한 공공기관 등 ○ 추진방향 - 다양한 유형의 재난·위기 상황에 대한 비상 전파체계 확립 - SNS의 특성에 걸맞는 간단하면서도 명료한 메시지 작성 유도 - 각 유형별 재난소관부서와의 긴밀한 협력체계 상시 구축 - 중·대형 재난시 SNS를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집단대응체제 구성 ○ ’17년 추진계획 - SNS긴급메시지 활용 확대 방안 마련 ․필수메시지 지속 발굴 추진 및 시민만족도 측정 방안 마련 검토 - 각 부서별 긴급메시지 담당자 교육 강화 ․조직개편 및 인사이동에 따라 즉각적인 담당자 현행화 실시 2-4. 행복한 일터, 서울시를 위한 조직문화 개선 추진 □ 비대면 보고 활성화 및 회의문화 개선 ○ 온라인 소통강화로 비대면 보고 활성화 ․ 본청 및 사업소 3급 이상 간부 대상 실·국장 소통방 개설·운영 ․ 실·국·본부 및 부서 단위 커뮤니티(밴드, 카카오아지트) 개설·운영 ○ 업무부담 경감을 위해 「보고서 표준서식」사용 권장 ․ 글자체, 크기, 줄 간격, 작성자 실명제, 작성시기 등을 세부적으로 지정한 표준화된 보고서 지침을 마련하여 시행 ○ 단기간내 추진가능한 시장요청사항은 메모보고로 시달 ․ 한 주간 지시(요청)사항을 메모보고를 통해 전달 우수사례 소개 ▪ 비대면 보고 활성화를 통해, ‘관리자’ 중심에서 ‘담당자’ 중심의 일처리로 업무 방향의 변화(서울시 총무과) - SNS를 통한 신속한 현장 상황 공유 및 처리 󰋻시청광장의 집회 및 시위, 청사방호 등 신속한 의사결정과 처리가 필요한 총무과의 특성을 고려하여, 별도의 대면 보고를 지양하고 카톡 등 SNS를 통해 소통 활성화 SNS를 통한 소통사례(1) SNS를 통한 소통사례(2) ▪ ‘공유 플랫폼’ 활용(서울시 도시재생본부) - 전직원이 공유캘린더로 부서 주요일정‧회의를 함께 관리업무(공사) - 불필요한 대면보고 및 회의자료를 과감히 축소하여 중요업무에 집중 - 메모보고, 메신저를 통해 간단하고 빠른 업무처리, 불필요한 자료작성 최소화 □ 유연근무제 및 휴가사용 활성화 ○ 획일화된 공무원의 근무형태를 개인·업무·기관별 특성에 맞게 다양화함으로써 공직생산성 향상 및 직원 사기앙양 ※ 단순 업무시간(업무량) 관리체제 → ‘성과’중심의 근무체제로 전환 ○ 업무의 효율성 증대 및 일과 가정이 통합되는 근무여건 조성 ○ 유연근무제(5가지) 효율성을 적극 홍보하고 활성화 정책을 발굴·추진 하여 유연근무 이용문화 확립 ※ 유연근무 참여율 제고(‘16년 35% → ’17년 40%) ○ 주요 추진내용 - 근무시간선택제 강조주간 운영 ․ 매월 마지막 주, 주 3.5~5일(주40시간) 근무시간 강조주간 시행하여 참여율 제고 ※ 시차출퇴근제 유형을 벗어나 다양한 근무유형 참여기회 제공 - 스마트워크센터 및 재택근무 체험참여 정기실시(반기별) ․신청절차 간소화 및 시스템 접속 안정화하여 업무의 효율성 증진 3 IoT 기반 스마트 행정 구현 3-1. IoT 활용으로 시민안전 및 도시문제 해결 □ 개방‧공유‧소통‧협력의 민관협치에 의한 서울 사물인터넷 도시 조성 ○ 추진배경 - 사람, 사물, 공간 등 모든 것이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oT)시대의 도래 ․ 인터넷, 모바일 시대를 지나 초연결(Hyper-Connected)시대로의 진입 ․ 제4차 산업혁명에 의한 글로벌 기업들의 IoT시장 점유정책 가속화 - 공공 주도 도시문제 해결의 한계극복을 위한 지속가능한 민관협력 환경조성 필요 ․다양하고 복잡한 도시문제 해결 기술로서의 사물인터넷 기술의 주목 ․ 공공주도 ICT정책의 비용과 범위의 한계를 극복한 도시문제 해결방안 도출 필요 ○ 서비스 수요 및 고객 대상 : 시민, 관광객, 상인, 민간기업, 타공공기관 등 ○ 수요자 참여 방안 : 시민참여 민간주도 기반의 민관협력 추진 - 서울시, 자치구, 민간기업, 시민 협력기반의 민관협력 추진 ▸서울시(자치구) : 실증지역 내 공공WiFi, 콘텐츠 API 등 필수인프라 구축‧전면 개방 ▸민간기업 : 실증지역 공공인프라 융합형 도시문제 해결형 IoT서비스 개발 및 제공 ▸시민 : 실증서비스 활용 및 의견제시 → 서비스 개선 유도 <실증지역의 의미> ▸실증지역 조성을 통해 스타트업 등 민간기업 서비스를 현장 적용 - 현장적용을 통한 기술과 서비스의 완성도를 끌어올리고 (공급 부양) - 시범 서비스를 통해 시민의 수요를 이끌 수 있으며 (수요 창출) - 공급자와 수요자와의 교류를 통해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로의 진화를 유도 ※ ‘실증지역’ : ‘공급자와 수요자의 공감대 교류 플랫폼’ ⇨ 사물인터넷 리빙랩(Living Lab) ○ 주요 추진 내용 - 도시문제 해결형 사물인터넷 서비스 실증지역 확산 조성 ․’15년 북촌을 시작으로 ’20년까지 서울 전역으로 사물인터넷 실증지역 확산 조성 ※’17년 7개 신규 실증지역 확산 조성 추진 - 사물인터넷 산업의 자생적 생태계 조성으로 서울의 도시문제 자정능력 배양 ․민관협력 방식의 실증사업 추진을 통한 민간 주도의 도시문제 해결환경 조성 ․도시문제 해결 新서비스 발굴 → 현장적용(실증지역 조성) → 시장진출 지원 등 선순환 지원을 통한 도시문제해결형 IoT생태계 조성 - 사물인터넷 인큐베이션센터 운영 ․IoT의 저변확대 및 글로벌시장 개척지원 등에 의한 IoT산업 활성화 추진 □ Smart Road, Smart Signal, Smart Car ○ 추진 배경 - LTE로 저비용 고효율 실시간 ON-LINE 신호운영체계 구축 필요 - 교통신호 시설물 관리 프로그램으로 과학적 관리체계 구축 필요 - 자율주행 시대를 대비한 C-ITS 테스트베드 구축 및 신기술 개발로 대한민국 신성장 동력 배양 필요 ○ 서비스 수요 및 고객 대상 - 보행자, 대중교통 이용자 등 교통정보 수요자 - 자율주행기술과 관련한 연구소, 학교, 기업 등 ○ 주요 추진 내용 - 자율주행기술 개발 기반 구축을 산학연관 협력체계 구축 ․ 무선 IoT 테스트베드를 통한 자율주행 기술개발 환경 구축 - 교통신호제어시스템 통신사업자 선정 ․ 교통신호제어시스템 2.4kbps 유선통신망에서 1Gbps LTE로 전환 ․ 시설물 관리, 회선 관리, 신호운영 등 S/W 신규 구축 ․ C-ITS 서비스 중 위치기반 차량데이터 수집, 위치기반 교통정보 제공 등 3개 서비스 테스트베드 추진 - 민관 공동연구 추진 ․ 시범 구간에 대한 실시간 신호정보 연계 시스템 구축 ․ 실시간 신호정보 등 교통정보 제공 방법 개발 사업내용 '13년∼'14년 '15년 '16년∼'17년 무선통신사업 사업기획 및 기반구축 사업자 선정 무선통신사업 추진 공동연구개발 사업기획 및 기반구축 협약 체결 및 공동연구 수행 3. 민간부문 마중물 역할 활성화 1 클라우드 기반의 지능 정부 구현 1-1. 미래형 클라우드 시정 구현 □ 서울시 클라우드센터 구축 ○ 추진배경 -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정보량 급증에 따른 IT 인프라 수요 증가 - 서울시 전산실이 산재되어 운영비용 증가 및 업무 비효율성 초래 - IT 자원 클라우드화로 정보자원 절감 및 신속한 공공서비스 제공 ○ 클라우드 서비스 실현을 위한 미래형 데이터센터 구축 - 분산 운영중인 5개 전산실 이전 및 통합 구축 - 신규 장비 도입에 클라우드 시스템을 우선 적용하고, 기존장비는 교체시 클라우드 전환 - 클라우드 운영을 위한 자체 전문인력 양성으로 유지관리 비용 절감 ○ 클라우드센터 2단계 이전․구축 - 5개 전산실 2단계 이전 및 통합 구축 - 시범 구축 운영환경에서 실 운영환경으로 클라우드 구축 및 적용 사업내용 '14년∼'15년 '16년 '17년∼'18년 클라우드 센터 구축 - 클라우드센터 ISP 수립 - 클라우드센터 인프라구축 - 5개 전산실 1단계 이전 구축 - 국내중소기업 및 공개S/W 기반 클라우드 시스템 시범 구축 - 5개 전산실 2-3단계 이전 구축 - 국내중소기업 및 공개S/W 기반 클라우드 시스템 확대 적용 1-2. 차세대 지식경영체계 구축 □ 서울시 지식공유시스템 운영 ○ 공무원제안 활성화, 업무지식 공유와 학습동아리 활동을 위한 온라인 공간 제공 및 부서간 협업 강화를 위한 협업 플랫폼 ○ 이용대상 및 콘텐츠별 운영실적 - 본청 및 사업소 직원이 행정포털을 통해 접속․이용 ○ 콘텐츠별 운영 실적 구 분 운영 내용 실 적 2015 2016 계 5,939 4,452 지식나누기 업무지식‧노하우 공유 46 11 제안하기 공무원 제안·실행 공유 968 693 우수정책 우수정책 공유 142 16 직무발명 직무발명 관리 53 76 학습동아리 학습동아리 운영 4,493 4,144 시정소식지 시정소식지 관리 67 18 독서모임 독서모임 운영 284 70 ○ 주요 추진 내용 - 상생협력의 장 활용 확대(소그룹별 협업 지식 공유의 장으로 개편) 󰋼 형식적인 협업제안-수락-결과보고의 단순 프로세스를 개선 󰋼 서울시 내 협업 구성원 간 협업 자료의 업로드-다운로드 공유 공간을 지식공유시스템 내에 제공하여 지식정보 공유와 협업 확대 □ 소통과 협업기반의 행정포털시스템 운영 ○ 추진 배경 - 행정업무시스템의 관문 ․ 서울시 직원이 사용하는 약170여개의 업무시스템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시스템 필요 ․ 참여·협업 도구로서 공유 및 소통할 수 있는 공간 - 정보가 축적되고 공동으로 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정보공유시스템 및 직원 상호간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시스템 구축 ○ 주요 추진 내용 - 행정포털을 통한 소통과 협업 강화 ․ 업무공지, 정보공유, 시정뉴스, 커뮤니티를 통한 협업 및 소통 강화 ․ 메일, 메신저를 통한 시와 자치구간 커뮤니케이션 강화 - 내부 행정업무의 모바일 서비스 확대 ․ 내부 행정업무를 연차적으로 모바일화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중․장기적인 목표아래 모바일 포털로 추진 □ 다산콜센터 상담실 데스크톱 가상화(VDI) 추진 ○ 노후화된 데스크탑 PC(본체)의 교체 및 중앙일괄 관리가 가능한 테스크톱 가상화시스템을 도입하여 PC유지관리 향상과 저탄소 사무 환경을 구현 신속하고 정확한 상담 서비스 제공 ○ 노후PC(본체) 완전분리 및 전 좌석 데스크톱 가상화 시스템 전환 ○ 저탄소 사무환경(소형화,저전력화) 구현에 따른 에너지 절감 효과 ○ 다양한 클라이언트(노트북,스마트폰등) 사용에 따른 스마트워크 가능 ○ H/W, S/W 유지보수 및 1VDA(가상화전용운영체제) 라이선스 갱신 등 가상화시스템 유지관리 2 정보공개 품질혁신 및 공공데이터 민간활용 지원 2-1. 정보공개서비스 재정비로 품질 혁신 ○ 추진 배경 - 단순한 행정정보 제공 위주의 양적 확대 서비스에서 시민중심 맞춤형 콘텐츠 제공의 질적 향상 서비스로 정보공개 패러다임 변화 ․ 결재문서 공개기관 확대는 ‘15년 사업으로 종료됨에 따라 시민이 보다 빨리, 보다 쉽게 원하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필요 ․ 시민생활 밀착정보 등 사전공개 정보에 대한 대시민 공유 및 활용, 이용후기 공모 등 시민공감 형성 필요 - 공개 중심의 서비스에서 공유·소통의 정부3.0 서비스 수요 증가 - 일부 제한적인 참여만 가능한 공개 위주의 서비스에서 능동적 공유·소통 및 맞춤형 정보제공이 가능한 진정한 정부3.0 서비스 구현 필요 - 사업별 공개가능 정보 위주에서 시민이 필요로 하는 정보의 공표 필요 - 시민의 이해도와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문서 가공 및 제공 필요 ○ 주요 추진 내용 - 시민 맞춤형 서비스 강화 및 검색품질 개선을 통해 정보공개 품질 개선 - 행정정보의 안전한 공개기반 마련 및 정보간 연계강화를 통해 행정정보 공유·활용 활성화 - 시민 관심정보, 생활정보의 이해도 제고와 활용도를 위해 행정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고, 주요 시책정보, 시민참여 사업 등 사전정보 지속적 확대 - 사전공표 정보의 현행화를 위해 실시간 모니터링을 실시, 사전공표 정보 시민이용 후기 공모전 실시 및 대시민 홍보 - 정보공개 인식변화를 위한 조직문화 개선 추진 ․ 시 기관별 정보공개 추진실태 평가(연 2회), 「e-정보공개제도의 이해」사이버 강의 개설(7월) 정보공개 매뉴얼, 연차보고서 등 정보공개 관련 책자 제작(8월), 정보공개 커뮤니티 및 모니터단 운영 등 2-2. 서울재정포털 구축 ○ 서울시 재정정보를 “서울재정포털”을 통해 시민에게 공개함으로써 알권리 충족 및 재정운용의 투명성 제고 ○ 효율성·투명성 향상을 위한 재정정보의 체계적 관리방안 추진 ○ 주요 추진 내용 - 분산 공개 중인 시 재정정보의 통합‧공개 단일창구 「재정정보포털」 구축 ․예산편성, 집행․결산 등 재정운용 全 과정에서의 재정정보 체계적 분류·제공 및 세입·세출예산 운용상황 등 시민 공개 ․모바일(스마트폰 등) 서비스를 위한 반응형 웹 기술 활용 포털 개발 - 재정정보 콘텐츠 질 향상을 위한 데이터시각화(인포그래픽, 인터랙티브) 개발 ․ 시민의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한 통합검색 기능, 맞춤형 비교·분석 기능, 데이터시각화(인포그래픽, 인터랙티브) 서비스 등 개발 - 서울재정포털 운영( ‘17. 2. ~ 12.) ․ 재정정보 콘텐츠질 향상을 위한 시각화(인포그래픽, 인터렉티브) 추가 제작 ․안정적 운영을 위한 정기 예방점검 실시 2-3. 공공데이터의 민간활용 기반 혁신 * 정부 3.0 국정과제 이행 - 소통하는 투명한 정부 “공공데이터 개방, 민간 활용 활성화 ○ 공공데이터 대상 발굴 및 개방 확대 - 분산 된 서울시 데이터 제공 서비스 일원화 - 활용도를 중심으로 공개 데이터 발굴 지속 및 현행화 품질관리 강화 ․통계정보시스템(서울통계)을 열린데이터 광장으로 서비스 통합 ․공간데이터 등 개방 절차 개선을 통한 데이터 현행화 및 성능 품질개선 ․이용량이 높은(일130만건) 실시간 지하철 운행데이터 서비스 이중화 ○ 시민추진단 구성 및 협력을 통한 수요 중심의 데이터 발굴․개방 - OGP(오픈거버먼트파트너쉽)․민간 커뮤니티 참여를 통한 수요발굴 및 활용지원 - 사업의 계획부터 완료까지 시민과의 협의 과정을 거쳐 데이터 개방 추진 ※ 열린데이터 광장 이용(‘12.5~’16.12) : 총 2,266백만건, 일 평균 134만건 - 데이터 간의 공유 활성화를 위한 링크드오픈데이터(LOD) 개방 확대 ○ 다양한 서비스 제공 및 활용사례 발굴 등 - 열린데이터 광장 오픈 S/W 전면 개편으로 오픈 플랫폼화(化) 추진 - 시민이 직접 참여하고 만들어 보는 공공데이터 시각화 제작 서비스 고도화 - 공공데이터 개방 소식 및 시민 활용사례 홍보(검색포털, 주간 메일링, Github, RSS) 구글, 네이버, 다음 등 검색포털 조회 서비스 주간 메일링 서비스 서울시 공공데이터 Github 공개 RSS(Rich Site Summary) 서비스 3 공공시설 유휴공간 활용으로 공유경제 지원 ❖ 마을․공공시설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공구도서관 설치 및 공유 프로그램 활성화로 공유경제 지원 □ 공구도서관 활성화 ○ 추진배경 - 아파트·공공시설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평소 자주 쓰지 않는 공구의 공유 ․ 1년에 1~2회 사용하는 전동드릴 등 생활공구를 가계부담 등 경제적 비효율 초래하므로 빌려서 사용하는 공구대여소 설치 - DIY 프로그램(물건수리 및 가구제작 등) 운영으로 주민생활 편익 향상 및 커뮤니티 활성화 도모 < 공구도서관 운영실적> - 운영규모 : 43개소(14개 자치구) ※ 공공시설 23개소, 공동주택 20개소 - 이용자수 : 약 24천명(월평균 2,005명 - 공공시설 282명, 아파트 1,723명) ○ 주요 추진 내용 - 2020년까지 지역거점에 500개 이상 공구대여소 설치 및 운영 ※ 자치구 공유촉진사업비 지원 등 공구도서관 216개소 개관·운영(2016) 마을․학교 연계 추진 󰋼 아파트·마을 공동체 활성화 사업 및 학교와 연계하여 공구도서관 확대 ․공동체 활성화 사업을 통해 도서관 조성 및 운영비용 지원 ․중·고교 청소년 대상으로 학교 내 공구도서관 조성 홍보 공유 프로그램 활성화 󰋼 생활공구 외에도 다양한 일상 여가용품 등으로 공유물품 확대 ․망치․드릴 등 생활공구 외에도 스포츠․캠핑․여행용품 등 일상여가활동에 필요한 물품으로 공유물품 확대 󰋼 주민들이 직접 물건수리 및 가구 제작하는 공방 등 DIY 프로그램 확대 - 공유촉진사업, 아파트·마을 공동체활성화사업 공모․선정 - 서울시내 학교, 아파트 대상 공유서울 홍보물 발송 - 우수 공구도서관 및 프로그램 공유허브를 통해 수시 홍보 4. 다수부처 분산정책 문제 해결 1 기관협업으로 다문화․외국인 통합서비스 지원 ❖ 서울거주 외국인주민의 생활환경 개선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다수기관 업무협약으로 유용한 정보제공 및 전문상담 등 통합행정서비스 제공 □ 다문화, 외국인을 위한 글로벌센터 운영 ○ 추진 배경 - 외국인주민의 지속적 증가와 다양한 국적‧문화에 부합하는 맞춤형 정책추진 ․서울거주 외국인 증가 추이 : 148,966명(2006년)→408,083명(2015.11.1.) ․국적별 현황 : 중국(중국동포 포함), 미국, 베트남, 일본 순 ※ 서울거주 외국인이 전국 외국인 171만명의 23.8% 차지 - 서울거주 외국인주민(기업인, 결혼이민자, 근로자, 유학생 등) 대상 - 생활, 노무, 법률, 인권상담 등 외국인주민 상담수요 지속 발생에 따른 운전면허, 금융상담, 중국유학생 졸업증명 등 통합행정 업무 운영 ○ 주요 추진 내용 - 외국인주민 생활상담 및 전문상담 서비스 제공 ․ 생활상담 등에 10개 언어 통역 서비스 ․ 변호사, 노무사, 공인중개사, 인권전문가 등의 전문가 상담 - 안정적인 한국생활 정착 지원을 위한 한국어교육 운영 ․ 평일반 및 주말반 통합운영을 통한 수강생 접근성 제고 ․ 회화반 정규편성을 통해 실용적인 한국어 교육 ․ 수강생 수준을 고려한 단계별 토픽반 운영(초급, 중급, 고급) ․ 이중언어교실, 파양자를 위한 한국어교실 등 맞춤형 클래스 제공 - 찾아가는 이동상담 서비스 ․ 주말 외국인 주거‧상업 밀집지역, 외국인 행사, 축제 등에 찾아가는 맞춤형 상담서비스 제공으로 불편사항 해소와 생활정보 제공 - 운전면허, 금융상담, 중국유학생 졸업증명 등 통합행정 업무 운영 ․외국면허증을 한국면허증으로 교환발급, 한국운전면허증 갱신 ․은행업무 상담(통장개설, 카드발급 등), 중국유학생 졸업증명 발급 (외국인주민 생활상담 및 전문상담 서비스) (맞춤식 한국어교육 ) 2 소비자 피해구제 원스톱서비스 구축 ❖ 부서협업 소비자지원시스템 구축으로 인터넷․모바일을 통한 손쉬운 정보조회 및 민생피해구제 원스톱 서비스 제공 □ 소비자 피해구제 ‘눈물그만 사이트’운영 ○ 제도권 금융을 이용하기 어려워 대부업, 일수 등을 이용하거나 바쁜 생업활동으로 제대로 된 상담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저소득층 및 각종 민생침해에 노출되어있는 청장년층, 인터넷 사용이 어려운 정보접근이 떨어지는 노년층 등을 대상으로 운영 ○ 추진 배경 - 장기경제 불황 등으로 불법행위는 점차 다양화・증가 추세 - 저소득・어르신・청년 등 주요 취약계층은 정보 또는 접근성 부족으로 적시에 법률적 보호를 받기 어려운 경우가 많음. ○ 주요 추진 내용 - 취약계층 대상 온-오프라인 민생침해 원스톱 신고상담서비스 제공 - 불법 사금융․금융사기․다단계·떳다방 사기 등의 피해를 입지 않도록 적시에 민생침해 경보 발령, 예방 교육 및 홍보 병행 실시 ⇒ 시민 스스로가 피해를 예방하고 적시 대응할 수 있는 역량강화 ○ 추진실적 -「눈물그만」온라인 신고상담 사이트 운영(‘12~, 계속) ․ 월 평균 방문자 : (’14) 1,085명 → (’15) 1,070명 → (’16. 11월) 1,268명 ․ 연도별 상담건수 : (’14) 276건 → (‘15) 398건 → (’16. 11월) 468건 ※ 접속주소 : http://economy.seoul.go.kr/tearstop -「서울시 눈물그만 상담센터」(오프라인 센터) 개설(‘14~) 연번 상담분야 일일 근무인원 상 담 내 용 소관부서 1 소비생활 상담센터 소비자단체 1 소비자피해, 대부업․다단계등 민 생 경제과 2 불공정피해 상담센터 상담사 2 프랜차이즈,대기업-하청업체, 제조 하도급, 특판점-대리점 등 소상공인 지원과 3 상가임대차 상담센터 공인중개사 2 코디 1 상가임대료 및 관리비의 부당한 거래행위 상담 관련기관 연계 소상공인 지원과 4 금융복지 상담센터 상담사 2 가계부채, 채무조정, 가정재무설계, 복지서비스연계, 신용 Re-Start, 관재인 선임비(파산, 개인회생),『복지법률센터』등 연계 복 지 정책과 5 불법대부업 피해상담센터 상담사 2 피해상담, 분쟁조정신청, 민형사 소송 지원 민 생 경제과 - 찾아가는「눈물그만」상담실 운영(‘15~, 계속) ․ 운영 기간 : 9~11월(3개월간), 주 2회 14:00~17:00(3시간) ․ 방문 장소 : 임대아파트, 복지관, 전통시장 등 ․ 상담 분야 : (‘15년) 불법 사금융 (‘16년) 불법 사금융 및 어르신 피해가 많은 방문판매・상조 등 ○ 주요 추진 내용 - 피해확산 방지를 위한 ‘민생침해 경보’ 발령(계속) ․ 시기별・분야별 민생침해의 특이동향을 파악하여 보도자료, SNS등을 통하여 신속 전파 ※ ‘16년 주요 민생침해경보 사례 ‣ SNS활용 전자상거래 피해 증가(1월), 설명절 계기 대부업・다단계・상조 피해주의(2월), 해외구매대행서비스 소비자 피해주의(3월), 결혼중개서비스 소비자 피해 주의(11월) 등 -「눈물그만」온라인 사이트 운영 개선 및 홍보강화(계속) ․ 민생침해 피해예방 요령 및 상담센터 이용안내를 위한 홍보물 제작 ․ 눈물그만 사이트 이용자 편의증대를 위해 눈물그만 사이트 운영 개선 - 찾아가는 눈물그만 상담버스 운영(‘17~) ․ 찾아가는 상담․강의․피해예방 홍보에 최적화된 버스를 운영 ‣ 45인승 버스를 개조하여 상담실, 미니 강의실, 홍보부스를 마련 ․ 민생침해 정기상담 및 민생침해분야 기획상담 병행 운행 ‣ 민생침해 정기상담(불법 대부업, 다단계․상조, 전자상거래 등) ‣ 소상공인 지원센터 운영(소상공인지원과) 5. 정부3.0 변화관리 1 정부3.0 추진동력 확보를 위한 기관내부 성과평가 강화 ❖ 시민체감도 높은 가시적 성과 창출을 위하여, 핵심과제 성과관리 강화 1-1. 정부3.0 추진동력 확보를 위한 기관 성과평가 강화 ○ 중점과제별 추진상황 주기적 관리 및 평가 강화 - 이행과제별 책임자 지정·운영 및 주기적 추진상황 점검 ‧ 정부3.0 담당부서를 중심으로 중점과제별 추진실태 점검 - 기관 전체의 협업이 필수인 ‘정보공개 과제’ 등은 과제 주관부서에서 자체 교육 및 평가시스템 운영 추진 ‧ 시 본청 및 사업소 정보공개 처리실태 평가시스템 운영 ‧ 매월 정기 모니터링을 통해 행정정보공표 이행실태 관리 강화 ○ 정부3.0 주요 평가지표에 대한 기관평가에 반영 추진 - 전 부서를 대상으로 측정 가능한 지표는 대내․외 협력사업 평가 항목에 포함하여 성과평가에 반영 추진 ‧ 정보공개실적, 소통활동실적, 엠보팅 주진실적 등 협업··협치 관련 - 특정 부서를 대상으로 측정 가능한 지표는 대상부서의 주요사업 평가지표(BSC기반)에 포함하여 성과평가에 반영 추진 ‧ 사물인터넷 실증적용, 빅데이터 활용, 공공와이파이 확충 등 ○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 발굴 지속 추진으로 시민 체감도 제고 - 정부3.0 기반의 일하는 방식 개선·정보통신기술 활용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지속 발굴,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 창출 추진 ○ 정부3.0 평가 방식 및 지표 관련 부서 의견 수합 및 이에 따른 주기적 추진상황 점검 추진 1-2. 정부3.0 생활화 기반 강화 ○ 협업체계 구축으로 내부 추진체계 강화 - 정부3.0 핵심가치(개방,공유,소통,협력)에 대한 시민접점 직원의식 함양을 위해 전 실국본부 실행과제 담당자 회의 수시개최 및 교육 등으로 협업체계 구축 ○ 정부3.0 추진과제 발굴 및 확산체제 구축 - 정부3.0 실국별 대표브랜드 과제 발굴 추진 및 실적관리 : 2월~11월 - 행자부 선정 역점추진과제 중점추진 및 실적점검 : 3월~11월 - 정부3.0 서울시 우수·성공사례 타기관 확산 노력 * 우수사례 경진대회 및 성공사례 메뉴얼 보급 등 타기관 전파 2 정부3.0 핵심가치를 내재한 다양한 홍보 및 맞춤교육 추진 ❖ 시민의 체감도를 높이기 위한 정부3.0 추진실적 홍보 강화 및 직원 교육 실시로 인지도 향상 □ 정부3.0 개념 홍보를 위한 중앙부처의 다양한 홍보수단 연계 홍보 ○ (온 라 인) 정부3.0 서비스알리미, 정부3.0 이벤트 등 중앙부처의 정부3.0 개념 홍보수단 적극 활용, 대시민 홍보 연계 추진 ○ (오프라인) 정부3.0 관련 포스터, 브로셔, 사례집 등 대시민 접점 배포 □ 정부3.0 핵심가치를 내재한 우수사례별 수요자 맞춤 홍보 추진 ○ 공공데이터 및 빅데이터 활용, 엠보팅 등 현장중심의 시민소통 사례 등 우수사례 중심으로 온-오프라인 시민체감 홍보 추진 ‧ 시민체감 스토리 중심의 보도자료 제공 등 기획홍보 실시 ‧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민간활용 사례 소개, 국민체험마당 시민체험 행사개최 등 ○ 중앙부처 주관 우수사례 발표 대회 등을 통해 정부3.0 관련 市 대표 우수사례 홍보 추진 ‧ 정부3.0 벤치마킹 투어, 원스톱서비스 우수사례 보고회 등을 통한 우수사례 발표 및 타 기관에 우수사례 전파 □ 시민 체감도를 높일 수 있는 생활밀착형 정부3.0 홍보 강화 ○ 정부3.0 동영상을 활용한 시민 접점 홍보 실시 ‧ 신청사 옥외전광판, 홈페이지를 활용한 영상물 상영으로 시민이해 증진 ○ 정부3.0 실행과제 사업별 맞춤형 언론 홍보 추진 ‧ 시 정책사업 홍보시, 정부3.0 문구 삽입을 통한 정부3.0 연계 홍보 추진 ○ 한강몽땅 여름축제 및 설·추석명절 계기 정부3.0 집중홍보 ‧ 한강공원 등 여름철 다중이용시설 활용 정부3.0 동영상 홍보 및 명절계기 교통예보 언론보도시 정부3.0 문구 표출 등 집중 홍보 실시 □ 정부3.0 역량강화를 위한 직원 맞춤교육 실시 ○ 정부3.0 관련 자체 교육과정 개설·운영(1개과정 4,500명 대상) ‧ 정부3.0 추진 가치가 반영되어 있는 우수사례 중심의 자체 사이버교육과정(e-정부3.0의 이해) 지속 운영 ○ 정부3.0을 업무에 적용하여 성과창출 증대를 위한 자체교육 실시(연 2회) ‧ (대상) 본청 실‧국 5급이하 전직원 및 자치구 정부3.0 담당직원 ‧ (과정) 정부3.0 성과확산을 위한 전략과 과제 및 공공서비스디자인의 이해 등 ‧ (목적) 정부3.0 핵심가치(개방,공유,소통,협력)에 대한 시민접점 직원의식 함양 및 협업체계 구축에 기여 ○ 공무원교육훈련기관(인재개발원) 정부3.0 전문교육(집합교육) 실시 ‧ (대상 서울시 본청 실·국 및 자치구 소속 직원 ‧ (과정) 창조와 소통의 정부3.0 교육 ‧ (목적) 서울시 공무원의 정부3.0 이해도 제고 및 정책추진 노하우 습득 붙임 서울시 서비스정부 과제 서울시 서비스 정부 과제 목록 연번 대표과제 비 고 1 ○ 다둥이 행복카드 사업 추진 2 ○ 일자리플러스센터의 맞춤형 일자리 정보 제공 강화 3 ○ 우리마을 가게상권 분석서비스 4 ○ 구강관리 플랫폼 구축 5 ○ 태교숲! 실버숲! 생애주기별 녹색복지 추진 6 ○ 한장으로 다양한 혜택을 누리는 서울시민카드 도입 7 ○ 서울시 도서관 책이음서비스 구축 8 ○ 시민생활 맞춤형 콘텐츠서비스 활성화 9 ○ 계약정보 통합 공개를 통한 계약 투명성 확보 10 ○ 시각장애인 원격생활안전서비스 11 ○ 문화행사정보 통합관리를 통한 맞춤형 문화정보 제공 개선 12 ○ 서울시 마을세무사 운영 13 ○ 서울시 주차정보통합안내서비스 개선 14 ○ 찾아가는 서울시청 15 ○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16 ○ 초미세먼지 예보제 시행 1 다둥이 행복카드 사업 추진 주관부서 가족담당관 관련 협업기관 서울시 관할 25개 자치구 과제담당관 (담당자) 김명주 과장 (윤지원 주무관) 연락처 02-2133-5176 1. 과제개요 □ 추진 배경 ○ 다자녀 가정에 특화한 인센티브 부여방안을 마련해 출산을 장려할 필요가 있음 ※ 서울시 합계출산율 1.001명(2015년 기준)으로 17개 시·도 중 최저 수준 □ 서비스 수요 및 고객 대상 ○ 발급대상 : 서울시 거주 2자녀 이상(막내가 만 13세 이하) 가정 □ 과제 목표 및 주요 내용 ○ (목적) - 다자녀 가정에 다양한 경제적 혜택 및 문화생활 지원 - 서울시, 기업, 시민이 함께하는 가족친화적 출산양육 환경 조성 ○ (주요내용) - 서 울 시 : 참여업체 발굴, 신분확인용 발급 및 홍보 - 우리은행 : 신용, 체크 발급 및 우대혜택 제공 - 참여업체 : 다둥이 행복카드를 가진 가족에게 할인 및 우대혜택 제공 2. 이행계획 및 추진일정 □ 추진 경과 ○ 카드발급 : 50,504매(총 누계 396,167매) * 2016.10월말 기준 - 신용카드 200,706매, 체크카드 30,049매, 신분확인용카드 165,412매 ※최근 3년간 발급 실적 연도 발급대상 (매년 1월말 기준) 발급실적 발급누계(‘07.1~) 2014년 444,558세대 55,025매 289,954매 2015년 423,143세대 57,284매 345,663매 2016.10월말 444,865세대 50,504매 396,167매 ○ 협력업체 현황: 총 4,308개 (2016.10 기준) 출산/육아 문화/ 체육 마트/식품 청소년 시설 생활/금융 교육 의료/건강 서점/문구 주차장 외식 업체 도서관 기타 223 219 275 52 624 246 508 71 830 1065 48 147 □ 다둥이 행복카드 사업 추진 ○ 총 4,308개 협력업체에서 할인, 추가 서비스 제공 - 협력업체 육아용품(5~30%), 문화시설 및 놀이시설(10~30%), 외식(10~20%) - 서울상상나라(3자녀이상) 무료입장, 서울시공영주차장 2자녀가정 30%, 3자녀 이상 가정 50%할인, 서울영어마을 및 서울시청소년수련관(3자녀이상 가정) 50%할인, 한강시민공원이용료(주차장, 수영장, 눈썰매장 등) 30~50% 할인 등 ○ 우리카드사 적립금 활용 사업명 기간(2017) 적립금 사용액(백만원) 아이조아 아빠교실 3월~11월 81 아장아장 다둥이 마라톤 5월 100 다둥이 행복카드 홍보물 제작 및 홍보 8월 20 다둥이행복카드 협력업체 모니터링 10월 20 ○ 행복출산 원스톱서비스 통합처리 - 출생신고와 함께 한 번의 통합신청서 작성으로 카드발급 처리 3.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사업내용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계 다둥이행복카드 사업 추진 51 54 53 53 71 282 2 일자리플러스센터의 맞춤형 일자리 정보 제공 강화 주관부서 일자리정책담당관 관련 협업기관 고용노동부 고용서비스정책과 자치구 일자리관련부서 과제담당관 (담당자) 정진우 과장 (문혜영 주무관) 연락처 02-2133-5459 1. 과제개요 □ 추진 배경 ○ 시 주요 일자리사업 참여자들에 대한 취업지원 체계 미흡으로 안정적인 일자리로의 진입 저조 ○ 중소기업에 대한 상세정보 부족으로 채용공고에 대한 낮은 신뢰도 □ 서비스 수요 및 고객 대상 ○ 일자리관련 정보를 필요로 하는 모든 시민 ○ 구인 및 구직을 원하는 모든 기업 및 시민 ○ 공공근로 및 뉴딜일자리 등 시 일자리사업 참여 신청자 □ 과제 목표 및 주요 내용 ○ 시 주요 일자리사업 참여자에 대한 맞춤형 취업지원 기능 추가․보완 - 뉴딜일자리 사업 등 참여자 맞춤형 취업지원 ○ 중소기업에 대한 채용정보와 연계하여 상세정보 제공 - 기업신용정보 제공기관의 기업DB를 활용하여 기업 상세정보 제공 - 채용정보, 기업 상세정보, 스토리텔링 취재정보 등 통합 제공 □ 추진일정 ○ ’17.1.~9월 : 뉴딜일자리 사업 참여자 맞춤형 취업지원 기능 추가 - 뉴딜일자리 사업 참여 신청서 접수 및 관리 기능 추가 ○ ’17.1.~12월 : 중소기업 상세정보 제공 - 기업신용정보 제공기관의 기업DB를 활용하여 기업 상세정보 제공 2.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사업내용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계 2017년 서울일자리 플러스센터 전산망 운영 444 446 507 1,397 3 우리마을 가게상권 분석서비스 주관부서 통계데이터담당관 관련 협업기관 과제담당관 (담당자) 안정준 과장 (이나리 주무관) 연락처 02-2133-4266 1. 과제개요 □ 추진 배경 ○ 우리마을 가게상권(골목상권) 내 서민 자영업자 보호·육성 필요 - 진입 장벽이 낮은 골목상권의 특성상 상권내 유사업종의 밀집 현상으로 단기 폐업률과 타 업종 전환률 증가 ○ 밀집 포화상태의 생계형 자영업 시장에 대한 상권 정보 제공 필요 - 은퇴한 베이비부머 세대와 취업난을 겪고 있는 청년층 등 생계형 자영업자의 창업은 증가하고 있으나 골목상권에 대한 정보 부재 * 기존의 상권정보서비스는 골목상권에 대한 정보서비스 사각지대 ○ 시장상황 변화에 적절한 대응으로 기존 골목상권의 안정과 활성화 필요 - 상권내 공급, 경쟁구조, 소비자 트랜드 등 시장상황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고 불확실성을 줄여 수익성을 제고하기 위한 정보 획득 한계 □ 서비스 수요 및 고객 대상 ○ 서울시민, 서울시 및 투자․출연기관자치구 - 골목상권에서 자영업을 영위하는 중소상공인 또는 창업예정자 □ 과제 목표 및 주요 내용 ○ 민관협력 등으로 확보한 매출데이터 등 10종 32개의 빅데이터 융합․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서울 전역의 골목상권분석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 데이터셋 : 매출정보, 상가업소, 사업체, 인허가, 인가구, 소득/소비 등 ※ 민관협력(MOU)을 통합 빅데이터 확보(신한카드, 비씨카드, 한국전력공사) ○ 서울 전역에 골목상권 영역 구축 – 1,008개 - 영역기준 : 거주지 인근 좁은 도로를 따라 형성되는 사업세력의 범위로 대로변, 대형유통점 인근 반경 200m, 발달상권을 제외한 상가 밀집 지역 - 분석대상 : 외식업 등 생활밀착형 가게 43개 업종 ○ 자영업자의 창업위험도 정보를 사전에 제공하는 상권지수 개발 - 신규지수 : 자치구 단위로 산출한 창업시 위험도를 알기 쉽게 표출 - 과밀지수 : 수요 대비 공급의 포화정도로 신규진입 위험 정보 제공 ○ 골목상권에 특화된 빅데이터셋 구축 - 자영업자에 가장 필요한 내 가게 앞 도로라인의 유동인구 정보 제공 * 유동인구 : 가게(건물) 앞에 ②어떤 사람들이 ③언제 ④얼마나 통행하느냐 * 기존 통화량 기반 50m×50m 유동인구와 특정 지점의 유동인구 데이터는 크게 활성화되지 않은 골목상권의 경우 유동인구 정보 획득 한계 도로 포인트별 유동인구 도로 라인별 유동인구 - 골목상권 업종별 매출액 추정 정확도 향상 * 카드소비데이터 시장 점유율 약 44% 확보로 매출추정의 정확도 향상 * 매출추정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카드 및 현금비중 데이터 적용 - 골목상권의 특성과 수요 대비 공급의 적절성을 반영한 지수/지표 모델 개발로 창업 위험도 정보 제공 2. 이행계획 및 추진일정 □ 추진 경과 ○ 빅데이터기반 상권분석서비스 구축 사업(‘14.12.~’15.10.) - 골목상권영역 구축(1,008개) - 길단위 추정유동인구정보 개발 - 상권지수·지표 개발 ○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서비스 정식오픈(‘16.2.1.) ○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서비스 유지관리 및 개선사업 추진(‘16.6.~12.) - 서울시 골목상권 프로파일링 데이터 개방 - 네이버(naver.com) 협력 및 창업위험지수 검색서비스 제공 3.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사업내용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계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서비스 - 1,387 - 357 - 1,744 4 구강관리 플랫폼 구축 주관부서 건강증진과 관련 협업기관 과제담당관 (담당자) 박경옥 과장 (김유빈 주무관) 연락처 02-2133-7587 1. 과제개요 □ 추진 배경 ○ 학생 및 아동의 구강건강 불평등 해소 - 학생 및 아동 치과주치의사업으로 구강건강 수준 향상 · 예방진료를 제공받은 학생 충치 유병률 11.7%, 충치 치아수 85.2% 감소 - 사회 경제적 위치가 낮은 계층에서 보다 뚜렷한 효과 · 2백만원 미만 32.3%, 2~4백만원 4.8%, 4백만원 이상 9.1% 감소 ○ 구강의료 빅데이터 활용을 통한 구강보건산업 발전 - 구강위생행동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맞춤형 예방교육 및 예방진료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수요 및 고객 대상 ○ 학생 치과주치의 사업에 참여하는 초등학교 4학년 34,000명 ○ 25개 자치구 만 18세 미만 지역아동센터 및 국민기초생활수급가구 아동 11,000명 □ 과제 목표 및 주요 내용 ○ 취약계층 아동의 구강건강증진 -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응용기술을 통해 치과주치의 사업 대상자를 통합관리 및 연계하는 플랫폼 개발 - 취약계층 아동의 의료정보 및 개인구강행동에 따라 맞춤형 구강교육서비스 제공 ○ 구강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구강관리시스템 개발 - 통합관리 및 연계 플랫폼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 바탕으로 구강질환 관련 진단 가이드 및 진료보조가이드 프로그램 개발 ※ 구강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구강관리 시스템 구강의료 데이터수집 맞춤형 구강관리 시스템 구강질환 판단 알고리즘 서비스 제공 ① 최신 치의학 데이터 · 구강검진 데이터 · 구강진단 데이터 · 구강치료 데이터 전문구강 DB 기반의 사전진단평가 구강질환 위험도평가 높음 예방진료 추천 및 지역병원 연계 · 홈메우기, 불소이용, 치석제거 · 자동예약 및 치과정보제공 ② 치과주치의사업 데이터 · 구강진료 패턴 · 구강진료 가이드 · 문진기록 데이터 구강진료 DB기반의 구강진료보조 가이드 보통 맞춤형 예방교육 프로그램 ·구강위생관리 행동평가 ·구강위생관리 방법추천 ③ 구강위생 행동데이터 · 칫솔질, 치실질 · 식습관 데이터 · 문진기록 데이터 개인구강위생 행동분석 DB 낮음 2. 소요예산 ○ 비예산 : 민관 컨소시엄형태 사업 5 태교숲! 실버숲! 생애주기별 녹색복지 추진 주관부서 공원녹지정책과 관련 협업기관 25개 자치구 과제담당관 (담당자) 최윤종 과장 (박진영 주무관) 연락처 02-2133-2026 1. 과제개요 □ 추진 배경 ○ 시대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공원녹지정책 실현을 위한 녹색문화 확산 사업으로 녹색복지 구현 필요 - 1인 가구증가, 고령화 사회 진입 등 사회구조 변화와 건강복지 서비스 수요 증가로 공원녹지에서 휴식을 넘어 건강증진과 스트레스 완화 시민 수요 증가 □ 서비스 수요 및 고객 대상 ○ 태교숲 : 비교적 임신 안정기에 들어선 16주 이상의 임산부, 남편 등 ○ 실버숲 : 만 65세 이상의 노인 □ 과제 목표 및 주요 내용 ○ 태교숲 - 숲 체험을 통한 태아와 산모와의 상호교감 기여 - 산모의 우울감과 불안감 완화로 정서안정에 도움 ※ 숲 속 음이온은 자율신경을 조절하고 혈액순환을 도와 산모의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함 ○ 실버숲 - 숲에서의 다양한 활동 등을 통한 노년기 우울증, 운동능력 개선 - 심신안정 및 소외감 해소 2. 이행계획 및 추진일정 □ 태교숲, 실버숲 운영 (※’16부터 시행) ○ 추진일정 - ‘17. 1. ~ 2. : 추진계획 수립 및 대상지 조사 - ‘17. 3. ~ 4. : 대상지 선정 - ‘17. 4. ~ 11. : 프로그램 운영 사업내용 '13년∼'14년 '15년 '16년∼'17년 태교숲 - - 5개소 실버숲 - - 5개소 3. 소요예산 ○ 태교숲, 실버숲 (단위 : 백만원) 사업내용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계 태교숲 20 30 50 실버숲 20 30 50 계 40 60 100 6 한장으로 다양한 혜택을 누리는 서울시민카드 도입 주관부서 자치행정과 관련 협업기관 행정자치부(지역정보개발원) 과제담당관 (담당자) 임동국 과장 (나홍주 주무관) 연락처 02-2133-5846 1. 과제개요 □ 추진 배경 ○ 회원카드를 발급·운영하는 공공시설은 현재 각 시설별로 회원관리를 하고 있으며, 운영 프로그램, 수강 강좌 등 이용정보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시설별 홈페이지 등에 각각 회원으로 가입해야 하는 번거로움 존재 ○ 여러 개의 회원카드를 소지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고, 이용을 원하는 공공시설의 프로그램 등 운영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통합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 조성 필요 □ 서비스 수요 및 고객 대상 ○ 회원카드를 발급·운영하는 공공시설 약 430개소, 회원 4,332천명 - 시립시설 : 29개소(서울도서관 등), 회원 873천명 - 구립시설 : 403개소(구민체육센터 등), 회원 3,459천명 □ 과제 목표 및 주요 내용 ○ 서울시민카드 통합관리 플랫폼 구축·운영 - 공공시설 회원카드를 모바일카드로 발급(모바일카드로 회원인증) - 공공시설 정보제공(프로그램 등 운영정보, 도서대출 등 개별 이용정보) - 회원 가입비 납부 등 결제기능 제공 - 공공시설이용 데이터를 활용한 시민의 행정수요 발굴 2. 이행계획 및 추진일정 □ 추진 경과 ○ ’16.7~9월 : 공공시설 회원카드 통합 모바일카드 사업 타당성, 추진방안 자문(SK플래닛 등 7개 업체) - 모바일로 통합할 경우 시민편의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16.9.26 : 모바일 플랫폼 기반 서울시민카드 추진계획 수립 ○ ’16.10~11월 : 서울시민카드 추진 서울시 유관부서 사업설명 - 29개 시립시설 유관 10개부서(청소년담당관 등) ○ ’16.11월 : 서울시민카드 도입 관련 자치구 의견 수렴 □ 통합관리 플랫폼 구축 상세설계 용역 ○ 용역기간 : ’16.12월 ~ ’17.3월(4개월) ○ 주요과업 : 공공시설별 회원카드 운영현황 조사·분석, 확장성을 고려한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시스템 구축 설계 □ 통합관리 플랫폼 구축 ○ 보안성 검토, 사업자 계약 체결(’17.2월 ~ 4월) ○ 통합관리 플랫폼 구축 및 시범 운영(’17.5월 ~ 10월) □ 통합관리 플랫폼 본격 운영 : ’17. 하반기 ○ 시립시설 위주로 추진(’17년), 구립시설은 단계적으로 확대(’18년) 3.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사업내용 '13년∼'14년 '15년 '16년∼'17년 ISP수립 및 상세설계 용역 57 58 통합관리 플랫폼 구축 844 7 서울시 도서관 책이음서비스 구축 주관부서 문화본부 서울도서관 도서관정책과 관련 협업기관 국립중앙도서관, 서울도서관 행정지원과, 책이음서비스 참여 희망 자치구 과제담당관 (담당자) 박수정 과장 (김윤진 주무관) 연락처 02-2133-0223 1. 과제개요 □ 추진 배경 ○ 한 장의 회원증으로 전국 공공도서관 도서의 대출·반납이 가능한 ‘책이음서비스’를 관내 도서관에 도입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 지원 ○ 참여 도서관의 책이음서비스 도입을 위해 서울 지역센터(서울도서관) 및 통합센터(국립중앙도서관)와의 연계 추진 □ 서비스 수요 및 고객 대상 ○ 서울도서관을 포함하여 책이음서비스를 도입한 관내 참여 도서관에 방문하여 대출·반납 등 도서관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이용자 - 타 시·도 주민 모두 해당됨 □ 과제 목표 및 주요 내용 ○ 관내 모든 공공·작은도서관이 책이음서비스를 시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 구축 및 조례 등 관련 규정 개선 지원 - 회원증 발급 비용 및 시간 절약으로 도서관 이용 편의 제고 2. 이행계획 및 추진일정 □ 추진 경과 ○ ‘15년 참여 도서관 책이음서비스 시행 : ‘16. 3. 29. - 서울도서관 및 동대문구, 은평구, 중랑구 등 24개 공공·작은도서관 ○ ‘16년 참여 도서관 책이음서비스 구축 지원 : ’16. 2월 ~ 12월 - 참여 도서관 확정 및 국고보조금 1차 수령 : ‘16. 3월 ~ 4월 - 국고보조금 2차 수령 및 국·시비보조금 교부 : ‘16. 7월 ~ 9월(2회) - 참여 도서관 책이음서비스 시스템 구축 : ‘16. 7월 ~ 12월 ※ ‘16년에는 서대문구, 서초구, 영등포구, 종로구 등 4개 자치구 77개 공공·작은도서관이 참여함 ○ ‘17년 참여 희망 도서관 수요 조사 실시 및 확정 : ’16. 10월 ~ 12월 □ 세부 과제명 ○ ‘16년 참여 도서관 책이음서비스 시행 : ’17. 1분기 중 - 시나리오별 연계 테스트, 관련 규정 정비, 홍보 등 ○ ‘17년 참여 도서관 책이음서비스 구축 지원 : ’17. 1월 ~ 12월 - 국·시비보조금 교부 : ‘17. 1월 ~ 9월(2회) - 책이음서비스 시스템 구축 : ‘17. 1월 ~ 12월 ※ ‘17년에는 강동구, 강북구, 관악구, 광진구, 도봉구, 마포구, 송파구 등 7개 자치구 76개 공공·작은도서관 참여 예정 3. 소요예산 ○ 연도별 추진 예산 (단위 : 백만원) 사업내용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계 서울 지역센터 구축 및 서울도서관 책이음서비스 시스템 연계 - - 190 - - 190 참여도서관 책이음서비스 구축 지원 - - 210 600 500 1,310 계 - - 400 600 500 1,500 ※ 국비 50%, 시비 50% 매칭 사업임 8 시민생활 맞춤형 콘텐츠서비스 활성화 주관부서 정보기획담당관 관련 협업기관 과제담당관 (담당자) 이기완 과장 (이연미 주무관) 연락처 02-2133-2943 1. 과제개요 □ 추진 배경 ○ 2012년 서울시 홈페이지 개편이후 정보기술의 발전과 변화의 흐름에 즉각적인 대처 미흡 ○ 서울시 홈페이지 방문자의 선호도 데이터를 분석, 차별화된 최적의 정보를 제공하는 등 개인화 마케팅 적용으로 시민 만족도 제고 필요 □ 서비스 수요 및 고객 대상 ○ 서울시 홈페이지 방문자 □ 과제 목표 및 주요 내용 ○ 이용자 편의성 강화를 위해 서울시 분야별 홈페이지를 개선하고 방문자의 로그 분석으로 개인의 선호도에 맞는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재방문율과 이용률 증가에 기여 ○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모바일 사용자를 위한 관련 서비스 강화 2. 이행계획 및 추진일정 □ 서울시 분야별 홈페이지 개선 및 맞춤서비스 운영 ○ 서울시 분야별 홈페이지 메인 및 기능개선 - 간결한 정보제공과 이용자 편의성 향상을 위한 분야별 메인화면 개선 - 다양한 정보유형을 효과적으로 표출하기 위한 템플릿 개발 - 소셜댓글(트위터, 페이스북, 다음카카오 등), 스크랩(블로그, 메일 등) 등 시민들이 많이 사용하는 SNS 연동 서비스 운영 ○ 서울시 분야별 홈페이지 개인화 추천서비스 운영 - 홈페이지 분야별 사용자 로그분석을 통해 연관콘텐츠, 개인화콘텐츠, 인기콘텐츠 등 추천서비스 제공 - 스크립트 방식의 상용화된 추천서비스 분석도구 활용으로 서비스 질 향상 □ 모바일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 강화 ○ 접근성 편의성이 강화된 사용자 맞춤 모바일 서비스 제공 - 모바일 신청 확대 및 지하철도착정보 등 자주 찾는 서비스 운영 -생활편의 및 시정정보 등 이용자가 선택한 관심분야의 소식을 모바일서울앱의 푸쉬 알림으로 제공 - 시정 정보를 모바일, 태블릿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 최적화하여 서비스 제공 3.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사업내용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계 맞춤형 콘텐츠서비스 활성화 100 200 106 406 9 계약정보 통합 공개를 통한 계약 투명성 확보 주관부서 재무과 관련 협업기관 행자부, 조달청, 중기청 등 과제담당관 (담당자) 김윤규 과장 (신현민 주무관) 연락처 02-2133-3226 1. 과제개요 □ 추진 배경 ○ 계약업무의 체계적인 관리 및 계약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필요 □ 서비스 수요 및 고객 대상 ○ 계약정보를 활용하는 서울시 공무원, 일반 시민 및 기업 □ 과제 목표 및 주요 내용 ○ 과제목표 : 공개와 소통으로 효율적이고 투명한 서울시정 구현 ○ 주요내용 - 공공조달 투명성 확대를 위한 계약정보 공개 확대 - 계약정보에 대한 체계적인 통합관리로 업무 효율성 극대화 - 쌍방향 소통에 기반한 희망기업 제품구매 활성화 체계 정립 2. 이행계획 및 추진일정 □ 추진 경과 ○ ‘서울계약마당’ 홈페이지 오픈 : ‘16.2월 - 본청/사업소/25개 자치구/투자출연기관의 발주계획, 입찰·개찰정보, 계약정보 통합 공개 ○ 실적증명 발급 오픈 : ‘16.7월 - 용역, 공사, 물품 등 3종 □ 공공조달 투명성 확대를 위한 계약정보 공개 확대 ○ 홈페이지, 클린재정시스템 등 개별 공개되는 계약정보 통합 공개 ○ 발주계획부터 계약, 대금지급까지 전 과정 공개 □ 계약정보에 대한 체계적인 통합관리로 업무 효율성 극대화 ○ 본청/사업소/자치구/투자출연기관 계약업무 정보 통합 관리 ○ 국토부 행정처분, 조달청 부정당업자 이력 통합관리 □ 쌍방향 소통에 기반한 희망기업 제품구매 활성화 체계 정립 ○ 장애인기업, 여성기업 등 우수제품을 생산·판매하는 희망기업 정보 제공 ○ 희망기업 제품 구매 활성화를 위한 자치구별 희망기업 지도(위치)서비스 제공 3.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사업내용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계 시스템구축운영 408 160 568 시스템유지관리 53 98 86 237 계 408 195 98 86 805 10 시각장애인 원격생활안전서비스 주관부서 장애인복지정책과 관련 협업기관 행정자치부 한국정보화진흥원(NIA) 과제담당관 (담당자) 이동수 과장 (김혜진 주무관) 연락처 02-2133-7445 1. 과제개요 □ 추진 배경 ○ 장애인활동지원의 시간과 예산부족한계 보완 ○ 시각장애인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 부족에 따른 일상생활문제 해결 ○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지속적인 맞춤형 정보 및 정보접근 경로 제공 □ 서비스 수요 및 고객 대상 ○ 서울시 거주 시각장애인 및 장애인 가족 □ 과제 목표 및 주요 내용 ○ 유비쿼터스 기반으로 한 시각장애인의 주도의 자립생활 지원 ○ 시각장애인의 일상활동 및 외출에 따른 위험방지 및 사고예방 기여 ○ 활동지원 및 서비스 환경 구현을 통한 사회참여 기회확대 및 역량 강화 2. 이행계획 및 추진일정 □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서울지부에서 제안, 서울시 공모 : ‘14. 12. ○ 주관기관(서울특별시), 시행기관(한시련서울지부에서 콜센터 운영) 등으로 추진 □ u-서비스지원사업에 서울시 추진과제 선정 : ‘15. 4 ○ u-서비스지원사업 : 행정자치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NIA) 출연사업 협약 ○ 상담콜센터가 예산 등의 사유로 도우미(지인 및 자원봉사자)로 대체 □ 엔젤아이즈앱 등 시스템 구축 : ‘15. 8. ∼ ’15. 12. □ 참여 시각장애인 모집(112명) : ’15. 12. ○ 교육장소 : 맹학교, 성북시각장애인복지관, 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관 ○ 서비스기간 : ‘15. 12 ∼ 현재 ○ 도우미 : 지인, 공공근로 , 120번수화콜센터 □ 유지관리 및 기능개선 : ’17. 1. ~ ’17. 12. □ 참여 시각장애인 분기별 시스템 교육 : ’17년 분기별(예정) 사업내용 '15년 '16년 '17년 시각장애인 원격생활안전 서비스 엔젤아이즈앱 구축 등  시각장애인 모집·교육  120번수화센터 등 도우미 활동  시스템의 안정화  공공근로, 120번수화센터 등 도우미활동  시스템 유지보수 및 기능개선  분기별 시스템 교육 3.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사업내용 '15년 '16년 '17년 계 시각장애인 원격생활안전 서비스 528(전액국비) 10 73 611 11 문화행사정보 통합관리를 통한 맞춤형 문화정보 제공 개선 주관부서 문화정책과 관련 협업기관 서울시 산하기관, 자치구 문화체육관광부, 민간 공연기관 등 과제담당관 (담당자) 박대우 과장 (이현 주무관) 연락처 02-2133-2548 1. 과제개요 □ 추진 배경 ○ 각 기관별로 분산·홍보되고 있는 각종 전시, 공연, 문화강좌 등 문화행사정보의 실시간 등록 및 수집이 가능토록 관련 통합관리시스템(서울문화포털사이트) 운영을 통한 맞춤형 문화정보 제공 필요 □ 서비스 수요 및 고객 대상 ○ 문화행사정보가 필요한 시민, 홍보가 필요한 공공·민간 공연기관 □ 과제 목표 및 주요 내용 ○ (추진목표) 맞춤형 문화행사정보 서비스 제공을 통한 시민 문화생활 향유 기회 확대 ○ (사업기간) 2011년 ~ (계속사업) 2. 이행계획 및 추진일정 □ 추진 경과 ○ 서울문화포털 홈페이지 구축(‘11년) - 서울시산하 및 민간기관 문화정보 수집, 문화일자리/공모 정보 제공 ○ 서울문화포털 홈페이지 고도화 시행(‘12~’13년) - 사이트 기능개선 및 모바일웹 홈페이지 구축 ○ 서울문화포털 유지관리 및 기능개선 시행(‘14년~) - 문화행사정보 수집방법 개선(일괄수집 → 자체등록 후 승인) 및 홍보 확대 ※ 서울문화포털 문화행사 등록건수 대폭 증가(‘14년 12천건 → ’16년 22천건) □ 서울문화포털 홈페이지 리뉴얼 및 기능개선 개발 (‘17.상반기) ○ 사용자 편의성 및 활용성 향상을 위한 홈페이지 리뉴얼 개발 - 2012년부터 운영중인 홈페이지 리뉴얼 개발 - 사용자 편의성 극대화를 위한 홈페이지 기능개선 개발 ○ 서울시 축제정보 아카이브 웹서비스 개발(신규) - 매년 서울시에서 지원·개최되는 축제관련 아카이브 관리 서비스 구축 - 축제정보 웹서비스 시행으로 자치구별 축제자료 관리 및 시민 홍보 □ 서울문화포털 홈페이지 안정적 운영 및 관리 (‘17. 연중) ○ 자치구 인센티브 사업 연계로 문화행사정보 안정적 수집 및 등록 활성화 - 25개 자치구 문화행사정보 등록 모니터링 및 실적 관리 ○ 개인 맞춤형 문화행사정보 검색서비스 및 월별문화행사정보 제공 - 맞춤형(기간별, 지역별, 장르별 등) 및 키워드 검색서비스 및 연계 API 제공 - 문화포털 등록 정보 대상으로 ‘월별문화행사’ 브로셔 제작 및 메일링 서비스 □ 서울문화포털 홈페이지 활성화를 위한 홍보 (‘17. 상반기) ○ 민간 문화시설(510개소) 문화포털 행사정보 등록 적극 홍보 - 공연장, 박물관 등 민간 문화시설 510개소에 문화포털 홍보 공문 발송 3.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사업내용 '13년이전 '14년 '15년 '16년 '17년 계 유지관리 및 기능개선 228 40 24 31 51 374 12 서울시 마을세무사 운영 주관부서 세제과 관련 협업기관 한국세무사고시회 과제담당관 (담당자) 김병철 주무관 (세무 6급) 연락처 02-2133-3354 1. 마을세무사 개요 □ 추진 배경 ○ 세금문제는 누구나 겪는 공통사항이나 전문지식이 부족한 시민들이 쉽게 문의하고 해결하기가 어려운 상황 ○ 세무행정의 복잡화 등 환경변화에 따라 세무상담 수요 및 과세불복 청구 증가에 따라 납세자 편의 및 적극적 구제권리 전환 필요 ○ 전문성과 열의를 갖춘 세무전문가인 세무사의 적극적인 재능기부 의사 및 시정 참여의지 분위기 확대 □ 서비스 수요 및 고객 대상 ○ 세금관련 고민으로 전문가 의견이 필요한 시민 ○ 각종 사업추진 시 세금 관련 자문이 필요한 부서 및 시 산하·위탁기관 □ 사업세부 내용 서울시 마을세무사 (서울시,한국세무사고시회, 마을세무사, 자치구 참여) 불복청구 지원 시 위탁기관 등 자문 세무상담 · 1천만원 미만 지방세 · 지방세·국세 · 1차 비대면, 2차 방문 · 세무·회계 자문 ○ 구 성 : 25개구 208개동 213명(’16) ⇨ 241개동 246명(’17) ※ 20개구 95개동 143명(1기, ’15) ○ 임 기 : 2년 (2기 : ’16.1.1.~ ’17.12.31) ○ 주요활동 : ①세무상담 ②이의신청·심사청구 등 불복청구 지원 ③ 시 위탁기관 세무상담 ④ (필요시) 시 세정분야 참여 구 분 내 용 세무관련 상 담 · 마을(동) 단위로 지정된 세무사가 상시 1:1 상담 · 1차로 전화·팩스‧메일로 상담, 필요시 대면상담 ※ 국세‧지방세 모두 상담 대상으로 함 불복청구 지 원 · 청구세액 1천만원 미만으로 납세자의 재산수준 등을 고려한 영세납세자 ※ 지방세에 한정 시 위탁기관 세무상담 등 · 市 위탁기관 요청시 세무‧회계 관련 상담‧자문 지원 · 서울시 세무행정 분야에 대한 자문과 모니터링, 제도개선 제안 등 ○ 운영체계 마을세무사 실무협의회 서 울 시 마을세무사 위촉 및 전반적 운영관리, 제도홍보 자 치 구 (동주민센터) 제도홍보 및 안내, 상담공간 제공 마을세무사 활동지원 및 실적관리 한국세무사고시회 마을세무사 추천 및 활동지원 서울시와 마을세무사 연계 󰋮 마을세무사 운영·관리 󰋮 의견수렴 및 제도개선 마을세무사 세무상담, 불복청구 지원 등 2. 추진실적 및 계획 □ 추진 경과 ○ ’15.01.01. 제1기 서울시 마을세무사 전국 최초 출범 ○ ’15.11.13. 제2기 마을세무사 위촉 ○ ’16.08.19.「마을세무사 운영성과 및 활성화 계획」수립·시행 ○ ’16.12.27. 제2기 마을세무사 추가위촉 □ 정책성과 ○ 전국 지자체 최초 세정분야 민관협력 시행(’15.1.1 ~) - 동 단위의 전담 마을세무사 지정으로 주민밀착형 생활행정 구현 - 영세사업자 지원, 현안문제 지원 등으로 마을세무사 활동영역 확대 - 신속·편리한 상담 및 단계별 지원체계로 시민이용 및 호응 지속 증가 ‣ 1차(전화 등) → 2차(방문) → 불복청구(이의신청 등)까지 단계적 지원 < 상담실적(’15.1~’16.11월)> 계(건) 전화 방문 메일 팩스 계 4,786 739 77 13 ’15년 1,780 344 36 8 ’16.11월 3,006 395 41 5 ○ 전 자치구로 확대 및 수요층별 지원 강화, ‘2기 마을세무사’ 출범(’15.11.13) - 전 자치구 대상 대시민 세무상담서비스 체계 구축 ‣ 20개구 95개동 143명(1기) → 25개구 208개동 213명(2기) - 상담수요가 집중되어 있는 수요층(지역)대상 맞춤형 상담체계 신설 ‣ 전통시장 24개소, 8개 자치구 소상공인회를 위한 마을세무사 지정(32명) ○ 제2기 서울시 마을세무사 시행(’16.1.1 ~) ○ 마을세무사 제도 전국 확대 시행(’16.6. ~, 행자부) - 전국 1,177명 마을세무사 무료세무상담 서비스 실시 ○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제2기 마을세무사 추가 위촉(’16.12.) - 208개동 213명(’16.) → 241개동 246명(’17.1 ~) 3. 소요예산 ○ 비예산 13 서울시 주차정보통합안내서비스 개선 주관부서 주차계획과 관련 협업기관 서울시 각 자치구 주차관리과 과제담당관 (담당자) 윤보영 과장 (이종운 주무관) 연락처 02-2133-2356 1. 과제개요 □ 추진 배경 ○주차장 위치, 주차가능정보 안내시스템 부재로 불법주차 야기, 배회차량 증가 등으로 교통혼잡 가중 ○구별, 시설별로 정보제공 시스템 구축시 예산낭비, 이용자 혼란요인 작용 ※ 주차장 운영권한이 시,구,공단,개인사업자로 분리되어 통합안내시스템 부재 ○시민들이 언제, 어디서나, 목적지 주변 주차장을 쉽게 찾아가서 이용할 수 있도록 가용 주차장 정보 확대 제공할 필요 □ 서비스 수요 및 고객 대상 ○ 주차장 이용 일반시민 ○ 서울시 및 자치구 주차관리부서 공무원 □ 과제 목표 및 주요 내용 ○ 앱 & 웹서비스를 통한 주차장 이용 정보 대시민 서비스 제공으로 주차편의 및 이용 효율성 제고 - 도심 공영주차장에 우선적으로 실시간 주차정보 시스템 설치 - 실시간 주차정보 생성 주차장을 통합주차정보안내시스템을 통해 공공에서 민간으로 연계·확대 2. 이행계획 및 추진일정 □ 추진 경과 ○ 주차장 기본정보 및 실시간 주차가능 정보(공영주차장) 제공(14.2~) - 기본정보(위치, 요금, 운영시간 등) : 공‧민영 3,037개소 355,727면 - 실시간 주차가능 정보 : 공영 135개소 16,311면, 민영(부설) 13개소 6,963면 ※ 2016년도 실시간 주차정보 신규 연계실적 : 21개소(공영19, 민영2) 2,863면 (’15.12월말 조사 기준) 구 분 공영주차장 민영(부설포함) 소 계 시영 구영 개소 면수 개소 면수 개소 면수 개소 면수 기본정보 886 87,005 253 34,986 633 52,019 2,151 268,722 실시간 주차가능정보 135 (15.2%) 16,311 (18.7%) 107 (42.3%) 13,125 (37.5%) 41 (6.5%) 3,168 (6.1%) 13 (0.6%) 6,963 (2.6%) ○ 주차정보 웹&앱 기능개선(15.1~12) - 도로명 새주소 기반 목적지 검색기능 추가 - 실시간 연계 주차장에 대한 혼잡도 인덱스 제공 - 지도 해상도 확대 및 UI디자인 개선 ○ 실시간 주차정보 연계 확대(16.1~12) - 공공 및 민간부설주차장 실시간 주차정보 연계 4곳 추가(’16.5~11) - 공영주차장 12개소 주차장 검지기 설치 및 정보제공(’16.9~12) ○ 민간주차장 정보제공 참여 독려 위한 인센티브 마련(’16.3~6) - 주차관제시스템 설치 및 주차정보제공시 교통유발부담금 10% 경감 ※ 시의회 교통위원회 교통유발부담금 경감 조례 개정안 통과(’16.6.20) □ 주차정보통합안내시스템 운영 ○ 공영주차장 실시간 주차정보 제공 확대 실시(’16~) - 공영주차장 신규 건설(지원)시 실시간 정보제공 의무화(자치구 포함) - 시영주차장 민간위탁 업체 선정시 계약조건으로 관할 주차장에 대한 주차정보 안내 시스템 구축 관리 의무화 ○ 민간주차장 실시간 주차정보 연계 확대(‘17~) - 대규모 개발 및 시설에 대한 교통영향평가시 교통개선대책에 반영 - 민-관 협력을 통한 실시간 주차정보 제공 확대 ※ 민간 주차앱 회사와 업무협약을 통해 민간주차장 실시간 주차장보 연계 사업내용 '13년∼'14년 '15년 '16년∼'17년 주차정보통합안내시스템 구축 및 확대운영 주차정보통합안내시스템 구축 및 운영 주차정보통합안내시스템 운영 주차정보통합안내시스템 확대운영 도심 공영주차장 주차정보시스템 설치(20개소) 민간주차장 실시간 주차정보 연계(40개소) 3. 소요예산 ○ 주차정보통합안내시스템 운영 (단위 : 백만원) 사업내용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계 주차정보통합안내시스템 구축 및 확대운영 511 114 478 492 232 1,817 14 ‘찾아가는 서울시청’ 주관부서 신속행정담당관 관련 협업기관 복지상담 및 민원행정서비스 제공부서 과제담당관 (담당자) 김영란 과장 (백미경 주무관) 연락처 02-2133-4251 1. 과제개요 □ 추진 배경 ○ 오프라인 세태, 행정청 방문이 어려운 어르신 및 행정서비스 사각지역에 ‘찾아가는 서비스’지원 필요 ○ 소외 계층 및 지역주민에게 특화된 맞춤형 홍보·상담으로 보편적 행정 구현 및 시민요구 충족 □ 서비스 수요 및 고객 대상 ○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제공되는 현장 행정서비스 □ 과제 목표 및 주요 내용 ○ 소외계층에 대한 밀착서비스 강화 및 방문지역 다양화 - 방문지역 특성(취약계층 밀집지역, 이주노동자 다수지역 등)에 맞는 맞춤형 1:1 민원 행정서비스 제공 ○ 협업을 통한 정보 제공 콘텐츠 특화 및 다양화 - 관련 부서 및 기관에서 운영 중인 전문 행정 상담 및 정보제공과 연계하여 운영 효율성 기대 2. 이행계획 및 추진일정 □ 추진 경과 ○ 시장공약사항 <혁신-75> : ’14. 5월 ○ 찾아가는 응답소(시청트럭) 운영개시 : ’15.7월 ~ ’16.9월 ○ 찾아가는 서울시청 명칭 변경 : ’15.10 ~ 현재 □ 세부 과제명 ○‘찾아가는 서울시청’운영 - 운영인력 : 4명(전담요원3, 운전원1) - 운영규모 : 시청트럭(3.5톤) 1대 및 간이 상담석(텐트) - 방문지역 : 유동인구 많은 지역 중심으로 순회 방문 - 주요내용 : 일반 민원 및 행정서비스 1:1 맞춤형 전문 상담 등 ※ 민원상담·접수 및 행정정보제공, 무인민원발급기 운영(제증명 50여종 현장발급) 관련부서 및 기관과의 협업을 통한 수혜적 행정서비스 확대 사업내용 '13년∼'14년 '15년 '16년∼'17년 찾아가는 서울시청 ·방문횟수 : 67회 ·처리현황 : 총3,200건 - 상담3,069건 접수 131건 ·방문횟수 : 96회 ·처리현황 : 총4,500건 - 상담2,378건 접수 162건 3. 소요예산 ○‘찾아가는 서울시청’운영 (단위 : 백만원) 사업내용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계 찾아가는 서울시청 90 34 31 155 15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주관부서 자치행정과 관련 협업기관 참여 자치구, 동사무소 과제담당관 (담당자) 유보화 과장 (김성훈 주무관) 연락처 02-2133-5834 1. 과제개요 □ 추진 배경 ○ 복지예산 및 복지업무 급증 대비, 사회복지인력 충원미흡 - 복지업무 급증 및 동주민센터에 모든 복지업무가 집중되는 깔때기 현상 ○ 빈곤위기가정을 직접 찾아가는, 수혜자 중심의 복지행정 미흡 - 송파 세모녀 가정과 같은 복지사각지대 은둔 빈곤위기가정 존재 - 복지서비스를 누구나 누릴 수 있도록, 찾아가는 복지로의 전면적 전환 필요 ○ 공공복지재원 한계 극복을 위한 주민주도 복지생태계 활성화 필요 - 민간자원의 효율적 활용 및 복지자원 총량 확대 필요 ○ 마을 단위 공동체를 통해 주민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 나가는 기반 마련 필요 □ 서비스 수요 및 고객 대상 ○ 주요정책 대상자 : 기존 복지수혜자, 빈곤위기가정, 65세 도래 어르신, 출산가정 ○ 서브대상자 : 주민자치위원, 통․반장, 마을계획단, 일반 주민 □ 과제 목표 및 주요 내용 ○ 추진목표 : 민원·행정 중심의 동주민센터를 복지·건강‧마을 거점으로 혁신 ○ 사업기간 : 2015.7.1~(계속사업) ○ 주요내용 - 찾아가는 복지플래너 운영 : 어르신, 출생가정, 빈곤위기가정 대상 - 통합 복지서비스 제공 : 복지상담전문관, 동 단위 사례관리 도입 - 마을공동체 조성 : 소모임 발굴 등 통한 주민역량강화‧마을계획 - 주민자치위원회 활동 강화 및 동주민센터 공간개선 등 동 행정혁신 2. 이행계획 및 추진일정 □ 추진내용 ○ 사업 시행 동의 점진적 확대 - 2015년 7월 : 13개 자치구 80개 동 - 2016년 7월 : 14개 자치구 203개 동(누적 : 18개 자치구 283개 동) ※ 시행지역(’16.12.31 현재):종로, 성동, 광진(시범운영), 동대문, 성북, 도봉, 노원, 은평, 서대문, 마포, 양천, 강서, 구로, 금천, 영등포, 동작, 관악, 강동 ○ 사회복지․간호․마을 인력충원을 통한 찾아가는 복지실현 - 충원인력 : 총 1,941명 (2015년 : 606명, 2016년 : 1,335명) - 복지․건강 사각지대 발굴 등 현장방문 횟수 2.4배 증가 - 복지상담 건수(95%), 복지급여 신청(14%) 증가 - 빈곤위기가정 신규발굴 및 사례해결 증가 : 12,281가구 ○ 마을계획단 활동, 마을총회 개최 등을 통한 마을공동체 기반 마련 - 14개 동에서 총 1,058명의 마을계획단 구성(동 평균 75.6명) - 마을총회의 주민 투표를 거쳐 생활의제 및 실행계획(235개) 도출 □ 2017년 추진계획 ○ 3단계 확대운영 : 7개구 59개 동(누적 : 24개 자치구 342개 동) ○ 현장 인력의 적정한 충원(사회복지인력 506명) 및 전문역량 강화 - 동별 적정 인력을 충원하고, 동주민센터에 우수 인력이 장기 근무할 수 있는 여건 마련 - 현장 우수사례 중심으로 분야별 실무자 역량강화 교육 실시 ○ 최일선 동주민센터를 주민 중심으로 맞춤형 개선(59개 동) - 건축가, 주민, 직원이 공간개선 과정에 참여하여 사용자 만족도 제고 ○ 정책 방향 설정 및 실행 전 과정에서 민관 협치 강화 및 동 단위 민․관 거버넌스를 통한 주민자치 실현 - 시‧구‧동 단위 운영위원회, 추진지원단 등을 통해 전문가, 민간복지기관 및 주민 등 다양한 영역의 의견이 정책에 수렴되도록 추진 - 지역 문제를 주민이 스스로 해결하기 위한 마을 계획 시행 ○ 도움이 필요한 시민들이 복지혜택을 충분히 누리고, 사업취지에 공감하는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대시민 홍보 추진 - 사업출범 3년차를 맞아 그 간의 사업 성과 등을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시민인지도 제고 사업내용 '15년 '16년 '17년(계획) 「찾‧동」시행동 13개구 80개동 18개구 283개 동 24개구 342개동 3. 소요예산 ○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의 성공적 추진 (단위 : 백만원) 사업내용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계 총괄 예산 - - 18,731 54,433 72,050 145,214 16 초미세먼지 예보제 시행 주관부서 대기관리과 관련 협업기관 환경부 기후대기정책과 국립환경과학원 시 보건환경연구원 과제담당관 (담당자) 이인근 과장 (환경연구사 최용석) 연락처 02-2133-3669 1. 과제개요 □ 추진 배경 ○ 서울시는 ’13.10월부터 전국 최초로 초미세먼지 경보제를 도입․시행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시민들의 선제적 시민건강 보호를 위해 이틀전, 하루전 및 당일 예보를 통해 미리 초미세먼지 정보를 제공 하고자 함 □ 서비스 수요 및 고객 대상 ○ 어린이 및 노약자 등 취약계층을 포함한 서울시민 □ 과제 목표 및 주요 내용 ○ 초미세먼지 고농도 상승 예상시 신속․정확한 대기오염 정보 제공으로 시민 건강보호 2. 이행계획 및 추진일정 □ 추진 경과 ○ ’05. 1 : 서울특별시 미세먼지 예보 및 경보에 관한 조례 제정 - : 미세먼지(PM-10) 예보 및 경보제 시행(’05. 2) ○ ’12. 3 : 시간대별 상세 미세먼지 예보 시행 ○’13. 10 : 초미세먼지(PM-2.5) 경보제 시행 및 미세먼지 기준 강화 ○ ’15. 1 : 국가기준(대기환경보전법 개정)으로 초미세먼지 예·경보제 운영 ○ ’16. 1 : 국가(환경부) (초)미세먼지 경보제 기준 강화 - 대기오염경보단계별 대기오염물질의 농도기준 개정(`15.12.10) ○ ’16. 7 : 서울시 대기오염 예보 및 경보에 관한 조례 개정 □ 초미세먼지 예보제 운영 ○ 근거 : 대기환경보전법, 서울시 대기오염 예보 및 경보에 관한 조례 ○ 예보기관 : 환경부(국립환경연구원) ○ 전파기관 : 서울시(기후환경본부) ○ 예보 등급 예보구간 등 급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예측농도 (㎍/㎥·일) 0~15 16~50 51~100 101 이상 ○ 예보주기 : 매일 4회(전일 17시, 23시/ 당일 5시, 11시) ○ 예보 등급 ‘나쁨’ 이상시 시민 문자서비스 확대 시행(’14.2.24~) ○ 전파방법 - (평상시)인터넷홈페이지 게재, 자치구, 기상캐스터 - (‘나쁨’ 이상) 자치구 및 교육청, 유치원․초․중․고교 교사 등을 포함한 희망시민(약 3만명) SMS로 전파 ❚ ’17년 자동 전파 시스템 구축을 통한 신속 정확한 예․경보제 추진 예정 - 자동 예․경보 전파 시스템 구축을 통해 시민들에 보다 신속한 대기정보 제공 - 원클릭 자동 예경보 시스템 구축 : 아나로그방식(기존) → 디지털 방식(`17년) 3.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사업내용 '14년 '15년 '16년 '17년 계 문자 전송서비스 및 시스템 구축 - 91 75 92 258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정보

2017년도 서울시 정부3.0 실행계획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정보기획관 정보기획담당관
문서번호 정보기획담당관-1768 생산일자 2017-02-02
공개구분 부분공개 보존기간 10년
작성자(전화번호) 한경희 (02-2133-2915) 관리번호 D0000028882158
분류정보 행정 > 정보통신정책 > 행정정보화정책 > 정보화계획수립및조정 > 국가정보화사업관리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