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 도심제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스마트앵커 건립 및 운영계획

문서번호 경제정책과-5872 결재일자 2018.5.16. 공개여부 대시민공개 방침번호 행정1부시장 방침 제112호 시 민 ★주무관 경제정책과장 경제기획관 경제진흥본부장 행정1부시장 노동영 김경탁 김태희 강태웅 대결 05/16 윤준병 협 조 예산담당관 代배덕환 역사도심재생과장 양병현 문화융합경제과장 최판규 도시제조업팀장 김근태 스마트앵커팀장 정성수 - 도심제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 스마트앵커 건립 및 운영계획 2018. 5. 경제진흥본부 (경제정책과) - 목 차 - Ⅰ 추진 배경 1 Ⅱ 현황 및 문제점 2 1. 서울 도심제조업 현황 2 2. 서울 도심제조업의 문제점 5 Ⅲ 도심제조업 육성전략 6 Ⅳ 스마트앵커 추진계획 7 1. 추진방향 7 2. 사업개요 8 3. 스마트앵커 세부 추진계획 10 ① 연차별 추진계획 10 ② 개발 방법 및 재원조달 방안 11 ③ 부지선정 기준 및 절차 13 ④ 2018년 시범 건립 계획 15 4. 스마트앵커 관리·운영 계획 17 ① 스마트앵커 관리 17 ② 스마트앵커 운영 18 ③ 협동화 및 新비즈니스 모델 발굴 19 ④ ICT 기술 기반 제조업 공정개선 20 Ⅴ 추진체계 21 Ⅵ 기대효과 22 Ⅶ 행정사항 24 - 도심제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 스마트앵커 건립 및 운영계획 열악한 작업환경 및 폐쇄적 생산체계에 따른 도심제조업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대표적인 도심제조업 집적지에 ICT 기반의 공정자동화와 ‘기획/디자인-제조-유통·마케팅’을 연계하는 스마트앵커를 조성?운영코자 함 Ⅰ 추진 배경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고부가가치 창출 위한 제조업 재도약 ○ 선진국 중심의 4차 산업혁명 주도에 대응하기 위해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 시급 ○ 세계적인 산업융합과 제조업 부활의 흐름 속에서 잠재적인 자원으로 재평가 ?? 전문기술인?단순 노무인력 등 다양한 계층에 안정적 일자리 제공 ○ 서울시 제조업 종사자는 약 28만명으로 서민에게 안정적 일자리 제공 ○ 사회간접자본 및 기타 서비스업에 대비 20% 이상 정규직 비중이 높음 - 제조업의 정규직 비중은 86.9% 반면, 사회간접자본 및 기타서비스업은 63.3% 차지( ‘16년) ?? 서울 미래 혁신성장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산업경쟁력 강화 지원 ○ 산업경쟁력, 성장성, 좋은 일자리를 고려하여 서울형 유망산업 선정 및 지원 ○ 도심제조업 28만명 종사자의 재도약을 위한 산업경쟁력 강화 정책 필요 ○ 생산환경 혁신과 협업시스템 구축으로 도심제조업 재도약 기반 마련 ?? 정부도 ‘더불어 잘사는 경제’ 실현을 위해 제조업 부흥전략 추진 ○ 정부는 ‘22년까지 혁신소상공인 1.5만명 양성 목표로 소상공인 지원 사업 추진 ○ ‘22년까지 스마트공장 2만개 보급·확산을 목표로 제조업 지원정책 운영 Ⅱ 현황 및 문제점 ?? 19개 도시형소공인 업종 중 업체수, 종사자 비중이 높은 제조업을 중심으로 분석 - 업체 비중(%) :의류봉제(32.3), 인쇄(15.2), 기계금속(14.6), 주얼리(8.5), 수제화?가방(3.9) ※ 도시형소공인이란 노동집약도가 높고 숙련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일정지역에 집적하는 특성이 있는 상시근로자 10인 미만의 제조업체 1. 5대 도심제조업 권역별 집적 현황 ?? 의류·봉제 제조업 ○ 도심권(종로, 중구), 동북권(성북, 동대문, 중랑)을 중심으로 총 1만8천여개 사업체 ○ 동대문 일대를 중심으로 지가가 저렴한 낙후된 공간(지하)에 소규모로 넓게 분포 - 대다수의 기업이 다세대·다가구 주택에 3~4인 규모로 영업장을 운영하고 있어, 노후빌라 개발 등으로 봉제공장 입주공간 멸실 우려 ○ SPA Specialty Store/Retailers of Private-label Apparel : 백화점 등의 고비용 유통을 피해 대형 직영매장을 운영, 비용을 절감시킴으로써 싼 가격에 제품을 공급하고, 소비자 요구를 정확하고 빠르게 파악하여 상품에 반영시키는 새로운 유통업체 브랜드 급부상으로 시장위축, 가격 경쟁력 약화로 수익 창출 저조 [그림 1] 의류·봉제 제조업 구별 사업체 수 (단위: 개소) - 동대문시장 등 대형 도매시장에 다품종 소량의 상품을 즉시 배송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나, 저가 상품 이미지 고착화 권 역 도심권(종로,중구,용산구) / 동북권(도봉,노원,강북,성북,동대문,중랑,성동,광진구) / 동남권(서초,강남,송파,강동) / 서북권(은평,서대문,마포구) / 서남권(강서,구로,양천,금천,영등포,관악,동작구) 사업체수 동 북 8,625 도 심 4,553 서 남 2,628 동 남 1,545 서 북 917 ?? 인쇄 제조업 ○ 인쇄 소공인 사업체는 7천8백여개로 72.3%가 도심권(중구)에 집적 ○ 전국 인쇄업체의 44%가 서울에 입지하고 있으나 市 인쇄산업의 95%는 [그림 2] 인쇄 제조업 구별 사업체 수 (단위: 개소) 소공인으로 영업 중이며, 큰 기업의 재하청으로 산업 경쟁력 하락 권 역 사업체수 도 심 5,996 서 남 948 동 북 852 동 남 501 서 북 292 ?? 기계·금속 제조업 ○ 기계 제조업체는 2천9백여개로 63.9%가 영등포, 금천, 구로구 등 서남권에 밀집 ○ 금속 제조업 집적지는 문래동으로, 금속 제조업체 5천2백여개의 97%는 소공인이며 업체 대다수(74%)가 단순임가공 형태로 자체 혁신동력 부족 [그림 3] 기계·금속 제조업 구별 사업체 수 (단위: 개소) 권 역 사업체수 서 남 4,673 동 북 1,929 도 심 1,175 동 남 291 서 북 183 ?? 주얼리 제조업 ○ 주얼리 제조업체는 4천8백여개로 ‘봉제, 인쇄, 신발’ 다음으로 특화도 특화도 {LQ 계수 : Location Quotient / LQ= {{X _{i}} over {X}} / {{Y _{i}} over {Y}} = {{X`구``i산업``사업체`수} over {X`구`총`사업체`수}} /{{서울시``i산업``사업체`수} over {서울시``총``사업체`수`}}} X:`X``구`총`사업체`수,``Y:서울시`총`사업체`수,``X _{i} `:X``구`i산업``사업체``수,``Y _{i} :서울시``i산업``사업체`수` LQ지수가 1보다 크면 해당지역의 산업군의 비중이 서울시 전체의 산업군의 비중보다 더 높다는 의미로 산업이 특화되어 있음을 의미 ※ 의복(3.44), 인쇄(2.58), 가죽가방 및 수제화(2.53), 주얼리(1.61) 순 가 높은 산업 ○ 종로구(종로1,2,3,4가동)를 중심으로 주얼리 제조업이 집중 분포 ○ 주얼리 제조업체의 60%, 도매업의 80%, 소매업의 20%가 종로에 집적되어 있으나, 종사자 대다수(90%)가 영세 소공인으로 디자인 개발이 미흡해 경쟁력 하락 [그림 4] 주얼리 제조업 구별 사업체 수 (단위: 개소) 권 역 사업체수 도 심 1,439 동 북 1,192 동 남 972 서 남 871 서 북 349 ?? 수제화 제조업 ○ 수제화 제조업은 원·부자재 시장까지 5백여개 업체 성수동 일대 집적 - 성동구를 중심으로 생산되는 제품은 동대문 시장과 일부 브랜드 기업에 납품 ○ 중국, 동남아 저가 제품 유입으로 가격 경쟁력 저하 ○ 인력 고령화 심화 및 신규인력 유입 감소로 인력 수급 불안 열악한 작업환경과 치열한 원가 경쟁심화로 침체를 겪고 있는 도심제조업의 활력 회복을 위한 혁신성장 기반 스마트 앵커 조성 2. 서울 도심제조업의 문제점 ?? 공간, 설비, 자금, 인력 등 문제로 도심제조업의 전반적인 침체 추세 ?? 소공인에게 실제 필요한 공간임대, 자동화 장비 지원사업은 정부에서 배제 ?? 작업공간 부족 및 낙후된 시설로 생산성 저하 ○ 지하 등 열악한 작업환경으로 인하여 생산성 저하 - 사업장 대부분이 전·월세로 자비로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것은 곤란 ○ 비용 문제로 낡은 장비와 노후 시설물을 사용하고 있어 인프라 개선 시급 ?? 가치사슬 단절로 부가가치 감소, 품질관리 미흡으로 경쟁력 하락 ○ ‘기획/디자인-제조-유통’간 가치사슬의 단절로 시장수요 및 매출 감소 ○ 하청구조에 따른 원가경쟁 심화로 저가의 상품 생산, 품질 저하 ○ 국내·외 경기침체로 국내 시장 위축, 저품질 생산으로 판매 물량 감소 ?? 인력 고령화 및 신규 유입 부족으로 인력수급 불균형 심화 ○ 기술 인력의 고령화로 50대 후반에서 70대가 주류 ○ 객공 형태의 인력운영과 노후화된 작업환경으로 신규인력 확보 어려움 ?? 지원정책의 한계로 공간임대, 자동화 장비 보급사업 지원 배제 ○ 제조업 지원정책은 산업 육성 및 고도화보다는 영세 사업자에 대한 자금 및 교육·컨설팅 중심 위주로 근본적인 경쟁력 강화에는 한계 ○ 장비는 취득자산으로 분류돼 정부의 지원 대상에서 제외 열악한 작업환경과 원가 경쟁심화, 폐쇄적 생산체계로 침체된 도심제조업 부활을 위해 시설 현대화 및 ‘기획/디자인-제조-유통·마케팅’ 플랫폼 필요 Ⅲ 도심제조업 육성전략 ?? 경쟁력 강화를 위한 도전과제 ○ 낙후된 제조업 생산시설의 현대화 및 공정 자동화로 산업 고도화 ○ 영세한 하청방식의 생산구조를 소공인간 협업 강화를 통해 효율적 자원 관리 ○ ‘기획-생산-유통·마케팅’ 연계 협력플랫폼 마련으로 일감창출, 품질향상 현재(As-Is) 미래(To-Be) ◇ 폐쇄적 생산 체계 ◇ 개방적 혁신 체계 ◇ 낙후된 생산시설 및 작업환경 ◇ 생산시설 및 작업공간 현대화 ◇ 영세한 하청방식의 생산구조 ◇ 협업을 통한 생산구조 효율화 ◇ 제한된 국내시장 중심 판매 ◇ 국내·외 판로개척 및 유통 강화 ?? 산업 고도화를 위한 지원방향 ① 스마트앵커 조성 ○ 제조업 집적지별 현대화된 생산시설 조성 ○ 저렴한 소공인 입주공간 지원, 장비공유 시스템 구축 ② 협력 네트워크 강화 ○ ‘기획/디자인-제조-유통·마케팅’ 연계 협업화 ○ 소공인 조합화 지원, 사업 리더 그룹 육성(사회적경제지원센터 협조) ③ 도심제조업 스마트화 ○ ICT 기반 공정개선으로 원가절감, 생산성 및 품질 향상 ○ 소공인의 개별사업장 내 신기술, 첨단장비 도입 지원 병행 도전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천적 모델”의 정립 및 전국 확산 ‘기획/디자인-제조-유통·마케팅’이 원스톱으로 연계되는 스마트앵커 필요 Ⅳ 스마트앵커 추진계획 ??(개념) 제조업 지접지에 ICT 기반의 제조 인프라와 협업시스템을 갖춘 생산시설 ??(효과) 지역 소공인(협동조합) 입주 지원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및 품질 제고 1. 추진 방향 ?? 기본 구상 ○ ICT 기반 생산공정의 자동화 및 지능화를 통한 생산의 효율성 극대화 ○ 산업 DB 구축, 생산자간 정보공유 및 협업 네트워크 구축 ○ 협동조합 방식의 생산체계 운영으로 자율성 및 지속 가능성 확보 ?? 추진 전략 ○ 생산-유통구조 및 스마트팩토리 스마트팩토리란 설계·개발, 제조 및 유통·물류 등 생산 과정에 디지털 자동화 솔루션이 결합된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하여 생산성, 품질, 고객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지능형 생산 공장을 의미(한경 경제용어사전) 에 대한 인식수준 고려, 단계별 추진 ○ 생산 효율의 극대화 및 협력체계 구축으로 도심제조업의 고도화 구분 1단계 2단계 생산 공정 효율적인 작업공간 스마트공장 체계 구축 일부공정 자동화 전 공정의 디지털화 생산-자원 관리 연계 증강현실 증강현실(AugmentedReality, AR)이란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3차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 기반 제조 및 판매 협업 체계 DB 구축 온오프라인 협업 협동화 준비 협동화 사업 실행 국내 마케팅 글로벌 진출 플랫폼 2. 스마트앵커 개요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년 ~ 2022년 ○ 조성개수 : 총 20개소(연차별 4~6개소 건립) ○ 건립비용 : 총 3,120억원(개소당 약 160억원) ○ 대상지역 : 봉제, 인쇄, 주얼리, 기계금속 등 제조업 집적지 집적지란 도시형소공인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 동종 업종 사업체가 행정동 기준 50인 이상 집적한 지역을 의미 (149개) ○ 입주업체 : 1,000개(앵커 당 평균 50개 업체) - 소공인 업체 40개(약 180명 서울시 제조업체 1개 당 평균 종사자 4.61명 수준을 고려해 입주 효과 산출 ), 청년 스타트업 10개(약 20명) 입주 효과 ?? 조성규모 및 공간활용 ○ 조성규모 : 지상7층/지하 2층 규모 (대지면적 1,000㎡ 이상) ○ 공간활용 ※ 소공인 집적효과, 협업 가능성, 공동작업장의 효율적 운영 등 고려 규모 설정 ① 소공인 입주공간 지원 - 입주공간, 지원공간, 공용공간(시제품제작, 공용장비) 등의 효율적인 운영 및 활성화를 위하여 지역 특성, 여건 등을 고려하여 적정 배분 ② 주민편의 공간 조성 - 시민이용 활성화 및 적정 임대료 수입확보를 위해 근린생활시설 조성 - 입주 업종 관련 판매 활성화 및 인지도 제고 위한 판매장(쇼룸) 구성 ③ 복합개발로 입체적 공간활용 - 지하공간에 공용주차장 및 부설주차장을 조성해 지역주민 이용편의 도모 - 기존 공공청사 부지활용 시, 해당 청사의 기능 유지 및 현대화 지원 ?? 입주자격 ※ 자치구별 특성 감안 조정 가능 ○ (생산공간) 서울소재 도시형소공인 관련 업종(의류·봉제, 인쇄, 기계·금속, 주얼리, 수제화 등)을 영위하고 있거나 영위하고자 하는 자 ○ (지원공간) 입주기업 지원기능 수행기관(디자인, R&D, 유통·판매, 교육 등) - 공공업무시설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업무시설 및 공공기관 - 일반업무시설 : 제조업 지원단체(특화지원센터, 사경센터, 협회 등) ?? 선정절차 ○ 결격사유가 없는 업체를 대상으로 서류심사와 발표평가로 선정 - 서류심사 : 기술력 보유, 자본금 현황, 마케팅 현황, 지역사회 발전기여 등 - 발표평가 : 사업계획의 적절성, 입주 목적과의 부합정도, 사업추진역량 등 ?? 임대료 산정기준 ◇ 지나치게 저렴한 임대료 책정으로 인한 특혜시비 및 입주경쟁 과열 방지 ◇ 비현실적인 고가의 임대료 책정에 따른 공실을 방지해 효율적 시설 운영 ◇ 유관 시설의 임대료 수준 고려 ? 스마트앵커는 일반재산으로 관련 법령 준수하여, 위탁개발 기관의 적정 수입도 확보될 수 있도록 주변의 임대시세를 고려해 최적의 임대료 적용 ○ 관련법령 상 기준 적용 ① 임대료 책정 기준 : 재산평정가격의 1,000분의 10 이상 - 시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 조례 제26조 5항(대부료의 요율) ② 임대료 감면 기준 -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생산,전시 및 판매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공유재산법상의 대부료(1,000분의 10)의 100분의 30 이내에서 감면”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 시행령 제35조 2항 2호, 시 공유재산 조례 제30조 4항 1호) - 지식산업센터의 임대료는 “공유재산법상의 대부료의 2분의 1 이상에 해당하는 임대료”(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6조의 2) ※ 자치구별로 물가변동, 기타 합리적 사유가 발생시 탄력적 적용 가능 3. 스마트앵커 세부 추진계획 ?? 연차별 추진계획 ○ 기본방향 - 자치구 공모를 통해 사업체수, 집적도 고려 총 20개소 연차별 조성 - 대상지 선정, 사전절차 이행(투자심사, 용도변경), 착공 간 시차를 고려해 사업추진 ○ 연차별 조성계획 - 사업의 안정적 추진을 위하여 ‘공모를 통한 조성지 선정 → 사전절차 이행 → 공사 착공 및 준공’ 순으로 사업 진행 ※ ‘18년도 추경 확보를 통해 ‘성수 수제화 스마트앵커(광역소공인특화지원센터)’는 조속 추진 구 분 조성지 선정 ⇒ 사전절차 이행 ⇒ 착공 ⇒ 준공 2017년 4개소 - - - 2018년 5개소 4개소 1개소 - 2019년 5개소 5개소 3개소 4개소 2020년 6개소 5개소 5개소 5개소 2021년 - 6개소 5개소 5개소 2022년 - - 6개소 6개소 ○ 연차별 투자규모 ※ 연도별 재정여건에 따라 변경 가능 (단위:백만원) 구 분 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조성 규모 20개소 1개소 3개소 5개소 5개소 6개소 사업비 계 312,000 8,000 48,000 80,000 80,000 96,000 국 비 60,800 - 9,600 16,000 16,000 19,200 시 비 68,700 7,900 9,600 16,000 16,000 19,200 민 자 182,500 100 28,800 48,000 48,000 57,600 ?? 개발 방법 ○ 기본방향 : 공공부지 위탁개발로 재정부담 최소화, 산업시설 적기 확보 - 집적지 내에 구유지(시유지) 우선 발굴, 부지비용 최소화 - 대규모 사업비 조달 위해 위탁개발로 민간자본 활용, 생산시설 적기 조성 - 소공인 입주공간, 공용장비실, 공용공간, 수익시설 조화 ○ 공공부지 위탁개발 - 수탁기관이 개발비용을 부담하여 시설물 등을 축조한 후 소유권을 자치단체에 귀속시키고 위탁기간동안 지자체를 대리하여 임대사업을 수행 ※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 제43조의3(위탁재산의 개발) ① 수탁기관은 위탁받은 일반재산을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승인을 받아 개발[「건축법」 제2조에 따른 건축, 대수선(大修繕), 리모델링 등을 말한다]하고, 발생하는 수익을 지방자치단체에 낼 수 있다 ○ 대상재산 : 일반재산에 한정 → 위탁개발이 필요한 경우 행정재산을 일반재산으로 용도폐지 후 진행 필요 ※ 위탁개발을 통해 개발된 시설물은 공용·공공용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공용·공공용시설과 수익시설이 복합된 건물 등으로도 개발 가능 ○ 위탁기관 : 구유지 제공 자치구 ○ 수탁기관 : 공모선정[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지방공사(SH)] ○ 위탁기간 : 최장 30년 범위 내(임대형) - 시설물의 축조와 관련된 개발비용 등 위탁수수료의 회수시점을 감안하여 산정 금융기관 건설회사 등 임차인 (소공인) 민간전문 기관 (수탁기관) 지자체 (위탁기관) 개발자금 차입 및 상환 공유재산 위탁관리 공사업무 등 관리 개발시설 임대관리 지자체를 대신하여 개발·관리업무 수행 ?? 재원조달 방안 ○ 기본방향 - 위탁개발 방식의 스마트앵커 조성으로 시 재정부담 최소화 - 공공재정 지원으로 사업성 확보, 국비확보로 재정부담 최소화 ○ 공공부지 위탁개발 사업성 분석 - 건립비용 : 개소별 약 160억원 - 역 할 : 정부(조성비의 20% 국비지원) / 서울시(조성비의 20% 시비지원) / 자치구(부지제공) / SH공사(위탁개발 참여, 조성비 60% 부담) - SH공사 수입 : 수수료(개발보수, 개발비용, 관리수수료, 성과수수료) 공공부담(국·시비) 40% 〈 총수입 〉 - 임대료 수입(30년), 국·시비 보조금, 주차장 수입 포함 개소 당 360억 〈 총투자 〉 - 건립비용(160억), 금융비(70억) 등 개소당 약 230억 ? 공공부담시 30년 기준 누적손익은 130억으로 순현재가치(NPV) 9억원, 수익성지수(PI) 1.072, 내부수익률 (IRR) 6.34%로 적정 수익 확보 총 수입 (30년 누적) 수수료 297억원 국·시비 보조 63억원 소 계 360억원 총 투자비 건립비용 160억원 금융비(30년) 70억원 소 계 230억원 30년 누적손익 130억원 ○ 사업성 분석 결과 - 전액 위탁개발 추진시 수익성 악화로 사업추진 곤란, 소공인 적정 임대료 확보를 위한 스마트앵커의 정책적 필요성에 따른 공공의 재정 투입이 불가피 사업성 분석 결과 총건립비 160억 중 선제적 공공투자가 필요해 국비 20%, 시비 20%, 민자 60%로 재원조달 다각화 필요 ○ 국비확보 방안 - 중기부 및 기재부 사업설명, 지역 국회의원 간담회 등을 통해 국비 확보 노력 ?? 부지선정 기준 및 절차 ○ 기본방향 - 자치구 공모를 통한 제조업 집적지 인근의 구유지(시유지) 우선 개발 - 집적지 사업체수, 업종별 집적도 등 종합 고려 선정 - 도시재생 사업, 준공업지역 임대산업시설 등 시 정책사업과 연계 추진 ○ 부지 선정기준 ① 공통 기준 : 입지, 경제성, 개발가능성, 자치구 의지 - 제조업체 집적도, 집적지로 부터의 거리(1㎞ 내), 교통접근 용이성 - 대지규모 1,000㎡ 이상, 제3종 일반주거지역 이상 부지 - 신속한 사업추진이 가능한 나대지 및 용도폐지 가능 용지, 이전대상 공공청사 부지, 복합개발이 가능한 공영 주차장, 주변 주민 민원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역 - 자치구의 산업지원 의지, 지역 협동조합 등 현장의 거버넌스 역량 ② 업종별 사업체수 반영 - 관내 소공인 사업체수는 봉제산업이 가장 큰 비중(32.3%), 인쇄(15.2%), 기계금속(14.6%), 주얼리(8.5%), 수제화?가방(3.9%) 차지 [소공인 업체수] (의류·봉제) 18,268개 (인쇄) 8,589개 (기계금속) 8,251개 (주얼리) 4,823개 (수제화·가방) 2,214개 구분 ③ 업종별 집적지 고려 - 관내 집적지는 149개소로 423개 행정동 중 91개동에 분포(산업단지 제외) - 도심과 동북권을 중심으로 전국 최대의 ‘의복, 인쇄업, 가죽제품, 주얼리’ 집적 (단위 : 개) 구분 식료품 음료 섬유 의복 가죽 목재 종이 인쇄 화학 고무 서울 2 - 12 74 5 - 3 11 - 2 구분 비금속 1차 금속 금속 전자 의료 전기 기계 가구 기타 합계 서울 1 1 14 1 - 4 13 - 6 149 공모 참여 자치구의 후보지를 대상으로 ‘입지여건, 업종별 사업체수, 집적도 등’을 종합 고려해 선정 ○ 선정절차 : 현장실사 및 본 심사로 구분한 2단계 심사로 투명성 확보 ① 현장실사 본 심사에 앞서 자치구 제출 후보지에 대한 현장 점검 - 서류상의 기본현황과 실제상황간 비교 검토, 예상되는 문제점 현장평가 - 현장실사 시, 해당 자치구 담당공무원의 현장설명 및 질의응답 진행 ② 본 심 사 선정 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PT 심사 추진 - 사전서류 검토, 현장실사 결과 및 PT발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선정 ※ 심사위원은 경제·산업, 도시계획, 건축설계 등 관련분야 전문가로 구성 ○ 추진계획 자치구 공모 ? 신청서 접수 ? 현장실사 ? 심사위원회 개최 ? 최종 선정 발표 6월 초 7월 중순 7월 말 8월 초 8월 말 ?? 2018년 시범 건립 계획 ?? 조성대상 : 4개소 ( 중랑 및 성북 봉제, 중구 인쇄, 성동 수제화 ) - 자치구 공모 통해 ‘중랑 및 성북 봉제, 중구 인쇄’ 3곳 선정 - 광역소공인특화지원센터 내 3층 규모의 수제화 스마트앵커 조성 ? 중랑구 면목 봉제 스마트 앵커 ○ 부지현황 ※ 중랑 면목패션 특정개발진흥지구 지정(‘16.4.28.) - 위치/면적 : 상봉동 110-38,39 / 1,568㎡(475평) - 토지 현황 : 공영주차장, 고물상 / 제2종일반주거지역(건폐율 60%, 용적률 200%) ○ 조성규모(안) : 지상 7층(4,000㎡), 지하 2층(2,400㎡) - 소공인 입주공간, 공용장비실, 전시공간, 패션지원센터, 카페, 공영주차장 등 ○ 총사업비 : 199억원(토지 37억, 조성비 162억) ○ 향후계획 - 시 투자심사 : ‘18.7.26. - 위탁개발업체 공모·선정(구) : ‘18.하반기 - 지구단위계획 수립(2종→3종일반주거지역)(구) : ‘18.하반기 - 기본 및 실시설계 : ‘19.2월~5월 - 준공 : ‘19.12월 ? 성북구 월곡 봉제 스마트 앵커 ○ 부지현황 - 위치/면적 : 하월곡동 226-4 / 1,596㎡(483평) - 토지 현황 : 공영주차장(공공청사) / 제3종일반주거지역(건폐율 50%, 용적률 250%) ○ 조성규모(안) : 지상 6층(3,620㎡), 지하 2층(2,000㎡) - 소공인 입주공간, 공용장비실, 전시공간, 카페, 공공청사, 공영주차장 등 ○ 총사업비 : 199억원(토지 54억, 조성비 145억) ○ 향후계획 - 시 투자심사 : ‘18.7.26. - 위탁개발업체 공모·선정(구) : ‘18.하반기 - 기본 및 실시설계 : ‘19.2월~5월 - 준공 : ‘19.12월 ? 중구 예관 인쇄 스마트 앵커 ○ 부지현황 ※ 중구 인쇄 특정개발 진흥지구 지정(‘17.7.13.) - 위치/면적 : 예관동 52-10 외 19필지 / 1,200㎡(대지) - 토지 현황 : 상가 / 일반상업지역(건폐율 60%, 용적률 600%) ○ 조성규모(안) : 지상 12층(7,190㎡), 지하 6층(4,900㎡) - 입주공간, 전시·판매공간, 공동장비, 특화지원센터, 청년주택, 주차장 등 ○ 총사업비 : 398억원(기부채납 토지 79억, 조성비 319억) ○ 향후계획 - 시 투자심사 : ‘18.7.26. - 중앙 투자심사 의뢰(구) : ‘18.8.31. - 위탁개발업체 공모·선정(구) : ‘18.하반기 - 기부채납 : ‘18.12월 - 기본 및 실시설계 : ‘19.2월~5월 - 준공 : ‘19.12월 ? 성동구 성수 수제화 스마트 앵커 ○ 부지현황 ※ 중기부, 성수 수제화 집적지구 지정(‘16.12.21.) - 위치/면적 : 성동구 2가 277-34 / 559㎡(대지) - 토지 현황 : 공장 / 준공업지역(건폐율 60%, 용적률 400%) ○ 조성규모 : 지상 7층(2,235㎡), 지하 1층(442㎡) - 입주공간(3층), 전시·판매공간, 공동장비, 제조업 연구랩, 사무공간 등 ○ 총사업비 : 139억원(토지 60억, 조성비 79억) ○ 향후계획 - 기본 및 실시설계 : ‘18.9월~12월 - 준공 : ‘19.12월 3. 스마트앵커 관리·운영 계획 ?? 앵커 조성 전 단계부터 TF 운영을 통해 區별 특성에 맞는 운영전략 수립 ?? 입주업체(협동조합) 사전 발굴을 통해 민간주도 방식의 협업화 체계 구축 ?? 추진방향 : 스마트 앵커 관리와 운영의 분리로 책임성, 효율성 강화 ○ (관리) 위탁개발 업체를 통한 시설물 관리의 책임성 강화, 수익성 확보 ○ (운영) 조성 전 입주업체 발굴 및 조합화 유도로 자생적 지속가능성 담보 스마트 앵커 시설 관리 시설 관리란 ‘소공인 입주지원(임대) 및 임대료 징수, 수도·전기·통신 지원, 주차장 관리, 시설물 안전 및 유지관리 등 의미 (SH공사 등) 운 영 운영이란 소공인 협동화 사업을 지원하고, 新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여 공동 일감수주 및 마케팅을 추진하는 제반활동 관리 (협동조합 등) 시설물 조성 주체의 전문화된 시설관리로 효율성 및 책임성 강화 소공인간 협업화를 통한 자생적 지속가능성 확보 ?? 세부 추진계획 ? 스마트앵커 관리 ○ 기본방향 : 시설관리는 원칙적으로 위탁개발 수탁기관에서 수행 ○ 관리주체 : 위탁개발 선정업체(SH공사 등) -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제48조의2) 상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지방공사만 가능 ○ 수익의 귀속 : 개발에 따른 수익은 모두 지자체에 귀속 - 임대수입, 관리비 수입, 이자수입, 주차료수입, 기타수입 ○ 시설물 관리의 위험부담 - 위탁개발 사업에 따른 위험부담은 원칙적으로 수익귀속의 주체인 지자체 부담 - 수탁기관이 주의의무를 다하지 않은 귀책사유로 인해 발생한 위험은 수탁기관 부담 구 분 내 용 위험부담 및 대처방안 시장 위험 준공이후 임료하락, 공실률 증가, 관리비용 증가 등에 따라 예상수익 미달 위험 수탁기관에 귀책사유가 없는 경우, 위탁기간 연장 등의 방법으로 지자체가 위험부담 금융 위험 금리상승, 자금수급 불균형 등으로 개발비용의 원리금 상환이 곤란하게 될 위험 ? 스마트앵커 운영 ○ 추진방향 ? 1단계 지역별 TF를 통해 소공인 발굴 및 역량 강화, 협동화 지원 ? 2단계 협동조합, 별도 재단 등 지역실정을 고려해 소공인의 자율적 운영 지원 ⇒ TF 운영으로 앵커 준공 전 입주 소공인 발굴·확정, 운영 가이드라인 마련 ○ 단계별 운영전략 - (준공 전) 입주 소공인(협동조합) 발굴 및 산업DB 구축, 대상지별 운영 모델 마련 - (준공 후) 공동일감 수주 및 마케팅, 소공인간 네트워킹, 품질관리, 판매공간 운영 단 계 준공 전 준공 후 운영주체 - 스마트앵커 TF 통해 입주 가능 소공인(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발굴 - 소공인(협동조합) 입주 및 운영 주요사업 - 협동화사업 추진을 위한 DB구축 - 소공인 협동화 지원 수립 (교육 및 컨설팅 등) 운영 가이드 라인 마련 - 공동 일감수주 및 마케팅 - 디자이너 연계 협력 - 시제품제작 공용장비 운영 → 글로벌 진출 플랫폼으로 확대 도입전략 - 자치구별 제조업 및 집적지 특성에 맞는 앵커시설 모델 마련 - 동종 제조업 및 관내 제조업 집적지로 우수 모델 확산 ○ 세부 추진내용(운영 가이드라인 마련) - 스마트앵커 공간 구성, 참여주체 및 역할분담 기준 마련 ?? 민간 투자가 가능한 경쟁력 있는 조합 입주 원칙, 협업화 의지가 있는 기업 발굴 ?? 건립 시까지 대상지별 협업화 운영전략 수립 - 입주 기업간 협업시스템 마련, 조합결성 촉진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 ‘기획-생산-유통·마케팅’ 연계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및 홍보·마케팅 지원 ○ 연차별 추진계획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TF 구성·운영, DB 구축(센터) 협동화사업 발굴 및 가이드라인 마련 협동화사업 적용 집적지별 우수 모델 정립 우수 모델 확산 ? 협동화 및 新비즈니스 모델 발굴 ○ 추진방향 - 업종별 조합화 지원, 협업 네트워크 구축 및 공동사업 발굴·운영 - 지역별 업체정보 DB 구축 및 산업구조 분석, 리더 그룹 육성 및 혁신역량 강화 - 공동생산·구매, 공동장비 운용, 정보공유 등 자생적 성장기반 구축 ○ 추진내용 1) 협동화 사업 추진 - 업종별 조합화 지원, 협업 네트워크 구축 및 공동사업 발굴·운영 - 지역별 리더 그룹 육성을 통한 성과 창출 및 확산 계기 마련 - 산업·업종 사회적경제 조직들과 지역 유관업종 영세 소상공인 협업 추진 - 지역별 업체정보 DB 구축 및 산업구조 분석, 이종업종 간 클러스터 연구 2) 新비즈니스 모델 발굴 - 지역기반 소공인 공동브랜드 개발 및 품질향상 프로그램 운영 - ‘디자이너-소공인-유통업체’ 통합입주로 일감 연결 플랫폼 구축 - 스마트앵커를 중심으로 온-오프라인 상 ‘소비자-소공인-디자이너-유통업체’ 연계 표준 작업 지시서 활용 생산 스케줄 공개 비수기 전략 수립 ○ 연차별 추진계획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TF 구성·운영, DB 구축(센터) 리더그룹 발굴 및 조합결성 협력모델 적용 협력 플랫폼 구축·운영 우수 모델 횡단전개 ? ICT 기술 기반 제조업 공정개선 ○ 추진목적 - ICT 기반 제조공정 개선으로 생산성 및 품질향상, 고객 만족도 증대 - 기획, 제조, 유통 생산 全과정에 디지털 솔루션 적용으로 생산성 및 품질 향상 ○ 추진방향 : 스마트팩토리에 대한 인식수준 고려 단계별 추진 - 소공인에게 필요한 ERP, MES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기업 내 생산, 물류, 재무, 회계, 영업과 구매, 재고 등 경영 활동 프로세스를 통합적으로 연계해 관리해 주는 기업자원관리 시스템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 생산공정 내의 인력, 장비, 자재의 공정단위의 생산계획을 현장에서 실행하는 것은 물론 생산관련 품질 데이터까지 다루는 공장정보화 시스템 등 일부기능 패키지 개발보급을 시작으로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스마트공장 시스템을 점진적 적용 - 중기부 사업과 연계하여 공정혁신을 위한 신기술 도입시 비용지원 비고 1단계 ? 2단계 생산 공정 효율적인 작업공간 스마트공장 체계 구축 일부공정 자동화, 장비개량 전 공정의 디지털화 생산-자원 관리 연계 증강현실 기반 제조 및 판매 ○ 추진내용 - (공동장비) 소공인 작업에 유용한 ICT 기반 스마트 장비 보급 ※ IOT연계 제조시스템 구축(4억), 운영플랫폼 개발(4억), 공용장비(2.5억), 재단시스템(2.6억) - (공정자동화) 중기부 사업과 연계 지원(시비 최대 2천만원, 앵커 당 10개 업체) ※ 중기부 스마트공장 구축사업 : 현장자동화, 실시간최적화(MES), 공급사슬관리, 제품개발지원시스템 등 도입비용 지원(총 사업비의 50%, 국비 최대 5천만원) 생산관리 시스템 스마트 제조 솔루션 공유, 협업시스템 ? 스마트 팩토리 구현 ▶ 오더/자재관리 ▶ 생산량 집계 ▶ 생산 스케줄 ▶ 스마트 재봉기 ▶ CAD-CAM ▶ IOT 기술기반 솔루션 ▶ 정보 공유 ▶ 오픈플랫폼 ▶ 클라우드 서비스 ▶ 현대화된 제조공장 ▶ 일감연결 서비스 ▶ 협업생산 네트워크 ○ 연차별 추진계획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집적지별 TF 구성·운영 공동장비 개발 장비,생산관리 시스템 적용 일부공정 자동화 협업생산 네트워크 구축 Ⅴ 추진체계 ?? 추진방향 ○ 스마트앵커 TF 운영으로 입주기준 마련 및 입주 소공인 선정 ○ 입주업체 간 협업시스템 구축을 통한 일감 및 일자리 창출 ?? 스마트앵커 조성 TF 구성·운영 ? 스마트앵커 TF 구성 ※ 자치구 특성, 여건에 맞게 탄력적 구성·운영 ○ 추진방향 : 지역 소공인, 산업 전문가 참여를 기반으로 한 지역별 T/F 발족 붙임 4 지역별 TF 참조 ○ 참여대상 - (내부) 서울시 경제진흥본부(경제정책과, 문화융합경제과 등),도시재생본부(역사도심재생과 등), 자치구 사업부서, SH공사, SBA 등 관계기관 - (외부) 소공인(조합), 디자이너, 산업전문가, 유통업체 ? 스마트앵커 TF 운영 ○ 진행방식 - 지역별 TF운영으로 조성 전 지역수요를 반영한 운영 가이드라인 마련 - 상향식(Bottom-up) TF 운영으로 문제 발굴 및 해결방안 도출 - TF 가동 초기는 효율적 운영 위해 인원 최소화, 향후 확대 ○ 주요내용 - 지역별 앵커 용도 및 공간 구성, 참여주체 및 역할분담, 공동장비 발굴 - 입주 기업간 협업시스템 마련, 조합결성 촉진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 - 소공인에게 적합한 업종별 제조공정 혁신안 마련 - ‘기획-생산-유통·마케팅’ 연계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및 홍보마케팅 지원 ○ 市는 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區는 세부 추진계획 수립 및 집행 추진 Ⅵ 기대효과 ?? 생산성 증가 및 매출 증대, 규모의 경제 실현 ○ ICT 기반의 자동화되고 현대화된 생산시설 입주 지원으로 생산성 증대 - 스마트 제조공정으로 정확성 및 시간당 작업량 증대, 불량률 감소 ※ 생산성 23% 향상, 불량률 46% 감소, 원가 16% 절감 (‘17.1월, 스마트공장추진단 조사) ○ 입주기업 및 지역기업 간 조합구성으로 공동생산·구매로 규모의 경제 실현 - 현대화된 시설을 바탕으로 국내·외 바이어 초청이 가능해 일감수주 가능 ?? 도심제조업 혁신성장 선도 모델 제시, 마중물 역할 ○ 시설현대화, 공정 자동화, 협업 시스템을 갖춘 제조 혁신거점 기능 ○ 4차 산업혁명 대응 개방적 혁신 체계 발굴로 지역 제조업으로 확산 계기 ?? ‘기획/디자인-제조-유통’ 가치사슬 간 협업으로 부가가치 창출 ○ 4차 산업혁명 기술 기반의 원스톱 ‘주문-생산-배송 시스템’ 구축으로 일감 창출 ○ ‘기획/디자인-제조-유통·마케팅’ 연계 新비즈니스 모델 발굴 ?? 관련 산업 연관 효과 창출로 지역경제 활성화 ○ 의류·봉제, 주얼리 등 대부분의 도심제조업이 원·부자재 및 유통시장 인근에 집적해 있어 ‘기획, 디자인, 유통’ 간 클러스터 효과 창출 - 도매시장을 중심으로 제조업이 집적해 있어 산업지원에 따른 시너지 효과 기대 ○ 제조기업 및 연관 산업 통합 입주로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도모 - ‘디자인, 샘플/패턴, 프로모션(기획)’ 통합입주에 따른 단순 제조업 입주 지원에 비해 고부가가치가 산업으로 발전 가능성 및 상품 경쟁력 제고 ?? 고용창출, 안정적 일자리 제공, 젊은 신규인력 유입효과 ○ 서울 도심제조업은 소공인 위주로 타 지역에 비해 고용 유발효과가 높음 - 서울 제조업의 직접유발계수 직접유발계수란 각 상품 또는 산업별 산출액 10억 원당 소요되는 직접 취업자 수(한국은행, 2015) 는 5.4명으로 전국 2.8명 보다 높아 고용 창출효과 충분 ○ 서울 도시제조업은 동대문, 남대문시장과 같은 대형 소비시장을 배후로 노동집약적 고용형태를 띠고 있어 다양한 계층에 안정적 일자리 제공 ○ 현대화된 작업공간과 스마트 생산체계 구축으로 젊고 유능한 인재 유치 - 만성 인력난에 고전을 겪고 있는 도심제조업의 젊은 인력 유입 및 숙련공 양성 ?? 도심제조업 활성화로 패션시장 및 관광산업 긍정적 파급효과 ○ 봉제, 수제화, 주얼리 등 도심제조업 활성화로 동대문 패션시장 활력 부여 - 한국 패션산업의 인프라 대부분이 동대문 시장 등 서울에 집중되어 있어, 봉제 산업 활성화는 동대문 유통시장 및 패션산업의 재도약 기회 제공 ○ 서울의 감성과 문화를 반영한 우수 제품 공급으로 산업관광 활성화 기여 - 지역의 역사·문화자원과 결합한 제조업 유통·마케팅으로 산업관광 자원으로 활용 ?? 소비자 중심의 다품종 유연생산 체계로 재편 기회 제공 ○ 동대문 시장의 ‘오전 발주-저녁 납품’ 생산방식은 최적의 패션산업 테스트 베드 - 동대문 시장을 중심으로 세계 최고의 소량 초단기 납품 시스템을 구축, 성장 잠재력 보유 ○ 디자인과 기술력을 접목한 우수상품 브랜딩 및 온디멘드 온디멘드(On Demand) 생산체계란 수요자가 요구하는 대로 서비스, 물품 등이 온라인 또는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되는 경제 시스템 생산체계 혁신 - 프로모션 업체 및 젊은 디자이너 연계 협동화 사업 추진으로 소비자 주문생산 체계 구축 Ⅶ 행정사항 ?? 소요예산 ※ 연도별 재정여건에 따라 변경 가능 (단위 : 백만원) 구 분 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계 재원 344,600 8,000 54,540 88,150 88,150 105,760 국비 60,800 - 9,600 16,000 16,000 19,200 시비 101,300 7,900 16,140 24,150 24,150 28,960 민자 182,500 100 28,800 48,000 48,000 57,600 스마트앵커 조성 소계 312,000 8,000 48,000 80,000 80,000 96,000 국비 60,800 - 9,600 16,000 16,000 19,200 시비 68,700 7,900 9,600 16,000 16,000 19,200 민자 182,500 100 28,800 48,000 48,000 57,600 스마트앵커 공동장비 구축 시비 26,200 - 5,240 6,550 6,550 7,860 스마트 인프라 구축(소공인) 시비 4,000 - 800 1,000 1,000 1,200 협동화 지원 시비 2,000 - 400 500 500 600 현장 TF 운영 시비 400 - 100 100 100 100 ?? 대시민 홍보 및 소통계획 ○ 시기별?수혜대상자별 온?오프라인 매체를 통해 지속적 이슈화?홍보 ○ 보도자료, 기획보도, 전문가 기고, 민?관 공동캠페인 개최 등 ?? 평가 및 환류 ○ 평가대상 : 스마트 앵커 조성지별 추진사업 ○ 평가주기 : 연 2회(상반기 중간평가, 하반기 정기평가) ○ 연도별 사업평가·환류, 보완·시행 ?? 부서(자치구)별 협조사항 ○ 스마트앵커 사업 총괄 : 경제진흥본부(경제정책과) ○ 스마트앵커 소요예산 지원 : 기획조정실(예산담당관) ○ 스마트앵커 위탁개발참여 :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 위탁개발 업체선정, 투자심사 등 진행 : 해당 자치구 ?? 향후 추진계획 ’18.5월 ?스마트 앵커 조성 종합계획 수립 ’18.6월 ?국비 확보를 위한 중앙정부 협의 ’18.7월 ?투자심사 및 ’18년 예산 편성 요구 ’18.8월 ?‘19년도 앵커 후보지 선정(5개소) ’18.9월 ?기본 및 실시설계(성수 수제화 스마트앵커) ’18.11월 ?1개소 착공(성수 수제화 스마트앵커) ’19.2월 ?‘18년도 조성대상지(성북·중랑 봉제, 중구 인쇄) 기본 및 실시설계, ‘19년도 조성대상지 사업타당성 조사 용역 ’19.12월 ?시범 조성지 4개소 준공(이후 16개소 앵커시설 건립 추진) 붙임 : 지역별 스마트앵커 조성 TF 1부. 끝. 붙 임 지역별 스마트앵커 조성 TF ① 성북구 스마트 앵커 조성 TF ※ 자치구 특성, 여건에 맞게 탄력적 구성·운영 ? TF 구성 구 분 구성원 역 할 공공기관 - 경제정책과(스마트앵커팀장) 문화융합경제과(문화산업정책팀장) 성북구 일자리경제과장 협동화사업 방안 수립 비즈니스모델 발굴 - SH공사 - SBA - 스마트공장추진단 스마트앵커 조성 협동화사업, 도입장비 발굴 제조공정 자동화, 표준화 자문 지역업체 및 지역활동가 서울패션섬유협동조합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입주업체 발굴 및 운영안 발굴 협동화 사업 발굴 품질향상 방안 발굴 디자이너 및 유통전문가 패션 디자이너 - 온·오프라인 판매 방안 발굴 디자인 상품 기획 발굴 학계 - 한신대 협동화사업 모델 자문 ? 핵심 논의사항 ? 성북지역(봉제분야) 스마트앵커 조성을 위한 민관 협력체계 구축 ? 봉제분야 공정자동화 및 협동화 프로세스, 입주기준 및 운영 가이드라인 마련 ? 소비자 구매 촉진을 위한 신제품 개발, 유통판로망 확대 ? 신소재 섬유와 결합된 혁신형 제품 개발 및 공동브랜드 개발 ? 동대문 의류시장과 연계한 산업 활성화 방안 도출 ② 중랑구 스마트 앵커 조성 TF ※ 자치구 특성, 여건에 맞게 탄력적 구성·운영 ? TF 구성 구 분 구성원 역 할 공공기관 - 경제정책과(스마트앵커팀장) 문화융합경제과(문화산업정책팀장) 중랑구 기업지원과장 협동화사업 방안 수립 비즈니스모델 발굴 - SH공사 - SBA - 스마트공장추진단 스마트앵커 조성 협동화사업, 도입장비 발굴 제조공정 자동화, 표준화 자문 지역업체 및 지역활동가 한국의류산업협회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입주업체 및 운영안 발굴 협동화 사업 발굴 품질향상 방안 발굴 디자이너 및 유통전문가 서원DF 디자인 상품 기획 - 온·오프라인 판매 방안 발굴 학계 한신대 협동화사업 모델 발굴 자문 제조공정 자동화, 표준화 자문 ? 핵심 논의사항 ? 봉제 스마트앵커 입주기준 및 운영 가이드라인 마련, 조합결성 촉진방안 논의 ? 패션디자이너, 유통업체, 브랜드업체 연계 프로그램 마련 및 상품 기획 ? 봉제분야 공정자동화 및 협동화 프로세스 마련으로 일감수주 및 품질 향상 ? 지역단위 지원조직(중랑패션지원센터)와 연계한 의류봉제산업 육성 ? 특정개발진흥지구(진흥계획) 목적에 부합한 산업생태계 구축 방안 마련 ③ 성수 수제화 스마트 앵커 조성 TF ※ 자치구 특성, 여건에 맞게 탄력적 구성·운영 ? TF 구성 구 분 구성원 역 할 공공기관 - 경제정책과(스마트앵커팀장) - 경제정책과(도시제조업팀장) 성동구 일자리정책과장 협동화사업 방안 수립 비즈니스모델 발굴 - SH공사 - SBA 스마트앵커 조성 협동화사업, 도입장비 발굴 지역업체 및 지역활동가 성수 수제화협회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입주업체 발굴 및 운영안 발굴 협동화 사업 발굴 디자이너 및 유통전문가 맨솔 디자인 및 품질제고 방안 발굴 쇼핑몰 입점 등 판매방안 발굴 연령별 소비가능 신발 발굴 온·오프라인 판매 방안 발굴 학계 건국대학교 협동화사업 모델 발굴 자문 제조공정 자동화, 표준화 자문 신소재 도입 자문 품질향상 R&D 자문 ? 핵심 논의사항 ? 앵커 조성 전 입주기업 선정기준 마련, 업체간 협동화사업 지원 ? 수제화 제조공정 개선, 공동장비 등 표준안 마련 ? 지역판매전, 공동 브랜드 개발, 원·부자재 공동구매, 홍보·마케팅 관련 ? 지역자원(수제화거리, 대림창고, 서울숲) 연계 앵커시설 활성화 방안 마련 ? 성수수제화 집적지구 목적에 부합한 산업생태계 구축 방안 마련 ④ 중구 인쇄 스마트앵커 조성 TF ※ 자치구 특성, 여건에 맞게 탄력적 구성·운영 ? TF 구성 구 분 구성원 역 할 공공기관 - 경제정책과(스마트앵커팀장) 중구 일자리정책과장 역사도심재생과 (다시세운관리팀장) 협동화사업 방안 수립 비즈니스모델 발굴 - SH공사 - SBA 스마트앵커 조성 협동화사업, 도입장비 발굴 지역업체 및 지역활동가 서울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 ㈜태산애드컴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입주업체 발굴 및 운영안 발굴 협동화사업 도출 디자이너 및 유통전문가 동호커뮤니케이션 디지털 인쇄 활성화 방안 친환경 포장재에 대한 시장 개척 3D 프린팅 시스템 고도화지원 학계 - 건국대학교 협동화사업 모델 발굴 자문 3D 프린팅 고도화 자문 ? 핵심 논의사항 ? 인쇄산업 발전 촉진을 위한 민관 협력체계 구축 ? 인쇄산업 클러스터로서 육성 가능한 업체 선정, 지원방안 마련 ? 디지털 인쇄방식과 기존(오프셋) 방식의 장점을 활용한 품질향상안 도출 ? 이종 산업과의 융·복합화 사업 발굴을 통한 수익창출 방안 마련 ? 특정개발진흥지구(진흥계획) 목적에 부합한 산업생태계 구축 방안 마련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정보

- 도심제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스마트앵커 건립 및 운영계획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경제진흥본부 경제기획관 경제정책과
문서번호 경제정책과-5872 생산일자 2018-05-16
공개구분 공개 보존기간 영구
작성자(전화번호) 노동영 (02-2133-5234) 관리번호 D0000033617276
분류정보 경제 > 지역산업 > 지역산업관련기획 > 지역산업진흥정책수립및추진 > 경제정책수립및관리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