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자료
지역행복생활권 도입에 따른 서울대도시권 대응방안 연구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설명 (초록)
초록
연구의 개요정부는 주민 삶의 질을 높이고, 대도시와 중소도시, 도시와 농촌이 협력할 수 있는 새로운 지역정책으로 지역행복생활권을 도입하였다.
이 연구는 지역행복생활권의 개념과 특성을 파악하여 서울대도시권 차원에서 생활권 구성방안을 제시하고, 지역행복생활권 활성화를 위한 과제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중앙정부에 실효성 있는 정책 추진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역행복생활권의 서울시 도입방안
지역행복생활권은 기초인프라, 일자리, 교육?문화?복지 서비스가 충족되는 일상생활의 공간을 의미한다. 지역행복생활권이 기존 지역정책과 가장 차별되는 것은 지자체 간 자율적 합의를 통해 인접한 시군구가 공동으로 연계 협력하여 주민의 실제 생활영역을 담아낸다는 점이다.
서울시는 행정구역상 서울시뿐 아니라 인접한 인천?경기와 밀접한 연관성과 유사성을 갖고 있어, 지역행복생활권의 실효성 있는 적용을 위해서는 서울대도시권으로 확장하여 대응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서울대도시권의 지역생활권 적용 방안을 검토하기 위해, 지리적 연계와 주거이동과 통근통행 등 기능적 연계성을 바탕으로 실제 동일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는 ‘동북생활권’을 사례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서울대도시권에서 지역행복생활권을 구성하고 실효성 있는 연계협력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각 지자체의 숙원 사업을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지자체별로 계획 중인 사업을 검토하여 함께 추진하거나, 행정경계와 생활권 불일치에 따른 주민 불편 사항을 해소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동북생활권에서는 하천살리기 사업, 수락산 둘레길 조성, 대중교통 환승체계 구축 등의 협력사업 아이템이 발굴되었다. 따라서 생활권협의회, 즉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지역 간 공감대를 형성하고 장기적인 계획 추진을 뒷받침할 필요가 있다.
지역행복생활권 도입에 따른 서울대도시권 대응방안 연구
문서 설명 (목차)
I 연구 개요
II 정부의 지역발전정책 진단
III 지역행복생활권의 서울시 도입방안
IV 사례 연구:서울대도시권의 지역행복생활권 적용 방안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II 정부의 지역발전정책 진단
III 지역행복생활권의 서울시 도입방안
IV 사례 연구:서울대도시권의 지역행복생활권 적용 방안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문서 정보
관련문서
-
등록일 : 2013-12-09 부서 :
-
등록일 : 2013-08-16 부서 : 도시공간연구실
-
등록일 : 2014-02-10 부서 : 서울연구원
-
등록일 : 2012-12-15 부서 : 교통시스템연구실
라이브리 소셜 공유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