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사랑

[서울 산책] 걷는 시간이 즐거워진다! 속속들이 알고 싶은 성북동 골목길

문서 본문

성북동은 그 자체가 하나의 박물관이며, 교과서다. 걸어서 10분 이내에
시인과 문학가 등 예술가들의 집터를 만날 수 있으며, 작지만 알찬 전시 공간도 곳곳에 마련되어 있다.
엄빠의 북악스카이웨이 드라이브 코스에서 MZ를 위한 핫플로 변화하는 성북동 산책.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명소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서울하늘아래 #전망대
북악팔각정공원(북악팔각정)

북악스카이웨이로 불리는 구불구불한 산길을 따라 드라이브를 하다보면 북악팔각정공원을 만나게 된다. 북악산 정상에 지어진 한옥 전망대인 팔각정에 오르면 비봉, 향로봉 등의 북악산 봉우리는 물론 63스퀘어, 롯데월드타워 등 서울의 랜드마크도 한눈에 들어온다. 팔각정 1층에는 간단한 다과와 함께 컵라면을 먹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돼 있다. 사부작사부작 걷기 좋아 1시간 내외의 산책 코스로도 인기 있다.

주소 성북구 북악산로 267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피정의집 #최초남자수도회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방유룡 신부가 설계하고 완공한 한국 가톨릭 최초의 내국인 남자 수도회인 한국 순교복자성직수도회의 본원. 한국인 신부에 의해 설계되었다는 가치를 인정받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는 피정의 집으로 사용하고 있다. 적벽돌로 마감한 외벽과 커다란 아치형 창, 성인상 부조가 멋스럽게 어우러진 근대주의 양식과 르네상스 양식이 공존하는 건축물이다.

주소 성북구 성북로 143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맑은공기 #맑은물
성북천 발원지

서울 성곽의 북쪽에 있다는 의미의 성북천(城北川)은 북악산에서 발원해 청계천으로 합류하는 지방 2급 하천이다. 성북천 발원지에는 현재까지도 가재나 도롱뇽, 개구리 등이 서식하고 있다.

주소 성북구 성북동 산25-1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한양도성길1코스시작점 #성북동사랑방
성북역사문화센터

작지만 알차게 조성되어 동네 사람들의 휴식처로 사랑받고 있는 성북역사문화공원은 한양도성길 1코스인 백악 구간의 시작점이다. 공원 바로 옆에 위치한 성북역사문화센터는 관광 안내와 함께 여행자들이 쉬어 갈 수 있는 1층과 2층의 작은 도서관으로 조성돼 있다.

주소 성북구 성북로21길 31
문의 2241-2656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법정스님 #맑고향기롭게
길상사

법정 스님이 계신 곳으로 유명한 길상사는 1997년에 개원한 사찰로, 역사는 짧지만 도심에 위치한 덕분에 불교 신자는 물론 일반인도 즐겨 찾는 명소다. 현재는 사찰 체험, 불도 체험, 수련회 등의 프로그램을 마련해 도심 문화 공간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또 천주교 신자이자 조각가인 최종태 교수가 조각한 관세음보살상과 기독교 신자 백성학 회장이 기증한 칠층석탑을 보유하고 있어 종교 화합의 상징적 공간이기도 하다.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에서 마을버스 성북02번을 타면 길상사 일주문 앞에 하차한다.

주소 성북구 선잠로5길 68

역사적 집터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서울미래유산 #성북동비둘기
북정마을

조선 시대 군사가 진을 치면서 북적거린다 해서 북정마을이라 불렀다는 설도 있고, 메주를 쑬 때 북적북적 끓는 소리를 따서 이름을 지었다는 설도 전해진다. 옛날부터 아름다운 경관 덕분에 작가나 시인 등이 이곳에 터를 많이 잡았다고 한다. 김광섭 시인의 시 ‘성북동 비둘기’의 배경이기도 한 이곳은 지금도 오래된 골목길의 정취를 즐기며 젊은예술가들이 모여 살고 있다.

주소 성북구 성북로23길 132-3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님의침묵 #독립운동가
만해한용운심우장

만해 한용운이 11년간 살았고, 지금은 한용운의 사상연구소로 사용되고 있다. 조선총독부와 마주 보게 되는 것을 거부하고 북향 집터를 선택한 작고 소박한 이 집에서는 한용운 친필 원고와 논문집, 초상화 등을 만날 수 있다.

주소 성북구 성북로29길 24
문의 2241-2652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시민문화유산1호 #근대한옥
최순우옛집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이자 미술사학자 최순우가 살던 한옥. 한국의미에 관심이 많았던 만큼 집 전체에 자신이 생각하는 한국적 아름다움을 가득 담아 완성했다. ㄱ 자 모양 바깥채와 ㄴ 자 모양 안채가 맞물린 ㅁ 자 모양의 경기 양식을 띠고 있다. 지금은 문화, 교육, 체험, 행사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주소 성북구 성북로15길 9
문의 3675-3402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성북동문인거리 #시민휴식처
조지훈시비(방우산장)

방우산장은 조지훈 기념 건축 조형물이다. 청록파 시인 조지훈은 자신이 기거했던 모든 집을 ‘방우산장(放牛山莊)’이라 불렀다. 이 조형물은 조지훈의 집터 근처에 ‘시인의 방’이라는 콘셉트로 조성됐으며, 조지훈 시인의 삶과 흔적을 만날 수 있다. 지금은 열린 공간에 의자를 자유롭게 배치해두어 시민의 쉼터로도 활용된다.

주소 성북구 성북동 142-1

맛집·찻집·빵집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한국적인멋과맛 #뷰맛집
삼청각(다원)

남북적십자회담, 한일회담 협상 등 역사적 장소로 이용되었던 삼청각이 2022년 전통 예술 복합 문화 공간으로 새롭게 문을 열었다. 삼청각 내 모든 건물은 한옥으로 만들어졌으며, 본채인 일화당과 5개의 별채로 이루어져 있다. 그중 차를 마실 수 있는 일화당의 다원은 서울 시내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야외 테라스가 압권. 커피 메뉴 외에 쌍화차나 대추차 등 전통차도 맛볼 수 있다. 셔틀버스도 운행해 차 없이 방문하기도 좋은 곳.

주소 성북구 대사관로 3
문의 765-3000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이태준한옥 #고택전통찻집
수연산방

상허 이태준의 가옥 ‘수연산방’은 일제강점기에 순수문학을 표방했던 구인회 멤버들의 사랑방 역할을 했다. 시간이 흘러 1998년부터 현재까지 문인(文人)이 모이는 산속의 집이라는 뜻을 지닌 동명의 전통 찻집으로 운영되고 있다. 찻집 곳곳에 손때 묻은 한옥의 멋스러움이 가득하다.

주소 성북구 성북로26길 8
문의 764-1736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샤르퀴트리 #수제햄맛집
살라미랩

이탈리아 신부님이 겨울마다 만들던 살라미의 맛과 향을 잊지 못해 직접 전수받아 문을 열게 된 곳. ‘좋은 재료를 식탁으로’를 모토로 국내산 무항생제 돼지고기와 좋은 향신료만을 사용해 살라미를 만들고 있다.

주소 성북구 성북로16길 7
문의 0507-1367-5786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소금빵 #빵지순례
밀곳간

버터의 풍미와 소금의 맛이 어우러진 소금빵이 가장 인기 있고, 음료는 전혀 판매하지 않는, 그야말로 ‘줄 서는 빵집’. 천연발효종을 이용한 건강한 빵 위주로 인기메뉴인 펌퍼니클이나 통밀 사워도 등은 스마트스토어에서도 구입 가능하다.

주소 성북구 성북로18길 19
문의 742-0525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기사식당 #연탄구이
쌍다리돼지불백

성북동 하천 위 2개의 다리가 있던 ‘쌍다리’ 근처에 자리한, 55년 된 노포. 우리나라 기사 식당 메뉴 중 ‘돼지불백’을 대표메뉴로 만든 원조 맛집이기도 하다. 메뉴를 주문하면 그때그때 연탄불에 구워 내오는 덕분에 불맛의 풍미가 가득하다.

주소 성북구 성북로23길 4
문의 743-0325

미술관·박물관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환수유물관 #전통자수까지
우리옛돌박물관

언덕이 많은 성북동, 그중에서도 언덕 꼭대기에 있는 우리옛돌박물관은 국내외에 흩어져 있던 한국 석조 유물을 한곳에 모아 만든 석조 전문 박물관이다. 야외 전시장인 정원에는 문인석과 장군석, 석탑, 불상 등이 자연과 멋스럽게 어우러져 있다. ‘뮤지엄웨이브’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전시가 열리는 실내 공간은 전문 도슨트의 해설도 가능하므로 미리 확인하고 들러보면 좋다.

주소 성북구 대사관로13길 66
문의 koreanstonemuseum.com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1본관3분관 #도슨트
성북구립미술관

한국 근현대 미술이 생겨날 무렵부터 수많은 작가와 창작자가 모여들었던 성북구. 그래서일까, 성북구립미술관은 서울시 최초의 자치구 미술관으로 문을 열었다. 이후 한국 근현대 미술사를 중심으로 한 기획·전시 공간으로 활용돼오고 있다. 6월 23일까지는 20여 년간 성북동에 거주하며 성북동을 작품 배경이자 삶의 터전으로 삼은 한국 현대미술의 대표적 작가 유근택의 전시 <유근택 : 오직 한 사람>을 개최한다.

주소 성북구 성북로 134
문의 sma.sbculture.or.kr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목판으로부터 새로운 탄생의 순간을 즐겨보세요.”

나무에서 어둠을 들어내 결국 칼과 빛의 파동만을 남기게 되는 체험 공간 목판들은 나의 내면 깊숙이 내재된 감성을 수면 위로 끌어 올립니다.
무심코 파 내려간 목판으로부터 예기치 않은 새로운 형상과 공간이 탄생하는 그 순간을 함께 즐겨보시기 바랍니다.
- 유근택 작가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전통의생활 #사적제83호선잠단지
성북선잠박물관

조선 시대에 양잠의 신에게 제사를 드린 성북동길의 선잠단. 매년 5월 이곳에서 선잠제를 재현하는데, 이 모든 것을 담은 성북구 최초 공립박물관이 성북선잠박물관이다. 국가 제례인 선잠제에 대한 내용과 양잠 그리고 비단 및 명주실로 만든 공예품까지 살펴볼 수 있으며, 다양한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5월에는 <늦봄의 길한 뱀날-선잠제의 제기와 음식展>이 열린다.

주소 성북구 성북로 96
문의 744-0025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궁중자수 #자수체험
한상수자수박물관

국내외 자수 관련 자료와 국가무형문화재 제80호 자수장(刺繡匠) 초대 기능 보유자인 고(故) 한상수 선생의 작품과 기록, 유품을 박물관학의 체계적 관리에 따라 보존 및 연구하고 전시하는 작은 한옥 박물관이다. 입장료는 3,000원이며, 1일 자수 체험 학습도 운영하므로 미리 예약하고 직접 작품을 만들어볼 것을 추천한다.

주소 성북구 성북로16길 4-10
문의 744-1545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작품속성북 #필사체험
성북근현대문학관

2024년 3월에 개관한 최신 문학관. 아름다운 자연경관 덕분에 예술가가 많이 모였다는 성북동만의 특징을 살려 성북동의 문학과 관련한 자료를 수집해 전시와 문학 아카이브 구축,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입장료 1,000원의 매표소가 있는 진입층에는 관련 서적이 구비된 자료열람실이 있고, 주변의 나지막한 건물들과 잘어우러지는 성북근현대문학관 2층에서는 직접 테라스로 나가 아름다운 성곽의 모습을 감상할 수도 있다. 현재는 만해한용운 서거 80주기를 기념한 특별전이 열리며, <님의 침묵> 초판본을 만날 수 있다.

주소 성북구 성북로21길 24
운영 오전 10시~오후 6시

체험 공간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전통문화체험 #한옥결혼식
예향재

성북구에서 운영하는 전통문화 체험, 전시, 공연, 강좌 공간으로 커뮤니티 공간 사랑채와 한옥 체험 공간 안채로 구성돼 있다. 기본적으로 주거 공간인 한옥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다양한 체험을 진행하고있는데, 다례 기본예절부터 전통 놀이 체험 및 생활 서예와 규방 공예까지 프로그램 내용도 다양해서 인기가 많다. 올 상반기에도 생활 서예와 한복 랩 치마 만들기 프로그램이 이어질 예정이다.

주소 성북구 성북로31길 97
문의 742-4997~8

서울산책 기사이미지

“다양한 체험을 통해 전통문화를 배울 수 있어서 좋았어요.”

한옥에서 예쁜 한복을 입고 전통문화와 전통 놀이를 배울 수 있어서 좋았어요. 동생이랑 예쁜 꽃을 올려서 만든 화전도 맛있었고,
무엇보다 한복 입고 민요 노래를 배우거나 친구들이랑 함께 전통 춤을 추는 게 재밌었어요.
- 김지유 & 김시연

김태인, 배수은 사진 정지원, 정선우 일러스트 김가빈

문서 정보

[서울 산책] 걷는 시간이 즐거워진다! 속속들이 알고 싶은 성북동 골목길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서울사랑 제공부서 시민소통담당관
작성자(책임자) 한해아 생산일 2024-05-03
관리번호 D0000050740386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