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사랑

[동네방네] 문화와 역사가 쉼을 만드는 중랑구

문서 본문

아이콘

중랑천을 곁에 둔 서울 동북부의 관문, 중랑구.

도시와 자연이 어우러져 봄에 찾으면 더욱 좋은 중랑구의 명소를 소개한다.



시민이 사랑하는 근사한 휴식 공간

숲이 우거진 길을 걷는다. 도처에 핀 꽃이 시선을 따듯하게 감싼다. 자연에 들어온 듯 몸과 마음이 편안하다. 복잡한 도로, 높은 아파트가 그리는 도심 풍경 속에 이토록 맑고 고 운 공간이 있다는 사실이 고맙다. 봉화산 자락에 자리한 옹기테마공원은 중랑구민이 사랑하고 서울시민이 즐겨 찾는 아름다운 휴식처다. 옹기테마공원이 문을 연 것은 2017년 3월. 원래 이곳엔 1971년부터 2014년까지 40여 년간 화약류를 보관하던 6개 건물이 들어서 있었다. 인근 주민들을 오랫동안 불안에 떨게 했던 화약고가 2014년 이전하자 중랑구는 옹기를 주제로 한 공원을 조성하기로 결정했다. 서울 에서 유통되는 옹기의 70% 이상을 공급해온 옹기 장인의 마을, 중랑구 신내동의 전통을 계승하려는 목적이었다. 단지 구경만 하는 게 아니라 직접 만지고 배우는 시설도 조성했다. 접근하기 꺼리던 곳에서 테마 공원으로 탈바꿈하는 극적인 변화였다.


전문 강사에게 배우는 옹기의 모든 것

옹기테마공원은 옹기 가마와 옹기·목공예·한지 체험장, 휴식 공간인 옹기 정원, 화약고 1동을 남겨 꾸민 흔적의 정원,전망대, 실버 카페 등으로 구성됐다. 무형문화재 제30호 배 요섭 옹기장의 참여로 재현한 폭 3m, 길이 15m의 대형 옹기 가마는 옹기테마공원을 대표하는 상징적 볼거리다. 각 체험장에선 매주 화·목·토요일 오전 한 차례, 오후 두 차례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전문 강사에게 옹기의 역사와 시대별·종류별 특징을 배우고 컵, 화분, 접시, 그릇을 직접 만들어보는 일은 서울에서 쉽게 접하기 힘든 만족스러운 경험을 선사한다.

옹기테마공원

주소중랑구 신내로21길 116
체험 프로그램 운영 시간화·목요일 오전 10시~낮 12시, 오후 3시~5시 ,토요일 오전 10시~낮 12시, 오후 2시~4시
문의02-2094-2966

문화 여행 명소

경기도와 강원도 지역을 드나드는 길목에 위치한 중랑구는 동쪽으론 구릉산과 망우산에 안겼고, 북쪽으론 봉화산을 품고 있다. 

자연에 둘러싸인 교통의 요지라는 특성 덕분에 이색적인 볼거리와 아름다운 풍경이 곳곳에 자리하고 있다.

서울장미축제(중랑천)

1/서울장미축제(중랑천)

중랑천에 피어난 수천 송이의 장미가 잊지 못할 순간을 선사한다.그 덕에 서울장미축제가 5월 24~26일 장미터널 일대에서 열린다. 퍼레이드, 가요제, 재즈 콘서트 등 각종 행사와 장미를 테마로 한 로즈 마켓이 열려 중랑천의 봄 정취를 한껏 끌어올릴 예정이다.

주소
중랑구 중화동 384-2 일원





망우리공원

2/망우리공원

한용운, 방정환 등 유명 인사의 묘역이 한자리에 모인 데다 걷기 좋은 숲길이 있어 역사와 함께하는 인문 산책 코스로 인기다. 특히 전망대는 한강 이남까지 한눈에 들어오는 근사한 조망을 자랑한다. 2020년 휴게 시설인 웰컴 센터가 들어서면 더욱 편하게 이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주소
중랑구 망우동 94-1





중랑캠핑숲

3/중랑캠핑숲

잘 가꾼 숲과 쾌적한 시설이 어우러진 생태 학습 공원이다. 모든 캠핑 사이트가 널찍해 마음껏 뛰어놀 수 있고, 청소년 독서실, 청소년 커뮤니케이션 센터,생태 학습 존을 갖춰 가족 단위로 방문하면 더 즐겁다. 꽃과 곤충을 관찰하는 등의 체험 프로그램도 다채롭다.

주소
중랑구 망우로87길 110





중랑캠핑숲

4/용마테마공원

폐장한 놀이공원(용마랜드)이 인생 사진을 남기는 핫한 명소가 됐다. 오랫동안 가동하지 않은 놀이 기구와 허름한 분위기가 빈티지한 분위기를 연출해 데이트 코스, 스냅사진 촬영지로 널리 알려졌다. 시간마저 바래버린 듯한 공간을 구경하는 것만으로도 이색 추억이 된다.

주소
중랑구 망우로70길 118





동원골목시장

5/동원골목시장

건물과 건물 사이, 주택과 주택 사이를 따라 상점이 펼쳐진 중랑구 대표 전통시장 중 하나다. 지하철 7호선 면목역에서 가깝고, 전용 주차장까지 있어 접근이 편리하다. 시장 밖 주택 골목에도 상점이 늘어설 만큼 규모가 크며, 물가도 저렴해 항상 사람들로 북적인다.

주소
중랑구 상봉로11길 37





먹골배 시조목

6/먹골배 시조목

봉화산에서 100여 년 가까이 자생해온 청실배나무의 마지막 한 그루를 2017년 봉수대공원에 이식했다. 봉화산 배나무 군락지에서 자생해온 이 배나무는 도시 개발 과정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하자 인근 농장에 옮겨졌다가 지역 사찰인 법장사의 기증으로 다시 중랑구로 돌아왔다.

주소
중랑구 신내동 602-1





용마폭포공원

7/용마폭포공원

51.4m 높이의 용마폭포와 각각 21m, 21.4m의 청룡폭포, 백마폭포에서 떨어지는 물줄기가 가슴까지 시원하게 만든다. 1993년 문을 열 당시 동양에서 가장 높은 인공 폭포로 이름을 알렸다. 국제 공인 규격의 인공암벽장인 클라이밍 경기장과 각종 운동 경기장이 자리해 있다.

주소
중랑구 용마산로 250-12





약도

김규보사진 제공 중랑구

문서 정보

[동네방네] 문화와 역사가 쉼을 만드는 중랑구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서울사랑 제공부서 시민소통담당관
작성자(책임자) 한해아 생산일 2019-03-29
관리번호 D0000035913545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