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자료

서울시 공예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공예자원 조사연구

문서 본문

  • 번호 : 7597
  • 연도 : 2014
  • 용역명 : 서울시 공예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공예자원 조사연구
  • 입력일 : 2013/08/29
  • 추진상황 : 최종결과물 제출
  • 용역수행기관 : 서울마케팅리서치, 엠아이리서치
  • 용역기간 : 2014/05/16 - 2015/01/30
  • 책임연구원 : 김성진
  • 용역분야 : 문화·관광
  • 용역기관선정방법 : 일반경쟁 입찰
  • 사업명 : 서울시 공예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공예자원 조사연구
  • 사업기간 : 2014/05/16 - 2014/12/16
  • 연구내용 : ○ 전국적 상황에 근거한 서울시의 공예자원 실태조사 - 한국 공예 디자인 문화진흥원의 ‘2012 공예현황 보고서’를 기초로 서울시의 현황 조사 - 소규모 공방 및 개인작가의 창작 및 제작현황 실태 조사 - 공예품의 판매점을 비롯한 유통 공간 실태 조사 - 공예품의 종류 및 품목 조사 - 재료 및 공구의 수급 현황 조사 - 교육 및 연구현황 조사 ○ 서울시 공예문화산업 인프라의 특성 분석 및 활성화 방안마련 - 전국 혹은 해외 사례와 비교 분석 - 제작 및 판매 유통 환경, 전시, 홍보, 교육, 연구 환경으로 분류 - 공예품 제작 인프라 구축 방안 모색 소규모 공방, 개인공예가의 제품개발 및 창작지원 시스템 개발 - 교육 및 연구 기능의 활성화 방안 연구 ○ 공예문화상품 유통 활성화를 위한 민관협력 지원체계 제시 - 유통현황 분석을 통한 정보공유 및 민관협력 네트워크 구축방안 제시 - 공예문화상품 유통모델 마련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공예품 유통망 형성 방안 모색
  • 담당자 : 이주영
  • 연구수행기관 : 서울마케팅리서치, 엠아이리서치

문서 설명

초록

○ 과업의 목적
- 서울시 중·장기 공예정책 수립을 위한 공예문화자원 현황 조사
- 서울시 공예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 서울시의 역사적 의미와 환경에 기초한 공예문화산업의 방향 및 목표수립
- 수준 높은 공예문화 도시로서의 위상 정립

○ 과업의 범위
- 전국적 상황에 근거한 서울시 공예자원 실태조사 및 분석
- 서울시의 공예산업 인프라 특성분석 및 활성화 방안제시
- 공예문화상품 유통활성화를 위한 민관협력 지원체계 구축 ○ 서울시의 중·장기 공예문화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로 공예자원에 대한 현황 및 실태조사 필요
○ 서울시 고유의 공예문화산업 정비
○ 공예문화산업 활성화에 의한 도시 경쟁력 제고 ○ 전국적 상황에 근거한 서울시의 공예자원 실태조사
- 한국 공예 디자인 문화진흥원의 ‘2012 공예현황 보고서’를 기초로
서울시의 현황 조사
- 소규모 공방 및 개인작가의 창작 및 제작현황 실태 조사
- 공예품의 판매점을 비롯한 유통 공간 실태 조사
- 공예품의 종류 및 품목 조사
- 재료 및 공구의 수급 현황 조사
- 교육 및 연구현황 조사

○ 서울시 공예문화산업 인프라의 특성 분석 및 활성화 방안마련
- 전국 혹은 해외 사례와 비교 분석
- 제작 및 판매 유통 환경, 전시, 홍보, 교육, 연구 환경으로 분류
- 공예품 제작 인프라 구축 방안 모색
소규모 공방, 개인공예가의 제품개발 및 창작지원 시스템 개발
- 교육 및 연구 기능의 활성화 방안 연구

○ 공예문화상품 유통 활성화를 위한 민관협력 지원체계 제시
- 유통현황 분석을 통한 정보공유 및 민관협력 네트워크 구축방안 제시
- 공예문화상품 유통모델 마련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공예품 유통망 형성 방안 모색
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3.0 마크

문서 정보

서울시 공예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공예자원 조사연구 - 문서정보 :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D0000021978046 분류 문화관광
원본시스템 학술용역 심사결과 제공부서 서울마케팅리서치, 엠아이리서치
작성자(책임자) 이주영 생산일 2013-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