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자료

자원회수시설 주변 주민건강영향조사 연구용역(4단계 1차년도 사업)

문서 본문

  • 번호 : 6537
  • 연도 : 2013
  • 용역명 : 자원회수시설 주변 주민건강영향조사 연구용역(4단계 1차년도 사업)
  • 입력일 : 2012/08/26
  • 추진상황 : 최종결과물 제출
  • 용역수행기관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경공해연구소)
  • 용역기간 : 2013/01/16 - 2013/11/11
  • 책임연구원 : 신동천
  • 용역분야 : 환경
  • 용역기관선정방법 : 일반경쟁 입찰
  • 사업명 : 자원회수시설 주변 주민건강영향조사 연구용역(4단계 1차년도 사업)
  • 사업기간 : 2013/01/16 - 2013/11/11
  • 연구내용 : ○ 연구내용 : 자원회수시설 가동으로 인하여 주변 환경 및 주민건강에 미치는 영향 - 환경영향 : 유해물질 배출량 평가, 대기질 조사, 교통영향 기여 평가 - 인체영향 : 혈중 유해물질 농도 평가 및 위해성 분석 - 건강영향 : 문진 및 기초 임상검사, 삶의 질 평가 ※ 주요 조사항목 . 대기오염물질 : 미세먼지, 중금속, 다이옥신 등 . 암, 독성 유발 가능물질(혈중) : 납, 크롬 등 중금속 . 환경호르몬 물질(혈중) : 다이옥신 ○ 연구방법 - 시설주변 반경 300미터 이내 지역과 참고지역으로 구분 - 영향권 주민은 5년이상 해당지역 거주자를 대상으로 코호트 (연구집단)을 구성하여 추적조사 실시
  • 담당자 : 유영춘
  • 연구수행기관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경공해연구소)

문서 설명

초록

○ 다이옥신 등 자원회수시설로 인한 유해물질이 주변지역 주민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장기 모니터링하고
○ 자원회수시설로 인한 주변지역 환경영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주민들의 계속적인 우려를 해소하고, 서울시의 일관된 대민정책을
통해 자원회수시설의 효율적인 운영 및 이미지를 제고 하고자 함 ○ 공신력 있는 전문기관에서 장기 연구를 위한 코호트(연구집단)를
구성하여 지속적으로 인체와 환경의 영향을 모니터링 필요
○ 국내의 자원회수시설로 인한 인체와 환경 모니터링의 자료가 전무한
현실에서 객관성 있는 국내 자료의 양산 및 구축이 필요
○ 이 자료들을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 활용함으로써 주민들의 불안 및
불만을 해소하고, 객관적 자료를 바탕으로 함으로써 서울시 정책의
근간자료로 활용 ○ 연구내용 : 자원회수시설 가동으로 인하여 주변 환경 및 주민건강에
미치는 영향
- 환경영향 : 유해물질 배출량 평가, 대기질 조사, 교통영향 기여 평가
- 인체영향 : 혈중 유해물질 농도 평가 및 위해성 분석
- 건강영향 : 문진 및 기초 임상검사, 삶의 질 평가
※ 주요 조사항목
. 대기오염물질 : 미세먼지, 중금속, 다이옥신 등
. 암, 독성 유발 가능물질(혈중) : 납, 크롬 등 중금속
. 환경호르몬 물질(혈중) : 다이옥신
○ 연구방법
- 시설주변 반경 300미터 이내 지역과 참고지역으로 구분
- 영향권 주민은 5년이상 해당지역 거주자를 대상으로 코호트
(연구집단)을 구성하여 추적조사 실시
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3.0 마크

문서 정보

자원회수시설 주변 주민건강영향조사 연구용역(4단계 1차년도 사업) - 문서정보 :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D0000000714697 분류 환경
원본시스템 학술용역 심사결과 제공부서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경공해연구소)
작성자(책임자) 유영춘 생산일 2012-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