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자료

서울형 뷰티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학술용역 시행계획(안)

문서 본문

  • 번호 : 1626264520032
  • 연도 : 2021
  • 용역명 : 서울형 뷰티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학술용역 시행계획(안)
  • 입력일 : 2021-07-14
  • 추진상황 : 결과활용보고서 제출
  • 용역수행기관 : 산업연구원
  • 용역기간 : 2021-10-06 - 2022-03-04
  • 책임연구원 : 주현
  • 용역분야 : 산업
  • 용역기관선정방법 : 제한경쟁입찰
  • 사업비 : 40,000천원
  • 사업명 : 서울형 뷰티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학술용역 시행계획(안)
  • 사업기간 : 2021-09-13 - 2021-12-13
  • 연구내용 : ○ 뷰티산업의 정의 - 화장품, 이?미용 등 뷰티산업(뷰티제조업, 뷰티서비스업, 뷰티테크) 및 연관산업(성형 및 피부 의료, 관광, 문화, 패션 및 주얼리 산업 등)의 개념 및 범위 등 정의 - 서울형 뷰티산업의 개념 및 범위 정의 ○ 국내외 뷰티산업의 현황 및 정책동향 파악 - 국내외 뷰티산업 관련 선행연구 검토 - 국내외 뷰티산업의 변화 추이 분석 - 국내외 뷰티산업의 시장규모, 한국 뷰티산업의 수출규모 등 분석 - 국내외 뷰티산업 및 연관산업의 시장 현황 및 향후 전망 분석 - 국내외 뷰티산업 관련 법규, 중앙부처 및 타 지자체의 뷰티산업 지원정책 동향 등 분석 ○ 서울형 뷰티산업 육성전략 마련을 위한 수요 조사 - 서울 소재 뷰티산업 종사자 설문조사를 통한 현황 및 문제점 파악 ?뷰티산업계의 생산?유통, 수출 및 해외시장 진출의 현황 및 문제점 ?뷰티테크, 바이오 등 뷰티 관련 R&D 및 인력 운영의 현황 및 문제점 ?전시회?박람회 등 참가, 경영성과 등 현황 및 문제점 등 조사?분석 - 서울형 뷰티산업 정책방향에 대한 개발?생산?유통 관계자들의 정책수요 조사 - 마케팅전문가 FGI (집단 심층면접) 실시를 통한 서울 소재 뷰티기업의 국내외 매출 증대방안, 해외진출 확대방안 등 도출 ○ 서울형 뷰티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추진방향?전략 및 과제 도출 - 서울형 뷰티산업 육성정책의 기본방향, 추진전략, 실행과제 등 도출 - 서울형 뷰티산업의 거점(동대문 뷰티산업 클러스터 등) 조성 및 활성화 방안(뷰티 관련 혁신제품 연구개발 지원, 뷰티산업 및 4차 산업혁명 혁신산업과의 융합 촉진, 뷰티 스타트업 육성 등) 도출 - 뷰티산업군 내 연계방안 및 한류?문화?관광?패션 등 분야 연계?활성화 방안 (한류 활용 대규모 국제 뷰티 페스티벌 개최, 서울패션위크 연계 개최, 서울 뷰티관광 콘텐츠 개발 등) 도출 - 뷰티기업?협회?인플루언서 등 민간분야와의 협력을 통한 서울 소재 뷰티기업의 제품 프로모션 방안 등 도출 - 서울형 뷰티산업의 브랜딩 전략(브랜드 개발 및 적용방안 등) 및 ‘뷰티도시서울’로의 도약을 위한 글로벌 마케팅 방안 도출 등
  • 담당자 : 김진주
  • 연구수행기관 : 산업연구원

문서 설명

초록

○ 용 역 명 : 서울형 뷰티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 학술용역
○ 용역기간 : 계약일로부터 3개월
○ 소요예산 : 40백만원
○ 계약방법 : 제한경쟁입찰(협상에 의한 계약) ○ 뷰티산업은 미래 유망산업 중 하나로, 한국 화장품에 대한 전 세계적 관심은 지속 증가 추세이며, 서울은 K-뷰티의 중심지
- 세계화장품시장 규모는 $4,996억(’19), 매년 5.3% 성장 전망
- 한국 화장품의 수출규모는 9년 연속 흑자, 특히, ’20년 수출규모($75억)는 세계 3위 수준으로, 의약품($72억), 가전($70억)보다 큰 규모 기록
- 세계 100대 화장품기업에 포함된 한국 화장품기업 4개사의 본사* 및 국내 화장품 책임판매업체의 45.7%가 서울에 위치
*12위 엘지생활건강 (종로), 14위 아모레퍼시픽 (용산), 88위 에이블씨앤씨 (서초), 100위 클리오 (성동)
○ 그러나 중앙부처 및 타 지자체와 달리 서울은 뷰티산업 육성을 위한 기본계획이 부재하여 지원정책이 거의 전무한 상황
- 중앙부처는 ‘K-뷰티 혁신 종합전략’ 발표(’21.1.), 경기, 인천, 부산 등 9개 광역 지자체는 뷰티산업 진흥조례 제정을 통해 뷰티산업 진흥정책 추진 중
- 서울의 화장품, 이?미용 등 관련 허가 등 업무는 시민건강국에서 담당, 패션?주얼리 등 업무는 경제정책실에서 담당하고 있으나 뷰티산업 육성을 총괄적으로 담당하는 전담조직 및 진흥조례 등은 부재
○ 서울의 미래 먹거리 마련 및 ‘뷰티도시 서울’의 구현을 위하여 학술연구용역을 통한 뷰티산업 관련 기초조사 시행 및 뷰티산업 육성 정책의 추진방향?과제 등 도출하여 서울형 뷰티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 필요 ○ 뷰티산업의 정의
- 화장품, 이?미용 등 뷰티산업(뷰티제조업, 뷰티서비스업, 뷰티테크) 및 연관산업(성형 및 피부 의료, 관광, 문화, 패션 및 주얼리 산업 등)의 개념 및 범위 등 정의
- 서울형 뷰티산업의 개념 및 범위 정의
○ 국내외 뷰티산업의 현황 및 정책동향 파악
- 국내외 뷰티산업 관련 선행연구 검토
- 국내외 뷰티산업의 변화 추이 분석
- 국내외 뷰티산업의 시장규모, 한국 뷰티산업의 수출규모 등 분석
- 국내외 뷰티산업 및 연관산업의 시장 현황 및 향후 전망 분석
- 국내외 뷰티산업 관련 법규, 중앙부처 및 타 지자체의 뷰티산업 지원정책 동향 등 분석
○ 서울형 뷰티산업 육성전략 마련을 위한 수요 조사
- 서울 소재 뷰티산업 종사자 설문조사를 통한 현황 및 문제점 파악
?뷰티산업계의 생산?유통, 수출 및 해외시장 진출의 현황 및 문제점
?뷰티테크, 바이오 등 뷰티 관련 R&D 및 인력 운영의 현황 및 문제점
?전시회?박람회 등 참가, 경영성과 등 현황 및 문제점 등 조사?분석
- 서울형 뷰티산업 정책방향에 대한 개발?생산?유통 관계자들의 정책수요 조사
- 마케팅전문가 FGI (집단 심층면접) 실시를 통한 서울 소재 뷰티기업의 국내외 매출 증대방안, 해외진출 확대방안 등 도출
○ 서울형 뷰티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추진방향?전략 및 과제 도출
- 서울형 뷰티산업 육성정책의 기본방향, 추진전략, 실행과제 등 도출
- 서울형 뷰티산업의 거점(동대문 뷰티산업 클러스터 등) 조성 및 활성화 방안(뷰티 관련 혁신제품 연구개발 지원, 뷰티산업 및 4차 산업혁명 혁신산업과의 융합 촉진, 뷰티 스타트업 육성 등) 도출
- 뷰티산업군 내 연계방안 및 한류?문화?관광?패션 등 분야 연계?활성화 방안 (한류 활용 대규모 국제 뷰티 페스티벌 개최, 서울패션위크 연계 개최, 서울 뷰티관광 콘텐츠 개발 등) 도출
- 뷰티기업?협회?인플루언서 등 민간분야와의 협력을 통한 서울 소재 뷰티기업의 제품 프로모션 방안 등 도출
- 서울형 뷰티산업의 브랜딩 전략(브랜드 개발 및 적용방안 등) 및 ‘뷰티도시서울’로의 도약을 위한 글로벌 마케팅 방안 도출 등
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3.0 마크

문서 정보

서울형 뷰티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학술용역 시행계획(안) - 문서정보 :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D0000045067102 분류 경제
원본시스템 학술용역 심사결과 제공부서 산업연구원
작성자(책임자) 김계연 생산일 2024-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