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2018년 가족건강증진 계획

문서번호 건강증진과-8666 결재일자 2018.4.24. 공개여부 대시민공개 방침번호 시 민 가족건강팀장 건강증진과장 시민건강국장 이경희 박경옥 04/24 나백주 협 조 건강한 가족, 행복한 임신?출산?육아를 위한 2018년 가족 건강증진 계획 2018. 4. 서울특별시 시민건강국 (건강증진과) 목 차 Ⅰ 정책환경 및 현황분석 1 Ⅱ 정책비전 및 목표 5 Ⅲ 2018년 정책추진 방향 6 Ⅳ 세부추진계획 7 1. 건강한 가족?행복한 출산지원 7 2. 임신지원 및 모성건강관리 11 3.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17 4. 영유아사전 예방적 건강관리 20 Ⅴ 추진일정 24 Ⅵ 소요예산 25 Ⅶ 사업평가 26 Ⅷ 기대효과 27 Ⅰ. 정책환경 및 추진배경 2017년 주요성과 ? 임신지원 및 모성 건강관리, 출산 및 양육지원 환경조성, 영유아 사전예방적 건강관리 등 임신 및 출산에 대한 지원 확대 강화 ? 임신지원 및 모성 건강관리 확대 및 지속 추진 - 임산부 등록을 통한 체계적 관리 및 난임 부부· 청소년산모 등 취약 산모 및 고위험 산모 의료비지원으로 임신지원과 임산부 건강관리 지원 - 계획임신 및 임신전 건강관리를 위한 남녀 성 건강지원사업 시범실시 ? 출산 및 양육하기 좋은 환경 조성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영유아 방문 건강관리 지속확대, 기저귀와 모유수유가 어려운 가정에 조제분유 지원을 통해 경제적 부담 경감 - 저출산 대응을 위한 서울시 ‘서울愛 프로젝트’ 임신?출산 분야 참여 ? 미래세대 건강보장을 위한 영유아 사전 예방적 건강관리 추진 -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의료비 지원, 선천성대사 이상 검사 및 지원, 난청조기검진사업 등 선제적 건강관리에 기여 ? 사업 목표에 따른 달성도 구분 세부추진내용 `17년 목표 `17년 실적 달성도(%) 비고 건강한 산모 ?행복한 출산지원 모자건강센터 확대운영 2개소 2개소 100 서울아기 건강첫걸음(방문건강관리) 23.3% 24.5% 105 0세 기준 임산부 지속관리 임산부 등록관리 70,000명 55,447명 79.2 임산부 건강증진 프로그램 1,000명 3,055명 305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17,000건 23,160건 136 청소년산모 임신 출산 지원 120명 96명 80 고위험임산부 의료비 지원 1,860명 1,055건 57 표준모자보건수첩 제공 70,000부 80,000부 114 산모 신생아 건강지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지원 13,000명 11,804명 90.8 산후조리원 감염 및 안전점검 4회 4회 100 저소득층 기저기 조제분유 지원 3,500명 7,631건 218 의료취약 계층 건강지원 미숙아 선천성이상아 의료비 3,330명 1,751명 53 선천성대사이상검사 및 환아관리 75,863명 66,800명 88 난청 조기진단 사업 6,741명 10,560명 157 취약 전 아동 실명예방사업 36,000명 36,330명 100 16개구 참여 취약여성 건강관리 취약(근로)여성 건강관리 사업 8개구 7개구 88 ‘18년 부터 건강환경 지원팀 이관 정책환경 및 현황분석 ① 정책여건 및 사업의 필요성 ? 출산율 현황 - 출생아 수는 40만6천명(‘16년)보다 35만7천명(‘17년)으로 11.9% 감소 합계출산율 합계출산율 : 가임여성(15~49세) 1명이 평생 출산하는 평균 자녀 수 - 인구대체수준(대체출산율) : 인구규모 유지에 필요한 출산율 2.1명 - 초저출산 사회 : 합계출산율 1.3명 이하 은 전국 1.05명(‘17년)으로 1.17명(’16년)보다 0.12명 감소 서울시는 0.84명(‘17년)으로 0.94명(‘16년)보다 0.10명 감소로 전국 최저 - 평균 출산연령은 32.4세(‘16년)보다 32.6세(‘17년)로 0.2세 증가 <표1 : 출생아수 및 출산율> (단위 : 명, %, 인구 1천 명당 명) 항목 구분 <그림1> 서울시 출생아수 2017년 2016년 2015년 서울시 전국 서울시 전국 서울시 전국 출생아수 65,300 357,700 75,536 406,243 83,005 438.420 전년 대비 증감 10,236 48,543 7,469 32,177 -706 2,985 증감률 -13.5 -11.9 -8.9 -7.3 -0.8 0.7 합계출산율 0.84 1.05 0.94 1.172 1.001 1.24 조 출생률 6.7 7.0 7.7 7.9 8.4 8.6 <자료>2017년 인구동향조사 출생 잠정결과(통계청, 2018.3월) ? 임산부 및 영유아 건강에 위험요소로 작용하는 초혼 및 출산연령 증가로 난임 및 고위험 임산부, 저출생체중아는 매년 증가 추세 - 초혼연령(여):28.1세(‘07년)→29.8세(’14년)→30.1세(‘16년) - 평균 출산연령: 29(‘95)→32.0(‘14년)→32.2(‘15년)→ 32.4(‘16년) - 35세 이상 출산율: 18.7%(‘12년)→23.8%(’15년)→26%(‘16년) - 저출생체중아(천명,%): 24.8%(‘14년)→ 25.1%(‘15년) → 23.8%(‘16년) - 난임 진단: 202천명(‘13년)→ 215천명(‘15년)→220천명(’16년) ? 임산부(태아기) 및 조기아동기는 평생 건강의 시작점으로 건강 환경 평등지원 중요 - 태아기~2·3세까지는 두뇌발달의 민감기로 매우 중요한 시기 임 - 또한 불평등이 형성되는 시기로 부모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라 양육 환경의 차이가 벌어지고 사회계층별 아동 발달지표에서의 격차 발생 ? 출산 및 양육과정에서의 부담 완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요구됨 -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진출 등으로 출산 시 산후조리와 영유아 돌보기에 대한 가족 내 지원여건 약화 및 임신·출산에 따른 각종 경제적 부담 증가 - 임신, 출산, 양육과정에서 산모의 부담완화를 위한 질적 서비스에 대한 욕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임신과 관련하여 국가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출산 후 양육 지원 체계는 미흡함 - 출산 및 양육과정에서의 산모 부담완화를 위한 다양한 공공보건의료정책 강화 필요 ② 일반현황 및 주요 건강지표 1. 가임기 여성인구 ? 우리나라 가임여성 인구수는 매년 감소하는 추세이며, ‘16년 서울시 가임 여성 인구수는 ‘15년 보다 1.7% 감소한 2,633천명 임 〈표-2 가임기 여성인구〉 (단위: 천명) 연도 구분 15-49세 연령대별 15-19세 20-24세 25-29세 30-34세 35-39세 40-44세 45-49세 2014 전국 12,909 1,597 1,613 1,517 1,943 1,903 2,214 2,122 서울 2,719 286 341 384 456 398 444 409 2015 전국 12,831 1,555 1,671 1,500 1,819 1,932 2,158 2,196 서울 2,681 274 348 376 427 404 429 423 2016 전국 12,640 1,498 1,657 1,541 1,766 1,920 2,069 2,201 서울 2,633 259 360 388 410 393 401 422 2. 모자보건 지표 ? 출생아 수 및 합계출산(2016년 기준) - 모의 평균 출산연령은 전국 32.4세(서울시 33.07세)로 전년보다 0.22세 상승 - 고령산모(35세이상)구성비는 전국 26.3%(서울시 30.0%)로 지속적인 증가추세임 〈표-3 모의 평균출산연령 및 출생아 수〉 (단위: 세, 천 명, %, %p) 구 분 2012 2013 2014 2015 2016 증감 서울시 전국 서울시 전국 서울시 전국 서울시 전국 서울시 전국 서울시 전국 평균출산연령 32.26 31.62 32.47 31.84 32.69 32.04 32.85 32.2 33.07 32.4 0.22 0.2 출생아수 93.9 484.6 84.1 436.5 83.7 435.4 83.0 438.4 75.5 406.2 -0.75 -32.2 고령 산모(35세 이상) 구성비 21.8 18.7 23.4 20.2 24.9 21.6 27.1 23.9 30.0 26.3 2.9 2.4 <자료> 2016년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 모성사망비 모성사망비=모성사망수/출생아수×100,000 - 저 출산 및 만혼으로 모성사망자수는 38명(‘15년) 에서 34명(‘16년) 으로 감소 하였으며, OECD 국가 간 모성 사망비 비교시 평균 6.8명에 비해, 한국은 8.4명(‘16년) 으로 1.6명 높게 나타남 〈표-4 모성사망비〉 (단위: 명, 천 명)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그림 2〕 모성사망자 수 및 모성사망비2009-2016 출생아수(천명) 484.5 436.4 435.4 438.4 406.2 모성사망자수 48 50 48 38 34 모성사망비 9.9 11.5 11.0 8.7 8.4 <자료> 2016년 영아사망·모성사망·출생전후기 사망 통계(통계청, 2017) ? 영아사망률 영아사망률(출생아천명당)은 2.8명으로 OECD 평균 3.9명보다 낮으나, 일본2.1명보다는 높음 〈표-5 영아사망률〉 (단위: 명, 천 명)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그림 3] 생존기간별 영아사망률 추이, 2006-2016 출생아수(천명) 484.5 436.4 435.4 438.4 406.2 영아사망자 수 1,405 1,305 1,305 1,190 1,154 영아 사망률 2.9 3.0 3.0 2.7 2.8 <자료> 2016년 영아사망·모성사망·출생전후기 사망 통계(통계청, 2017) ? 저출생체중아 출생현황 전체 출생아 중 저출생체중아(2.5kg 미만) 구성비는 5.9%(서울시)로 지속적 증가추세임 〈표-6 저출생체중아 출생현황〉 (단위: %) 구 분 2012 2013 2014 2015 2016 서울시 전국 서울시 전국 서울시 전국 서울시 전국 서울시 전국 전 체 저출생체중아 (2.5㎏ 미만) 5.6 5.3 5.7 5.5 5.7 5.7 5.8 5.7 5.9 5.9 정상출생체중아 (2.5-4.0㎏미만) 91.1 91.3 90.9 91.2 91.0 91.1 90.8 91.0 90.5 90.8 과출생체중아 (4.0㎏ 이상) 3.3 3.4 3.4 3.3 3.3 3.2 3.4 3.2 3.4 3.3 <자료> 2016년 인구 동향조사(통계청) 다태아 여부 및 체중 미상 제외 3.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사 교육 및 제공기관 현황 (단위:개소/명, 2017년 기준) 교육기관 제공기관 제공인력 15 124 2,528 4. 산후조리원 현황 (2018. 2월 기준) 합계 종로구 중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 2 2 0 3 4 7 6 4 4 5 9 6 3 150 마포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4 9 9 9 4 5 4 4 6 18 12 11 Ⅱ. 정책비전 및 목표 정책비전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서울환경 조성 정책목적 임신·출산·양육에 관련 사회적 지원 강화 태아기부터 조기개입으로 공평한 출발 보장 영유아 사전 예방적 건강관리로 미래세대 건강보장 정책목표 (2018년) 구분 세부추진사업 추진목표 건강한 가족 행복한 출산지원 모자건강센터 설치 확대 4개소→5개소 서울아기 건강 첫걸음(방문건강관리) 0세아 38% 서울시 남녀 건강출산지원(시범) 4개구 서울형 임신?출산?육아 웹 구축(신규) - 임신지원 및 모성건강관리 임산부 등록관리 60,000명 임산부 건강증진 프로그램 3,000회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1,300건 한의약 난임 치료 지원(시범-신규) 120명 청소년산모 임신 출산 지원 120명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1,800명 표준모자보건수첩 정보 제공 80,000부 산모?신생아 건강지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지원(확대) 30,000명 산후조리원 감염 및 안전점검 4회 기저귀 조제분유지원 8,000명 장애예방 및 정상발달 도모를 위한 영유아 사전예방적 관리 미숙아선천성이상아 의료비지원 2,000명 선천성대사이상검사 및 환아 관리 60,000명 신생아 난청 조기진단 10,000명 취학 전 아동 실명예방사업 24,000명 Ⅲ. 2018년 정책추진 방향 ① 건강하고 행복한 가족의 출발 지원 ? 모자건강센터 통합 공간조성으로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 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확대 추진으로 공평한 출발 보장 - 20개 자치구(‘17년)→23개 자치구(‘18년), 방문간호사 69명(‘16년)→141명(‘17년) - 0~2세 건강성장발달 프로그램, 모유수유, 산후 우울관리, 예방접종 교육 ? 계획임신을 통한 건강한 가족 만들기 ‘남녀 건강 출산지원’ ② 건강한 임신·출산지원 확대 및 모성건강관리 ? 난임부부 체외수정 시술비, 청소년 및 고위험 임산부의료비 지원 강화 ? 건강한 임신,출산,육아 지원을 위한 교육 및 지역 커뮤니티 운영 ? 한의약 난임 치료 지원 (4개구 시범운영) ③ 출산?양육 친화적 환경 조성을 위한 산모 신생아 건강지원 확대 ? 모든 출산가정에 찾아가는 산후조리서비스 제공 - 2018. 7. 1.부터 서울시 모든 출산가정에 산후조리 건강관리사 파견 ? 산후조리원 감염 및 안전관리 강화 - 감염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점검(연4회) ? 영아대상 조제분유지원 지원대상 추가 - 산모의 의식불명, 영아 입양가정 등 추가지원 ④ 영유아 사전 예방적 건강관리를 통한 차세대 인적자원 확보 ? 미래세대 건강보장을 위한 선천성 장애 예방 사업 -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의료비 및 신생아 청각선별 검사비지원 - 전 신생아 대상 선천성대사이상 검사 및 환아지원 - 예방접종 등 건강한 아이성장을 위한 부모교육 Ⅳ. 세부추진계획 1 건강한 가족, 행복한 출산지원 1-1 모자건강센터 확대설치. 운영 보건소 내 모성실과 영유아실의 통합공간을 조성하고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one-stop 서비스를 제공 하여 임산부 및 영유아의 체계적 건강관리를 위한 컨트롤 타워 역할 수행하고자 함 ?? 대 상: 임산부 및 영유아 ?? 목 표: 4개소→5개소 ?? 방 법: 자치구 대상 모자건강센터 공모 및 선정 ?? 내 용 ? 임신준비에서 육아까지 원스톱(One-Stop)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 임신부터 출산까지 전 과정에 필요한 체계적 건강관리서비스 공간 마련 - 영유아 성장단계별 스크리닝 및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공간 마련 ? 웰베이비크리닉(Well baby clinic)기능 강화, 엄마랑 아기랑 건강발달존(zone) 운영 - 임신, 출산, 영유아 건강검진 및 예방접종 등 웰베이비크리닉(well baby clinic) 기능 강화 - 부모와 아기가 함께 참여 할 수 있는 육아상담 소통·나눔공간 마련 ? 건강한 임신, 출산, 양육이 가능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 - 임산부의 건강증진, 영유아 건강한 성장도모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 - 가족 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가족의 역할분담과 출산 친화적 환경 조성 ? 건강한 인적자원을 활용한 주민참여 활성화 및 인프라 구축 - 청소년기부터 건강 가꾸기 사업 활성화를 위한 지역 인적자원 활용 - 출산 친화적 환경조성을 위한 건강리더 양성 및 홍보 강화 ?? 예 산: 150,000천원 (시비100%) 1-2 서울아기 건강 첫 걸음 ? 출산가정 방문간호사업 임신부터 출산 그리고 태어난 아기가 만2세가 될 때까지 영유아 건강간호사가 지속적으로 임산부의 가정을 방문해 건강을 관리해 줌으로써 ‘건강한 미래를 위한 공평한 출발’의 기반조성으로 건강 불평등 해소에 기여 ?? 대 상: 임산부 및 만 2세 미만 영유아(23개 자치구) ?? 목 표: 가정 방문 건강관리율 38%(0세아 기준) ?? 방 법: 자치구별 방문 전문인력(141명)에 의한 가정방문 건강관리 ?? 내 용 ? 임산부, 영유아 가정방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 임부등록 및 평가기준에 따른 보편, 지속방문 유형 분류 - 보편방문(출산후 4주이내): 건강사정, 신생아돌보기, 산후우울, 모유수유 교육 등 - 지속방문(출산전~ 아기 만2세까지, 25회까지): 파트너십 형성, 건강관리, 양육 역량강화 등 - 그룹활동(엄마모임) 지원 및 지역자원 연계: 가정폭력, 아동학대, 복지서비스 등 ? 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사업 지원단 운영(민간위탁) - 서울형 산전아동기 건강 발달프로그램 도입 및 서울형 프로그램 개발 - 자치구 기술자문 및 사업 모니터링, 사업 효과성 평가 ? 가정방문 전문인력 교육과정 개발 및 기본·심화교육 실시 ? 대상별 맞춤 홍보 활성화 - 일반대중: 홈페이지 보편방문동영상 게재, 소식지 및 반상회보 게재, 언론매체 홍보 등 - 임산부가족: 자치구 보건소(동주민센터) 내소자 대상 홍보안내문, 수기 공모 등 - 전문가집단: MECSH 학회지, 관련분야 학회 및 세미나, 심포지엄 개최 등 ?? 예 산: 5,345,127천원(시비 100%) 1-3 서울시 남녀 건강출산지원(시범사업) 미래세대 건강을 위한 자기 결정권을 존중하는 ‘서울시 남녀지원’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건강한 임신과 행복한 출산을 지원하고자 함. ?? 사업 개요 ? 대 상: 임신을 준비하는 가임기 남·녀 ? 자치구:4개구( 중구, 광진구, 양천구, 성북구) ? 기 간: 2018년 1월 ~ 12월 ? 내 용 - 남·녀 건강 임신·출산 지원을 위한 공공서비스 개발 및 적용 - 고위험군 관리 모형 개발 및 모니터링 지원단 운영 - “부모와 아기가 행복한 서울” 대 시민 홍보 강화 ※ 2017년 서울시 남녀 성 건강지원사업으로 ‘17.11.~12. 동안 추진된 사업 ? 방 법: 서울시·보건소·의료기관 협업 구축 및 모니터링 지원단 운영 ? 기관별 역할 분담(안) 추진 주체 서울시 자치구 모니터링 지원단 역 할 사업 총괄 사업 수행 사업 모니터링 주 요 내 용 - 자치구 및 모니터링 지원단 선정 - 예산지원 현장점검 및 홍보 - 사업 대상자 선정 및 관리 - 자문위원회 구성 및 운영 - 예산 집행 및 홍보 - 모니터링 및 평가 - 자치구 기술지원 - 의견수렴 등 자문위원회:민간의료기관,전문상담센터 등(고위험군)대상자 연계 ?? 예 산: 300,000천원(시비 100%) 1-4 서울형 임신?출산?육아 웹 구축(신규) 믿고 신뢰할 수 있는 서울형 임신?출산?육아 웹 사이트 구축·운영을 통해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전달체계를 구현하여 시민접근성 및 만족도를 증대하고자 함. ?? 근 거: 행자부 생애주기 맞춤형 서비스 공모과제 선정(‘17.8.) ? 구축사업을 위한 특별 교부세 2억5천만원 교부 ?? 웹 구축 시스템 ?? 구축추진일정 ‘18. 4월 ‘18. 5월 ‘18. 6월 ‘18. 7월~12월 구축계획 수립 및 예산타당성 심사 요청, 시행계획 수립 발주 전 사전검토(사전협의,제안요청서, 정보보안성), 계약심사 요청 발주공고 및 업체선정을 위한 평가단 구성, 평가, 계약 구축사업 착수 및 추진(7~11월) 용역준공(12월) ?? 예 산: 250,000천원(특별교부세) 2 임신지원 및 모성건강관리 2-1 임신부 등록관리 임산부 산전· 산후 관리, 임신주수에 따른 교육 및 상담, 엽산제· 철분제 지원으로 건강한 분만을 유도하고자 함 ?? 대 상: 임신부 전체 ?? 목 표: 임산부 신규등록자 60,000명 ?? 방 법: 자치구별 다양한 홍보 및 프로그램을 통한 등록관리 ?? 내 용 ? 임산부 등록관리 - 임산부등록을 통하여 임신주수에 따른 산전·산후 교육 및 상담과 출산지원 - 초기임산부(임신12주 이전)등록관리 향상을 통한 체계적 건강관리 ? 엽산제 및 철분제 지원 - 신경관결손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유· 사산, 선천성기형아 출산 사전 예방 - 임신12주 이하 보건소 등록 임산부에게 3개월간 지급 - 임산부 철분결핍성 빈혈로 발생 할 수 있는 조산, 유산, 산모사망 예방 - 임신16주 이상 보건소 등록 임산부에게 분만 전까지 5개월간 지급 ? 표준모자보건수첩 정보 제공 ? 산전·산후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 모유수유 클리닉 운영 ? 임산부 배려 엠블럼(가방고리) 배부 ☞ ☞ ☞ ?? 예 산: 1,296,000천원 (국비50%, 시비15%, 구비35%, 통합건강증진사업) 2-2 임산부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임신·출산·육아관련 건강서비스 제공으로 모성과 아동의 건강증진 ?? 대 상: 보건소 등록 임산부 ?? 목 표: 자치구별 목표량 설정 ?? 방 법: 자치구별 대상자 요구도에 따른 특화 프로그램 개발 운영 ?? 내 용 ? 임산부 대상 프로그램(10개 교실) - 산전, 임신육아, 예비맘, 좋은 엄마 만들기, 임부체조, 영양, 임부요가, 출산준비, 태교교실 및 모유수유클리닉 운영 ? 배우자 및 조부모 대상 프로그램(5개 교실) - 출산준비, 예비부모/조부모, 육아, 남편과 함께하는 주말 태교/출산, 아빠와 함께하는 토요출산준비교실 ? 모유수유클리닉 운영 - 모유수유 교육·홍보, 유착기 대여 등 모유수유에 대한 인식률과 실천율 향상 - 1:1 개별상담 및 맞춤형 모유수유 교육, 동아리 모임 운영 2-3 가임여성 건강증진프로그램 운영 가임기 여성 건강증진 지원으로 임신소모 최소화 및 출산율 안정화 ?? 대 상: 가임기 여성전체(청소년, 대학생, 직장인) ?? 방 법: 자치구별 대상자 요구도에 따른 특화 프로그램 개발 운영 ?? 내 용 ? 흡연, 절주, 식생활, 비만 등의 건강증진 교육 ? 가임기 여성 정기 건강검진 ? 성교육· 성상담: 학교, 전문 상담기관과 연계하여 성교육 및 성상담 프로그램 운영 - 임신 전 검사: 소변검사, 전혈검사, 풍진 항체검사, 초음파검사 등 - 임신상담 및 교육, 임신중절 예방교육 2-4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체외수정을 요하는 난임부부에게 시술비 일부를 지원하여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킴으로써 임신· 출산의 사회·의료적 장애를 제거하여 저 출산 극복에 기여하고자 함 ?? 지원대상 및 자격 ? 대상 - 난임진단을 받은 난임부부 중 기준중위소득 130%이하 및 의료급여수급자 ? 자격 - 난임 시술을 요하는 의사의 ‘난임진단서’ 제출자 - 법적 혼인상태에 있는 난임부부로서 부인의 연령이 만 44세 이하인 자 ?? 목 표: 체외수정(신선배아) 시술 1,300건 ? 2018. 1. 부터 저소득층 대상 체외수정 비급여 시술비 지원사업으로 대상자 대폭 감소 ※ 본사업은 2017. 10월부터 난임부부 정부지원사업이 건강보험료로 적용됨(종료) ?? 내 용 ? 지원횟수 및 금액 - 지원횟수: 체외수정 시술 최대 4회(단,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시술만 적용) - 지원금액: 1회당 최대 50만원 ? 지원절차(체외수정) 지원신청 (진단서제출) ? 자격조사, 대상자선정 (지원결정통지) ? 지정 의료기관 시술 및 확인서 발행 ? 의료비 청구 ? 의료비 지급 대상자 자치구보건소 대상자 의료기관 자치구보건소 - 난임시술기관 지정 및 취소: 보건복지부 - 난임지원 결정통지서 유효기간: 3개월 이후 자동소멸, 재신청 가능 ?? 예 산: 2,584,000천원 (국비30%, 시비35%, 구비35%) 2-5 한의약 난임치료 지원(시범사업-신규) 만혼과 고령출산으로 인한 난임 인구 증가에 따라 한의약 난임치료를 지원하여 난임 부부의 경제적 부담 경감과 함께 희망하는 자녀를 갖게 함으로써 시민의 행복한 가정을 만들고 출산율을 증가시키고 자 함 ?? 대 상 ? 서울시 거주 난임 시술을 요하는 의사의 ‘난임진단서’ 제출자 ? 법적 혼인상태에 있는 난임부부로서 부인 연령이 만 44세 이하인 자 ?? 목 표: 120명 ?? 내 용 ? 추진내용 - 추진기간: 2018. 4. ~ 2018. 12. - 자치구: 4개 자치구(노원구, 금천구, 은평구, 성동구) 성별 지원내용 한약제공기간 침구+상담 소요액 여성 집중치료(4개월) 경과관찰치료(2개월) 4개월 2주 1회 (4개월+2개월) 1,780,000원 남성 집중치료(2개월) 경과관찰치료(2개월 2개월 2주 1회 (2개월+2개월) 920,000원 ? 지원내용: 한약제비 + 침구비 지원 ?? 세부추진계획 ? 자치구별 한의약 난임 치료 지원 사업 협의체 구성 및 운영 ? 구별 치료대상자 및 지정한의원 선정 ? 구별 대상자 및 지정 한의원 교육 - 치료대상자 스트레스 감소 교육 및 지정한의원 진료 질 향상 교육 ? 한의약 난임 치료 시행 및 평가 ? 지원절차 지원신청 (진단서제출) ? 자격조사, 대상자선정 (지원결정통지) ? 지정 의료기관 시술 및 확인서 발행 ? 의료비 청구 ? 의료비 지급 대상자 자치구보건소 대상자 의료기관 자치구보건소 ? 서울시 한의약 난임치료 사업 모형 개발 및 평가를 위한 용역 ?? 예 산: 20,000천원 (시비100%) 2-6 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산전관리가 취약한 청소년 산모에게 임신·출산 의료비를 지원함으로써 청소년산모와 태아의 건강증진 도모 ?? 대 상: ‘임신확인서’로 임신이 확인된 만18세 이하 산모 ?? 목 표: 120명 ?? 추진경과 ? 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사업 도입 확정(‘10.12.) ? 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대상 확대 및 지원방식개선(‘12.1.) - 대상 시설입소자에서 만18세이하 모든 청소년산모 - 지원방식: 직접청구→전용카드 활용 ? 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국민행복카드 도입(‘15.5.) ?? 내 용 ? 지원 금액: 임신 1회당 120만원 범위 내 ? 지원 범위: 산부인과 진료과목이 있는 요양기관에서 발생하는 임신, 출산관련 의료비와 입?퇴원비용(산전검사, 출산, 조산, 자연유산, 분만, 산후진료) ? 신청방법: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시스템 신청 ? 지원기간: 카드수령일로부터 분만 예정일 이후 60일까지 ? 사용기관: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정 요양기관 ? 지원방법: 국민행복카드(BC, 롯데, 삼성)’사용 → 사회보장정보원 의료비 청구 → 각 자치구별 인터넷뱅킹으로 결제계좌 입금 ? 신청 및 이용절차 임신확인 ? 서비스 신청 ? 서비스접수 및 자격결정 ? 바우처 생성 ? 카드 발급 ? 카드 수령 ? 바우처 사용 신청인 신청인 사회보장정보원 자치구보건소 사회보장 정보원 카드사 신청인 신청인 ?? 예 산: 150,000천원(국비50%, 시비25%, 구비25%) 2-7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고령임신으로 조기진통, 분만출혈, 중증 임신중독증 등 고위험 임산부가 증가함으로써 임신유지에 필요한 비급여 의료비를 지원하여 가계 부담 완화 ?? 대 상: 5대 고위험(조기진통, 분만관련 출혈, 중증 임신중독증, 양막의 조기파열, 태반조기박리) 임신질환으로 진단 받고 입원치료 받은 자 ?? 목 표: 1,800명 ?? 기 준: 기준 중위소득 180%이하 (2인가구 5,125천원) ?? 내 용 ? 지원범위: 5대 고위험 임산부 질환의 입원치료비 중 비급여 본인부담금 지원 (진찰료, 투약 및 조제료, 주사료, 처치 및 수술료, 검사료, 전혈 및 혈액 성분제제료 등) ? 지원금액 : 1인당 300만원까지 지원 ?? 예 산: 1,867,000천원(국비30%, 시비35%, 구비35%) 2-8 표준모자보건수첩 정보 제공 임신부터 영유아기까지의 각종 검사 및 건강관리 안내, 예방접종 등 의무 기록 유지, 양육에 대한 필수 정보제공으로 모성과 영유아의 건강증진 도모 ?? 대 상: 보건소에 등록한 임산부 및 영유아 ?? 목 표: 80,000부 ?? 내 용: 산모 수첩 및 어린이 건강수첩으로 구성 산모수첩 어린이 건강수첩 사랑스런 우리 아기 아기를 위한 검사 뱃속 아기 돌보기 엄마 몸도 돌봐요 엄마를 위한 팁 태아의 발육과 모체의 변화 아기가 태어났어요 건강검진 받아요 예방접종 받아요 건치를 만들어요 아기를 위한 팁 영유아 성장발달곡선 ?? 예 산: 81,300천원(국비30%, 시비35%, 구비35%) 3 출산양육 친화적 환경조성을 위한 산모?신생아 건강지원 3-1 모든 출산가정에 찾아가는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지원(확대) 서울시 모든 출산가정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의 가정방문 서비스를 지원하여 산모 및 신생아 건강관리 및 출산가정의 경제적 부담 완화 ?? 대 상 ? 기본지원: 기준중위소득 80%이하 출산가정 및 예외지원 대상(시도재량) 18년 7월부터 서울시 모든 출산가정으로 확대 추진 ?? 목 표: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지원 30,000명 ?? 내 용 ? 출산일로부터 60일 이내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파견, 표준서비스 제공(바우처 이용) ? 서비스 제공기관 및 교육기관 등 현장점검 등(1회 이상) ? 표준서비스 내용: 산모 식사관리 및 세탁물관리 등 가사활동 지원, 산모 및 신생아 건강관리, 관련 정보제공, 정서지원 등 ?? 서비스 지원기간 및 가격 ? 표준서비스: 기간 10~20일, 서비스 상한선 1,020~3,060천원, 정부 지원 500~2,387천원 ※ 신생아 유형에 따라 5일까지 단축 또는 연장 가능하고 금액도 조정됨 ?? 바우처 유효기간 ? 출산일~60일 이내 (잔량이 있어도 출산일 60일 경과 후 바우처 소멸) ? 예외인정: 미숙아, 선천성이상아 출산 등 퇴원일로 부터 60일 이내 ?? 예 산: 21,841,000천원 3-2 산후조리원 감염 및 안전 점검 강화 임산부 및 영유아의 집단관리로 감염위험이 쉽게 노출 화재 등 사고발생시 대피에 취약해 감염 및 안전관리를 통해 안전하고 건강한 산후조리 지원 ?? 대 상: 산후조리원 150개소 (‘18.2월/단위:개소) 합계 종로구 중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 2 2 0 3 4 7 6 4 4 5 9 6 3 150 마포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4 9 9 9 4 5 4 4 6 18 12 11 ?? 내 용 ? 감염 및 안전사고 예방 위한 정기점검 - 산후조리원 미신고 영업 유무 - 산후조리원 인력 및 시설기준 준수 여부 - 산후조리업자 및 종사자 결격사유 해당 여부 - 임산부 및 영유아 건강기록부 비치 및 건강상태기록·관리여부 - 감염 및 질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소독 등 필요조치 실시 여부 - 의료기관 이송 등 필요조치 여부, 이송시 이송보고 실시 여부 - 산후조리업자 및 종사자에 대한 건강검진 연1회 이상 확인 ? 산후조리원 지도점검: 정기점검 연4회, 수시점검(필요시) - 산후조리원 가격조사 후 홈페이지 공개: 연2회(2월, 8월) ? 공공산후조리원 설치 관련「모자보건법」개정 내용 -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관할 구역 내 산후조리원의 수요와 공급실태 등을 고려하여 산후조리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제15조의17). ※ 서울시 공공산후조리원: 1개소(송파구 공공산후조리원) ? 2017년도 송파구 공공산후조리원 현황 - 예산(구비): 1,919,000천원 - 이용료: 송파주민 190만원 / 타지역 주민 209만원 - ‘17년 이용인원: 711명(타구 13명) ※ 2018년 예산: 2,085,881천원 3-3 저소득층 기저귀 조제분유지원 저소득층 영아(0~24개월) 가정의 육아 필수재인 기저귀 및 조제분유 지원을 통해 경제적 부담 경감 및 아이 낳기 좋은 서울 환경 조성 ?? 대 상 및 내용 구분 지원대상 지원액(원) 비고 기저귀 기준중위소득 40% 이하 만 2세 미만(0~24개월)의 영아 가구 영아별 지원 (3인가족 1,456천원/월) 64,000/월 예) 쌍둥이, 삼둥이 경우 아동별 각각 지원 조제분유 기저귀 지원대상 중 산모 질병 조제분유 지원 신청 가능한 산모 질환 ① 에이즈 ② HTLV(Human T-lymphotropic Virus)감염 ③ 마약 및 정신이상약에 의한 중독 ④ 악성신생물(항암요법 중) ⑤ 유방의 악성신생물(항암요법 중) ⑥ 방사선 치료 ⑦ 항암제 치료 ⑧ 뇌하수체의 기능저하증 ⑨ 중증 산후기 정신장애로 수유가 불가능하다고 의사가 판단하는 경우 과 사망으로 모유수유가 불가능한 경우 아동복지시설·공동생활가정·가정위탁 위탁, 한부모(부자·조손)가정 「한부모가족지원법」 제4조 내지 제5조의2에 따른 부자 또는 조손가정에 한함 인 경우 86,000/월 ?? 목 표: 6,000명 ?? 지원방법: 바우처 방식(국민행복카드), 분기별 정액 지원 - 바우처 카드 (재)발급 절차 ※ 국민행복카드 발급사 : BC, 삼성, 롯데 동 주민센터 - 지원금 결제 가능 유통점 국민행복 카드사 유통점 온라인 오프라인 BC카드 우체국쇼핑몰, G마켓, 옥션, 농협a마켓 나들가게, 이마트 삼성카드 - 이마트 롯데카드 롯데 올마이쇼핑몰 - ?? 예 산: 6,566,831천원(국비30%, 시비35%, 구비35%) 4 장애예방과 정상발달도모를 위한 영유아 사전예방적 관리 4-1 미숙아· 선천성이상아 등록관리 및 의료비지원 지역사회에서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에 대한 지속적인 보건·의료·재활서비스 등의 연계실시를 통하여 고위험 신생아의 건강한 성장발달을 도모 ?? 대 상: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3인 기준: 6,630천원)가구 ※다자녀(3인 이상)가구의 경우 소득수준 관계없이 지원 ?? 목 표: 3,000명 ?? 내 용 ? 미숙아 의료비지원 - 출생 후 24시간 이내 긴급한 수술 및 치료가 필요하여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 - 지원범위: 요양기관 의료비 급여 중 전액 본인부담금 및 비급여 항목 ? 선천성이상아 의료비지원 - 출생 후 28일이내 의료기관에서 질병 코드가 Q로 시작하는 선천성 이상아 - 지원범위: 출생 후 6개월이내(퇴원일 기준) 수술 및 치료를 위해 발생한 치료비(의료비 급여 중 전액 본인부담금 및 비급여 항목 지원) - 지원 금액: 1인당 최고 500만원까지 지원 - 선천성이상 질환을 가지고 미숙아로 태어난 경우 의료비지원 ? 지원내용: 의료비 중 기준지급액 내에서 전액본인부담금 및 비급여 항목 미숙아 출생시체중 2.5kg미만~2.0kg 2.5kg이상 37주미만 2.0kg미만~1.5kg 1.5kg미만 1인당 최고지원액 5백만원 7백만원 10백만원 선천성이상아 5백만원 5백만원 5백만원 중복지원최고금액 10백만원 12백만원 15백만원 ? 지원절차 출생보고/ 지원 안내 (의료기관) ? 출생등록 및 지원안내 (시?군?구 보건소) ? 의료비 지원 신청 (시?군?구 보건소) ? 의료비 지급 (시?군?구 보건소) ? 지급보증 처리 (의료기관/보건소) ?? 예 산: 2,383,199천원(국비30%, 시비35%, 구비35%) 4-2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 및 환아 관리 선천성대사이상의 유무를 조기에 발견·치료함으로써 정신지체아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여 인구자질 향상과 모자보건 향상에 기여 ?? 대 상: 출생아 전체 ?? 목 표: 60,000명 ?? 내 용 ?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 - 검사항목(6종): 페닐케톤뇨증, 갑상선기능저하증, 호모시스티뇨증, 단풍당뇨증, 갈락토스혈증, 선천성부신과형성증 - 지원비용: 1인 20,000원 ? 선천성 대사이상 환아관리 - 지원대상 : 2차 정밀검사 결과 특수조제분유 및 저단백식품이 필요한 선천성대사 이상 질환으로 진단된 자로써 신청일 현재 만18세 미만의 환아 ① 페닐케톤뇨증 환아 ② 갑성선기능저하증 환아 ③ 호모시스틴뇨증 환아 ④ 단풍당뇨증 환아 ⑤ 갈락토스혈증 환아 ⑥ 크론병,단장증후군 환아 ? 갑상선기능저하증을 제외한 선천성대사이상 질환이「희귀난치성질환」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들 질환 치료시 발생하는 의료비(약제비 포함)의 경우 「희귀난치성질환자 의료비 지원사업」안내 및 연계 - 지원내용 · 의사의 처방 및 소견을 토대로 특수조제분유 및 저단백식품이 필요한 페닐케톤뇨증 등 선천성대상이상 환아 지원 · 기타 희귀난치성질환 중 특수식이가 필요한 크론병 및 단장증후군 지원 · 선천성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아: 연 276천원범위 내에서 의료비 지원 ?? 예 산: 2,315,181천원(국비30%, 시비35%, 구비35%) 4-3 신생아 난청 조기진단 (신생아 청각선별검사) 선천성 난청을 조기 발견하여 재활치료 등을 연계함으로써 언어장애, 사회부적응 등의 후유증을 최소화하는 등 난청으로 인한 사회적 부담 완화 ?? 대 상: 기준 중위소득 72%(3인가구: 2,652천원/월) 이하 가구 ※다자녀(3인 이상)가구의 경우 소득수준 관계없이 지원 ?? 목 표: 8,000명 ?? 내 용 ? 검사시기: 출생 후 2~3일 이내 권장, 늦어도 1개월 이내 실시 ? 지원내용: 청각선별검사비 및 난청 확진 검사비 본인부담금 검사항목 청각선별검사 난청확진검사 AOAE AABR AOAE + AABR ABR 지원금액 1만원 2만7천원 2만7천원 5만원 범위 내 ※ 자동유발이음방사검사(AOAE), 자동청성뇌간반응검사(AABR), 청성뇌간반응역치검사(ABR) - 난청 확진 검사비 지원 : 선별검사결과 재검(refer)판정 시 · 타각적 청력역치 측정검사(ABR) 본인부담금 지원 - 확진자 사후관리 · 난청 확진 시 재활치료 및 의료기관 연계 ※ 청각 장애인 인공 와우 수술지원 사업과 연계추진(장애인복지법 제16조) ? 추진절차 검사기관선정 · 신 청 : 검사기기를 보유한 사업참여 희망 의료기관 · 지정기준 : 책임의사 및 전담검사인력, 검사장비, 검사공간 확보 ? 대상자선정 및 감독 · 저소득임산부 대상으로 선정 후 쿠폰발급(보건소) · 선정된 대상 데이터베이스 등록관리(보건소, 검사기관) ? 검사 실시 · 의료기관에 쿠폰제출후 검사 · 피검사에게 검사결과 발급(‘재검’ 판정시 난청확진검사 안내) ? 재검 및 재활 연계 · 청각선별검사에서 재검이 나온 경우 3개월이내 확진검사 지원 · 난청 확진시 재활치료 및 의료기관 연계 ?? 예 산: 201,620천원(국비30%, 시비35%, 구비35%) 4-4 취학전 아동 실명 예방사업 취학전 아동에 대한 자가시력 검진, 눈 건강을 위한 생활습관 교육, 안질환 조기발견?치료 통한 정상 시력 발달 도모 ?? 대 상: 만3세 ~ 만6세 어린이집 어린이 ?? 목 표: 24,000명(8개구 참여) ?? 내 용 ? 지원내용 - 어린이 눈 건강 교육 - 자가 시력검진 : 보건소 및 유치원을 통해 자가시력 검진표 지원 - 안질환(약시) 어린이 추후 관리 · 보건소 및 재단으로 의료된 약시 어린이에게 가림치료용 패치 지원 - 저소득 가정 어린이 눈 수술비 지원 및 저시력 어린이 시각 재활 · 2017년 중위소득 80% 미만 선천성 백내장, 미숙아 망막증, 사시등의 안질환 수술비 지원 (만 10세 까지만 지원) ? 보건소 담당자 사전 교육 - 취학 전 어린이 자가 시력검진 관련 추진 절차 및 주의점에 대해 설명회 실시 ? 추진절차 보건소 → 서울시 → 실명예방재단 · 어린이집 대상으로 자가시력검진표 소요량 파악 서울시 수합 · 실명예방재단 보건소 및 어린이집에 시력검진표 배부 ? 1차 검진(가정) → 보건소 · 보호자와 함께 [눈에 관한 조사표]이용 시력검진 · 어린이집 회수하여 눈에 관한 이상증상 선별 및 검사안내 ? 2차 검진(보건소) · 입체시검사도구(랑-테스트), 시력검사 이용 시력검진 · 이상자 병원의뢰[정밀검사 의뢰서] 작성, 병원검진 안내 및 독려 ? 3차 검진(병원) · 안과 정밀검진 후 <정밀검사 소견서>작성 보건소에 회신 ? 보건소→서울시 →실명예방재단 · 안과에서 회수한 <정밀검사 소견서>, 자가시력검진결과표 종합하여 작성→서울시→ 실명예방재단 송부 ?? 예 산: 민간경상보조 605백만원(전액국비) Ⅴ. 추진일정 추 진 일 정 1 2 3 4 5 6 7 8 9 10 11 12 가족건강증진계획 수립 건강한 가족?행복한 출산지원 모자건강센터 설치 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사업 서울시 남녀 건강출산 지원 서울형 임신?출산?육아 웹 구축 임신지원 및 모성건강관리 임산부 등록관리 임산부 건강증진 프로그램 가임여성 건강증진 프로그램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한의약 난임치료 지원 청소년 산모 의료비 지원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표준모자보건수첩 정보 제공 산모?신생아 건강지원 산모·신생아건강관리사 지원 산후조리원 감염 및 안전관리 저소득층 기저귀 조제분유 영유아사전 예방적 관리 미숙아선천성이상아 의료비지원 선천성대사이상검사 및 환아관리 신생아 난청 조기진단 취학전 아동 실명예방사업 사업 평가 Ⅵ. 소요예산 ○ 총 예산: 금45,531,258천원 ( 단위: 천원) 사 업 명 세부사업명 예산과목 예산액 예산분담률 모자건강센터 모자건강센터 설치 자차단체경상보조 150,000 시비 100% 소 계 150,000 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서울아기건강첫걸음사업 사무관리비 5,000 시비 100% 민간위탁금 320,000 방문인력 인건비 자치단체경상보조 5,020,127 소 계 5,345,127 서울시 남녀 건강출산지원 서울시 남녀 건강출산 지원 자치단체경상보조 170,000 시비100% 사무관리비 130,000 소 계 300,000 서울형 임신출산육아 웹구축 서울형 임신출산육아 웹구축 전산개발비 225,000 국비100% 사무관리비 25,000 소 계 250,000 모자보건사업 임산부 등록관리 자치단체경상보조 1,296,000 국50%,시15% 구35% 난임 부부 시술비 지원 자치단체경상보조 2,023,000 국30%,시35% 구35% 모자보건사업 보조인력비 자치단체경상보조 561,000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자치단체경상보조 1,867,000 표준모자보건수첩 정보제공 자치단체경상보조 81,300 청소년 산모 임신 출산 지원 자치단체경상보조 150,000 국50%,시25% 구25% 소 계 5,978,300 한의약 난임치료 지원 한의약 난임치료 지원 자치단체경상보조 190,000 시비100% 사무관리비 10,000 소 계 200,000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지원사업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지원 자치단체경상보조 21,831,000 -국50%,시25%,구25% -시비100% 사무관리비 10,000 소 계 21,841,000 영유아 사전예방적 건강관리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의료비 자치단체경상보조 2,383,199 국30%,시35% 구35% 선천성대사이상검사 및 환아관리 자치단체경상보조 2,315,181 신생아 난청 조기 진단 자치단체경상보조 201,620 소 계 4,900,000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사업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사업 자치단체경상보조 6,566,831 국30%,시35% 구35% 소계 6,566,831 총 예산 ( 국·시·구비 ) 45,531,258 Ⅶ. 사업평가 □ 평가목적 ? 가족건강증진사업(모자보건사업)의 성과평가를 통하여 잘한 점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고자 함 □ 평가시기: 사업종료 후 □ 평가지표 평가영역 평가지표 추진목표 평가기준 배점 구조 평가 (10점) 예산 집행율 90% 목표대비 1. 90% 이상 5점 2. 80-90%미만 4점 3. 80%미만 3점 5 인력 확보율(영유아 건강간호사) 141명 5 과정 평가 (80점) 모자건강센터 설치 1개소 5 임산부 등록관리 60,000명 5 임산부 건강증진 프로그램 1,000명 5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1,300명 5 한의약 난임 치료 지원 120명 5 청소년 산모 임신 출산 지원 120명 5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1,800명 5 표준모자보건수첩 정보 제공 80,000명 5 서울아기 건강첫걸음 가정방문 38% 5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지원 30,000명 5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교육기관 모니터링 1회 5 산후조리원 감염 및 안전점검 4회 5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6,000명 5 미숙아선천성이상아 의료비지원 3,000명 5 선천성대사이상검사 및 환아관리 60,000명 5 신생아 난청 조기진단 8,000명 5 결과 평가 (10) 서울아기 건강첫걸음 사업 만족도 (영유아 건강간호사 만족도) 9점 목표대비 1. 90% 이상 10점 2. 80-90미만 8점 3. 80미만 6점 10 총 점 100 Ⅷ. 기대효과 ? 가임여성 및 임산부 건강관리서비스를 통한 건강한 임신 출산 유도 및 여성의 건강수준 향상 ? 난임 및 고위험임산부 치료지원 강화를 통한 저출산 극복에 기여 ? 태아기 및 조기아동기 건강발달 조기개입을 통한 양육환경에 따른 건강불평등 해소에 기여 ? 모든 출산가정의 산모 신생아 건강증진 및 경제적 부담 완화 ? 영유아의 사전 예방적 건강관리를 통하여 사망 및 장애 발생을 최소화로 건강한 성장발달 도모 ? 다양하고 체계적인 임신 출산양육 지원대책을 통한 건강하고 아이 낳기 좋은 서울시 환경조성. 끝.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정보

2018년 가족건강증진 계획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시민건강국 건강증진과
문서번호 건강증진과-8666 생산일자 2018-04-24
공개구분 공개 보존기간 5년
작성자(전화번호) 이경희 (02-2133-7550) 관리번호 D0000033466088
분류정보 행정 > 일반행정지원 > 과공통일반사무 > 업무계획및평가(서무) > 업무계획및보고관리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