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2023 도시정책 컨퍼런스 개최 결과 보고

문서번호 도시계획과-17530 결재일자 2023. 12. 29. 공개여부 부분공개(5) 방침번호 시 민 담당사무관 도시행정팀장 도시계획과장 도시계획국장 갈은주 허혜경 정성국 12/29 조남준 2023 도시정책 컨퍼런스 개최 결과 보고 2023. 12. 도 시 계 획 국 (도시계획과) ☞ 해당사항이 있는 부분에 ‘ ■ ’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 비고 : 필요시 검토내용 기재) 구 분 사전 검토항목 점검 사항 검토완료 해당없음 비 고 일반사항 정책일반 ◆ 제반 법규와 실태, 실제 현장의 의견 등을 검토하였습니까? (법령, 규칙, 통계·빅데이터, 시민의견 등) ■ □ ◆ 정책(사업) 집행의 직·간접적 영향 및 효과성을 분석하였습니까?(갈등, 약자, 일자리, 안전, 탄소 감축 등) ※ 약자 : 하단 세부 검토항목 점검 □ ■ ◆ 정책·계획·전시물·홍보물 등이 역사적 사실에 부합하는지 검토하였습니까? □ ■ ◆ 불필요한 외국어·외래어 표현 대신 바른 우리말을 사용하였습니까? ■ □ ◆ 정책·계획 등의 지속가능성을 검토하였습니까?(경제·사회·환경 등) □ ■ 약자와의 동행 목적 ◆ 경제적으로 취약한 약자를 지원하기 위한 사업인가? □ ■ ◆ 주거, 생계, 의료, 교육, 기타 분야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 ■ ◆ 단순지원 사업과 사다리지원 사업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단순 : 어려움 즉시 개선 / 사다리 : 계층 상향 또는 안정 유도) □ ■ ◆ 경제적으로 취약한 약자가 아니라 하더라도, 다양한 분야의 사회적 약자를 배려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였는가? □ ■ 계획수립 ◆ 사업 대상자가 쉽고 편리하게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사업을 구성하였는가? □ ■ 집행·홍보 ◆ 집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역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안을 고려하였는가?(‘약자’ 낙인효과, 역차별 등) □ ■ ◆ 사업 대상자에게 적절한 홍보 수단을 채택하였는가? □ ■ 평가·환류 ◆ 사업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산출, 과정, 성과 등)는 마련하였는가? 아닐 경우,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대체·보완 수단이 존재하는가? □ ■ 목 차 1. 행사개요 1 2. 세부 논의사항 4 ** ********* ** ** **** ** 2023 도시정책 컨퍼런스 개최 결과 보고 도시공간 회복 및 창조를 위해 市 정책기조에 적합한 수변공간 추진방향을 모색하고자 2023 도시정책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그 결과를 보고드림 Ⅰ 행사개요 □ 추진목적 ㅇ 서울 도시계획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국내외 전문가 논의체계 구축 ㅇ 국·내외 컨퍼런스 개최를 통한 정책방향 설정 및 시민공감대 형성 □ 행사개요 ㅇ 행 사 명 : 2023 도시정책 컨퍼런스 ㅇ 주 제 : 감성의 중심, 여유(餘流)공간 수변 ㅇ 일시/장소 - 국내 컨퍼런스 5.30.(화) 10:00~12:00 / 본관 3층 대회의실 - 국제 컨퍼런스 10.24.(화) 10:00~17:00 / 상수도사업본부 5층 대강당 ㅇ 참석대상 : 도시계획 분야 관련 전문가, 학회, 시민 등 ㅇ 개최방법 : 온-오프라인 동시 진행 - ‘서울시·Seoul’(市 공식 유튜브), ‘도시TV’(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공식 유튜브) 실시간 송출 ㅇ 운영방식 : - 상반기 국내 컨퍼런스를 통해 도출된 주제를 하반기 국제 컨퍼런스에서 발전시켜 국내외 전문가와 사례를 공유하고 정책 방향 마련 ㅇ 주최/주관 : 서울특별시/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내 컨퍼런스 ㅇ 행 사 명 : 2023 국내 도시정책 컨퍼런스 ㅇ 일시/장소 : 5.30.(화) 10:00~12:00 / 본관 3층 대회의실 ******************************** ㅇ 주요참석자 - 개회사 : 행정2부시장 권 일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행·재정부회장) - 발제자 : 이희정 (서울시립대학교), 최정권(가천대학교), Justin Lim (서울대학교), 김동근 (국토연구원) - 토론자 : 강병근 (서울시 총괄건축가, 건국대학교 / 좌장), 김용학 (도시계획과장), 홍현탁 (수변정책팀장), 박태원 (광운대), 김지엽(성균관대), 맹다미 (서울연구원) ㅇ 세부 프로그램 시간 구분 주요내용 비고 개회식 10:00~10:01 ‘01 오프닝 ? 오프닝 및 참석자소개 사회자 10:01~10:05 ‘04 개회사 ? 인사말씀 행정2부시장 권일 부회장 주제발표 10:05~10:20 ‘15 발제1 ? 도시계획 혁신 방안을 통한 수변공간의 복합용도 개발 및 수변경관 개선 이희정 교수 (서울시립대학교) 10:20~10:35 ‘15 발제2 ? 한강 Resilience Retrospect & Prospect 최정권 교수 (가천대학교) 10:35~10:50 ‘15 발제3 ? 수변공간의 활성화를 통하여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한 융복합적 도시개발 (호주 시드니 바랑가루 사례) Justin Lim 교수 (서울대학교) 10:50~11:05 ‘15 발제4 ? 수변공간의 공공성과 도시공간의 연계를 위한 용도지역제 유연화 방안 김동근 연구위원 (국토연구원) * 온라인(ZOOM) 종합토론 11:05~11:55 ‘50 패널 토론 ? 좌장 및 토론자 토론 ? 청중 참여 질의응답 및 의견 개진 11:55~12:00 ‘05 폐회식 ? 폐회사 강병근 市 총괄건축가 국제 컨퍼런스 ㅇ 행 사 명 : 2023 워터서울·도시정책 국제 컨퍼런스 (2023 The Joint Water Seoul·Seoul Urban Policy International Conference) ㅇ 일시/장소 : 10.24.(화) 10:00~17:00 / 상수도사업본부 5층 대강당 ******************************** ㅇ 주 제 : 감성의 중심, 여유(餘流)공간 수변(수변공간 활성화를 위한 공간혁신) ㅇ 세부 프로그램 시간 구분 주요 내용 비고 10:00-10:10 ‘10 오프닝 ? 개막안내 ? 인사말씀(행정2부시장, 국토학회 권일 부회장) 10:10-10:30 ‘20 기조발제 ? 도시 수변공간의 회복과 창조 서울시 도시계획국장 10:30-10:50 ‘20 특별연설 ? 오스트리아 린츠시의 수변활성화 사례 (Waterfront Revitalisation in Linz, Austria) 클라우스 루거(Klaus Luger) (오스트리아 린츠시 시장) 10:50-11:00 ‘10 기념사진 ? 주요내빈 기념사진 촬영 세션 여가문화 중심지로의 수변공간 활성화 사례 11:00-11:30 ‘30 주제발표 ? 이탈리아 항만의 수변공간 재생 및 활성화 사례 (Rehabilitation and Revitalisation of Port Waterfronts in the Italian Experience) 프랑코 만쿠조(Franco Mancuso) (이탈리아, IUAV 교수) 11:30-12:00 ‘30 ? 영국의 수변공간 활성화 사례 (Urban Waterfront : British Experience) 에드워드 양(Edward Yang)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겸임교수) 12:00-14:00 ‘120 환영오찬 및 네트워크 세션 서울, 수변공간 혁신을 통한 경쟁력 강화 방안 14:00-14:30 ‘30 주제발표 ? 한강, 지난 100년의 시간에서, 미래 100년의 시간으로 김선아 (한국건축가협회 스마트도시건축위원회 위원장) 14:30-15:00 ‘30 ? 시민 삶의 질과 도시경쟁력 향상을 위한 수변공간 개선 방향 구자훈 (한양대 도시대학원 교수) 15:00-15:30 ‘30 ? 도시의 경계에서 새로운 중심으로, 수변을 통한 도시의 확장 이희정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 15:30-15:40 ‘10 휴 식 2일차 종합토론 15:40-16:40 ‘60 종합토론 ? 수변공간 활성화를 통한 도시 발전 방향 - 토론자 : 연사(린츠시장, Franco Mancuso, Edward Yang, 김선아 위원장, 구자훈 교수, 이희정 교수), 정성국 도시계획과장 (좌장)강병근 총괄건축가 토론자: 공동 16:40~16:55 ‘15 질의응답 ? 발표 및 정책에 대한 질의응답 사회자 16:55-17:00 ‘05 폐회식 ? 폐회선언 및 폐회사 사회자 Ⅱ 세부 논의사항 국내 컨퍼런스 □ 주제발표 ㅇ 주요 발표 및 논의내용 - N분 생활권을 통한 공간구조 재편 및 미래 교통수단 거점으로 계획 필요(이희정 교수) - 하천의 지형을 회복시키고 자연 본연의 모습을 살린 복원 필요(최정권 교수) - 접근성, 다양한 용도의 개발, 교통 및 보행 편의, 공공 공간 조성, 그리고 인간과 자연의 관계 강화를 위해 지속적 발전 필요(Justin Lim 교수) - 주변공간과의 통합계획, 이익의 환수 및 재투자, 적극적인 높이 관리 필요(김동근 연구위원) 주요내용 도시계획 혁신 방안을 통한 수변공간의 복합용도 개발 및 수변경관 개선 (이희정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ㅇ 기후위기 등 변화로 자연성 회복에 대한 중요성이 전 세계적으로 재고 → 비판적 지역주의, 생태적 도시공간의 재구조화, Ecological Urbanism ㅇ 해외사례 - (뉴욕시 허드슨 강변) 대규모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산업화 시대의 인프라를 재개발하여 고밀도 복합용도 지구 창출 - (독일 미디어 하펜) 뒤셀도르프의 구 항구 지역을 창조적 산업과 문화의 중심지로 변모 -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살기 좋은', '일하기 좋은', '놀기 좋은' 공간으로 개발 → 높은 건축적 가치와 다기능 복합공간으로, 도시 경쟁력 강화와 국제적인 관광 명소로 부상 - (독일 함부르크 하펜시티) 구 항구 지역을 현대적 도시공간으로 재개발 → 문화, 엔터테인먼트, 상업, 주거가 혼합 ㅇ 정책방향 제안 - 자연과 공존하는 한강, 이동이 편리한 한강, 매력이 가득한 한강, 활력을 더하는 한강이라는 4가지 목표를 중심으로 용산전략기지개발, 여의도 등의 다양한 한강변 거점 개발에 대한 프로젝트 진행 - 수변공간을 미래 중심으로서 조성하기 위하여 ********************하고, uam, 자율주행차 등 ************으로 계획이 필요 한강 Resilience Retrospect & Prospect (최정권 가천대학교 교수) ㅇ 과거 하천 개발사례 - (영국 런던) 1858년 템스강 수도 정비와 더불어 런던 공원이 개방되고 하천이 정비가 되고, 인프라가 구축. 21세기 밀레니엄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템즈강을 도시공간의 중심으로 만들어, 런던 시청사를 템즈강변으로 옮기고, 런던 리버파크를 새롭게 조성. 또한, 지천, 주거, 공원이 통합된 파크랜드 주거공간 조성. 앞으로의 2100년을 바라보는 비전으로서, 템즈강 하구에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프로젝트 시작. - (한국) 하천의 변화 양재천에서 시작 → 주변 경제 활성화를 위한 초고층 건물 계획. - (뉴욕) 1966년부터 하천 부 디자인에 중점. 10년전 허리케인 샌디가 뉴욕을 강타한 후 디자인을 통한 복구. 이스트 강변을 따라 헌터스 포인트 사우스 파크, 루즈벨트 기념공원을 중심으로 디자인을 통한 리질리언스 실현. - (로테르담) 도시계획 및 조경계획에 공간계획을 더하여 홍수의 위협을 기회로 바라보는 계획을 세움 ㅇ 정책방향 제안 - 한강은 리질리언스를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계획이 필요. 암사 복원 현장에서 찾아볼 수 있듯, **********시키고 ******************* - 한강 리질리언스도 홍수를 받아들이면서 전화위복하는 방식을 취해야 함. 하향식 방향에서 상향식 방향으로 바뀌어야 하며, ******************가 필요. *****************하여 개발과 보전을 중첩시켜서 푸는 방식이 필요. 이는 지속적으로 다양한 경험을 가진 분야의 사람들이 *******을 통해 함께 풀어내야 될 과제임. 수변공간의 활성화를 통하여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한 융복합적 도시개발 (Justin Lim 서울대학교 교수) ㅇ 호주 시드니 바랑가루 사례 - 시드니 오페라하우스, 하버 브리지, 그리고 이 둘을 연결하는 수변공간 이 세 가지 요소는 호주만의 도시적 요소를 만들어냄. - 바랑가루는 달링하버의 북쪽에 위치해 있는 곳으로, 철도와의 단절 등 이용에 많은 불편이 있어 2000년대 접어들어 상업, 주거, 문화, 오락 등 다양한 용도를 갖춘 도시지역으로 재개발. 이러한 개발을 통해 수변공간은 더욱 활성화되고, 다양한 프로그램과 활동을 유치하여 도시 경쟁력 강화. ㅇ 시사점 - 21세기 수변공간은 투자와 계획을 통해 *************************************, 그리고 *************를 위해 지속적으로 발전해야 할 필요가 있음. 수변공간의 공공성과 도시공간의 연계를 위한 용도지역제 유연화 방안 (김동근 국토연구원 연구위원) ㅇ 서울 수변공간의 현황 및 문제점 - 고층건물의 시각 차폐, 주요 도로로 인한 수변공간 단절, 수변공간의 상업화?사유화 → 한강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한편, 어떻게 한강을 관리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이 필요 - 한강수변공간의 관리와 정의는 한강공간뿐만 아니라 주변 지역까지 포함하는 넓은 범위로 생각해야 하며, 이는 복잡한 법령과 다양한 관리 주체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찾는 것과 관련됨 → 수변활성화 계획이 종합적으로 수립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와 여러 기관 간의 협조가 필요 - 용도지역제는 특히 수변공간에서 중요한 이슈이지만, 높이에 대한 규제가 거의 없음 ㅇ 정책방향 제안 - ①수변공간과 주변 공간에 대한 *********, ②주변 지역에 대한 향후 관리를 위해 용도지역제의 허용도와 용적률뿐만 아니라 **********까지 포함된 조치 마련, ③개발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수변공간에 ***할 수 있는 방법 발굴, ④**************를 통한 수변 공간 활용 계획 수립 발제1(이희정 교수) 발제2(최정권 교수) 발제3(Justin Lim 교수) 발제4(김동근 교수) □ 종합토론 ㅇ (주요 논의) 추진방향 관련 - 도보로 이용 가능하고, 수변에서 문화생활을 향유할 수 있는 공간 조성 노력(홍현탁 팀장) - 생태성이 기본 전제가 되어야하며 통합적 접근 및 관리 필요(맹다미 연구위원) ㅇ (주요 논의) 제안사항 관련 - 한강변 용도복합을 통해 활력을 담기 위한 노력들이 필요함(김용학 과장) - 유형의 패턴화를 통해 복합화의 단초 제공(박태원 교수) - 재건축시 접근성 확보 기반시설을 전제로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 제안(김지엽 교수) 참석자 주요내용 김용학 (도시계획과장) ㅇ 최근 市에서 그레이트 한강의 비전으로 4대 전략과 55개 선도사업을 발표함. 수변공간을 시민들에게 친숙히 다가갈 수 있게끔 하는 여러 요소들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음. ㅇ 한강변을 단순 주거지가 아닌 용도복합을 통해 활력을 담기 위한 노력들이 필요함을 더욱 절실히 느꼈음. 홍현탁 (수변감성도시과 수변정책팀장) ㅇ 시민들의 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어떻게 수변공간을 발전시켜 시민들이 향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지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지고 있음 ㅇ '수변감성도시'는 한강에서 지천으로 이어지는 컨셉을 가지고, '수세권'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모든 시민들이 걸어서 이용할 수 있는, 물을 직접 느끼고 문화생활을 향유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고자 함 맹다미 (서울연구원 연구위원) ㅇ 하천과 수변공간이 변화와 기회의 공간으로서 어떻게 발전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며 이에 대해 생태성이 기본 전제가 되어야 함 ㅇ 친수공간을 포함하여 통합적으로 접근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며 개발 계획과 사업 이후 공공이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 ㅇ 제도적으로 복잡한 현 상황을 고려할 때,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통합 또한 필요하며,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의 통합을 통해 수변공간을 더욱 풍부하고 다채롭게 만들어갈 필요 박태원 (광운대 교수) ㅇ 이용자들이 한강과 한강 주변을 어떻게 복합적으로 새롭게 이용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탐구할 필요 ㅇ 도시 공간구조의 연결, 기능, 활동 그리고 그 위에 나타난 새로운 장소성을 연결하면 여러 개의 레이어들이 만들어내는 유형이 패턴화 될 거라고 생각함. 거기에 대응하는 것들을 어떻게 탄력적으로 풀어낼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이 복합화의 단초가 될 것 김지엽 (성균관대 교수) ㅇ 한강변에 재건축시기가 도래하는 공동주택단지들이 재건축시, 접근성을 위한 기반 시설 확보를 전제로 하여 용도지역을 상향시켜주고 기타의 인센티브를 주는 구조를 만든다면 한강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반시설 확보가 용이해질 것 인사말씀(행정2부시장) 종합토론 질의응답 행사장 전경 국제 컨퍼런스 □ 기조발제 ㅇ 주요 발표 및 논의내용 - 과거부터 市는 수변공간을 핵심자원으로 인식, 도시기본계획을 통해 철저하게 관리하였으나 치수·방재 등 기능적 관리로 인해 수변과 도시공간 분리 현상 발생 - 이에, 2040서울도시기본계획 핵심목표로 수변중심 공간재편을 제시하여 한강뿐만 아니라 4대 수계로부터 소하천까지 수변 중심의 도시환경 구축할 계획임 주요내용 도시 수변공간의 회복과 창조(Restoration and Creation of Urban Waterfront Spaces) (조남준 도시계획국장) ㅇ 서울 수변공간의 과거 - (수변관련 도시계획) 수변을 서울의 핵심 자원으로 인식하고 서울도시기본계획을 통해 수변공간의 녹지와 경관을 철저하게 관리해왔음 → 한강변 제방 안의 공원녹지계획 수립, 생태 복원 추진(’90), 최초로 한강 수경축 설정, 수변공간의 접근성 강화 방안 마련(’11), 지천 공원화 계획을 수립(2000년대), 훼손된 수변의 회복 및 발굴에 집중, 5개 권역별 특성을 활성화하는 수변부 관리방향 제시(’14) - (한계점) 치수·방재 등 기능적 관리로 인해 수변과 도시공간 분리현상 발생하였으며, 단조로운 공간 구성 및 접근성 문제로 수변공간 전체에 대한 충분한 활용이 이루어지지 않았음 ㅇ 해외의 수변공간 활용 경향 - ① (일상 생활공간 전환) 텍사스주 샌안토니오강(대심도 터널, 상권), 미국 시카고강 리버워크(오염 정화, 문화·상업시설) - ② (수자원 활용) 인공섬(리틀아일랜드, 도나우섬, 시뉴섬), 새로운 교통수단 구축(허드슨강 리버버스, 광저우 강변 트램노선) - ③ (복합거점 조성) 함부르크시(주거·일·여가 복합거점조성), 뉴욕 배터리파크(노후 항만지구 → 글로벌 금융업무지구) 등 ㅇ 서울 수변공간의 미래 - 2040서울도시기본계획 핵심목표로 수변 중심 공간 재편 제시 - 지천과 소하천까지 전면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수변 중심의 도시환경 구축, 그레이트 선셋 한강 프로젝트 추진 □ 특별연설 ㅇ 주요 발표 및 논의내용 - 홍수에 대한 대응과 함께 다뉴브강 주변으로 미술관, 박물관 등의 문화예술관련 건축물과 공공공간 및 녹지 확보로 수변공간을 중심으로 주민들에게 자유로운 활동 기회 제공 - 미래 사업(Future Project)으로 경제?기술적 분야와 혼합 지역의 개발, 교통 개선, 산업 구조의 혁신을 계획하고 있음 주요내용 오스트리아 린츠시의 수변활성화 사례(Waterfront Revitalisation in Linz, Austria) (클라우스 루거(Klaus Luger) 오스트리아 린츠시 시장) ㅇ 린츠시 현황 - 성장중인 도시로 10년 동안 인구가 10%정도 연간성장률을 보였으며,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인구 구조 - 동부지역은 산업지역으로 유럽 등지에서 매일 11만명의 통근자들이 린츠에 있는 직장으로 통근하고 있음 - 다뉴브 강은 홍수에 대한 대응이 필요한 지역으로, 홍수 방지 시스템이 효과를 발휘하여 다뉴브 강을 중심으로 한 수변활성화 사업에 긍정적인 영향 ㅇ 린츠시의 수변활성화 정책 - 다뉴브 강 주변에 문화와 공공 자산을 증가시켰으며, 미래 지속 가능한 개발에 집중 - 문화시설, 음악 축제, 수변 지역의 산업지대 등이 도시의 변화와 문화 활동에 기여 - 더 많은 공공 공간과 녹지를 확보하며 주민들에게 자유로운 활동 기회 제공 - 미래 프로젝트(Future Project)로 경제?기술적 분야와 혼합 지역의 개발, 교통 개선, 산업구조 혁신 계획 (Digital Mile Linz, Local Transport Project, Master Plan Port of Linz 등) □ 주제발표1 : 여가문화 중심지로의 수변공간 활성화 사례 ㅇ 주요 발표 및 논의내용 - 역사적인 지역과 현대적인 요소를 통합한 항구 개발 성공 사례(프랑코 만쿠조 교수) - 영국 수변활성화 사례를 통해 서울의 수변활성화에 대한 정책제안(에드워드 양 교수) 주요내용 이탈리아 항만의 수변공간 재생 및 활성화 사례 - Rehabilitation and Revitalisation of Port Waterfronts in the Italian Experience- (프랑코 만쿠조(Franco Mancuso) 이탈리아 IUAV 교수) ㅇ 이탈리아의 수변활성화 - 이탈리아는 해안 지역의 역사적인 도시에 항구 프론트가 위치해 있으나 지난 반세기 동안 현대화되지 않아 고전적인 기능의 항구가 버려져 있었음. 이에, 항구와 역사적인 도시 간의 관계 증가, 기존 시설의 복구 및 향상, 역사적 연결선 보존을 통해 성공적으로 재개발 - 제노바의 경우 전체 항구 지역의 완전한 재개발을 통해 해안 지역의 성공적인 변화를 만들었으며, 베네치아는 기존 항구가 버려지고 새로운 항구를 개발 - 두 도시에서는 역사적인 지역과 현대적인 요소를 통합하여 항구 개발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음 영국의 수변공간 활성화 사례 - Urban Waterfront : British Experience - (에드워드 양(Edward Yang)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겸임교수) ㅇ 영국의 수변공간 활성화 - 런던 도클랜드와 브리스톨, 버밍엄은 런던 올림픽을 계기로 성공적인 수변 재생이 이루어져 집값 상승과 활기찬 환경이 조성됨 - (런던) 다양한 수변 활용이 이루어지고, 주거 및 상업 환경 혁신적으로 구축 - (브리스톨) 10년 주기로 도시공간활성화 전략을 수립하고, 주거 및 경제적 측면에서 수변을 효과적으로 활용 - (버밍엄) 수변을 중심으로 페스티벌, 마켓 플레이스 등을 구축하여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런던과 함께 수변 재생 프로젝트 진행 중 ㅇ 정책방향 제안 - 서울의 수변은 지천과 하천 등 다양한 지형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현대적이고 다양한 수변 재생 사업을 계획하는 것이 중요함 - 광역적인 규모의 수변 계획은 행정 구역을 초월하여 사회와 경제 활동이 경계가 되도록 하여 브랜딩을 통한 도시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음 - 기술 혁신을 통한 접근성 향상이 필요하며, 다양한 수변 프로젝트와 주거공간을 연계하여 수변의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내는 방향으로 계획해야 함 - 문화적, 경제적으로 성공적인 도시브랜드로 거듭날 수 있도록 디자인과 관리에 있어서 상세하고 체계적인 계획 필요 - 한강을 중심으로 광역 계획을 통해 수변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권역에서 특화된 계획을 수립하여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수변공간 조성 필요 □ 주제발표2 : 서울, 수변공간 혁신을 통한 경쟁력 강화 방안 ㅇ 주요 발표 및 논의내용 - 타 도시와 차별화되는 한강의 특수성과 그에 기반한 10가지 정책방향 제안(김선아 위원장) - 수변공간의 잠재력과 한강의 현황, 한강 수변 공간의 개선 방향(구자훈 교수) 주요내용 한강, 지난 100년의 시간에서, 미래 100년의 시간으로 - Hangang River, from the past 100 years to the next 100 years - (김선아 한국건축가협회 스마트도시건축위원회 위원장) ㅇ 과거의 한강 - 한강의 발전 모습 : 도시 외곽의 교통수단(19세기) → 일제강점기부터 치수를 위한 제방조성 시작 → 전쟁 이후 도시화로 제방을 쌓으면서 도시고속도로 건립, 인구증가로 매립한 땅에 아파트 지구 형성 → 한강 르네상스 시작(’06년) - 타 도시와 차별화되는 한강의 특수성 : 19세기 전까지 이미 도시화가 진행되어 강변에 산업지역이 발달한 유럽과 달리 한강의 경우 급격한 도시화로 주거지역으로 형성되었으며, 긴 강폭으로 남과 북이 단절됨 ㅇ 정책방향 제안 - ① 대규모 계획에 더하여 마이크로 단위의 섬세한 정비계획 필요, ② 장소와 활동의 연결성(Everything needs to be connected), ③ 경험을 중심으로 공간 계획 수립, ④ 부유 및 이동 시설의 특화(Floatingand Nomadic facilities), ⑤ 물을 이용한 한 다양한 공간(Various water spaces), ⑥ 스페인 빌바오의 Fire Fountain과 같은 워터아트를 이용한 문화공간으로의 조성, ⑦ 안내판 등 시설 디자인 향상, ⑧ 프로그램 증대 및 전 지역 균등 배치, ⑨ 어디서든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장소로의 변화, ⑩ 서울만의 매력적인 공간 조성 시민 삶의 질과 도시경쟁력 향상을 위한 수변공간 개선 방향 - How to Improve Waterfront for the Quality of Life and Enhancing City Competitiveness : Focusing on the Han River - (구자훈 한양대 도시대학원 교수) ㅇ 한강의 현재 상황 - 한강은 민선 4~8기까지 다양한 계획과 시설물이 조성되었지만, 보전되지 못한 부분도 있으며, 대중교통과 보행 조건의 열악함, 문화 자원의 효과적 활용 부재 등이 도시경쟁력 향상을 어렵게 하고 있음 ㅇ 정책방향 제안 - 한강 수변 공간의 개선을 위해 ①1등급 및 2등급 지역의 보전과 보완, ②대중교통 및 보행 환경 개선, ③문화 자원 활용 증진, ④CBD와의 연결 강화, ⑤주거 단지와의 연계성 확보, ⑥재건축 사업을 통한 새로운 연결성 창출 필요 → 이를 통해 한강은 지속적인 도시 발전과 시민들의 향상된 삶의 질을 도모할 수 있음 도시의 경계에서 새로운 중심으로, 수변을 통한 도시의 확장 - Urban Expansion through Waterfront Revitalization : to the New Center of the City - (이희정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 ㅇ 수변공간 중심의 패러다임 변화 - 저성장?인구감소 시대 도래 → 인프라 건설 및 도시 확장을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도시계획 이념 변화 필요 - 뉴어바니즘(New Urbanism): 다양한 주택과 공공시설, 조화로운 경관, 대중교통 및 보행중심도시 -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Landscape Urbanism): 자연환경과의 연계성을 중시한 도시공간 조성 및 생태계 회복 - 드로스스케이프 어바니즘(Drosscape Urbanism): 도시 속 유휴 산업시설 공간에 대한 재구성 - 크로노 어바니즘(Chrono Urbanism): N분 이내 주거·업무·여가 등에 접근가능한 도시로의 전환 ㅇ 정책방향 제안 - 미래 도시 공간 혁신을 위해서는 토지 이용의 새로운 기능과 복합화, 밀도와 도시 집적화, 보행 네트워크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야 하며, 이를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 간의 통합적 협업 체제 구축 필요 - 도시계획의 패러다임은 중요한 역할을 하며, 마이크로 플래닝과 주민 체감 가능한 변화에 주안점을 두어야 함 - 서울의 수변 공간을 중심으로 한 재해석을 통해 미래 100년을 대비한 도시 마스터플랜을 고민하고 시민들과 함께 만들어 나가야 함 - 수변공간 중심의 패러다임 변화 및 수변의 가치 회복과 수변 중심 도시 확장(이희정 교수) 개막식(주제영상 청취) 기조발제(도시계획국장) 특별연설(린츠시 시장) 발제1(프랑코 만쿠조 교수) 발제2(에드워드 양 교수) 발제3(김선아 위원장) 발제4(구자훈 교수) 발제5(이희정 교수) □ 종합토론 ㅇ 주요 논의내용 - 기후위기에 따른 홍수 등 환경변화에 대한 안전대책 마련을 위해 도시 구조를 개선하고 생활 방식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음(강병근 총괄건축가) - 홍수 대비 안전대책을 위해 중장기적 해결방안으로 지하주차장 녹지화, 건물옥상의 저류 기능을 강화해야 하며, 도시구조 개선과 재건축으로 대비해야 함(린츠시 시장) - 도시의 미래는 현실의 문제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도시공간 계획 및 구상이 이루어질 것이며, 한강 역시 그레이트 한강을 기치로 수립된 계획에 따라 문제점을 개선해 나간다면 향후 한강이 서울의 중심 공간으로 자리매김 하게될 것임(도시계획국장) - 보행일상권 관련하여 수변을 걷기 좋은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공원과 길이 선형으로 이어지는 공원 개념으로 접근해 나가는 게 필요(도시계획과장) - 베니스의 물 관리와 안전 대책은 다양한 주체들의 협력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를 통해 안전한 수변 공간을 조성할 수 있었음(프랑코 만쿠조 교수) - 서울 수변공간에 대한 혁신적인 접근 필요하며, 지천과 한강을 중심으로 한 지속 가능한 도시계획 필요(에드워드 양 교수) - 수변과 관련된 공간계획은 다양한 전문가 및 시민들 간의 의견조율이 가장 중요함(구자훈 교수) - 혁신의 방향과 가치를 공유하며, 이를 조금씩 확산시켜 가는 것이 중요하며, 도시 공간의 변화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기반으로 경험을 통해 확산시키는 것이 필요(이희정 교수) - 서울 수변공간을 대상으로 서울의 나래이션을 만드는 것이 필요(김선아 위원장) 참석자 주요내용 강병근 (市총괄건축가) ㅇ 최근 우리나라의 홍수 빈도도 잦아지고 있고 높은 수위의 홍수는 30년마다 발생하며, 이에 대한 인식과 대비 필요. 린츠시 사례와 같이 주민의 물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기 위해 훈련 필요. 또한 홍수 빈도의 예측이 가능해야 하며, 이에 따른 도시 재구조화 필요. ㅇ 지하 유출수 문제는 심각하게 다루고 있으며 도시 인프라 재구축을 통해 해결해야 하는 중대한 문제임. 오수와 지하수가 함께 흘러가는 현재 상황에서 도시의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며, 하천을 치수 위주로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낙차공 등을 활용해 자연적인 물의 회복을 고려해야 함. ㅇ 환경 변화에 대처하려면 유연한 대응이 필요하며, 도시구조 개선과 생활 방식의 변화를 통해 안전 대책 마련이 필요 클라우스 루거 (린츠시 시장) ㅇ 린츠 시에서는 여러 홍수 대책을 통해 최근 젊은 세대들은 물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키우고 있으며, 수변을 통해 도시 재구조화를 시도하고, 홍수에 대비한 장기적 대책을 추진하여 수변공간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였음 ㅇ 홍수로 인한 피해와 안전 대책을 위해 중장기적 솔루션으로 지하주차장 녹지화, 건물 옥상의 저류 기능을 강화해야 하며, 대체 인프라 투자보다 도시구조 개선과 재건축으로 대비해야 함 조남준 (도시계획국장) ㅇ 향후 도시의 미래는 단순한 규제 위주에서 현실적 문제의 개선 및 유관분야 협업을 통한 도시공간의 구상 및 계획에 중점을 두게될 것임 ㅇ 그레이트 한강을 통해 한강의 접근성 제고, 공공시설 확보 등 추진 → 한강이 서울의 중심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것 ㅇ 지하수 유출과 관련하여 대규모 공공단지 아파트 지하에 저류지를 제안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시민들의 인식부족 등 어려움이 있음. 현재 권장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장래에는 도시의 미래를 위해 서울시에서 계획적으로 컨트롤 해야한다고 생각하고 있음 정성국 (도시계획과장) ㅇ 한강 르네상스는 80년대에 치수 관계로 종합계획이 시작되었으며, 2000년대에는 한강의 접근성과 생태적인 복원을 위한 노력이 진행됨. ㅇ 2040 도시기본계획에서 서울시는 보행일상권을 주요 정책으로 선정하였으며, 하천과 관련하여 주민들이 수변을 걸어서 다닐만한 공간으로 어떻게 누릴 수 있는지에 대한 것임. ㅇ 수변을 걷기 좋은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공원과 길이 연결되는 선형으로 이어지는 공원 개념으로 접근해 나가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함 프랑코 만쿠소 (IUAV 교수) ㅇ 베니스의 물 관리와 안전대책은 다양한 주체들의 협력에서 비롯되었으며, 공공기관과 대학의 연계, 주민, 대학, 지자체 등 다양한 주체와의 협력을 통해 안전한 수변공간을 조성할 수 있었음 ㅇ 수위 문제와 관련하여 베니스는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안전 대책을 수립해왔으며, 홍수 발생시 차단 시스템 도입은 경제적 부담과 정책 실현의 어려움이 있음. 해수면 상승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제안이 있지만 완전한 답은 없으며, 안전 유지와 수면 관리의 어려운 균형을 유지해야 함 에드워드 양 (서울대 교수) ㅇ 서울의 수변 공간에 대한 혁신적인 접근 필요하며, 지천과 한강을 중심으로 한 지속 가능한 도시계획 필요 → 특히, 수변 블록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블록 구상이 필요하며, 문화 등급이 높은 지역부터 개발하여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해야 함 ㅇ 수자원 문제에 대해 물의 확보가 핵심이며, 하수처리 후 재활용을 통해 유수를 유지하는 방안 필요. 또한 관로를 통한 물의 이동보다 지자체 자치구에서의 수질 관리 중요. 구자훈 (한양대 교수) ㅇ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 관련 정책기조의 변화에 따라 단기 및 중장기 계획, 한강의 활용 및 보존의 교차로 혼란이 있을 수 있음. 정책 변화는 시기를 조절하기 어려워 단계적 접근 필요 ㅇ 과거 지천 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도시계획과 환경을 함께 고려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공모 사업 중 하천 지역에서의 작은 여울 조성이 경관을 향상시키고 홍수 문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계획을 제시하였으나, 다양한 전문가와 시민들 간에 의견 차이로 실현되기 어려웠던 사례 → 수변과 관련된 공간계획은 다양한 전문가와 시민들 간의 의견 조율이 가장 중요함 이희정 (시립대 교수) ㅇ 현재 사회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혁신이 강조되고 있으나, 도시 및 수변 공간은 전통적인 관념에서 벗어나기 어려운 한계가 있음. 혁신의 방향과 가치를 공유하며, 이를 조금씩 확산시켜 가는 것이 중요하며, 도시 공간의 변화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기반으로 경험을 통해 확산시키는 것이 필요 김선아 (건축가협회 위원장) ㅇ 사용자 중심의 디테일한 접근과 유연한 플랜의 필요성 강조. 제방문제를 혁신적으로 해결하고, 수위 상승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 제안. 도시와 한강변의 지형적 차이를 활용해 새로운 토지 이용 유형을 창출하고 도시와 한강변 사이의 경계 해소 방안 마련 ㅇ 서울의 나래이션을 만들자 → 서울의 정체성을 다시 만드는 기회. 지천 수변공간을 대상으로 노팅힐 같은 예쁜 영화를 만들고 그것이 서울의 나래이션이 될 수 있기를 바람 종합토론 질의응답 기념촬영 ****************** ******** *********************************** *************************************************************************** ************************************** *********************************************************************************** ******************************* *********************************************************************************** *********** *************************************************** **************************************************************************************** ***************************************************************************************** ************************************* ************************************** ******************************************* *********************************************** ********************************* ************************************************************ ************************************************************************************************* ******************** ******************************************************************************** ************* ******************************* ********************************************************************** **************************************************************************************************************************************************************************************************************************************************************************************************************************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정보

2023 도시정책 컨퍼런스 개최 결과 보고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도시계획국 도시계획과
문서번호 도시계획과-17530 생산일자 2023-12-29
공개구분 부분공개 보존기간 영구
작성자(전화번호) 갈은주 (02-2133-8315) 관리번호 D0000049795464
분류정보 주택도시계획 > 지역및도시계획 > 도시계획관리 > 도시계획수립및정책추진 > 도시계획정책추진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