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2023년 모기매개감염병 관리계획

문서번호 감염병관리과-6101 결재일자 2023. 3. 23. 공개여부 부분공개(5) 방침번호 시 민 실무사무관 감염병관리팀장 감염병관리과장 시민건강국장 송미령 이승찬 송은철 03/23 박유미 협 조 질병연구부장 이집호 면역진단팀장 한창호 2023년 모기매개감염병 관리계획 2022. 3. 시민건강국 (감염병관리과) ☞ 해당사항이 있는 부분에 ‘ ■ ’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 비고 : 필요시 검토내용 기재) 구 분 사전 검토항목 점검 사항 검토완료 해당없음 비 고 정책의제 형성 ◆ 정책현안에 대해 현황과 실태를 검토하였습니까? - 현황자료(통계자료 등) 및 실태조사서 검토 타지자체 유사정책 및 국내외 사례 분석 등 □ ■ ◆ 시민 및 관련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였습니까? - (시민참여) 청책토론회, 시민공모, 설문조사 등 - (전문가 자문) 자문위원회, TF운영, 타당성 검토조사, 젠더자문관 등 □ ■ 정책수립 ◆ 정책화를 위한 제반 법규(근거법령 및 규칙, 지침 등)는 검토하였습니까? - (선거법) 공직선거법 등 각종 법률 저촉여부 - (성별분리통계) 성별분리통계 생산?제시?분석 등 □ ■ ◆ 정책(사업) 집행의 직·간접적 영향 및 효과성을 분석 하였습니까? - (갈등) 이해관계 당사자 간 갈등 및 대책 마련 - (사회적 약자)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등 - (일자리) 일자리 창출, 직·간접 채용, 전문인력 양성, 창업지원 - (안전) 시민 안전 위험요인 및 대책, 안전 관리 등 - (온실가스 감축) 건물 및 수송 분야 에너지사용 절감방법, 폐기물 발생 억제 대책 등 □ ■ 정책집행 ◆ 타기관, 민간단체 등과의 협의·협력 및 이견 조정 등을 검토하였습니까? - (타기관) 타기관(중앙정부, 지자체), 민간(단체) 등의 자원 활용 방안 - (자치구 영향) 자치구 행정·인사·재정 부담 및 적정성, 파급효과 분석 등 □ ■ ◆ 정책·계획 등의 지속가능성을 검토하였습니까? - (지속가능성) 지역경제 발전, 사회적 형평성, 환경보전 등 □ ■ 정책홍보 ◆ 국내외 정책(사업)홍보방안을 검토하였습니까? - (홍보) 국내보도자료, 기자설명회, 현장설명회 - (정책영문화) 영문제목·요약, 해외언론보도, 외국어 홈페이지 게시 등 - (성평등) 성별고정관념?성차별적 내용 포함 여부 검토 □ ■ 기타사항 ◆ 불필요한 외국어·외래어 표현 대신 바른 우리말을 사용하였습니까? □ ■ ◆ 공개 여부를 "비공개"로 설정했다면 법적근거를 명확히 검토하였습니까? (정보공개법 제9조 제1항 제1호~제8호) □ ■ 모기로부터 시민을 안전하고 건강하게 ! 2023년 모기매개감염병 관리계획 말라리아, 일본뇌염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해외 유입되고 있는 뎅기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등 모기 매개 감염병 발생 예방을 위해 모기 및 환자 감시 강화, 친환경 통합적 방제와 시민이 참여하는 방제활동으로 건강한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 Ⅰ 추 진 근 거 감염병의 예방 빛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 제4조 ? 모기매개 법정 감염병 지정현황 (7종) - 3급 감염병 · 말라리아, 일본뇌염, 황열 · 뎅기열 · 웨스트나일열 · 치쿤구니야열 · 지카바이러스감염증 ※ 병원체→ 원충(기생충): 말라리아 / 나머지 감염병은 바이러스 Ⅱ 현실태 및 필요성 국·내외 모기 매개 감염병 발생 증가에 따라 선제적 대응 필요 ○ 말라리아, 일본뇌염의 지속적인 국내 발생 ○ ‘20년~ 21년에는 코로나 19로 인한 해외여행 감소로 해외유입 모기매개 감염병이 감소하였으나‘22년에는 증가 추세로 전환됨 - 뎅기열 : (`19) 273건 → (`20) 41건 → (`21) 3건 → (`22) 103건 - 치쿤구니야열 : (`19) 16건 → (`20) 1건 → (`21) 0건 → (`22) 8건 - 지카비이러스감염증(`19) 3건 → (`20) 1건 → (`21) 0건 → (`22) 3건 지역특성 및 기후환경 변화를 고려한 효율적인 모기 방제 필요 ○ 도심에서는 발생원이 한정되어 있어 유충 방제가 효과적 - 모기유충 한 마리 방제 시 성충 평균 500마리 박멸 효과 ○ 지구 온난화에따른 기온상승, 도시화에 따른 대형건물의 증가 및 난방 공간의 확대로 겨울철 지하 공간에도 모기 성충 발생 Ⅲ 현 황 모기 매개 감염병 발생현황 ○ '22년 서울에서 말라리아 발생건수는 60건으로 전년대비 62% 증가하였으며, 일본뇌염은 2건 발생함 - 말라리아 감염경로 : 국내 발생 88.2%, 해외유입 11.8% - 일본뇌염 감염경로 : 국내 발생 98.1%, 해외유입 1.9% ○ 해외유입 감염된 뎅기열은 '22년 전국에서 103건, 서울에서는 32건 발생하였으며, 치쿤구니야열은 '22년 전국에서 8건, 서울에서는 4건 발생 모기 채집 현황 ○ 유문등(誘蚊燈) 채집결과 - '22년 감시 중인 총14종의 모기 중 우점종 '빨간집모기'(77.7%)이며, '흰줄숲모기'(1.5%)도 서식 중이나 모기에서 바이러스 검출사례는 없음 (단위: 마리) 연 도 합 계 빨 간 집모기 얼룩날개 모 기 류 작 은 빨간집모기 흰줄숲모기 *기타 (웨스트나일열) (말라리아) (일본뇌염) (뎅기열,치쿤구니야열, 지카바이러스감염증) 2017 9,689 8,485 8 0 12 1,184 2018 6,111 4,910 163 0 63 975 2019 6,608 5,447 130 0 9 1,022 2020 6,010 4,861 180 0 10 959 2021 7,019 5,499 95 0 91 1,334 2022 9,459 8,187 132 0 148 992 합 계 44,896 37,389 708 0 333 6,466 * 기타 : 줄다리집모기, 반점날개집모기, 동양집모기, 한국숲모기, 금빛숲모기, 등줄숲모기, 토고숲모기, 큰검정들모기 ○ 디지털모기측정기(DMS) 채집결과 - ‘22년 5~10월 사이 채집된 모기개체수는 338,483마리로 '21년 (403,196마리)보다 16.0% 감소 - 월별로는 6월에 모기개체수가 증가하고 9월에 가장 많이 포집 ⇒ 5월에 유충 서식지를 없애는 유충방제에 집중하고 6월부터는 성충 방제를 위한 물리적 및 화학적 방제 병행 필요 모기예보제 운영 ○ 연도별 모기예보 일수 (예보기간 : 5~10월, 단위 : 일) 단 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1단계 (쾌적) 56 66 56 28 18 3 2단계 (관심) 52 27 44 52 48 48 3단계 (주의) 32 54 52 99 97 109 4단계 (불쾌) 42 21 25 7 8 25 ※ ’20년부터 단계별 발령기준을 정확도와 민감도 향상을 위해 세분화함에 따라 예보일수가 차이를 보임 - 1단계(쾌적) : 0~25미만 / 2단계(관심) 25~50미만 / 3단계(주의) 50~75미만 / 4단계(불쾌) 75이상~ ○ 지리 유형별 예보일수 - 2022년 일별 모기 평균 개체수 및 표준오차는 36.97±0.52이며, 모기개체수가 수변부 > 공원 > 주거지 순으로 많았음 - 수변부에서 모기개체수가 많이 발생함에 따라 2022년 불쾌인 날이 84.9% (157일) 차지 단 계 수변부 주거지 공 원 1단계 (쾌적) 1 19 25 2단계 (관심) 4 116 65 3단계 (주의) 23 50 88 4단계 (불쾌) 157 - 7 ※ 수변부(빗물펌프장, 유수지), 공원(공원숲), 주거지(주민·체육·복지센터, 보건소, 아파트 등) ○ 모기예보제 SNS 채널 개설 - 카카오톡 ‘서울시 모기예보제’ 채널을 통한 시민들의 모기예보제 접근성 향상 - 모기예보제 소개, DMS 소개, 국내 모기 종 안내 등 카드뉴스 게시 Ⅳ '23년 추진계획 추진방향 ○ 모기 매개 감염병 감시 강화 및 환자 발생 시 신속 대응 ○ 유충 감시 및 방제 등 예방적 조치로 선제적·효율적 추진 ○ 친환경 종합적 매개체 방제로 시민 건강 보호 ○ 시민의 자발적 예방 실천 확산 유도 추진체계도 모기로부터 시민을 안전하고 건강하게 ! 모기 및 환자 발생 감시 친환경 종합적 방제 시민 홍보 및 대응역량 강화 ? 유문등, DMS 및 트랩을 활용한 모기 감시 ? 환자 감시 및 발생 시 신속 대응 ? 유충 서식지 조사 및 친환경 유충 방제 ? 3대 서식지 중점관리 및 성충방제 ? 소독의무대상시설 관리강화 ? 서울시 모기 예보제 운영 ? 시민의 모기 방제 역량 강화 ? 방역약품 지원 ○ 세부사업 구 분 세부 사업 1. 모기 발생 및 모기체내 병원체 감시 강화 1) 유문등 운영 2) 디지털모기측정기(DMS) 운영 3) 트랩을 활용한 숲모기 감시 2. 감염병 환자 감시 및 환자 발생시 신속 대응 1) 모기매개감염병 환자 발생 대응 철저 3. 모기발생원 조사 및 유충 방제로 선제적 예방 1) 유충서식지 조사관리 2) 친환경 유충 방제 4. 주요 3대 서식지 중점관리 및 성충 방제 1) 주요 3대 서식지 중점관리 (정화조, 하천변, 생활주변 녹지) 2) 통합적 성충 방제 5. 소독의무대상시설 및 취약지역 관리 강화 1) 소독의무시설 현황 및 소독관리 2) 취약지역 관리 강화 6. 모기예보제 운영 및 시민과 함께하는 행동수칙 실천 1) 보다 정확한 모기예보제 정보제공 2) 모기매개감염병 예방을 위한 실천수칙 홍보 1 모기 발생 및 모기체내 병원체 감시 강화 ▶ 유문등, 디지털모기측정기 가동으로 모기 발생 양상 감시 및 효율적 방제방향 설정 ▶ 모기 개체수 및 종별 분석, 바이러스 보유여부 검사로 감염병 발생 선제적 대응 유문등 운영 ○ 운영기간 : '23. 4. 3. ~ 11. 3.(31주) ○ 운영대수 : 총 51대 - 영등포 3대, 나머지 자치구 각 2대 - 주택가 38, 숲 5, 하천 5, 공원 2, 호수 1 ○ 운영방법 : 주1회 모기채집 및 모니터링 - 자치구에서 월요일 채집한 모기를 화요일, 주 1회 분석의뢰 - 모기 종별 개체 수 분석 후 서울시 및 자치구 매주 환류(보건환경연구원) ○ 자료활용 - 모기 매개 감염병 예방대책 수립, 모기 포집현황에 근거한 주민 홍보 - 모기 발생 동향에 따른 선제적 방역과 소독방향 설정 및 효과 검증 디지털모기측정기(DMS) 운영 ○ 운영기간 : '23. 4. 15. ~ 10. 31. (약 7개월) ○ 운영대수 : 총 50대 (자치구별 2대) ○ 운영방법 : 일일 상황 모니터링(매일 7시 웹사이트 자동 게시) - 지정 웹사이트에 자치구 아이디로 로그인 후 발생상황 및 수치 이상여부 확인 - 장비기능 적정 유지를 위해 주기적인 현장 확인 및 유지관리(구비활용) ○ 자료활용 - 방역작업 후 효과분석 등 모기포집 데이터 활용 체계적 방제(효과검증) - 수집 데이터 기반 모기 예보제 산식 보정으로 정확한 예보 가능(사전대응) 【 디지털모기측정기 설치 현황 】 트랩을 활용한 숲모기 감시 (보건환경연구원) ○ 운영기간 : '23. 4월 ~ 11월 (8개월) ○ 조사지점 : 4개 권역 대표지점 선정(20 지점) - 한강을 기준으로 4개 권역으로 구분하여 표본조사 실시 - 이용객이 많은 등산로, 생태공원 등 흰줄숲모기 출현예상 지역 지 역 채집지점(20지점) 남동지역(5) 양재숲(천), 우면산공원, 송파나루, 암사생태공원, 길동생태공원 남서지역(5) 관악산공원, 보라매공원, 봉제산공원, 서서울공원, 온수공원 북동지역(5) 서울숲공원, 용마폭포공원, 수락산당고개공원, 개운산공원, 초안산공원 북서지역(5) 사직공원, 효창공원, 월드컵공원, 백련공원, 남산도시자연공원 ○ 조사방법 - 유인트랩(BG-Sentinel trap)이용 숲모기 채집, 분류 및 병원체분석 ○ 자료활용 - 흰줄숲모기 발생지는 취약지로 지속관리 및 환경정비 요청(의뢰) 2 감염병 환자 감시 및 환자 발생시 신속 대응 ▶ 모기 매개 감염병 의심환자 조기발견 및 신속한 대응으로 시민 건강 보호 및 감염병 확산 방지 모기매개 감염병 환자 발생 대응 철저 ○ 발생신고 ⇒ 감염병 웹보고 ⇒ 역학조사 · 검체의뢰 ⇒ 환자치료·완치조사 - 모기 매개 법정감염병 신고범위 및 역학조사 주체 감염병명 환 자 의 사 환 자 병원체 보유자 역학조사 주관 산발 유행(사망) 일본뇌염 ○ ○ X 시·도 시·도 말라리아 ○ ○ ○ 시·군·구 시·도 황 열 ○ X ○ 시·도 시·도(중앙) 뎅 기 열 ○ X ○ 시·군·구 시·도(중앙) 웨스트나일열 ○ ○ ○ 시·도 시·도(중앙) 치쿤구니야열 ○ X ○ 시·군·구 시·도(중앙) 지카바이러스감염증 ○ ○ ○ 시·군·구 시·도(중앙) * 역학조사 시기: 신고접수 후 3일 이내(휴일제외) * 국내 발생 말라리아 환자는 재발 및 신환자 발생 예방을 위해 말라리아 완치조사 수행 필요 - 지카바이러스감염증 의심환자 대응 *의심환자 신 고 ? 역학조사서 작 성 ? 검사대상확인 (시스템 입력) ? 검체이송 (녹십자) ? 검사수행 의료기관 등 보건소 보건소/시 임신부 항체 보건환경연구원 * 기타 의사환자 및 비의사환자의 유전자검사는 민간의료기관에서 실시(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진단검사지침 제3-1판) ○ 방역조치 - 환자관리(치료 및 추구관리) 및 교육(말라리아 재발 가능성, 모기 주의 등) - 가족 및 인근 지역 주민 2차 발병자 조사 및 조치 - 환자 거주지 및 감염지역 등의 방역소독 - 주민 홍보 강화(기피제 사용 등 국민행동수칙 준수 안내) ? 해외 여행지에서 모기매개 감염병 예방법 안내 · 질병관리청 홈페이지 (http://www.kdca.go.kr) ? 해외감염병 정보 ? 해외여행 건강정보 3 모기 발생원 조사 및 유충 방제로 선제적 예방 조치 ▶ 모기 개체 수 감소 및 모기 발생 최소화를 위한 유충 위주의 방제 ▶ 친환경적 유충 방제로 방제의 효율성 제고 및 시민 건강과 생태계 보호 유충 방제 절차 유충 서식지 사전 조사 ? 발견 시 유충방제 실시 (살충제는 유충전용 제품 사용) ? 주기적인 밀도 조사 및 평가 1) 유충 서식지 조사 관리 ○ 조사대상 - 여름철 : 유수지, 하천주변의 배수로, 정화조, 인공용기 등 - 겨울철 : 정화조, 집수정 등 ○ 조사방법 - 모기유충 서식장소와 종류는 시기에 따라 매년 거의 비슷한 양상을 보이므로 서식장소 지도화 - 방제 전후 유충 서식지 조사 및 관리 · 수면을 긁듯 표면의 물을 1분 간격으로 3회 이상 채수 ○ 조사주체 : 자치구 <모기 출현을 대비한 유충방제 체계> ※ 출처 : 주요감염병 매개모기 방제관리지침 2021 2) 친환경 유충 방제 ○ 유충의 서식지 제거 - 물 웅덩이, 유수지, 하수도, 물 고인 인공용기 등 - 주택 주변에 있는 옥상 텃밭, 저장용수, 시멘트 탱크 등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처리함 - 물이 고인 빈용기, 폐타이어, 꽃병, 빈 독, 방화수통, 시멘트 탱크 등 인공용기를 제거하거나 위생적인 방법으로 처리 ○ 하수구, 정화조 및 지하집수정 관리 - 하수구 내 쓰레기 등으로 정체된 물을 제거하기 위해 주기적 청소 필요 - 정화조를 통한 모기 출입 차단을 위해 정화조 뚜껑 및 환기통에 스크린 설치 ○ 친환경 유충구제제 사용 - 모기와 깔다구 유충 등에만 선택적으로 살충작용하여 인축에 안전 - 속효성 분해(잔류기간이 짧음)로 환경오염이 거의 없음 - 수화제, 입제, 고형제(브리켓)등 다영한 형태의 제형이 있음 ○ 천적 이용 등(※ 사전조사 및 방제효과 확인 후 적용) ※ 월동모기 방제 Tip · 방제시기: 한겨울(11~1월)보다는 2~4월 모기체내 지방이 다 소모된 시기 방제효과 높음 · 방제장소: 복개천, 하수구, 아파트 등 큰 건물, 목욕탕 주변 등 습도 유지되는 곳 【 유충 서식지 】 4 주요 3대 서식지 중점 관리 및 성충 방제 ▶ 서울에서 주로 발생하는 빨간집모기 등 모기 특성을 고려한 서식지별 전략적 방제로 방역 효율성 강화 및 시민 불편 최소화 주요 3대 서식지 중점관리 (유·성충) 서식지 방 제 방 법 관 리 주 체 1. 정화조 ? 친환경 유충구제제 사용 ? 옥내용 포충기 설치 ? 정화조 뚜껑 밀폐 및 환기구 방충망 설치 ? 자치구 구청, 보건소 ? 소독의무대상시설 ? 시민 2. 하천변 ? 친환경 유충구제제 사용(미생물제제 B.t.i.) ? 해충유인살충기 설치 ? 고인물 매몰 및 배수 처리 ? 하천관리부서와 환경 정비 및 순찰 강화 ? 자치구 보건소 ? 시 ? 자치구 하천 관리부서 3.생활주변 녹 지 (공원, 숲) ? 친환경 유충구제제 사용 ? 해충유인살충기 설치 ? 웅덩이 매몰 및 풀 짧게 관리, 잡초 제거 ? 공원녹지부서와 환경 정비 및 순찰 강화 ? 자치구 보건소 ? 시 ? 자치구 공원, 숲 관리부서 ※ 정화조 발생 모기는 유충 구제가 가장 효율적임 성충방제 방법 ○ 통합적 방제 - 물리적, 생물학적 방제 : 해충유인살충기, 방충망, 유문등, DMS 등 - 화학적 방제: 공간살포(가열연막, 극미량연무, 잔류분무 등) [하수도 가열연막] [건물벽, 풀숲 잔류분무] ○ 시기별 성충방제 방법 <여름철 모기 대발생시 대비 방제 체계> <겨울철 도심지역 모기방제 체계> ※ 출처 : 2021년 주요감염병 매개모기 방제지침 ○ 재해 발생시 모기방제 ? 이재민 수용시설이 있는 경우 - 성충방제 위주의 방역실시(유충방제는 필요시에만 실시) - 야간에 주기적인 공간살포로 외부 방역 실시 - 내부로 모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방충망 설치 - 수용시설 내·외벽에 잔류성 살충제로 잔류분무 실시 - 취침시 실내에 모기장을 활용하며, 가정용 살충제로 실내공간 처리 ? 이재민 수용시설이 없는 경우 - 성충방제 위주의 방역실시(유충방제는 필요시에만 실시) - 난민 캠프의 텐트 내·외벽에 잔류성 살충제로 잔류분무 실시 - 살충제가 처리된 모기장 사용 - 야간에 주기적인 공간살포로 외부방역 실시 ? 홍수 등 물에 의한 재해일 경우 - 성충방제 위주의 방역실시(유충방제는 필요시에만 실시) - 집단 수용시설에서 이재민들이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기피제, 모기장 등 개인방어 물품을 제공하여 사용하도록 함 - 재해 지역내에 웅덩이를 제거하는 평탄작업 실시와 모기유충 방제실시 ? 감염병예방용 살충제 환경부 허가현황 정보 · 「생활안전정보시스템 초록누리(ecolife.me.go.kr) → 화학제품 → 생활화학제품신고·승인정보 → 승인대상 생활화학제품」을 통하여 확인 · 살충제 선택시 모기의 저항성 고려해 약제 선택(2~3년 간격으로 살충제 순환 사용) · 잔류분무 작업 시, 반드시 “직접분무용”이 아닌 “잔류분무용”으로 표기된 제품 선정 5 소독의무대상시설 및 취약지역 관리 강화 ▶ 소독의무대상시설 지도 감독 철저 및 모기 방제 정보 공유로 효율적 모기 방제 시민생활공간인 소독의무대상시설 현황 및 소독관리 ○ 소독의무대상시설 소독시행 여부 확인 - 근거 법령 :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51조(소독 의무) 등 소독의무대상시설 구 분 1. (관광)숙박업소 2. 식품접객업소 3. 버스, 항공기, 공항시설, 여객선, 철도차량, 역사 및 역 시설 4. 대형마트, 전문점, 백화점, 쇼핑센터, 복합쇼핑몰 및 대규모 점포, 전통시장 5. 종합·요양·치과·한방·병원 6. 집단급식소, 위탁급식소 7. 기숙사, 합숙소 8. 공연장 9. 학교 10. 학원 11. 사무실용 및 복합용도의 건축물 12. 어린이집 및 유치원 13. 공동주택 기 간 4~9월 10~3월 4~9월 10~3월 4~9월 10~3월 소 독 횟 수 1회이상 / 1개월 1회이상 / 2개월 1회이상 / 2개월 1회이상 / 3개월 1회이상 / 3개월 1회이상 / 6개월 ○ 소독 실시 방법 및 유충방제 필요성 등 안내 - 일반적으로 살충?살균에 치중하므로 아파트 등 소독의무대상시설의 정화조 및 빗물 고인 곳에 대해서 선제적 유충 방제 안내 - 소독의무대상시설은 사계절 모기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에 놓여 있으므로 유충단계 등 성충활동이 활발하지 않을 때 집중 방제 실시 취약지역 관리강화 ○ 자치구에서 관리중인 저소득층밀집지역, 침수지역, 사회복지시설 등 취약시설에 대한 주기적인 방역활동 - 하계(4~9월): 주 1회 이상 / 동계(10~3월): 2주 1회 이상 6 『모기 예보제』운영 및 시민과 함께하는 행동수칙 실천 ▶ 서울지역 모기발생 상황을 지수화하여 모기발생 단계별 시민행동요령 안내 ▶ 시민의 자발적 예방수칙 실천 유도 및 생활 속 모기방제 참여 보다 정확한 '서울시 모기 예보제' 정보제공 실시 ○ 운영기간: '23. 5월 ~ 10월 (6개월) ○ 예보방법: 서울시 홈페이지* 통해 일일 예보 및 행동수칙 제공 - 환경요인별 지리 유형(수변부, 주거지, 공원) 반영 구분 예보 - 예보단계별 실내외 등 상황별 시민 행동수칙 및 방제법 등 교육 홍보 2023 모기예보제 예보단계 정의 일 평균 모기 개체수(예측값) : 0이상 25미만 1단계(쾌적) 일 평균 모기 개체수(예측값) : 25이상 50미만 2단계(관심) 일 평균 모기 개체수(예측값) : 50이상 75미만 3단계(주의) 일 평균 모기 개체수(예측값) : 75이상 ~ 4단계(불쾌) ☞ 1단계[쾌적] 안전하게 야외활동을 즐김 2단계[관심] 집안 방충망 파손여부 확인, 주변 고인물 제거 등 3단계[주의] 야외활동 시 기피제 사용, 유충 서식지 보건소 신고 등 4단계[불쾌] 야간활동 자제, 현관 출입문 기피제 분사 등 * 서울시 및 보건소 홈페이지 링크 운영 ○‘23년 개선사항 - 서울시 모기발생 현황 분석을 통한 장기변동 경향 파악 - 주간예보, 월간예보 모델 개발을 위한 환경변수 및 기타요인 분석 모기매개 감염병 예방 홍보 강화 ○ 홍보방법 - 현장활용: 보건교육, 건강축제, 홍보관, 캠페인, 반상회 활용 등 - 매체활용: 언론보도, 미디어, 전화, 인터넷, SNS, 홈페이지, 소식지, 포스터, 배너, 브로셔, 전광판, 리플릿, 가정통신문 등 배포 Ⅴ 행 정 사 항 기관별 추진내역 ○ 서 울 시 : 모기방제사업 총괄 및 행정 지원 ○ 보건환경연구원 : 모기종 분석 및 병원체 검사 ○ 자치구 감염병관리부서 : 모기방제사업 시행(서식지 조사, 감시, 방제, 홍보 등) - 자체 실정에 맞는 세부 추진계획 수립 시행(’23.4.15.까지) - 유문등 및 디지털자동모기측정기(DMS) 작동여부 등 운영 관리철저 - 방역소독 추진실적(반기보) 제출 : 붙임 4 서식 ※ 2021년 주요 감염병 매개모기 방제지침(질병관리청) 참조 소요예산 : 총 200,000천원 ○ 모기 예보제 산식보정 및 운영관리 용역 30,000천원 ○ 디지털모기측정기 수리비 20,000천원 ○ 방역약품 구매비 등 150,000천원 붙임 1. 서울시 방역약품 비축현황 1부. 2. 유문등 설치 현황 1부. 3. DMS 설치 현황 1부. 4. 방역소독실적 서식 1부. 끝. 최근 5년 전국통계 유문등(誘蚊燈): 모기를 유인하는 조명(총51대, 자치구별 2~3대)으로, 4월부터 11.3주까지 주1회 모기채집 후 분석 DMS(Digital Mosquito monitoring System): 일일 자동모기계측기(2015년 자치구당 2대씩 총50대 신규설치, 하절기 가동) 인공용기: 주로 흰줄숲모기 산란지로, 폐타이어, 캔, 플라스틱, 유리병, 화분, 양동이 등 소형용기 미생물 살충제 B.t.i(Bacillus thuringiensis israelensis): 포자를 형성하는 토양 박테리아로 포자 내에 생성한 독성단백질의 결정체가 모기와 깔따구 유충 등에만 선택적으로 살충작용을 나타내는 약제 세부사항은 『 주요감염병매개모기방제관리지침(2018) 』『 흰줄숲모기 방제관리지침(2016) 』 참고 화학적 방제, 생물학적 방제, 물리적 방제 등을 함께 사용하는 방법으로 서로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아야 하며 방제 현장의 특성과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실시, 예) 하천변의 경우 해충유인살충기 설치(물리적 방법) 및 유충구제제 방제(화학적 방법) 가열연막 : 모기활동 히간 살충제 침입이 힘든 하수도, 풀숨에 효과적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 결재문서본문.hwpx (1.97 MB)

      PDF다운로드 원문다운로드

  • 1. 서울시 방역약품 현황(23.03.20.).hwpx

    비공개 문서

  • 2. 2023년 유문등 설치현황.xlsx

    비공개 문서

  • 3. 2023년 DMS 설치현황.xlsx

    비공개 문서

  • 4. 2023년 방역소독실적 서식(00구).xlsx

    비공개 문서

문서 정보

2023년 모기매개감염병 관리계획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시민건강국 감염병관리과
문서번호 감염병관리과-6101 생산일자 2023-03-23
공개구분 부분공개 보존기간 5년
작성자(전화번호) 송미령 (02-2133-7612) 관리번호 D0000047661787
분류정보 건강 > 지역보건 > 질병연구및관리 > 감염병질환관리 > 감염병예방및관리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