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번호 운영지원과-1322 결재일자 2023. 2. 22. 공개여부 대시민공개 방침번호 시 민 주무관 운영지원과장 서울기록원장 디지털정책관 유은녕 김필래 고경희 02/22 김진만 협 조 기록정책과장 김은실 보존서비스과장 김필래 2023년 서울기록원 주요 업무계획 2023년 서울기록원 주요 업무계획 2023. 2. 디지털정책관 (서울기록원) ☞ 해당사항이 있는 부분에 ‘ ■ ’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 비고 : 필요시 검토내용 기재) 구 분 사전 검토항목 점검 사항 검토완료 해당없음 비 고 일반사항 정책일반 ◆ 제반 법규와 실태, 실제 현장의 의견 등을 검토하였습니까? (법령, 규칙, 통계·빅데이터, 시민의견 등) ■ □ ◆ 정책(사업) 집행의 직·간접적 영향 및 효과성을 분석하였습니까?(갈등, 약자, 일자리, 안전, 탄소 감축 등) ※ 약자 : 하단 세부 검토항목 점검 ■ □ ◆ 정책·계획·전시물·홍보물 등이 역사적 사실에 부합하는지 검토하였습니까? ■ □ ◆ 불필요한 외국어·외래어 표현 대신 바른 우리말을 사용하였습니까? ■ □ ◆ 정책·계획 등의 지속가능성을 검토하였습니까?(경제·사회·환경 등) ■ □ 약자와의 동행 목적 ◆ 경제적으로 취약한 약자를 지원하기 위한 사업인가? ■ □ ◆ 주거, 생계, 의료, 교육, 기타 분야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 □ 기타 ◆ 단순지원 사업과 사다리지원 사업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단순 : 어려움 즉시 개선 / 사다리 : 계층 상향 또는 안정 유도) ■ □ ◆ 경제적으로 취약한 약자가 아니라 하더라도, 다양한 분야의 사회적 약자를 배려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였는가? ■ □ 계획수립 ◆ 사업 대상자가 쉽고 편리하게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사업을 구성하였는가? ■ □ 집행·홍보 ◆ 집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역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안을 고려하였는가?(‘약자’ 낙인효과, 역차별 등) ■ □ ◆ 사업 대상자에게 적절한 홍보 수단을 채택하였는가? ■ □ 평가·환류 ◆ 사업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산출, 과정, 성과 등)는 마련하였는가? 아닐 경우,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대체·보완 수단이 존재하는가? ■ □ 목 차 Ⅰ 상황분석 1 Ⅱ 운영방향 2 Ⅲ 2022년 사업평가 3 Ⅳ 2023년 주요업무 실행계획 4 디지털 기반 통합 지방기록관리 체계 운영 4 소장기록 온·오프라인 기록정보서비스 확대 5 시민 기록문화 프로그램 제공 다양화 6 Ⅴ 공정관리 및 예산집행계획 7 Ⅵ 대시민 소통계획 8 붙 임 2023년 서울기록원 분야별 업무계획 (1~58p) 2023년 서울기록원 주요 업무계획 市 중요 기록자원의 수집 및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서울기록원의 2023년 주요 업무계획를 수립하여 서울기록의 가치 제고 및 기록문화 확산에 기여코자 함 Ⅰ 상황분석 기록물 생산 및 인프라 구축 등 양적 성장 ㅇ 전자기록물의 생산 증가·본격 이관 및 소장 연구기록물의 증가 - 서울디지털아카이브(SDA) 구축 및 온라인 서비스 개시·확대 ㅇ「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등으로 공공기록물 관할 기관 확대 - 서울시, 자치구, 市 투자출연기관 64개(’22년) → 區 투자출연기관 포함 136개(’23년) 대시민 기록문화 확산 및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확대 ㅇ 기록에 대한 사회적 관심·요구 증대 - 공공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언론, 시민단체의 기록관리 관심 지속 증가 - 시민사회가 기록을 정보 및 문화 자원으로 인식, 서비스 확대 필요성 제기 글로벌 동향 ㅇ 기록물의 생산·관리·보존 등 기본 업무에 충실하면서, 온라인 서비스 확대 등 접근의 다양화 국가명 시설명 주요 서비스 미국 국립기록관리청 (National Archives & Records Administration) 기록에의 접근제공 확대 (유튜브 채널 개설 등으로 소통 강화) 캐나다 국립도서기록관리청 (Library and Archives Canada) 시민들과의 관계, 소장기록물에 대한 접근기회 확대 영국 국가기록원 (The National Archives) 역사적 기록의 온라인 서비스 확대 (영국의 역사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수업용 콘텐츠 개발) 호주 국립기록원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연방기록의 생산·관리·보존 촉진 소장하고 있는 정보에 대한 접근 제공 ㅇ 급변하는 IT환경 등을 반영하여 전자기록관리체계 전환 및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ㅇ 유관단체, 학계, 관련 기관 종사자 간 네트워크 구축하여 협력체계 강화 Ⅱ 운영방향 추진전략 정책비전 시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열린 기록원 기록하고 기억하는 서울, 서울기록원 이 만들어 가겠습니다. 정책목표 전문 공공아카이브 실현 대표 기록문화기관으로 도약 지방 공공아카이브의 표준 모델화 시민속의 일상 아카이브로 자리매김 사업목표 백년을 내다보는기록관리 체계 구축 차별화된 콘텐츠 구성 일상의 기록 문화확산 핵심과제 ①관할 공공기관 기록 통합관리 체계 구축 ②영구기록 보존·관리 환경 마련 ③서울기록 수집 및 기록화 ④서울기록 연구기반 조성 ⑤기록문화 확산 프로그램 운영 ⑥시민이 찾아오는 열린 아카이브 구현 추진방향 ㅇ 중요 시정기록의 통합 보존과 적극적 공개로 사회·경제적 가치 재창출 ㅇ 보존?활용 가치에 기반한 기록 선별?이관 및 적극적 디지털 기록 수집 ㅇ 다양한 시민체감 프로그램 운영으로 시민과 소통하는 기록문화 확산 서울기록원 성과목표 핵심 성과지표(KPI) ’22 (실적 / 목표) ’23 ’24 ’25 ’26 서울기록원 일평균 방문인원 437명/380명 384명 400명 420명 440명 Ⅲ 2022년 사업평가 그간의 성과 ㅇ IT기술에 기반한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과 기록정보서비스 제공 - 디지털 아카이브로 기록물 목록(누적 400만건) 및 원문(누적 10만건) 서비스 운영 - 멀티미디어 기록 생산ㆍ관리 부서의 기록 수집(누적 사진 282만컷, 영상 1.4만건) - 정보공개(시민), 업무참고열람(기관), 역사기록(연구자) 등 제공(누적 17만건) ㅇ 시민이 참여하는 기록문화ㆍ교육 프로그램 운영 - 기록전시(한강, 사진관 등) 및 연계 프로그램 운영(강연, 교육, 체험, 도슨트 등) - 지역의 대학교ㆍ대학원(실습, 인턴십)과 연계한 기록 현장 프로그램 운영 - 기록문화 확산을 위한 교양 콘텐츠(직업과 기록, 기록활동가 조명 등) 제작·서비스 한계 및 보완사항 ㅇ 디지털 행정자원을 통합하는 아카이브 개발 및 운영의 고도화 필요 - 3Dㆍ4D 지적/측량/건축/治水/보건환경 데이터, 사진/영상 데이터 등 우리 市의 모든 행정정보데이터세트의 수집과 통합 관리 체계 구축 필요 - 전자기록, 멀티미디어 등 디지털 기록관리 집중 추진(물리적 관리는 점진 축소) - 클라우드 컴퓨팅, 데이터 재난복구(DR) 및 이중 보호 체계로의 전환 요청 ㅇ 기록정보서비스 및 프로그램 개선 - 아카이브 고유의 전시 주제ㆍ방법론ㆍ접근법 등 개발 적용(박물관 전시 차별화) - 市政 역사기록 콘텐츠의 서비스 로드맵 개발(주제ㆍ시기ㆍ장소ㆍ매체유형 등) - 연령ㆍ계층ㆍ지역별 시민 수요에 맞춘 기록의 이해와 활용 프로그램 전개 ? 디지털 아카이브 중심의 고품질 디지털 기록정보서비스 확대 ? 시정 중요 역사기록ㆍ행정자원의 통합 관리 체계 수립 ? 다양한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기록문화 교육ㆍ체험 프로그램 전개 Ⅳ 2023년 주요업무 실행계획 1 디지털 기반 통합 지방기록관리 체계 운영 ◈ 관할기관 기록관리 체계화 위한 지원·협력 확대 ◈ 디지털 기록자원의 본격적 입수와 통합 장기보존 및 관리 기능 구축 추진내용 서울형 기록관리 제도 운영 전문성 강화 ㅇ (제도운영) 지방기록관리 활성화 위한 제도 정비 및 서울형 기록관리지침 확대 - 현장 수요 기반한 기록관리 영역별 지침 개발 및 배포 ※ 기관장 기록관리 지침 등 - 자치구 대상 속기록(녹취록) 의무생산 회의 지정·고시 ㅇ (관할기관) 관할기관 범위 확대 및 실효성있는 지원체계 운영 ’22년 (64개 기관) ’23년 (136개 기관으로 확대) 서울시, 자치구, 교육(지원)청, 공사·공단, 서울시 투자출연기관 ? ? 대상 : 64개 기관 + 자치구 투자출연기관(72개) ? 추진내용 : 기록관리 현황조사, 기록관 설치대상 확정·고시 - 관할기관 기록관리 교육 확대 및 기관별 현안대응 맞춤형 컨설팅 운영 ㅇ (교류?협력) 국내?외 유관기관, 단체, 학?협회와의 협력 강화 - 유관기관 연계 공동행사 추진 및 국제 기록관리기구 교류·협력 중요기록 통합 수집?관리 및 디지털 기록자원화 체계 가동 ㅇ (디지털 기록) 중요 전자문서 및 멀티미디어 기록 중심 수집체계 본격 가동 - 대량 전자기록 이관기능 개발(이관절차등), 중요 전자화파일 입수 - 市?자치구 운영 종료 시스템 內 행정정보데이터세트 시범이관(2개 시스템 선정) - 서울경관기록, 무형문화유산 기록 등 중요 멀티미디어 기록 집중 수집·정리 ㅇ (비전자 기록) 서고 만고를 대비한 가치평가 기반 선별 이관 - 서울기록원 평가?선별 통합기준 수립 및 보유기록 평가 - 평가도구에 기반한 기록유형별 수집정책 수립 및 선별 이관(연 1만권/점) ㅇ (시민 기록) 기록활동 발굴, 시민기록 수집을 통한 총체적인 서울 기록화 - S-NAP 기반 170여개 주제영역 중 1개 이상 주제 선정 후 수집 진행 - 서울의 기록활동 조사·발굴 및 서울기록화 네트워크 운영 2 소장기록 온·오프라인 기록정보서비스 확대 ◈ 도시 서울의 근?현대 기록정보를 온?오프라인으로 제공 강화 ◈ 건축도면, 토지대장 등 증빙 기록 제공을 통한 시정 업무의 효율적 지원 추진내용 ㅇ (기록열람 및 제공) 기록정보의 열람수요 증가에 맞춘 기록서비스 적극 제공 - 토지 및 건축 증빙, 건축?학술목적 연구 및 과거사 조사 등의 요청 증가 연도 요청횟수 제공기록물 ’19년 96 960건 ’20년 725 24,107건 ’21년 1,065 65,656건 ’22년 1,443 78,374건 ’23년(목표) 1,600 100,000건 ㅇ(디지털 콘텐츠) SDA를 통한 원문공개 확대, 중요기록 발굴을 통한 기록 콘텐츠 개발 - 원문 콘텐츠 제공 : 1.4만건(’20년) → 8만건(’21년) → 9만건(’22년) → 13만건(’23년) - 중요 시정 컬렉션 전면 배치: 도시계획, 공원, 환경 등 정리 콘텐츠 부각 - 소장기록 정리·기술 및 조사·연구에 기반한 중요기록 발굴을 통해 이를 소개하는 온라인 콘텐츠 개발 - 소장기록을 활용한 교과과정 연계 온라인 교육 콘텐츠 개발 및 배포 기록원문 및 열람제공 일정 기록열람(약 8만건) SDA 원문(약 9만건) ? 기록열람(약 10만건) SDA 원문(약 13만건) ? 기록열람(약 15만건) SDA 원문(약 40만건) (1단계) '22년 (2단계) '23~'24년 (3단계) '25년~ 3 시민 기록문화 프로그램 제공 다양화 ◈ 다양한 시민의 참여 수요에 맞춘 실용적 기록문화 프로그램 운영 ◈ (2023 서울기록페어) 다양한 기록문화 프로그램의 기획과 집중 배치 추진내용 ㅇ (기록 상설전시) ‘서울의 공원(가제)’을 주제로 제2전시실(222.5㎡) 개편 연번 전시명 전시장소 전시기간 1 사진관 옆 현상소 제3전시실(2층) ‘22.10.~‘23.10. 2 한강, 서울 기억이 흐르다 제1전시실(2층) ‘21.9. ~ ‘24.9. 3 주공아파트 주민의 기록 ※ ’23년 개편 예정 제2전시실(2층) ‘19.5.~‘23.9. 4 기록의 발원 개방형서고(3층) 연 중 ㅇ (기록문화프로그램) 수요자 맞춤형 기록문화 프로그램 운영 - (프로그램 확대) ’22년 총 4종 → ’23년 10종으로 확대 구 분 수요자 운영 예정 프로그램 교양 강좌 일반 (누구나) · 대면 교양 강좌, 워크숍 기획·운영 교육 프로그램 어린이 · 방학 특별 프로그램(하계/동계) 운영 · 교과과정 연계 프로그램 운영(하반기) 실습·체험프로그램 성 인 · 기록문화 체험프로그램 · 기록 전문가 및 예비전문가 프로그램 가 족 · 부모와 함께 체험하는 프로그램 운영 ㅇ (2023 서울기록페어) 대표 기록문화행사 통한 다양한 계층 참여 유도 - 개최시기 : ’23. 11월 초 (1~3일 이내) - 프로그램 : 특별전시, 강연, 네트워크 세션, 체험 프로그램, 전시 연계 프로그램, 다큐멘터리 상영회 등 프로그램 운영 메인강연 기록보존, 전시연계 프로그램 네트워크 세션 - 참여인원 : 기록활동단체, 기록전문(활동)가, 기록에 관심 있는 시민 등 Ⅴ 공정관리 및 예산집행계획 공정관리 ㅇ 기록 수집 ·평가 관리 철저 - 비전자기록 인수 및 정리, 서울기록원 보유기록물 평가 및 비공개 재분류 공정 관리 ㅇ 시민 기록문화 프로그램 운영 행사 준비 철저 등 ㅇ 공정계획 사업명 공정계획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관할기관 기록물 생산·보유현황 관리 계획수립 생산현황 접수 결과분석 관할기관 지도·감독 지원 계획수립, 설명회개최 평가기준 개발, 기록화, 현장점검(상·하반기) 투자출연기관 기록관리 현황조사 서울기록원 보유기록물 평가사업 운영 계획수립·발주 사업추진 사업추진 완료 - 시청각 기록물 수집체계 운영 계획수립 현장실사 기록수집 정기계획 수립 서울기록화 (시민기록수집) 사업 계획수립 계약, 사업착수 서울기록 수집추진 협력 네트워크 운영 2023서울기록페어 개최 기록전시 기획?운영 (제2전시실 개편) 계획수립 계약, 사업착수 전시물 제작 설치 및 전시 개막 기록문화프로그램 기획?운영 계획수립 계약, 사업착수 대상별 프로그램 운영 중요기록물 연구 및 편찬 계획수립 중요기록 조사·연구 연구보고서 편찬 소장기록 비공개 재분류사업 계획수립·발주 공개심의회 개최 사업추진 사업추진 공개심의회 개최 공개심의회 개최 예산집행 계획 (단위:천원) 사업명 예산액 추진 및 집행 계획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중요기록의 통합 보존·관리 2,194,284 69,245 708,345 708,345 708,349 계획수립 및 발주 사업추진 사업추진 정산 및 결과보고 기록정보 시민서비스 확대 613,300 0 204,400 204,400 204,500 계획수립 및 발주 사업추진 사업추진 정산 및 결과보고 Ⅵ 대시민 소통 계획 시민 참여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지역?시민 밀착형 기록원으로 도약 ㅇ 코로나19 방역 완화에 따라 시민 프로그램 운영 활성화 - (교육) 대면 교육 운영 및 교육자료 상시 비치, 연간 교육 운영 - (견학) 투어 및 전시해설프로그램을 분리하여 정기적 운영 → 기관 홍보 및 시민참여 기회 확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아카이브 역할과 기능에 대해 연중 홍보 ㅇ SNS(인스타그램 등), 홈페이지, 정기간행물 등 온라인 매체를 통한 홍보 강화 ㅇ 지역 기록활동가 등을 통한 시민 밀착형 홍보 추진으로 기록문화 관심도 제고 ’23년 교육대상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본격적으로 확대 운영 ㅇ 어린이, 전문가, 예비 전문가, 일반 성인 등 교육대상별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사업명 월별 추진일정 및 소통계획 시민참여프로그램 운영 ? 교육프로그램 운영(3~11월) - 일반인 대상: 기록문화체험프로그램(3~4월), 오픈소스로 아카이브 만들기 교육 운영(활용반: 4~5월 / 심화반: 10월), 강연 프로그램(4~10월), 해설사 양성 및 투어?해설프로그램(3~11월) 운영 어린이, 가족 대상: 전시연계 및 방학프로그램(4~8월), 교과연계 프로그램(8~11월) 전문가 대상: 예비 아키비스트 현장 교육 및 실습프로그램 운영(6월~7월), 기록전문가(실무종사자 등) 역량 강화 교육프로그램 운영(9월~10월) ? 소장자료 정리기술 사례발표회(7월) ? 기획전시≪기록으로 산책하기≫ 개막(10월) ? <2023 서울기록페어> 개최(11월) ? 제3회 기록 카탈로그 세미나(12월) 붙 임 : 2023년 서울기록원 분야별 업무계획 1부. 끝. SDA(Seoul Digital Archives) : 서울기록원이 관할하는 기록물을 전자적으로 관리하고 서비스하기 위한 시스템
27899900
20230223054508
본청
운영지원과-1322
D0000047442249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라이브리 소셜 공유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