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2022년 서울형 R&D 지원 기본계획

문서번호 경제정책과-2559 결재일자 2022. 3. 4. 공개여부 대시민공개 방침번호 시 민 ★주무관 산학협력팀장 경제정책과장 경제일자리기획관 경제정책실장 이상민 최준혁 代강경훈 박대우 03/04 황보연 협 조 창업정책과장 임재근 제조산업혁신과장 조혜정 전략산업기반과장 최판규 바이오AI산업과장 최판규 금융투자과장 이현주 미디어콘텐츠산업과장 은용경 2022년 서울형 R&D 지원 기본계획 2022. 3. 경제정책실 (경제정책과) 목 차 Ⅰ 추진배경 1 Ⅱ 사업개요 및 추진방향 2 Ⅲ 세부사업 추진계획 5 중소기업 기술상용화 지원 8 성장단계 스케일업 기술사업화 R&D 지원 10 서울형 팁스(TIPS) 지원 13 홍릉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바이오·의료 R&D 지원 15 양재 인공지능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R&D 지원 17 G밸리 내 산업간 융·복합 기술사업화 지원 19 동대문 테크 패션 프로젝트 지원 21 비대면 금융생활 수요를 반영한 핀테크 기술개발 지원 23 블록체인 스타트업 기술사업화 지원 25 수서 로봇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R&D 지원 27 미디어콘텐츠 관련 4차산업 융·복합 R&D 지원 29 테스트베드 확대, 신기술 실증지원으로 사업화 촉진 30 서울혁신챌린지 개최 33 재외한인과학자단체 교류사업 35 정부지원 대응투자 37 Ⅳ 행정사항 39 2022년 서울형 R&D 지원 기본계획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환경변화 대응 및 미래선도 산업의 선점을 위해 중소·벤처·창업기업의 R&D 지원 계획을 수립·시행하고자 함. Ⅰ 추진배경 ?? 국내 R&D 투자 전망 ○ (정부 R&D) 한국판 뉴딜, BIG3(시스템반도체·미래차·바이오헬스), 소재·부품·장비, 감염병 연구, 우주항공 등 10대 분야 중심으로 대폭 확대 ※ R&D 예산 : 20.5조원(’19) → 24.2조원(’20) → 27.4조원(’21) → 29.8조원(’22) ○ (민간 R&D) ’21년도 기업실적 반등, 신성장 기술 세제 혜택 강화 등으로 감소추세에 있던 차세대 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R&D 투자 확대 예상 ※ 신성장·원천기술 R&D 세액공제 대상 확대(탄소중립·바이오 등) 적용기한 연장(~’24년)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출처 : 한국은행, 기업경영분석 ○ IT 기반 비대면 활동 확대,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으로 인해 소프트웨어 투자 증가 예상 ※ 제조, 물류, 헬스케어, 교육, 비대면 복지 등 5개 산업 분야 집중 지원 (’22년 전망) 신성장 동력 발굴을 위한 정부의 집중 지원과 기업들의 과감한 투자 등에 힘입어 3.8% 증가세 지속 전망 ?? 주요국 R&D 추진 동향 ○ (미국) Endless Frontier act(’21.6. 상원 통과)에 따라 R&D 투자 확대(향후 5년, 144조원) 및 과학기술 리더십 강화 ※ 10대 핵심기술 : AI, 반도체, 양자 컴퓨팅, 로봇, 첨단 통신 기술, 생명공학, 배터리 등 ○ (EU) Horizon Europe(’21~’27, 136조원) 프로그램을 통해 친환경·건강·디지털·포용성의 유럽 구현, 혁신·도전적 R&D 투자 확대 ※ 6대 전략기술 : 원자재, 배터리, 원료의약품, 수소, 반도체, 클라우드 엣지컴퓨팅 ○ (일본) 제6기 과학기술혁신기본계획(’21~’25, 321조원) 수립, 사회변혁, 연구역량 강화, 교육·인재 양성 3대 방향 선정 ※ 4대 기반기술 : AI, 바이오, 양자, 소재/ 5대 응용기술 : 의료, 우주, 해양, 식품 ○ (중국) 14차 5개년 규획(’21~’25, 172조원)을 통해 기술혁신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 국가 R&D 투자 확대(연 7% 이상) ※ 7대 기술 : AI, 양자, 집적회로, 뇌과학, 유전자·바이오, 헬스케어, 우주심해·극지탐사 Ⅱ 사업개요 및 추진방향 ?? 추진근거 ○ 국가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지원 특별법(제10조, 제17조) ○ 서울시 전략산업육성 및 기업지원에 관한 조례(제9조, 제15조, 제17조, 제20조) ?? 2022년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서울소재 기업 및 산·학·연 컨소시엄 ○ 추진방식 : 민간위탁(서울산업진흥원) ○ 사 업 비 : 총 42,145백만원 - 서울형 R&D 지원 : 38,300백만원(사업비:34,672백만원, 운영비:3,628백만원) - 공동협력 기술개발 지원 : 3,845백만원(사업비:3,778백만원, 운영비:67백만원) ?? 그간의 추진성과 ’21년 성과는 ’22년 하반기 조사 예정 ○ 코로나19 상황에도 불구 ’19년 대비 매출 1.9%, 일자리 26.8% 증가 (2020년 기준) 사업화 성공 매출 발생 일자리 창출 265개 → 313개 기업 (’19년 대비 18.1%↑) 968억원 → 986억원 (’19년 대비 1.9%↑) 585명 → 742명 (’19년 대비 26.8%↑) ※ 최근 5년간 매출과 고용 추이 ○ 논문·학술발표, 특허출원 등 R&D 지원으로 인한 학술적 성과 달성 (2020년 기준) 학술성과 지식재산권 기술이전 수상 인증 논문발표 학술발표 특허출원 특허등록 건수 계약규모 31건 41건 233건 121건 5건 756백만원 233건 ※ 최근 5년간 논문 및 지식재산권 성과 ?? 2022년 중점 추진방향 ○ 국제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한 4대 신성장 혁신축 중심 R&D 집중 지원 - 지역 거점 신산업 분야 유망 기술기업 중심 R&D 지원 확대(로봇, 뷰티, 미디어 신규 지원) 혁 신 축 분 야 지 역 지원금(억원) 국제경쟁 핀테크· 블록체인 확 대 마포 여의도 20 미래융합 로봇 신 규 수서 34 10 AI 양재 24 감성문화 미디어 신 규 상암 28 8 패션·뷰티 신 규 동대문 20 청년첨단 바이오·의료 홍릉 57 47 ICT 구로 10 ○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한 「서울형 팁스(TIPS) TIPS(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민간주도형 기술창업지원) 」신규 도입 - 민간투자자 주도로 발굴된 유망기업에 공공 R&D 자금 매칭·지원하여 효과성 제고 - 성장단계별 맞춤형 종합지원패키지 제공을 통한 효율적인 기업육성 지원 ○ 서울혁신챌린지 확대 개최 및 테스트베드 후속지원 강화로 신기술 적극 발굴 - 신기술 발전속도에 따른 최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해 개최 횟수 연 4회로 확대 - 테스트베드 실증 지원 후 신기술 공공구매와 판로지원 등 혁신기업 성장 지원 ※ 서울시 R&D 결과물 중 혁신성·공공성 인정제품 → 혁신제품 지정 → 수의계약 (기재부 협의 中) ○ 신기술분야 지역 역량 강화를 위한 정부 R&D 적극 유치 - 기존의 소극적 매칭에서 벗어나 신성장 동력 분야 R&D 과제 적극 발굴 - 정부 R&D 과제 리스트업 및 대학 등과 협의체 구성, 유치시스템 전략 마련 2021 2022 기업 R&D 기업 선정 시 공모방식으로만 선정 기존 공모방식 외 민간투자자 추천 방식 도입 정책 R&D 바이오·의료, AI, 핀테크·블록체인 등 지원 로봇, 뷰티, 미디어 분야 신규 지원 혁신 R&D 서울혁신챌린지 연 1회 개최 서울혁신챌린지 연 4회 개최 정부 R&D 과제별 10% 일괄 시비매칭 과제별 중요성에 따라 탄력적 시비매칭 Ⅲ 세부사업 추진계획 ?? 정책목표 및 추진과제 목표 서울경제 활성화 및 시민 체감 삶의 질 향상 추 진 과 제 1. 기업 R&D ? 중소기업 기술상용화 지원 ? 성장단계 스케일업 기술사업화 R&D 지원 ? 서울형 팁스(TIPS) 지원 2. 신성장 거점별 정책 R&D ? 홍릉 클러스터 조성 바이오·의료 R&D 지원 ? 양재 인공지능 클러스터 조성 R&D 지원 ? G밸리 내 산업 간 융·복합 R&D 지원 ? 동대문 테크 패션 프로젝트 ? 핀테크 R&D 지원 ? 블록체인 R&D 지원 ? 로봇기업 R&D 지원 ? 미디어콘텐츠 R&D 지원 3. 혁신 R&D ? 테스트베드 서울 실증지원 ? 서울혁신챌린지 개최 4. 기술개발 교류촉진 ? 재외한인과학자 학술 포럼 개최 지원 5. 정부 R&D 협력 ? 정부지원 대응투자 ?? 2022년도 사업예산 [서울시비 지원사업] : 264개 과제 / 38,300백만원 (단위 : 백만원) 분 야 단 위 사 업 2021년 2022년 계속 과제 신규 과제 예산액 계속 과제 신규 과제 예산액 계 22 254 38,233 17 247 38,300 기업 R&D 중소기업 기술상용화 120 5,960 - 100 5,000 성장단계 스케일업 기술사업화 2 500 - 4 800 서울형 팁스(TIPS) 신 규 - - - - 12 2,300 캠퍼스타운 기술매칭 사업 별 도 - 8 800 - - - 신성장 거점별 정책 R&D 홍릉 바이오·의료 R&D(뷰티 포함) 9 11 4,640 17 9 5,700 양재 인공지능 클러스터 조성 R&D - 10 2,980 - 12 2,400 G밸리 내 산업 간 융·복합 R&D - 8 1,600 - 5 1,000 동대문 테크 패션 프로젝트 - 6 1,600 - 5 1,000 핀테크 R&D - 4 800 - 5 1,000 블록체인 R&D - 3 600 - 5 1,000 로봇사업 융복합 R&D 신 규 - - - - 5 1,000 미디어콘텐츠 융복합 R&D 신 규 - - - - 4 800 방역의료 기술사업화 통 합 - 10 2,000 - - - 포스트코로나 AI 기술사업화 통 합 - 4 700 - - - 혁신 R&D 테스트베드 서울 실증지원 - 30 9,500 - 40 10,500 서울혁신챌린지 개최 13 28 2,112 41 2,112 서울글로벌챌린지 개최 - 10 800 - - - 기술개발교류 재외한인과학자 학술 포럼 개최 - - 64 - - 60 과제관리 및 운영비 - - 3,577 - - 3,628 ※ 신 규 : ’22년 신규사업, 별 도 : 기존 사업 중 타 R&D 사업으로 별도 추진, 통 합 : 기존 R&D 사업에 통합하여 추진 [국비매칭 지원사업] : 12개 과제(신규 미정) / 3,845백만원+신규과제 (단위 : 지원기관수(과제), 백만원) 분 야 단 위 사 업 2021년 2022년 계속 신규 시비 국비 계속 신규 시비 국비 총 계 19(10) 6(5) 3,711 24,408 정부 R&D 협력 정부지원 대응투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등) 19(10) 6(5) 3,711 24,408 14(12) 공모 예정 3,845 34,721 ※ ’22년 신규 지원사업은 정부 공모 일정에 따라 상반기 중 별도 계획수립 이후 확정 예정 ?? R&D 사업별 핵심 지원대상(TRL 기술성숙도 기준) 구 분 1~3단계 4단계 5단계 6단계 7단계 8단계 9단계 기초연구·실험 실험 단계 시작품 단계 실용화 단계 사업화 기초이론, 실험실규모 기본성능 검증 실험실 규모 핵심성능 평가 시작품 제작 및 성능평가 파일럿 규모 시작품 제작 및 성능평가 신뢰성 및 수요기업 평가 시제품 인증 및 표준화 본격 양산 및 사업화 기 업 육 성 R&D 중소기업 기술상용화 지원 (100개 과제, 50억원) 스케일업 기술사업화 지원 (4개 과제, 8억원) 서울형 TIPS (12개 과제, 23억원) 신성장 거점별 정 책 R&D (홍 릉) 바이오·의료 기술사업화 R&D 지원 (26개 과제, 57억원) (양 재) 인공지능(AI) R&D 지원 (12개 과제, 24억원) (G밸리) ICT 융복합 기술사업화 지원 (5개 과제, 10억원) (동대문) 테크 패션 프로젝트 지원 (5개 과제, 10억원) (마포/여의도) 핀테크·블록체인 지원 (10개 과제, 20억원) (수 서) 로봇 융복합 R&D 지원 (5개 과제, 10억원) (상 암) 미디어콘텐츠 융복합 R&D 지원 (4개 과제, 8억원) 혁 신 R&D 테스트베드 실증지원 (40개 과제, 105억원) 서울혁신챌린지 (41개 과제, 21억원) ※ TRL 1~3 단계는 기초이론 및 아이디어 정립, 실험실 기본성능 검증 등으로 시 R&D 핵심 지원대상에서 제외 1 중소기업 기술상용화 지원 초기기업 대상 R&D 지원 확대 및 시장성 검증 연계를 통한 기술사업화·제품상용화 성과 극대화로 기업의 기술경쟁력 향상 및 성장 촉진 ?? 사업개요 ○ 대 상 : 서울 소재 중소기업, 스타트업, 개인사업자 등 ※ 시제품·완제품 제작이 가능하거나 해당 수준의 기술을 갖춘 대상 한정 ○ 지원사항 : 기술상용화를 위한 인건비 및 직·간접비 ○ 소요예산 : 총 50억원(100개 과제 내외, 7개월 이내) - 크라우드펀딩형 : 과제당 50백만원 이내(펀딩 성공 후 시 지원금 지급) - 전문가 진단형 : 과제당 50백만원 이내 ○ 공모방식 : 크라우드펀딩형(시장성 중심), 전문가 진단형(기술개발 중심) ? 크라우드펀딩형 : 국내외 펀딩 플랫폼(와디즈, 텀블벅, 일본 마쿠아케 등)을 통해 단기간 내 시제품 제작과 시장성 검증을 하고, 펀딩 성공 기업에 대하여 온·오프라인 유통과 연계, 제품 홍보와 기업 판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R&D 지원 ? 전문가 진단형 : 기술·투자·유통·특허 등 분야별 전문가의 진단을 통해 기업에 피드백을 제공하며, 개발 기술의 시장 진출 촉진을 위한 R&D 지원 < 크라우드펀딩형 지원사업 개요 > ?? ’21년 추진실적 ○ 크라우드펀딩형 : 84개 과제, 35억원 지원(경쟁률 4.3:1) ○ 전문가 진단형 : 50개 과제, 25억원 지원(경쟁률 9.3:1) ?? ’22년 추진계획 ○ (공통사항) 민간부담현금 신설(시지원금의 10%) - 참여기업의 책임감 제고 및 사후 연계 서비스 적극 활용을 위한 민간부담현금 신설 ○ (크라우드펀딩형) 홍보·유통 등 후속 연계지원 강화 - 크라우드펀딩 성공한 기업 대상 라이브커머스 연계지원 강화 ※ 라이브커머스(live commerce) : 실시간 동영상 스트리밍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채널로 비대면 비접촉을 추구하는 언택트 경제가 부상하며 활발히 활용 ○ (전문가 진단형) 협력 기관 추가 발굴로 컨설팅 분야 및 전문가 채널 확대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외 추가 협력 기관 발굴로 전기 전자·기계·화공·보건의료 분야 등 기술 분야 컨설팅 확대 추진 - 선정 단계별 전문가 진단 제공으로 기업의 기술개발역량 및 시장성 강화 ?1단계(평가단계) 시장전문가(투자전문가, 상품기획자 등)의 시장성 진단 ?2단계(협약단계) 기술전문가(연구계, 공인시험기관 등)의 기술·표준화 진단 ○ (성과추적 관리) 사업 기간 종료 후 성과 조사 및 관리 강화 - 최종 평가 결과 ‘성공’ 종료 과제 대상 5년간 추적 조사 - 크라우드펀딩 완료 및 유통 연계 후 추가 매출·일자리 창출 등 성과 조사 ?? 추진일정 ○ 사업공고 : ’22. 2.~ 4. ○ 대상기업 선정(기술성평가 및 사업성평가) : ’22. 4.~ 6. ○ 협약체결, 시 지원금 지급 : ’22. 7.~ 8. ※ 크라우드펀딩형의 경우 크라우드펀딩 성공 후 협약체결 및 시 지원금 지급 2 성장단계 스케일업 기술사업화 R&D 지원 서울 소재 혁신기술을 가진 성장기업의 글로벌 스케일업 집중 지원을 통한 유니콘기업으로 지속 성장 기반 마련 ?? 추진배경 ○ 글로벌 대기업 등 창업지원기관 ‘오픈 이노베이션’ 확대 추세 ※ 포브스 500社 중 52.4%가 오픈이노베이션 등 스타트업과 협업(’16.기준) ○ 글로벌 혁신 기업·연구기관과 R&D를 통한 스타트업의 스케일업 촉진 ?? 사업개요 ○ 지원자격 : 서울 기업(주관) + 글로벌 기업·대학·연구기관(협력) - 기관투자 유치(30억원 이상), 제품화 등을 통해 글로벌 진출 예정 기업 - 글로벌 기업 간 기술 제휴(NDA)를 위해 기술고도화 중인 스타트업 국내외 대기업(오픈 이노베이션, 사회공헌 등 목적), 글로벌 유니콘기업 등 -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 또는 국내 창업지원기관과 협력 관계의 해외 연구 기관으로부터 이전·양도 특허기술의 고도화, 해외 실증이 필요한 스타트업 ○ 지원분야 : 모빌리티, 그린에너지(제로에너지, 신재생에너지, 융합에너지), 미래 소재(친환경소재, 융복합 소재 등), 디지털 전환(디지털 공정, 디지털 유통 등) ※ 5대 신성장 산업분야 중 타 부서 R&D 과제와 중복되지 않는 분야 중 선정 과제수 확대(2개→4개)에 따라, 서울창업허브 내 입주기업 특성(컨슈머 테크 분야)을 고려하여 분야 확대 ○ 지원내용 : 추가기술개발, 제품화 등 사업화 全단계 R&D - 대기업·유니콘 기업 등과 기술제휴를 위한 기술사업화·고도화 - 국내외 대학·연구기관에서 이전받은 혁신기술 실용화·사업화를 위한 R&D ※ 전문기관 컨설팅, 해외 현지 테스트베드, 제품화·양산 관련 인건비·직접비 기초연구단계 (TRL1~2) 실험단계 (TRL3~4) 시작품단계 (TRL5~6) 실용화 단계 (TRL7~8) 사업화 단계 (TRL9) ?기초이론 ?개념정립 ? ?SW모델링 ?연구시제품 (프로토타입) ? ?서브시스템 ?시스템시작품 (파일럿규모) ? ? 신뢰성/수요기관 평가 ? 시제품 인증 및 표준화 ? ? 본격적인 사업화/양산 ? 품질관리 ○ 지원기준 : 과제기간 1년 이내/과제당 최대 2억원(인건비, 직접비 등) ※ 민간부담금 총 사업비의 25% 이상(현금: 市 지원금의 10% 이상) ○ 지원배제 - ’22년 SBA R&D 타 분야에 기 공모 신청한 기업은 중복 신청 제한 - 신청과제의 산출물이 기 지원·제작·생산·판매 중인 제품·서비스인 경우 - 참여기관의 과제 산출물이 기 지원·제작·생산·판매 중인 제품·서비스인 경우 - 과제 책임자가 타 과제 포함 과제수행 참여율이 100%를 초과한 경우 - 참여기관, 참여기관장, 과제책임자가 국가연구개발사업 제재 중인 자 등 ○ 소요예산 : 총 8억원(4개 신규 과제) ?? ’21년 추진실적 ○ 2개 과제, 4.7억원 지원(경쟁률 4.5:1) ?? ’22년 추진계획 ○ 선정방법 : 자유 공모 - 과제의 창의성 및 차별성, 시장 매력도, 추진방안의 구체성, 사업화 용이성 등 선정평가위원회 평가 절차를 거쳐 선정 - 평가점수가 동점인 경우, 민간투자유치 실적, 입주여부 등 고려하여 우선 선정 ※ (우대요건) 시 창업보육시설 입주·졸업 기업 또는 입주 예정인 기업 < 우선 선정 > ① 민간 투자유치(최근 3년 누적 50억원 이상)를 통하여 사업화 전제품·서비스가 시장에서 가능성을 인정받은 기업 신기술사업금융회사(여신전문금융법),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중소기업창업지원법), 벤처투자조합(벤처투자촉진법)의 투자 ② 국내 테스트베드 등을 통해 기술 신뢰성을 인정받고, 국내·외 수요처(정부, 공공기관, 병원, 대·중견기업 등)에서 구매의사를 밝힌 수요 확보 기업 ③ 서울시 성장지원 종합 패키지 지원 기업(’21), 정부출연기관(국내), 해외연구기관(KIST등 국내출연기관 등 연계) 기술 이전 성공 기업 ○ 추진체계 : 시(총괄기관) → SBA(전담기관) → 기업·기관(참여기관) - 기업 및 기관(참여) : 과제선정 신청, 임상시험, 제품화 등 과제 진행 - SBA(전담) : 과제 및 수행기관 선정, 진행관리 및 평가, 예산집행 등 - 서울시(총괄) : R&D 사업 총괄, 종합평가, 투자유치·글로벌 진출 연계 등 ?? 추진절차 과제공모 및 신청서 접수 사전검토 선정평가 결과발표 협약체결 및 사업비 지급 자유공모 신청서 검토 (신청자격 등) 서면·발표평가 (필요시 현장조사) 홈페이지 공고 수행기관 ↔ SBA SBA 부서, SBA 전문가평가위원회(SBA), 산학연협력사업심의위(市) SBA SBA ?? 추진일정 ○ 사업 세부계획 수립 및 사업 공고 : ’22. 3. ○ 과제접수 및 선정 평가 : ’22. 5. ~ 6. ○ 협약 체결 및 사업비 지급 : ’22. 7. ○ 과제 진행(1년) : ’22. 7.~ 3 서울형 팁스(TIPS) 지원 신 규 기존 공모방식 외 민간투자자가 선투자한 기업에 서울시가 추가로 지원하는 서울형 팁스(TIPS) TIPS(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민간주도형 기술창업지원) 도입으로 유망기술기업 집중 지원 ?? 추진방향 ○ 민간역량(AC) 활용, 창업기업을 선별하고 민간투자와 공공자금을 매칭 지원하여 고급 기술인력의 창업 활성화 도모 ○ 성장단계별 맞춤형 종합지원 패키지 제공을 통한 효율적인 기업육성 지원 유망기업 발굴 ? R&D 매칭 지원 ? TIPS 펀드 지원 ? 사업화 지원 ?민간(AC) 투자 기업 中 추천 ?기술개발 상용화 ?R&D 평가 상위 20% 기업 ?판로개척 및 홍보 연계지원 ?? 추진계획 ○ 사업내용 : 팁스 운영사가 유망기술 창업기업을 선별하여 선투자(1억원 이내) 후 추천하면 서울시는 R&D 자금 매칭 지원(최대 4억원) 세부계획 별도 수립 <팁스 운영사 > ? 지원자격 : 투자재원을 보유하고 창업기업 선별·투자·보육 등 지원역량을 갖추고 있는 AC ? 선정규모 : 2개사(1년), 운영사별 5개~10개(1년) 창업기업 추천권 부여 ? 역 할 : 창업기업 발굴 및 투자대상 선정, 창업기업 추천, 최종 선정된 기업 후속관리 ? 지정기간 : 3년 후 중간평가 후 2년 단위로 연장 ○ 지원대상 : 팁스 운영사로부터 투자 및 추천을 받은 창업기업 - 운영사 투자 후 2년 이내(추천 마감일 기준) ○ 지원분야 : 자유공모(창업기업이 희망하는 연구개발과제 자유 제안) - 4차 산업혁명 분야 및 서울비전 2030 위원회 핵심기술 가점부여 ? AI, BT, IT, 드론, 핀테크·블록체인, 로봇, 패션·뷰티, 문화콘텐츠, MICE 등 ○ 지원규모 : 과제 기간 2년 이내/과제당 최대 4억원(인건비, 직접비 등) ○ 소요예산 : 23억원 ?? 추진절차 팁스 운영사 모집 공고 ? 창업기업 추천 ? 선정 평가 ? R&D 매칭 지원 ? 사업 수행 SBA 팁스 운영사 산학연협력사업 심의위원회 및 외부전문가 서울시(SBA) 창업기업 ○ 운영사 선정(2개 내외) : SBA 모집 공고 및 공개경쟁 입찰방식 - 팁스 운영사를 선정하여 연단위 창업기업 추천권 부여, 매년 정기점검을 통해 창업기업 추천권 차등 배정 ○ 창업기업 추천 및 최종 선정 - 운영사가 추천한 창업기업을 외부전문가 및 산학연협력사업심의위원회 평가를 통해 최종 선정 ○ 창업기업 지원 - 최종 선정된 창업기업은 운영사의 멘토링 및 서울시 R&D 자금 매칭 지원 ?? 추진일정 ○ 사업 세부 계획수립 : ’22. 2. ~ 3. ○ 팁스 운영사 모집 공고 : ’22. 3. ~ 4. ○ 팁스 운영사 접수 및 선정 : ’22. 6. ~ 7. ○ 과제접수 및 선정 평가 : ’22. 8. ~ 9. ○ 협약 체결 및 사업비 지급 : ’22.10. ○ 과제 진행 : ’22.10. ~ 4 홍릉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바이오·의료 기술사업화 R&D 지원 서울 소재 바이오·의료분야 우수·유망기술 보유기업의 사업화 지원을 통한 서울시 바이오·의료 산업 육성 ??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서울 소재 바이오·의료 중소기업(레드바이오) ○ 지원내용 : 기술사업화 R&D자금 지원(과제당 최대 2년/4억원 이내) ※ 인건비, 시작품·시제품 제작비, 안정성·유효성 평가·시험인증 등 ○ 소요예산 : 57억원(계속과제 17개 + 신규과제 9개뷰티과제 5개 포함) ○ 지원자격 ① 서울 소재 바이오기업(주관) + 기업/대학/병원/연구소(협력) - 기업+대학·병원·연구소 컨소시엄 필수 ※ 기업+기업 컨소시엄 불가 ② 기술성숙도(TRL) 4단계 이상 사업화 가능 과제 개발초기(TRL1~3) 개발중기(TRL4~8) 시판단계(TRL9) · 개념검증 · 각종 기초 검증 · 전임상·임상 시험 · 시제품 제작 등 · 임상 4상 이상 · 시판 단계 < 우대가점 > ① 서울바이오허브 등 홍릉 바이오·의료 앵커 지원시설 입주(예정)기업(3점) ② 서울소재 기업·대학·병원·연구소가 협력기관으로 참여 시(1점) ③ 투자유치·구매확약 등을 받은 시장에서 사업성 검증이 선행된 과제(2점) ○ 추진체계 : 市(총괄기관) → SBA(전담기관) → 기업·기관(참여기관) - 서울시 : R&D 사업 총괄, 계획수립, 프로그램 연계 등 - S B A : 과제 및 수행기관 선정, 진행관리 및 평가, 예산집행 등 - 기업·기관 : 임상시험, 제품화 등 기술사업화 과제진행 과제공모 및 신청서 접수 사전검토 선정평가 결과발표 협약체결 및 사업비 지급 자유공모 신청서 검토 (신청자격 등) 서면/발표평가 (필요시 현장조사) 홈페이지 공고 수행기관 ↔ SBA SBA 市, SBA 산학연협력사업심의위(市) 전문가평가위원회(SBA) SBA SBA ?? ’21년 추진실적 ○ 바이오·의료 : 25개 (신규 17, 계속 4) 과제, 58억원(경쟁률 10:1) ○ 포스트코로나 대응 방역의료 : 4개 과제, 8억원(경쟁률 3.3:1) ?? ’22년 추진계획 ○ 추진방향 - 지원대상에 디지털·뷰티 등 융복합분야를 추가하여 특화분야 육성 - 홍릉 바이오·의료 앵커 입주기업 연계를 통한 홍릉 클러스터 활성화 - 바이오산업 핵심주체 간 협력을 통한 기술사업화 R&D 선도 모델 창출 - 기초?원천 R&D가 아닌 혁신기술의 시장진출을 위한 ‘사업화 R&D’ 중점 ○ 지원기준 : 과제의 성격에 따라 과제 기간, 지원금 등 탄력적 지원 - 총 과제기간(2년) 및 지원액(4억) 범위 내에서 연구과제의 특성 및 단계에 따라 과제별 수행기간 및 지원액 차등 지급 ○ 선정방법 : 자유공모 - 과제의 창의성 및 차별성, 시장 매력도, 추진방안의 구체성, 사업화 용이성 등 선정평가위원회 평가 절차를 거쳐 선정 ?? 추진일정 ○ 사업 세부계획 수립 및 사업 공고 : ’22. 3. ○ 과제접수 및 선정 평가 : ’22. 5.~ 6. ○ 협약 체결 및 사업비 지급 : ’22. 7. ○ 과제 진행 : ’22. 9.~ ○ 연차 평가(’21년 선정 과제) : ’22.10.~ 5 양재 인공지능(AI)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R&D 지원 인공지능을 활용한 기업-대학-연구소 연계 사업화 기술개발 지원을 통한 ‘AI 양재 허브’ 육성 및 서울의 AI 산업 도약 추진 ?? 사업개요 ○ 대 상 : 서울 소재 중소?벤처?창업기업(대학 또는 연구기관 컨소시엄 가능) ※ 컨소시엄의 주관기관은 서울 기업만이 가능하며, 컨소시엄 내 기업은 법인기업으로 함 ○ 분 야 :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서울시의 주력 산업을 육성하거나 서울 시민에게 도움이 되는 기술융합이 가능한 전 분야 ○ 규 모 : 과제별 최대 2억원, 총 12개 내외 과제(1년간) ○ 지원내용 : 기술사업화 또는 기술개발 혁신을 위한 인건비와 직접비 등 지원 ○ 소요예산 : 총 24억원 - 민간부담금 : 총 사업비의 25% 이상(현금 : 시지원금의 10% 이상) ?? ’21년 추진실적 ○ 추진 절차 공고·접수 (’21.3~4) 서면평가 (5.11~5.14) 발표평가 (6.15~6.17) 13개 과제 선정 사업비 지원 (’21.8~) 13개 35.8억원 기술개발 (’21.8~’22.7) 1년 ※ 효율적 과제 선정 및 운영을 위해 포스트 코로나 특화 AI 기술개발 지원사업과 통합 공모 ○ 과제별 최대 3억원, 실소요예산 고려하여 13개 과제 총 35.8억원 지원 분과 일반분야 포스트코로나 특화분야 접수 과제 55개 과제 45개 과제 선정 과제 10개 과제 3개 과제 경쟁률 5.5:1 15:1 지원예산 2,978백만원 (과제당 최대 3억원) 600백만원 (과제당 최대 2억원) ?? ’22년 추진계획 ○ 서울의 산업거점 기업 참여 유도를 통한 타 산업과의 융·복합 추진 - 양재 AI/홍릉 바이오/DMC VR·AR/여의도 금융 등 허브 입주(예정)기업에 가점 부여 ○ AI 기술의 타 분야 혁신 시너지를 고려, AI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 기여 - 사업화 성공 시 시장 및 사회적 파급효과가 큰 과제 중점 지원 ○ 전년 대비 사업 개선·보완 2021년 2022년 시작품 단계로 신청 문호를 확대하여 성장 가능성 높은 과제 선정 기술력 및 시장성 검증 강화를 통해 중소기업의 실패위험을 덜고, 사업화 촉진 벤처캐피털(VC),액셀러레이터(AC)와 연계하여 투자 유치 및 멘토링 연계 VC,AC, 유관기관 네트워크를 통한 개방형 혁신 및 후속 투자 연계 지속 ※ 사업비 축소(30억 → 24억)에 따라 R&D 자원을 전략적으로 배분, 기업의 R&D 수요 충족 도모(12개 과제, 과제별 최대 2억) ?? 추진일정 ○ 사업 공고 및 지원과제 모집 : ’22. 3. ~ 4. ○ 지원과제 및 과제 수행 컨소시엄 평가 및 선정 : ’22. 5. ~ 7. ○ 사업비 지급 및 연구과제 수행(1년간) : ’22. 8.~’23. 7. ○ 사업비 정산 및 성과평가 : ’23. 8. ~ 10. 6 G밸리 내 산업간 융?복합 기술사업화 지원 G밸리 내 R&D 집중 환경 조성을 통한 경쟁력 강화로 기업의 글로벌화를 위한 산업(기업) 간 융?복합 기술사업화 지원 ?? 추진배경 ○ G밸리는 우리나라 최초 국가산단으로 IT?SW와 제조업(전기?전자) 등 다양한 기업과 산업의 집적지로 혁신의 잠재성 무한 보유 ※ 총 9,151개 입주기업 보유 : 제조분야(4,909개), IT분야(4,242개) ○ IoT 중심, IT?SW 산업과 제조업의 융복합 산업고도화 여력을 보유 하였으나, 소규모 업체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 3년 미만 및 50인 미만 소기업으로 자금, 판로, 기술사업화 등 다양한 지원 필요 ○ G밸리 내 혁신생태계 조성과 산업(기업) 발전을 위한 지원 필요 - 4차 산업혁명, 융?복합 시대에 맞춰 융?복합 비즈니스 모델 발굴 촉진 ?? 추진계획 ○ 대 상 : G밸리 소재기업(주관)+기업?대학?연구기관(협력) 컨소시엄 ※ 글로벌 시장 진출 목표(제품 출시, 기술이전 등) 기업 참여과제 우대 글로벌 진출기업 가점(2점) : 주관기관이 최근 3년 이내 해외수출 실적을 보유한 기업 ※ G밸리 단지 내 제조업?ICT 기관 간 컨소시엄 구성 과제 우대 G밸리 내 컨소시엄 과제 가점(1점) : 주관기관과 협력기관이 모두 G밸리에 소재 ○ 지원분야 : G밸리 내 ICT 기술과 융·복합 시 시너지 효과 창출 가능한 이종기술 및 이종산업 전 분야(국가기술표준분류체계 ICT분야) 중 분 류 소 분 류(예시) 소프트웨어 임베디드 S/W, S/W 솔루션 등 정보보호 공통 보안, 산업보안/융합보안, 네트워크 시스템 보안 등 홈네트워크 유/무선 홈네트워킹 기술, 지능형 정보가전 등 ※ 사업화 형태는 단순 성능개선 결과 제시가 아닌 구체적인 제품 또는 서비스 제시 ○ 지원내용 : 타 산업간 ICT 융·복합 기술사업화 개발비 지원 - 인건비, 시작품·시제품 제작, 성능·신뢰성 시험, 소비자 평가 및 인증 등 ○ 지원기준 : 과제기간 1년 이내/과제당 최대 2억원 이내 ○ 소요예산 : 10억원(5개 내외 신규 과제 선정, 차등지원) - 민간부담금 : 총 사업비의 25% 이상(현금 : 시지원금의 10% 이상) ○ 추진체계 : 시(총괄기관) → SBA(전담기관) → 기업·기관(참여기관) ○ 추진방법 : 자유공모 ○ 선정방법 : 선정평가위원회 평가 절차를 거쳐 선정 - 과제의 창의성?차별성, 시장 매력도, 추진방안의 구체성, 사업화 용이성 등 2021년 추진실적 ? 접수/선정 : 총 55개 과제 접수(경쟁률 6.9:1)/총 8개 과제 선정 ? 총 지원내역 : 15억원(과제별 차등지원, 1.8억원~2억원) ?? 추진절차 과제공모 및 신청서 접수 사전검토 선정평가 결과발표 협약체결 및 사업비 지급 자유공모 신청서 검토 (신청자격, 과제중복, 세금체납 등) 서면/발표 평가 (필요시 현장조사) 홈페이지 공고 수행기관 ↔ SBA SBA SBA 전문가평가위원회(SBA), 산학연협력사업심의위(市) SBA SBA ?? 추진일정 ○ 사업 세부계획 수립 및 사업 공고 : ’22. 3. ○ 과제접수 및 선정 평가 : ’22. 4. ~ 5. ○ 협약 체결 및 사업비 지급 : ’22. 7. ○ ’22년 선정 과제 진행 : ’22. 8.~ ’23. 7. ○ ’21년 선정 과제 최종 평가 : ’22.10. 7 동대문 테크 패션 프로젝트 지원 패션산업에 최신 IT기술을 결합한 실제 기술개발 사업화를 지원하여 서울 패션산업 및 동대문 패션상권 활성화 견인 ?? 추진방향 ○ (사업공모) 가시적 성과 창출 가능한 구체적 사업모델 자유공모 - 혁신기술 접목으로 초부가가치 창출 가능한 패션 융복합 과제 선정 및 지원 ○ (사업시행) 패션기업(IT스타트업), 대학 또는 연구기관간 연계를 통해 프로젝트 시행 - 빠른 사업화가 가능한 실제 프로젝트 우선 선정 및 실시 ?? 추진계획 ○ 대 상 : (주관)패션기업(IT스타트업)+(협력)대학, 연구기관 ○ 지원분야 : 패션분야에 IT기술을 접목하여 실제 사업화가 가능한 혁신과제 ※「동대문 상권 혁신 분야」와「패션·IT 융합 분야」로 이원화하여 공모 및 선정 추진 ○ 공모방식 : 자유공모 ○ 지원내용 : 혁신기술 개발(IT융합) 및 사업화를 위한 연구개발비 지원 - 초기 기술개발이 완료된 기술이나 서비스에 대한 사업화 지원 ? 시제품 적용 및 확장 개발비, 기술 검증, 특허 비용 등 ? 초기 기술개발 : 상권분석, 기술개념 검증, 실용모형개발, 계획단계의 사업모델 등 ※ 예시 : 패션상권 활성화를 위한 글로벌 패션 플랫폼 사업화 실용화 단계 사업화 단계 · 개발 플랫폼에 대한 신뢰성 평가 · 수요기업 평가 · 확장 범위 및 실효성 검증(상인 및 소비자) · 시제품 데모 · 시험평가·검증 · 서버 임대비용 · 홍보비 등 사업화 비용 ○ 소요예산 : 10억원 - 민간부담금 : 총 사업비의 25% 이상(현금 : 시지원금의 10% 이상) ○ 지원규모 : 과제별 최대 2억원 지원(1년), 총 5~6개 과제 선정 ※ 패션·IT 융합전문 대학교수 자문회의 결과 : 단년 사업을 감안하여 2억원(기존 3억원)으로 축소 ※ 과제 기술료 징수(市 지원금의 10%) ○ 추진체계 : 시(업무위탁) → SBA(사업수행) → 기업·기관(과제진행) - 서울시(총괄기관) : 서울형 R&D사업 총괄, 프로그램 중간관리, 종합평가 등 - SBA(전담기관) : 과제 및 수행기관 선정, 진행관리 및 평가, 예산집행 등 - 기업 및 연구기관(참여기관) : 과제 발굴 및 선정 신청, 과제 진행 2021년 추진실적 ? 접수/선정 : 총 39개 과제 접수(경쟁률 6.5:1)/총 6개 과제 선정 ? 총 지원내역 : 15억원 ?? 추진절차 과제공모 및 신청서 접수 사전검토 선정평가 결과 발표 협약체결 및 사업비 지급 자유공모 신청서 검토 (신청자격, 과제중복, 세금체납 등) 서면/발표 평가 (필요시 현장조사) 홈페이지 공고 수행기관 ↔ SBA SBA SBA 전문가평가위원회(SBA), 산학연협력사업심의위(市) SBA SBA ?? 추진일정 ○ 사업 세부계획 수립 및 사업 공고 : ’22. 3. ○ 과제접수 및 선정 평가 : ’22. 4. ~ 6. ○ 협약 체결 및 사업비 지급 : ’22. 7. ○ ’22년 선정 과제 진행 : ’22. 7.~’23. 6. ○ ’21년 선정 과제 최종 평가 : ’22. 9. 8 비대면 금융생활 수요를 반영한 핀테크 기술개발 지원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금융서비스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핀테크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 지원으로 핀테크 산업 선도 ?? 추진배경 ○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거래 활성화에 따른 핀테크 관련 신기술 수요 증가 ○ 창업?고용이 증가 중인 대표적 성장산업으로 일자리 창출 및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핀테크 스타트업의 신기술 R&D 지원 필요성 증대 ? 국내 핀테크 기업 : 579개(2019년) → 637개(2020년) ? 국내 핀테크 종사자 : 1만 2천명(2019년) → 1만 7천명(2020년) ※ 출처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금융분야 대응방안」, 관계부처 협동, 2021.6. ?? 추진방향 ○ 핀테크 분야에 대한 R&D 자금 지원하여 신기술 개발 및 사업화 촉진 ○ 핀테크랩 입주기업에 대한 우선 지원으로 여의도 금융중심지 조성에 기여 ?? ’21년 사업추진 실적 ○ 추진 절차 공고·접수 (’21.2~4) 서면평가 (5.10~5.11) 발표평가 (5.21~5.24) 4개 과제 선정 사업비 지원 (’21.8~) 4개 6.92억원 기술개발 (’21.8~’22.7) 1년 ※ 효율적 과제 선정 및 운영을 위해 블록체인 기술사업화 지원사업과 통합 공모 ○ 과제별 최대 2억원, 실소요예산 고려하여 4개 과제 총 6.92억원 지원 - 기술개발 및 사업화 핵심역량이 우수한 과제를 위해 지원규모 확대 ? 2020년 핀테크 1억원 지원 → 2021년 2억원 지원 - 현금사업비 중 인건비 비율 확대(60% → 70%) 등 산업 특성 맞춤 지원 ?? 추진계획 ○ 지원대상 : 서울 소재 핀테크 기업(대학 또는 연구기관 컨소시엄도 가능) ※ 컨소시엄은 서울기업 필수, 컨소시엄 내 기업은 법인기업만 가능 ※ 서울핀테크랩 입주기업에 가점 부여 ○ 지원분야 : 코로나19 이후 수요 증가한 핀테크 기술 분 야 예 시 송금·결제 ? 간편결제·송금, 해외송금·환전 등 금융 데이터분석 ? 신용평가, FDS(이상거래탐지) 및 AML(자금세탁방지), 자산관리,인슈어테크(InsurTech),프롭테크(PropTech) 등 금융 소프트웨어 ? RPA(단순반복업무 대체 프로그램), 인증·보안, 레그테크(RegTech) 등 금융 플랫폼 ? P2P대출, 크라우드 펀딩 등 ○ 지원규모 : 5개 과제, 총 10억원(과제별 최대 2억원, 1년 이내) - 기술성숙도(TRL) 실용화 단계인 7단계 이상 과제 ○ 지원내용 : 기술사업화/기술혁신 위한 연구장비?재료비, 연구활동비, 인건비 등 - 민간부담금 : 총 사업비의 25% 이상(현금부담 : 市 지원금의 10% 이상) ○ ’22년 주요 개선사항 - 신용보증기금과 연계를 통해 해당 사업 지원기업의 보증 신청 시, 보증가액 및 보증료 인하 추진 ?? 추진일정 ○ 사업 세부계획 수립 및 사업 공고 : ’22. 3. ○ 과제접수 및 선정 평가 : ’22. 4. ~ 5. ○ 협약 체결 및 사업비 지급 : ’22. 6. ~ 7. ○ 과제 진행 : ’22. 8. ~ 9 블록체인 스타트업 기술사업화 지원 포스트코로나19 시대 비대면(Untact) 인증?보안 서비스 기술인 블록체인 관련 분야 기술사업화 활성화 ?? 추진배경 ○ 코로나19 비대면 서비스 증대로 블록체인 인증?보안 기술 요구 증대 - 분산ID(DID)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방문자 신원증명 서비스 적용 ○ 국내 블록체인 스타트업의 스케일업(Scale-up) 및 고도화 필요 ?? 추진방향 ○ 블록체인 분야에 대한 R&D 자금 지원하여 신기술 개발 및 사업화 촉진 ○ 서울블록체인지원센터 입주기업 우선 지원으로 블록체인 생태계 활성화 ?? ’21년 추진실적 ○ 추진 절차 공고·접수 (’21.2~4) 서면평가 (5.10~5.11) 발표평가 (5.21~5.24) 3개 과제 선정 사업비 지원 (’21.8~) 3개 5.34억원 기술개발 (’21.8~’22.7) 1년 ※ 효율적 과제 선정 및 운영을 위해 핀테크 기술사업화 지원사업과 통합 공모 ○ 과제별 최대 2억원, 실소요예산 고려하여 3개 과제 총 5.34억원 지원 - 기술개발 및 사업화 핵심역량이 우수한 과제를 위해 지원규모 확대 ? 2020년 블록체인 0.6억원 지원 → 2021년 2억원 지원 ○ 블록체인 산업 특성 고려, 지원대상 및 사업비 사용 기준 완화 - 핵심과제 수행역량 보유 중소기업의 단독 지원 가능토록 컨소시엄 구성 자율화 - 현금사업비 중 인건비 비율 확대(60% → 70%) 등 산업 특성 맞춤 지원 ?? 추진계획 ○ 지원대상 : 서울소재 블록체인 스타트업(대학 또는 연구기관 컨소시엄도 가능) ※ 컨소시엄은 서울기업, 컨소시엄 내 기업은 법인기업만 가능 ※ 서울블록체인지원센터 입주기업에 가점 부여 ○ 지원분야 : 코로나19 이후 수요 증가한 블록체인 기술 분 야 예 시 소프트웨어 ? 어플리케이션, 플랫폼, 소프트웨어 개발 등 하드웨어 ? 서버 스토리지 등 블록체인 하드웨어 구축 및 설계 기술 등 서비스 ? 암호화폐 활용 비즈니스(재무관리, 회계운영 등) 서비스 등 네트워크/보안 ? 네트워크 ID 및 엑세스 관리, 네트워크/보안 관련 제공 서비스 등 ○ 지원규모 : 5개 과제, 총 10억원(과제별 최대 2억원, 1년 이내) - 기술성숙도(TRL) 실용화 단계인 7단계 이상 과제 ○ 지원내용 : 기술사업화/기술혁신 위한 연구장비?재료비, 연구활동비, 인건비 등 - 민간부담금 : 총 사업비의 25% 이상(현금부담 : 市 지원금의 10% 이상) ○ ’22년 주요 개선사항 - 신용보증기금과 연계를 통해 해당 사업 지원기업의 보증 신청 시, 보증가액 및 보증료 인하 추진 ?? 추진일정 ○ 사업 세부계획 수립 및 사업 공고 : ’22. 3. ○ 과제접수 및 선정 평가 : ’22. 4. ~ 5. ○ 협약 체결 및 사업비 지급 : ’22. 6. ~ 7. ○ 과제 진행 : ’22. 8. ~ 10 수서 로봇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R&D 지원 신 규 4차 산업혁명 시대 수요가 급증한 로봇 산업분야의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수서 로봇 클러스터 조성을 도모하고 서울 로봇산업의 도약 추진 ?? 추진배경 ○ (경제적 가치) 국내·외 로봇시장 규모는 ’14년 이후 연평균 13% 성장 - ’19년 로봇시장 규모 : 국외 305억달러(35조원), 국내 5.3조원 ○ (사회적 변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로봇을 활용한 全 산업의 비대면· 디지털 전환 가속 대응 - 인구 고령화와 코로나19로 헬스케어, 물류, 제조 등 산업 전분야 수요 급증 - 로봇에 AI와 자율주행 기능을 접목하여 안내, 방역, 물류 등 다양한 분야 활용 ○ (산업계 요청) 창업·벤처·중소기업이 유니콘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 마련 시급 - 국내 로봇기업의 90% 이상이 창업·벤처·중소기업으로 공공의 지원 필요 ?? 추진계획 ○ 대 상 : 서울 소재 중소·벤처·창업기업(대학 또는 연구기관 컨소시엄 가능) - 서울시 로봇 육성 사업(테헤란로 실증사업 등) 참여기업 및 수서 등 로봇 거점 기업(강남 ICT·로봇 리빙랩, 로봇플러스 R&D센터 등) 가점 부여 ※ 컨소시엄의 주관기관은 서울 기업만이 가능하며, 컨소시엄 내 기업은 법인기업으로 함 ○ 지원내용 : 로봇 관련 기술사업화 개발비 지원 - 로봇 기술 및 제품 개발, 제품고도화, SW 개발 관련 - 인건비, 시작품·시제품 제작, 성능·신뢰성 시험, 소비자 평가 및 인증 등 ○ 지원기준 : 과제기간 1년 이내/과제당 최대 2억원 ○ 소요예산 : 10억원(5개 내외 신규 과제 선정, 차등지원) - 민간부담금 : 총 사업비의 25% 이상(현금 : 시 지원금의 10% 이상) ○ 지원분야 : 로봇 기술 적용, 서울시 로봇산업 육성 가능한 전 분야 분 야 예 시 제조업용 로봇 ? 자동차(핸들링, 용접), 전자제품(도장, 조립), 디스플레이, 조선(용접, 도장) 등 전문서비스용 로봇 ? 공공(안내, 경비, 배달), 산업(건설, 농림축산, 의료), 극한작업(사회인프라, 군사, 해양, 재난) 등 개인서비스용 로봇 ? 재활지원(간병, 보조), 노인지원(보행, 생활), 가사 지원(청소, 경비) 등 로봇 부품 및 소프트웨어 등 ? 로봇 부품, 소프트웨어, 시스템, 임베디드 등 ○ 추진체계 : 시(총괄기관) → SBA(전담기관) → 기업·기관(참여기관) ○ 추진방법 : 자유공모 ○ 선정방법 : 선정평가위원회 평가 절차를 거쳐 선정 - 과제의 창의성·차별성, 시장 매력도, 추진방안의 구체성, 사업화 용이성 등 ?? 추진절차 과제공모 및 신청서 접수 사전검토 선정평가 결과 발표 협약체결 및 사업비 지급 자유공모 신청서 검토 (신청자격, 과제중복, 세금체납 등) 서면/발표 평가 (필요시 현장조사) 홈페이지 공고 수행기관 ↔ SBA SBA SBA 전문가평가위원회(SBA), 산학연협력사업심의위(市) SBA SBA ?? 추진일정 ○ 사업 세부계획 수립 및 공고 : ’22. 2.~ 3. ○ 과제접수 및 선정평가 : ’22. 4 ~ 5. ○ 협약 체결 및 사업비 지급 : ’22. 6 ~ 7. 11 미디어콘텐츠 관련 4차산업 융복합 R&D 지원 신 규 K-콘텐츠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 영상·음악 등 전통적 콘텐츠를 4차산업 혁명 기술과 결합하여 콘텐츠의 가치를 높이는 기술사업화 지원 ?? 추진 필요성 ○ 新문화·시장적 가치(+α)를 창출하는 융복합 콘텐츠산업에 장기적?체계적 지원 필요 - ’19년 세계 콘텐츠 시장규모는 2.5조달러, 연평균 4.4%로 지속성장 예상 ※ 국가별 시장점유율 : △미국 36.8% △중국 11.7% △일본 8.0% △독일 4.6% △영국 4.4% △프랑스 3.2% △한국 2.6%(7위) ○ 4차산업 시대의 융복합 R&D지원을 통한 콘텐츠산업 핵심성장동력 구축 ?? 추진계획 ○ 지원대상 : 융복합 콘텐츠 확장·고도화가 가능한 유망기술 보유·개발 기업 ※ 기업은 법인에 한하며, 대학 또는 연구기관 컨소시엄 가능, 참여기관 모두 서울소재 ○ 지원분야 : 콘텐츠의 소비확대 및 고도화를 위한 4차산업 융복합 R&D ○ 지원내용 : 미디어콘텐츠 관련 기술사업화 개발비 지원 - VR, AR, 메타버스 관련 기술개발, 기술고도화, SW 개발 관련 인건비 등 ※ 기술개발 또는 고도화 요소가 없는 콘텐츠 제작 과제는 해당 없음 ○ 지원기준 : 과제기간 1년 이내/과제당 최대 2억원 ○ 소요예산 : 8억원(4개 내외 신규 과제 선정, 차등지원 가능) ※ 민간부담금 총 사업비의 25% 이상(현금: 市지원금의 10% 이상) ○ 추진체계 : 시(총괄기관) → SBA(전담기관) → 기업·기관(참여기관) ?? 추진일정 ○ 세부 지원계획 수립 및 공고 : ’22. 3. ○ 대상자 선정 및 협약체결 : ’22. 4.~ 8. ○ 사업비 지급, 과제수행 : ’22. 9. 12 테스트베드 확대, 신기술 실증지원으로 사업화 촉진 혁신기술을 사용한 제품과 서비스의 실증범위를 자치구와 산업거점 등으로 확대하여 중소 · 스타트업의 성장과 판로개척을 적극 지원 ?? 사업개요 ○ 사업목적 : 4차 산업혁명 혁신제품·서비스를 시정현장에 시범 활용하고 실증에 대한 확인서를 발급하여 기업의 판로개척 및 사업화 지원 ○ 사업내용 : 실증(장소·예산 지원) + 실증확인서(레퍼런스) + 후속지원 ○ 사업목표 : 실증과제 40개 이상 선정·지원 ○ 사업대상 : 시정혁신 및 도시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제품?서비스 - 서울소재 중소·스타트업(대기업, 중견기업은 기회제공형 실증 참여 가능) - 4차 산업혁명 관련 핵심기술이 적용된 제품?서비스 - 시정 현장에 설치 가능한 제품?서비스 ※ 정부 또는 공공기관에서 적용, 구매 사례가 없을 것 ○ 사업유형 - 수요과제형 : 실증기관(시, 자치구, 공사공단, 교육청, 산업거점 등)이 제시한 과제(실증현장, 사양 등)에 맞는 기술을 기업이 신청 - 자유공모형 : 기업이 실증하고자 하는 혁신기술과 관련된 실증과제?장소를 신청 후 실증기관 매칭 ○ 추진절차 기업제안 접 수 분기별접수 서 류 검 토 (2주) 실증기관 의견검토 (2주) 서 면 평 가 (2주) 발 표 평 가 (2주) 결 과 통 보 2개월 내 실 증 평 가 (최장 1년) ○ 소요예산 : 105억원 - 과제별 최대 지원액 : 일반형 400백만원, 거점형 200백만원 ?? 추진성과 ○ 최근 4년간 104개 혁신기술에 대해 시정현장 실증기회 제공 - 도로, 교량, 시립병원 등 시정현장 실증기회 제공 및 실증비용 지원(381억원) - 선정과제는 최장 1년간 현장테스트 진행 후 실증확인서 발급 및 판로개척 지원 ○「테스트베드 서울」참여기업 판로확대 및 해외진출 추진 (단위 : 백만원/건) 구 분 계 공공구매 해외수출(예정) 투자유치 계 88,741 16,382 34,682 37,677 ’18년 테스트베드 참여기업 16,729 7,491 5,088 4,150 ’19년 테스트베드 참여기업 39,086 6,564 2,000 30,522 ’20년 테스트베드 참여기업 32,926 2,327 27,594 3,005 ?? ’22년 추진계획 ○ 테스트베드 전담기관을 서울산업진흥원으로 일원화하고 서울R&D지원센터를 통해 체계적인 과제관리 및 지원 - 서울R&D지원센터 : 서울시 R&D 정보 제공 + 과제 접수?평가?관리를 위한 종합관리시스템 + 과제 사업비 관리를 위한 사업비관리시스템 ○ 분기별 정기공모 및 상대평가(과제 간 비교평가)를 통해 우수혁신기술 선정 구 분 현 재 변 경 추진체계 서울산업진흥원(SBA)+ 서울기술연구원(SIT) 이원화 ? 서울R&D지원센터 전담 (수탁기관 : 서울산업진흥원) 접수방법 신기술접수소 상시 접수 ? 서울R&D지원센터 홈페이지 정기 공모(분기별 1회) ○ 시민의 직접적 편익향상과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과제형’ 실증사업 범위를 자치구로 확대 - 보건소, 동 주민센터, 區 시설관리공단, 도서관 등 자치구 소관 실증수요를 공모 · 발굴하여 기술수요 공개 및 접수 ○ 4차 산업혁명 기술 거점형 테스트베드 추가 도입 - 4차 산업혁명 기술 거점별 수요과제 발굴 후 거점의 네트워크를 통한 실증장소(서울 소재 관련 대기업, 중견기업, 병원, 금융기관 등) 연계 · 제공 - 제시된 과제에 대해서는 서울 소재 모든 기업이 신청 가능하나 거점 소재 기업(사업자등록증 기준) 선정 시 가점을 부여하여 참여 독려 ○ 테스트베드 실증기업의 투자유치, 사업화, 해외시장 진출 등 후속지원 강화 - 공공구매, 지식재산권보호, 투자유치 등 맞춤형 후속지원으로 사업화 유도 - 실증제품 기술향상, 사업화 지원을 위해「Tech-Care(혁신기술지원단)」운영 - ‘市 우수정책 해외진출 사업’을 통한 해외프로젝트 개발, 글로벌진출 지원 테스트베드 실증 후 후속지원 강화 → 공공구매 추진 ? 문제점 : 테스트베드 결과 우수제품에 대한 직접구매 근거 부재 ? 그간의 추진사항 - 구매 조건부 R&D 근거 마련을 위해 혁신기술 사업화 촉진 관련 행안부 건의 : ’18. 6. - 행안부 수정수용으로 ‘경쟁적 대화방식 입찰제’ 도입 : ’19. 6.(수의계약 불가) - 수의계약 가능토록 지방계약법시행령 일부개정 행안부 건의 : ’19. 9. ?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 관련 기재부와 협의 중 - 서울시 R&D 지원 사업 중 혁신성·공공성 인정 제품 → 혁신제품 지정 - 혁신제품은 수의계약 대상, 혁신제품 지정 후 3년동안 수의계약 가능(현재 중앙부처 시행) ※ 지방계약법 시행령 제25조(수의계약에 의할 수 있는 경우) 「과학기술기본법」등 관련 법령에 따른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개발된 제품 중 각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행정안전부장관과 협의하여 정한 기준과 절차에 따른 기술의 혁신성을 인정한 제품을 구매하려는 경우 ?? 추진일정 ○ 수요과제 조사 및 1분기 사업 공고·접수 : ’22. 1. ~ 2. ○ 1분기 사업 평가·선정 : ’22. 3. ~ 4. ○ 2분기 사업 공고·접수 : ’22. 4. ~ 5. ○ 2분기 사업 평가·선정 : ’22. 6. ~ 7. ○ 3분기 사업 공고·접수 : ’22. 7. ~ 8. ○ 3분기 사업 과제평가, 선정 : ’22. 9. ~10. 13 「서울혁신챌린지」개최 다양한 참가자간 교류와 경쟁을 통하여 드론·AI·블록체인 등 혁신기술을 발굴하는 개방형 R&D로서 4차산업 혁신기술 개발 및 사업화 지원 ?? 사업개요 ○ 행 사 명 :「제6회 서울혁신챌린지」 ○ 공모과제 :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활용 기술개발 및 상용화(자유공모) ※ 드론 또는 인공지능(머신러닝) 또는 블록체인 기술 중 한 가지는 반드시 포함 ○ 참가자격 : 국내?외 중소기업, 스타트업, 대학, 예비창업자 등 ○ 지 원 금 : (예선) 시제품 제작 2천만원/건, (결선) R&D지원 최대 2억원/건 ○ 소요예산 : 21억원, 41개 과제 - ’21년 결선통과 13팀 후속지원 15억원, ’22년 예선통과 28팀 6억원 ?? ’21년 추진 경과 공고·접수 (‘21.3~4월) 413팀/1,275명 아이디어·팀빌딩 (5~6월) 2개월 예선평가 (7월) 107팀 평가 시제품 제작 (8월~11월) 28팀, 4개월 결선평가 ('21.12.) 37팀 평가, 13팀 선정 ※ 결선평가에서 선정된 13팀에 대해서 기술개발비를 차등지원하여 후속개발 지원 ?? ’21년 세부 추진실적 ○ 참가신청 413개팀, 총 1,275명 참여, 107개 과제(예선평가) 접수 - 예선통과 28개 과제 시제품제작 지원, 결선(전문가?시민평가) 통해 13팀 선정 ○ 글로벌기업 14개社 파트너십을 통한 기술개발 및 해외진출, 네트워킹 지원(13건) - 엔비디아(스타트업 프로그램 인셉션 연계 지원), KT(기가지니 플랫폼을 통한 기술지원 및 서비스 운영),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Credit 지원), LG CNS, LG전자(우수 기술 발굴), IBM(현장실태조사 및 멘토링) 등 ○ 페이스북 그룹(3,694명)을 통한 아이디어·팀빌딩, 비대면 멘토링 및 우수 과제 선정 ▶ ▶ 서울혁신챌린지 참가자 모집 (’21.3.16.~5.2.) 비대면 현장실태조사 및 멘토링 (’21.10.20. ~ 10.28.) 비대면 결선 전문가평가 (’21.12.14.) ?? 추진계획 ○ 해외 참가자 확대를 위한 서울혁신챌린지 운영방안 개선 및 홍보 강화 - 해외 참가자 증가에 대비하여 언어지원, 지원양식 간소화 등 운영방안 개선 - 글로벌 기업과의 네트워크 확대 및 해외 홍보 강화를 통한 해외 우수팀 유치 ○ 적극적인 온라인 플랫폼 활용으로 비대면 아이디어?팀빌딩 활성화 - 페이스북 그룹 지속 운영, 동영상·실시간 스트리밍 통한 우수사례 발표회 등 추진 ○ 기존 파트너십 기관과의 협력체계 지속 및 기술후원사 추가 유치 지속 추진 - 국내·외 글로벌 기업 및 해외기관 추가 유치(14개→16개) - 참가기업 기술개발 고도화 및 국내기업 시장진출 지원을 위한 멘토링 강화 ○ 제1~5회 서울혁신챌린지 참가기업의 성과사례 분석·시사점 도출 및 반영 - 우수 사례 및 개선 사례 분석을 통해 챌린지 운영 계획에 반영 ?? 추진일정 ○ 제4회 서울혁신챌린지 결선 선발 과제 13개팀 최종평가 : ’22. 6. ○ 제5회 서울혁신챌린지 결선 선발 과제 R&D 지원 : ’22. 2~11. ○ 제6회 서울혁신챌린지 대내외 홍보 및 사업 추진 : ’22. 3.~ 진행일정(안) (’22.3~12월) 공고·접수 (2개월) 아이디어?팀빌딩 (2개월) 예선평가 (28팀 선발, 1개월) 시제품제작 (4개월) 결선평가 (13팀 선발, 1개월) ’22.3~4월 ’22.5월~6월 ’22.7월 ’22.8월~11월 ’22.12월 14 재외한인과학자단체 교류사업 재외한인과학자 단체와의 교류를 통해 과학기술을 활용한 도시문제 해결 및 4차 산업혁명 거점도시 서울 구현을 위한 혁신방안 모색, 우수기술 보유 유망기업의 해외 진출 및 기술사업화 확대 지원 ?? 추진배경 ○ 재외한인과학자 단체와의 교류를 통해 서울시 R&D 정책 관련 해외정보 수집, 국제 공동연구 방안 모색 ○ 서울 혁신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및 사업화 지원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 필요 ?? ’21년 추진실적 ○ 한-미 과학기술컨퍼런스(US-Korea Conference, UKC) 참여 - 기간 및 장소 : ’21.12.15.~12.18, 워싱턴 하얏트 리젠시 - 안드레아 게즈 박사(’20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의 기조 연설, 포럼, 테크니컬 세션 강연 등 행사 참여 및 관계자 교류 ① 서울시 포럼 개최(12.17) - ‘한·미 국경을 초월한 비즈니스의 시작 및 확장’을 주제로 전문가 발표 - 서울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사업 확대를 위한 현지 정보·전문가 매칭(32회) ② 스타트업 창업 경연(Startup Pitch Competition, SPC) 운영(12.18) - 한국과 미국 창업기업이 한·미 시장 진출 및 투자유치를 위해 VC 대상 아이디어 발표, 우수 기업 선정·시상 및 VC와 미팅 기회 제공 등 → 2021년 핀테크·블록체인 지원사업 주관사인 ‘useB’ 2등상 수상 기조연설(안드레아 게즈) 서울시 포럼 및 창업 경연 스타트업 창업 경연 수상식 ?? ’22년 추진계획 ○ 교류사업 참여 추진 - 한-유럽 과학기술 컨퍼런스(Europe-Korea Conference)/하반기 예정 - 한-미 과학기술 컨퍼런스(US-Korea Conference)/워싱턴(8.17~8.20) ○ 협력 대상 단체 구 분 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KSEA) 유럽 한인과학자협회 연합(가칭) 소재지 미국 버지니아주 비엔나 (협회 본부) 유럽 전역 (유럽 9개 한인과학기술자협회 공동주최) 회원 수 약 7,000명 ※ 회장 : 브라이언 박(美 버지니아대 교수) 약 3,000명 주요 역할 - 한·미 양국의 과학발전 및 교류 - 한인 2세 과학기술 전공자 지원 - 국제학술회의, 심포지엄 등 학술활동 - 최신 기술개발 동향 연구 등 ○ 소요예산 : 60백만원 ?? 추진일정 ○ 협력 대상 및 주제 선정 : ’22. 3. ○ 세부추진계획 협의 : ’22. 4. ○ SBA-재외한인과학자 단체 간 MOU 체결 : ’22. 5. ○ 서울시 기업 관련 교류사업 개최 : ’22. 7.~10. ○ 연구보고서 제출 : ’22.11~12. ※ 코로나19 확산 상황에 따라 추진일정 변동 가능 15 정부지원 대응투자 중앙정부 R&D 지원사업에 대한 매칭지원을 통해 서울지역의 고급 연구인력 양성과 신성장동력 산업 육성에 기여 ?? 사업개요 ○ 추진근거 :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제39조 ○ 지원대상 : 서울소재 대학(산학협력단), 연구기관, 의료기관, 기업 등 ○ 지원분야 : IT, 디지털콘텐츠, 공학, 의료·바이오, AI 등 신성장동력산업 ○ 지원내용 : 정부 R&D사업의 과제 주관기관으로 선정된 기관에 대하여 정부지원금 대비 10% 내외 시비 대응지원 ○ 사 업 비 : 3,778백만원(운영비 별도) ※ ’22년도 공모일정에 따라 정부선정 신규과제 검토 후 지원확정 사업은 추경 필요 ?? 추진실적 ○ ’21년 15개 과제(25개 기관), 3,664백만원 지원 - (신규) 빅데이터 활용 마이스터 로봇화 기반구축 등 5개(6개 기관) 1,373백만원 - (계속) 로봇플러스 경쟁력 지원사업 등 10개(19개 기관) 2,291백만원 ?? 추진절차 ※ 사업주관 정부 부처별 일정 상이 사업 공고 ⇒ 지원 신청 ⇒ 평가 및 확약서 발급 ⇒ 과제 선정 ⇒ 협약 체결 및 사업비 지급 주관 정부부처 주관기관 → 市(SBA) 평가 : SBA 매칭비율 확정 및 확약서 발급 : 市 주관 정부부처 주관기관 ↔ 중앙정부 주관기관 ↔ 시(SBA) ○ 원칙 10% 매칭, 서울시 산업발전 기여도 및 주요사업의 경우 전문가 평가를 기준으로 탄력적 시비 매칭 가능 ※ 주요사업 : 서울시 10대 신성장거점산업 기업육성 및 인재양성 관련 분야 등 ?? 중점 추진사항 ○ ’22년 기준 12개 계속과제에 3,778백만원 지원 예정 (단위 : 백만원) 선정 연도 주관부처 과 제 명 주관기관 사 업 비 사업기간 합계 국비 시비 ’1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 서울테크노파크 460 180 280 ’19.3. ~ 계속 ’1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AI)대학원 지원사업 고려대학교 2,200 2,000 200 ’19.4.~’23.12. 지역전략산업 융합보안 핵심인재 양성사업 고려대학교 770 700 70 ’19.4.~’22.12. ’2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AI)대학원 지원사업 연세대학교 2,200 2,000 200 ’20.4.~’24.12. 한양대학교 2,200 2,000 200 ’20.4.~’24.12. 산업통상자원부 기술거래촉진 네트워크 사업 서울테크노파크 558 270 288 ’20.3.~’22.12. 협업지능 기반 로봇플러스 경쟁력 지원 사업 전자부품연구원 8,228 7,728 500 ’20.3.~’24.12. ’2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AI)대학원 지원사업 서울대학교 2,200 2,000 200 ’21.7.~’25.12. 중앙대학교 2,200 2,000 200 교육부 이공분야 학술연구 지원 광운대학교 770 700 70 ’21.7.~’23.12. 산업통상자원부 빅데이터 활용 마이스터 로봇화 기반구축사업 한국전자기술연구원 7,485 6,985 500 ’21.7.~’25.12. 협동로봇 안전인증 및 위험성 실증 기반구축사업 한국산업기술시험원 2,720 2,220 500 ’21.7.~’25.12. 스마트혁신제품 제조기업 기술지원 인프라 구축사업 한국정보기술연구원 1,558 1,438 120 ’21.8.~’25.1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 혁신허브 연구개발 사업 고려대학교 4,950 4,500 450 ‘21.8~’26.12. 합 계 38,499 34,721 3,778 ※ 정부지원금(국비)은 중앙정부 연차평가결과에 따라 변동 가능 ※ ’21년 정부선정 인공지능 혁신허브 사업 2차년도 사업비(10억원) 추경필요 ○ ’22년도 신규과제 발굴 및 지원 - 산업기술단지 거점기능강화(2월, 산자부), 산업혁신기반구축(3월, 산자부) 등 공모일정에 따른 수요파악 및 매칭 지원 ?? 향후계획 ○ ’22년도 신규 대응투자 과제 접수 및 지원여부 검토 : ’22. 2. ○ 신규 및 계속과제 협약체결 및 사업비 지급(SBA) : ’22. 3. Ⅳ 행정사항 ○ (경제정책과) 서울형 R&D 사업관리 총괄, 예산지원(市 → SBA) ○ (SBA) 수행기관 적합성 검토, 협약 및 사업평가, 예산지원(SBA → 수행기관) ○ (주관부서) 과제 발굴 선정, 진도 체크 및 주관기관 관리 <추진과제별 주관부서> 분 야 추진과제(단위사업) 주관부서 기업R&D 중소기업 기술상용화 경제정책과 성장단계 스케일업 기술사업화 창업정책과 서울형 팁스(TIPS) 지원 경제정책과 신성장거점별 정책R&D 홍릉 클러스터 조성 바이오·의료 R&D 바이오AI산업과 양재 인공지능 클러스터 조성 R&D 바이오AI산업과 G밸리 내 산업 간 융·복합 R&D 전략산업기반과 동대문 테크 패션 프로젝트 제조산업혁신과 핀테크 R&D 금융투자과 블록체인 R&D 금융투자과 로봇기업 R&D 경제정책과 미디어콘텐츠 R&D 미디어콘텐츠산업과 혁신R&D 테스트베드 서울 실증지원 경제정책과 서울혁신챌린지 개최 경제정책과 기술개발교류 재외한인과학자 학술 포럼 개최 경제정책과 정부R&D협력 정부지원 대응투자 경제정책과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정보

2022년 서울형 R&D 지원 기본계획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경제정책실 경제일자리기획관 경제정책과
문서번호 경제정책과-2559 생산일자 2022-03-04
공개구분 공개 보존기간 준영구
작성자(전화번호) 이상민 (02-2133-5223) 관리번호 D0000044873752
분류정보 경제 > 산업기술개발육성 > 일반산업기술지원 > 산업기술개발및지원 > 서울시산학연협력지원사업운영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