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2022년 가을철 산림화재 예방 및 진압 지원대책 추진 계획 보고

문서번호 재난관리과-24492 결재일자 2022. 10. 26. 공개여부 부분공개(5) 방침번호 시 민 담당자 대응총괄팀장 재난관리과장 소방서장 오정휴 차기영 代차기영 10/26 代윤기응 협 조 2022년 가을철 산림화재 예방 및 진압 지원대책 추진 계획 보고 은 평 소 방 서 【재난관리과】 ☞ 해당사항이 있는 부분에 ‘ ■ ’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 비고 : 필요시 검토내용 기재) 구 분 사전 검토항목 점검 사항 검토완료 해당없음 비 고 일반사항 정책일반 ◆ 제반 법규와 실태, 실제 현장의 의견 등을 검토하였습니까? (법령, 규칙, 통계·빅데이터, 시민의견 등) □ ■ ◆ 정책(사업) 집행의 직·간접적 영향 및 효과성을 분석하였습니까?(갈등, 약자, 일자리, 안전, 탄소 감축 등) ※ 약자 : 하단 세부 검토항목 점검 ■ □ ◆ 정책·계획·전시물·홍보물 등이 역사적 사실에 부합하는지 검토하였습니까? □ ■ ◆ 불필요한 외국어·외래어 표현 대신 바른 우리말을 사용하였습니까? ■ □ ◆ 정책·계획 등의 지속가능성을 검토하였습니까?(경제·사회·환경 등) ■ □ 약자와의 동행 목적 ◆ 경제적으로 취약한 약자를 지원하기 위한 사업인가? □ ■ ◆ 주거, 생계, 의료, 교육, 기타 분야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 ■ 주거/생계/의료/교육/기타 ◆ 단순지원 사업과 사다리지원 사업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단순 : 어려움 즉시 개선 / 사다리 : 계층 상향 또는 안정 유도) □ ■ 단순지원/ 사다리지원 ◆ 경제적으로 취약한 약자가 아니라 하더라도, 다양한 분야의 사회적 약자를 배려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였는가? □ ■ 계획수립 ◆ 사업 대상자가 쉽고 편리하게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사업을 구성하였는가? □ ■ 집행·홍보 ◆ 집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역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안을 고려하였는가?(‘약자’ 낙인효과, 역차별 등) □ ■ ◆ 사업 대상자에게 적절한 홍보 수단을 채택하였는가? □ ■ 평가·환류 ◆ 사업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산출, 과정, 성과 등)는 마련하였는가? 아닐 경우,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대체·보완 수단이 존재하는가? □ ■ Ⅰ. 산림화재 발생현황,여건 및 기상전망 등 1 Ⅱ. 산림화재 진압인력 및 장비현황 3 Ⅲ. 추진개요 4 Ⅳ. 중점 추진대책 5 대책 1. 산림화재 예방활동 등 강화 5 ① 산림화재 예방 캠페인 및 홍보활동 강화 5 ② 도심형 산림화재 위험지역 예방순찰 및 조치강화 5 대책 2. 산림화재 상황관리체계 및 대비태세 구축 6 ① 신속 정확한 상황관리 체계 구축 6 ② 산림화재 진압장비 점검?정비 철저 7 ③ 산림화재 진압용 소화용수 확보 7 ④ 산림화재 진압훈련 실시 7 ⑤ 산림화재 취약지역 등 시설물 지도 제작?활용 8 ⑥ 산림?도시 인접지역(WUI)내 위험지역 및 취약시설 관리강화 8 대책 3. 산림화재 초동진압 및 공조체계 강화 9 ① 현장지휘관의 신속한 상황판단 및 적절한 진화자원 투입 9 ② 현장 공중정보 공유 및 민가·시설물 긴급방어 조치체계 구축 10 ③ 소방헬기의 임무와 역할 명확화 11 ④ 유관기관 공조체제 구축 11 ⑤ 야간 산림화재 대비 사전대응체계 구축 11 Ⅴ. 행정사항 11 [붙임 1~8] 12~28 목 차 2022년 산림화재 예방 및 진압 지원대책 산림화재로 인한 인명피해 방지 및 산림피해 최소화를 위한 2022년 산림화재 예방 및 진압 지원대책 추진 계획임. 1. 최근 5년간 산림화재 발생 현황(’17~’21) 최근 5년간(’17∼’21년) 총 108건(연평균 22건) 발생, 피해면적 77,313㎡ ? 산림화재는 대부분 봄철에 발생, 가을철은 빈도가 낮음. - 봄철 58건(53%)> 여름 23건(21%) > 겨울철 17건(16%)> 가을철 10건(9%) 구분 합계 봄 철 (2.1.~5.15) 여름철 (5.16.~10.31) 가을철 (11.1.~12.15) 겨울철 (12.16~1.31) 건 피해면적(㎡) 건 피해면적(㎡) 건 피해면적(㎡) 건 피해면적(㎡) 건 피해면적(㎡) 합계 108 77,313 58 22,363 23 50,967 10 2,174 17 1,809 2021년 7 2,399 5 2060 0 0 0 0 2 339 2020년 19 9,912 13 4,463 3 5,020 2 363 1 66 2019년 27 3,661 14 2,812 2 452 4 121 7 276 2018년 21 5,064 9 1,867 5 759 3 1,690 4 748 2017년 34 56,277 17 11,161 13 44,736 1 0 3 380 ※ 2017.6.1.(목) 21:07분 노원구 수락산 귀임봉 산림화재(피해 : 39,930㎡) ○ 우리서 최근 5년간 산불발생 통계 구 분 화재발생(건) 발생원인 계 2021. 2020. 2019. 2018. 2017. 계 담뱃불 폭죽 불장난 기타 전 체 12 0 5 3 2 2 12 5 0 0 7 봄 철 8 0 3 3 1 1 8 5 0 0 3 가을철 4 0 2 0 1 1 4 0 0 0 4 화재원인, 장소 등 (2016~2021년) 발화요인별 부주의 원인미상 방화(의심) 화학적요인 85건(59%) 30건(21%) 22건(15%) 6건(4.2%) 발생 장소별 산 아래 산 중턱 산 정상 평지 68건(47.5%) 60건(41.9%) 8건(5.6%) 7건(4.9%) 소방서별 관악 도봉 은평 강서 19건(13.2%) 17건(12.8%) 11건(8.1%) 10건(7.4%) 2021년 산림화재 : 7건 2,399㎡ (’21. 12. 31.기준) · 계절별 현황 ※ ’21년 봄철(2∼5월) 5건 / 그 외 2건 월 계 1 2 3 4 5 6 7 8 9 10 11 12 7 2 3 1 1 0 0 0 0 0 0 0 0 ? 발화요인: 방화(의심) 42.8%(3건) 〉부주의 28.6%(2건) > 원인미상 26.6%(2건) > 순 ? 발생장소: 산중턱 57.1%(4건) > 산아래 42.9%(3건) 순 ? 소방서별: 동대문, 노원, 강남, 서대문, 종로, 서초, 관악 각 1건 순 < ’21년 주요 산림화재 발생 사례 > ○ 대모산 산림화재(대응1단계 발령) : 900㎡ 소실 - 일시/장소 : ’21.2.13.(토) 14:04 ~ / 강남구 자곡동 산39-1(대모산 5부능선) - 동원소방력 : 차량 27대 / 소방 110명 2. 기상 전망 및 산림화재 발생 여건 봄철 기상 전망(1~4월) ? 봄철 기온 상승 및 강수량 부족 등으로 건조주의보 발령 우려 ? 봄철 평균기온은 평년(4.8°C)과 비슷하거나 높고, 강수량은 평년 (203.5㎜)과 비슷하거나 적을 전망으로 대비체계 강화 필요 사회·문화적 여건 ? 산림화재 발생 시기의 연중화로 산불 발생 위험 증가 - 설 연휴(1.29~2.2), 대통령 선거(3.9), 어린이날(5.5), 추석 연휴(9.9~9.12) 등 연휴기간 및 주말 산을 찾는 등산객 증가 예상 ? 등산?휴양객 등 산림 이용자수 증가 추세 - 서울둘레길 완주자 증가(‘17년 7,014명→ ’18년 5,761명→ ‘19년 6,303명→’20년 7,435명→’21년 11,611명) ? 서울은 산림과 건물·주택이 인접하여 비화 등에 따른 2차 피해 발생 가능 ? 코로나19 불감 증으로 활동 증가 예상으로 인위적 산림화재 위험요인 내포 - 국립공원 등 명산 외에 한적한 등산로의 소규모 산행 증가로 산림화재 우려 Ⅱ 산림화재 진압인력 및 장비현황 □ 산림화재 진압인력 및 장비현황 ? 소방인력 : 428명(소방공무원 250, 의용소방대원 178) ? 진압장비 : 8종 173점(성능개선 펌프 2대 : 진관. 역촌) 부서별 계 펌 프 탱 크 동력펌프 등짐펌프 삽 낫 불털이개 불갈퀴 173 4 3 1 110 30 6 9 10 현장대응단 76 1 1 0 54 10 2 5 3 녹 번 32 1 1 0 20 5 1 0 4 역 촌 30 1 1 0 16 5 2 3 2 수 색 30 1 0 1 20 7 0 1 0 구조대 5 0 0 0 0 3 1 0 1 ? 수도권 소방헬기 현황 : 35대 계 서울 경기 인천 중앙119 구조단 산림청 경기도 임차헬기 35 3 3 2 2 5 20 Ⅲ 추진 개요 □ 추진기간 : 가을철 11.1.(월)~12.15.(수) (45일간) □ 추진대상 : 3개산[북한산, 봉산(시계산 2),백련산(시내산 1)] □ 시 산림(山林) 현황 : 42개산(시계산 14, 시내산 28) ? 은평구 관내 산림현황 : 3개산(시계산 1, 시내산 2) 구 분 계 북한산 봉 산 백련산 비 고 면 적(㎢) 10.62 8.9 1.33 0.39 높 이(m) 836 209.6 215.5 ? 주요산(7개) 산 명 북한산국립공원 수락산 불암산 관악산 청계산 북악산 북한산 도봉산 높 이(m) 836m 740m 637m 508m 629m 618m 342m 면 적(㎢) 28.3㎢ 8.6㎢ 6.6㎢ 5.3㎢ 15.7㎢ 3.3㎢ 4.2㎢ 인 접 소방관서 종로, 성북 강북, 은평 도봉 노원 노원 구로, 관악 서초 종로, 성북 ※ 은평 8.9㎢ □ 추진내용 ? 산림화재 예방 활동 등 강화 ? 산림화재 상황관리체계 및 대비태세 구축 ? 산림화재 대응태세 확립 ? 산림화재 적극 대응으로 인명 및 재산피해 최소화 Ⅳ 중점 추진대책 대책 1 산림화재 예방 활동 등 강화 ? 산림화재 예방 캠페인 및 홍보활동 강화 ? 대 상 : 3개소(북한산, 백련산, 봉산) ? 방 법 : 공휴일, 산불위험경보 등 발령 시 지역실정에 맞게 운영 - 유관기관 및 의소대 등 합동 산불예방캠페인 전개 ※ 소방, 국립공원, 구청, 의용소방대 등 참여 ? 주요 추진내용 - 주요 등산로, 취약장소 산불조심 캠페인 실시 - 건조주의보 기간 중 산불예방 홍보실시 - 어린이, 등산객 등 대상 불장난 금지 등 사전예방교육 등 ? 도심형 산림화재 위험지역(20개소) 예방순찰 및 조치강화 ? (순찰강화) 강풍?건조 기상특보 발령 시 예방 순찰 강화 화재?구조?구급 귀소 중, 운전 연습, 행정업무 출장 시, 기동순찰 등 활용 - 대 상 : 도심형 산림화재 위험지역(20개소) 및 북한산, 백련산, 봉산 주변 주요 등산로 등 산불 취약지역 산 명 센터명 순찰방법 순찰지역 비 고 북한산 현장대응단 펌프 차량 동원 기동순찰시 병행 실시 안전센터→진관사→삼천사 백련산 녹 번 안전센터→백련사 봉 산 역 촌 안전센터→대성고등학교→수국사 봉 산 수 색 안전센터→은평터널→신사씨티아파트 - 방 법 : 공휴일, 산불위험경보 등 발령 시 지역실정에 맞게 운영 ※ 추진기간중 각 센터 펌프차량 야간 예방순찰 후 근무일지 기록 유지 - 유관기관 및 의소대 등 합동 산불예방캠페인 전개 ※ 소방, 국립공원, 구청, 의용소방대 등 참여 - 주요 추진내용 ? 주요 등산로, 취약장소 산불조심 캠페인 실시 ? 건조주의보 기간 중 산불예방 홍보실시 ? 어린이, 등산객 등 대상 불장난 금지 등 사전예방교육 등 ? (예방조치 강화) 화재예방 상 위험 행위자 및 관계인에 적극 명령 - 화재 예방상 위험하다고 인정되는 행위의 금지 또는 제한 - 불에 탈 수 있는 물건을 옮기거나 치우게 하는 등의 조치 관련근거 ? 소방기본법 제12조(화재의 예방조치 등) ? (안전관리) 의용소방대원의 산림화재 감시 및 진화활동 참여 유도 - 은평 산불화재대응 정예 의용소방대 산림화재 감시 활동 등 추진 ? 추진기간 : 11. 1.(화) ~ 12. 15.(목) (45일간) ? 추진장소 : 5개소[북한산, 봉산, 백련산, 이말산, 앵봉산] ? 동원인원 : 73명[소방 16, 의용소방대 57] ? 추진내용 : 취약등산로 등 예찰 및 감시활동 전개 - 의용소방대 및 지자체 산불감시원 합동으로 산림인접 주택 화재안전관리, 대피체계 점거 및 행동요령 전파(산림청 협업) - 산림인접지 주택 안전관리, 화목보일러 점검 시 의용소방대 및 산불감시원 합동 시행(화목보일러로부터 산림으로 연소 확대 우려 위험요인 제거) ※ 화재진압 전문교육을 이수하고 지역사회에 봉사하는 의용소방대원이 산불감시 및 진화인력으로 선발 될 수 있도록 지자체와 협조 대책 2 산림화재 상황관리체계 및 대비태세 구축 ? 신속 정확한 상황관리(보고·전파) 체계 구축 ? (상황전파) 신고접수 시 정확한 상황파악·보고 및 유관기관 신속 전파, 은평구청 등의 출동·진화정보 관리를 통한 현장정보 수집 및 상황공유 ? (긴급지원) 신속한 산림화재 상황 정보 분석으로 은평구청 등의 적절한 주민대피·경고 및 민가피해 방지를 위한 긴급조치 지원 - 인명 및 시설물 피해 우려 시, 119종합상황실에서 산림청 산불상황실로 헬기출동 요청 ? 산림화재 진압장비 점검 ? 정비 철저 ? (장비보강) 무인항공 드론을 활용한 첨단 산불장비 강화(신규) - 산불화재진압용 드론 및 드론 운반차량 구매 추진 ?드론: 중량 35kg, 25분 비행 ?무진동 특장차 ?에어로졸: 중량 8kg, 진화면적 10㎡ ※ 푸른도시국 예산 재배정액: 142백만원(드론 32백만원, 약제 10백만원, 차량 100백만원) - 산불화재진압용 드론 운용 ⇒ 특수구조단 특수구조대 ? (장비점검) 소방차 등 산림화재 진압용 장비의 점검 및 정비를 철저히 하여 100% 가동상태 유지 - 점검대상 : 산림화재 진압장비 및 보조기구 등 ? 진압장비 : 고압 성능개선 펌프차, CAFS소방차, 동력펌프, 고압호스 등 ? 보조기구 : 불털이개, 등짐펌프 등 ? 기 타 : 수관보관함 적재 장비 ※ 수관보관함 : 4개소(북한산 족두리봉 2, 향로봉 2) ? 잔불진화를 위한 의용소방대 등 민간자원 동원 시 은평구청과 산불진화장비(등짐펌프 등) 현장지원체계 구축 ? (교육·훈련) 고압펌프차, 동력소방펌프, 휴대용펌프 등 첨단 진화장비 및 수관보관함을 활용한 실질적인 교육·훈련 강화 ? 산림화재 진압용 소화용수 확보 ? (급수지 확보) 산림화재 취약지역 갈수기 및 동절기 취수장(담수지)을 사전에 확보하여 산림화재 발생 시 초동진화에 차질 없도록 대비 - 산림내 취수원 확인 및 수관 연장 소방용수 확보방안 강구 ? 계곡, 저수시설 등 소방용수 취수원 확인(현황정비) ? 소방용수 확보 곤란시 소방차(고압펌프차)를 활용한 원거리 송수 - 산림관리기관(구청, 국립공원)에 저수시설 정비 및 설치 요청 ? 산림화재 진압훈련 실시 ? 시 기 : (가을철) 11월 ~ 12월 ? 대 상 : 북한산 주변 및 도심형 산림화재 위험지역(20개소) - 북한산(주요산) : 유관기관 합동 대응훈련 - 도시형 산림화재 위험지역 : 유관기관 합동 대응훈련 또는 현지적응훈련 ※ 기타 산림은 소방서장이 실시 여부 판단(소방서 실정 반영) ? 횟 수 : 기간 중 1회 이상 ? 방 법 : 가상 상황 설정, 돌발상황 부여 방식 - 봄 철 : 고압펌프차 고압호스 연장 원거리 송수 훈련(소요시간 측정 병행) - 가을철 : 가상 상황 설정 유관기관 합동 훈련 ? 훈련 시 착안사항 - 산림화재 진압작전매뉴얼 및 산림지형도 확보, 활용(재정비) - 산불 확산 시 단계별 대응자원 신속 투입에 관한 사항 검토 - 각종 진압장비?기구 및 자원의 효율적 활용 방안 검토 - 산 중 급수유지를 위한 방법 검토(호스연장 및 저수소 파악 등) - 고압펌프차 고압호스 연장 원거리 송수 숙달(소요시간 측정 등 병행) - 산속의 등산로, 지형지물 숙지 및 위험지형 인지 등 안전 교육 - 산림내 건축물·문화재 연소방지 훈련 병행 실시 - 산림화재 발생시 관련기관 역할분담 및 방화선 구축에 관한 사항 - 소방 · 산림 · 군· 경· 문화재 · 지자체 등 유관기관 간 합동훈련 정례화 ? 출동 헬기와 지휘부?지상요원 간 통신체계에 관한 사항 검토 등 ? 산림화재 취약지역 등 시설물 지도 제작·활용 ? 국립공원 등 산림 인접지역의 민가, 도심형 산림화재 위험지역 (20개소/붙임4) 등 시설물 지도 제작·활용 - Daum, Naver 등 포털의 지도 등을 활용, 상황실 및 지휘차량 등에 비치(위치, 가구 수, 진입로, 인근 소화용수, 대표자 비상연락망 등) ? 산림­도시 인접지역 내 위험지역 및 취약시설 관리 강화 ○ 산림화재 위험성 평가를 통해 선정한 도시형 산림화재 위험지역(20개소) 집중 관리 - 산림화재 위험지역은 작은 비화라도 대규모 화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 사전 예방조치 필요 - 특별 순찰구역으로 지정, 예방순찰 실시 - 민가가 있는 지역으로 초기 진화가 중요한 만큼, 신속한 대응을 위한 상황조치 훈련 및 합동훈련 실시 ※ 위험성평가(8개지표):산림화재위험요소(4)+소방환경결정요소(3)+산림화재취약지역정도(1) - 산림화재 위험요소 : ①지리적 여건(산지 면) ② 경사도 ③ 인접지역(산림혼재) ④ 소방대상물(용도) - 소방 환경요소 : ① 소방용수 ② 인접소방서(거리) ③ 접근성(출동로 확보) - 산림화재 취약지역 정도 : ① 산림화재 취약지역 지정 등급(산림과학원 산불취약지도) ○ 산림 인접 요양병원, 주유소 등 산림화재 취약시설 안전 관리 - 화재예방 및 시민 행동요령 홍보 강화, 비상시 우선 대피 안내 등 - 의용소방대원을 동원하여 산림화재 발생 시 출동하여 대피유도 ※ 요양시설은 환자 수 대비 근무 직원이 적어 환자 전원 대피 곤란 대책 3 산림화재 초동진압 및 공조체계 강화 ? 현장지휘관의 신속한 상황판단 및 적절한 진화자원 투입 ? (인명 및 시설물 보호) 산림화재 발생 시 신속한 초기대응 및 민가, 문화재 등 주요시설물 보호에 최우선 - 산림화재 발생시 소방관서장 초기 현장지휘로 확산 방지 - 현장지휘관은 민가 등의 피해예상 시에는 산림화재 진화 우선순위에 따라 모든 소방력을 인명 및 시설물 보호 등에 최우선 투입 ※ (산불진화기관의 임무와 역할에 관한 규정) 인명보호 → 국가기간산업·군사시설 및 문화재 보호 → 가옥 등 재산 보호 → 중요 산림자원 보호 → 산림화재 확산 방지 ? (초동진압) 신고 접수 시 부터 지자체 산불진화대 동시 출동 요청으로 소방력 투입 초동진화 ※ 산림화재 취약지역 시설물 지도 등을 통한 사전 정보파악으로 출동대상(지역) 선정 및 대상물의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진압작전 전개 ? (공조강화) 현장지휘관은 인명 및 시설물 피해 우려 시 119종합상황실에 산림청 및 지자체 임차 헬기, 진화인력 신속 지원 요청 - 산림청 헬기 지원, 헬기와 지상요원 간 상호 통신체계 확인 민가 및 문화재 보호 의용소방대 진화활동 산림헬기의 공중진화 ? 현장 공중정보 공유 및 민가·시설물 긴급방어 조치체계 구축 ? (공중정보 공유) 소방지휘관(소방상황실)이 민가·시설물로의 연소 확산 정보를 요청한 경우 헬기조종사는 그 정보를 통보 ? (긴급방어) 산림화재가 민가·시설물로 확산 우려 시 소방지휘관(소방상황실)은 해당 지역에 긴급주수 등의 조치를 직접 요청 ※ 공중 진화헬기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우선 조치토록 산림청과 旣 협의 ? 소방헬기의 임무와 역할 명확화 ? (임무 명확화) 소방헬기는 민가·시설물 보호에 최우선하여 임무수행, 피해우려가 없을 경우 산림보호를 위한 공중진화에 주력 - 인명피해, 주요 시설물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 우선 - 강풍, 소나무 단순림 지역 등 산림화재 위험도가 높은 지역 우선 ? (정보전파) 소방항공대간 산림지형, 접근성 등에 따른 권역별 광역출동 및 상황공유·전파체계 구축(5개 권역) 및 유·무선 통신망 확보 산림청 지정 공동사용 주파수(주. 122.0MHz, 예비. 127.8MHz) - 지상진화대의 현장지휘관 요청 시 산림헬기 등과의 무선통신 중계 ? 유관기관 공조체제 구축 ? 산림화재 발생시 비상상황 전파 및 합동 상황관리 - 산림내 주민대피 및 경찰?군부대 등 신속한 연락 - 연락관 파견, 기능 및 역할분담, 지휘체계 및 보도 대책 ? 유관기관 비상연락망 확보 및 신속 상황전파로 조기 인력 투입 ? 유관기관 인력 및 소방차 등 우월한 소방력 투입, 초동진압에 주력 ? 산림관리기관과 긴급구조통제단 원활한 의사소통 체계 유지 ? 야간 산림화재 대비 사전대응체계 구축 ? 야간 산림화재 대비태세 강구(야간 이동, 익일 아침 신속투입 작전) ? 동시다발·야간 산림화재 진압 시 주요 조치사항 - 산림화재 확대 연소 시 진압팀 재편성(교대조 포함) 및 장비 재배치 - 현장상황 및 진압대원 안전 수시확인 - 직접진압이 어려울 때는 방화선을 단계적으로 구축 Ⅴ 행정 사항 산불진압용 드론 및 소화약제 구매 ⇒ 재난대응과 산불진압용 드론 이동차량 구매 ⇒ 안전지원과 각 소방서에서는 세부 계획 수립 시행 도심형 산림화재 위험지역(민가표시) 산림 지도 작성 추진(20개소) 가을철 산림화재 진압 및 지원 대책 추진실적 제출〔12. 20.(화) 제출〕 붙임 1. 주요산 현황 1부. 2. 서울시 산불방지 지휘체계도 1부. 3. 전국 소방헬기 현황 1부. 4. 도심형 산림화재 위험지역 1부. 5. 산림화재 취약시설 1부. 6. 수관보관함 현황 1부. 7. 서울시 장비·인력지원 5개 권역 현황 1부. 8. 서울시 산림화재 현장 대응절차 1부. 9. 가을철 산림화재 예방 및 진압 지원대책 추진 실적(서식) 1부. 끝. 【붙임1】 서울시 주요산 현황 시계산(15개 : 면적 83.8㎢) 구분 산 명 면적(㎢) 높이(m) 비 고 구분 산 명 면적(㎢) 높이(m) 비 고 1 북한산 28.3 836 종로4.6,성북4.8 강북10,은평8.9 9 관악산 15.7 629 구로3.4,관악12.3 -과천,안양 2 아차산 1.1 297 광진-구리시 10 와룡산 1.1 137 구로-광명시 3 용마산 2.6 348 중랑-구리시 11 청계산 3.3 618 서초-과천시 4 망우산 0.8 281 중랑-구리시 12 우면산 3.7 293 서초-과천시 5 도봉산 8.6 740 도봉-양주군 13 인능산 3.8 326 서초-성남시 6 불암산 5.3 508 노원-양주군 14 천마산 0.1 142 송파-하남시 7 수락산 6.6 637 노원-양주군 15 봉 산 1.3 209 은 평 8 지향산 1.5 137 양천-부천시 ※ 7개 주요산 : 북한산, 북악산, 도봉산, 관악산, 수락산, 불암산, 청계산 시내산(27개 : 면적 36.74㎢) 구분 산 명 면적(㎢) 높이(m) 비 고 산 명 면적(㎢) 높이(m) 비 고 1 북악산 4.2 342 종로1.9 성북2.3 15 개웅산 1.3 120 구 로 2 인왕산 2.7 338 종로1.7 서대문1.0 16 천왕산 1.0 145 구 로 3 남 산 2.4 262 중부1.4 용산1.0 17 매봉산 0.1 108 구 로 4 매봉산 0.9 174 용산0.7 광진0.2 18 호암산 2.94 380 금 천 5 응봉산 0.1 175 성 동 19 국사봉 0.8 179 동 작 6 대현산 0.1 93 성 동 20 구룡산 3.3 283 서 초 7 배봉산 0.5 105 동대문 21 대모산 3.3 293 서초1.0 강남2.2 8 안 산 2.7 295 서대문 22 일자산 0.4 124 강 동 9 와우산 0.1 101 마 포 23 백련산 1.3 216 은평구 10 노고산 1.0 106 마 포 24 구릉산 1.6 178 중 랑 11 용왕산 0.2 81 양 천 25 봉화산 1.4 159 중 랑 12 우장산 0.3 98 강 서 26 금화산 1.4 205 서대문구 13 개화산 1.4 128 강 서 27 청룡산 0.7 159 관악구 14 봉제산 0.6 93 강 서 28 【붙임2】 산불진화 지휘체계도 중앙산불방지대책본부 산림청(대전종합청사) (주간, 야간) 042-481-4119 (FAX)042-481-4235 서울시 산불방지대책본부 자연생태과(야간:당직실) 주간) 2133-2160 (Fax) 2133-1083 야간) 2133-0001~6 (Fax) 2133-0801 자치구?사업소 산불방지대책본부 공원녹지과, 주관과 (지상진화대, 보조진화대) 진화투입 ↓ 서울산림항공관리소 (김포) 운항관제실 2166-4540 (헬기 5대) 경기도 (임차 헬기 20대) 상황실 3706-1935 산 불 현 장 - 지 휘 - ? 중?소형 : 구청장 ? 대 형 : 시장 ↑ 자원대기소 (지원 장비 및 인력 집결) ※ 서울종합방재센터에서 지정 서울종합방재센터 상황실 737-2071 서울시소방항공대 (헬기 3대) 상황실 3706-1933~4 소방청(별내) (헬기 2대) 상황실 044-205-5119 진화지원 진화투입 공 중 인 력 투 입 헬 기 진 화 공조 헬 기 진 화 소 방 차 투 입 소 방 대 원 투 입 군 ? 경 국립공원관리공단 북한산사무소(940-3743), 도봉사무소도봉분소(954-2566), 북부지방산림청(033-738-6221), 기 타 , 유 관 기 관 등 ※ 산불접수시 유관기관 정보공유 ♧ 소방서 ⇔ 구청?사업소 ♧ 서울종합방재센터 ⇔ 서울시공원녹지국 【붙임3】 전국 소방헬기 현황 전국 소방헬기 : 78대(시도 31대, ) 《중앙119구조단》- 5대 : 전국 지원출동 ?AS365-N2기(야간비행 可, 남양주) ?AS365-N2기(야간비행 可, 대구) ?EC225기(야간비행 可, 남양주) ?EC225기(야간비행 可, 호남) ?EC225기(야간비행 可, 충청,강원) 《서울·경기·인천》- 8대 서울?AS365-N2기(김포) 서울?AS365-N2기(김포) 서울?BELL206L3기(김포) 경기?AW139기(용인) 경기?AS365-N3기(용인) 경기?KA-32T기(용인) 인천?BELL230기(인천) 인천?AW139기(인천) 《강원·대구·경북》- 6대 강원?AW139기(양양) 강원?KA-32T기(양양) 대구?AS350-B2기(대구) 대구?KA-32T기(대구) 경북?KA-32T기(대구) 경북?AS365-N3기(대구) 《대전·충북·충남》- 3대 대전?BK117-C1기(대전) 충북?BK117-C2기(청주) 충남?BK117-B1기(연기) 《광주·전남·전북·제주》- 5대 광주?BK117-B2기(광주) 제주?KUH-1EM기(제주) 전남?BK117-B2기(영암) 전남?BELL430기(영암) 전북?BK117-B2기(완주) 《부산·울산·경남》- 4대 부산?BK117-B2기(해운대) 부산?BK117-B1기(해운대) 울산?KA-32T기(울주) 경남?AS365-N3기(창원) □ 17개 항공대 31대[중구본 5대, 시?도 16개 항공대 26대(대전/경남 임차포함)] 연번 보유 기관 기 종 등록 번호 제작회사 도입 연도 도입 가격 탑승 인원 블랙박스 담수용량(L) 비고 밤비 벨리 1 중앙119 AS-365N2(수도2) HL9451 (프)에어버스 ‘97.01. 37.7억 14명 미장착 - 900 국비 (100%) 2 EC-225?(수도1) HL9472 (프)에어버스 ‘08.12. 459억 28명 장착 - 4,000 3 AS-365N2(영남2) HL9452 (프)에어버스 ‘99.12. 60.9억 14명 미장착 680 - 4 EC-225(호남1) HL9666 (프)에어버스 ‘20.01. 460.1억 28명 장착 2,000 5 EC-225(충강1) HL9665 (프)에어버스 ‘20.06. 28명 장착 2,000 6 서울 AS-365N2 HL9447 (프)에어버스 ‘97.09. 46.4억 14명 미장착 900 - 순지방비 7 AS-365N2 HL9448 (프)에어버스 ‘99.11. 52.1억 14명 미장착 - 900 8 AW-189? HL9639 (이)레오나르도 ‘18.11. 338억 18명 장착 2,000 - 교부세지원 9 부산 AW-139? HL9499 (이)레오나르도 ‘18.03. 230억 17명 장착 1,500 - 교부세지원 10 교체예정 BK-117B2 HL9454 (일)가와사키 ‘97.07. 34.9억 10명 장착불가 700 - 국비지원 11 대구 AW-169 HL9185 (이)레오나르도 ‘19.12. 160억 12명 장착 1,000 - 교부세지원 12 KA-32T HL9446 (러)쿠메르타우 ‘05.12. 66억 18명 장착 1,590 3,000 기금지원 13 교체예정 인천 B-230 HL9408 (미)벨헬리콥터 ‘95.10. 37.4억 8명 장착불가 545 620 순지방비 14 AW-139? HL9277 (이)레오나르도 ‘13.02. 155.8억 17명 장착 1,200 1,800 기금지원 15 교체예정 광주 BK-117B2 HL9450 (일)가와사키 ‘97.05. 34.6억 10명 장착불가 680 670 국비지원 16 대전 BK-117C1 HL9200 (일)가와사키 임차 헬기 (‘21.12.31.까지) 임 차 17 울산 KA-32T HL9407 (러)쿠메르타우 ‘00.12. 54억 18명 장착 - 3,000 국비지원 18 경기 AS-365N3? HL9455 (프)에어버스 ‘01.12. 81억 14명 장착 - 900 순지방비 19 KA-32T HL9456 (러)쿠메르타우 ‘01.02. 63.4억 18명 장착 - 3,000 20 AW-139? HL9485 (이)레오나르도 ‘10.11. 131.8억 17명 장착 1,500 - 기금지원 21 강원 AW-139? HL9476 (이)레오나르도 ‘09.06. 139억 17명 장착 1,500 - 기금지원 22 AW-139? HL9626 (이)레오나르도 ‘17.05. 230억 17명 장착 1,500 - 교부세지원 23 충북 BK-117C2 HL9457 (일)가와사키 ‘05.04. 68.8억 10명 장착 545 800 국비지원 24 충남 AW-139? HL9611 (이)레오나르도 ‘15.12. 185억 17명 장착 1,500 - 기금지원 25 교체예정 전북 BK-117B2 HL9445 (일)가와사키 ‘97.04. 29.7억 10명 장착불가 - 670 국비지원 26 교체예정 전남 BK-117B2 HL9458 (일)가와사키 ‘98.12. 41.1억 10명 장착불가 600 670 국비지원 27 B-430? HL9459 (미)벨헬리콥터 ‘06.01. 70억 10명 장착 600 - 기금지원 28 경북 KA-32T HL9462 (러)쿠메르타우 ‘95.06. 29.5억 18명 장착 - 3,000 순지방비 29 AS-365N3? HL9463 (프)에어버스 ‘06.02. 106억 14명 장착 900 900 기금지원 30 경남 S-76A HL9646 (미)시콜스키 임차 헬기 (‘22.02.28.까지) - 사고 임 차 31 제주 KUH-1EM HL9633 한국항공우주산업 ‘18.05. 252.2억 14명 장착 1,590 2,000 교부세지원 제작사 (7개사) 한국항공 우주산업 (프) 에어버스 (일) 가와사키 (미) 벨헬리콥터 (러) 쿠메르타우 (이) 레오나르도 (미) 시콜스키 기종 (12개 기종) KUH-1 (1대) EC225 (3대) AS365 (6대) BK117B (4대) BK117C (2대) B-230 (1대) B-430 (1대) KA-32T (4대) AW139 (6대) AW169 (1대) AW189 (1대) S-76A (1대) ※연도별: 20년 이상(8대), 15~20년(5대), 구급전용지정헬기(10대) 【붙임8】 도심형 산림화재 위험지역(은평 20개소) 연번 소방서 지 역 위 치 산림 비고 1 종로 종로구 구기동 230-53번지 일대 북한산 2 구기동 207-5번지 일대 북한산 3 구기동 53-1번지 일대 북한산 4 평창동 562-1번지 일대 북한산 5 부암동 95-13번지 일대 북악산 6 평창동 260-23번지 일대 북악산 7 용산 용산구 용산2가동 주민센터 인근 일대 남 산 신설 8 한남동 서울방송고등학교 후문 일대 매봉산 신설 9 성북 성북구 정릉동 산1-1번지 일대 북한산 10 정릉동 955-6번지 일대 북악산 11 성북동 330-115번지 일대 북악산 12 노원 노원구 상계동 1002-2번지 일대 수락산 13 상계동 1205-4번지 일대 수락산 14 상계동 1240번지 일대 수락산 15 상계동 산 152-24번지 일대 수락산 16 중계본동 104번지 일대(정수사길) 불암산 신설 17 중계본동 104번지 일대(정암사길) 불암산 신설 18 은평 은평구 불광동 630-39번지 일대 북한산 19 녹번동 1-54번지 일대 북한산 20 진관동 318-2번지 일대 북한산 신설 21 진관동 335-2번지 일대 북한산 신설 22 진관동 산 109-14번지 일대 북한산 신설 23 진관동 354번지 일대 북한산 신설 24 응암동 34-19번지 일대 백련산 신설 25 응암동 42-5번지 일대 백련산 신설 26 응암동 227-30번지 일대 백련산 신설 27 응암동 242-424번지 일대 백련산 신설 28 진관동 110-13번지 일대 앵봉산 신설 29 갈현동 541-1번지 일대 앵봉산 신설 30 수색동 산 8-154번지 일대 봉 산 신설 31 은평 은평구 역촌동 산 31-1번지 일대 봉 산 신설 32 구산동 산 135-1번지 일대 봉 산 신설 33 증산동 산 24-4번지 일대 봉 산 신설 34 진관동 93번지 일대 북한산 신설 35 진관동 78번지 일대 북한산 신설 36 진관동 산 103-27번지 일대 북한산 신설 37 진관동 산100-23번지 일대 북한산 신설 38 서대문 서대문구 홍은동 8-803번지 일대 북한산 39 관악 관악구 신림동 675-339번지 일대 관악산 40 신림동 316-147번지 일대 관악산 41 서초 서초구 원지동 419-1번지 일대 청계산 42 원지동 280번지 일대 청계산 43 강동 강동구 둔촌동 6-3번지 일대 일자산 44 도봉 도봉구 쌍문동 533-34번지 일대 도봉산 45 방학동 555-1번지 일대 도봉산 46 방학동 423번지 일대 도봉산 47 도봉동 482번지 일대 도봉산 【붙임5】 산림화재 취약시설 연번 구분 대 상 명 위 치 이격거리 (m) 비고 1 요양원 청운실버센터 종로구 자하문로 28길 29 50 북한산 2 요양원 보현데이케어센터 종로구 평창4길 21-22 10 북한산 3 요양원 청운요양원 종로구 비봉길 76 30 북한산 4 위험물시설 대진여객CNG충전소 성북구 보국문로 204 50 북한산 5 요양병원 현인요양병원 강북구 삼각산로20(수유동) 15 북한산 6 요양병원 경희늘푸른 노인전문병원 도봉구 시루봉로 137 50 수락산 7 요양원 도봉실버센터 도봉구 시루봉로 133 50 수락산 8 요양원 방학동노인복지센터 도봉구 시루봉로15라길 59-9 50 수락산 9 요양원 다사랑요양원 도봉구 도봉로191길88-6 50 도봉산 10 요양원 영기노인요양원 노원구 동일로248가길 30 50 수락산 11 요양원 홍파복지원 노원구 동일로248가길 30 50 수락산 12 요양원 홍파양로원 노원구 동일로248가길 30 50 수락산 13 요양원 상계요양원 노원구 동일로242바길 27 20 수락산 14 위험물시설 GS소모석유직영 수락산주유소 노원구 동일로 1772 10 수락산 15 위험물시설 E1-LPG 복지노원충전소 노원구 동일로 1778 10 수락산 16 요양원 시립수락양로원 노원구 동일로250길 44-142 0 수락산 17 요양원 구립서대문 노인전문요양센터 서대문구 홍지문2길 59 50 북한산 【붙임6】 수관보관함 현황(은평4개소) □ 현 황 : 37개 (북한산 19, 개화산 3, 불암산 6, 천마산 1, 수락산 8) (소방서 ? 강북 9, 성북 6, 노원 14, 강서 3, 은평 4, 송파 1) 연번 산 소방서 위 치 적재비품 사 진 1 북한산 강 북 우이남 능선입구 상단 550m 지점 고압수관 25mm 10본 2 북한산 강 북 우이남 능선입구 상단 850m 지점 고압수관 25mm 10본 3 북한산 강 북 인수대피소 하단30m 지점 고압수관 25mm 10본 4 북한산 강 북 인수대피소 상단 200m 지점 고압수관 25mm 10본 5 북한산 강 북 북한산탐방센터 350m 위 고압수관 65mm 10본 고압수관 40mm 10본 6 북한산 강 북 운가암 앞 고압수관 65mm 10본 고압수관 40mm 10본 7 북한산 강 북 운가암 상단 270m 지점 고압수관 25mm 10본 8 북한산 강 북 대동문 하단 700m 지점 고압수관 25mm 10본 9 북한산 강 북 대동문 하단 1,000m 지점 고압수관 25mm 10본 10 북한산 성 북 대성문1(선덕교 부근) 청수2교 → 500m 지점 고압수관 40mm 20본, 관창 40mm 2개, Y형 연결구 1개, +자형 연결구 1개, 체크밸브 40mm 1개, 카플링(65→40) 1개, 지게 1개, 삽 3개, 등짐펌프 1대, 방화복 1벌 연번 산 소방서 위 치 적재비품 사 진 11 북한산 성 북 대성문2(삼봉사 사거리 부근) 청수2교 → 1,000m 지점 고압수관 40mm 20본, 관창 40mm 2개, Y형 연결구 1개, 체크밸브 40mm 1개, 삽 3개, 등짐펌프 1대, 방화복 1벌 12 북한산 성 북 대성문3 쉼터(영취사 하단 200m) 청수2교 → 1,200m 지점 고압수관 25mm 20본, 관창 25mm 2개, Y형 연결구 1개, 삽 3개 13 북한산 성 북 대성문4(영취사 입구)청수2교→ 1,400m 지점 고압수관 25mm 20본, 관창 25mm 2개, 삽 3개 14 북한산 성 북 보국문1(350m) 고압수관 40mm 20본, 관창 40mm 2개, Y형 연결구 1개, 체크밸브 40mm, 삽 3개 15 북한산 성 북 보국문2 쉼터(700m) 고압수관 40mm 20본, 관창 40mm 2개, 삽 3개 16 북한산 은 평 대호아파트에서 족두리봉 방향 450m지점 고압수관 40mm 14본, 25mm 4본, 관창 40mm 2개, 25mm 2개, Y형 연결구 2개, 등짐펌프 2대, 스패너 2개 17 북한산 은 평 진관동산 34번지 향로봉-1 고압호스 65mm 10본, 40m 5본, 관창 25mm 1개, 관창 40mm 1개, Y형연결구 402525 1개, Y형연결구 654040 1개, 전환용 밸브 4025 1개, 등짐펌프 1개, 스패너 1개, 삽 1개, 등지게 1개 18 북한산 은 평 진관동 산 47번지 향로봉 -2 고압호스 40mm 5본, 25mm 10본, 관창 25mm 1개, 관창 40mm 2개, +자형연결구 65654040 1개 Y형연결구 402525 1개, 체크밸브 402525 2개, 등짐펌프 2개, 스패너 1개, 삽 1개, 등지게 1개 19 북한산 은 평 불관동 산 42-1 족두리봉-2 고압수관 40mm 10본 고압수관 25mm 10본 관창 25mm 1개 관창 40mm 2개 +자형연결구 65654040 1개 Y형연결구 402525 1개 체크밸브 402525 2개 등짐펌프 2개, 스패너 1개, 삽 1개, 등지게 1개 20 불암산 노 원 정암사 등산로 입구 고압수관 40mm 9본, 65mm 27본, 25mm 6본, 관창 25mm 1개, 40mm 2개, Y형 연결구 1개, 체크밸브 40mm 2개 65mm 5개, 카플링 2개, 지게 5개, 배낭 5개 21 불암산 노 원 불암산 나비정원 등산로 고압수관 40mm 13본, 65mm 23본, 25mm 6본, 관창 25mm 1개, 40mm 2개, Y형 연결구 1개, 체크밸브 40mm 3개, 65mm 4개, 카플링 2개, 지게 5개, 배낭 5개 22 불암산 노 원 칠성암 입구 고압수관 65mm 5본, 고압수관40mm 28본, 관창65mm 1개, 관창40mm 1개, Y카플링(65->40) 5개 23 불암산 노 원 천보사 입구 고압수관 65mm 10본, 고압수관40mm 13본, 관창 65mm 2개, 관창40mm 1개, Y카플링(65->40) 2개, 전환카플링(65->40) 2개, 전환카플링(40->25) 1개 24 불암산 노 원 돌다방쉼터 고압수관 65mm 7본, 고압수관40mm 5본, 관창 65mm 1개, 관창40mm 1개, Y카플링(65->40) 2개, 전환카플링(65->40) 1개, 전환카플링(40->25) 1개 25 불암산 노 원 학도암 주차장 고압수관 65mm 8본, 고압수관40mm 5본, 관창 65mm 2개, 관창40mm 1개, Y카플링(65->40) 2개, 전환카플링(65->40) 2개, 전환카플링(40->25) 1개 26 수락산 노 원 염불사 등산로 입구 고압수관 40mm 44본, 65mm 44본, 25mm 12본, 관창 25mm 2개, 65mm 4개, Y형 연결구 3개, 체크밸브 40mm 8개, 65mm 8개, 카플링 3개, 지게 5개, 배낭 5개 27 수락산 노 원 개울골 능선 고압수관 65mm 10본, 고압수관40mm 5본, 관창 65mm 2개, 관창40mm 1개, Y카플링(65->40) 2개, 전환카플링(65->40) 2개, 전환카플링(40->25) 1개 28 수락산 노 원 새광장 고압수관 40mm 10본, 관창65mm 1개, 관창 40mm 2개, Y카플링(65->40) 4개, 전환카플링(65->40) 1개, 전환카플링(40->25) 2개 29 수락산 노 원 노원골 약수터 상부 고압수관 65mm 25본, 고압수관40mm 5본, 관창 65mm 1개, 관창40mm 2개, Y카플링(65->40) 4개, 전환카플링(65->40) 1개, 전환카플링(40->25) 2개 30 수락산 노 원 노원골 약수터 최상부 고압수관 65mm 10본, 고압수관40mm 5본, 관창 65mm 1개, 관창40mm 1개, Y카플링(65->40) 4개, 전환카플링(65->40) 2개, 전환카플링(40->25) 2개 31 수락산 노 원 신상계초교 뒤 고압수관 65mm 5본, 고압수관40mm 27본, 관창 65mm 1개, 관창 40mm 1개, Y카플링(65->40) 5개, 전환카플링(65->40) 1개 32 수락산 노 원 귀임봉 능선 고압수관 40mm 12본, 관창 65mm 1개, 관창 40mm 2개, Y카플링(65->40) 4개, 전환카플링(65->40) 1개, 전환카플링(40->25) 2개 33 수락산 노 원 도안사 상부 고압수관 65mm 10본, 고압수관40mm 5본, 관창 65mm 1개, 관창40mm 1개, Y카플링(65->40) 2개, 전환카플링(65->40) 1개, 전환카플링(40->25) 1개 34 개화산 강 서 개화산 근린공원 가로등 15번 수관 65mm 6본 35 개화산 강 서 개화산 근린공원 가로등 24번 수관 65mm 6본 36 개화산 강 서 개화산 근린공원 가로등 33번 수관 65mm 6본 37 천마산 송 파 파크데일@ 옆길 등산로 180m 지점 고압수관 40mm 8본, 25mm 6본, 관창 2개, Y형 연결구 1개, 체크밸브 2개, 카플링 2개, 삽 1개, 등짐펌프 2대 【붙임7】 서울시 권역별 장비·인력지원 계획 □ 지원개요 ○ 동시다발 및 산불이 확산되는 경우 권역별 장비·인력 등 상호 지원하여 초기 진화 등 적극 대처 □ 지원대상 ○ 장 비 : 개인진화장비(등짐펌프, 삽, 칼퀴 등), 무전기, 기계화시스템, 산불차량 등 ○ 인 력 :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 산불감시보조원 등 □ 지원방법 ○ 서울시 판단 → 구·사업소 권역별로 해당기관에 장비·인력 지원 □ 권역별 대상기관 연번 권역별 대 상 기 관(자치구) 1 서북권 종로, 은평, 서대문, 마포, 서부공원녹지사업소 2 서남권 구로, 강서, 양천, 동작, 관악, 금천, 동부공원녹지사업소 3 동북권 도봉, 노원, 강북, 성북, 중랑, 광진 4 동남권 강동, 서초, 강남, 송파, 서울대공원 5 중부권 중구, 용산, 동대문, 성동, 중부공원녹지사업소 【붙임8】 서울특별시 산불 재난현장 대응 절차서 서울형 산불 특성과 실질적 현장지휘체계를 고려하여 신속한 산불 대응으로 시민의 인명 및 재산피해와 생활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절차 임 1. 신고접수 : 종합방재센터 ? 도시산불 특성 고려 현장출동 소방력 조정·운영 ? 신고정보(시간 · 장소 · 내용 · 상황) 확인 전파 ? 소방안전지도 활용 기상정보(풍속 · 풍향 · 기온 · 습도) 확인 전파 ? 방면별 산불진압용 고압 펌프차 포함 출동 및 헬기(소방·산림) 출동 지령 ? 소방안전지도 활용 현장지휘관에 의해 지정된 자원대기소 위치 확인·조정 ? 산불 신고상황(국소적인지, 동시다발적인지) 분석 → 출동소방력 조정 ? 관련 대응기관(시장단, 푸른도시국, 관할 자치구, 경찰, 군부대 등) 통보 ? 추가출동대 등 모든 자원 → 지정 자원대기소(or 자원집결지)로 집결토록 통보 2. 출동단계 : 현장지휘관 ? 현장확인 · 출동대별 임무지시 · 자원대기소 운영 ? 소방안전지도 활용 긴급 출동로 및 진입로 결정 지시 ? 선착대 및 지휘팀장 산불 현장 先 진입 및 확인 후착대 임무 대기 ? 추가출동 대비 효율적 자원관리를 위한 자원대기소 지정 및 자원대기소장 지정 ? 자원대기소장에게 산불현장 진입로 차량 통제 및 대기 자원 파악 및 운용 ? 인근 주 등산로 이용 고압 펌프차 전진배치 및 소화용수(탱크차) 확보 지시 ? 추가 출동대, 관련기관의 모든 자원 자원대기소(or 자원집결지) 집결 지시 3. 자원대기소 운영 : 현장지휘관 ? (소규모 산불) 산불진압 출동단계부터 효율적 자원관리를 위해 반드시 추가 출동대 및 타 기관 자원 등 모든 자원이 집결할 수 있는 장소 지정·운영 ? 산불 현장 인근 넓은 공터, 대형 주차장, 학교, 관공서, 차량통행에 지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도로 등 상황에 따라 지정 · 운영 (반드시 자원대기소장 지정) ? (대규모 또는 동시다발적 산불) 지형 · 규모 등 현장상황을 판단, 모든 현장자원이 집결할 수 있는 장소 1개소를 자원대기소로 지정(필요시 자원집결지)하거나 넓은 지역 또는 여러 장소에서 발생한 산불일 경우 지역 · 구역별로 분산 집결할 수 있도록 지정 → 지역 · 구역별 전진지휘소에 자원이 투입될 수 있도록 분산 운영 ? (종합방재센터) 관련기관에 소속된 인원 및 장비 등 모든 자원이 자원대기소에 집결 할 수 있도록 위치 제공 및 현장지휘관(자원대기소장)이 요청하는 필요장비 파악 통보 4. 현장도착 : 현장지휘관 ? 산불진행 상황파악 후 출동자원 조정·비상단계 결정 ? 전략개발 : 상황파악 → 우선순위 결정 → 전략 · 전술 개발 → 임무부여(부대편성) → 추가 출동대 및 관계기관 지원 요청 ? 산불위치(산림명 → ○부 능선 → 해발 ○○m지점) ? 산불형태(지표화, 수관화, 지중화, 비산화) ? 바람 세기 · 방향, 체감정도 ? 산불진행방향(소방안전지도 확인 후 판단·결정) ① 인명보호 ② 국가기간산업시설, 군사시설 및 문화재의 보호 ③ 가옥 등 재산 보호 ④ 중요 산림자원의 보호 ⑤ 산불확산방지 ? 우선순위 결정 ? 우선순위에 따른 부대 편성 : 자원대기소장으로 부터 대기자원 파악 후 편성 ? 비상발령 검토 : 화재규모 및 대응여건 등에 따라 긴급구조통제단 대응단계 검토 5. 부대편성(소규모 산불) : 긴급구조지휘대 운영 현장지휘관은 소방, 구청, 경찰, 군, 산림, 공단 등 산불진화에 동원된 긴급구조 지원기관의 인력을 분산하여 배치할 것을 협의ㆍ조치 긴급구조지휘대 현장지휘대장 통합현장지휘소 현장안전 공중진화대 무선통제 구청·경찰·군 조사감식 임시 응급의료소 자원대기소 (A)전진지휘소 (지상진화대) (B)전진지휘소 (지상진화대) 구조대 선착 구급대장 안전센터장 안전센터장 안전센터장 구조대장 ① 응급의료소 ① 자원관리 ① 산불진화 ① 산불진화 ① 진화선 구축 ② 이송대기소 ② 차량통제 ② 진화선구축 ② 진화선구축 ②비상수조구축 ③ 사상자 관리 ③ 용수확보 ③ 잔불진화 ③ 진불진화 ③ 실종자 수색 6. 부대 편성(대규모 or 동시 다발 산불) : 긴급구조통제단 운영 ? 관할 긴급구조통제단을 구성·운영하며, 효율적 자원관리를 위한 자원대기소 운영하여야 하고, 산불의 장기화에 대비한 자원집결지를 운영할 수 있음 ? 지역·구역별 전진지휘소를 설치하여 방면지휘를 할 수 있으며 전진지휘소의 원활한 자원공급을 위해 전진지휘소 별 자원대기소를 운영할 수 있음 ? 인근 대형화재로 인한 긴급구조통제단 운영 중 비화로 산불발생 시 통제단장은 신속한 산불진화를 위해 소속 간부중 1인을 지정, 산불현장지휘를 하게 하여야 함 대응2단계 발령으로 방면지휘본부장이 지휘하거나, 대응3단계 발령으로 소방재 난본부장이 긴급구조통제단장인 경우 출동한 방면 소속 소방서장을 방면지휘관 으로 지정하여 산불현장지휘를 하게 할 수 있음. □ 긴급구조통제단(현장지휘대) : (A) (B) (C) (D) 전진지휘소 및 항공통제반·응급의료소 운영 ① (A)방면 : (A) 전진지휘소(자원대기소) - ⓐ ⓑ ⓒ 지상진화대 ② (B)방면 : (B) 전진지휘소(자원대기소) - ⓐ ⓑ ⓒ 지상진화대 ③ (C)방면 : (C) 전진지휘소(자원대기소) - ⓐ ⓑ ⓒ 지상진화대 ④ 방 호 : (D) 진진지휘소 - ⓐ ⓑ ⓒ 지상진화대(문화재, 가옥, 주택 방호ㆍ경계) 참 고 1 산불 대응조직체계(긴급구조통제단) 재난안전대책본부 긴급구조통제단 Incident Command System 통제단장 市 긴급구조지휘대 구청 통 지 본 통합 지휘소 대응 계획부 경찰 지 휘 소 Staff (총괄 지휘부) 긴급 복구부 군 지휘소 자원 지원부 민간 지 휘 소 현장지휘대 현장지휘대장 자원집결지 항공통제반 현장안전통제담당 무선통제정보담당 공중진화대 재난조사감식담당 응급의료소 자원대기소 (A) 전진지휘소 (B) 전진지휘소 보건소장 지정 자원대기소장 안전센터장 (C) 전진지휘소 보건소장 자원대기소장 구조대장 진압대(팀)장 (C) 전진지휘소 ① 응급의료소 ① 자원집결지 ① 진화선 구축 ① 지상진화대 (D) 전진지휘소 ② 이송대기소 ② 자원관리 ② 비상수조구축 ② 지상진화대 (E) 전진지휘소 ③ 용수확보 ③ 실종자 수색 ③ 지상진화대 (F) 전진지휘소 □ 지상진화대 1조별 인원편성 구분 소방 경찰 군 구청?민간 진압 구조 1개 조별 10명 10명 20명 20명 20명 등반임무 장비운반 호스운반 장비운반 호스운반 장비운반 호스운반 장비운반 호스운반 장비운반 호스운반 현장임무 화측 화재진압 화측 화재진압 화측 화재진압 화측 화재진압 화측 화재진압 참 고 2 산불 대응절차 산불감시 산불발생 종합방재센터 상황전파 현장출동 VHF 122.0 항공출동 TRS 지상출동 현장도착 UHF 2 긴급구조통제단 (긴급구조지휘대) 자원집결 / 임무부여 자원대기소 자원집결지 합동화재조사 언론브리핑 응급의료소 현장민원소 통합지원본부 용수확보 도보출동 산림 지휘소 민간 지휘소 현장도착 소방헬기 항공통제 전진지휘소 경계활동 전진지휘소 산불진화 전진지휘소 방호활동 전진지휘 호스연장, 장비운반 화재진압 주불진화(초진) ◀ 산불진압 진화선 비상수조 잔불진화(완진) ◀ 잔불정리 잔불정리 일몰귀대 진화완료(집결) ◀ 집결보고 집결보고 지휘권 이양 현장철수 현장철수 자치구 뒷불감시 순찰감시 순찰감시 감시종료 산불감시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 결재문서본문.hwpx (2.59 MB)

      PDF다운로드 원문다운로드

  • 78.(은평) 2022년 가을철 산림화재 예방 및 진압 지원대책 추진실적.xlsx

    비공개 문서

문서 정보

2022년 가을철 산림화재 예방 및 진압 지원대책 추진 계획 보고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은평소방서 재난관리과
문서번호 재난관리과-24492 생산일자 2022-10-26
공개구분 부분공개 보존기간 5년
작성자(전화번호) 오정휴 (02-6981-6041) 관리번호 D0000046522534
분류정보 행정 > 일반행정지원 > 과공통일반사무 > 보안및비상대비(서무) > 비상대비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