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2022년 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사업계획

문서번호 건강증진과-3804 결재일자 2022. 3. 3. 공개여부 부분공개(5) 방침번호 시 민 ★주무관 가족건강팀장 건강증진과장 시민건강국장 안미은 김형숙 함형희 03/03 박유미 협 조 주무관 이복남 “건강한 미래를 위한 공평한 출발” 2022년 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사업 계획 2022. 3. 시민건강국 (건강증진과) 목 차 Ⅰ. 추진근거 1 Ⅱ. 추진배경 1 Ⅲ. 현 황 2 Ⅳ. 2021년 추진실적 4 Ⅴ. 사업수행체계 및 추진방향 7 Ⅵ. 2022년 추진계획 8 Ⅶ. 세부추진계획 8 Ⅷ. 맞춤형 홍보 강화 11 Ⅸ. 평가계획 11 Ⅹ. 소요예산 12 ?. 추진일정 13 ?. 기대효과 13 “건강한 미래를 위한 공평한 출발” 2022년 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사업 임신부터 출산한 아기가 만2세가 될 때까지 영유아 건강간호사의 체계적인 방문건강관리를 통해 위험요인을 조기에 발견 치료하여,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 발달을 돕고 평생 건강을 도모하기 위함 Ⅰ 추 진 근 거 ?? 모자보건법 제3조(국가와 지방단체의 책임), 제10조(임산부·영유아· 미숙아등의 건강관리 등) ??『건강서울 36.5』프로젝트(시장방침 제313호 ‘12.10.11.) ○ 임신부터 2세까지 영유아의 건강상태를 종합관리하여 평생 건강 도모 ?? 서울특별시 행정사무의 민간위탁에 관한 조례 Ⅱ 추 진 배 경 ?? 선진국의 건강 형평 정책 및 개입 프로그램을 다룬 주요 보고서에 의하면 산전·아동기에 대한 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WHO <한 세대 안에 격차 줄이기> 보고서(2008) 특히 임산부 영유아 대상, 지속적 가정방문 프로그램을 적극 제시 영국 <공평한 사회, 건강한 삶> 보고서(2010) 하고 있음 ?? 우리나라의 경우, 기존 산전 조기아동기 프로그램과 관련한 모자보건 사업은 체계적 건강발달 프로그램이라기보다는 임산부, 영유아 등 개별적 접근 및 취약계층 위주의 의료비 지원사업에 국한되어 왔음 ?? ’12년「서울시 건강 격차 해소를 위한 보건정책 방안 연구」결과, 건강격차 해소 사업 중 ‘3대 주요 핵심사업’으로 선정되어, 효과성이 입증된 미국보건부 조기 아동기 가정방문 프로그램 효과성 리뷰(Home Visiting Evidence of Effectiveness, HomVEE)결과 전세계적으로 효과성이 인정된 20개의 프로그램에 속함 선진국의 산전조기아동기 건강발달 프로그램(Maternal Early Childhood Sustained Home-visiting, MECSH)을 도입 추진하게 됨 ?? ’13년부터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20년부터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되어 건강 불평등을 완화하고 저출산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수 있는 사업으로 점차 정착되어 가고 있음 ?? ’20년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하여 가정방문에 제한적인 상황이지만, 가정 방문의 필요성이 감소한 것은 아니며, 오히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고립, 양육 스트레스의 증가는 아동학대의 위험을 높임으로서, 산전? 아동기 가정방문의 필요성을 증가시키고 있음 Ⅲ 현 황 ?? 인구현황 (단위 : 명, %) 구 분 전 체 여 성 ① 가임여성 (15~49세) ② 영유아 (0~5세) 사업대상 (①+②) 인구 비율 인구 비율 인구 비율 인구 비율 서울시 9,509,458 4,891,418 51.4 2,395,110 25.2 307,525 3.2 2,702,635 28.4 전 국 51,638,809 25,892,125 50.1 11,561,200 22.4 1,943,208 3.8 13,504,408 26.2 ※자료원 :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2021년 12월 ○ 서울시의 가임여성인구 비율은 25.2%로 전국(22.4%)보다 높고, 영유아 비율은 3.2%로 전국(3.8%)보다 낮게 나타남. ○ 가임여성 및 영유아 인구는 전체 인구의 28.4%로 해당 인구 통합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필요 ?? 출생아수, 합계 출산율, 조(粗)출생률 현황 (단위 : 명, %) 항목 구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서울시 전국 서울시 전국 서울시 전국 서울시 전국 서울시 전국 출생아수 47,445 272,337 53,673 302,676 58,074 326,822 65,389 357,771 75,536 406,243 전년 대비 증감수 -6,228 -30,339 -4,401 -24,146 -7,315 -30,949 -10,147 -48,472 -7,469 -32,177 증감률 -11.6 -10.0 -7.6 -7.8 -7.2 -8.7 -13.4 -11.9 -8.9 -7.3 합계출산율 0.64 0.84 0.72 0.92 0.72 0.92 0.76 0.98 0.84 1.05 조 출생률 5.0 5.3 5.6 5.9 5.6 5.9 6.0 6.4 6.7 7.0 ※자료원: 출생아수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출생률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 전국과 서울시의 출생아수는 지속적으로 급격한 감소를 보이고 있음 - ’20년 서울시의 출생아수 47,445명으로 전년(53,673명) 대비 11.6%(6,228명)감소 - ’16년 75,536명 → ’20년 47,445명(최근 5년간 37.2% 감소) ○ 합계출산율 0.64명으로 전년(0.72명)보다 0.08명 감소 ○ 조(粗)출생률 5.0명으로 전년(5.6명)보다 0.6명 감소 (단위 : 명) ?? 2021년 전국 시도별 합계출산율 (단위 : %) ○ 2021년 전년대비 모든 시도에서 합계출산율이 감소 ○ 합계출산율은 서울(0.64명)이 가장 낮고, 세종(1.28명)이 가장 높음 Ⅳ 2021년 추진실적 ?? 2021년 추진실적 ○ ’21년 가정방문 건강관리 실적 (단위 : 명, %) ※ 출생아수는 전년도 수 ○ ’21년 자치구별 보편방문 도달률(’20년 출생아수 기준) ○ ’21년 자치구별 지속방문 건수 ?? 문제점 및 개선방안 Ⅴ 사업 운영체계 및 추진방향 ?? 사업 운영체계 ○ 서울시 : 사업지침 개발, 예산 확보, 지원단 운영(민간위탁) 등 ○ 자치구 : 인력채용, 임산부 등록, 산모 및 신생아 가정방문 실시 ○ 지원단 : 인력 전문교육, 사업 모니터링, 교육자료 개발 등 (민간위탁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추진방향 구 분 2022년 추진 방향 서울시 ?방문인력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역량교육 지속(기초?심화 교육) ?사업정착에 따른 사업성과 평가 연구 시행 ?사업확산을 위한 홍보강화 ?보건복지부 생애초기 건강관리 시범 사업 참여 25개 자치구 ?방문인력의 정규직 확보, 업무지원 및 연계 강화 ?보편방문과 지속방문 수행 확보 ?방문인력·관리자·담당자 교육프로그램 적극 참여 ?대상자 및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 발굴·지원 ?코로나19 일상회복 추진 시 대상자 직접 가정 방문프로그램 적극 추진 지원단 ?신규인력 기초교육을 위한 동영상 교육프로그램 실시 ?사업수행을 위한 교육지원 및 교육자료 보완 제작 ?임상심리지원서비스의 제공 ?사업 모니터링 및 평가로 환류체계 확립 Ⅵ 2022년 추진계획 ?? 추진개요 ○ 사업대상 : 임산부 및 만2세 미만 영유아 ○ 사업기간 : 연중 ○ 내 용 : 영유아건강간호사에 의한 가정방문 건강관리 제공 ○ 방 법 - 보편방문 : 출산가정의 산모 및 신생아 대상. 출산 후 4주 이내 1회 방문 - 지속방문 : 고위험 가구 임산부 및 만2세 미만 영유아 대상으로 25회 방문 ?? ’22년 사업 목표 Ⅶ 세부추진계획 1. 사업 대상 지역과 인력 중장기적 확보 ?? 대 상 : 서울시 25개구 ?? 방문인력 : 총 100명(일반직 16, 무기계약직 78, 시간선택제임기제 6) ○ 사업지속성을 위해 단계적으로 시간선택제 임기제로 전환 ?? 인건비 지원 : 일반직 75%, 무기계약직 100% 2. 사업 시스템 보완 및 사용 효율성 제고 ?? 목 적 : 사업 과정과 내용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시스템 강화 및 서비스 신청을 위한 사용자 편의성 제고 ○ 서울시 임신출산 정보센터(https://seoul-agi.seoul.go.kr) - 임산부 등록, 사업신청, 사업접수 ○ 서울아기 건강 첫걸음(http://ourbaby.seoul.kr) - 프로그램 안내, 엄마모임 안내 ○ 생활복지정보통합시스템 : 사업실적 관리, 충실도 지표 3. 보건복지부 생애초기 건강관리 시범사업 참여 ?? 사업대상 : 강북구(’21년 시범사업 신청) ?? 사업기간 : ’22. 1. 1. ~ 12. 31. ○「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사업」이 기초가 되어 전국단위 시범사업으로 2020년부터 시행 중 → 2021년부터 강북구 참여 ○ 전국사업의 모델로서 참여할 인력에 대한 실습, 슈퍼비전 등 서울시 협조 ○ 임신부 등록평가 방법, 인력구성, 사업지원 방안 등 경험공유 4. 서울형 프로그램의 정착을 위한 사업 지원단 운영(민간위탁) ?? 위탁개요 ○ 수탁기관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예 산 : 2억원 ○ 위탁기간 : ’21. 7. 30. ~ ’23. 12. 31.(2년 5개월) ○ 위탁사무내용 - 서울형 산전·아동기 건강발달 프로그램 개발 운영 - 가정방문 전문인력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전반 - 사업 매뉴얼, 부모교육 자료 등 개발, 데이터 시스템 구축 - 자치구 확산에 따른 기술지원 및 모니터링 체계 구축, 효과성 평가 등 ○ 민간위탁 지도점검 : 7월, 12월중 (※별도 시행계획 수립) ?? 지원단 교육과정 운영 내용 ○ 대 상 : ’22년「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사업」추진 자치구 실무 인력 ○ 기 간 : 연중 ○ 장 소 :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의과대학, 본청 회의실 등 ○ 방 법 : 코로나19로 인한 동영상 교육, 실습-집체교육 ○ 강 사 : 사업 지원단 교수진 및 해당분야 전문가 ○ 과정 및 내용 구분 기본교육과정 심화교육과정 보건소 관계자 사회복지업무 교육 대상 신규 방문인력, 담당 주무관 신규 방문인력, 담당 주무관 담당(모성실),관리자 선도보건소 전담인력 내용 ·임신과 출산, 임산부 및 · 영유아 건강관리, 모유수유 ·정신건강,신생아/영아돌보기 ·가족파트너쉽모델 교육 ·사업개요, 보건소 사업 등 160시간 이상 ·보편/지속방문 사례관리 ·자람통 교육 ·산후우울 및 자살예방 ·가정/아동 (성)폭력 교육 ·아이와 의사소통 등 160시간 이상 ·사업의 개요, 추진방향, ·산전-아동기 건강관리 중요성 ·사업 수행 및 실적관리 ·임산부 등록평가 절차 및 실무 ·가족의 생태학적 접근법 ·심리사회적 지원 역량 강화 ·산모우울, 자살사고 대처 ·아동학대와 가정폭력 대처 ·도구적 지원/심리지원 ?? 프로그램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다양한 교육자료 제작 ○ 사업 지침서 보안 및 내용 추가 - 사업 지침서 : 임부등록, 지속방문, 엄마모임, 데이터 관리 등 내용보안 - 산후 2차, 3차 보편방문서비스 도입을 위한 지침 개선 및 가정폭력 대응 지침 추가 ○ 가정폭력 및 가족파트너십모델 관련 교육자료 활용하도록 추진 ○ 자람통 교육자료 개선 및 동영상 교육자료 개발 계획 추진 ○ 10차년도 사업 결과보고서 제작 배포 ?? 무작위대조연구 참여 보건소(5개소) 사업인력 교육 ○ 대 상 : 무작위대조연구 개별 참여 사업 인력(도봉구, 마포구, 동작구, 은평구, 강서구) ○ 기 간 : 2022. 3월 ~ 5월 ○ 장 소 :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의과대학, 본청 회의실 등 ○ 내 용 : 무작위대조연구 내용, 사업지침, 모유수유, 산모우울 대응방안 등 ○ 강 사 : 사업 지원단 교수진 및 해당분야 전문가 ?? 사업 모니터링 ○ 기 간 : 연중 ○ 대 상 : 보편방문, 지속방문 서비스를 제공받은 가구원 ○ 방 법 : 지속방문과 보편방문 서비스 종료 후 모바일로 만족도 조사 실시 ○ 내 용 : 임부등록 평가, 만족도조사, 산모역량 평가 등 Ⅷ 맞춤형 홍보 강화 ?? 서울시 임신·출산 정보센터 홍보 활성화로 등록신청 강화 ○ 언론 캠페인, 온라인 서비스, 보도자료, 영상물 배포 등 ?? 서울아기 건강첫걸음 홈페이지 및 보편방문 동영상 홍보 강화 ※ 코로나19 확산 추이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 Ⅸ 평 가 계 획 ?? 평가시기 및 내용 ○ 사업실적 (정량)평가 - 시 기 : 월별, 연말 - 방 법 : 생활복지통합정보시스템 활용 - 내 용 : 임부등록 평가, 보편 및 지속 방문실적, 지역연계서비스 실적 등 ○ 만족도조사(Parent Satisfaction Questionnaire) - 시 기 : 보편방문(매월), 지속방문(6~8주, 12개월, 24개월, 퇴록시) - 방 법 : 스마트폰 활용, 보편/지속 방문 대상자 만족도 조사 - 내 용 : 의사소통수준, 일반적만족도, 대응매너, 시간의 적정성, 접근용이성 ○ 산모역량평가(Patient Enablement Instrument) 및 질적면접조사 - 시 기 : 방문 시점별(6~8주, 12개월, 24개월, 퇴록시) - 방 법 : 지속방문 대상 산모역량평가 및 엄마되기(Being a Mother) 설문 - 내 용 : 아기와의 친밀도, 본인의 경험, 아기와의 경험 등 13개문항 ○ 사업 충실도 평가(fidelity indicators) - 시 기 : 연 중 - 방 법 : MECSH 프로그램 충실도 지표 활용 평가(생복통 활용) - 내 용 : 임산부 등록평가율, 보편방문율, 지속방문 시기 및 유지, 가족의 참여, 파트너십 만족도 결과, 방문인력의 교육이수 등 Ⅹ 소 요 예 산 ?? 소요예산 : 5,451,831천원(시비 100%) ※공무직 임금협약 및 단체협약 기준 급여 상향(2021년 대비 예산 3% 증가) ?? 세부산출내역 (단위 : 천원) 세부사업 예산과목(통계목) 예산액 산출내역 비 고 ?? 예산과목 ○ 시민건강국 건강증진과, 시민건강수준향상, 노인 모자보건 서비스 확충, 서울아기건강첫걸음사업 ? 추 진 일 정 세부추진일정 월별일정 1 2 3 4 5 6 7 8 9 10 11 12 사업계획 수립 신규인력 기본교육과정 운영 기존인력 심화교육과정 운영 자치구 관리자 및 사업 담당자 교육 서울시, 자치구, 지원단 통합 실무회의 교육담당 간호사 양성 및 활용 자치구 기술지원 및 모니터링 자치구별 사례회의, 권역별 사례회의 민간위탁 기관 지도·점검 사업 최종보고회 ? 기 대 효 과 ?? 우리나라 모자보건사업의 패러다임 전환과 모형제시 및 효과적인 공공 서비스제공으로 시정 신뢰도 향상 ?? 실질적인 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부모의 양육 역량을 강화하고 아동의 건강발달 증진으로 ‘건강한 미래를 위한 공평한 출발’ 실현. 붙임 1. 지원단 실적(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2. 자치구 운영 매뉴얼. 끝.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 결재문서본문.hwpx (361.45 KB)

      PDF다운로드 원문다운로드

  • 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지원단 실적.hwpx

    비공개 문서

  • 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사업 자치구 메뉴얼.hwpx

    비공개 문서

문서 정보

2022년 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사업계획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시민건강국 건강증진과
문서번호 건강증진과-3804 생산일자 2022-03-03
공개구분 부분공개 보존기간 5년
작성자(전화번호) 안미은 관리번호 D0000044864454
분류정보 건강 > 지역보건 > 건강증진관리 > 건강증진사업수행 > 임산부영유아가정방문건강관리사업운영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