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 | HWPX 파일은 공공 및 민간 분야 문서에 대한 개방성 확보를 위해 ㈜한글과컴퓨터에서 만든 XML 기반의 개방형 파일 형식이며, 서울시 결재문서는 개방형 파일인 hwpx로 생산되고 있습니다. |
○ | 서울정보소통광장에서 결재문서 열람 시 HWPX 파일이 열리지 않는 경우, 한컴오피스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사용 프로그램 버전에 따라 해당 제품을 업데이트 하거나, 프로그램이 없는 경우 뷰어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열람하시기 바랍니다. |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기본계획』’22년 사업별 실행계획
문서번호 자치행정과-3746 결재일자 2022. 2. 22. 공개여부 부분공개(5) 방침번호 시 민 주무관 동혁신팀장 자치행정과장 행정국장 김현정 공미순 강석 02/22 김상한 협 조 양성평등정책담당관 강지현 아이돌봄담당관 김연주 복지정책과장 하영태 지역돌봄복지과장 안현민 보건의료정책과장 윤보영 건강증진과장 함형희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기본계획』 ’22년 사업별 실행계획 2022. 2. 행 정 국 (자치행정과) 목 차 Ⅰ. 사업별 실행계획 주관부서 1 Ⅱ. 「찾·동 기본계획」’22년 사업별 실행계획 4 지역문제에 대한 주민결정권 강화 ① 우리동네주무관 활동 지원 8 ②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안정적 추진·재정비 10 ③ 찾동 주민생태계 강화 12 3-1. 복지공동체-빈곤취약 돌봄 13 3-2. 복지공동체-양육 및 여성안전지원 16 3-3. 건강공동체-건강소모임, 건강리더 20 지역 사회보장체계 강화 ④ 복지사각지대 발굴 및 지원 강화 23 ⑤ 보편 방문 운영 27 ⑥ 방문인력 안전관리 31 ⑦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 제도 추진 35 ⑧ 서울형 기초보장 제도 추진 39 ⑨「돌봄 SOS 센터」운영 42 (학대·폭력) 소나무 센터(위기가정 통합지원센터) 운영 45 정신건강관리 지원체계 강화 50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지원 55 찾동 추진기반 강화 찾동 행정추진체계 개선 59 찾동 인력 관리 60 분야별 자체 모니터링 운영 61 찾동 추진주체 현장대응력 및 역량 강화 63 Ⅰ. 사업별 실행계획 주관부서 ?? ’22년『찾아가는 동주민센터』사업별 실행계획 및 주관부서 실행계획 사업 주관부서 지역문제에 대한 주민결정권 강화 ① 우리동네주무관 활동 지원 자치행정과 ②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안정적 추진·재정비 자치행정과 ③ 찾동 주민생태계 강화 3-1. 복지공동체-빈곤취약 돌봄 지역돌봄복지과 3-2. 복지공동체-양육 및 여성안전지원 (총괄) 양성평등정책담당관 아이돌봄담당관 3-3. 건강공동체-건강소모임, 건강리더 건강증진과 지역 사회보장체계 강화 ④ 복지사각지대 발굴 및 지원 강화 지역돌봄복지과 ⑤ 보편방문 운영 (총괄) 지역돌봄복지과 양성평등정책담당관 건강증진과 ⑥ 방문인력 안전관리 (총괄) 지역돌봄복지과 양성평등정책담당관 자치행정과 ⑦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 제도 추진 지역돌봄복지과 ⑧ 서울형 기초보장 제도 추진 복지정책과 ⑨「돌봄SOS센터」운영 지역돌봄복지과 (학대·폭력)소나무 센터(위기가정 통합지원센터)운영 지역돌봄복지과 양성평등정책담당관 정신건강관리 지원체계 강화 보건의료정책과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지원 지역돌봄복지과 찾동 추진기반 강화 찾동 행정 추진체계 개선 자치행정과 찾동 인력 관리 자치행정과 분야별 자체 모니터링 운영 (총괄) 자치행정과 사업 실행 전부서 찾동 추진주체 현장대응력 및 역량 강화 자치행정과 Ⅱ. 기본계획 사업별 실행계획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기본계획」 2022년 사업별 실행계획 찾?동 운영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변화된 환경에 맞추어 ’22년도 사업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찾·동 사업을 통합적이고 효과적으로 추진하고자 함 Ⅰ 추진근거 ○ 서울특별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운영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제5조(기본 계획 등) ○ 서울특별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의 지역사회보장 기능 강화에 관한 조례 제6조(기본계획 등) Ⅱ 찾·동 2.0 기본계획 추진방향 및 목표 ?? 추진방향 튼튼한 공공 안전망 + 촘촘한 주민 관계망 ⇒ 공공과 주민이 함께 이루는 지역 사회의 변화와 성장 ? 주민 참여 등 주민생태계 활성화 및 공공정책에 적극적 관여 ? 인력투입 등 공공인프라 확충에 상응하는 공적 지원체계 강화 ? 민·관 구분과 정책영역별 칸막이 없는 통합적 운영체계 구축 ?? 추진목표 Ⅲ 2022년 사업별 실행계획 추진 개요 ? 지역문제 신속 대응을 위한 찾동 핵심기능 및 역량 강화 중점 추진 ?? 대상 사업 ○ 3개 분야 16개 사업 ※ 코로나19 장기화로 위기·취약주민 발굴, 보호 집중을 위한 세부사업 기준, 추진방법 등 개선·변경 시행 ?? 중점 추진 사항 ○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복지급여 기준 완화 및 돌봄서비스 제공 확대로위기·취약주민 발굴, 보호관리 집중 - 돌봄SOS센터 전 동 확대 시행으로 긴급돌봄 제공 강화(’22년 1월~) - 서울형긴급복지, 서울형기초보장 대상기준 완화 및 보장수준 인상으로 지원 확대 - 우리동네돌봄단 활동인원(650명→800명) 확대로 민간 위기가구 발굴 체계 강화 ○ 스마트 돌봄체계 확대를 통한 위기상황 모니터링 및 건강관리 지원 - 고위험군 취약계층 대상 안전확인 ‘서울살피미 앱’ 확대(1만명→2만명) - 중장년 1인가구 고독사 예방 ‘스마트 플러그’ 설치 확대(3천명→5천명) -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ICT 활용 건강기기’ 지원 ○ 현장 대응력 향상을 위한 찾동 추진주체 역량 강화 - 추진주체 역량강화 교육 지원(동장, 담당자 등) : 11개(’21년) → 13개 과정(’22년) - ‘공공사례관리 스쿨’ 과정의 세분화, ‘정신건강사업 역량강화’ 교육 지원으로 현업 적용도 향상 및 현장 문제해결력 강화 ? 기초·심화과정 운영, 전문과정 신설, 사례중심과 실습위주 참여형 교육 확대실시 ?? 사업별 주요 내용 분 야 구분 2022년 주요 변경사항 지역문제에 대한 주민결정권 강화 (3개 사업) 개 선 √ 우리동네주무관 활동 지원 - 대면활동 제약으로 활동방식 전환, 지역특성에 맞는 자율적 활동 지원 개 선 √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안정적 추진·재정비 -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를 통한 발전방향 모색 확 대 √ 찾동 주민생태계 강화 - 복지공동체(빈곤취약 돌봄) : 우리동네돌봄단 활동 확대 - 복지공동체(양육 및 여성안전지원) : 안심장비 지원사업 확대 - 건강공동체(건강소모임, 건강리더) : ICT활용 건강기기 지원 지역 사회보장 체계 강화 (9개 사업) 신 규 확 대 √ 복지사각지대 발굴 및 지원 강화 - 스마트시스템을 통한 위기관리 및 연간 모니터링 의무화 - 안심소득 시범추진 등 맞춤형 복지지원 및 돌봄서비스 확대 개 선 √ 보편방문 : 상담방식 다양화로 접촉률 제고, 비대면 건강관리 강화 개 선 √ 방문인력 안전관리 - 찾동전담 사회복무요원 재배치(147명), 총괄지침 개선(안) 마련 확 대 √ 서울형 긴급복지 : 코로나19 한시적 기준완화 연장 확 대 √ 서울형 기초보장 : 선정기준 완화, 급여액 인상 보장수준 강화 개 선 √ 돌봄SOS센터 운영 : 전 동 확대 본격가동, 서비스연계 확대 신 규 √ (학대·폭력)소나무 센터(위기가정 통합지원센터) 운영 - 상담관리 시스템 신규 구축 및 상담원 확대 운영 확 대 √ 정신건강관리 지원체계 강화 - ‘정신건강서비스 유입지원팀’ 운영, 전담인력 확대 배치 확 대 √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지원 - 명예사회복지공무원 운영비 신규 지원, 구·동 지사협 활성화 찾동 추진기반 강화 (4개 사업) 개 선 √ 찾동 행정 추진체계 개선 - 추진지원단 사업부서 집중 지원체계로 전환, 협업체계 유지 확 대 √ 찾동 인력관리 : ’22년 277명 충원, 인력관리 모니터링 지속 개 선 √ 분야별 자체 모니터링 운영 - 분야별 핵심이슈 중심 모니터링 강화, 분석결과에 따른 컨설팅 확 대 √ 찾동 추진주체 현장대응력 및 역량 강화 - 현장실습 참여교육 강화, 사례관리과정 세분화, 비대면교육 상설화 Ⅳ 「찾·동 기본계획」 ’22년 실행계획 사업 지역문제에 대한 주민결정권 강화 1 우리동네 주무관 활동 지원 ? 현장에서 직접 소통하며 주민의 요구에 응답하고 소통하는 행정 ? 주민 중심의 이웃 간 관계망 형성 및 위기?취약계층 적극 발굴 ① 추진 방향 ○ 동네와 주민을 살피고 소통하는 동주민센터 주무관 활동 지원 - 동네 현황 자료 정리 및 순찰, 취약계층 방문, 주민 대면 소통 - 생활민원 처리, 환경 정비, 돌봄SOS 등 긴급 복지서비스 연계 등 ○ 비대면?스마트행정 활동지원으로 행정공백 방지 - SNS, 동주민센터 홈페이지 등을 통한 ‘온라인 찾아가는 골목회의 개최’, 다양한 비대면 소통 창구 활성화로 촘촘한 주민생활 지원 ② 추진 실적(’21년) ○ 우리동네 주무관 활동 실적 : 총 468,127회 구 분 계 복지 환경 안전 민원 홍보 일반 계 468,127 163,414 94,513 51,069 42,380 54,743 62,008 ※ 찾아가는 골목회의 개최횟수 : ’21년 1,923회, ’20년 2,542회, ’19년 3,406회 ○ 우리동네 주무관 소식지 제작 : 총 11회 발행 - 매월 우리동네 주무관 활동 중 3~4건의 우수사례 선정하고 소식지를 제작, 전 자치구에 공유하여 우동주 활동 장려 및 성과 공유 분 야 계 복지 환경 안전 민원 일반 홍보 제출 건수 571 333 88 84 12 34 20 선정 건수 37 25 2 4 1 4 1 ※ 2020년도 : 총 5회(19건), 2019년도 : 총 10회(15건) 제작 작 성 자 자치행정과장 : 강석 ☎2133-5800 동혁신팀장 : 공미순 ☎5833 담당 : 이재화 ☎5834 ③ 추진계획 개 선 ○ 주민 접점 영역에서 비대면·스마트 행정을 전면화하여 활동 방식 전환 - SNS(카카오톡, 밴드), 동주민센터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찾아가는 골목회의 개최로 대면접촉은 최소화하되 소통 창구 활성화 - 비대면·스마트 행정에 대한 찾동 교육을 실시하고 우수 활동사례 전파 ○ 위기취약가구 적극적 발굴 및 복지제도 연계 강화 - 직능단체와 협력하여 주기적으로 이웃살피기 활동을 통해 경제적·신체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위기취약가구를 발굴하여 동주민센터로 연계·지원책 마련 - 코로나19 감염 확산예방을 위해 전화 및 서울 살피미 앱, 스마트플러그 등을 적극 활용하여 복지사각지대 최소화 ○ 찾동 및 우동주 사업의 성공적 정착에 따라 성과위주의 실적관리 축소, 지역특성에 맞는 자율적인 활동 지원 - 코로나19 등 현안업무 추진으로 인한 업무 부담 경감을 위해 우동주 실적은 반기별 제출, 우수사례 자치구 자체 공유 ※ 2022년 공감정책 시상 및 우리동네 주무관 소식지 제작 미시행 ④ 시?구?동 역할 및 협업체계 서울시 자치구 동주민센터 · 운영계획 수립 및 시행 · 사업비 지원 · 활동실적 등 현황관리 · 교육 및 활동사례 공유 · 자체 운영계획 수립 및 동별 사업비 교부 · 동별 현황 관리 및 활동지원 - 자치구 주관교육 시행, 동주민센터 우수사례 공유 등 · 우리동네 주무관 활동 - 동네·주민 살피기 - 위기취약가구 발굴·지원 - 코로나19 방역활동 ⑤ 소요예산 : 총 298백만원 ○ 2022년 : 298백만원(425개동×70만원) - 우리동네주무관 활동 및 긴급 위기취약계층 복지서비스 지원 2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안정적 추진·재정비 ?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안정적 추진 및 재정비를 통한 개선방안 모색 ? 시범사업 평가 및 재정비로 성숙한 주민자치문화 패러다임으로 전환 ① 추진방향 ○ ’22년 상반기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지원 - 주민자치사업단(20개 구) 및 주민자치회(100개 동) 대상 3,992백만원 지원 - 원활한 사업추진과 주민총회 개최시기를 감안, 차질 없는 사업비 지원(’22. 1월) ○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22. 2월~7월) - 성과분석 및 자치구 의견수렴을 통한 주민자치 발전방안 마련 ② 추진실적 ○ ’17년부터 단계별 확대 시행에 따라 22개 자치구 236개동 운영 시행단계 ’17년 ’18년 ’19년 ’20년 1단계(4개구) 26(시범동) 26(시범동) 46(시행확대) 61(전동확대) 2단계(11개구) - 55(시범동) 55(시범동) 140(시행확대) 3단계(7개구) - - 35(시범동) 35(시범동) 4단계(3개구) - - - 0 누계 26 81 136 236 비율(%) 6% 19% 32% 56% ※ 4단계(’20년) 추진 예정이었던 3개구는 구의회 조례 제정 미통과로 미추진 작 성 자 자치행정과장 : 강석 ☎2133-5800 주민자치팀장 : 안미진 ☎ 5816 담당 : 권자은 ☎ 5817 ③ 추진계획 ??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안정적 정착 및 주민자치 발전방향 모색 개 선 ○ 주민자치회 시범사업의 안정적 정착 지원 - ’22년 상반기까지 예산지원을 통해 자치구 재원 부담 완화 및 사업단 고용안정 도모 ○ 주민자치회 재정립을 위한 성과분석 및 개선방안 마련 - 주민자치회 시행 전·후 동주민센터 사업과 주민자치회 의제사업간 비교·분석 추진 ? 주민자치회 사업내용, 예산, 주민 참여도 등 분석 및 평가 - 성과분석 및 자치구 의견수렴을 통해 성숙한 주민자치문화 패러다임으로 전환할 수 있는 서울형 주민자치 발전방안 마련 및 시행 ?? 주민세(개인균등) 징수분을 활용한 주민자치활동 지원 ○ 지원대상 : 1?2?3단계 시행 22개구 234개동 ※ 주민자치회 시행 3년차 이상 ○ 지 원 액 : 5,581백만원 ○ 지원내용 : 자치계획 의제실행비 875개 사업 지원 ④ 시?구?동 역할 및 협업체계 구분 서울시 (주관부서) 자치구 (주관부서, 구 주민자치사업단) 동 (동주민센터, 동자치지원관) 주요 역할 ?계획수립 및 사업예산 지원 ?업무매뉴얼 제작 및 성과분석 ?구별 주민자치회 구성·운영 총괄 ?교육 기획 및 진행 ?주민자치회 구성·운영 지원 ?교육 실시 ⑤ 소요 예산 ○ 2022년 : 9,593백만원 - 서울시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지원 : 4,012백만원 - 주민자치 활성화 지원(주민세 균등분 환원사업) : 5,581백만원 3 찾동 주민생태계 강화 ? 동단위 민관협력 복지당사자 중심의 자조모임 활성화 지원체계 마련 ? 지역 주민의 다양한 돌봄활동을 찾동을 구심점으로 연계 강화 ? 사업별 주민참여의 지속성, 주도적 성장 등 생태적 체계 강화 ○ 사업별 주요 역할 구분 활동 대상 주요 사업 복지 공동체 ??빈곤취약 주민 및 외로운 삶(고독사 예방)에 대한 돌봄 ? 명예사회복지공무원 ? 위기가구 발굴·신고자 역할 ? 이웃살피미 ? 주민관계망을 통한 취약계층, 고독사위험군 대응 ? 우리동네돌봄단 ? 어려운 이웃 발굴·모니터링(정기 방문 등) ??부모 커뮤니티 조성 및 양육 지원 ? 보육 반장 - 육아정보 제공 및 부모 자조 모임 지원 ??마을단위의 여성 안전 보장 ? 여성안심 행복마을 ? 여성이 안전한 마을을 위한 공동체 공모 사업 건강공동체 ??지역건강을 위한 주민 리더 활동 ? 주민건강리더 - 소생활권 건강의제의 주민주도적 운영 ? 신체활동리더 - 지역 신체활동 동아리 리더 양성 ??치매환자에 대한 지역 돌봄 ? 천만시민 기억친구 - 치매 환자와 가족을 돕는 주민 조력자 3-1 복지공동체?빈곤취약 돌봄 ? 빈곤?소외 주민을 이웃주민들이 찾아내고 돌보는 주민주도 돌봄활동 지원 ? 민간부문 복지자원 발굴·연계를 통해 복지사각지대 위기가구 지원 ① 추진 방향 ○ 복지공동체별 기능 명확화를 통해 지속적인 공동체사업 기반 마련 - 복지공동체 사업 전반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 및 교육 지원 ○ 복지당사자의 주도성 강조, 이웃이 이웃주민을 돌보는 활동 확대 - 지역 주민에 의한 문제해결력 확대 및 활동을 통한 주민의 성장 도모 ○ 고독사 위험군 및 복지사각지대 위기가구 발굴·지원·모니터링 강화 - 우리동네돌봄단 확대 및 고독사 예방 기능 강화 ② 성과 기준 ○ 참여율 : 구성원 활동 참여율 및 활동 빈도 - 교육 횟수, 참여 주민 수, 회의 운영 횟수 ○ 주민 주도성 : 복지의제 발굴 및 목표 달성 정도 - 지역사회 복지의제 발굴 건수, 주민주도 목표 달성 정도 ○ 위기가구 지원 : 복지사각지대 해소 및 지원 정도 - 고독사 위험군 모니터링 가구수, 위기가구 발굴건수, 민간자원 발굴·연계건수 ③ 추진 실적(’21년) 구 분 洞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명예사회복지공무원 이웃살피미 우리동네돌봄단 참여 동수 425개동 425개동 130개동 195개동 참여 주민수 9,201명 25,343명 1,916명 650명 발굴·모니터링 가구수 45,701가구 21,768가구 10,311명 59,376가구 작 성 자 지역돌봄복지과장 : 안현민 ☎ 2133-7370 복지공동체팀장 : 안재동 ☎ 7386 담당 : 정원준 ☎ 7393 ④ 추진 계획 ?? 복지공동체 통합 시범동 운영 종료 → 전동(425개) 시행 ○ 복지공동체 통합운영 효과성 확인 및 전동 확대시행 - ’21년 복지공동체 통합 자치구 모니터링 결과 시범동 확대의견 다수 - 시범동·비시범동 운영모형 상이함에 따른 참여주민 혼란 최소화 위해 전동(425개동) 동일한 형태로 모형 개발·확산 ※ ’21년 복지공동체 통합 시범동 운영모형 통합이전 복지공동체 통합이후 복지공동체(’21년) 시범동 비시범동 洞 다 양 한 복 지 공 동 체 나눔이웃 나눔가게 이웃살피미 이웃지킴이 명예사회복지공무원 시민찾동이 지역사회보장 협의체 컨트롤타워 명예사회 복지공무원 이웃 살피미 우리동네 돌봄단 지역사회보장 협의체 컨트롤타워 명예사회 복지공무원 자치구 자체사업 - 자치구 모니터링 결과 복지공동체 통합 시범동 확대의견 다수 - 우리동네돌봄단의 효과성 긍정 평가에 따른 전동 확대시행 필요 ○ ’22년도 이웃살피미 사업예산 전액 삭감에 따른 사업 방향 재조정 ○ 복지공동체 사업별 사업대상 및 주요역할 명확화 - 복지공동체 통합매뉴얼 배포 및 교육 지원을 통해 공동체 참여주민 역량 강화 ?? 우리동네돌봄단 확대 및 고독사 예방 기능 강화 확 대 ○ 우리동네돌봄단 확대 - 활동인원 확대 : (’21년) 650명 → (’22년) 800명 - 활동지역 확대 : (’21년) 125개동 → (’22년) 425개동 ※ 각 구별 실정에 맞게 동 수 및 동별 인원배치 자율성 부여(전동배치 권고) ○ 고독사 예방 기능 강화 - 고독사 위험군 중심 모니터링(가정 정기방문·안부확인), 민간지원 발굴·연계 · 필요시 사회보장, 긴급복지 등 공적 사회복지서비스 정보 제공·연계 요청 - 동 주민센터에서 취약계층 정기 방문대상 지정 ⑤ 시?구?동 역할 및 협업체계 ○ 서울시 : 사업 계획 수립 및 모델 개발, 교육 및 모니터링 등 - 사업실행계획 수립, 우리동네돌봄단 교육, 모니터링, 예산지원, 사업성과평가 등 ○ 자치구 : 자치구별 세부계획 수립 및 실행 - 사업 세부 실행계획 수립, 복지공동체 사업 안내 - 복지공동체 사업 모니터링 및 실적관리, 수행인력 교육 실시 ○ 동주민센터 : 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 지원, 참여주민 모집 등 - 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및 동주민센터 중심으로 복지공동체 간 정례간담회 등 소통 네트워크 진행 ⑥ 소요 예산 ○ 2022년 : 2,480백만원 - 區지역사회보장협의체 : 555백만원 - 洞지역사회보장협의체 : 255백만원 - 명예사회복지공무원 : 50백만원 - 우리동네돌봄단 : 1,620백만원 3-2 복지공동체?양육 및 여성안전지원 ? 다양한 육아 자원 연계로 마을이 함께 키우는 공동육아 문화 확산 ? 안전장비 제공으로 주거침입 범죄예방 및 안심환경 조성 ① 추진 방향 ?? 우리동네 보육반장 ○ 보육반장을 통해 지역 내 부모들이 함께 양육할 수 있도록 기반 조성 - 지역 내 산재된 육아 자원을 발굴하여 수요자에게 맞춤으로 전달하고, 육아 고민 상담으로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육아 부담 경감 - 부모 자조 모임 등을 지원함으로써 부모의 역량과 효능감을 길러낼 수 있도록 돕고, 공동체 육아 문화를 확산 ?? 안심장비 지원사업 ○ 1인가구 안심환경 조성 - 안심홈세트 및 안심점포 비상벨 설치·지원을 통한 안심환경 조성 ② 성과 기준 ○ 우리동네 보육반장 : 보육반장 활동 인원 ○ 안심장비 지원사업 : 안심장비 지원 개소수 작 성 자 양성평등정책담당관 : 강지현 ☎ 2133-5005 아이돌봄담당관 : 김연주 ☎2133-4801 여성안심사업팀장 : 지명규 ☎ 5053 돌봄공동체팀장 : 송성하 ☎ 4808 담당 : 하혜민 ☎ 5010 담당 : 김정민 ☎ 4943 ③ 추진 실적(’21년) ?? 우리동네 보육반장 : ’21년 140명 활동 ○ 육아자원 수집 및 관리 : 10,259건(물적자원 2,673건, 기타자원 7,586건) ○ 출산?전입가정 및 정보취약계층 상담 및 정보제공 : 889,143건 ○ 보육반상회 등 지역 커뮤니티 활동 운영 지원 : 5,878건 ○ 우리동네 꼼꼼 육아정보 발행 e-book 온라인 제공 - 우리동네 키움포털 및 서울시 육아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 등 ?? 안심장비 지원사업 ○ 안심홈세트 : 2,038가구 지원(25개 자치구) ○ 안심점포 : 179개소 지원(6개 자치구) ④ 추진 계획 ?? 우리동네 보육반장 ○ 사업내용 - 사업규모 : 보육반장 140명(자치구별 수요 및 아동수 고려) - 사업대상 : 영유아자녀를 둔 부모 및 양육자, 출산·전입·다문화 가정 등 - 사업내용 : 맞춤형 육아정보 관리 및 자원발굴 연계·상담 등 ○ 추진계획 - 출산?전입가정 및 정보취약계층(일반, 다문화, 저소득 등) 상담, 정보 제공(연중) · 도움을 필요로 하는 양육자에게 전화상담, 온라인상담을 통한 정보제공 - 출산?양육지원 유관기관 대상 찾아가는 우리동네 보육반장 사업설명회 개최(‘22.6, 10월) · 우리동네 보육반장의 역할 등 전반적인 사업 설명 추진 - 자치구별 특성에 맞는 보육반장 온?오프라인 특성화 사업 추진(연중) · SNS(블로그, 인스타그램, 맘카페), 카드뉴스, 동영상 등 활용 정보제공 - 우리동네 “꼼꼼육아정보” ebook 온라인 중심 서비스 제공(연중) · 우리동네 키움포털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서비스 제공 및 SNS를 통해 별도 프로그램 없이 바로 접속 할 수 있는 인터넷 주소(URL) 배포 - 지역 커뮤니티활동 운영 등 현장 활동 지원(부모 자조모임, 보육반상회)(연중) · 지역 내 육아에 관심있는 양육자의 정보교류 및 현안사항 논의 등 소통 강화 - 우리동네 보육반장 모바일 뉴스레터 제작·배포(연중) · 우리동네 키움포털 및 SNS을 통해 우리동네 육아정보 및 소식 등 제공 - 다양한 사례 공유를 위한 성과공유회 개최(‘22.11월) · 그간 여러 주체와 소통 및 축척되어 온 결과물 제작·발표 · 자치구별 맞춤형 온라인 특성화 사업 추진현황 등 사례발표 · 자체 제작 콘텐츠(사진, 영상 등) 자료 등 제작·발표 ?? 안심장비 지원사업 확 대 ○ 사업내용 - (1인가구) 현관문 이중잠금장치, 휴대용 긴급벨 등 안전장비(안심홈세트) 설치·지원 - (1인점포) 안심이 관제시스템과 연계된 안심점포 비상벨 설치·지원 ○ 운영체계 : 자치구, 자치구-단체 컨소시엄 ○ 사업예산 : 480백만원(’22년) ○ 지원대상 : 주거침입범죄 피해우려 소액임차 1인가구 - 기존 여성1인가구에서 주거침입범죄 우려가 있는 남성 1인가구까지 확대 지원 검토 ⑤ 시?구?동 역할 및 협업체계 ?? 우리동네 보육반장 ○ 찾동사업과 보육반장 사업의 연계협력방안 모색 - 출산?양육가정 방문 시 보육반장 동행 및 온라인 육아정보 등 제공 ?? 안심장비 지원사업 ○ 안심장비 지원사업 기관별 역할 분담 - 서울시 : 심의위원회 구성, 사업수행기관 심의·선정, 사업추진 총괄 운영 - 자치구 : 직접수행 또는 관내 단체와 컨소시엄 구성, 운영예산 및 사업 관리 - 수행단체 : 자치구와 컨소시엄 통한 안심장비 지원사업 수행 ⑥ 소요 예산 ○ 2022년 : 보육반장 1,816백만원 - 보육반장 : 1,316백만원 - 안심장비 지원사업 : 500백만원 3-3 건강공동체?건강소모임, 건강리더 ? 주민건강 자치 역량향상을 통한 자발적인 건강관리 활동 활성화로 건강한 지역사회 조성에 기여 ① 추진방향 ○ 주민 참여, 주민 주도적 지역 건강의제 발굴 및 실천 - 주민의 자발적인 건강의제 해결을 위한 주민 조직화를 통한 지역 역량 강화 - 발굴된 건강 문제로 동별 방문간호사 동 단위 건강 계획 수립 ○ 코로나19 장기화 대비 비대면 건강소모임 등 활성화 - 코로나19 상황을 반영한 건강취약계층 비대면 프로그램 마련 ○ 지역 보건사업 및 유관 기관 협력을 통한 지역 건강 거버넌스 구축 - 찾동, 건강돌봄, 마을공동체 등 유관사업 연계를 통한 건강취약 주민 발굴 및 건강 소모임 활동 지원 ② 성과기준 ○ 건강소모임 운영 : 지역주민이 자발적?주도적 참여하는 건강소모임 수 ○ 건강리더 양성 : 신체활동 리더, 천만시민 기억친구 수 ③ 추진실적(’21년) 구 분 건강소모임 운영 건강리더 양성 허약노인 프로그램 엄마 자조모임 건강생태계 주민건강리더 (참여구) 신체활동 리더 기억친구 양성 실 적 1,206명 9,242회 50회 217명 9개구 169회 23,653명 작 성 자 건강증진과장 : 함형희 ☎ 2133-7560 어르신건강증진팀장 : 김정옥 ☎ 7580 담당 : 김혜경 ☎ 7582 ④ 추진계획 ?? 지역주민 자발적·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비대면 건강 소모임 활동 지원 ○ 주민주도 건강의제 발굴?선정 및 건강 소모임 구성 - 건강을 주제로 한 주민모임 형성으로 자발적인 건강실천 유도 - 건강리더가 주도하여 주민과 함께 기획하고 운영 ○ 코로나19 대응 소규모 커뮤니티?비대면 모임 등 전환 운영 - 동별 지역 내 어르신 대상 허약 예방 및 질환 관리 프로그램 운영 - 코로나19로 활동제한, 고립감 등의 건강문제에 취약한 시민 대상 소규모 걷기모임 등 개인 또는 소모임 집밖 프로그램으로 연계 운영 - 카카오톡, SMS, 동영상, 우편물 등을 활용한 비대면 건강소모임 운영 ○ 출산가정 보편·지속방문「엄마 자조모임」운영 - 우리아이 방문간호 부모모임 운영으로 정보제공 · 양육역량 강화 - 지역 내 모자건강센터·건강한 인적자원 활용 주민참여 활성화 및 소통·나눔방 운영 - 다문화, 모유수유 모임 등 공통의 관심사 그룹 활동 촉진 프로그램 운영 ?? ICT활용 건강관리 지원으로 자가 건강관리 능력 향상 확 대 ○ 비대면 모니터링 및 건강상담 운영 확대 : ’21년 7개구 → ’22년 9개구 - 비대면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위한 AI·IoT 환경기반 구축 - ICT(건강기기) 활용한 어르신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 ‘오늘건강’앱을 활용 대상자별 과제 및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 지역주민 건강리더 양성으로 지역사회 역량 강화 ○ 신체활동 리더 양성 및 운영 - 지역사회 내 활동적인 시민을 중심으로 신체활동 동아리 구성, 활동적 환경 조성 - 어르신 복지관·치매안심센터·경로당 등 방문하여 신체활동 교육, 체력평가 및 모니터링 등 칩거 어르신 신체활동을 통한 집 밖 운동 친구 만들기 ○ 천만시민 기억친구 양성 - 치매의 올바른 이해와 치매환자와 가족 지원을 위해 자발적으로 활동하는 주민 양성 - 내 용 : 천만시민 기억친구(일반시민, 초·중·고등학생) 및 기억친구리더 양성 - 방 법 : 기억친구리더양성(광역) → 기억친구리더 연결 → 기억친구 양성(자치구) ⑤ 시?구?동 역할 및 협업체계 ○ 서울시 : 사업 계획 수립 및 모델 개발, 교육 및 모니터링 등 - 사업실행계획 수립, 수행인력 교육, 모니터링, 사업성과평과 등 ○ 자치구 : 자치구별 세부계획 수립, 건강모임 운영 및 리더 양성 지원 - 세부실행계획 수립, 모니터링 지원, 매뉴얼 보완, 실적관리 등 - 지역별 건강소모임 기획 및 운영, 기억친구 리더 양성 ○ 동주민센터 : 소모임 프로그램 운영, 건강리더 양성 활동 등 - 사업계획에 따른 소모임 프로그램 운영 - 건강리더 발굴, 활동 및 모니터링 등 ⑥ 소요예산 ○ 2022년 : 1,428백만원 - AI?IoT 환경 구축 및 건강관리서비스 지원 지역 사회보장체계 강화 4 복지사각지대 발굴 및 지원 강화 ? 다양한 위기가구 발굴 채널을 통한 선제적 발굴 체계 구축 ? 외부기관과 협업을 통한 체계적 발굴 및 협력체계 강화 ? 취약계층 모니터링으로 개인별·가구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 ① 추진 방향 ?? 다양한 채널을 통한 위기가구 선제적 발굴 및 맞춤형 지원 ○ 복지사각지대 위기가구 조사를 통한 숨어있는 취약계층 발굴 - 주민등록 사실조사 기간 중 복지사각지대 발굴조사, 중장년(만 50세 이상) 1인 가구 실태조사 등 위기가구 선제적·체계적 발굴 ○ 서울시 외부기관과 협업을 통한 체계적인 발굴 및 협력체계 강화 -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시 5개 보호관찰소 등 외부기관과 협업을 통해 복지 사각지대 발굴 및 공적·민간자원 지원을 통해 사각지대 해소 ○ 복지대상자 집중 모니터링을 통한 촘촘한 관리 및 맞춤형 지원 - 위기도 분류표(5단계)를 통한 연간모니터링 실시 및 필요한 복지서비스 제공 ② 성과 기준 ?? 복지사각지대 발굴·지원 및 수급자 사후관리 ○ 위기가구 발굴 건수 : 민?관 협동 상시발굴체계 구축 - 지역주민 복지 공동체 및 민간기간을 통해 발굴체계를 구축하고 위기가구 발굴 확대하여 복지사각지대 제로화 ○ 공적지원+기금 지원+민간자원 실적 : 발굴된 가구 맞춤형 지원강화 - 발굴된 위기가구에 공적서비스 및 민간자본 연계 활성화하여 실질적 지원체계 강화 및 보편적 복지 실현 작 성 자 지역돌봄복지과장 :안현민 ☎ 2133-7370 지역돌봄기획팀장 :박진용 ☎ 7372 담당 :송동욱 ☎ 7376 ③ 추진 실적(’21년) ?? 복지사각지대 상시 발굴체계 구축 및 다각화 ○ 全 복지수혜자(수급자, 차상위) 대상 위기징후 연간 모니터링 실시 - 자치구별 가구특성(노인, 장애인 등) 위기정보 활용, 단계별 위기도 설정 ○ 고위험 정보를 활용한 숨은 위기가구 발굴 기획조사 실시 - 위기가구 모니터링 대상자를 기존 복지수혜자(주거급여 수급자, 차상위)까지 확대하여 취약계층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체계 구축 고위험 정보 5종 : 전기·수도·가스 등 공과금 연체, 건보료 연체, 금융 연체 ○ 체납정보 등 빅데이터 활용한 ‘위기가구발굴 시스템’ 구축 운영 - 단전?단수가구, 체납정보 등 빅데이터 활용 15개 기관 34종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을 통해 위기가구 선제 발굴 ○ 어려운 이웃 찾는 ‘착한 탐정 캠페인’ 온?오프라인 홍보 실시 (’21. 2~5.) - 시·구·다산콜센터(120) 협업체계 구축을 통한 원활한 제보·상담 연계 - 현수막, 포스터, 대중교통(지하철·버스 등), 유튜브, 시 홈페이지 등에 홍보 ○ 찾아가는 복지현장상담소 운영(’21년 실적) 총계 보호관찰소 119특수 구조대 무료급식소 (드림씨티) 강서 소방서 상담 지원 상담 지원 상담 지원 상담 지원 상담 지원 624 646 600 631 2 1 17 13 5 1 ?? 위기가구 맞춤형 지원강화 ○ 적극행정을 통한 복지지원 확대 - (서울형 기초보장제도) 모든 가구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21.5월) - (서울형 긴급복지) 코로나19 위기 상황에 따른 자격 기준 완화 ○ 소나무 센터(위기가정 통합지원센터) 운영 확대 - 가정폭력 등 신고가정에 대한 초기 대응 강화 및 법률·경제·의료 등 통합적 지원 - 통합사례관리사·경찰관·상담원으로 구성: (’20년) 24개소 → (’21년) 25개소 ○ 희망온돌 위기긴급기금 지원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정배분 ④ 추진 계획 ?? 스마트시스템 관리 및 민간참여 통한 발굴 강화 ○ 스마트시스템을 통해 고독사 고위험군 대상 24시간 위기관리 - 고위험군 취약계층 대상 ‘서울 살피미 앱’ 보급을 통해 위기상황 문자전송 - ‘스마트 플러그’ 설치로 가구 내 전력량·조도변화 등 위기신호 전송 ○ 명예사회복지공무원 및 우리동네돌봄단을 통한 민간 참여 발굴 확 대 - 명예사회복지공무원 운영비 지원을 통한 위기가구 발굴 체계 강화 - 고독사 위험군 집중 지원·관리 위한 우리동네돌봄단 참여동, 활동인원 확대 ?? 위기가구 맞춤형 복지 서비스 지원 및 돌봄서비스 확대 ○ 안심소득 사업 추진으로 취약계층 등 현금성 급여 보장 강화 신 규 - 중위소득 85% 이하 저소득층에 안심소득 지원으로 소득보장 수준 확대 ○ 돌봄SOS서비스 통한 긴급돌봄 및 복지·보건 통합 제공 확 대 - 모든 자치구(425개동) 전담인력(총 691명) 배치로 돌봄SOS서비스 제공 - 시→상급·종합병원과 업무협약 통해 퇴원대상자 중 돌봄 필요 대상자에게 돌봄SOS서비스(맞춤형 10대 돌봄서비스) 연계 ○ 위기상황(코로나19 등) 예방을 위한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 확대 - 코로나19 위기경보 ‘심각’ 단계 해제 시까지 기준 완화 조치로 지원 가구 확대 ○ ‘지역밀착형 복지관’ 추진으로 지역 민간기반 돌봄지원 강화 확 대 -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25개 자치구, 50개 내외로 확대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 주민과의 협력을 통해 복지문제를 해결하려는 지역복지 중심기관 ?? 위기도(5단계) 따른 복지대상자 연간모니터링 의무화 ○ 복지대상자 총 29만 가구를 위기도 5단계로 분류하여 상시 모니터링 실시 개 선 - 모니터링 주기를 위기·경계가구인 경우 ‘주1회·월1회’이상으로 상향 조정 ⑤ 시?구?동 역할 및 협업체계 ○ 시 : 기존 발굴·지원 시스템의 문제점 개선 - 기존의 발굴·지원 문제점을 보완하여 촘촘한 복지서비스 제공 ○ 시-자치구 : 복지사각지대 위기가구 발굴 노력 성과 평가 - 특정 자치구에 치우침이 없는 공정한 성과지표로 자치구 발굴 노력 유인 ○ 시-자치구(동) : 우수 발굴체계 자치구간 공유전파 - 자치구간 우수 발굴체계 공유전파로 복지 수요에 효과적 대응력 강화 ⑥ 소요 예산 : 비예산 5 보편방문 운영 ?코로나19 관련 현장상황 반영한 보편방문 체계정비로‘주민 접촉률’제고 ?방문 대상 및 시기 조정 등을 통한 보편방문 내실화 ?수행인력 간 협업 체계 및 서비스 연계 강화 ① 추진방향 ○ 코로나19 관련 현장상황 반영한 보편방문 체계정비로 ‘주민 접촉률’ 제고 - 대면·직접방문을 기피하는 현장상황 반영해 가정방문 건수 외 내방, 전화상담 활성화를 통한 ‘주민 접촉률’ 제고 - 코로나19 장기화 대응 비대면·상시 건강관리를 위해 정보통신기술 등을 활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방안 개발 및 유선상담 체크리스트 등 마련 ○ 유관기관 연계를 통한 점검강화로 보편방문 내실화 - 10~12월중 양육가정 만 3세 전수조사 집중실시하고, 방문거부 시 경찰과 동행방문으로 아동 안전을 필히 점검함으로써 사업 실효성 증대 ② 성과기준 ○ 대상자와의 접점 강화, 욕구에 맞는 적절한 지원 여부 등 중점 확인 복지플래너 : 주민접촉률, 서비스 연계건수, 위기가구 발굴건수 - 어르신, 출산?양육가정 대상별 상담률(방문+내방+전화) 확인 - 방문대상별 위기가구 발굴 및 욕구에 따른 서비스 연계 현황 관리 방문간호사 : 등록률(방문+내방+전화상담), 지속방문 대상자 수 - 65세·70세 도래자 보편 방문 및 지속관리 대상자 발굴 및 관리 복지?건강 협업 : 65세(동행방문률), 출산가정(동-보건소 연계건수) - 65세 도래 어르신 동행방문률(총 방문건수 중 동행 비율) - 출산가정에 대한 동에서 보건소 연계, 보건소에서 복지플래너 연계 건수 작 성 자 지역돌봄복지과장 : 안현민 ☎2133-7370 찾아가는복지팀장 : 진기준 ☎7379 담당 : 구본식 ☎7380 양성평등정책담당관 : 강지현 ☎2133-5005 양성평등정책팀장 : 주병준 ☎5007 담당 : 손동기 ☎5008 건강증진과 : 함형희 ☎2133-7560 어르신건강증진팀장 : 김정옥☎7580 담당 : 김혜경 ☎7582 ③ 추진실적(’21년) ?? 보편방문 성과 ○ 65세·70세 도래 어르신, 양육가정 - 어르신 및 양육가정(복지플래너, 방문간호사) 구 분 대상인원(명) 상담인원(명) 소계 가정방문 내방상담 전화상담 합 계 232,520 166,635 (71.6%) 13,564 (5.8%) 103,971 (44.7%) 49,100 (21.1%) 동별 월 45.7명 동별 월 32.7명 동별 월 2.7명 동별 월 20.4명 동별 월 9.6명 65세 도래 어르신 125,235 94,781 (75.7%) 6,484 (5.2%) 73,068 (58.3%) 15,229 (12.2%) 동별 월 24.6명 동별 월 18.6명 동별 월 1.3명 동별 월 14.3명 동별 월 3.0명 70세 도래 어르신 75,430 70세 도래 어르신 대상 인원 : 2021.6월 70세 주민등록 인구현황 29,235 (38.7%) 4,348 (5.7%) 8,544 (11.3%) 16,343 (21.7%) 동별 월 14.8명 동별 월 5.7명 동별 월 1.0명 동별 월 1.6명 동별 월 3.1명 양육가정 31,855 (실상담 : 25,534) 42,619 (133.8%) 2,732 (8.6%) 22,359 (70.2%) 17,528 (55.0%) 동별 월 6.3명 동별 월 8.4명 동별 월 0.5명 동별 월 4.4명 동별 월 3.4명 ※ ’20.7 ~ ’21.6, 25개구 424개동 / ’20년부터 전화상담 포함 ※ ’21.7.1.부터 25개구 425개동 (강동구 강일동 -> 강일동과 상일2동으로 분동) ④ 추진계획 ?? 보편방문 체계정비로 ‘주민 접촉률’ 및 서비스 연계 제고 ○ 코로나19로 직접방문에 대한 거부감이 높아짐에 따라 상담방식을 다각화하여 ‘주민 접촉률’ 제고 - 가정방문, 내방상담 외 `20년부터 전화상담 포함하여 주민접점 확대 - 재난지원 등 타 복지서비스 안내 시, 찾동 정보를 적극 제공하여 방문·내방 외 대상 발굴 및 서비스 연계 활성화 - 코로나19에 더 취약한 보편방문 어르신 대상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지속적인 건강관리 및 모니터링 강화 ?? 개선계획 ○ 65세 어르신 : 코로나19 상황 반영한 상담방식 다양화로 주민접점 확대 - 직접방문 시, 복지플래너와 방문간호사 2인 1조 보편방문 시행 및 비대면 주민접촉률 확대로 안정적 주민 모니터링 체계유지 - 미신청자 확인 강화 : 우편 수신 여부, 방문거부 사유 파악 및 관리 등 ○ 70세 어르신 : 코로나19 상황 대응 비대면 건강관리 강화 개 선 - 직접 방문시 방문간호사와 복지플래너 또는 보조인력 2인 1조 보편방문 유지 및 방역수칙 준수 - ICT를 활용한 비대면 어르신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 출산가정 : 보건소 ↔ 동주민센터간 협업 강화 - 동주민센터 출생신고 접수 시 내방하는 보호자에게 방문서비스 안내(안내문 배부) ⇒ 출산가정 방문 희망 시 보건소 연계 - 위기가정 발견 시 보건소 및 동주민센터 상호 긴급연락체계 강화 ○ 양육가정 : 유관기관 협력을 통한 아동의 안전 확인 강화 - 보건복지부 ‘만 3세 전수조사’ 사업 추진 시 집중 방문 - 상담거부 가정은 경찰과 동행 방문하여 아동의 안전확인 및 양육정보 제공 ?? 지원체계 ○ 사업 매뉴얼 개정?제작 및 보급 - 학계, 자치구 및 동주민센터 실무자(복지?여성, 건강), 서울시 및 서울시복지재단으로 TF구성, 회의 운영을 통한 매뉴얼 개정·보급 ? 코로나19 대응 관련 매뉴얼 점검 및 유선상담 체크리스트 제공 등 ○ 효율적인 보편방문 실적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및 컨설팅 추진 - (상반기) `21년 자치구 모니터링 결과분석 및 모니터링 컨설팅 진행 - (하반기) 컨설팅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 추진실적 모니터링 ⑤ 시?구?동 역할 및 협업체계 구 분 서울시 자치구 동 매뉴얼 개정 및 실행 ?보편방문 성과점검 및 체계 재정비 ?TF구성?운영 ?매뉴얼 개정?제작 및 보급 ?TF위원 추천 ?매뉴얼 제작 지원 ?방문동행인력 확보 및 동주민센터 지원 ?TF위원 추천 ?매뉴얼 제작 지원 ?어르신전담플래너 지정?운영 교육 등 ?교육과정 설계 및 교육실시 ?복지건강 통합 교육 가이드 제시 ?교육안내 ?복지건강 통합교육 실시 ?교육 참석 ?복지건강 소통강화 ⑥ 소요예산 : 비예산 6 방문인력 안전관리 ? 방문상담 등 양질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방문인력의 안전확보 필수 ? 방문인력 안전문제 사전예방 및 사후대처 등 안전관리 강화 ① 추진방향 ○ 찾동 방문인력의 안전확보 관련 기본지침 개선 - 유관부서 협업, 모니터링 결과 등을 통한 기본지침 개선(안) 마련 ○ 방문인력 안전 확보를 위한 안전관리체계 모니터링 및 물적·인적 지원 - 자치구별 안전관리체계 운영 및 안전문제 발생·조치 현황 등 모니터링 - 교육운영, 예방접종비 교부 및 방문동행 보조인력 배치 등 지원 ② 추진실적(’21년) ○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사회복지 전반 및 안전교육 진행 : 총 505명 - 동장 및 팀장(122명), 신규직원(116명), 실무자 등(267명) ○ 찾아가는 동 주민센터 매뉴얼 배부 : 총 4,000부 - 서울시 관련부서 및 市 추진지원단 168부, 자치구 3,832부 ○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매뉴얼 배부 : 동별 3부 ○ 상반기 복지분야 시-자치구 소통회의 개최 : ’21.4.20. ○ 찾동 복지분야 자치구별 모니터링 실시 : ’21.11.~12. ○ 찾동 방문인력 예방접종비 등 직원계획 수립 및 보조금 교부(’21.3.~4.) - 독감, A형간염, Tdap(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등 예방접종비 및 소액치료비 지원 ? 복지플래너·돌봄매니저 등 총 4,777명 지원 / 233백만원 집행(77%) ○ 복지분야 현장방문 점검 및 애로사항 청취 등 - 방문기간 : ’21.6.7.~6.10.(3일간) - 방문현장 : 동 주민센터 4개소(하계1동, 구의1동, 화곡본동, 구산동) 작 성 자 지역돌봄복지과장 : 안현민 ☎2133-7370 찾아가는복지팀장 : 진기준 ☎7379 담당 : 구본식 ☎7380 양성평등정책담당관 : 강지현 ☎2133-5005 양성평등정책팀장 : 주병준 ☎5007 담당 : 손동기 ☎5008 자치행정과장 : 강 석 ☎2133-5800 동혁신팀장 : 공미순 ☎5833 담당 : 김현정 ☎5835 ③ 추진계획 예방적 기반 구축 사후관리 기반 구축 대 응 예 방 조 직 적 차 원 중·장기적 개 선 < 방문 안전 문제 예방 > ?남녀구분 없이 2인 1조 동행방문 ?예방접종, 안전 예방 교육 실시 ?지구대, 119와의 연계체계 구축 ?방문업무 시작 및 복귀시간 확인 ?자연재해 시 방문업무 자제 권고 < 부정적 영향 최소화 > ?피해 직원 안전한 곳에서 진정·보호 ?조직 내 보고체계에 따라 기록, 관리, 법적 조치 및 대응 여부 협의 ?사건·사고 발생 후 피해 정도에 따라 치료 및 보상 ?감염 의심 시 관련 검사 및 조치 개인적 차원 ? 안전사정(Safety Assessment) 및 안전계획 수립 ? 방문안전 원칙 준수 ? 위험상황 지각 및 대처, 위급상황 대처방법 숙지 ? 안전사고 발생 시 즉시 보고 ?? 방문인력 안전관리 체계점검 및 총괄지침 개선(안) 마련 개 선 ○ 자치구별 방문인력 안전관리 체계 운영 등 모니터링 - 안전관리체계 운영현황, 2인1조 방문원칙 및 안전매뉴얼 준수여부, 안전교육실시, 안전문제 발생 및 사후보상 체계 구축·활용 등 자치구별 자체계획 추진실적 점검 (상반기) - 자치구별 안전문제 발생 및 주요사고 조치현황 등 정기적 관리(상·하반기) ○ ’22년 찾동 방문인력 안전관리 총괄 지침 개선(안) 마련 - 자치구 모니터링 결과 분석, 안전관련 TF 의견수렴 등을 통해 총괄 지침 보완 및 개선(안) 마련 ※ 총괄 지침 개선에 따른 주요 변동사항 업무 매뉴얼에 반영 검토 ?? 방문인력에 대한 안전교육 강화 ○ 기본 방향 - 동장, 팀장 등 관리자는 시 주관 교육, 실무자는 구 주관 교육 이수 - 방문안전문제예방 및 발생 시 대응 사례를 통해 관리자 안전역량 강화 ○ (서울시) 안전 관련 예방 교육 지원 - 안전교육 강사풀 구성 및 지원 - 안전용품 사용 및 관리기준 마련?보급 ○ (자치구) 구 단위 안전 예방 교육 실시 및 지원 - 구 단위 방문인력 안전 관련 예방 교육?훈련 기획 및 실시 ? 찾동 인력 전원 연1회 이상 이수, 인사이동시기 등 고려해 최소 연2회 이상 실시 - 동 단위 사례 취합(안전 침해 사례, 해결 사례 등) 후 전파 ?? 방문인력 감염예방 및 안전 확보 위한 예방접종비 등 지원 ○ 지원목적 - 주민 건강관리 차원에서 방문인력이 감염의 매개가 되지 않도록 사전 차단 - 가정방문 과정에서 방문대상자로 인한 감염 위험을 예방하여 방문인력 보호 ○ 지원대상 : 복지플래너, 돌봄매니저, 통합사례관리사 등 ○ 지원내용 - 독감예방접종비, A형간염 항체검사비 및 접종비 - 기타 소액치료비 및 심리상담 등에 소요되는 비용 등 - 방문간호사 감염예방을 위한 방문안전용품(마스크, 손소독제 등) 지원 ?? 찾동 전담 사회복무요원 추가 배치 ○ 배치 인원 : 147명(’22.1월) ※ 자치구별 희망 수요조사 결과 반영 - ’20.1월 신규 배치된 인력이 ’21.11월 소집 해제됨에 따라 자치구별 수요조사 결과 반영하여 추가 재배치 ○ 역 할 : 방문동행 및 현장 안전사고 관련 신속 대처를 위한 보조인력 ○ 지원 체계 : 서울지방병무청 협조를 통한 특별 관리 추진 - (인력 확보) 복무부실 우려자 배치 제외 등 우수자원 배치 - (복무관리 지원) 복무부실자 특별 관리, 복무부적합자 소집해제 활성화 등 자치구 사회복무요원 관리의 어려움 해소를 위해 맞춤형 복무관리체계 구축 ○ 후속 지원 : 추가 수요에 따른 인력 확보 지원 등 병무청 지속 협의 추진 ?? ‘안심이’ 앱(여성가족정책실 운영) 활용한 방문인력 안전 도모 ○ 지역내 CCTV(4만대)와 자치구별 운영 중인 관제센터를 앱으로 연계 - 앱 실행 후 긴급 상황 발생시 스마트폰 흔들거나 긴급신고 버튼 눌러 이용 ○ 앱 가입자 위기상황 발생 시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위기상황 대응 - 구별 3~8명의 모니터링 인력 및 경찰관 상근 ④ 시?구?동 역할 및 협업체계 구분 서울시(추진지원단) 자치구 동 주요 역할 ?안전관리체계 구축?운영 ?안전관련 예방교육지원 ?내외부 협업체계 유지 ?안전관리체계 구축?운영 ?안전에 대한 중요성 인식 ?상황 발생시 적절한 조치 ?안전관리체계 구축?운영 ?안전에 대한 중요성 인식 ?상황 발생시 적절한 조치 세부 내용 - 총괄 지침 마련 - 행정적?재정적 지원 - 안전사고 발생현황 관리, 모니터링, 매뉴얼 제작 - 구 단위 안전교육 실시 - 동행방문 보조인력 확보 노력 및 수시 점검 - 사고발생 보고, 관리 - 2인1조 방문 확행 - 방문인력 안전상황 수시 체크 및 모니터링 - 사고발생 보고, 방문인력 보호 및 지원 ⑤ 소요예산 ○ 2022년 : 354백만원(방문인력 예방접종비 등) 7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 제도 추진 ? 위기상황에 처하였으나 법적·제도적 지원을 받지 못하는 시민에게 신속한 지원을 통하여 긴급한 위기상황을 넘길 수 있도록 지원 ① 추진 방향 ○ 긴급한 위기상황으로 어려움을 겪는 취약계층 신속 지원 ○ 코로나19 대응 한시적 기준완화 연장(감염병 위기경보 ‘심각’단계 유지 시까지) 확대 - 소득기준 : 기준 중위소득 85% 이하 → 100% 이하 - 재산기준 : 310백만원 → 379백만원 이하 - 금융재산 : 10백만원 이하(생활준비금 공제비율 기준 중위소득 65%→100%) - 지원 횟수 제한 폐지 : 동일한 위기사유인 경우에도 1년 이내 재지원 가능(3개월 이내 지원 불가) ○ 긴급하고 일시적인 도움이 필요한 저소득층에 돌봄서비스 제공 ○ 고독사, 폭염·한파로 위기상황을 겪는 취약계층 지원 강화 ② 성과 기준 ○ 지원가구 수 : 35,000가구 목표(’21년 목표 : 30,000가구) - 생계비, 의료비, 주거비, 돌봄SOS 등 기타 지원 (코로나19 물품지원 및 주거비 지원 제외) 작 성 자 지역돌봄복지과장 :안현민 ☎ 2133-7370 복지공동체팀장 : 안재동 ☎ 7386 담당 : 임현진 ☎ 7384 ③ 추진 실적 ?? 2021년 지원현황 ○ 사업예산 : 55,116백만원(집행액 50,680백만원, 91.9%) ○ 지원가구 : 총 430,756가구 - 생계·의료·주거비·기타 : 22,170가구 - 코로나19 자가격리자 물품지원 등 : 408,586가구 ○ 항목별 주요 지원 사항 (단위 : 가구, 백만원) 구분 총계 생계비 의료비 주거비 기타 물품지원 가구수 430,756 11,503 7,332 1,897 1,438 408,586 지원액 50,680 3,895 5,130 875 182 40,598 □ 연도별 지원실적(5년간) ○ 총 96,107가구, 473억원 지원 - 지원금액 : 생계비(37.2%), 의료비(39.9%), 주거비(9.4%), 기타 등(13.5%) (단위 : 가구, 백만원) 연 도 총계 생계비 의료비 주거비 기 타 (연료,해산,장제,전기료 등) 특별교부금 가구 금액 가구 금액 가구 금액 가구 금액 가구 금액 가구 금액 계 96,107 47,289 46,811 17,574 28,142 18,889 9,896 4,429 7,549 904 10,560 5,493 2021 22,170 10,082 11,503 3,895 7,332 5,130 1,897 875 1,438 182 - - 2020 27,236 11,668 12,921 5,300 7,006 4,713 2,809 1,324 4,500 331 - - 2019 22,358 9,836 12,013 4,119 6,509 4,288 3,107 1,285 729 144 - - 2018 10,090 7,690 4,300 1,636 3,760 2,464 1,442 657 588 151 6,851 2,782 2017 14,253 8,013 6,074 2,624 3,535 2,294 641 288 294 96 3,709 2,711 ※ ’20년~’21년도 코로나19 관련 물품지원 등 (531,336건/52,802백만원) 별도 ④ 추진 계획 ?? 지원 대상 : 국가긴급복지 등 타 제도의 지원을 받지 못하는 저소득 위기가구 ○ 소득 기준 :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 (’22년 기준 중위소득) -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1-211호 (단위 : 원) 구 분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6인 가구 중위소득 85% 1,653,090 2,771,072 3,565,496 4,352,918 5,120,838 5,870,953 중위소득 100% 1,944,812 3,260,085 4,194,701 5,121,080 6,024,515 6,907,004 ○ 재산기준 : 379백만원 이하, 금융재산 1천만원 이하 ○ 위기상황 인정 사유 :「긴급복지지원법」, 조례 및 동·구 사례회의로 인정한 경우 ○ 중복 수급 및 기준 초과자에 대해 동·구 사례회의를 통해 특별지원 가능 <동·구 사례회의> ??구 성 : 공무원 3인 이상 포함, 동 주민센터·구의 특성에 따라 자율 구성 ??역 할 : 위기 가구에 대한 판단 및 지원 내용(물품, 금액) 결정 ?? 지원내용 ○ 지원 항목 : 위기가구에 필요한 생계·주거·의료 등 맞춤형 물품 지원 지원항목 가구 구성원수 추가지원 재 지원 1인 2인 3인 4인이상 생계비 30만원 50만원 70만원 100만원 1회 1년 (회계 연도) 의료비 가구원 수 구분 없이 최대 100만원 1회 주거비 가구원 수 구분 없이 최대 100만원 없음 사회복지시설 이 용 비 돌봄SOS센터 돌봄서비스 이용 (최대 160만원) 없음 일시재가 단기시설 동행지원 주거편의 식사지원 2시간 38,390원 (연 최대 60시간) 1일 60,490원 (연 최대 14일) 60분 14,900원 60분 14,900원 1식 8,400원 (연 최대 30식) 교육비 초(124,100원), 중(174,700원), 고(207,700원, 수업료+입학금) 없음 기 타 연료비 106,700원, 해산비 700천원, 장제비 800천원, 전기요금 500천원 이내 없음 ○ 지원 횟수 : 동일한 위기사유인 경우에도 1년 이내 재지원 가능 - 다만, 3개월 이내에는 지원 불가 ○ 고독사 위험가구 특별지원 - 고독사 위험 1인 가구의 경우 생계비 추가지원 2회 가능(총3회) - 생계비 최대 지원범위 내에서 사물인터넷(IoT)1~2대(50만원 이내) 지원 가능 ○ 폭염·한파 대책 특별지원 - 폭염으로 생활이 어려운 가구에 생계지원, 주거 취약계층에 냉방·방한용품 지원 등 ⑤ 시?구?동 역할 및 협업체계 ○ 협업체계 - 위기가구 : 복지플래너 등 발굴 → 지원 → 사후조사 → 사후관리 - 돌봄대상 : 돌봄매니저 접수 → 서비스 제공 → 비용 지급 → 사후관리 위기가구 발굴 지원결정 지 원 사후조사(확인) 사후관리 긴급 ? ? 신청자 본인, 담당공무원, 기타 모든 주민 등 위기가구 발굴 ① 담당자 선지원 ② 지원기준 초과자 특별지원 생계비 의료비 등 지원 (현금/물품) [洞·區→대상자] ? 기존 복지대상자 (기초수급자,긴급복지 등) 타제도 후원연계 (區·洞) ? ? ? ? ? ? 洞(동)·區(구) 사례회의 ? 일반대상자 (차상위 계층 신청 등 행복e음을 연계한 사례관리) ⑥ 소요 예산 ○ 2022년 : 12,000백만원 - 예상 지원 가구 수 : 약 35,000가구 8 서울형 기초보장 제도 추진 ?소득기준 및 재산기준 완화로 복지사각지대 주민 발굴 확대 ?기준 중위소득 변동에 따른 생계급여액 인상으로 보장 수준 강화 ① 추진 방향 ?? 소득?재산기준 완화로 복지사각지대 주민 발굴 확대 ○ 소득기준 완화 : 기준중위소득 45% → 46% 적용 - 4인가구 기준 : 2,194,331원 이하 → 2,355,697원 이하(161,366 증) ○ 재산기준 완화 : 수급가구의 재산 증가분 반영 - 총 재산 : 135백만원 이하 → 155백만원 이하(20백만원 증) - 금융재산 : 30백만원 이하 → 36백만원 이하(6백만원 증) ?? 기준 중위소득 변동에 따른 생계급여액 인상으로 보장 수준 강화 ○ 서울형 기초수급자 생계급여액 4인가구 기준 5.02% 인상 - 4인 가구 기준 생계급여 : 731,444원 → 768,162원(36,718원 증) ② 성과 기준 ○ 복지사각지대 해소 : 서울형 기초보장제도 지원 인원 - 생활수준은 어려우나 법정기준이 맞지 않아 보호를 받지 못하는 비수급 빈곤층을 지원함으로써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기여 작 성 자 복지정책과장 : 하영태 ☎2133-7310 생활보장팀장 : 김민주 ☎ 7336 담당 : 최경희 ☎ 7338 ③ 추진 실적(’21년) ○ ‘서울형 기초보장제’ 부양의무자 기준 전면 폐지(’21.5월~) -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로 1,273가구(1,680명), 2,230백만원 추가 지원 ※ 정부 ‘국민기초보장제(생계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 조기시행(’21.10월) 견인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한계점을 보완·완화하여 비수급 빈곤층을 지원함으로써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기여 - 지원 대상 : 4,928가구 6,737명 지원(’21.12월말 기준) ④ 추진 계획 개 선 ?? 촘촘한 복지 안전망 제공을 위한 ‘서울형 기초보장제’ 개선 ○ 소득·재산 등 선정기준 완화로 지원 대상 확대(’22.3월~) - 소득기준 : 기준 중위소득 45% 이하 → 46% 이하 (단위 : 원) 구 분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21년(45%) 822,524원 1,389,636원 1,792,778원 2,194,331원 2,590,818원 2,982,871원 ’22년(46%) 894,614원 1,499,639원 1,929,562원 2,355,697원 2,771,277원 3,177,222원 - 재산기준 : ① 총 재산 : 135백만원 이하 → 155백만원 이하(20백만원 ↑) ② 금융재산 : 30백만원 이하 → 36백만원 이하(6백만원 ↑) ?소득·재산기준 완화 시 비수급빈곤층 1,062가구(2,066명) 신규 지원 예상 ※ 추가 소요예산 : 3,530백만원 ※ 사회보장변경 협의(복지부) 및 주민생활안정 지원 조례 시행규칙 개정 후 시행 ○ 생계급여 인상(5.02%)으로 보장 강화(’22.1월~) - 국민기초 생계급여수준 변동에 따라 서울형 기초 생계급여 인상 (4인 기준 5.02%↑) (단위 : 원) 구 분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최대 지원 소득평가액 0 0 0 0 0 0 생계급여 291,722 489,013 629,205 768,162 903,678 1,036,051 최소 지원 소득평가액 894,614 1,499,639 1,929,562 2,355,697 2,771,277 3,177,222 생계급여 97,241 163,004 209,735 256,054 301,226 345,350 주 : 최대지원 : 정부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생계급여의 1/2 수준 최소지원 : 최대지원의 1/3 수준 ⑤ 시?구?동 역할 및 협업체계 서울시 자치구 동 ?서울형 기초보장제도 계획 수립 및 총괄 관리 ?예산 및 운영지침 마련 ?사업결과 분석 및 평가 ?수급자 발굴, 조사, 선정 ?구별 발굴 실적 보고 ?복지관·유관기관 등과 협조체계 구축 ?안내 및 상담 ?수급자 사후관리 ?타 제도나 민간후원 등 연계 관리 ⑥ 소요 예산 ○ 2022년 : 15,782백만원 9 「돌봄SOS센터」운영 ? 전 자치구 ?돌봄SOS센터? 본격 가동으로 촘촘한 서비스 제공 ? 돌봄 필요 병원 퇴원환자에게 돌봄SOS 서비스 연계 확대?강화 ? 전 자치구 본사업 및 코로나19 대응에 따른 업무집중 체계 마련 ① 추진 방향 ?? (직접제공) 시민이 원하고 필요할 때 돌봄서비스 즉시제공 ○ 전 자치구 확대시행(’20.8월), ‘동 중심’ 본사업 추진(’22.1월) ○ 긴급돌봄, 일상편의서비스 등 10대 돌봄서비스 제공 ?? (보편제공) 돌봄 필요한 시민이 돌봄서비스 이용 ○ 중위소득 85% 이하 가구 지원 확대 (’20.1월~) - 100% 이하 가구 지원 : 서울형긴급복지와 연계 한시적 지원(~’22년 위기단계 유지시까지) ○ 어르신·장애인 ⇒ 중장년 가구(50세 이상) 지원 확대 (’20.7월~) ?? (적극제공) 공적제도 자격기준 탈락 위기가구 돌봄지원 증대 ○ 현재 대상 자격기준 미충족 위기가구에 대한 예외제공 강화 ○ 지원 자격확인 소득조회에 시간 걸리거나 애매한 경우 ‘선지원 후검증’ 적극 시행 ② 성과 기준 ○ 서비스 제공건수 : ?돌봄SOS센터? 돌봄 10대 서비스 총 제공 건수 작 성 자 지역돌봄복지과장 : 안현민 ☎ 2133-7370 지역돌봄기획팀장 : 진기준 ☎ 7379 담당 : 방혜진 ☎ 7381 ③ 추진 실적 ○ 총 147,195건(‘19년 5,604건, ’20년 21,259건, ‘21년 120,332건) 서비스 제공 - 수가 5대 서비스(일시재가, 단기시설, 동행지원, 주거편의, 식사지원) 75,615건 - 연계 5대 서비스(안부확인, 건강지원, 돌봄제도, 사례관리, 긴급지원) 71,580건 ※ ’19.7월 시범사업 5개구 시행, ’22.1월 전 동주민센터 내 설치 완료 서비스 제공실적(’19.7.18.∼ ’21.12.31.) (단위 : 건) 구 분 계 일시재가 단기시설 동행지원 주거편의 식사지원 돌봄연계 (안부확인 등) 총 계 147,195 19,449 35 6,596 10,832 38,703 71,580 2019년 (5개구) 5,604 1,265 3 195 529 2,013 1,599 2020년 (13개구) 21,259 5,284 17 928 1,751 10,632 2,647 2021년 (25개구) 120,332 12,900 15 5,473 8,552 26,058 67,334 ○ 돌봄SOS센터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시민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평균 90점 이상의 높은 만족도가 나타남 (※19년 90.1점, 20년 90.4점, 21년 91.89점) - 조사대상 : 서비스 이용자 (’19년 1,019명, ’20년 1,136명, ‘21년 1~3분기 10,698명) - 기간?방법 : ‘19년 시행 후 매월 실시, 만족도 조사지 활용?일대일 전화 면접 조사 ④ 추진 계획 개 선 ① 전 자치구(동)「돌봄SOS센터」본격 가동으로 촘촘한 서비스 제공 ○ 425개 전동 전담인력 배치(’22.1월 완료) 통해 돌봄SOS서비스 본격제공 - ’21년은 25개구 중 12개구가 전담인력 미배치로 서비스 제공이 미흡 - 각 동주민센터 복지2팀 내에 돌봄매니저 2명(사회복지직1 + 간호직1) 배치 ※ 인력채용 : 총 691명 (복지직 406, 간호직 285) ?(’19년) 90명(복지직45, 간호직45) → (’20년) 340명(복지직172, 간호직168) → (’22년) 261명(복지직189, 간호직72) ② 돌봄 필요 병원 퇴원환자에게 돌봄SOS 서비스 연계 확대?강화 ○ 市 → 병원간 업무협약을 통해 25개구 모두 MOU체결 병원에서 돌봄연계 환자를 배분받을 수 있도록 추진 - 市→상급·종합병원과 MOU 체결 → 각 구에서 퇴원환자 중 돌봄 필요대상자 발굴 - 대상자 돌봄욕구 파악 후, 돌봄 서비스 제공 및 장기적 돌봄 기관 연계 (병원) 퇴원전 환자평가, SOS서비스의뢰 ? (구청) 병원의뢰건 확인, 동별 분배 ? (동주민센터) 서비스계획수립, 맞춤형서비스 제공 ? (구청) 결과확인 및 수가지급 의료기관에 결과 발송 ⇒ 병원비가 없어 퇴원후 가정에서 적절한 조치를 받지 못해 사망하는 것 예방 예) 대구 청년간병인 존속살인 (’21.5월 아들이 간병어려움 및 생활고로 존속살해 사건) ⑤ 시?구?동 역할 및 협업체계 구 분 서울시 자치구 동주민센터 ?돌봄SOS센터? 운영 ?돌봄SOS센터 총괄 계획 수립 ?돌봄매니저 인력채용·배치 ?운영보조금(예산) 교부 ?사업 운영매뉴얼 제작·배부 ?이용자 정보관리시스템 (생복통) 통합 관리 ?추진실행위원회 및 실무TF 운영 ?동 직원 교육 및 돌봄 매니저 워크숍 개최 ?사업설명회 개최 ?대시민 홍보 종합추진 ?복지부서 내 ‘돌봄지원팀’ 신설 ?추진체계 구축(민간거버넌스, 구청 추진단, 자문단 등) ?서비스 연계기관 협약 체결 ?구 단위 사업설명회 개최 ?구 단위 대시민홍보 실시 ?서비스 비용 기관 정산 총괄 ?돌봄매니저 인력 배치·관리 ?동주민센터 내 ‘돌봄SOS센터’ 설치 ?돌봄서비스 대상자 발굴·접수 ?신청 대상자 현장방문 ?돌봄계획 수립 및 돌봄 서비스 기관 연계 제공 ?이용자 정보 시스템 입력·관리 ⑥ 소요 예산 ○ 사업 총 예산 : ’20년 135억 → ’21년 287억 → ’22년 333억 (단위:백만원) 구 분 계 ’19년 ’20년 ’21년 ’22년 계 82,661 3,066 13,480 28,667 33,288 1 돌봄매니저 인건비 42,195 1,063 4,036 12,471 15,548 2 돌봄SOS센터 사업비 38,087 1,748 8,547 15,239 17,500 3 공간개선비 1,269 135 567 485 - 4 사무관리비 1,110 120 330 482 240 10 (학대·폭력) 소나무 센터(위기가정 통합지원센터)운영 ? 찾동과 경찰청 치안서비스 접목 맞춤형 통합사례관리 체계 구축 ? 학대?폭력 등 위기가구에 대한 선제적 발굴 및 지속적 사후관리 ? 위기상황에 대한 지역사회 안전망 확보 및 복지서비스 대상 누락 방지 ① 추진방향 ○ 찾동과 소나무 센터와의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 - 구?동 사례관리 전달체계 강화를 통한 맞춤형 복지서비스 지원 ○ 소나무 센터 업무 추진 활성화를 위한 운영체계 구축 - 성과관리체계 마련, 상담원 등 교육 강화, 전산시스템 마련 등 기반 구축 ○ 학대·폭력 가정 지역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한 민?관?경 협력 네트워크 강화 - 소나무 센터 중심으로 학대·폭력 등 위기가구 지원 등 수행 ② 성과기준 ○ 소나무 센터(위기가정 통합지원센터) - 위기가정 통합지원센터 개소수, 초기상담건수, 사례관리 및 서비스 연계 건수, 사후관리 모니터링 ○ 찾동 돌봄위기가구 - 돌봄위기가구 발굴건수, 돌봄위기가구 서비스 연계율, 서비스 만족도, 지역사회기관 연계 건수 작 성 자 지역돌봄복지과장 : 안현민☎ 2133-7370 지역돌봄기획팀장 :박진용 ☎ 7372 담당 :박슬기 ☎7390 양성평등정책담당관 : 강지현 ☎ 2133-5005 양성평등정책팀장 :주병준 ☎ 5007 담당 :손동기 ☎5008 ③ 추진실적 ?? 소나무 센터(위기가정 통합지원센터)(지역돌봄복지과) ○ 센터 운영실적(’18.10.10.~’21.12.31.) - 누계 총 69,622건 신고, 39,195건의 초기전화상담 실시(상담율 56%) (단위: 건, 가구) 신고접수 서비스 지원 및 사후관리 112 신고건수 경찰직접의뢰 및 미동의 초 기 전화상담 통합사례 관리가구 서비스 연계가구 경찰 합동방문 재발우려가구 등 모니터링 기타 69,622 30,427 39,195 507 12,295 1,574 14,045 10,774 ※ 주요서비스 연계 : 가정폭력상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법률홈닥터, 건강가정지원센터 등 기타 : 단순사례, 대상자 중도 포기 등 ?? 찾동 돌봄위기가구(양성평등정책담당관) ○ 돌봄위기가구 방문 및 지원 실적(’21.1.1.~’21.12.31.) - 상담인원 총 5,550명 상담 실시(동평균 1.1건) - 돌봄위기가구 상담 유형 : 대면상담(68.0%), 전화상담(32.0%) - 상담 후 서비스 연계율 56.1%(공적급여 제공 및 사례관리 등) (단위: 가구, 건, %) 상담 인원 총 상담 상담 후 서비스 연계(건수) (중복응답) 가정 방문 (A) 내방 상담 (B) 대면 상담 (A+B) 전화 상담 단순 서비스 연계 공적급여 제공 사례 관리 계 맞춤형 급여 차상위 긴급 복지 3,815 (100.0%) 2,670 (70.0%) 240 (6.3%) 2,910 (76.3%) 905 1,870 43 26 20 34 1,993 1,735 (100.0%) 704 (40.6%) 159 (9.2%) 863 (49.7%) 872 955 101 34 14 16 1,120 5,550 (100.0%) 3,374 (60.8%) 399 (7.2%) 3,773 (68.0%) 1,777 2,825 144 60 34 50 3,113 (56.1%) ④ 추진계획 ?? 소나무 센터(위기가정 통합지원센터 운영)(지역돌봄복지과) ○ 사업대상 : 가정폭력 피해 및 우려가구 ○ 추진기간 : ’18.10월 ~ (10개구 시범 사업 실시 후 ’21년 2월 25개 전 차지구 운영) ○ 설치장소 : 구 청사 또는 외부 설치 ○ 운영관리 : 구 희망복지지원단 팀장이 총괄 수행?관리 ○ 인력구성 : 통합사례관리사(1명), 학대예방경찰관(1~2명), 상담원(1~3명) ○ 역할?기능 - 112신고 (동의)가구에 대한 전화상담을 통해 위기가구 조기 발굴·개입 - 공공·민간서비스를 연계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 재발방지 위한 공동방문·모니터링 ○ 상담원(50+보람일자리) 선발·운영 - 선발인원 : ’21년 48명 ⇒ ’22년 52명 - 선발기준 : 복지·상담 관련 학과 전공 또는 관련 경력자(만50~67세) <조직체계> ○ 소나무 센터 상담관리 시스템 구축 신 규 - 생활복지정보시스템 내 ‘소나무 센터 전산망’ 구축하여 기존 수기기록의 비효율성 제거 및 센터 종사자 업무 편의성 증진 위해 시스템 개발 추진 < 시스템 구현 방향 > ? APO 시스템과 소나무 센터 시스템 간의 연계로 신속한 신고가정 정보 공유 ? 상담 유형을 체계화하여 자료 관리의 효율성 및 통계자료의 정확성 확보 ? 센터 종사자 간 실시간 정보 공유 및 상시 소통할 수 있는 소통방 개설 ? 대상자 모니터링 주기 도래 시 팝업 및 알림 기능 제공하여 모니터링 누락 방지 ? 전화 상담 거부자 및 미연결자에게 소나무 센터 안내 문자·카카오톡 발송 ?? 찾동 돌봄위기가구 지원사업(양성평등정책담당관) ○ 동단위 돌봄위기 가정방문 사업 - 대 상: 25개 자치구 425개동 - 담당인력: 동별 돌봄위기전담 복지플래너 - 업 무 · 돌봄위기(아동학대 및 가정폭력)가구 발굴 및 신고 · 피해가구에 대한 복지서비스 연계, 관련 전문 지역사회자원 의뢰 및 연계 · 돌봄위기가구의 지속적인 가정방문을 통한 사후 관리 · 동단위 지역사회안전돌봄공동체 구축(위기 발생시 지원체계 구축) ⑤ 시?구?동 역할 및 협업체계 구 분 서울시(추진지원단) 자치구(센터) 동 위기 가정 통합 지원 센터 센터 운영 전반 ?서울형 통합사례관리 체계 구축 총괄 ?예산 및 운영지침 마련 ?서울경찰청과 업무협의 ?사무실 등 센터 설치 ?센터 인력관리 및 운영 ?지역경찰서, 유관기관 등과 협조체계 구축 ?센터 요청 시 동행방문 등 협조 ?사후모니터링 상담원 운영 ?계획 수립 및 총괄 관리 ?모집·선발 및 배치, 기본직무교육 ?활동관리(근로계약 등)및 급여 지급 ?활동일지 관리 등 찾동 돌봄위기 가구지원 ?지원체계 구축 매뉴얼 개발 ?직무교육 ?돌봄위기 가구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민관경 협력간담회 추진 ?사례발굴 및 사후 모니터링 <위기가정통합지원센터와 찾동, 전문기관과의 연계 체계도> ⑥ 소요예산 ○ 위기가정통합지원센터 운영 : 639백만원 - 사업운영비(25개소) : 175백만원 · 센터운영경비, 사업비(대상자 지원비, 회의운영비, 교육비, 자문비 등) - 통합사례관리사 수당(25개구 114명) : 137백만원 - 상담원 활동비 : 327백만원 ※ 보람일자리 상담원 활동비(252백만원) 포함(인생이모작지원과 예산) ○ 찾동 돌봄위기가구 : 비예산 11 정신건강관리 지원체계 강화 ?‘정신건강서비스 유입지원팀’운영으로 정신건강위험군 집중서비스 제공 ?기관 간 연계 강화로 보건·복지가 통합된 정신건강돌봄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전담인력 배치 및 소진예방, 역량강화를 위한 슈퍼비전 체계 운영 ① 추진 방향 ○ 정신건강위험군(서비스 미동의자) 집중서비스 제공을 위해『정신건강서비스유입지원팀』운영 - 정신건강전문인력 및 정신과전문의, 법률가, 사회복지전문가 등 다학제팀 구성으로 현장대응 및 솔루션회의, 전담인력 소진예방 및 역량강화를 위한 슈퍼비전 실시 ○ 정신건강전담인력 배치 및 기관 간 협력체계 강화로 정신건강지원 확대 - 지역 내 정신건강위험군 발굴 및 지원을 위한 정신건강전담인력 배치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을 위한 자원 간 협력체계 강화 ② 성과 기준 ?? 정신건강지원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사례 ○ 지역자원 연계 건수 : 정신건강전문기관 및 복지자원 연계 건수 - 초기평가를 통해 정신재활시설, 정신의료기관등 전문기관 자원연계 건수 ○ 동행 방문율 : 정신건강위험군(서비스 미동의자) 동행 방문율 - 찾동 의뢰 정신건강고위험군 중 서비스 미동의자 방문 시 동행 요청 건수 대비 동행한 건수(동행방문 건수/동행방문 요청) ?? 정신건강서비스 미동의자 관리를 위한 전문인력 확보 및 역량강화 ○ 전문인력 확보 : 보건소별 정신건강전담인력 확보 - 보건소별 정신건강전문요원 2명 배치(총 50명) ○ 교육 참여율 : 전담 요원 및 담당자 교육 참여율 - 정신건강전담인력 및 담당자의 직무역량 교육 참여 비율 작 성 자 보건의료정책과장 : 윤보영☎ 2133-7505 정신보건팀장 : 조남주 ☎ 7544 담당 : 김성인 ☎ 7545 ③ 추진 실적(’21년) ?? ‘관계망 형성’을 통한 정신건강문제 지원 네트워크 구축 사례 ○ 지역자원 건수 : 2,440건 - 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재활시설, 정신의료기관, 중독통합지원센터 등 ○ 동행방문율 : 114%(방문대상자 246명, 동행방문 281건) - 정신건강고위험군(서비스 미동의자) 방문 시 동행 방문율 ?? 정신질환자 돌봄체계 강화를 위한 전문인력 확보 및 역량강화 ○ 전문인력 배치 : 39명 (25개 자치구 1~2명씩 배치) ○ 교육참여율 : 92% (25개 자치구 중 23개구 교육 완료) ④ 추진 계획 ?? ‘정신건강서비스 유입지원팀’ 운영으로 지역 내 정신건강서비스 미동의자 관리 강화 개 선 ○ 구성인력 : 정신과전문의, 정신건강전문요원, 법률전문가, 사회복지전문가 등 ○ 사업내용 - (사례 발굴 및 개입 지원) : 자치구 및 광역센터 합동 사례 발굴 및 개입 - (정신건강위험군 현황 파악) : 자치구 정신건강위험군 개입 현황 조사 - (유관기관 네트워크 운영) : 정신건강위험군 사업 협력을 위한 기관 간담회 실시 - (솔루션 회의) : 사례 해결을 위한 각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여 접근 전략 개발 ?? 정신건강전담인력 배치로 정신건강고위험군 발굴·관리 및 지역자원과의 연계 강화를 통한 정신건강지원 확대 확대 ① 정신건강 전담인력 배치(25개 자치구) : 39명(’21년)→50명(’22년) ※ (건강돌봄팀 운영 자치구) 건강돌봄팀과 협업체계 유지 - 정신건강 전담인력 역할 ? 찾동사업, 돌봄SOS, 건강돌봄팀 등 지역에서 의뢰되는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선별 및 개입 등 정신건강분야 창구 역할 수행 - 지역사회 정신건강문제 의뢰 및 개입 절차 ? (1차 평가) 의뢰 대상자에 대한 초기 평가 → 서비스 지원 전략 수립 ? (자원연계 및 서비스 제공) · 경증정신문제 : 상담(기본면담 4회, 필요시 8회)지원, 자치구별 특화프로그램, 치유활동가, 심리지원센터, 자살예방지킴이 등 자원연계 · 알코올 중독문제 의심군 :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회복자상담가 활동 연계 · 정신질환 의심군 : 정신건강복지센터 연계(등록 및 사례관리 제공 등) · 서비스 연계 : 경증의 우울, 불안 등의 문제를 겪는 대상에게 『마음건강검진』지원(3회/인) ? (추후관리) · 서비스 회신 : 2회(의뢰일 부터 10일 이내 1차, 서비스 종결 후 5일 이내) ⇒ 기관별 회신을 통한 모니터링 및 통합관리(서비스 계획 및 진행사항 공유) <개입절차도> ② 정신건강 문제 발생 시 지원을 위한 자원 간 협력체계 강화 - 협력을 위한 기관별 역할 ? 찾아가는 동주민센터(복지플래너, 방문간호사) · 지역사회 정신건강문제 대상자 발굴 및 정신건강전담인력에게 의뢰 · 서비스 거부 대상자는 통합사례회의를 통해 정신건강전문요원과 관리체계 유지 ? 건강돌봄팀(간호사, 의료사회복지사, 영양사 등) · 시립병원, 지역사회 건강돌봄 대상자 중 정신건강문제자는 정신건강전담인력과 통합관리 ? 보건소(정신건강전담인력) : 1차 정신건강평가 및 분류, 상담 및 지역자원 연계, 통합관리 ? 정신건강복지센터 등 : 서비스 동의대상자, 응급 및 위기개입대상자 등록 관리 - 정기적인 협력 회의 운영 : 정기적인 사례관리 운영(월 1회, 사례발생 시) ? 현장에서 발생되는 문제 공유 및 대안 마련(사례관리 등 회의를 통해 공유) ?? 정신건강 대응 인력 직무 역량강화 교육 ○ 정신건강전담인력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 교육대상 : 정신건강 전담인력 - 교육운영 : 서울시(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 교육내용 : 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와의 업무 협력 방안 및 사례관리 및 서비스 연계, 네트워킹 등 - 교육방법 : 전담 인력의 근무 경력 및 요구도 조사 결과 반영하여 기본·심화 교육과정으로 구분하여 운영 ○ 찾·동 사업 인력 정신건강사업 역량강화 교육 지원 - 교육대상 : 찾·동 방문간호사, 복지플래너 - 교육운영 : 정신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교육 과정 지원(찾동 미래학교 과정) - 교육내용 : 정신질환의 이해, 업무 프로세스 과정 - 교육방법 : 주제별 이론 교육(중독, 우울증, 자살, 조현병) 및 사례 워크숍 ⑤ 시?구?동 역할 및 협업체계 ○ 서울시 - 정신건강서비스 유입지원팀 운영(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미동의전담팀) - 정신건강위험군(서비스 미동의자)사업 유관기관 네트워크 운영 - 정신전담인력 및 사업담당자의 소진예방 및 역량강화를 위한 슈퍼비전 실시 - 사례관리 및 통합 솔루션 회의 등 운영 ○ 자치구 - 자치구 실정에 맞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지원 체계 운영 - 지역사회 자원 간 협력체계 구축 및 활성화 - 정신건강전담인력의 사례관리 지원을 위한 슈퍼비전 체계 수립 ⑥ 소요 예산 ○ 2022년 : 2,068백만원 - 정신건강전담인력 인건비(50명) 12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지원 ? 주민주도 돌봄활동 지원을 통해 동단위 주민자치력과 지역복지력 강화 ? 주민주도 지역특화사업 및 공공주도 복지제도의 통합적 연계 체계 구축 ① 추진 방향 ○ 법정 복지거버넌스 기구인 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중심으로 동단위 민·관 공동의 복지계획 수립?시행 - 복지의제 발굴, 지역 복지욕구 및 자원의 분배 및 분절·중복 예방 등 ○ 지역사회보장 강화를 위한 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역할 정립 ② 성과 기준 ○ 동 지사협 활성화 : 동 지사협 활성화 선도 사업 지속 확대 - 동 복지계획 수립 등 주민 주도적 활동 촉진 ○ 시-구-동 연계체계 : 시,구,동을 연결하는 쌍방향 소통 창구 상설화 - 시, 구, 동과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정책 및 정보 소통, 협력 및 지원 체계 ○ 구 지사협 전담직원 배치 : 구 지사협 전담직원 인건비 지원 지속 확대 - 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행정지원 시스템 및 네트워크 역할 정립 ③ 추진 실적(’21년) ○ 회의 및 안건처리 : 840회(9,944명 참여) / 2,239건 ○ 교육 및 홍보 : 교육 총 153회 / 홍보 총 449건 ○ 위기가구 발굴 및 지원연계 : 45,701가구 / 100,171건 ○ 민간자원 발굴 및 洞 특화사업 추진 : 7,174건 / 892개 사업 작 성 자 지역돌봄복지과장 : 안현민 ☎ 2133-7370 복지공동체팀장 : 안재동 ☎ 7386 담당 : 정원준 ☎ 7393 ④ 추진 계획 ?? 주민주도 돌봄활동의 구심점으로서 지사협 역할 강조 ○ 동 지사협 활성화 필요성 - 주민 소통과 협치의 중요한 법적 수단 (구체적 역할과 기능이 제시) - 공공복지 전달체계의 한계 및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 구체적 콘텐츠에 기반한 주민의 주도적 성장 촉진, 주민자치 견인 역할 가능 ○ 동 지사협의 역할 정립 ① 기존 주민·단체 등과 네트워킹 : 지역 내 기존 활동인력의 확인 및 소통 체계 ② 기존 주민·단체 등 활동 지원 : 주도적 활동을 위한 지원, 동 행정과 연계 등 ③ 지역 내 복지욕구 및 자원 발굴 : 주민관계를 통한 발굴, 구 단위 공유 등 ④ 지역 복지계획 수립 : 발굴된 욕구 및 자원과 지역내 네트워킹에 기반 ?? 자치구?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간 협력 연계 체계 ○ 관계 설정 : 상호 위계 관계가 아닌 독립적 협력 관계 ○ 區 지사협의 계층구조별 역할 정립 - 대표협의체 → 실무협의체 → 실무분과의 각 역할 및 관계 설정 - 각 계층체계에서 이루어지는 또는 갖춰야 할 협치적 요소 정리 ○ 區·洞 지사협의 관계 강화 - 동 지사협 위원장의 구 대표협의체 당연직 참여 - 구 지사협 분과에 동 지사협 분과를 두고 동 지사협의 진행상황이나 욕구에 대응 - 분과위원들이 동지사협에 위원으로 참여하여 구 지사협과 동 지사협 연결 ○ 區 지역사회보장계획과 洞 지사협의 활동성과의 연계 방안 - 자치구의 구 지사협과 동 지사협의 담당부서·담당자 지정, 추진 - 구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실행과 피드백을 위한 연계체계 추진 (구 실무분과 활동과 동 지사협 활동간 역할구분 및 상호 보완체계 등) ?? 자치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전담직원 인건비 지원 확 대 ○ 전담직원 채용 및 지원 현황(’21.6월) - 총 22개구에 전담직원 채용 - ’21년 25개구 인건비 지원(구별 18백만원) ○ ’22년도 인건비 지원 계획 - 총 25개구 시비 인건비 편성[기 채용 22개구 + 추가 3개구(중구,용산,노원)] ○ 자치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전담직원 업무 가이드(안) - 구 지사협의 동 지사협 운영 지원 주 체 구 분 서울시 추진지원단 자치구 동 복지기관 구?동 연계(간사배치) 기본계획 행정총괄 업무매뉴얼 개발 실행계획 동주민센터 지원 간사와 협력 지원 모니터링 동주민센터 지원, 협력주체 동 지사협 활성화 기본계획 광역총괄 매뉴얼개발, 교육, 컨설팅, 홍보, 연구 실행계획 구단위 총괄 실행주체 연구지원 실행지원 협력주체 구분 주요역할 서울시 지역돌봄복지과 ? 추진 총괄, 성과관리 ? 복지공동체 통합 가이드라인 제작 및 배포 서울시복지재단 ? 통합컨텐츠 개발 ? 지사협 관계자 맞춤형 교육 운영 ? 현장연구 및 인큐베이팅 자치구 자치구 ? 사업 홍보 및 예산 지원 ? 전문위원 위촉 ? 교육 지원 구 지역사회 보장협의체 ? 지사협 위원 전체 교육 및 워크숍 ? 동지사협 활성화 참여 동 핵심인력 교육 ? 동지사협 활성화 참여 동 통합 워크숍 동 주민센터 동장 ? 동지사협 위원 추천 ? 동지사협 홍보 및 신규위원 위촉 주관팀 ? 위원이 발굴한 대상에 공적지원?민간지원 연계 및 지원 ? 동지사협 회의 지원 ? 동복지계획 수립 및 실행지원 전문위원 (민간 복지기관) ? 동지사협 민간자원 지원 ? 동복지의제 찾기 워크숍 퍼실리테이터, 동복지계획 공동수립 동 지역사회 보장협의체 주민위원 ? 복지대상자 발굴 및 지역자원 발굴 ? 동복지계획 수립 및 실행 ⑤ 시?구?동 역할 및 협업체계 ⑥ 소요 예산 ○ 사업 총 예산 : ’21년 940백만원 → ’22년 860백만원 → ’22년이후 1,080백만원 (단위:백만원) 구 분 계 ’20년 ’21년 ’22년 ’23년 이후 계 3,704 824 940 860 1,080 1 명예사회복지공무원 운영비 지원 150 - - 50 100 2 동지사협 회의운영비 1,188 254 254 255 425 3 동복지대학운영 341 116 225 - - 4 구지사협 전담인력 2,025 454 461 555 555 찾동 추진기반 강화 13 찾동 행정 추진체계 개선 ? 찾동사업 초기부터 자치구 확산 및 사업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운영한 추진지원단 체계를 종료하고 분야별 집중지원 체계로 개선 ① 추진배경 ○ 찾동 서울시 全 동 시행 및 사업안착에 따른 추진 운영방식 전환 - ’14.9월 추진본부 구성·운영(추진운영위원회, 추진단, 지원단)으로 사업동력 확보 - ’19.7월 25개 자치구 전동으로 찾동 확산 완료 및 사업 안정화 ○ 통합 지원체계의 비효율성 및 분야별 사업 위주의 지원방식 필요 - 소속기관별 요구와 지원단 역할 병행의 제약으로 독립된 업무수행 어려움 - 연석회의 등을 통한 공동기획·관리보다 사업별 집중지원을 통한 내실화 필요 ② 추진체계 개 선 ○ 추진본부를 찾동 분야별 소관부서 간 협업체계로 변경 변경 전 변경 후 협업체계 운영위원회 총괄분야 복지분야 마을분야 건강분야 여성분야 자치행정과 지역돌봄복지과 복지정책과 지역공동체과 건강증진과 보건의료정책과 양성평등정책담당관 가족담당관 복지재단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 통합건강증진 사업지원단 여성가족재단 (지원기관) ○ 지원단 운영 종료, 원소속 복귀 후 분야별 사업부서 지원체계로 전환 ○ 공동으로 협의하고 추진해야 할 사업영역 설정, 최소인력으로 협업체계 유지 - 공통분야인 성과관리, 모니터링·컨설팅, 현장소통, 매뉴얼 제작 및 교육은 분야별 사업추진 후 부서간 협의 필요시 TF 운영으로 소통 작 성 자 자치행정과장 : 강석 ☎ 2133-5800 동혁신팀장 : 공미순 ☎ 5833 담당 : 이수호 ☎5850 14 찾동 인력 관리 ? 찾동 사업의 안정성 및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인력 관리 강화 ① 추진방향 ○ 찾동인력 현원 유지비율 등 모니터링 강화로 정책의 지속성 확보 ○ 찾동 현장 실태 분석을 통한 효과적 인력 운영 및 업무수행 개선방안 모색 ② 인력 충원현황 ○ ’15년~’21년 : 3,543명 - 사회복지담당 2,137명, 방문간호사 896명, 마을사업전문가 80명, 돌봄매니저 430명 ※ 연도별 순증인력, 마을사업전문가 단계별 2년 한시지원 종료, ’21년 충원인력 없음 ③ 추진계획 ?? ’22년 충원 계획 : 277명 확 대 ○ 방문간호사 49명, 돌봄매니저 228명(복지 165, 간호 63) ?? 인력배치 및 팀 운영 현황 모니터링 ○ 자치구별 정원대비 현원 및 직렬·직급별 비율 등 점검 - 자치구별 적정 찾동 인력 운영 견인을 위한 관리방안 마련하여 지속 점검 - 결원사유 조사 등 유지비율 미달 원인 분석을 통한 대책 강구 ○ 동주민센터 팀 운영현황 등을 모니터링하여 자치구별 내용 공유, 편차 분석 - 찾동 인력 전문성 확보를 위한 사회복지직 팀장 동주민센터 우선배치 등 ?? 지역적 특성에 적합한 자치구별 효율적 인력운영 방안 마련 ○ 지역별 인구 특성, 복지 수요 등 분석을 통한 인력 재배치 및 업무수행 구조 개선 - 동별 특성을 반영하여 자치구별 적정인력 확보, 정원조정 등 자체 인력배치 개선방안 마련 시행 ※ 자치구 상황에 따라 연차별 추진 ○ 동별 인력운영의 변화 등 현원 유지 어려움에 대한 현장 공통의견 수렴, 향후 충원인력 필요성, 인력 규모 등 검토 작 성 자 자치행정과장 : 강석 ☎ 2133-5800 동혁신팀장 : 공미순 ☎ 5833 담당 : 김현정 ☎5835 15 분야별 자체 모니터링 운영 ? 연도별 핵심 이슈 집중 모니터링으로 업무 효율 극대화 ? 찾·동 사업 분야별 소관부서 자체 성과관리 체계 마련 ① 추진방향 ○ 연도별 핵심 이슈 집중 모니터링 실시로 시의성 및 효율성 제고 ○ 찾·동 전달체계 구축완료(’19.7월)로 사업 분야별 자체 모니터링 실시, 성과관리 체계 마련 ② 성과기준 ○ 지역 사회보장 증진 등을 위한 소관부서 분야별 모니터링 지표 제시 ○ 자치구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모니터링 특성화 지표 개발 ③ 추진실적 ○ 찾동 관심 이슈, 미흡한 부분 컨설팅을 위한 자체 모니터링 추진 - 市소관부서 자체계획 수립 하에 자치구 분야별 사업 모니터링 실시 ○ 기존 표준화된 지표에 따라 분야별 주요 사업 추진현황 점검 - 인력, 취약위기가구 상담·관리, 보편방문, 사례관리, 방문 건강관리 등 - 코로나 상황 속 기존 사업 추진에 대한 애로사항 점검 등 ④ 추진계획 ?? 찾동 분야별 사업 모니터링 강화 개 선 ○ 핵심 이슈에 따라 자체 모니터링 계획 및 사업 점검 - 각 분야별 핵심 목표 달성을 위한 집중관리대상 이슈 도출 - 모니터링 분야별 분석 결과에 따라 금년도 이슈와 컨설팅 방향 설정 작 성 자 자치행정과장 : 강석 ☎ 2133-5800 동혁신팀장 : 공미순 ☎ 5833 담당 : 이수호 ☎5850 ○ 복지, 건강, 여성, 마을 분야별 성과지표(실적) 연중 주기적 관리 - 반기별 또는 분기별 실적 비교 가능한 주요 지표 위주로 효율적 관리 - 자치구는 정책환경 등을 고려하여 계획 수립, 필요한 성과지표 추가 ⑤ 시?구?동 역할 및 협업체계 ○ 서울시 : 소관부서가 총괄, 관련 재단 및 센터에서 모니터링 지원 추진 - 소관부서 : 계획수립, 자료수합?관리, 모니터링 운영, 보고서 작성 등 총괄 - 관련재단 : 지표연구, 모니터링과 결과 분석·정리 및 컨설팅 지원 ○ 자치구, 동주민센터 : 자체 모니터링 계획 수립 및 분석·평가 - 지역 여건에 따른 자치구 단위 모니터링 기획 및 실행, 분야별 실적관리 - 동주민센터 자체 모니터링에 따른 자치구 단위 결과 분석 및 평가 ⑥ 소요예산 : 비예산 16 찾동 추진주체 현장대응력 및 역량 강화 ? 찾동 운영을 위한 직무역량 강화 및 공공부문 사례관리 전문가 양성 ? 수준별 사례관리, 실습 위주의 교육으로 확대하여 현장적용 극대화 ① 추진 방향 ??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운영을 위한 직무역량 강화 및 전문가 양성 ○ 복잡·다양해지는 찾동 업무에 대한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편 - 현장사례·실습 위주의 참여형 교육 강화로 현장 적용 극대화 - 사례관리 교육 세분화→수준별 교육 이수 : 기초(이론/사례), 심화, 전문과정 등 ?? 교육 평가방법 확대 및 현장적용 극대화 ○ 교육 참여자 인터뷰, 강사 평가회의, 모니터링 등 다양한 평가방법 활용 - 강사 워크숍, 타 강사 교육 모니터링 등 강사진 협업을 통한 교육내용 개선 ○ 현장 공무원(복지직) 강사 구성, 우수·고난이도 사례관리 노하우 공유, 교육 내용의 현업 적용 결과 및 장애요소 청취 ?? 코로나19 등 대외적 환경 변화에 따른 탄력적인 교육 운영 ○ 비대면 교육 상설화를 위한 신규 콘텐츠 추가 제작·확대 - 비대면(ZOOM) 교육 내용을 온라인 콘텐츠 제작 확대 및 상설화 ○ 자치구(동) 직원의 교육부담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주관교육 운영 ② 성과 기준 ○ (서울시) 찾동미래학교 : 서울복지교육센터 교육 이수인원 ○ (자치구) 주관교육 : 자치구 주관 교육 이수인원 작 성 자 자치행정과장 : 강석 ☎2133-5800 동혁신팀장 : 공미순 ☎5833 담당 : 이재화 ☎5834 ③ 추진 실적 구 분 총 계 (서울시) 찾동미래학교 자치구 주관교육 계 비대면 대면 학습동아리, 힐링교육 등 참여인원 4,766 1,203 1,118 85 3,563 찾동 자치구 주관교육 참여인원 중 찾동 미래학교 실적과 중복된 인원은 제외 ③ 추진 계획 확 대 ※ 코로나19 등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성 있음 ?? (서울시) 찾동미래학교 ○ 교육기간 : ’22. 2. ~ 12. ○ 교육대상 : 동장, 팀장, 방문간호사, 통합사례관리사, 복지플래너 등(1,400여 명) ○ 교육내용 : 찾동 2.0의 이해, 사례관리, 정신건강, 방문안전관리 등 과 정 명 온라인 교육(2~12월) 오프라인(집합) 교육(5~11월) 과목 수 총인원 교육내용(예정) 집합 일수 총인원 교육내용 소계 - 750 이론, 지식 전달 36 730 (1,120) 워크숍, 토론, 실습 과정 동장(신규) 7 30 ?찾동 이해?찾동 핵심가치?돌봄SOS ?방문안전관리?우동주 이해 ?복지직무 이해 ?동장의 역할 - - - 동장(통합) - - - 4 80 동장 역할찾기, 선배동장 사례 행정팀장 6 40 ?찾동이해?돌봄SOS?핵심가치 ?복지직무?방문안전관리?우동주 이해 - - - 복지팀장 6 40 ?찾동 이해?돌봄SOS?핵심가치 ?복지 직무?방문안전관리?우동주 이해 - - - 찾 동 공 공 사 례 관 리 스 쿨 사례관리(기초) - 160 ?사례관리 과정 이해와 적용 ?사례관리자를 위한 기초면접기술 8 130 (260) 초기상담실습, 사례관리 이해 사례관리(심화) - - - 6 90 (180) 상담심화, 사례기록, 사례실습, 민관 협력 등 사례관리(전문) - - - 2 30 (60) 사례관리 집중 실습, 사례 강사양성 교육 사례관리(슈퍼바이저) - - - 4 60 (120) 사례관리 과정별 주요 과업과 슈퍼비전 실습 통합사례 관리사 - - - 3 120 고난도 사례, 가정폭력 상담 Case conference 등 신규직 8 100 ?찾동이해 ?돌봄SOS?윤리와 인권 ?복지마인드 함양?방문안전관리 ?찾동복지직무 이해 ?사례관리 과정 이해와 적용 ?사례관리자를 위한 기초면접기술 4 120 생활복지통합정보 시스템 및 상담 실습 정신건강 3 80 ?위기사례대응매뉴얼 ?위기사례관리 심화(Ⅰ) ?위기사례 실전편(Ⅱ) 4 80 (160) 주제별 워크숍 자치구 교육담당 - - - 1 20 자치구 교육담당 워크숍 자치구 교육 3 300 ?찾동이해 ?위기사례대응매뉴얼 ?방문안전관리 - - - ?? (자치구)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주관교육 ○ 교육기간 : ’22. 3. ~ 12. ○ 교육대상 :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관련 업무 직원 ○ 교육방법 : 구별 자체 교육계획 수립 및 시행(市 : 예산 및 자료 지원) ○ 교육내용 : 찾동 핵심가치 및 자치구별 특성·상황에 맞는 교육 - 필수교육 : 찾동미래학교(복지재단) 강좌 활용 【 2021 찾동미래학교 강좌 】 ?? 과목명 : 찾동 2.0, 방문안전관리, 위기사례 대응매뉴얼 ?? 구 성 : 주제별 3~4개 차수(차수별 2~30분) - 자치구별 자율 교육 : 자치구별 상황에 맞게 구성 및 시행 · 예시 : 실무역량, 마음 챙김 교육, 리더십 역량강화 프로그램, 직무 실무교육 등 ⑤ 시?구?동 역할 및 협업체계 구분 서울시 자치구 동주민센터 서울복지교육센터 주요 역할 ?전체 교육 기획 (찾동 교육TF) ?자치구교육컨설팅 (지침안 제공) ?자치구 교육기획 ?동 실무자교육 ?업무현장 자기주도 학습 운영 ?서울시 복지재단 : 찾동미래학교 운영 협업 체계 ?교육 중장기 설계에 있어 지속적인 소통 및 교육 방향성 논의 ?서울시인재개발원 : 교육과정 설계 중복여부 검토 등 운영 협업 ?성과기준 공유, 교육 목적의 적합성 맞춰갈 수 있도록 논의 ?교육에 대한 의견 전달 통로 ?서울시 교육의 주요 교육생으로 설계 및 평가에 참여 ?동주민센터의 욕구 파악을 통해 현장대응력 있는 교육 설계에 참여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 전국단위 복지공무원 역량강화에 대한 흐름파악 및 유사교육 벤치마킹 ⑥ 소요 예산 ○ 2022년 : 363백만원 - 자치행정과 : 62백만원 / 서울복지교육센터 : 301백만원
25437930
20220223053007
본청
자치행정과-3746
D0000044797539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문서 정보
기관명 | 서울시 | 부서명 | 행정국 자치행정과 |
---|---|---|---|
문서번호 | 자치행정과-3746 | 생산일자 | 2022-02-22 |
공개구분 | 부분공개 | 보존기간 | 10년 |
작성자(전화번호) | 김현정 (02-2133-5835) | 관리번호 | D0000044797539 |
분류정보 | 행정 > 일반행정지원 > 자치 > 자치구운영관리 > 동마을복지센터추진지원같은 분류 문서보기 | ||
이용조건 |
관련문서
-
등록일 : 2022-11-17 부서 : 복지정책실 복지기획관 안심돌봄복지과
-
등록일 : 2017-05-18 부서 : 서울혁신기획관 지역공동체담당관
-
등록일 : 2015-04-14 부서 : 행정국 자치행정과
-
등록일 : 2016-05-12 부서 : 행정국 자치행정과
라이브리 소셜 공유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