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물재생센터 비전 3.0 추진계획

문서번호 물재생시설과-17014 결재일자 2019.12.31. 공개여부 대시민공개 방침번호 서울특별시장 방침 제251호 시 민 전문관 물재생기획팀장 물재생시설과장 물순환안전국장 행정2부시장 서울특별시장 양해선 오승민 代오승민 이정화 진희선 12/31 박원순 협 조 도시공간개선반장 代김장성 전략계획과장 김성기 동북권사업과장 오장환 물순환정책과장 정훈모 물재생계획과장 代김준형 물재생의 순기능에서 물산업의 글로벌 선도까지 물재생센터 비전 3.0 추진계획 2019.12 물순환안전국 (물재생시설과) 목 차 Ⅰ. 추진 배경 1 Ⅱ. 정책환경 변화 2 Ⅲ. 추진 목표 및 세부추진계획 4 수생태계의 건강성 강화 5 미래 전략산업 육성거점 조성 8 3. 공간·조직 재창조 11 Ⅳ. 소요예산 및 행정사항 15 물재생의 순기능에서 물산업의 글로벌 선도까지 물재생센터 비전 3.0 추진계획 기능과 공간을 혁신시켜 미래 환경과제에 대응하는 고도화된 하수처리 시설이자 미래 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신(新)거점으로 물재생센터 육성 Ⅰ 추진 배경 □ 녹조, 물고기 폐사, 기형물고기 및 미량오염물질 논란 등 시민 신뢰도 저하 ○ 방류수 수질개선사업 지속추진으로 한강 수질은 개선되었으나, 머스크케톤 등 물질 검출, 강우시 고농도 오염물질 수계배출 등에 대한 종합대책 필요 <물고기 폐사> <기형물고기 논란> < 신규오염물질 우려 확산> □ 수질오염총량제 본격 시행(`16년) 및 환경변화에 따라 방류수 수질기준 미충족 사례 반복발생 ○ 지역개발·주택공급에 따른 오염부하 증가를 방류수 수질기준 강화로 대응 - 중랑 물재생센터 : BOD 10 ⇒ 5.9mg/L, T-P 0.5 ⇒ 0.475mg/L 적용 ○ 동절기 미생물 활성 저하로 불완전 질산화 : T-N 농도 상승 < 시장 요청사항 (`19.4.24) > ㅣ ○ 고도처리공정 도입 등 미량오염물질 정화기능 확대 → 물재생센터 3.0 처리시스템 구축 ○ 물재생센터 부지는 수처리 강화 및 물환경을 위한 목적으로 활용 Ⅱ 정책환경 변화 ① 건강한 수생태계 조성을 위한 법적 수처리 기준 강화 ○ 수계 부영양화 제어를 위한 영양물질 T-N 방류기준 강화 전망 - 국가 하수도종합계획(`16~`25)에 향후 정책방향 명시 ※ 평택 고덕 등 신규 하수처리장 건설에 강화 적용 시작 <국내·외 수처리 기준> ○ 개발 및 신규 주택 공급에 따라 수질오염총량제에 따른 방류수질 지속 강화될 계획 (BOD, T-P) - 수질오염총량제 2단계 (`21~`30) 시행 예정 ※ 고도처리공법(MLE, A20, `14년), 총인처리시설 (공사중) 외 추가시설 도입 필요 <미량오염물질 대응> ② 난분해성 미량오염물질 관리 필요성 증대 ○ 산업고도화에 따른 화학물질 종류 증가추세 - 세계적 10만 여종, 국내 4만종 이상 ○ `21년 난분해성 유기물 측정을 위해 수질지표 전환(COD ⇒ TOC) ※ 건강보호 기준으로 하천 미량오염물질 20여종 설정 (카드뮴, 비소, 시안, 수은, PCB 등) <강우시 오염물질 관리 강화> ③ 강우시 수계 유입 비점오염물질 관리강화 ○ `25년 이후 초기우수(2Q)시설 규제 전망 - 한강 직상류는 `25년까지 BOD 40mg/L로 관리 ○ 하수도서비스 향상으로 CSOs 관리 필요성 증대 - 분뇨 직투입 확대, 음식물 분쇄기 보급 증가 등 고농도 생활하수 발생 ④ 센터 에너지 시스템 개선으로 미래 수소경제 육성 <바이오가스 활용 수소에너지 생산> ○ 에너지 다소비 시설→재생산 시설 패러다임 변화 - 고효율 기기 도입, 바이오가스·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시설 확대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자립율 50% 수준 ○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수소산업 지원 공간으로 변화 중 - 정부 ‘수소경제’ → 3대 전략투자분야 선정(`18) <물산업 육성 클러스터 구축> ⑤ 블루골드오션인 물산업 육성을 위한 공간으로 특화 ○ `27년 세계물시장 규모 1,300조 연 4.2% 성장 전망 - `17년 세계 물시장 규모는 862조원, 국내는 15조원 규모(약 1.7% 수준) ○ 국내 물관련(수자원)기술 수준은 미국의 76.5% 수준으로 7.5년 격차 발생 <수자원시설의 관광자원화> ⑥ 센터 공간 변화 및 운영개선 요구 지속 ○ 수처리, 체육시설 등 공간의 단순 활용 - 법정기준 준수 및 민원해소 위한 소극적 운영관리 ○ 삶의 질 향상으로 다양한 문화?여가공간 필요 - 도심지 여가공간 부족으로 시민친화시설 수요증가 - 체육?공원시설 위주 ⇒ 문화·커뮤니티 조화 필요 “물재생센터 미래 100년을 위한 변화·혁신 필요” Ⅲ 추진 목표 및 세부추진계획 비 전 물재생의 순기능 강화 및 글로벌 물산업 선도 목 표 정 책 과 제 추 진 전 략 ○ 깨끗한 수생태계 회복을 위한 선제적 수질강화 도입 ○ 난분해성 미량오염물질 조사 및 관리방향 설정 ○ 강우시 발생하는 고농도 오염물질처리 시설 확충 ○ 하수 발생원처리를 위한 지역형 물순환자원센터 추진 ○ 글로벌 물산업 선도 위한 서울형 물산업 클러스터 조성 ○ 에너지 효율 혁신 및 생산 확대로 물재생센터 에너지 자립 실현 ○ 미래 저탄소, 친환경을 선도하는 신재생에너지 환상망 구축 ○ 열린 물재생센터 운영 및 문화·교육·여가공간 제공 ○ 전문성과 지속가능 경영혁신을 위한 공단화 추진 1 초고도 수처리로 수생태계 건강성 강화 ? 한강 수생태계의 온전한 회복을 위해 센터 방류수질을 법적 기준보다 강화한 한강본류 수질 수준으로 관리 ? 물재생센터 부지는 미래 환경 과제를 대비한 수처리 강화에 우선 활용 □ 선제적 방류수 수질관리를 위한 제도 마련 ○ 한강 물환경 보전을 위한 미래지향적 수질관리 목표 설정 < 현 행 > ? < 방류수 수질관리 목표 > ?BOD : 5.9~7.0mg/L ?T-N : 20 mg/L ?생태독성 : 1TU(급성독성) ?BOD : 평균3 mg/L (한강 행주지점) ?T-N : 평균 10 mg/L (부영양화 저감 강화) ?생태독성 : 지표물질 조사·장기 관리 - 수처리시설 확대 통해 2030년까지 방류수 BOD항목 3.0mg/L 달성 - 신?증설되는 하수처리시설은 T-N 평균10mg/L 이하로 시공 및 관리 - 실효성 확보를 위해「2040 하수도정비 기본계획」반영(`21.12) ○ 난분해성 미량오염물질에 대한 조사 및 관리방향 설정 ◆ 미량오염물질 방류수 법정기준은 부재하나 시민안전 위해 선제적 관리 ◆ 모든 물질 관리에는 한계 존재하므로 선택?집중하여 관리 - 물재생센터 유입?방류수에 포함된 미량오염물질 종류·농도 실태파악 - 위해성, 사용량, 검출농도 등 분석 결과에 따라 주요 관리대상 선정 - (단 기) · 주요 물질의 생산 및 사용제한 지정 건의(`21) (서울시 → 중앙정부) · 미량오염물질 배출업소 관리 강화 - (중장기) · 물산업 클러스터와 연계한 처리기술 연구(`27) · 지역형 물순환자원센터 운영시 처리 기술도입 ※ 자외선-고도산화처리(UV-AOP), 활성탄, 미생물(Laccase) 활용 등 □ 방류수 수질강화를 위한 수처리시설 확충 ○ 최신 기술과 공법을 도입하여 물재생센터의 순기능인 ‘수처리’ 기능 개선 BOD, T-P(총인) 처리 강화 - 운영관리 최적화와 함께 최신 수처리공법 도입 ? 한강본류 수준(BOD 3.0㎎/L 이하)의 ‘수처리’ 및 미세플라스틱 제거 - 센터 시설용량 재산정 및 총인처리 시설 `30년까지 전면 확대 추진 ?(현재) 50% 처리(`21) → (확대) 100% 처리(`30) T-N(총질소) 처리 강화 - 생물반응조에서 미생물과 하수의 접촉 절대시간 확보 ? 시설 재배치에 따른 부지확보 및 기존 여유부지 활용 ※ 중랑 2처리장(A2O) 기준 : 7시간(T-N 20) → 10.7시간이상(T-N 10) ⇒ 시설 면적기준 대비 18% 추가 확보 - 고농도 반류수 전처리시설 효율 개선 (슬러지 처리계통 개선과 연계) ? 중랑?서남 : 현대화 시 도입, 탄천?난지 : 부지활용 검토(`20년) ○ 강우시 고농도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설 확충 ◆ 한강 상류지역 수질 기준(BOD, SS 40㎎/L) 적용 등 선제적 적극 대응 ◆ 강우에 의한 오염원 수계 유입 제어 목적으로 센터 부지 활용 초기우수처리시설(2Q) - 중랑1단계(`18. 50만톤), 서남1단계(`20. 72만톤) → 시설현대화 연계 지속 확충 - 탄천(`21 착공, 239만톤), 난지(부지활용계획 수립 후) → 센터 별도부지 내 설치 분산형 CSOs 처리시설 - 배출원 중심의 분산형 CSOs 관리체계(유수지, 저류배수터널 등) 구축 - 잔여 용량 물재생센터 부지확보 처리 □ 지역형 물순환자원화센터 도입 추진 ○ 하수 발생원 처리로 물의 선순환 회복 및 시민의 삶의 질 향상 - 4개 물재생센터 중앙집중 하수처리시스템 보완 유지용수 부족(건천화), 하류부 차집관로 용량 부족(월류), 정화조설치(악취) 등 한계 - 지역내 재이용수 공급, 지류하천의 유지용수 공급 등 물의 선순환 구조 회복 - 악취 주범인 정화조 폐쇄 및 음식물 분쇄기 도입으로 시민생활 획기적 개선 ? 분뇨, 음식물의 고농도 부하를 고려, 적정 하수도 관로 정비의 선행화 전제 - 처리시설 지하화, 상부공간 지역주민 편의시설 설치 → 지역 랜드마크 <재이용수 공급> <음식물분쇄기 도입> <주민친화시설 조성> ○ 공공사업과 연계 추진 가능한 창동 차량기지/ 용산공원 시범사업 추진 - 지역형 수처리시설 타당성조사 결과(`17), 공공용지 등 실현가능한 대상지 선정 ? 창동 차량기지 : 인근 재개발사업 연계, 개발구역 중수도 및 하천 친수용수 공급 기본계획 수립 (`20.3~`21.3) ? 기본 및 실시설계 (`22.3~`23.9) ? 시설공사 및 준공 (`24.1~`25.12) ? 용산공원 : 한남 재정비 촉진, 용산정비창 개발사업과 연계, 공원 조경용수 활용 ○ 시범사업(용산·창동) 추진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20) - 지역주민 반대 해소를 위한 주민 의견수렴 및 주민요구사항 검토·반영 - 악취원인 슬러지 별도 이송·압송 처리, 최신 수처리공법 적용, 무인화운전, 공단관리 등 검토 - 민간 재건축·재개발에 따른 오염부하량 자체처리를 위한 제도화 방안 포함 검토 - 분산형 CSOs 처리시설과 연계방안 검토 ○ 2040 하수도정비 기본계획 반영 및 사업 확대 추진 - 2040 하수도정비 기본계획 반영(`21.12), 대상지 확대 추진(`26~) 2 부지효율 다각화로 미래 전략산업 육성거점 조성 물재생센터의 주요기능을 ‘하수처리’에서 ‘신재생 에너지 생산’, ‘미래전략산업 육성’으로 확대하여 신(新)부가가치 및 일자리 창출 □ 서울형 물산업 클러스터 조성 ○ 서울 미래 경쟁력 선도를 위해 물산업 육성, 가치창출 극대화 마련 - 전세계 물수요 증가로 세계 물시장 지속적(연4.2%) 성장 예상 - 물산업 국가 경쟁력 확보, 수처리?에너지효율 개선 → 신(新)가치 창출 ○ 물산업 전(全)주기를 지원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 - 기술개발부터 실증화·사업화, 해외진출까지 물산업 전단계 지원 목표 - 서울의 장점(우수한 인적자원 + 대규모 하수처리장) 활용 → 국가물산업 견인 - 물재생센터(공단) : 실증 Test-Bed 제공하여 혁신기술을 센터에 적용 - 스타트업·강소 기업 : 핵심기술 개발, 제안 및 사업화(대학교 연계) - (세계)물기술연구소 : 제안기술의 검·인증, 혁신기술 센터 적용방안 연구 ○ 제도정비 및 시설현대화사업과 연계한 순차적 물산업클러스터 조성 추진 - (준비) 기업 협의체 구성 등 물산업 기반조성 : 조례 제정, 기본구상 용역(`20~) ※ 물산업 클러스터 초기모델 중랑 물재생기술 R&D 개관(`19.5) - (실행) 물산업 클러스터 시설 조성 : 중랑 2단계 현대화 부지활용(`27~) ※ 물연구마을(연구, 주거, 여가, 문화 등 공존) 조성으로 도시공간으로 확장 - (확산) 클러스터 확장 및 성과확산 : 서남센터(`30~) □ 센터 에너지 효율 혁신으로 에너지 자립 실현 에너지 소비 절감 ○ 노후된 기전설비 집중개선 - 에너지 소비가 큰 주요설비 우선 집중개선(`20), 내용연수 고려하여 지속적 계획관리 - 에너지사용량 절감 7,650 TOE/년, 에너지비용 절감 47억원/년 ○ 고효율·저비용 최신 수처리공법 및 설비 도입 - 에너지 소비 최소화 설계기준 확립 [포기 : 심층(10m이상) → 표준 (4~6m)] - 고효율 소화조 기계 교반시스템 도입 (에너지 84% 절감) - 고농도 반류수의 혐기처리 공법 도입을 통한 포기 에너지 절감(60%) ? 해양 특정 미생물을 이용하여 포기과정(산소공급) 없이 질소처리 ? 중랑 2단계 현대화시설 사업 추진부터 검토 및 도입(`20~) - 미생물(Lacasse 등)을 활용한 미량오염물질 저에너지 처리공법 연구(`20~) 에너지 생산 증가 ○ 슬러지 처리·운영 효율화를 통한 바이오가스 증산 및 전량포집(30% 증산 목표) - 노후된 소화조 성능향상을 위한 교반, 가온방법 등 첨단화 추진 - 미활용 잉여가스 포집을 위한 배관 등 시설개선 및 가스 저장시설 증설 기본계획 수립 (`19.9~`20.9) ? 기본 및 실시설계 (`19.9~`20.9) ? 시설개선공사 및 준공 (`22.2~`24.12) ○ 하수 슬러지를 활용한 건조 연료제 생산 증대 - 하수 슬러지 건조시설 증설 및 하수 슬러지 건조 연료제 증산 ?슬러지 처리시설 용량(톤/일) : 1,580(`19)→1,990(`21)→2,120(`22) ?슬러지 건조연료제 생산(톤/일) : 110(`18) → 200(`22) □ 물재생센터 신재생에너지 환상망 구축 ○ 소화조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연료전지의 에너지로 사용하고, 발생하는 열, 이산화탄소를 재사용하는 신재생에너지 환상망 구축 <신재생에너지 환상망 개념도> ○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연료전지 중심의 저탄소?친환경 에너지 순환 - 연소방식에서 수소연료전지 방식 전환 → NOx· SOx 제로화, 미세먼지 저감 ? 연료전지 180MW 도입시 수소차 약 60만대/일 운행 공기정화 효과 - 연간 슬러지처리시설 운영·관리 비용 36억 예산절감 ○ 발생하는 열에너지 및 CO2 는 포집하여 센터 시설, 도시농업 활용 - 전기는 일반 가정 공급, 열은 슬러지 건조시설 및 소화조 가온에 이용 - 열에너지 및 CO2 포집·재활용 하여 도시농업(스마트팜)에 재활용 ? 사업검토 및 사업계획 수립(~`20.6), 스마트팜 조성(`23~) ○ 도시가스 사업자와 MOU 체결, `35년까지 연료전지 총180MW 설치 - 민·관 협치를 통한 신재생에너지 원천기술 및 경쟁력 확보 ? 사업규모 180MW (중랑 50, 탄천 40, 서남 60, 난지 30) - 중랑센터 연료전지 30MW 시범사업 추진 (약 1,800억, 민간투자) ? MOU체결(`20.1), 착공 및 준공 (`20.6~`21.12), 사업효과 검증 및 보완(`22.6) - 시범사업 후 4개 센터로 연료전지사업 확대 (`23~`35) 3 혁신을 통한 공간·조직 재창조 상·하부 복합공간(HW) 활용 및 조직·운영체계(SW) 혁신을 통해 시민 삶의 질을 향상하고, 미래 100년 지속발전 가능한 물재생센터로 재창조 □ 물재생센터의 공간 활용 마스터플랜 수립 ○ 미래 환경수요 대비 선제적 대응 - 물재생센터의 고유 기능인 수처리 관련 시설을 최우선하여 공간계획 수립 - 미래환경과제 고려한 수처리시설 확대, 시민친화시설 요구, 하수도 선진화 대비 - 신재생에너지, 물산업 육성 공간 등 미래전략산업 선도 공간 조성 - 지역주민과 갈등 해결하고 상생발전 할 수 있는 공간계획 마련 물재생센터 공간활용 마스터플랜 지역여건을 반영한 상생발전 공간조성 장래계획 반영한 수처리 공간 확보 분뇨?슬러지 처리시설 배치 신재생에너지 물산업클러스터 ○ 물재생센터 상·하부 복합적 공간활용 - (하부) 수질관리 목표 달성을 위한 하수시설의 확대 설치, 시설현대화 순환부지, 미래 환경수요 대비 등을 고려하여 하부공간은 수처리 관련 시설 전면 활용 - (상부) 시민 열린공간 및 서울의 미래를 준비하는 물산업 선도공간 조성 ※ 중랑·서남 : 현대화사업과 연계, 난지·탄천 : 기본구상용역 시행(`20) □ 기피시설에서 시민친화 물재생센터로 재창조 ○ 지하화된 시설 상부 등 유휴공간을 활용 문화·교육·여가공간을 확충해 기피시설이었던 물재생센터를 주민친화적인 시설로 탈바꿈 모색 - 센터 상부에 시민친화시설 조성 통해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및 일상에 지친 시민들에게 휴식 공간제공 등 물재생센터 재창조 (‘NIMBY’→‘PIMFY’) - 지역주민 의견 수렴한 센터 공간 장기적 활용방안 마련(`20) ○ 국내 최초 청계하수처리시설(`76) 및 청계천 유구를 활용한 하수역사관 조성 - 하수역사자원의 보존·체험을 통한 하수처리 이해 및 재생의 중요성 홍보 - 청계하수 펌프장, 새활용플라자, 하수도과학관 등 주변 시설 연계 시너지 효과 창출 → 리사이클 문화의 중심지로 조성 ? 기본계획 수립(`20), 국제현상설계 공모(`20), 준공(`22) ○ 서남 현대화 사업 상부공간 활용 (가칭)서울물홍보관 및 자연공원 조성 - 홍보관 컨텐츠 구성(`21.1), (가칭)서울물홍보관 개장 및 공원 준공 (`21.5) 어린이 체험 특화공간 시정홍보 전문공간 힐링 녹색공간 ?미래세대의 하수처리 교육의 장 마련 ?서울의 우수한 수처리 기술 홍보 ?시민 휴식공간 제공 <어린이 체험관> <하수정책 홍보> <자연공원 조성> ○ 물재생센터의 시민 인식개선을 위한 하수 슬러지 재활용 방안 강구(`20) - 대만 Dihua 하수처리장 슬러지 활용 도자기 공예품 벤치마킹 → 기념품 제작·배포(`21) □ (가칭)서울물재생시설공단 설립 추진 <주민공청회> ○ 조직과 인력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경영혁신 도모 위해 이원화 체계에서 일원화 운영체계 전환 결정(시장방침 `16.12) ? 공개토론회 무산 등 직영 노조의 공단화 전면 반대로 전환 결정 이후 현재까지 공단화 지연 (`17~`18) ○ 직원 의견수렴 및 시민 공감대를 반영한 2단계(순차적) 공단화 시행 - 공단설립으로 경제성, 전문성 높여 운영 효율성이 전반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대부분 공감 - 다만, 실현 가능성을 고려하여 2단계로 추진하고 2단계 공단 추진시 직영과 공단의 경영평가를 통해 운영체계 개선방안 마련 ※ 직영(중랑·난지) 직원설명회(`19.7), 주민공청회(`19.10) 시행 ? 추진전략 : 순차적 공단화 (1단계-서남?탄천, 2단계-중랑?난지) 기존 ------------------------------------ 4개 센터 일괄 공단화 변경 --------------------------------------------------------- (1단계)위탁센터 공단화(`21년) (2단계)직영센터 공단화(`21년 이후) ○ 향후, `21년 공단 출범을 위한 조례 제정 등 설립 구체화 추진 - 전문성을 갖춘 우수 인재 선발 → 센터 운영개선 및 물산업 발전을 위한 기반 마련 `20.2월 (설립 심의) ? `20.6월 (조례 제정) ? `20.10월 (설립 구체화) ? `21년 (공단설립) ?서울물재생시설 공단설립 심의위원회 심의 ?조례제정(안) 마련 ?시의회 심의?의결 ?조례공포 ?내부규정(정관) 마련 ?임원 추천위원회 ?임직원 공모?임명 ? 설립 등기 ? 설립 보고 ? 공단 출범 □ 안전?쾌적?지속가능한 센터환경 조성 ○ 물재생센터 악취관리 강화 및 환경개선 - 센터 시민편의시설 이용 증가 및 시설지하화에 따른 직원 근무환경 개선 필요 등 엄격한 악취관리 요구 ※ 하수도 관련 시민 불편사항 1위 악취(36.6%) - 하수도서비스 만족도 조사(`19, 서울시) - (기존) 제도적 기준 중심 → (전환) 근무자?이용시민 등 사람중심으로 영역 전환 센터 이용시민 센터 근무자 ?센터 경계 관리 → 시민이용시설 악취관리 ?근무자 대기실, 작업공간 악취개선 ?쾌적한 여가환경 제공 ?센터 근무자「노동환경권」개선 <악취 모니터링 시스템> <탈취시설> <환경숲 조성> ? 실시간 악취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확대 및 시민이용시설 악취관리 강화(`20.12) ? 근무자 작업공간(`19~`20) 및 악취 발생시설(분뇨·슬러지) 악취저감 추진(`20~`21) ? 센터 내 환경 숲 조성 설계(`20.1) 후 나무 30만여 그루 식재(`21.12) ? 고농도 악취 발생원 시설(분뇨·슬러지) 이격배치 및 지하화 지속 추진(`20~) ○ 노후시설물 장수명화를 위한 패러다임 전환 모색 - 시설물 사용연수 증대, 안전사고 예방, 에너지 효율 개선 위한 관리 시스템 구축 - 특수환경(하수, 수처리약품, 바이오가스)에 노출되는 시설임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설계·시공 및 유지관리·안전진단 지침 마련 - (기존) 일반적 강도 중심 설계·관리 → (전환) 처리공정별 특성 반영 시스템 도입 ? 장수명화를 위한 개선방안 용역(`20), 신·구 구조물 개선지침 현장적용(`21) ? 공동구 약23km 노후 배관설비(배관, 펌프, 밸브 등) 개선(`21~`24) Ⅳ 소요예산 및 행정사항 □ 총사업비 ○ 전체 사업비 : 24,379억원 - 시비 22,579, 민자 1,800 <단위 : 억원> 구 분 총 계 ’19 ’20 ’21 ’22이후 계 24,379 3,604 1,240 2,813 16,722 시 비 22,579 3,604 1,240 1,013 16,722 민 자 1,800 - - 1,800 - □ 분야별 투자계획 <단위 : 억원> 구 분 총 계 ~’19 ’20 ’21 ’22이후 계 24,379 3,604 1,240 2,813 16,722 ① 수생태계 건강성 강화 18,815 2,007 307 809 15,692 ② 미래전략 산업육성 거점 2,805 14 - 1,811 980 ③ 공간·조직 재창조 2,759 1,583 933 193 50 □ 행정사항 ○ 단위사업별 시행계획 수립 및 사업추진(’19.12~) - 단위사업별 계획 수립(물순환안전국) 붙임 : 1. 단위사업별 예산현황 1부. 2.「물재생센터 비전 3.0 계획」기자설명회 자료 1부. 끝. 단위사업별 예산현황 붙 임1 (단위 : 억원) 구 분 단위사업 총사업비 완료 시기 계 ~’19 ’20 ’21 ’22이후 수생태계의 건강성 강 화 계 24,379 3,604 1,240 2,813 16,722 소 계 18,815 2,007 307 809 15,692 물재생센터 수처리 강화 정책연구 5 5 ’21.3 물재생센터 총인처리시설 설치 2,395 1,977 222 100 96 ’22.12 물재생센터 초기우수처리시설 설치 2,288 36 231 2,021 ’30.12 물재생센터 내 CSOs 처리시설 확충 - 지역형 물순환자원센터 설치 5 3 2 ’21.12 물재생센터 지속가능 발전 기본구상 10 4 6 ’21.10 중랑?서남물재생센터 시설현대화 14,112 30 37 470 13,575 ’30.12 (2단계) 미래전략 산업육성 거점조성 소 계 2,805 14 - 1,811 980 서울형 물산업클러스터 조성(물연구소 조성) 5 5 ’20.12 물재생센터 신재생 에너지 환상망 구축 1,800 1,800 ’21.12 (민자) 물재생센터 슬러지처리 운영 효율화 1,000 9 11 980 ’25.12 공간·조직 재창조 소 계 2,759 1,583 933 193 50 청계하수역사관 조성 100 1 1 48 50 ’22.11 물재생센터 공단화 추진 1 1 ’20.5 물재생센터 노후설비 성능개선 2,439 1,578 861 ’20.12 물재생센터 시설물 장수명화 추진 4 4 ’20.12 물재생센터 악취관리 강화 15 15 ’21.3 물재생센터 근무환경 개선 200 4 51 145 ’21.12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정보

물재생센터 비전 3.0 추진계획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물순환안전국 물재생시설과
문서번호 물재생시설과-17014 생산일자 2019-12-31
공개구분 부분공개 보존기간 30년
작성자(전화번호) 양해선 (02)2133-3826) 관리번호 D0000039040053
분류정보 환경 > 중하수도 > 하수도 > 하수처리시설관리 > 물재생센터고도처리시설설치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