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2019년 온실가스 인벤토리 조사결과

문서번호 기후변화대응과-17674 결재일자 2021. 12. 30. 공개여부 부분공개(5,6) 방침번호 시 민 주무관 기후변화대응팀장 기후변화대응과장 정예지 이주영A 12/30 김정선 2019년 온실가스 인벤토리 조사결과 기후변화대응과 2019년 온실가스 인벤토리 조사결과 온실가스 감축 정책 추진에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19년 서울의 온실가스 배출량 및 ’20~‘21년 추정치 조사 결과를 보고드림 1 추진근거 및 개요 ?? 온실가스 인벤토리 개요 ○ 추진근거 : 市 기후변화대응에 관한 조례 제15조(온실가스 배출량 등 산정) ○ 개 념 : 온실가스 세부 부문별 발생량을 국내?외 지침에 의거 조사?DB화 - 관련 지침 : 국가 인벤토리 가이드라인(IPCC, 2006),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지침(환경공단, 2010) ○ 구축실적 : 1990년~2019년도분 및 최근 2년간 추정치(’20~’21) ○ 주요내용 : 市 행정구역 내 온실가스 배출총량 및 부문별 배출량 - 주요부문 : 에너지, 폐기물, 산업공정 및 제품생산, 농업·산림 및 기타토지이용 ○ 추진경과 : 총 2회에 걸쳐 보완 후, 매년 최신년도 온실가스 배출량 추가 중 - 市 기후변화대응 조례 제정(’08.9) : 감축 목표(제3조) 및 배출량 산정(제15조) ? 서울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 ’90년 대비 ’20년 25% 감축 -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08.11) : 감축목표 고려, 1990년도분부터 구축 - 1차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완(’10.12) : 배출량 산정지침 개정판 적용 - 市 기후변화대응 조례 개정(’15.7) : 감축목표 변경 ⇒ ’05년 대비 ’30년 40% 감축 - 2차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완(’17.12) : 서울 행정구역외 활동 인벤토리 산정 근거자료 중 국가석유정보시스템 통계는 연료의 실제 소비 지역이 아닌 판매업체 본사 기준으로 작성하고 있어 보완 필요 제외·보완 - 市 기후변화대응 조례 개정(’21.3) : 감축목표 변경 ⇒ ’50년 탄소중립 달성 - 온실가스 인벤토리 추정 도입(’21.4) : 배출량 산정 소요기간(2년) 보완체계 도입 ○ 조사방법 : 전문기관에 의뢰 산정 및 검증 2 2019년 온실가스 배출량 및 추정치와 비교 ?? 2019년 서울의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 45,960천톤CO2eq ○ 2005년 대비 7.1% 감소, 2018년 대비 2.4% 감소 - 2005년 49,445천톤CO2eq 대비 3,486천톤CO2eq (△7.1%) 감소한 값으로 연도별로 소폭의 증감은 있으나 지속적인 감소추세 유지 - 2018년 47,073천톤CO2eq 대비 1,114천톤CO2eq (△2.4%) 감소한 값으로 전년대비 상대적으로 큰 폭의 감소가 나타남 (단위 : 천톤CO2eq) 연 도 2005 2016 2017 2018 2019 증감량 ´18년 대비 ´05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 49,445 46,986 46,685 47,073 45,960 △1,114 (△2.4%) △3,486 (△7.1%) ○ 상대적으로 온화하여 배출량이 적었던 2014~2015년 이후 최저치 - 2018년은 예외적인 폭염일수 증가 등 외기의 영향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상당히 높았던 반면, 2019년은 2014~2015년 수준으로 온화하여 배출량 크게 감소 ○ 2005년부터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를 보면, 외기의 영향으로 인한 급감 또는 급증이 있으나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임 <온실가스 배출량 변화 추이(2005~2019)> ??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 온실가스는 에너지 사용, 폐기물 처리, 산업공정, 농업·산림·토지이용에서 배출되며, 에너지 사용에 의한 발생량이 총 배출량의 90.5% 차지 ○ 에너지 사용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은 건물, 수송, 산업부문 등에서 발생하며, 건물 68.7%, 수송 19.2%이 총 배출량의 87.9% 차지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부문 배출현황> ※ 배출량 비중은 총 배출량 대비 비중임 ○ 서울시 경계 내에서 발생하는 직접배출은 48.3%, 서울시 경계내 배출은 없으나 서울시의 활동이 배출의 원인이 되는 간접배출은 51.7% 차지 - 직접배출 : 연료의 연소, 산업공정, 가축사육, 탈루 등에 의한 서울시 내부 발생량 - 간접배출 : 서울시 내 전력·열 소비, 폐기물 발생 등에 의한 서울시 외부 발생량 ※ 간접배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전력부문은 추후 국가의 발전용 에너지믹스 변화(석탄발전 감소 및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따라 크게 감축 가능 <직접 배출 및 간접 배출 현황> ??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 추세 ○ (건 물) ’05년 배출량 대비 ’19년 0.97% 증가(’18년 대비 2.4% 감소) - (상업건물) ‘05년 배출량 대비 ’19년 15.4% 증가(’18년 대비 1.2% 감소) - (가정건물) ‘05년 배출량 대비 ’19년 14.7% 감소(’18년 대비 4.3% 감소) - (공공건물) ‘05년 배출량 대비 ’19년 12.4% 증가(’18년 대비 0.7% 감소) ○ (수 송) ’05년 배출량 대비 ’19년 17.0% 감소(’18년 대비 2.4% 감소) ○ (폐기물) ’05년 배출량 대비 ’19년 19.1% 감소(’18년 대비 2.4% 증가)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 추세> ?? 추정치와 비교 ○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필요한 국가 통계자료가 승인까지 2년 이상 소요되어, 월간 통계(가집계분)가 제공되는 일부 자료(전력, 가스, 석유)만 이용하여 추정 - 1차 추정(’20.12.) : 47,895천톤 → 2차 추정(’21.4.) : 46,298천톤 ※ 1차 추정 당시 2019년 통계자료의 변동(제조업 프로판 사용량 565천톤 →31천톤) 등으로 재추정 ○ 2019년 추정치(46,298천톤)는 확정치(45,960천톤) 대비 38천톤이 과다 추정되었으나, 오차율 0.7%로 추정치에 대한 신뢰도는 높은 편임 ※ ’05~’18년 현황자료 분석 결과, 추정방법과 확정치의 오차는 ±2.1% 수준 3 온실가스 배출량 변화 원인분석 ?? 건물부문 ○ 가정부문은 ’05년 대비 ’19년 14.7% 감소, 생활방식의 변화에 따른 전력사용량 증대에도 불구, 지속적인 건물에너지 효율화가 반영된 것으로 추정 - 에너지 다소비 계층으로 분류되는 1~2인 가구의 증가, 대형 가전기기의 선호현상, 디지털 정보기기의 사용 보편화, 웰빙 가전의 추가 사용 등도 가정부문의 전력사용량 증가에 영향 김민경(2013), 서울시 가정용 전력소비의 변화요인과 저감방안, 서울연구원 정책리포트 149 1~2인 가구의 인당 전력소비량은 4인 이상 가구의 2.6배 - 다만, 건물에너지효율 증대로 건물 연면적 및 전력소비(플러그인 에너지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전체 배출량은 감소한 것으로 추정 ○ 반면, 상업과 공공부문은 ’05년 대비 ’19년 각각 15.4%, 12.4% 증가, 지속적인 연면적 증가 및 데이터센터 확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 - ’12~’20년 가정과 공공 부문 건물연면적은 각각 1.0%, 1.1% 증가한 반면, 상업부문 연면적은 1.8%∼2.1% 증가하여 가정부문 증가률 보다 약 2배 높음 ※ 인벤토리상 상업부문은 연면적 통계의 상업용, 문교사회용에 해당, 공공부문은 연면적 통계의 기타에 포함됨. 구 분 (단위: 천㎡) 2012 … 2016 2017 2018 2019 2020 연평균 증가율 합 계 513,826 … 545,669 550,433 556,814 563,697 574,808 1.4% 주거용 277,018 … 290,154 292,307 294,161 296,921 300,256 1.0% 상업용 157,171 … 166,896 169,523 172,427 174,709 180,812 1.8% 공업용 9,457 … 12,946 11,461 11,947 12,335 12,783 3.8% 문교사회용 51,181 … 55,388 56,606 57,728 59,223 60,254 2.1% 기타(공공) 19,000 … 20,285 20,535 20,551 20,508 20,703 1.1% - 정보통신기술산업의 발전으로 데이터 관리를 위한 서버 및 데이터센터가 전국 확대 - 국내 데이터센터의 설비용량은 2006년(91.8MW) 대비 2021년 약 4.6배 증가 이투뉴스(2019.07.08.), ‘전기료 싸서...’ 해외 데이터센터 앞다퉈 한국행 (420.1MW)하였으며, 이 중 34.2%가 서울에 위치 전자신문(2021.04.19.), 서울?수도권 ‘데이터센터 과밀화’...“전력수급 대책 필요” - 데이터센터를 보유한 건물이 미보유 건물보다 에너지원단위(면적당 에너지 사용량)가 최대 87%가량 더 높게 EIA(2021.05.11.) Commercial Buildings Energy Consumption Survey 나타남 ※ 데이터센터는 특성상 주로 밤낮 없이 연속적으로 가동되며, 과열 방지를 위한 냉방이 동시에 이루어져 상당한 전력 요구 ○ ’19년 건물부문 배출량은 일시적 감소 현상을 보이나, 이는 ’18년 예외적인 폭염에 따른 역기저효과로 외기 변화 효과 제거시 여전히 증가 추세 - 냉난방 에너지의 비중이 큰 가정이 가장 감축률이 높으며(△4.3%), 상업(△1.2%), 공공(△0.7%) 순으로 감소하였으나, - 외기 변화 효과 제거 시, ’18년 대비 ’19년 배출량이 1.8% 증가하여 ’18년 폭염으로 인한 냉방기기 보급이 오히려 에너지사용량 증가를 견인 ?? 수송부문 ○ 수송부문은 ’05년 대비 ’19년 17.0% 감소하였으며, 연비개선이 주요 요인 - ’05년 대비 ’19년 서울시 자동차 대수는 11.3% 증가하였으나, - 중앙정부의 ‘자동차 평균 온실가스·연비 관리제도’에 따른 신차의 연비 개선(’12년부터 연평균 4.5% 개선; 하이브리드, 전기·수소차 보급효과 포함) 효과가 이를 상쇄 - 서울시는 환경부와 협력하여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전기·수소차 보급 확대중 ※ 수송부문 인벤토리는 자동차 배기구 배출가스 기준으로, 전기·수소 생산에 따른 배출량은 건물·산업부문에서 집계 <서울시 전기·수소차 보급 현황> 구 분 (단위 : 대) 합 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전기차 30,776 2,334 3,695 5,146 8,655 10,946 수소차 1,620 30 0 54 500 1,036 4 2020년 및 2021년 추정량 ?? 2020년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치 : 45,660천톤(’05년 대비 7.7% 감소) ○ 활용자료 : 월간 전력?도시가스?석유류 사용량(2020년 1~12월분) ※ 폐기물, 토지이용 등은 월간 통계자료가 없어 ‘18년 인벤토리 자료 원용 ○ COVID-19로 인한 영업시간 제한, 이동 감소, 재택근무 증가 등으로 가정 부문은 증가하고, 상업·공공 및 수송부문은 감소한 것으로 추정 ?? 2021년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치 : 45,103천톤(’05년 대비 8.8% 감소) ○ 활용자료 : 월간 전력?도시가스?석유류 사용량(2021년 1~6월분, 비율 적용) ※ 폐기물, 토지이용 등은 월간 통계자료가 없어 ‘18년 인벤토리 자료 원용 ○ 지난해에 이어 COVID-19로 인한 배출량 감소로 추정되며, 추후 하반기 데이터까지 합산 적용할 경우 추정치 변동 가능 5 향후계획 ?? 온실가스 배출량 확정치 국내·외 공개 : ’21.12월 ~ ○ 국내 : 서울시 홈페이지, 2019년 기후변화 백서, 2019년 환경백서 ○ 해외 : CDP(C40) 등 국제 기후플랫폼 요구 등록 시기에 맞춰 공개 ?? 2020~2021년 추정치 보완 후 공개 : ’22.4월 ~ ○ 2020~2021년 추정에 활용된 2018년 데이터를 2019년분으로 교체·반영 - 폐기물, 토지이용 등 국가 통계자료 승인에 2년 이상 소요되는 항목 최신 자료 원용 ○ 2021년 추정에 활용된 통계자료 범위 확대(’21.6월분까지 → ’21년 전체) - 월간통계 발표에서 인벤토리 산정까지 최소 3개월 이상 소요 붙임 1. 2019년 온실가스 인벤토리 목록 2. 2020년 및 2021년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붙임 1 2019년 온실가스 인벤토리 목록 ?? 부문별 배출량 (단위 : 천톤CO2eq) 배출원 2005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합계 49,445 45,673 45,646 46,986 46,685 47,073 45,960 에너지 계 44,483 41,429 41,673 42,537 42,417 42,682 41,591 89.96% 90.71% 91.30% 90.53% 90.86% 90.67% 90.49% 소비 소계 46,090 42,315 42,313 43,164 43,172 43,391 42,228 93.2% 92.6% 92.7% 91.9% 92.5% 92.2% 91.9% 건물 소계 31,287 30,493 30,756 31,693 31,851 32,368 31,591 63.3% 66.8% 67.4% 67.5% 68.2% 68.8% 68.7% 가정 14,736 12,407 12,233 12,530 12,611 13,127 12,565 29.8% 27.2% 26.8% 26.7% 27.0% 27.9% 27.3% 상업 14,951 16,353 16,767 17,396 17,518 17,447 17,246 30.2% 35.8% 36.7% 37.0% 37.5% 37.1% 37.5% 공공 1,577 1,722 1,747 1,757 1,714 1,785 1,772 3.2% 3.8% 3.8% 3.7% 3.7% 3.8% 3.9% 농림 어업 23 11 9 10 8 9 8 0.0% 0.0% 0.0% 0.0% 0.0% 0.0% 0.0% 수송 10,652 9,276 9,201 9,277 9,063 9,056 8,840 21.5% 20.3% 20.2% 19.7% 19.4% 19.2% 19.2% 제조업 및 건설업(산업) 2,619 1,549 1,549 1,449 1,437 1,190 1,160 5.3% 3.4% 3.4% 3.1% 3.1% 2.5% 2.5% 에너지산업 (발전) 1,414 896 708 644 716 668 535 2.9% 2.0% 1.6% 1.4% 1.5% 1.4% 1.2% 탈루배출 118 101 99 101 105 109 102 0.2% 0.2% 0.2% 0.2% 0.2% 0.2% 0.2% 생산 소계 -1,607 -886 -640 -626 -756 -710 -636 -3.3% -1.9% -1.4% -1.3% -1.6% -1.5% -1.4% 전력 -376 -306 -225 -289 -373 -284 -255 -0.8% -0.7% -0.5% -0.6% -0.8% -0.6% -0.6% 열 -1,231 -580 -415 -337 -383 -426 -381 -2.5% -1.3% -0.9% -0.7% -0.8% -0.9% -0.8% 폐기물 3,661 2,714 2,756 3,022 2,793 2,891 2,960 7.4% 5.9% 6.0% 6.4% 6.0% 6.1% 6.4% 산업공정 및 제품생산 1,229 1,488 1,518 1,496 1,537 1,553 1,475 2.5% 3.3% 3.3% 3.2% 3.3% 3.3% 3.2% 농업, 산림 및 기타 토지이용 73 41 -302 -69 -62 -53 -67 0.1% 0.1% -0.7% -0.1% -0.1% -0.1% -0.1% ?? 직·간접 배출량 비교 (단위 : 천톤CO2eq) 배출원 2005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총배출량 49,445 45,673 45,646 46,986 46,685 47,073 45,960 Scope 1 (직접 배출) 직접배출 계 비 율 29,697 23,579 23,222 23,742 23,631 23,132 22,199 60.1% 51.6% 50.9% 50.5% 50.6% 49.1% 48.3% 에너지 소계 26,915 20,753 20,741 21,106 21,255 20,713 19,906 연료 연소 에너지산업 (발전) 1,414 896 708 644 716 668 535 제조업 및 건설업(산업) 1,491 596 617 568 553 395 417 수송 10,652 9,276 9,201 9,277 9,063 9,056 8,840 가정 8,306 5,720 5,655 5,825 6,039 6,213 5,830 상업 4,538 4,095 4,393 4,624 4,720 4,206 4,120 공공 382 65 65 65 58 65 61 농림어업 14 5 3 3 1 1 1 탈루배출 118 101 99 101 105 109 102 산업공정 및 제품생산 1,229 1,488 1,518 1,496 1,537 1,553 1,446 농업, 산림 및 기타 토지이용 73 41 -302 -69 -62 -53 -67 폐기물 1,481 1,297 1,265 1,208 901 919 914 Scope 2 (간접 배출) 간접배출 계 비 율 19,748 22,094 22,424 23,244 23,054 23,941 23,731 39.9% 48.4% 49.1% 49.5% 49.4% 50.9% 51.7% 전력 소계 17,304 20,394 20,641 21,089 20,915 21,699 21,433 소비 가정 5,062 5,928 5,961 6,121 6,038 6,330 6,207 상업 10,314 12,168 12,293 12,684 12,712 13,141 13,031 공공 1,168 1,645 1,673 1,685 1,647 1,710 1,700 농림어업 9 6 7 7 7 7 7 산업 1,128 953 932 881 884 795 743 생산 -376 -306 -225 -289 -373 -284 -255 열 소계 263 283 291 342 247 269 253 소비 가정 1,369 759 616 584 535 584 528 상업 99 91 81 88 86 101 95 공공 27 13 9 7 10 10 11 생산 -1,231 -580 -415 -337 -383 -426 -381 폐기물 2,180 1,418 1,492 1,813 1,892 1,972 2,046 붙임 2 2020년 및 2021년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단위 : 천톤CO2eq) 배출원 2005년 2018년 2019년 2020년 (추정) 2021년 (추정) 합계 49,445 47,073 45,960 45,660 45,103 에너지 계 44,483 42,682 41,591 41,269 40,712 90.0% 90.7% 90.49% 90.4% 88.6% 소 비 소계 46,090 43,391 42,228 41,979 41,421 93.2% 92.2% 91.9% 92.0% 90.5% 건물 소계 31,287 32,368 31,591 31,561 31,363 63.3% 68.8% 68.7% 69.1% 64.4% 가정 14,736 13,127 12,565 13,094 13,178 29.8% 27.9% 27.3% 28.7% 28.7% 상업 14,951 17,447 17,246 16,792 16,430 30.2% 37.1% 37.5% 36.8% 32.4% 공공 1,577 1,785 1,772 1,667 1,745 3.2% 3.8% 3.9% 3.7% 3.3% 농림 어업 23 9 8 8 9 0.0% 0.0% 0.0% 0.0% 0.0% 수송 10,652 9,056 8,840 8,559 8,412 21.5% 19.2% 19.2% 18.8% 21.8% 제조업 및 건설업(산업) 2,619 1,190 1,160 1,082 870 5.3% 2.5% 2.5% 2.4% 2.2% 에너지산업 (발전) 1,414 668 535 668 668 2.9% 1.4% 1.2% 1.5% 1.7% 탈루배출 118 109 102 109 109 0.2% 0.2% 0.2% 0.2% 0.3% 생 산 소계 -1,607 -710 -636 -710 - 710 -3.3% -1.5% -1.4% -1.6% 1.8% 전력 -376 -284 -255 -284 - 284 -0.8% -0.6% -0.6% -0.6% 0.7% 열 -1,231 -426 -381 -426 -426 -2.5% -0.9% -0.8% -0.9% 1.1% 폐기물 3,661 2,891 2,960 2,891 2,891 7.4% 6.1% 6.4% 6.3% 7.5% 산업공정 및 제품생산 1,229 1,553 1,475 1,553 1,553 2.5% 3.3% 3.2% 3.4% 4.0% 농업, 산림 및 기타 토지이용 -73 -53 -67 -53 -53 -0.1% -0.1% -0.1% -0.1% -0.1% ※ 추정 근거자료 ? ’20년 추정치 : 2020년 1년 동안의 월별 통계 적용, 통계자료 부재시 최신년도(’18) 통계 원용 ? ’21년 추정치 : 2021년 1~6월까지 월별 통계를 기반으로 연간 배출량 대비 비율 적용, 통계자료 부재시 최신년도(’18) 통계 원용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정보

2019년 온실가스 인벤토리 조사결과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기후환경본부 기후변화대응과
문서번호 기후변화대응과-17674 생산일자 2021-12-30
공개구분 부분공개 보존기간 5년
작성자(전화번호) 정예지 (02-2133-3598) 관리번호 D0000044444700
분류정보 환경 > 대기보전 > 대기보전관련제도 > 기후변화대응 > 온실가스인벤토리구축및관리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