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 | HWPX 파일은 공공 및 민간 분야 문서에 대한 개방성 확보를 위해 ㈜한글과컴퓨터에서 만든 XML 기반의 개방형 파일 형식이며, 서울시 결재문서는 개방형 파일인 hwpx로 생산되고 있습니다. |
○ | 서울정보소통광장에서 결재문서 열람 시 HWPX 파일이 열리지 않는 경우, 한컴오피스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사용 프로그램 버전에 따라 해당 제품을 업데이트 하거나, 프로그램이 없는 경우 뷰어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열람하시기 바랍니다. |
- 지속가능한 먹거리 도시서울- 서울특별시 먹거리정책 5개년 기본계획
문서번호 식품정책과-22880 결재일자 2021. 10. 12. 공개여부 부분공개(5) 방침번호 시 민 주무관 먹거리전략팀장 식품정책과장 시민건강국장 정희선 최숙영 정진숙 10/12 박유미 협 조 보건의료정책과장 윤보영 지역공동체과장 최순옥 친환경급식과장 강문종 생활환경과장 임미경 자원순환과장 정미선 인생이모작지원과장 정경숙 지역돌봄복지과장 박태주 도시농업과장 김광덕 가족담당관 송준서 주무관 이해연 주무관 유혜은 주무관 이경하 - 지속가능한 먹거리 도시 서울 - 서울특별시 먹거리정책 5개년 기본계획 (2021년~2025년) 2021. 10. . 시민건강국 (식품정책과) 목 차 Ⅰ. 수립개요 1 Ⅱ. 현황분석 7 Ⅲ. 수립방향 17 Ⅳ. 정책 및 특화과제 20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 환경조성 22 2. 서울시민 먹거리보장 확대 29 3. 지역상생과 먹거리 경제 활성화 35 4. 먹거리 공동체로 소통 강화 38 5. 환경생태 친화 먹거리 지원 40 6. 1인가구 먹거리 정책 및 식품안전 감시 시스템 강화[특화] 45 7. 통합 먹거리 정책 기반 마련 50 Ⅴ. 이행관리 55 Ⅵ. 소요예산 57 ( 붙 임 ) 자료 출처, 먹거리 주요 지표 설명 2. 세부사업계획 지속가능한 먹거리 도시서울 서울특별시 먹거리정책 5개년 기본계획 시민의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 기본권 보장을 위한 먹거리 5개년 기본 계획을 수립?추진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먹거리 도시 서울’ 실현을 구체화 하고자 함 Ⅰ. 수립개요 1 수립 근거 ?? 「서울 먹거리 마스터플랜 2020」(2017. 6월) ○ 서울시민 먹거리 기본권 선언문에 따라 서울시민 모두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를 누릴 수 있도록 먹거리정책 기본계획 수립 ?? 「서울특별시 먹거리 기본조례」제7조 (기본계획의 수립) ○ 시장은 먹거리정책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시행 ?? 1인 가구 맞춤형 안심정책 및 안심서울프로젝트(시장공약사항) ○ 1인 가구의 5대 불안(안전, 질병, 빈곤, 외로움, 주거) 해소를 위한 맞춤형 안심정책 및 안전하게 시민들이 먹거리를 이용할 수 있도록 먹거리 정책 추진 2 수립 배경 ?? (1인가구 먹거리지원 서비스 필요) 서울시 1인가구는 2.5 가구 중 한 가구로(42.1%, ’20년)1), 먹거리가 양적ㆍ질적으로 미보장된 먹거리 취약 계층으로 부상 ○ 1인 가구인 경우 과일·채소 섭취부족(76.6%), 영양 섭취부족(14.5%), 비만 유병률(19.2%) 이 높아 건강·영양 불균형 문제 대두2) ○ 1인 가구는 양적, 질적으로 미보장된 먹거리 취약계층으로 먹거리행태와 식품환경변화를 반영한 먹거리 지원정책 요구 ?? (사전예방적인 먹거리안전관리 체계 전환 요구) 원전오염수 해양방출 관련 수입 수산물, 녹슨 굴착기를 이용한 비위생적 김치제조 및 식중독균 검출 김치 등 안심할 수 없는 먹거리에 대한 시민 불안감 해소 필요 ○ 서울시 내 판매 식품이 ‘안전하다’는 응답은 51.6%에 불과하고, 안전하지 않은 이유는 ‘원산지 불분명(56.0%)’ 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아 정확한 원산지 표시제 관리로 시민의 알권리 강화 요구3) ○ 위생 및 유통에 대한 체계적인 안전감시시스템 구축과 새로운 먹거리 소비 추세에 맞는 안전관리, 교육 등 기능 강화로 식품안전 정책의 선순환 실현 ?? (건강 먹거리 정책 필요성 증가) 서울시민의 균형 있는 영양 섭취와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건강 먹거리 정책의 필요성 대두 ○ 과일·채소 1일 500g 미만 섭취 인구 비율 68.7%, 아침식사 결식률 28.1%로 영양 불균형 등으로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2) ○ 변화하는 먹거리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시민 스스로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 제공 및 건강한 식생활 환경 조성 ?? (맞춤형 먹거리 보장 필요) 먹거리 취약계층은 저소득층, 70대 이상 및 20대, 1인 가구, 사회적으로 외부와 교류가 적고 지역사회활동이 낮은 완전고립형으로 인구·사회구조 변화에 따른 맞춤 정책 필요 ○ 서울시민의 양적·질적 식품안정성 미확보 가구는 총 103만 가구(23.4%, ’20년)로, 특히 1인가구와 고령자는 각 44.6%, 46.1%로 먹거리격차 해소를 위한 대상별 먹거리 접근성 개선 필요4) ○ 과일, 육류 지출은 소득이 높을수록 증가하고, 지출이 가장 낮은 대상은 소득분위 2분위와 중위소득 30%미만으로 소득수준별 먹거리소비 양극화 해소를 위한 공공먹거리에 대한 사회적 책임 대두5) ?? (지속가능한 기후·사회환경적 측면의 고려) 기후?환경의 변화에 따른 미래세대의 먹거리 건강 위협에 대한 대비와 지역먹거리 선순환 체계를 위한 지역사회 연대 강화 필요 ○ 먹거리 생산·가공·유통·폐기 분야의 온실가스 배출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26%로 먹거리 순환계로 인한 건강 위협 및 환경 문제 유발로 미래 세대에 상당한 악영향 초래6) ○ 코로나 등 감염병으로 인한 비대면 증가, 혼식 아동과 혼밥 노인 등 먹거리 취약계층이 증가하고 있어 지역 내 먹거리 기반 공동체를 통해 지역사회 먹거리 돌봄 개선과 지역사회 먹거리 문제 해결 대응력 강화 필요 ?? (국외 먹거리 정책을 반영한 종합 정책 요구) 세계 주요도시를 중심으로 먹거리를 통한 사회·경제·환경 등 문제에 접근하여 지속가능한 도시, 지역의 회복력 확보를 위해 노력 필요 ○ ’15년 ‘밀라노 도시 먹거리 정책 협약’ 체결로 산발적으로 추진되던 국가ㆍ 지역 푸드 플랜의 체계화 및 본격화 ○ 세계적인 먹거리정책을 반영한 먹거리의 생산, 공급·유통, 폐기물관리, 식생활과 영양, 사회적 가치 실현, 정책실행 거버넌스 등을 포함하는 통합적 먹거리 정책 실행 3 수립과정 ?? 주요경과 ○ 먹거리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다양하고 폭넓은 먹거리 정책 의견수렴 및 전문가, 민간단체 등과 협업 등 다각적인 소통과 협력체계 기반 마련 먹거리시민위원회 1기(’17.11.2.~’19.12.31.) ’19.12월 ○ 먹거리 5개년 기본계획 수립 관련 비전·방향·체계 도출을 위한 용역 - 먹거리 마스터플랜 2020의 성과와 한계를 바탕으로 기본계획 전략 수립 - 먹거리시민위원회 워킹그룹, 기획조정위원회, 분과별 참여 진행 ’20.2월 ○ 먹거리 5개년 기본계획 비전, 체계도 마련 - 비전, 체계도를 바탕으로 핵심가치, 정책방향 마련 먹거리시민위원회 2기(’20.3.20.~현재) ’20.5월~’21.3월 ○ 먹거리 5개년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실무 TF구성 운영 - 가치별 정책과제 및 영역별 이행과제 제안 ’21.2월 ○ 먹거리 5개년 기본계획의 정책 및 이행과제를 마련 - 이행과제별 성과지표 도출을 위한 분과회의 운영 ?? 추진실적 주요내용 ’17 ’18 ’19 ’20 ’21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정책자문 심포지엄, 토론회 등 개최 1 2 3 3 4 분과위원회 및 기획조정위원회 회의 개최 11 80 67 18 2 먹거리 5개년계획 비전과 체계도 마련을 위한 워킹그룹 운영 - - 14 - - 먹거리 5개년 기본계획 실무 TF구성 운영 - - - 17 3 먹거리 정책 영역별 전문가 자문횟수 - - 14 5 15 서울시, 밀라노「도시먹거리정책 협약」운영위원(2년) - - 선정 - 선정 ?? 먹거리 5개년 기본계획 실행 동력 추진을 위한 운영 ○ 먹거리시민위원회 1,2기 구성 활동 및 민관 협치 거버넌스 운영 ○ 서울시 먹거리 전문가 및 관련부서 TF팀 운영 (’21.1.~ 9.) 4 서울 먹거리 마스터플랜 2020 성과 ?? 전국 최초 조례제정(’17.9.21.), 먹거리기본권 선언으로 먹거리 정책 선도 ○ 시장의 책무, 시민의 권리와 역할, 지속가능한 먹거리 정책 수립 시행 등 36개조 구성 ?? 건강과 안전이 중심이었던 식품정책을 지속가능한 먹거리 체계를 반영한 최초의 융합정책으로 국가 및 지역 푸드플랜의 모범 사례로 선도 ?? 밀라노도시먹거리 정책협약(MUFPP) 참여확대 등 먹거리 국제협력 주도 ○ 밀라노협약 아시아·태평양 대표(2·3기) 운영위원회로 선정 ○ 지속가능한 먹거리체계 수립을 위한 지방정부 사례 공유 및 협력의 장 ‘서울 도시먹거리 국제 컨퍼런스’ 개최(’18~현재, 매년개최) ○ 밀라노 협약 상(Milan Pact Awards) 관련 서울시 우수사례 공유로 국제적 홍보(’18~현재, 매년) - 밀라노협약「특별상(먹거리공급 및 유통분야)」수상(’18. 9. 5.) ?? 그 밖의 성과 ○ 시-자치구, 관련 사업부서, 전문가, 시민 등 민·관 협치 거버넌스 도입 ○ 시민의 먹거리 인식과 행태 통계 파악을 위한 국내 최초 먹거리 통계조사 도입 ○「서울시 먹거리전략 2030 수립 연구」를 통해서 4대 가치의 영역을 6대 가치로 확장하여 추진 위원회 위촉식 국제컨퍼런스 밀라노 협약상 제출 5 서울 먹거리 마스터플랜 2020 평가 「서울 먹거리 마스터플랜 2020」영역별 달성현황 (1) 먹거리 마스터플랜 총 10개 정책목표 지표 결과 ○ 지표 중 식품안전성 확보가구 비율 등 3개 지표 “달성”(30%) 1인1일 나트륨 섭취량 등 5개 지표 “개선”(50%), 과일채소 1일 섭취량 500g 이상 섭취자 비율 등 2개 지표 “악화”(20%) (2) 먹거리 마스터플랜 총 26개 과제분야 지표 결과 ○ 정상추진 16개, 일부변경 9개, 사업중지 1개(정책 변경, 예산 미확보로 변경 또는 중지) (3) 먹거리 마스터플랜 총 57개 성과지표 결과 ○ 총 57개 지표 중 51개 달성(평가 제외: 6개 지표는 변경추진· 예산미확보) (4) 연차별 예산편성 및 집행율: 4개년(’17~’20) 평균 96% 예산집행 「서울 먹거리 마스터플랜 2020」한계점 및 개선방안 (1) 구조적인 문제로 인한 일부 사업 중단 또는 변경, 최종목표 달성 한계 노출 ○ 예산 삭감 및 부서 장벽 등으로 26개 사업 중 1개 사업 중단, 9개 변경 ○ 연차별 당초예산액 대비 편성액(예산확보)은 전체평균 60.9% 수준 ? 정책의 일관성 있는 추진 및 우선순위에 따른 예산 및 인력 확보 필요 (2) 사업 목표와 사업 내용 간 연계성 및 모니터링 부족 ○ 최종목표와 사업 내용과의 연계성 부족 및 사업 과정 중 모니터링, 환류 부족으로 분야별 사업 달성 한계 ? 목표의 적절성, 대표성이 확보된 목표 설정 및 사업 마련 ? 생태·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인구학적 변화 등 미래예측이 반영된 정책 필요 -「서울시 먹거리전략 2030수립 연구」를 통해 4대가치를 6대가치로 영역 확장 ? 먹거리 정책 관련 산재된 부서의 역할 조율 필요 Ⅱ. 현황분석 1 국내현황 ??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인식 증대와 이를 둘러싼 다양한 사회적 문제 대응에 대한 국가 차원의 종합적인 먹거리 전략에 대한 필요성 대두 ?? ’17년부터 국정과제 세부 실천과제로 품질 좋은 먹거리 공급이 포함되어 농림축산식품부를 중심으로 ‘국가 및 지역 푸드플랜’ 수립·추진 중 ? 국가 푸드플랜 「국가 먹거리 종합전략 수립연구」에서 먹거리 공공성을 위해 ‘정부-사회-지역’이 협력하여 먹거리 체계 내에 관계자의 집단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보다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체계 구축’의 역할을 지향기본원칙과 방향을 제시하는 계획 주요 세부과제 예방적 안전관리 체계 구축, 식생활교육, 취약계층 먹거리 안전망 확보, 먹거리 공공성 강화, 지속가능한 농식품 생산·소비, 지역 먹거리 순환 체계 확립, 공동체 중심 먹거리 경제 활성화 등 ? 지역 푸드플랜 국가 푸드플랜을 바탕으로 지자체별 지역의 현안과 관심을 고려한 실천 계획으로 ’18년 9개 지역을 시작으로 ’21년 현재 110개 지자체에서 지역 푸드플랜 수립 행정·실행조직 정비, 거버넌스 유무, 먹거리 관련 사업시설 연계, 생산·소비 조직화 등에서 먹거리 사업이 확대되는 특징 2 국외현황 ?? 전 세계적으로 선진국 및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푸드플랜 등 먹거리 전략 수립이 확산 추세이며 지속가능성, 건강·영양, 안전·품질, 취약계층 보호, 지역 상생, 공동체, 생태 등 다양한 이슈 포함 ?? ’15년「밀라노 도시 먹거리 정책 협약」체결로 산발적으로 추진되던 국가 및 지역 푸드플랜의 체계화 및 모니터링 등 본격화 ○ 건강한 먹거리, 먹거리 빈곤, 기후 변화 대응 등 지속가능한 도시 먹거리 체계 구축을 위한 도시 차원의 선언으로 현재 211개 세계 주요 도시 가입(’21년) ? 국가 차원 ○ 캐나다 Food Policy for Canada(2019) - 비전: 모든 국민이 충분한 양의 안전·건강·문화적으로 다양한 먹거리에 접근 가능토록, 회복력 있고·혁신적·지속 가능·경제를 뒷받침하는 먹거리 체계 더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먹거리를 위해, 농민·먹거리 사업의 성장, 정부의 건강 먹거리 전략·식품 라벨·먹거리 손실 및 폐기 등 과제를 아우르는 로드맵 ○ 스웨덴 A National Food Strategy for Sweden(2017)7) - 비전: 2030년까지 경쟁적, 혁신적, 지속 가능한 먹거리 공급 체인 구축 주요 목표: ① 국가 환경 목표 달성과 농식품 생산 확대, ② 성장·고용 창출 및 국가 지속 가능 발전에 기여 ? 도시 차원 ○ 런던 Food Strategy(2018~2023) - ’18~’23년(5개년) 실행계획을 6개의 정책과제로 추진 중이며, 식품 불안정성 해소, 공공시설 내 좋은 식품, 환경을 위한 좋은 식품에 대해 실행 ○ 파리 Sustainable Food Plan(2015) - 학교, 직장 등 공공급식시설 및 음식점에서 2030년까지 지속가능하고 회복력 있는 푸드 시스템 구축으로 식품에 대한 접근성 등 4개 분야 40가지 과제가 있음 ??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및 C40 기후리더십 지구 건강 식단 실천으로 국내외 지속가능하고 건강한 먹거리 전략 추진에 동참 ○ 유엔 지속가능 발전 목표 (UN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2015) 2016년부터 2030년까지 모든 국가가 달성해야 할 보편적· 포괄적인 목표 먹거리 정책 관련 주요 목표 제2목표(기아 종식, 식량 안보와 영양 개선 달성, 지속가능 농업 촉진), 제6목표(청결 수자원 및 위생 보장), 제12목표(지속가능 소비 및 생산), 제17목표(파트너쉽 구축) 등 ○ C40 Good Food 도시 선언 동참 (C40 Good Food Cities Declaration; 2019) 2030년까지 기후 변화 문제 해결을 위해 서울을 비롯한 전 세계 97개 도시에서 ‘모두를 위한 지구 건강 식단(Planetary Health Diet for All)’ 목표 제시 주요 목표 도시 내 학교, 병원 등 공공기관에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식량, 특히 가능한 한 유기농업으로 생산한 식량 조달, 식물성·비정제 식품 소비 촉진 및 고지방·당·나트륨 식품 소비 감소 3 서울시 현황 1. 인구·사회학적 측면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 42.1% 식품안정성 미확보 가구 23.4% 먹거리 양적·질적 미보장 1인 가구 44.6% ?? (1인 가구 및 고령 인구 증가) 서울시는 전국에서 1인 가구가 가장 많이(185만 가구, ’20년) 거주하는 지역으로 서울시 2.5가구 중 한 가구는 1인 가구이며, 향후에도 지속 증가 예상 ○ 전체 가구 대비 1인 가구 증가 : 24.4%(’10년) → 42.1%(’20년)1) ○ 인구 고령화 및 노년층 1인 가구 증가로 인해 ’30년경 1인 가구 구성에서 노년층이 청년층 역전 [서울 1인 가구의 연령대별 구성비 추계(단위: %)] <출처: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 (경제적ㆍ사회적 먹거리 소비 양극화) 서울시민의 양적·질적 식품안정성 미확보 가구는 총 103만 가구(23.4%, ’20년)4)으로 특히, 1인 가구 및 70대 이상 고령자는 각 44.6%, 46.1%로 먹거리격차 해소를 위한 맞춤정책 필요 ○ 이외 먹거리 취약대상은 20대, 저소득층으로 대상별 문제해결을 위한 먹거리 지원 서비스 필요 - 먹거리를 다양하게 못 먹는 이유는 ‘식품 구매나 조리시간이 충분히 없어서’ (65.6%), ‘식품을 구매할 돈이 충분하지 않아서’(39.8%)로 나타남(중복응답)4) ? 20대(1인 가구)는 시간 부족, 70대 이상은 경제적 원인, 지역사회 식품 환경 불만족, 신체적 문제 등으로 응답함 ○ 영양섭취 부족이 높은 대상은 중위소득 30%미만(17.4%), 20대(17.5%) 및 80세 이상(16.9%)으로 나타나 질적 먹거리 지원 필요(서울시 평균 12.0%)5) - 1인 가구, 연령과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신선한 식료품 지출비중이 낮게 나타남 ? 과일과 육류 지출비중이 낮은 대상은 중위소득 30% 미만, 20대 이하와 80대 이상임 <주요 원인> 시간 부족 <주요 원인> 경제적 원인 [서울시민의 양적·질적 식품안정성 미확보 가구] <출처: 2020년 서울시 먹거리 통계 조사> 2. 건강 및 질환 측면 아동·청소년 비만 유병률 14.2% 65세이상 당뇨병 유병률 24.4% 65세이상 고혈압 유병률 58.4% ?? (대상별 만성질환 차이 발생) 식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만성질환 유형이 대상 및 소득별로 격차 발생 ○ 아동·청소년의 비만 유병률이 성인보다 증가폭이 커지고 있음 - 아동·청소년 : 11.9%(’12년) → 12.9% (’15년) → 14.2%(’19년)8) - 성인 : 29.5%(’12년) → 31.7(’15년) → 30.3%(’19년)2) ○ 당뇨병·고혈압 유병률은 65세 이상에서 각각 24.4%, 58.4%로 높으며 소득 수준에 따라 격차가 커지고 있음2) - 당뇨병 : 8.1%(’08년) → 8.9%(’15년) → 7.9%(’19년) ※ 당뇨병 : 소득수준 1분위가 17.0%로 4분위 4.1%의 4배 수준 - 고혈압 : 20.8%(’08년) → 25.2%(’15년) → 20.6%(’19년) ※ 고혈압 : 소득수준 1분위가 42.2%로 4분위 13.9%의 3배 수준 ?? (코로나19 시대의 건강 변화) 코로나19 이후 서울시민의 건강상태, 체중, 운동량 모두 악화4) ○ 건강상태가 나빠졌다(14.2%)가 건강상태가 좋아졌다(9.1%)보다 높음 ○ 체중 증가(29.7%)가 체중 감소(8.0%)보다 높음 ○ 운동량 감소(39.0%)가 운동량 증가(13.8%)보다 높음 3. 식생활(영양·소비·안전) 측면 과일·채소 1일 500g 미만 섭취자 비율 68.7% 나트륨 섭취량 3,379mg 주 1회 이상 혼밥 비율 69.2% ?? (영양 불균형 증가) 섭취식품 및 소비패턴 변화에 따른 영양소 섭취 불균형 증가 ○ 과일·채소 1일 권장섭취량을 실천하는 인구 비율 지속적 감소2) - 과일·채소 1일 500g 미만 섭취자 비율 : 62.7%(’08년)→61.1%(’15년)→68.7%(’19년) - 채소·과일 섭취 부족자 비율은 소득수준에 따라 격차가 커지고 있음 ○ 나트륨 섭취량은 감소 추세이나 1일 섭취 권장기준(2,300㎎)보다 높고, 당류섭취량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음료로부터의 당 섭취가 높음 - 나트륨 1일 평균 섭취량 : 4,717mg(’08년) → 3,723mg(’15년) → 3,379mg(’19년)2) - 당류 1일 평균 섭취량 : 55.7g(’08년) → 65.5g(’15년) → 60.1g(’18년)9) - 10대와 20대의 30~40%가 첨가당(가공·조리 시 첨가되는 단당류·이당류와 시럽) 섭취 고위험군(’18년 기준)임 - 음료로부터 당 섭취량 : 7.2g(’08년) → 12.4g(’15년) → 10.3g(’18년) ○ 아침식사 결식률과 하루 1회 이상 외식률 증가 추세2) - 아침식사 결식률 : 21.8%(’08년) → 25.7%(’15년) → 28.1%(’19년) ※ 20대의 아침식사 결식률은 47.4%로 높은 수치를 보임 - 하루 1회 이상 외식률 : 25.0%(’08년) → 33.2%(’15년) → 29.9%(’19년) ?? (코로나19 시대 식생활 변화) 코로나19 이후 서울시민 중 배달 및 포장음식 이용(49.2%), 온라인 식품 구매(39.2%), 손수 음식 조리(43.4%)로 비대면 식사 증가4) ○ 일주일에 1회 이상 혼밥하는 비율은 69.2%로 그 중 가정 내 혼밥이(66.2%) 외식 혼밥(38.3%) 보다 높음 ○ 가정용 간편식은 월 1회 이상 이용 비율 62.9%로 지난해 비해 가정용 간편식 이용이 ‘증가했다’는 응답은 27.7% 차지 [코로나19 이후, 식습관과 건강 변화(단위: %)] <출처: 2020년 서울시 먹거리 통계 조사> ?? (다양한 식품안전 이슈 발생) 서울시민들은 원산지 불분명, 식품·외식 업체의 비위생적 제조·유통 환경, 식품 안전 의식 부재, 잔류농약 등 유해물질 관리 등이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3) ○ 서울시내 판매식품 안전에 대한 인식은 51.6%(’20년)가 ‘안전하다’고 생각함이는 전년(43.9%) 대비 증가한 것으로 안전관리 강화 및 지속적 홍보가 필요함 ○ 안전하지 않은 이유는 ‘원산지 불분명(56.0%)’ 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아 정확한 원산지 표시제 관리 강화가 요구됨 ○ 식품안전관리 분야 중 중점 관리 요구도는 농·축·수산물 및 가공식품 위생관리(65.9%), 외식업 위생관리(65.3%), 어린이식품 안전관리(35.7%), 음식문화개선사업(23.3%) 순임 4. 생태·상생·공동체 측면 먹거리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 26% 월 1회 이상 친환경 식품소비 45.7% 지역공동식당 이용 욕구 25% ?? (먹거리를 통한 온실가스 배출) 먹거리 생산·가공·유통·폐기 분야의 온실가스 배출은 전체 배출량의 26%로 지속가능한 먹거리 소비 및 손실 저감, 음식물 및 포장재 폐기 배출 감소 필요6) ○ 전 세계 생산된 먹거리 중 35%가 음식물 쓰레기로 배출되고, 그 중 20%는 먹지 않고 버려짐 ○ ’13년 종량제 전면 실시 등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량 감소를 위한 정책 지속 추진10) - ’20년(2,540톤/일)음식물류 폐기물은 ’14년(3,181톤/일) 대비 약 20.2% 감량함 -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 장소는 가정(56.2%), 음식점(26.3%), 집단급식소(4.6%) 순으로 나타남 [연도별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량] [’20년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량] <단위: 톤, 출처: ‘21. 행정자료> ?? (도농상생 먹거리 소비 지향) 국내산 먹거리 및 생산자 직거래 등 도농상생 먹거리에 대한 관심도가 비교적 높음4) ○ 공공급식에서의 친환경 식품소비율은 55~70%로 매년 증가추세이고, 서울시민의 45.7%는 월 1회 이상 친환경 농산물을 소비함 - 친환경 농산물 구매 이유는 ‘안심하고 먹을 수 있어서’(82.6%), ‘나와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62.4%), ‘환경보호를 위해서’(15.3%) 등으로 나타남 ○ 도농상생 먹거리에 대한 관심도는 ‘제철 먹거리’(71.6%), ‘국내산 먹거리’ (65.6%), ‘생산자 직거래 농산물’(48.2%), ‘지역 먹거리’(45.7%), ‘친환경(유기농, 무농약) 농산물’(44.4%) 순임 ?? (텃밭 경험 기회와 환경 제공) 텃밭과 주말 농장 이용 욕구는 21.8%로, 40~60대에서 높게 나타남4) ○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마음의 여유가 없어서’(15.5%), ‘시간이 없어서’ (14.8%), ‘주변에 마땅한 텃밭이나 주말농장이 없어서’(12.6%)순임 ?? (공동체 식사 요구) 지역 공동식당 및 마을부엌 이용 욕구는 각 25.0%, 21.7%로, 1인가구ㆍ고령자ㆍ저소득층에서 요구도가 높음4) ○ 지역공동식당 이용 이유는 ‘여러사람과 어울려 식사’(67.4%), ‘식사준비에 드는 시간과 노력 절약’(67.2%), ‘질높은 식사’(29.5%), ‘가격 저렴’(14.5%)순임 ○ 마을부엌 이용 이유는 ‘식사준비에 드는 시간과 노력 절약’(61.1%), ‘조리기술 배움’ (53.9%), ‘여러사람과 어울려 식사’(37.7%), ‘지역사회 결식문제 해결’(27.9%)순임 ?? (미래 환경변화 사전대응) 기후변화ㆍ환경오염에 따른 신종 세균·바이러스 ·곰팡이독소 등 위해요소의 증가로 인한 식품 안전관리 영역 확대 Ⅲ. 수립방향 ?? 방향성 ○ 가치, 지향성, 정책영역을 연결하는 전략으로 전환 ○ 먹거리시민위원회의 정책 수립 참여를 통한 민관 거버넌스 실현 ○ 다변하는 사회 및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정책 수립 ○ 빅데이터 활용 및 과학적 근거 기반 마련을 위한 정책 강화 ○ 먹거리 기본권 실현을 위해 보장 대상 확대 ?? 중점추진사항 ?? 비전 및 목표 비 전 지속가능한 먹거리 도시 서울 가 치 건 강 보 장 상 생 공 동 체 생 태 정책목표 1. 안전하고 건강한 먹거리 환경을 조성한다. 2. 누구에게나 충분하고 질 높은 먹거리를 제공한다 3. 기후변화 및 재난에 대응할 수 있는 먹거리 보장체계를 구축한다. 4. 지역 및 도농 먹거리 주체들의 상생을 도모한다. 5. 먹거리 기반 공동체를 지원하고 먹거리 돌봄체계를 구축한다 6. 윤리적이고 생태적인 먹거리 생산과 소비 활동을 지원한다. 정책과제 ①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 환경 조성 1. 먹거리 기반 시민건강 증진 2. 생애주기 맞춤형 식생활 실천 환경조성 3. 먹거리 안전관리 강화 ② 서울시민 먹거리 보장 확대 4. 서울시민 먹거리 보장을 위한 지원 강화 5. 생애주기별 질적 먹거리 충족을 위한 먹거리 전달체계 개편 6. 재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먹거리 지원 시스템 구축 중점 ③ 상생과 먹거리 경제 활성화 7. 도농상생의 먹거리 기반(체계) 구축 8. 지역상생 먹거리 경제 활성화 지원 ④ 먹거리 공동체로 소통 강화 9. 먹거리 공동체 생태계 조성 10. 먹거리 기반 지역사회 통합 돌봄 사업 강화 ⑤ 환경생태친화 먹거리 지원 11. 친환경 도시농업 활성화 12. 먹거리를 매개로 한 기후변화 대응 체계 구축 13. 기후변화 대응 먹거리시민 실천 환경조성 특화과제 ⑥ 1인 가구 먹거리 정책 및 식품안전감시 시스템 강화 14. 서울시 1인 가구 먹거리 지원 체계 구축 중점 15. 선제적 먹거리 안전관리를 위한 감시 시스템 강화 중점 정책기반 ⑦ 통합 먹거리 정책 기반 마련 16. 먹거리 거버넌스 강화 17. 먹거리 정책 통합추진 및 평가체계 구축 중점 18. 먹거리 국제 협력 체계 강화 19. 서울시 먹거리 정보 관리체계 구축 정 책 목 표 구분 주요지표 기준치(’19) 목표치(’25) 건강 1. 건강식생활 실천율(만6세 이상) ?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HP2030 목표 반영 서울시 자체 목표 수립, 46.8% 50% 2. 나트륨 1일 섭취량 2,300mg 이하 섭취자 비율 ?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HP2030 목표 반영 서울시 자체 목표 수립, 34.6% ⇒ 36% 3. 과일채소 1일 섭취량 500g 이상 섭취자 비율 ?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HP2030 목표 반영 서울시 자체 목표 수립, 31.3% ⇒ 35% 4. 가공식품 영양표시 이용 비율 ?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HP2030 목표 반영 서울시 자체 목표 수립, 31.1% ⇒ 32% 보장 5. 식품안정성 확보가구 비율 ? 서울시 먹거리 통계조사 76.6% (’20년) ⇒ 80.0% 상생 6. 공공급식 친환경 식재료 이용 비율 ? 행정자료 70% (’20년) ⇒ 75% 공동체 7. 지역사회 돌봄밥상 운영수 ? 행정자료 - 15개소 생태 8. 1일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량 ? 서울시 음식물류폐기물 감량사업 중장기 계획 정책지표 반영 2,827t ⇒ 2,744t 건강분야 목표치 설정은 ‘25년 기준으로 생성되는 최근 자료로 사용한다. Ⅳ. 정책 및 특화과제 7대 분야, 19개 이행과제, 45개 세부사업 (신규 18개, 확대 14개, 계속 13개) 이행과제 세부사업 구분 담당부서 【분야 1】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 환경조성 1. 먹거리 기반 시민건강 증진 (1) 임산부 및 영유아 맞춤형 영양관리 계속 식품정책과 (2) 건강한 식생활 실천 사업 계속 식품정책과 (3) 만성질환 어르신 영양관리 계속 보건의료정책과 2. 생애주기 맞춤형 식생활 실천 환경조성 (4) 유아부터 청소년까지 올바른 식습관 형성 교육 계속 식품정책과 (5) 성인 식생활 개선 교육 확대 식품정책과 (6) 즐거운 음식문화 만들기와 교류 확대 계속 식품정책과 3. 먹거리 안전관리 강화 (7) 생산부터 유통까지 식품안전관리 계속 식품정책과 (8) 식품위생 관리 서비스 확대 계속 식품정책과 (9) 식품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안전관리 신규 식품정책과 【분야 2】 서울시민 먹거리 보장 확대 4. 서울시민 먹거리 보장을 위한 지원 강화 (10) 미래세대 친환경 무상 급식 확대 확대 친환경급식과 (11) 취약계층 영양바우처 지원 사업 신규 식품정책과 5. 생애주기별 질적 먹거리 충족을 위한 먹거리 전달체계 개편 (12) 결식아동 맞춤 급식 서비스 제공의 다양화 및 이용 확대 확대 가족담당관 (13) 지역사회 중심 저소득 어르신 급식지원 사업 계속 인생이모작지원과 (14) 푸드뱅크 및 푸드마켓 운영 활성화 확대 지역돌봄복지과 6. 재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먹거리 지원 시스템 구축 중점 (15) 재난 상황별 먹거리 위기 대응 시스템 구축 신규 식품정책과 (16) 먹거리 비대면 지원 지침 마련 신규 식품정책과 【분야 3】 상생과 먹거리 경제 활성화 7. 도농상생의 먹거리 기반 (체계) 구축 (17) 공공급식 확대 및 공공조달체계 강화 계속 친환경급식과 (18) 도농상생 교류 및 체험 확대 계속 친환경급식과 도시농업과 8. 지역상생 먹거리 경제 활성화 지원 (19) 먹거리 기반 사회적경제 활동 촉진 신규 식품정책과 【분야 4】 먹거리 공동체로 소통 강화 9. 먹거리 공동체 생태계 조성 (20) 공유공간 네트워크 구축 및 활성화 확대 지역공동체과 10. 먹거리 기반 지역사회 통합 돌봄사업 확대 (21) 지역사회 돌봄밥상 운영 확대 신규 식품정책과 【분야 5】 환경생태 친화 먹거리 지원 11. 친환경 도시농업 활성화 (22) 도시농업 공간 확대 계속 도시농업과 (23) 도시농업 참여 활성화 계속 도시농업과 (24) 도시농업으로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 계속 도시농업과 12. 먹거리를 매개로 한 기후변화 대응 체계 구축 (25) 일회용 포장용기 없는 매장 지원 및 확대 신규 자원순환과 (26)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 및 자원화 확대 생활환경과 (27) 잉여 신선식품 선순환 체계 구축 신규 식품정책과 13. 기후변화 대응 먹거리시민 실천 환경조성 (28) 환경을 위한 먹거리 실천 교육 확대 친환경급식과 식품정책과 (29) 「지구건강식단」 운영을 위한 교육 및 캠페인 신규 식품정책과 【분야 6】 1인 가구 먹거리 정책 및 식품안전 감시 시스템 강화 14. 서울시 1인 가구 먹거리 지원 체계 구축 중점 (30) 1인 가구 먹거리 사각지대 발굴 및 지원 기반 마련 신규 식품정책과 (31) 1인 가구 착한 먹거리 지원 신규 식품정책과 (32) 1인 가구 건강 먹거리 섭취 실천 환경조성 신규 식품정책과 15. 선제적 먹거리 안전관리를 위한 감시 시스템 강화 중점 (33) 식품단계별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전문 기능 확대 신규 식품정책과 (34) 먹거리이슈 대응체계를 위한 위해물질 감시 시스템 기반 마련 신규 식품정책과 (35) 공무원 및 감시원 전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 소통 확대 식품정책과 【분야 7】 통합 먹거리 정책 기반 마련 16. 먹거리 거버넌스 강화 (36) 먹거리시민위원회 운영 활성화 및 협력체계 강화 확대 식품정책과 (37) 서울시-자치구 먹거리 거버넌스 및 정책 추진 지원 신규 식품정책과 17. 먹거리 정책 통합 추진 및 평가체계 구축 중점 (38) 먹거리 정책 통합추진 전담 조직 기반 마련 신규 식품정책과 (39) 이행관리를 위한 평가체계 구축 확대 식품정책과 (40) 먹거리 보장 기준 수립 및 추진 신규 식품정책과 18. 먹거리 국제 협력 체계 강화 (41) 밀라노협약 참여 확대로 먹거리 국제협력 주도 확대 식품정책과 (42) 서울 도시먹거리 국제컨퍼런스 개최 확대 식품정책과 (43) 해외 먹거리 정책 우수사례 빌굴 및 활용 신규 식품정책과 19. 서울 먹거리 정보 관리체계 구축 (44) 서울시 먹거리 통계 조사 및 지표 개발 확대 식품정책과 (45) 서울 먹거리 통합정보(FTI, Food Total Information) 고도화 확대 식품정책과 분야1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 환경조성 추 진 방 향 ? 체계적인 영양관리로 만성질환 예방을 통해 건강수명 연장 ? 생애주기별 맞춤형 식생활 교육을 통해 건강한 식습관 유도 ? 선제적 식품안전관리로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환경 조성 ?? 성과목표 성과지표 2021 2022 2023 2024 2025 만성질환 어르신 영양관리(명) 2,400 3,200 4,000 4,000 4,000 찾아가는 어린이 미각형성교육(개소) 200 400 450 500 500 어린이 급식소 등록관리(개소) 4,900 5,100 5,300 5,500 5,700 식품수거검사 (건수) 20,850 21,393 21,436 21,480 21,524 ?? 세부사업 이행과제명 세부사업명 비고 1. 먹거리 기반 시민건강 증진 (1) 임산부 및 영유아 맞춤형 영양관리 계속 (2) 건강한 식생활 실천 사업 계속 (3) 만성질환 어르신 영양관리 계속 2. 생애주기 맞춤형 식생활 실천 환경조성 (4) 유아부터 청소년까지 올바른 식습관 형성 교육 계속 (5) 성인 식생활 개선 교육 확대 (6) 즐거운 음식문화 만들기와 교류 확대 계속 3. 먹거리 안전관리 강화 (7) 생산부터 유통까지 식품안전관리 계속 (8) 식품위생 관리 서비스 확대 계속 (9) 식품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안전관리 신규 1-1 먹거리 기반 시민건강 증진 ?? 배경 및 필요성 ○ 임산부, 영·유아, 만성질환자 등 건강취약계층 맞춤형 영양관리서비스 필요 ○ 서울시는 달고 짠 음식은 많이 먹고, 채소·과일은 적게 먹는 추세 ○ 아동·청소년 과체중·비만율이 지속적으로 증가 - 아동·청소년 비만률: 11.9%(’12)→14.2%(’19) ?? 주요 세부사업 (1) 임산부 및 영유아 맞춤형 영양관리 ○ (대상) 중위소득 80% 이하 임산부 및 영유아 중 영양위험군 ○ (내용) 영양관리상담, 가정방문 지도, 보충식품 제공, 영양평가 ○ (추진체계) 서울시-자치구 협업 추진 - 서울시: 계획수립, 보충식품 공급 체계 구축, 자치구 사업 지원 등 - 자치구: 사업수행, 대상자 선정 및 관리(교육, 식품공급, 민원처리 등) (2) 건강한 식생활 실천 사업 [아동·청소년 비만 예방을 위한 식생활 개선 사업] ① 당류 섭취 저감화 사업 ○ (대상) 당류 섭취 고위험군 청소년, 청소년 이용시설(급식소) 등 ○ (내용) 집중 당줄이기 프로젝트, 단체급식용 당류 저감 메뉴 및 당류 저감 교육자료 개발 및 보급, 청소년 이용시설 고열량·저영양 음료 판매 제한 ○ (방법) 공모사업(당줄이기 프로젝트) 및 대상시설 업무협력 ② 얘들아 과일먹자 사업 ○ (대상) 지역아동(복지)센터 이용 어린이 및 청소년 ○ (내용) 제철 과채류 제공 및 영양교육 ○ (추진체계) 도매시장 및 식품공사 후원금을 바탕으로 서울시, 보건소, 민간업체 협업 추진 6개 도매시장법인,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후원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균형적인 식생활 실천 사업] ① 건강하게 먹는 실천 배움터 운영 ○ (대상) 일반시민(어린이, 직장인, 어르신 등) ○ (내용) 균형적인 식생활 체험 프로그램 운영, 홍보자료 제작 및 배포 ○ (방법) 서울시-자치구-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협력 추진 ② 나트륨은 조금, 채소·과일은 많이 먹는 환경 조성 ○ (대상) 집단급식소, 음식점, 공공시설 등 ○ (내용) 저염 및 채식 실천 환경 조성(염도측정, 채식의날 운영), 공공 시설 내 채소·과일 판매 공간 마련 ○ (방법) 서울시와 대상시설 업무협력 추진 (3) 만성질환 어르신 영양관리 ○ (대상) 고령 건강고위험군(만성질환 등) ○ (내용) 영양평가에 따른 맞춤 영양관리 및 간편영양식 지원 - 대상자 맞춤형 영양관리서비스(12주), 영양상담(월2회 방문) - 질환, 영양상태, 저작기능에 따라 영양관리식품(보충음료 및 간편영양식) 제공 대상자 발굴 및 연계 (자치구 보건소) ▶ 영양관리 서비스 (보건소, 보건지소) 간편영양식 지원 (운영 기관) ▶ 사업 평가 (서울시, 지원단) · 영양/건강상태 전·후 평가 · 식생활 위험요인 파악 · 대상자 추천 · 대상자별 영양관리 · 방문영양상담, 교육 · 섭취 상태 모니터링 · 간편식 제공, 모니터링 · 배송인력 관리 및 교육 · 민원관리, 업무보고 등 · 사전/사후 비교분석 · 사업 효과 평가 · 사례관리 등 ○ (방법) 서울시, 자치구(건강돌봄), 전문민간기관 연계하여 추진 1-2 생애주기 맞춤형 식생활 실천 환경조성 ?? 배경 및 필요성 ○ 유아 식행동(편식): 만3~5세 유아 20%는 영양상태 및 식사의 질 낮음 ○ 성인 대상 영양교육 및 상담이 부족: 성인 영양교육 수혜율 10% 미만 - 영양교육·상담 수혜율: 51.0%(6~11세), 10% 미만(19세 이상) ○ 간편식과 외식 산업의 발전으로 상대적으로 전통음식에 대한 관심 감소 ?? 주요 세부사업 (1) 유아부터 청소년까지 올바른 식습관 형성 교육 ○ (대상) 영유아 및 청소년 ○ (내용) 편식 개선 교육, 특수학교 아동 식품안전·영양교육, 미각형성 교육 ○ (방법) 서울시 식생활종합지원센터 위탁(편식 개선 교육), 공모사업(특수학교 교육), 자치구-서울시 식생활종합지원센터 협업(어린이 미각형성교육) (2) 성인 식생활 개선 교육 ① 식생활 체험교육 공간 ‘맛동’ 운영 활성화 ○ 체험프로그램: ‘계절밥상’·‘가치밥상’·‘건강밥상’·‘나눔밥상’ 등 ○ 서울시민 음식학교: 식문제 개선, 전통식문화 체험, 식생활 전문가 역량강화 ○ 전통 장(醬) 담그기 교육: 장하다 내 인생, 서울장독대 프로그램 ② 식생활 체험교육 공간 확대 ○ 맛동 확대: 공공기관 쿠킹스튜디오, 서울시 인재개발원 내 유휴공간 등 활용 ○ 직장 내 요리공간 설치: 서울시청 등 공공기관 시범 운영 후 제도화 추진 (3) 즐거운 음식문화 만들기와 교류 확대 ① 서울 대표 먹거리 명소 소개 동영상 제작 홍보 ② 한식 문화 확산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 계절별 제철 식재료를 활용한 한식요리 체험 프로그램 운영 ○ 타 기관(한국관광공사 등) 한식 체험 프로그램 연계 운영 ○ 한식인문학 분야 강의경험이 풍부한 강사의 한식인문학 강좌 운영 ③ 음식문화 축제 개최로 먹거리 교류의 장 마련 ○ 서울 먹거리 문화축제: 민간 단체, 국제 도시 간 먹거리 문화와 정책 교류 ○ 김장문화제: 김치 체험교실 운영, 한식문화관 등과 연계하여 김장문화 홍보 1-3 먹거리 안전관리 강화 ?? 배경 및 필요성 ○ 식중독 발생 등 식품사고 발생으로 위생 안전에 대한 불안감 지속 ○ 소비자 식품 선택 경향 변화 등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식품안전관리 필요 -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배달음식, 온라인 식품 소비 급격히 증가 ○ 쉽게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먹거리 정보 제공 필요 ?? 주요 세부사업 (1) 생산부터 유통까지 식품안전관리 ① 농·수·축산물 및 유통식품 안전관리 ○ (대상) 도매시장, 유통업체(온라인 업체 포함) 농·수·축산물 및 유통식품 ○ (내용) 제품 수거 및 검사의뢰 후, 부적합 결과 시 회수 등 조치 - 제품수거: 유해물질 데이터베이스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수거제품 선정 - 부적합 식품 전량 회수·폐기, 관할 행정기관 통보, 전국 공영도매시장 출하제한 등 ○ (방법) 서울시-자치구-보건환경연구원 협력체계로 안전관리 실시 - 도매시장: 현장 농·수산물 안전관리반 운영하여 경매 전 제품 수거 - 유통업체: 서울시 및 자치구 식품위생감시원이 제품 수거 -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수거 된 제품 검사 후 결과 통보 ② 식품 제조·가공단계 안전관리 ○ (대상) 식품 제조·가공업체, 즉석판매제조·가공업체 ○ (내용) 위생취약시설, 시기별 다소비 식품 제조시설에 대한 위생점검 ○ (방법) 서울시 및 자치구 식품위생감시원(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점검 (2) 식품위생 관리 서비스 확대 ① 식품 제조·가공업체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기술지원 ○ (대상) HACCP 의무적용 유형 식품 제조·가공업체 중 소규모 업소 ○ (내용) 업소별 현장방문 및 업체 맞춤형 교육 ○ (방법) 식품안전컨설팅 전문기관 용역계약 ② 어린이, 사회복지급식소 위생 및 영양관리 지원 ○ (대상) 어린이집, 사회복지시설(노인, 장애인 등 취약계층) 급식소 ○ (내용)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설치·운영 확대, 위생 및 영양지도 -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확대 설치(22개→25개구로 전체 자치구 설치) ※ 노인·장애인 등 사회복지시설의 급식안전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어린이급식 관리지원센터에서 사회복지급식소 급식관리 업무 수행 - 급식소 위생 및 영양관리 순회방문 지도 ○ (방법)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위탁 운영 ③ 음식점(집단급식소) 식중독 예방관리 사업 ○ (대상) 서울시 소재 음식점, 집단급식소 ○ (내용 및 방법) 서울시와 자치구 사업담당자 등 협력 체계 구축 - 식중독 예방 및 신속대응 관리체계 강화 - 식중독 발생 우려시설 등 집중관리 - 식중독 예측지수 및 예방정보 문자알림 서비스 등 식중독 예방 실천환경 조성 ④ 식품안전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 및 홍보 ○ (대상) 식품 관련 업체 영업자 및 종사자, 일반시민 ○ (내용) 식품안전 교육·홍보자료 제작 및 배포 - 외국인 조리종사자를 위한 다국어(한국어, 중국어, 베트남어) 교육자료 제작 - 냉장고 정리 홍보 동영상 제작 및 홍보 - 안전한 식생활을 위한 정확한 정보제공 ○ (방법) 식품안전전문가 자문 후, 교육 및 홍보자료 제작 - 서울 먹거리 정보 포털, 유튜브 등에 제작자료 게시 - 영업자 위생교육, 업체 위생점검 시 교육자료 활용 (3) 식품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안전관리 ① 비대면 유통 및 판매식품 관리 강화 ○ (대상) 온라인 식품 유통·판매업체(새벽배송 등 신선식품 포함) ○ (내용) 비대면 유통 식품 생산부터 소비까지 관리 강화 - 비대면 식품 품목별 안전관리 가이드라인 제작 및 배포 - 온라인 식품유통시설, 운송차량 등 위생지도·점검 - 비대면 식품 수거·검사 확대, 영양성분 분석 ② 배달음식점 위생관리 강화 ○ 배달음식점 위생관리 현장 컨설팅 사업(식품안전전문기관 계약 추진) ○ 배달음식점 조리종사자 맞춤형 위생관리 지침 제작(시민 참여 공모사업) ○ 관련 협회와 협업으로 위생지도 서비스 제공 ③ 소비자 먹거리 선택권 보장 ○ 서울시가 인증하는 채식음식점 사업 ○ 원산지 및 유전자변형식품(GMO) 표시제도 관리 - 농수산물 원산지표시 지도·점검 및 수거·검사 - 유전자변형식품(GMO) 표시지 점검 및 GM 성분(유전자변형 단백질) 수거·검사 ○ 영양성분표시 모니터링 및 점검 - 시민 다소비 식품(가정간편식 등) 영양성분 분석 - 외식 업체 영양성분 표시사항 지도·점검 분야2 서울시민 먹거리 보장 확대 추 진 방 향 ? 서울시민의 먹거리 보장을 위한 지원 강화 ? 취약계층의 질적 먹거리 충족 위한 먹거리 전달체계 개편 ? 재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먹거리 지원 시스템 구축 ?? 성과목표 성과지표 2021 2022 2023 2024 2025 친환경유통센터 이용 학교(개소) 1,030 1,080 1,130 1,180 1,230 결식 아동 지원 인원(명) 30,000 30,500 31,000 31,500 32,000 어르신 급식 지원 인원(명) 29,500 30,000 31,000 32,000 33,000 재난상황별 위기대응 시스템 마련(식) 1 1 2 2 1 ?? 세부사업 이행과제명 세부사업명 비고 4. 서울시민 먹거리보장을 위한 지원 강화 (10) 미래세대 친환경 무상급식 확대 확대 (11) 취약계층 영양바우처 지원 사업 신규 5. 생애주기별 질적 먹거리 충족 위한 먹거리 전달체계 개편 (12) 결식아동 맞춤 급식 서비스 제공의 다양화 및 이용 확대 확대 (13) 지역사회 중심 저소득 어르신 급식지원 사업 계속 (14) 푸드뱅크 및 푸드마켓 운영 활성화 확대 6. 재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먹거리 지원 시스템 구축 (15) 재난 상황별 먹거리 위기 대응 시스템 구축 신규 (16) 먹거리 비대면 지원 지침 개발 신규 2-4 서울시민 먹거리 보장을 위한 지원 강화 ?? 배경 및 필요성 ○ 차별 없는 학교급식 지원으로 보편적 교육복지 실현 필요 - 선별 급식으로 인한 차별의 내면화 문제를 극복하고, 친환경 식재료 공급으로 성장기 학생의 건강 증진 도모 ○ 소득수준별 먹거리 소비 양극화 심화, 공공먹거리에 대한 요구 증가 - 영양섭취 부족자는 전체 평균 8.2%인 반면, 생계급여 수급자는 19.2%로 2배이며 그 뒤로 중위소득 30~40% 11.9%, 40~50% 9.5% 순임 ?? 주요 세부사업 (1) 미래세대 친환경 무상급식 확대 ○ (대상) 유치원, 초?중?고교 ○ (내용) 친환경 무상급식 전면 확대(학기 중 평일 중식비), 친환경유통센터를 통한 친환경 학교급식 안정적 공급체계 구축, 공급 식재료 안전성 강화 ○ (방법) 서울시-친환경유통센터-교육청 협력 체계로 추진 (2) 취약계층 영양바우처 지원 사업 ① 영양바우처 사업 ○ (대상) 서울시민 중위 소득 50% 미만자 ○ (내용) 전자바우처(카드) 지급: 월 4만원(1인 가구 기준), 영양관리 서비스 제공 ○ (방법) 자격평가 → 대상자 선정 → 서비스 제공 → 영양평가 ②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사업(20개구 참여) ○ (대상) 임신부 또는 출산 후 1년 이내 산모(신청일 기준) ○ (내용)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공급(선택형 또는 완성형 꾸러미로 구성) - 지원한도: 임산부 1인당 친환경농산물 48만원(’21년 기준) 상당(12개월, 16회 이내) - 지원품목: 친환경 농산물 인증 받은 제철 과일ㆍ채소, 축산물, 가공식품 등 ※ 선택형은 대상자가 필요한 품목을 가상의 장바구니에 담아 주문 - (방법) 서울시 권역별 전담업체 선정하여 꾸러미 공급 2-5 생애주기별 질적 먹거리 충족을 위한 먹거리 전달체계 개편 ?? 배경 및 필요성 ○ 아동급식카드 가맹점(일반음식점) 부족으로 편의점 이용 편중 문제 지속 제기 - 급식 대상 아동 중 57.7%가 꿈나무카드를 이용하고 있으며, 그 중 59.7%는 편의점에서 이용 ○ 경제 위기, 코로나19 재난 등으로 저소득 및 실직자 증가 추세, 이에 먹거리 소외계층에 대한 결식 완화 및 식자재 보충 지원 필요성 지속 대두 -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강화로 사회복지시설 운영중단, 등교하지 않은 어린이 방치·학대 등이 결식으로 이어져 사회안전망(돌봄) 약화되어 대응이 필요 ?? 주요 세부사업 (1) 결식아동 맞춤 급식 서비스 제공의 다양화 및 이용 확대 ○ 선정기준 -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저소득층 아동 중 가정환경 상 가정 내 에서 식사 제공이 어려워 결식우려가 있는 아동(18세 미만의 취학 및 미취학아동) -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관 등의 아동복지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아동 ○ 지원내용: 1식 당 6,000원(시비 50%, 구비 50%) ○ 지원방법: 지역별·아동별 여건 및 본인 희망에 따라 급식형태 선택지원 - 취학아동: 단체급식소(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관 등), 꿈나무카드(아동급식카드), 도시락 및 부식 배달 등 - 미취학아동: 보육시설 연계하여 지원 받을 수 있도록 조치 ○ 추진내용 - 서울시 전체 일반음식점 꿈나무카드 자동 연계를 통한 꿈나무카드 가맹점 확대 -「서울시 집밥프로젝트」도시락형 급식 의무화 지속 추진(주 1~2회) (2) 지역사회중심 저소득 어르신 급식지원 사업 ○ (대상) 만 60세 이상 결식우려 저소득 어르신 ○ (수행기관) 총 216개소(사회복지시설, 비영리 단체 등) ○ (지원내용) 경로식당 운영, 도시락 및 밑반찬 배달 구분 지원대상 지원내용(1식) 비고 경로식당 60세 이상 저소득 어르신 3,500원, 주6회 특식(연7회) : 설, 추석, 어버이날, 석가탄신일, 복날, 노인의날, 성탄절 도시락배달 65세 이상 거동불편 어르신 3,500원, 주7회 밑반찬배달 65세 이상 거동불편 어르신으로 가정에서 조리 가능한 자 4,000원, 주2회 특식비 경로식당, 도시락배달, 밑반찬배달 4,000원, 연7회 동절기 추가 지원(1,2,12월) 거동불편 등 동절기 추가지원 필요 저소득 어르신 도시락배달(일1회→일2회) 및 밑반찬배달(주2회→주4회) 지원 (3) 푸드뱅크 및 푸드마켓 운영 활성화 ○ (대상) 저소득 취약계층(수급자, 긴급복지대상자, 차상위계층 등) ○ (내용) 월 1회~2회, 식품 등 생활용품 5~6개 품목(약 4~5만원 상당) ○ (절차) 이용 신청, 지원대상 발굴·선정(동·구) → 신규 이용자 통보(구→푸드뱅크·마켓) → 이용자 등록 및 마켓 이용(이용자) 서울특별시 ? 사업 정책 수립 예산지원 서울광역푸드뱅크센터(1개소) ? 모금활동 및 관리 ? 긴급 구호 자원 비축 기부 기업?단체 (대량) 정책 시달 협력 지원 협력 자치구 ? 이용대상자 선정 ? 지역내 사업계획 수립 예산지원 기초 푸드뱅크·마켓(36개소) ? 모금활동 및 관리 ? 이용회원 접수·지원 기부 지역단위 개인?단체?소매점 (소량) 정책 시달 협력 물품 제공 동 주민센터 ? 지역내 이용대상자 발굴 ? 추천 이용 신청 수 혜 자 ? 개인(푸드마켓 이용) ? 단체(사회복지기관) ○ (운영방법) 민간위탁(시·구에서 위탁체 선정) 및 자치구 직영(1개소) 2-6 재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먹거리 지원 시스템 구축 ?? 배경 및 필요성 ○ 감염병 유행 등 재난 상황 시 먹거리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정책 부재 ○ 코로나19로 인해 경로식당, 지역아동센터 등 공공급식 비대면 전환에 따른 레토르트 식품 제공 및 결식으로 질적 영양관리 미흡 ?? 주요 이행과제 (1) 재난 상황별 먹거리 위기 대응 시스템 구축 ① 서울시 먹거리 자원 조사 및 지원 현황 조사 ○ (대상) 취약계층, 공공먹거리 지원 기관 ○ (방법) 서울시 유관 기관, 자치구 해당 부서 자료 요청 후 수합 ○ (내용) 지역 내 먹거리 관련 물적·인적 기반, 유통 실태 등 ② 재난 상황별 먹거리 위기 대응 지침 개발 ○ (대상)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 (방법) 재난 상황별 먹거리 대응 기준 마련 및 연도별 지침서 제작 - 상황: 감염병 대응(’21년) → 기후변화 대응(’23년) ○ (내용) 지역 내 먹거리 자원과 연계되는 지역 사회 식품지원시스템 구축 - 재난 단계별 먹거리 대응 기준 마련 및 식품 지원 체계도 작성 - 서울시, 자치구 및 관련 유관기관·단체 등의 대응 임무 및 역할 제시 ○ (활용) 분야별 재난 대응 지침 반영 및 설명회 개최 ③ 재난 시 가정 내 구비 식품관리 지침서 제작 ○ (대상) 시민(어린이, 임신부, 수유부, 어르신, 질환자 등) ○ (내용) 일정 기간 구비할 비상 식품 목록 제시, 재난 단계별 식품 관리 방법 ④ 위기 대응 먹거리 정보화 기반 마련 ○ 우리 동네 먹거리 지도 제작 - (방법) 온라인 먹거리 지도 제작하여 서울시 식품안전정보(FSI) 등에 게시 - (내용) 친환경 먹거리 판매소, 건강음식점, 마을부엌, 식생활교육 공간 등 정보 제공 - (활용) 지역 내 먹거리 접근성 제고 및 재난 시 식품지원 네트워크 확보 ○ 먹거리 파동 시 서울시-지방도시 간 핫라인 설치(먹거리 SOS) - (대상) 서울시 공공급식시설, 농업산지(지방도시) - (내용) 농업산지와 연계한 공적 수급 및 배분(가격 폭등 또는 급락 시, 서울시 공공급식시설과 농업산지와 유기적 공급·소비 체계 구축) ○ 재난 시 먹거리 제공 기관 정보 시스템 마련 - 서울시민의 먹거리 비축 및 배분 현황 데이터 구축 ? 먹거리 비축(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먹거리 배분(주민센터, 복지관 등 공공시설) ※ 국가먹거리 종합전략 계획과 협의를 통한 조사 실시 - 시민이 먹거리 지원 기관 등 정보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앱) 기반 마련 ? 지역 내 먹거리 공급 기관 현황, 잔여 식품 목록 제시 등 - 식품 꾸러미 직거래 구매 사이트 및 앱 정보 제시 (2) 먹거리 비대면 지원 지침 마련 ① 공공기관 비대면 먹거리 지원 지침 개발 ○ (대상) 어르신, 어린이 및 아동 ○ (내용) 적정식단가 산출, 서비스 디자인 적용한 식단 구성 및 교육 도구 개발 ○ (방법) 공공급식제공 운영지침 반영, 모니터링 실시 ② 자가격리 식품키트 개발 ○ (대상) 성인, 어르신(저작곤란 등) ○ (내용) 대상·자가격리 기간 별 식품 구성안 마련 ○ (방법) 배달업체 MOU 체결, 음식점·시장·마켓 연계 키트 정보 제공 ③ 비대면 영양 맞춤 식단 제공 시스템 마련 ○ (대상) 공공급식시설 ○ (내용) 대상별 건강과 영양 상태를 고려한 식단가 맞춤 식품발주(IOT) ○ (방법) 시스템 업체, 식품유통업체와 MOU 추진 분야3 상생과 먹거리 경제 활성화 추 진 방 향 ? 공공급식 조달체계를 통한 도농상생 기반 구축 ? 공공급식의 이해확산을 위한 홍보 교육 강화 및 체험 확대 ? 지역 내 사회적 경제조직 공공급식 참여 독려 ?? 성과목표 성과지표 2021 2022 2023 2024 2025 공공급식센터 설치운영(참여 자치구 수) 13 16 18 20 22 ?? 세부사업 이행과제명 세부사업명 비고 7. 도농상생의 먹거리 기반(체계) 구축 (17) 공공급식 확대 및 공공조달체계 강화 계속 (18) 도농상생 교류 및 체험 확대 계속 8. 지역상생 먹거리경제 활성화 지원 (19) 먹거리 분야 사회적경제 활동 촉진 신규 3-7 도농상생의 먹거리 기반(체계) 구축 ?? 배경 및 필요성 ○ 공공급식에 건강한 식재료를 적정한 가격에 공급하는 “공적조달 직거래 유통체계” 마련으로 서울시민의 건강한 먹거리 환경 조성 ○ 지역 농특산물 판로지원, 도농교류 촉진 거점 운영 및 농부의 시장, 추석장터, 제휴기획전 등 다양한 직거래로 도농상생 실현 ?? 주요 세부사업 (1) 공공급식 확대 및 공공조달체계 강화 ① 직거래 유통체계 확립 ○ 자치구별 공공급식센터 설치·운영 - 산지 지자체와 자치구 간 1:1 매칭을 통한 건강한 식재료의 안정적 공급 ○ 공공급식사업 신규 자치구 및 시설 참여 유도 방안 마련 ○ 식재료의 안정적 판로 확보 및 건강한 먹거리 공급을 통한 도농상생 가치 실현 - 공공급식시설에서 소요 예상 품목 및 물량에 대해 산지에서 책임 생산 < 추진 체계 > 생산농가 공급 산지 기초지자체 지원 광역지자체 ?다품종 소량생산 농가 ?기획생산 농가 ?중소가족농 등 배려 ?식재료 생산 및 관리 ?식재료 안전성 검사 ?식재료 배송 ?기초지자체 추천 ?기초지자체 지원 배송 1:1매칭 MOU 공공급식시설 배송 자치구 (공공급식센터) 지원 서울시 ?식재료 주문 및 검수 ?식재료 집하 및 배송 ?안전성 표본검사 ?공공급식 총괄 ?예산 및 행정지원 ② 품질 및 안전성 관리 강화 ○ 친환경 식재료 사용비율 연차적 확대: 70%(’21년) → 75%(’25년) ○ 공공급식 식재료 품질·조달 기준 마련 및 이행 준수 - 건강한 식재료 공급 및 도농상생 가치실현을 위한 식재료 기준 마련 ○ 단계별 식재료 안전성 감사 강화로 공공급식 신뢰도 제고 ③ 민관협력(거버넌스) 체계 강화 ○ 민관이 참여하는 협력적 거버넌스 지속 운영 ○ 자치구, 산지와 협력적 거버넌스 운영으로 책임성 강화 (2) 도농상생 교류 및 체험 확대 ① 도농상생 실현을 위한 농특산물 판로지원 활성화 ○ 지역 농특산물 판매·홍보 등 도농교류 촉진 거점 공간인 ‘상생상회’ 운영 ○ 농산물 직거래 장터 운영을 통한 도농상생 문화 확산 - 온라인(11번가, 네이버 쇼핑라이브 등) 장터 병행 추진 ② 도농상생을 위한 교육·홍보 프로그램 활성화 ○ 공공급식 관계자와 수요자 대상 공공급식 먹거리 공감대 형성을 위한 교육 ○ 1:1 매칭 된 산지 기초 지자체와 서울시 자치구 간 자율적 교류·체험 ③ 지역 밀착형 홍보 실시 및 온라인 매체 활용 ○ 친환경 공공급식 참여시설에 인증현판 제공하여 참여 확대 도모 ○ 온라인 매체를 활용한 소통으로 도농상생 공공급식 인지도 향상 3-8 지역상생 먹거리 경제 활성화 지원 ?? 배경 및 필요성 ○ 코로나 19 및 HACCP 의무화 등으로 사회적경제조직의 먹거리 산업 및 청년 창업 여건 악화로 자생력 강화 위한 지원 확대 ○ 공공기관과의 협업체계를 통해 사회적경제조직의 먹거리 공급 및 판매를 촉진하는 지원체계 마련(공공급식, 로컬푸드 등) ?? 주요 세부사업 (1) 먹거리 기반 사회적경제 활동 촉진 ○ 지역사회 먹거리 활동 기관 소통 플랫폼 마련 - (조사) 먹거리 생산자ㆍ가공업자ㆍ유통자ㆍ소비자 및 먹거리 활동 등 현황 - (소통) 지역 내 먹거리 조직 연대를 위한 ‘서울 먹거리정보 포털’내 창구 마련 기후위기대응 사회적경제 식문화 네트워크(생태적 먹거리 소비-유통 활동) 확산 ○ 도시형 식품제조가공센터 시범 운영 - (방법) 서울시와 농림부 제휴 - (운영주체) 사회적경제조직, 청년기업 등 위탁 운영 - (내용) 소상공인의 식품제조가공업 시설 지원(HACCP인증), 생산된 제품의 수거검사를 통한 안전관리 강화 ○ 사회적경제조직, 식품제조가공센터 이용 소상공인 활동 지원 - (매뉴얼 개발) 공공조달 조달 품목기준 및 안전성 관리, 식품제조가공센터 활용안내서 - (교육) 식품의약품안전처, 농림축산식품부 연계, 매뉴얼 및 컨설팅 등 통한 안전관리 강화 분야4 먹거리 공동체로 소통 강화 추 진 방 향 ? 먹거리 공동체 생태계 조성을 위한 시설기반 마련 ? 먹거리 기반으로 지역사회통합 돌봄사업 확대 ?? 성과목표 지표명 2021 2022 2023 2024 2025 돌봄밥상 운영(개소) - - 4 8 15 ?? 세부사업 이행과제명 세부사업명 비고 9. 먹거리 공동체 생태계 조성 (20) 공유공간 네트워크 구축 및 활성화 확대 10. 먹거리 기반 지역사회 통합 돌봄사업 확대 (21) 지역사회 돌봄밥상 운영 확대 신규 4-9 먹거리 공동체 생태계 조성 ?? 배경 및 필요성 ○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공동체 공간 조성?지원 필요 ○ 마을공동체 회복을 통해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시?구 협력을 바탕으로 자치구 현장중심의 지속가능한 마을생태계 조성 ?? 주요 세부사업 (1) 공유공간 네트워크 구축 및 활성화 ○ 마을활력소 조성?운영 지원 및 공동체 공간 온라인플랫폼 ‘공간이음’ 운영 - 역량강화 컨설팅 및 공감 워크숍 지원, 마을활력소 BI보급, 공동체 공간 온라인 플랫폼 ‘공간이음’ 운영 ○ 자치구 중간지원조직 운영 지원, 마을공동체 공모사업 등 추진 - ‘사회문제 해결형’ 마을공동체 공모사업 유형에 먹거리 관련 활동을 신규 유형으로 반영하여 공모사업 추진(권장) - 마을공동체 중간조직, 마을넷 등 지역 자원을 통해 대시민 캠페인 전개 4-10 먹거리 기반 지역사회통합 돌봄사업 확대 ?? 배경 및 필요성 ○ 코로나 19여파로 먹거리 공적 조달 체계에서 소외된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안전망 구축 필요 ○ 먹거리 취약계층의 고립극복을 위해 돌봄서비스에 지역공동체 기반 먹거리 시스템을 결합한 프로그램으로 전환 필요 ?? 주요 세부사업 (1) 지역사회 돌봄밥상 운영 확대 ○ 1인가구, 독거노인 등 먹거리 취약계층의 잘못된 식습관 및 혼밥 문제 해결, 우울감, 고립감 등 극복을 위한 마을 공유부엌 등을 활용한 프로그램 운영 ○ 돌봄밥상 운영 매뉴얼 개발, 사업 수행기관에 운영 기술 지원 - 지역사회 통합돌봄 연계, 지역 및 국내산 식재료 활용 식사서비스 및 식생활교육 추진 ※ 식재료 공급 : 공공급식센터, 사회적경제조직, 청년 기업 등 먹거리 공공조달 체계 활용 ○ 조리시설 및 식사 공간 운영,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진행 - 식사제공 및 식사배달 서비스, 식생활 교육, 돌봄 대상자 먹거리 활동 참여 활성 ○ 조리 및 식사공간 등 장소 확보한 기관 선정 수행 구 분 기관, 인력 역 할 돌봄밥상 운영지원 서울시 사업설명, 예산배부, 식생활강사 파견 돌봄밥상 운영 운영자 교육일정 관리, 조리교육, 음식제공 등 ○ 돌봄밥상 운영: (’23년)4개소 → (’24년)8개소 → (‘25년)15개소 분야5 환경생태 친화 먹거리 지원 추 진 방 향 ? 도시농업 가치 확산을 통한 ‘생태도시 서울’ 만들기 ? 지속가능한 먹거리 환경 조성 ? 인간과 환경을 위한 먹거리 실천 방법 교육 및 홍보 ?? 성과목표 지표명 2021 2022 2023 2024 2025 도시농업 지원센터(개소, 누계) 7 12 16 20 25 포장재 없는 매장(개소, 누계) - 100 200 300 424 음식물쓰레기 발생량(톤) 2,800 2,786 2,772 2,758 2,744 ?? 세부사업 이행과제명 세부사업명 비고 11. 친환경 도시농업 활성화 (22) 도시농업 공간 확대 계속 (23) 도시농업 참여 활성화 계속 (24) 도시농업으로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 계속 12. 먹거리를 매개로 한 기후변화 대응체계 구축 (25) 일회용 포장용기 없는 매장 지원 및 확대 신규 (26)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 및 자원화 확대 (27) 잉여 신선식품 선순환 체계 구축 신규 13. 기후변화 대응 먹거리시민 실천 환경조성 (28) 환경을 위한 먹거리 실천 교육 확대 (29) 「지구건강식단」 운영을 위한 교육 및 캠페인 신규 5-11 친환경 도시농업 활성화 ?? 배경 및 필요성 ○ 도시농업 활동공간이 도시농업 인구 증가율 대비 부족 - 도시농업 활동인구: (’11년) 45천명→(’20년) 660천명(약 14배 증가) - 도시농업 활동공간: (’11년) 29ha→(’20년) 212ha(약 7.3배 증가) ○ 기후변화 등 도시 환경문제 대책수단으로 생태형 도시농업 역할 요구 ?? 주요 세부사업 (1) 도시농업 공간 확대 ① 도시농업 복합공간(텃밭플렉스) 조성: 4개소(권역별 1개소) 장 소 동부(강동구) 서부(강서구) 남부(관악구) 북부(중랑구) 규 모 건물 397m2 부지 1,000m2 건물 9,638m2 부지 11,817m2 건물 905m2 부지 1,223m2 건물 944m2 부지 3,798m2 개 관 ’18. 6월 ’23. 11월(예정) ’21. 5월 ’22. 10월(예정) ② 도시농업 실천 공간 확대 ○ 옥상텃밭·상자텃밭 등 도심속 생활권 텃밭 조성: 27.5ha(’21년)→32ha(’24년) ○ 서울근교에 친환경 농장 조성·운영 ③ 학교텃밭 활성화 ○ 초·중·고등학교, 대학교 자투리 및 옥상 공간 활용: 텃밭관리사가 방문 관리 ○ 원예프로그램(12회/학교) 운영(전문강사 학교별 1명 배치) (2) 도시농업 참여 활성화 ①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 ○ 온라인 지원: 서울농부포털(cityfarmer.seoul.go.kr) 운영 ○ 지원센터: 도시농업지원센터 설치 <7개소(’21년)→25개소(’25년)> ○ 공동체 지원: 5가구 이상 참여하는 공동체의 영농자재, 서적 등 필요경비 지원 ○ 홍보: 도시농업 박람회, 국제컨퍼런스 개최(온·오프라인 행사 추진) ② 서울시 도시농업위원회 운영으로 민·관 거버넌스 구축 (3) 도시농업으로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 ① 도시양봉 및 친환경농업 지원을 통한 생태계 다양성 보호 ○ 체험교육: 도시민 양봉교육, 친환경텃밭 체험프로그램, 어린이 자연체험학교 등 ○ 전문가 양성: 양봉, 곤충산업 등 도시농업 전문인력 육성 지원 ○ 안전성 검사: 벌꿀 규격검사 및 텃밭농산물 안전성 검사 지원 ② 농업자원을 활용한 치유프로그램 운영으로 정서적 안정 및 삶의 활력 도모 ○ 치유농업센터, 맞춤형 치유서비스 제공, 전문가 양성, 반려식물 보급 등 5-12 먹거리를 매개로 한 기후변화 대응 체계 구축 ?? 배경 및 필요성 ○ 1인 가구 및 포장·배달 증가에 따라 1회용품 발생량 증가 ○ 음식물 쓰레기는 수집·운반·처리과정에서 환경 및 경제적 문제 야기 - 폐기되는 음식물 가치 연간 20조원(전국), 처리비용 8천억원 이상(서울시 2천억원) ○ 먹거리 생산·가공·유통 과정에서 생태계에 부담을 주는 문제 발생 ?? 주요 세부사업 (1) 일회용 포장용기 없는 매장 지원 및 확대 ① 포장재 없는 매장(제로웨이스트) 확대 지원 ○ (대상) 친환경·유기농 식품 취급 장소(생협 등) ○ (내용) 다회용 포장재 사용, 원하는 양을 포장 없이 내용물만 구매 ○ (방법) 포장재 없는 매장 가능 업체와 협약 체결, 시설 설치비 지원 등 ② 다회용컵 대여 및 세척·회수 사업 ○ (대상) 세척시설을 구비하지 못한 방문포장 전용 카페 ○ (방법) 다회용컵 제작 및 보급 → 보증금 결제 후 다회용 컵에 음료 구매 → 사용후 참여 카페 반납→세척 후 재공급 ③ 일상에서 환경 친화적 소비 운동 전개 및 지원 (2)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 및 자원화 ①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 ’25년까지 13.7% 감량(’14년 대비) ○ 공동주택(아파트) RFID 종량기 보급 확대(’25년까지 공동주택 80% 설치) ○ 대형 감량기 구입 및 임차료 지원 ○ 음식점 및 다량배출사업장 등 대상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 컨설팅 ○ 시민 참여 홍보 및 캠페인을 통한 자발적 감량 유도 ②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 ’26년까지 음식물류 폐기물 공공처리시설 확충 가정내 발생현황 (’19년) 공공처리 용량 시설 확충 ? ’26년 처리용량 음식폐기물 2,122(톤/일) 1,123(톤/일) + 300 (톤/일) 1,423(톤/일) 음폐수 1,736(톤/일) 880(톤/일) 840 (톤/일) 1,720(톤/일) (3) 잉여 신선식품 선순환 체계 구축 ○ (개요) 활용되지 못하는 소비가능 잉여 신선식품을 필요한 수요처에 무상으로 제공하는 선순환체계를 구축하여 온실가스 저감화 등에 기여 ○ (목표) ① 온실가스 배출 및 매립비용 절감 등 환경오염 개선 ② 취약계층 일자리 등 신규 공공 일자리 창출 ③ 잉여 신선식품 등의 새활용을 통한 환경적·사회적 가치 창출 ○ (대상) 도매시장, 대형마트에서 활용되지 못하는 신선식품 ○ (내용) 신선식품 수집·선별 후, 필요한 수요처에 무상 제공 ○ (방법) 서울시(식품정책과, 도시농업과, 생활환경과, 자활지원과), 서울시 농수산식품공사, 도매시장 및 대형마트, 다양한 수요처 등과 협업체계 구축 5-13 기후변화 대응 먹거리시민 실천 환경조성 ?? 배경 및 필요성 ○ 지속가능한 식생활 실천역량 강화를 위한 시민 교육의 필요성 증가 - 가계 소비 범주 중 먹거리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큼(’16 생태발자국 조사결과) ○ 서울시 집단급식소에서 음식물류 폐기물이 하루에 186톤 발생 (출처: ’19년 서울시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량 및 처리현황 통계, 서울시 열린데이터 광장) ?? 주요 세부사업 (1) 환경을 위한 먹거리 실천 교육 ① 친환경급식 식생활교육 ○ 교육 콘텐츠 개발·배포, 학부모 강사단 양성·운영 및 지역사회 활동 활성화 ○ 학부모강사 파견으로 초, 중 학생 대상 찾아가는 식생활교육 ○ 영양(교)사, 학교장, 학부모 등 친환경 급식 관계자 전문 역량 강화 교육 ② 생애주기별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 운영 ○ 서울형 생애주기별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자치구, 기초환경교육센터에 제공 ○ 기초환경교육센터, 식생활 체험교육 공간(맛동)에서 교육프로그램 진행 - 서울형 생애주기별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 활용서 활용 ③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 환경을 위한 먹거리 교안 및 강의 영상 제작 ○ 서울시 먹거리전략 6대 가치를 반영한 강사구성 및 교안 제작 (2)「지구건강식단」운영을 위한 교육 및 캠페인 ①「지구건강식단」 운영을 위한 교육 및 지도자 커뮤니티 구성 ○ (대상) 서울시 관내 단체급식 영양사·조리사 등 ○ (내용) 교육 프로그램 제작 및 교육, 강사단(영양사·조리사) 양성하여 지도자 커뮤니티 구성 및 운영 ②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먹거리 캠페인 ○ (대상) 서울 시민 ○ (내용) 지구건강식단 소개, 환경과 건강을 위한 먹거리 선택 방법 홍보 분야6 특화과제 (1인 가구 먹거리 정책 및 식품안전 감시 시스템 강화) 추 진 방 향 ? 세대별 1인 가구 먹거리 문제와 행태에 따른 먹거리 정책 수립 ? 1인 가구의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 접근성 확대 ? 먹거리 감시 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시민에게 안전한 먹거리 제공 ?? 성과목표 지표명 2021 2022 2023 2024 2025 1인 가구 「착한먹거리 지원」 사업 참여 인원(명) 300 3,000 4,000 5,000 6,000 식품안전 감시 시스템 구축(식) - - - 1 - ?? 세부사업 이행과제명 세부사업명 비고 14. 서울시 1인 가구 먹거리 지원 체계 구축 (30) 1인 가구 먹거리 사각지대 발굴 및 지원 기반 마련 신규 (31) 1인 가구 착한 먹거리 지원 신규 (32) 1인 가구 건강 먹거리 섭취 실천 환경조성 신규 15. 선제적 먹거리 안전관리를 위한 감시 시스템 강화 (33) 식품단계별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전문 기능 확대 신규 (34) 먹거리 이슈 대응체계를 위한 위해물질 감시 시스템 기반 마련 신규 (35) 공무원 및 감시원 전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 소통 확대 6-14 서울시 1인 가구 먹거리 지원 체계구축 ?? 배경 및 필요성 ○ 서울시 1인 가구의 급속한 증가(‘20년 42.1%)로 1인 가구 먹거리문제 제기 - 1인 가구는 불규칙한 식생활, 부족한 영양 섭취 등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특히, 먹거리 취약계층(양적·질적으로 미보장된 계층)으로 지속적 먹거리사각지대 계층임 - 배달음식, 외식, 냉장/냉동(가공)식품, 간편식 증가로 영양불균형 증가 ○ 다양한 먹거리 환경, 식품시장 변화에 따른 세대별 1인 가구 먹거리 행태가 반영된 먹거리 정책 및 지원 요구 ?? 추진개요 ○ 근 거: 먹거리기본조례(제17조 먹거리지원 등), 1인 가구 지원 기본조례 ○ 대 상: 서울시 거주 및 생활권 1인가구 ○ 내 용 - 서울시 1인 가구 먹거리 취약계층 사각지대 발굴 및 지원기반 마련 - 1인 가구「착한 먹거리」지원 - 1인 가구 건강 먹거리 섭취 실천 환경조성 ?? 주요 세부사업 (1) 서울시 1인 가구 먹거리 사각지대 발굴 및 지원 기반 마련 ○ 1인 가구 먹거리취약계층 대상 현황 및 지원 실태조사 등 ○ 1인 가구 먹거리지원 계획 수립 및 사업 개발·추진체계 마련 - 1인 가구 먹거리지원 계획 자문위원회 구성·운영 및 시범사업 발굴, 실행계획 수립 - 1인 가구 먹거리 커뮤니티 중심의 지역 맞춤형 특화사업 개발 등 (2) 1인 가구「착한 먹거리」지원 사업 ① 1인 가구「착한 먹거리 꾸러미」지원 ○ (대상) 1인 가구 대상(청년, 중장년 남성 등으로 대상자 확대) ○ (내용) 1인 가구형 새활용 식재료(기부&지역 전통시장 구매)로 구성된 먹거리 꾸러미 지원 ○ (방법) - 지역 내 1인 가구 식재료 식품기부·지원 채널 구축(기업, 지역상권 연계) - 자치구 사회경제적망을 활용한 1인 건강 식재료 공동 나눔 구독서비스 지원 등 ② 1인 가구 대상 공유밥상(소셜다이닝) 프로그램 운영 및 지원 ○ (대상) 1인 가구 청년, 중장년 등 ○ (내용) 1인 가구 요리실습을 통해 타인과의 사회적 관계 형성 및 교류활성화 지원 ○ (방법) 1인 가구 공유 공간 중심, 1인 요리교실 및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운영 (3) 1인 가구 건강 먹거리 섭취 실천 환경조성 ① 함께해! 혼밥식당 및 반찬가게 육성 지원 ○ (대상) 1인 가구 밀집지역 내 식당 및 반찬가게(전통시장, 소상공인 등) ○ (내용) 1인 가구가 이용하기 쉬운 혼밥식당, 반찬가게 인증 및 육성 ○ (방법) 희망업소 신청 → 점검 → 인증 → 관리 ② 1인 가구 건강한 먹거리 가치 나눔 공유(냉장고, 자판기) 프로젝트 ○ (대상) 1인가구 밀집지역(대학가, 사회주택, 고시촌, 원룸촌 등) ○ (내용) 식재료 나눔과 채소·과일섭취 증가를 위한 먹거리 나눔 실천 환경조성 ○ (방법) 1인 가구 밀집지역 혹은 공유시설 내 냉장고 및 채소과일 자판기 설치 ③ 혼자만찬! 꾸러미 밥상 레시피·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확산 ○ (대상) 1인 가구 사업 참여 대상자 및 1인 가구 일반 시민 ○ (내용) 건강한 식재료를 이용한 1인 요리 레시피·교육프로그램 개발, 1인 가구 식생활 관리 자기역량 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인프라 연계 확산 ○ (방법) 서울시 식생활종합지원센터 중심 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환경조성 ④ 1인 가구 먹거리 나눔 실천 문화조성 홍보 및 캠페인 ○ (내용) 1인 가구 착한먹거리 지원 및 먹거리정보 교류의 장(場)을 통한 1인 가구 먹거리 중요성 인식 확대를 위한 홍보·캠페인 6-15 선제적 먹거리 안전관리를 위한 감시 시스템 강화 ?? 배경 및 필요성 ○ 원전오염수 해양방출 관련 수입산 수산물, 식중독균 검출 김치 등 위생안전과 시민불안 해소를 위한 예방적 시스템 필요 ○ 식품 수거 및 검사 결과 데이터의 체계적·과학적 관리 필요 ○ 식품안전 공무원 및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의 역량 강화를 통해 수준 높은 식품안전 서비스 제공 필요 ?? 주요 세부사업 (1) 식품단계별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전문 기능 확대 ○ 식품안전통합관리 TF 신설 등 조직 정비 - 식품안전 정책 기획 및 위해예방 감시 시스템 마련을 위한 안전통합관리 - 체계적인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식품안전정책의 선순환 실현 ① 조사 기획 - 유해물질관리대상 선정 및 감시프로그램 개발 - 표준 작업지침서 제작 ② 수거·검사 체계·전산화 - (수거) 각 센터, 자치구:농·수·축산물 및 가공식품 - (검사)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③ 통계·분석 - 유해물질 데이터베이스 생성 및 분석 : 위해식품정보 및 항목별 관리 DB 구축, 위해도 추이 등 - 데이터 기반한 기획점검 및 정책반영 ④ 모니터링 - 유해물질 데이터베이스 자료 모니터링 ⑤ 교육 및 소통 - (교육) 공무원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소통) 소식지 발송, 보도자료·동영상 제작 및 배포, 홈페이지 게시 등 ⑥ 정책반영, 계획수립 - 모니터링 및 전문가 의견 수렴 - 유기적 대응을 위한 계획 수립 (2) 먹거리 이슈 대응체계를 위한 위해물질 감시 시스템 구축 ① 위험요소 사전 차단 등 선제적 대응을 위한 먹거리 관련 통계 시스템 개발 ○ 통계자료의 실시간 업데이트를 통한 분산된 정보의 종합적 데이터 제공 ○ 수거 시 바코드 입력 등 전산화 도입, 식품 샘플링 방법 등 표준작업지침서 제작 ○ 식품 중 위해물질로 인한 노출량 평가 체계 마련 ② 통합식품안전전보망 데이터 활용 자료 통계분석 등 리포트 제작 ③ 식생활 건강이슈 관리를 위한 식품안전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구성·운영 ○ (구성) 전문가, 전문 학회, 시민단체, 정책수행자 등 ○ (방법) 시민소통위원회와 먹거리 거버넌스 연계 유기적 대응체계 구축 ○ (내용) 수입식품 방사능 불안 등 식생활 이슈 언론 모니터링 및 진단 (3) 공무원 및 감시원 전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 소통 ① 대규모 식품사고 신속대응을 위한 현장조치 모의훈련 강화 ○ (대상)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25개 자치구 등 ○ (방법)「식품사고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에 의한 신속대응 훈련(반기 1회) ○ (내용) 식품사고 다빈도 사례 위주의 가상 시나리오 상황설정, 현장조치 능력 확보 ② 공무원 전문성 역량강화를 위한 먹거리 공공 아카데미 운영 ○ (대상) 서울시 및 자치구 식품위생공무원, 보건환경연구원, 민생사법경찰단 ○ (방법) 외부 전문업체 위탁, 인재개발원 강좌 연계 등 ○ (내용) 기초, 심화, 법정 필수 교육을 이론과 현장 방문, 실습으로 구성 ③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역량강화 교육 ○ (대상) 서울시 및 자치구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 (방법) 식품안전 전문 업체 위탁 등 ○ (내용) 국내외 식품정책 이론 및 식품 업종별 수거·점검 실습 교육 분야7 통합 먹거리 정책 기반 마련 추 진 방 향 ? 다양한 서울시 먹거리 거버넌스 활성화 및 연대체계 강화 ? 서울시 먹거리정책(전략) 통합실행 체계 마련으로 실행 강화 ? 서울시민의 먹거리 보장 달성을 위한 제도마련 ? 국제기구 참여 및 논의를 통한 국제협력 강화 ?? 성과목표 지표명 2021 2022 2023 2024 2025 먹거리 시민위원회 운영 활성화 (건수) 45 50 55 55 60 서울시 먹거리기본계획 성과평가(회) 1 1 1 1 1 밀라노협약 및 국제협력 활동(건) 10 13 16 18 22 ?? 세부사업 이행과제명 세부사업명 비고 16. 먹거리 거버넌스 강화 (36) 먹거리시민위원회 운영 활성화 및 협력체계 강화 확대 (37) 서울시-자치구 먹거리 거버넌스 및 정책 추진 지원 신규 17. 먹거리 정책 통합 추진 및 평가체계 구축 (38) 먹거리 정책 통합추진 전담 조직 기반 마련 신규 (39) 이행관리를 위한 평가체계 구축 확대 (40) 먹거리 보장 기준 수립 및 추진 신규 18. 먹거리 국제 협력 체계 강화 (41) 밀라노협약 참여 확대로 먹거리 국제협력 주도 확대 (42) 서울 도시먹거리 국제컨퍼런스 개최 확대 (43) 해외 먹거리 정책 우수사례 빌굴 및 활용 신규 19. 서울 먹거리 정보 관리체계 구축 (44) 서울시 먹거리 통계 조사 및 지표 개발 확대 (45) 서울 먹거리 통합정보(FTI, Food Total Information) 고도화 확대 7-16 먹거리 거버넌스 강화 ?? 배경 및 필요성 ○ 서울 먹거리 전략 2030 추진을 위한 시민참여 거버넌스 필요 ○ 먹거리정책 수립·통합적 추진을 위한 자치구 제도 및 근거기반 마련 필요 ○ 서울시-의회, 서울시-자치구 등 다양한 형태의 거버넌스 활성화 및 지원정책 필요 ?? 주요 세부사업 (1) 먹거리시민위원회 운영 활성화 및 협력체계 강화 ① 서울시 먹거리시민위원회 운영 및 활성화 ○ 정기회의(상·하반기), 기획조정위원회 및 분과위원회, 정책별 TF 운영 등 ○ 먹거리 정책 수립·실행 시 영역별 정책 제안 및 사업별 자문·모니터링 ② 다양한 서울시 먹거리 정책 활동가로 시정활동 참여 및 연대 지원 ○ 서울시·자치구·시민 간 통합적 먹거리 정책 추진 및 시민 참여 소통의 장(場)마련 ○ 지속가능한 먹거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도시연대 및 국제교류 정책 참여 ③ 먹거리시민위원회 연대 협력체계 강화 ○ 시의회·시민위원회 주요 먹거리정책 추진을 위한 전략적 논의체계 구성 및 진행 ○ 서울시·광역지자체간 주요 먹거리정책 연대·협력 추진을 위한 논의체계 마련 (2) 서울시-자치구 먹거리 거버넌스 및 정책 추진 지원 ① 자치구 먹거리정책 추진 및 시정참여 활성화 지원 ○ 자치구 먹거리 기본조례, 거버넌스, 기본계획 관련 현황조사 및 지침개발·제공 ○ 서울시·자치구 통합적 먹거리정책 추진과 기반마련을 위한 설명회, 교육 등 진행 ○ 서울시 먹거리 5개년 기본계획 통합적 추진 자치구별 인센티브 제공 ② 서울시-자치구 먹거리정책 추진을 위한 거버넌스 협력체계 지원 ○ 서울시·자치구 먹거리 거버넌스 네트워크 구성 및 운영 ○ 먹거리 정책 자원 개발 지원, 우수 사례 공유, 먹거리 시정 참여 홍보 7-17 먹거리정책 통합추진 및 평가체계 구축 ?? 배경 및 필요성 ○ 다양한 영역의 먹거리 정책 통합조정 및 연계 실행을 위한 유기적 지원 미흡 ○ 서울시 먹거리 5개년 기본계획의 성과 및 개선점을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추후 정책수립 시 전략적 반영 필요 ?? 주요 세부사업 (1) 먹거리 정책 통합추진 전담 조직 기반 마련 ○ (1단계) 먹거리 분야별 정책 실행을 위한 지원 조직체계 기반 마련 - 먹거리 정책의 통합적 추진을 위한 조직 역할 및 기능 정립을 위한 타당성 검토 - 통합적 관점의 먹거리 정책 실행 및 지원을 위한 조직 기반 마련(조례 개정, 계획 수립 등) ○ (2단계) 먹거리 정책 전담과 신설 - 부서별 진행되는 먹거리 정책 총괄·조율하는 컨트롤타워 및 통합추진 지원 - 다변화 하는 먹거리 분야별 정책추진 및 국제적 먹거리 정책 참여와 협력체계 추진 - 효율적 정책 추진을 위한 다양한 기관별 협력 체계 구축 및 거버넌스 운영 - 먹거리 생산·유통·소비 단계별 선순환 실행을 위한 지원 및 통합 관리 (2) 이행관리를 위한 평가체계 구축 ○ 정책추진 평가단 구성 및 운영 ○ 성과지표중심의 이행관리 및 연간 세부실행계획 수립 및 평가 ○ 먹거리 5개년 종합계획 최종 평가 (3) 먹거리보장 기준 수립 및 추진 ○ 서울시민 먹거리 보장 기준 제시 및 성과목표 도출 ○ 사회적 합의 및 공감대 형성을 위한 공청회 개최 및 정책보완 ○ 성과목표 달성을 위한 세부지침 마련 및 모니터링 실시 7-18 먹거리 국제 협력 체계 강화 ?? 배경 및 필요성 ○ 기후위기 및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지속가능한 먹거리체계 구축을 위한 국제적 차원의 협력 필요 ○ 해외 먹거리 우수정책 발굴로 국제수준에 맞는 먹거리정책 개발ㆍ시행 필요 ?? 주요 세부사업 (1) 밀라노협약 참여 확대로 먹거리 국제협력 주도 ○ 밀라노 도시먹거리정책협약(MUFPP) 아시아·태평양 대표 운영위원회 참여 ○ MUFPP 글로벌포럼 및 지역 웨비나 참여 및 개최 - 전 세계 211개 협약도시 및 국제기구 참여 - 지속가능한 먹거리체계 구축 및 발전방안 토의, 관련 기관 회담, 밀라노 협약상 시상 등 ○ 밀라노 협약상(‘Milan Pact Awards’) 및 서울시 우수사례 자료 제출 ○ 제11차(‘25년) 밀라노도시먹거리정책 협약 글로벌포럼 개최 추진 - 글로벌포럼 준비를 위한 협의체 구성 및 추진 - MUFPP사무국 등과 협의하여 포럼 개최 확정(’24년) (2) 서울 도시먹거리 국제컨퍼런스 개최 ○ 국제사회 먹거리 동향파악 및 공유·협력을 위한 국제컨퍼런스 개최(연도별1회) - 매년 10월 해외협력도시, 국제기구 관계자, 먹거리 전문가 등 참가 - ‘밀라노 도시먹거리정책 협약’을 기반으로 한 도시간 정책토론 및 네트워킹 - 지속가능한 먹거리체계구축 토론, 최신동향 등 다양한 세션 구성 및 연사 초빙 ○ 서울시 도시먹거리 국제컨퍼런스의 관련 동영상 제작 (3) 해외 먹거리정책 우수사례 발굴 및 활용 ○ 지역별?분야별 해외 먹거리정책 우수정책 조사(연도별 5건) - 북미, 유럽, 아시아, 대양주(호주) 등 지역별 현황 - 지속가능한 식습관과 영양, 사회적·경제적 형평성, 먹거리생산, 먹거리 공급과 유통, 음식물 쓰레기 등 분야별 현황 ○ 적용 가능한 우수시책 발굴하여 정책제안 및 시 홈페이지 활용 자료제공 7-19 서울 먹거리정보 관리체계 구축 ?? 배경 및 필요성 ○ 서울시의 특성을 반영한 시민의 먹거리 실태 및 식품안전 DB구축 등 데이터 기반의 먹거리 정책 전환 필요 ○ 서울시 먹거리 정보를 한 곳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정보 매체 필요 ?? 주요 세부사업 (1) 서울시 먹거리 통계조사 및 지표 개발 ① 서울시 먹거리 지표 개발 ○ (방법) 서울시 먹거리시민위원회 TF 연계, 먹거리기본조례 시행규칙 마련 ○ (내용) 먹거리 이해력, 좋은 먹거리(굿푸드), 식품안전지수 등 ② 서울시 먹거리 통계조사 ○ (방법) 먹거리시민위원회 협의, 방문 면접 조사(전문 조사 기관 용역) ○ (내용) 6대가치 분야별 조사, 식문화트렌드, 서울시(민) 먹거리 수준 등 ○ (활용) 먹거리 취약집단 확인 및 반영, 정책 평가, 대 시민 정보공개 ③ C40 ‘지구건강식단’ 실천 모니터링 및 관리 (2) 서울 먹거리 통합정보(FTI, Food Total Information) 고도화 ① 서울 먹거리 정보 포털 운영 ○ 기존 단순정보제공에서 온라인 소통창구(먹거리활동, 교육, 토론회 등) 마련 ○ 서울시 먹거리 통계 데이터 구축 및 시각화, 시계열ㆍ계층별 현황을 시민 공개 ○ 먹거리 인프라 정보 접근성 확보 위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 먹거리 인프라 : 친환경 먹거리 판매소, 건강음식점, 마을부엌, 식생활교육 공간, 재난 시 식품지원 네트워크 등 ②「식품안전관리시스템」개발 ○ 농수축산물 등 수거검사 자료 축적 및 피드백을 통한 과학적 감시체계 구축 ○ 유해물질 노출량 평가를 통한 건강영향분석, 연도별 추이 파악으로 건강위해물질 관리 정책 기반 자료 생성 Ⅴ. 이행관리 1 관리계획 ?? 먹거리 5개년 계획 이행점검을 위한 평가단 구성 ○ 구성: 먹거리시민위원회, 외부전문가, 내부공무원 등 ○ 운영: 연1회 ○ 역할: 계획 이행성과 및 지표 달성 점검, 평가내용 환류를 통한 차기 계획수립 지원 ○ 내용 평가영역 및 내용 구조 과정 결과 평가방법 평가주체 - 기본계획 목표설정의 적절성 대표성 ● 정량/정성 내ㆍ외부(전문가) - 참여인력, 예산 등 투입의 적절성 ● 정량/정성 내ㆍ외부(전문가) - 기본계획 수립과 관련된 거버넌스 ● ● 정성 내ㆍ외부(전문가) - 기본계획 추진과정 적절성 ? 모니터링 체계의 적절성 및 결과 환류 ● ● 정성/정량 내ㆍ외부(전문가) 최종목표 달성여부 평가 ● ● 정량/정성 내ㆍ외부(전문가) ??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 영역별 성과지표 및 달성목표를 설정하고 단계별 이행정도 평가 및 관리 ○ 기존 먹거리 관련 통계자료 활용 및 신규 지표에 대한 자료 수집방안 마련 ?? 년간 세부실행계획 수립 및 평가 ○ 먹거리 5개년 기본계획에 근거하여 연차별 실행계획 수립 ○ 매년 추진실적을 점검·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계획에 반영 ?? 먹거리 5개년 기본계획 최종평가 ○ 평가시기 : 2025. 12월. ○ 평가내용 : 먹거리 5개년 기본계획 이행 전반에 대한 점검 - 먹거리 5개년 계획 추진 전 과정에 대한 모니터링 및 최종성과 달성정도 - 먹거리전략 2030 2차 5개년(’26~’30)계획 수립관련 정책 및 사업제안 2 성과지표 연번 정책과제 성과지표 목표치 ’21 ’22 ’23 ’24 ’25 1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 환경조성 만성질환 어르신 영양관리 (명) 2,400 3,200 4,000 4,000 4,000 2 찾아가는 어린이 미각형성교육 (개소) 200 400 450 500 500 3 어린이 급식소 등록관리 (개소) 4,900 5,100 5,300 5,500 5,700 4 식품수거검사 (건수) 20,850 21,393 21,436 21,480 21,524 5 서울 시민 먹거리보장 확대 친환경유통센터 이용 학교 (개소) 1,030 1,080 1,130 1,180 1,230 6 결식 아동 지원 인원 (명) 30,000 30,500 31,000 31,500 32,000 7 어르신 급식 지원 인원 (명) 29,500 30,000 31,000 32,000 33,000 8 재난상황별 위기대응 시스템 마련 (식) 1 1 2 2 1 9 상생과 먹거리 경제 활성화 공공급식센터 설치운영 (참여 자치구 수) 13 16 18 20 22 10 먹거리 공동체로 소통 강화 돌봄밥상 운영 (개소) - - 4 8 15 11 환경생태 친화 먹거리 지원 도시농업 지원센터 (개소, 누계) 7 12 16 20 25 12 포장재 없는 매장 (개소, 누계) - 100 200 300 424 13 음식물쓰레기 발생량 (톤) 2,800 2,786 2,772 2,758 2,744 14 1인가구 먹거리 정책 및 식품안전시스템 강화 1인 가구 「착한먹거리 지원」 사업 참여 인원 (명) 300 3,000 4,000 5,000 6,000 15 식품안전 감시 시스템 구축 (식) - - - 1 - 16 통합 먹거리 정책 기반 마련 먹거리 시민위원회 운영 활성화 (건수) 45 50 55 55 60 17 서울시 먹거리기본계획 성과평가 (회) 1 1 1 1 1 18 밀라노협약 및 국제협력 활동 (건) 10 13 16 18 22 Ⅵ. 소요예산 (단위:백만원) 사 업 명 총 계 ’21 ’22 ’23 ’24 ’25 계 1,982,030 330,865 370,481 417,806 430,376 432,502 ①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 환경조성 87,442 15,843 16,613 17,555 18,278 19,153 1. 먹거리 기반 시민건강증진 12,715 2,300 2,423 2,574 2,604 2,814 2. 생애주기 맞춤형 식생활 실천 환경조성 3,450 620 620 700 730 780 3. 먹거리 안전관리 강화 71,277 12,923 13,570 14,281 14,944 15,559 ② 서울시민 먹거리 보장 확대 1,600,495 280,137 296,565 306,890 353,340 363,563 4. 서울시민 먹거리 보장을 위한 지원 강화 1,288,562 223,584 237,535 244,690 287,590 295,163 5. 생애주기별 질적 먹거리 충족을 위한 먹거리 전달체계 개편 311,048 56,468 58,980 62,100 65,200 68,300 6. 재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먹거리 지원 시스템 구축 885 85 50 100 550 100 ③ 상생과 먹거리 경제 활성화 111,429 11,627 19,895 23,839 26,545 29,523 7. 도농상생 먹거리 기반(체계) 구축 110,679 11,627 19,895 23,789 26,345 29,023 8. 지역상생 먹거리경제 활성화 지원 750 0 0 50 200 500 ④ 먹거리 공동체로 소통 강화 51,128 9,218 9,218 10,458 10,488 11,746 9. 먹거리 공동체 생태계 조성 50,693 9,218 9,218 10,368 10,368 11,521 10. 먹거리 기반 지역사회 통합 돌봄사업 확대 435 0 0 90 120 225 ⑤ 환경생태 친화 먹거리 지원 126,145 13,539 27,490 57,914 20,440 6,762 11. 친환경 도시농업 활성화 13,614 3,804 3,565 3,285 1,405 1,555 12. 먹거리를 매개로 한 기후변화 대응체계 구축 111,137 9,603 23,687 54,221 18,727 4,899 13. 기후변화 대응 먹거리시민 실천 환경조성 1,294 132 238 308 308 308 ⑥ 1인가구 먹거리 정책 및 식품안전 감시시스템 강화 1,145 55 130 150 435 375 14. 서울시 1인가구 먹거리 지원 체계 구축 370 0 60 70 100 140 15. 선제적 먹거리 안전관리를 위한 감시 시스템 강화 775 55 70 80 335 235 ⑦ 통합 먹거리 정책 기반 마련 4,346 446 570 1,100 850 1,380 16. 먹거리 거버넌스 강화 1,110 180 180 240 250 260 17. 먹거리정책 통합추진 및 평가체계 구축 160 0 20 90 30 20 18. 먹거리 국제 협력체계 강화 1,275 65 130 150 200 730 19. 서울 먹거리 정보 관리체계 구축 1,801 201 240 620 370 370
23869475
20211013060007
본청
식품정책과-22880
D0000043784439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정보
기관명 | 서울시 | 부서명 | 시민건강국 식품정책과 |
---|---|---|---|
문서번호 | 식품정책과-22880 | 생산일자 | 2021-10-12 |
공개구분 | 부분공개 | 보존기간 | 10년 |
작성자(전화번호) | 정희선 (02-2133-4709) | 관리번호 | D0000043784439 |
분류정보 | 건강 > 식품안전 > 식품위생정책및운영 > 식품안전기획및추진 > 건강서울먹거리전략추진같은 분류 문서보기 | ||
이용조건 |
관련문서
-
등록일 : 2022-01-04 부서 : 시민건강국 식품정책과
-
등록일 : 2017-09-07 부서 : 시민건강국 식품정책과
-
등록일 : 2020-10-12 부서 : 시민건강국 식품정책과
-
등록일 : 2017-07-05 부서 : 시민건강국 보건의료정책과
라이브리 소셜 공유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