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21년 R&D 지원 기본계획

문서번호 경제정책과-1345 결재일자 2021. 1. 26. 공개여부 부분공개(5) 방침번호 시 민 주무관 산학협력팀장 경제정책과장 경제일자리기획관 경제정책실장 이영민 박지은 정영준 박대우 01/26 김의승 협 조 투자창업과장 송광남 캠퍼스타운활성화과장 임지훈 산업거점활성화반장 한정훈 산업거점조성반장 송종훈 도시제조업거점반장 안형준 ’21년 R&D 지원 기본계획 2021. 1. 경제정책실 (경제정책과) 목 차 Ⅰ 국내외 경제환경 1 Ⅱ 사업개요 및 추진방향 3 Ⅲ ’21년 사업 지원개요 4 Ⅳ 세부사업 추진계획 5 <기술상용화 지원> 7 ① 중소기업 기술상용화 지원 사업 8 ② 성장단계 기업의 스케일업을 위한 글로벌 기술사업화 R&D 지원 11 ③ 캠퍼스타운 기술매칭 사업 14 <거점 지역(클러스터) R&D 지원> 17 홍릉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바이오·의료 기술사업화 R&D 지원 18 양재 인공지능(AI)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R&D 지원 21 G밸리 내 산업 간 융 ? 복합을 위한 기업 R&D 지원 23 동대문상권 활성화 위한 프로젝트 지원 25 <챌린지·테스트베드 지원> 27 ⑧ 혁신기술 공공 테스트베드 제공 28 ⑨ 국내·외 대상「서울글로벌챌린지」개최 31 국내 대상「서울혁신챌린지」개최 33 <비대면산업 R&D 지원> 35 방역·의료기기 우수기술 사업화 R&D 지원 36 포스트 코로나 특화 AI 기술개발 지원 38 비대면 금융생활 수요를 반영한 핀테크 기술개발 지원 39 블록체인 스타트업 기술 사업화 지원 40 <기술개발 교류촉진> 41 재외한인과학자 학술 포럼 개최 지원 42 <정부 R&D 협력> 44 정부 지원 대응 투자 45 Ⅴ R&D 과제관리 47 Ⅵ 행 정 사 항 48 참고 : ’20년 사업결과 ’21년 R&D 지원 기본 계획 중소·벤처·창업기업 중심 R&D 지원을 통해 서울의 새로운 일자리와 시장을 창출하기 위해 ‘21년 R&D 지원 기본계획을 수립·시행하고자 함 Ⅰ 국내외 경제환경 ?? 국내 경제환경 ○ 코로나19 영향으로 경제활동이 위축되어 ’20년 ?1.1% 성장 전망 - 코로나 확산세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가 반복되면서 민간소비 위축 ○ R&D 분야는 경기 불확실성 속에서도 불구, 투자 확대추세 유지 - 정부부문은 R&D예산 확대 등에 힘입어 투자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민간부문 또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음 ?? 주요국 R&D관련 정책동향 ○ (미국) 바이든 신정부는 환경·산업정책 개편을 주요 공약으로 제시 - 친환경 에너지 육성 및 저탄소 경제 전환 가속화 등을 위한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고, 5G·AI·바이오 등 혁신기술 및 R&D 투자 확대 ○ (EU) 그린 및 디지털 경제 가속화를 중심으로 한 성장전략 병행 - 유럽 그린딜 추진계획(’20.1), 디지털 전략(‘20.2) 등을 통해 데이터·AI 산업 육성을 지원하는 한편, 디지털 시장에서의 소비자 보호 추진 ○ (일본) 스가 정부는 경제·사회 전반의 디지털화 및 2050 탄소중립 등 추진 - IoT, AI 등 신산업 육성 등 ‘디지털화’를 국가 중점 추진과제로 선정 ?? ’21년 국내 R&D 투자전망 ○ 신산업 분야에의 정부의 적극적 재정투입 및 정책지원에 힘입어 증가세 지속 - 정부 R&D 예산은 한국판 뉴딜, BIG3(시스템반도체·미래차·바이오헬스), 소재·부품·장비 지원 등을 중심으로 큰 폭 확대 ※ R&D예산(조원) : 19.7(‘18) → 20.5(‘19) → 24.2(‘20) → 27.4(‘21) - 민간 R&D는 차세대 성장동력 발굴노력 강화, 신성장기술 세제혜택 확대, 기술창업 확대 등에 힘입어 양호한 흐름 예상 ○ 재택근무·원격회의 등 비대면 수요 확대, 공공 정보시스템 디지털화 등의 사유로 기업들의 클라우드 관련 SW 투자의 증가세 확대 예상 ? (’21년 전망) 한국판 뉴딜 등에 대한 정부 R&D 투자 및 비대면 관련 SW 투자 확대 등에 힘입어 3.8% 증가 전망 Ⅱ 사업개요 및 추진방향 ?? 추진근거 ○ 국가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지원 특별법(제10조, 제17조) ○ 서울시 전략산업육성 및 기업지원에 관한 조례(제9조, 제15조, 제17조, 제20조) ?? ’21년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서울 소재 기업, 대학, 연구소?병원(산?학?연(병) 간 컨소시엄 가능) ○ 추진방식 : 민간위탁(서울산업진흥원) ○ ’21년 사업비 : 총 40,561백만원 - 서울형 R&D 지원 : 38,233백만원(사업비 34,656백만원, 운영비 3,577백만원) ※ 서울글로벌챌린지 시상금(기타보상금) 700백만원 별도 - 공동협력 기술개발 지원 : 2,328백만원(사업비 2,273백만원, 운영비 55백만원) <20년 주요성과> ○ 435억원을 지원해 534개 과제 지원 및 613개 기업이 수혜 - 968억원의 매출유발과 585명의 고용 창출효과 발생함 - 매출은 전년대비 20.6%, 일자리는 43% 증가한 성과 ’20년 예산 지원된 과제 및 ’20년 이전에 예산지원 되고 ’20년에 기술개발 완료된 과제 및 지원기업 수가 포함됨 ○ 중소·벤처·창업기업 기술상용화 지원 확대(’19년 50억 → ’20년 77억) - 173개 과제 선정, 수시지원 체계 구축하여 과제별 지원 예산 확대 및 전년(141개 과제) 대비 22.7% 수혜 과제 증가 ○ 신성장산업 주요거점 기반 기업들의 R&D를 지원해 기술사업화 촉진 - 양재(AI)·홍릉(Bio)·G밸리(ICT)·동대문(패션) 52개 과제 127억원 ○ 코로나19로 인해 수요가 증가한 비대면산업 분야 R&D 지원 - 방역의료, 인공지능, 핀테크, 블록체인 분야 32개 과제 49억원 ○ 지원받은 기업들의 R&D 결과가 각종 논문발표, 특허 출원으로 이어짐 - 논문발표 13건, 학술발표 35건, 수상 및 인증 68건 - 특허출원 72건, 특허등록 24건 ?? ’21년도 추진방향 ○ R&D 우수과제와 혁신성장펀드의 투자를 연계해 기업 지원효과 극대화 - 최종평가 결과 ‘성공’ 과제 중 상위 20% 고득점 과제를 투자유치 유망기업 선정 - 연간 20개 기업(반기별 10개)에 혁신성장펀드 투자지원협의체 대상 IR기회 제공 ○ 비대면산업 분야 기술개발을 지원해 코로나위기 극복을 위한 산업생태계 조성 - 코로나19 이후 경제환경 변화 극복을 위한 서울기업의 신성장동력 확보 ○ 서울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중소?벤처?창업기업 중심 기술개발 지속 지원 - 코로나19로 중소·벤처·창업기업이 재정적 어려움을 겪는 것을 고려하여 과제 선정절차를 신속히 완료함으로써 조기에 자금 지원 Ⅲ ’21년 사업 지원개요 분 야 단 위 사 업 ’20년 지원결과 ’21년 지원계획 기술 상용화 지원 중소기업 기술상용화 지원 사업 크라우드펀딩 후 오프라인 유통 연계 크라우드펀딩 후 온라인 유통 연계 성장단계 기업의 스케일업을 위한 글로벌 기술사업화 R&D 지원 - 신규사업 캠퍼스타운 기술매칭 사업 생활밀착, 틈새시장 공략형 18개 과제 선정 ‘접수후매칭 ⇒ 상시 매칭’ 절차개선 및 8개 과제 선정 거점지역 R&D 지원 홍릉 클러스터 조성 바이오·의료 R&D 57억원 지원 (12개 계속+ 11개 신규) 46억원 지원 (9개 계속+ 11개 신규) 양재 인공지능 클러스터 조성 R&D 12개 과제 31억원 10개 과제 30억원 G밸리 내 산업 간 융· 복합 R&D 10개 과제 19억원 8개 과제 16억원 동대문상권 활성화 위한 프로젝트 7개 과제 19억원 6개 과제 16억원 챌린지· 테스트베드 지원 테스트베드 서울 실증지원 40개 과제 120억원 30개 과제 95억원 서울글로벌챌린지 개최 아이디어 모집 및 시상(6억원) 시제품 개발(8억원) 및 시상(7억원) 서울혁신챌린지 개최 48개 과제 26억원 41개 과제 21억원 비대면 산업 R&D지원 방역·의료기기 우수기술 사업화 R&D 지원 9개 과제 17억원 10개 과제 20억원 포스트 코로나 특화 AI 기술개발 지원 ※ ’20년 20억원은 본예산 R&D 공모사업비 잔액을 활용해서 당초 예산보다 많이 지원됨 8개 과제 20억원 4개 과제 7억원 비대면 금융생활 수요를 반영한 핀테크 기술개발 지원 8개 과제 8억원 4개 과제 8억원 블록체인 스타트업 기술사업화 지원 7개 과제 4억원 3개 과제 6억원 기술개발 교류촉진 재외한인과학자 학술 포럼 개최 지원 전문가 토론회 + 기업 피칭기회 제공 전문가 토론회 + 기업 피칭기회 제공 Ⅳ 세부사업 추진계획 1 정책목표 및 추진과제 목표 서울경제 활성화 및 시민 체감 삶의 질 향상 목적 중소?벤처?창업기업 중심 R&D지원으로 서울의 새로운 일자리?시장 창출 지원 분야 및 과제 지 원 분 야 추진과제(단위사업) Ⅰ. 기술상용화 지원 ?? 중소기업 기술상용화 지원 사업 - 공개평가(C&D), 크라우드펀딩(L&D) ?? 성장단계 기업의 스케일업을 위한 글로벌 기술사업화 R&D 지원 ?? 캠퍼스타운 기술매칭 사업 Ⅱ. 거점 지역(클러스터) R&D 지원 ?? 홍릉 클러스터 조성 바이오·의료 R&D 지원 ?? 양재 인공지능(AI) 클러스터 조성 R&D 지원 ?? G밸리 내 산업 간 융 ? 복합 기업 R&D 지원 ?? 동대문상권 활성화 위한 프로젝트 지원 Ⅲ. 챌린지·테스트베드 지원 ?? 혁신기술 공공 테스트베드 제공(L&D) ?? 서울글로벌챌린지 개최(Open Innovation) ?? 서울혁신챌린지 개최(Open Innovation) Ⅳ. 비대면산업 R&D 지원 ?? 방역의료기기 기술사업화 지원 ?? 포스트 코로나 특화 AI 기술사업화 지원 ?? 핀테크 기술사업화 지원 ?? 블록체인 스타트업 기술사업화 지원 Ⅴ. 기술개발 교류촉진 ?? 재외한인과학자 학술 포럼 개최 지원 Ⅵ. 정부 R&D 협력 ?? 정부지원 대응투자 2 2021년도 사업예산 【서울시비 지원 사업】 (단위 : 백만원) 분 야 단 위 사 업 2020년 2021년 비 고 계속 신규 예산 집행액 계속 신규 예산액 총 계 28 340 47,392 22 254 38,288 기술상용화 지원 소계 -  203 10,631 - 130 7,260 중소기업 기술상용화 지원 사업 - 173 7,661 - 120 5,960 크라우드펀딩형 공개평가형 성장단계 기업의 스케일업을 위한 글로벌 기술사업화 R&D 지원 - 12 1,170 - 2 500 ’20년 창업지원시설 입주기업 R&D 사업변경 캠퍼스타운 기술매칭 사업 - 18 1,800 - 8 800 거점 지역 R&D 지원 소계 12 40 12,511 9 35 10,820 홍릉 클러스터 조성 바이오·의료 R&D 12 11 5,674 9 11 4,640 양재 인공지능 클러스터 조성 R&D - 12 3,124 - 10 2,980 G밸리 내 산업 간 융· 복합 R&D - 10 1,776 - 8 1,600 동대문상권 활성화 위한 프로젝트 - 7 1,937 - 6 1,600 챌린지· 테스트베드 지원 소계 16 65 15,523 13 68 12,412 테스트베드 서울 실증지원 - 33 12,883 - 30 9,500 서울글로벌챌린지 개최 - - - - 10 800 기타보상금 700백만원 별도 서울혁신챌린지 개최 16 32 2,640 13 28 2,112 비대면 산업 R&D 지원 소계 - 32 4,864 - 21 4,100 방역의료기기 기술사업화 지원 - 9 1,716 - 10 2,000 포스트 코로나 특화 AI 기술사업화 지원 - 8 1,959 - 4 700 핀테크 기술사업화 지원 - 8 775 - 4 800 블록체인 스타트업 기술사업화 지원 - 7 414 - 3 600 기술개발 교류촉진 재외한인과학자 학술 포럼 개최 지원 - - 30 - - 64 非 과제형 사업 과제관리 / 운영비 서울형 R&D 지원 - - 4,001 - - 3,577 공동협력 기술개발 지원 - - 103 - - 55 【국비매칭 지원 사업】 (단위 : 백만원) 분 야 단 위 사 업 2020년 2021년 계속 신규 시비 국비 계속 신규 시비 국비 총 계 20 5 2,350 14,546 19 - 2,273 17,040 정부 R&D 협력 정부지원 대응투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등) 15 5 2,273 14,392 19 - 2,273 17,040 중소기업 산학협력 기술개발사업 (중소벤처기업부) 첫걸음 - - - - - - - - 지역유망 5 - 77 154 - - - - 기술상용화 지원 1 중소기업 기술상용화 지원 사업 2 성장단계 기업의 스케일업을 위한 글로벌 기술사업화 R&D 지원 3 캠퍼스타운 기술매칭 사업 1 중소기업 기술상용화 지원 사업 초기기업 대상 R&D 지원 확대 및 시장성 검증 연계를 통한 기술사업화·제품상용화 성과 극대화로 기업의 기술경쟁력 향상 및 성장 촉진 ?? 사업개요 ○ 대 상 : 서울 소재 중소기업, 스타트업, 개인사업자 등 ※ 시제품/완제품 제작이 가능하거나 해당 수준의 기술을 갖춘 대상 한정 ○ 지원사항 : 기술상용화를 위한 인건비 및 직/간접비 ○ ’21년 사업비 : 총 5,960백만원(120개 과제 내외, 6개월 이내) - 크라우드펀딩 방식 : 과제당 50백만원 이내(펀딩 성공 후 시지원금 지급) - 공개평가 방식 : 과제당 50백만원 이내 ○ 공모방식 : 크라우드펀딩형(시장성 중심), 공개평가형(기술개발 중심) 크라우드펀딩형 : 국내·외 펀딩 플랫폼(와디즈, 텀블벅, 일본 마쿠아케 등)을 통해 단기간 내 시제품 제작과 시장성 검증을 하고, 펀딩 성공 기업에 대하여 온·오프라인 유통과도 연계하여 제품 홍보와 기업 판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R&D 지원금 지원 공개평가형 : 평가 청취가 자유로운 공개형 평가방식 활용, 기술·투자·유통·특허 등 분야별 전문가단의 컨설팅 제공 및 기업 간 쌍방향 피드백을 유도하며, 개발 기술의 시장 진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비 지원 ※ COVID-19로 인하여, 한시적 비대면 평가 운영(예정) < 크라우드펀딩형 지원사업 개요 > ?? 우수성과 사례 ○ 일본 크라우드펀딩 진행을 통해 국내 기업의 일본 진출 가능성 검증 - 2020년도 총 18개 마쿠아케 크라우드펀딩 진행(펀딩액 약 4억 원, 투자자 4,000여 명 모집 성공) - 본 사업 성과를 통한 한국 시장 가능성 검증으로 마쿠아케 서울지사 설립 추진 및 펀딩금의 2% 기부(약 600만 원) 착용형의 동작인식기술을 통한 개인용 스마트기기 컨트롤러 제품을 개발하여 일본 마쿠아케 크라우드펀딩 1.16억원 달성 건조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UVC LED 칫솔살균기를 개발하여 일본 마쿠아케 크라우드펀딩 약 29백만원 달성 및 코로나19 관련 마스크 살균 케이스 추가 개발을 통한 마쿠아케 펀딩 중 가장 많은 구매자 수 기록 및 약 22억 원 달성 조도센서 및 저전력 블루투스를 이용한 에너지 최적화 지능형 전조등을 개발하여 일본 마쿠아케 및 국내 와디즈 크라우드펀딩 약 2.9억 원 달성 ?? 중점 추진사항 ○ 기업수요,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후속 연계 강화 등 사업 개선 추진 ’20년 ’21년 중소기업 기술연구 개발지원 크라우드펀딩 국내외 협력 파트너 6개사 크라우드펀딩 관련 해외(대만) 협력 파트너 확대 크라우드펀딩 후 오프라인 유통 연계(마쿠아케, 와디즈 등) 크라우드펀딩 후 온라인 유통 연계 (홈쇼핑, T·라이브커머스 등) 평가결과 및 사업화 컨설팅 제공 후속 연계 지원 폭 강화(유통, 금융권) ○ (크라우드펀딩 확대) 해외(대만) 협력 파트너 확대를 통한 해외 수출 성과 제고 - 대만 젝젝 크라우드펀딩 업무협약을 통한 국내 기업의 해외 수출 성과 재고 - 일본 마쿠아케를 통한 해외 진출 니즈 및 가능성 확인으로 해외 채널 확대 ○ (R&D 후속지원 연계) 지식재산권 보호, 판로 개척, 컨설팅 등 연계 지원 확대 - SBA 보유 IP 창출·보호 투자 연계, 브랜드 판로(온·오프라인) 후속 지원 - 온·오프라인 유통(쇼룸, 커머스 등), 유관기관 후속 연계 지원 유망기업 발굴 채널 확대 (Pre-R&D, 기획단계) 크라우드펀딩 및 유통 플랫폼 연계 (R&D-ing, 지원단계) 유관기관 협력 강화 (Post-R&D, 후속단계) SBS, MBC, 아시아경제, 하나은행, KDB산업은행, IBK기업은행 등 오마이컴퍼니, 와디즈, 텀블벅, 해피빈, 마쿠아케, 젝젝, 틱톡 기술보증기금,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SNU 공학컨설팅센터 등 ○ (성과 추적 관리) 사업기간 종료 후 성과 조사 및 관리 강화 - 최종평가결과 ‘성공’ 종료 과제 대상 5년간 추적 조사 실시 - 크라우드펀딩 완료 및 유통 연계 후 추가 매출 · 일자리 창출 등 성과 조사 ○ (투자자 검증) 투명한 투자 진행 및 부정 투자 방지를 위한 모니터링 강화 - 1차 :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모니터링(투자자 수, 기여도, 공유 / 댓글 수 등 확인) - 2차 : 제품 배송 완료 후 배송 증빙 제출(배송방법, 송장번호, 주소 등 확인) - 주관기관 직접 구매, 과다 구매 정황 발견 시 IP 추적 조사 및 협약 취소 ?? 추진절차 R&D 평가단계(2개월) R&D 사업비 지원(6개월) R&D 후속조치 ?기술성 평가 - 평가결과 피드백 제공 ?시장성 평가 - 크라우드펀딩사/기술전문가 평가 - 공정성 확보를 위한 공개평가 시행 ? ? 탄력적 기술개발비 지원 - 인건비 및 직접비 중심 (6개월 이내) - 120개 내외 과제, 차등지원 ? ? 지식재산보호 ? 추가·개선 R&D ? 판로개척ㆍ투자 연계 등 ?? 추진일정 ○ ’20년도 선정과제 실적 조사·정리/최종평가 : ’21년 중 ○ 사업공고 : ’21. 2월~3월 ○ 대상기업 선정(기술성평가 및 사업성평가) : ’21. 4월~6월 ○ 협약체결/시지원금 지급 : ’21. 7월~8월 ※ 크라우드펀딩형의 경우 크라우드펀딩 성공 후 협약체결 및 시지원금 지급 2 성장단계 기업의 스케일업을 위한 글로벌 기술사업화 R&D 지원 신규사업 서울 소재 혁신기술을 가진 성장기업의 글로벌 스케일업 집중 지원을 통한 유니콘기업으로 지속 성장 기반 마련 ?? 추진 필요성 ○ 글로벌 대기업 등 창업지원기관 ‘오픈 이노베이션’ 확대 추세 ※ 벤츠는 ‘스타트업 아우토반’을 통해 美·中, 국내(서울) 등에서 우수기업 발굴 ○ 글로벌 혁신 기업·연구기관과 R&D를 통한 스타트업의 스케일업 촉진 ?? 사업개요 ○ 지원자격 : 서울 기업(주관) + 글로벌 기업/대학/연구기관(협력) - 기관투자 유치(30억원 이상), 제품화 등을 통해 글로벌 진출 예정 기업 - 글로벌 기업 간 기술 제휴(NDA)를 위해 기술고도화 중인 스타트업 국내외 대기업(오픈 이노베이션, 사회공헌 둥 목적), 글로벌 유니콘기업 등 -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 또는 국내 창업지원기관과 협력 관계의 해외 연구 기관으로부터 이전·양도 특허기술의 고도화, 해외 실증이 필요한 스타트업 ○ 지원분야 : 모빌리티, 신재생에너지, 친환경신소재 분야 등 ※ ’21년 SBA R&D 타 분야 기 공모 신청한 기업은 중복 신청 제한 ○ 지원내용 : 추가기술개발, 제품화 등 사업화 全단계 R&D - 대기업·유니콘기업 등과 기술제휴를 위한 기술사업화·고도화 - 국내외 대학·연구기관에서 이전받은 혁신기술 실용화·사업화를 위한 R&D ※ 전문기관 컨설팅, 해외 현지 테스트베드, 제품화·양산 관련 인건비·직접비 기초연구단계 (TRL1~2) 실험단계 (TRL3~4) 시작품단계 (TRL5~6) 실용화 단계 (TRL7~8) 사업화 단계 (TRL9) ?기초이론 ?개념정립 ? ?SW모델링 ?연구시제품 (프로토타입) ? ?서브시스템 ?시스템시작품 (파일럿규모) ? ? 신뢰성/수요기관 평가 ? 시제품 인증 및 표준화 ? ? 본격적인 사업화/양산 ? 품질관리 ○ 지원기준 : 과제기간 1년 이내 / 과제당 최대 2.5억원(인건비, 직접비 등) ※ 민간부담금 총 사업비의 25% 이상(현금: 市지원금의 10% 이상) ○ 소요예산 : 총 500백만원(2개 신규 과제) ?? 추진계획 ○ 선정방법 : 자유공모 - 과제의 창의성 및 차별성, 시장 매력도, 추진방안의 구체성, 사업화 용이성 등 선정평가위원회 평가 절차를 거쳐 선정 < 우선 선정 > ① 민간 투자유치(최근 3년 누적 50억원 이상)를 통하여 사업화 전 제품·서비스가 시장에서 가능성을 인정받은 기업 신기술사업금융회사(여신전문금융법),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중소기업창업지원법), 벤처투자조합(벤처투자촉진법)의 투자 ② 국내 테스트베드 등을 통해 기술 신뢰성을 인정 받고, 국내·외 수요처(정부, 공공기관, 병원, 대·중견기업 등)에서 구매의사를 밝힌 수요 확보 기업 ③ 서울시 성장지원 종합 패키지 지원 기업(’20), 정부출연기관(국내), 해외연구기관(KIST등 국내출연기관 등 연계) 기술 이전 성공 기업 ※ (우대요건) 시 창업보육시설 입주·졸업 기업 또는 입주 예정인 기업 ○ 추진체계 : 시(총괄기관) → SBA(전담기관) → 기업·기관(참여기관) - 기업 및 기관(참여) : 과제선정 신청, 임상시험, 제품화 등 과제진행 - SBA(전담) : 과제 및 수행기관 선정, 진행관리 및 평가, 예산집행 등 - 서울시(총괄) : R&D 사업 총괄, 종합평가, 투자유치·글로벌진출 연계 등 ?? 추진절차 과제공모 및 신청서 접수 사전검토 선정평가 결과발표 협약체결 및 사업비 지급 자유공모 신청서 검토 (신청자격 등) 서면 / 발표평가 (필요시 현장조사) 홈페이지 공고 수행기관 ↔ SBA SBA 부서, SBA 전문가평가위원회(SBA), 산학연협력사업심의위(市) SBA SBA ?? 추진일정 ○ 사업 세부계획 수립 확정 및 사업 공고 : ’21. 3월 ○ 과제접수 및 선정 평가 : ’21. 5월 ~ 6월 ○ 협약 체결 및 사업비 지급 : ’21. 7월 ○ 과제 진행(1년) : ’21. 7월 ~ 3 캠퍼스타운 기술매칭 사업 캠퍼스타운 참여대학의 우수 전문 인적자원을 활용, 창업기업의 기술애로를 해결하고자 Tech Platform을 통한 기술매칭사업을 추진하고자 함 ?? 사업개요 ○ 주관기관 : 서울기술연구원(Tech Platform) ○ 지원대상 : 캠퍼스타운 입주 창업기업 ○ 지원내용 : 자체 기술개발이 어렵거나 기존 기술 혁신에 어려움을 겪는 창업기업과 대학 기술연구 전문가 1:1방식 매칭으로 R&D 지원 ○ 분 야 : 전문가풀이 제공할 수 있는 기술 관련 모든 분야 ○ ’21년 사업비 : 800백만원(건당 100백만원 이내) ?? ’20년 추진성과 ○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대학 전문가와의 대면상담이 어려운 과정 속에서도 창업기업 기술사업화를 위한 기술매칭사업의 본궤도 진입 - R&D과제 65건 접수, 18개 과제 선정으로 “3.6:1” 경쟁 - 일상생활에서 활용되는 ‘생활밀착형’ 제품?서비스 및 기존 제품을 개선하는 ‘틈새시장 공략형’ 과제 집중 발굴 ○ 약800명 대학 교수 등 전문가 참여로 지속가능한 창업기업의 기술수요 기반 기술매칭 토대 마련 - 서울 소재 캠퍼스타운 36개 대학 중 23개 대학 참여 중 ?? ’21년 개선방향 ○ 상시 전문가 탐색시스템 구축을 통해 ‘접수 후 매칭’ ⇒ ‘접수 전 매칭’ 방식으로 절차 개선하여 전문가 매칭 고도화 추진 ○ 자본잠식, 부채 1000% 창업 3년 이하 기업 등 매출이 없어 재무상황이 어려운 창업기업들에게도 기술개발(R&D) 기회 부여 ?? 추진방식 및 진행절차 ○ 추진방식 : 서울기술연구원을 주관기관으로 정책지정, 기술매칭 R&D 실행 ※ 정책지정 : 정책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지원대상 과제 및 그 참여기관을 시장이 지정하여 선정하는 방식(서울시 산학연 협력사업 운영요령 제18조) (사업 흐름도) ○ 진행절차 공고 전문가매칭? 연구계획서 작성 접수 1차평가 2차평가?심의 평가결과 최종 공지 신기술접수소/ 캠퍼스타운 홈페이지 접수 전, 전문가 매칭. 공동 연구계획서 작성 연구계획서 접수, 검토 기술평가 위원회 선정평가 SBA 과제평가 / 산학연협력사업심의위원회 심의·확정 홈페이지공고 및 공문발송 ?? 추진일정 ○ 캠퍼스타운 기술매칭사업 정책지정 : ’21. 2월 ○ 기술매칭사업 수행대학 지정 추진(市, 서울기술연구원) : ’21. 2월 ○ 기업 기술애로 접수 및 매칭, R&D 지원과제 선정 : ’21. 3~8월 ○ 사업 평가(SBA) 및 산학연 협력사업 심의위원회 심의 : ’21. 10월 ○ 캠퍼스타운 대학(전문가)-서울기술연구원 협약 체결 : ’21. 11월 ○ SBA-서울기술연구원 협약 체결 및 시지원금 지급 : ’21. 12월 붙임 2020년 캠퍼스타운 기술매칭사업 18개 선정과제 연번 참여기업 캠퍼스 타운 제안명 참여교수 기술 분야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거점 지역 (클러스터) R&D 지원 4 홍릉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바이오·의료 기술사업화 R&D 지원 5 양재 인공지능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R&D 지원 6 G밸리 내 산업 간 융 ? 복합을 위한 기업 R&D 지원 7 동대문상권 활성화 위한 프로젝트 지원 4 홍릉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바이오·의료 기술사업화 R&D 지원 서울 소재 바이오·의료분야 우수·유망기술 보유기업의 사업화 지원을 통한 서울시 바이오·의료 산업 육성 ?? 사업개요 ○ 지원자격 : 서울 소재 바이오기업(주관) + 기업/대학/병원/연구소(협력) - 기업+대학·병원·연구소 컨소시엄 필수(기업+병원, 기업+대학, 기업+병원+기업 등) - 기술 사업화 및 상용화를 위해 주관기관 서울소재 기업, 협력기관 지역제한 없음 - 임상시험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참여 병원은 의료법에서 정하는 종합병원 이상 ○ 지원분야 : 레드 바이오 분야(의약, 의료기기, 스마트 헬스케어 등) ○ 지원내용 : 추가기술개발, 시제품 제작 등 사업화 전단계 R&D 통합 지원 개발초기(TRL1~3) 개발중기(TRL4~8) 시판단계(TRL9) · 개념검증 · 각종 기초 검증 · 전임상·임상 시험 · 시제품 제작 등 · 임상 4상 이상 · 시판 단계 < 사업화 중심 기술개발 지원방향 > ① TRL 4단계 이상(의약품 임상 시험승인, 안전성·유효성 평가 등) 지원을 통한, 사업화 가능성 중심 정량적 평가 실시 ② 민간 투자유치(Series A 이상)를 통하여 사업화 전 서비스 및 제품이 시장에서 가능성을 인정받은 기업 사업 참여 우대 ③ 국내·외 수요처(정부, 공공기관, 병원, 대·중견기업 등)에서 구매의사를 밝힌 수요 확보 기업 우선 지원 ○ 지원기준 : 과제기간 2년 이내 / 과제당 최대 5억원 이내(인건비, 직접비 등) ※ 기술료 징수(市 지원금의 10%) ※ 민간부담금 총 사업비의 25% 이상(현금: 市지원금의 10% 이상) ○ 소요예산 : 총 4,640백만원 - 총 과제 수 : 20개 내외(‘20년 계속 9개 / ’21년 신규 11개 내외) ?? 추진방향 ○ 우수 기술·역량 보유 기업 대상 R&D지원을 통해 기술상용화 촉진 - 기초?원천 R&D가 아닌 혁신적 기술의 시장진출을 위한 ‘사업화 R&D’에 중점 ○ 바이오산업 핵심주체 간 협력을 통한 기술사업화 R&D 선도 모델 창출 - 대학?병원?연구소의 기술역량과 기업의 제품화 역량 연계로 시너지 창출 ○ 홍릉 바이오·의료 앵커 지원시설 입주기업 유치 및 성장지원 연계를 통한 홍릉 클러스터 활성화 ○ 시장검증·민간투자 등 민간이 선별한 유망기술 적극 지원으로 사업화 성과 확보 ?? 추진계획 ○ 지원기준 : 과제의 성격에 따라 과제 기간, 지원금 등 탄력적 지원 - 총 과제기간(2년) 및 지원액(5억) 범위 내에서 연구과제의 특성 및 단계에 따라 과제별 수행기간 및 지원액 차등 적용 ※ R&D 희망 지원금액 5억 미만 비율: 66.7% / 지원기간 2년 이하 비율: 60.7% (2019 바이오의료 기업 실태조사, ’19.10.) ○ 선정방법 : 자유공모 - 과제의 창의성 및 차별성, 시장 매력도, 추진방안의 구체성, 사업화 용이성 등 선정평가위원회 평가 절차를 거쳐 선정 < 우대가점 > ① 서울바이오허브 등 홍릉 바이오·의료 앵커 지원시설 입주(예정)기업 ② 서울소재 기업·대학·병원·연구소가 협력기관으로 참여 시 ※ 서울시 산·학·연·병 협력강화 및 과제참여 유도 ③ 투자유치·구매확약 등을 받은 시장에서 사업성 검증이 선행된 과제 ○ 추진체계 : 시(총괄기관) → SBA(전담기관) → 기업·기관(참여기관) - 기업 및 기관(참여기관) : 과제선정 신청, 임상시험, 제품화 등 과제진행 - SBA(전담기관) : 과제 및 수행기관 선정, 진행관리 및 평가, 예산집행 등 - 서울시(총괄기관) : R&D 사업 총괄, 종합평가, 프로그램 연계 등 ?? 추진절차 과제공모 및 신청서 접수 사전검토 선정평가 결과발표 협약체결 및 사업비 지급 자유공모 신청서 검토 (신청자격 등) 서면 / 발표평가 (필요시 현장조사) 홈페이지 공고 수행기관 ↔ SBA SBA 부서, SBA 전문가평가위원회(SBA), 산학연협력사업심의위(市) SBA SBA ?? 추진일정 ○ 사업 세부계획 수립 확정 및 사업 공고 : ’21. 2월 ○ 과제접수 및 선정 평가 : ’21. 4월 ~ 5월 ○ 협약 체결 및 사업비 지급 : ’21. 6월 ~ 7월 ○ 과제 진행 : ’21. 7월 ~ ○ 연차 평가(’20년 선정 과제) : ’21. 10월 ~ 5 양재 인공지능(AI)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R&D 지원 인공지능을 활용한 기업-대학-연구소 연계 사업화 기술개발 지원을 통한 ‘AI 양재 허브’ 육성 및 서울의 AI 산업 도약 추진 ?? 사업개요 ○ 대 상 : 서울 소재 중소?벤처?창업기업(대학 또는 연구기관 컨소시엄 가능) ※ 컨소시엄의 주관기관은 서울 기업만이 가능하며, 컨소시엄 내 기업은 법인기업으로 함 ○ 분 야 :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서울시의 주력 산업을 육성하거나 서울 시민에게 도움이 되는 기술융합이 가능한 전 분야 ○ 규 모 : 과제별 최대 3억원, 총 10개 내외 과제(1년간) ○ 지원내용 : 기술사업화 또는 기술개발 혁신을 위한 인건비와 직접비 등 지원 ○ ’21년 사업비 : 총 2,980백만원 - 민간부담금 : 총 사업비의 25% 이상(현금 : 시지원금의 10% 이상) ?? '20년 사업추진 실적 ○ 추진 절차 상반기 공고·접수 (3.~4.) 서면평가 (5.27.∼5.29.) 발표평가 (6.24.~6.26.) 9개 과제 선정 사업비 지원 (’20.8.~ ) 8개 20.9억원 기술개발 (’20.8.~’21.7.) 1년 ※ 9개 과제를 선정하였으나 1개 과제가 내부사정으로 협약을 포기하여 8개 과제를 지원함 하반기 공고·접수 (9.~10.) 비대면 통합 평가(서면·발표) (11.10.∼11.17.) 4개 과제 선정 사업비 지원 (’20.12.~ ) 4개 10.3억원 기술개발 (’20.12.~’21.11.) 1년 ○ 과제별 최대 3억원, 실소요예산 고려하여 12개 과제 총 31.2억원 지원 분과 학습과 추론 부문 시각/상황 인식 부문 언어의 이해 부문 및 기타 접수 과제 24개 과제 26개 과제 15개 과제 선정 과제 5개 과제 6개 과제 1개 과제 ※ 3개 분야 총 65개 과제 접수(경쟁률 5.4:1). 지원과제수는 상하반기 통합 수치 ?? '21년 사업추진 방향 ○ 서울의 6대 산업거점 기업 참여 유도를 통한 타 산업과의 융·복합 추진 - AI 양재/홍릉 바이오/DMC VR·AR/여의도 금융 허브 입주(예정)기업에 가점 부여 ○ 원천기술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필수인 독창적 기술로서 지속적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한 기술 (사례)미국 퀄컴에서 개발한 디지털 이동통신방식(CDMA)은 동일한 주파수대역에서 다수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할 수 있게 한 원천기술로, 이후 나타난 문자메시지/MP3 등 서비스는 모두 CDMA라는 원천기술을 이용한 응용기술 등 미래 핵심기술 여부 및 해외시장 확장성 고려 - 시민 생활 전반에 두루 응용할 수 있으며 해외시장 진출이 가능한 과제 중점 ○ 전년 대비 사업 개선·보완 ’20년 ’21년 과제규모, 사업화 정도 등을 근거로 차등 예산 지원 벤처캐피털(VC) 및 액셀러레이터(AC)와 연계하여 투자 유치 및 멘토링 연계 실용화 단계 이상으로 선정 범위를 조정하여 가시적 성과 도출 시작품 단계로 신청 문호를 확대하여 성장가능성 높은 과제 선정 타 기관에 지원한 과제의 내용/수행기간/참여비율 등 근거로 제한기준 마련 기술성숙도(TRL: Technology Readiness Level)상 최종 사업화 단계의 과제를 중점으로 하되, ’20년도 지원 경쟁률(7:1)을 감안하여 시작품 단계 과제도 지속 지원 기초연구단계 (TRL1~2) 실험단계 (TRL3~4) 시작품단계 (TRL5~6) 실용화 단계 (TRL7~8) 사업화 단계 (TRL9) ?기초이론 ?개념정립 ? ?SW모델링 ?연구시제품 (프로토타입) ? ?서브시스템 ?시스템시작품 (파일럿규모) ? ? 신뢰성/수요기관 평가 ? 시제품 인증 및 표준화 ? ? 본격적인 사업화/양산 ? 품질관리 ?? 추진일정 ○ 사업 공고 및 지원과제 모집 : ’21. 3월 ~ 4월 ○ 지원과제 및 과제 수행 컨소시엄 평가 및 선정 : ’21. 5월 ~ ’21. 7월 ○ 사업비 지급 및 연구과제 수행(1년간) : ’21. 8월 ~ ’22. 7월 ○ 사업비 정산 및 성과평가 : ’22. 8월 ~ ’22. 10월 ※ 효율적 과제 선정 및 운영을 위해 포스트 코로나 특화 AI 기술개발 지원사업과 통합 공모 6 G밸리 ICT 융 ? 복합 기술사업화 지원사업 G밸리 내 혁신생태계 조성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산업(기업) 간 융?복합 기술사업화 지원 ?? 추진 필요성 ○ G밸리는 우리나라 최초 국가산단으로 IT?SW와 제조업(전기?전자) 등 다양한 기업과 산업의 집적지로 혁신의 잠재성을 무한 보유 - 입주기업 12,113개사, 고용인원 147천명(’20.10월 기준) - 입주기업 현황 : IT?SW 등 비제조업(56%), 전기?전자(22%), 기계(6%) 등 ○ IoT 중심, IT?SW 산업과 제조업의 융복합 산업고도화 여력을 보유하였으나, 소규모 업체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 3년 미만 기업 및 50인 미만 소기업으로 자금, 판로, 기술사업화 등 다양한 지원 필요 ○ G밸리 내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한 산업(기업) 발전을 위한 지원 필요 - 4차 산업혁명, 융?복합 시대에 맞춰 융?복합 비즈니스 모델 발굴 촉진 ?? 사업개요 ○ 대 상 : G밸리 소재기업(주관)+기업?대학?연구기관(협력) 컨소시엄 ※ 글로벌 시장 진출 목표(제품 출시, 기술이전 등) 기업 참여과제 우대 ’20년 가점 기준 : 주관기관이 최근 3년 이내 해외수출 실적을 보유한 기업인 경우 가점 2점 ○ 지원분야 : G밸리 내 IT 등 미래기술 산업과 융·복합이 가능한 ICT 기술 전 분야(국가기술표준분류체계 기준) 산업분야 산업별 세부분야(예시) 제 조 스마트 공장, 제조로봇, 제조 서비스화 분야 등 스마트 분야 스마트 시티, 스마트 건설, 스마트 홈 분야 등 농축수산업 스마트팜, 스마트 양식, 농축수산물 스마트 유통분야 등 ※ 사업화 형태는 단순 성능개선 결과 제시가 아닌 구체적인 제품 또는 서비스 제시 ○ 지원내용 : 타 산업간 ICT 융·복합 기술사업화 개발비 지원 - 인건비, 시작품·시제품 제작, 성능·신뢰성 시험, 소비자 평가 및 인증 등 ○ 지원기준 : 과제기간 1년 이내 / 과제당 최대 2억원 이내 ○ ’21년 사업비 : 총 1,600백만원(8개 내외 신규 과제 선정, 차등지원) - 민간부담금 : 총 사업비의 25% 이상(현금 : 시지원금의 10% 이상) ○ 추진체계 : 시(총괄기관) → SBA(전담기관) → 기업·기관(참여기관) ○ 추진방법 : 자유공모 ○ 선정방법 : 선정평가위원회 평가 절차를 거쳐 선정 - 과제의 창의성?차별성, 시장 매력도, 추진방안의 구체성, 사업화 용이성 등 ?? 추진절차 과제공모 및 신청서 접수 사전검토 선정평가 결과발표 협약체결 및 사업비 지급 자유공모 신청서 검토 (신청자격, 과제중복, 세금체납 등) 서면/발표 평가 (필요시 현장조사) 홈페이지 공고 수행기관 ↔ SBA SBA SBA 전문가평가위원회(SBA), 산학연협력사업심의위(市) SBA SBA ?? 추진일정 ○ 사업 세부계획 수립 확정 및 사업 공고 : ’21. 2월 ○ 과제접수 및 선정 평가 : ’21. 4월~5월 ○ 협약 체결 및 사업비 지급 : ’21. 6월 ○ ’21년 선정 과제 진행 : ’21. 7월~’22.8월 ○ ’20년 선정 과제 최종 평가 : ’21. 9월 《’20년 추진 현황》 ○ 접수 및 선정: 총 86개 과제 접수(경쟁률: 8.6 : 1) / 총 10개 과제 선정 ○ 총 지원내역 : 1,776백만원(과제별 차등지원, 147백만원~200백만원) ※ ’20년 선정된 10개 과제 중, 해외 수출 관련 가점 보유 업체는 1개임 7 동대문 상권 활성화 위한 프로젝트 지원 패션산업에 최신 IT기술을 결합하고 실제 사업화를 지원함으로써 서울시 패션산업 및 동대문 패션상권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함 ?? 사업개요 ○ 대 상 : (주관) 패션기업(IT스타트업) + (협력) 대학, 연구소 ※ 주관기관은 사업화의 주체여야하며, 동대문상권 상인과 컨소시엄 가능 ○ 지원분야 : 패션분야에 IT기술을 접목하여 실제 사업화가 가능한 혁신과제 ※「동대문 상권 혁신 분야」와「패션·IT 융합 분야」로 이원화하여 공모 및 선정 추진 ○ 공모방식 : 자유공모 ○ 지원내용 : 혁신기술 개발(IT융합) 및 사업화를 위한 연구개발비 지원 - 사업화 지원 : 초기 기술개발이 완료된 기술이나 서비스에 대한 사업화 지원 ? 시제품 적용 및 확장 개발비, 기술 검증, 특허 비용 등 ? 초기 기술개발 : 상권분석, 기술개념 검증, 실용모형개발, 계획단계의 사업모델 등 ※ 사업 예 시 : 패션상권 활성화를 위한 글로벌 패션 플랫폼 사업화 실용화 단계 사업화 단계 · 개발 플랫폼에 대한 신뢰성 평가 · 수요기업 평가 · 확장 범위 및 실효성 검증(상인 및 소비자) · 시제품 데모 · 시험평가·검증 · 서버 임대비용 · 홍보비 등 사업화 비용 ○ ’21년 사업비 : 총 1,600백만원 - 민간부담금 : 총 사업비의 25% 이상(현금 : 시지원금의 10% 이상) ○ 지원규모 : 과제별 최대 3억원 지원, 총 6~7개 과제 선정 ※ 패션·IT 융합전문 대학교수 자문회의 결과 : 연구개발비 약 3억원 내외 소요 예상 ※ 과제 기술료 징수(市 지원금의 10%) ○ 지원기간 : 1년 ○ 추진체계 : 시(업무위탁)→SBA(사업수행)→기업·기관(과제진행) - 서울시(총괄기관) : 서울형 R&D사업 총괄, 프로그램 중간관리, 종합평가 등 - SBA(전담기관) : 과제 및 수행기관 선정, 진행관리 및 평가, 예산집행 등 - 기업 및 대학(수행기관) : 과제 발굴 및 선정 신청, 과제 진행 ?? 추진방향 ○ (사업공모) 가시적 성과 창출 가능한 구체적 사업모델 자유공모 - 혁신기술 접목으로 초부가가치 창출 가능한 패션 융복합 과제 선정 및 지원 ○ (사업시행) 패션기업, 상인, 연구기관 간 연계를 통해 실제 프로젝트 시행 - 빠른 사업화가 가능한 실제 프로젝트 우선 선정 및 실시 ?? 추진절차 과제 공모 및 접수 사업 설명회 과제계획서 접수 및 과제 선정 프로젝트 수행 및 성과발표 자유공모 과제 및 성과목표 공유 과제계획서 제출 및 선정평가·발표 적용방안 도출 SBA 부서 / SBA 전문가평가위원회(SBA), 산학연협력사업심의위(市) 부서/ SBA ?? 추진일정 ○ 사업 세부계획 확정 및 사업 공고 : ’21. 2월 ○ 패션산업 활성화 관련 사업과제 발굴(공모선정) : ’21. 3월~6월 ○ 팀별 프로젝트 수행 및 실용모형개발 중간보고 : ’21. 7월~’22. 6월 ○ 전년도 프로젝트 결과보고 : ’21.10월 ○ 프로젝트 결과보고 : ’22. 7월~11월 챌린지· 테스트베드 지원 8 혁신기술 공공 테스트베드 제공 9 국내·외 대상, 서울글로벌챌린지 도입 10 국내 대상, 서울혁신챌린지 개최 8 혁신기술 공공 테스트베드 제공 혁신기술이 적용된 제품·서비스에 시정과 연계한 실증기회를 제공하여 기업의 판로개척 지원 ?? 사업개요 ○ 사업목적 : 4차 산업혁명 혁신 제품·서비스를 시정현장에 시범활용하고, 성능에 대한 확인서(레퍼런스)를 발급함으로써 기업의 판로개척과 성장 지원 ○ 참가대상 - 창업기업 판로개척에 어려움을 겪는 서울소재 중소?벤처기업 ? 대기업·중견기업은 기회제공형 실증에는 참여 가능 - 혁 신 성 4차 산업혁명 관련 핵심기술을 활용하여 서울시 행정혁신, 도시문제 해결 등에 기여할 수 있는 제품?서비스 ? 관련기술 : 인공지능, IoT, 빅데이터, 블록체인, 핀테크, 로봇, 드론, AR/VR 등 - 안 전 성 법령 및 안전 규제에 적합하여 시정현장에 곧바로 적용할 수 있는 제품?서비스 ? 기술성숙도(TRL) 6단계(시제품 단계) 이상의 제품?서비스 ○ 소요예산 : 9,500백만원(과제당 400백만원 이내) ○ 지원내용 : 실증(장소·예산 지원) + 실증확인서(레퍼런스) + 후속지원 테스트베드에 선정된 기업이 평가결과, 시정적용 현장, 실증성과 등 전 과정을 판로개척과 마케팅에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 실 증 : 시정 현장에서 사용하여 제품·서비스의 성능 확인 ? 최대 4억원 지원, 기업은 20% 자부담 - 실증확인서 : 실증 진행후 결과를 평가하여 발급 - 구매 등 후속지원 ? 실증으로 검증된 제품·서비스를 확대 구매 ? 펀드, 홍보지원, 시설제공 등 서울시 기업지원 프로그램 연계 ?? 사업유형 항 목 예산지원형 기회제공형 전담 기관 접수·평가·선정 : 서울기술연구원 협약·실증·성과평가 : 서울산업진흥원 지원 대상 서울소재 중소·스타트업 서울소재 기업 (대기업, 중견기업 참여가능) 지원 사항 실증 장소 제공, 실증 사업비 지원 ※ 건당 4억원 내(총 95억원) 실증 장소 제공 ※ 제품생산, 설치 등 실증비용 기업부담 ?? 추진절차 제안접수 및 선정 서울기술연구원 기업제안 접 수 상시접수 서 류 검 토 요건심사 실증기관 의견제출 시정 적합성 서 면 심 사 기술성 발 표 심 사 효과?사업성 결 과 통 보 2개월 내 실증 및 성능평가 서울산업진흥원 실증계획 수 립 협 약 체 결 설치?적용 모니터링 최장 1년 실 증 평 가 성능확인서 발 급 ?? 그간 추진성과 ○ 혁신기술 온라인 상시접수 플랫폼 ‘신기술접수소’ 개설(’19.6.1) - ‘신기술접수소’ 홈페이지를 통해 제안서를 작성하여 등록·실시간 진행과정 확인 - 기업제안 접수 건수 대폭 증가(’18년 58건 → ’19년 223건 → ’20년 234건) ○ 4차 산업혁명 혁신기술 72개 시정현장 실증 지원(총 284억원 지원) - ’20년 33개(129억원), ’19년 27개(100억원), ’18년 12개(55억원) 연도 계 IoT 인지지능 빅데이터 자율주행 VR 드론 등 계 72 17 19 4 6 7 19 2020년 33 7 9 2 1 4 10 2019년 27 7 7 1 5 3 4 2018년 12 3 3 1 - - 5 ○「테스트베드 서울」참여기업 판로확대 및 해외 진출 추진 - 현장 실증을 완료한 11개 기업에 대해 우리시 명의의 국·영문 실증확인서를 발급하여 기업의 판로개척 및 공공구매 추진에 활용토록 지원 ? 텔로팜 등 4개 기업 서울시 및 자치구에 2,266백만원 공공구매 추진 ? 이노넷(TVWS 기술 실증) 등 4개 기업 남아공 등 12개 국가 진출(MOU 등 체결) ※「테스트베드 서울」참여기업 공공구매 및 해외진출 실적 구분 기업수 공공구매 (천원) 투자실적 (천원) 해외수출(예정) (달러) MOU (건) 계 38 4,389,512 4,850,000 505,177 10 실증완료 기업 12 2,613,782 4,150,000 505,177 10 실증진행 기업 27 1,775,730 700,000 - - ※ ’20년 선정기업 33개는 조사대상 제외(’21.1월 이후 실적조사 후 추가 예정) ?? ’21년 중점 추진사항 ○ 4차 산업 혁신기술 보유 중소기업에 시정현장 실증기회 제공(30개 이상/95억원) - 市 본청·사업소, 공사·공단 등 모든 실증장소 개방하여 기업의 혁신기술 실증 ○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과제형’ 실증 확대(’20년 9개 → ’21년 15개) - 市 지하철, 교량, 한강 등 관련 도시문제 해결과제 수요 공모·발굴 - 4차 산업 혁신기술을 보유한 기업이 해결방안을 제시·실증 ?드론 분야(’21년 핵심과제) 및 30개 이상 수요과제 (’20년 미 선정과제 13개 포함) 공공수요 조사·공개 (’21.2월) 기업제안 접 수 (상시) 서 류 검 토 (2주) 실증기관 검토의견 (1주) 서 면 심 사 (2주) 발 표 심 사 (2주) 결 과 통 보 (즉시) ○ 포스트코로나 대비 방역·바이오 특화 테스트베드 확대(’20년 5개 → ’21년 10개) - 글로벌 수요가 높은 방역·바이오 분야 혁신기술 기업 특화 테스트베드 지원 - 올해는 지원규모 2배로 확대 : (’20년) 5개사, 16억원 → (’21년) 10개사, 28억원 ?? 추진일정 ○ 사업 공고 : ’21. 1월 ○ 제안접수, 심사 및 실증(최대 1년) : ’21. 1월~ ※ ’19년 실증기업(27개) 성과평가 및 레퍼런스 발급 : ’21. 3~4월 9 국내·외 대상「서울글로벌챌린지」개최 국내?외 기업, 대학, 연구소 등이 참가하여 혁신기술을 활용한 도시문제 해결 방안을 발굴하고, ?혁신도시 서울?의 글로벌 위상을 확립 ?? 사업개요 ○ 사업목적 : 국내·외 기업, 대학, 연구소 등으로부터 혁신기술을 활용한 도시문제 해결 아이디어를 모집, 경쟁을 통해 최선의 방안 도출 ○ 도전과제 : 4차 산업혁명 관련 핵심기술을 활용한 도시문제 해결 - 1?2차 서울글로벌챌린지는 지하철 미세먼지 저감을 주제로 추진 ? (1차)「서울글로벌챌린지 2020」은 즉시 활용 가능한 기술 발굴 ? (2차)「서울글로벌챌린지 2021」은 시제품 개발 및 신규논문 발굴 ○ 참가대상 : 국내·외 기업, 스타트업, 예비창업자, 대학, 연구소 등 ○ 지원내용 - 시제품 개발비, 개발 공간, 멘토링 등 시제품 개발 종합 지원 - 상장 및 시상금 지원 ○ 소요예산 : 총 2,100백만원(’20년 : 6억원 / ’21년 : 15억원) - ’20년: 1차 챌린지 시상금 6억원 - ’21년: 2차 챌린지 시제품 개발비 8억원, 시상금 7억원 ○ 추진일정 1차 (완료) 공 고 → 접 수 → 평 가 → 시 상 ’19.8.21.(수) ’19. 9~11월 ’19. 11월~’20. 2월 ’20.2.6.(목) 2차 (추진중) 기술 경연 공고·접수 → 예 선 → 시제품 개발 → 결 선 → 시 상 ’20.10~12월 ’21.1~2월 ’21.3~8월 ’21.9~11월 ’21.12.16.(수) 학술 경연 공고·접수 → 예비심사 → 논문 작성 → 본 선 → 시 상 ’20.10월~’21.1월 ’21.2월 ’21.3~9월 ’21.10~11월 ’21.12.16.(수) ?? 「서울글로벌챌린지 2020」추진성과 ○ 국내 및 국외 7개국에서 106개 제안·솔루션 접수, 흥행 기반 마련 - 사업설명회(2회), 현장설명회(9회), 해외설명회(14회) 통해 참여 유도 사업설명회 현장설명회 해외설명회 ○ 1단계 평가(서면?대면) 및 2단계 평가(현장?시민?종합) 통해 10개팀 선발·시상 - 1단계 통과 10개팀 제품은 지하철 현장(터널, 승강장, 전동차)에 직접 설치하여 실제 미세먼지 저감 효과 측정·평가 - 다각적 평가를 통해 10개팀 선발, 상금 총 6억원 지원(’20. 2. 6.) ? 종합우승 1팀(5억원), 분야별우승 2팀(각 5천만원), 챌린지상 3팀, 혁신상 3팀, 시민상 1팀 ?? 「서울글로벌챌린지 2021」추진계획 ○ 추진방향 - 지하철 미세먼지 저감 위한 신기술을 발굴·지원하여 R&D 본격 추진 - 지하철 공기질 개선 위한 학술 연구 촉진하여 다각적·근본적 해결책 모색 ○ 도전과제 - [기술경연] ‘지하철 미세먼지 저감’ 신기술 시제품 개발 - [학술경연] ‘지하철 공기질 개선’ 연구 논문 작성 ○ 지원내용 - 시제품 개발비 총 8억원, 개발 공간, 멘토링 등 시제품 개발 종합 지원 - 상장 및 시상금 총 7억원 지원 ○ 추진일정 기술경연 공고·접수 예 선 (서면/대면) 시제품 개발 (6개월) 결 선 (성능/종합) 시 상 ’20.10.14.~12.31. ’21.1~2월. ’21.3.1.~8.31. ’21.9~11월 ’21.12.16. 학술경연 공고·접수 예비심사 논문작성 (7개월) 본 선 (서면/발표) ’20.10.14.~’21.1.31. ’21.2월 ’21.3~9월 ’21.10~11월 10 「서울혁신챌린지」개최 다양한 참가자간 교류와 경쟁을 통하여 드론·AI·블록체인 등 혁신기술을 발굴하는 개방형 R&D로서 4차산업 혁신기술 개발 및 사업화 지원 ?? 사업개요 ○ 행 사 명 :「제5회 서울혁신챌린지」(5th Seoul Innovation Challenge) ○ 공모과제 :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활용 기술개발 및 상용화(자유공모) ※ 드론 또는 인공지능(머신러닝) 또는 블록체인 기술 중 한 가지는 반드시 포함 ○ 참가자격 : 서울소재 중소기업, 스타트업, 대학, 예비창업자(개인) 등 ○ 지 원 금 : (예선) 시제품 제작 2천만원/건, (결선) R&D지원 최대 2억원/건 ○ 소요예산 : 2,112백만원 - '20년 결선통과 13팀 1,550백만원, '21년 예선통과 28팀 562백만원 ?? 추진방향 ○ 4차 산업 혁명 핵심기술에 대한 상용화 지원 및 도시문제 해결 모색 - 드론 산업 육성을 위해 기존 필수과제에 드론 기술 추가 ○ 기존 파트너십 기관과의 협력체계 지속 및 기술후원사 추가 유치 지속 추진 - 국내·외 글로벌 기업 및 해외기관(12개→14개) ○ 적극적인 온라인 플랫폼 활용으로 비대면 아이디어?팀빌딩 활성화 - 페이스북 그룹 지속 운영, 동영상·실시간 스트리밍 통한 우수사례 발표회 등 추진 ? 페이스북 그룹 활용 → 관심분야 사전 조사를 통한 매칭 프로그램 운영 ? 유튜브 등 동영상 플랫폼을 활용 → 온라인 우수사례 발표회 반기별 추진 ○ 제1~4회 서울혁신챌린지 참가기업의 성과사례 분석·시사점 도출 및 반영 - 우수 사례 및 개선 사례 분석을 통해 챌린지 운영 계획에 반영 ?? ’20년 추진 경과 공고·접수 (‘20.3~4월) 444팀/1,442명 아이디어·팀빌딩 (5~6월) 2개월 예선평가 (7월) 112팀 평가 시제품 제작 (8월~11월) 28팀, 4개월 결선평가 ('20.12.) 38팀 평가 기술개발 ('21.2.~'21.11.) 13팀, 10개월 ?? ’20년 추진 실적 ○ 참가신청 444개팀, 총 1,442명 참여, 112개 과제(예선평가) 접수 - 예선선발 32개 과제 시제품 제작 지원, 재도전 희망팀 6팀 포함 38팀 결선평가 ○ 글로벌기업 12개社 파트너십을 통한 기술개발 및 해외진출, 네트워킹 지원(12건) - 엔비디아(스타트업 프로그램 인셉션 연계 지원), KT(기가지니 플랫폼을 통한 기술지원 및 서비스 출시),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Credit 지원), IBM(멘토링), LG CNS(현장실태조사) 등 ○ 페이스북 그룹 3,196명, 피칭데이 1회 개최(22개 기업 참석) ▶ ▶ 서울혁신챌린지 참가자 모집 (’20.3.16.~4.27.) 투자자 대상 피칭데이 (’20.7.14.) IBM 현장실태조사 및 멘토링 (’20.9.16.∼10.12.) ?? ’21년 추진계획(안) ○ 제4회 서울혁신챌린지 결선 선발 과제 R&D 지원 : ’21.2~11월 ○ 제3회 서울혁신챌린지 결선 선발 과제 16개팀 최종평가 : ’21. 3월 ○ 제5회 서울혁신챌린지 예선통과 28개팀 선정 및 시제품 제작 지원 : ’21. 7월~11월 공고·접수 ’21.3월~ 4월 ▶ 아이디어·팀빌딩 ’21.5월~6월 ▶ 예선평가 (28팀 선정) ’21.7월 ▶ 시제품 제작 ’21.8월~11월 ▶ 결선평가 (13팀 선정) ’21.12월 ▶ 기술개발 ’22.2월~11월 ○ 제5회 서울혁신챌린지 결선평가(13팀 내외 선발) : ’21. 12월 - 최우수 1팀(2억원), 우수 3팀(1.5억원), 장려 9팀(1억원) ※ 결선 지원금은 2022년 예산으로 편성 비대면산업 R&D 지원 11 방역·의료기기 우수기술 사업화 R&D 지원 12 포스트 코로나 특화 AI 기술개발 지원 13 비대면 금융생활 수요를 반영한 핀테크 기술개발 지원 14 블록체인 스타트업 기술 사업화 지원 11 방역·의료기기 우수기술 사업화 R&D 지원 서울소재 바이오헬스 분야 우수?유망기술 보유기업에 대한 R&D 지원을 대폭 확대하여 혁신 기술의 시장진출 촉진 ?? 추진배경 ○ 바이오헬스는 R&D가 시장의 성패를 좌우하는 기술집약적인 산업으로 기술선도자가 시장을 독식할 가능성이 높은 분야 - R&D성과가 시장 점유율 향상으로 직결, R&D과정에서 기술창업 이전 등 다양한 경제적 효과 창출 ○ 바이오기업은 연구개발단계에서 자금 확보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R&D 지원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음 - ‘20년 바이오·의료 기술사업화 R&D 170개 과제 신청(경쟁률 약 15:1) <2019년 바이오의료기업 실태조사 결과〉 ? 연구개발단계 가장 시급한 애로사항 : 연구개발자금 확보(51.9%) ? 연구개발단계 해결방안 : 펀드 투자지원(25.4%), 우수기업 R&D지원(20.7%) ?? 추진방향 ○ 기초?원천 R&D가 아닌 혁신기술의 시장진출을 위한 ‘사업화 R&D’ 지원 - 시장요구 수준(TRL 상위단계)으로 도달하기 위한 후속 기술사업화 R&D에 중점 ○ ‘산학연병 협력과제(기존)’외 ‘기업주도의 단기과제(신규)’로 가시적 성과 달성 - 기존 산?학?연?병 협력 중기과제 외에 방역·의료기기 중심 단기과제 추가 산?학?연?병 협력과제 기업주도 단기과제 ?기업 + 대학/연구소/병원 컨소시업 ?신약, 백신, 의료기기 등 레드바이오 전반 ?기술성숙도(TRL) 4단계 이상 + ?기업단독 또는 기업 필수 컨소시업 ?방역·의료기기(진단키트, 방역물품) 중심 ?기술성숙도(TRL) 7단계 이상 ?? 추진계획 ○ 사 업 명 : 기업주도 방역·의료기기 우수기술 사업화 R&D 지원 ○ 목 적 : 코로나19 이후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방역·의료기기·원격 의료서비스 등 핵심기술 보유기업 대상 타겟형 기술사업화 지원으로 시장진출 촉진 ○ 지원자격 : 서울 소재 바이오기업 단독 or 기업·대학·병원 등 컨소시업 ○ 지원분야 : 방역 의료기기(진단키트 등), 스마트 헬스케어, 원격 의료서비스 등 구 분 예 시 의료기기 진단키트·시약 등 체외진단 의료기기 원격 의료서비스 원격 의료 관련 비대면 문진 서비스, 원격 진단 플랫폼, 가정용 의료기기 등 방역 물품 등 의료용 마스크 및 방호복, 소독 시스템, 비접촉식 체온계 등 ○ 지원내용 : 시장진출을 위한 개발후기 기술사업화 단계 집중 지원 개발초기(TRL1~3) 개발중기(TRL4~6) 1 개발후기(TRL7~9) · 개념검증 · 각종 기초 검증 · 전임상 시험 초기 · 시제품 제작 등 · GLP 안정성·유효성 평가 · 허가용 임상시험 ○ 지원기준 : 과제기간 1년 이내 / 과제당 최대 2억원 이내(인건비, 직접비 등) ※ 과제의 규모·성격 등을 평가 지원액 조정 ○ 지원규모 : 총 20억 / 10개 과제( ’21년 신규 10개 ) ○ 선정방법 : 사업화 가능성에 중점, 과제선정평가위원회 평가를 거쳐 선정 < 사업화 중심 기술개발 지원방향 > ① TRL 상위 단계(GLP 안정성·유효성 평가, 임상시험 등 7단계 이상) 지원을 통한, 사업화 가능성 중심 정량적 평가 실시 ② 민간 투자유치(Series A 이상)를 통하여 사업화 전 서비스 및 제품이 시장에서 가능성을 인정받은 기업 사업 참여 우대 ③ 국내·외 수요처(정부, 공공기관, 병원, 대·중견기업 등)에서 구매의사를 밝힌 수요 확보 기업 우선 지원 ?? 추진일정 및 투입예산 ○ 사업 세부계획 수립 확정 및 사업 공고 : ’21. 2월 ○ 과제접수 및 선정 평가 : ’21. 4월 ~ 5월 ○ 협약 체결 및 사업비 지급 : ’21. 6월 ~ 7월 ○ 과제 진행 : ’21. 7월 ~ 12 포스트 코로나 특화 AI 기술개발 지원 코로나19 이후 비대면(Untact), 방역 등 분야에 AI 활용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관련 특화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 자금 별도지원 ?? 추진배경 ○ 코로나19 이후 사회 각 영역에 AI를 활용한 신기술 개발 필요성 부각 - 비대면 업무?교육 환경 조성 및 방역 대비 예측?예방 등 위기대응 기술 육성 ○ AI 기반 솔루션 기술사업화 지원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 대응 초석 마련 ※ 비대면 산업 육성을 위한 AI 기술개발 지원 필요(전문가 의견청취, ’20.5) ?? 추진계획 ○ 지원대상 : 서울 소재 중소?벤처?창업기업(대학 또는 연구기관 컨소시엄 가능) ※ 컨소시엄 주관사는 서울 소재 기업으로 한정(AI 양재 허브 입주기업은 가점 부여) ○ 지원분야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비 AI 기반 활용 기술 - (비대면) 교육?헬스케어?키오스크?로봇 등, (방역) 예측?예방?진단?분석 기술 ○ 지원규모 : 4개 과제 내외, 총 7억원(과제별 최대 2억원, 1년 이내) ― 기술성숙도(TRL) 상 실용화 단계인 6단계 이상 과제 ○ 지원내용 : 기술사업화/기술혁신 위한 연구활동비, 인건비, 시장개척비용 등 ― 민간부담금 : 총 사업비의 25% 이상(현금부담 : 市 지원금의 10% 이상) ?? 추진일정 및 투입예산 ○ 사업 공고 및 지원과제 모집 : ’21. 3월 ~ 4월 ○ 지원과제 및 과제 수행 컨소시엄 평가 및 선정 : ’21. 5월 ~ ’21. 7월 ○ 사업비 지급 및 연구과제 수행(1년간) : ’21. 8월 ~ ’22. 7월 ○ 사업비 정산 및 성과평가 : ’22. 8월 ~ ’22. 10월 ※ 효율적 과제 선정 및 운영을 위해 인공지능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R&D 지원사업과 통합 공모 13 비대면 금융생활 수요를 반영한 핀테크 기술개발 지원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금융서비스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핀테크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 지원으로 핀테크 산업 선도 ?? 추진배경 ○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거래 활성화에 따른 핀테크 관련 신기술 수요 증가 ○ 그간 핀테크 스타트업의 신기술 R&D에 대한 공공분야의 지원 저조 - (금융위원회) 테스트베드(97억), 금융클라우드(34억), 핀테크 박람회(17억) 등에 집중 - (市) 기술상용화(77억), 거점 R&D(127억), 혁신챌린지·공공테스트베드(155억) 등 지원 ?? 추진방향 ○ 핀테크 분야에 대한 R&D 자금 지원하여 신기술 개발 및 사업화 촉진 ○ 핀테크랩 입주기업에 대한 우선 지원으로 여의도 금융중심지 조성에 기여 ?? 추진계획 ○ 지원대상 : 서울 소재 핀테크 기업(대학 또는 연구기관 컨소시엄도 가능) ※ 컨소시엄은 서울기업, 컨소시엄 내 기업은 법인기업만 가능 ※ 서울핀테크랩 입주기업에 가점 부여 ○ 지원분야 : 코로나19 이후 수요 증가한 핀테크 기술(간편결제, 인증?보안, 클라우드컴퓨팅 등) ○ 지원규모 : 4개 과제, 총 8억원(과제별 최대 2억원, 1년 이내) ― 기술성숙도(TRL) 상 실용화 단계인 7단계 이상 과제 ○ 지원내용 : 기술사업화/기술혁신 위한 연구장비?재료비, 연구활동비, 인건비 등 ― 민간부담금 : 총 사업비의 25% 이상(현금부담 : 市 지원금의 10% 이상) ?? 추진일정 및 투입예산 ○ 사업 세부계획 수립 확정 및 사업 공고 : ’21. 2월 ○ 과제접수 및 선정 평가 : ’21. 4월 ~ 5월 ○ 협약 체결 및 사업비 지급 : ’21. 6월 ~ 7월 ○ 과제 진행 : ’21. 7월 ~ 14 블록체인 스타트업 기술 사업화 지원 Post 코로나19 시대 비대면(Untact) 서비스의 인증?보안의 기반 기술인 스타트업에 블록체인에 대한 기술 사업화를 신규로 지원 ?? 추진배경 ○ 코로나19 비대면 서비스 증대로 블록체인 인증?보안 기술 요구 증대 - 분산ID(DID)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방문자 신원증명 서비스 적용 ○ 중견?대기업 중심의 생태계 형성으로 스타트업 자금조달의 애로사항 발생 ?? 추진방향 ○ 블록체인 분야에 대한 R&D 자금 지원하여 신기술 개발 및 사업화 촉진 ○ 서울블록체인지원센터 입주기업 우선 지원으로 블록체인 생태계 활성화 ?? 추진계획 ○ 지원대상 : 서울소재 블록체인 스타트업(대학 또는 연구기관 컨소시엄도 가능) ※ 컨소시엄은 서울기업, 컨소시엄 내 기업은 법인기업만 가능 ※ 서울블록체인지원센터 입주기업에 가점 부여 ○ 지원분야 : 코로나19 이후 수요 증가한 블록체인 기술(비대면 인증·보안 등 사업화 필요한 기술 등) ○ 지원규모 : 3개 과제, 총 6억원(과제별 최대 2억원, 1년 이내) - 기술성숙도(TRL) 상 실용화 단계인 7단계 이상 과제 ○ 지원내용 : 기술사업화/기술혁신 위한 연구장비?재료비, 연구활동비, 인건비 등 - 민간부담금 : 총 사업비의 25% 이상(현금부담 : 市 지원금의 10% 이상) ?? 추진일정 및 투입예산 ○ 사업 세부계획 수립 확정 및 사업 공고 : ’21. 2월 ○ 과제접수 및 선정 평가 : ’21. 4월 ~ 5월 ○ 협약 체결 및 사업비 지급 : ’21. 6월 ~ 7월 ○ 과제 진행 : ’21. 7월 ~ 기술개발 교류촉진 15 재외한인과학자 학술포럼 개최 15 재외한인과학자단체 교류사업 재외한인과학자 단체와의 교류를 통해 4차 산업혁명 거점도시 서울 구현을 위한 혁신방안 모색 및 팬데믹 시대에 유용한 기술을 발굴하고 우수기술 보유 국내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해외 협력 네트워크 구축 ?? 사업개요 ○ 추진방법 - 재외한인과학자 단체와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MOU 체결)하여 사업추진의 신속성 및 효율성과 결과물의 신뢰성 제고 ○ 협력대상 단체(안) 구 분 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KSEA) 유럽 한인과학자협회 연합(가칭) 소재지 미국 버지니아주 비엔나 (협회 본부) 유럽 전역 (유럽 9개 한인과학기술자협회 공동주최) 회원 수 약 7,000명 ※ 회 장 : 브라이언 박(美 버지니아대 교수) 약 3,000명 주요 역할 - 한·미 양국의 과학발전 및 교류 - 한인 2세 과학기술 전공자 지원 - 국제학술회의, 심포지엄 등 학술활동 - 최신 기술개발 동향 연구 등 ※ 2015년부터 SBA-KSEA 간 MOU 체결 후 협력사업 진행 ○ 소요예산 : 64백만원 ?? 중점 추진사항 ○ ’21. 7~8월 개최 예정인 한-유럽 과학기술 컨퍼런스(Europe-Korea Conference), 한-미 과학기술 컨퍼런스(US-Korea Conference) 기간 중 서울시 포럼(또는 교류회) 개최 추진 ① 2021 US-Korea Conference (UKC 2021) ? 개최기간 / 장소 : ’21. 7. 28.~7.31. (4일간) / 미국 워싱턴 D.C. ? 주 제 : “글로벌 보건과 지속가능성 보장” ? 참석자 : 한?미 과학기술전문가, 과학기술단체 · 정부 관계자 등 1,000여 명 ② 2021 Europe-Korea Conference (EKC 2021) ? 개최기간 / 장소 : ’21. 7. 19.~7.22. (4일간) / 프랑스 마르세유 ? 주 제 : “지속가능을 위한 길-신기술의 역할” ? 참석자 : 한?유럽 과학기술전문가, 과학기술단체 · 정부 관계자 등 500여 명 ※ EKC 2021 주관단체 : 프랑스한인과학기술협회 ○ 포럼(또는 교류회) 과제 선정 및 연구 -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기술 분야 선정(MOU 체결 후 협의로 확정) - 재외한인과학·기술자 주제 발표 및 혁신기술 관련 전문가 토론회 개최 ○ 국내외 중소기업 간 기술교류 촉진 및 서울시 R&D 지원사업 홍보 등을 위한 해외 협력 네트워크 구축 - 혁신기술 보유 국내 유망 중소기업의 국제 기술교류 및 글로벌 시장 진출 촉진 - EKC, UKC를 통한 사업 홍보 및 유럽, 북미 현지 유관단체 · 기업과의 협력 추진 ?? 추진일정 ○ SBA-재외한인과학자 단체 간 MOU 체결 : ’21. 3월~4월 ○ 주제 선정 및 세부추진계획 협의, 연구 수행 : ’21. 4월~7월 ○ EKC, UKC 內 서울시 포럼(또는 교류회) 개최 : ’21. 7월~8월 ○ 연구보고서 제출 : ’21. 11월 ※ 코로나19 확산 상황에 따라 추진일정 변동 가능 정부 R&D 협력 16 정부지원 대응투자 16 계속사업 정부지원 대응투자 중앙정부 R&D 지원사업에 대한 매칭지원을 통해 서울지역의 고급 연구인력 양성과 신성장동력 산업 육성에 기여 ?? 사업개요 ○ 추진근거 :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제39조 ○ 지원대상 : 서울소재 대학(산학협력단), 연구기관, 의료기관, 기업 등 ○ 지원분야 : IT, 디지털콘텐츠, 공학, 의료·바이오, AI 등 신성장동력산업 ○ 지원내용 : 정부 R&D사업의 과제 주관기관으로 선정된 기관에 대하여 정부 지원금 대비 10% 내외 시비 대응지원 ?? 중점 추진사항 ○ 지원과제 목록 (단위 : 백만원) 선정 연도 주관부처 과 제 명 주관기관 사 업 비 사업기간 합계 국비 시비 ’12 산업통상자원부 창의융합형 공학인재 양성지원사업 (구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사업) ’12.3. ~ ’22.2. ’12.3. ~ ’22.2. ’12.3. ~ ’22.2. ’12.3. ~ ’22.2. ’12.3. ~ ’22.2. ’12.3. ~ ’22.2. ’15 ’15.3. ~ ’22.2. ’1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외우수연구기관 유치사업 ’16.8. ~ ’21.12. ’16.8. ~ ’21.12. 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 ’19.3. ~ 계속 중소벤처기업부 산업기술단지 거점기능 지원사업 ’19.1. ~ ’21.12. ’17 교육부 LINC+ 육성사업 ’17.3. ~ ’2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역 이공계여성인재 진출촉진사업 ’17.5. ~ ’21.2. ’1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AI)대학원 지원사업 ’19.4.~’23.12. 지역전략산업 융합보안 핵심인재 양성사업 ’19.4.~’22.12. ’2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AI)대학원 지원사업 ’20.4.~’24.12. ’20.4.~’24.12. 산업통상자원부 기술거래촉진 네트워크 사업 ’20.3.~’22.12. 협업지능 기반 로봇플러스 경쟁력 지원 사업 ’20.3.~’24.12. 합 계 19,313 17,040 2,273 ※ 정부지원금(국비)는 중앙정부 연차평가결과에 따라 변동 가능 ○ ’21년 기준 19개 계속과제에 2,273백만원 지원 예정 ○ 향후 추가 신규과제 대응지원 요청 시 사업성, 효과성 등 평가(SBA 전문가평가) 후 지원 ?? 추진절차 ※ 사업주관 정부부처별 일정 상이 사업 공고 ⇒ 지원신청 ⇒ 자체평가 및 확약서 발급 ⇒ 과제 선정 ⇒ 협약체결 및 사업비 지급 주관 정부부처 주관기관 ? 市(SBA) - 평가 : SBA - 확약서발급: 市 주관 정부부처 - 주관기관↔중앙정부 - 주관기관↔市(SBA) ?? 향후계획 ○ ’21년도 신규 대응투자 과제 접수 및 지원여부 검토 : ’21. 2월 ○ 신규 및 계속과제 협약체결 및 사업비 지급(SBA) : ’21. 3월 ○ ’22년도 정부지원 대응투자사업 예산 편성 : ’21. 11월 Ⅴ R&D 과제관리 ?? 연구과제 선정 및 관리 체계 ○ ① 사업계획 단계, ②사업수행?종료단계, ③ 사업종료 후 단계에 따라 R&D 지원사업의 평가 진행 - 사업계획 단계 : 선정평가(공개평가, 기술성·시장성 평가) - 사업수행·종료 단계 : 연차평가 및 최종평가 - 사업종료 후 단계 : 추적조사(사후관리) ○ R&D 지원사업 최종평가결과 ‘성공 과제’에 대해 사업종료 시부터 5년간 개발 기술의 사업화로 얻어진 경제적 성과를 추적 조사 실시 - 전담기관(SBA)에 제출한 ‘사업화 현황 보고서’를 바탕으로 사업화 건수, 매출발생 및 비용절감, 고용창출 효과 등을 매년 분석 R&D 지원 계획 수립 서울시 ’21년도 지원계획 수립 및 SBA 통보 ? 사업공모 서울산업진흥원 사업참여 기관 과제계획서 접수 ? 사전검토 서울산업진흥원 기업신용도, 참여자격 적격성, 참여제한여부 등 ※ 참가자격 적정성, 기업신용도, 자격여부 등 ? 선정평가 평가위원회 (서울산업진흥원) 기술분야별 외부전문가 7인 내외 ※ 과제수행능력, 과제추진 목표, 내용의 명확성, 추진체계의 정합성, 사업비 구성의 타당성, 성과활용방안의 적합성 등 ? 과제선정 서울시 서울시 산학연협력사업심의위원회 심의 ? 과제진행 서울산업진흥원 연차평가 및 최종평가 실시 ※ 현장 실태조사 및 전문가 자문 제공, 평가의 연속성 및 평가위원 전문성 강화 ? 과제종료 이후 서울산업진흥원 추적조사(사후관리) 실시 ※ 참여기관 간담회, 기업 심층면담, 상용화 사후관리 강화 등 ?? 사업비 집행 및 관리 체계 ○ ’12년부터 사업비관리시스템(RCMS)을 도입해 사업비 운용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 온라인상으로 집행·정산중에 있음 - RCMS(Real-Time Cash Management System)란 연구개발비 사용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온라인으로 집행?정산하는 시스템 서울시 교부금 ? SBA 시지원금 ? SBA 사업비 관리시스템 민간부담금(현금) ? 수행기관 사업비 건별 지급 ??? 지급요청 수행기관 사업비계좌 대금지급 ? 거래처 - 사업비 포인트제(참여기관 선집행 후청구), 이행보증보험 및 위약금 제도를 적용해 참여기관의 폐업이나 부당사용 등 상황에 적극 대응하고 있음 Ⅵ 행 정 사 항 ○ (경제정책과) 서울형 R&D 사업관리 총괄, 예산지원(市 ⇒ SBA) ○ (SBA) 수행기관 적합성 검토, 협약 및 과제평가, 예산지원(SBA ⇒ 수행기관) ○ (주관부서) 과제 발굴·선정, 진도 체크 및 주관기관 관리 지 원 분 야 추진과제(단위사업) 주관부서 Ⅰ. 기술상용화 지원 ① 기술상용화 지원 경제정책과 ② 성장단계 기업의 스케일업을 위한 글로벌 기술사업화 R&D 지원 투자창업과 ③ 대학자원활용 기술매칭센터 운영 캠퍼스타운활성화과 Ⅱ. 거점 지역(클러스터) R&D 지원 ④ 홍릉 클러스터 조성 바이오·의료 R&D 지원 산업거점조성반 ⑤ 양재 인공지능(AI) 클러스터 조성 R&D 지원 산업거점활성화반 ⑥ G밸리 내 산업 간 융 ? 복합 기업 R&D 지원 산업거점활성화반 ⑦ 동대문상권 활성화 위한 프로젝트 지원 도시제조업거점반 Ⅲ. 챌린지·테스트베드 지원 ⑧ 혁신기술 공공 테스트베드 제공 경제정책과 ⑨ 서울글로벌챌린지 개최 경제정책과 ⑩ 서울혁신챌린지 개최 경제정책과 Ⅳ. 비대면산업 R&D 지원 ⑪ 방역·의료기기 우수기술 사업화 R&D 지원 산업거점조성반 ⑫ 포스트 코로나 특화 AI 기술개발 지원 산업거점활성화반 ⑬ 비대면 금융생활 수요를 반영한 핀테크 기술개발 지원 경제정책과 블록체인 스타트업 기술사업화 지원 투자창업과 Ⅴ. 기술개발 교류촉진 재외한인과학자 단체 교류 경제정책과 Ⅵ. 정부 R&D 협력 정부지원 대응투자 경제정책과 참고 ’20년 R&D 지원 추진 결과 1 서울형 R&D 지원 ?? ’20년 사업 추진결과 ○ 주요 개선사항 2019 2020 기업 R&D 소기업 중심 R&D 지원 (50억원) 소기업 중심 R&D 지원 확대 (77억원) 코로나19, 사업기간 및 환수금·기술료 납부기한 연장 기업 단독 기술개발 중심 지원 대학+기업 공동 기술개발 지원 신규 추진 내수시장 중심 상용화 지원 글로벌 시장 진출(수출 지향형 과제) 지원 국내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연계 일본 등 해외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연계 정책 R&D 클러스터 기반 R&D 활성화 지원 (81억원) 코로나19 대응 4개 분야 긴급 지원(49억원) 클러스터 기반 R&D 지원 확대 (127억원) (일부) 지역제한 완화 지원 서울 소재 기업 지원 집중, 기업 단독 참여 허용 혁신 R&D 공공분야 테스트베드 제공 (100억원) 공공분야 테스트베드 제공 확대 (129억원) 상시접수·수시평가시스템 구축 사업절차 개선(대면심사 전 참여기업-수요 기관 실증 협의)을 통한 실증 적합성 제고 국내 참가자 중심 시상식 위주의 챌린지 국제 학술챌린지 및 시제품개발비 신규 지원 ○ 지원 성과 : 3,277개 과제, 599,778백만원 지원(누적) (단위 : 건, 백만원) 구 분 합 계 ’05~’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지원과제 수 3,277 2,008 64 68 85 210 210 264 368 신규과제 2,527 1,415 44 54 52 187 196 239 340 계속과제 750 593 20 14 33 23 14 25 28 지 원 액 599,778 442,787 14,942 14,429 15,645 17,734 19,214 31,498 43,529 ○ 사업화 성과 (’05~’19) (단위 : 명, 백만원) 연 도 매출발생 비용절감 신규고용 고용 구성 연 구 인 력 생 산 인 력 기 타 인 력 누 적 503,005 45,448 3,384 1,276 1,464 644 2019년 96,763 6,018 585 290 113 182 2018년 80,269 4,529 409 245 96 68 2017년 70,413 8,843 353 185 74 94 2016년 64,013 5,340 291 124 62 105 2015년 16,301 1,904 117 57 27 33 `05∼`14년 175,246 18,814 1629 375 1092 162 ※ ’20년 사업화 성과는 기업회계자료의 국세청 신고 후 산정하여 '21년 하반기 집계 ○ 연구 성과 (’05~’19) (단위 : 건, 백만원) 구 분 학술 성과 지식재산권 기술 이전 수상 인증 논문게재 학술발표 특허출원 특허등록 건수 계약 규모 (백만원) 일반 SCI 누 적 1,722 3,081 13,459 2,348 870 855 28,443 1,376 2019년 10 3 35 72 24 3 38 68 2018년 13 6 46 67 17 3 19 67 2017년 10 4 61 63 20 34 1,243 48 2016년 7 1 48 62 3 25 1,633 18 2015년 2 9 64 74 28 42 1,704 18 `05∼`14년 1,680 3,058 13,205 2,010 778 748 23,806 1,157 ?? 우수 성과 사례 ? 펀 딩 결 과 오픈 프로젝트 : 100개 참여 투자자 : 19,870명 펀딩액 : 1,793백만원 ’19년도 대비 투자자 5,289명↑ 투자액 736백만원↑ 20년 신규 20년 신규 20년 신규 국내·외 메이저 시장검증 플랫폼(크라우드펀딩사) 및 홍보 플랫폼과 협업하여 사업화 지원 2 공동협력 기술개발 지원 ?? ’20년 사업 추진결과 ○「정부지원 대응투자사업」 - 지원현황 : 282개 과제 289억원 ※ 중앙부처별 R&D 지원사업에 대한 매칭 지원 (10% 내외) (단위 : 백만원, 개) 구 분 계 ’04년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계 지원액 28,898 16,326 1,874 1,290 1,396 1,022 1,150 1,289 1,110 1,065 2,376 과제수 282 142 15 16 14 13 15 16 15 16 20 신규 지원액 5,711 2,818 300 150 20 40 465 465 - 150 1,303 과제수 55 30 7 1 1 2 4 4 - 2 4 계속 지원액 23,084 13,508 1,574 1,140 1,376 982 685 824 1,110 915 970 과제수 227 112 8 15 13 11 11 12 15 14 16 - 연도별 성과 (단위 : 건, 명) 선 정 연 도 과학기술연구성과 지식재산권 사업화 및 연구성과활용 인력양성 학술지 게재논문 학술대회 발 표 수상/인증/ 포상 실적 출 원 등 록 기 술 이 전 사업화 시정활용 기 술 연구인력 양 성 연수지원 ’05~’11 1,832 4,440 157 361 186 20 7 6 4,761 3,689 2012 254 663 27 57 37 7 27 0 450 119 2013 169 553 52 85 18 16 16 3 5,562 97 2014 42 68 46 77 0 20 27 2 6,225 79 2015 25 44 91 67 0 30 0 5 7,015 84 2016 45 50 74 32 13 1 20 6 306 59 2017 64 101 97 122 41 29 24 4 161 100 2018 54 90 92 116 38 1 42 2 100 87 2019 82 92 122 149 73 43 12 5 197 8,483 계 2,567 6,101 758 1,066 406 167 175 33 24,777 12,797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정보

'21년 R&D 지원 기본계획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경제정책실 경제일자리기획관 경제정책과
문서번호 경제정책과-1345 생산일자 2021-01-26
공개구분 부분공개 보존기간 준영구
작성자(전화번호) 이영민 (02-2133-5223) 관리번호 D0000041787371
분류정보 경제 > 산업기술개발육성 > 일반산업기술지원 > 산업기술개발및지원 > 서울시산학연협력지원사업운영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