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농업기술센터 혁신방안 추진계획

문서번호 서울특별시농업기술센터-5375 결재일자 2020.4.29. 공개여부 부분공개(5) 방침번호 시 민 기획홍보팀장 농업교육과장 농업기술센터소장 경제일자리기획관 경제정책실장 진우용 강금완 조상태 신종우 04/29 김의승 협 조 도시농업정책팀장 한광모 기술보급과장 이연미 농업기술센터 혁신방안 추진계획 2020. 4. 경제정책실 (농업기술센터) 목 차 Ⅰ 추진배경 1 Ⅱ 추진방향 3 Ⅲ 업무 혁신 분야 4 1. 비전 및 추진전략 4 2. 주요과제 지표 5 3. 주요과제 추진계획 6 ① 치유농업(Care farming) 육성 6 ② 곤충산업 활성화 22 ③ 미래 스마트 농업 37 ④ 농업 전문인력 양성 57 Ⅳ 조직 개선 분야 66 1. 조직과 인력 66 2. 운영 현황 66 3. 개선 방안 67 Ⅴ 행정사항 69 1. 미래전략 TF운영 69 2. 추진점검 69 3. 세부실행계획 수립 70 농업기술센터 혁신방안 추진계획 대내외적 농업 환경의 변화 및 시민고객의 기대와 수요에 부응하는 기관으로 거듭나기 위하여 업무 혁신 추진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고자 함. Ⅰ 추진배경 ?? 도시농업 환경변화에 부응 ○ 최근 도시농업의 ‘치유적 기능’에 대한 시민욕구 증대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 2020. 3. 24. 제정. 2021. 3. 25. 시행 ○ 차세대 고부가가치 곤충산업을 미래 성장산업으로 육성 - 곤충엑스포, 곤충산업 창업기반확대, 찾아가는 곤충교실 등 ○ 도시내 유휴 공간을 활용한 미래 스마트 농업기술 보급 - 아쿠아포닉스, IoT 식물재배, 농업용 클로렐라 보급 등 ○ 미래 도시농업 보급?확산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필요 - 치유농업사, 곤충산업 전문인력, 스마트농업 전문인력 등 ○ 기존 도시농업사업 평가 분석에 따른 업무 전환 필요 - 자체 TF운영 업무 진단을 실시하여 효율성 제고 ?? 해외 농업환경 변화 사례 ○ 유럽 선진국가들의 도시 내 치유농업(CARE FARMING) 활성화 - 영 국 : 도시텃밭의 치유기능을 활용 1,000개 이상 활발히 운영되고 있음 - 이탈리아 : 로마의 사회적 협동농장과 결합한 민관협력의 치유농업 사례 - 네덜란드 : 보건기능과 결합한 치유농장 보급 정착 및 스마트농업 기술선도 ○ 미국의 도시농업관련 산업화와 공동체문화 활성화 - 유명기업들이 농업분야를 블루오션으로 인식하여 식물공장 기술 선도 - 도시 내 텃밭농장 및 커뮤니티 활성화 : Farmers Market 등 ○ 일본의 도시농업 신성장 산업화 - 동경시내 빌딩형 스마트 팜(식물공장)을 랜드 마크로 운영한 사례 - 일본의 애완곤충산업 규모는 2조 내외로 한국의 6배 이상 활성화됨 ○ 중국의 스마트농업 분야 급부상 - 드론산업 및 IoT분야 집중투자에 따른 신흥 농업분야 강국으로 급부상 ?? 사회변화에 따른 서울시농업기술센터 기능 역할의 변화 기간 ’57년~’79년 ’80년~’99년 ’00년~’19년 ’20년~미래 주요목표 ?식량증산 ?지역개발 ?기술보급 ?도시농업 시작 ?농업경영혁신 ?농업인력육성 ?도시농업 확대 ?치유농업적용 ?미래농업보급 사업 대상 전문농업인 농업인+시민 (70)+(30) 농업인+시민 (40)+(60) 농업인+시민 (20)+(80) 사업형태 ?근대화 지도사업시작 - 현장방문지도 - 시범사업 중심 새기술 파급 - 독농가 집중 육성 - 마을별 소규모 교육 ?신기술 원예농업 전국 선두 주자 - 근교 시설농업 (채소,화훼) - 시민원예 시작 ’86년 아시안게임, ’88 올림픽 계기 - 우리음식, 여성 학습 단체 활성화 ★’92 전국 최초 주말농장 조성 지도 실시 ?전국 도시농업확대 서울시 주도적 역할 -체험중심 대상자별 맞춤형 교육(유치원,초등·중 고등학교, 실버세대형 텃밭, 체험농장 운영) - 강소 전문농 육성 ★ ‘12년 도시농업 원년선포 ?치유농업,곤충산업 도시형 지도사업 선도 - 치유농업 모델개발 및 적용 - 곤충산업 기반확충 - 미래스마트농업강화 ★ 도시농업 3.0 비전 실천 Ⅱ 추진방향 함께하는 도시농업 행복한 서울 치유농업 확산 및 삶의 질 향상 친환경?신성장 스마트농업 선도 효율적이고 전문성있는 조직 인재양성을 통한 도시농업 확산 교육 서비스 ? 대상별 맞춤형 치유농업 교육 프로그램 체계화 ? 시민친화적 현장 체험중심 교육 첨단농업 ? 신성장 미래농업 기반 구축 ? 친환경?스마트농업 강화 핵심 인재 육성 ? 전문성있는 핵심인력 양성 체계 구축 ? 도시농업 일자리 창출 조직?인력 ? 조직 정체성, 비전과 목표 재정립 ? 인력 운영 효율화 및 전문성 증진 Ⅲ 업무 혁신 분야 1 비전 및 추진전략 비전 함께하는 도시농업, 행복한 서울! 목표 도시농업 활성화로 시민생활의 질 향상 지속가능한 친환경 스마트 농업 중점 추진 과제 치유 농업 육성 곤충 산업 활성화 미래 스마트 농업 농업전문인력 육성 추진 전략 시민친화적인 도시농업 서비스 제공 ? 신성장 첨단농업 기술보급 ? 핵심인력 양성을 통한 도시농업 확산 2 주요 과제 지표 [ 4대 주요과제 및 20개 세부과제 (신규 13, 계속 7개) ] 과제명 세부추진 전략 유형 추진계획 및 지표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치유농업 (Care farming) 육성 (6) 치유농업 모델 개발보급 (2) 치유농업 프로그램 개발 신규 프로그램 개발3종 보완 및 현장적용 보급확산 보급확산 보급확산 치유농장 모델 조성 신규 모델개발 운영 2 3 5 5 미세먼지저감·힐링교육 (4) 그린힐링오피스 조성 신규 5개소 5개소 10개소 15개소 15개소 공기정화식물?원예활동 생활화 교육 계속 6,000명 6,500명 6,500명 7,000명 7,000명 학교텃밭 원예프로그램 운영 계속 300개교 350개교 400개교 450개교 500개교 도시농업 실천교육 계속 6,000명 6,500명 7,000명 7,500명 8,000명 곤충산업 활성화 (4) 찾아가는 곤충교실 신규 50단체 100단체 100단체 100단체 100단체 세계 곤충엑스포 계속 1만명 10만명 10만명 10만명 10만명 서울형 곤충산업 연구용역 신규 1 - - - - 곤충산업 창업 기반확대 신규 20개소 30개소 40개소 20개소 10개소 미래 스마트 농업 (6) 도시농업신기술 보급 (4) 아쿠아포닉스 모델 개발 보급 계속 모델 개발 1개소 3개소 3개소 3개소 IoT 기술적용 식물재배기 보급 신규 10개소 10개소 10개소 10개소 10개소 도시 유휴공간활용 식물공장 모델 보급 신규 (검토) - 1개소 3개소 3개소 3개소 농업용 클로렐라 배양기 보급 신규 실증 9개소 12개소 15개소 18개소 스마트농업 육성 (2) 서울「스마트 힐링-팜」조성 신규 (검토) - 타당성용역 투자심사 기반조성 1개소 (시설공사) 서울농업 새기술 시범 및 지원사업 신규 4종 3개소 35농가 4종 3개소 35농가 4종 3개소 35농가 4종 3개소 35농가 4종 3개소 35농가 농업 전문인력 양성 (4) 치유농업사 양성 신규 (검토) 과정 개발 30명 30명 30명 30명 도시농업전문가 양성 계속 100명 100명 100명 100명 100명 곤충산업 전문인력 육성 계속 60명 80명 100명 120명 120명 스마트농업 전문인력 육성 신규 945명 1,450명 1,080명 1,560명 1,190명 ※ (검토)사업은 2020년 예산 미확보로 향후 예산확보 후 추진할 계획임 3 주요과제 추진계획 1 치유농업(Care farming) 육성 ?? 추진배경 ○ 급격한 사회변화에 따른 공동체성 해체, 개인화로 인한 고독사, 우울증, 이혼, 실업, 학교밖 청소년 등의 증가로 치유의 중요성 대두 - 서울시 1인 가구 1,229천 가구(32%)로 ‘사회적 관계망 형성’의 필요성 급부상 <2018기준> 1인가구의 부정적 측면 : 경제적 불안(31%), 몸이 아프거나 위급할 때(24%), 외로움(22%) - 특수계층 만이 아닌 대다수 국민에게 「치유」가 필요한 상황으로 최근 10년간 ‘힐링캠프’, ‘힐링콘서트’, ‘힐링푸드’, ‘힐링박람회’ 등 ‘치유’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음 - 서울 도시농업 원년선포로 활성화되고 있는 도시농업 분야에서도 농업의 다원적 기능 중 농업?농촌의 치유적 기능에 대한 시민 요구가 급증하고 있음 ○ 최근 치유농업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농장 등 기반 시설이 마련된 농촌에서의 치유농업으로 국한되어 있어, 도시 환경에 맞는 치유농업 모델 필요 - 사회문제 해결, 고용창출, 육체·정신 건강관리를 위한 다양한 전문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이 요구됨 - 국내 치유농업 사례(농촌진흥청 치유농업 보고서 2016) 국내 치유농장 현황 : 농작물 활용형(8), 동물 활용형(1), 6차산업(생산+가공+체험)형(2) ○ 우리시 「고독사 없는 서울 추진계획」과 연계 「치유농장」조성?시범 운영 - 독거노인, 학교밖 청소년 대상 치유프로그램 운영(2019년) ○ 물리적 환경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미세먼지’가 국민의 신체,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데 이에 따른 정책적 해결이 시급함 - 우리나라 미세먼지 농도는 전세계 180개국 중 173위, 도시민은 하루 중 평균 21시간(88%) 실내생활로 실내 공기질에 대한 관심증대 - 특히 전국 학교의 17.8%가 미세먼지 매우나쁨 수준(81μg/㎥) 으로 심각 초중고 6,758개 학교 중 1,205개 학교가 매우나쁨 수준(2017년) ※ 실내 면적 대비 2%의 공기정화식물 도입으로 미세먼지의 20% 저감 20㎡ 크기의 거실 기준 식물 크기가 초장 100cm 이상으로 큰 것은 3.6개, 30~100cm의 중간은 7.2개, 초장 30cm 작은 것은 10.8개(평균 큰 것 1개 / 3.3㎡) ○ 민영텃밭, 학교텃밭 증가에 따른 대상별 농업교육과 힐링푸드이자 로컬푸드인 우리농산물을 이용한 전통음식(슬로푸드)에 대한 관심과 교육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음 ○ 이러한 도시농업에 대한 「치유적 기능」요구에 부응하는 치유농업, 미세먼지 저감, 원예?음식교육 사업의 전면적 확대 전개 필요 - 도시농업의 핵심 주제가 「친환경 먹거리, 여가문화」에서 「치유?공동체와 생태회복」으로 이동 ?? 국내 치유농업 사례 (농촌진흥청 치유농업 보고서, 2016) <국민 건강관련 실태> ◆ 우리나라 우울증 환자 비율 : 전체 국민의 1.5%,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1일 44명) ◆ 만성질환으로 인한 건강문제 : 사망의 81%, 전체 의료비의 84% 차지 - 고혈압 > 신경계질환 > 정신 및 행동장애 .... (출처 : 건강보험심사평가원?국민건강보험공단) ○ 농작물 체험 치유농업 → 꽃뜰Nature Farm(양평), 나폴리농원(통영) - 꽃뜰Nature Farm(양평) : 장애인 원예농업 직업재활체험, 정신질환자 등 원예치료 프로그램 운영 - 나폴리농원(통영) : 편백숲 맨발 치유프로그램 운영, 초중고생을 위한 교과과정 연계 프로그램 운영 ○ 애완동물 치유농업(농촌체험+동물체험) → 산토끼농촌교육농장 - ’토끼처럼‘ 프로그램운영, 토끼와 친구하기(교감체험), 먹이체험장, 식생활체험, 팜파티 ○ 6차산업 치유농업(약선음식 생산+가공+휴식) → 지리산휴가영농조합 - 1박2일 힐링팜스테이, 치유음식가공체험, 치유약선요리체험 ○ 학교텃밭(스쿨팜) 원예치료 → 서울농업기술센터, 우리애그린(노원) ○ 종합병원 내 옥상 치유정원 → 서울시립서북병원(은평) ?? 주요사업 및 대상별 효과 ○ 치유농업 참여 주체별 효과 영역 1-1 치유농업(Care farming) 모델 개발 보급 ?? 추진목적 ○ 농업자원을 활용한 치유 서비스를 통해 시민들의 심리적?사회적?신체적 건강을 증진하고 관련 산업 활성화에 따른 일자리 창출 ?? 추진방향 ○ 치유농업의 제도적, 법적 지원 기준 마련 및 맞춤형 치유농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치유농업 연구 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제정(2020.3.24.)후 시행(2021. 3. 25.)] - 치유농업 육성 및 지원 조례 운영(강원도, 경상북도) ○ 치유농업 수요 증가에 따라 도시 환경에 맞는 치유농장 모델 개발 ?? 단계별 목표 구 분 1 년 차 2 년 차 3 ~ 5 년 차 프로그램 개발 (3종) 생애주기별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및 시범적용 (3개 프로그램) 프로그램 보완 및 현장적용 프로그램 보급 및 확산 모델조성 시범 (15개소) 치유농장 유형별 모델 개발 유형별 치유농장 선정 및 조성 (2개소) 유형별 치유농장 확산보급 (13개소) 1-1-1 생애주기별 맞춤형 치유농업 프로그램 개발 신규 도시생활권 내에서 농업자원을 활용한 전인적(신체적, 정신적, 관계적, 교육적)이고 지속적인 치유가 가능한 프로그램 개발 적용 ?? 추진방향 ○ 최근 치유농업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기반시설(농장 등)이 마련된 농촌에서의 치유농업으로 국한되어 있어, 도시 환경에 맞는 맞춤형 치유농업 프로그램 개발 ?? 사업계획 ○ 사업규모 : 프로그램 개발 3종(2020~2024년) ※ [`20년] 프로그램 개발 및 시범적용 → [`21년] 프로그램 보완 및 현장적용→ [`22∼`24년] 프로그램 보급 및 확산 ○ 사업대상 : 청소년기(만13~18세), 청장년기(만19~64세), 중노년기(만65세 이상) ○ 사업내용 - 농업자원의 활용과 이와 관련된 활동을 통해 도시형 치유농업 프로그램 개발 - 프로그램의 다양화. 치유효과 상승을 위해 타 분야와 접목한 프로그램의 적용 ○ 추진체계 및 기대성과 계획수립 · 홍보 실행 진단 및 평가 기 대 성 과 계획수립(1월) 프로그램 개발(1~3월) 홍보(2~3월) 청소년기, 청장년기, 중노년기 대상 치유농업 프로그램 운영(4~11월) 대상자별 프로그램 매뉴얼화(11월) 생애 주기별 맞춤형 프로그램 3개 개발 및 적용 <피드백> 프로그램 보완 및 수정 <생애주기별 대상 및 특성 구분> 생애주기별 구분 특 성 전반기 청소년기 (13~18세) 청소년 ? 성장기, 학령기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전환되는 과도기) 신체적 : 급격한 신체 성숙, 2차성징 사회적 : 감정적 독립, 자아 정체성 확립, 사회성 발달 후반기 청장년기 (19~64세) 청장년 ? 사회적 활동기 (청년기에서 장년기로 전환되는 과도기) 신체적 : 신체기능 왕성, 스트레스 증가 사회적 : 경제활동의 중심, 심리적 스트레스 증가(자녀양육 등) 중노년기 (65세 이상) 중노년 ? 노후 준비기 (중년기에서 노년기로 전환되는 과도기) 신체적 : 신체기능 저하, 만성병 위험 증가, 갱년기, 면역력 약화 사회적 : 은퇴, 경제적 능력 상실, 심리적 상실(자녀독립 및 일자리 감소 등) <치유농업 추진 현황(2019년)> ○ 센터 내 치유농장 조성 : 5,300㎡ (서초구 내곡동) - 참여자 실습텃밭, 허브를 활용한 향기정원, 식용꽃 정원, 밭작물 전시포 약용식물 전시포, 야외교육장 쉼터조성 등 참여자 실습텃밭 향기정원 식용꽃 정원 휠체어 텃밭 ○ 치유농업 프로그램 운영실적 : 20기 318명 대상 참여인원 주요내용 강사 효 과 계(20기) 318명 독거노인(4기) 66명 텃밭활동, 원예활동, 소셜다이닝 등 원예치료사 우울감·스트레스 감소, 신체·정서·심리·인지·사회적 건강 증진 학교밖 청소년(2기) 30명 텃밭활동, 원예활동, 심리극 등 심리극전문가 등 장애인(4기) 105명 텃밭활동, 원예활동, 텃밭요리 등 원예치료사 장애아 부모(1기) 9명 텃밭활동, 원예활동, 꽃꽂이 등 원예치료사 복지단체 등(9기) 108명 허브 활용 체험, 농장 산책 등 원예치료사 ?? 연도별 달성 계획·소요예산 사 업 명 구 분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생애주기별 맞춤형 치유농업 프로그램 개발 계 (종) 3 프로그램 개발 3종 프로그램 보완 현장적용 프로그램 보급확산 프로그램 보급확산 프로그램 보급확산 소요예산 (백만원) 250 50 50 50 50 50 ※ 치유농업의 안정적인 추진 및 활성화를 위해 치유농장 부지매입 필요 : 200억원 ※ 시민건강국과의 협업을 통해 치유농업 프로그램의 보건적 접근 필요 ?? 기대효과 ○ 전 세대가 참여 가능한 치유농업 프로그램 활성화로 시민 모두의 삶의 질 향상 ○ 대상별 맞춤형 치유농업 교육 추진으로 치유농업 활성화에 기여 1-1-2 치유농장 모델 조성 시범 신규 공간 특성에 맞는 유형별 치유농장 모델 개발 및 시범 운영을 통해 「서울형 치유농장」확산 ?? 추진방향 ○ 도시농업 수요의 다양화, 고도화에 따른 「유형별 치유농장」 모델 개발 ○ ‘텃밭농장’에서 ‘치유농장’으로 도시농업의 개념 전환 ?? 사업계획 ○ 사업규모 : 15개소(2020~2024년) ※ 시청 도시농업과 사업 이관 (`22년∼`24년) ※ [`20년] 모델개발 운영→ [`21년] 2개소→ [`22년] 3개소 → [`23년] 5개소 → [`24년] 5개소 ○ 사업대상 : 치유농장 모델 적용을 희망하는 농장 등 ○ 사업내용 구 분 내 용 대상 강 사 규모 A형 (시설형) 시설을 이용한 치유농장 조성 - 허브, 채소, 식용꽃 재배공간 - 교육장, 그늘막, 쉼터 등 ⇒ 심신치유, 적응력 증진 사회적 약자 (장애인, 환자 노인, 재소자 등) 치유농업사 원예치료사 심리상담사 등 100㎡내외 (병원, 복지관 등의 유휴공간 활용) B형 (농장형) 자연경관 활용 치유농장 조성 - 힐링 푸드 · 소셜다이닝 코너 - 애완동물 놀이터 등 ⇒ 공동체 문화 확산 매개 활용 어린이 청소년 일반시민 치유농업사 원예치료사 심리상담사 등 1,000㎡내외 (경작지, 농장 부지 등) ○ 추진체계 및 기대성과 - 2020년 : 치유농장 모델 개발 및 시범운영 - 2021년~2024년 : 치유농장조성 및 운영 ※ 도시농업과 : 치유농장 확대 조성 농업기술센터 : 치유농장 모델 개발 및 보급 치유농업사 양성 지원 사업홍보 및 대상지 모집 현장심사 및 대상지 선정 농장조성 및 프로그램 운영 기 대 성 과 계획수립(1월) 대상지 모집(1~2월) 현장심사(2월) 대상지 선정(3월) 농장조성(3월) 운영 관리지원(4~11월) 치유농장 모델 보급 15개소 <피드백> ?? 연도별 달성 계획·소요예산 사 업 명 구 분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치유농장 모델 조성 시범 계획(개소) 15 모델개발운영 2개소 3개소 5개소 5개소 소요예산(백만원) 750 - 100 150 250 250 ?? 기대효과 ○ 도시 환경에 맞는 치유농장(도시형 치유텃밭) 모델 제시 1-2 미세먼지 저감·힐링교육 ?? 추진 목적 ○ 우리나라 미세먼지 농도는 전세계 180개국 중 173위, 도시민은 하루 중 평균 21시간(88%) 실내생활로 실내 공기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 공기정화 식물을 활용한 공기정화기술을 실내 환경에 적용하여 미세먼지?공기오염 물질 저감 및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 ?? 추진 방향 ○ 실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하여 공기정화식물을 활용한 그린힐링오피스 조성 및 자치구, 복지시설 등과 협력 추진하여 다양한 계층에게 공기정화식물 및 생활원예에 대한 교육 추진 ○ 단순 농작물 재배의 개념에서 벗어난 다양한 농업활동에 대한 관심 증대에 따라 학생 시민 대상 생활원예, 농업체험, 농산물 가공, 전통음식 등 다양한 농업교육으로 치유농업 문화 확산 ?? 추진내용 사무공간 ? 그린힐링 오피스 조성 : 50개소, `20년~`24년 쾌적한 실내공간 조성 및 도시민 정서함양 ? 하루 중 평균 21시간(88%) 실내생활 ? 실내공간은 미세먼지 오염 수준이 심각 ? 도시농업 및 식물의 기능성(미세먼지 제거 등) 활용 실내환경 개선 및 도시민 정서함양 가 정 ? 공기정화식물 및 원예활동 생활화 교육 : 33,000명, `20년~`24년 ? 도시농업 실천기술 교육 : 91,980명, `20년~`24년 학 교 ? 학교텃밭 원예프로그램 운영 : 2,000개교 `20년~`24년 ※ 채소류 등 텃밭작물 외에도 실내식물 관련 교육 추진 전문인력 양성 ? 도시농업전문가 양성교육 : 500명 `20년~`24년 ※ 도시농업 기술 확산 보급 할 전문 인력 양성 1-2-1 그린힐링오피스 조성 시범 신규 공기정화식물을 활용한 그린오피스 현장적용을 통하여 미세먼지?공기 오염 물질 저감과 정서순화로 쾌적한 근무환경 조성 ?? 추진방향 ○ 공기정화식물을 공간부피 대비 2% 도입하여 미세먼지 및 공기오염물질 저감으로 육체적·정신적으로 쾌적한 환경조성 - 식물 Bio filtration 기능을 활용한 “실내공기정화 토탈시스템” 기술적용 (`17년, 농촌진흥청) - 공간부피 대비 2% 의 공기정화식물 도입으로 미세먼지 20% 저감 (`19년, 농촌진흥청) ○ 시민방문이 많은 장소 등에 조성하여 현장모니터링 등 효과분석을 통해 미세먼지 저감 대안 제시 ?? 사업계획 ○ 사업규모 : 50개소(2020~2024년) ※ 시청 도시농업과 사업이관 (`22년∼`24년) ※ [`20년] 5개소 → [`21년] 5개소 → [`22년] 10개소 → [`23년] 15개소 → [`24년] 15개소 ○ 사업대상 : 공공기관(자치구, 주민센터 등) ○ 사업내용 구 분 주 요 내 용 미세먼지저감 식물배치 사무공간 특성에 맞는 탁상형(테이블형), 파티션형, 벽면형으로 설치 공기정화 및 미세먼지저감 식물 배치 공기정화식물 교육 - 대상 : 사업대상지 근무자 및 희망자 등 - 내용 : 공기정화식물의 미세먼지 제거효과 등 기능성 및 재배방법 ※센터 공기정화식물·원예활동 생활화 교육과 연계추진 효과분석 - 조성 전·후 미세먼지농도(PM2.5) 주기적 측정 및 데이터 관리 - 스트레스 지수(맥파측정기) 측정 - 행복감 척도, 만족도 조사 등을 통한 효과분석 식물관리 - 지정업체가 식물 및 바이오월 등 유지관리를 정기적으로 수행(월 1회, 설치일 ~12월까지) - 담당자 교육 : 식물재배, 조성물품 관리방법(2~3회) - 기 타 : 도시농업전문가 등 활용 생활원예동아리 운영 컨설팅 지원 파티션형 벽면형(바이오월) 미세먼지(PM2.5) 농도 측정 효과분석 ○ 추진체계 사업홍보 및 대상지 모집 현장심사 및 대상지 선정 그린힐링오피스 조성 및 운영 성과분석 및 결과평가 1~2월 중 2월 중 3~12월 12월 중 ▶<사업신청서 심사>-향후 3년간(’21~’23년) 자부담하여 유지계속 계획 있을 때 가점부여 ※ 연구개발 현황 ○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헬스케어식물 발굴(`17년, `19년 농촌진흥청) 미세먼지 홍보 미세먼지 제거 효과 식물별 미세먼지 제거 - 초미세먼지 ‘나쁨’(55㎍/㎥)인 날 기준, 20㎡의 거실에 잎 면적 1㎡의 화분 3∼5개를 두면 4시간 동안 초미세먼지를 20% 저감 - 미세먼지 제거에 우수한 식물 : 파키라, 백량금, 멕시코소철, 박쥐란, 율마 ○ 실내식물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 정화 원리와 효과(`15년, 농촌진흥청) ○ 식물 Bio filtration 기능을 활용한 “실내공기정화 토탈시스템” 개발(`17년, 농촌진흥청) 바이오 월 구조 바이오 월 공기정화 효과 현장 활용전경 ○ 개인용 식물-공기청정기 ‘미니 바이오월’ 현장적용(`17년, 농촌진흥청) ○ 실내식물 종류별 미세먼지 제거 효율 비교 분석(`19년, 농촌진흥청) ?? 연도별 달성 계획·소요예산 단위사업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계 획 50개소 5개소 5개소 10개소 15개소 15개소 소요예산(백만원) 900 90 90 180 270 270 ?? 기대효과 ○ 미세먼지 저감식물에 의한 실내환경개선으로 근로자 및 이용자 건강증진 ○ 실천 가능한 「미세먼지저감?공기정화」대책으로서의 가능성 실증과 확산 1-2-2 공기정화식물 및 원예활동 생활화 교육 계속 공기정화식물 등 식물의 기능성(미세먼지 제거 등)을 활용한 생활원예교육 추진으로 실내환경 개선 및 도시민 정서 함양 ?? 추진방향 ○ 공기정화식물의 효과 및 활용, 효율적인 실내 배치 등 실생활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교육으로 추진 ○ 자치구, 복지시설 등과 협력 추진하여 다양한 계층에게 공기정화식물 및 생활원예에 대한 교육 추진 ?? 사업계획 ○ 공기정화식물 및 원예활동 생활화 교육 : 33,000명 - 사업기간 및 계획 : 2020년~2024년, 33,000명 [`20년] 6,000명 → [`21년] 6,500명 → [`22년] 6,500명 → [`23년] 7,000명 → [`24년] 7,000명 - 교육 내용 : 공기정화식물의 미세먼지 제거효과 등 기능성 및 재배방법, 꽃누르미, 허브식물 등 원예활동 생활화를 위한 교육 추진 ※ [`19년 실적] 미세먼지 제거 공기정화식물 교육 4,732명, 원예활동생활화교육 987명 ○ 추진체계 사업 계획 수립 교육신청 접수 교육 추진 성과분석 및 결과평가 1월 중 2 ~ 3월 중 (자치구, 복지시설 등 대상) 3~11월 12월 중 ○ 소요예산 : 215백만원 (2020~2024년) ?? 연구개발 현황 ○ 새집증후군 증상 아토피성 천식에 효과적인 식물 선발(2007년, 농촌진흥청) ○ 초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관엽식물 이용(2013년, 충북대학교) ○ 실내식물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 정화 원리와 효과(2015년, 농촌진흥청) ○ 실내식물 종류별 미세먼지 제거 효율 비교 분석(2019년, 농촌진흥청) ▷ 생활공간에 공간 부피 대비 2%의 공기정화식물 도입으로 미세먼지의 20% 저감 <가시화 기기로 본 초기 초미세먼지 농도> <식물 있는 방 4시간 후 초미세먼지 농도> · 미세먼지 제거에 우수한 식물 : 파키라, 백량금, 멕시코소철, 박쥐란, 율마 ▷ 국내에서 생성되는 초미세먼지 75%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과 질소산화물 등에 의한 2차 생성 미세먼지임 ·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 실온에서 기체로 휘발하기 쉬우며 피부에 잘 흡수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새집증후군의 주요 원인 물질 ?? 연도별 달성 계획·소요예산 단위사업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계 획 33,000명 6,000명 6,500명 6,500명 7,000명 7,000명 소요예산(백만원) 215 35 40 40 50 50 ?? 기대효과 ○ 공기정화 식물에 대한 홍보?교육으로 시민 건강증진, 식물식재를 통한 실내 환경 개선 ○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유도로 시민들의 우울증?스트레스 감소 ○ 위축된 실내식물의 소비 확대로 화훼산업 및 도시농업 활성화 1-2-3 학교텃밭 원예프로그램 운영 계속 학교 교과과정과 연계한 오감체험 농업교육으로 농업·농촌에 대한 이해 증진 및 우리 농산물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증진, 농작물을 기르고 수확?활용하는 과정에서 정서 순화와 학교폭력 예방 효과 기대 ?? 추진방향 ○ 학교 교과과정과 연계된 학교텃밭 조성 및 원예교육프로그램 운영 ○ 학교텃밭에서 직접 재배하고 수확한 농작물을 이용한 수업 추진으로 건강한 식생활 및 식습관 유도 ?? 사업계획 ○ 학교 교과과정(실과, 과학)과 연계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농자재 지원 - 사업기간 및 계획 : 500개교 (`20년~`24년) 연도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농자재 지원 500개교 300개교 350개교 400개교 450개교 500개교 -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등 학교별 원예프로그램 운영(12회/학교) ? 사업 대상 : 조성 후 3년간, 150개교/년 원예프로그램 운영 ? 교육내용 : 식물 생애(탄생~소멸)를 소재로 수학, 과학, 언어 등 다양한 학습 실시, 식생활?환경생태?문화예술?창의재량 활동 등 추진 - 학교텃밭 운영을 위한 농자재(씨앗, 퇴비 등) 및 관리 매뉴얼 등 지원으로 학교 자체적으로 원예프로그램 운영 유도 ○ 추진체계 원예프로그램 운영 기본계획 수립 신청 접수 교육 추진 결과평가 전년 12월 전년 12월 4~11월 학교별 12회 12월 중 농자재 지원 기본계획 수립 신청 접수 농자재 지원 결과평가 전년 12월 전년 12월 상반기 : 3월 하반기 : 8월 12월 중 ○ 소요예산 : 2,500백만원 [ 2019년 학교텃밭 원예프로그램 운영 및 농자재 지원 실적 ] - 학교텃밭 매뉴얼 지원 : 236개교(`14년~`19년 전체) - 학교텃밭 농자재 지원 : 187개교(`14년~`19년 희망학교) - 학교텃밭 원예프로그램 운영 : 103개교, 103회 8,264명(`17~`19년 희망학교) 대상학교 지 원 사 항 `14~`16년 조성 ? 100개교 - 텃밭 매뉴얼(3종) 지원 : 100개교 - 농자재(모종, 씨앗, 퇴비 등 13종) : 84개교(희망학교만 지원) `17~`18년 조성 ? 83개교 - 텃밭 매뉴얼(3종) 지원 : 83개교 - 농자재(모종, 퇴비 등 25종), 도시농업 전문강사 지원(년12회) : 64개교(희망학교만 지원) `19년 신규 ? 53개교 - 텃밭 매뉴얼(3종) 지원 : 53개교 - 하반기 농자재(모종, 씨앗 등 5종), 도시농업 전문강사 지원(년12회) : 39개교(희망학교만 지원) ※ 신규 대상학교 선발, 학교텃밭 조성(본청 도시농업과) ?? 연도별 달성 계획·소요예산 단위사업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계 획 500개교 300개교 350개교 400개교 450개교 500개교 소요예산(백만원) 2,500 460 480 500 520 540 ?? 기대효과 ○ 학교별 텃밭농장 조성으로 도심 속의 어린이들에게 자연학습의 공간 제공, 농작물 수확과 농산물 활용에 대한 기회 부여 ○ 학교 교과과정과 연계한 오감 농업 체험교육으로 농업의 다원적 가치 확산 및 정서 함양 1-2-4 도시농업 실천교육 계속 농작물 재배기술 등 도시농업 실천기술 뿐만 아니라 단순 농작물의 경작과 재배의 개념에서 벗어난 다양한 농업활동(농업체험, 농산물 가공 등)으로 도시농업 활성화 및 치유농업 문화 확산 ?? 추진방향 ○ 도시농업의 활성화 및 치유농업 문화 확산를 위해 도시농업 실천기술에 대한 교육을 자치구와 협력하여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 텃밭에서 단순 농작물의 경작과 재배의 개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농업활동에 대한 관심 증대를 위하여 어린이 농업체험 교육, 농산물 가공, 전통음식 등 다양한 농업교육 추진 ?? 사업계획 ○ 도시농업 실천교육(도시농부학교, 도시농업힐링교육, 서울농업체험 그린투어) - 사업기간 및 계획 : 35,000명 (`20년~`24년) [`20년] 6,000명 → [`21년] 6,500명 → [`22년] 7,000명 → [`23년] 7,500명 → [`24년] 8,000명 - 도시민의 지속적인 도시농업 확산을 위한 농작물 재배기술, 토양 관리 방법 등 도시농업 실천기술 교육 - 서울 도시농업 현장 견학 및 농업 체험교육으로 도시농업 관심 제고 ※ [`19년 실적] 도시농부학교 5,620명, 도시농업 힐링교육 369명, 서울농업그린투어 601명 - 소요예산 : 425백만원 ○ 어린이 농업체험 교육(친환경농업체험교육, 힐링농업체험교육, 어린이자연체험교육) - 사업기간 및 계획 : 44,500명 (`20년~`24년) [`20년] 8,500명 → [`21년] 8,500명 → [`22년] 9,000명 → [`23년] 9,000명 → [`24년] 9,500명 - 사업내용 ?어린이집, 유치원 등 어린이 대상 농업, 농촌의 이해, 자연체험 교육 추진 - 농업체험 교육을 위한 교육장 운영 ? 친환경농업체험교육장(강동구 상일동, 11,734㎡) ? 힐링농업체험교육장(강서구 과해동, 21,385㎡) ? 시민자연학습장(서초구 내곡동, 6,311㎡) ※ [`19년 실적] 친환경농업체험교육 2,451명, 힐링농업체험교육 4,115명, 어린이자연체험교육 2,543명 - 소요예산 : 1,065백만원 ○ 전통음식?제철농산물 이용교육 - 사업기간 및 계획 : 12,480명 (`20년~`24년) [`20년] 2,480명 → [`21년] 2,500명 → [`22년] 2,500명 → [`23년] 2,500명 → [`24년] 2,500명 - 사업내용 : 전통음식(장류, 떡, 김치 등), 제철농산물을 활용한 농산물 활용교육, 소외계층 및 탈북민을 대상으로 식생활 교육 추진 ※ [`19년 실적] 전통음식교육 1,398명, 제철농산물이용교육 920명, 우리쌀 이용 식품가공교육 395명 - 소요예산 : 295백만원 ○ 추진체계 사업계획 수립 교육신청 접수 교육 추진 결과평가 1월 중 2~10월중 ? 인터넷 예약신청 및 접수 ?자치구 수요조사 접수(도시농부학교) 3~11월 12월 중 ?? 연도별 달성 계획·소요예산 구분 단위사업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계획 계 91,980명 16,980명 17,500명 18,500명 19,000명 20,000명 도시농업 실천교육 35,000명 6,000명 6,500명 7,000명 7,500명 8,000명 어린이 농업체험 교육 44,500명 8,500명 8,500명 9,000명 9,000명 9,500명 전통음식 · 제철농산물 이용교육 12,480명 2,480명 2,500명 2,500명 2,500명 2,500명 소요 예산 (백만원) 계 1,785 326 332 364 369 394 도시농업 실천교육 425 75 80 85 90 95 어린이 농업체험 교육 1,065 192 193 220 220 240 전통음식 · 제철농산물 이용교육 295 59 59 59 59 59 ?? 기대효과 ○ 실용 생활농업교육으로 도시농업 확산을 통한 지역 커뮤니티 조성과 건전한 여가문화 정착에 기여 ○ 지속가능한 서울의 농업환경조성과 유지로 쾌적한 생태도시 육성 2 곤충산업 활성화 ?? 추진배경 ○ 곤충이 가진 다양한 유용성을 산업적으로 활용하는 곤충산업은 차세대 고부가가치 미래성장산업으로 세계 각국에서 관련 연구개발 등 확대 중 ○ 곤충산업 영역이 과거의 양봉, 수정벌, 천적에서 식용과 약용, 환경정화, 문화와 정서, 생태관광의 영역까지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음 ○ 초기단계인 국내 곤충산업의 저변확대를 위한 시민의 인식개선과 홍보전략 필요 ?? 곤충산업 육성 방향 ○ (소비·유통체계 고도화) 생산자 단체의 역량강화, 지역 곤충자원 산업화 센터 활용 및 소비자가 공감하는 홍보 확대 필요 ○ (신시장 개척) 용도별 곤충산업의 지원체계 수립, 수출시장의 진출을 고려한 정책지원 및 온·오프라인 소비채널 개척 ○ (생산기반 조성) 효율적 생산기반 구축, 우수종충 보급체계 마련 및 식용곤충 안전사육 및 질병관리 미흡, 곤충을 활용한 6차산업화 모델 발굴 절실 ○ (산업 인프라 확충) 현장 수요를 반영한 R&D확대 및 제도 미비점 개선, 전문인력 양성 및 곤충산업 기초통계 다각화가 필요 ?? 서울시 곤충산업 추진 필요성 ① 곤충에 대한 인식개선과 수요창출 - 곤충산업 활성화의 최대 걸림돌은 곤충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수용에 오랜 시일이 걸리는 ‘음식문화’의 특성으로 인한 수요부족 ?부정적 인식(혐오감, 거부감)을 긍정적 인식(정서곤충, 미래식량)으로 개선 ?유?초등학생에 대한「정서곤충」사업의 확대로 곤충산업 활성화 선도전략 필요. ?곤충문화 확산을 위한 홍보 : 곤충 매니아, 유투버, 경진대회, 전시(박람회) 등 ② 곤충산업 선도적 역할을 통한 성장 동력 확보 -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소비시장이자 각 산업의 미래성장을 이끄는 서울에서 곤충산업을 선도하여야 곤충산업 저변확대 가능 ?? 곤충산업 발전을 위한 분야별 역할 ○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 주요 곤충산업의 지원체계 수립, 현장 수요를 반영한 R&D 확대, 곤충산업 활성화 법적 체계 보완, 곤충 질병관리 강화, 수출시장 확대, 6차산업화 모델 발굴, 전문인력 양성 ○ 농업인, 기업, 산업체 등 ? 곤충 생산, 유통, 소비 발전 전략 모색, 곤충 생산 및 가공 제품화 ○ 서울시, 중앙정부, 산업체 등 ? 곤충에 대한 인식개선(저변확대) 및 홍보, 제한적 연령층에서 벗어나 전 세대가 좋아할 수 있고 곤충산업을 견인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마케팅 창출 < 서울시농업기술센터 곤충산업 관련 사업추진 현황> ?「곤충전문인력양성교육」추진 : ’18년~’19년 2기 70명(102시간) 곤충전문인력양성기관 지정(‘17년, 농촌진흥청) ?「양봉전문인력양성교육」추진 : ’19년 1기 30명(72시간) ?「식용곤충 조리·외식창업 아카데미 시범사업」추진 : ’19년 1개소 125㎡ ?「대한민국 애완곤충경진대회」개최: ’17년~’19년 전국 최초로 곤충관련 전국대회 개최, 2019년 약 1만명 시민 참여로 곤충인식 증진 ? 곤충산업 기반 확충을 위한 연구회 조직 운영:’17년(서울곤충산업연구회 조직 : 40명) 해외 곤충산업현황 ? 일본 : 애완곤충 산업의 선두주자 ○ 1980년대 초부터 애완곤충 시장이 형성되어 1990년대 외래 애완곤충의 대규모 수입을 통하여 애완용 곤충시장에 대한 붐이 형성 ○ 애완곤충 시장 규모는 약 2조원 이상으로 한국의 6.7배(2015년 곤충시장 3,000억원) - 1990년대 이미 곤충산업 육성법을 정비 - ‘02년부터 산학연 연계 「곤충테크놀로지프로젝트」 추진 ( 농약개발, 형질전환 누에 유용물질 생산기술 개발, 신소재 개발 등) ? 미국 ○ 곤충산업 법적근거 마련해 적극 지원 : 미생물농약제조법, 식물상과 동물상 관리법 등 ○ 천적 곤충 시장만 연간 1,500억원에 달함 ○ 물고기 사료로 곤충 허가 : 검은병사파리 유충 이용 연어류 사료 승인 ? 네덜란드 ○ 육류대체품으로 친환경 곤충을 이용 - 식용곤충의 상품화를 위해 ‘푸드 밸리’의 핵심 연구기관인 와게닝겐대학에 94만 유로 투자 ? 중국 ○ 식용·약용 곤충 시장이 약 10조원 - 약용으로 대량 사육 중인 곤충은 약10종에 달하며 사료용 거저리는 미국 농무부(USDA)의 승인을 받아 미국으로 수출 ? 벨기에 ○ 연방식품안전국(AFSCA)에서 곤충 10종을 식용으로 허가(’13.12) ? 프랑스 ○ 프랑스 정부는 식용곤충 연구팀 설립(’15), 스타트업 기업인 Entomo Farm에서는 세계 최초로 대량 곤충사육시스템 도입(’15) [ 식용곤충 산업 ] ※ 식용곤충을 섭식하는 국가는 전세계에 있으며, 현재도 증가추세임 - 세계식량문제의 대두와 식용곤충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세계 곳곳에서 기업들의 식품개발이 시작되었고, FAO 발표로는 약 124개의 기업이 식용곤충을 활용한 제품을 출시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보고서('13.5)> ※ 곤충의 식용?사료 확대가 미래의 식량 안보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는 보고서를 발표 ◆ 번식력이 강하고, 고단백 저지방 식품일 뿐 아니라 비타민, 섬유소 및 무기질이 풍부하여 영양학적으로 우수 ◆ 또한, 곤충은 소나 돼지 등 기존 가축에 비해 환경 오염요소가 적음 국내 곤충산업 현황 ? 곤충의 활용현황 구분 용도 대표곤충류 활용도 및 경제가치 규모 농식품 영역 천적 긴털이리응애, 진디혹파리, 꼬마무당벌레 등 39종 ?친환경 생물학적 해충방제 및 종합방제 ?코퍼트(Koppert)사 연 1,200억원 ?바이오베스트(Biobest)사 연450억원 화분매개 서양뒤영벌, 머리뿔가위벌 등 다수 ?식물의 수정을 돕는 화분매개 곤충 ?2015년 880억원 전망 ?토마토, 시설딸기 등 19개 작물 활용 식용 벼메뚜기, 달팽이, 갈색거저리 등 1,400여종 ?단백질 공급원으로의 식용곤충 ?국내시장규모 700억원 사료 귀뚜라미, 밀웜, 동애등에 등 ?국내 약60억원 이상의 가치 예상 ?미국 연간 1,500억원 비농식품 영역 환경정화 파리류, 동애등에 등 ?음식물 쓰레기의 친환경적 처리 ?음식물 쓰레기로 버려지는 자원 14조7천억원으로 환경정화곤충 기술개발 요구 기능성 신약 애기뿔소똥구리, 왕지네 등 ?의약품?화장품 개발 등에도 활용 ?곤충유래 물질에서의 기능성 신약 개발 융복합 영역 학습?정서 나비류, 사슴벌레, 장수풍뎅이, 귀뚜라미 등 50여종 이상 ?국내 시장규모 400억원 ?일본 시장규모 2조원(2009년) ?곤충 체험관광, 예술작품, 문화콘텐츠 증가 ? 곤충산업 현황 ○ 곤충 생산?가공?유통농가(업체) 연도 계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충북 충남 (세종?대천) 경북 (대구) 경남 (부산?울산) 전북 전남 (광주) 제주 신고 (개소) 2,318 17 571 101 206 247 455 292 189 207 33 ※ (’12) 383개소 → (’13) 384 → (’14) 464 → (’15) 724 → (’16) 1,261 → (’17) 2,136 → (’18) 2,318 ○ 곤충산업 육성법 제정(2010) 및 곤충산업 육성계획 수립 : 농림축산식품부 - 곤충산업 육성계획 수립 : 1차(2011~2015년), 2차(2016~2020년) - 추진전략 ① 곤충자원의 기존 시장 확대를 위한 최적 지원 체계 구축 ② 새로운 곤충산업 창출을 위한 R&D 지원 ③ 곤충농가 성공모델 발굴 및 곤충산업 성과 사례 확산 ○ 국내 식용곤충 제품화 모델 사례 - 이라바 고소애분말 : ㈜한미양행 - 백일산(장수풍뎅이 유충, 면역증진 향상 등) : ㈜백일식품, 공주대학교 산학협력 - 고소애(갈색거저리 애벌레), 꽃벵이(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 장수애(장수풍뎅이 애벌레), 쌍별이(쌍별귀뚜라미 성충) : 식약처에서 식품원료로 인정 - 케일 에너지바(곤충 추출 단백질 첨가) : ㈜ 케일 2-1 곤충전문 강사가 찾아가는 곤충교실 신규 초등학생 및 정서적 취약계층들에게 곤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생명의 소중함과 정서 및 자아존중감 함양을 위해 찾아가는 곤충교육 추진 ?? 추진방향 ○ 초등학교 정규 교과과정 ‘동물의 한살이’와 연계 자연학습 기회 제공 ○ 치유곤충 프로그램 운영으로 정서적·심리적 안정 유도 ○ 곤충을 활용한 다양한 체험상품 개발 적용으로 곤충에 대한 부정적 인식(혐오감·거부감)을 개선하여 곤충산업 활성화의 장애요인 제거 ?? 사업계획 ○ 교육대상 : 초등학교 3학년 및 사회복지시설 등 450단체 (50단체/’20년, 100단체/’21~’24년) 구 분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사업량 계 450단체 50단체 100단체 100단체 100단체 100단체 초등학교 350단체 30단체 80단체 80단체 80단체 80단체 사회복지시설 100단체 20단체 20단체 20단체 20단체 20단체 ○ 교육장소 : 초등학교 또는 사회복지시설 ○ 주요내용 : 대상별 맞춤형 2개 프로그램 - 학습·치유 곤충을 이용한 체험프로그램 운영 프로그램명 사업대상 이용곤충 주요 체험프로그램 찾아가는 곤충교실 초등학교 3학년생 학습 및 식용곤충 ?정규수업과정 연계 운영 : 동물 한살이의 이해 ?곤충을 이용한 생명존중과 타인의 배려심을 스스로 깨우치는 교육 프로그램 ?식용곤충 조리 체험 및 곤충관련 행사 참가 등 함께하는 곤충테라피 사회복지시설 전 연령층 정서곤충 ?치유곤충을 활용한 체험프로그램 운영 ?반려곤충 사육 : 귀뚜라미, 나비 등 ○ 사업추진체계 찾아가는 곤충교실 사업 홍보 (공문·보도자료) [전년 12월] ? 신청 접수 (30학급 모집) [전년 12월] ? 교육 추진 (1학급당 3회) [ 3~7월 ] ? 결과 평가 [ 10~11월 ] 함께하는 곤충테라피 사업 홍보 (홈페이지 공고) [ 5 ~ 6월 ] ? 신청 접수 (20개소 모집) [ 7월 ] ? 교육 추진 (1개소당 1회, 20년) (1개소당 3회,,`20~`24년 ) [ 7~11월 ] ? 결과 평가 [ 11~12월 ] ○ 세부추진계획 - 초등학교 : “찾아가는 곤충교실” 운영 구분 주요 내용 교육 계획 및 곤충전문 강사 선발 ?학급당 3회(1회 2시간) ?곤충전문 강사 선발 ⇒ 자격검증(강의시연 ? 평가 후 선발 ? 사전교육 실시) 프로그램 구성 1회차 ?기본교육 : ‘곤충의 한살이’ 이론교육 및 사육키트 관찰, 관찰일지 기록 등 - (예)배추흰나비 생활사(알,애벌레,번데기,나비) 알아보기, 워크북(관찰일지) 2회차 ?(A형)식용곤충 조리 실습 및 시식 - 고소애(갈색거저리 애벌레), 꽃벵이(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 장수애(장수풍뎅이 애벌레), 쌍별이(쌍별귀뚜라 미성충)원료로 조리교실 - 1회시 나눠준 워크북 검토, 지도 ?(B형)애완곤충(장수풍뎅이) 사육키트 만들기 - 개체가 크면서 만져도 다치지 않는 장수풍뎅이를 관찰 및 1회시 나눠준 워크북 검토, 지도 - 곤충(장수풍뎅이)과의 교감을 통해 정서적 안정과 생명존중 3회차 ?현장학습 : 『대한민국 애완곤충경진대회』 - 작성한 워크북 개인경진 참가 및 단체 우수사례 발표 경진 참가 등 - 곤충전시 관람 및 체험학습 등 기대성과 곤충에 대한 부정적 인식(혐오감·거부감)을 개선하여 곤충산업 저변확대에 기여하고 곤충과 교감을 통한 생명존중 의식 함양 - 사회복지시설 : “함께하는 곤충테라피” 운영 구분 주요 내용 교육 계획 1개소 당 1~3회(1회 2시간) *개소당 1회(‘20년), 개소당 3회(’21~‘24) 대상별 프로그램 구성 ?아 동 : 정서곤충(장수풍뎅이)을 활용한 심리치유 ?독거 노인 : 소리곤충(귀뚜라미)을 활용한 심리치유 ?발달장애인 : 문화곤충(나비)을 활용한 교감치유 ?곤충매개 치유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자가 스트레스 설문조사 및 타액 α-아밀라아제 검사(‘21년부터)로 곤충 체험활동 전과 후 실시 기대성과 곤충매개 치유를 통한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감소, 심리적 안정감 추구 α- 아밀라아제 함량을 측정(스트레스가 줄어들면 침 속의 α-아밀라아제 함량 감소) ○ 곤충교실 강사 선발 및 역량강화 : 전문강사 20~40명(’21~’24년) - 선발방법 : 서류심사+심층면접(강의시연 포함)→ 전문교육 실시(역량강화) 서류 심사 - 자격증, 학력, 경력, 곤충관련 교육 이수 실적 등 전문 교육 이수 시기 시간 - 2월중 - 4회 8시간 주요 내용 - 애완·학습곤충 및 곤충 매개치유 관련 전문지식 - 체험프로그램 운영 기법, 교재개발, 교재·교구 활용법 - 시연강의, 교육운영 협의 등 심층 면접 심사 - 강의시연평가 (지식수준, 교육적 태도, 인성, 발전가능성) - 강사선발 및 역량강화 추진 체계도 강사모집 강사선발 (서류심사) 강사선발 (면접심사) 강사 역량강화 교육 곤충교실 강의 모집기간 : 1월15~29일 (15일간) 평가항목(정량적 평가) : 자격증, 학력, 경력 곤충관련 교육이수 실적 등 평가항목(정성적 평가) : 관련지식, 강의시연, 지원동기, 발전가능성 등 [심사위원 : 3명(내부1, 외부2) 2월중 (8시간, 4회×2시간) 찾아가는 곤충교실 및 함께하는 곤충테라피 진행 ○ 곤충교실 교재 제작 : 1종(워크북) ? 농촌진흥청 연구자료와 초등학교 3학년 교과서를 바탕으로 제작 활용 ?? 연도별 달성 계획·소요예산 사업명 구분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찾아가는 곤충교실 계획(개) 450개 (초350복지100) 50개 (초30,복지20) 100개 (초80,복지20) 100개 (초80,복지20) 100개 (초80,복지20) 100개 (초80,복지20) 소요예산 (백만원) 1,088 88 250 250 250 250 ?? 기대효과 ○ 초등학생들의 자연생태 이해와 탐구력 향상 ○ 곤충을 통한 생명존중의식 및 타인에 대한 배려심 증진 ○ 반려곤충을 통한 심리치유로 삶의 질 향상 참고 1 곤충이용 심리치유 효과 연구 사례 <왕귀뚜라미의 심리치유 효과 구명 연구사례, 농촌진흥청 2015년> ※ “왕귀뚜라미의 노인층 우울증과 인지기능 개선”(2015년) - 공동연구 : 농촌진흥청 농업과학원과 경북대학교 의대 - 연구내용 : 심리적 취약 계층인 65세이상 노인층 대상으로 왕귀뚜라미 돌보기 프로그램 적용 - 연구결과 : 곤충을 돌보는 활동이 개인의 정신과 심리에 긍정적 작용 ⇒ 우울감 해소, 인지기능 호전 <왕귀뚜라미의 심리치유 효과 구명 연구사례, 농촌진흥청 2015년> 2-2 세계 곤충엑스포(The World Bugs Expo) 계속 ? 곤충산업을 견인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마케팅 가장 큰 소비시장이자 각 산업의 미래성장을 이끄는 서울에서 “곤충”을 주제로 전시·교육체험·경진대회 및 국제컨퍼런스를 통해 곤충 소비 문화 확산 ?? 추진방향 ○ 곤충을 소비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적 마케팅으로 신 소비시장의 성장 발판을 마련 ○ 국내 대회에 머물렀던 『대한민국 애완곤충경진대회』를 국제 행사로 확대하여 『세계 곤충 엑스포』로 개최 ※ 애완곤충 경진대회 추진현황(’17년∼’19년) 구 분 1회(2017년) 2회(2018년) 3회(2019년) 행사명 서울 애완곤충경진대회 대한민국 곤충경진대회 대한민국 애완곤충경진대회 장 소 서울시농업기술센터 개포디지털혁신파크 SETEC 관람객 280명 1,300명 9,575명 예산(액) 4.5백만원 15백만 145백만원 홍보물 <곤충전시 및 박람회 해외사례> - Bug Fair 곤충박람회(33년 전통) : 미국, 로스엔젤레스(LA)의 자연사박물관 - 오키나와 곤충전시회 : 일본, 오키나와 츄라우미 수족관 인근 공원 - 세계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전시회 : 일본, 시가현 비와호 공원 - 킨텍스(고양) 세계 곤충박람회 : 한국, 개인회사 상업적 목적 주관 ?? 사업계획 ○ 행 사 명 : 『세계 곤충엑스포(The World Bugs Expo)』(’21년~) ※ ’20년도는 ‘대한민국 애완곤충 경진대회’로 추진 ○ 협력기관 : 농촌진흥청, 한국곤충산업중앙회, 농림축산식품부 ○ 사업추진체계 세계 곤충 엑스포 1단계 2단계 3단계 예산 확보, 행사 타당성 및 당위성 확보 ? 조직위원회 구성, 분야별 실행계획 수립, 대행사 선정 ? 엑스포 실행 준비 엑스포 실행 ○ 주요내용 : 전시, 체험, 홍보관, 경진대회, 국제 컨퍼런스, 부대행사 등 구분 주요행사 내용 전시행사 ?곤충의 서막 : 지구 고생대의 곤충 등 ?곤충의 서바이벌 : 곤충의 다앙한 생존전략 ?대륙별 희귀곤충 : 세계 여러나라의 희귀곤충 ?곤충 아트 갤러리 : 곤충을 활용한 예술작품 전시 ?생체모방 곤충로봇 전시 등 체험행사 ?정서곤충, 심리곤충, 학습곤충과 함께하는 체험행사 홍 보 관 ?곤충에서 추출한 의약품, 곤충을 활용한 가공품 등 (다양한 곤충산업의 활용 소개, 미래를 대비한 곤충산업 홍보 등) 경진대회 ?곤충과 함께하는 분야별 경진대회 국제컨퍼런스 ?국제곤충산업 발전방안(곤충과 더불어 생물을 이용한 심리치유 소개, 곤충이용 심리치유 연구와 활용방안 등) 부대행사 ?곤충산업 교육 및 세미나, 곤충퀴즈 행사 등 곤충 관람 및 체험 곤충에 대해 알아보는 퀴즈행사 타잔곤충 경진대회 ?? 연도별 달성 계획·소요예산 사업명 구분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세계곤충 엑스포 계획(인원) 41만명 1만명 10만명 10만명 10만명 10만명 소요예산 (백만원) 4,150 150 1,000 1,000 1,000 1,000 ‘20년도는 대한민국 애완곤충 경진대회로 추진 ?? 기대효과 ○ 곤충 전시?경진?체험을 통한 곤충산업 저변 확대 ○ 곤충의 산업화 모델 제시 및 정보 교류를 통한 곤충산업 활성화 2-3 서울형 곤충산업 연구용역 신규 곤충의 치유 기능을 활용한 초등학교와 복지시설 연계 활성화정책 방안과 곤충산업 저변확대를 위한 박람회 확대, 곤충식품 대중화 및 산업화 체계확립 방안 모색 필요 ?? 추진방향 ○ 서울에 적합한 산업곤충의 성장가능 분야 발굴을 위한 연구 추진 ○ 대도시에서의 곤충산업 활성화 실용 방안 연구 ?? 사업계획 ○ 곤충을 활용한 치유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 곤충의 치유산업으로서의 활성화 방안 정책 연구 - 학교(교육청) 및 복지시설과 연계한 곤충 심리치유 효과를 적용하는 방안 - 미래녹색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는 애완곤충 사육(호랑나비 등)과 곤충관련 기자재를 이용하는 방안 ○ 식용곤충을 활용한 가공식품 개발 - 미래 식량자원으로서 ‘곤충식품 산업’을 ‘신성장 산업’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식용곤충의 ‘일반식품’으로의 인식전환이 필요 ? 식용곤충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개선을 통한 곤충식품 대중화 - 곤충에 대한 거부감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식용곤충가공·조리법, 보관방법 등 개발 ○ 애완곤충을 활용한 산업으로서의 활성화 정책 및 지자체의 역할 등 - 애완곤충전시·박람회의 활용 방안과 범위, 적정규모 - 박람회의 산업적 효과와 참여 관련업체의 역할, 자치단체와 산업간 협력방안 ○ 사업추진체계 서울형 곤충산업 연구용역 사전용역심사 (조직담당관) [`20.6월] ? 추경예산확보 [`20.8~9월] ? 용역입찰 (나라장터) [`20.9~10월] ? 용역수행 및 최종결과보고 [`20.10~12월] ?? 곤충관련 용역 사례 ○ 예천군 곤충산업활성화 정책연구(서울대연구용역, 2012년) ○ 완주군 곤충산업육성 종합계획(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2015년) <식약처 인증 곤충식품 원료> 메뚜기, 누에번데기, 백강잠, 갈색거저리유충(고소애), 쌍별귀뚜라미성충 (쌍별이), 흰점박이꽃무지유충(꽃벵이), 장수풍뎅이유충(장수애) ?? 연도별 달성 계획·소요예산 사업명 구분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서울형 곤충산업 연구용역 계획(회) 연구용역 1회 연구용역 1회 - - - - 소요예산 (백만원) 60 60 - - - - ※ 추경예산으로 반영 ?? 기대효과 ○ 서울 곤충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자체의 역할 ○ 학습연계 정서곤충시장 확대 및 식용곤충 활용 음식 개발과 소비자 인식개선 2-4 곤충산업 창업 기반확대 신규 곤충산업 창업자들의 환경 개선과 예비창업자에 대한 창업기회 제공을 위하여 곤충 및 자재를 지원함으로써 곤충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함 ? 곤충산업현황 ○ 곤충 생산?가공?유통농가(업체) 연도 계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충북 충남 (세종?대천) 경북 (대구) 경남 (부산?울산) 전북 전남 (광주) 제주 신고 (개소) 2,318 17 571 101 206 247 455 292 189 207 33 ※ (’12) 383개소 → (’13) 384 → (’14) 464 → (’15) 724 → (’16) 1,261 → (’17) 2,136 → (’18) 2,318 ?? 추진방향 ○ 곤충관련 자재지원 및 창업교육을 통한 곤충산업의 저변확대 ○ 사육 및 판매장의 환경개선을 통한 소비자의 인식개선으로 소비시장 확대 ?? 사업계획 ○ 사업대상 : 곤충관련 창업자 및 예비 창업자 40개소(’20년~’24년) ○ 주요내용 : 곤충 생산·가공·유통?체험을 위한 곤충자재 지원 및 창업교육(컨설팅) 지원 등 대상자의 안정적인 사업정착을 위해 3년까지 지원(8백만원/개소) ○ 세부추진계획 - 지원대상 : 농업인, 농업법인, 도시농업공동체, 생산자 단체 및 곤충창업예정자 ? 서울지역 내 곤충전문 사업자로 사업장 주소지가 서울로 등록된 자(단체) ? 구청에 곤충신고(생산?유통?가공?판매)가 된 자(단체) ? 곤충관련 사업자 등록이 된 자(단체) ? 서울지역 내 곤충창업 예정인 자(단체) ※ 대상자 선정기준 1. 곤충(생산·가공·유통)신고확인증 또는 사업자등록증(종목:곤충) 참고 2. 사업계획서의 적정성(사업부지 여건, 사육 및 판매환경) 3. 사업추진능력(곤충산업 종사경력, 교육실적, 최근 3년 매출규모 등) 4. 지역 자원과의 연계성 및 체험·학습장 프로그램 개발, 운영 등 5. 향후 발전 가능성(판로확보, 생산판매, 발전 가능성) - 지원내역(안) 구분 지원가능한 자재 등 물품 곤충의 생산·유통·가공 재료 곤충, 사육박스·선반·도구, 유충병, 성충키트 박스, 곤충젤리, 간판 등 체험·학습용 교육 재료 워크북, 표본만들기 세트, 곤충교육 키트, 톱밥, 식용곤충 조리 재료 등 시설 기반 및 기자재 ? 톱밥 배합기, 곤충 건조기, 항온항습시설, 빔 프로젝트, 스크린 등 교육 창업교육 집합 교육, 창업소재 적정성 분석, 시장전망, 사업계획서 작성 등 ? 시설 기반 및 기자재는 곤충 산업 활성화 지원 조례 제정 후 가능 ○ 사업추진체계 곤충산업 창업 기반확대 사업신청홍보 (선정 심의회) [ 3월] ? 신청접수 (사업계획서 등) [ 3~4월] ? 서류심사 및 현장확인 [ 4월] ? 대상자 선정 (선정 심의회) [ 4월] ? 대상자 창업교육 [ 5월] ? 대상자 지원 (창업자 및 창업희망자) [ 5~6월] ? 사업 결과평가 [ 11월] ※ 2년차·3년차 지원은 신규 사업 대상자 현장 확인시 실시하여 지원 여부 (사업자 등록, 매장 운영 등) 확인 [ 곤충관련 창업사례 ] ○ 곤충 스마트팜 사육장 : 양평군, 1기 곤충산업 전문인력 양성교육생, 2018년 ○ 하이밀(사마귀 사육키트) : 강서구, 2기 곤충산업 전문인력 양성교육생, 2019년 ?? 연도별 달성 계획·소요예산 사업명 구분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곤충산업 창업 기반확대 계획 (개소) 개소 : 누계치 40개소 20개소 30개소 40개소 20개소 10개소 소요예산(백만원) 333 72 123 93 33 12 ※ 곤충산업 창업기반확대 예산 세부기준내역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개소당 지원액 ? 3.5백만/개소 (신규 : 20개소) ? 3.5백만/개소 (기존 : 20 개소) ? 5백만/개소 (신규 : 10 개소) ? 1백만/개소 (`20년 기존 : 20 개소) ? 2백만/개소 (`21년 기존 : 10 개소) ? 5백만/개소 (신규 : 10 개소) ? 1백만/개소 (`21년 기존 :10개소 ) ? 2백만/개소 (`22년 기존:10개소 ) ? 1백만/개소 (`22년 기존 :10개소 ) 컨설팅 지원비 2백만원 3백만원 3백만원 3백만원 2백만원 ?? 기대효과 ○ 서울시 곤충산업 발전을 주도할 수 있는 곤충전문 농가 및 사업체 정착에 기여 ○ 기존 곤충산업 창업자들의 환경개선 및 창업희망자에 창업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서울 곤충산업의 직접적인 활성화에 기여 3 미래 스마트 농업 ?? 추진배경 ○ 도시에서 옥상, 상자, 자투리 텃밭 등 도시농업공간 확대의 한계로 도시내 유휴공간활용 및 미래형 도시농업 선도 기술 보급 필요 - 빌딩, 지하공간 등 활용 인공지능형 재배기술 보급 - 다양한 면적·공간에 적용 가능한 식물공장 표준모델 개발 및 콘텐츠 제공 ○ 생태 감수성 높이는 도시농업 활성화 필요(시장공약 4-2) - 미래형 농업인 수직농장, 양식과 수경재배를 융합한 아쿠아포닉스 등 육성 - 도시농업에 적합한 아쿠아포닉스 모델개발 및 체험, 교육 등 다양한 6차산업 모델 제시 - 우리시 개발기술 활용 IoT 기술적용 식물재배기 보급 ○ 도시청년의 첨단 미래농업분야 신규수용으로 도시농업 확장 필요 - 청년의 디지털분야 강점등 활용한 도시내 첨단 미래농업분야 후계인력 양성 ○ 지속가능한 도시농업분야 친환경재배 신기술 확보 필요 - 농업용 ‘클로렐라’ 친환경재배기술 도시농업 분야 활용 ?? 추진체계 ?? 연구개발 현황 ○ 아쿠아포닉스 모델 개발 보급 - 온실에서 틸라피아 양어와 엽채류 동시 생산 모델 제안(’09, 미국 아리조나 대학) - 허브류, 엽채류 이용 아쿠아포닉스 농법재배 채소의 상업화가능성 제시(만나 CEA,서유채) ○ IoT 이용 식물재배기 보급 - ‘가전형’(소형) 수경재배기 개발(경기도농업기술원 미래농업팀 ’17.12.) ○ 유휴공간 활용 식물공장 모델 보급 - 농업과 IT기술이 융합된 신산업으로 식물공장 상용화(’13년, 일본 시시에스(CCS)사 등) - 도시내 지하철 유휴공간을 활용한 수익창출형 식물공장 운영중(’19, 팜에이트(주)) ○ 농업용 클로렐라 배양기 보급 - 농업용 클로렐라 품목별 현장활용 방법 개발(2017년, 농촌진흥청) ○ 스마트 힐링팜 조성 관련 - 시설채소 스마트팜 빅데이터 수집 및 생산성 향상 모델 연구(’16~’18,농촌진흥청) 스마트팜 국내외 현황 ○ 네덜란드 : 세계 스마트 농산업을 주도하고 있으며, 관련기술을 수출함 - 데이터기반 생산기술과 생산·품질관리, 수출까지 전 과정 과학영농 실현 ○ 이스라엘 : 적은 비용으로 더 많은 생산을 목표로 시스템 개발에 집중 - 부족한 수자원 등 농업에 불리한 환경을 집약온실생산체계로 극복 ※ 연간 하수발생량의 75%를 재처리하여 재이용율 세계1위 ○ 일본 : 세분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며 국가에서 적극지원 - 정부에서 기업의 농지소유제한을 대폭 풀어 기업형 농업프로젝트 확대계획 ○ 국내 : 농업중 시설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높지만 스마트팜은 시작단계 - 스마트팜 보급 속도를 높이기 위해 정부 지원을 확대하고 있음 - 농식품부, 농진청, 과기정통부「스마트팜 다부처 패키지 혁신기술개발」사업으로 ’21년부터 7년간 3,867억원 규모의 사업 추진 스마트팜 체험농장 국내외 사례 ○ 네덜란드 : 월드원예센터(World horti center, 2018.3.~) - 원예농업 전시, 연구, 훈련 및 교육을 위한 시설, 연간 약 25,000명 방문 ○ 충청남도 부여군 : 스마트 원예단지(조성기간 : 2017~2022, 5년간) - 수출전문 스마트팜 : 농업법인 6개소 참여하여 첨단유리온실(파프리카, 토마토) 재배 - 스마트팜 테마파크 : 스마트팜 체험관, 농업박물관, 오픈강연장, 식물병원 등 ○ 농림축산식품부 : 스마트팜 혁신밸리(’19년 대상지 선정, ’22년 혁신밸리 구축) - 대상지 : 김제(19.4ha), 고흥(29.5ha), 상주(40.9ha), 밀양(22.1ha) - 기 능 : 스마트팜 집적화, 청년창업, 기술혁신 등 생산·교육·연구 기능이 집약된 첨단 융복합 클러스터 3-1 도시농업 신기술 보급 ?? 추진목적 ○ 자원순환형 친환경농업 모델(아쿠아포닉스)제시로 지속 가능한 도시농업 기반 구축 ○ 도시내 지하공간 등 미활용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미래형 식물공장 표준모델 제시 ○ 미래형 농업 신기술 보급 및 관리운영으로 사회적 일자리 창출 ?? 추진방향 ○ 빌딩, 지하공간 등 활용 자원순환형 인공지능형 재배기술 보급 ○ 다양한 면적·공간에 적용 가능한 식물공장 표준모델 개발 및 콘텐츠 제공 - 식물공장 관련 다양한 개발 신기술 실증을 통해 서울형에 맞게 모델 개발 ○ 개발된 기술의 실증을 통하여 도시친화적 모델 개발과 수요자 맞춤형보급 - 농작물 생산성에 따라 일자리 창출형과 복지친화적인 체험치유형으로 유형별 보급 ?? 단계별 목표 ? 신기술 개발 보급 : 서울형 도시농업 적용 모델 보급 ⇒ 서울형 도시농업기술 확립 ? 다양한 계층, 시설 체험 ⇒ 농업 치유를 통한 시민 행복 추구 ?? 연도별 달성 계획·소요예산 구분 단위사업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달성 계획 (개소) 계 88개소 10개소 21개소 38개소 31개소 34개소 아쿠아포닉스 모델개발 10개소 모델개발 1개소 3개소 3개소 3개소 IoT 기술적용 식물재배기 보급 50개소 10개소 10개소 10개소 10개소 10개소 도시 유휴공간 활용형 식물공장 모델개발 및 보급 10개소 - 1개소 3개소 3개소 3개소 농업용 클로렐라 배양기 보급 18개소 실증 9개소 12개소 15개소 18개소 소요 예산 (백만원) 계 2,884 100 480 747 768 789 아쿠아포닉스 모델개발 500 모델개발 50 150 150 150 IoT 기술적용식물재배기 보급 500 100 100 100 100 100 도시 유휴공간 활용형 식물공장 모델개발 및 보급 1,000 - 100 300 300 300 농업용 클로렐라 배양기 보급 884 실증 230 197 218 239 ?? 기대효과 ○ 친환경 자원순환형 농업모델(아쿠아포닉스) 제시 및 미래농업기술 전시홍보로 “생태도시 서울” 구현 ○ 도심 유휴시설을 이용한 식물공장 모델 개발을 통한 소득창출 모델 발굴 및 도시농업의 외연 확장 ○ 농업 신기술 보급을 통한 사회적 일자리 창출 ○ 클로렐라 등 친환경 미생물자재 보급으로 서울 농산물 안전성 향상 3-1-1 아쿠아포닉스 모델개발 보급 계속 ‘생태도시 서울’ 구현을 위한 자원순환형 친환경 신농업기술 개발 및 보급으로 지속가능한 도시농업 기반 구축 ?? 추진방향 ○ 현장적용 가능한 친환경 자원순환형 서울형 아쿠아포닉스 모델 개발 보급 ○ 도시농업에 적합한 아쿠아포닉스 모델개발 및 체험, 교육 등 다양한 6차산업 모델 제시 ○ 도심에서 집약적 농업과 수산업을 할 수 있는 기술개발 ?? 사업계획 ○ 사업규모 : 10개소(개소당 50백만원) (’21년) 1개소, (’22년) 3개소, (’23년) 3개소, (’24년) 3개소 ○ 사업대상 : 자치구, 복지기관 등 ○ 사업내용 : 자원순환형 아쿠아포닉스 모델 개발 및 보급 ○ 소요예산 : 500백만원 (2020~2024년) (’21년) 50백만원, (’22년) 150백만원, (’23년) 150백만원, (’24년) 150백만원 [센터내 아쿠아포닉스 224㎡] ○ 추진체계 및 기대성과 (`20년 모델 개발후 보급) 사업홍보 및 대상지 모집 현장심사 및 대상지 선정 아쿠아포닉스 조성 및 운영관리 기 대 성 과 계획수립(1월) 대상지 모집(1~2월) 현장심사(2월) 대상지 선정(3월) 모델설치(3월) 관리 운영(4~11월) 모델 보급 10개소 참여 (4년간) ?? 연도별 달성 계획·소요예산 사업명 구분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아쿠아포닉스 모델개발 계획(개) 10 모델개발 1 3 3 3 소요예산 (백만원) 500 - 50 150 150 150 [ 2019년 조성실적 : 아쿠아포닉스 설치 및 시범운영 ] ▷ 위 치 : 시민생활농업교육장 ▷ 규 모 : 총 231㎡ (폭 7m×길이 33m) ▷ 소요예산 : 금 27,380천원 ▷ 설치내용 - 순환정수여과시스템 - 양어수조 : 양어수조(3MØ), 섬프수조(1MØ) - 식물재배대(3) ?? 기대효과 ○ 친환경 자원순환형 농업모델(아쿠아포닉스)제시로 새로운 농업생태계 구축 - 채소 재배기간에 물고기를 사육하므로 농약이나 항생제의 사용없이 환경친화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안심먹거리 제공 가능 ○ 친환경·자원 선순환 농업 및 미래농업기술 전시홍보로 도시농업 확산 기여 ○ 도시농업 교육생, 시민 견학 등을 통한 도시농업의 인식 제고 및 저변 확대 - 환경변화 인식, 미래농업에 대한 가치를 주제로 한 친환경 아쿠아포닉스 운영 3-1-2 IoT 기술적용 식물재배기 보급 신규 첨단 녹색기술을 이용한 「서울형 IoT 기술적용 실내용 식물재배기」를 개발 보급하여 실내 농업체험 기회제공 및 관련산업 활성화 기여 ?? 추진방향 ○ 미래형 농업모델인 수직농장을 실내공간에 적합한 형태로 설치 운영 ※ (시장공약 4-2) 생태 감수성 높이는 도시농업 활성화 : 미래형 농업인 수직농장, 양식과 수경재배를 융합한 아쿠아포닉스 등 육성 ○ 우리시 개발기술 활용 IoT 기술적용 식물재배기 보급 - 식물재배기, 모종 생산판매, 유지관리용역 업체 등 관련 일자리 창출 ?? 사업계획 ○ 사업규모 : 50개소(개소당 10백만원) ※ 본청 도시농업과 사업이관 (`22년∼`24년) [`20년] 10개소 → [`21년] 10개소 → [`22년] 10개소 → [`23년] 10개소 → [`24년] 10개소 ○ 사업대상 : 자치구, 복지기관 등 ○ 추진체계 및 기대성과 (‘20년부터 보급) 사업홍보 및 대상지 모집 현장심사 및 대상지 선정 식물재배기 유지관리, 교육추진 기 대 성 과 계획수립(1월) 대상지 모집(1~2월) 현장심사(2월) 대상지 선정(3월) 식물재배기 설치(3월) 유지관리, 활용교육(4~11월) 보급 50개소 (5년간) ○ 사업내용 - 실내용 3단형 식물재배기 보급 및 유지관리 1년 지원(월 1회 관리, 모종·양액 지원 6회) · 규격 : 3단 식물재배기(2.2×0.8×1.8m) - 실내용 식물재배기 활용 교육 추진(개소당 2회) · 서울시에서 선발한 식물공장 엽채류 재배기술 및 식물재배기 관리방법 안내 · 식물재배기 관리 및 수확물 활용 교육 ○ 소요예산 : 500백만원 (2020~2024년) [ 실내용 3단형 양액재배기 제품 규격 및 특징 ] ▷ 실내용 양액재배기 개발 및 자동관수 특허(서울시농업기술센터, ‘17. 5.) 제품 특징 - 연구과제 결과로 선발한 엽채류 모종(상추 등 10~16종) 공급 - 규명된 환경조건(LED, 온도, 양액), 관수방법 관련 특허적용 - 기타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적용 제품 크기 1,422(W)×650(D)×1,800(H)mm 제품 중량 약 150 kg, 80~120pot 재배가능 정격전압?소비전력 220V, 60Hz/냉각 60W, 조명 30 W 제어 센서 수위, 온도, 습도, EC, pH, 미세먼지센서, 카메라 등 저수탱크 용량 10-22L, 2~3개 물공급?냉각방식 펌프 순환, 열전소자 [ 우리센터 개발 제품 규격(벽면형 2단 재배기) 및 특징 ] ▷ 기본규격 : LED 2단 식물재배기 (W1,100mm×D400mm×H1,650mm) ▷ 내부시설 - 재배 베드 2단, 양액탱크, IoT제어(스마트폰 앱 연동) 등 - 인공 광원 : 광(LED) W520mm×D26mm×14mm (RED:BLUE:White=1:1:9) ?? 연도별 달성 계획·소요예산 사업명 구분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IoT 기술적용 식물재배기 보급 계획(개) 50 10 10 10 10 10 소요예산 (백만원) 500 100 100 100 100 100 ?? 기대효과 ○ 미래 농업기술 관심 증대 및 농업, IT산업 등 융복합 기술발전 증대 - 실내용 양액재배기(IoT 기술적용) 보급을 통해 시민들에게 먹거리?볼거리 제공 ○ 식물재배기를 통한 실내 농업체험으로 도시농업 지역공동체 활성화 - 실내 채소 재배를 매개로 도시농업 체험 및 지역 공동체 문화조성 3-1-3 도시 유휴공간 활용형 식물공장 모델개발 및 보급 신규, 검토 다양한 도시 유휴공간 내에 ICT, BT 등이 융합된 공간 맞춤형 식물공장을 조성하여 미래형 도시농업 모델 제시 및 일자리 창출 ?? 추진방향 ○ 미래형 수직농장 보급으로 기후변화 대응과 수익형 도시농업 유형 제시 ○ 도시내 유휴공간을 활용하는 방안으로 미래형 수직농장 설치 운영 - 다양한 면적 및 공간에 적용이 가능한 표준모델 보급 ?? 사업계획 ○ 사업규모 : 10개소(개소당 100백만원) ※ 본청 도시농업과 사업이관 (`22년∼`24년) (’21년) 1개소, (’22년) 3개소, (’23년) 3개소, (’24년) 3개소 ○ 사업대상 : 도시 내 유휴공간 ○ 추진체계 및 기대성과 (개발모델 ⇒ 21년부터 보급) 사업홍보 및 대상지 모집 현장심사 및 대상지 선정 식물공장 조성 및 프로그램 운영 기 대 성 과 계획수립(1월) 대상지 모집(1~2월) 현장심사(2월) 대상지 선정(3월) 모델설치(3월) 관리 운영(4~11월) 모델 보급 10개소 (5년간) ○ 사업내용 : 유휴공간 활용형 식물공장 모델 보급 - 표준모델의 규모(33~66㎡ 내외) 및 요소별 규격 기준 설정 · LED 램프, 순환팬, 순환펌프, 측정용 센서종류, 전선, 양액순환배관 등 · 소비전력량, 월별 수도 사용량, 순환펌프 용량, 순환탱크 용량, 양액탱크 용량 등 - 양액 시스템 및 재배시스템 표준 모듈 개발 · LED램프, 순환팬, 순환펌프, 양액탱크, 측정용 센서류, 양액 농축액 탱크 등 ○ 소요예산 : 1,000백만원 (2020~2024년) ?? 연도별 달성 계획·소요예산 사업명 구분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도시 유휴공간 활용형 식물공장 모델개발 및 보급 계획(개) 10 - 1 3 3 3 소요예산 (백만원) 1,000 - 100 300 300 300 ?? 기대효과 ○ 도시 내 지하공간 등의 미활용 유휴시설을 이용한 미래형 식물공장 표준모듈의 보급을 통한 맞춤형 수직농장의 소득창출 모델 발굴 ○ 도시의 유휴공간 이용 식물공장의 시범적용 및 기반기술 확보 ○ 도시내 유휴공간의 활용을 통한 농업의 다원적 가치 확산 [ 우리센터 개발 모델 “서울형 식물공장” 규격 및 특징 ] 도시환경에 적합한 모듈형 식물공장을 설치하여 재배 가능한 식물소재 선발 및 최적생육조건 구명 연구 등에 활용 ▷ 시설위치 : 농업기술센터 청사 오른편 ▷ 기본규격 : 5.52m x 2.18m x 2.48m(1개동) ▷ 내부시설 - 재배실 : 4칸 4단 3열로 구성 , 672 pot - 인공 광원 : 식물재배용 LED, 36V, 22Watt - 양액컨트롤 : EC, pH값, 온도 연동 ※ 최근 중국 식물공장 조성현황 식량 공급난 해소를 위한 식물공장 산업화를 추진 중이며 중장기 R&D 프로젝트 진행 ▷ 징둥닷컴(중국 최대 리테일 기업)이 글로벌 화학기업 미쓰비시화학과 함께 중국 최대 규모의 수경재배 식물공장 설립 ▷ 베이징시 퉁저우구, 11,040m² ▷ 시금치, 양배추, 양상추, 고수 등 3-1-4 농업용 클로렐라 배양기 보급 신규 친환경 농작물 재배시 작물 생육촉진과 품질 향상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농업용 ‘클로렐라’를 도시농업 분야에 확대?공급하고자 함. ?? 추진방향 ○ 도시텃밭 친환경재배에 클로렐라 등 친환경 미생물자재 보급으로 서울 농산물 안전성 향상 ○ 지역별 배양시설 운영으로 도시민의 편리한 이용성 제고 ?? 사업계획 ○ 사업기간 및 장소 : 2021~2024년, 도시텃밭 일대 ○ 설치규모 : 18개소 (2021~2024) 1차년도 : 도시텃밭이 위치한 9개구(강동, 송파, 강서, 노원 등)에 배양기(3세트/개소) 보급(‘21년) 시작 ○ 추진체계 및 기대성과 (`20년실증 ⇒`21년부터 보급) 사업홍보 및 대상지 모집 현장심사 및 대상지 선정 농장조성 및 프로그램 운영 기 대 성 과 계획수립(1월) 대상지 모집(1~2월) 현장심사(2월) 대상지 선정(3월) 배양기 설치(3월) 관리 운영(4~11월) 배양기보급 18개소 참여 (5년간) ○ 도시텃밭 지원용 클로렐라 배양기 설치 및 운영 - 도시텃밭 운영자, 수요자 등 사업 홍보 및 대상지 선정, 사업 추진 - 배양기 운영을 위한 인력 충원 ○ 클로렐라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교육 추진 - 클로렐라 배양 업무 근로자를 위한 직무교육 추진 : 연 2회 - 클로렐라 배양액 사용자 교육 : 3~11월(월 1회) ○ 도시농업박람회 등 행사를 활용하여 홍보 : 미생물관련 홍보관 운영 ?? 연도별 달성 계획·소요예산 사업명 구분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농업용 클로렐라 배양 보급 계획(개소) 18개소 실증 9 12 15 18 소요예산 (백만원) 884 실증 230 197 218 239 [ 클로렐라의 효능과 배양기술의 경제적가치 ] ◆ 클로렐라 농업적 효능 검정 ○ 생육 촉진 ? 딸기 57%, 상추?배추 32% 수량 증대 ○ 품질 향상 ? 딸기 잿빛곰팡이병 경감, 당도 1브릭스(brix) 증가 ○ 저장성 향상 ? 딸기 30일, 상추 14일까지 저장 가능(4℃ 저온) 생육증진효과 → 수량증대 병해억제효과 → 품질향상 저장성 향상 → 유통기간 개선 품질향상 → 상품성 증가 ◆ 클로렐라 안전성과 경제적 가치 ○ 미생물 농약, 사료 첨가제 활용으로 서울 도시 농산물의 안전성 향상 클로렐라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고시(2004년, 식품의약품안전처) ○ 클로렐라의 농업기술가치 평가액 : 940억원(2015년, 농업기술실용화재단) ※ 경제적 파급 효과(생산 유발 효과) ? 4,580억원 <농촌진흥청 개발 농업기술의 가치평가> 구 분 기 술 명 기술가치 평가액 (백만원) 경제적 파급효과 생산유발 효과(백만원) 고용유발 효과(명) 농업기초 스마트 해충정보 시스템 138.8 3,456 13 계피정유를 이용한 미국선녀벌레 방제 418 2,991 11 클로렐라의 농업적 활용 기술 93,948 457,634 1,787 식량 맥류 봄 파종 재배기술 16,791 145,755 533 교차형 유인 조립제를 갖는 포충트랩 83.5 1,899 6 원예특작 포도 이열식 다수확 수형 개발 66,380 308,007 1,171 ?? 기대효과 ○ 클로렐라 등 친환경 미생물자재 보급으로 서울 농산물 안전성 향상 ○ 도시텃밭 친환경재배로 농산물 품질향상 및 생태도시 서울 조성 기여 ○ 지역별 배양시설 운영으로 도시민의 편리한 이용 기회 제공 및 일자리 창출 3-2 스마트 농업 육성 ?? 추진목적 ○ 도시농업의 4차 산업화 촉진을 위한 ‘서울형 3세대 스마트팜 모델’ 제시를 통해 서울의 대규모 첨단농업 관광 자원화 및 일자리 창출 ?? 추진방향 ○ 서울의 관문인 김포공항 주변에 스마트 팜 체험시설단지를 조성하여 내외국인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체험·관광·첨단 농업 복합 공간 조성 ○ 전문농업인이 참여하여 시설운영 및 예비 농업인인 청년 및 귀농 대상자들의 전문 교육장으로 활용 □ 3세대 스마트-팜 ○ (3세대) 지능정보기술+로봇+신재생에너지 기술 등 첨단기술 간 융합을 통한 완전 무인·자동화된 모델 < 세대별 스마트팜 구분 및 비교 > 구 분 1세대 2세대 3세대 상용화 시기 현재 2030년 2040년 목표효과 편의성 향상 ‘좀 더 편하게’ 생산성 향상 ‘덜 투입, 더 많이’ 지속가능성 향상 ‘누구나 고생산·고품질’ 주요기능 원격 시설제어 정밀 생육관리 전주기 지능·자동관리 핵심정보 환경정보 환경정보, 생육정보 환경정보, 생육정보, 생산정보 핵심기술 통신기술 통신기술, 빅데이터/인공지능 통신기술, 로봇, 빅데이터/인공지능, 의사결정/제어 사람/사람 사람/컴퓨터 컴퓨터/로봇 대표 예시 스마트폰 온실제어 시스템 데이터 기반 생육관리 소프트웨어 지능형 로봇농장 ※ 스마트 팜의 정의 ○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ICT기술과 로봇 등 과학기술을 온실·축사 등에 접목해 원격·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적정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게 하는 지능화된 시설농장을 의미 ? 스마트팜을 통해 폭우, 폭염 등 환경변화 요인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생산이 가능한 환경 조성 ?? 사업 단계별 목표 3-2-1 서울『스마트 힐링-팜 』조성 신규, 검토 도시농업분야 새로운 관광명소 조성을 위한 ‘서울형 3세대 스마트팜’ 디지털농업의 모델 제시를 통해 서울의 대규모 첨단농업 관광 자원화 및 일자리 창출 ?? 추진방향 ○ ‘한국형 3세대 스마트팜 모델’ 제시를 통해 서울의 대규모 첨단농업 관광 자원화 - 중앙과 연계한 도시농업 신성장동력 시범사례로 추진하여 국비 예산 확보 주력 - 서울의 관문인 공항주변 식물원, 농업공화국과 연계한 농업체험·관광 시설로 조성 ○ 서울농업을 이끌어 갈 전문 농업인력의 스마트 농업 역량강화 - 서울 농업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농업지도자의 스마트 기술지원 등으로 경쟁력 강화 - 스마트팜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고령화 되는 농업인구의 세대교체를 위한 청년 창업농 발굴 및 지원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20~2024년(민?관 공동투자) ○ 사업규모 : 한국형 스마트팜 30,000㎡(3ha) 시설하우스 20,000㎡, 편의시설 등 10,000㎡ ○ 사업대상 : 민간(농업인+민간토지)협약, SH 참여 ○ 소요예산 : 171억원(국비 확보) 토지임대 및 매입 비용 제외 [파프리카 양액재배-에이텍] ○ 추진체계 타당성용역 (2020년) -추경예산 1단계(2021~22) 2단계(2023) 3단계(2024~) 타당성 용역(’21) 투자심사(’22 ), 사업예정지 확보 참여단체 협의체 구성 ? 기반조성 - 설계 용역, 공사 ( 토목공사, 진입로 전기, 수도 등 ) ? 온실공사 시설공사 등 ?? 추진계획 ○ 스마트팜 시설농장 설치 운영 타당성 용역 : 2021년 - 농경지 등 사업대상지역 조사 검토, 지역별 시민 선호도, 경제성 조사 등 ○ 투자심사, 사업대상지 및 사업대상자 선발 : 2022년 ○ 스마트팜 시설농장 기반조성 : 2023년 성토, 배수로정비, 전기, 수도, 오폐수처리시설(30,000㎡) : 1,000백만원 ○ ‘연동형 3세대 스마트팜’ 기술적용 온실공사 : 2024년 - 연동형 온실(양액재배시스템, 센서?제어?영상?컨트롤러 등) 20,000㎡ 온실타입 : 체험형, 교육형, 경영형(농가참여형) 스마트팜 온실 연동형 온실(20,000㎡) 신축 : 6,000백만원(300천원/㎡) (국비 50%확보) ○ 농장체험 교육시설 및 편의시설 공사 : 2024년~ - 농장체험 교육시설, 편의시설(장애인 안전시설 등), 주차장 등 10,000㎡ 강연장, 스마트팜 체험관, 로컬푸드 매장, 레스토랑 등 : 10,000백만원(국비 50%확보) ○ 파프리카 양액재배 농장시설 본격 가동(관광 명소화) : 2025년~ - 6차 산업화 농장체험, 과채류 체험학습(토마토, 오이, 딸기 등 병행 재배) - 도시민(농산물 체험교육) + 농업인?민간업체(스마트팜 운영 생산, 판매 유통) ○ 소요예산 :171억원 ?? 연도별 달성 계획·소요예산 사업명 구분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서울형 ‘스마트 힐링 -팜 ’ 조성 계획 1개소 (30,000㎡) - 타당성용역 투자심사 기반조성 시설공사 소요예산 (백만원) 17,100 - 100 - 1,000 16,000 ?? 당면 현황 및 애로사항 ○ 농지 및 농업인 감소, 대부분 임차농으로 도시개발에 따른 장기적인 시설투자의 어려움 ?? 기대효과 ○ 서울의 외곽지역 환경정비 효과 발생, 첨단농업 관광 자원화, 일자리 창출 ○ 스마트팜 재배 ‘파프리카’ 수익성 ? 39백만원/년,10a 스마트 원예단지 조성사업(부여사례) ?? 스마트원예단지 조성사업 ○ 사업명칭 : 충청남도 부여군 “스마트 원예단지” 조성사업 ○ 사업기간 : 2017. 10. 1. ~ 2022. 12. 31.(5년간) ○ 사 업 비 : 총 629억원 - 국비 120억, 도비 33억, 군비 68억, 자부담 408억 ○ 사업내역 : 기반조성 등 3개사업 ① 기반조성 : 100억원(24.5ha) - 용수 및 상수도 설치, 오폐수처리시설, 전기공사 등 ② 수출전문 스마트팜 : 396억원(16.2ha) - 공모사업 보조 3.1ha(국비 18억, 도비 8.1억, 군비 18.9억, 자부담 45억) - 자력시공 13.1ha(자부담 306억) ③ 생산·배후시설 : 133억원(5식) - 냉·난방시설, APC, 폐식물처리시설, 교육·홍보장, 창고 등 ?? 스마트팜 테마파크 조성 ○ 위 치 : 스마트팜 원예단지 내 ○ 사 업 비 : 133억원(건축비 120억, 토지매입비 13억) ○ 부지면적 : 26,575㎡ ○ 건축면적 : 1,000㎡(연면적 2,000㎡)/대지 2,500㎡/지상2층(지하1층) ○ 테마파크 주요 시설물 - 1층 : 푸드코트, 카페, 오픈강연장, 로컬푸드 매장, 식물병원 - 2층 : 스마트팜체험관, 농업박물관, 레스토랑 ※ 참고 : 농림축산식품부 스마트원예단지 기반조성사업 계획 한국형 스마트팜 온실 모델 개발 ?? 한국형 스마트 온실 모델 개발 단계(농촌진흥청) (’16) 1세대 스마트 온실(편의성 향상) (’18) 2세대 스마트 온실(생산성 제고) → (’20) 3세대 스마트 온실(로봇 적용기술) ○ 규모가 영세하고 취약한 농업여건을 극복할 수 있는 연구과제 추진 “생산성 10~20% 향상, 노력?에너지 20% 절감” 기존 농장 ① 시간과 장소에 구속 ② 경험과 감각에 의존 ③ 생산에만 집중 ? 스마트 농장 ① 언제 어디서나 감시 제어 ② 센서와 데이터 기반 농사 ③ 생산, 2차가공, 직거래 <경남농업기술원 에이텍(ATEC) 교육시설> 조감도 토마토 양액재배 ‘탄자니아’ 농업연수단 ※ ATEC의 첨단 교육시설(사업비 50억원, 2007. 6. 착공 → 2009. 2. 개관) 시설규모 : 9,774㎡(교육시설 1,850㎡, 벤로형 온실 7,924㎡, 5구획 5작목 재배) ?? 한국형 스마트팜 기술 체계도(농촌진흥청) 3-2-2. 서울농업 새기술 시범 및 지원사업 신규 계속 새롭게 개발된 농업기술의 신속한 보급을 통한 농가소득 향상과 서울에서 생산되는 안전하고 우수한 서울 농산물을 브랜드화하여 시민에게 우수농산물을 공급할 수 있는 생산기반을 조성하고 농업인의 생명과 신체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농업인의 안전관리 능력 향상에 기여 ?? 추진방향 ○ 시설원예 ICT 기초기반구축을 통한 시설자동화, 작업생력화 기술 보급 ○ 화학농약·비료 대체 방제기술 실용화로 친환경농산물 인증농가 지속육성 ○ 품목별 브랜드 포장재 보급을 통한 서울 농산물 이미지 강화 ○ 작목별 작업단계를 고려한 농작업 위험성 평가와 개선 ?? 추진체계 계획수립 및 홍보?신청접수 현지조사 및 선정 심의회 사업추진 사업 평가회 실시 1월~2월 농업산학협동심의회 사업 선정대상 사전교육 후 사업추진 11월말 (설문조사 등) ?? 사업별 추진계획 ? 스마트팜 시설원예 실용기술 보급 계속 ⇒ 사 업 명 : ICT 환경제어시스템 시범사업 ○ 사업기간 및 계획 : 10개소 (`20년~`24년) 사업명 구분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ICT환경제어시스템 시범사업 개소 10개소 2개소 2개소 2개소 2개소 2개소 ○ 사업대상 : 서울지역 내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업인 ○ 사 업 량 : 2개소/년(ICT 환경제어시스템 시범, 원예시설하우스) ○ 사업내용 : 인터넷과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원격 시설구동 및 환경제어 ② 친환경농업 활성화 기반조성 지원사업 계속 ○ 사 업 량 : 175농가, 150ha(`20년~`24년) 사업명 구분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친환경농업 활성화 기반조성 지원사업 농가수 (면적) 175농가 (150ha) 35농가 (30ha) 35농가 (30ha) 35농가 (30ha) 35농가 (30ha) 35농가 (30ha) ○ 사업대상 : 친환경농산물인증(GAP포함) 농업인 및 인증희망 농업인 ○ 투입자재 : 친환경인증농산물 생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농자재 (친환경 토양개량제 및 친환경방제제 등) ○ 사업대상자 선정기준 - 서울시 거주자로 농업경영체에 등록을 필한 농업인 - 친환경농산물(GAP포함)생산 인증농업인 및 인증신청 농업인 - 토지를 이용한 채소, 벼, 과수 재배 농가에 한함 ※ 농업산학협동심의회를 통한 대상자 선정 ③ 서울 브랜드 농산물 육성 포장재 지원사업 계속 ○ 사업기간 및 계획 : 5분야 481,000장 (`20년~`24년) 사업명 구분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서울 브랜드 농산물 포장재 지원사업 분야(장) 5분야 481,000장 5분야 81,000장 5분야 100,000장 5분야 100,000장 5분야 100,000장 5분야 100,000장 ○ 사업대상 : 서울지역 내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업인 ○ 사 업 량 : 분야별 포장재 지원 품 목 브랜드명 수량(‘20년) 수량(‘21~’24년) 제작보급 시기 계 5분야 81,000장 100,000 3~8월 채소 늘싱싱한채소 40,000 50,000 3~4월 화훼 서울꽃단지 20,000 29,000 3~4월 과수 수라배 5,000 5,000 7~8월 벼 경복궁쌀 12,000 12,000 7~8월 양봉 서울꿀단지 4,000 4,000 3~4월 ○ 사업대상자 선정기준 - 서울지역 내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업인 - 서울시 거주자로 농업경영체에 등록을 필한 농업인 ※ 농업산학협동심의회를 통한 대상자 선정 ? 포장재 상표등록 출원 구 분 과수 양봉 쌀 채소 화훼 출원일자 2018.10.24 2018.10.24 2016.07.11 2015.12.16 2015.12.16 출원번호 40-2018 40-2018 40-2016 40-2015 40-2015 등록일자 2019.07.16 2019.07.16 2017.03.07 2016.09.08 2016.09.08 등록번호 제40호 제40호 제40호 제40호 제40호 등록상표 신규 ④ 농작업 재해예방 시범사업 ○ 사 업 명 : 농작업 재해예방(작목별 맞춤형 안전관리 실천)시범사업 ○ 사 업 량 : 5개소(‘20~’24년) ○ 사업대상 : 식량, 시설 및 노지 채소, 과수, 화훼 등 같은 작목을 재배하는 단체(작목반, 법인, 연구모임, 농업인단체 등) ○ 사업내용 - 작목별 작업단계를 고려한 농작업 위험요소 분석·개선을 위한 전문가 컨설팅 - 농작업 안전관리 수준 평가표를 적용하여 해당 작목의 사업 참여 농업인 안전관리 수준 평가 - 위험한 장비와 물질, 위험작업 등을 다른 형태로 변형 및 대체하여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안전장비 활용 등 기계적·물질적 안전조치 - 농작업자를 위험요소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 보호조치 - 농업인 안전관리 및 건강관리 교육프로그램, 안전현장 견학 등 안전관리 지식 습득 ?? 연도별 달성 계획·소요예산 구분 단위사업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달성 계획 계 - - - - - - 스마트팜 시설원예 실용기술 보급 10개소 2개소 2개소 2개소 2개소 2개소 친환경농업 활성화 기반조성 지원사업 175농가 (150ha) 35농가 (30ha) 35농가 (30ha) 35농가 (30ha) 35농가 (30ha) 35농가 (30ha) 서울 브랜드 농산물 육성 5분야 481,000장 5분야 81,000장 5분야 100,000장 5분야 100,000장 5분야 100,000장 5분야 100,000장 농작업 재해예방 시범 5개소 1개소 1개소 1개소 1개소 1개소 소요 예산 (백만원) 계 1,280 220 240 240 240 240 스마트팜 시설원예 실용기술 보급 200 40 40 40 40 40 친환경농업 활성화 기반조성 지원사업 400 80 80 80 80 80 서울 브랜드 농산물 육성 430 70 90 90 90 90 농작업 재해예방 시범 250 50 50 50 50 50 ?? 기대효과 ○ 최적 환경제어를 통한 생산성 향상, 경영비 절감형 정밀농업 실천 ○ 친환경 안전농산물 생산과 농경지의 환경보전기능 증대에 기여 ○ 서울 브랜드 농산물 이미지 및 소비자 인지도 향상 ○ 작목별 농작업 유해요인 개선으로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 및 작업능률 향상 4 농업 전문인력 양성 ?? 추진 배경 ○ 대내외적으로 변화하는 농업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전문인력 양성 필요 ○ 치유농업, 신성장 곤충산업 등 도시농업 영역확대에 따른 세분화된 분야별 핵심 인재풀(pool)이 요구됨 ○ 도시농업 활성화에 따른 관련산업 확대와 신규 일자리창출 기대 증가 ?? 추진 방향 ○ 법적?제도적 정비와 함께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을 통해 「치유농업」의 신규 도입 및 확산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과정 개설 ※ 「치유농업사 양성기관」 공모 신청(농촌진흥청) ○ 서울 도시농업을 선도할 전문 인력 육성을 위해 실습 위주 심화 교육 추진 ○ 곤충산업의 교육 수요를 충족하고 신성장 동력인 곤충분야 전문가 양성과정 운영 ※ 곤충산업 전문인력 양성 기관 지정 : 2017. 11. 1. ○ 전문농업인의 스마트농업 전환으로 노동력절감과 농업경영 역량 증진 ○ 스마트 농업, 자원순환 농업 등 지속가능한 농업모델 구축, 적정기술 인재양성 ○ 전문교육 과정 수료자 대상 주기적 과제교육 실시로 전문역량 향상 4-1 치유농업사 양성 신규, 검토 농작물 관리, 심리검사, 대상별 특성분석, 원예치료 등 치유농업 전문 교육과정 개발?운영으로 치유농업전문가 양성 및 새로운 일자리 창출 ?? 추진방향 ○「치유농업」의 성공적 도입 및 확산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과정 개설 ○ 법적?제도적 정비와 함께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을 통해 치유농업 전문가 양성 ?? 사업계획 ○ 사업규모 : 120명(2020~2024년) ※ [`20년] 모델과정개발 → [`21년] 30명 → [`22년] 30명 → [`23년] 30명 → [`24년] 30명 ○ 사업대상 : 치유농업사 양성교육 희망자 - 계 획 : 연 1기 30명(20회, 120시간) ○ 사업내용 - 원예식물의 이해, 치유농장 조성 및 운영, 심리치료, 대상특성별 프로그램 설계 등 치유농업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치유농업사 양성과정 개발 및 적용 ○ 추진체계 및 기대성과 - 2020년 : 현장적용 가능한 치유농업사 양성과정 개발 - 2021년~2024년 사업홍보 및 대상자 모집 대상자 선정 치유농업사 양성교육 추진 기 대 성 과 계획수립(1월) 대상자 모집(1~2월) 서류심사 및 대상자 선정(2월) 교육추진(4~11월) 치유농업사 120명 일자리 창출 (4년간) <피드백> ?? 연도별 달성 계획·소요예산 사 업 명 구 분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치유농업사 양성교육 계획(명) 120 양성과정개발 30 30 30 30 소요예산 (백만원) 120 - 30 30 30 30 ※ 교육 추진을 위한 법적 토대 마련을 위해 2020년 조례제정 필요(본청 도시농업과) ?? 기대효과 ○ 이론과 실무 능력을 갖춘 치유농업 전문인력 육성으로 치유농업 확산 촉진 ○ 치유농업 활동을 통한 교육, 복지, 치유 서비스 제공 및 일자리 창출 기여 4-2 도시농업 전문가 양성교육 계속 급격한 도시화와 더불어 도시민들의 취미, 여가 활동으로서 도시농업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서울 도시농업을 이끌어갈 전문 인적 자원 확보 ?? 추진방향 ○ 서울 도시농업을 선도할 전문 인력 육성을 위해 실습 위주 심화 교육 추진 ○ 교육 수료자 대상 과제교육 실시로 전문역량 향상 ?? 사업계획 ○ 도시농업전문가 양성교육 : 2기 100명(10일/기, 80시간)/년 - 교육내용 : 도시농업의 이해와 중요성, 농업 기초(토양과 비료, 농약과 농산물 안전성, 병해충 방제 등), 분야별 친환경 농업기술(채소, 화훼, 과수, 벼, 특용작물, 기타) 등(이론 40%, 실습 40%, 현장견학 및 평가 20%) - 추진체계 계획 수립 교육신청 접수 교육 추진 결과평가 1월 중 3월, 8월 인터넷 예약관리 시스템 접수 후 서류심사 선정 3월, 8월 12월 중 ※ 도시농업 전문가 과제교육 : 5회 400명/년 - 새로운 도시농업 실천기술, 강의 기법, 리더쉽 등 역량강화 교육 [ 농업기술센터 도시농업전문가양성교육 수료자 현황 : 752명 ] ?? 연도별 달성 계획·소요예산 구분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계 획 500명 100명 100명 100명 100명 100명 소요예산(백만원) 190 38 38 38 38 38 ?? 기대효과 ○ 이론과 실무 능력을 갖춘 도시농업전문 인력 육성으로 도시농업 확산 ○ 공공과 민간의 거버넌스 구축으로 사회적 일자리 창출에 기여 4-3 곤충산업 전문인력 육성 계속 21세기 유망 성장산업인 곤충(양봉)산업 활성화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으로 일자리 창출을 통한 곤충산업 저변확대 및 양봉산업 활성화에 기여 ?? 추진근거 ○ 곤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13조(지방자치단체의 곤충사업수행) ○「곤충산업 전문인력 양성기관」 지정 : 2017. 11. 1. 농촌진흥청 ○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 제29조 2항(귀농업인의 육성) ?? 사업계획 ○ 곤충산업 전문인력 육성 : 1기 30명 - 대상 : 관내 곤충산업관련 종사자, 창업희망자, 서울시민 등 - 계획 : 1기 30명(20일/기, 100시간) - 내용 : 실증사례 중심의 교육으로 곤충산업의 이해 및 창업, 사육 실습 및 현장 사례 견학 등 ※ 수료자 중「찾아가는 곤충교실」강사활용 및「곤충활성화 기반조성 지원사업」대상자 선정하여 일자리 창출 ○ 양봉전문가 양성 : 1기 30명 - 대상 : 관내 예비귀농인, 양봉경력 3년 미만 신규농업인 등 - 계획 : 1기 30명(20일/기, 70시간) - 내용 : 실증사례 중심의 교육으로 양봉사육 이론 및 현장견학, 창업 사전준비 등 ○ 교육추진체계 곤충산업 전문인력 육성 (곤충,양봉) 교육신청홍보 (홈페이지 등) [1월,3월] ? 대상자 선정 (서류심사 등) [2월,4월] ? 교육추진 (센터 및 현지농가) [3월~11월] ? 교육결과보고 (설문조사 등) [11월] ?? 연도별 달성 계획·소요예산 사업명 구분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곤충산업 전문인력 육성 계획(개소) 480명 60명 80명 100명 120명 120명 소요예산(백만원) 218 28 35 45 55 55 ?? 기대효과 ○ 이론과 실무 능력을 갖춘 양봉전문가 육성으로 양봉산업 확산 및 정착에 기여 ○ 곤충산업의 교육 수요를 충족하고 신성장 동력인 곤충전문가 양성 4-4 스마트농업 전문인력 육성 신규 농산물 시장개방, 소비자 트랜드와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스마트 전문인력 양성과 도시청년 농업 신규인력 육성으로 서울 스마트 농업선도에 중추적 역할은 물론 첨단 스마트 농업기술 보급 및 확산에 기여 ?? 추진방향 ○ ‘서울형 3세대 스마트팜 모델’ 조성에 스마트 농업 전문인력 활용 ○ 귀농?귀촌 전문교육을 통한 농업 후계인력 양성 ○ 전문농업인의 스마트농업 전환으로 관광산업 등과 농업융복합 모델 구축 ?? 사업계획 ① 스마트농업 전문기술 교육 신규 ○ 스마트농업 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교육 추진 - 사업기간 및 계획 : 230명 (`20년~`24년) 사업명 구분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스마트농업 전문기술 교육 계획(명) 230명 40명 40명 50명 50명 50명 - 교육대상 : 교육 희망 서울시민 1회 40명/년 - 교육기간 : 4일/회 - 교육내용 : 스마트농업 현황 및 사례, 도시환경에 적합한 식물재배시스템 등의 정보통신기술(ICT) 활용교육 ※ 2019년 조성 스마트농업 교육장 활용 ○ 스마트농업 테스트베드 교육장 운영 - 위치 및 규모 : 서초구 내곡동 1-2946, 216㎡ ※ 2019년 농촌진흥청 국고보조사업으로 교육장 조성(사업비 206백만원) - 교육장 활용 : 도시농업전문가 양성교육, 귀농?귀촌 전문인력 양성 교육, 농업인 교육시 스마트농업기술 보급 교육장으로 활용 ② 귀농·귀촌 전문인력 양성 계속 - 목적 : 귀농귀촌 희망자에게 귀농귀촌 후 유턴을 방지하고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위하여 귀농정보 제공 및 영농교육을 통한 우수인력 육성과 도농상생에 기여 - 인원 : 3분야 500명(창업 2과정, 귀촌 1과정) - 내용 : 농촌의 이해와 귀농귀촌 전문기술교육 및 현지견학 등 ※ 2017년∼2018년 귀농창업(평일반)교육생 중 33.3% 귀농 정착 연도 교육인원 귀농인원 정착률 2017 85명 27명 31.8% 2018 89명 31명 34.8% 평균 87명 29명 33.3% <서울시 귀농교육 후 귀농 정착률> ③ 전문 농업인력 육성 계속 - 목적 : 전문 농업인 및 후계세대 농업인 육성 지원으로 경쟁력 강화 - 인원 : 2개 농업단체 834명(회원수) - 내용 : 글로벌 시대에 서울농업 핵심리더 양성 및 차세대 농업리더 육성 구분 회원수 주요사업 비고 계 834명 ?교육인원 : 7회 405명(′20년) 농업지도자회 764명 ?시범영농융자금 지원사업 : 70백만원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행사 : 6회 380명 서울 농업인 한마음 대회 격년 개최 (’21년 500명) 농업경영인회 70명 ?역량강화교육 : 1회 25명 ?청년농업인 육성지원 : 8명, 84백만원 ?? 추진체계 ○ 교육과정 : 스마트농업 전문기술 교육, 귀농·귀촌 교육, 전문농업인 교육 계획 수립 교육신청 접수 교육 추진 결과평가 1월 중 ( 각 교육과정 ) 3월, 8월 인터넷 예약관리 시스템 활용 교육 접수 3월~12월 (현장실습 위주 교육) 12월 중 (과정별 평가) ?? 당면 현황 및 애로사항 ○ 전문 농업인력 감소 및 고령화로 향후 농업을 이끌어 갈 후계세대의 농업인 육성 필요 - 청년농업인(영농4-H) 육성지원 사업 지속 추진으로 후계세대 육성 ?? 연도별 달성 계획·소요예산 구분 단위사업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달성 계획 계 6,215명 945명 1,450명 1,080명 1,560명 1,180명 스마트농업 전문기술 교육 230명 40명 40명 50명 50명 50명 귀농귀촌 전문인력 양성 2,900명 500명 500명 600명 600명 700명 전문 농업인력 육성 3,085명 405명 910명 430명 910명 430명 소요 예산 (백만원) 계 2,008 360 401 398 429 420 스마트농업 전문기술 교육 65 10 10 15 15 15 귀농귀촌 전문인력 양성 1,128 209 209 230 230 250 전문 농업인력 육성 815 141 182 153 184 155 ?? 기대효과 ○ 전문 농업인력 육성사업 추진으로 서울농업 발전에 기여할 핵심인력 양성 Ⅳ 조직 개선 분야 1 조직과 인력 ?? 조 직 : 2과 6팀, 4상담소 (2020. 4. 1. 기준) ※ ( ) 여성직원 수 구 분 계 지 도 직 일 반 직 계약직 (농업연구) 소 계 지도관 지도사 소 계 5급 6급이하 정 원 32 24 2 22 6 1 5 2 현 원 30(16) 22(13) 2(1) 20(12) 6(1) 1 5(1) 2(2) 과부족 △2 △2 - △2 ?? 주요사업 : ’20년 34개 세부사업〔세세부사업 83개〕 2 운영 현황 ?? 운영실태 및 애로사항(문제점) ○ 농촌진흥청 위임사무에 따른 지방농촌 지도기관 공통사무 비중이 높아 고유 독창적 사업 확대에 한계가 있음 -’19년 전체 예산사업 33개중 23개 사업이 국비 포함 사업임 농촌진흥법 5조 ④항에 따른 지자체 의무사항 - 미래농업 분야 신규사업 발굴 사업추진 등 전략적 대응 미흡 ○ 농업기술 지도기관의 전문지도사 역량 증진 필요 - 지도직의 47%가 5년 이하(신규 9명/전체19명)경력으로 전문성 증진이 요구됨 - ’18년 32과정 811회 강의중 40%이상을 전문지도사 직접 강의(1인당 70시간) ○ 교육시설 부족 : 치유농장 부지 확보 필요 ?? 해외 지도사업 운영체계 ○ 미국?일본 : 정부 주도형 연구?지도사업 ○ 프랑스?독일?덴마크 : 공공단체?민간주도형 지도사업 <표 1-1> 주요 농업선진국의 농업 연구·지도·보급사업 주도 형태 구분 주도적 역할 정부 민간 중앙정부 (중앙집권형) 지방정부 (지방분권형) 공공단체 (공익적 민간형) 민간기업 (상업적 민간형) 연구 한국, 일본 미국, 독일 네덜란드, 프랑스, 영국, 뉴질랜드, 호주 - 지도·보급 한국(‘98년 이전) 한국,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독일, 덴마크 네덜란드, 영국, 호주, 뉴질랜드, 독일 ★ 자료출처 : 서종혁(2007).p. 218. 3 개선 방안 ?? 업무진단 ○ 대상사업 : ’20년 예산사업 34개 사업중 83개 세세부 사업 ○ 진단시기 : 2019. 12. 1.~2019. 12. 6 ○ 진단방법 : 진단표에 의거 자체 TF운영으로 진단 등 - 분석항목 : 계획 및 달성도, 만족도 결과(3개년),전문성 및 미래지향성 지속여부 등 10개 항목 ○ 흐 름 도 : 업무진단 → 조정 → 업무재분장 - 팀별 업무분석 진단후 재분장 추진으로 조직 효율성 강화 ?? 진단결과 ○ 세세부사업별 진단현황 구분 계 재검토사업 지속 유지 개선추진 비고(시설관리 등) 세세부사업수 83 5 43 32 3 ○ 재검토사업 : 귀농농장안내판지원, 우리쌀이용 식품가공, 서울농업체험그린투어, 친환경농업체험교육장 운영, 도시농업실습교육장 운영 등 ?? 결과활용 ○ 재검토사업 : ’21년부터 진단결과 적용하여 사업조정 ○ 개선추진사업 : ’20년 사업추진시 개선의견 실행계획 반영 ○ 업무재분장 : 진단결과 재검토 및 개선추진이 필요한 사업의 축소 및 폐지후 직원간 업무조정 및 분장 재실시 ?? 조직진단 ○ 전문기관에 의한 객관적 조직 점검, 개선방향 도출로 조직 재정비 - 조직·인력, 예산, 기반시설, 조직관련 규정 등 ※ ’21년 예산확보(20,000천원) 후 외부 전문기관에 의한 조직진단 추진 ?? 조직보강 ○ 농업기술센터「정책기획」조직 신설(조직담당관 협의추진) - 미래농업 추진반(가칭) : 3명(정책기획 2, 지도 1) ○ 인사교류 추진 - 소수직렬의 인사교류 원천 단절로 행정 환경변화 감지?대처 어려움 - 시 부서와 인적네트워크 단절로 협력추진사업 한계 ※ 기술인사팀과 협의결과 수요부서 파악 후 추진 ?? 직원(지도직)역량 제고 ○ 신규지도사 증가 및 첨단화하는 핵심과제 추진을 위한 직원 역량 강화 - 전문농업 지도, 스마트농업 신기술, 인공지능(AI)융합기술, 농업인문학 정책기획 등 ○ 추진방법 : 장?단기 교육과 자율 학습조직(동아리) 활용 ⓐ 장?단기 교육 수강 참여 철저 : 농진청 관련분야 전문교육 파견 ? 장기교육(2개월 이상) 위한 국비(농촌진흥청) 예산 적극 편성 ⓑ 학습동아리 활성화 지원 : 스마트농업?빅데이터? 클로렐라 등 미래기술 ? 학습동아리 구성 후 주 1회 운영 학습 및 시 예산 지원 활용 ⓒ 1인 1전문지도연구회 가입 : 분야별 연구회 가입 활동 적극지원 ⓓ 정책기획능력 배양 : 전문강사 초빙 사내교육 및 시 인재개발원 역랑교육 ?? 「활력 조직 만들기 교육」추진 ○ 혁신방안 추진을 위한 조직내 소통과 협력의 활성화 계기 조성 필요 ○ 농촌진흥청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 찾아가는 교육「활력 조직 만들기」과정 전직원 참여 신청 - 센터 방문교육 프로그램으로 전직원 참여 12시간 2일짜리 교육 - 조직활력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방안 및 실행계획 수립 방법 등 ○ 추진방법 : 농촌진흥청과 협력하여 2020년 중 교육 참여 추진 Ⅴ 행정사항 1 미래전략 TF 운영 ?? 농업기술센터 혁신계획 추진을 위한 TF 구성?운영 농업기술센터 미래전략 TF (내·외부 전문가) ○ 구성인원 : 7명 내외(농진청, 관련분야 교수, 시의원, 농업인대표, 도시농업과 등) ○ 기 능 : 조직, 사업 발전 방향 검토, 신규사업 발굴 및 자문 등 ○ 운영방법 : 반기별 1회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회의 개최 ○ 운영기간 : 2020. 5. ~ 2020. 12.(필요시 연장 운영) ○ 회의결과 조치 계획 ? 혁신방안 추진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단계별 적용 실시 ? 농업기술센터 중·장기 발전 계획 수립 시 반영 2 추진 점검 ?? 추진 현황 점검 기관 혁신 위원회 ( 내부 ) ○ 구성인원 : 5명 내외 ○ 기 능 : 핵심사업 추진 정기진단 및 점검, ‘농업기술센터 미래전략 TF’ 운영 지원 등 ○ 운영방법 : 분기별 1회 정기회의 및 필요시 임시회의 개최 ? 사업분야별 점검 및 세부 진단으로 개선방안 등 성과 도출 ○ 운영기간 : 2020. 5. ~ 2020. 12.(필요시 연장 운영) 3 세부 실행계획 수립 시행 ?? 전략 과제별 세부 실행계획 수립 및 시행 ○ 수립주체 : 과제별 추진부서 - 혁신방안 확정후 중기 계획은 부서별 업무 분장·실행계획 수립 ○ 주요내용 - `20년 신규사업은 즉시 세부실행 계획 수립 추진 - 중기계획중 예산확보시 즉시 추진가능사업은 추가 자료조사 및 세부추진계획 수립 후 ’20년 상반기에 추경예산 요청 - 장기 투자심사대상 계획은 타당성 조사, 투자 계획 등을 고려하여 실천 방안 수립후 추진하고 ‘중기재정계획 및 연차별 예산’ 반영 노력 ? 미래혁신 TF운영시 도출된 개선안 및 발굴사업 적극 수용 ? 유관기관, 시의회 등과 원활한 소통으로 효과적인 사업전개 ○ 중기계획은 ’20년부터 연차별 계획 수립, 예산 확보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정보

농업기술센터 혁신방안 추진계획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문서번호 서울특별시농업기술센터-5375 생산일자 2020-04-29
공개구분 부분공개 보존기간 3년
작성자(전화번호) 진우용 (02-459-8992) 관리번호 D0000039860258
분류정보 행정 > 일반행정지원 > 과공통일반사무 > 일반관리(서무) > 일반업무관리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