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2020년 한강 여름철 조류조사 결과보고

문서번호 환경수질과-5803 결재일자 2020. 10. 13. 공개여부 부분공개(5,6) 방침번호 시 민 주무관 환경수질과장 운영부장 전시은 최동주 10/13 송영민 2020년 한강 여름철 조류조사 결과보고 2020. 10 한강사업본부 (환경수질과) 2020년 한강 여름철 조류조사 결과보고 조사개요 ? 기 간:2020. 9. 1 ~ 3일(3일) ? 지 역:5개 권역(그림 1) ① 행 주 일 대 : 성산대교 ∼ 김포대교 (약 11km) ② 밤 섬 일 대 : 밤섬, 동호대교 ∼ 성산대교 (약 13.5km) ③ 중랑천일대 : 잠실대교 ∼ 동호대교 (약 6.5km) 중랑천 (군자교 ∼ 중랑천 하구) (약 5km) 탄천 하구 (약 4.5km) ④ 광나루일대 : 강동대교 ∼ 잠실대교 (약 9km) ⑤ 미사리일대 : 팔당대교?미사리 일대 ∼ 강동대교 (15km) ? 장 비 - 망원경(20∼60배율)1대, 쌍안경 2대(10배율), 차량 1대, 순찰선 2척, 디지털카메라 등 ? 인 원: ? 조사기간 첫째 날에는 약간의 비가 내리고 흐렸으며, 둘째 날부터 맑아짐. [ 그림 1. 한강 5개 조사 권역도 ] 조사방법 ? 한강상류 팔당대교부터 하류 신곡수중보 주변을 5개 지역(그림1)으로 세분화하여 구간마다 관찰되는 조류 조사 ? 도보, 차량, 선박을 이용하여 강변을 따라서 천천히 이동하면서 선조사법과 정점조사법을 병행 실시하여 관찰되거나 울음소리, 나는 모양 등으로 종식별이 가능한 모든 조류의 종(種)과 개체수를 기록 ? 선박 이용 시 상류로 올라가면서, 그리고 내려오면서 수변과 한강을 망원경과 쌍안경, 디지털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개체수가 중복되지 않도록 조사를 수행함 ? 전 조사구간에서 관찰된 조류는 종별 상대우점도(%)와 구간별 종 다양도 지수(Shannon's Index, H')를 분석함 조사결과 ? ※ ※ ? 전년대비 종수 감소: 흰죽지, 원앙, 비오리 등이 관찰되지 않았기 때문임. ? 개체수의 감소 : 민물가마우지, 괭이갈매기 등의 관찰이 적었기 때문임. ※ 관찰조류 우점 개체수 괭이갈매기(347개체, 20.7%) > 흰뺨검둥오리(288개체 17.2%) > 민물가마우지(284개체, 16.9%) > 붉은머리오목눈이(161개체, 9.6%) > 집비둘기(134개체, 8.0%)) ※ 지역별 종다양도 지수 중랑천일대 2.498로 가장 높았으며, 광나루일대가 1.417로 가장 낮았음. ? 1. 지역별 관찰종 ① 미사리 일대 - 총 12종 81개체 관찰 - 전년대비 총 관찰 조류종수(19종→12종)는 감소하였으며, 개체수(160개체 →81개체)는 큰 폭으로 감소하였음. - 지역 우점종은 민물가마우지(27개체), 흰뺨검둥오리(19개체), 참새(12개체), 왜가리(7개체), 까치(4개체) 순이었음 - 전년대비 관찰 종수의 감소는 원앙, 비오리 등이 관찰되지 않았기 때문이며, 개체수의 감소는 전년도에 많은 수가 관찰되었던 중대백로(35개체)와 괭이갈매기(16개체)가 금번 조사에서는 각각 적은 수(2개체, 1개체)가 관찰되었기 때문임 - 종다양도 지수는 1.908임 ② 광나루 일대 - 총 8종 248개체 관찰됨. - 전년도에 비해 관찰 조류 종수(17종→8종)는 감소하였으며, 개체수(211개체→248개체)는 소폭 증가하였음. - 지역 우점종은 흰뺨검둥오리(133개체), 민물가마우지(39개체), 괭이갈매기(33개체), 왜가리(20개체), 쇠백로(13개체) 순이었음 - 전년대비 관찰 종수의 감소는 원앙, 청둥오리, 해오라기, 황로, 파랑새가 관찰되지 않았기 때문이며, 개체수의 증가는 흰뺨검둥오리(12개체→133개체), 민물가마우지(13개체→39개체), 괭이갈매기(10개체→33개체)의 관찰이 증가했기 때문임 - 종다양도 지수는 1.417임 ③ 중랑천 일대 - 총 23종 575개체 관찰되었음. - 전년대비 종수(24종→ 23종)는 소폭 감소하였으며, 개체수(578개체 →575개체) 또한 소폭 감소하였음. - 지역 우점종으로는 붉은머리오목눈이(130개체), 흰뺨검둥오리(70개체), 까치(69개체), 집비둘기(67개체), 민물가마우지(41개체) 순이었음 - 전년 대비 관찰된 개체수의 큰 변동은 없으나, 종별 관찰된 개체수는 차이를 보임. 까치(15개체→69개체)와 흰뺨검둥오리(61개체→70개체)의 관찰이 증가한 반면, 청둥오리(77개체→33개체)와 민물가마우지(97개체→41개체), 괭이갈매기(36개체→20개체)의 관찰은 감소함 - 종다양도지수는 2.498임 ④ 밤섬 일대 - 총 7종 228개체 관찰되었음. - 전년도 대비 종수(7종→7종)는 변화가 없었으며, 개체수(247개체→228개체)는 감소하였음. - 지역 우점종으로는 괭이갈매기(78개체), 민물가마우지(64개체), 집비둘기(39개체), 왜가리(21개체), 흰뺨검둥오리(18개체) 순이었음 - 전년대비 관찰 종수는 변화가 없었으며, 개체수의 감소는 괭이갈매기(113개체→78개체), 민물가마우지(68개체→64개체)의 관찰이 감소했기 때문임 - 종다양도 지수는 1.576임 ⑤ 행주 일대 - 총 16종 544개체 관찰. - 전년대비 종수(16종→16종)는 변화가 없었으며, 개체수(759개체→544개체)는 감소하였음. - 지역 우점종으로는 괭이갈매기(215개체), 민물가마우지(113개체), 흰뺨검둥오리(48개체), 붉은머리오목눈이(31개체), 왜가리(27개체) 순이었음 - 전년대비 종수는 변화가 없었음. 개체수의 감소는 괭이갈매기(449개체→215개체), 민물가마우지(141개체→113개체) 등의 관찰이 감소하였기 때문임 - 종다양도 지수는 1.956임 2. 연간 종변화 추이 - - 관찰 종수는 전년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전체 조사 기간의 평균관찰종수(34.1종)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음. 개체수는 전년대비 감소하였음(그림 2). - 금번 조사기간은 전년대비 한달 정도 늦게 이뤄졌는데 이는 심각한 태풍으로 인해 한강의 수위가 크게 상승하였기 때문임. 다량의 강수로 인한 수위 증가 및 늦어진 조사시기로 인해 조류의 관찰이 적었던 것으로 생각됨 - 2003년부터 2020년까지 한강에서 하계 조사기간 중 관찰된 조류는 25~41종, 1,095~4,587개체였음 그림 2. 한강에서 하계 조사기간 중 관찰된 조류의 개체수와 종수 변동(2003-2020년) 3. 특이사항 ① 미사리 일대 - 태풍의 영향으로 내린 많은 양의 비로 수위가 높아져 조류가 쉴 수 있는 하중도나 수변공간이 사라짐 ? 법적 보호종 : 없음 ② 광나루 일대 - 전년도에 원앙(12 개체)이 가장 많이 관찰된 지역이었지만 금년도에는 발견되지 않음 ? 법적 보호종 : 없음 ③ 중랑천일대 - 조사지역중 가장 많은 종수가 관찰됨. ?법적 보호종 : 천연기념물(황조롱이 1개체) ④ 발섬 일대 - 조사 지역중 가장 적은 종수가 관찰됨 ?법적 보호종 : 없음 ⑤ 행주 일대 - 태풍의 영향으로 내린 비로 행주일대의 수위가 높아 조류가 쉴 수 있는 수변의 면적이 줄어듬 ?법적 보호종 : 없음 4. 고찰(전문가 의견) - 금번 조사기간 전에 태풍으로 인해 많은 양의 비가 내려 한강의 수위가 높았고 유속이 빨랐음. - 중랑천 일대에 월동 수조류인 청둥오리가 전년 대비 개체수가 감소하였고(77개체→33개체), 흰뺨검둥오리는 소폭 증가하였음(61개체→70개체). 중랑천 일대는 겨울철에 많은 수의 월동 수조류가 도래하는 곳으로 월동조류의 개체수 변화는 오리류의 도래 시기가 변하였거나 혹은 우리나라에서 번식하고 여름을 보낸 개체들이 관찰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 비가 많이 내려 한강의 수위가 높아지면서 수변 공간에서 휴식을 취하던 수조류(가마우지류, 갈매기류, 오리류, 백로류 등)가 한강의 교각, 부표 등에서 휴식을 취하는 모습이 쉽게 관찰 됨. 수변 지역은 수조류가 물에서 먹이활동을 하다 체온 유지 등을 위해 휴식을 취하면서 털을 말리기 위해 이용함. 따라서 한강의 수위가 다시 낮아지면 서식하는 수조류를 위해 휴식 공간을 마련하여 보다 안정적인 서식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됨. 현재 한강 하부에 비해 상부는 수조류가 쉴 수 있는 공간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므로 우선적으로 더 확보해 주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임. - 세계적으로 도심 속에 한강만큼 다양하고 많은 수의 수조류가 도래하는 것은 매우 드문 사례로 이곳에 도래하는 조류상을 파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함. 매년 지속적으로 하계와 동계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3일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한강 본류와 주요 지천을 조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정밀한 조사가 이뤄지기는 어려움. 또한 번식기인 4~6월과 이동성 조류가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시기인 봄과 가을 조사가 수행되지 않으면 기초자료 확보 측면에서 아쉬움이 남음. 따라서, 기존의 하계와 동계 조사의 일수를 최소 2~3일 정도 추가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임. 조류 서식지로서의 한강 관리를 위해 보다 정밀한 기초자료 확보는 매우 중요함. 붙 임 1. 2020년 한강 여름철 조류조사표 1부. 2. 연도별 출현종 비교표 1부. 3. 지역별 주요 조류사진 1부. 끝.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 결재문서본문.hwpx (2.19 MB)

      PDF다운로드 원문다운로드

  • 2020년_한강 하계_조류조사표.hwpx

    비공개 문서

  • 2020년_한강 하계 조류 조사 data.xlsx

    비공개 문서

문서 정보

2020년 한강 여름철 조류조사 결과보고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한강사업본부 운영부 환경수질과
문서번호 환경수질과-5803 생산일자 2020-10-13
공개구분 부분공개 보존기간 5년
작성자(전화번호) 전시은 (3780-0787) 관리번호 D0000040991052
분류정보 환경 > 야생동식물 > 야생동식물 > 야생동식물보호 > 한강조류및어류관리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