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상수도 혁신 마스터플랜 추진계획

문서번호 기획예산과-5224 결재일자 2020.4.25. 공개여부 대시민공개 방침번호 서울특별시장 방침 제88호 시 민 기획예산과장 경영관리부장 상수도사업본부부본부장 상수도사업본부장 행정2부시장 서울특별시장 박재희 이상국 구아미 백호 진희선 04/25 박원순 협 조 서울물연구원장 엄연숙 시설관리부장 신용철 급수부장 이규상 생산부장 서대훈 요금관리부장 조두업 “ 익숙함에 익숙해서 소중함을 잊지 말자!” 상수도 혁신 마스터플랜 2020. 4. 목 차 Ⅰ. 주요현황 1 Ⅱ. 진단과 평가 2 Ⅲ. 혁신전략 3 Ⅳ. 중점사업 4 첨단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상수도 체계 구축 폭염, 가뭄 등에 대응한 상수도 관리체계 구축 상수도 수질관리를 통한 시민신뢰도 제고 상수도 전문성 및 현장 대응능력 강화 상수도 분야 민간기업의 역량 배양 상수도를 통한 사회적 우정 실현 Ⅴ. Finance & Schedule 59 ?? 지난 30년간 세계 최고 수준 유수율 달성, 취약 노후 상수도관 대거 정비, 고도정수처리 완비 등 막대한 양적 성장 달성 ○ 기후변화?환경오염 등으로 수질 환경의 급격한 악화, 한계점에 근접한 유수율의 추가적 제고, 각종 기계?설비?시설의 노후화 등 새로운 과제 대두 ○ 지난 30년간 현장의 전문가로 일해 온 1세대 상수도 인력의 대거 퇴직으로 ① 현업 인력 부족 ② 인력 고령화 ③ 인력 전문성 약화 등 문제에 직면 ○ 시민들은 수돗물을 먹는 물보다는 생활용수로 낮게 평가, 수돗물 음용률은 계속 나빠짐[음용률 54.8%(’12) → 50.4%(’17)] ?? 특히, 작년 6월 발생한 문래동 수질사고는 그동안 서울시가 수질개선을 위해 추진한 모든 노력을 일시에 무너뜨리고, 수돗물에 대한 시민 불신을 가중시키는 결정적 계기가 됨 ?? 이제 대규모 시설 확충, 수도관 교체 등 하드웨어적 접근에서 탈피, 시설물의 유지관리, 시민과의 소통 등 소프트웨어적 접근으로 패러다임의 변화 시작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AI, ICT, IoT 등 신기술을 접목한 상수도 최적 유지관리시스템 적극 도입 ○ 민간분야와 상생?협치를 통해 상수도 생태계의 발전 가능한 네트워크 강화 ○ 상수도 전문 인력을 확보하고 교육시스템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지속성장 가능한 운영체계 구축 첨단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상수도 체계 구축 ①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수돗물 관리 ② 여의도 아리수 혁신지구 운영 ③ AI 기반, 상수도 민원상담 서비스 시행 ④ 실시간 수질모니터링 및 수질정보 공개 ⑤ Online 원격검침 대폭 확대 ⑥ 입체영상(3D) 기반, 상수도시설물 관리체계 구축 폭염, 가뭄 등에 대응한 상수도 관리체계 구축 ① 수돗물 생산능력 확충 ② 상수도 취수원 다변화 추진 ③ 친환경 무연계량기 전면 도입 ④ 저탄소·친환경 정수시스템 운영 ⑤ 친환경 아리수병물 생산 및 Online 고지서 도입 상수도 수질관리를 통한 시민 신뢰도 제고 ① 상수도관망 모니터링 및 장기사용관 정비 ② 상수도관 주기적 물청소 강화 ③ 주택 내 노후 수도관 교체 적극 지원 ④ 싱크대 음용전용 수도꼭지 설치 ⑤ 수돗물 음용 및 신뢰도 향상 6 10 12 14 16 18 20 22 23 25 28 30 33 36 38 39 상수도 전문성 및 현장대응능력 강화 ① 상수도 전문인력 확보 ② 상수도 현장실습 중심 교육훈련체계 구축 ③ 상수도 연구원 기능 혁신 ④ 상수도 재정운영의 건전성 강화 상수도 분야 민간기업의 역량 배양 ① Open Innovation System 도입 ② 정수슬러지 자원 재활용 추진 ③ 민간기업 해외진출 지원 상수도를 통한 사회적 우정 실현 ① 수도계량기 검침원?교체원 근무여건 개선 ② 상수도 공사현장 근로자 근무여건 개선 ③ 스마트 검침으로 취약계층 위기상황 대처 40 42 44 45 48 51 53 55 56 57 1 첨단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상수도 체계 구축 1-1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수돗물 관리 ??『디지털 Seoul Water』플랫폼 구축(’20.1.~12.) ○ 서울에서 일어나는 모든 상수도 현상을 실시간으로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스마트 시티 Water 플랫폼 구축 - 상수도 Big Data를 ① 통합 ② 실시간 ③ 시각화하는 디지털 시민 본부장실 구축 - 상수원, 정수센터, 배수지, 아리수올림터, 각종 상수도 공사 및 사고현장 등을 실시간 네트워킹으로 연계, 선제적 의사결정 추진 ○ 수돗물 생산부터 공급, 수도꼭지까지의 과정 실시간 모니터링 ○ 실시간 현장 확인을 위한 통합 영상모니터링 체계 구축 ○ 주요 사업성과, 민원분석, 경영지표 등 다각적 통찰 시각화 【 실시간 데이터 기반 정수센터 현황 】 【 위치정보 기반 수질,시설,공사 등 현황 】 【 각종 운영현황 데이터 시각화 】 ?? 잔류염소 균등분배 자동제어 시스템 구축(’20.1. ~ 12.) ○ 수질자동측정기가 모니터링한 수도꼭지 잔류염소 빅데이터를 활용, 잔류염소가 기준치에 미달하는 지역에 실시간 자동 투입?관리하는 방식 - 정수센터?배수지?수도꼭지 잔류염소 값, 공급계통상 상수도관내 체류시간 등 다양한 정보 수집?활용 ⇒ 염소 소비 속도와 소모량 자동 계산 ○ 관말 수도꼭지 잔류염소 안정적 유지 및 염소냄새 저감 - 시행전 : 0.2 mg/L ± 0.05 ⇒ 시행후 : 0.2 mg/L ± 0.02 【 뚝도 수계 잔류염소 수치 변화 】 ?? Big Data 분석, 수질취약 예상지역 선제적 관리(’19. 5.~ ) ○ Mapping 기법 도입 ⇒ 수질취약 예상지역 도출 - 매년 아리수코디, 민원 등 약25만 건의 현장 수질검사 Big Data 축적 - 서울 지도상에 수질검사, 수질자동측정기 데이터 값, 수질민원, 배관망 등 수질자료 표기 【 아리수코디 수질검사 결과 】 【 수질자동측정기 】 ○ 체계적?과학적 상수도관망 분석 - 수질취약 예상지역의 유속, 수량, 유압 등 상수도 관망 해석, 상수도관 내시경 검사, 수도관 시편채취 및 분석 등 ○ 수질사고 발생우려가 있는 상수도관에 대한 선제적 유지 관리 - 주기적인 물세척 강화 → 관말 정체지역, 저유속 구간, 수질민원 다수 발생지역 등 - 교체및갱생 → 실코트 손상 및 도장재 탈락으로 수질오염의 주범인 관로 - 비굴착 등 신공법 실시 → 도심지 교통혼잡 및 지장물 과다로 굴착이 어려운 구간 등 ?? 스마트 정수장 구축?운영 ○ 기후변화에 대응한 원수수질 예측으로 수질변화 선제적 대응(’20.1월 ~ ’25.12월) - 집중호우, 가뭄, 기온상승 등 기후변화에 따른 원수수질 변화를 사전에 파악하여 악화시 선제적 대응 - 3차원 수리?수질모델 개발과 인공신경망 기법을 활용한 수질 예측 〔3차원 모델 취수원 수질변화 예측〕 〔인공신경망 수질변화 예측〕 ○ AI기반 정수처리시설 운용(’21.1월 ~ ’23.12월) - 그동안 축적된 정수처리 데이터와 현재 데이터를 AI에 의한 실시간 분석으로 펌프운영, 약품주입 공정 자동화 구분 1단계(’21년) 2단계(’22년) 3단계(’23년) 사업내용 분석장비 고도화 데이터 축적 자동화 ○ IoT 기반 전력신기술 적용을 통한 전기설비 재해예방(’21.1월 ~’23.12월) - 리액턴스 성분분석으로 전력설비 열화 감시(콘덴서, 리액터) ⇒ 주요부품 개별 전력패턴 분석으로 중대 재해 예방 구 분 계 광암 구의 뚝도 영등포 암사 강북 구성도 수 량 (개소) 19 1 2 3 4 5 4 대 상 19 중계 송수, 중계 취수 송수 중계 취수 송수(2) 중계 취수(2) 송수(2) 중계 취수(2) 송수 중계 1-2 여의도 아리수 혁신지구 운영 4차산업의 각종 첨단기술을 적용, 여의도를 아리수 혁신지구로 조성하여 미래 스마트 상수도 모델을 구현 ?? 여의도 여건 및 현황 ○ 지리적 여건 - 면 적 : 거주지?상업지구 일대 2.95㎢(89만평) - 인 구 : 상주인구는 33천명, 일 유동인구는 60만명 - 건 물 : 24개 단지 10,334세대 공동주택과 업무용 빌딩 ○ 상수도 여건 - 유입배수관은 영등포, 대방동 2곳으로 중블럭 규모의 관망상태 유지(연장 37.8㎞) - 일 평균 24천톤 공급(가정용 6, 일반용 15, 기타 3) ?? 아리수 혁신지구 구상도 ○ 수도계량기 원격검침시스템 구축(전체 898전 원격검침 시행) - 현재까지 불가능하였던 실시간 수돗물 수요분석 및 예측 ⇒ 수돗물 생산, 공급 비용절감 - 여의도 일반용 월평균 사용량 (643톤) 〉서울 월평균 (86톤) ⇒ Big Data 분석을 통해 일반용 수전에 대한 수돗물 사용관리 모델 도출 ○ 수질자동측정기, 자동드레인, 수질전광판, 원격제어밸브 등 실시간 수질관리시스템 구축 ○ 수압?유속?방향 등 실시간 관망관리 시스템 구축 - 관망해석 방식개선, 촘촘한 수질감시(측정기 1대→6대) - 격월 검침량 기반 배수지 급수구역 ⇒ 실시간 사용량 기반 중블록(혁신지구) 관망해석 - 실시간 유량?유속변화 파악으로 선제적 정밀 수질관리(세척, 자동드레인) ○ 스마트미터기(유입?유출/수용가), 멀티센싱 등 실시간 통합운영관리시스템 구축 ?? 추진 계획 ○ 추진 일정 - 기본계획 수립 및 시설설계 : ’20. 6. - IoT 등 스마트 상수도 기술 현장 적용 : ’20. 7.~’21. 12. (Big Data 분석기술 및 프로그램 개발 병행) - 사업효과 분석 및 횡단전개 : ’22. ~ ○ 사업비 : 30억원(시비 15억, 국비 15억) 1-3 AI 기반, 상수도 민원상담 서비스 시행 단순·반복적인 상수도 민원상담에 AI 기술을 도입하여 24시간 365일 민원 대응체계 구축, 시민불편 해소 및 상담직원 부담 완화 ?? 민원처리 실태 ○ 상수도 분야 민원은 연간 100만 건 발생(’19년 기준) - 8개 수도사업소 콜민원센터에서 63명의 전담직원이 일일 평균 56건 응대 ○ 전화민원이 90% 이상, 통화 포기 건수가 18만 건에 달함(17%) - 통화대기 및 상담지연으로 민원 불편 야기 ○ 상담업무 기피, 잦은 인사이동으로 상담업무 전문성과 상담품질 저하 ?? 추진 내용 ○ 인공지능 상담로봇 “챗봇 ? 음성봇” 시행 챗 봇 - 카카오톡 형식으로 민원인이 질문을 하면 AI가 최적의 답변을 찾아 문자로 대화 【 음성 로봇 】 음성봇 - 전화 상담 음성을 AI가 듣고 질문 의도에 맞는 답변을 찾아 음성으로 대화 - 상담 빈도가 높은 이사정산(예상요금 계산), 자동납부, 명의변경 등 우선 서비스 ○ 상담직원 업무를 지원하는 “상담비서봇” 도입 - 상담비서봇이 전화상담 음성을 듣고 추천 답변, 관련 제도, 연락처 등을 상담화면에 실시간 표출, 상담직원이 참고하여 내실 있는 답변 제공 - 요금 등 내부 시스템 정보도 제공, 개별 시스템 조회 없이도 답변 가능 ?? 추진 계획 ○ 인공지능 상담 챗봇 및 상담비서봇 구축 : ’20.7. ~ ’21.2. - 챗봇 서비스 1차 오픈(’20.7월), 챗봇 및 상담비서봇 2차 오픈(’21.7월) ○ 인공지능 상담 음성봇 구축(민원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포함) : ’22. ~ ’23. ?? 연차별 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사 업 명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이후 상담로봇 도입 3,000 1,000 800 500 500 200 - 운영 및 유지관리 600 200 200 200 200~ (매년) 1-4 실시간 수질모니터링 및 수질정보 공개 정수센터에서 가정의 수도꼭지까지 수량과 수질상태를 과학적으로 수집하고 실시간 수돗물 정보를 시민들에게 공개 ?? 현황 및 실태 ○ 정수 수질관리 : 세계보건기구 수준(166항목) 이상 수질검사(171항목) 실시 - 수질검사 : 수질기준 60항목(월간), 감시기준 111항목(월?분기?반기) - 수질목표 : 탁도 0.3NTU, 수도꼭지 잔류염소 0.1~0.3mg/L 유지 ○ 수질자동측정기는 203지점 225대 설치?운영 - 현재 수질측정기 설치 대수가 전체 행정동 28% 수준에 불과 - 설치지점의 70%가 관공서?공원?학교로 우리동네 수질대표성 확보 미흡 【 측정기 설치 지점 】 ○ 수질측정 정보를 아리수맵?전광판을 통하여 시민공개 - 현재 1시간 간격으로 수질 측정값을 제공 하여 신뢰성 부족 - 전광판 등 21개소로 아리수 수질전용 전광판 부족 【 수질자동측정기 】 ?? 추진 계획 ○ 생활권 단위 실시간 수질모니터링체계 확대 - 수질측정지점 개선 : 관공서, 공원 225대 → 洞 單位 424대 - 수계전환, 수질취약지점에 이동식 탁도?수압자동측정기 도입 : 16대 - 수질관리 전문업체 위탁 24시간 정상 작동관리체계 유지 ○ 실시간 수돗물 정보 시민공개 - 서울 Water Now, Arisu Map, 수질전광판 등 탁도?잔류염소 정보제공 - 수질정보 주기 개선 : 1시간(’19년) ⇒ 20분(’20년) - 아리수 전용전광판 확대 : 21개소(’19년) ⇒ 121개소(’21년) 【 아리수 전용 전광판 】 ○ 아리수통합정보센터 대시민 공개(’21년) ?? 연차별 투자계획 ○ 총사업비 : 13,331백만원(’20년 6,122백만원, 국비 3,061백만원) 구 분 계 2020년 2021년 사업비(백만원) 13,331 6,122 7,209 사업내용 측정기 323대 10,372 170대 5,322 153대 5,050 전광판 100대 500 50대 250 50대 250 시스템 등 시스템 등 2,459 시스템 등 550 모니터링 등 1,909 1-5 Online 원격검침 대폭 확대 검침 위험·불편을 해소하고, 1인가구 등 수도계량기의 증가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IoT기반, Online 원격검침 대폭 확대 ?? 현황 및 실태 ○ 서울에 218만개 수도계량기 설치 : 방문검침 방식 - 348명의 검침원들이 매월 약 3,000개씩 현장 방문?검침 중 - 이를 바탕으로 수도요금 부과(수도요금고지서 매월 각 가정 방문 전달) ○ 오피스텔, 다가구 등 1인가구 증가로 수도계량기업무 폭증(매년 3만개씩 증가) ○ 차도 등 검침 위험?불편으로 부상사례 다수 발생 - 철판(3,425개), 추락위험(1,451개), 차도위험(243개), 실내(11,985개) 등 ※ 계량기 교체 관련 사고 : 부상 6명 (’17년~’19년) 【 대형 철판 】 【 맨홀 개폐 어려움 】 【 차 도 】 【 질식?추락 위험 】 ?? 원격검침구성 ① 1시간 단위 검침, ② 6시간 단위 검침값 송출, ③ 수도요금 부과자료 활용 ?? 원격검침 확대 ○ 검침 위험·불편 수전 우선 전환(17,222개) : ’20~’23년 - ’18~’19년 2,400개 설치 완료, ’23년까지 연차별 교체(14,822개) ○ 신설 수전(매년 5만 수전) 원격검침 설치 추진 : ’20~ - ’20년 1만개 원격검침 우선 전환, 연차적으로 확대 실시 ○ 신축 SH?민간분양 아파트, 빌딩에 대형 원격계량기 설치 - 아파트(63개), 빌딩(137개) 등 매년 약 200개 정도 1-6 입체영상(3D) 기반, 상수도시설물 관리체계 구축 관리지역이 넓고, 방대한 규모와 다양한 설비로 구성된 상수도 시설물을 3D지도와 AI, IoT 등 첨단기술을 활용, 스마트한 수도시설물 운영·유지·관리 ?? 추진방향 ○ 평면적 시설물 관리체계 → 입체적?공간적 시설물 관리 체계로 전환 1단계 시설물 3D 공간정보 구축 2단계 시설물 첨단 관리 3단계 디지털 트윈 구축 실사 가상(디지털) 【 증강현실(AR) 】 【 디지털 트윈 】 ○ 시설물 디지털화를 통해 위치기반 시설물 점검·분석설계·교육 등 활용 ?? 상수도 시설물 3D 구축 계획 ○ 사업목표 : 배수지(100개소), 정수장(6개소), 취수장(4개소) ○ 사업기간 : 2017년 ~ 2028년 ○ 연차별 추진계획 구 분 계 ’17 ’18 ’19 ’20 ’21 ’22년이후 3D구축(개소) 110 1 1 4 3 6 95 사업비(백만원) 6,600 200 200 300 500 600 4,800 【 뚝도정수센터 실내 】 【 보광배수지 내부 】 【 상수도관로 3D 】 ?? 3차원 자료활용을 통한 시설물 첨단관리 ○ 디지털 기반의 상수도시설물 운영·관리체계 구축 - 3D를 통해 시설물 모니터링, 수위 시각화, 유지보수이력 관리, 안전점검 정보 입력 ○ 상수도시설물 선제적 관리지원을 위한 입체적 분석?시뮬레이션 - 실제 환경과 동일한 가상의 테스트베드를 제공하여 정밀한 시설물 분석 · 시설물 생애주기 분석, 누수·단수 분석, 방수방식 교체시기 예측 - 디지털 물 흐름 해석시스템(CFD)을 활용한 문제점 진단 및 최적 개선안 도출 · 개선안 현장 반영으로 정수처리 효율증가 및 비용절감 CFD(전산유체역학) :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약자 - 고성능 컴퓨터와 유체해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제 공정, 설비, 시설물과 동일한 디지털 모델을 만들어 물속의 흐름을 예측하는 학문 [최적 도류벽 설치 전?후 비교 시뮬레이션] ※가로방향 배치시 체류시간 1시간 증가(소독능 향상) ○ 현장업무용 모바일 GIS 구축으로 실시간 지하관로 정보 서비스 제공 - 현장에서 지하관로 및 통계자료를 증강현실(AR) 기반의 데이터 서비스 활용 ○ 시설물 자산관리와 3D자료 연계 공유(’20~’28년) ?? 향후계획 ○ 스마트 상수도 시설물 관리 추진체계 및 로드맵 수립 : ’20.11월 ○ 상수도 디지털 트윈 시스템 구축 : ’28년까지 완료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현실세계의 기계나 장비, 사물 등을 컴퓨터 속 가상세계에 구현한 것(=시설물 아바타) 2 폭염,가뭄 등에 대응한 상수도 관리체계 구축 2-1 수돗물 생산능력 확충 하절기 수요량 급증 및 인접도시 급수요청에 따라 수돗물 생산능력을 확충함으로써 안정적인 수돗물 공급체계 구축 ?? 현황 및 실태 ○ 고도정수처리 시설용량 : 357만톤/일 ○ 물 소비가 폭증하는 하절기에는 시설용량을 초과 또는 근접하는 위험한 상황 발생 ○ 영등포, 암사, 강북 정수센터는 시설용량 초과 ○ 인접도시 수돗물 공급 요청 증대 :11만톤/일(’18년)→30만톤/일(’40년) - 인구 급증하는 남양주, 구리, 하남, 과천 등 ?? 시설용량 확충계획(2027년 까지) ○ 현재 부족량과 대규모 개발사업(마곡지구 등), 인접도시 수요 대응 - 시설용량 확대 : 357만톤/일 → 402.5만톤/일(△45.5만톤/일) ○ 강북정수센터 : 구조물 기 설치, 즉시 증설 가능(’21년) 영등포정수센터 지원과 시계외 공급(사업비 146억원) ○ 영등포정수센터 : 현 부족량과 마곡지구 등 추가 수요에 대응(사업비 382억원) ○ 광암정수센터 : 암사정수센터 급수구역 분담(사업비 591억원) ?? 연차별 투자계획 2-2 상수도 취수원 다변화 추진 한강 강변여과수 개발, 광암정수센터 취수원 이중화 등 취수원을 다변화하여 폭염 및 가뭄 등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한 수질 및 수량 변화에 신속 대응 ?? 한강 강변여과수 시범시설?운영 【 한강 강변여과수 개발 】 ○ 인공 모래언덕 조성, 강변여과수 시범 시설·운영을 통한 타당성조사 추진 - 한강 둔치에 투수계수 향상을 위한 인공 여과?취수시설 설치 ※ 한강본류 투수계수가 불량하여 한강의 자연조건으로는 수량 확보 불가능 - 시설 규모 : 인공 모래언덕 등 조성 (2,000㎥/일, 1개소) - 검토 지역 : 잠실수중보 상류 한강시민공원 둔치 [선행연구사례 - 간접취수 타당성조사 용역(서울시, ’05~’06년)] - 취수 가능량(15,000~22,000㎥/일)이 적고 , 취수원가 44% 상승 ?한강 자연조건으로는 대수층 손상과 막힘 현상으로 다량 취수 곤란 ○ 추진 계획 : ’20. 6. ~ ’22. 12.(총사업비 1,000백만원) - 타당성 조사 : ’20. 6.~’21. 12.(사업비:200백만원) - 실증 시설 설치 및 운영 : ’22. 1.~’22. 12.(사업비:800백만원) 【 광암 취수원 이중화 】 ?? 광암정수센터 취수원 이중화 ○ 암사2취수장 여유물량을 광암정수 센터로 공급(’21년~’25년,사업비 974억) - 시설규모 : D=1,500㎜, L=10.7㎞ - 기대효과 : 원수비 약 120억원/년 절감 ○ 추진 계획 - 2040 수도정비기본계획 환경부 승인 : ’21년 - 실시설계 용역 및 공사시행 : ’22년 ~ ’25년 2-3 친환경 무연계량기 전면 도입 수도계량기 제조과정에서 사용되는 소량의 납 성분으로부터 시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납 성분이 거의 없는 친환경 무연 계량기 도입 ?? 현황 및 실태 ○ 서울시 전역에 2,183천개 설치(내구연한 8년 주기, 전량 순환교체) ○ 구조 및 형태 【 외갑(황동 + 납) 】 【 내갑(플라스틱) 】 ○ 재질구성 : 황동(99.15%이상)+납(0.85% 이하) ○ 현실태 - 최근 납 기준 초과제품이 발견되어 사회적 문제 초래(79,000개 리콜 조치) - 계량기 재질에 포함된 미량의 납 성분으로 인한 시민 불안 ?? 추진 내용 ○ 매년 30만개씩, 8년내 전량 교체 - 2020년 3월부터 구입하는 모든 계량기는 무연재질 ○ 서울시 기준 무연계량기 납 재질기준 강화 : 0.85%이하 ⇒ 0.25%이하 - 미국 안전식수법과 같은 수준(유럽, 일본 등은 납 함량 기준 없음) ○ 계량기 구매방법 개선 : 가격경쟁 ⇒ 가격 + 제품하자율 - 가격경쟁 방식(최저가 낙찰)으로 인해 저가낙찰 및 제품 품질저하 초래 - 가격기준을 최소화하고 업체의 제품하자율, 신인도 등 정성적 조건 요소 강화 ○ 재질구성, 성능 등 품질확보를 위한 납품검사 강화 - 재질 검사 샘플 대폭 확대(2만개 당 25개) - 휴대용 재질성분분석기로 샘플링 검사수량의 5% 간이검사 - 검사 대상 계량기 시료채취 및 공인기관 검사의뢰 ○ 신소재 폴리케톤 계량기 도입 - 플라스틱 계열의 친환경 고분자 소재로 만든 계량기로 납 성분은 Zero 수준 - 2019년 24,000개 구매설치 ⇒ 안정성 확보 후 점진적 확대 도입 ?? 추진 계획 ○ 내구연한(8년)에 따른 교체물량은 매년 무연계량기, 신소재계량기 등으로 적극 교체 (단위 : 천개, 백만원) 구 분 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구 매 예정량 2,444 290 383 287 239 311 381 316 237 사업비 177,937 9,979 25,758 21,000 18,300 24,300 30,700 26,700 21,200 2-4 저탄소?친환경 상수도 운영시스템 구축 기후환경 변화에 실효성 있게 대응하기 위한 상수원 관리, 에너지 절감, 신재생 에너지 발굴 등 친환경 운영시스템 구축 ?? 운영현황 ○ 상수원 ‘조류경보제’ 운영 : 조류, 맛?냄새물질 상시 모니터링 - 한강본류 4개지점(미사대교, 강동대교, 광진교, 잠실대교) 원수상태 조사 ① 마이크로시스티스 (Microcystis) ② 아나베나 (Anabaena) ③ 오실라토리아 (Oscillatoria) ○ 기후환경 변화에 따른 수돗물 생산 단위당 에너지사용량 증가 - 고도정수처리 도입 후 전력사용량 11.7% 증가 ?? 상수원 수질 자동감시시스템 고도화 【 1단계 】조류 자동감시시스템 도입 기 존 (현미경 조류 분석) ⇒ 변 경 (조류 이미지 분석기 활용 자동분석) 변 경 (이미지 분석기 측정 원리) - 현미경을 통해 실험자가 직접 분석하던 것을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조류 이미지 분석기로 실시간 자동분석?감시 ※ 기존방식은 오랜 분석시간(1시간)으로 분석자의 안구 피로도 증가 및 조류에 대한 전문지식 필요 【 2단계 】맛?냄새물질 자동감시시스템 도입 - 분석항목 : 맛?냄새물질 2-MIB, Geosmin 기존 ⇒ 변경 시료 채수 후 개별 기기분석 실시간 감지할 수 있는 분석시스템 개발 【 3단계 】맛?냄새물질 발생에 따른 고도처리 자동제어시스템 개발 【 추진일정 】정수센터 1곳 시범사업 실시 후 타 정수장으로 확대 ?? 펌프운영 최적화 시스템 구축 ○ 6개정수센터 펌프 125대 가동 중 : 전력(560억/년) 85% 사용 ○ 저효율 펌프(55대) ⇒ 고효율 펌프로 교체 : 2021년까지 ○ 최적화된 펌프가동 시간표 편성?운영 주 시간대 ( 10:00 ~ 17:00 ) 에너지 고효율 펌프(70대) 가동하여 예산절감 추진 경부하시간대 ( 23:00 ~ 09:00 ) 모든 펌프(125대)를 최대한 가동으로 배수지 수위 최고도 유지 ○ 최적운영 시스템 구축을 통한 에너지 절감 - 전력(3% 절감효과) : 13,289MWh (1,515백만원) - CO2 : 6,196톤 CO2/년 감축 (241백만원) ?? 신?재생에너지 발굴 및 활용 ○ 암사정수센터 유휴부지 활용 연료전지 발전사업 - 사업내용 : 3,058㎡ 규모의 연료전지 20MW 시설 설치 - 사업기간 : ’18.~’21.(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변경 협의중-강동구청) - 추진방법 : SK건설(주)와 MOU 체결하여 협업 상수도사업본부 : 사업부지 제공, 발전사업 인·허가 등 행정지원 사업자 : 연료전지 등 시설물 설치, 재원투자, 관리·운영(최대20년) 【 연료전지 생산공장 】 【 연료전지 】 ○ 한강 취수원수 수열에너지 활용 - 활용방법 : 정수센터로 공급되는 취수원수 에너지를 민간에 공급 - 공급예정 : 아산병원 신축건물(신축기간 ’21~’22, 설비용량 1,671RT) - 효 과 : CO2 배출량 감소 및 새로운 수익 창출 【 취수원수의 수열에너지 활용 】 2-5 친환경 아리수병물 생산 및 Online 고지서 도입 ?? 친환경 아리수병물 생산 〈병물 생산 개요〉 ○ 위 치 : 영등포정수센터 내 별도공장(3,000㎡, 51m×29m×2층) ○ 규 모 : 연간 800~100만병 생산·공급(재해·단수지역 한정 공급) ○ 생산인력 : 5명이 생산시설 전담운영 중 ○ 재 질 : 플라스틱 성분 100% pet 제품 ○ 투명한 ‘無 라벨’ 병물 제조 - 환경보호를 위해 페트병에 부착하는 라벨을 없애고 시대 흐름에 맞게 무라벨 병 사용 - 제품명(Arisu)은 페트병 몸체에 음각으로 새겨 넣어 제품 식별 유도 - No-label 아리수 병물 생산 : ’20. 4.~ ○ 生분해성 병물 아리수 시범생산 - 옥수수, 사탕수수 등 천연물질 50~70% 이상 함유 물병 사용 - 생분해성 병은 6개월 이내 90% 자연 분해?소멸함 - 생산규모 : 350㎖ 대상 연간 10만병 생산 - 사 용 처 : 대규모 시민행사 등 시민 홍보 목적 - 추진방법 : 해외 생분해성 페트병 도입(중국) 【무라벨 생수병】 〈샘플 테스트〉 염소성분이 생분해성 병물에 미치는 영향 등 검증을 위해 5개월 정도 성분·재질·성상 등 샘플테스트 후 시범생산 추진 ※ 국내 생산방안 : 관련 기업과 지속적 협의 ?? Online 고지서 및 재생용지 고지서 적극 도입 추진 ○ 수도요금 청구서 현황 - 주 기 : 매월 단위 107만건 - 형 태 ① 요금납부를 위한 OCR밴드, QR코드 등 포함한 일반고지서 : 54만 건 ② 사용요금만 표기된 자동납부고지서 : 46만 건 ③ 일반납부 및 자동납부 이메일청구서 : 7만 건 ○ Online 고지서 도입 - 적용 대상 : 86만 건(OCR밴드 납부 14만 건 제외) ?자동납부 대상 46만 건, 계좌이체 등 일반 납부 40만 건 - 카카오톡, 네이버 앱 등 민간 앱과 문자 기반 모바일고지서 중 비용편익 고려 - 도입시기 : ’20. 10. ○ 재생용지 수도요금고지서 제작 - 적용 대상 : 자동납부 고지서 우선 적용 ? 특성상 정밀한 인쇄품질이 필요한 경우는 제외 : 일반고지서(OCR) ? 자동납부청구서는 사용요금을 고지하는 목적이므로 재생용지 적용가능 - 기대효과 : 자원재활용을 통한 자원절약, 환경보호 실천 및 비용절감 - 도입시기 : ’20. 4월 납기 〈재생용지 고지서〉 3 상수도 관망 정비 및 선제적 유지관리 3-1 상수도관망 모니터링 및 장기사용관 정비 ?? 수도꼭지 이물질 출현 및 누수발생 ○ ’84~’85년 매설된 시멘트라이닝 덕타일 주철관은 관내부 급격한 중성화 진행 ○ ’79년 이전 매설된 도복장강관은 내부 도장제 탈락 및 용접부 녹 발생 ○ 이물질 출수 및 누수발생 현황 (단위:건/발생율) 구 분 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누수 발생 전체 누수건수(건) 44,304 9,413 9,157 8,881 8,454 8,399 노후관 누수건수 (발생률) 14,872 (33.6) 3,065 (32.6) 3,042 (33.2) 2,758 (31.1) 2,768 (32.7) 3,239 (38.6) 이물질 및 녹물 출수(건) 106 - - 26 48 32 ※ 문래동 수질사고 유발 - 1973년 부설된 1세대 노후 상수도관(700~800㎜)의 급격한 노후화에 따라 문래동 일부 세대에 혼탁수 유입(1,312가구 3주간 음용제한) ?? 전체 상수도관망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서울전역 상수도망의 노후화 진행상태 등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 송수관·배수관·급수관을 일정한 간격(0.5~1㎞)으로 구획해서 ? 시료채취 ? 내시경 내부 관찰 등 빅데이터 축적?관망별 분석 ○ 상수도망 분석 결과에 따라 상수도관 청소, 갱생 및 교체 등 선제적 정비 추진 ?? 장기사용 상수도관 우선 정비 : 478㎞ ○ 장기사용(31년 경과) 상수도관 2,713㎞(전체 20.1%수준) 구 분 소 계 ’89년 ’88년 ’87년 ’86년 ’85년 ’84년 ’83년 ’82년 ’81년 ’80년 ’79년이전 경과년도 31년이상  31년 32년 33년 34년 35년 36년 37년 38년 39년 40년 41년 이상 연장(㎞) 1,785 451 348 316 328 216 19 107 ○ ’84~’85년에 매설되어 35년 경과된 덕타일주철관 우선정비(235㎞) ⇒ 관 내부 실코트 박리?박락, 검은 알갱이 발견 【 ‘84년 덕타일주철관 】 【 ‘84년 덕타일주철관 】 【‘85 덕타일주철관】 ○ ’79년 이전 매설된 41년 경과된 도복장 강관 정비(107㎞) ⇒ 내부 도장재인 콜탈에나멜 박리 및 용접부 녹 발생 【 ‘73년 도복장 강관 】 【 ‘79년 도복장 강관 】 【 ‘79년 도복장 강관 】 ○ 2세대 상수도관 중 급격한 노후화로 도장재 탈락된 취약 상수도관(136㎞) 【 ‘86년 덕타일주철관 】 【 ‘87년 덕타일주철관 】 【 ‘88년 덕타일주철관 】 ?? 연차별 정비계획 구 분 계 ’20년 ’21년 ’22년 ’23년 ’24년 연 장(㎞) 478 38 112 108 107 113 사업비(억원) 6,599 613 1,559 1,456 1,433 1,538 3-2 상수도관 주기적 물청소 강화 인천, 문래동 수질사고 이후 시민들의 상수도 관망에 대한 관심이 높고 정부의 상수도관 세척 법제화에 따른 소블록 물세척 강화 ?? 실태 및 현황 ○ 최근 3년간 혼탁수 발생 현황 연 도 2017년 2018년 2019년 건 수 17 8 20 ○ 물세척에 대한 근거 법제화 : 수도법 제21조의2(상수도 관망의 관리) 신설 - 환경부 주관 상수도관망 유지관리 개선방안 수립 용역(’19.5.~’20.4.) 진행중 - 용역결과를 반영한 시행령 혹은 지침 개정 추진 예정 ○ 배수관?급수관은 일정기간이 지나면 관내부에 물때가 끼고 스케일링이 축적되는 것이 일반적임 【 내부 슬라임(물때 3mm) 】 【 관 내부 스케일(20mm) 】 ○ 대형관 포함 중블록 단위 세척 시 대규모 단수 수반으로 시행 어려움 ⇒ 소규모 소블록 단위의 소극적인 세척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임 ?? 추진 내용 ○ 중점 물세척 지역 - 일정기간 지난 경년관, 수지상관 형태의 관말정체 지역, 저유속 구간, 수질민원 다수 발생지역 등 【 수지상관형 관말정체 지역 개념도 】 【 물세척 현장 사진 】 ○ 상수도 관로 내부상태 관망해석 및 내시경 조사 분석 【 내시경 작업 】 【 관 내부 사진】 ○ 주기적인 배수관 청소 시행 - 2,037개 소블록 내 80~350mm 이하 5년주기 순환방식 - 적극적 단수조치를 통해 소블록 전체 일괄 청소 등 실시 - 기간제노동자 활용(58명) ○ 물세척 : 평시(0.3~0.7㎧)보다 빠른 유속(2~3㎧)을 통한 관세척 ○ 공기세척 : 평시(2.5~4kgf/㎠)보다 높은 수압(4.5~7kgf/㎠)을 통해 수충격으로 이물질 제거 ?? 연차별 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사 업 명 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소블록 물세척 10,865 2,085 1,958 2,278 2,205 2,339 사업규모(소블록 개소) 2,037 407 407 407 407 409 3-3 주택내 노후 수도관 교체 적극 지원 가정내 오래된 수도관이 수질을 떨어뜨리고 있어 수도관 교체비용 지원 사업을 적극 추진하여 아리수 음용률 향상 도모 ?? 현황 및 문제점 ○ 녹에 취약한 수도관을 사용한 주택 : 565,000가구 ○ 가정내 수돗물의 수질이 급격히 나빠져 음용기피 현상 발생 교체 전 교체 후 【 수돗물 미음용 사유 설문 결과 】 【 가정내 수도관 교체 전?후 사진 】 ○ 가정내 수도관 교체 공사비가 부담되어 교체?정비 기피 주택유형 공 사 비 단독주택 약150만원 (50㎡이하) ~ 약300만원 (150㎡) 다가구주택 약280만원 (2.4가구, 50㎡이하) ~ 약620만원 (9가구, 350㎡) 아파트 세대배관 약120만원 (38㎡이하) ~ 약140만원 (85㎡) 공용배관 세대당 약85만원 ?? 추진 내용 ○ 수도관 교체비용 대폭 상향 지원(다가구 : 250만원→500만원) ○ 연차별 교체 추진 ○ 수돗물 음용 실태 (2019년) - 수질개선 탁도 (0.5NTU이하) : 교체 전 0.39 → 교체 후 0.15 (61%감) 잔류염소 (4㎎/L이하) : 교체 전 0.18 → 교체 후 0.24 (33%증) - 음용실태 직접음용 : 교체 전 7.6% → 교체 후 17.4% 끓인 수돗물 : 교체 전 50.4% → 교체 후 71.2% 3-4 싱크대 음용전용 수도꼭지 설치 설거지와 음용을 병행하는 싱크대 수도꼭지로 인해 음용을 꺼리는 경향이 크므로 수도꼭지를 분리 설치하여 음용 환경을 개선 ?? 현황 및 실태 ○ 대부분 가정은 싱크대 수도꼭지로 설거지와 음용 동시 사용 - 시민들은 싱크대 수도꼭지를 설거지용으로만 인식하는 경향이 있어 음용을 꺼림 ○ 음용실태 ?? 추진내용 ○ 싱크대에 설거지용과 음용전용 수도꼭지를 분리설치 추진 - 냉수 배관에서 음용전용 배관을 분리?설치한 정수 및 냉온 기능이 없는 수도꼭지 ○ SH공사 건설 아파트 등에 음용전용 수도꼭지 설치 우선 추진 - 신내동 행복주택(229세대) 설치 : 2019. 7. - 고덕?강일 9단지 등(6,095세대) : 2020. 8. ○ 민간분양 모델하우스에 음용전용 수도꼭지 설치 추진 → 시민체험 파급효과 유도 - 건축 심의 : 음용전용 수도꼭지 설치조건 부여 - 수도법 등 관련법 개정 건의 : 음용전용 수도꼭지 설치 의무화 3-5 수돗물 음용 및 신뢰도 향상 고도정수처리 등 과학적 관리를 통한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 공급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낮은 음용률을 제고하기 위한 대책 필요 ?? 현황 및 실태 ○ 아리수를 먹는 비율 : 17.4%(냉수로 그대로 마실 때) - 수돗물 17.4%, 정수기 46.9%, 먹는샘물 34.7%, 지하·약수 1.0% ○ 아리수를 먹지 않는 이유 ① 주택내 낡은 수도관(50.3%) ② 수돗물에 대한 부정적 인식(12.8%) ③ 깨끗하지 않은 상수원(20.9%) ④ 냄새와 이물질(16%) ○ 아리수 인지도 : 77.3%(’10년) → 80.2%(’17년) ?? 음용제고 대책 ○ 직접 음용률 목표 : 20%(2022년 까지) ○ 음용환경 개선 ① 주택내 노후 수도관 전량 개선 : 취약지역 Target 홍보, 밀착 상담(16명) ② 생활권 수질 실시간 공개 : 424洞 단위 수질측정기 확대 설치 ③ 간편 수질진단 Kit 개발 보급 : 학교, 복지관, 어린이집, 가정 등 간편 측정 ④ 아리수 코디 가가호호 방문제 시행(160명) : 가정 수질측정, 오염 진단 등 ○ 아리수 체험기회 확대 ① 대규모 ‘Blind Test’ 행사 개최 : 25개 자치구 주민 밀집지역, 품질우수성 체험 ② 아리수 친화공간 확대 : 젊은층 공략「탄산음수대」시범 설치 ③ 고도정수처리 등 수돗물 생산현장 시민견학 확대 ④ 파급력 있는 지상파TV 중심 공격적 광고 송출 【 아리수 코디 방문 】 【 Blind Test 행사 실시 】 【 생산현장 견학 】 4 상수도 전문성 및 현장 대응능력 강화 4-1 상수도 전문인력 확보 인력 감소, 숙련직원 퇴직으로 인한 전문성 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략적 인력수급을 통한 상수도 전문성 보강 ?? 현황 및 실태 ○ 전체 인력규모는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 : 2,810명(’01년)→ 1,904명(’20년) ○ 생산, 공급, 시설물 유지관리 분야 전문 기술인력 부족 - 향후 3년간(’20~’22년) 퇴직자는 338명, 기술인력(기술+관리운영 13.8%+연구)이 72.1% 차지 연구, 3.5% ○ 인력의 고령화 현상 심각 - 51세 이상이 48.4%, 31~45세 중추인력은 21.2%에 불과 ○ 수도직렬(기업행정?수도토목) 폐지로 안정적인 인력수급 기반 붕괴 - 승진적체, 민원업무증가 등으로 우수인력의 상수도분야 근무기피 ⇒ 상수도 엑소더스 현상 - 수계조절, 제어실 등 현장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숙련된 전문인력 크게 부족 ?? 전문성 보강방안 ○ ?기업행정 / 수도토목? 상수도 직류 부활 - 상수도 업무의 고유성?전문성을 확보하고 근속할 수 있는 인력운영체계 구축 - 5급이하 운영 : 30%(’20년) → 50%(’22년) 5~7급 : 희망자의 신청, 심사를 통해 전환 8~9급 : 신규채용(일반공개경쟁) ○ 전문성을 갖춘 ?현장 전담인력? 확보 - 현장경험과 숙련도가 요구되는 수도시설, 수계조절 등 6급 이하 인력 - 결원, 퇴직 등 직무분석을 통해 운영정원 조정(80명 정원 확보) - 수처리분야 특성에맞는 AI, ICT교육으로 첨단기술 적응능력 향상 ○ ?상수도 전문관? 신설?운영 - 배?급수, 수질, 제어 등 전문?고도화가 요구되는 분야에 석?박사급 우수인력 채용 예) 도시교통실 ‘교통전문관’ 50여명 운용(교통정책, 교통운영 등) - 상수도전문관 채용 : 8명(’20년) → 12명(’21년) → 15명(’22년) ○ ?수도 관련 전문기업? 육성 및 협업을 통한 전문분야 역량 강화 - 상수도 관망 청소 등 유지보수 Outsourcing 추진 - 수도 관련 전문 민간기업과의 공동연구 및 사업 제휴 - 전문기업 육성을 위한 직원간의 상호 연수 실시 등 4-2 상수도 현장실습 중심 교육체계 구축 점차 고도화?전문화되고 있는 상수도분야 추세에 맞춰 체계적인 이론교육과 함께 직접 설계?시공?운영할 수 있는 현장실습 교육을 강화 ?? 현황 및 문제점 ○ 2019년 교육 현황 : 1,486명(현원(1,809명)의 82.1% 참여) - 직무교육 : 요금관리, 배급수설계, 정수수질분석 등 직무 관련 사항 집중 교육 - 위탁교육 : 기술 동향 파악 위해 협회 등 외부 전문기관에서 소규모로 교육 구 분 직 무 교 육 위 탁 교 육(기전, 안전) 이수 인원 1,335명 151명 교육 과정 27개 과정(요금부과?징수, 공사설계, 배급수관리, 시설운영, 수질분석 등) 21개 과정(펌프향상, 오존발생장치, 전력품질, 전기설계, 정밀안전진단 등) 교육 기관 본부, 연구원, 정수센터 등 상수도 사업본부 전체를 교육 공간으로 활용 한국산업기술협회, 한국시설안전공단 등 5개 기관 ○ 직무교육 심화와 위탁교육 대체를 위한 자체 ‘전문 교육장’ 필요 ○ ‘문래동 수질 사고’ 등 현장의 다양한 환경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수계조절 실습장 등 현장 실습 인프라 구축 필요 ?? ?상수도 전문 교육장? 운영 ○ 상수도 본부 본관 및 별관 리모델링 활용 - 교육장 구성 전용 교육장(2개소) 이론교육장(30석, 50㎡), 전산교육장(30석, 60㎡) 공용 교육장(5개소) 강당, 강당확장공간, 4층회의실, 감사장, 북카페 - 교육과정 이론교육 : 21개 과정 41회, 850명 ⇒ 본부에서 운영 실습교육 : 8개 과정 15회, 400명 ⇒ 실습장 설치기관에서 운영 ○ 향후 특화된 ‘상수도 전문 교육기관’으로 확대?운영 ?? ?상수도 현장 실습장? 조성?운영(2021년~) ○ 지상?지하에 상수도 현장과 같은 크기, 형태의 시설물을 설치하여 수계조절 등 시설 설계?운영을 통해 현장업무 노하우 습득 및 현장 대응력 강화 <규모 및 시설물> ? 시설규모 : 강북정수센터 내 8,000㎡ ? 설치배관 : 대형 배관(2,200㎜×100m), 재질과 구경이 다른 배관 3열 (100㎜×1,400m, 200㎜×150m, 500㎜×100m) ? 급수시설 : 배수지(2개소: 용량 100㎥×1개소, 용량 50㎥×1개소), 아리수 올림터(모터펌프(5마력)×2대) ? 실습시설 : 수질자동 측정기, 유량계, 통합밸브실 및 밸브조절 장비, 누수탐지, 누수복구, 물세척 장비, 배관접합 실습 시설 등 ○ 실습내용 : 수계조절 시뮬레이션, 배수관 소블록 물세척, 누수탐지?복구, 배관접합, 배관내부갱생, 내시경 조사, 관망 해석 등 【 누수탐지 실습 】 【 계량기 성능시험 】 【 무단수 누수 복구 실습 】 【 배관 교체 실습 】 【 펌프분해 및 교체 실습 】 【 전기설비 교육 】 4-3 상수도 연구원 기능 혁신 상수원 및 정수장 수질 조사?분석 중심에서 상수도 정책, 각종 기술, 장비 R&D 기능을 수행하도록 연구원 기능 확대?강화 ?? 현황 및 실태 ○ 인력 구성 : 정원 91명 ○ 기 능 : 수질 분석 기능에 치중하여 현안문제 대응력 부족 - 한강 상수원 유역 오염원 및 유해화학물질 발생 등 조사 - 먹는물 법정?감시항목 수질검사, 신종물질 및 미생물 검사 ?? 추진 계획 ① 명칭변경 : 서울물연구원 ⇒ 서울상수도연구원 ② 정책?기술 연구분야 강화 ○ 상수도 정책 및 R&D 기능 확대 ← 수질조사·분석 - 누적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수도정책 및 기술 개발 - ICT, 인공지능, 디지털화 등 스마트 수도시스템 구축 ○ 상수원 및 배급수 계통 수질사고 사전 예측 - 원수 수질예측시스템 개발 및 대응체계 구축 - 급수계통 수질사고 취약지점 예측지도 작성 ○ 실용적, 현장밀착형 연구개발 - 상수도 관망관리, 방수 방식재의 내구성 및 공법 평가 - 합리적 활성탄 성능, 교체주기 등 연구기능 보강 4-4 상수도 재정운영의 건전성 강화 2012년 이후 동결된 수도요금의 조정과 요금체계의 합리적 개선을 통한 재원확보로 노후시설 교체, 시설용량 개선 등 현대화사업 적극 추진 ?? 재정 수입 ○ 최근 5년간 재정수입 규모는 큰 변동 없이 고정적 수준 유지 ○ 매년 평균 1,993억원을 일반회계에서 차입하여 시설투자비 등 사용 ○ 재정수입 구성 : 수도요금 수입이 89.2% 차지(‘19년 기준) (단위 : 억원) 계 요금수입 급수공사 시설분담금 타회계전입 기 타 8,563 (100.0%) 7,642 (89.2%) 266 (3.1%) 289 (3.4%) 257 (3.0%) 109 (1.3%) ○ 일반회계 수도요금 감면 사업의 지속적 증가 -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장애인 이용시설 수도요금 감면분에 대한 일반회계 재정 보전 없이 상수도 재정 운영 압박 가중 미보전액(年) 국 민 기 초 생활수급자 감면 장애인이용 및 수용시설 감면 소방용수 차입금 이자 보전 78억 58억 2억 18억 ?? 노후시설 교체, 시설 현대화 등 투자수요 급증 ○ 상수도분야 중기 투자수요 및 재정수입 전망분석 (‘21~’25년) - 투자 수요 : 5조 1,599억원 (연평균 10,319억원) - 재정 수입 : 4조 2,051억원 (연평균 8,410억원) ⇒ 연평균 1,909억원 추가 재원 확보가 요구됨 <투자수요/재정수입 현황> (단위 : 억원) 구 분 계 ‘21년 ‘22년 ‘23년 ‘24년 ‘25년 투자 수요 51,599 9,891 9,433 9,614 11,133 11,528 재정 세입 42,051 8,365 8,392 8,418 8,436 8,440 부족 재원 9,548 1,526 1,041 1,196 2,697 3,088 ○ 주요 투자 지출 분야 ① 장기사용 상수도관로(송·배급수관) 정비 등 관망유지관리 분야 (11,491억원) ② 안전한 수돗물 생산을 위한 원수 구입, 동력비 등 생산재료비 (7,438억원) ③ 정수센터 노후 정수지 구조물 보수 등 시설물 유지관리 분야 (6,733억원) ④ 고도정수 처리시설 증설, 취수원 이중화 등 생산시설 확충 분야 (1,833억원) ?? 상수도요금 조정 계획(안) ○ 수도요금 조정(안) - 인 상 폭 : 2020년 9월부터 2022년까지 3년간 매년 14%씩 인상 - 금 액 : 향후 3년간 6,960억원 (연평균 2,320억원) ○ 상수도 업종 단순화 : 4개 업종 → 3개 업종 - 공공용과 일반용은 업종간 경계가 모호하여 구분하기 어려우며, 업종체계가 복잡하여 불만민원 증가하는 등 시민이해도 측면에서 단순화 필요 - 행안부 권고에 따라 타 광역시도 3개 업종으로 통합관리 추세 기존 변경 가 정 용 (85.88%) 가 정 용 (85.88%) 공 공 용 (0.83%) 일 반 용 (공공용+일반용) (11.35%) 일 반 용 (10.52%) 욕 탕 용 (0.05%) 욕 탕 용 (0.05%) ※ 장기적으로 욕탕용도 일반용에 포함(규모 2%) ○ 누진제 폐지 : 3단계 누진제 → 단일요금제 - 가정용의 98%가 누진 1단계 구분에 포함되어 누진제 유지 의미가 없으며, 다자녀 등 사회적 장려 가구의 누진 적용으로 불합리성 증가 - 한 개의 수전에 다수의 사용자가 있는 경우, 다른 사용자의 사용량까지 합산하여 누진이 적용되어 사용자간의 요금분쟁 발생 및 민원 증가 ?? 추진일정 ○ 수도조례 개정 등 입법절차 추진 : ’20. 3. ~ 6. - 요금조정 및 합리적 체계 개선을 위한 공청회 실시 : ’20. 4월 ○ 요금조정 후속작업 및 체계개편 홍보 : ’20. 7. ~ 8. ○ 요금조정 및 체계개편 시행 : ’20. 9. 5 상수도 분야 민간기업의 역량 배양 5-1 Open Innovation System 도입 폐쇄적으로 운영되던 상수도 전분야를 과감하게 민간에 개방하고 글로벌 기술공모 등 집단지성형 문제해결방식으로 상수도 현안문제 해결 ??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 기법 도입 ○ 상수도는 각종 장치, 설비뿐만 아니라 IT산업이 총망라된 첨단?전문산업분야로 공공서비스 혁신을 위해 크라우드소싱 문제해결 방식 도입 필요 ※ 크라우드소싱은 대중(Crowd)와 외부자원(Outsourcing)의 활용을 통해 市의 정책실패 위험성을 줄이고,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 가능 ○ 혁신제품, 특허?신기술 등의 상수도 진입문턱이 높고 특정업체에 예속되어 있다는 비판 지속제기 - 특정 기업의 기술?제품 등 제한된 솔루션만 채택하는 현실 ※ 지난 5년간 민간 기술제안 35건 중 21건 채택 ?? ?상수도 공공 테스트베드? 제공 ○ 성능검증, 기술적용이 필요한 제품, 특허 등에 실증공간으로 개방 - 시제품 등 상수도 현장에 설치, 적용가능한 제품, 신기술 등 - 인공지능, 빅데이터, IoT, AR 등 4차 산업혁명 혁신적 기술 등 ⇒ 현장검증에서 성능?효과 등이 확인된 제품이나 특허?기술 등은 상수도 현장에 우선 적용할 수 있게 구매 등 추진 ○ 전문가 집단 중심으로 공정?체계적인 평가 모니터링 체제 유지 ○ 정수센터 유휴공간 상수도 스타트업에 제공 - 기술력 있는 물산업 관련 벤처, 기존업체의 기술연구?개발 - 한국환경공단과 연계, 대구 국가물산업클러스터 입주기업 중 서울시 정수센터 입주희망기업에 연구공간 제공 ?? ?상수도 글로벌 챌린지? 추진 ○ 상수도가 직면한 각종 현안문제 해결을 위해 크라우드소싱 기반 글로벌 기술 공모 - 공모를 통해 해외의 혁신기술을 다양한 상수도 문제에 적용 ○ 방법 : 서울기술연구원 신기술접수소(www.seoul-tech.com) 크라우드소싱 관련 민간기업 협업(InnoCentive 社) <크라우드소싱 관련 해외사례> ? 크라우드소싱 문제해결 및 기술중계 전문기업 ‘InnoCentive 社’ -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집단지성형 문제해결을 통해 혁신기술 제시 - 기업의 기술적 문제를 온라인으로 공모하고, 외부 전문가가 문제해결 시 상금지급 - ’19년 세계 39만명 기술자가 등록되어 있으며, 2,000개 이상의 난제 해결 ① 알래스카의 기름유출사고 처리 대안 공모 - 1989년 엑슨모빌 소속 유조선이 알레스카에 좌초해 기름유출 발생 - 유출된 기름이 얼음과 엉겨 붙어 제거에 어려움 발생 - 17년 넘게 지속돼온 문제해결을 위해 2007년 도전과제 제시 - 결과 : 3개월 만에 시멘트회사 엔지니어가 해결책 제시해 현장 적용 ② 포트홀(Potholes) 탐색 알고리즘 공모 - 2011년 미국 보스턴시는 스마트폰의 GPS 모듈과 가속도센서 정보를 이용해 포트홀을 찾는 스마트폰앱 Street Bump 운영 - 맨홀, 기타 시설 등으로 포트홀 탐색의 정확도 저하 문제 - Street Bump 앱의 포트홀 탐색 알고리즘을 도전과제로 제시 - 결과 : Street Bump 성능개선 알고리즘 3개를 선정해 현장 운영 ○ 공모분야 : 서울시 상수도 문제의 기술적 해결이 필요한 전분야 - 계량기 동파 예방, 상수도관 세척, 누수탐지, 제어계측, 입상활성탄 성능 개선, 수질간이측정키트 등 ?? ?상수도 우수기술 경진대회? 추진 ○ 상수도 전문 기술·제품 등 적극발굴, 우수 아이템, 기업을 선정하여 검증 및 상용화 지원 등 현장적용 상수도 기기 분야 ?음수대 디자인, 동파방지보온재 키트, 계량기, 밸브조절 표시장치, 계측제어 시스템 보완 등 상수도관 수질개선 분야 ?상수도관 관세척 기술, 물리적 수처리기 등 정수장 설비 분야 ?보안, 제어계측 자동화 등 ○ 공정한 평가시스템을 통한 적극 발굴 및 보상 - 참여대상 기술?제품의 선정?평가 시 ‘공정한 출발선’ 보장 - 경쟁을 통해 선정된 우수기술, 제품 등에 대한 대폭적 보상체계 마련(현장 적용 등 우선 구입) ○ 우수기술 발굴 프로그램 (단위 : 백만원) 프로그램 예산 일정 내 용 장 소 ① 상수도관 세척기술 경연 600 ’20.7. ? 수중 고압 세척방식 ? 고압질소 세척공법 ? PIC-C 공법 최적 구간 선정 ② 기계?전기 유지관리 신기술 Master 선발 25 ’20.9. ? 신기술 이용한 공정관리 최적화 사례 ? 신기술 이용한 펌프 등 효율 개선 사례 ? 신기술 활용한 정수시설 위험 사전감지 사례 등 서울시 연수원 < 경진대회 대상 기술 예시 > 【 수중 고압 세척방식 】 【 고압질소 세척공법 】 【 PIC-C 공법 】 5-2 정수슬러지 자원 재활용 추진 수돗물 생산 최종단계에서 발생하는 침전 부산물인 정수슬러지를 재처리하여 보도블럭 등 친환경 자재로 재활용하는 방안 추진 ?? 현황 및 실태 ○ 6개 정수센터에서 연 91천톤 정수 슬러지 발생 (처리비 약40억) ○ 폐기물관리법에 근거하여 사업장 폐기물로 처리 - 시멘트 재료 : 40,422톤/년(53.1%) - 성·복토재 : 35,730톤/년(46.9%) ○ 1년 단위 공개 경쟁입찰, 처리업체 선정 (처리비 45,000원/톤) ?? 제도개선 추진 ○ 정수슬러지 ‘폐기물처리용역의 적격심사 기준’ 정비 - 경쟁입찰에서 실적 비중을 낮추고, 자원 재활용 기술 배점 상향 - 폐기물 자원화 기술에 대한 입찰 시 가점 → 기술개발 촉진 ○ 정수슬러지 폐기물 처리 용역 기간 단축 : 2년 → 1년 - 신생자원 재활용기술의 시장 진입장벽을 낮춰 사업 참여 기회 확대 - 발주 주기 단축 → 발주 건수가 늘어 신생기술업체 유리 ?? 정수슬러지 폐기물 자원화 기술 시장 상용화 검증 ○ 대 상 : 국내 정수슬러지 자원 재활용 관련 특허기술 ○ 기 관 : 서울기술연구원 도시인프라연구실 ○ 기 간 : ’19. 3. ~ ’20. 2. ○ 기술 검증 주요내용 - 정수슬러지 재활용 관련 특허 및 관련 기술 중 활용 가능한 기술에 대한 평가 및 연구 ? 처리설비의 규모, 생산 공정 및 처리기술의 경제성(BC) 및 자원화 가능여부 ? 자원화된 재료의 시장성 및 활용방안 및 처리기술의 경제성(BC) 및 자원화 가능여부 - 정수슬러지 감량화 기술의 정수센터 도입방안 검토 ?? 정수슬러지 ?자원 재활용 기술? 상용화 추진 ○ 기본 방향 : 부가가치 높은 폐기물 자원재활용 기술 적극 개발 - 기존 성?복토재 및 시멘트 재료 이외의 고부가가치 있는 자원 재활용 기술 - 폐기물의 운반 및 가공 등 재활용에 따른 관련법에 적법한 허가를 취득한 기술 - 수돗물 생산시설이며, 보안시설인 정수센터 내부가 아닌 외부 사업장을 활용할 수 있는 기술 ○ 부가가치 있는 자원 재활용 기술의 참여 창구 상시 운영 - 서울기술연구원 등과 협업을 통하여 상용화 가능 기술 적극적 검토 (테스트베드 활용) ○ 다양한 정수슬러지 재활용 방안 연구 - 비료, 토양개량제, 친환경 건축자재 등 고기술 제품 개발 장려 ?? 향후계획 ○『서울기술연구원 상용화 기술검증 연구』결과 근거로 사업 추진 : ’20. 4~ - 자원 재활용 가능 기술의 평가 및 정책제안을 근거로 사업추진 방향 수립 ○ 우수 신기술 도입 제안 시 도입 촉진을 위한『기술평가심의위원회』구성ㆍ운영 - 제안 기술에 대한 공정하고 전문적인 평가로 도입적정 여부 판단 5-3 민간기업 해외진출 지원 민간기업이 ①상수도분야 운영실적 부족 ②대외 공신력 미약 등으로 해외진출에 어려움이 있어 보다 체계적인 지원을 통하여 해외진출 촉진 ?? 민간기업 해외진출 지원현황 ○ 페루 찬차마요시 수도시설 정수장, 취수장, 송배수관 등 시설 개량 지원(’13.~ ) - 서울시대외협력기금(25억)으로 한국종합기술 등 5개 기업이 현지 정수장 등 상수도사업 시행 ○ 파푸아뉴기니 에리아마 정수장 시설개량사업 타당성조사(’14) - 정수장 시설개선, 운영방안 등 자문, 140백만원 ○ 베트남 후에시 정수장에 상수도 수질 자동측정기 설치(’16.) - 상수도사업본부에서 수질자동측정기 설치(69백만원) ○ 브루나이 PMB인프라 개발 상수도 분야 컨설팅(’16.~) - 상수도 관련 분야 현장 시공 및 운영감리 수행, 135억원 수주(서울시 수입 4억) 【페루 찬차마요시 정수시설 개량】 【브루나이 PMB섬 교량 수도관 시공감리】 【현장견학(수도자재센터)】 ?? 추진 계획 운영경험 축 적 ?서울시 상수도사업에 민간기업 문호 개방 확대 - 정수장설계, 수처리시설 운영, 전문 기술인력 파견, 민간기업과 MOU 체결 대 외 공 신 력 제 고 ?민간기업?서울시 합동, 해외도시 컨설팅 지원체계 구축 - 해외도시 상수도관계자 초청, 서울시 상수도정책 소개, 해외진출 희망기업 신뢰담보 ○ 해외도시 상수도 시설 개량산업 적극 추진 ① 캄보디아 캄퐁치낭市 등 상수도시설 개선 - 대상도시 : 캄보디아 캄퐁치낭市, 캄퐁톰市, 타크마우市 등 3개 도시 ? 캄퐁치낭 : 2,367명, 하천수 침전 사용 ? 캄 퐁 톰 : 31,871명, 지하수 사용 ? 타크마우 : 195,898명, 하천수 침전 사용 ※ ’19. 10월 기술진단 컨설팅 실시 - 추진계획 : 국내 ODA(KOICA, 서울시 대외협력기금) 재원을 활용한 상수도시설 개선 추진, 기술지원을 위한 교류(정책연수 초청) 등 ② 탄자니아 도도마市 등 상수도시설 개선 - 대상도시 : 탄자니아 도도마市, 아루샤市(마레우 지역) 등 2개 도시 ? 도도마 : 500,000명, 지하수 사용 ? 아루샤(마레우 지역) : 2,400명, 지하수 사용 ※ ’19. 12월 기술진단 컨설팅 실시 - 추진계획 : 국내 ODA(KOICA, 서울시 대외협력기금) 재원을 활용한 염소투입설비 등 상수도시설 개량 추진, 기술지원을 위한 교류 등 ③ 미얀마 친州 민관합동 기술진단 컨설팅 - 대상도시 : 미얀마 친(Chin)州 ? 친주 : 518,144명, 900~2,000m의 산지지역 - 추진사항 : ’20. 2월 미얀마 부통령 등 방문 및 본부장 면담 - 추진계획 : 민관합동 컨설팅 실시, 풍부한 계곡수 취수방안 검토, 기술지원을 위한 교류(정책연수 초청) 등 6 상수도를 통한 사회적 우정 실현 6-1 수도계량기 검침원?교체원 근무여건 개선 현장에서 매월 100만 수도계량기를 점검하고 있는 검침원 등 현장 근무자의 근무여건을 개선, 일하고 싶은 사무환경 및 안전한 검침환경 조성 ?? 근로환경 실태 ○ 근로자 현황 : 총 422명(검침원 348명, 교체원 74명) - 1인당 월 업무량 : 수도계량기 검침 3,000전, 계량기 교체 380전 ○ 가가호호 방문검침 후 사무정리 및 휴식 공간부족 - 사무공간(1인기준) 비교 : 검침원 2.5㎡ VS 공무원 7.0㎡ ○ 혹한기?혹서기 도보로 현장을 이동함에 따른 열악한 근무여건 ?? 개선 내용 ○ 종사자 사무환경 개선(2㎡ ⇒ 3㎡이상) - 1인당 사무공간 3㎡이상, 컴퓨터 제공 등 업무수행 환경 개선 - 남?녀 별도 소파, 안마기, 공기청정기 등을 갖춘 휴게공간 및 샤워실 확보 ○ 위기상황 대처 및 편리함 겸비한 PDA 검침시스템 구축(3G→4G) - 위험상황 대비경보음, 음성인식 문자입력, 전화통화, 업무자료 전산화, 지도 및 GPS 등 다기능 탑재 ○ 검침시 이동 편의 제공(세그웨이 등) ○ 혹한기?혹서기 자택 출?퇴근제 운영 - 4개 자치구 관할 사업소의 경우 근무지에서 현장까지 이동거리 상당함 6-2 상수도 공사현장 근로자 근무여건 개선 야간·야외에서 진행되는 상수도 공사현장에 근로자들의 휴식공간을 마련하고 휴게시간을 부여하여 작업환경을 개선 ?? 상수도공사 실태 ○ 야간, 긴급시행이 빈번한 열악한 근무환경, 24시간 내 끝내지 못하는 공사가 빈번 - 화장실, 세면 시설 등이 없는 혹독한 근무환경 노출 - 최근 간선도로에서 사망4, 부상1명 (’10~’18년) ○ 상수도공사 현황(’19년) 구 분 계 송배수관 배급수관 누수복구 및 급수공사 공사건수 144 26 47 71 사 업 비(억원) 2,568 761 1,148 659 ?? 추진 계획 ○ 근로자 근무환경 개선 : 캠핑카를 모든 공사현장에 배치(2020.1.~) - 세면, 식사, 화장실 이용, 휴게실 등 공간으로 활용 - 근무시간 개선 : 노동시간 50분, 휴게시간 10분 보장 ○ 근로자 위험노출 인명사고 방지 - 공사장 시설운영 개선 및 사인보드카, 경광등 등 교통시설물 개선 6-3 스마트 검침으로 취약계층 위기상황 대처 혼자 사는 어르신이나 장애인 1인 가구 등의 수도사용량을 실시간 단위로 파악 위급상황에 대처하고, 고독사 예방에 기여하고자 함. ?? 현황 및 문제점 ○ 혼자 사는 어르신 가구의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 임. (2018년 서울시 65세 이상 1,410,297명) ○ 1인 가구 증가로 주변 사람들과 단절된 채로 생활하다가 고독한 죽음에 이르는 고독사 발생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 ○ 혼자 사는 어르신이나 장애인 1인 가구의 경우, 갑자기 몸이 아프거나 다쳤을 때 위급 상황을 알리는 것 조차 어려움이 있음. ○ 수도는 가스·전기보다 기본사용량이 아주 적어도 사용량에 따라 주거실태 파악이 용이 ?? 추진계획 ○ 스마트검침 체계 ○ 실시간 물 사용량 감지를 통해 각종 위기상황을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수도계량기” 설치 - 실시간으로 1ℓ단위로 세밀한 물 사용량 측정 가능 ○ 24시간 이상 수돗물 사용이 전혀 없거나 이상패턴 발생 시 보호자, 사회복지기관에 자동 알림문자 발송 ○ 희망하는 자치구를 대상으로 자치구당 100개씩 우선 보급 - 자동문자 전송 등 운영시스템 개발, 자치구에 배급 관리 ?? 추진일정 ○ 각 구청별 업무 협의 및 수요 조사 : ’20. 3. ○ 디지털계량기 설치 등 원격검침시스템 구성 : ’20. 4. ~ 10. ○ 혼자 사는 어르신 예방 시스템 구축 : ’20. 11. 연 도 사 업 명 2020년 「상수도 변화 원년-기반 구축」 ?디지털 Seoul Water 플랫폼 구축 ?AI 기반, 상수도 민원상담 서비스(챗봇 등) 시행 ?Online 원격검침 대폭 확대, 스마트 검침으로 취약계층 지원 ?상수도관망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2021년 「본격적인 혁신사업 전개」 ?여의도 아리수 혁신지구 운영 ?실시간 수질모니터링 및 수질정보 공개 ?상수도 현장실습 중심 교육훈련체계 구축 2022년 ?한강 강변여과수 시범시설?운영 ?주택 내 노후 수도관 교체 적극 지원 ?한강 취수원수 수열에너지 활용 2023년 이후 「혁신사업의 성과, 결과 도출」 ?광암정수센터 취수원 이중화 ?수돗물 생산능력 확충 ?장기사용관 지속 정비 재정투자 및 실행계획 (단위: 백만원) 연번 분 야 사 업 명 소요예산 단 위 ~’19년 ’20년 ’21년 ’22년 ’23년 이후 1 스 마 트 상 수 도 체 계 구 축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수돗물 관리 디지털 Seoul Water 플랫폼 구축 800 - 내부직원용 1자오픈 대시민용(2차) 확대 오픈 잔류염소 균등분배 자동제어 시스템 구축 739 - 자체 시스템 구축 및 시범적용 전 사업소 현장 적용 시스템 운영 시스템 운영 시스템 운영 Big Data 분석, 수질취약 예상지역 선제적 관리 3,679 -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취약지역 선제적 관리 취약지역 선제적 관리 취약지역 선제적 관리 스마트 정수장 구축?운영 30,470 - 원수 수질오염 사고 예측 시스템 구축·운영 분석장비 고도화(160대) 강북취수장 전력설비 열화감시 체계 구축 및 수질자료 축적 강북 정수장 열화감시 체계 및 약품 자동주입 시스템 구축 전 정수장으로 확대 2 여의도 아리수 혁신지구 운영 3,000 - 계획수립 시설설계 현장적용 횡단전개 3 AI 기반, 상수도 민원상담 서비스 시행 3,600 - 챗봇1차 오픈 챗봇 및 상담봇 2차 오픈 상담음성봇 구축 4 실시간 수질모니터링 및 수질정보 공개 12,631 대 수질측정기 225대 수질측정기 170대 전광판 50대 수질측정기 153대 전광판 50대 5 Online 원격검침 대폭 확대 29,965 개 2,400 13,500 50,000 50,000 50,000 6 입체영상(3D) 기반, 상수도시설물 관리체계 구축 6,600 개소 6 3 6 10 85 7 폭 염 가 뭄 대 응 관 리 체 계 구 축 수돗물 생산능력 확충 111,900 만톤 강북(23) 영등포(7.5) 광암(15) 8 상수도 취수원 다변화 추진 한강 강변여과수 시범시설?운영 1,000 식 지질조사 및 타당성조사 타당성조사 실증시설 설치 및 운영 광암정수센터 취수원 이중화 97,400 식 기본설계(’18년) 실시설계 공사 및 감리 9 친환경 무연계량기 전면 도입 177,937 개 290 383 287 239 1,245 10 저탄소·친환경 정수시스템 운영 펌프운영 최적화 시스템 구축 150 - 암사정수센터 시범 구축 시범운영 결과검토 타 정수센터 시스템 구축 암사정수센터 유휴부지 활용 연료전지 발전사업 민간투자 - 발전사업 허가승인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 변경, 행위허가,건축허가 실시협약,부지사용허가계약 준공(‘21.12) 한강 취수원수 수열에너지 활용 민간투자 - 타당성 조사 (아산병원 신축) 설계 및 시공 준공 11 친환경 아리수병물 생산 및 Online 고지서 도입 친환경 아리수병물 생산 302 만개 102 50 50 50 50 Online 고지서 도입 280 - 온라인고지서 도입(‘20.10) 홍보 및 확대 홍보 및 확대 홍보 및 확대 12 관 망 정 비 및 유 지 관 리 상수도관망 모니터링 및 장기사용관 정비 상수도 관망 모니터링시스템 구축 17,679 백만원 - 2,424 3,000 3,000 매년 약 3,000백만원씩 주기적 시행 장기사용 상수도관 우선 정비 659,900 ㎞ - 40 112 108 218 13 상수도관 주기적 물청소 강화 10,865 개소 - 2,085 1,958 2,077 2,204 14 주택 내 노후 수도관 교체 적극 지원 255,000 가구 436,379 34,000 34,000 60,621 15 싱크대 음용전용 수도꼭지 설치 304 세대 신내동(640) 행복주택(229) 고덕?강일 (6,095) 16 전 문 성 및 현 장 대 응 강 화 상수도 전문인력 확보 1,401 수도직렬전환(‘20~‘22), 상수도전문관 신설(‘20~‘22) 현장 전담인력 운영정원 조정(‘20, 80명) 17 상수도 현장실습 중심 교육훈련체계 구축 3,000 - 전문교육장 조성 현장실습장 설계 현장실습장 조성 현장실습장 운영 18 상수도 연구원 기능 혁신 6,770 - 명칭변경(⇒ 서울상수도연구원) 정책,기술 연구분야 강화 19 상수도 재정운영의 건전성 강화 14 - 효율적인 관리체계 개선용역 입법절차 추진 : ’20. 3. ~ 6., 공청회 : ’20. 4 후속작업 및 체계개편 홍보 : ’20. 7. ~ 8. 요금조정 및 체계개편 시행 : ’20. 9. 20 민 간 기 업 역 량 배 양 Open Innovation System 도입 600 - 기술혁신챌린지(연2회) 테스트베드 공모(‘20), 테스트베드 실증진행(’21) 글로벌솔루션 도전과제 선정(‘20) 21 정수슬러지 자원 재활용 추진 4,682 - 기술상용화 검증(~‘20) 추진계획수립 기술상용화 추진 22 민간기업 해외진출 지원 800 - 페루 찬차마요 등 4개국 캄보디아 캄퐁치낭市, 탄자니아 도도마市, 미얀마 친州 상수도시설 개선 및 기술진당 컨설팅(‘20~ ) 23 사 회 적 우 정 실 현 수도계량기 검침원?교체원 근무여건 개선 22,510 - 사무환경 개선 위기상황 대처 및 편리함 겸비한 PDA 검침시스템 구축 혹한기?혹서기 자택 출?퇴근제 운영 24 상수도 공사현장 근로자 근무여건 개선 30 - 모든 공사현장에 캠핑카 배치(‘20.1~) 근무시간 개선 : 노동시간 50분, 휴게시간 10분 보장 근로자 위험노출 방비 : 공사장 시설 및 교통시설물 개선 25 스마트 검침으로 취약계층 위기상황 대처 300 건 2,500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정보

상수도 혁신 마스터플랜 추진계획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상수도사업본부 본부 경영관리부 기획예산과
문서번호 기획예산과-5224 생산일자 2020-04-25
공개구분 공개 보존기간 5년
작성자(전화번호) 박재희 (02-3146-1130) 관리번호 D0000039830745
분류정보 행정 > 일반행정지원 > 과공통일반사무 > 업무계획및평가(서무) > 업무계획및보고관리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