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서울창업허브 운영 민간위탁 재계약 추진

문서번호 투자창업과-7170 결재일자 2019.7.5. 공개여부 부분공개(5) 방침번호 시 민 주무관 창업정책팀장 투자창업과장 경제일자리기획관 경제정책실장 표지은 임재근 최판규 김태희 07/05 조인동 협 조 서울창업허브 운영 민간위탁 재계약 추진 2019. 7. 경제정책실 (투자창업과) 서울창업허브 운영 민간위탁 재계약 추진 ’19.12.31자로 민간위탁 기간이 종료되는「서울창업허브 운영」에 대하여 위탁 재계약 추진을 통해 효과적인 창업정책을 추진하고자 함 Ⅰ 민간위탁 개요 ?? 추진근거 ○「지방자치법」제104조(사무의 위임 등) ○「서울특별시 행정사무의 민간위탁에 관한 조례」제8조, 제12조 ○「서울시 행정사무의 민간위탁 관리지침」 ?? 사업개요 ○ 사 무 명 : 서울창업허브 운영(시설형) ○ 시설개요 - 위 치 : 마포구 백범로 31길 21 (舊 산업인력관리공단) - 규 모 : 총 24,242㎡(본관동 18,590㎡ / 별관동 5,652㎡) - 개관일자 : 서울창업허브 본관동 ’17.6.21 개관(별관동 ’18.4월 개관) <본관동> <별관동> ○ 기능역할 : 서울시 창업시설과 정책집행의 구심점 역할 ○ 위탁기관 : 서울산업진흥원 (위탁기간 : ’17.2.1 ~ ’19.12.31) ○ 사업예산 : 46,922백만원(’17년 12,150, ’18년 15,920, ’19년 18,852) ?? 민간위탁 추진경과 ○ ’15.9월 : 서울창업허브 공간 조성계획(시장방침 제250호) ○ ’16.5~6월 : 민간위탁운영평가위원회 심의 및 시의회 민간위탁 동의(제268회) ○ ’16.9월 : 서울창업허브 운영기관-서울산업진흥원 선정 - 민간위탁 위수탁 협약 체결(협약기간 ’17.2.1~’19.12.31) ?? 서울창업허브 지도·점검 현황 ○ ’17년도 디지털창업과 창업지원시설 특별점검(서울창업허브) - 대상기간(점검기간) : ’17.2.~9월(’17.10.16~20) - 점검결과 : 인건비, 운영비, 사업비 등 각종 지출 양호 ○ ’18년도 서울창업허브 지도·점검 - 대상기간(점검기간) : ’17.10~’18.12월(’18.12.17~19, ’19.1.3~4) - 점검결과 : 출장보고서 작성 및 사업추진에 따른 개선방안 마련 등 ??서울창업허브 ’18년도 서울시 지도점검에 따른 조치계획 송부(서울산업진흥원, ’19.3.20) ??국내외 출장보고서 작성 및 사업 추진시 인사관리 개선·증빙서류관리 철저 등 ?? 서울시 민간위탁 종합성과평가(조직담당관) ○ 평가대상(평가기간) : 서울창업허브 운영(’19.1~6월) ○ 평가결과 우수사항 개선요청사항 금융기관과 협조체계 구축, 213개社에 대한 컨설팅을 비예산으로 추진하여 경제적 효율성 등 성과 창출 창업활동(창업 및 투자)을 희망하는 스타트업 대상 홍보·마케팅 활동 우수 스타트업 통합정보 플랫폼 운영 및 창업기관·플레이어 등 전문가 연계 추진 등 전문가 디렉토리를 비롯한 창업정보가 집적될 수 있도록 운영 - 서울이 보유하고 있는 경쟁력의 극대화, 인적·물적자원 활용(연계)위한 창업생태계 플랫폼 구축 및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강화 하반기에 집중된 예산집행 지속됨으로 사업계절성 등을 인지하고 이를 고려한 반기별 예산계획을 수립하여 반기별 예산 집행 오차 최소화 → 재계약 추진 시 개선요청사항을 반영 Ⅱ 2017~2018년 운영성과 2017년 운영성과 ?? 서울창업허브 개소 및 인지도 제고 추진 ○ 서울창업허브 성공적 개소를 통한 조기 안정화 추진 - 개소식에 시장, 중소기업청장 등 1,000여명 참석하는 등 붐 조성 - 154개 기업 입주 및 15개 협력기관 입주 ○ 명칭·BI 시안 공모에 시민참여를 통한 관심 제고 및 언론홍보 추진 - 명칭 1,098건, BI 70건 시민 응모 참여 - 서울창업허브 관련 827건 언론보도(본 기사 493건, 간접노출 334건) ?? 기업 성장단계별 전주기 창업지원 시스템 구축 ○ 우수창업인재 양성 : 온·오프라인 교육 3개분야 18개 과정 1,091명 이수 ○ 성장단계별(예비·초기·성장기업) 333팀 맞춤형 선발·보육 - 예비스타트업 : BM개발·개방형 공간 지원(208명) - 초기(106팀)·성장(19팀)기업 : 개별공간·창업지원금 및 전문 컨설팅 제공 ?? 창업생태계 활성화 추진 ○ 시 창업센터 역량강화를 통한 창업생태계 보육환경 개선 - 23개 시 산하 창업지원센터 매니저 대상(69명) 역량강화 프로그램 운영 - 창업지원센터 센터장 네트워킹을 통한 글로벌 사업 공동 추진 등서비스 개선 추진 ○ 예비창업자·초기기업 대상 창업컨설팅 및 창업지원 정보 제공 - 창업전문상담센터 운영을 통해 예비창업자 상담 및 정보 제공(1,203건) - 민간협력기관(15개사)를 통한 초기기업 전문 컨설팅(901건) ○ 글로벌 스타트업 행사개최 및 유치를 통한 생태계 저변 확대 - 서울창업박람회 개최로 창업관계자 및 시민 참여 - Asia Best Seoul 민간 주도 국제행사 유치(투자자 9개국 50여명 방문) 2018년 운영성과 ?? 창업기업보육 ○ 아이디어 발굴부터 판로개척까지 창업 全 과정 지원 - 예비·초기·성장기업 사무공간·창업지원금 제공, 특허·법률·회계서비스 지원 ?’18년 총 526개 기업 보육(매출 315억, 투자유치 200억, 신규고용 618명) ?대학생 우수창업동아리 지원(10팀), 청년기업 기술이전 지원(25개사) - 市 입주기업 투자추천서 작성 서비스제공?투자유치(총 31개 센터, 140개사) ?3개사(양재R&CD혁신허브·서울창업허브 기업) 27.5억 투자유치 ○ 제품화지원센터?키친인큐베이션센터, 핀테크랩 등 특화센터 운영 - (제품화지원센터) 시장출시 직전의 제품제작 지원 체계 구축(컨설팅 156건) ?설계 ? 조형제작 ? 디자인 ? 상품전략 ? 크라우드 펀딩지원 서비스 - (키친인큐베이팅) 외식창업자 메뉴 개발·검증 공유주방 운영(78개사) ?’17년 6월 이후 외식창업지원 총 109개사 지원, 14개사 매장 오픈 - (핀테크랩) 4차산업혁명 기술 창업기업 보육·테스트 환경 제공(27개사) ○ ‘서울창업방송’ 개소(’18.6월)?운영으로 창업기업 판로·매출 지원 - 창업기업 및 제품 마케팅 콘텐츠 제작·배포를 통한 매출 증대 지원 ?유튜브 채널을 통한 창업기업 및 제품 소개 인터넷 라이브 방송(총159회) <기업입주공간> <키친인큐베이팅> <창업방송국> ?? 글로벌 생태계 진입촉진 ○ 글로벌 창업인재 유치를 위한 ‘서울마켓 액세스 프로그램’ 운영 - 서울진출 희망 글로벌 창업인재 대상 시장조사?마케팅전략?거래처 발굴 지원 - 해외 창업기업?인재 선발, 2주 보육, 서울창업생태계 진출기회 제공 ?호주, 말레이시아, 불가리아, 카메룬 4개국 5개사 7명 참가 ?워크샵 및 현장방문, 네트워킹, 데모데이 참여, 협업 희망 파트너사 매칭 등 ○ 서울창업기업 해외시장 판로개척?매출확대 지원 - 글로벌 파트너와 협력체계 구축으로 해외 현지진출 및 판로개척 ?중국(Rocket Space)·싱가포르(ACEIC)·호주(Sydney Startup hub) 등 16개 해외 창업관련 기관과 파트너십 구축 ?해외진출 희망기업 10개사 선발?보육, 3개사 현지 진출 지원 - 市 시설입주 창업기업 글로벌행사 공동참가(총 5회, 22개 센터,43개사) 지원 ?싱가포르 IR&Echelon Asia Summit(6개사) ※ 서울바이오허브 입주기업 중 1천억원 해외유치단계 진입기업 배출 실적 거양 ?중국 등 4개 IR 전시회 공동참가(32개사, 14백만위안 샘플판매 실적) ?? 서울창업생태계 네트워크 기반강화 ○ ’18년 창업박람회를 통해 국내외 창업생태계 네트워크 형성지원 - 20개국, 60여개 창업관련 기관, 140개 스타트업 참관, 4,300여명 방문 ○ 민간 창업관련 행사 지원을 통한 민간 생태계 글로벌화 촉진 - Entrepreneurs Night(’18.3월), Orange Fab Asia(’18.4월) - 국내외 창업기관에 서울창업허브 벤치마킹 지원(총132개, 해외기관 41개) ?프랑스, 스위스, 룩셈부르크, 스웨덴, 영국 등 국내외 기관?인사 280,371명 방문 Ⅲ ’19년 주요추진 사업 ※ 5대 추진분야 ? 12개 추진사업 ? 27개 세부사업 ?중점추진과제:민간주도 창업기업 선발·보육,제품화 지원 혁신,투자기회 확대,글로벌VC유치,창업인재육성 등 5개 분야 추진분야 추진사업명 세부 사업명 ① 서울창업 허브운영 혁신 1. 市 창업지원시설 운영혁신 선도 ① 민간주도의 유망 창업기업 선발?보육 ② 서울창업생태계 공간?프로그램 공유 네트워크 구축 ① 신생산업 창업생태계 활성화 지원기능 신설 2. 창업기업 특화지원 센터운영 ② 창업기업 제품화지원 시스템 혁신 ③ 키친인큐베이터 기능 강화 ④ 서울창업방송(HBS)을 활용한 창업정책?기업 홍보 3. 서울창업생태계 통합플랫폼으로서 역할강화 ① 서울창업허브 웹사이트 기능개선?온라인플랫폼화 ② 서울창업허브 공간?시스템활용, 창업생태계 통합접점화 ② 투자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 기능강화 1. 서울창업기업 투자유치 시스템 구축 ① 시 지원시설 기업 데이터 공동생산?관리 체계 확립 ② 유망기업 투자추천보고서를 통한 투자기회확대 2. 민간전문기관과 연계한 투자지원 확대 ① 창업단계 Seed 자금 매칭사업 연계 ② 서울미래혁신성장펀드 활용 초기기업 집중 보육 ③ 서울창업기업 글로벌 진출 지원강화 1. 서울창업생태계 글로벌 네트워크 연계 ① 글로벌 AC?VC 서울창업허브 등 유치 추진 ② 글로벌 창업생태계 주체간 다각적인 협력활동 전개 2. 해외창업기관?인재의 서울창업생태계 인지도 제고 ① 민간기관 해외네트워크 활용 글로벌 프로그램 협업 ② Global Startup Week In Seoul 개최 3. 서울창업기업 글로벌 현지 투자?판로개척지원 ① 해외시장 판로개척 글로벌 현지 액셀러레이팅 추진 ② 글로벌 후속투자 목표 해외현지 투자유치 활동지원 ④ 기술혁신인재 양성?성장지원 ① 수요자 중심 교육설계 사전멘토링 도입 1. 혁신창업 기술인재 육성 ② 창업기업 기술?경영 필수인재 양성 ③ 문제해결형 IoT 기반 혁신창업인재 양성 2. 입주기업 거버넌스 활성화와 지속성장지원 ① 입주기업 협의체 자조활동 촉진 ② 우수기업 성장단계별 멘토링 강화 ⑤ 창업생태계 조사?정책수립 지원 1. 서울시 창업생태계 데이터 관리시스템 체계화 ① 창업생태계 데이터 체계 구축 ② 투자자?중앙정부와 데이터 공유?활용 채널 가동 2. 글로벌 수준의 서울창업생태계 조사?분석 ① 글로벌 조사기관과 협력 서울창업생태계 정밀분석 ② 서울창업생태계 조사?분석 네트워크 구축?민간협업 1 서울창업허브 운영 혁신 市 창업지원시설 운영혁신 선도 ① 민간주도의 유망 창업기업 선발?보육 ○ 투자 전제 민간 전문기관에 의한 입주기업 선발 - (기존) 정기?공모?개별심사 ? (개선) 수시?민간전문기관 심사선발 ○ 민간전문심사단 구성 (허브파트너스) 30개사 내외 구성 추진 - 액셀러레이팅 및 후속투자가 가능한 민간 AC 등 전문가로 구성 ※ 액셀러레이터,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신기술사업금융회사, 대학기술지주회사, 국내 진출 글로벌 기관등 직접 투자기능을 수행하고 있거나, 자체 육성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기관 ○ ‘허브파트너스’ 민간네트워크 구축 및 활용 추진실적 ?? 민간전문심사단 (허브파트너스-유형1) 14개사 구성 완료 ※ 펀드운영경험(12개사), 글로벌진출경험(2개사) - 서울창업허브와 협력하는 VC, AC 등 민간기관을 ‘허브파트너스’로 브랜드화 ?(유형1) 서울창업허브 입주기업을 선발하고 보육하는 AC, VC등 민간협력기관 ?(유형2) 허브와 공동 프로그램, 행사 등을 협력 운영하는 민간기관 ○ 향후계획 - 우수 민간전문심사단(허브파트너스-유형1) 수시·지속적인 발굴을 통한 우수 창업기업 발굴·선정 시스템 고도화 및 네트워크 지속 확대 - 허브파트너스(유형2) 수시·지속 선정을 통한 우수 보육프로그램 발굴·공동 추진 ② 서울창업생태계 공간?프로그램 공유 네트워크 구축 추진실적 ?? 市 창업지원시설 운영협의회 개최(2회, ’19.3.28, ’19.5.28.) ?공동 협력 사업 추진 의견 수렴·공유 및 정례회의 개최 (월 1회, 3주 목요일) ○ 市 창업지원시설 인프라 공동 활용시스템 마련 및 운영협의회 추진 정례화 - 市 창업지원시설 이용 공동멤버십(Seoul Startup Privilege, SSP) 도입 ? 44개 시설(보육 27, 기타 17)간 공간?프로그램 공유 멤버십 제도 - 市 창업지원시설 간 정책?정보?지식 공유시스템 조성 ○ 향후계획 - “Global Startup Week in Seoul” 공동 추진(’19.9월) - 창업통합 플랫폼 및 입주기업 DB 공동생산?관리 체계 확립(~’19.12월) - 매니저 역량강화 등 네트워크 구축 및 공동사업 발굴·추진(~’19.12월) ② 창업기업 특화지원센터 운영 강화 ① 신생산업 창업생태계 활성화 지원기능 신설 추진실적 ?? 블록체인산업 생태계 활성화 지원기능 구축 및 입주기업 모집 추진 - 10개 기업 선정 및 입주완료 ※ 입주기업 대상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연중상시 제공 ○ 향후계획 - (입주기업) 민간전문기관과 함께 블록체인 전문기업 중심 선발?입주 ? 상시 모집으로 블록체인 산업의 공간 수요에 탄력적 대응 - (협의체 구성) 기존 자생적 블록체인협의체의 자발적인 참여유도 ? 중·대기업, 대학·연구기관, 민간 등 기존 협의체와 거버넌스 구축 및 입주 유도 ② 창업기업 제품화 지원 시스템 혁신 ○ 시제품제작 지원수준에서 해외 양산?판로개척 서비스로 전환 - (기존)시제품제작 공간?장비제공 수준 ? (개선)해외 양산?판로개척 서비스지원 추진실적 ?? 대공방(중국)을 운영사로 선정하여 글로벌 하드웨어 액셀러레이터에 의한 제품화 지원센터 운영 전환 - ‘제품화 180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1차 31개 기업 선발하여 4주간 제품화 지원 - 대공방 코리아 제조업 데모데이(’19.6.28)개최를 통한 1차 선발 기업 중 2차 20여개 기업 선발, ’19.12월까지 제품화 지원 ※ 심사위원 : 딩춘파(丁春?) 대공방 대표, 김영준 엔슬파트너스(제품화 지원센터 운영사) 대표, 액트너랩 양홍춘 전무 등 5명 ③ 키친 인큐베이터 기능 강화 ○ 입주기업?활동인구 증가에 따른 카페테리아 기능 추가 - (기존) 키친인큐베이팅 기능 ? (개선) 푸드 코트 개념의 카페테리아 기능 추가 기 존 ? 기 능 개 선 · 키친 인큐베이팅의 역할만 수행 · 식사 질?제공 식수(食數) 민원 발생 · 카페테리아 형태 + 키친 인큐베이팅 동시 운영 ? 입주기업 후생 향상 및 푸드 창업 지원 ④ 서울창업방송(HBS)을 활용한 창업정책?기업 홍보 ○ 市 창업정책 상시 홍보채널 가동 - 시 창업지원시설 및 서울창업카페 홍보영상·입주기업 영상제작 추진(’19.6~12월) 유튜브 영상 등 다양한 영상홍보물 제작을 통해 365일 홍보 채널 기능 수행 ? 市 창업정책?지원행사 홍보 영상 제작 및 다채널 배포를 통해 정책 접근성 강화 ○ 글로벌 시장 타깃의 서울창업기업 홍보강화 및 노출도 제고 - 市 창업지원시설 입주기업 제품?서비스?기술 홍보 콘텐츠 제작?배포 - 투자 IR, 크라우드 펀딩 및 서울창업기업 영상 홍보레터 정기발송 서비스 ③ 서울창업생태계 통합플랫폼 역할강화 추진실적 ?? 통합 플랫폼 구축 관련 설문조사 및 기획 용역 추진 - 창업지원시설 공동시스템 구축 기능 관련 설문조사(’19.4.16.~19.) ?설문대상 : 시 창업지원시설 44개 기관 - 플랫폼 구축을 위한 사전 기획용역 추진(’19.5~19.6월) ?? 공동사업 추진 방향성 공유 및 논의 ?2차 市 창업지원시설 협의회 개최시 논의(’19.5.28.) ① 서울창업허브 웹사이트 기능개선 및 멤버십 구축 등 온라인 플랫폼화 ○ 市?정부 창업정책정보, 민간?공공시설 현황정보 관리 및 공개 ○ 市 소재 창업기업 정보(기술?인재?시장)공유 ② 서울창업허브 공간?시스템 활용한 창업생태계 통합 거점 기능 강화 ○ 서울창업허브 중심으로 국내외 액셀러레이터 등과 네트워크 구축 - 市 창업지원시설을 대표하여 해외 주요도시?국제기구와 협력파트너 구축 ③ 향후계획 ○ 용역결과 및 멤버십 운영 계획 등을 반영, 통합 플랫폼 구축 계획 수립(’19.7월) ○ 전문 개발업체 선정 및 통합플랫폼 시험운행(’19.7~9월) 2 투자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기능 강화 서울창업기업 투자유치 시스템 구축 ① 市 창업지원시설 입주기업 데이터 공동생산?관리 체계 확립 ○ 창업허브 중심으로 기술?업종별 市 입주기업 데이터 공동구축 - 기업선발부터 자료 공유, 정기적인 데이터 업데이트 등 자료 공유체계 마련 ② 유망기업 기술신용평가보고서를 통한 투자기회 확대 지원 ○ 투자유치에 유용한 평가요소가 반영된 기술신용평가보고서 제공 ○ 투자유망 분석보고서 DB의 민간 투자자와 공유, 투자 촉진 - 분석자료 기반으로 기업 정보 DB를 구축하고 투자 판단 기초자료로 활용 ② 민간 전문기관과 연계한 투자지원 확대 ① 창업단계 Seed 자금 매칭사업 연계 ※ SBA 투자지원 기능과 연계 ○ 엔젤투자자와 SBA 간 매칭을 통한 Seed 자금 시장 확대 추진 - SBA 40억원 출자 및 VC?AC와 협업 연 250억원 규모 조성?매칭 투자 ○ 투자기업에 서울창업허브 입주 공간 제공을 통한 지속 성장 지원 - 공간제공과 함께 SBA 네트워크 활용한 후속 투자유치 지원 ② 서울미래혁신성장 펀드 활용 초기기업 선발 및 집중 보육 ○ 혁신성장펀드 투자기업, 서울창업허브 유치 및 집중 보육 - 市 혁신성장펀드 투자기업에 대한 공간 집적화?후속 투자?해외진출 지원 - 혁신성장펀드 투자기업에 대한 서울창업허브 프로그램 및 입주공간 연계 추천 ○ 투자유치 서울 초기창업기업 유치 추진 - 민간 투자유치 기업 서울창업허브 유치강화 및 판로개척 지원 ? 민간전문 기업선발심사단의 적극 활용으로 성장유망 기업 집중 발굴 추진 3 서울창업기업 글로벌 진출 지원 강화 서울창업생태계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① 글로벌 VC?AC 서울창업허브 유치 추진 추진실적 ?? 6개 기관(4개국) 유치 구 분 기관명 기관개요 중국(심천) 대공방 하드웨어 액셀러레이터, 시드투자, 양산 지원 중국(심천) 잉단 하드웨어 액셀러레이터, 기술분야 직접투자 스위스(루체른) WIF Korea(Society3) 스위스 내 부트캠프 및 온라인 액셀러레이터 인도(뉴델리) 한·인도비즈니스센터 현지진출 액셀러레이터, 수출 지원 미국(세인트루이스) USAKO Group 미국 액셀러레이터, VC 연계 투자유치 지원 미국(샌프란시스코) Sprint Academy 샌프란시스코 멘토링, 시드 투자 지원 ○ 서울창업허브 등 市 창업지원시설의 해외 네트워크 지속 구축 - 市 창업지원시설의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으로 창업기업 해외 노출도 높임 - 市 창업지원시설 간 프로그램 공유 또는 市 시설 내 직접 입주?보육방식 병행 ○ 추진방식 : 프로그램 연계 또는 서울창업허브 공간 지원 구 분 내 용 네트워크 구축 국내 창업생태계 플레이어 활용, 협력가능 글로벌 VC?AC 탐색?발굴 개 별 협 의 글로벌 AC?VC와 협력방식 협의 (공간제공, 펀드 협력 등 서울시가 제공 가능한 인센티브) 인센티브 제공 공간 제공, 네트워킹, 기업데이터 공유 등을 통해 장기적 협력 체계 구축 협업 프로그램 서울 기업 데이터 공유 및 공동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네트워킹 진행 ○ 향후계획 해외 기관 유치를 통한 파트너(국가)간 공동 프로그램 운영 ? 액셀러레이팅, 네트워킹 등 공동 추진 ② 글로벌 창업생태계 주체와 다각적인 협력활동 전개 추진실적 ?? ‘글로벌 스타트업 밋업’(P&G Ventures, ’19.5~6월) 협업 - 협업기관 :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19.3월 MOU 체결) ?우수스타트업 5개사 P&G 브랜딩 협력사업을 통한 매출증대 기대 ○ 유수 글로벌 창업생태계 플레이어과 맞춤형 협업 추진 - 도시 간 네트워크, 국제조직, 해외 대학과 연계한 맞춤형 공동사업 추진 ? 글로벌 교환 보육프로그램에 서울창업허브 등 市 창업지원시설 입주기업 매칭 ○ 향후계획 : 협약기관(3개사) 연계 공동사업 추진 예정 - ‘글로벌 스타트업 밋업’(SAMSUNG NEXT)-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19.6월) - 스타트업부트캠프(실리콘밸리) 스케일 협업 운영-(재)글로벌청년창업가재단(’19.7.2~3월) - ‘포춘 500대 글로벌 기업’과 1:1 밋업(다이슨·레고·항공제조 등) 협업-한국무역협회(’19.7월) ② 글로벌 민관 협업을 통한 네트워킹 프로그램 개최 ① 민간기관 해외 네트워크 활용 글로벌 프로그램 협업 추진실적 ?? ‘글로벌 허브링크 1차’ 공동 개최 기관 및 프로그램 선정(’19.5월) - 6개 기관 및 6개 프로그램 선정 - (국내) 한양대 총장, ㈜코멕스 회장, 창업진흥원장 및 국내 투자사 10개사 내외 - (해외) 글로벌 액셀러레이터 11개사(아시아권 5개사, 북미 4개사, 유럽 2개사) ○ 대학?연구기관과 글로벌 행사 공동 개최 - 글로벌 창업 행사 공동 기획·개최 및 입주기업 매칭 ○ 민간 AC?VC를 통한 글로벌 창업플레이어 초청 공동행사 개최 - 서울창업허브는 공간제공?기업연계, 민간 AC 등은 비용?글로벌 파트너 연계 ?Across Asia Alliance 등 민간 중심의 글로벌 행사 적극 유치 추진 ○ 향후계획 - ‘글로벌 허브링크 2차’ 프로그램 운영 공동 개최기관 모집 및 선정(’19.7월) ?‘2019 글로벌 스타트업 위크 인 서울’ 행사 주간에 개최예정 프로그램 선정 등 ② ‘Global Startup Week In Seoul’ 개최 추진 ○ 글로벌 행사 집중 개최를 통해 창업생태계 플래그십으로 정착 - 9월 중 1주를 창업주간으로 구성, 市 전역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 서울창업박람회(~2018) ▶ 글로벌 스타트업 위크 인 서울(2019~) ?창업허브 내 제한된 프로그램 ?일회성 연계 창업행사 ?불특정 대상 프로그램 진행 ?시 전역대상, 민ㆍ관이 함께하는 행사 조성 ?투자, 판로개척 등 실질적 연계 기회 마련 ?업종?기술별 특화 IR, 판로연계 등 ○ 기획?집행을 민간이 주도, 시설?재원은 관공 분담하여 추진 - 창업관련 역량 있는 민간 플레이어가 기획하고 관공 지원 ?민간 VC?AC와 연계해 우수 스타트업 행사를 유치하고 공동 기획 및 주관 ?허브파트너스, 민간?市 창업지원시설 등이 공동을 참여하여 파급효과 제고 ③ 서울창업기업 글로벌 현지 투자?판로개척 지원 ① 해외시장 판로개척 글로벌 현지 액셀러레이팅 추진 추진실적 ?? ASEA(베트남_호치민, 하노이) 협력 시스템 구축(’19.4월) - 글로벌 VC·AC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액셀러레이팅 협력(우수 스타트업 발굴, 조인트 벤처스 설립 트랙 및 후속 투자 글로벌 펀드 조성, 아시아 연맹 교환보육) ?? ASEA(중국_청도) 협력 시스템 구축(’19.5월) - 글로벌 VC·AC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액셀러레이팅 협력(우수 스타트업 현지화, 한중 스타트업 교환보육·데모데이를 통한 투자유치, 인·아웃바운드 공동사업 ○ 해외진출을 준비하는 서울창업기업 대상 현지 보육(최소 5개사 이상/년) ○ 창업기업이 진출지역과 현지 액셀러레이터 선택하여 진행 - 서울창업허브가 파트너쉽을 구축한 Rocket Space 등 22개사와 협업 Step1 사전 진출준비 ▶ Step2 현지지원 [Global Settlement] ? 진출 희망 기업 선발 ? 기업별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매칭 ? 현지 비즈니스, 언어 등 국내 교육 ? 현지 파트너와 사전 멘토링 실시 ? 해외 파트너 매칭을 통한 맞춤형 프로그램 확정 ? 현지 사업 지원금 지급 ? 해외 파트너사의 현지 판로 지원 ? 현지 글로벌 투자 매칭 연계 ○ 진출기업의 현지 판로확보를 위한 공간서비스 연계 제공 - 협력 공공기관 인프라를 활용한 기관 간 협업 시스템 구축 ○ 향후계획 - ASEA(일본-도쿄) 협력 시스템 구축 예정(’19.7월) ? 글로벌 VC·AC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액셀러레이팅 협력 방안 마련 ② 글로벌 후속투자 목표 해외현지 활동지원 ※ SBA 투자지원 기능과 연계 ○ [SBA 先투자?해외 VC 연계]를 통한 후속투자 유망기업 선발 - SBA 先투자기업 대상으로 외자펀드 참여 글로벌 해외 VC가 후속투자 선택 ? SBA 외자펀드 투자과 연계, 500 Startups 등 12개 현지 VC 후속투자 ○ 글로벌 VC의 해외 현지 투자연계 프로그램 매칭 - ’19년 미국 3개 지역, 유럽 3개 지역, 아시아 2개 등 8개 대상 우선 추진 4 기술혁신인재 양성?성장지원 혁신창업 기술인재 양성 ① 수요자 중심 교육설계 사전 멘토링제 도입 ※ SBA 고유업무와 협업 ○ (교육설계) 창업기업의 교육수요 사전조사 및 교육과정 설계 - 프로그램 수요 조사 ? 창업기업 대상 사전 교육수요 진단 멘토링 ○ (교육매칭) 창업준비?실무과정 등 분야별 매칭 멘토링 - 예비창업, 창업실무(마케팅, 법률, 사업계획 등) 분야별 교육 매칭 멘토링 ② 창업기업 기술?경영 필수인재 양성 : 5개분야, 70개 커리큘럼 운영 추진 추진실적 ?? 공고를 통한 민간 전문 교육기관 협력 70개 커리큘럼 선정 - 마케팅(20), 창업기본(16), 역량강화(15), 기술(14), 글로벌(5) - 40개 기관 협약 체결 및 교육(사업) 추진(협약일~’19.11월) ○ (교육과정) 4차 산업혁명분야 전문가에 의한 교육과정 구성 - 협회?학계?VC 등 전문가 30명 협업 ? 기술?경영인재 과정(년 1만명) ○ (민간연계) 기관별 다양한 교육과정 제시?수요자 선택 - 기술?단계별 전문 교육 기관 공모(상·하반기) ? 연간 50개 커리큘럼 운영 ○ (교육운영) 민간 협력을 통한 비즈니스 집중 교육 운영 - 창업기업 성장 핵심요소별 전문?심화 과정으로 운영 핵심요소 콘텐츠 스타트업의 성장 단계별 필요 역량 강화 ? 투자유치 ? 해외진출 ? 사업성장 ? 필요역량 ? IR ? Global ? IP ? 특화기술 ? [전문과정] ? 엔젤투자 유치절차 ? 글로벌 진출기법 ? 제품화?사업화 단계 ? 기술분야별 전문역량 강화 + [심화과정] ? 시리즈 A 투자유치 ? 글로벌 시장확대 ? 해외파트너 매칭 ? 기술분야별 경영네트워크 ③ 글로벌 인재 양성 교육 운영 -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단계별 특화 교육 운영 1단계 현지 비즈니스 언어교육 ▶ 2단계 IR자료 제작 및 피칭 교육 ▶ 3단계 해외 파견을 통한 현지교육 ? 주요 국가 현지화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유치 및 언어?IR?피칭 등 종합 교육 ○ 향후계획 - ASEA(베트남-호치민, 하노이) 협력 시스템 연계 추진 - ASEA(중국-청도) 협력 시스템 연계 추진(’19.9월) ? 한중스타트업경연대회 현지 프로그램 추천권 6개사(항공+숙박+식사 제공 협력) ④ 문제해결형(PBL) IoT 기반 혁신창업인재 양성 ※ SBA 고용지원본부 협업 ○ (교육방식) 강의식을 탈피한 문제제시?해결과정형 교육 ○ (과정구성) IoT,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신성장 분야 ○ (운영방식) 수요자 맞춤형 3단계(기초, 심화, 전문) 교육구성 - 4개 분야별 50명, 연 200명 양성을 목표로 단계별 커리큘럼 구성 ?단계별 진급방식의 과정 운영을 통해 우수수료생 선발 및 집중지원 유도 1단계 : 기초 (50명) ▶ 2단계 : 심화 (20명) ▶ 3단계 : 채용지원 (10명) · 팀별 현장 해결 과제 정의 · 해결 방식 도출 · 멘토링을 통한 1차 해결 · 현장 전문가 매칭 · 문제해결 내용 현장 적용 · 관련 기업 매칭 · 현장 실습 및 인턴 · 채용 지원 (SBA프로그램 연계) - 교육자료 DB화 : 문제접근?해결과정?결과 등 교육내용의 디지털 DB화 - 교육 수료생 대상으로 대?중견기업 매칭 등 사후지원 서비스 제공 ○ 향후계획 - 4개 분야(인공지능, 블록체인, 앱서비스, IT·IOT) PBL 전문 교육기관 4개사 선정 - 교육자료 디지털 DB화 및 채용지원은 SBA 프로그램 연계 ② 입주기업 거버넌스 구축 및 지속성장 지원 ① 입주기업 협의체 자율 활동 촉진 ○ 입주기업 비즈니스 네트워크(HuBiz) 출범 - 산업별 입주기업 그룹화를 통해 분야별 네트워킹 지원 ? 헬스케어, IoT, 게임 등 분야별 네트워킹 행사를 통해 산업 동향 공유 및 협업 유도 - 자율적인 네트워킹을 통해 분야별 미션 발굴 및 문제 해결 지원 ? 네트워킹을 통해 문제점 및 기업 애로사항을 도출하고 해당 내용 솔루션 지원 미션 발굴 ▶ 문제 해결 협의체 구성 ▶ 민관 공동 미션 해결 · 분야별 네트워킹 행사 개최 · 산업별 공동 해결 과제 발굴 예) 규제관련, 지원정책 등 · 과제별로 문제해결을 위한 공동 협의체 구성 · 협의체와 서울창업허브 공동으로 문제해결 예) 기관 매칭, 협약, 예산지원 등 ○ 입주기업과 허브파트너스가 함께 교류할 수 있는 네트워킹 행사 - 입주기업 애로사항?생태계 혁신과제 등 의견교환 및 자율 협업 진행 ○ 입주기업 네트워킹 추진 정례화 ② 우수기업 성장 단계별 멘토링 강화 ○ 창업기업 스케일업을 위한 맞춤형 성장단계별 집중 멘토링 - 창업기업 데이터 분석 ? 우수 멘토 매칭 ? 투자연계 ? 협약?민간 추천을 통해 국내외 민간전문투자자 중심으로 멘토단 구성 추진실적 ?? 전문 멘토단과 서울기업지원센터의 협업 공간 제공 - 120개사 현장상담·사전상담 제공 등 입주기업 및 일반시민에게 편리하고 유용한 창업 상담 지원 ※ 서울기업지원센터 이전 설치 완료(별관 ⇒ 본관) - 서울창업허브 본관(1?2층 일부)을 전문가 상시멘토링 및 코워킹 공간으로 개선 5 창업생태계 조사?정책수립 지원 서울시 창업생태계 데이터 관리시스템 체계화 ① 창업생태계 데이터 체계 구축 ○ 서울창업생태계 데이터 생산?관리?활용 체계 데이터 생산?수집 ▶ 서울창업허브 공동관리 ▶ 市 창업정책 수립 기초자료 투자자 등 국내외기관 제공 市 창업지원시설 + 공공?민간시설 ? 市 시설?입주기업 실적자료 ? 민간기관 협력가능 데이터 ? 市 기업 성과?정책자료활요 ? 유망기업 추천자료 활용 ○ 데이터 시스템 구축으로 민간부문 참여기회 확대 - 창업기업 및 투자자에게 신뢰성?투명성을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수집, 관리 ② 투자자 및 중앙정부와 데이터 공유?활용 채널 가동 - 통합플랫폼과 연계하여 진행 예정으로, 민간기관과 설계부터 공동 협의 ② 글로벌 수준의 서울창업생태계 조사?분석 실시 ① 글로벌 조사기관과 협력 서울창업생태계 정밀분석 - 서울창업생태계의 정확한 데이터 제공을 통한 객관적인 생태계 역량 평가 ? Global Startup Ecosystem Report 프로젝트 참여(세계 40여개 도시참여) - Startup Genome과 생태계분석방법론에 대한 공동워크샵 추진(’19.9월) ② 서울창업생태계 조사?분석 네트워크 구축 및 민간 협업 - 서울창업생태계 조사?분석 전문가 풀 구성 및 민간기관과 생태계 공동연구 ※ 서울연구원,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벤처스퀘어 등 Ⅳ 재계약 추진계획 ?? 추진방향 ○ 민간위탁 ‘종합성과 평가’ 결과 및 사업운영계획의 적정성 확보 ○ 민간위탁 운영평가위원회·적격자심의위원회 심의·시의회 보고 등 사전절차 확행 ?? 재계약 내용 ○ 사무명 및 위탁유형 : 서울창업허브 운영, 시설위탁형 - 위 치 : 마포구 백범로 31길 21 (舊 산업인력관리공단) - 규 모 : 총 24,242㎡(본관동 18,590㎡, 별관동 5,652㎡) ○ 위탁사무 : 시설 관리?운영 전반 및 창업관련 산업?기업 지원 사업 - ‘서울창업허브’ 시설 관리 및 운영 위한 설비 구매 및 시설 공사 - 서울시 창업생태계조사·연구 및 창업정보 통합 플랫폼 구축·운영 - ‘서울창업허브’ 운영과 관련 정부기관·민간기관·기업체 등과의 네트워크 구축 및 교류 활성화 사업 - 창업저변 확대를 위한 인재육성·교육·체험 등 프로그램 개발·운영 - ‘서울창업허브’ 입주·관리기업의 성장단계별 지원체계 구축·운영 - 민간·공공 창업지원기관과 연계하는 지원사업 개발·운영 - 기타 창업활성화를 위하여 ‘시’가 요청한 사항 등으로 시 창업정책에 필요한 사항 ○ 계약기간 : ’20.1.1~22.12.31(3년) ※ 민간위탁 조례 제11조제2항 : 위탁기간은 3년 이내로 한다. ○ 사업예산 : 매년 예산편성액 이내(’19년 18,852백만원) ?? 재계약 사유 ○ 현 수탁기관은 창업분야의 전문성과 그간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으며 사업이해도가 높음 ○ 서울창업허브의 안정적 운영과 사업의 연속성 유지가 필요한 시점 - 창업허브운영의 연속성 유지와 창업생태계 조성 및 글로벌 창업지원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해 현 수탁기관(서울산업진흥원)과 재계약 추진 Ⅴ 추진절차 및 세부일정 재계약 추진계획 수립 (’19.6) ? 민간위탁운영평가위원회 (’19.7.16) ? 적격자 심의위원회 (’19.7) ? 상임위원회 보고 (’19.8) ? 위?수탁 협약체결 (’19.9) (투자창업과) (조직담당관) (투자창업과) (투자창업과) (투자창업과) 1 종합 성과평가 (조직담당관) ○ 평가기간 : 2019.5월. ~ 2019.6월 ○ 평가기관 :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 ○ 평가결과 : 85.42점 득점 우수사항 개선요청사항 금융기관과 협조체계 구축, 213개社에 대한 컨설팅을 비예산으로 추진하여 경제적 효율성 등 성과 창출 창업활동(창업 및 투자)을 희망하는 스타트업 대상 홍보·마케팅 활동 우수 스타트업 통합정보 플랫폼 운영 및 창업기관·플레이어 등 전문가 연계 추진 등 전문가 디렉토리를 비롯한 창업정보가 집적될 수 있도록 운영 - 서울이 보유하고 있는 경쟁력의 극대화, 인적·물적자원 활용(연계)위한 창업생태계 플랫폼 구축 및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강화 하반기에 집중된 예산집행 지속됨으로 사업계절성 등을 인지하고 이를 고려한 반기별 예산계획을 수립하여 반기별 예산 집행 오차 최소화 → 재계약 추진 시 개선요청사항을 반영 2 민간위탁운영 운영평가 위원회 심의 (조직담당관, ’19.7) ○ 심 의 일 : 2019.7.16.(예정) ○ 심의내용 - 민간위탁 지속 및 재계약 필요성과 타당성 등에 대한 종합적 심의 - 기존 수탁기관 재계약에 대한 적정성 심의 3 적격자심의위워회 개최 (투자창업과, ’19.7) ○ 위원회 구성 : 6~9명 이내 위원(위원장 부위원장 포함) ※ 위원회 구성계획 별도 수립 ○ 심의내용 : 수탁기관의 운영실적, 사업수행 능력, 향후 사업운영계획에 대한 적정성 심사를 통해 수탁기관 적격성 심의 - 전체 배점(100점)에서 총점 70점 이상인 경우 적격자 인정 - 종합성과평가 결과 심의위원에 제공 4 시의회 상임위원회 보고(제288회) (투자창업과, ’19.8) ○ 근 거 : 서울특별시 행정사무의 민간위탁에 관한 조례 제4조의 3 ○ 내 용 : 민간위탁 재계약 상임위 보고로 의회 동의 갈음 - 제268회 임시회에서 민간위탁 동의를 받고, 6년이 경과하지 않아 상임위 보고 사항에 해당 5 재계약 협약 체결 (투자창업과, ’19.9) ○ 민간위탁 계약심사 및 협약서 심사 (계약심사담당관, 법률지원담당관) - 민간위탁 사업비용 및 협약서 내용의 적정섬 등 심사 ○ 재계약 협약 체결 - 협약서 날인 공증 → 협약서 사본 조직담당관 제출 붙임 : 2020년 서울창업허브 운영계획 1부. 끝.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정보

서울창업허브 운영 민간위탁 재계약 추진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경제정책실 경제일자리기획관 투자창업과
문서번호 투자창업과-7170 생산일자 2019-07-05
공개구분 부분공개 보존기간 5년
작성자(전화번호) 표지은 (02-2133-4756) 관리번호 D0000037420418
분류정보 경제 > 고용정책 > 고용촉진지원 > 고용촉진정책수립 > 창업센터운영관리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