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코로나감염병 대응 지속가능한 2020년 서울아기 건강첫걸음 사업 계획

문서번호 건강증진과-12897 결재일자 2020.6.28. 공개여부 부분공개(5) 방침번호 시 민 주무관 가족건강팀장 건강증진과장 시민건강국장 이미점 代이미점 정남숙 06/28 나백주 「코로나감염병대응, 지속가능한」 2020년 서울아기 건강첫걸음 사업 계획 2020. 6 시민건강국 (건강증진과) 목 차 Ⅰ. 추진근거 1 Ⅱ. 추진배경 및 정책과제 1 Ⅲ. 현 황 3 Ⅳ. 추진경과 5 Ⅴ. 추진방향 9 Ⅵ. 추진체계, 비전 및 목적 10 Ⅶ. 세부 추진계획 12 1. 사업대상 지역과 인력 확대 12 2. 인력의 전문성 및 프로그램의 질적강화 17 3. 연계 협력 및 소통 활성화 20 4. 자체 운영 체계 확립 및 역량확보 21 5. 사업효과성 평가를 통한 과학적 정당성 확보 23 Ⅷ. 소요예산 25 Ⅸ. 추진일정 26 Ⅹ. 기대효과 26 「코로나감염병대응, 지속가능한」 2020년 서울아기 건강첫걸음 사업 계획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 사회적 거리두기 장기화로 산모우울증 등 산모 및 영유아의 적극적인 건강관리 대응으로 사회적 격리로 인한 건강문제 최소화와 건강불평등 해소에 기여하고자 함. Ⅰ 추 진 근 거 ? 모자보건법 제3조(국가와 지방단체의 책임), 제10조(임산부·영유아·미숙아등의 건강관리 등) ? 서울특별시 행정사무의 민간위탁에 관한 조례 ?『건강서울 36.5』프로젝트(시장방침 제313호 ‘12.10.11.) - 임신부터 5세까지 아동의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체크, 종합관리하여 평생 건강 도모 Ⅱ 추진배경 및 정책환경 ?? 추진배경 ? 코로나-19가 가정방문에 영향을 주고는 있지만, 가정방문의 필요성이 감소한 것은 아니며, 오히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고립, 양육 스트레스의 증가는 아동학대의 위험을 높임으로써, 산전?아동기 가정방문의 필요성을 증가시키고 있음. ? 미국과 같이 코로나-19 사태가 심각한 국가에서도 산전?조기 아동기 가정방문은 화상가정방문(virtual home visit)의 형태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호주 등의 프로그램에서도 다양한 방법(화상, 전화, 넓은 장소 이용 등)으로 가정방문을 보완하여 가족과의 연결을 이어나가고 있음. ? 2020년 5월 6일부터 ‘생활 속 거리두기’로 방역정책을 전환하였으나, 코로나-19 유행과 같은 감염병 유행 상황이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 ?? 정책환경 ? 외국의 건강 형평 정책 및 개입 프로그램을 다룬 주요 보고서들도 의료적 위험(medical risk) 보다는 사회적 위험(social risk)에 대처하기 위한 정책으로의 전환을 촉구, 산전·아동기에 대한 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WHO <한 세대 안에 격차 줄이기> 보고서(2008) 특히 임산부 영유아 대상 지속적 가정방문 프로그램을 적극 제시 영국 <공평한 사회, 건강한 삶> 보고서(2010) 하고 있음 - 산전-아동기 가정방문 프로그램은 아동방임과 학대, 부모의 양육행태,산모와 아동의 건강 등 다양한 지표에서 효과를 입증해왔음 ? 미국 미국정부는 산전 및 조기 아동기 가정방문 프로그램에 지난 5년간 15억불 투자함. , 영국, 호주를 포함한 여러 나라의 정부에서도 산전-조기 아동기 프로그램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음 ? 우리나라의 경우, 기존 산전 조기아동기 프로그램과 관련한 모자보건사업은 체계적 건강발달 프로그램이라기보다는 임산부, 영유아 등 개별적 접근 및 취약계층 위주의 의료비 지원 사업에 국한되어 왔음 ? ‘12년「 서울시 건강 격차 해소를 위한 보건정책 방안 연구」결과, 건강격차 해소 사업 중 ‘3대 주요 핵심사업’으로 선정, 효과성 입증된 미국보건부 조기 아동기 가정방문 프로그램 효과성 리뷰(Home Visiting Evidence of Effectiveness, HomVEE)결과 전세계적으로 효과성이 인정된 20개의 프로그램에 속함 선진국의 산전조기아동기 건강발달 프로그램(Maternal Early Childhood Sustained Home-visiting, MECSH) 도입 결정 ? ‘13년부터 시범 실시, 건강 불평등을 완화하고 저 출산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사업으로 점차 정착되고 있음. Ⅲ 현 황 ?? 인구현황 2019년 서울시 가임여성 및 영유아 인구 29.92% (단위 : 명, %) 항목 구분 전 체 여 성 ① 가임여성 (15~49세) ② 영유아 (0~5세) 사업대상 (①+②) 인구 비율 인구 비율 인구 비율 인구 비율 서울시 9,770,216 4,998,082 51.15 2,537,266 25.96 386,601 3.96 2,923,867 29.92 전 국 51,833,175 25,966,191 50.09 12,272,101 23.67 2,376,048 4.58 14,648,149 28.26 ※출처 : KOSIS 인구통계(통계청, 2019. 3월) ?서울시의 가임여성인구 비율은 25.96%로 전국(23.67%)보다 높고, 영유아 비율은 3.96%로 전국(4.58%)보다 낮게 나타남. 가임여성 및 영유아 인구는 전체 인구의 29.92%로 해당 인구 통합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필요 ※ 영유아 인구 : ‘18년 429,218명(4.35%)→’19년 386,601명 (3.96%)로 감소 ?? 출생아수, 합계 출산율, 조(粗)출생률 2018년 출생 통계 잠정결과(2019.2월)로 확정치 결과는 ‘19년 8월 발표 예정(서울시 출생아수, 합계출산율, 조출생률 발표) 2019년 서울시 총 출생아 수는 5만3,700명, 합계출산율은 0.72명 통계작성 이래 최저 (단위 : 명, %, 인구 1천 명당 명) 항목 구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서울시 전국 서울시 전국 서울시 전국 서울시 전국 서울시 전국 출생아수 53,700 303,100 58,074 326,900 65,389 357,771 75,536 406,243 83,005 438.420 전년 대비 증감 -4.4 -23.7 -7.3 -30.9 -10.1 -48.5 -7.4 -32,2 -.07 3.0 증감률 -7.6 -7.3 -8.8 -8.7 -13.5 -11.9 -8.9 -7.3 -0.8 0.7 합계출산율 0.72 0.92 0.76 0.98 0.84 1.05 0.94 1.172 1.001 1.24 조 출생률 5.6 5.9 6.1 6.4 6.7 7.0 7.7 7.9 8.4 8.6 ※출처 : 2019년 인구동행조사 출생 잠정결과(통계청, 2020. 2월) ?전국·서울시의 출생아수는 지속적으로 급격한 감소를 보이고 있음. 2019년 서울시의 출생아수 5만3,700명으로 전년(5만8,074명)대비 7.6%(4,374명)감소 ‘15년 83,005명 → ’19년 53,700명 (최근 5년간 35.3% 감소) ?합계출산율(여자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0.72명으로 전년(0.76명)보다 0.04명 감소 ?조(粗)출생률(인구 1천 명당 출생아 수)도 5.6명으로 전년(6.1명)보다 0.5명 감소 시도별 합계 출산율은 서울 최저, 세종(1.47명)·전남(1.24명)·제주(1.15명)순 (단위 : 명) ? 시도별 합계출산율은 서울(0.72명)가장 낮고, 세종(1.47명)·전남(1.24명)순이었음 - 17개 시도 모두 합계출산율이 전년보다 감소했으며, 전국 평균 0.92명으로 서울(0.72명), 부산(0.83명), 대전(0.88명)은 전국보다 낮은 합계 출산율 보임 - 최근 4년간 전국·서울시 합계 출산율 모두 감소하고 있으며, 전년대비 출생아 수는 유일하게 세종시가 0.1%증가한 반면, 16개 시도 모두 감소 하였음 Ⅳ 추 진 경 과 ?? 그 간 추진경과 2012 「서울시 건강격차 해소위한 보건정책 방안연구 결과」발표 - 산전아동기 건강격차 해소사업으로 임산부영유아 가정방문 건강관리사업 채택 2013 「서울시 임산부·영유아 가정방문 건강관리 사업」실시(7월) 사업 지원단 구성(민간위탁), 사업 수행 3개구(강동,동작,강북) 선정 시범자치구 임산부·영유아 가정방문 건강관리 실시(7월) 2014 사업 추진 총 8개구 - 신규 5개구 (중랑,도봉,구로,양천,서대문), 가족 파트너십 모델훈련과정 실시 부모교육자료 13종 제작, 엄마모임 프로그램 도입, 데이터관리시스템 구축 2015 「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사업」으로 명칭 변경, 총 12개구 추진 - 신규 4개구 (광진,성동,성북,금천), 고용안정화 위해 신규 인력 무기계약 채용(3월) 사업 홈페이지 시범 구축 (http://ourbaby.seoul.kr)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사업 우리아이복지플래너 연계 추진 사업 지원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재 계약 (15.4월~18년 4월) 2016 사업 추진 총 19개구 - 신규 8개구 (종로, 동대문, 노원, 은평, 마포, 강서, 영등포, 관악) 가족파트너십훈련 교육과정 국내 인력에 의해 독자적으로 제공 2017 사업 추진 총 20개구 (신규 용산구) 시민 나눔터 행사, 생활복지 통합정보시스템으로 데이터 통합 사업 효과성 평가, 교육담당 간호사 선발(3명) 행안부 주관「저출산 극복 경진대회」우수시책 선정 2018 사업 추진 총 22개구 (신규 중랑, 서초구) 심포지움 개최, 사업지원단 재계약(18.5월~21년 4월) 교육담당 간호사 추가 선발 및 육성(총 4명), 선도보건소 운영(1개) 2019 사업추진 총 24개구 (신규 중구, 강남구) 시민 나눔터 행사, 「똑똑똑, 아기와 엄마는 잘있나요?」사례집 발간 교육담당 간호사 추가 선발 및 육성(총 8명) ??‘19년도 주요성과 사업 수행 자치구 및 방문 인력 확대로 사업의 내실화 추진 ? 사업 자치구 및 방문 인력 확보 연 도 ‘13 ‘14 ‘15 ‘16 ‘17 ‘18 ‘19 ‘20 자치구수 3개구 8개구 12개구 19개구 20개구 22개구 24개구 25개구 연도별 참 여 자치구 강동구 강북구 동작구 구로구 도봉구 서대문구 양천구 광진구 금천구 성동구 성북구 강서구 관악구 노원구 동대문구 마포구 영등포구 은평구 종로구 용산 중랑구 서초구 중구 강남구 송파구 방문인력수 19명 27명 39명 60명 69명 92명 69명 111명 ? ’16~‘19년 가정방문 건강관리 실적 (단위:명, %) 구분 자치구 출생아 임부 등록 (명) 방문 관리 율 방문관리 인원 방문관리 횟수 엄마모임 합계 보편 지속 합계 보편 지속 2016 19개구 53,439 15,579 21.4 11,444 11,020 424 16,214 11,358 4,856 2,125 2017 20개구 57,387 16,945 24.5 14,084 13,458 626 22,719 14,829 7,890 3,609 2018 22개구 48,685 21,111 31.1 15,161 14,425 736 24,749 15,630 9,119 3,349 2019 24개구 48,050 22,587 38.24 18,374 17,175 1199 31,647 18,466 13,181 4,736 ※사업 미추진 자치구(송파구, 강남구·중구 1~4월) 제외. ○‘19년 자치구별 임산부 영유아 가정방문 건강관리 실적 자치구명 ‘19년 출생아 임부 등록 (명) 출생아 관리율 (%) 방문관리 가수구 방문실적(횟수) 엄마모임 건강사정 및 평가 : 신생아 신체계측, 사회심피평가, 산모우울 스크리닝 건강 사정 및평가 교육 : 수유교육, Purple Crying(DVD), 아기와 의사소통하기 등 교육 연계서비스 : 보건소(금연클리닉 등), 정신건강증진센터, 복지서비스, 기타 서비스 연계 합계 보편 지속 합계 보편 지속 회 명 합 계 48,050 22,587 38.24 18,374 17,175 1,199 31,647 18,466 13,181 329 2,415 56,671 44,244 19,297 종로구 603 208 37.33 225 214 11 486 231 255 0 0 804 559 146 중 구 458 143 22.29 102 93 9 146 98 48 0 0 355 215 76 용산구 1,289 770 46.63 601 576 25 904 581 323 10 47 1,812 1,457 1,775 성동구 2,220 657 28.56 634 609 25 997 634 363 10 60 1,890 1,382 72 광진구 2,056 882 27.04 556 533 23 796 586 210 10 105 1,732 1,206 510 동대문구 1,765 1,427 58.91 1,040 940 100 1,947 942 1,005 21 149 3,677 2,752 1,986 중랑구 2,289 1,063 40.32 923 854 69 1,404 868 536 0 0 2,951 2,015 187 성북구 2,119 707 24.82 526 502 24 922 547 375 15 142 1,512 1,146 530 강북구 1,258 811 51.11 643 583 60 1,654 711 943 23 198 2,158 1,584 598 도봉구 1,598 1,409 56.08 896 827 69 1,791 935 856 23 105 2,959 2,343 257 노원구 2,669 1,718 55.80 1,489 1,370 119 2,725 1,450 1,275 15 125 4,988 3,651 878 은평구 2,530 1,093 37.55 950 908 42 1,437 944 493 19 109 2,382 1,882 982 서대문구 1,542 723 44.18 681 621 60 1,208 650 558 26 218 1,979 1,752 835 마포구 2,366 963 35.80 847 818 29 1,331 871 460 15 75 2,215 2,222 776 양천구 2,234 1,174 39.75 888 844 44 1,352 876 476 19 189 2,777 2,071 1,502 강서구 3,987 1,475 33.05 1,318 1204 114 2,486 1397 1089 20 109 4,534 3,690 125 구로구 2,488 776 23.43 583 555 28 1,116 635 481 20 115 1,755 1,222 836 금천구 1,230 396 38.05 468 439 29 754 483 271 5 45 1,170 960 123 영등포구 2,525 917 39.00 985 918 67 1,519 960 559 15 111 3,100 2,571 1,183 동작구 2,262 1,434 48.84 1,105 1052 53 1,964 1172 792 22 161 3,394 2,610 1,464 관악구 2,417 1,327 41.17 995 946 49 1,601 996 605 15 137 2,660 2,664 2,755 서초구 1,821 763 27.29 497 474 23 626 478 148 3 12 1,582 1,004 468 강남구 1,835 930 49.17 902 833 69 1,210 889 321 0 0 2,708 1,754 583 강동구 2659 821 20.89 520 462 58 1,271 532 739 23 203 1,577 1,532 650 ※ 출생아수 : 2019년 출생아수 53,700- 미실시구 출생아수(송파구, 강남구·중구1~4월 제외) = 48,050명) 목표 달성도 ? 목표 대비 추진 실적 구분 평가 항목 평가 내용 18년 실적 19년 목표 19년 실적 달성도 결과 목표 만족도 산모 만족도 점수 (Parent Satisfaction Questionnaire) 보 편 9.07점 9.0점 9.07점 100% 지 속 9.34점 9.4점 9.34점 99.4% 역량 강화 산모 역량도구(Patient Enablement Instrument)점수 7.51점 7.5점 7.51점 100% 산출 목표 임산부 등록 및 평가 보건소에 등록하고 평가받은 임산부 비율(%) 43.4% 35.0% 47% 134% 방문관리 가구 등록 평가에 동의한 임산부 중 총 방문(보편 +지속)이 이루어진 가구비율 31.1% 38.0% 38.24% 100% 엄마 모임 보편,지속방문 엄마 모임 확대 운영 3,349명 4,400명 4,736명 108% 투입 목표 서비스 제공 인력 신규 영유아 건강 간호사 기본교육(160시간)과정 의무 이수율 100% 100% 100% 100% 사업 확대 사업 참여 자치구 수 (전 자치구 확대목표) 22개 25개 24개 96% ? 2013년도 3개 자치구(강동구, 강북구, 동작구)를 시작으로 ’19년도 24개구에서 실시하게 됨. ? 2019년도 총 22,587건의 임신부 등록이 이루어졌으며, 이 중18,464건에 대하여 보편방문이 이루어졌다. 임신부 등록 건수 대비 보편방문 건수의 비율은 81.3% 수준이었다. 지속방문은 1,199가구. 또한 연인원 13,181회 이루어졌으며4,736명에 대해 엄마모임 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2018년도보다 전반적으로 지속방문 건수가 증가하는 성과를 2019년도에 보여주었지만, 보편방문에 비해 지속방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아직 낮은 수준(0.71로서 MECSH 프로그램에서 권고하는 비율인 1:1.5 비율에 미달)으로 향후 지속방문 서비스의 강화가 필요함. ? 보편방문과 지속방문을 모두 합한 실적은 총 31,647건의 가정방문이 이루어졌다. 사업인력을 대상으로 한 교육 일정, 휴가를 제외한 실제 근무 가능일수를 고려하여 간호사 1명당 1일 평균 가정방문 건수를 계산하면, 1.09건의 보편방문과 0.82건의 지속방문을 수행하여 총 1.91건의 1인당 1일 평균 방문건수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1인당 1일 평균 방문건수를 늘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 Ⅴ ‘20년 추진방향 ?? 추진방향 구 분 그간의 노력 2020년 추진 방향 서울시 ? 사업 자치구 선정 및 지속적 확산 - 3개→ 8개→ 12개→ 19개→ 20개→ 22개→ 24개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18년) (‘19년) ?사업 제공 인력 확대 및 안정적 활동 - 기간제→무기계약직 전환(15~16년) - 정규직 직원확보(19년1명,20년18명) ?자치구 지원 및 지도·관리 ?사업의 상시적 모니터링 체계구축 ?사업의 성과 대내외적 홍보 - 시민참여 나눔터, 심포지움 개최 - 저 출산 극복 우수시책 수상 등 ?선진국 사업 벤치 마킹 - 호주 트레질리언 센터(Day care)견학 ?사업 대상 지역과 인력 확대 - 24개구/99명 (19년) → 25개구/111명(20년) ?방문인력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역량강화 - 기본교육 및 심화교육 지속적 제공 - 보건소별 자체역량강화를 위한 권역별 사례획의 개최 ?감염병 대응 방문건강관리 체계구축 - 신종전염병 유행시 임산부 영유아 건강관리를 위한 지침개발 및 적용 ?사업정착에 따른 사업성과 평가 연구 시행 - 성과지표 설정과 사업의 효율적 개선방안 도출 - 자치구별 산모 및 영유아 건강관리를 위한 사업의 보완 방법 제시 ?엄마모임 등 부모대상 영유아 응급처치 교육 ?사업확산을 위한 홍보강화 자치구 24개 자치구 25개 자치구 ‘13년~‘15년(11개구) 강동, 강북, 동작, 구로, 도봉, 서대문, 양천, 광진, 금천, 성동, 성북 ?보건소 자체 지속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정착 ?권역별 사례관리 회의 정례화 ?엄마모임 시 부모대상 영유아 응급처치 교육 실시 ?방문인력의 정규직 확보, 업무지원 및 연계 강화 ?지속방문가구 산전모집을 위한 모성실 등록확립 ?보건소 성과평가를 위한 자체 역량 확보(질적) ?보편방문과 지속방문으로 대별되는 사업수행 ?방문인력·관리자·담당자 교육프로그램 적극 참여 ?대상자 및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 발굴·지원 ?송파구보건소의 안정적 사업 ‘16년~‘17년(9개구) : 종로, 동대문, 마포, 노원, 은평, 강서, 영등포, 관악, 용산 ‘18년 (2개구) : 중랑, 서초 ‘19년 (2개구) : 중구, 강남 지원단 ?선진 외국 프로그램 도입, 서울형 모형 개발 ?한국형 인력교육과정 개발, 제공 - 가족파트너십 훈련자 국내 교수진 양성 ?사업효과 및 만족도 조사, 질적 수준 평가 ?사업담당 인력의 질적 수준 향상 - 산모우울 중재서비스 개발 ?사업 사례집 발간, 시민 나눔터 행사 개최 ?감염병 대응 방문건강관리 지침개발 ?신규인력 기초교육을 위한 동영상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업수행을 위한 교육지원 및 교육자료 제작 ?신규사업지역(송파구) 지원 ?부모대상 응급처치 교육 ?임상심리지원서비스의 제공 ?효과성 평가 분석(실험 연구 활용) Ⅵ 사업 수행체계 및 비전 《 사업 수행 체계 》 ?? 비전 및 추진전략 《 비전 및 추진전략 》 ?? ‘20년 사업 목표 ? 프로그램의 효과성 보장과 지속적인 질 향상, 자치구별 상이한 평가지표를 표준화하기 위해 사업의 평가는 MECSH 프로그램의 충실도 지표 (fidelity indicators) 중 자치구에서 적용 가능한 항목을 일부 활용함. - 사업목표 (안) 구분 평가 항목 평가 내용 측정방법/목표 산출근거 ‘19년 실적 ‘20년 목표 결과 목표 만족도 산모 만족도 점수 (Parent Satisfaction Questionnaire) 보 편 웹기반, 8개문항 (매월) 9.06점 9.1점 지 속 설문지 분석, 10문항 (6~8주,12개월,24개월,중도퇴록시) 9.39점 9.4점 역량 강화 산모 역량도구(Patient Enablement Instrument) 설문지 분석, 6문항 (6~8주,12개월,24개월,중도퇴록시) 7.84점 7.9점 산출 목표 임산부 등록 및 평가 보건소에 등록하고 평가받은 임산부 비율(%) 등록임산부/출생아×100 19년 확충인력 대비 상향조정 47.0% 23.5% 방문관리 가구 등록 평가에 동의한 임산부 중 총 방문(보편 +지속)이 이루어진 가구비율 방문가구수/출생아×100 19년 확충 확정인력(27명)대비 상향조정 38.24% 19.12% 엄마 모임 보편,지속방문 엄마 모임 확대 운영 엄마모임 참여 대상자 수 (보편·지속 10명20회22개구) 4,736명 2,000명 투입 목표 서비스 제공 인력 교육 신규 영유아 건강 간호사 기본교육(160시간)과정 의무 이수율 신규인력 중 기본교육이수자 /전체 신규인력×100 100% 100% 인력 사업 참여인력 수(전 자치구 확대목표) 영유아 건강 간호사 수 99명 111명 ※ 코로나19로 인하여 ’19년 대비 ‘20년 실적 하향 조정됨. - 보건소 평가지표(안) 구분 평가항목 평가 내용 측정방법/목표 산출근거 19년 실적 20년 목표 투입 지표 지속방문 ① 지속방문비율 전체 방문가구 대비 지속방문 가구 비율 6.5% 3.25% ② 지속방문 가구당 방문 횟수 지속방문가구수/지속방문횟수 11회 12회 산출 지표 방문가구 ③ 영유아 건강간호사 1인당 방문가구수 간호사1인당 1일방문 가구수 1.91가구 1가구 엄마모임 ④엄마모임 개최 횟수 ③-1 보편모임(5회/1기) 보건소별 모임 운영횟수 (상·하반기 총 2회 운영 권장) 168회 100회 ③-2 지속모임(5회/1기) 보건소별 모임 운영횟수 (상·하반기 총 2회 운영 권장) 112회 50회 결과 지표 방문관리 가구 ④ 등록 평가에 동의한 임산부 중 총 방문(보편 +지속)이 이루어진 가구비율 보편+방문가구수/출생아×100 38.24% 19.12% ※ 2019년 서울아기 건강첫걸음 지원단 결과보고서(’20.1월) Ⅶ 세부 추진계획 추진전략 1 사업 대상 지역과 인력 확대 1-1 임산부·영유아 가정방문 건강관리 추진 확대 모든 임산부 및 영유아 가족이 전문방문인력과의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개인과 지역사회 차원의 다양한 건강결정요인에 개입하여 생명의 시작점부터 건강한 출발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함 ?? 대 상 : 서울시 25개구 확대 ? 사업지역 : 25개구 실시(‘19년 24개구 → ‘20년 25개구, 신규:송파구) ‘13 3개구 ⇒ ‘14 8개구 ⇒ ‘15 12개구 ⇒ ‘16 19개구 ⇒ ‘17 20개구 ⇒ ‘18 22개구 ⇒ ‘19 24개구 ⇒ ‘20 25개구 ? 사업대상 : 임산부 및 만2세미만 영유아 - 보편방문 대상 : 출산가정의 산모 및 신생아 - 선택, 지속방문 대상 : 임신부터 출산 후 만 2세까지의 임산부 및 영유아 ?? 방 법 : 자치구별 방문 전문인력에 의한 가정방문 건강관리 ? 방문인력 : 영유아 건강간호사 111명 확보 - 정 규 직 : 19명(’19년 1명, ‘20년 18명) - 시간선택제 : 7명(강남구보건소) - 무기계약직 : 85명 ? 사업흐름도 ? 대상자 관리 프로세스 ?? 세부내용 ? 임산부 영유아 가정방문 건강관리 서비스 - 임부등록 평가 ? 보건소 임산부 등록시 본 사업 동의자 평가 후 방문 유형 분류 ? 지속방문대상 : 고위험 가구(평가기준 1, 2에 각각 한가지 이상 해당) 임산부 및 영유아 평가기준<1> 평가기준<2> - 사회심리평가 1. 만23세 이하 2. 산전관리 임신 20주이후 시작 3.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4. 장애인 임산부 5. 한부모 가족 6. 다문화 임산부 7. 현재 음주 8. 현재 흡연 9. 우울(에딘버러) 13점 이상 10.자해점수 1점이상 11. 미숙아(2020년 평가지준 포함) 귀하는 아기에 대해 실제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있습니까? 귀하의 느낌이나 걱정거리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누군가가 있습니까? 3. 지난 12개월 동안 중대한 스트레스나 변화 또는 상실을 겪은 적이 있습니까? 4. 귀하는 자신이 대체로 자신감있는 사람이라고 여깁니까? 5. 귀하는 물건 또는 상황이 정리되지 않고 혼란스러우면 걱정을 많이 하게 됩니까? 6. 귀하는 2주 또는 그 이상의 기간 동안 불안하거나 비참하거나 걱정되거나 우울하다고 느꼈습니까? 7. 귀하는 과거나 현재에 감정/정서적인 문제로 치료를 받은 적이 있습니까? 8. 남편과의 관계는 어떻습니까? 9. 아기를 낳고 나면 귀하와 남편과의 관계가 어떻게 될 것으로 생각하시니까? 10. 어렸을 때 신체적, 정서적, 성적인 학대를 받은 경험이 있습니까? 11. 가정폭력은 엄마는 물론 아기의 성장과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칩니다. 가정폭력과 관련하여 도움이 필요하십니까? 12. 더 이야기하고 싶은 걱정거리가 있습니까? - 보편방문 서비스 ? 대 상 : 출산가정의 산모 및 신생아 ? 방 법 : 출산 후 4주 이내에 1회 방문(약60~90분) ? 내 용 : 산모 및 신생아 건강평가, 모유수유교육, 산후우울 평가, 신생아 돌보기, 아기울음 및 수면문제 교육, 예방접종 및 건강검진 정보 제공 등 - 지속방문 서비스 ? 대 상 : 고위험 가구(평가기준 1, 2에 각각 한가지 이상 해당) 임산부 및 영유아 ? 내 용 : 보편방문서비스 포함, 월령별 발달단계에 따른 건강성장 지원, 아기와 의사소통교육, 파트너십 및 양육역량 강화, 자원 연계 및 필요시 사회복지사 공동방문 등 ? 방문시기 및 빈도 방문시기(주수) 방문 횟수 빈도 소요시간 아동발달 부모교육 일정 임신 20~40주 3 30~60분 Session 1 아동 0-6 5 매주 60-90분 Session 2, 3 7-12 3 2주 마다 60-90분 Session 4,5,6,7 13-26 4 3주 마다 30-60분 Session 8,9,10,11 27-52 4 6주 마다 60-90분 53-104 6 격월 60-90분 아동발달 부모교육은 한국판 ‘아기와 의사소통하기’를 활용 ? 엄마모임 그룹프로그램 운영 - 목 적 : 엄마들 간의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 양육에 대한 자신감 증진 등 - 대 상 : 방문서비스 대상 산모(출산 후 8주 이후부터) - 방 법 : 주1회(2시간) 총 5회 소규모 그룹 프로그램 운영, 유사유형 (다문화, 모유수유 모임 등)의 그룹 활동 촉진 - 내 용 주수별 내용(주제) 방법 강사 1주차 서로 알아가기, 엄마되기 (소그룹) 강의 워크숍 실습 방문전문인력 및 지원단 연구원 2주차 아기 달래기와 재우기 3주차 아기 알아가기(베이비 마사지) 4주차 아기 발달과 놀이, 안전 5주차 이유식과 엄마모임 마무리(평가) ? 지역사회 연계 서비스 - 목 적 : 대상가구의 다양한 문제와 욕구 해결 위한 지역사회내 가용자원 활용 체계적이고 통합적 서비스 지원 및 협업 활성화 - 방 법 : 관련부서 및 유관기관 연계체계 구축 - 문제 유형에 따른 사회복지 연계서비스 내용 ? 임상심리지원서비스의 제공 - 내용 : 산모우울, 불안, 인격장애 등 다양한 심리적 문제를 겪고 있는 가족에 대해 사회복지사 또는 사회복지업무 담당자에 의한 단기 개입 서비스제공 - 방법 : 지역사회의 임상심리서비스 자원과의 연계, 임상심리 전문가에 의한 서비스 제공 추진전략 2 인력의 전문성 및 프로그램 질적 수준 강화 2-1 가정방문인력의 전문성 향상 위한 교육과정 운영 신규 + 확대 사업 추진 실무인력 대상 전문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임산부·영유아 가정방문, 엄마모임, 서비스 연계 등에 필요한 실무역량 강화 ?? 교육개요 ? 대 상 : ‘20년「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사업」추진 자치구 실무 인력 전체 ? 기 간 : 5월~12월 ? 장 소 :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의과대학, 본청 회의실 등 ? 방 법 : 코로나감염병으로 인한 동영상 교육, 실습-집체교육 ? 강 사 : 사업 지원단 교수진 및 해당분야 전문가 ? 과정 및 내용 구분 기본교육과정 심화교육과정 보건소 관계자 사회복지업무 교육 대상 신규 방문인력, 담당 주무관 신규 방문인력, 담당 주무관 담당(모성실),관리자 선도보건소 전담인력 내용 ·임신과 출산, 임산부 및 ·영유아 건강관리, 모유수유 ·정신건강,신생아/영아돌보기 ·사업개요, 보건소 사업 등 160시간 이상 ·보편/지속방문 사례관리 ·소아과교육, 수퍼비전 ·산후우울 및 자살예방 ·가족파트너쉽모델 교육 ·아이와 의사소통 등 160시간이상 ·사업의 개요, 추진방향, ·산전-아동기 건강관리 중요성 ·사업 수행 및 실적관리 ·임산부 등록평가 절차 및 실무 ·가족의 생태학적 접근법 ·산전-아동기 건강관리중요성 ·위기가구개입 및 사례관리 - 산모 우울, 자살 사고, 아동학대와 가정폭력 등 ·도구적 지원/심리지원 2-2 다문화 가족을 위한 다빈도사용 외국어 서식 개발 확대 ? 기존 : 5개 언어(한국어,영어,베트남,중국어,캄보디아어) ? 추가 : 10개 국어, 10개 언어(한국어,영어,베트남,관둥어,만다린어, 몽골어,태국어,러시아어,따갈로그어,우즈벡어)로 확대 ? 다빈도 사용 외국어 개발 서식지 - 임신부등록지 - 보편방문 서비스 안내문 - 지속방문 서비스 안내문 - 서울아기 건강첫걸음사업 신청 및 개인정보수집이용동의서 - 보편방문 만족도 조사 - 지속방문 만족도 조사 2-3 감염병 대응 방문건강관리 매뉴얼 제작 및 적용 신규 ? 필요성 :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고립, 양육스트레스의 증가는 아동학대의 위험을 높임으로써, 산전?아동기 가정방문의 필요성 증가 ? 주요내용 - ‘가정방문시 감염 예방수칙’ - 지속방문 가족에 대한 가정방문시 수칙 - 엄마모임시 수칙 - 교육과정, 사례회의 운영시 수칙 2-4 프로그램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다양한 교육자료 개발 확대 ? 사업 지침서 보안 및 내용 추가 - 사업 지침서 : 임부등록, 보편 및 지속방문, 엄마모임, 데이터관리 등 ? 아동발달 부모교육자료 활용 및 추가제작 - 부모교육자료 : ‘아기와 의사소통하기’ 부모용, 산모 흡연과 음주, 우울, 가정폭력 아기울음, 모유수유, 피임, 애완견 등 부모교육자료 16종 2-5 영유아 응급상황 대처법 매뉴얼 개발 및 적용 신규 ? 필요성 : 영유아가 가정 등 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응급상황에 대처할수 있도록 부모대상 응급처치 교육을 실시하여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과 안전한 생활을 돕고자 함. ? 응급처치 교육자료 발간(2종): 열성경련, 낙상, 화상, 기도폐쇄 자료 1 자료 2 1. 아기가 열이 나는데, 이상해요! 2. 아기가 높은 데서 떨어졌어요! 3. 아기가 화상을 입었어요! 1. 아기가 숨을 못 쉬어요! 기도에 무언가 들어간 것 같아요! 2. 영유아에서의 심폐소생술 (= 흉부압박 + 인공호흡) ? 교육 강사 양성 - 대 상 : 서울아기 건강첫걸음 영유아 건강 간호사 111명 - 교육방법 : 전문가를 통한 교육(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 ? 활용방안 - 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방문건강관리 대상자 교육 - 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엄마모임 교육 - 어린이집 방문건강관리 지원사업 연계 교육 ? 매뉴얼 개발 : 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지원단 2-6 비대면 교육강화(동영상 제작)로 효율성 제고 신규 ? 신규 기초교육 동영상 - 코로나감염병 확산예방을 위한 집합교육이 어려워짐에 따른 대안으로 동영상 교육계획으로 신규교육 실시 -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한 교육과정 운영, 동영상교육을 통한 비대면 교육으로(26교시) 교육내용에 대한 평가 강화 ? 보편 방문안내, 영유아 간호사 보편방문 교육 동영상 제작 - 보편방문 홍보 동영상 제작 : 사업홍보용 - 영유아 간호사 보편방문 교육 동영상 : 신규간호사 교육용(동행방문 대안) ? 우는 아기 달래기 동영상 제작 - 서울아기 건강첫걸음사업 부모교육 자료 ‘purple crying'의 교육효과 높이기 위한 한국판 동영상 제작·활용으로 교육자료 강화 - 제작방법 : 0세~생후 6개월 아기를 둔 부모대상 다양하게 심하게 우는 아기 영상 공모 - 활용방안 : 서울아기 건강첫걸음 대상자 가정방문 교육 시 활용 2-7 서울형 프로그램의 개발 정착 위한 사업 지원단 운영(민간위탁) 선진국 산전?조기아동기 건강발달 프로그램 도입 및 서울형 모델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사업의 근거 확보 ?? 위탁개요 ? 수탁기관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위탁기간 : ‘18. 5. 1 ~’21. 4. 30(3년) ? 위탁사무내용 (※민간위탁기관 별도 사업계획 수립) - 서울형 산전·아동기 건강발달 프로그램 개발 운영 - 가정방문 전문인력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전반 - 사업 매뉴얼, 부모교육 자료 등 개발, 데이터 시스템 구축 - 자치구 확산에 따른 기술지원 및 모니터링 체계 구축, 효과성 평가 등 ? 민간위탁 지도점검 : 7월, 12월중 (※별도 시행계획 수립) ?? 연구원 구성 현황 (‘20.5월 기준) 연번 구 분 성 명 소 속 업무내용 1 책임연구원 강○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지원단 운영 총괄 2 연구원 조○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선진프로그램 도입, 교육프로그램 운영 3 연구원 전○자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교육프로그램 운영, 엄마모임 4 연구원 이○윤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서울형프로그램 개발, 교육프로그램 운영 5 연구원 조○준 울산의대 / 서울아산병원 교수 교육자료 개발, 연계서비스 개발 6 연구원 김○미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조교수 한국형 아동발달지표 개발 7 연구보조원 박○영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연구소 사회복지연계프로그램 운영 8 연구보조원 김○미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연구소 사회복지연계프로그램 운영 9 연구보조원 박○은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연구소 교육프로그램 운영, 대상자 분석 등 10 연구보조원 차○현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연구소 교육 및 행정지원, 예산운영 11 연구보조원 김○정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 예산 및 행정지원 추진전략 3 연계 협력 및 소통 활성화 3-1 통합 연계 구축 관리 사업의 원활한 추진 및 관련부서 간, 실무인력 간 효율적인 소통 활성화 ?? 세부추진내용 ? 서울시25개 자치구 확대 및 전국 사업확산 기념 심포지움 행사 (※별도 시행계획 수립) 신규 - 시 기 : 8~9월 중(코로나-19 상황에 따라 개최여부 판단) - 내 용 : 전국사업확대 성과홍보 사업경험 공유 외국 라이센스 프로그램의 국내화 성공에 대한 평가 등 - 기 타 :「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사업」정착에 기여한 호주 Lynn Kemp 교수 초청 ? 서울시, 자치구, 지원단 통합 실무회의 운영 - 시 기 : 분기별( 6, 9, 12월) - 방 법 : 서울시·자치구·지원단 간 정기 실무회의 개최 코로나 상황에 따른 화상실무회의 진행 - 내 용 : 사업추진 진행상황 검토, 협조사항 및 건의사항 등 ? 사업 결과보고회 개최 - 시 기 : 2020. 12월 말 ~ 2021.1월 초 - 내 용 : 2020년 사업평가를 통한 결과 공유 ? 전국「산전?조기 아동기 방문건강관리」시범사업 협력 - 서울시 임신부·조기 아동기 가정방문 서비스사업인 <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사업>을 토대로 전국 확산되어 2020년 첫 시범사업 시행 - 전국사업 참여 인력에 대한 실습, 동행방문, 슈퍼비전 등 인력 협조 - 임신부 등록평가의 방법, 인력구성, 사업지원 방안 등 경험공유 3-2 맞춤형 홍보 강화 서울시 차원의 전방위적 맞춤형 홍보로 시민 인지도 및 참여율 제고 ? 북토크 개최 - 북토크 주요내용 : 사례집 ‘똑똑똑, 아기와 엄마는 잘 있나요?’ - 영유아 건강간호사가 경험한 다양한 엄마들의 삶의 이야기를 통해 많은 엄마들이 공감하고 위안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 방 법 : 주요서점, 관련학회, 육아정보센터 등 홍보 ? 서울시 임신·출산 정보센터 홍보 활성화로 등록신청 강화 - 언론 캠페인, 온라인 서비스, 보도자료, 영상물 배포 등 ? 서울아기 건강첫걸음 홈페이지 및 보편방문 동영상 홍보 강화 추진전략 4 자체적 운영 체계 확립 및 역량 확보 4-1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확대 사업 담당, 실무인력, 관리자 등 사업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보건소 업무 체계 내에 <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사업>이 유기적으로 통합되도록 함으로써 지속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정착하도록 하기 위함 ?? 세부추진내용 ? 영유아 건강 간호사 대상 clinical supervision 제공 - 필요성 : 고위험 가정 방문에 따른 영유아 건강간호사의 소진과 스트레스 관리 - 방 법 : clinical supervision 필요시 요구도에 따라 해당 사업내용을 잘 이해하는 전문가에 의해 수행(지원단 소속의 간호대학 교수가 중심) ? 교육담당 간호사 양성 프로그램 운영 확대 - 필요성 : 사업의 질적 수준 향상과 사업인력에 대한 교육 요구 해소 - 내 용 · 신규인력에 대한 기본교육, 사례집담회 및 동행방문 참여 · 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사업 심화 강의 및 지침서 심화 교육 · 가족파트너십훈련의 준비과정 및 본 교육과정 참여 ? 자치구 보건소 모니터링 및 현지방문 - 필요성 : 운영현황 및 현장을 모니터링하여 개선점을 파악하고, 업무의 적정화 및 사업운영의 효율성 - 시 기 : 9월~10월 - 대 상 : 사업 수행 자치구 - 방 법 : 서울시, 사업지원단장 등 연구진 현장방문 - 내 용 : 인력고용 및 사업 운영 현황, 애로사항 청취 ? 자치구 사업 관계자 교육과정 운영 - 시 기 : 8월 - 대 상 : 사업 담당 주무관, 관리자, 모성실 실무 인력 등 - 방 법 : 화상회의를 통한 교육과정 운영 - 내 용 · 담당 주무관 : 임산부 영유아 건강관리 전반, 지속방문 사례관리 등 · 관리자 과정 : 산전조기아동기 개입의 필요성, 사업의 개요 및 효과 등 · 임산부등록실무과정 : 임부등록체계 구축 위한 산모 등록유형평가 실무교육 ? 보건소 단위 사례집담회/사례회의 활성화와 권역별 사례회의 실시 - 시 기 : 분기별(9, 11월) - 방 법 : 보건소 단위 사례회의(case review)와 사례 집담회(case conference) 정기적 운영 - 내 용 · 사례회의(case review) : 3개월, 6개월 단위 지속방문 대상자 전체 · 사례 집담회(case conference) : 특정 문제가 있는 case에 대한 다학제적 논의 · 사회복지 연계 서비스 요구파악 및 서비스 지원(자치구·지원단?서울시) · 서울시 권역별로 교육담당 간호사가 참여하는 사례회의 실시 추진전략 5 사업효과성 평가를 통한 과학적 정당성 확보 4-1 사업의 효과성 평가 실시 신규 사업의 효과성 평가를 통해 산전·조기 아동기 방문 프로그램의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고 정당성을 확보하여 지속가능한 사업으로의 기초 마련 ? 지속방문 효과성 평가연구 참여 - 기 간 : 2020년~ - 대 상 : 지속방문 대상 산모 및 영유아(출생~24개월) - 방 법 : 지속방문 서비스 수혜가구 vs 등록 후 지속방문이 이루어지지 못한가구의 무작위대조시험 - 실시기관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보편방문 대상자 효과성 평가 - 기 간 : 2020년 5월 ~ 202년 12월 - 대 상 : 보편방문 대상 산모 및 영유아 - 방 법 : 보편방문 서비스 수혜가구의 통계자료 활용 - 실시기관 : 서울시 공공보건의료재단 4-2 생활복지통합시스템 시스템 보완 및 상시평가체계 구축 확대 사업 과정 및 사업 내용을 입력관리하기 위한 데이터시스템을 더욱 강화하여 평가체계 구축 및 임신부 특성에 대한 분석, 실적 관리, 충실도 지표의 산출 등 개별 사업 내용에 대한 상시적 모니터링 《 생활복지정보통합시스템 및 홈페이지 안내》 4-3 사업 평가 사업의 양적 및 질적 수준에 대한 상시적 평가체계 구축과 사업 확산을 위한 근거 확보 및 지속 가능성 보장 ?? 평가시기 및 내용 ? 사업실적 (정량)평가 - 시기 : 월별, 연말 - 방법 : 생활복지통합정보시스템 활용 - 내용 : 임부등록 평가, 보편 및 지속 방문실적, 지역연계서비스 실적 등 ? 만족도조사(Parent Satisfaction Questionnaire) - 시기 : 보편방문(매월) 지속방문(6~8주, 12개월, 24개월, 퇴록시) - 방법 : 스마트폰 활용, 보편/지속 방문 대상자 만족도 조사 - 내용 : 의사소통수준, 일반적만족도, 대응매너, 시간의 적정성, 접근용이성 ? 산모 역량평가(Patient Enablement Instrument) 및 질적 면접조사 - 시기 : 방문 시점별(6~8주, 12개월, 24개월, 퇴록시) - 방법 : 지속방문 대상 산모역량평가 및 엄마되기(“Being a Mother”) 설문 - 내용 : 아기와의 친밀도, 본인의 경험, 아기와의 경험 등 13개문항 ? 사업 충실도 평가(fidelity indicators) - 시기 : 연 중 - 방법 : MECSH 프로그램 충실도 지표 활용 평가(생복통 활용) - 내용 : 임산부 등록평가율, 보편방문율, 지속방문 시기 및 유지, 가족의 참여, 파트너십 만족도 결과, 방문인력의 교육이수 등 Ⅷ 소 요 예 산 ? 예산과목 - 시민건강국 건강증진과, 시민건강수준향상, 노인 모자보건 서비스 확충, 서울아기건강첫걸음사업 - 시민건강국 건강증진과, 시민건강수준향상, 취약계층에대한 보건의료지원, 찾동어르신 건강증진 사업운영 ? 세부내역 (단위 : 천원) 세부사업 예산과목(통계목) 예산액 산출내역 비 고 합 계 5,177,707 시비 100% 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사업 소 계 435,000 사무관리비 5,000 - 실무회의, 홍보 등 민간위탁금 350,000 - 전문인력 교육과정 운영 등 지원단운영 자치단체경상보조금 80,000 - 영유아 부모 응급처치교육 찾·동 방문건강관리 사업 운영 소 계 4,742,707 자치단체경상보조금 4,742,707 - 인건비등(112명) 4,599,707천원 - 운영비(25개구) 143,000천원 방문인력 인건비 등 ? 추 진 일 정 세부추진일정 월별일정 1 2 3 4 5 6 7 8 9 10 11 12 사업계획 수립 신규인력 기본교육과정 운영 기존인력 심화교육과정 운영 자치구 관리자 및 사업 담당자 교육 서울시, 자치구, 지원단 통합 실무회의 심포지엄 교육동영상 제작 영유아 건강 간호사 대상 clinical supervision 제공 교육담당 간호사 양성 및 활용 자치구 기술지원 및 모니터링 자치구별 사례회의, 권역별 사례회의 민간위탁 기관 지도·점검 사업 최종보고회 Ⅹ 기 대 효 과 ? 우리나라 모자보건사업의 패러다임 전환과 모형제시, 효과적인 공공서비스제공으로 시정의 신뢰도 향상 ? 실질적인 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부모의 양육 역량을 강화하고 아동의 건강발달 증진으로 ‘건강한 미래를 위한 공평한 출발’ 모토 실현 붙임 감염병 대응, <서울아기 건강 첫걸음 사업> 가정방문 지침 1부. 끝.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 결재문서본문.hwpx (1.57 MB)

      PDF다운로드 원문다운로드

  • 감염병 대응 서울아기건강첫걸음사업 가정방문 지침.hwpx

    비공개 문서

문서 정보

코로나감염병 대응 지속가능한 2020년 서울아기 건강첫걸음 사업 계획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시민건강국 건강증진과
문서번호 건강증진과-12897 생산일자 2020-06-28
공개구분 부분공개 보존기간 5년
작성자(전화번호) 이미점 (02-2133-7577) 관리번호 D0000040260365
분류정보 건강 > 지역보건 > 건강증진관리 > 건강증진사업수행 > 산모건강관리사업운영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