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2020 서울시 자살예방시행계획

문서번호 보건의료정책과-18392 결재일자 2020.6.10. 공개여부 부분공개(5) 방침번호 시 민 주무관 실무사무관 정신보건팀장 보건의료정책과장 시민건강국장 김성주 김승혜 고재정 박유미 06/10 나백주 협 조 2020년 서울시 자살예방시행계획 2020. 6. 시민건강국 (보건의료정책과) 목 차 1. 서울시 자살예방계획 수립 배경 1 1-1 서울시 자살예방계획의 필요성 1 1-2 수립근거 2 2. 서울시 자살 현황 2 2-1 자살 현황 및 추이 2 2-2 서울시 자살문제의 특성 14 3. 추진방향과 전략 15 3-1 자살예방사업의 추진 방향과 전략 15 4. 추진 체계 16 4-1 추진 체계 16 4-2 자살예방위원회(서울시 정신보건 심의위원회) 16 4-3 주요 추진인력 17 4-4 유관기관 17 5. 중장기 계획 및‘19년 사업 평가 18 5-1 중장기 계획 및 연도별 추진일정 18 5-2 2019년 사업평가 및 개선방향 20 6. 세부사업 계획 22 6-1 세부사업 개요 22 6-2 세부사업 계획 23 7. 추진일정 43 8. 예산 43 43 9. 관리 및 평가 계획 44 10.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분석 및 지원 계획 46 Ⅰ 서울시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 자살예방시행계획의 필요성 □ 서울시의 자살률은 22.5명으로 전국 최저이나, OECD 평균의 2배 수준 ? OECD 국가의 평균 자살률은 ‘85년 17.1명에서 ’15년 12.1명으로 감소 추세이나 같은 기간 자살률이 10명 이상 증가한 국가는 우리나라가 유일 한국 : ‘85년 11.2명 → ’13년 28.7명 / OECD 평균 : 11.5명(2018년 자료) □ 생명사랑 시민 참여 활성화 통한 지역사회 생명존중문화 조성 강화 ? 시민들의 자발적인 생명존중 주민조직 참여를 통한 마을중심 생명존중 문화 조성 ? 마을기반 안전망 구축과 생명지킴이 활동의 유기적 연결 및 생명존중 시민 참여 조직화, 주민이 주민을 돕는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창설 및 생명사랑 협력 네트워크 구축 확대 □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범부처별 협력 및 사회마케팅 강화 ? 연예인 자살, 성북 네 모녀 사건, 살해 후 자살 등 사회적 반향이 큰 사건이 지속되고 있음에 따라 생명존중문화 조성 위한 시민 인식개선 위한 사회마케팅 필요성 대두 ? 자살문제는 보건영역에서의 문제가 아닌 사회, 경제, 문화, 복지영역 등 모두의 문제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범부처별 협력체계 구축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이 필요함. □ 효과적인 자살예방사업 수행 위한 과학적, 근거기반 자살예방사업 추진 ? 서울형 자살예방정보망 분석을 통한 정보수집으로 과학적인 근거에 기초한 자살예방사업 및 정책 수립을 지원하고자 자살예방사업 지원 □ 코로나19로 인한 사회?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예방적 자살 대응책 필요 ? 우리나라 자살률은 부정적인 경기변동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경향이 있고, 2020년 초부터 유행한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경제활동이 위축, 경기불황에 따른 자살률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이에 대한 적극적 대응 필요 2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근거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11. 3. 제정) □ 서울특별시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조례(’11. 1. 제정) □ 서울특별시 자살예방 종합계획(‘13. 5.) □ 자살예방 국가 행동계획(’18. 1.) Ⅱ 서울시 자살현황 1 서울시 일반현황 및 특성 □ 인구현황 ○ 서울시의 인구 수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9.7%를 차지함.(시도별 2위). KOSIS 국가통계포털, 2020년 추계인구 - 전국과 서울시의 2018년과 2019년 생애주기별 인구현황을 비교해 보았을 때, 아동?청소년과 청년기 인구 및 비율이 감소하였음. 특히 아동?청소년 인구의 꾸준한 감소로 인하여 동일한 자살사망자 수 대비 자살률이 증가할 수 있음. - 반면, 장년기와 노년기의 인구는 증가하였으며, 특히, 노년기(65세 이상) 증가세가 두드러짐. [2018, 2019년 서울시 성별 · 연령별 인구 분포] (단위:명) 구분 2018년 2019년 증감 전국 서울시 전국 서울시 전국 서울시 아동· 청소년 인구 9,434,215 1,573,870 9,125,924 1,523,966 ▼308,291 ▼49,904 (19세 이하) 비율 18.2 15.7 17.6 15.2 ▼0.6 ▼0.5 청년기 인구 18,010,310 3,880,836 17,763,572 3,855,147 ▼246,738 ▼25,689 (20세~44세) 비율 34.8 38.6 34.3 38.5 ▼0.5 ▼0.2 장년기 인구 16,731,126 3,178,770 16,933,450 3,178,668 ▲202,324 ▼102 (45세~64세) 비율 32.3 31.6 32.7 31.7 ▲0.4 ▲0.1 노년기 인구 7,650,408 1,416,131 8,026,915 1,468,146 ▲376,507 ▲52,015 (65세 이상) 비율 14.8 14.1 15.5 14.6 ▲0.7 ▲0.6 전체 인구 51,826,059 10,049,607 51,849,861 10,025,927 ▲23,802 ▼23,680 비율 100 100 100 100 0 0 □ 서울시 자치구별 취약인구 현황 ○ 취약계층으로 분류되는 등록정신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65세 노인인구, 독거노인, 다문화, 이주민, 한부모 대상자 수를 확인한 결과 서울시의 인구 분포는 아래 표와 같음. ○ 자치구별로 상위 지자체, 하위 지자체 3곳씩을 확인한 결과, 상위 지자체로 강서구(5개 영역), 노원구(4개 영역), 은평구(3개 영역)로 나타나, 강서구에 가장 많은 취약인구가 분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 하위 지자체로는 중구와 종로구(6개 영역)가 해당됨. [서울시 취약인구 자치구 분포 현황] (단위:명) 구분 등록 장애인 (2017년 기준) 기초생활 수급 (2018년 기준) 65세 노인 (2019년 기준) 독거노인 (2019년 기준) 다문화 (2018년 기준) 이주민 (2018년 기준) 한부모 (2018년 기준) 서울시 16,326 290,222 1,485,272 332,512 150,363 32,513 81,703 상위 지 자 체 1순위 강서 1,627 노원 26,012 송파 87,334 노원 19,929 구로 15,157 구로 3,047 노원 6,367 2순위 노원 1,481 강서 22,252 강서 84,077 은평 18,865 영등포 14,388 영등포 2,941 중랑 5,765 3순위 은평 1,128 은평 19,677 노원 80,923 강서 17,468 관악 9,112 금천 1,985 강서 5,595 하위 지 자 체 1순위 중구 234 중구 4,266 중구 23,275 중구 5,935 종로 2,320 종로 608 중구 850 2순위 종로 263 종로 4,450 종로 27,519 종로 8,668 중구 2,572 중구 652 종로 923 3순위 용산 297 서구 5,477 금천 37,660 용산 8,840 도봉 3,691 도봉 696 서초 1,420 □ 서울시 1인가구 자치구별 현황 ○ 2018년 서울시 1인가구는 1,229,421명으로 서울시 전체가구수 3,839,766가구의 32%를 차지하고 있으며, 서울시 인구수가 꾸준한 감소세인데 비해, 1인 가구 수는 2010년에 비해 1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자치구별로는 관악구의 1인가구 비율이 높으며, 다음으로 강서구와 노원구가 뒤를 잇고 있음. ○ 관악구는 청년기와 장년기의 1인가구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반해, 강서구와 노원구는 장년기와 노년기에 높은 비율을 보임. [2018년 서울시 1인가구 자치구 분포 현황] (단위 : 명) 구분 상위 3개 자치구 자치구1 자치구2 자치구3 아동 ? 청소년 자치구 동대문구 성북구 동작구 (19세 이하) 인 구 1,844 1,616 1,108 청년기 자치구 관악구 강남구 강서구 (20세 ~ 44세) 인 구 79,994 39,123 39,111 장년기 자치구 관악구 강서구 중랑구 (45세 ~ 64세) 인 구 20,188 20,143 18,964 노년기 자치구 노원구 강서구 은평구 (65세 이상) 인 구 15,020 13,487 11,731 서울시 1인가구 총합 1,229,421 □ 서울시 고위험음주율 및 우울감 경험률 등 지역정신건강통계 현황 ○ 서울시 연간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과 우울감 경험률, 우울증상 유병률 모두 전년대비 감소 ○ 남자의 음주율은 감소추세이나, 여전히 여자의 약 4배가량 높게 나타나고 있음. [2018년 지역사회건강조사] (단위 : %, 표준화) 구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전년대비 증감율 17개 시도 대비 순위 연간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 전체 16.6 17.6 16.0 17.2 17.0 ▼0.2 13위 남자 22.0 23.5 21.0 21.8 21.0 ▼0.8 여자 4.6 4.9 4.7 5.1 5.4 ▲0.3 우울감 경험률 8.1 7.8 6.9 7.1 4.9 ▼2.2 11위 우울증상 유병률 - - - 3.6 3.5 ▼0.1 6위 □ 지정학적 특성 및 경제수준 면적 및 조직 ? 면 적 : 605.24㎢(전국의 0.6%) ? 시민조직 : 25개 자치구, 424개 동주민센터 ? 행정인력 : 52,294명(공무원수) 경제적 수준 ? 서울시 평균 재정자립도 : 76.5%(서울본청 포함). ? 자치구 평균 재정자립도 : 28.1% ? 재정자립도 상위 3개 자치구 : 중구, 강남구, 서초구 ? 재정자립도 하위 3개 자치구 : 노원구, 강북구, 은평구 주택 ? 공공임대?영구임대아파트 : 37개 단지, 42,761세대 ? 주택보급률 : 95.9% □ 단독 : 125,297호 □ 다가구 주택 : 985,462호 □ 아파트 : 1,679,639호 □ 연립주택 : 112,372호 □ 다세대주택 : 749,971호 □ (비주거용) 건물내 주택 : 29,643호 기반시설 ? 도로 : 79,092,643㎡(도로율 22.72%) ? 1인당 공원면적 : 16.80㎡ ? 녹지현황 : 7,634개 복지시설 ? 종합사회복지관 : 104개 ? 노인복지관 : 82개 ? 장애인복지관 : 57개 ? 지역아동센터 : 426개 ? 노인여가복지시설 : 3,803개 ? 노숙인시설 : 37개 ? 장애인시설 : 271개 (거주시설, 공동생활가정, 단기보고, 주간보호시설, 수화통역센터 등) ? 청소년 수련시설 : 66개 (청소년수련관, 청소년수련원, 문화의집, 특화시설, 유스호스텔) 주요기관 ? 경찰 : 경찰청(2개), 경찰서 31개, 파출소/치안센터(414개) ? 소방 : 소방본부(1개), 소방서(24개), 119안전센터(117개) ? 보건 : 보건소(25개), 보건지소(11개) ? 교육 : 초(603개), 중(385개), 고(320개), 대학(48개) 의료기관 ? 응급실 : 68개소(상급종합병원 13, 종합병원 46, 병원 9) ? 응급실기반 자살예방 사후관리사업 : 14개소(보건복지부지원) ? 1차 의료기관 : 17,142개(상위 3개,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1인 가구 ? 서울시 1인 가구수 : 1,229,421명(서울시 인구의 14.5%) ? 성별 : 남자 (47.3%), 여자( 52.7%) ? 연령대 : 청년기(55.1%), 장년기(26.9%), 노년기(18.0%) ? 서울시 전체 인구대비 1인 가구비율 (청년기(17.6%), 장년기(10.4%), 노년기(15.1%)) 정신건강 2019년 정신건강사업안내, 보건복지부 ? 정신건강복지센터 : 26개(광역 1개, 기초 1개) ? 자살예방센터 : 3개(광역 1개, 기초 2개) ?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 4개 ? 정신요양시설 : 3개 ? 정신재활시설 : 118개 ? 정신의료기관 : 376개(국공립 3개, 민간 373개) 마을 조직 ?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 등 30개소 ? 주민조직화, 마을공동체 중간 지원 조직 - 한국마을지원센터연합, 한국주민운동정보교육원. 한국지역진흥재단 2 서울시 자살현황 및 추이 서울시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효과분석(2019). 서울특별시 공공보건의료재단 구분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사망률 자살사망률 = 인구 10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자 수 자살자수 전국 전체 31.2 31.7 28.1 28.5 27.3 26.5 25.6 24.3 26.6 13,670 서울 전체 26.2 26.9 23.8 25.6 24.7 23.2 23.0 21.3 22.5 2,172 구분 2017년 2018년 사망률 표준화사망률 표준화사망률 연령표준화 사망률 : 인구구조가 다른 집단간의 사망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연령구조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한 사망률 사망률 순위 전년대비 증감율 전년대비 증감률=(18년 자살사망자수-17년 자살사망자수)/17년 자살사망자수x100 서울시 21.3 18.1 18.9 22.5 17 5.1 경기도 22.9 20.1 21.0 24.2 16 7.3 광주시 22.6 20.6 23.1 25.7 15 13.4 세종시 17.7 16.6 24.5 26.0 14 67.4 전국 24.3 20.7 22.6 26.6 - 9.7 대구시 24.9 21.3 23.1 26.8 13 7.0 울산시 24.4 22.3 24.2 27.1 12 10.2 부산시 26.3 22.4 23.0 27.9 11 5.0 인천시 24 21 24.3 27.9 10 16.6 전남 25.1 20.2 23.5 28.0 9 10.8 대전시 22.5 20.1 24.5 28.3 8 24.6 경남 24.9 21.1 24.8 28.9 7 16.3 경북 26 21.3 24.3 29.6 6 13.5 전북 28.4 23.7 25.8 29.7 5 3.8 제주도 26.7 22.9 27.3 30.6 4 16.9 충북 28.2 23.2 26.7 31.1 3 10.3 강원도 30.6 23 26.1 33.1 2 7.9 충남 31.7 26.2 29.8 35.5 1 12.8 년도별 연령대별 사망률 변화추이 2018년 연령대별 남녀 자살사망률 추이 여자 남자 청소년 청년 중장년 노년 청소년 청년 중장년 노년 25 (03.59) 303 (43.47) 199 (28.55) 170 (24.39) 29 (01.97) 435 (29.49) 621 (42.10) 390 (26.44)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합계 자치구 최다 자살사망발생월 종로구 노원구 성동구 송파구 광진구 동대문 성북구 구로구 중구 서초구 강남구 금천구 은평구 서대문 동작구 강동구 중랑구 양천구 강서구 도봉구 영등포구 용산구 관악구 마포 강북구 여자 295 267 356 329 335 301 282 304 291 319 298 215 3,592 남자 652 613 768 777 778 656 698 664 683 672 571 532 8,068 소계 947 880 1,124 1,106 1,113 957 980 968 974 991 869 747 11,656 ○ ‘13~17년간 서울시 자살사망자가 사용한 자살방법을 살펴보면, 목맴(5,620명, 56.7%), 투신(1,979명, 20.0%), 가스중독(1,104명,11.1%), 익사(433명, 4.4%)의 순으로 나타남. ○ <서울시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효과분석, 서울시 공공보건의료재단, 2019>에 의하면 거주지 주소 이외 자살사망자 분율이 평균(+1표준편차)을 초과하는 자치구는 영등포구, 종로구, 광진구, 용산구, 중구 5개구이며, 수단별로는 - 익사: 영등포구, 광진구, 용산구 - 가스중독·목맴: 관악구, 은평구, 중랑구 - 투신: 강남구, 도봉구, 노원구 - 약물중독: 동대문구 로 나타나, 자살예방사업에서의 환경요인이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음. [자치구별 자살사망자중 타 자치구민 및 주요 자살수단의 분율] 자살이 발생한 자치구 타 자치구민의 자살이 차지하는 비중 (%) 주요 자살수단이 차지하는 비중 (%) 목맴 투신 가스 익사 영등포구 43% 43% 14% 8% 26% 종로구 41% 61% 14% 11% 0% 광진구 38% 52% 14% 13% 15% 용산구 37% 45% 15% 8% 23% 중구 36% 64% 20% 7% 0% 구로구 31% 60% 22% 12% 0% 서초구 30% 58% 24% 8% 3% 마포구 29% 54% 17% 9% 12% 성동구 28% 53% 21% 9% 12% 강남구 25% 58% 23% 11% 2% 동대문구 22% 56% 21% 12% 0% 송파구 22% 53% 19% 11% 8% 금천구 20% 65% 15% 13% 0% 강북구 18% 62% 17% 12% 0% 동작구 17% 56% 23% 13% 2% 서대문구 15% 66% 19% 9% 0% 강동구 15% 57% 18% 13% 4% 도봉구 14% 53% 25% 10% 0% 관악구 14% 64% 15% 15% 0% 양천구 13% 60% 23% 10% 0% 강서구 13% 56% 24% 12% 1% 성북구 12% 59% 23% 10% 0% 노원구 12% 51% 35% 9% 0% 은평구 11% 63% 14% 14% 0% 중랑구 10% 61% 17% 14% 0% 타 자치구 및 자살수단별 자살사망자의 분율이 서울시 전체의 Mean+1SD를 초과하는 경우 음영으로 표시함 자료: <경찰 수사기록을 통한 자살사망자 전수조사 결과보고서>에서 재구성 [2013~2017 서울시 자살방법별 자살사망자 수] 5개년(2013~2017) 서울특별시 자살사망 분석결과보고서, 중앙심리부검센터, 2019 [특성별 자살충동 여부 및 자살충동 원인 (2018년 사회조사)] 분 류 구 분  자살 충동 있었다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신체적 · 정신적 질환 및 장애때문 직장 문제 때문에 외로움, 고독 때문에 가정 불화 로 인해 동·읍면부 동 부 5.2 38.2 13.7 10.1 11.9 14.3 읍·면 부 4.7 32.3 23.0 6.0 13.9 12.9 성별 남자 4.5 41.2 16.9 10.8 11.2 10.0 여자 5.7 34.3 13.9 8.4 13.1 17.2 연령 13∼19세 4.4 14.5 4.6 0.9 13.1 14.0 20∼29세 5.7 25.9 10.0 24.8 14.1 7.8 30∼39세 5.2 44.5 7.1 15.5 10.0 14.1 40∼49세 5.4 41.1 10.0 10.3 11.8 19.9 50∼59세 4.9 49.0 13.8 2.2 12.1 14.5 60세이상 4.7 34.4 34.5 1.1 12.9 13.1 65세이상 4.2 30.4 38.0 0.9 13.7 12.6 교육정도 초졸이하 5.8 28.2 31.9 0.7 12.4 13.6 중 졸 5.8 37.5 20.0 4.2 9.6 10.9 고 졸 5.5 42.6 11.2 8.3 12.0 14.3 대졸이상 4.2 35.0 9.9 17.4 13.6 15.4 경제활동 취 업 4.8 44.8 8.6 10.6 12.5 15.1 실업 및 비경제활동 5.5 28.3 23.1 8.1 12.0 12.9 주관적 만족감 만족 1.9 16.3 14.2 12.4 17.3 15.3 보통 4.1 33.9 13.1 10.8 12.4 16.7 불만족 16.1 46.3 17.0 7.5 10.6 11.8 [2013-2017 서울시 주원인별 자살사망자수] ○ 2018년도 자살증감률을 보면, 일부 자치구(동대문구, 서대문구, 구로구)의 경우, 전년 대비 20% 이상 증가함. ○ 서울시 각 구의 5년간 총 자살사망자수는 노원구(617명), 강서구(517명), 강남구(566명)순으로 많았고, 자살사망률은 영등포구(27.6명), 금천구(27.2명), 용산구(25.6명)순으로 높았음. ○ 자살사망률 증가폭이 큰 지역의 경우, 연차별 증감률 검토와 함께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분석을 병행하여 효과적인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주요함. [2018년 자치구별 자살사망자수 및 증감률] (단위 : 명, %) 자치구 2018년 자살사망자수 ‘17 대비 증감률 2017년 자살사망자수 종로구 30 -33.3 45 중구 24 -11.1 27 용산구 51 -1.9 52 성동구 61 -9.0 67 광진구 78 9.9 71 동대문구 87 35.9 64 중랑구 103 -1.9 105 성북구 107 11.5 96 강북구 86 2.4 84 도봉구 78 -20.4 98 노원구 138 7.0 129 은평구 100 -7.4 108 서대문구 75 31.6 57 마포구 75 5.6 71 양천구 86 2.4 84 강서구 140 16.7 120 구로구 111 44.2 77 금천구 47 -26.6 64 영등포구 81 11.0 73 동작구 85 16.4 73 관악구 124 6.9 116 서초구 73 12.3 65 강남구 118 19.2 99 송파구 104 -19.4 129 강동구 110 18.3 93 [2013-2017년, 5년간 구별 자살사망자 수 및 자살사망률] 2013-2017년 동별 자살사망의 군집 및 이상치 분포 (5건 이상 다발 지역) 2 서울시 자살문제의 특성 1. 서울시 지역사회 기반 자살예방사업의 추진에 따른 자살사망률의 꾸준한 감소와 과제 ?지난 5년간 서울시의 자살사망자 수는 2013년(총2,560명), 2015년(2,301명), 2017년(2,067명)으로 꾸준한 감소추세이나 2018년 소폭 증가함(2,172명). ?생애주기 연령이 올라갈수록 증가하다가 50-54세에 정점을 찍고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2018년 자살사망률은 10대에서 전국 평균보다 0.4명 높게 나타남. ?아동청소년의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고등학생의 자살사망(48.9%) 문제와 자퇴 및 학교밖 청소년의 자살률(14.1%)이 대두됨에 따라 청소년의 정신건강예방 및 위기관리 인식개선 교육을 통해 생명존중인식이 확산되도록 자살예방계획 마련 ?주민의 생명존중의식을 높이기 위해 약 7만5천명의 생명지킴이 실천활동 활성화와 공동체경험을 통해 주민참여형 자살예방사업을 지속적으로 전개 2. 자살 다발지역에 대한 전략적 접근 및 대책 필요 ?지난 5년간 (2013-2017) 25개구 동 가운데 5건 이상 자살사망사건이 발생한 다발지역은 106개동(25.9%)로 전체 행정동의 1/4이 해당됨. ?서울시 “자살 다발 발생지역(Hot Spot)”이 구마다 존재하므로, 자살발생지역 관리를 위한 중점대책이 필요함. 자살고위험 주민과 취약집단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접근방식 개선, 유가족 대상 시의적절한 정보제공과 지원 등 연쇄적 자살사망을 예방하고 맞춤형 고위험 관리체계를 운영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함. 3. 지역맞춤형 개입에 대한 선택적 전략 계획 마련 ?지난 5년간(2013-2017) 노원구, 강서구, 강남구순으로 총사망자수가 높게 나타났고 영등포구, 금천구, 용산구 순으로 자살률이 높게 나타나는 등 자치구별 자살률 격차가 발생되어 옴. ?자살사망의 특징과 수단별 특성을 파악하고자 소지역분석인 군집화를 통한 권역별 분석을 시도하여 도심권, 동북권(가), 동북권(나), 서북권, 서남권(가), 서남권(나), 동남권으로 권역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권역별 생애주기·성별·자살수단·혼인·교육 등의 자살현황이 서울시 평균과 차이가 있었음. ?이처럼, 근거에 기반한 자치구별 자살예방사업을 시행하기 위해 자치구 특성을 반영한 서울시만의 자살현황 분석을 추진하여 효과적인 사업수행의 근간으로 삼음. ?익사호발(용산구, 광진구, 영등포구), 투신호발(도봉구, 노원구) 등 자치구별 호발자살수단의 현황적 접근을 통해 자치구별 특화사업으로 추진될 수 있는 지원을 마련 4. 자살의 계절성 ?지난 5년간 서울시 자살경향은 봄 피크 현상을 보여, 봄철(3-5월)에 자살사망자수는 크게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성별과 연령을 크게 구분하지 않는 보편적인 현상으로 보임. ?자살의 계절성인 봄피크 현상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자살예방 전략이 기간별로 집중화될 필요가 있으며, 이 같은 현상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원인을 분석한 접근이 요망됨. Ⅲ 추진 방향과 전략 ? 서울시 자살예방사업의 추진 방향과 전략, 중점 추진과제 비전 “시민모두가 서로의 생명을 돌보고, 지키는” 『생명돌봄도시, 서울』 중장기목표 2018년 자살자수 2,067명 자살률 21.3명 (2017 사망원인통계) 2020년까지 자살률20명 미만 2023년 자살자수 1,670명 자살률 17.5명 지 향 가 치 생명 지킴 + 생명 살림 + 생명 돌봄 ?? 생명을 보호하는 안전한 공동체 ?? 생명의 호소에 귀 기울이는 서비스 ?? 생명을 살리는 서울시민 ?? 생명이 약동하는 생명의 도시, 서울 전 략 생명사랑 거버넌스 실천체계 및 자살예방 환경조성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지역사회 생명사랑 추진기반 강화 중점추진과제 1. 자살관련사회인식개선 - 계절성 고려 자살예방 캠페인 - 생명존중문화 확산 국제 심포지엄 - 자살보도 모니터링 강화 2.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 자살중저위험군 개입능력 강화 복지기관 중심 IAPT 프로그램 적용 - 지역사회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 고립 및 고독자 자살예방 지원 - 주거 취약계층 생명사랑 환경조성 서비스디자인 접근 프로젝트 - 자살위기평가 및 개입에 대한 교육 및 사례 자문 강화 3. 자살위험 환경 개선 - 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교육 및 실천활동 강화(번개탄, 숙박업소) 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대책 - 학생 자살예방 콘텐츠 제공, 교사용 지킴이교육 강화 - 학교밖 청소년 자살예방 체계 강화 - 대학, 직장, 청중장년 대상 심리지원 프로그램 보급 - 중장년 남성 자살예방 강화 - 생명지킴활동가 양성 강화로 노인 자살위험군 발굴 강화 2. 자살고위험군 지지체계 강화 - 자살유족 서비스 유입 활성화 및 서비스 지원 확대 - 자살유족 멘토양성 및 활동 지원 - 생명이음 청진기사업 활성화 - 신체, 정신질환 대상자 자살예방 3. 자살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 위기대응 협력체계 강화 - 1577-0199 상담 서비스 질 향상 - 서비스디자인 적용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시스템 강화 1. 지역사회 자살대응 역량강화 - 종교계 협력 살사프로젝트 강화 - 시민참여형 마을공동체 자살예방 체계 마련(마음건강주민교육단) - 보건소 및 1차 의료기관 중심 우울 및 자살 스크리닝 강화 2. 정신건강인프라 확충 - 지역사회-정신건강기관 간 의뢰체계 활성화 - 자살예방 전담인력 전문성 강화 및 기술 지원 3. 생명지킴이 교육 및 자살예방인력 확충 - 생명지킴이 양성 및 관리 활성화 - 생명지킴이 활성화 위한 생명존중시민활동가 조직화 - 단계별 자살예방 전문교육 운영 4.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구축 - 자살사망자 현황 및 빅데이터 분석 통한 근거 마련 : KOSIS, MDIS, 국가자살동향시스템 Ⅳ 추진 체계 ? 추진체계 【서울시자살예방 추진 체계도】 ? 자살예방위원회(서울시 정신보건심의위원회) 구 분 이 름 소 속 직 위 연락처 위원장 나 시민건강국 국 장 ☎ 02-2133-7500 부위원장 이 도봉구정신건강증진센터 센터장 ☎ 02-970-8604 위원 남 시립은평병원 병원장 ☎ 02-300-8001 위원 염 공익인권법재단 변호사 ☎ 02-3675-7740 위원 손 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 센터장 ☎ 02-3444-9934 위원 양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교 수 ☎ 02-2258-1062 위원 김 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 사무총장 HP) 위원 황 구로구보건소 보건소장 ☎ 860-3328 위원 주 남서울대학교간호학과 교 수 ☎ 041-580-2714 위원 손 돌봄사랑채 서울시사회복귀시설협회회장 ☎ 02-3409-9444 위원 서 성공회대 사회복지학과 교 수 HP) 위원 정 사회건강연구소 소 장 ☎ 02-6401-9082 위원 서 한별정신건강병원 진료원장(정신과의사) ☎ 031-986-9900 위원 김 한국정신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 장 ☎ 02-878-9968 간사 박 시민건강국 보건의료정책과 과 장 ☎ 02-2133-7505 ? 주요 추진 인력 소속 직위 이름 역할 연락처 보건의료 정책과 과장 박유미 서울시 자살예방사업 총괄 02-2133-7505 팀장 김승혜 서울시 자살예방사업 책임 02-2133-7544 주무관 김성주 서울시 자살예방사업 담당 02-2133-7547 주무관 민영란 서울시민 힐링프로젝트 운영 02-2133-7549 25개 자치구 주무관 조우리 외 24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수행 02-2148-3602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센터장 외 김현수 외 32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운영 02-3458-1000 생명문화버스 팀장 이명수 생명문화버스 사업 02-2276-7767 공감인 대표 하호열 서울시민 힐링프로젝트(누구에게나 엄마가 필요하다) 02-557-0853 ? 유관기관 소속 직위 이름 역할 연락처 서울지방경찰청 경위 조 자살예방사업 연계 담당 02-700-2381 서울은평병원 원장 남 자살의시도자 응급개임 총괄 02-300-8114 소방재난본부 주무관 박 한강교량에서의 자살현황 등 02-3706-1421 서울시교육청 주무관 강 자살시도청소년 연계담당 02-3999-352 조계종 팀장 이 조계종 살(자)사(랑하자) 프로젝트 원불교 센터장 정 원불교 살(자)사(랑하자) 프로젝트 070-7576-4438 천주교 팀장 홍 천주교 살(자)사(랑하자) 프로젝트 02-318-3079 개신교 사무총장 장 개신교 살(자)사(랑하자) 프로젝트 (사)시니어희망공동체 대표 송 1인가구 지원 02-2055-1245 SH서울주택도시공사 부장 신 취약지역중심 자살예방사업 운영 02-3410-7241 서울대보건대학원 교수 김 자살통계 및 보건역학 협력 Ⅴ 중장기 계획 및 전년도 사업 평가 1 중장기 계획 및 연도별 추진 목표 과제목록 주요성과목표 연도별 추진일정 ’16 ’17 ’18 ’19 ’20 범사회적 자살예방환경 조성 1. 자살 관련 사회인식 개선 생명존중문화 조성 자살예방 홍보강화 [변경] 자살예방상담서비스인지율 - - 서울시 자살예방상담 서비스인지율 (지표생성) [이전] 상담서비스 이용의향률 71.8% 82.5% 85% 자살관련 언론보도 개선 [변경] 자살예방 언론보도 활동실적 - 1.3% 4.1% 152건 전년대비 3% ↑ 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자살예방 사회복지안전망 강화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지역사회 자원 간 연계율 - - 21.7% 88% 90% 범부처 자살예방 협력체계 구축 [변경] 협력부처 교육 및 자문 건수 - - - 119회 7,277명 전년대비 5% ↑ [이전] 자살예방위원회의 달성률 42% 50% 66% 70% 3. 자살위험 환경 개선 자살수단의 접근성 차단 [변경] 수단차단을 위한 교육 및 실천활동 - - 3,128건 3,321건 500건 [이전] 일산화탄소 투신 사망자수 5% 감소 694명 632명 619명 온라인상 자살유해정보 차단 강화 자살유해정보 차단 관련 교육 참여 인원 수 - - 250명 342명 400명 [이전] 유해정보차단 조례 제정률 30.8% 32% 35% 35% 40% ②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4.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아동·청소년 자살예방 [변경] 아동청소년 관련기관 생명지킴이 교육 양성자수 - 2,135명 전년대비 5% ↑ [이전] 아동청소년 자살률 4.1명 5.5명 5.5명 5.5명 - 청년·중장년층 자살예방 [변경] 청년?중장년층 생명지킴이 교육 양성자수 - 6,709명 전년대비 5% ↑ [이전] 청년 중장년층 자살률 23.5명 24.1명 22.2명 22.2명 - 노인 자살예방 [변경] 생명지킴활동가 노인 참여율 - 36.2% 40% [이전] 노인자살률 53.1명 45.2명 39.6명 39.6명 - 5. 자살 고위험군 지지체계 강화 자살고위험군 대상별 자살예방대책 추진 [변경] 고위험군 상담건수 - - - 36,054건 전년대비 4% ↑ [이전] 자살유족 서비스 이용의향률 41.7% 65%(17넌) 자살유족서비스 이용의향률 (지표생성) [이전] 신체정신자살상담건수 21,202건 23,098건 26,285건 25,200건 전년대비3% ↑ 6.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변경] 위기대응건수 - - - 624건 전년대비3% ↑ [이전] 자살상담증감율 - 68.2%↑ 12.0%↑ 5.2%↓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체계 마련 응급실 의뢰 자살시도자 연계 실인원수 463명 554명 511명 429명 전년대비3% ↑ ③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7. 지역사회 자살 대응 역량 강화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변경] 살사프로젝트 참여기관 생명존중활동 건수 11개구(44%) 15개구(60%) 16개구(64%) 232건 전년대비 5% ↑ 마을단위 <안전한 마을공동체모델사업>개발확산 -생명존중 주민참여 조직화 - - - 91개 주민모임 70개 주민모임 1차 의료기관 자살예방 역량 강화 [변경] 1차의료기관 (보건소포함)진료대상자의 PHQ-9 검사 건수 48,411명 전년대비 5%↑ [이전] 1차 의료기관 자살예방역량강화 7기관 13기관 35기관 - - 8. 정신건강 인프라 강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연계기관 고위험군 의뢰건수 - - 3,060건 3,181건 전년대비1.5%↑ 공공정신건강서비스 기능 확대 실무자 역량강화 교육 - - 3건/100명 10건/380명 전년대비 1.5%↑ 9. 생명지킴이 교육 등 자살예방 인력 확충 생명지킴이 양성 확대 생명지킴이교육 이수자수 - 12,000명 15,481명 27,448명 전년대비 2.5%↑ 전문가 교육 강화 [변경] 전문가 자살예방교육 이수자 수 - 22.3% 20% 476명 250명 10. 근거 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자살추적관찰체계 구축 자살통계데이터분석 - 1건 2건 6건 6건 [이전] 자살실태현황분석 - 1건 1건 1건 - [이전] 연구사업 1 2 1 2건 - 사업범주 세부사업명 주요 내용 목표 결과 자체 평가 개선 방향 자살 관련 사회인식 개선 생명존중문화 조성 자살예방 홍보강화 - 자살예방, 자살유족 시민 인식개선 - 자살예방, 자살유족 서비스 이용향상 상담서비스인지율 (지표생성) 82.5% (달성) - 시민대상 인식개선캠페인, 국제 심포지엄 등 시민 인식개선 기여 - 대상별 홍보전략 수립통한 서비스 이용 향상 확대 자살 관련 언론보도 개선 - 자살보도 모니터링 강화 - 자살예방 미디어 협력강화 자살예방 언론보도 활동 실적 152건 (달성) 자살유해정보·언론의 자살관련 보도 개선을 통한 자살에 대한 부정적 영향 감소 언론보도 활동 활성화 위한 자치구별 생명지킴활동가 활동 강화 자살 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자살예방 사회복지 안전망 강화 - 지역사회 통합적 사례관리 서비스 -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지역사회 자원 간 연계율 88% (미달성) 사각지대 자살고위험군 발굴 위한 유관기관 회의 및 연계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강화 위한 지속적 교육 욕구에 따른 연계 활성화 범부처 자살예방 협력체계 구축 - 자살위기평가 및 개입에 대한 교육 및 사례자문 협력부처 교육 및 자문건수 119회 7,277명 (달성) 25개 자치구 및 지역사회 유관기관 대상 사례자문 및 교육지원 자살예방 협력체계 구축 유지 및 조직 강화 필요 자살위험 환경 개선 자살수단의 접근성 차단 -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 자살위험 환경 개선 수단차단을 위한 교육 및 실천활동 3,321건 (달성) 자살수단 판매,구입단계의 게이트키핑 참여 업소 증가 적극적 게이트키핑 활동 독려를 위한 판매소 모니터링 강화 필요 온라인상의 자살유해정보 차단 강화 - 자치구 중심의 유해정보차단 체계 구축 자살유해정보 차단 관련 교육 및 활동 342명 (미달성) 유해정보차단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지원 지속 자치구 주도의 자살보도 모니터링 강화 생애주기별 자살예방대책 추진 아동·청소년 자살예방 - 학교 자살예방대책 내실화 - 학교 밖 청소년 자살예방 체계강화 아동청소년 관련기관 생명지킴이 교육양성자 수 2,135명 (달성) 학교기반 자살(자해)시도 청소년 안전망 구축 - 학교 내 자살시도자 개입 확대 - 교사 생명지킴이 양성 확대 청년·중장년층 자살예방 - 대학 내 자살예방사업 - 직장 내 자살위기 대응 역량강화사업 - 자살예방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청년? 중장년층 생명지킴이 교육 실시 6,709명 (달성) 청장년층 자살위험군 조기발견체계 활성화 취약 청장년층 정신건강 관리 및 단기 서비스 접근성 향상 자살위험군 조기발견 및 개입 유지 노인 자살예방 노인 생명존중 인식개선 활성화 - 노인 자살예방 인프라 및 네트워크 구축 - 노인 자살고위험군 서비스 연계 생명지킴 활동가 노인참여율 36.2% (달성) 생명지킴활동가 교육 등을 통한 조기개입과 정신건강서비스 연계 노인 생명지킴활동가를 통한 서비스 유입 활성화 자살 고위험군 지지체계 강화 자살고위험군 대상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 자살 유족 지원 - 신체·정신 자살상담 고위험군 상담건수 36,054건 (달성) 지역사회유관기관과 의뢰체계를 구축하여 원활한 협력시스템 마련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을 위한 유관기관 인식개선 및 관련교육, 간담회 필요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 체계 마련 24시간 자살 위기대응체계 구축 - 자살위기전화 인프라 강화 - 긴급출동 연계체계 마련 위기대응 건수 780건 (달성) 24시간 위기상담 전담팀 운영 응급개입체계 유지 - 위기대응체계유지 - 경찰 등 공공체계 확대 자살시도자 사후 관리체계 마련 - 응급실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응급실 의뢰 자살시도자 실인원수 429명 (달성)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 사후관리를 통한 재시도 방지 노력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활성화 필요 지역사회 자살 대응 역량 강화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 자치구 중심 지역자살예방 안전망 구축 - 종교계와 함께하는 살사 프로젝트 살사 프로젝트 참여 기관 생명존중 활동 232건 (달성) 자치구 내 살사프로젝트 사업 확대 살사프로젝트 사업 성과 연구 필요 - 고위험군 발굴 위한 마을지원 유관기관 연계 - 생명존중 주민참여 조직화 생명존중 주민참여 조직화 91개 지역사회 기반 주민참여를 통한 마을정신건강 안전망 구축 생명존중 주민참여 조직 내실화 1차 의료기관의 자살예방 역량 강화 - 1차 의료기관 스크리닝(보건소포함) 강화 통한 고위험군 조기발견 및 조기치료 강화(생명이음청진기) PHQ-9 검진건수 48,411명 (달성) 보건소내에서 고위험군 발굴 노력 보건소뿐만 아니라 1차의료기관으로 확대 정신건강 인프라 강화 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 병원·센터 간 의뢰체계 활성화 - 정신질환자 응급개입 체계강화 연계기관 고위험 의뢰건수 3,181건 (달성) - 유관기관을 포함한 서비스 전달 체계 확대를 위한 노력 - 지속적인 협의체 유지 및 유관기관 협력 확대 공공 정신건강 서비스 기능 확대 - 지역사회 자살예방사업 전담인력 전문성 향상 -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환경조성 실무자 역량강화 교육 10건/ 380명 (달성) - 공공 정신건강서비스 기능 확대 - 지역사회 자살예방사업 전담인력 전문성 강화 생명지킴이 교육 등 자살예방 인력 확충 생명지킴이 양성 확대 - 생명지킴이 양성체계 강화 - 생명지킴이 관리체계 활성화 - 시민활동가 조직화 및 재구성 생명지킴이교육 이수자수 27,448명 (달성) - 보건복지 현장을 통한 고위험군 발굴 확대 - 다층적 생명지킴이 양성 확대 필요 전문가 교육 강화 - 자살예방응급요원 과정 의무화 - 자살예방·유족 전문가 양성 전문가 자살예방 교육 이수자 476명 (달성) - 자살예방 실무자 전문성 확대 필요 - 자치구자살예방실무자 전문가 교육 개정 근거 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자살 추적관찰 체계구축 - 자살통계데이터분석 분석 6건 6건 (달성) - 서울시 5개년 자살사망현황 및 ‘18년 데이터 분석 통해 자살예방사업의 근거마련에 기여 시의성 있는 통계분석을 통해 자치구 맞춤형 데이터 제공 및 활용 지원 필요 2 전년도 사업평가 및 개선방향 Ⅵ 세부사업 계획 1 세부사업 개요 사업범주 세부사업명 주요 내용 성과목표 1. 자살 관련 사회인식개선 1-1.생명존중문화 조성 및 자살예방 홍보 강화 ?생명존중문화조성 자살예방 다각적 홍보 강화 서울시자살예방상담서비스 인지율(생성지표) 1-2.자살관련 언론보도 개선 ?자살보도 모니터링 강화,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강화 자살예방 언론보도 활동실적 157건 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2-3.자살예방 사회복지안전망 강화 ?지역사회 IAPT 통합적 상담관리서비스 프로그램개발,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자살고위험군 지역사회 자원간 연계율 90% 2-4.범부처 자살예방 협력체계 구축 ?자살위기평가 및 개입에 대한 교육 및 사례자문, MOU 등 다양한 기관별 협력체계 강화 협력부터 교육 및 자문 건수 125회 3. 자살위험 환경 개선 3-5.자살수단의 접근성 차단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위한 실천활동, 자살수단 판매처 또는 인근 종사자 대상 자살예방 교육 및 간담회 수단차단을 위한 교육 및 실천활동 3,321건 3-6.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강화 ?자살유해정보 차단 가이드라인 홍보물 배포, 자살유해정보 차단 교육 자살유해정보차단관련 교육참여인원 400명 4, 생애주기별 자살예방대책 추진 4-7.아동·청소년 자살예방 ?학교자살예방대책 내실화, 학교밖청소년 자살예방 체계 강화 아동·청소년기관 생명지킴이 교육 양성자 수 2,242명 4-8.청년·중장년층 자살예방 ?대학 내 자살예방사업, 직장내 자살위기대응 역량강화사업 ?청중장년 심리지원, 우울증 단기개입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지원 청년, 중장년층 생명지킴이 교육 7,044명 4-9.노인 자살예방 ?노인 생명존중 인식개선 활성화, 자살예방인프라 및 네트워크 구축, 노인 자살고위험군 서비스 연계 강화 생명지킴 활동가 교육 시 노인 참여율 40% 5. 자살 고위험군 지지체계 강화 5-10.자살고위험군 대상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자살유족 지원사업 (애도상담, 유족모임, 회복캠프, 마음공간서비스 운영), 자살유족 멘토 양성, 자살사망 사후중재 ?정신의료기관, 정신재활시설, 정신요양시설 대상 생명지킴이 교육 지원, 정신·신체 자살상담 고위험군 상담건수 37,496건 6. 자살 위기대응 및 사회관리체계 마련 6-11.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자살위기상담전화, 응급출동, 마음이음상담서비스 질 향상 위기대응건수 643건 6-12.자살시도자 사후관리체계 마련 ?응급실 및 의료기관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자살시도자 위기개입 및 사후관리 시스템 내실화 응급실 의뢰 자살시도자 연계 실인원 수 442명 7. 지역사회 자살 대응 역량 강화 7-13.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종교계와 함께 하는 살사 프로젝트(자치구 중심 지역자살예방 안전망 구축, 살사프로젝트 지역 활성화) ?지역특성 마을공동체 안전망 구축(고위험군 발굴 위한 마을지원 유관 기관 연계,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운영 지원) 살사프로젝트 참여기관 생명존중활동 244건, 70개 주민모임 조직화 7-14.1차 의료기관 자살예방 역량 강화 ?보건소 이용 대상자 중심 우울증 및 자살 위험 스크리닝 강화 ?지역사회 의료기관 위험군 발굴체계 강화 1차 의료기관(보건소 포함) 진료대상자의 PHQ-9 검사건수 50,832건 8. 정신건강 인프라 강화 8-15.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지역사회기관·정신건강유관기관 간 의뢰체계 활성화 연계기관 고위험군 의뢰건수 3,308건 8-16.공공 정신건강서비스 기능 확대 ?보건소 자살예방사업 전담 인력 확충, 전담인력 전문성 향상,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월례포럼 운영 역량강화교육건수 10건 9. 생명지킴이 교육 등 자살예방 인력 확충 9-17.생명지킴이 양성 ?생명지킴이 양성체계 강화, 생명지킴이 관리체계 활성화, 시민활동가 조직화 및 재구성 생명지킴이 이수자 수 28,134명 9-18.전문가 교육 강화 ?자살예방응급요원교육 과정 의무화, 자살예방 실무자 역량강화교육, 자살예방 실무자 외상 회복 지원 자살예방 교육 이수자 250명 10.근거 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10-19.자살 추적관찰 체계구축 ?서울시 자치구별 자살사망 현황 분석 및 다양한 인프라를 활용한 빅 데이터 분석 자살통계데이터분석 6건 2 세부사업 계획 1-. 생명존중문화 조성 및 자살예방 홍보강화 사업 현황 ○ 서울시는 자살예방에 관한 사회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지자체로써 생명존중문화조성(홍보마케팅, 캠페인 등)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옴. ○ ‘마음이음1080’ 브랜드 인지율은 3.3%, 서울시 마음이음상담서비스(1577-0199)에 대한 인지율은 28.1%로 자살예방사업에 대한 홍보강화 노력이 요구됨 ※ 서울시민 자살예방 인식도조사, 2017 사업 목적 ○ 다양한 계층에 대한 자살예방 홍보 콘텐츠 개발을 통해 서울시민의 서비스 인지율 향상 사업 개요 ○ 사업 기간 : 연중 ○ 사업 대상 : 서울시민·유관기관 등 ○ 주요 내용 ▷ 자살예방 시민 인식개선 및 서비스 인지율 향상 - 생애주기별 주요문제 및 취약계층 타켓팅, “자살은 예방이 가능하다.”는 인식변화유도 - 자살예방 캠페인(예 : 봄 자살 예방 캠페인, 언론사 공동 캠페인 등) - 온·오프라인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홍보 - 생명존중문화 확산을 위한 강좌·자살예방 국제 심포지엄 개최 - ‘마음이음1080’ 자살예방브랜드 활용 마케팅 및 홍보물 제작·배포 - 자살예방관련 언론보도 및 취재협조 - 자살예방연극, 생명존중콘서트 추진(민간공모사업) ○ 사업 추진 체계 성과 목표 및 평가 방법 ○ 목 표 : 서울시 자살예방상담서비스 인지율(지표생성) ○ 평가방법 : 지표생성 ※(관련 설문에 ‘서비스를 알고 있다.’ 라고 대답한 수/조사대상자)100 <생명존중문화조성 자살예방 홍보강화> 세부 사업명 생명존중문화조성 자살예방 홍보강화 기간 연중 대상 서울시민, 자살고위험군, 자살유족,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등 주요 내용 - 연령대별 취약계층에 대한 홍보 - 온·오프라인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홍보, 홍보물 제작·배포 - 코로나19 관련 우울 및 자살예방 캠페인, 자살예방국제심포지엄 등 - 자살예방관련 언론보도 및 취재협조 목적 및 기대효과 다양한 계층에 대한 자살예방 홍보 콘텐츠 개발을 통해 서울시민의 서비스 인지율 향상 성과 목표 - (변경지표) 자살예방서비스 인지율(지표생성) - (이전지표) 상담서비스 이용 의향률 85% 평가방법 지표생성 추진 체계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1-.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사업 현황 ○ 2018년 중앙자살예방센터 ‘자살보도 권고기준 3.0’ 발표에 따라 올바른 자살보도에 대한 기준이 제시됨에 따라 언론보도·유해정보의 모니터링 필요 ○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를 통해 모방자살 및 자살방법 확산을 예방하고 생명존중문화 조성에 기여 사업 목적 ○ 자살에 대한 부정적 영향 감소를 위해 자살유해정보·언론의 자살관련 보도 개선 사업 개요 ○ 사업 기간 : 연중 ○ 사업 대상 : 보도매체, 미디어, 자살예방 관련 행정기관, 정책입안 기관 등 ○ 주요 내용 ▷ 자살보도 모니터링 - 각 자치구에서 발생하는 자살사망사건 기사에 대해 언론사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 여부 모니터링 및 언론사 피드백 - ‘자살보도권고기준 3.0’ 개선 및 준수 유도로 자살 부정적 영향 보도 최소화 ▷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 ‘자살보도권고기준 3.0’ 준수를 위한 집중 캠페인 - 인터넷 포털·방송국·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 시 자살상담전화 등 안내 - 지역언론대상 자살보도 권고기준 보급 및 교육, 간담회 등 ○ 사업 추진 체계 성과 목표 및 평가 방법 ○ 목 표 : 자살예방 언론보도 활동실적 건수 전년대비 3% 증가 ○ 평가방법 : 자체조사(자치구 월별 자살예방사업 실적) <자살관련 언론보도 개선> 세부 사업명 자살관련 언론보도 개선 기간 연중 대상 보도매체, 미디어, 자살예방 관련 행정기관, 정책입안 기관 등 주요 내용 - 자치구 자살사망사건 보도에 대한 ‘자살보도권고기준 3.0’ 준수여부 모니터링 및 언론사 피드백 - ‘자살보도권고기준 3.0’ 준수를 위한 집중 캠페인 및 미디어 협력 (협약, 시상, 간담회 등) 목적 및 기대효과 자살에 대한 부정적 영향 감소를 위해 자살유해정보·언론의 자살관련 보도 개선 성과 목표 (변경지표) 자살예방 언론보도 활동실적 전년대비 3% 증가(‘19년 152건) 평가방법 자체조사(자치구 월별 자살예방사업 실적) 추진 체계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전략사업팀 2-. 자살예방 사회복지안전망 강화 사업 현황 ○ 성인의 우울감과 자살충동 경험분석 연구에서 우울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자살충동 비율이 5.9배 높게 나타남(보건복지부 자살예방백서, 2018) ○ 자살예방국가행동계획에 따라 사회보장서비스제공기관(각종센터)간 연계를 통한 우울감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지원 서비스 요구도 증가 ○ 주민참여를 통해 자치구 특성에 기초한 효과적인 자살예방사업 추진 사업 목적 ○ 위기가정 긴급지원 등 사회안전망 강화, 사회복지·정신건강 연계 통합관리 사업 개요 ○ 사업 기간 : 연중 ○ 사업 대상 : 위기가정, 사회복지 관련 종사자, 공무원, 통합사례관리자, 1인 가구 등 ○ 주요 내용 ▷ 지역사회 IAPT 통합적 상담관리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 우울 및 자살 중저 위험군 개입율 향상을 위한 지역사회 통합적 상담 관리프로그램 개발 - 지역사회(주민센터,복지관,정신건강복지센터)와의 협업을 통한 자살고위험군 발굴 및 심리지원 서비스제공 ▷ 지역사회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연계 강화 -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연계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상황적자살고위험군 유입을 사전에 예방 (주소득자 사망?휴폐업?실직, 질병·부상, 가정폭력·성폭력 등 생계유지가 곤란한 가구) ▷ 지역사회 고립 및 고독사 자살예방 지원사업 - 고립 및 고독사 관련 조사 : 문헌연구, 집단심층면접(FGI), 사업방향성 설정 - 고립 및 고독사, 은둔과 우울 대상자 자살예방 네트워크 구축 ▷ 주거 취약계층 생명사랑 환경개선사업 - 서울주택도시공사(SH) 재계약 입주 생명사랑 프로젝트 : SH 직원 대상 생명사랑교육, SH 입주민 대상 생명사랑 콘텐츠 제작 및 보급 - 생명사랑 환경 조성 서비스디자인 접근 프로젝트 ○ 사업 추진 체계 성과 목표 및 평가 방법 ○ 목 표 :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지역사회 자원 간 연계율 90% ○ 평가방법 : 자체조사(자치구 월별 자살예방사업 실적) ※(자살고위험군 자원연계인원 인정건수/전체건수) 100 <자살예방 사회복지안전망 강화> 세부 사업명 자살예방 사회복지안전망 강화 기 간 연중 대 상 위기가정, 사회복지 관련 종사자, 공무원, 통합사례관리자 등 주요 내용 - 지역사회 IAPT통합적 상담관리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 지역사회 안전망 및 자살예방연계강화 - 지역사회 고립 및 고독사 자살예방 지원사업 - 주거 취약계층 생명사랑 환경개선사업 목적 및 기대효과 위기가정 긴급지원 등 사회안전망 강화, 사회복지·정신건강 연계 통합관리 성과 목표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지역사회 자원 간 연계율 90%이상(‘19년 88%) 평가방법 자체조사(자치구 월별 자살예방사업 실적) ※(자살고위험군 자원연계인원 인정건수/전체건수) 100 추진 체계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전략사업팀 2-. 범부처 자살예방 협력체계 구축 사업 현황 ○ 자살예방국가행동계획에 따라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등 자살예방 상담·실무인력에 복지서비스 교육 및 서비스 의뢰 활성화를 통한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빈틈없는 지원 체계 구축 ○ 범부처 협력을 위한 서울형 돌봄자원(찾·동, 돌봄SOS센터 등) 확충에 따른 자살 위기평가 및 개입에 대한 교육과 자문의 필요성 증가 ○ 2018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현장 모니터링 사업 수행 결과 지역사회 위기대응체계 강화를 위한 교육지원 및 사례자문의 필요성 언급 사업 목적 ○ 자살위기 대응협력체계를 통한 고위험군 발굴체계 구축 ○ 적극적인 개입 및 사후관리 강화 사업 개요 ○ 사업 기간 : 연중 ○ 사업 대상 :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서울형 돌봄자원(찾·동, 돌봄 SOS센터 등), 복지관, 주민센터 등 위기개입수행 유관기관 ○ 주요 내용 ▷ 서울시 생명사랑 거버넌스 실천체계 구축 - 서울시 생명사랑 민관 협업-실천전략-작동체계 마련 - 자살예방 책임성 공유 위한 서울시 생명사랑 네트워크 구축 : 신년하례회, 생명사랑 대잔치 등 ▷ 자살위기평가 및 개입에 대한 교육 및 사례 자문 - 유관기관 사례자문 지원, 통합사례회의 진행 - 서울형 돌봄자원(찾·동, 돌봄SOS센터 등), 동주민센터, 복지관을 대상으로 자살고위험군 위기평가 및 개입에 대한 교육 진행 ○ 사업 추진 체계 성과 목표 및 평가 방법 ○ 목 표 : 협력부처 교육 및 자문 건수 전년대비 5% 상승 ○ 평가방법 : 자체조사(자치구 월별 자살예방사업 실적) <범부처 자살예방 협력체계 구축> 세부 사업명 범부처 자살예방 협력체계구축 기 간 연중 대 상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복지관, 서울형 돌봄자원(찾·동, 돌봄SOS센터 등),주민센터 등 주요 내용 - 서울시 생명사랑 네트워크 구축 : 신년하례회, 생명사랑대잔치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을 위한 민·관 협력 MOU 체결 및 회의, 간담회 - 유관기관 사례자문 지원, 통합사례회의 진행 - 서울형 돌봄자원(찾·동, 돌봄SOS센터 등), 동주민센터, 복지관을 대상으로 자살고위험군 위기평가 및 개입에 대한 교육 진행 목적 및 기대효과 자살위기에 대한 대응협력체계를 통한 고위험군 발굴체계 구축과 적극적인 개입 및 사후관리 강화 성과 목표 - (변경지표) 협력부처 교육 및 자문 건수 전년대비 5% 상승(‘19년 119회 7,277명) - (이전지표) 자살예방위원회의 달성률 70% (‘19년 66%) 평가방법 자체조사(자치구 월별 자살예방사업 실적) 추진 체계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3-. 자살수단의 접근성 차단 사업 현황 ○ 일산화탄소 중독은 전체 자살시도 수단 중 3번째로 높게 나타나며, 서울시 전체 자살시도자 중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사망한 자살시도자는 ‘13년 큰 폭으로 증가(16.2%) ○ ‘15년부터 번개탄 판매 개선을 위한 사업 추진 이후 ‘17년 약 11.8%로 4.4%p 감소 사업 목적 ○ 자살수단에 대한 접근 및 구매 기회 제한 강화 ○ 자살수단 판매처 또는 인근 종사자 대상 자살예방 교육 및 캠페인을 통한 인식 개선 도모 사업 개요 ○ 사업 기간 : 연중 ○ 사업 대상 : 관련 업체(숙박업소, 슈퍼마켓 등) 종사자 및 소상공인, 유관기관 및 부처, 서울시 25개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담당자 및 생명지킴활동가 ○ 주요 내용 ▷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 번개탄 유통 시 자살수단 예방관리 강화, 유통·진열 방식 변경 등 접근 기회 제한 - 생명지킴활동가들의 번개탄 판매업소 및 숙박업소 대상 자살예방교육 및 모니터링을 통한 인식개선 도모 - 한국슈퍼마켓협동조합과의 신규 희망판매소 업소 발굴 및 협력체계 강화 - 자살수단화 도구에 자살예방 상담전화 안내 및 위험군 발견시 정신보건시스템 의뢰 위한 희망판매소 대상 자살예방 교육 강화 - 자치구 자살 취약지역(주거 취약지역 등) 관련 종사자 간담회를 통한 지원 강화 ○ 사업 추진 체계 성과 목표 및 평가 방법 ○ 목 표 : 수단차단을 위한 교육 및 실천 활동 500건 ○ 평가방법 : 자체조사(자치구 월별 자살예방사업 실적.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자살수단의 접근성 차단> 세부 사업명 자살수단의 접근성 차단 기 간 연중 대 상 관련 업체(숙박업소, 슈퍼마켓 등) 종사자 및 소상공인, 유관기관 및 부처, 서울시 25개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담당자 및 생명지킴활동 주요 내용 -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강화(유통, 진열방식)를 위한 실천활동(교육, 모니터링 등) - 자살위험 환경 개선을 위한 교육 및 실천활동(간담회, 모니터링 등) 목적 및 기대효과 - 자살수단에 대한 접근 및 구매 기회 제한 강화 - 자살수단 판매처 또는 인근 종사자 대상 자살예방 교육 및 간담회 등 다양한 실천 활동을 촉진 성과 목표 - (변경지표) 수단차단을 위한 교육 및 실천 활동 500건 (‘19년 3,321건) - (이전지표) 일산화탄소 투신 사망자 수 5% 감소 평가방법 자체조사(자치구 월별 자살예방사업 실적,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추진 체계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교육지원팀 3-. 온라인상의 자살유해정보 차단 강화 사업 현황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 개정(2019.1.15.)으로 자살유발정보의 정의 및 자살유발정보예방체계 구축 근거 마련 ○ ‘17년부터 자살유해정보 감시 활동 자치구 이관, ‘18년 준사례관리자(現생명지킴활동가) 유해정보감시단 양성을 통한 시민참여형 모니터링 활동 확대로 유해정보 발견?신고 활성화 사업 목적 ○ 온라인상 자살유해정보의 모니터링 및 신고 체계 활성화를 통해 자살유해정보 노출을 감소시키고 관련 대상자에 대한 정신건강서비스 연계 협력체계 구축 사업 개요 ○ 사업 기간 : 연중 ○ 사업 대상 : 서울시 25개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담당자 및 생명지킴활동가, 온?오프라인 언론사, 경찰서, 포털사이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 ○ 주요 내용 ▷ 자치구 중심의 유해정보차단 체계 구축 - 자살보도 권고기준에 따른 언론보도 모니터링 -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 안내 및 요청, 자살예방 관련 정보 제공 등 - 인터넷 포털, SNS 게재된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신고, 정보제공, 모니터링 ○ 사업 추진 체계 성과 목표 및 평가 방법 ○ 목 표 : 자살유해정보 차단 관련 교육 참여인원 수 400명 ○ 평가방법 : 자체조사(자치구 월별 자살예방사업 실적) <온라인상의 자살유해정보 차단 강화> 세부 사업명 온라인상의 자살유해정보 차단 강화 기 간 연중 대 상 서울시 25개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담당자 및 생명지킴활동가, 온?오프라인 언론사, 경찰서, 포털사이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 주요 내용 - 자살보도 권고기준에 따른 언론보도 모니터링 -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 안내 및 요청, 자살예방 관련 정보 제공 등 - 인터넷 포털, SNS 게재된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신고, 정보제공, 모니터링 목적 및 기대효과 온라인상 자살유해정보의 모니터링 및 신고 체계 활성화를 통해 자살유해정보 노출을 감소시키고 관련 대상자에 대한 정신건강서비스 연계 협력체계 구축 성과 목표 - 자살유해정보 차단 관련 교육 참여인원 수 400명 (‘19년 342명) - (이전지표) 유해정보차단 조례 제정률 40% (‘19년 35%) 평가방법 자체조사(자살예방사업 실적 취합) 추진 체계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교육지원팀 4-. 아동청소년 자살예방 사업 현황 ○ `18년 10대 사망 원인 중 1위 자살(통계청), 청소년 자살로 유사 자살사건 반복 발생(베르테르 증후군), SNS로 자해·자살시도 인증사진 확산 등 사회적 이슈화 되고 있음 ○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를?통한?위기학생?조기발견,?전문기관?연계,?학교별?자살예방교육 실시(연 4시간 이상) ○ ‘18년 교육청에서 교사대상 자살예방교육 및 생명지킴이양성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서울시는 ’18년 ‘교사를 위한 생명지킴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2019년 기준 2,135명의 아동·청소년 생명지킴이를 양성함. 사업 목적 ○ 아동청소년 자살로 인한 사회적 혼란 최소화 위한 관련기관과 협력체계 강화 사업 개요 ○ 사업 기간 : 연중 ○ 사업 대상 : 서울시교육청, 학교(교직원, 학생), 아동청소년 서비스 기관 등 ○ 주요 내용 ▷ 학교 자살예방대책 내실화 - 학생의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 및 콘텐츠 제공 - 학교 교직원 대상 생명지킴이 교육 - 학생 대상 생명존중교육 개발 및 배포 ▷ 학교 밖 청소년 자살예방 체계 강화(자치구) - 자치구내 청소년 관련 기관과의 고위험군 협력 및 의뢰 체계 강화 (보건소와 청소년 쉼터, 청소년 상담기관, 대안 학교 등 업무협력 MOU 체결) -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대상 생명지킴이 교육 ▷ 학교로 찾아가는 생명존중 체험프로그램 “생명문화버스” 운영(민간공모사업) ○ 사업 추진 체계 성과 목표 및 평가 방법 ○ 목 표 : 아동·청소년 관련 기관 생명지킴이 교육 양성자 수 전년대비 5% 증가 ○ 평가방법 : 자체조사(생명지킴이 온라인 관리시스템 등록 회원 수 분석) <아동청소년의 자살예방> 세부 사업명 아동청소년의 자살예방사업 기 간 연중 대 상 서울시교육청, 학교(교직원, 학생), 아동청소년 서비스 기관 등 주요 내용 - 학교 자살예방대책 내실화 - 학교 밖 청소년 자살예방 체계 강화 목적 및 기대효과 아동청소년 자살로 인한 사회적 혼란 최소화 위한 관련기관과 협력체계 강화 성과 목표 아동·청소년 관련 기관 생명지킴이 교육 양성자 수 전년대비 5% 증가 (‘19년 2,135명) 평가방법 생명지킴이 온라인 관리 시스템 등록 회원 수 분석 추진 체계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교육지원팀 4-. 청년·중장년층 자살예방 사업 현황 ○ `18년 10대(5.6%), 20대(17.6%), 30대(27.5%), 60대(32.9%) 자살률이 전년 대비 증가함. 유관기관과 협력활동 외 대상 및 특성에 맞는 교육 개발의 필요(통계청, 2018) ○ 전국?57개?고용센터에서?실직자?구직자?대상?심리지원?서비스?제공(’18년?52천회?상담?실시) 사업 목적 ○ 다층적 개입 방안을 통한 청년·중장년층 자살위험군 조기 발견·개입 체계 마련 사업 개요 ○ 사업 기간 : 연중 ○ 사업 대상 : 서울시민, 대학교, 취업관련기관, 관련단체, 의료기관 등 ○ 주요 내용 ▷ 대학 내 자살예방사업 - 교수·직원, 대학생 대상 자살예방교육·생명지킴이 교육 - 대학교 내 상담기관과의 업무협력 및 고위험군 의뢰체계 강화방안 ▷ 직장 내 자살위기 대응 역량 강화사업 - 사업장 관리자, 직원 대상 자살예방교육·생명지킴이 교육 ▷ 자살예방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 자치구 내 청?중장년 대상 심리지원 프로그램 보급?지원 - 단기개입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지원(우울증 SBIRT:선별검사와 단기개입, 정신건강 힐링 프로그램 등) - 중장년 대상 힐링프로젝트(누구에게나 엄마가 필요하다) 추진 ▷ 중장년 남성 자살예방사업 - 중장년 남성 생명존중 컨텐츠 개발 및 보급, 자살예방 세미나 추진 - 코로나19 관련 실직자 대상 심리지원단 운영 : 고용복지플러스센터와 연계하여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추진 - 중장년 실직, 파산, 주거 고위험군 접근 네트워크 구축 ○ 사업 추진 체계 성과 목표 및 평가 방법 ○ 목 표 : 청년?중장년층 생명지킴이 교육 양성자수 전년대비 5% 증가 ○ 평가방법 : 자체조사(생명지킴이 온라인 관리시스템 등록 회원 수 분석) <청년?중장년층 자살예방> 세부 사업명 청장년층의 자살예방사업 기 간 연중 대 상 서울시민, 대학교, 취업관련기관, 관련단체, 의료기관, 청·장년관련 유관기관 등 주요 내용 - 대학 내 자살예방사업 - 직장 내 자살위기 대응 역량 강화사업 - 자살예방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목적 및 기대효과 다층적 개입 방안을 통한 청년·중장년층 자살위험군 조기 발견·개입 체계 마련 성과 목표 -[변경지표] 청년?중장년층 생명지킴이 교육 양성자수 전년대비 5% 증가 (‘19년 6,709명) 평가방법 자체 시스템 조사 추진 체계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전략사업팀, 교육지원팀 4-. 노인 자살예방 사업 현황 ○ 보건복지부의 1·2차 자살예방 종합대책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지원강화 대책”에 맞춰 서울시는 노인서비스 종사자 교육·네트워크 강화,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활성화를 체계적으로 구축함. ○ 독거노인 친구만들기 사업 확대(‘18년 5천명 → ’19년 7천명), 독거노인 돌봄 제공인력 활용 고위험군 스크리닝 및 서비스 연계 ※ 가족·이웃 등과 접촉이 없어 고독사 및 자살위험이 높은 독거노인 대상 친구 만들기, 우울증 치료·상담 프로그램, 자조모임 등 서비스 제공 사업 목적 ○ 취약 노인 자살 위험군 조기 발견 및 개입을 위한 협력체계 마련 사업 개요 ○ 사업 기간 : 연중 ○ 사업 대상 : 노인, 노인복지서비스 기관, 노인관련 기관 및 단체 등 ○ 주요 내용 ▷ 노인 자살예방 인프라 및 네트워크 구축 - 노인 자살위험군의 발굴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한 생명지킴활동가 양성 활성화 및 활동 지원 -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기관 및 단체에게 생명지킴이(생명지킴이) 교육 실시 - 생명사랑 주민(생명지킴활동가 및 생명지킴이)의 동아리 조성, 조직화 활동 지원 - 노인 대상 힐링프로젝트(어르신공감단) 운영 - 노인 보건복지서비스 지원 활성화를 위한 교육 및 정보 제공 ▷ 노인 자살고위험군 서비스 연계 및 코로나19 우울예방 심리지원단 운영 - 노인 정신건강 위험군 스크리닝(청진기사업), 치료·심리지원, 통함사례관리 지원 ○ 사업 추진 체계 성과 목표 및 평가 방법 ○ 목 표 : 생명지킴활동가 교육시 노인(65세 이상) 참여율 40% ○ 평가방법 : 자체조사 <어르신 자살예방사업> 세부 사업명 어르신 자살예방사업 기 간 연중 대 상 노인, 노인 보건복지서비스 기관, 노인 관련 기관 및 단체 등 주요 내용 - 노인 자살예방 인프라 및 네트워크 구축 - 노인 자살고위험군 서비스 연계 및 코로나19 우울관련 심리지원단 운영 목적 및 기대효과 취약 노인 자살위험군 조기 발견 및 개입을 위한 협력체계 마련 성과 목표 - 생명지킴활동가 교육시 노인(65세 이상) 참여율 40% (‘19년 35%) 평가방법 자체조사 추진 체계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전략사업팀, 교육지원팀 5-. 자살고위험군 대상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사업 현황 ○ 자살유족의 43.1%가 자살을 생각해 본 경험이 있으며, 자살생각자의 50.1%, 자살계획자의 68.7%, 자살시도자의 75.1%가 평생 한 번 이상 정신장애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남 (정신질환 실태조사, 자살유가족실태조사, 2016) ○ 자살고위험군의 상담유입 및 서비스 이용이 전년대비 약 13% 증가함에 따라 서비스의 다양화 및 자살고위험군 유입 활성화를 위한 체계 마련 필요 사업 목적 ○ 자살유족 및 신체·정신질환자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전략 수립 사업 개요 ○ 사업 기간 : 연중 ○ 사업 대상 : 자살유족, 자살사망 경험있는 학교·기업, 정신질환자, 만성신체질환자, 취약계층 등 자살고위험군 ○ 주요 내용 ▷ 자살유족지원 - 자살유족 서비스 유입 활성화 및 자살유족의 사회 인식개선을 위한 홍보 - 자살유족을 위한 서비스 지원 확대 ※ 자살유족의 심리정서 지원을 위한 애도상담, 자살유족모임 및 회복캠프, 자살유족 멘토상담, 자작나무 마음공간서비스 등 - 자살유족 멘토 양성과정 운영 및 활동지원 - 자살사고 발생 사업장 교육 및 스크리닝 등 사후중재 프로그램 지원 ▷ 신체·정신질환자 자살예방 - 생명이음 청진기 사업 활성화 등을 통한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 - 장애인 시설·정신보건기관 간 연계 체계 활성화 및 ‘gate-keeping’ 활동 강화 -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자살고위험군 정기평가 및 사례관리 - 지역사회 유관기관 간 협력체계 구축 및 간담회 실시 - 정신의료기관, 정신재활시설, 정신요양시설 대상 생명지킴이 교육 실시 ○ 사업 추진 체계 성과 목표 및 평가 방법 ○ 목 표 : 자살유족, 신체·정신 등 자살고위험군 상담건수 전년대비 4% 증가 ○ 평가방법 : MHIS 데이터 분석 및 서울시 자치구 실적 ※ (2020년 고위험 상담건수-2019년 고위험 상담건수/2019년 고위험 상담건수)100 <자살고위험군 대상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세부 사업명 자살고위험군 대상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기 간 연중 대 상 자살유족, 자살사망 경험있는 학교·기업, 정신질환자, 만성신체질환자, 취약계층 등 자살고위험군 주요 내용 - 자살유족지원(서비스지원, 멘토 양성, 사후중재 프로그램 지원 등) - 신체·정신질환자 자살예방(조기발견, 조기개입, 생명지킴이 활동 강화 등) 목적 및 기대효과 자살유족 및 신체·정신질환자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전략 수립 성과 목표 - 자살고위험군 상담건수 전년대비 4% 증가(‘19년 36,054건) - 자살유족서비스 이용의향률 지표 생성(’17년 65%) - (이전지표) 신체·정신질환자 자살상담건수 전년대비 3% 증가(‘19년 25,200건) 평가방법 MHIS 데이터 분석, 서울시 자치구 실적 추진 체계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유족지원팀 6-. 24시간 자살위기 대응체계 구축 사업 현황 ○ ‘18년 12월 1393(자살예방상담전화) 개통과 함께 보건복지콜센터 129, 생명의전화 등 다양한 자살예방 상담 통로가 구축됨. 이에 1577-0199는 24시간 핫라인을 통한 응급출동 등 현장 중심 자살위기대응책으로서의 역할 수행과 함께 전문상담인력의 원활한 위기대응을 위한 역량 강화가 요구됨. ○ 지역사회의 자살위기개입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협력기관과의 응급대응체계 마련과 자치구 위기개입 대상자의 야간 및 공휴일 모니터링 지원 등을 위한 지역사회 위기대응 시스템 구축이 필요 구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서울시 및 25개 자치구 자살위기상담건수 45,130건 75,829건 84,858건 80,466건 사업 목적 ○ 자살의시도자 위기 및 응급대응을 위한 지역사회 시스템 강화 사업 개요 ○ 사업 기간 : 연중 ○ 사업 대상 : 자살의시도자, 경찰, 정신의료기관 등 ○ 주요 내용 ▷ 자살상담전화의 위기대응을 위한 협력 - 경찰 및 소방, 110, 120, 129, 1393 등과의 응급 대응체계 협력 - 자치구 내 자살위험군에 대한 휴일·야간 모니터링 지원체계 운영 ▷ 긴급출동 연계체계 마련 - 24시간 전문 인력 응급출동체계 운영 - 병원·경찰·센터 간 자살의시도자 의뢰 및 지원협력 ▷ 1577-0199 상답서비스의 질 향상 - 상담 질 관리를 위한 Q&A 위원회 운영 및 슈퍼비전(내/외부) 실행 - 코로나19 우울 집중상담 핫라인 개설하여 효과적인 포스트코로나 체계 구축 ○ 사업 추진 체계 성과 목표 및 평가 방법 ○ 목 표 : 위기대응건수(응급출동) 전년대비 3% 증가 ○ 평가방법 : 자체조사(서울시 자치구 실적) ※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및 25개 자치구 응급출동 실적 합계 <24시간 자살위기 대응체계 구축> 세부 사업명 24시간 자살위기 대응체계 구축 기 간 연중 대 상 자살의시도자, 경찰, 정신의료기관 등 주요 내용 - 긴급출동 연계체계 마련 - 1577-0199 상담서비스의 질 향상 목적 및 기대효과 자살의시도자 위기 및 응급대응을 위한 지역사회 시스템 강화 성과 목표 - (변경지표) 위기대응건수(응급출동) 전년대비 3% 증가(’19년 624건) 평가방법 자체조사(서울시 자치구 월별 실적/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및 25개 자치구 합계) 추진 체계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마음이음상담팀 6-.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체계 마련 사업 현황 ○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업은 ’13년~‘18년까지 전국적으로 수행 중이며 집중적 자살예방서비스에 유입되는 대상자의 수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사후관리 체계 강화를 위해 수행기관을 ’17년 42개소에서 ‘18년 52개소로 확대함(자살예방국가행동계획, 2018) ○ 서울시는 ’17년 9개소에서 ‘18년 11개소, ’19년 14개소로 점차 확대하는 추세임 사업 목적 ○ 응급실 자살시도자 대상 효과적인 사후관리 서비스를 제공 사업 개요 ○ 사업 기간 : 연중 ○ 사업 대상 : 자살시도자, 자살시도자 가족, 응급의료센터 등 ○ 주요 내용 ▷ 응급실 및 의료기관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 응급실 자살시도자 대상 생명사랑 키트 제작 및 보급 - 응급실 종사자 대상 가이드라인 제작 및 보급 - 응급실 관계자 대상 생명사랑 간담회 실시 -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서비스 디자인 접근방법 활용 시스템 개선 도모 - 응급의료센터 및 응급실 자살시도자-정신건강복지센터 연계 활성화 및 협력 강화 ▷ 자살시도자 위기개입 및 사후관리시스템 내실화 - 자살시도자 지속적 모니터링(문자 및 편지 발송) - 자살시도자 서비스 재유입을 위한 사후관리 프로그램 강화(6개월/12개월 F/U) - 자살시도자 사회적응을 위한 보건-복지서비스 연계체계 강화 ○ 사업 추진 체계 성과 목표 및 평가 방법 ○ 목 표 : 응급실 의뢰 자살시도자 실인원 수 400명 ○ 평가방법 : 자체조사(서울시 자치구 실적) <자살시도자 사후 관리체계 마련> 세부 사업명 자살시도자 사후 관리체계 마련 기 간 연중 대 상 자살시도자, 자살시도자 가족, 응급의료센터 등 주요 내용 - 응급실 및 의료기관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 자살시도자 위기개입 및 사후관리시스템 내실화 목적 및 기대효과 자살시도자의 재시도 방지를 위한 전문서비스 체계 강화 성과 목표 - 응급실 의뢰 자살시도자 실인원 수 전년대비 3% 증가(’19년 429건) 평가방법 자체조사(서울시 자치구 월별 실적) 추진 체계(담당자)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전략사업팀 7--1).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종교계와 함께 하는 살사프로젝트] 사업 현황 ○ ‘19년 지역사회의 협력 강화를 위해 자치구-종교계 협력을 통한 8개 자치구 중심의 살사프로젝트 진행 ○ ’19년 생명사랑 종교예식(12건/367명), 특화프로그램(113건/390명), 간담회 및 교육(42건/1,134명), 캠페인(37건), 살사프로젝트 열린포럼(1건/150명) 사업 진행 사업 목적 ○ 종교계,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을 위한 업무연계 및 협력체계 강화 사업 개요 ○ 사업 기간 : 연중 ○ 사업 대상 : 종교단체, 시민단체, 일반시민 등 ○ 주요 내용 ▷ 자치구 중심 지역자살예방 안전망 구축 - 자치구 단체장 중심 자살예방 활성화 체계 마련(단체장 주요공약 내 자살예방 포함) - 자치구 특성에 따른 자살예방 특화사업 강화 ▷ 종교계가 함께 하는 살(자)사(랑하자)프로젝트 지역 활성화 - 자살의시도자 및 자살유족을 위한 특화사업 및 종교예식 추진 - 코로나19 관련 우울 및 자살예방 캠페인 추진 - 지역밀착형 살자사랑하자 거점 종교기관 확대 운영 - 종교계와 함께 하는 살사프로젝트 포럼 추진 ○ 사업 추진 체계 성과 목표 및 평가 방법 ○ 목 표 : 살사프로젝트 참여 기관 생명존중 활동 244건 ○ 평가방법 : 자체조사(서울시 자치구 실적) <종교계와 함께 하는 살사프로젝트> 세부 사업명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종교계와 함께 하는 살사프로젝트] 기 간 연중 대 상 종교단체, 시민단체, 일반시민 등 주요 내용 - 자치구 중심 지역사살예방 안전망 구축 - 종교계가 함께 하는 살자사랑하자 프로젝트 지역 활성화 목적 및 기대효과 종교계,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을 위한 업무 연계 및 협력 체계 강화 성과 목표 - (변경지표) 살사프로젝트 참여기관 생명존중 활동건수 전년대비 5% 증가 (’19년 232건) 평가방법 자체조사(서울시 자치구 월별 실적) 추진 체계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교육지원팀 7--2).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지역특성 마을공동체 안전망 구축사업] 사업 현황 ○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 대응체계 강화를 위한 시민참여형 마을공동체 자살예방사업 체계 마련 필요 ○ 마을공동체 자살예방사업은 주민을 통해 마을 현안을 신속히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하여 공공서비스의 한계를 보완 사업 목적 ○ 지역사회 기반의 주민 참여를 통한 마을 정신건강 안전망 구축 사업 개요 ○ 사업 기간 : 연중 ○ 사업 대상 : 주민 참여형 단체 활동 및 주민위원회 등 ○ 주요 내용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조직 구축 -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를 비롯한 서울지역 자살예방 및 마음건강에 관심을 갖고 있는 마을 기반 조직대상 사업설명회 개최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모집 및 모임 조직화 8개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역량 강화를 위해 서울시 정신과 의사회와 MOU 체결 - 서울시 정신과의사 매칭 시민 우울 및 자살예방 특강 지원 10회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활성화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활동 콘텐츠 리뉴얼 및 가이드라인 개발 및 배포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대상 주민교육 및 특강 지원 10회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리더 역량강화 교육 진행 ▷ 자살고위험군 발굴 위한 마을지원 유관기관 연계 - 마을지원센터 등 유관기관과 업무조직화 위한 간담회 진행 ○ 사업 추진 체계 성과 목표 및 평가 방법 ○ 목 표 : 자치구 내 자살예방 주민건강모임 조직화 70개 ○ 평가방법 : 자체조사(서울시 자치구 실적) <지역특성마을공동체 안전망 구축사업> 세부 사업명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지역특성마을공동체 안전망 구축사업] 기 간 연중 대 상 주민 참여형 단체 활동 및 주민위원회 등 주요 내용 - 자살고위험군 발굴 위한 유관기관 연계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운영 지원 목적 및 기대효과 지역사회 기반의 주민참여를 통한 마을정신건강 안전망 구축 성과 목표 - (변경지표) 마을공동체사업 실시 자치구 70개 주민모임 조직화 (’19년 91개) 평가방법 자체조사(서울시 자치구 월별 실적) 추진 체계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기획사업팀 7-. 1차 의료기관의 자살예방 역량 강화 사업 현황 ○ 많은 자살자가 사망 전 1차의료기관을 방문하고 있으나, 이를 체계적으로 스크리닝하여 적정서비스로 연계하지 못하고 있어, 동네의원·보건소 등 1차의료기관 이용환자와 자살위험성이 높은 만성질환자 대상 우울증스크리닝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의뢰체계 확산 계획 수립(2018 자살예방백서, 보건복지부) ○ 서울시는 ‘15년 보건소 진료대상자 중심으로 자살위험성 검사를 실시하는 ’생명이음청진기사업‘을 추진하며 ’17년 우울증 및 자살스크리닝 확대를 위한 자치구-의료기관 간 업무협력 체계를 강화 사업 목적 ○ 보건소·의료기관 이용자 중 자살고위험군 및 우울증 조기발굴 및 조기개입 사업 개요 ○ 사업 기간 : 연중 ○ 사업 대상 : 일반시민, 보건소 및 의료기관 이용대상자 등 ○ 주요 내용 ▷ 보건소 이용 대상자 중심 우울증 및 자살스크리닝 강화 - 보건소 진료대상자 우울증 및 자살스크리닝을 통해 자살고위험군 발굴 - 잠재 및 저위험군의 지역사회 내 관리를 위한 생명지킴활동가의 활동 독려 ▷ 지역사회 의료기관 자살고위험군 발굴체계 강화 - 우울증 및 자살스크리닝 확대를 위한 자치구-의료기관 간 업무협력 확대 - 약사회 및 의료진 대상 생명지킴이 교육 실시 ○ 사업 추진 체계 성과 목표 및 평가 방법 ○ 목 표 : 1차의료기관(보건소 포함) 진료대상자의 PHQ-9 검사건수 5% 증가 ○ 평가방법 : 자체조사(서울시 자치구 실적) <1차 의료기관의 자살예방 역량강화> 세부 사업명 1차 의료기관의 자살예방 역량강화 기 간 연중 대 상 일반시민, 보건소 및 의료기관 이용대상자 등 주요 내용 - 보건소 이용 대상자 중심 우울증 및 자살스크리닝 강화 - 지역사회 의료기관 자살고위험군 발굴체계 강화 목적 및 기대효과 보건소·의료기관 이용자 중 자살고위험군 및 우울증 조기발굴 및 조기개입 성과 목표 - (변경지표) 1차의료기관(보건소 포함) 진료대상자의 PHQ-9 검사건수 5% 증가 (’19년 48,411건) 평가방법 자체조사(서울시 자치구 월별 실적) 추진 체계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교육지원팀 8-. 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사업 현황 ○ 정신장애인의 고의적 자해로 인한 사망률은 66.8명으로 동일년도 전체인구 자살률 25.6명에 비해 2.6배 높은 수치(정신건강동향 vol.9, 2019.4) ○ 지역사회 유관기관의 협력체계가 등록정신질환자 자살률 감소에 긍정적인 역할 (‘18년 등록정신질환자 자살률 전년 대비 10% 감소) ○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전달체계강화를 위한 병·의원 및 유관기관과의 의뢰체계 활성화 지속 노력이 필요 사업 목적 ○ 지역사회기관, 정신건강 유관기관들과의 상호교류와 자원개발을 통하여 중증 정신질환자 발굴 및 의뢰율 향상 사업 개요 ○ 사업 기간 : 연중 ○ 사업 대상 : 자살의시도자, 정신질환자, 25개구 정신건강복지센터, 보건소, 동 주민센터, 경찰, 소방, 다산콜센터(120), 보건복지콜센터(129), 구청, 의료기관, 정신건강유관기관, 지역사회복지관, 학교 ○ 주요 내용 ▷ 지역사회기관·정신건강유관기관 간 의뢰체계 활성화 - 자살고위험군 유관기관과 의뢰체계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 추진 - 지역사회기관·정신건강유관기관 이용자 및 실무자 대상 정신건강복지센터 서비스 안내 및 의뢰방법 교육 - 지역사회기관·정신건강유관기관 통합사례회의 및 간담회 진행 - 1577-0199를 통한 자살의시도자 위험성 평가 및 개입 후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연계 ○ 사업 추진 체계 성과 목표 및 평가 방법 ○ 목 표 : 자살고위험군 연계기관 의뢰건수 1.5% 증가 ○ 평가방법 : MHIS 데이터 분석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세부 사업명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기 간 연중 대 상 자살의시도자, 정신질환자, 25개구 정신건강복지센터, 보건소, 동 주민센터, 경찰, 소방, 다산콜센터(120), 보건복지콜센터(129), 구청, 의료기관, 정신건강유관기관, 지역사회복지관, 학교 주요 내용 - 지역사회기관·정신건강유관기간 간 의뢰체계 활성화 목적 및 기대효과 지역사회, 유관기관과의 상호교류와 자원개발을 통한 자살고위험군 발견 및 의뢰 활성화 성과 목표 - 전년대비 연계기관 고위험군 의뢰건수 1.5% 증가 (‘19년 3,181건) 평가방법 MHIS 데이터 분석 ※ 의뢰건수 추출방법: MHIS 접수상담대장 내 자살상담?초기상담-제공제공자(기관종사자:의료기관, 지역사회기관, 행정기관) 건수 ※ 목표달성 평가방법: {20년 유관기관 고위험군 의뢰건수/(19년 유관기관 고위험군 의뢰건수 1.5)} 100 추진 체계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교육지원팀 8-. 공공 정신건강 서비스 기능 확대 사업 현황 ○ 서울시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조례 제정에 따라 자살예방서비스 체계 마련 ○ 자치구별 자살예방 인프라의 불균형으로 공공서비스의 질과 전문성에 격차가 있음 (2018년 서울시 자치구 자살예방전담팀 설치 현황 : 15개 자치구) ○ 각 자치구 특성에 맞는 자살예방서비스 기능 구축 및 실무자 역량강화 필요성 대두 사업 목적 ○ 지역사회 자살예방사업 환경조성 및 전문성 강화를 통한 공공 정신건강서비스 기능 확대 사업 개요 ○ 사업 기간 : 연중 ○ 사업 대상 :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센터 등 ○ 주요 내용 ▷ 지역사회 자살예방사업 전담인력 전문성 향상 - 자치구 보건소 자살예방사업 전담인력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 자문, 월례포럼 운영 ▷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환경조성 - 서울시 자살예방사업 생명사랑 서울포럼 진행 및 자치구 업무 지원 ○ 사업 추진 체계 성과 목표 및 평가 방법 ○ 목 표 : 실무자 역량강화교육 1.5% 증가 ○ 평가방법 : 자체조사 ※ 서울시 자치구 자살예방전담인력 교육, 포럼, 세미나 건수 <공공 정신건강서비스 기능 확대> 세부 사업명 공공 정신건강서비스 기능 확대 기 간 연중 대 상 25개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주요 내용 - 지역사회 자살예방사업 전담인력 전문성 향상 코로나19 우울 관련 상담의 질 향상을 위한 실무자 역량 강화 교육 추진 -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환경조성 목적 및 기대효과 지역사회 자살예방사업 환경조성 및 실무자 역량강화를 통해 공공 정신건강서비스 기능 확대 성과 목표 - 실무자 역량강화교육 건수 1.5% 증가 (‘19년 10건/380명) 평가방법 자체조사 추진 체계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교육지원팀 9-. 생명지킴이 양성 확대 사업 현황 ○ ‘19년 서울형 생명지킴이 양성자 27,448명으로 전년대비 28.3% 증가 ○ 자살예방 국가행동계획에 따라 자살고위험군 발굴을 위한 ’자살예방 생명지킴이 160만 양성 및 분야별 프로그램‘ 개발 추진 과제가 주요 전개 ○ 생명지킴이 온라인시스템 운영 및 활성화를 통하여 체계적인 생명지킴이 관리 강화 사업 목적 ○ 생명지킴이를 양성·관리함으로써 지역사회에서의 자살위험 징후 조기발견·의뢰 사업 개요 ○ 사업 기간 : 연중 ○ 사업 대상 : 초·중·고 교원, 구청 및 보건소 공무원,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등 ○ 주요 내용 ▷ 생명지킴이 양성체계 강화 - 초·중·고 교원 생명지킴이(생명지킴이) 양성 - 생명지킴이의 날 실시(매월) - 지역사회 사회복지서비스 실무자 생명지킴이(생명지킴이) 양성 - 종교기관 및 시민단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통장 등 지역사회 풀뿌리조직 우선교육 ▷ 생명지킴이 관리체계 활성화 - 온라인 생명지킴이 회원관리시스템 강화 ▷ 시민활동가 조직화 및 재구성 - 생명지킴이 활성화를 위한 생명존중 시민활동가 보수교육 개발 및 교육 지원 - 생명지킴이 참여 활동 방안에 대한 논의 및 모니터 ○ 사업 추진 체계 성과 목표 및 평가 방법 ○ 목 표 : 생명지킴이교육 이수자 2.5% 증가 ○ 평가방법 : 자체조사 ※ (‘20년 생명지킴이 양성자 수-’19년 생명지킴이 양성자 수)/‘19년 생명지킴이 양성자 수 100 <생명지킴이 양성 확대> 세부 사업명 생명지킴이 양성 확대 기 간 연중 대 상 초·중·고 교원, 구청 및 보건소 공무원,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등 주요 내용 - 생명지킴이 양성체계 강화 및 관리체계 활성화 - 시민활동가 조직화 및 재구성 목적 및 기대효과 생명지킴이를 양성·관리함으로써 지역사회에서의 자살위험 징후 조기발견·의뢰 성과 목표 - 생명지킴이 교육 이수자수 2.5% 증가 (‘19년 27,448명) 평가방법 자체조사 추진 체계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교육지원팀 9-. 전문가 교육 강화 사업 현황 ○ 서울시 자살예방실무자는 정신건강전문요원(37%), 사회복지사, 간호사, 임상심리사 등 다양한 직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무경력에 있어서도 편차가 큼 (2018년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현장 모니터사업 결과보고) ○ ’18년부터 자살예방실무자 대상 자살예방응급요원교육(2단계)을 의무화하여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상담기술 및 법적 입원 등에 대한 교육을 통해 위기대응 능력 강화 ○ 실무자 역량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시스템 구축 및 자살고위험군 위기대응시 발생가능한 대리외상 및 충격 관련 심리외상 회복과정 필요 사업 목적 ○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대상 교육·회복서비스 제공으로 상담의 질 향상 및 외상회복 도모 사업 개요 ○ 사업 기간 : 연중 ○ 사업 대상 : 서울시 25개 보건소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 주요 내용 ▷ 실무자 대상 자살예방응급요원 과정 의무화(14시간) - 자치구 자살예방 전담인력 응급요원 교육 의무화 - 생명지킴이 교육 수료 후 자살예방 응급요원 교육 실시 ▷ 자살예방전문가 양성 - 자살예방 응급요원 교육 수료 후 자살예방전문가 양성 교육 실시 ▷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역량강화 교육 -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교육 추진 -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신규 실무자 원데이 워크샵 ▷ 자살예방 실무자 외상회복 지원 ○ 사업 추진 체계 구분 서울형 자살예방 교육체계 지원 서울시민 및 자살예방 전문 인력 자살예방 전문 인력 1단계 2단계 3단계 기본형 선택형 생명지킴이 교육 자치구보건소 (3h) 자살예방 응급요원 교육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14h) 자살예방전문가 교육 서울시자살예방센터(24h)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역량강화 교육 서울시자살예방센터(8h) 자살예방 실무자 외상회복 지원 교육 대상 서울시민 - 생명지킴이 교육을 수료한 지 6개월 경과한 자 - 정신건강전문요원 및 보건소 자살예방사업 전담요원 자살예방응급요원 교육을 수료한지 3개월 경과한 자 중 자살예방 관련 기관 업무 종사자 서울시 25개 보건소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자살예방사업 담당자 성과 목표 및 평가 방법 ○ 목 표 : 자살예방교육 전문가과정 이수자 수 250명 ○ 평가방법 : 자체조사 ※ (‘20년 자치구 자살예방 수행인력 전문가 교육 이수자 수 합계) <전문가 교육 강화> 세부 사업명 전문가 교육 강화 기 간 연중 대 상 서울시 25개 보건소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주요 내용 - 자살예방응급요원 과정(14시간) 의무화, 자살예방전분가 양성 -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역량강화 교육 및 외상회복 지원 목적 및 기대효과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대상 전문서비스 제공으로 질적 향상 및 외상회복 도모 성과 목표 - (변경지표) 전문가 자살예방교육 이수자 수 250명 (‘19년 226명) 평가방법 자체조사 추진 체계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교육지원팀 10-. 자살 추적관찰 체계구축 사업 현황 ○ 효과적인 자살예방 프로그램 확산을 위해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자살사망 추적관찰 체계 마련의 필요성 대두 ○ 서울시는 8년간(‘11~’18) 서울시 자살사망원인 통계분석을 통해 지역특성을 반영한 자치구별 자살예방사업 추진을 지원해 오고 있음. ○ 서울시 자살현황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지속적인 근거 지원이 필요 사업 목적 ○ 지역사회 자살사망자 현황 파악 및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구체적인 지역사회 맞춤형 자살예방사업의 근거 마련 사업 개요 ○ 사업 기간 : 연중 ○ 사업 대상 : 서울시민, 자살고위험군, 자살유족,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등 ○ 주요 내용 ▷ 서울시 자살사망자 현황 분석 - 통계청·경찰청 자살사망자 통계 현황 분석 및 관련 DB 구축 - 관련 DB 비교분석을 통한 자살사망자 통합 관리체계 구축 ▷ 서울시 자살예방사업 근거마련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 빅데이터를 통한 사회경향 조사 분석 - 다양한 정보망 데이터 분석 및 지원 ○ 사업 추진 체계 성과 목표 및 평가 방법 ○ 목 표 : 자살통계데이터 분석 6건 ○ 평가방법 : 자체조사 <자살 추적관찰 체계구축> 세부 사업명 자살 추적관찰 체계구축 기 간 연중 대 상 서울시민, 자살고위험군, 자살유족,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등 주요 내용 - 자살사망자 현황 분석 및 빅데이터 분석으로 자살예방사업 수행의 근거 마련 ※ 통계청 KOSIS, MDIS, 국가자살동향시스템 데이터 분석 목적 및 기대효과 자살사망자 현황파악 및 자살예방사업 근거마련을 위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지역사회 맞춤형 자살예방계획 수립 성과 목표 - 자체조사 평가방법 자체조사 추진 체계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기획사업팀 Ⅶ 추진일정 구분 세부사업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 - 1 생명존중문화 조성 및 자살예방 홍보 강화 ● ● ● ● ● ● ● ● ● ● ● ● 1 - 2 자살 관련 언론보도 개선 ● ● ● ● ● ● ● ● ● ● ● ● 2 - 3 자살예방 사회복지안전망 강화 ● ● ● ● ● ● ● ● ● ● ● ● 2 - 4 범부처 자살예방 협력체계 구축 ● ● ● ● ● ● ● ● ● ● ● ● 3 - 5 자살수단의 접근성 차단 ● ● ● ● ● ● ● ● ● ● ● ● 3 - 6 온라인상의 자살유해정보 차단 강화 ● ● ● ● ● ● ● ● ● ● ● ● 4 - 7 아동·청소년 자살예방 ● ● ● ● ● ● ● ● ● ● ● ● 4 - 8 청년·중장년층 자살예방 ● ● ● ● ● ● ● ● ● ● ● ● 4 - 9 노인 자살예방 ● ● ● ● ● ● ● ● ● ● ● ● 5 -10 자살고위험군 대상별 자살예방대책 추진 ● ● ● ● ● ● ● ● ● ● ● ● 6 -11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 ● ● ● ● ● ● ● ● ● ● ● 6 -12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체계 마련 ● ● ● ● ● ● ● ● ● ● ● ● 7 -13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 ● ● ● ● ● ● ● ● ● ● ● 7 -14 1차 의료기관의 자살예방 역량 강화 ● ● ● ● ● ● ● ● ● ● ● ● 8 -15 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 ● ● ● ● ● ● ● ● ● ● ● 8 -16 시 차원의 공공 정신건강 서비스 기능 확대 ● ● ● ● ● ● ● ● ● ● ● ● 9 -17 생명지킴이 양성 확대 ● ● ● ● ● ● ● ● ● ● ● ● 9 -18 전문가 교육 강화 ● ● ● ● ● ● 10-19 자살 추적관찰 체계구축 ● ● ● ● ● ● ● ● ● ● ● ● Ⅷ 예 산 구 분 사업비(단위:천원) 비 고 소 계 국비 시비 구비 합 계 6,159,195 - 6,159,195 - 민간경상사업보조 950,000 - 297,000 203,000 200,000 100,000 150,000 - 힐링프로젝트 생명문화버스 자살예방연극 생명존중콘서트 정신건강 힐링프로그램 개발 민간위탁금 2,209,195 - 2,209,195 - 서울시자살예방센터운영 자치단체경상보조 3,000,000 - 3,000,000 -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Ⅸ 관리 및 평가 계획 □ 관리 계획 ○ 자살예방계획 공개 - 계획수립 완료 후 ‘소통광장’을 통해 대시민 부분공개(또는 비공개) ○ 관계자 의견수렴 및 반영 - 연 1회 이상 보건소·정신건강복지센터 등 자살예방 실무자가 참여하는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설명회’ 및 정기회의를 통해 의견 수렴 및 계획수립에 적극 반영 -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위한 심리외상지원 프로그램 및 마음이음 워크숍 시행 - 서울시 자살예방 시행 계획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자치구 자살예방 사업 계획·수행에 대한 정기적 점검 및 컨설팅 ○ 시민의 서울시자살예방계획 평가 및 정책개발 참여 강화 - 당사자(자살유족 등) 자살예방위원회 위원 참여 등 시민 참여 확대 - 서울시·유족 등 당자자와의 간담회를 통한 서비스 평가 및 발전방안 모색 - 생명지킴이 교육이수자와 생명지킴이의 날 행사 지속 □ 평가 계획 ○ 평가방법 (1) 25개 자치구 자살예방시행계획 성과 평가 - 평가시기 : ‘21. 1월(평가기간: 1~12월) - 평가주체 :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 평가방법 : 보건복지부 평가지표에 따라 사업체계 및 추진성과 평가(정량 및 정성) - 평가항목 : 기본체계(40점), 시행과정(35점), 시행성과(25점) 평가부분 평 가 항 목 배점 기본체계 정책환경 조성수준, 시행계획의 적정성, 사업 추진체계의 적정성 40 시행과정 사업 추진의 충실성, 협력체계의 구축과 수행, 사업 관리의 적절성, 자체평가의 적절성 35 시행성과 성과지표의 적절성, 목표 달성도 25 소 계 100 - 평가결과 : 우수 자치구 고득점 순 3개구 선정, 보건복지부 추천 ’21년도 공모사업 자치구 선정시 평가결과 반영 (2) 서울시 자살예방시행계획 성과 평가 - 평가시기 : ‘21. 1월(평가기간: 1~12월) - 평가항목 : 구조평가(20%), 과정평가(60%), 결과평가(20%) - 세부 평가지표 및 기준 항목 평가지표 평가기준 평가방법 배점 구조 평가 (20%) 인력 자살예방 전담인력 수 (보건소 3인, 센터 3인) 150명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전문인력 확보율 자치구 정신건강 전문요원 인력비율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보건소(자살예방사업) 및 센터 퇴사율 전담인력 퇴사율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예산 서울시 전년대비 예산 증감률 2019년 대비 5% 향상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자치구 자체 예산 확보 전년대비 증감률 2019년 대비 5% 향상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과정 평가 (60%) 자살 관련 사회인식 개선 서울시 자살예방상담서비스 인지율 지표생성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자살예방 언론보도 활동 실적 전년대비 3%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지역사회 자원 간 연계율 90%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협력부처 교육 및 자문 건수 전년대비 5%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자살위험 환경 개선 수단차단을 위한 교육 및 실천활동 500건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자살유해정보 차단 관련 교육 참여 인원 수 400명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아동청소년 관련기관 생명지킴이 교육 양성자수 전년대비 5%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청년?중장년층 생명지킴이 교육 양성자수 전년대비 5%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생명지킴활동가 노인 참여율 40%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자살 고위험군 지지체계 강화 고위험군 자살상담건수 전년대비 4%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위기대응건수 전년대비 3%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응급실 의뢰 자살시도자 실인원수 전년대비 3%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지역사회 자살 대응 역량 강화 살사프로젝트 참여기관 생명존중활동 건수 전년대비 5%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마을단위 <안전한 마을공동체사업> 개발 확산 - 생명존중 주민참여 조직화 60개 주민모임 조직화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1차의료기관(보건소포함) 진료대상자의 PHQ-9 검사 건수 전년대비 5%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정신건강 인프라 강화 연계기관 고위험군 의뢰건수 전년대비 1.5%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실무자 역량강화 교육 전년대비 1.5%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생명지킴이 교육 등 자살예방 인력 확충 생명지킴이교육 이수자 수 전년대비 2.5%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전문가 자살예방교육 이수자 수 250명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근거 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자살통계데이터분석 6건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결과 평가 (20%) 사업달성도 사업목표 달성도 사업반영여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사업평가 결과평가분석 내년계획반영여부 평가, 반영 평가, 미반영 평가, 미실시 10점 8점 6점 10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분석 및 지원계획 서울특별시 자살사망 특징과 자원 분포(2019).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서울시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효과분석(2019). 서울특별시 공공보건의료재단 5개년(2013~2017) 서울특별시 자살사망 분석 결과보고서(2019). 중앙심리부검센터 - 도심권 주요 현황 연령대 - 연령대별 자살사망 비율은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60-79세 사이에서 집중되어 높게 나타남. 자살수단 - 도심권 3개구 모두 성별에 따른 자살수단 중 남·여에서 목맴으로 인한 자살사망 비율이 50% 이 상을 차지하여 가장 많은 비율이며, 뒤를 이어 투신이었음. - 용산구의 경우 주민등록지 외 자살사망자 수가 높은 편이며, 공공장소의 ‘익사’호발 지역임. 혼인상태 - 혼인상태에 따른 자살사망자는 비혼자의 사망비율이 서울시 평균보다 높았음. 교육수준 - 교육수준에 따른 자살자망자는 중졸이하 및 미상인 경우가 서울시 평균보다 높았음. 직업 - 직업에 따른 자살사망자는 무직이 가장 많았으며, 블루칼라 직업군(건설, 제조업 등)의 자살사망이 서울시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주요사업 (중점) ○ 종로구 - [사회적 지지체계] 자살시도자 발생시 현장중심 응급개입 위한 종로구 정신응급협의체 운영 강화 - [중장년] 쪽방촌, 자활센터 등 거점기관 중점 1인 가구 중장년층 자살고위험군 발굴 강화 - [노인] 찾동, 노인종합복지관 등 취약계층 대상 의뢰강화 및 동주민센터, 경로당 등 검진 지속하여 보편적 노인층 발굴 강화 ○ 중구 - [중장년] 중장년층은 온라인 내마음 검진사업 확대 (우울, 불안 온라인 검진 이후 마음건강검진보고서 제공, 마음건강관리로드맵 제공) - [노인] 노인 우울 및 자살위험군 선별검사(GDS) 및 고위험군 지속관리 강화 - [생명지킴이] 생명지킴이교육이수자중 준사례관리자(1명이 자살위험군 1~3명관리) 양성 확대 ○ 용산 - [중장년] 중장년층 대상 자살예방교육 강화 - [노인] 경로당, 복지관등 찾아가는 마음건강 스크리닝 및 상담 강화, 독거노인 집중관리 및 위험군 조기발견 강화 - [1차 의료기관] 용산구의사회 TF팀 구성 1차 의료기관 생명존중사업 추진 활성화 동북권(가) 주요 현황 연령대 - 연령대별 자살사망 비율은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40-44세, 50-54세 사이 남성에서 집중되어 높게 나타남. 자살수단 - 동북권(가) 4개구 모두 성별에 따른 자살수단 중 남·여에서 목맴으로 인한 자살사망 비율이 50% 이상을 차지하여 가장 많은 비율임. - 자살수단 중 목맴으로 인한 자살사망 비율이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 성동구의 경우 익사로 인한 자살사망자수가 많으며, 지난 5년(2013-2017) 간 최소 30명 이상이 익사로 인한 자살사망이 확인되었음. 혼인상태 - 혼인상태에 따른 자살사망 중에서 비혼자의 자살사망 비율은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교육수준 - 교육수준에 따른 자살사망자 중에서 중졸 이하 및 대졸이상, 미상인 경우가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직업 - 광진구를 제외한 성동구, 동대문구, 중랑구에서 블루칼라 직업군(건설, 제조업 등)의 자살사망 비율이 서울시 전체 평균 보다 높게 나타남. 주요사업 (중점) ○ 성동구 - [자살 취약지역 관리 강화] 행복한 마을 만들기 사업 강화(관내 아파트 대상 행복나눔 캠페인, 관리직원 및 입주자 대표 대상 자살예방지킴이 양성, 우울증 고위험군 관리 - [자살 유가족 지원] 유관기관 연계체계 구축 통한 자살유족 의뢰 활성화, 서비스 안내 홍보, 유가족 애도상담, 유가족 자조모임 운영 - [응급실 네트워크] 관내 응급실 기반 협력 및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강화 ○ 광진구 - [자살위험 환경개선] 번개탄 자살수단 차단 위한 희망판매소 발굴 및 희망판매소 모니터링 강화 - [자살고위험군 지지체계] 응급실 내원 자살의시도자 센터 연계활성화 위한 네트워크 구축 - [생명지킴이] 우리학교, 우리마을 생명지킴이 교육 활성화(공무원, 독거노인 복지기관, 교사, 또래 학생, 대학 기숙사 담당자 및 경비원 등) ○ 동대문구 - [자살위험 환경 개선] IOT기반 자살예방 관리 체계 구축으로 Motion sensor system을 통한 독거가구의 환경개선 및 자살 예방지원 - [지역사회 자살대응 역량강화] 만성질환 담당 사업과의 협업 통한 자살위험군 발굴사업 신규 수행 - [취약동 집중관리] 자살률 높은 취약동 대상 집중관리와 상담지원 활성화, 힐링콘서트, 빨간우체통 사업(주민센터에 빨간우체통 설치하여 은둔 위험군 발굴 및 자살예방환경 구축) ○ 중랑구 - [청년, 중장년] 청년, 중장년 대상 신규 우울 및 자살예방 프로그램 시행 - [자살유가족 지원] 관내 경찰서 협력체계구축, 자살유족 애도상담서비스 확대, 자조모임 연계 - [취약지역 집중관리] 자살고위험 지역 대상 집중관리 강화(동주민센터, 통반장, 고시원 총무 대상 생명지킴이 양성, 찾아가는 우울검진, 희망판매소 모니터링 강화 동북권(나) 주요 현황 연령대 - 연령대별 자살사망 비율은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55~64세, 70~74세, 80세 이상의 경우에 집중되어 높게 나타남. 자살수단 - 노원구·도봉구의 경우 주민등록지 외 자살사망자 수가 높은 편이며, ‘투신‘호발 지역으로 25개 자치구 중 각각1위, 2위임. - 자살수단 중 투신으로 인한 자살사망 비율이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혼인상태 - 혼인상태에 따른 자살사망 중에서 혼인자의 자살사망 비율은 강북구를 제외하고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교육수준 - 교육 수준에 따른 자살사망자 중에서 중졸 이하 및 고졸 인 경우가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직업 - 동북권(나)에서는 공통적으로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비경제활동·무직의 자살사망 비율이 높게 나타남. 주요사업 (중점) ○ 성북구 - [자살 고위험군] 임대전용아파트단지 대상 자살고위험군 발굴 및 개입 활성화 - [중장년] 중장년층 독거가구 자살예방사업 강화(고시원 방문자원봉사자 조직, 희망메세지 전달) - [노인]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마을돌보미 역량강화 프로그램(생명지킴이, 생명지킴활동가), 대상자 심리정서 지지서비스 강화 ○ 강북구 - [자살위험 환경 개선] 생명지킴이 희망 판매소 운영 내실화. 판매업자 대상 자살예방교육 및 모니터링 강화 - [청년 및 중장년층] 청년 및 중장년층 1인 가구 마음건강 실태 및 고위험군 관리 강화 - [동단위 자살예방강화] 마을(동)단위 자살예방계획 수립 및 추진, 동별 자살예방 사업비 교부 ○ 도봉구 - [동단위 자살예방강화] 동단위 지역 현황에 맞는 자살예방 홍보 활동 활성화, 동 단위 정신건강 집 밖 프로그램 운영(노인 대상 동 단위 특별 프로그램) - [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유관기관 종사자 심리적 외상평가 및 소진 예방 위한 정신건강 문화조성 행사 ○ 노원구 - [동단위 자살예방강화] 자살 취약 임대아파트단지 대상 민관협력 밀착형 자살예방사업 강화 (아파트 주민 자원봉사자 구성, 자살위험군 관리 강화, 마음건강실천학교, 캠페인 운영) - [아동청소년] 초중고등학생 대상 인식개선 강화(생명존중 문안 학생노트 및 알림장 배부) - [자살위험군 발굴] 도시가스 안전점검원 협력을 통한 은둔형 자살위험군 발굴 강화 서북권 주요 현황 연령대 - 연령대별 자살사망 비율은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30~34세, 40~44세, 70~84세 사이에서 집중되어 높게 나타남. 자살수단 - 자살수단 중 익수로 인한 자살사망 비율이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혼인상태 - 혼인상태에 따른 자살사망 중에서 혼인자의 자살사망 비율은 은평구, 서대문구에서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고, 마포구의 경우에는 비혼자의 자살사망 비율(2.14%)이 서울시와 가장 차이가 많이 난 것으로 나타남. 교육수준 - 교육수준에 따른 자살사망 중에서 중졸이하, 고졸, 대졸 이상 학력의 자살사망 비율이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직업 - 직업에 따른 자살사망자 중 화이트 칼라 직업군의 자살사망 비율이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 타남. 주요사업 (중점) ○ 은평구 - [자살고위험군 지지체계 강화] 자살사망자 다발지역 및 동별 사망자 특성에 따른 맞춤형 자살예방 캠페인 시행(유관기관, 사업주, 북한산국립공원관리공단 등) - [지역사회 자살대응역량 강화] 자체 심리지원센터 다독임 운영. 내소 어려운 노인 및 은둔형 청소년 대상 방문상담 서비스 강화 ○ 서대문구 - [청장년] 청년 및 중장년층 대상 대학 및 사업체 연계 우울 및 자살 방문상담, 직장인 대상 우울 및 스트레스 관리 교육 - [응급실 네트워크]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강화 - [인프라 확충] 마음건강 키오스트 보급 및 보건소 실시간 결과 전송 이후 평가결과에 따른 정신건 강복지센터 서비스 연계 ○ 마포구 - [자살위험 환경 개선] 생명지킴활동가 양성 활성화 및 희망판매소 발굴 및 모니터링 강화 - [사회적 지지체계 강화] 관내 16개 동주민센터 통합사례회의, 찾동추진지원단, 5개 권역별 사례 회의 정기 참석 통한 자살 고위험군 사례관리 네트워크 체계 강화 - [자살 고위험군 지지체계 강화] 고용복지센터 연계 구직자, 실직자 대상 방문 선별검사, 생명지킴이 양성, 자살위험성 평가 및 서비스 서남권(가) 주요 현황 연령대 - 연령대별 자살사망 비율은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40-79세 사이에서 집중되어 높게 나타남. 자살수단 - 서남권(가) 3개구에서 성별에 따른 자살수단 중 남·여에서 목맴으로 인한 자살사망 비율이 50% 이상을 차지하여 가장 많은 비율이며, 뒤를 이어 투신이었음.(양천구 남성 제외) - 자살수단 중 상해, 투신으로 인한 자살사망 비율이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혼인상태 - 혼인상태에 다른 자살사망 중에서 혼인자의 자살사망 비율은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교육수준 - 교육수준에 따른 자살사망 중에서 중졸 이하인 경우가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직업 - 별도의 특징이 발견되지 않음. 주요사업 (중점) ○ 강서구 - [자살위험 환경개선] 숙박업중앙회 강서지부와 협력체계 마련, 숙박업소 관계자 대상 생명지킴이 양성, 생명지킴의 희망판매소(번개탄 판매업소) 발굴 및 모니터링 강화 - [자살 고위험군 지지체계 강화] 자살고위험군 준사례관리자 1:1 돌봄 강화(심리정서지원, 자살 예방지킴활동, 자원 탐색 및 연계활동 서비스), 실직자 및 정신/신체질환자 마음건강 이동검진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 자살시도자 대상 보다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상담서비스 체계 마련 (동기강화상담, 인지행동치료, DBT기반 자살행동치료 등) ○ 양천구 - [청소년] 관내 청소년 대상 자살예방의 중요성 인식 및 생명존중의식 확산 위한 문화행사 개최 - [지역사회 자살대응 역량강화] 보건소 생명이음청진기 사업 활성화 - [인력 확충] 지역사화 자살고위험군 조기 발굴 활성화 위한 자살예방지킴이 양성교육 확대 ○ 구로구 - [자살위험 환경 개선] 번개탄 판매 업소를 발굴하여 희망 판매소 지정 관리 확대, 공원 등 공공 장소에 생명존중 문구 제작 설치 강화 - [자살 고위험군 지지체계 강화] 취약계증 및 취약지역 중심 마음건강검진 및 이동 상담(복지관, 노숙인시설, 종교기관 대상 정신건강 강좌 및 고위험군 관리, 자살위험취약지역 대상 마음건강의 날 운영 검진 및 홍보) - [인프라 강화] 생명지킴이 및 생명지킴활동가 양성 강화 및 생명지킴이의 날 운영 서남권(나) 주요 현황 연령대 - 연령대별 자살사망 비율은 10대를 제외하고,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29~39세, 40~54세, 60~69세, 75~84세 사이에서 높게 나타남. 자살 수단 - 자살수단 중 익수, 목맴으로 인한 자살사망 비율이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 영등포구의 경우 주민등록지 외 자살사망자 수가 많은 편이며, 공공장소의 ‘익사’호발 지역임. 혼인 상태 - 혼인 상태의 경우 영등포구를 제외하고 비혼자의 자살사망 비율이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관악구의 경우 비혼자의 자살사망 비율(4.34%)이 서울시 전체 평균과 가장 차이가 많이 남. 교육 수준 - 교육수준에 따른 자살사망 중에서 고졸자인 경우가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직업 - 공통적으로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비경제활동·무직군의 자살사망 비율이 높게 나타남. 주요사업 (중점) ○ 금천구 - [인식개선] 아파트 관리사무소, 구청관찰 마을버스 정류장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 홍보활동 강화 - [자살고위험군 지지체계 강화] 자살고위험군 대상 집단프로그램 운영, 생활요금 체납 고위험군 대상 긴급 생활지 지원, 일자리 연계 - [인프라 강화] 취약주민 다수 거주지역내 서비스 접근성 강화 위한 보건지소 내 상담실 운영 ○ 영등포구 - [자살위험 환경개선] 생명사랑 실천업소(숙박업소, 고시원, 번개탄판매업소등) 운영으로 자살 핫스팟 관리 활성화 -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 관내 경찰서 및 소방서 의뢰체계 강화 및 의뢰된 자살시도자 및 자살유가족 사후관리 강화 - [지역사회 자살대응 역량 강화] 생명지킴이 주민 자조조직 활성화, 생명지킴이 주민조직 통한 고위험군 발굴 및 의뢰 강화 ○ 동작구 - [자살 관련 사회인식개선] 취약지역 임대아파트 관리사무소 협력 희망메세지 음성발송, 마을버스 운수업체 협력 버스내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 안내문 게시 - [청장년층] 노량진 청년 대상 찾아가는 마음건강상담 진행(노량진 청년일자리센터, 노량진 찾아가는 현장 보건소 협력), 2050 마음챙김 프로그램 운영 ○ 관악구 - [청년] 2030 마음건강지킴이 및 마음건강검진 활성화. 정신건강복지센터 1차 면담 후 6회기 심리상담 프로그램, 정신의료기관 검진비 지원 - [노인] 독거노인 많은 취약동 중심 접근임대아파트 관리사무소 협력체계, 정신건강 및 우울예방교육 프로그램 진행 - [인력확충] 자살위험군 준사례관리 연계 강화 통한 자살위험군 조기발견 및 정서지지 서비스 제공 동남권 주요 현황 연령대 - 동남권의 경우 연령대별 자살사망 비율은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25~29세, 35~39세, 45~54세 사이에서 높게 나타남. 자살 수단 - 자살수단 중 투신으로 인한 자살사망 비율이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혼인 상태 - 혼인상태별 자살사망 비율은 비혼의 경우, 강남구가 서울시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고, 혼인의 경우 송파구가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교육 수준 - 교육수준에 따른 자살사망 중에서 대졸이상 학력인 경우가 자살사망 비율이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직업 - 강동구를 제외하고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화이트 칼라 직업군의 자살사망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화이트 칼라 직업군의 자살사망 비율은 서초, 강남 송파 순으로 서울시 전체 평균에 비해 높게 나타남. 주요사업 (중점) ○ 서초구 - [자살 고위험군 조기발견] 자살 사망자 다발 취약동 대상 찾아가는 마음건강상담소 운영, 통반장 대상 자살예방교육 강화 - [아동청소년] 초등돌봄 마음건강교실, 중고교 대상 자살예방 프로그램 운영 (생명존중, 생명지킴이교육) - [지역사회 중심 지지기반조성] 생명지킴이 양성 확대, 주민참여 권역별 생명존중 동아리 활동 강화 ○ 강남구 - [노인] 관내 유관기관 및 경로당 노인 대상 찾아가는 마음건강 스크리닝 및 상담 강화 - [지역사회 자살대응 역량 강화] 유흥업소 및 미용업소 종사자 대상 설명회, 홍보물 발송, 생명지킴이 양성 및 활동 독려, 청년 고독사 예방 위한 고시원 거주자 및 사업주 대상 홍보물 배포 ○ 송파구 - [자살위험 환경 개선] 희망판매소(번개탄 판매업소) 참여 홍보 및 모니터링 강화, 희망판매소 100개소의 효율적 관리 위한 거점 10개소 통한 관리체계 강화 - [지역사회 자살대응 역량강화] 보건소 생명이음청진기 사업 강화, 노인 자살예방 말벗서비스 ○ 강동구 - [자살위험 환경개선] 종교기관 쉼터, 화장실, 약사회, 이미용업소, 버스정류장, 네일샵 등 협력기관 위기대응 스티커 부착 및 서비스 안내 - [노인] 대한노인회, 노인복지관 어르신 일자리지원사업 참여자 대상 어르신우울 스크리닝 및 예방교육 진행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 강화] 경찰서 연계 유족 서비스 유입 강화 및 유가족 애도상담 서비스 활성화 자치구 지 원 현 황 지원 내역 계 시비 구비 붙임 : 2020년 서울시 25개 자치구 자살예방시행계획 1부(따로붙임). 끝.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정보

2020 서울시 자살예방시행계획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시민건강국 보건의료정책과
문서번호 보건의료정책과-18392 생산일자 2020-06-10
공개구분 부분공개 보존기간 5년
작성자(전화번호) 김성주 (02-2133-7547) 관리번호 D0000040142939
분류정보 건강 > 지역보건 > 건강증진관리 > 정신보건사업수행 > 정신건강증진사업운영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