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수돗물 사용량 영향도 조사

문서번호 요금제도과-5685 결재일자 2020.6.1. 공개여부 대시민공개 방침번호 시 민 주무관 요금제도과장 요금관리부장 상수도사업본부부본부장 임예은 김형규 조두업 06/01 구아미 협 조 주무관 윤경남 기온?인구?경제가 미치는 영향과 관련 - 수돗물 사용량 영향도 조사 2020. 5. 상수도사업본부 (요금제도과) 수돗물 사용량 영향도 조사 과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돗물 사용량과 기온·인구·경기 변동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도를 분석하여 향후 급수수익 추정 및 분석에 활용하고자 함 - 수돗물 사용량 영향도 조사 부본부장님 지시 (’20.3.25.) < 조사 결과 요약 > ○ 수돗물 사용량에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없는 것으로 드러남 - 수돗물 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은 경제성장률, 세대수, 세대당 인구수이나, 변수들이 사용량에 미치는 영향은 중간정도의 상관관계로 확인됨 ○ 단기적으로는 극심한 경기변동의 영향을 받으며, 업종별로는 세대수 및 세대당 인구수와의 상관관계가 높아 향후 업종별 사용량의 추이 예측이 가능함 - 1~2인 가구의 증가에 따라 세대수가 늘고 세대당 인구수가 줄어듦에 따른 업종별 사용량 추이는 가정용·욕탕용 감소되었고, 일반용·공공용 증가된 것으로 나타남 ○ 변인들의 조사결과, 대체재가 없는 수돗물의 특성상, 다양한 변동요인에도 불구하고 수돗물 사용량은 일정한 사용량을 유지함 - 수돗물은 비탄력적인 수요탄력성을 보이며, 대체재가 없는 필수재로서의 특성 지님 Ⅰ. 조 사 개 요 1. 조 사 목 적 ○ 수돗물 사용량(조정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는 다양한 변인들과 사용량 간의 통계적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각 항목이(기온?인구?경제) 급수사용에 미치는 영향도를 분석하고, 향후 급수수익 추정과 세입추계 분석 및 현 코로나19로 인한 사용량 감소추이에 활용하고자 함 2. 분 석 방 법 ○ 조 사 기 간 : 1993년 ~ 2019년(27년간) ○ 조 사 방 법 : 항목 간의 상관관계 분석 실시 상관관계 분석 ○ 정의 : 두 변인간의 상호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으로, 관계성의 정도는 상관계수(r)로 표현 - 상관계수는 ?1부터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양(+)의 값을 가질 때는 정적 상관, 음(-)의 값을 가질 때는 부적 상관이라고 하며 상관계수가 0일 때는 대상 간에 아무 관련성이 없음을 의미 - 일반적으로 상관계수가 ≤±0.30이면 두 변인들은 약한(weak) 관계, ≤±0.50이면 중간(moderate) 관계, ≥±0.70이면 강한(strong) 관계 r _{{} _{x,y}} =` {cov(x,y)} over {sigma _{x} sigma _{y}} = {x,y의``공분산} over {sqrt {x의분산 TIMES sqrt {y의``분산}}} ,```-1 LEQ r _{{} _{x,y}} LEQ 1`````` 3. 분 석 대 상 ○ 기 온 - 최근 10년(’10년~’19년) 사용량?기온간의 관계를 하?동절기 분석 ? 하절기(07.21.~10.08.) 사용량과 8월 평균기온의 상관관계 분석 ? 동절기(12.21.~03.08.) 사용량과 1월 평균기온의 상관관계 분석 ○ 인 구 - 인구변화와 밀접한 가정용 급수사용량을 인구수 및 세대수와 분석 ○ 경 제 - 수돗물 사용량과 경기변동을 나타내는 지표간의 비교 분석 - 경제성장률(실질GDP성장률), 실업률 등 특정지표를 활용한 추이 분석 - 급격한 경기침체를 나타낸 주요 변동시기와 수돗물 사용량 추이 분석 Ⅱ. 수돗물 사용량 추이 1. 연도별 사용량 추이 ? 27년간 총 사용량 추이 (단위 : 백만톤) 구 분 평균 ’98년 ’00년 ’03년 ’06년 ’09년 ’12년 ’15년 ’19년 사용량 1,123 1,085 1,101 1,107 1,127 1,108 1,119 1,108 1,114 - 1993년부터 2019년까지 27년간 수돗물 사용량을 조사한바, 기간 내 연평균 급수사용량은 1,123백만톤(‘19년도 사용량 1,114백만톤)이며, - 경제적 변인이 없었던 1994년~1997년도 사이에는 연평균 급수사용량이 1,179백만톤으로 평균보다 4.9% 더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고, - IMF 직후인 1998년도에는 사용량이 8.0%(1,085백만톤) 급감하였으나, 1999년도에 일부 회복(1,134백만톤)하였고, 이후 다시 감소됨 - 2000년 이후 월드컵개최(‘02년), 금융위기(‘08년) 등 경제적 이슈들이 있었으나 1997년도 같은 급격한 변동사항은 발생되지 않았으며, 연 평균 사용량 증감 차는 ±1.5% 내외로 일정한 추이를 보임 2. 업종별 추이 ? 27년간 업종별 비중 추이 (단위 : %) 구 분 평균 ’93년 ’96년 ’99년 ’02년 ’05년 ’08년 ’11년 ’14년 ’17년 ’19년 가 정 용 65.9 69.7 69.0 68.5 66.3 65.7 65.4 64.5 65.2 64.6 63.6 공 공 용 7.5 7.9 8.0 7.4 7.2 7.4 7.7 8.1 7.3 7.1 7.1 일 반 용 21.3 17.8 18.9 18.3 20.4 21.0 21.8 22.2 22.5 22.9 23.1 욕 탕 용 2.9 4.5 4.1 3.4 3.6 3.6 3.1 2.7 2.2 2.0 1.8 - 1993년부터 2019년까지 27년간 업종별 사용량 평균 비중을 조사한바, 가정용 65.9%, 일반용 21.3%, 공공용 7.5%, 욕탕용 2.9% 이며, - 가정용은 꾸준히 감소추세를 보이며, 1993년에는 전체 사용량의 69.7%를 차지하였으나 2019년에는 8.8% 줄어들어 63.6%로 비중이 감소되었고, - 공공용은 동 기간 사용량 비중의 편차는 7.5% 내외로 일정하였으며, 일반용은 경제발전 추이와 더불어 1993년 17.8%에서 2019년 23.1%로 지속적으로 비중이 증가된 것으로 확인됨 - 욕탕용은 같은 기간 꾸준한 감소를 보여, 1993년 4.5%였으나 2019년도에는 1.8%로 절반이상(60.1%↓)으로 감소함 Ⅱ. 영향도 분석 ○ 기온대비 수돗물 사용량 조사(’10년~’19년까지) ? 기온과의 상관관계 : 하절기 0.53 / 동절기 ?0.75 (단위 : 천톤, ℃) 하 절 기 동 절 기 ? 기온과 사용량(’10~’19년) (단위 : 천톤, ℃) 구 분 평균 ’10년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19년 하절기 기온 26.9 26.5 25.8 27.1 27.7 25.2 26.3 28.0 25.9 28.8 27.2 사용량 98.723 100,097 99,506 96,346 98,716 97,217 97,912 99,126 97,948 102,198 98,163 동절기 기온 -2.9 -4.5 -7.2 -2.8 -3.4 -0.7 -0.9 -3.2 -1.8 -4.0 -0.9 사용량 86,010 87,673 88,461 85,851 84,931 83,448 84,241 86,277 84,468 87,572 87,174 ○ 영향도 분석 [ 하 절 기 ] - 최근 10년간의 하절기 기온차를 살펴보면, 평균기온은 26.9℃이며, 특히 더웠던 해는 ’13년(27.7℃), ’16년(28.0℃), ’18년(28.8℃) 임 - 하절기 평균 사용량은 98,723천톤으로, 무더운 해인 ’16년과 ’18년에 평균보다 많은 사용량을 보임 - 그러나 하절기 기온과의 상관계수는 0.53으로 상호 관계가 뚜렷하지 않으며 특히, 기온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10년, ’11년도에는 오히려 물 사용량의 평균치를 상회하는 사용량이 계측되어 상관관계 저조함이 드러남 - r이 양의 값을 가지므로 하절기 기온이 오를수록, 사용량도 늘어남 - r의 값이 0.53이므로 중간정도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 [ 동 절 기 ] - 10년 동안의 동절기 평균기온은 ?2.9℃이며, 특히 추웠던 해는 ’10년(-4.5℃), ’11년(-7.2℃), ’16년(-3.2℃), ’18년(-4.0℃) 임 - 동절기 기온과의 상관계수는 ?0.75로 강한 역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11년 추웠을 때 사용량이 증가하였고. 반대로 ’14년, ’15년 비교적 덜 추웠을 때는 사용량이 줄어듦을 볼 수 있음 - 즉, 기온이 낮을수록 사용량이 늘어나는 것이 보이며, 이는 주로 겨울철 동파방지를 위한 물 흘림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임 - r이 음의 값을 가지므로 동절기 기온이 내려갈수록, 사용량도 늘어남 - r의 값이 ?0.75이므로 강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 ○ 인구대비 수돗물 사용량 조사(’97년~’19년까지) ? 인구과의 상관관계 : 인구수 0.57 / 세대수 ?0.85 (단위 : 천톤, 천명, 천세대) 인 구 수 변 동 세 대 수 변 동 ? 인구수, 세대수와 가정용 사용량 (단위 : 백만톤, 천명, 천세대) 구 분 평균 ’97년 ’00년 ’03년 ’06년 ’09년 ’12년 ’15년 ’19년 가정용사용량 735 817 743 735 737 727 725 720 708 인구수 10,329 10,389 10,373 10,277 10,356 10,464 10,442 10,297 10,011 세대수 3,954 3,499 3,540 3,715 3,979 4,117 4,178 4,190 4,328 세대당 인구수 2.59 2.97 2.93 2.77 2.6 2.48 2.44 2.39 2.25 ○ 영향도 분석 [ 인 구 수 ] - 최근 27년간 가정용 사용량은 지속적인 감소추세이고, 서울의 인구수는 ’10년, ’11년 전후로 증가하였다가 감소함 - 가정용 사용량과 인구수 간의 상관계수는 중간정도의 양의 관계를 보임 - r이 양의 값을 가지므로 인구가 늘수록, 사용량도 늘어남 - r의 값이 0.57이므로 약한 정도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 - ’10년까지 인구수가 늘어났음에도 사용량은 일정한 정도를 유지하며 ’11년 이후 인구수는 줄어들지만 사용량은 변함없이 지속적인 감소를 유지하며 어느 정도 무관한 변동을 보임 [ 세 대 수 ] - 같은 기간 세대수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인구수는 지속적인 감소가 나타남에 따라 세대당 인구수는 줄어드는 추세임 - 세대수와의 상관관수는 ?0.85이고, 세대당 인구수와의 상관계수는 0.88로, 두 요인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 이는 지속적인 세대수의 증가와 세대당 인구수의 감소, 가정용 사용량의 감소로 확인할 수 있음 - 세대수 : r이 음의 값을 가지므로 세대수가 늘수록, 사용량이 줄어듦 - 세대당 인구수 : r이 양의 값을 가지므로 세대당 인구수가 줄수록, 사용량이 줄어듦 ※ 서울시 인구 추이(1940년~2019년) (단위 : 만명, 천톤) 구 분 40년대 50년대 60년대 70년대 80년대 90년대 00년대 10년대 인구수(만명) 120 139 350 678 950 1,063 1,035 1,027 - 서울시 인구는 1940년 94만명에서 2019년 1,001만명으로, 80년 동안 폭발적으로 증가한 결과, 11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남 - 1945년 해방 이후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1950년 한국전쟁 발발로 인구급감이 나타났고, 이후 1953년부터는 꾸준한 증가 추세임 - 경제개발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1960년대와 고도 경제성장을 보인 1970년에는 가파른 증가폭을 보이며, 서울 인구 집중 과밀화가 본격적으로 나타게 됨 - 1980년대부터 여전히 증가추세를 보이나 증가폭은 둔화되었고, 1992년에 1,097만명으로 서울시 인구가 절정을 이루었으나 이후 주변 수도권으로의 전출이 나타남에 따라 인구가 감소세로 전환됨 - 2000년대 들어서 인구수는 소폭 상승세를 보였으나 2010년 1,057만명 이후 다시 감소추세를 이어가고 있음 - 조사 기간인 1993년~2019년 동안 서울시 인구는 인구팽창기를 지나 축소 내지는 안정기에 접어들었으며, 같은 시기에 가정용 사용량은 1997년 전까지 평균 805천톤을 유지하다가 1998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9년에는 708천톤으로 줄어듦(12% 감소) ○ 경제성장률·실업률대비 수돗물 사용량 조사(’93년~’19년까지) ? 경제지표와의 상관관계 : 경제성장률 0.60 / 실업률 ?0.55 (단위 : 천톤, %) 경 제 성 장 률 실 업 율 ? 경제성장률·실업률과 사용량 (단위 : 백만톤, %) 구 분 평균 ’98년 ’00년 ’03년 ’06년 ’09년 ’12년 ’15년 ’19년 사용량 1,123 1,085 1,101 1,107 1,127 1,108 1,119 1,108 1,114 국내총생산 (실질성장률) 4.8 -5.1 9.1 3.1 5.3 0.8 2.4 2.8 2.0 실업률 3.6 7.0 4.4 3.6 3.5 3.6 3.2 3.6 3.8 ○ 영향도 분석 [ 경제성장률 ] - 지난 27년간 평균 경제성장률은 4.8%로, 몇 차례 극심한 경기변동에 따라 하락과 반등을 반복하며 불규칙한 양상을 보임 - 대표적으로 ’97년도 IMF 직후에는 마이너스 성장률(-5.1%)을 기록하였지만, 바로 ’99년도에 11.5%로 회복하는 등 변동폭이 심하게 나타남 - 상관계수는 0.60으로 중간정도의 양의 상관관계이며, 뚜렷한 변동이 나타나는 ’97년, ’08년 등에는 경기하락에 따른 사용량 감소가 보임 r _{{} _{x,y}} =` {cov(x,y)} over {sigma _{x} sigma _{y}} = {경제성장률과`사용량의``공분산} over {sqrt {경제성장률`분산 TIMES sqrt {사용량``분산}}} `=`0.60# ``````````` - r이 양의 값을 가지므로 경제성장률이 높을수록, 사용량도 늘어남 - r의 값이 0.60이므로 중간 정도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 [ 실 업 률 ] - 같은 기간 평균 실업률은 3.6%로, 경제성장률과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모습을 보이고 ’98년도에 가장 높았으며 그 뒤로는 평균과 비슷한 정도를 유지함 - 상관계수는 ?0.55으로 중간정도의 음의 상관관계이며, ’98년에 높은 실업률과 함께 사용량의 감소가 나타나지만, 이후 두 요인간의 관련성은 낮게 나타남 r _{{} _{x,y}} =` {cov(x,y)} over {sigma _{x} sigma _{y}} = {실업률과`사용량의``공분산} over {sqrt {실업률`분산 TIMES sqrt {사용량``분산}}} `=`-0.55# ``````````` - r이 음의 값을 가지므로 실업률이 높을수록, 사용량도이 줄어듦 - r의 값이 ?0.55이므로 중간 정도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 [ 급격한 경기침체기 ] (단위 : 백만톤, %) 연도 기간 사용량 경제성장률 증감(%) 사용량 경제성장률 1997년 IMF 외환위기 1,179 6.2 -7.97 -182.26 1998년 1,085 -5.1 2007년 세계 금융위기 1,112 3.0 -0.36 -73.33 2008년 1,108 0.8 2018년 경제 불황 장기화 1,117 2.7 -0.27 -25.93 2019년 1,114 2.0 - ’97년 IMF 외환위기 이후 ’98년 경제성장률은 182.3% 하락하였고, 수돗물 사용량 또한 전년대비 8% 감소함 - ’08년 세계 금융위기와 ’18년 이후 장기화된 경제 불황 등으로 경제 성장률은 각각 73.3%, 25.9%로 하락하였으나, 수돗물 사용량은 0.4% 내외의 감소에 그침 ※ 코로나19와 수돗물 소비량 조사(’20년 3월납기 조사시) - ’20. 3월 납기(사용기간 : ‘19.12.21.~3.8.)내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현황 사용기간 ’19.12.21.~’20.1.19. 1.20. 2.18. 2.23. 2.24.~3.8. 코로나 영향 ’19.12월 중국 우한 발생 후 국내 미영향 국내 최초 확진자 발생 대구·경북 급속 확산 위기경보 최고수준 상향 3.8.기준 확진자 7,134명 - 1월부터 코로나19바이러스 확산이 시작되었으나, 사용량 감소가 아직은 본격적으로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임 - 코로나가 본격 발생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개인위생 철저 등으로 가정용 징수액은 소폭 증가한 반면, 영업부진 등으로 일반용 징수액은 감소 ? 가정용 (전년대비 0.5%↑, 919천톤 증가) ? 일반용 (전년대비 1.9%↓, 1,145천톤 감소) Ⅳ. 조사자 의견 ○ 다양한 변인들과 업종별 사용량과의 분석결과, 일부 요소에서는 상관관계가 확인되나 뚜렷한 상관관계를 드러내는 ±0.7 이상의 상관계수는 없어 사용량과 변인들 사이의 상관관계는 약한 것으로 확인됨. ? 업종별 수돗물 사용량과 상관계수 구 분 평균 기온 최저 기온 최고 기온 세대 수 인구 수 세대당 인구수 경제 성장률 실업률 (%) 총 사용량 -0.31 0.18 0.17 -0.48 0.45 0.52 0.60 -0.55 가정용 -0.17 0.24 -0.10 -0.85 0.57 0.88 0.49 -0.19 공공용 -0.02 -0.23 0.09 0.72 -0.41 -0.73 -0.13 0.10 일반용 -0.01 -0.23 0.40 0.92 -0.43 -0.91 -0.28 -0.35 욕탕용 -0.31 0.31 -0.35 -0.86 0.65 0.90 0.56 -0.24 - 수돗물 사용량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요소는 최저기온?최고기온?인구수?세대당 인구수?경제성장률이 있으나, 평균 상관계수는 0.38로 수돗물 사용량과 동일한 움직임을 보이지만 상호관계는 약한 편이며 -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요소는 평균기온?세대수?실업률이 있고, 평균 상관계수는 ?0.44로 수돗물 사용량과 역방향이지만 상관관계는 역시 약해보임 ○ 상관관계가 있는 지표 중 세대수와 세대당 인구수는, 업종별 사용량과 상관관계는 높으나 전체 사용량과의 관계는 중간정도에 그침 - 세대수가 늘고 세대당 인구수가 줄수록, 가정용·욕탕용 사용량은 줄어들며 공공용·일반용 사용량은 늘어남 - 지난 27년간 세대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였고, 세대당 인구수는 감소, 업종별로 가정용·욕탕용은 감소, 일반용·공공용은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음 - 하지만 전체 사용량과의 상관관계는 두 지표 모두 중간 정도의 상관관계로, 업종별 사용량에 대한 설명력은 다소 떨어지나 - 향후와 같은 추세로 1~2인 가구 세대의 비율이 증가될 경우, 가정용?욕탕용은 감소되는 반면, 일반용·공공용은 증가하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임 ※ 전체 세대수 대비 가구원수별 가구 비중(%) 구 분 1990년 1995년 2000년 2005년 2010년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 2인 가구 20.9 27.3 33.3 40.7 46.7 3, 4인 가구 51.6 54.4 53.8 49.8 45.5 5인이상 가구 27.5 18.4 12.9 9.5 7.8 ※ 세대수와 세대당 인구 추이 ⇒ 1, 2인 가구 수가 늘어남에 따라, 가정용·욕탕용 사용량↓, 일반용·공공용 사용량↑ ○ 상관관계가 있는 지표 중 전체 사용량과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요소는 경제성장률이나 0.60으로 중간 정도에 불과하며,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요인은 없는 것으로 드러남 - 단기적으로는 극심한 경기변동에 따라 수돗물 사용량이 감소하는 경향이나, ’97년도의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경기변동에 따른 사용량 증감이 0.4% 내외의 작은 편으로 사용량과의 상관관계는 약한 것으로 보임 ※ 상관관계 분석의 특성상, 요소간의 상관관계만 파악 가능하고 인과관계는 설명 불가능함(인과관계는 회귀분석으로 파악 가능) [ 참고자료 : 회귀분석 결과 ] ◎ 독립변수 : 연평균기온(℃), 연 최저기온(℃), 연 최고기온(℃), 세대수, 인구수, 세대당 인구, 경제성장률(%) ◎ 종속변수 : 수돗물 사용량 ◎ 분석결과 : 분석의 설명력이 45.29% 정도로 낮은 수준에 그쳐 분석의 실효성이 없음 ○ 따라서 상기의 상관관계 지표조사 결과처럼 ‘기온?인구?경제’가 수돗물 사용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으로, 다양한 하위 항목들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수돗물의 사용량은 일정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이며, ○ 이러한 지표결과가 계측된 이유는 대체재가 부존된 수돗물이 갖고 있는 필수재로서의 성격에 기인한 탓으로, 큰 폭의 외부변수가 발생 되어도 수돗물 사용량은 항상 일정하다고 할 수 있고, - ’12년 수도요금 인상 후 월별 수돗물의 수요 가격 탄력성을 분석하면 탄력성 값이 0.01 ~ 0.13 사이로 비탄력적으로 나타남 -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이라는 것은 가격의 변화대비 수요량의 변화가 적다는 뜻으로, 다른 요인들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수요량이 비교적 꾸준하게 발생한다는 뜻임 ※ 1·2월은 실제 요금인상이 적용된 ’13년도로 산출 ○ 코로나19로 경제적 진폭이 심할 것으로 판단되는 현재의 급수상황과 세입추계를 추정해보면, 향후에도 단기적으로는 사용량 증감과 급수수익 감소를 예상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됨 붙임 1. 아리수 수요의 가격 탄력성 조사 1부. 2. 수돗물 사용량 데이터(’93년 ~ ’19년까지) 1부. 끝. 【 붙임1 】 아리수「수요의 가격 탄성력」에 대한 보고 ?? 수요 가격 탄력성 개념 < 수요의 가격 탄력성(E _{d}) : 가격변화에 따라 수요량이 변하는 정도 > ○ 탄력성의 정도에 따른 의미 ? 비탄력적(0 수요량변화 (대표품목 : 대중교통, 통신비, 쌀, 생필품) ? 탄력적(1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정보

수돗물 사용량 영향도 조사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상수도사업본부 본부 요금관리부 요금제도과
문서번호 요금제도과-5685 생산일자 2020-06-01
공개구분 공개 보존기간 3년
작성자(전화번호) 임예은 (02-3146-1195) 관리번호 D0000040067728
분류정보 행정 > 일반행정지원 > 과공통일반사무 > 일반관리(서무) > 일반업무관리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