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서울중소유통물류센터 운영활성화 타당성 조사용역 결과보고

문서번호 소상공인정책담당관-8966 결재일자 2020.5.26. 공개여부 부분공개(5) 방침번호 시 민 주무관 시장활성화팀장 소상공인정책담당관 김현창 김형국 05/26 강석 서울중소유통물류센터 운영활성화 타당성 조사용역 결과보고 서울중소유통물류센터 운영활성화를 위한 타당성 조사용역 결과보고 2020. 5. 노동민생정책관 (소상공인정책담당관) 서울중소유통물류센터 운영활성화를 위한 타당성 조사용역 결과보고 서울중소유통물류센터 운영활성화를 위해 추진한 타당성 조사용역에 대한 결과를 아래와 같이 보고드림 Ⅰ 유통업 일반현황 ?? 도매업 일반현황 (단위: 개, 조) 구 분 2016년 2017년 2018년 사업체 수 매출액 사업체 수 매출액 사업체 수 매출액 전 국 계 74,258 146.5 73,866 153.5 74,234 154.1 신선 및 단순가공식품 44,533 85.7 44,564 90.2 44,765 90.6 가공식품 22,376 40.8 21,938 43.1 22,351 43.4 음료 및 담배 7,349 20.0 7,364 20.2 7,118 20.1 서울시 계 14,115 39.4 13,754 40.8 13,492 40.9 신선 및 단순가공식품 8,915 24.1 8,753 24.7 8,526 24.4 가공식품 4,010 9.7 3,827 10.5 3,838 10.7 음료 및 담배 1,190 5.6 1,174 5.6 1,128 5.8 ○ 전국 음식료품 도매업에 대한 매출액 현황은 154조원(’18년 기준)에 달하며 그 중 86.7%가 신선식품 및 가공식품 매출임 ○ 서울시는 전체사업체 중 신석식품 및 가공식품 사업체가 91.2%를 차지하며 매출액 또한 85.1%를 차지하고 있음 따라서 서울시중소유통물류센터의 취급상품을 신선식품 및 가공식품 중심으로 공급하는 물류시스템 전환 필요 ○ 전국 음식료품 도매업의 1개 사업체 연평균 매출액은 21억 원이며, 서울은 30억 원으로 서울시 도매업의 연평균 매출액이 더 높은 것으로 판단됨 출처 : 통계청(연도별 도소매업 현황) ?? 서울시 종합소매업 일반현황 (단위: 개, 조) 구 분 2016년 2017년 2018년 사업체 수 매출액 사업체 수 매출액 사업체 수 매출액 총 계 18,228 34.0 18,551 34.8 17,841 34.4 대형종합 소 매 업 소 계 102 13.7 107 12.1 106 10.8 백 화 점 31 7.4 32 6.1 32 5.5 대형마트 71 6.3 75 6.0 74 5.3 음식료품 위 주 종 합 소 매 업 소 계 17,283 13.9 17,668 14.7 16,938 15.9 슈퍼마켓 1,517 6.1 1,523 6.2 1,548 6.3 체인화 편의점 7,633 5.7 8,192 6.4 8,560 7.6 음식료품 종합소매업 8,133 2.1 7,953 2.1 6,830 2.0 면세점 13 5.7 13 7.2 14 6.9 그 외 기타 종합소매업 830 0.7 763 0.8 783 0.8 ○ ’18년 기준 종합소매업 중 골목상권 위주로 형성되어 있는 음식료품 위주 종합소매업은 전체 16,938개소이며 그 중 대형 슈퍼마켓 1,548개(9.2%), 체인화 편의점 8,560개(50.5%), 기타 음식료품 위주 종합소매업 6,830개 (40.3%)로 구성되어 있음 ○ 최근 백화점 및 대형마트 등은 신규 출점보다는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대기업이 운영하는 체인화 편의점은 유통환경 및 소비자 패턴 변화 등으로 ’16년 7,633개 → ’17년 8,192개(’16년 대비 7.3%↑) → ’18년 8,560개 (’17년 대비 4.5%↑)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임 ○ 반면, 서울중소유통물류센터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소규모 슈퍼마켓(기타 음식료품 종합 소매업)은 ’16년 8,133개 → ’17년 7,953개(’16년 대비 2.2%↓) → ’18년 6,830개 (’17년 대비 14.2%↓)로 지속적으로 감소함 ○ 매출액 부분에서도 체인화 편의점은 ’16년 5조 7천억 → ’17년 6조 4천억 → ’18년 7조 6천억원으로 년도별 상당히 급증한 반면 물류센터에서 물품을 공급하는 음식료품 종합소매업은 완만하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Ⅱ 유통환경 변화추이 ?? 유통형태별 변화 ○ 대형유통업체 - 국내 대형유통업체들은 생존을 위한 자구책으로 신선식품의 개발 및 비중을 높이고, PB상품 판매품목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온라인 급성장에 따라 오프라인 점포 육성 보다는 온라인몰 구축에 막대한 자금과 인력을 투입하고 있음 - 또한 1인가구의 급증으로 소비자 구매형태가 변화됨에 따라 이를 위한 간편식(HMR)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 유통 트렌드 급변, 코로나19에 따른 소비행태 변화를 예측하고 생존을 위해 기존 마케팅 전략을 과감히 수정 변경하고 있음 ○ 기업형 편의점 - GS25시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2천 565억 원, CU는 1천 966억 원으로 두 회사 모두 사상 최대실적을 기록했으며, 점포수의 과포화 상태에서도 매년 매출 성장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음 - 반면, 대형마트 업계 1위인 이마트는 지난해 영업이익이 1천 507억 원으로 67.4% 줄어들어 GS25와 CU에 뒤처지는 상황임 - 편의점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비결은 유통 및 소비트렌드에 맞게 변화하고 있으며 풍부한 상품구색, 도시락의 고급화 및 다양화, 다양한 안주류 등 1인 가구 및 혼족 등을 위한 상품개발을 집중하면서 매출이 지속 증가하고 있음 ? ? ?? 온라인 유통환경으로의 변화 ○ 온라인 유통의 현재 - 온라인 쇼핑은 저렴한 가격, 신속한 배송, 사용자의 후기 영향 등 지속적인 서비스의 향상으로 합리적인 구매를 유도해 타 업종 대비 높은 성장세를 유지 - 최근 스마트폰의 확산 및 간편 결제 등의 보편화로 소비자들은 백화점, 대형마트, 소상공인 점포 등과 같은 오프라인 매장보다 온라인 쇼핑을 선호하고 있으며 이러한 소비트렌드 변화로 인터넷쇼핑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온라인 유통의 현재 시장규모 - 통계청 조사에 따른 국내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9년 135조 2,640억 원으로 전년대비 19.4% 증가하였으며 이중 모바일 쇼핑 거래액은 87조 2,691억 원 으로 26.1% 증가하였음 - 최근 5년간 온라인쇼핑몰의 매출액 추이를 살펴보면 2015년 54조 556억 원에서 2016년 65조 6,170억 원, 2017년 97조 1,858억 원으로 매년 두 자리의 급성장을 하였으며 2018년 113조 3,140억 원으로 100조원 시대를 열게 되었음 ○ 온라인 유통의 이용채널 현황 (단위: %) 구 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인터넷 67.2 54.0 45.8 43.8 38.9 35.5 모바일 32.8 46.0 54.2 56.2 61.1 64.5 ※ ’16년부터 모바일을 활용한 온라인 쇼핑몰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임 ?? 가정간편식 시장의 급성장 ○ 간편식 시장규모 - 경기불황과 소득감소, 1인 가구 증가 및 소비패턴 변화 등으로 가정간편식(HMR)이 소비문화의 중심으로 부각 HMR(Home Meal Replacement) : 가정식 대체식품 - 국내 가정간편식 시장은 ’10년 약 7,700억 원에서 ’17년 3조 원으로 연평균 17%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19년 5조 원을 넘어 ’23년에는 1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이러한 성장세에 따라 중소기업 뿐 아니라 대기업 그리고 기존 외식업체들이 새로운 모델로 가정간편식(HMR) 시장에 진출 <가정 간편식의 진화> ○ 종류별 연평균 성장률 (단위: %) 기 간 생식류 즉석섭취식품 즉석조리식품 신선편의식품 만두류 기 타 ’15~’18 18.9 15.5 (도시락, 김밥 등) 30.4 (국, 탕, 스프 등) 23.9 (샐러드, 새싹채소 등) 8.6 (만두) 2.7 - 가정 간편식 중 즉석조리 식품이 가장 크게 성장(30.4%)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선편의식품(23.9), 생식류(18.9), 즉석 섭취식품(15.5) 순으로 나타남 ○ 판매장소별 매출액 비중 - ’18년 기준 대형 할인점(34.9%), 편의점(20.8%), 체인슈퍼(19.0%), 독립슈퍼 (17.6%), 일반 식품점(6.8%), 백화점 등 기타(7.7) 순으로 나타남 - 특히, 소용량·소포장 제품 출시, 편의점 자체브랜드(PB) 상품 개발, 1+1 등 묶어 팔기 할인행사로 편의점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 Ⅲ 서울 중소유통물류센터 운영현황 ?? 물류센터 운영개요 ○ 설립근거 : 유통산업발전법 제17조의 2에 근거한 중소벤처기업부 고시 제2018-58호, 중소유통공동도매물류센터 건립운영 요령 ○ 설립목적 : 중소유통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수행하는 중소유통공동 도매물류센터의 건립운영에 대한 세부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함 ○ 설립배경 : 중소유통업체의 가격경쟁력 확보 및 자생력 강화를 위한 지원 ○ 위 치 : 서울시 서초구 양곡도매시장 내 ○ - 중소유통사업자의 경쟁력 향상(슈퍼 등 자영업자의 자생력 강화) - ○ ○ 개 장 일 : 2013. 2. 7.(영업개시 ’13.3.4.) ○ 민간위탁단체 협약체결 및 운영기간 구 분 민간위탁 단체 협약 체결일 위탁 기간 비 고 제1차 ’12.09.21. ’12.09.24.~’15.12.31. 제2차 ’15.12.21. ’16.01.01.~’17.12.31. 제3차 ’17.12.14. ’18.01.01.~’20.12.31. ○ 사업내용 : 상품의 보관, 배송, 포장 등 공동물류 공동 구매사업 ○ 판매방식 : 배송판매 및 현장판매 병행 ○ 판매 수수료 : 현장판매 3%, 배송판매 7% 이내 농산물, 신선식품, 중소기업 제품 등 12% 이내 ?? 물류센터 운영 실적 ○ 매출액 추이 - - - 서울중소유통물류센터 경영 운영실적 (단위: 개, 백만원) ○ 점포별 구매액 추이 - ’13년 이용점포의 점포당 평균 구매액이 1천 3백만 원에서 ’17년 2천 9백만 원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였음 - 이용점포들이 서울중소유통물류센터에서 구매하는 금액이 점차 증가한다는 것은 경영실적 회복에 있어서 다소 긍정적인 요소로 볼 수 있음 - 다만, 이용점포의 월 평균 구매액의 추이를 살펴보면 ’14년 1백 2십만 원에서 ’17년 1백 9십만 원으로 꾸준히 증가하였지만 상품구매 비용을 고려하면 서울중소유통물류센터에서 상품구입은 너무 낮은 수준임 - - 이용점포 월평균 구매실적 (단위: 개, 백만원) ?? 물류센터 역할 및 기능평가 ○ 중소유통물류센터 건립목적 수행력 - - - ? ○ 중소유통물류센터 경영능력 - - ○ 물류센터 입지조건 - ○ 정보화시스템 운영 현황 - - ○ 물류센터 시장 대응능력 - - ○ - - ? Ⅳ 서울 중소유통물류센터 활성화 방안 ○ 물류센터 소매지원시스템 강화 - 골목 슈퍼마켓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동구매 등을 위해 물류센터를 운영하고 있지만, 물류센터를 보다 체계적이고 활성화를 위해서는 - 점포개발, 상품기획 및 관리, 경영지도(수퍼바이징), 교육, 정보화 등의 지원이 가능한 소매지원시스템 운영기능 강화 시급 ○ 점포개발 방법 전환(도미넌트 전략) ? - 회원점포 최적합 확산방법과 최적의 배송루트를 위해 서울시 전지역을 대상으로 회원점포를 개발하는 방법보단 물류센터와 근접한 특정지역 집중화가 효과적 ○ 밴더 물류시스템 구축 - 서울 중소유통물류센터는 규모가 약 1,000여 평으로 슈퍼마켓 취급상품, 음식점 식재료 및 식자재, 전통시장 상점 등에서 필요한 전 품목을 매입하여 회원점포 일괄 공급하는 시스템 구축은 어려움 - 또한 영업대상의 업종 범위가 넓어지고 취급품목도 다양해짐으로써 회원점포로부터 요구되는 상품을 일괄공급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슈퍼마켓 취급상품과 음식점 취급상품이 동일한 품목이라 하더라도 다양한 규격을 요구함에 따라 물류효율성을 위해 밴더 물류시스템 구축 시급 <물류센터와 벤더물류 상품군 예시> 구 분 대분류 물류센터 밴더물류 구 분 대분류 물류센터 밴더물류 식 품 과일류 △ ○ 비 식 품 화장지 ○ 계란 ● 세제/세탁 ○ 두부/콩나물 ○ 주방용품 ○ 채소 ○ 유아용품 ○ 쌀/잡곡 ● 헤어/뷰티 ○ 수산/건어 ● △ 팬시/인테리어 ○ 유제/냉장 ○ 가 정 간 편 식 즉석섭취식품 ○ 정육(냉동/냉장) ○ 즉석조리식품 ○ 베이커리/디저트 ○ 밀키트 ○ 아이스크림 ○ 신 선 편이식품 과일 △ ○ 면/통조림/소스 ● 샐러드 △ ○ 장류/식용유 ● 채소 △ ○ 과자 ● F/F 도시락 ○ 생수/음료/전통주 ● 샌드위치 ○ 주류 △ ○ 햄버거 ○ 커피/차 ● 간식 ○ 건강식품 ● 반려동물 사료/간식/용품 ● △ 수입식품 ● 친환경/유기농 ● ※ ● 물류센터 / ○ 밴더물류 /△ 동시 취급 가능상품 ○ 제3자 물류를 통한 물류센터 활성화 시스템 구축 - 제3자 물류사업은 상품의 위탁·배송을 요청하는 중소 도소매업체와 전통시장, 중소 소매점의 협동조합 또는 협회에서 조합원(회원)들을 위한 공동구매 실시 품목에 대해서 조합원 점포(회원점포)에 물류센터에서 중소소매점들에 직접 배송을 추진하는 사업 - 제3자 물류를 추진하면 현재의 물류비 구조를 혁신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으며, 중소소매점 회원점포에게 고품질 물류서비스를 제공할 뿐 만 아니라, 물류서비스 (보관, 피킹, 배송, IT제공, 컨설팅 등)의 효과를 촉진시킬 수 있음 ○ 타 지역 중소유통물류센터와 공동화 협업화 추진 - 수도권 지역의 중소유통공동물류센터와 하드웨어측면이 아닌 소프트웨어측면의 협력네트워크 구축 - 서울시 중소유통공동물류센터를 중심으로 ‘중소유통공동구매사업단’을 운영하여 소비자 유인상품, 계절상품, 빙과류, 지역판매 상품 등에 대한 공동구매 사업 추진 ○ 물류센터 정보화시스템 구축 - 정보화시스템 현황 및 개선방향 - 정보화시스템 체계도 ○ 물류센터 활성화 방안을 통한 편익효과 항 목 편익내용 사업경제성 편익 서울시중소유통물류센터 재정립에 따른 비용 절감효과를 통한 이익창출 부가가치 증대편익 상품 가격하락에 따른 추가소비에 의한 회원점포 및 본부(물류센터) 영업활성화와 생산증대와 고용증대 효과 자원절감 편익 공동물류센터 운영에 따른 물류비 절감효과 - 물류센터 활성화 방안에 따라 운영될 경우 유통·물류시스템이 새로이 구축되어 중소소매점 슈퍼마켓을 위한 정상적인 물류센터 역할 및 기능수행 Ⅴ 서울 중소유통물류센터 이전에 따른 타당성 ○ 서울 중소유통물류센터 존립여부 - ‘중소유통공동도매물류센터’ 정책 사업은 유통산업발전법 제17조의 2의 법률적 근거로 2003년부터 전국적으로 36개소의 물류센터를 개장하여 운영 중에 있음 - 대형 유통업체들이 오프라인 시장을 장악하고, 온라인쇼핑몰의 급성장으로 인해 영세 골목슈퍼마켓 등이 더욱 힘들어진 상황 속에서 - 대형업체 편의점들은 진화된 상품과 점포형태, 무인점포의 출현 등으로 해를 거듭할수록 발전되고 있어 중소 소매점들의 상황은 악화되고 있음 - 특히 온라인 도·소매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대기업들은 물류센터와 운송시스템에 대한 투자를 진행 중이며, 향후 오프라인 점포는 택배시장과 온라인시장이 접목한 물류거점으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됨 - 이러한 상황에서 골목 중소슈퍼마켓의 경쟁력 제고와 생존력 향상을 위해서 중소유통물류센터는 반드시 존재 운영해야 함 ? ○ 서울 중소유통물류센터 이전 현안 - -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정보

서울중소유통물류센터 운영활성화 타당성 조사용역 결과보고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노동민생정책관 소상공인정책담당관
문서번호 소상공인정책담당관-8966 생산일자 2020-05-26
공개구분 부분공개 보존기간 5년
작성자(전화번호) 김현창 (02-2133-5557) 관리번호 D0000040026474
분류정보 경제 > 지역경제 > 지역경제지원 > 상공인지원 > 중소유통물류센터운영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