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2019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실적 보고서

문서번호 보건의료정책과-12999 결재일자 2020.4.13. 공개여부 부분공개(5) 방침번호 시 민 주무관 실무사무관 정신보건팀장 보건의료정책과장 김성주 김승혜 고재정 04/13 박유미 2019년 서울시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실적 결과보고서 2020. 4. 목 차 제1장 1.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실적 개요 1 2. 2019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시행사업 개요 2 2-1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2 2-2 서울시의 자살 현황 3 3. 2018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사업 평가 및 개선방향 18 4. 추진방향과 전략 20 4-1 서울시 자살예방사업의 추진 방향과 전략 20 5. 추진 체계 21 5-1 추진 체계도 21 제2장 1. 추진과정 29 1-1 세부사업 추진 내용 및 평가 29 2. 사업 관리 및 지원 85 2-1 사업 관리 85 2-2 사업 지원 86 3. 예산 집행 실적 87 4. 자체평가 87 4-1 자체 평가계획 및 실행 87 4-2 평가결과 분석 및 개선 방안 90 4-3 차기년도 자살예방시행계획에 대한 반영 사항 91 제3장 1. 사업 성과 94 1-1 성과목표 달성도 94 1-2 주요 사업성과 96 1-3 추진상 한계점 및 개선사항 98 1-4 지자체장 자살예방사업 참여 현황 99 ‘19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실적 개요 제1장 1. ‘19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시행사업 요약표 3대 전략 10대 과제 연번 세부사업명 제외 사유 (구체적 근거 제시) ① 범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①-1. 자살 관련 사회 인식 개선 ①-1-1 생명존중문화 조성 및 자살예방 홍보강화 추진 ①-1-2 자살 관련 언론보도 개선 추진 ①-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①-2-1 자살예방 사회복지안전망 강화 추진 ①-2-2 범부처 자살예방 협력체계 구축 추진 ①-3. 자살위험 환경 개선 ①-3-1 자살수단의 접근성 차단 추진 ①-3-2 온라인상 자살유해정보 차단 강화 추진 ②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②-4.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②-4-1 아동·청소년 자살예방 추진 ②-4-2 청년·중장년층 자살예방 추진 ②-4-3 노인 자살예방 추진 ②-5. 자살 고위험군 지지체계 강화 ②-5-1 자살고위험군 대상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추진 ②-6.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②-6-1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구축 추진 ②-6-2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체계 마련 추진 ③ 자살예방 정책 추진기반 강화 ③-7. 지역사회 자살 대응 역량 강화 ③-7-1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추진 ③-7-2 1차 의료기관의 자살예방 역량 강화 추진 ③-8. 정신건강 인프라 강화 ③-8-1 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추진 ③-8-2 공공정신건강서비스 기능 확대 추진 ③-9. 생명지킴이(게이트키퍼) 교육 등 자살예방 인력 확충 ③-9-1 Gatekeeper 양성 확대 추진 ③-10. 근거 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③-10-1 전문가 교육 강화 추진 ③-10-2 자살 추적체계 구축 추진 2. ‘19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시행사업 개요 Ⅰ. 서울시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 자살예방시행계획의 필요성 □ 효과적인 자살예방사업 수행 위한 과학적, 근거기반 자살예방사업 추진 필요 ? 서울형 자살예방정보망 분석을 통한 정보수집으로 과학적인 근거에 기초한 자살예방사업 및 정책 수립을 지원하고자 자살예방사업 지원 □ 생명존중문화 조성 위한 범부처별 협력 강화 및 사회마케팅 강화 필요 ? 자살문제는 보건영역에서의 문제가 아닌 사회, 경제, 문화, 복지영역 등 모두의 문제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범부처별 협력체계 구축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이 필요함. □ 광역단위에서 자치구 단위 자살예방사업 수행을 위한 능동적 지원체계 필요 ? 광역 단위에서 지역별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중심 자살예방사업 수행 지원을 위한 기관별 협력체계 마련, 매뉴얼 개발, 시범사업 수행 통한 모델 구축 등 다각적 측면에서 보다 능동적인 지원체계 구축 필요 2. 수립 근거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2019.3.) □ 서울특별시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조례(2019.1.) ? 자살예방추진계획 수립 및 시행 등(제5조) ? 자치구별 시행계획의 조정등(제6조) ? 지역사회 협력체계 구축(제9조) □ 보건복지부 자살예방 국가 행동계획(2018.1) Ⅱ. 서울시의 자살 현황 1. 서울시의 일반 현황 및 특성 □ 인구현황 (단위 : 명) 구분 2018년 2019년 증감 전국 서울시 전국 서울시 전국 서울시 아동· 청소년 인구 9,434,215 1,573,870 9,125,924 1,523,966 ▼308,291 ▼49,904 (19세 이하) 비율 18.2 15.7 17.6 15.2 ▼0.6 ▼0.5 청년기 인구 18,010,310 3,880,836 17,763,572 3,855,147 ▼246,738 ▼25,689 (20세~44세) 비율 34.8 38.6 34.3 38.5 ▼0.5 ▼0.2 장년기 인구 16,731,126 3,178,770 16,933,450 3,178,668 ▲202,324 ▼102 (45세~64세) 비율 32.3 31.6 32.7 31.7 ▲0.4 ▲0.1 노년기 인구 7,650,408 1,416,131 8,026,915 1,468,146 ▲376,507 ▲52,015 (65세 이상) 비율 14.8 14.1 15.5 14.6 ▲0.7 ▲0.6 전체 인구 51,826,059 10,049,607 51,849,861 10,025,927 ▲23,802 ▼23,680 비율 100 100 100 100 0 0 - 서울시의 인구수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9.7%를 차지(시도별 2위). KOSIS 국가통계포털, 2020년 추계인구 - 전국과 서울시의 2018년과 2019년 생애주기별 인구현황을 비교해 보았을 때, 아동·청소년과 청년기 인구와 비율이 감소하였음. - 반면, 장년기와 노년기의 인구는 증가하였으며, 서울시 노년기(65세 이상) 인구비율은 전년대비 0.6% 증가하였음. □ 서울시 자치구별 취약인구 현황 (단위 : 명) 구분 등록 장애인 (2017년 기준) 기초생활 수급 (2018년 기준) 65세 노인 (2019년 기준) 독거노인 (2019년 기준) 다문화 (2018년 기준) 이주민 (2018년 기준) 한부모 (2018년 기준) 서울시 16,326 290,222 1,485,272 332,512 150,363 32,513 81,703 상위 지 자 체 1순위 강서 1,627 노원 26,012 송파 87,334 노원 19,929 구로 15,157 구로 3,047 노원 6,367 2순위 노원 1,481 강서 22,252 강서 84,077 은평 18,865 영등포 14,388 영등포 2,941 중랑 5,765 3순위 은평 1,128 은평 19,677 노원 80,923 강서 17,468 관악 9,112 금천 1,985 강서 5,595 하위 지 자 체 1순위 중구 234 중구 4,266 중구 23,275 중구 5,935 종로 2,320 종로 608 중구 850 2순위 종로 263 종로 4,450 종로 27,519 종로 8,668 중구 2,572 중구 652 종로 923 3순위 용산 297 서구 5,477 금천 37,660 용산 8,840 도봉 3,691 도봉 696 서초 1,420 - 취약계층으로 분류되는 등록정신장애인과 기초생활수급자, 65세 노인인구와 독거노인과 다문화, 이주민, 한부모 대상자 수를 확인한 결과, 서울시의 인구수는 위와 같음. - 자치구별로 상위 지자체, 하위 지자체 3곳씩을 확인한 결과, 상위 지자체로는 강서구가 해당되었으며(취약계층 구분 중 5개 부분에서 상위 3순위 내 포함), 그 다음으로는 노원구(4개 해당), 은평구(3개 해당)가 뒤를 이음. - 하위 지자체 3곳은 중구와 종로구가 6개 모든 영역에 해당됨. □ 서울시 지역정신건강통계 현황 구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전년대비 증감율 17개 시도 대비 순위 연간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 전체 16.6 17.6 16.0 17.2 17.0 ▼0.2 13위 남자 22.0 23.5 21.0 21.8 21.0 ▼0.8 여자 4.6 4.9 4.7 5.1 5.4 ▲0.3 우울감 경험율 8.1 7.8 6.9 7.1 4.9 ▼2.2 11위 우울증상 유병율 - - - 3.6 3.5 ▼0.1 6위 - 서울시의 연간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과 우울감 경험율, 우울증상 유병율 모두 전년대비 감소함. - 고위험음주율에서 남자의 음주율이 감소추세이나, 여전히 여자의 약 4배가량 높게 나타남. 2. 자살 현황 및 추이 1) 서울시 자살사망률 및 자살사망자수 서울시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효과분석(2019). 서울특별시 공공보건의료재단 [전국대비 서울시 자살사망률] (단위 : 명) 구분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사망률 자살사망률 = 인구 10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자 수 자살자수 전국 전체 31.2 31.7 28.1 28.5 27.3 26.5 25.6 24.3 26.6 13,670 서울 전체 26.2 26.9 23.8 25.6 24.7 23.2 23.0 21.3 22.5 2,172 ○ ‘18년 자살사망자 수는 전년대비 전국 9.7%, 서울시 5.0% 증가 - 서울시 자살사망자수는 2,172명으로 전년대비 105명(5.1%) 증가 - 서울시 자살사망률은 ‘13년부터 ’17년까지 감소 추세였으나, ’18년에 증가 ○ ‘18년 자살률(인구 10만명당) 은 전년대비 전국 9.7%, 서울시 5.6% 증가 - 서울시 자살사망률은 22.5명으로 전년대비 1.2명(5.6%) 증가 - 서울시 자살사망률은 ‘13년부터 ’17년까지 감소 추세였으나, ’18년에 증가 ○ 전국 17개 시도 중 ‘18년 서울시 자살사망률은 가장 낮으나, 자살사망자수는 2위 - 서울시 자살사망률 감소 위해, 근거기반의 지속적이고 중장기적인 자살예방전략 필요 [연도별 17개 시도별 자살사망률] 구분 2017년 2018년 사망률 표준화사망률 표준화사망률 연령표준화 사망률 : 인구구조가 다른 집단간의 사망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연령구조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한 사망률 사망률 순위 전년대비 증감율 전년대비 증감률=(18년 자살사망자수-17년 자살사망자수)/17년 자살사망자수x100 서울시 21.3 18.1 18.9 22.5 17 5.1 경기도 22.9 20.1 21.0 24.2 16 7.3 광주시 22.6 20.6 23.1 25.7 15 13.4 세종시 17.7 16.6 24.5 26.0 14 67.4 전국 24.3 20.7 22.6 26.6 - 9.7 대구시 24.9 21.3 23.1 26.8 13 7.0 울산시 24.4 22.3 24.2 27.1 12 10.2 부산시 26.3 22.4 23.0 27.9 11 5.0 인천시 24 21 24.3 27.9 10 16.6 전남 25.1 20.2 23.5 28.0 9 10.8 대전시 22.5 20.1 24.5 28.3 8 24.6 경남 24.9 21.1 24.8 28.9 7 16.3 경북 26 21.3 24.3 29.6 6 13.5 전북 28.4 23.7 25.8 29.7 5 3.8 제주도 26.7 22.9 27.3 30.6 4 16.9 충북 28.2 23.2 26.7 31.1 3 10.3 강원도 30.6 23 26.1 33.1 2 7.9 충남 31.7 26.2 29.8 35.5 1 12.8 2) 서울시 자치구별 자살사망 현황 [2018년 자치구별 자살사망자수 및 증감률] (단위 : 명, %) 자치구 2018년 자살사망자수 ‘17 대비 증감률 2017년 자살사망자수 종로구 30 -33.3 45 중구 24 -11.1 27 용산구 51 -1.9 52 성동구 61 -9.0 67 광진구 78 9.9 71 동대문구 87 35.9 64 중랑구 103 -1.9 105 성북구 107 11.5 96 강북구 86 2.4 84 도봉구 78 -20.4 98 노원구 138 7.0 129 은평구 100 -7.4 108 서대문구 75 31.6 57 마포구 75 5.6 71 양천구 86 2.4 84 강서구 140 16.7 120 구로구 111 44.2 77 금천구 47 -26.6 64 영등포구 81 11.0 73 동작구 85 16.4 73 관악구 124 6.9 116 서초구 73 12.3 65 강남구 118 19.2 99 송파구 104 -19.4 129 강동구 110 18.3 93 <2013-2017년, 5년간 구별 자살사망률> ○ ‘17년도 증감률 대비 일부 자치구(동대문구, 서대문구, 구로구)의 경우 20% 이상 증가함. ○ 서울시 각 구의 5년간 총 자살사망자수는 노원구(617명), 강서구(517명), 강남구(566명)순으로 많았고, 자살사망률은 영등포구(27.6명), 금천구(27.2명), 용산구(25.6명) 순으로 높았음. ○ 자살사망 증감률이 큰 지역의 경우, 연차별 감소 및 증가폭을 함께 검토하면서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대책을 강구함이 주요함. 3) 성별 연령별 자살사망 현황 ○ 전국대비 서울시 남녀 자살사망률 변화추이 및 격차 - 서울시 남자 자살사망률은 2009년 30명을 넘어섰고 2011년 35.5명으로 최고점을 찍었으나, 2015년 이후 30명 이내로 감소 추세이며 2018년 전국남성 자살사망률에 비해 6.6명 낮음 - 서울시 여자 자살사망률은 2009년 18.4명으로 최고점을 찍은 이후 감소 추세 ○ 서울시 연령대별 자살률 변화추이 연도별 연령대별 사망률 변화추이 2018년 연령대별 남녀 자살사망률 추이 - 2017년 대비 2018년 연령대별 자살사망률은 전체적으로 증가 - 전년대비 80대 이상(5.5명)에서 가장 높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2000년부터 2018년까지 연령대별 자살사망률의 변화추이를 살펴보면, 10대를 제외한 연령층에서 자살사망률이 감소하고 있는 반면 10대는 다소 증가함. - 서울시 10대 사망률의 경우 2012년 이후 감소추세에서 2016년을 기점으로 다시 증가 추세에 있어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접근의 중요성을 시사함. [2012년 ~ 2018년 10대 자살사망률 추이] (인구 10만명 당 자살자 수, 명) 구분 ‘12년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전체 5.0 4.7 4.6 4.1 5.5 5.5 6.2 [2018년 서울시 성별 · 생애주기별 자살사망 분포] (단위 : 명, %) 여자 남자 청소년 청년 중장년 노년 청소년 청년 중장년 노년 25 (03.59) 303 (43.47) 199 (28.55) 170 (24.39) 29 (01.97) 435 (29.49) 621 (42.10) 390 (26.44) - ‘18년도에는 여성의 경우 청년층, 남성의 경우 중장년층의 자살사망 비중이 높음. - ‘13~17년도 자살사망자수와 자살사망률을 감안하여 가장 주목해야 할 집단은 중장년 남성 집단으로 이 시기 특성을 반영한 특화된 자살예방전략 필요함. 4) 월별 자살사망 현황 [2015~2019 전국 월별 자살사망 현황] [2013~2017 월별 자살사망 분포] (단위 : 명)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합계 자치구 최다 자살사망발생월 종로구 노원구 성동구 송파구 광진구 동대문 성북구 구로구 중구 서초구 강남구 금천구 은평구 서대문 동작구 강동구 중랑구 양천구 강서구 도봉구 영등포구 용산구 관악구 마포구 강북구 여자 295 267 356 329 335 301 282 304 291 319 298 215 3,592 남자 652 613 768 777 778 656 698 664 683 672 571 532 8,068 소계 947 880 1,124 1,106 1,113 957 980 968 974 991 869 747 11,656 - ‘15~19년까지 전국 월별 자살사망자수는 봄철(3~5월)에 증가하는 현상 보임. - ‘13~17년까지 5년간 서울시 자살사망자수는 봄에 증가하는 봄 피크 현상 보임. - 봄철(3-5월)에 자살사망자수는 크게 증가했다 12월까지 감소하는 경향이 있음. - 봄피크 현상은 성별·연령을 가리지 않고 발생하는 보편적인 현상으로 봄철 자살률 감소를 위한 집중적인 사회마케팅 전략으로의 접근이 필요함. 5) 자살방법별 자살사망 현황 [자치구별 자살사망자 중 타 자치구민 및 주요 자살수단의 분율] 자살이 발생한 자치구 타 자치구민의 자살이 차지하는 비중 (%) 주요 자살수단이 차지하는 비중 (%) 목맴 투신 가스 익사 영등포구 43% 43% 14% 8% 26% 종로구 41% 61% 14% 11% 0% 광진구 38% 52% 14% 13% 15% 용산구 37% 45% 15% 8% 23% 중구 36% 64% 20% 7% 0% 구로구 31% 60% 22% 12% 0% 서초구 30% 58% 24% 8% 3% 마포구 29% 54% 17% 9% 12% 성동구 28% 53% 21% 9% 12% 강남구 25% 58% 23% 11% 2% 동대문구 22% 56% 21% 12% 0% 송파구 22% 53% 19% 11% 8% 금천구 20% 65% 15% 13% 0% 강북구 18% 62% 17% 12% 0% 동작구 17% 56% 23% 13% 2% 서대문구 15% 66% 19% 9% 0% 강동구 15% 57% 18% 13% 4% 도봉구 14% 53% 25% 10% 0% 관악구 14% 64% 15% 15% 0% 양천구 13% 60% 23% 10% 0% 강서구 13% 56% 24% 12% 1% 성북구 12% 59% 23% 10% 0% 노원구 12% 51% 35% 9% 0% 은평구 11% 63% 14% 14% 0% 중랑구 10% 61% 17% 14% 0% 타 자치구 및 자살수단별 자살사망자의 분율이 서울시 전체의 Mean+1SD를 초과하는 경우 음영으로 표시함 자료: <경찰 수사기록을 통한 자살사망자 전수조사 결과보고서>에서 재구성 [2013~2017 서울시 자살방법별 자살사망자 수] ○ ‘13~17년간 서울시에서 발견된 자살사망자가 사용한 자살방법을 살펴보면, 목맴(5,620명, 56.7%), 투신(1,979명, 20.0%), 가스중독(1,104명,11.1%), 익사(433명, 4.4%)의 순으로 나타남. [2014~2018년 수단별 자살사망 현황] 항목 ‘14 ‘15 ‘16 ‘17 ‘18 N % N % N % N % N % 목맴, 압박 및 질식에 의한 의도적 자해 1,557 63 1,379 60 1,185 52.4 1,129 54.6 1,152 53.0 살충제에 의한 자의의 중독 및 노출 46 1.9 37 1.6 40 1.8 34 1.6 28 1.3 높은 곳에서 뛰어내림에 의한 의도적 자해 432 17.5 428 18.6 389 17.2 385 18.6 440 20.3 일산화탄소의 독작용 224 9 266 11.5 243 10.7 215 10.4 257 11.8 기타 208 8.4 191 8.3 404 17.8 304 14.7 295 13.6 계 2,467 100 2,301 100 2,261 100 2,067 100 2,172 100 - ‘14~’18년간 서울시 수단별 자살사망 현황을 살펴보면, 목맴, 압박 및 질식 > 높은 곳에서 뛰어내림 > 일산화탄소의 독작용 > 살충제에 의한 자의 중독 및 노출 순으로 나타남. - 일산화탄소 독작용에 의한 자살사망자수의 경우 ‘15년 이후 감소 추세에 있다가 ’18년도에 전년 대비 42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특히 일산화탄소 등 자살위험 수단에 대한 접근성을 차단하는 지역사회 수단통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함. 6) 주 원인별 자살사망 현황 [특성별 자살충동 여부 및 자살충동 원인 (2018년 사회조사)] 분 류 구 분  자살 충동 있었다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신체적 · 정신적 질환 및 장애때문 직장 문제 때문에 외로움, 고독 때문에 가정 불화 로 인해 동·읍면부 동부 5.2 38.2 13.7 10.1 11.9 14.3 읍면부 4.7 32.3 23.0 6.0 13.9 12.9 성별 남자 4.5 41.2 16.9 10.8 11.2 10.0 여자 5.7 34.3 13.9 8.4 13.1 17.2 연령 13∼19세 4.4 14.5 4.6 0.9 13.1 14.0 20∼29세 5.7 25.9 10.0 24.8 14.1 7.8 30∼39세 5.2 44.5 7.1 15.5 10.0 14.1 40∼49세 5.4 41.1 10.0 10.3 11.8 19.9 50∼59세 4.9 49.0 13.8 2.2 12.1 14.5 60세이상 4.7 34.4 34.5 1.1 12.9 13.1 65세이상 4.2 30.4 38.0 0.9 13.7 12.6 교육정도 초졸이하 5.8 28.2 31.9 0.7 12.4 13.6 중 졸 5.8 37.5 20.0 4.2 9.6 10.9 고 졸 5.5 42.6 11.2 8.3 12.0 14.3 대졸이상 4.2 35.0 9.9 17.4 13.6 15.4 경제활동 취 업 4.8 44.8 8.6 10.6 12.5 15.1 실업 및 비경제활동 5.5 28.3 23.1 8.1 12.0 12.9 주관적 만족감 만족 1.9 16.3 14.2 12.4 17.3 15.3 보통 4.1 33.9 13.1 10.8 12.4 16.7 불만족 16.1 46.3 17.0 7.5 10.6 11.8 ○ ‘18년 사회조사에 따르면 13세 이상 인구의 5.1%가 자살충동을 느꼈다고 응답하였으며 도시에서 살수록, 남성일수록, 고졸의 경우, 주관적 만족감이 떨어질수록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충동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고 응답함. ○ ‘13-17년 서울시 주원인별 자살사망자수에서는 정신건강문제(39.5%), 경제문제(19.4%), 신체건강문제(17%)순으로 높았음. ○ 자살충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경제적 문제가 높게 나타나나, 사망에 이르는 주 요인은 정신건강 문제로서, 다양한 원인별 요인에 대한 정신 건강관리의 중요성을 시사함. [2013-2017 서울시 주원인별 자살사망자수]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공모사업은 기존 자살예방사업에서 진행되어 오던 보편적, 선택적 예방사업에서 보다 지역 특성을 반영하여 주민참여를 독려하고 지역중심의 자살현안을 반영하여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사업. 생명지킴이 양성 확대와 활동촉진, 자살촉발 위험요인 점검 및 개선활동, 우울 증 조기검진 및 관리를 필수항목으로 사업수행 지원 자치구 지역 특성 및 특성 반영 사업 도심권 종로구 중구 용산구 도심권 주요특징 동북권 (가)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중랑구 동북권 (가) 주요특징 동북권 (나)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동북권 (나) 주요특징 서 북 권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서북권 주요특징 서남권 (가)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서남권 (가) 주요특징 서남권 (나) 금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관악구 서남권 (나) 주요특징 동 남 권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동남권 주요특징 Ⅲ. 2018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사업 평가 및 개선 방향 사업범주 세부사업명 주요 내용 목표 결과 자체 평가 개선 방향 자살 관련 사회인식 개선 생명존중문화 조성 자살예방 홍보강화 - 자살예방, 자살유족 시민 인식개선 - 자살예방, 자살유족서비스 인식향상 상담서비스 이용의향률 82.5%유지 상담서비스 이용의향률 82.5%유지 일반시민의 인식 개선 및 서비스 이용 의향률 향상 - 대상별 세부전략 및 콘텐츠 개발필요 - 서비스 의향 향상 확대 자살 관련 언론보도 개선 - 자살보도 모니터링 강화 - 자살예방 미디어 협조강화 자살언론 보도 준수율 전년대비 5% 증가 언론보도 준수율 4.1% 시민참여형 자살 예방사업 진행 언론보도 준수율 매우 낮음 자치구 모니터링 체계 필요 미디어 활동 매체의 직접적 참여 확대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자살예방 사회 복지안전망 강화 - 지역사회 통합적 사례관리 서비스 -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자살고위험군 지역사회 자원 간 연계율 (지표생성) 자살고위험군 지역사회자원 간 연계율 21.7% 사각지대 자살고위험군 발굴을 위한 유관기관 회의 및 연계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강화 위한 지속적 교육 욕구에 따른 연계 활성화 범부처 자살 예방 협력체계 구축 - 광역·자치구단위 자살예방 위원회 또는 협의회 구성 및 운영 자살예방 위원회 운영 50회 자살예방 위원회 운영 27회 광역/자치구단위 자살예방 위원회 또는 협의회 구성 자살예방 협력체계 구축 유지 및 조직 강화 요구 자살위험 환경 개선 자살수단의 접근성 차단 -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강화 - 자살위험 환경 개선 일산화탄소 및 투신자살사망자수 전년대비 8.9% 감소 일산화탄소 및 투신 자살사망자수전년대비 0.6% 감소 자살수단 판매, 구입 단계의 게이트키핑 참여 업소 증가 적극적 게이트키핑 활동 독려를 위한 판매소 모니터링 강화 필요 온라인상의 자살유해정보 차단 강화 - 유해정보 차단 조례 강화 - 유해정보차단 협력체계 구축 유해정보 차단 조례 부분 제정율 35% 유해정보차단 조례 부분 제정율 32% 유해정보차단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지원 지속 - 자치구 주도의 자살 보도 모니터링 강화 - 조례제정 통한 법적 근거 마련 생애주기별 자살예방대책 추진 아동·청소년 자살예방 - 학교 자살예방대책 내실화 - 학교 밖 청소년 자살예방 아동청소년 자살률 2% 감소 아동청소년 자살률 0.9% 감소 학교기반 자살 (자해)시도 청소년 안전망 구축 - 학교내 자살시도자 개입 확대 - 청소년 게이트키핑 활성화 청년·중장년층 자살예방 - 대학교·직장 자살위기대응 역량 강화 - 취약계층 서비스 유입 활성화 청년·중장년자살률 2% 감소 청년·중장년 자살률 7.9% 감소 청장년층 자살 위험군 조기발견 체계 활성화 - 취약 청장년층 정신 건강관리 및 서비스 접근성 향상 - 자살위험군 조기발견 및 개입 유지 노인 자살예방 노인 생명존중 인식개선 활성화 - 보건·복지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 노인 자살고위험군 서비스 연계 노인 자살률 2% 감소 노인 자살률 12.4% 감소 민관협력 노인 특성화 프로그램 지원 준사례관리 등을 통한 조기개입과 보건복지서비스 연계 - 독거노인의 서비스 유입 강화 - 찾동과 연계한 통합적 체계 구축 자살 고위험군 지지체계 강화 자살고위험군 대상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 자살 유족 지원 - 신체·정신 자살상담 자살유족 서비스 이용 의향률 64.5% 자살유족 서비스 이용 의향률 64.5% 지역사회유관기관과 의뢰체게를 구축하여 원활한 협력시스템 마련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을 위한 유관기관 인식개선 및 관련교육, 간담회 등 운영 신체·정신자살상담건수 전년대비 3% 증가 신체·정신 자살상담건수 전년대비 5.4% 증가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 체계 마련 24시간 자살 위기대응체계 구축 - 자살위기전화 인프라 강화 - 긴급출동 연계체계 마련 자살의 시도자 상담 증감률 5.38% 증가 24시간 위기상담 전담팀 운영 응급개입체계유지 - 위기대응체계유지 - 경찰 등 공공체계 확대 자살시도자 사후 관리체계 마련 - 응급실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시스템 내실화 응급실 의뢰 자살시도자 실인원수 전년대비 3% 증가 응급실 의뢰 자살시도자 실인원수 전년대비 8% 감소 (511명) 응급실자살시도자 사후관리를 통한 재시도 방지 노력 응급실내원자살시도자 사후관리 방안 강화 지역사회 자살 대응 역량 강화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 지역특성에 따른 안전망 구축사업 - 종교계와 함께하는 살사 프로젝트 살사프로젝트 추진률 80% 살사프로젝트 추진률 64% 살사프로젝트 통한 종교참여 유지 자치구내 살사 프로젝트 확대 1차 의료기관의 자살예방 역량 강화 - 1차 의료기관 스크리닝 (생명이음 청진기) 청진기사업 참여의료기관 15곳 (지표생성) 청진기사업 참여의료기관 35기관 보건소 내에서 고위험군 발굴 노력 보건소뿐만 아니라 1차의료기관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필요 정신건강 인프라 강화 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 병원·센터 간 의뢰체계 활성화 - 정신질환자 응급개입 체계강화 정신건강 복지센터 등록정신 질환자 자살률 1.5% 감소 정신건강복지센터 등록 정신질환자 자살률 9.6% 감소 (142명) 유관기관을 포함한 서비스 전달체계 확대를 위한 노력 지속적인 협의체 유지 및유관기관 협력 확대 공공 정신건강 서비스 기능 확대 - 자치구 정신건강복지센터 인력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전문가 교육 실시 - 생명지킴이 및 준사례관리자 양성 -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전담팀 설치 전담팀 및 기관 설치율 전년대비 15% 증가 전년대비 전담팀 및 기관 설치율 0% (15개로 동일) 지역사회 정신건강 및 자살예방서비스기능 확대를 위해 전문성 강화 지역사회 중심의 정신 건강서비스 시범 운영 필요 Gatekeeper 교육 등 자살예방 인력 확충 Gatekeeper 양성 확대 - 생명지킴이 양성체계 강화 - 생명지킴이 관리체계 활성화 생명지킴이 양성자 수 전년대비 2.5% 증가 생명지킴이 양성자 수 전년대비 28.3% 증가 보건복지 현장을 통한 고위험군 발굴 확대 다층적 생명지킴이 양성과 조직화를 통한 자발적 참여 촉진 필요 전문가 교육 강화 - 자살예방응급요원 과정 의무화 - 자살예방·유족 전문가 양성 자살예방 실무자 교육 이수율 전년대비 10% 증가 자살예방 실무자 교육 이수율 전년 대비 20% 증가(148명) 자살예방 실무자 전문성 확대 필요 근거 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자살 추적관찰 체계 구축 - 자살사망자 현황 관리 - 서울시민 자살예방시민 인식도 조사 자살사망자 통계분석 1건 자살사망자 통계분석 2건 서울시 자살현황 및 실태확인 위한 노력 서울시자살예방 실태에 대한 다학제적 분석을 실시하고 근거를 공유 하는 자리 정례화 필요 근거기반의 조사·연구 추진 - 서울시 자살예방 근거마련 및 연구기능 강화 근거기반 조사 연구 2건 근거기반 조사 연구 2건 근거기반 자살예방사업 위한 조사연구 실시 Ⅳ. 추진 방향과 전략 1. 서울시 자살예방사업의 추진 방향과 전략 비 전 “시민모두가 서로의 생명을 돌보고, 지키는” 『생명돌봄도시, 서울』 지 향 가 치 생명 지킴 + 생명 살림 + 생명 돌봄 정 책 목표 ?? 생명을 보호하는 안전한 공동체 ?? 생명의 호소에 귀 기울이는 서비스 ?? 생명을 살리는 서울시민 ?? 생명이 약동하는 생명의 도시, 서울 2. 중점 추진 과제 핵 심 지 표 2018년 자살자수 2,067명 자살률 21.3명 (2017년 사망원인통계) 2020년까지 자살률 20명 미만 2023년 자살자수 1,670명 자살률 17.5명 추 진 과 제 ?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 대응체계 강화 ? 고위험군 밀착적 예방활동 및 적극적 개입관리 ? 자살시도 대응강화 및 사후관리지원 확대 ? 자살예방 생명존중 문화조성 통합 서비스 + 시민 참여 ? 생명돌봄 도시로 전환 3. 지자체장 운영과제 내 자살예방사업 과제 ‘운영과제 내 자살예방사업 과제 없음’ Ⅴ. 추진 체계 1. 추진 체계도 2. 자살예방위원회(자문위원회) 구분 이름 소속 직위 연락처 위원장 나 시민건강국 국 장 ☎ 02-2133-7500 부위원장 이 도봉구정신건강증진센터 센터장 ☎ 02-970-8604 위원 남 시립은평병원 병원장 ☎ 02-300-8001 위원 염 공익인권법재단 변호사 ☎ 02-3675-7740 위원 손 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 센터장 ☎ 02-3444-9934 위원 양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교 수 ☎ 02-2258-1062 위원 김 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 사무총장 HP) 위원 황 구로구보건소 보건소장 ☎ 860-3328 위원 주 남서울대학교간호학과 교 수 ☎ 041-580-2714 위원 손 돌봄사랑채 서울시사회복귀시설협회회장 ☎ 02-3409-9444 위원 서 성공회대 사회복지학과 교 수 HP) 위원 정 사회건강연구소 소 장 ☎ 02-6401-9082 위원 서 한별정신건강병원 진료원장(정신과의사) ☎ 031-986-9900 위원 김 한국정신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 장 ☎ 02-878-9968 위원 박 시민건강국 보건의료정책과 과 장 ☎ 02-2133-7505 3. 주요 추진인력 1) 추진인력 역할 소속 직위 이름 역할 연락처 보건의료 정책과 과장 박유미 서울시 자살예방사업 총괄 02-2133-7505 팀장 김승혜 서울시 자살예방사업 책임 02-2133-7544 주무관 김성주 서울시 자살예방사업 담당 02-2133-7547 주무관 민영란 서울시민 힐링프로젝트 운영 02-2133-7549 25개 자치구 주무관 김 외 24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수행 02-2148-3602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센터장 외 김현수외 32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운영 02-3458-1000 생명문화버스 팀장 이 생명문화버스 사업 02-2276-7767 공감인 대표 하 서울시민 힐링프로젝트 (누구에게나 엄마가 필요하다) 02-567-0853 2) 지방자치단체별 자살예방사업 공무원 현황 지역 자살예방사업 담당 공무원 (근무기간) 담당 업무 2019 자살예방 교육 이수 여부 자살예방 정신건강 기타 (담당업무 기술) 서울시 박유미 과장 (120개월) ○ ○ 업무 총괄 김승혜 팀장 (9개월) ○ ○ 자살예방사업 및 정신건강증진 정책 김성주 주무관 (20.1.17.부터) ○ X 자살예방사업 및 민간경상보조사업 O 1.종로구 차주연 주무관 (‘’20.1.16까지) ○ - - - 조우리 주무관 (‘20.2.1~) ○ - - - 2.중구 김나리 주무관 ○ - - ○ 박찬우 주무관 ○ - - ○ 정보경 주무관 ○ - - ○ 3.용산구 안영숙 팀장 (‘19.1~12) ○ ○ 정신보건사업 총괄 ○ 채선영 주무관 (‘19.1~12) ○ - 마음건강검진 및 상담지원사업 ○ 4.성동구 생명건강팀장 ○ ○ 정신, 치매 사업 총괄 - OOO 주무관 ○ ○ 정신재활시설 관리 - 5.광진구 김명미 과장 ○ ○ 건강관리과 업무 총괄 ○ 이미숙 팀장 (’19.7.16까지) ○ ○ 마음건강팀 총괄 ○ 이경왜 팀장 (’19.7.17부터) ○ ○ 마음건강팀 총괄 ○ 김선미 주무관 (’19.1.20까지) ○ ○ 마음건강검진, 상담지원사업 ○ 성혜영 주무관 (’19.4.1부터) ○ ○ 마음건강검진, 상담지원사업 ○ 6.동대문구 손영숙 팀장 (2년 이상) ○ - 자살예방, 정신건강, 치매 ○ 배진희 주무관 ○ - 자살예방 ○ 이선미 주무관 ○ - 자살예방 ○ 손승욱 주무관 ○ - 자살예방 ○ 7.중랑구 자살예방전담 팀장 ○ - 사업실행 총괄, 협력체계 구축 - 강인혜 주무관 ○ - 자살예방사업 기획 및 평가 - 8.성북구 정은숙 팀장 - - - - 서송범 주무관 (‘19.7~) - - - - 이준 주무관 (‘19.1~) ○ - - ○ 9.강북구 이미영 팀장 ○ - 사업실행 총괄, 협력체계 구축 ○ 김옥숙 주무관 ○ - 사업 기획, 평가 등 사업실무 총괄 ○ 조풍실 주무관 ○ - 지역맞춤형 자살예방사업 총괄 ○ 10.도봉구 박혜옥 팀장 ○ - 생명존중팀 총괄 - 이수정 주무관 ○ - 사업계획 및 평가 - 배서영 주무관 ○ - 생명존중업무 지원 ○ 11.노원구 김정일 ○ - 자살예방사업 총괄 ○ 김재원 (‘19.7.17~) ○ - 자살예방사업 ○ 조국제 (‘19.3.1~) ○ - 자살예방사업 ○ 이순원 (‘19.7.1~) ○ - 자살예방사업 ○ 12.은평구 김영완 팀장 ○ - 응암보건지소 총괄 ○ 김희량 주무관 (‘19.7.16.까지) ○ - - - 김연아 주무관 (‘19.7.16.부터 ○ - - - 13.서대문구 전옥 팀장 ○ - 강경 주무관 ○ 사업기획,평가.인식개선,교육,홍보 - 14.마포구 최정림 팀장 ○ ○ 건강지원팀 업무 총괄 ○ 이단비 주무관 ○ ○ 아토피,천식,예방관리 ○ 15.양천구 김미연 주무관 (~‘19.7.4) ○ - 마음건강검진사업 - 윤성숙 주무관 (‘19.7.5~) ○ - 정신재활시설, 마음건강검진사업 - 16.강서구 임영애 팀장 ○ ○ 생명존중팀 총괄 ○ 구나현 주무관 ○ - 없음 ○ 17.구로구 송은철 과장 ○ ○ 의무, 약무 등 - 정연희 팀장 (‘18.8.2.부터) ○ ○ 중증정신질환, 아동청소년정신 ○ 현수자 주무관 (‘20.1.16.까지) ○ ○ 없음 - 18.금천구 남복심 팀장 ○ ○ 정신건강 총괄 ○ 박지연 주무관 ○ - 없음 ○ 19.영등포구 박종숙 팀장 ○ ○ 건강증진사업 총괄 ○ 강민경 주무관 ○ ○ 재활시설, 인력관리 등 ○ 김성주 주무관 ○ - 없음 ○ 20.동작구 김진영 팀장 ○ ○ 자살예방 ○ 김지연 주무관 ○ ○ 자살예방 ○ 21.관악구 서경희 팀장 ○ ○ 관악구 자살예방사업 책임 - 하미숙 주무관 (‘19.9.30까지) ○ - - - 이정아 주무관 (‘19.10.1부터) ○ - - ○ 22.서초구 황은정 팀장 ○ 사업실행 총괄, 협력체계 구축 - 이수진 주무관 ○ 사업계획, 평가, 인식개선 등 - 임사라 주무관 ○ 자살예방 인식개선, 선별검진, 홍보 - 이경은 주무관 ○ 자살예방 인식개선, 선별검진, 홍보 - 23.강남구 전수완 (‘19.1.20까지) ○ ○ 없음 ○ 이승찬 주무관 (‘19.1.21부터) ○ ○ 정신의료기관 관리 ○ 24.송파구 김경선 과장 ○ ○ 총괄 - 김정순 팀장 ○ ○ 국가암관리사업 등 ○ 양보라 주무관 ○ - 국가암검진사업, 암환자의료비 등 ○ 25.강동구 손완현 과장 (‘19.12.31.까지) ○ ○ 건강생활 총괄 - 김은숙 팀장 (‘19.1.8.부터) ○ ○ 없음 ○ 김점덕 주무관 (‘19.7.23.까지) ○ - 없음 ○ 방선영 주무관 (‘19.1.8.부터) ○ - 없음 ○ 4. 유관 민관조직 1) 민관조직 담당자 및 역할 소속 직위 이름 역할 연락처 상담질 관리 자문 서강대학교 공공정책 대학원 교수 1577-0199 질관리 수퍼비전 사회복지실천및사례관리 010-2704-6 성공회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1577-0199 질관리수퍼비전 사회복지 질적방법 연구 010-8650-0 국립정신건강센터 광진구정신건강 복지센터 센터장 1577-0199 질관리수퍼비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010-2753-6 종교 LifeHope 기독교자살 예방센터 사무 총장 살(자)사(랑하자) 프로젝트 운영 팀장 살(자)사(랑하자) 프로젝트 운영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상담 개발원 팀장 살(자)사(랑하자) 프로젝트 운영 주임 살(자)사(랑하자) 프로젝트 운영 02-737-7378 둥근마음상담연구센터 센터장 살(자)사(랑하자) 프로젝트 운영 070-7576-4438 사무 국장 살(자)사(랑하자) 프로젝트 운영 한마음한몸운동 본부 자살예방센터 팀장 살(자)사(랑하자) 프로젝트 운영 02-318-3079 팀원 살(자)사(랑하자) 프로젝트 운영 02-727-2496 주거 SH서울주택 도시공사 부장 취약지역중심 자살예방사업 운영 02-3410-7241 사원 취약지역중심 자살예방사업 운영 02-3410-7244 서울주택 도시공사 주임(주거복지기획부) 유족서비스 홍보 및 안내 02-3410-7256 SH공사 동북자산처 노원도봉센터 과장 SH공사의 자살예방사업 발표 02-3399-0064 eyson@i-sh.co.kr 자살수단협력 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 서울지부 상무 지역사회 자살수단 통제사업 운영 상무 지역사회 자살수단 통제사업 운영 부장 지역사회 자살수단 통제사업 운영 부장 지역사회 자살수단 통제사업 운영 이사장 지역사회 자살수단 통제사업 운영 취약대상 (사)한국이주민건강협회 상임 이사 특수집단 생명사랑사업 운영 02-3147-0516 사무 처장 특수집단 생명사랑사업 운영 02-3147-1691 생애주기 서울시청년 활동지원센터 팀장 청년 생명사랑 특성화사업 운영 02-6358-0616 팀원 청년 생명사랑 특성화사업 운영 02-6358-0632 서울시교육청 주무관 지역사회유관기관 네트워크사업 02-399-9683 주무관 지역사회유관기관 네트워크사업 02-399-9061 50+ 재단 담당 중장년남성자살 시민토론회 홍보 02-460-5050 ksy@50plus.or.kr 50+ 캠퍼스 서부 담당 중장년남성자살 시민토론회 홍보 02-460-5112 jieun@50plus.or.kr 중부 담당 중장년남성자살 시민토론회 홍보 02-460-5230 hanjo@50plus.or.kr 남부 담당 중장년남성자살 시민토론회 홍보 02-460-5350 jhh@seoul50plus.or.kr 동작구 센터장 중장년남성자살 시민토론회 홍보, 참석 자활센터 협회 담당 중장년남성자살 시민토론회 02-793-2579 seoul-jahwal@hanmail.net 서울 심리지원센터 동남 센터 중장년남성자살 시민토론회 홍보 02-2144-1192~5 서남 센터 중장년남성자살 시민토론회 홍보 02-2602-3275 동북 센터 관내 영구임대아파트 관리 공단 02-901-8652 유족서비스 중앙심리부검센터 팀원 (유족 지원팀) 유족발굴 및 서비스연계 치료비지원 02-555-1095 시니어 희망공동체 대표 유족 법률상담 지원 02-2055-1248 한림대학교 자살과 학생 정신건강연구소 연구원 유족발굴 및 서비스연계 031-380-6042 마을 명랑촌 촌장 명랑촌 관련 발표 takuwangmj @gmail.com 서울돌봄 SOS센터 담당 중장년남성자살 시민토론회 홍보 02-2133-7374 bellroky @seoul.go.rk 서울시 자원봉사센터 담당 시민토론회 02-2136-8738 의료복지 사회적 협동조합 사무 국장 마을건강주민교육단 사업 운영 사무 국장 마을건강주민교육단 사업 운영 사무 국장 마을건강주민교육단 사업 운영 사무 국장 마을건강주민교육단 사업 운영 한국주민 운동교육원 상임 트레 이너 마을건강주민교육단 조직화 mong6847@hanmail.net 상임 트레 이너 마을건강주민교육단 조직화 ssarlnamu @hanmail.net 상임 트레 이너 마을건강주민교육단 조직화 통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 서울형자살예방정보망 사업관련 연구 총괄 hokim @snu.ac.kr 연구원 통계분석 및 포럼발표 gunwoo.victor.park@gmail.com 2) 민관조직 협력 사업 수행 내용 기관명 사업명 수행 기간 주요 협력내용 평가 LifeHope 기독교자살예방센터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상담개발원 원불교 서울교구 여성회 천주교 한마음한몸운동본부 자살예방센터 살(자) 사(사랑하자) 프로 젝트 2019.1월~ 12월 종교예식 12건/367명 특화프로그램 113건/390명 성직자인식개선교육 3건/153명 자치구중심 살사프로그램 활성화 - 협약3건, 교육 42건/1,134명 간담회 20건, 캠페인 37건 살사프로젝트 열린포럼 - 1건/150명 해당 종교만의 특색을 갖춘 종교예식 및 특화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통하여 참여한 유가족 만족도가 높음 일부 자치구에서는 4개 종단과 함께 업무협약체결하는 성과가 있었음. ○ 살(자)사(사랑하자) 프로젝트 : 4대 종교계 참여 생명존중 프로젝트 ‘19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사업 추진 과정 제2장 Ⅰ. 세부사업 추진 내용 및 평가 ①-1-1. 생명존중문화 조성 및 자살예방 홍보강화 세부 사업명 생명존중문화 조성 및 자살예방 홍보강화 사업 목적 다양한 계층에 대한 자살예방 홍보 콘텐츠 개발을 통해 서울시민의 서비스 인지율을 향상시키고자 함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9. 1월 ~ 12월 실행 2019.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서울시민, 유관기관 등 실행 서울시민, 유관기관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자살예방 시민 인식개선 및 서비스 인지율 향상 위한 광고 마케팅 ○ 생명존중 문화조성 자살예방 캠페인 ○ 생명존중문화 확산 위한 생명사랑 국제심포지엄 실행 ○ 자살예방 시민 인식개선 및 서비스 인지율 향상 위한 광고 마케팅 - 다양한 매체 활용 생명존중광고 및 취약계층 대상 홍보(유족) 자작나무 네이버 홈페이지형 블로그 개설 : 전월 대비 795% 증가 (‘19년 10월 기준 1,731건 / 11월 기준 15,506건) 자살유족 편견 해소 포스트 : 조회수 15,124회(11.19~12.10) 자살유족 서비스 유입 활성화 포스트 : 조회수 9.681회(11.19~12.10) - 자살유족 인식개선 및 유입 활성화 위한 SNS 광고 캠페인 자살유족서비스 온라인 네트워크 배너 및 키워드 광고 기간 노출수 클릭수 4.24~7.23 13,672,542 75,708 자살유족 편견해소 및 유족 대상 서비스 유입 활성화 카드뉴스 광고 구분 시민대상 배너 광고 유족대상 배너 광고 총노출수 1,293,858회 1,399,945회 클릭수 12,857회 11,378회 자작나무(자살유족모임) 문집 발간 및 보급 : 100부 제작 및 보급 (자작나무 글쓰기 동아리내 원고 엮어 발간. 서울시장 비서실 요청 전달 및 유족상담 및 사업 진행시 배포) ○ 생명존중 문화조성 자살예방 캠페인 - 종교단체와 함께 하는 생명사랑 1004캠페인: 종교계와 함께하는 생명사랑 1004캠페인 선포식 및 기자회견 1회 종교단체 대상 봄자살예방 홍보컨텐츠 21,200부 제작 및 배포 4대 종단 온오프라인 홍보 리플릿 제공 및 보급, 자체 언론보도 활성화 - 자치구 단위 자살예방 위한 캠페인 및 행사 1,502회 ○ 생명존중문화 확산 위한 생명사랑 국제심포지엄 - 국제 심포지엄 1회 241명 참여 - 리더쉽 컨퍼런스 1회 39명 참여 - IAPT 및 자살예방상담 워크샵 1회 40명 참여 ※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 IAPT 모델’은 영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경증·중등 우울증 치료 모델로, NHS에서 지역주민에 대한 심리적 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 한국에서는 강서구에서 영구임대아파트단지내 사회복지관 중심으로 지역사회 우울 및 자살 중저위험군 상담역량강화 도모 및 네트워크 구축 협력모델로 시도하여 진행되었음.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및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및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75,959천원 집행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75,959천원 변경 및 보완 사유 해당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A [변경지표] 서울시자살예방서비스 인지율 지표 생성 [이전지표] 서울시자살예방 마음이음상담전화 1577-0199 이용 의향률 82.5% 유지 측정 방법 서울시민 자살예방시민 인식도 조사(2019) -격년조사 통한 지표생성 예정. 인식도 조사 미시행 목표 설정 근거 ○ 서울시자살예방서비스 인지율 관련 지표생성 ○ 광고를 통해 자살관련 인식도를 향상시키고 잠재적 자살위험군의 서비스 유입을 향상시키고자 서울시 자살예방 마음이음상담전화 1577-0199 이용의향률을 측정하고자 함. ○ 서울시민 자살예방 시민 인식도조사의 경우, 격년 실시로 2019년의 경우 2020년 이용의향률 유지를 목표로 설정함.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변경지표] 서울시자살예방서비스 인지율 : 인식도 조사 미시행으로 지표 생성이 미진행 [이전지표] 서울시 자살예방 마음이음상담전화 1577-0199 이용 의향률 82.5% 유지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변경지표] 지표 생성 미진행 [이전지표] 100% 미달성 사유 해당사항 없음 평가 사업 평가 ○ 현재는 마음이음상담전화 서비스 이용 의향률에 국한하여 성과지표를 측정하고 있어 제한적으로, 향후 자살예방에 관한 시민 인식수준 측정을 위한 인지율 관련 지표를 생성해야 함. ○ 특히 자살 취약계층의 최우선순위로 자살유족을 타겟으로 한 다각적인 매체 홍보 및 광고 진행을 통한 노출 및 방문건수 증대, 유족 대상 서비스 유입 활성화로 연결됨. ○ 국제심포지엄 진행을 통하여 생명존중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 및 국제 자살예방전략 실천 사례통한 시민참여형 자살예방사업 모색 및 서울시 자살예방사업 위상 강화에 기여 개선 방향 ○ 광역단위에서 할 수 있는 집중적인 타겟 선정으로 예산 투입한 광고 효과를 측정하되, 피드백에 따른 보다 전략적인 홍보전략 수립 및 운영, 사회적 트렌드에 부합하는 지속적인 홍보 콘텐츠 개발 필요함. ○ 봄 피크 현상에 대비하여 광역 및 자치구 단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온오프라인 매체 및 방법을 활용한 봄 자살 예방 캠페인 기획 및 추진 필요. 광역단위에서 홍보컨텐츠를 개발 및 보급하여 자치구 단위에서 이를 활용한 캠페인을 진행하는 형태로 지원하는 방안도 고려.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우수활동사례 1 : 지역사회 기반 생명존중 인식 확산 <종교계와 함께 하는 생명사랑1004 캠페인> 추진 배경 - 서울시의 경우 ‘12~17년도 3~5월 봄철 자살사망자 증가 추세 - 서울시민 자살예방 위한 살사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종단과 공동 협력하여 봄철 자살률 감소 위한 집중적인 운동 확산 필요성 제기 추진 개요 - 기간 : 3월~4월 - 대상 : 4대 종단 소속 종교인 및 관계자, 서울시민 - 참여기관 : 기독교(라이프호프 자살예방센터) 불교(대한불교조계종 불교상담개발원) 원불교(원불교 서울교구 여성회) 천주교(한마음한몸 자살예방센터) 결과 및 성과 ○ 결과 - 살사프로젝트 홍보 리플릿 2종 16,200부 제작 및 배포 - 1004캠페인 홍보 컨텐츠 500부 제작 및 배포 - 생명사랑 1004캠페인 선포식 및 기자회견 - 종교단체와 함께 하는 생명사랑 1004캠페인 : 동시다발적으로 온오프라인 홍보 리플릿 제공 및 보급 통한 종교계 봄철 자살예방메세지 전달, 자체 언론보도 활성화 ○ 성과 - 4대 종단 협력 통하여 종단 언론사 통해 전국 보도되어 봄철 자살 관심 촉구 - 종단별 블로그 및 홈페이지 통한 온라인홍보, 예배/미사/법회 시간 오프라인 활동 통하여 봄철 자살률 감소 위한 생명사랑문화 확산에 기여 향후 계획 - 향후에도 살사프로젝트 참여 4대 종단과 협력시 봄철 자살예방캠페인 반영 사진 ①-1-2. 자살관련 언론보도 개선 세부 사업명 자살관련 언론보도 개선 사업 목적 자살에 대한 부정적 영향 감소를 위해 자살유해정보·언론의 자살관련 보도 개선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9. 1월 ~ 12월 실행 2019.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보도매체, 미디어, 자살예방 관련 행정기관, 정책입안 기관 등 실행 보도매체, 미디어, 자살예방 관련 행정기관, 정책입안 기관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자살보도 모니터링 ○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실행 ○ 자살보도 모니터링 - 각 자치구에서 발생하는 자살사망사건 기사에 대해 언론사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3.0’ 준수 여부 모니터링 및 자살 부정적 영향 보도 최소화를 위한 언론사 피드백 진행 : 보도준수 및 정정요청 33건 진행 ○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 인터넷 포털·방송국·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 시 자살상담전화 안내 등 진행 ⇒‘자살보도 권고기준 3.0’을 준수한 자살보도 건수 119건 진행 ○ 자살예방관련 언론보도 및 취재협조 광역단위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 문화 확산 위한 보도자료 배포건수 7건, 취재협조 14건 수행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및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및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없음 집행 없음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A 자살예방 언론보도 활동실적 150건 측정 방법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실적 현황표 목표 설정 근거 자살보도권고기준 3.0 발표에 따라 자살유해정보 및 언론의 자살관련 보도 시, 보도기준 준수를 통해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고자 함. 이에 자살언론보도기준 활동실적을 측정하고자 함. 실행 목표 달성 내용(B) 2019년 자살예방 언론보도 활동실적 152건 2018년 자살예방 언론보도 활동실적 150건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101.3% 미달성 사유 해당사항 없음 평가 사업 평가 ○ 해당 사업은 광역단위 사업 수행보다는 자치구별 단위에서 주로 생명지킴활동가들에 의하여 ‘자살보도 권고기준 3.0’을 활용한 자살보도 모니터링 형태로 주로 사업이 진행됨. 개선 방향 ○ ‘자살보도 권고기준 3.0’을 준수한 자살예방 언론보도 개선을 위해서는 향후에도 자치구 단위에서 생명지킴활동가들의 주요 역할인 유해환경감시단으로서 자체 활동을 강화하고 격려하는 광역단위 지원체계가 지속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함. ○ 향후 광역단위에서도 자치구에서 자체 수행이 어려운 자살예방 언론보도 개선을 위한 언론매체 교육 및 간담회 진행도 함께 고려해야 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①-2-1. 자살예방 사회복지안전망 강화 세부 사업명 자살예방 사회복지안전망 강화 사업 목적 위기가정 긴급지원 등 사회안전망 강화, 사회복지·정신건강 연계 통합관리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9. 1월 ~ 12월 실행 2019.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위기가정, 사회복지 관련 종사자, 공무원, 통합사례관리자 등 실행 위기가정, 사회복지 관련 종사자, 공무원, 통합사례관리자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지역사회 IAPT 통합적 상담관리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 지역사회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연계 강화 ○ 시민참여 지역 아젠다 발굴활동과 실천활동 실행 ○ 지역사회 IAPT 통합적 상담관리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 서울형 우울증 및 자살 중저위험군 개입 위한 지역사회 통합적 상담 관리프로그램 실무자 워크샵 : 동기강화상담, 해결중심 기초과정으로 영구임대아파트 관내 사회복지관 종사자 대상 워크샵 2회, 32명 참여 ○ 지역사회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연계 강화 - 긴급지원 확대를 통해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상황적 자살고위험군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주소득자 사망?휴폐업?실직, 질병·부상, 가정폭력·성폭력 등 생계유지가 곤란한 가구) ⇒ 자치구별 자살예방 위한 인식개선 및 의뢰체계구축 위한 자살예방 교육 1,663회 진행, 150,091명 참여 (인증프로그램 통한 게이트키퍼교육 제외) ○ 시민참여 지역 아젠다 발굴활동과 실천활동 지역사회 기반 생명사랑 열린 시민토론 기법 이해를 위한 간담회 : 1회 총 18명 참여 - 4개구 자살예방 시민토론회(오픈스페이스) : 4개구 주민 총 480명 참여 강북구 123명, 동대문구 157명, 영등포구 130명, 관악구 70명 참여 - 자살예방 시민토론회 사후간담회 : 1회 20명 참여 - 중장년 자살예방 토론회 : 전문가토론회 1회 36명 참여, 시민대토론회(타운홀미팅) 1회 103명 참여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14,159천원 집행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14,159천원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A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지역사회 자원간 연계율 96% 측정 방법 {자살고위험군 자원연계인원 인정 건수/전체건수(자치구)}100 : 서울시 자치구 공동협력사업 자살예방 평가지표 근거자료 목표 설정 근거 SMHIS 접수상담 데이터 기관 간 상호연계율 분석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지역사회 자원간 연계율 88%(‘19년)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91.7% 미달성 사유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취약계층의 발굴 및 서비스 제공의 어려움이 있음. 평가 사업 평가 ○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지역사회 자원간 연계율은 88%로 계획대비 목표달성 수준은 91.7%이나 전년대비 실적은 66.3% 증가함. 이는 서울시에서 시군구 공동협력사업 평가지표(보건소 인센티브평가)에 생명지킴이의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지역사회 자원연계건수가 포함되면서 자치구 단위에서 보다 적극적인 사업 수행이 이루어진 요인이 큰 것으로 평가됨. ○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다양한 지역사회기관과의 협업을 통하여 발견된 자살고위험군에 대하여 의료, 복지, 심리, 직업, 기타 다양한 지역사회자원을 연결하기 위한 시도가 전년대비 보다 적극적으로 진행됨. ○ 자치구에서 먼저 이루어진 IAPT 통합적 상담관리서비스 수행을 지원하기 위해 광역단위에서 우선적으로 2가지 상담기초과정 중심의 실무자 워크샵을 통한 초기 네트워킹 구축이 이루어짐. ○ 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다양한 형태의 참신한 토론 기법을 활용한 아젠다 발굴활동이 광역단위 지원으로 자치구에서 처음 진행되었으며, 이를 분석한 보고서 발간도 함께 진행하여 근거를 마련하였음. 개선 방향 ○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를 위한 다양한 유관기관별 지속적인 교육 수행과 서울시 보건소 공동협력사업 평가지표에 국한하지 않더라도 자살고위험군 욕구에 따른 연계를 활성화하는 노력이 필요함 ○ 취약지역 사회복지관 중심 실무자 대상 교육 및 네트워크 체계 구축과 더불어 향후 사업 수행을 위한 IAPT 통합적 상담관리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이 향후 함께 이루어져야 함. ○ 향후에도 사업수행과정에서 다양한 시민참여를 위한 의사소통구조를 지속적으로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 추진 담당자 계획 보건소 자살예방담당 실행 보건소 자살예방담당 우수활동사례 2 : 시민 참여형 사회복지안전망 강화 위한 <시민참여 자살예방 아젠다 및 전략마련 토론회> 추진 배경 - 서울시에서는 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관계기반 자살예방모델을 지향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시민 참여기회를 지속적으로 보장하고 소통구조 마련이 필요함. - 자치구 단위에서도 사회복지안전망 가화 위해 주민 입장에서의 실질적으로 삶과 직결되어 있는 자살예방 아젠다 발굴 및 실천계획 수립이 필요한 시점임. 추진 개요 - 기간 : 6월~12월 - 대상 : 서울시민 및 전문가 - 참여기관 :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개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관계자, 관내 주민 결과 및 성과 ○ 결과 1) 4개구 자살예방 전략 마련 시민토론회 - 지역사회 기반 생명사랑 열린 시민토론 기법 이해 위한 간담회 : 1회 총 18명 - 자살예방 시민토론회 사후간담회 : 1회 총 20명 - 4개구 자살예방 시민토론회(오픈스페이스) : 4개구 주민 총 480명 참여 구분 참여인원 제출 안건 형성 모둠 행동계획 제안·요청 이슈 강북 123 28 12 66 55 95 동대문 157 27 14 61 41 88 영등포 130 35 14 65 50 99 관악 70 28 7 29 - 4개구 자살예방 시민토론회 보고서 발간 및 보급 ○ 성과 - 광역단위의 지원하에 오픈스페이스 토론 기법을 활용한 시민주도의 토론회 진행이 자살위기현황이 발생된 4개구 중심으로 이루어짐. - 자치구별로 주민 모집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안건 및 실천 계획들이 다양하게 도출되었으며, 참여 주민의 의식제고 및 이를 통한 주민참여형 자치구 맞춤형 자살예방사업 수행의 실질적인 근거가 마련됨. 향후 계획 5개구 시민토론회가 일회성 행사에서 종결되지 않고 여러 안건 및 실천계획들이 향후 지역에서 실천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 및 의견 반영 노력이 지속되어야 함. 사진 4개구 자살예방 시민토론회(오픈스페이스) ①-2-2. 범부처 자살예방 협력체계 구축 세부 사업명 범부처 자살예방 협력체계 구축 사업 목적 자살위기에 대한 범부처별 대응협력체계를 통한 고위험군 발굴체계 구축, 적극적인 개입 및 사후관리 강화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9. 1월 ~ 12월 실행 2019.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서울시, 25개 자치구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25개 자치구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자살위기평가 및 개입에 대한 교육 및 사례 자문 실행 ○ 자살위기평가 및 개입에 대한 교육 및 사례 자문 - 정신건강복지센터대상으로 사례자문 지원, 통합사례회의 진행 - 서울형 돌봄자원(찾·동, 돌봄SOS센터 등) 주민센터, 복지관을 대상으로 자살고위험군 위기평가 및 개입에 대한 교육 진행 - 자치구 단위 관내 자살예방 위한 유관기관괴의 MOU 체결 : 총 278건 - 자살예방 위한 청년, 주거영역 주요 유관기관과의 MOU 체결 :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와의 협약식 - 정보교류 및 자문, 교육 및 홍보 협력 - 청년중 자살고위험 서비스 필요자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연계 방안 논의 서울주택도시공사(SH) 협약식 - 공공임대주택 취약지역 자살률 감소 상호 정보 교류 및 인프라 형성 협력 - SH내 교육 및 홍보 협력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없음 집행 없음 변경 및 보완 사유 해당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A [변경지표] 협력부터 교육 및 자문 건수 20회/500명 [이전지표] 자살예방위원회의 달성률 66% 측정 방법 자체조사 목표 설정 근거 최초 목표한 건수의 달성여부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협력부처 교육 및 자문 건수 119회/7,277명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595% 달성 미달성 사유 해당사항 없음 평가 사업 평가 ○ 25개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교육청, 학교, 지역사회복지관, 기타 지역사회 유관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각 해당 영역에서 자살위기 평가 및 보다 전문적이고 효과적인 개입을 위한 광역단위에서의 사례 자문과 교육을 통한 지원이 활성화되었음. ○ 자살위기에 대한 범부처별 대응협력체계에 있어 광역단위에서 새롭게 청년, 주거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대표적인 유관기관들과 상호 MOU 체결함. ○ MOU 체결을 토하여 상호 사업 정보 교류 및 자문, 교육 지원, 자살 고위험군 서비스 연계 방안 논의 등 보다 실질적인 사업 협력을 위한 의사소통 협력체계를 마련함. 개선 방향 ○ 기존 유관기관들과의 협력체계는 긴밀하게 유지하되, 좀 더 영역을 다각화하여(고용, 실업, 파산, 가정 위기등) 고위험군 접점 기관을 대상으로 한 네트워크를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구축해 나갈 필요가 있음. 추진 담당자 계획 보건소 자살예방담당 실행 보건소 자살예방담당 ①-3-1. 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세부 사업명 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업 목적 자살수단에 대한 접근 기회 제한 강화,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등으로 고위험군 발굴 및 연계 지속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9. 1월 ~ 12월 실행 2019.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관련 업체 종사자 및 소상공인, 유관기관 및 부처, 생명지킴활동가 실행 관련 업체 종사자 및 소상공인, 유관기관 및 부처, 생명지킴활동가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 자살위험 환경개선 실행 ○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자치구 단위 다양한 수단접근 통제를 위한 교육 및 실천활동 : 3,321건 - 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과의 업무 협약 체결 통한 협력 : 번개탄 유통 시 자살예방 수단관리 강화, 유통·진열 방식 변경 등 접근 기회 제한 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 서울지부 간담회 : 1회 서울시자살예방센터-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 서울지부 MOU 체결 자치구 ‘생명지킴이 희망판매소’ 활동키트(3종) 제작 및 배포 : 전단지 2,550부, 스티커 5,000부, 친환경 생분해 링고리 봉투 10,000부 : 25개구 보건소 및 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 5개 서울조합 배포 생명지킴활동가들의 희망판매소 모니터링 통한 인식개선 도모 : 자치구 단위 생명지킴이 희망판매소 동의 업소 : 총 1,464개소 희망판매소 동의 업소에 현장 방문하여 모니터링 한 건수 (수단 차단을 위한 교육 및 실천 활동) : 3,321건 ○ 자살위험 환경개선 - 주거취약지역 중심 자살예방사업을 위한 서울도시주택공사(SH)와의 간담회 : 1회 5명 참여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25개 자치구 보건소 자살예방전담요원 및 생명지킴이 실행 25개 자치구 보건소 자살예방전담요원 및 생명지킴이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612천원 집행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612천원 변경 및 보완 사유 해당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A [변경지표] 수단차단을 위한 교육 및 실천활동 400건 [이전지표] 일산화탄소 투신 사망자수 5% 감소 ※ 2020년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발표 이후 확인 가능 측정 방법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실적 현황표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목표 설정 근거 최초 목표한 건수의 달성여부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수단차단을 위한 교육 및 실천활동 3,321건(‘19년)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830% 초과달성(3,321건/400건100) 미달성 사유 해당사항 없음 평가 사업 평가 ○ 자치구 단위에서 생명지킴활동가를 중심으로 자살수단 접근 차단을 위한 교육 및 실천활동인 희망판매소 모니터링 사업이 매우 활발하게 수행되었음. ○ 한국슈퍼마켓협동조합 서울지부와의 MOU 체결로 기존에 자치구 단위로 수행했던 ‘생명지킴이 희망판매소’ 사업에 있어 중앙단위에서 보다 긴밀한 협력체계구축을 위한 기반 조성. ‘생명지킴이 희망판매소’ 활동키트 3종 보급 확대와 함께 번개탄 판매업소의 민감성 향상 및 자살예방문화 확산에 기여함. ○ 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 서울지부와의 간담회에서 자살수단 통제를 위한 조합측의 의견을 반영하여, 생분해 친환경 봉투등에 자살예방문구나 상담전화번호를 인쇄하여 보급함. 개선 방향 ○ 생명지킴활동가들의 주요 역할의 하나인 희망판매소 모니터링이 향후에도 동의 업소 확대와 함께 활성화될 수 있도록 생명지킴활동가들에 대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관리 및 지원체계 마련이 필요함. ○ 향후에도 자살수단 통제를 위한 지역사회 접근 전략으로 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과의 긴밀한 협력체계를 유지하며, 조합원 대상 인식개선을 위한 사업 홍보 및 설명회, 민감성 향상을 위한 교육 등 지속적인 협력사업이 이루어져야 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및 25개 자치구 보건소 실행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및 25개 자치구 보건소 ①-3-2. 온라인상 자살유해정보 차단 강화 세부 사업명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강화 사업 목적 온라인상 자살유해정보의 모니터링 및 신고 체계 활성화를 통해 자살유해정보 노출을 감소시키고 관련 대상자에 대한 정신건강서비스 연계 협력체계 구축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9. 1월 ~ 12월 실행 2019.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서울시 25개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담당자, 온?오프라인 언론사, 경찰서, 포털사이트 등 실행 서울시 25개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담당자, 온?오프라인 언론사, 경찰서, 포털사이트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자치구 중심의 유해정보차단 체계 구축 실행 ○ 자치구 중심의 유해정보차단 체계 구축 - 자살유해정보 차단관련 생명지킴활동가 교육매뉴얼 제작 및 배포 : 총 500부 제작 및 25개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보급 생명지킴활동가 교육매뉴얼 : 사업 의미, 역할, 개인정보보호의 중요성, 행정실무 및 자원활용, 의사소통과 상담기술 등 수록 - 자살유해정보 차단관련 생명지킴활동가 교육 : 총 2회 342명 참여 교육과정 : 마을과 함께 삶을 일으키는 생명지킴활동가로서의 인식 강화, 개인정보, 행정서류와 지역사회정보, 대화의 기술에 관한 교육 ※ 생명지킴활동가 : 생명지킴이 희망판매소, 준사례관리, 생명이음청진기, 유해환경감시단 활동을 정기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일정 교육을 이수한 시민. ‘19년부터 그 동안 준사례관리자로 사용했던 명칭을 생명지킴활동가로 변경함.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7,289천원 집행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7,289천원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변경지표] 자살유해정보 차단 관련 교육 참여인원 수 400명 [이전지표] 유해정보차단 조례 제정률 35% 측정 방법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실적 현황표 목표 설정 근거 최초 목표한 건수의 달성여부 실행 목표 달성 내용 자살유해정보 차단 관련 교육 참여인원 수 342명(‘19년)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85.5% 달성 미달성 사유 온라인상의 자살유해정보 차단 강화를 위한 사업에 대한 자치구 내 역할 및 필요성에 대한 관심도가 낮음. 평가 사업 평가 ○ 그 동안 시민들이 자살유해환경감시단, 생명지킴이 희망판매소, 생명이음청진기, 준사례관리 역할을 통합하여 ‘생명지킴활동가’라는 보다 친근한 명칭으로 변경한 부분이 적절한 것으로 평가됨. ○ 생명지킴활동가의 역할을 보다 강화하고 활동가 매뉴얼을 보다 정교하고 구체적인 컨텐츠를 포함하여 개발하여 자치구에 보급하였음. ○ 생명지킴활동가의 역할로 유해환경감시단 역할이 명시되어 있어 광역단위 생명지킴활동가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운영하였으나, 실제 자치구 단위에서는 이에 관한 관심수준이 낮은 편으로 평가됨. 개선 방향 ○ 본 사업은 자치구 단위 관심수준이 낮은 편으로 광역단위에서 생명지킴이활동가에 관한 컨텐츠 개발 및 보급, 활동가에 대한 정기 교육 과정 마련을 통하여 자살유해정보 차단 강화를 위한 지원을 지속하는 것이 필요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실행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②-4-1. 아동?청소년 자살예방 세부 사업명 아동·청소년 자살예방 사업 사업 목적 아동청소년 자살로 인한 사회적 혼란 최소화 위한 관련기관과 협력체계 강화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9년 1월 ~ 12월 실행 2019년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서울시교육청, 학교(교직원, 학생), 아동청소년 서비스 기관 등 실행 서울시교육청, 학교(교직원, 학생), 아동청소년 서비스 기관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학교 자살예방대책 내실화 ○ 학교 밖 청소년 자살예방 체계 강화 실행 ○ 학교 자살예방대책 내실화 - 서울시교육청 생명존중위원회 : 총 4회 참여 서울시자살예방센터장 참여하여 ‘19년 학생 자해 및 자살시도 현황 공유 및 학생자살예방 접근 및 대책 방안 논의. 서울시교육청에 보고된 학생자살사망현황 통계 확보 - 학생의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 인식개선을 위한 교사용 생명지킴이 콘텐츠 개발 및 보급 - 교사를 위한 생명지킴이교육 과정 개발 및 운영 : 교사용 생명지킴이교육 워크북 개발 : 500부 제작 교사용 생명지킴이교육 강사매뉴얼 개발 : 100부 제작 교사용 생명지킴이 강사양성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 2회 운영. 교사용 생명지킴이 강사 49명 양성 자치구 단위 교사용 생명지킴이 교육컨텐츠 활용한 생명지킴이 양성사업 수행 ○ 학교 밖 청소년 자살예방 체계 강화 - 자치구내 청소년 관련 기관과의 고위험군 협력 및 의뢰 체계 강화 (보건소, 청소년 쉼터, 청소년 상담기관, 대안 학교 등 업무협력 MOU 체결) -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변경 및 보완 사유 자치구 별 특성에 따른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청소년 생명존중 문화조성 사업 진행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교육청,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교육청,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5,987천원 집행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5,987천원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변경지표] 아동·청소년 관련기관 생명지킴이 교육 양성자수 2,000명 [이전지표] 아동청소년 자살률 5,5명 측정 방법 생명지킴이 온라인 관리 시스템 등록 회원 수 분석 목표 설정 근거 아동·청소년 관련기관 생명지킴이 양성 수 확대를 통한 고위험군 의뢰체계 강화 실행 목표 달성 내용 아동청소년 관련기관 생명지킴이 교육 양성자수 2,135명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106.8% 달성 미달성 사유 해당사항 없음 평가 사업 평가 ○ 분기별 서울시자살예방센터-서울시교육청 생명존중위원회 회의를 통해 서울시 소재 중?고등학교 자살(자해)시도 청소년 안전망 구축 강화를 위한 자문 및 의견 제시함. ○ 교사용 생명지킴이 교육 컨텐츠(워크북, 강사진행매뉴얼) 개발 및 보급을 통해 보다 적절하고 표준화된 교육자료 제공이 가능해짐. ○ 학교 내 자살사망 및 자살시도, 자해 발생 시 위기중재, 사후중재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통해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 진행됨. ○ 광역단위에서 학교를 기반으로 교육청과 협력하여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나, 학교 밖 청소년 대상 자살예방 체계 강화를 위한 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 및 위해 사업 실행수준은 미흡함. 개선 방향 ○ 학교에서 자살고위험 학생에 대한 다양한 발견 방법 및 개입 방안에 대한 요청들이 많아 교사용 생명지킴이 양성 등을 통해 점진적으로 교육청(Wee센터), 학교상담가, 교사 주도 교육으로 방향성 전환이 필요. ○ 자치구 실정에 맞춰 아동청소년 대상 생명존중 교육 지원 체계 마련이 필요함. ○ 학교밖 청소년을 위한 기관과의 향후 협력체계 마련이 필요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교육청,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교육청,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우수활동사례 3 : 아동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교사용 생명지킴이교육 컨텐츠 개발 및 보급> 추진 배경 - 지역사회 아동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체계화된 컨텐츠 활용한 교육을 통해 자치구 중심 자살 고위험군 관리체계 필요 - ‘18년 교사를 위한 생명지킴이교육 콘텐츠 개발 이후 강사를 위한 별도 컨텐츠 및 이를 활용한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 추진 개요 - 기간 : 2월~7월 - 대상 : 서울시 초중고 교사 - 참여기관 : 25개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무자 - 내용 : 학생의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 인식개선을 위한 교사용 생명지킴이 콘텐츠와 교육과정 개발함. ※ 교사용 생명지킴이 강사매뉴얼 구성 - 청소년 생명지킴이란 - 자살에 대한 이해 : 청소년 자살문제 현황, 바로 알기, 지킴이의 마음가김 - 마음이음 활동 : 마음알기(학생에게 관심갖기, 학생과 대화하기), 이음하기(학생을 전문기관 연계하기) - 생명지킴이 활동 안내 및 동의, 지킴이로서 다짐 결과 및 성과 ○ 결과 - 교사용 생명지킴이교육 워크북 개발 및 보급(500부) - 교사용 생명지킴이교육 강사매뉴얼(100부) 및 진행용 PPT 개발 및 보급 - 교사용 생명지킴이 강사양성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 2회 운영. 교사용 생명지킴이 강사 49명 양성 ○ 성과 - 기존의 서울형 생명지킴이 교육콘텐츠를 교사 입장에서 맞춤형으로 새롭게 구성하여 보급할 수 있게 됨. - 개발된 교사용 지킴이 교육콘텐츠를 활용하여 교육의 질 향상 및 보다 체계적인 교육제공이 가능해짐. 향후 계획 광역단위에서는 교사용 생명지킴이교육 콘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 및 강사양성과정에 대한 평가를 통한 지속적인 질적 향상 도모 예정. 사진 ②-4-2. 청년?중장년층 자살예방 세부 사업명 청년·중장년층 자살예방 사업 목적 다층적 개입방안을 통한 청년·중장년층 자살위험군 조기 발견·개입 체계 마련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9년 1월 ~ 12월 실행 2019년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서울시민(청?중장년층), 대학교, 중장년관련기관, 취업관련기관, 관련단체, 의료기관 등 실행 서울시민(청?중장년층), 대학교, 중장년관련기관, 취업관련기관, 관련단체, 의료기관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대학 내 자살위기 대응 역량 강화사업 ○ 직장 내 자살위기 대응 역량 강화사업 ○ 취약계층 서비스 유입 활성화 ○ 자살예방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실행 ○ 대학 내 자살위기 대응 역량 강화사업 - 교수·직원, 대학생 대상 생명지킴이교육 수행 - 대학교 내 상담기관과의 업무협력 및 고위험군 의뢰체계 강화방안 ○ 직장 내 자살위기 대응 역량 강화사업 - 사업장 관리자, 직원 대상 생명지킴이교육 수행 민방위 대상 생명지킴이교육 수행 ○ 취약계층 서비스 유입 활성화(중장년층) 보건소 및 의료기관 방문대상자 중심 중장년 1인가구 실태조사 - 마음건강 검진상담지원, 우울증 예방 및 관리 상설 프로그램 운영 자활센터와 협력 중장년 대상 자살예방프로그램 운영 - 서울시 50+캠퍼스와 협약 체결 및 상담, 강좌, 무인검진기 설치 운영 ○ 자살예방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 서울형 생명지킴이 기본형 교육컨텐츠 보완 : 1회 (기본형 워크북, 강사진행매뉴얼, 교육진행PPT 보완) 서울형 생명지킴이 기본형 보건복지부 자살예방 프로그램 재인증 기본형/교사용 생명지킴이 교육프로그램 명칭 변경 및 공모 진 생명지킴이 온라인 관리시스템 관리 및 운영 - 중장년 자살예방 전문가토론회 : 1회 36명 참여 - 중장년 자살예방 시민대토론회(타운홀미팅) : 1회 103명 참여 - 중장년 자살예방 토론회 분석 보고서 발간 및 보급 - 중장년 자살예방 위한 온라인투표 진행 - 중장년 자살예방 위한 온라인 광고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중장년관련기관, 대학교, 취업관련기관, 동주민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중장년관련기관, 대학교, 취업관련기관, 동주민센터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12,399천원 집행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12,399천원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A)) [변경지표] 청?중장년층 생명지킴이 교육 양성자 수 1,000명 [이전지표] 청년 중장년층 자살률 22.2명 측정 방법 생명지킴이 온라인 관리 시스템 등록 회원 수 분석 목표 설정 근거 청?중장년층 생명지킴이 양성을 통한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 및 개입 체계 마련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6,709명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570.9% 달성 미달성 사유 없음 평가 사업 평가 ○ 청년, 중장년층에서의 취약계층 서비스 유입 활성화를 위한 자치구 단위에서 관련 유관기관과의 협력 통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짐. ○ 중장년 자살예방 위한 전문가 토론회 개최를 통해 중장년 대상으로 한 지역기반 현장 연구 방법, 심층 인터뷰를 통한 질적조사, 외국의 문헌 조사 등을 통해 중장년 남성의 특성과 자살예방을 위한 필요 요인 등을 파악하여, 자살예방서비스 개발을 위한 근거를 마련함. ○ 청년, 중장년층에서 자살고위험군 발견 및 연계의 적극적인 역할을 부여하기 위해 청년, 중장년층이 참여하는 생명지킴이 교육이 보다 활성화되었음. 개선 방향 ○ 청년, 중장년층을 위한 생명지킴이 양성 확대를 위해 관련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체계 마련을 통한 생명지킴이 교육 확대가 필요함. ○ MOU를 체결한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와도 보다 긴밀한 사업협력체계구축을 통해 향후 청년활동가를 중심으로 한 생명지킴이 양성 활성화 필요함. ○ 중장년 자살예방토론회 이후 정리된 분석보고서상의 다양한 컨텐츠 및 정책적 아이디어들을 향후 사업에도 지속적으로 반영하고 활용하는 것이 필요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우수활동사례 4 : 중장년층 자살예방 위한 전문가 및 시민 참여형 <정책 아젠다 소통 프로젝트> 추진 배경 - ‘12년 이후로 서울시 자살사망률은 전 연령대에서 감소 추세에 있으나 40~64세까지 중장년층 자살률는 감소폭이 미미하거나 증가추세임. 특히, ‘16년 기점으로 50대가 60대 자살률을 추월하며 5대 자살률 문제가 대두. - ‘18년도 서울시 전체 자살사망자수중 중장년 자살사망자수는 1,001명(46%), 중장년 남성은 737명(33.9%)로 높은 비율 자치. - 중년층에 대한 자살예방 정책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으로 중년층 대상 자살예방 전략 마련이 시급함. 추진 개요 - 기간 : 10월~12월 - 대상 : 서울시민 및 전문가 - 참여기관 : 서울시민, 중장년 관련기관, 정신보건관련기관 결과 및 성과 ○ 결과 1) 중장년 자살예방 전략 마련 토론회 - <쓸쓸히 사라지는 중장년 남성 구하기> 중장년 자살예방 전문가토론회 : 1회 36명 :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의 다학제적 접근과 토론을 통하여 중장년 남성의 자살예방을 위한 다양한 의견 수렴 및 사회적 의제(아젠더)를 선정하고자 함. 주제1. 중장년 남성의 실태 ‘서울시 고독사 실태 파악 및 지원 방안 연구보고’ 주제2. 중장년 남성 자살예방 서비스에 대한 질적 조사 ‘40-50대 남성자살시도자들에게 필요한 사회서비스는 무엇인가’ 주제3. 중장년 자살예방을 위한 문헌조사 ‘중장년 남성 자살예방 프로그램’ - <쓸쓸히 사라지는 중장년 남성 구하기> 중장년 자살예방 시민대토론회(타운홀미팅) : 1회 103명 총 10개 모둠에서 25개 영역, 132건의 안건 제출. 시민의 전자투표 참여 통한 순위 결정 및 결과 발표 - 중장년 자살예방 토론회 분석 보고서 발간 및 보급 중장년 자살예방 위한 온라인투표 진행 중장년 자살예방 위한 온라인 광고 : 광고효과수치기술 SNS 광고 위한 카드뉴스 제작 : 1건 중장년 시민토론회 의견 선호도 조사 투표 유입 배너 제작 : 1건 중장년 시민토론회 공감투표결과 발표 카드뉴스 제작 : 1건 온라인 광고 유형 도달수 좋아요, 댓글, 공유 카드뉴스 게시물 302 14 온라인투표 유입 배너 1,462 103 공감투표결과 카드뉴스 959 46 ○ 성과 - 높은 자살사망비율에도 상대적으로 사회적 관심에서 제외되었던 중장년 남성의 자살 심각성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시민 대상 생명존중문화 조성에 기여함. 향후 중장년 자살예방사업 추진 위한 다양한 컨텐츠와 여러 정책적 아이디어가 도출됨. - 중장년 자살예방 토론회 분석 결과 자살예방은 전 사회적 관심으로 다양한 영역의 부처간 협력과 시민 참여가 뒷받침될 때 더욱 실효성 있는 정책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핵심 결론이 도출됨. - 토론회 이후에도 후속작업으로 토론회 결과 도출된 여러 컨텐츠를 활용하여 온라인카드뉴스 제작 및 SNS 광고를 통해 사회적 관심을 유도하였음. 향후 계획 중장년 자살예방토론회 분석보고서상의 여러 컨텐츠 및 정책적 아이디어들을 향후 사업에도 지속적으로 반영하고 활용하고자 함. 사진 중장년 자살예방 전문가토론회 중장년 자살예방 시민토론회 중장년 자살예방 토론회 분석보고서 중장년 자살예방 위한 온라인 투표 중장년 자살예방 온라인 공감투표결과 중장년 자살예방 카드 뉴스 ②-4-3. 노인 자살예방 세부 사업명 노인자살예방 사업 목적 취약 노인 자살위험군 조기발견 및 개입을 위한 협력체계 마련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9. 1월 ~ 12월 실행 2019.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서울시민(노인), 노인 보건복지서비스 기관, 노인 관련 기관 및 단체 등 실행 서울시민(노인), 노인 보건복지서비스 기관, 노인 관련 기관 및 단체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노인 생명존중 인식개선 활성화 ○ 노인 자살예방 인프라 및 네트워크 구축 ○ 노인 자살고위험군 서비스 연계 실행 ○ 노인 생명존중 인식개선 활성화 - 노인 생명존중 및 정신건강 인식개선을 위한 시민 참여형 캠페인 ○ 노인 자살예방 인프라 및 네트워크 구축 - 생명지킴활동가 대상 교육 : 총 2회 342명 참여 (노인 자살위험군의 발굴 및 서비스 제공) 교육과정 : 마을과 함께 삶을 일으키는 생명지킴활동가로서의 인식 강화, 개인정보, 행정서류와 지역사회정보, 대화의 기술에 관한 교육 - 노인 대상 기관 생명지킴이교육 : 대상 : 동주민센터, 노인복지관, 치매지원센터, 노인대학, 경로당, 노인복지시설 종사자 및 이용자 대상 - 자치구단위 노인 대상 자살예방교육 및 자살예방통합프로그램(활동중심) - 생명사랑 실천환경 조성 및 자살예방을 위한 주민동아리(생명지킴활동가 및 생명지킴이) 조직화 활동 지원 - 노인보건복지 서비스 자원 활성화를 위한 교육 및 정보 제공 ○ 노인 자살고위험군 서비스 연계 - 노인 정신건강 위험군 스크리닝, 치료·심리지원, 상담서비스 지원 - 자살고위험군 발굴 연계 관리 :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간호사 통한 집중 발굴, 자살위험성 평가, 보건복지 통합자원 연계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복지서비스 기관 실행 서울시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복지서비스 기관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6,560천원 집행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6,560천원 변경 및 보완 사유 자치구 실정에 맞게 조율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A)) [변경지표] 생명지킴활동가 교육 시 노인(65세 이상) 참여율 35% [이전지표] 노인자살률 39.6명 측정 방법 생명지킴이 온라인 관리 시스템 등록 회원 수 분석 목표 설정 근거 비슷한 연령층 노인의 돌봄을 통한 정서지원 효과 기대 실행 목표달성 내용(B) 생명지킴활동가 노인 참여율 36.2%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103.4% 달성 미달성 사유 없음 평가 사업 평가 ○ 자치구 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생명지킴활동가중에서 65세 이상 노인참여율이 목표 수준 대비 달성하여, 노인 대상 생명지킴활동가 양성을 통해 비슷한 연령층의 노인 대상 돌봄 통한 정서지원 효과가 기대됨. 향후 생명지킴활동가 노인 참여율 증대를 통해 향후 마을조직형 자살예방사업 추진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평가됨. ○ 자치구 단위에서 노인 자살고위험군 발굴을 위한 다양한 접접의 기관 종사자 및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스크리닝 및 서비스 지원, 생명지킴이교육이 보다 다각적으로 이루어짐. 개선 방향 ○ 노인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 정신건강 및 치매, 노인우울증 등 노인의 특성을 충분히 감안한 방식으로 자살예방교육 컨텐츠 개발 및 보급방식이 필요함. ○ 노인 자살고위험군 서비스 연계를 위해서는 향후에도 다양한 접점의 노인관련기관 중심으로 발굴체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강화하는 것이 필요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세부 사업명 자살고위험군 대상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사업 목적 정신·신체질환자 및 자살유족 등 고위험군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전략 수립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9년 1월 ~ 12월 실행 2019년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자살유족, 정신질환자, 만성신체질환자, 취약계층 등 자살 고위험군 실행 자살유족, 정신질환자, 만성신체질환자, 취약계층 등 자살 고위험군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자살유족지원 ○ 신체·정신질환자 자살예방 실행 ○ 자살유족지원 - 지역사회 자살유족서비스 강화 전화 내소 방문 기타 합계(건) 1094 529 368 59 2050 자살유족 애도상담 프로그램 : 1577-0199 내선 방문 합계 98 89 2 189 자살유족 의뢰체계 구축 자살유족 대상 정신건강복지센터 서비스 연계 27건 - 자살유족 당사자 활동 강화 자작나무 : 자작나무 교육 및 나눔 총 8회 특강 및 외부활동 운영 총 8회 실인원 94명/연인원 263명 ※ 자작나무 :(자)살유족 (작)은 희망 (나)눔으로 (무)르익다의 줄임말 고인별모임 : 자녀, 부모, 배우자, 형제자매모임 총 45회/실인원 104명/연인원 316명 모임구분 회기 실인원 연인원 자녀모임 11 20 63 부모모임 14 45 148 배우자모임 11 17 60 형제자매모임 9 22 45 자살유족 멘토 양성과정 운영 및 활동 지원 : 유족멘토간담회 1회 8명 멘토보수교육 및 간담회 1회 16명 자살유족 당사자 멘토 양성 : 총 5회 5명 양성 멘토활동 평가회 1회 13명 자살유족모임 운영지원 : 멘토운영횟수 24회, 진행멘토 24명 자살유족 회복캠프 : 2회 82명 - 자살유족 위한 마음공간 운영 모이다 자작나무 서비스 구분 심리안정 자작나무모임 문화의날 멘토와의만남 기타 합계 참석인원 6명 263명 8회/43명 15회/74명 39명 425명 자살유족 회복프로그램 운영 : 7회 58명 참여 (언론인과의 만남, 다양한 예술활동, 나에 대한 이해 등) 자살유족 당사자 동아리 활성화 : 라인댄스 8회 33명 / 글쓰기 9회 52명 - 자살유족 사후중재 프로그램 지원 : 자살사망 및 자살시도를 경험한 서울시 정신보건사업 실무자, 학교, 기업 및 그 가족의 2차적 피해경험과 소진 예방 목적(‘19년도에는 학교 학생대상 지원) 사후중재유입 정보제공 사전회의 개입내용 집단교육 개별상담 14건 14건 7건 2건/82명 6건 ○ 신체·정신질환자 자살예방 - 생명이음 청진기 사업 활성화 등을 통한 고위험군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 - 장애인 시설·정신보건기관 간 연계 체계 활성화 및 지킴이 활동 강화 -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자살 고위험군 정기평가 및 사례관리 - 지역사회 유관기관 간 협력체계 구축 및 간담회 실시 - 정신의료기관, 정신재활시설, 정신요양시설 대상 생명지킴이 교육 실시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지역사회관련기관 등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지역사회관련기관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5,903천원 집행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5,903천원 변경 및 보완 사유 해당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A [변경지표] 고위험군 상담건수 (전년대비 4% 증가) [이전지표] 자살유족 서비스 이용의향룰 65%(17년도) [이전지표] 신체정신자살상담건수 25,200건 (전년대비 3% 증가) 측정 방법 MHIS 데이터 분석 (육체적, 정신 문제) 목표 설정 근거 자살 고위험군의 상담 서비스 건수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변경지표] 고위험군 상담건수 전년대비 12.8% 증가 : 2018년 31,952건 2019년 36,054건 [이전지표] 자살유족 서비스 이용의향룰 65%(17년도) [이전지표] 신체정신자살상담건수 전년대비 4.1% 감소 : 2018년 26,285건, 2019년 25,200건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109.6% 달성 미달성 사유 없음 평가 사업 평가 ○ 자살유족을 위한 쉼터(마음공간) 서비스 참여율 역시 ‘18년 19.6%(51명)에서 ’19년 34%(111명)로 증가되는 등 유족전용공간 확보 및 정규프로그램이 다양해지면서 신규 이용인원이 증가하였음. ○ ‘18년도 자살유족을 위한 쉼터(마공음간) 개소 이후 ’19년도에는 자살유족서비스의 본격적인 확대 진행으로 유족서비스의 다양화 및 서비스 유입 활성화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음. ○ 유족서비스 의뢰체계 활성화로 정신보건기관의 자살유족서비스 의뢰건수가 증가하였으며, 서비스 접근성이 강화됨. ○ 자살 고위험군 발굴 및 의뢰를 위해 다양한 지역사회 유관기관과의 의뢰체계를 유지하여 조기발견 및 개입 위한 원활한 협력시스템 마련함 개선 방향 ○ 자살고위험군의 정의를 명확히 정리하고 전체지표를 함께 기술하는 것이 필요함 ○ 향후 자살유족 대상으로 정기적인 문화와 연결된 자살 유족 서비스 체계 마련과 함께 자살유족모임에 대한 객관적 평가를 통해 자살유족의 고인별, 연령별, 사별시기별로 근거기반 서비스 체계를 고도화 필요함. ○ 지역사회의 자살유족서비스 접근성이 강화됨에 따라 지역정신보건기관 전문가들의 역량강화 및 사별 초기 자살유족 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광역단위의 지속적인 지원체계 마련이 필요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지역사회관련기관 등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지역사회관련기관 등 ②-5-1. 자살고위험군 대상별 자살예방대책 추진 우수활동사례 5 : 건강한 애도과정 지원 위한 <자살유족 당사자 활동강화 프로젝트> 추진 배경 - 건강한 애도과정을 경험하지 못하는 자살유족들이 대다수이며, 고인을 충분히 애도할 수 있는 시간과 기회를 제공하여 정상적인 애도과정을 경험하고 일상생활로의 회복을 돕는 것이 필요함. - ‘18년 자살유족을 위한 자작나무 마음공간이 구축되면서 이후 자살유족이 보다 주도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활동 지원체계 마련 필요 - 자살사망 경험 이후 일상생활로 회복한 유족이 멘토가 되어 다른 유족들을 지원할 수 있도록 돕는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의 필요성 추진 개요 - 기간 : 2019년 1월~12월 - 대상 : 서울시자살예방센터로 서비스 유입된 유족 - 목적 : 자살유족 대상 건강한 애도과정 지원 및 일상생활로의 회복을 도모 참여기관 : 서울시자살예방센터 결과 및 성과 ○ 결과 - 자작나무 모임 운영 : 실인원 94명/연인원 263명 자작나무 교육 및 나눔 : 총 8회 (자살유족의 공감대 형성과 건강한 애도과정 지원) 자작나무 특강 및 외부활동 : 총 8회 (건강한 애도과정 지원 및 외부활동 통한 정서적 환기) - 고인별 모임 활동지원 : 자녀, 부모, 배우자, 형제자매모임 총 45회 실인원 104명/연인원 316명 - 자살유족당사자 멘토양성 유족멘토 간담회 : 1회 8명 멘토 보수교육 및 간담회 : 1회 16명 자살유족 당사자 멘토 양성 : 총 5회 5명 양성 자살유족 멘토활동 평가회 : 1회 13명 자살유족모임 운영지원 : 멘토 운영횟수 24회, 진행멘토 24명 - 자살유족 회복캠프 : 2회 82명 (외부활동 프로그램 및 심리안정 프로그램, 고인별 모임 등) ○ 성과 - ‘18년 대비 자살유족 신규자작나무 모임이 더욱 활성화되었음. 참여 유족 연인원 78.9%(147명→263명), 실인원 56.6%(60명→94명) 증가 - 보수교육 및 수퍼비전 체계 마련등 등 자살유족 지원 활성화로 ‘17년도 유족멘토 1기 양성 이후로 자살유족 동료상담가의 역할이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게 됨. - 자살유족 동아리활동에서 자살유족멘토가 실제 강사로 참여하여 동아리 기획부터 진행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함께 참여하는 등 소비자 참여수준 증대됨. 향후 계획 ○ 자살유족을 멘토로 양성하여 유족 스스로 건강한 애도과정 지원을 통해 다른 유족을 지원해나가는 사회적 지원체계를 지속해나갈 계획임. 사진 자작나무 글쓰기 동아리 문집 자작나무 모임 특강 자작나무 글쓰기 동아리 문집 “함께 하는 분들과 공감하며 상호 위로를 주고 받는 시간이었습니다. 주체적인 당사자의 활동으로 직면하는 시간이었습니다.” “문집이라는 결과물로 또다른 유가족과 공감하고 위로를 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고맙습니다.” “멈추었던 글을 꺼내서 표현할 수 있는 시간이 되어서 감사합니다.” “계속 글을 쓸 수 있는 ‘글 테라피’ 유익하고, 계속 하길 기대합니다.” 참여자 소감 자살유족 회복캠프 “자작나무를 통해 많은 위로가 되고 삶에 희망의 끈이 생기는 것 같아요. 슬픔에서 조금씩 위로 받고 자작나무 식구들도 보고싶다는 마음에 많은 위로가 되고 캠프도 너무 힐링이 되요.” “프로그램 중에 캠프가 제일 힐링이 된다. 캠프 다녀오고 난 후 몇일은 기분이 좋다.” 참여자 소감 ②-6-1.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세부 사업명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사업 목적 자살의시도자 위기 및 응급대응을 위한 지역사회 시스템 강화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9년 1월 ~ 12월 실행 2019년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서울시 거주 지역주민 실행 서울시 거주 지역주민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자살위기전화 위기대응 체계 운영 ○ 긴급출동 연계체계 마련 ○ 1577-0199 상담원 역량강화 ○ 감정노동자 심리적 외상 지원 연수 실행 ○ 자살위기전화 위기대응 체계 운영 1577-0199 상담전화 운영 현황 : 전체 23,679건 (전화 22,227건, 내소 533건, 방문 572건, 인터넷 331건, 기타 34건) - 경찰 및 소방, 110, 120, 129, 1393 등과의 응급 대응 체계 협력 - 자치구 내 자살 위험군에 대한 휴일·야간 모니터링 지원체계 운영 - 1577-0199 상담시스템 유지보수 : 기능개선 1회, 정기유지보수 ○ 긴급출동 연계체계 마련 - 24시간 전문인력 응급출동 체계 운영 - 자살 고위험 대상자에 대한 초기 평가 및 응급 대응 조치 : 1577-0199 이용자중 자살의시도자, 경찰 및 소방 의뢰된 자살의시도자 (신체안전확보→지구대 보호조치→2인1조 출동→자살위험성 평가) ○ 1577-0199 상담원 역량강화 - 24시간 전문상담인력 내?외부교육 및 수퍼비전 체계 마련 - 상황대응별 민원대응체계 구축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16,016천원 집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16,016천원 변경 및 보완 사유 해당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A [변경지표] 위기대응건수(전년대비 3% 증가) [이전지표] 자살상담증감율 측정 방법 [변경지표] ‘19년 응급출동건수 - ’18년 응급출동건수/‘18년 응급출동건수) 100 목표 설정 근거 MHIS 데이터 분석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변경지표] 위기대응건수 780건 : 전년대비 위기대응건수(응급출동) 27.2% 증가 : 2018년 613건, 2019년 780건 [이전지표] 자살상담증감율 6% 감소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123.5% 달성 미달성 사유 해당사항 없음 평가 사업 평가 ○ 1577-0199의 경우 전년대비 상담건수가 6% 감소하였으나, 자살 고위험군에 대한 현장 대응 위한 응급출동은 27.2% 증가함. 이러한 현장 대응 증가로 인해 제한된 상담인력에서 유입되고 있는 전화상담을 미처리하게 되는 경우가 증가한 측면이 있음. 개선 방향 ○ 향후 서울시 2030 종합계획 수립과정에서 1577-0199 상담전화의 운영 체계 변화에 따라서 상담인력 확충 부분 역시 함께 논의될 것으로 보임. ○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는 24시간 상담인력의 안정적 확보와 함께 상담에 대한 지속적인 질관리와 함께 상담인력을 보호하는 차원에서의 기관내 공식적인 질관리위원회가 함께 구축되어야 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②-6-2.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체계 마련 세부 사업명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체계 마련 사업 목적 자살시도자의 재시도 방지를 위한 의료-지역사회 전문서비스 체계 강화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9년 1월 ~ 12월 실행 2019년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서울시 거주 지역주민 실행 서울시 거주 지역주민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응급실 및 의료기관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 자살시도자 위기개입 및 사후관리 시스템 내실화 실행 ○ 응급실 및 의료기관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 자치구 단위 응급의료센터, 응급실 자살시도자-정신건강복지센터 연계 활성화 및 협력 강화 위한 간담회 - 자치구 단위 경찰-소방-정신건강 서비스 연계체계를 위한 간담회 - 서울시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위한 서비스디자인적 접근 연구 프로젝트 : 홍익대 시각디자인과 서비스디자인 전문가팀과 협력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서비스 디자인 개발 위한 회의 : 4회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실무자 좌담회 : 2회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서비스 이해관계자 및 경험 당사자 자문 : 2회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서비스 디자인 프로젝트 토론회 : 1회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서비스 디자인 보고서 제작 및 배포 : 1회 ○ 자살시도자 위기개입 및 사후관리 시스템 내실화 - 1577-0199 고위험군에 대한 희망문자 발송서비스(서울시) : 월1회 - 광역단위 자살의시도자 사후관리 모니터링 : 6개월 64명, 12개월 59명 - 자치구 단위 자살시도자 위기대응을 위한 응급출동 및 의료기관 연계 - 광역단위 자살의시도자 대상 희망편지 발송 : 2회 희망편지 제작 발송 8주 위기개입 종결 대상자중 지속관리 동의자 대상 희망편지 500매 제작 - 자치구 단위 자살의시도자 관리 사후모니터링(6개월, 12개월) : 모니터링 대상자 3,302명 / 완료자수 2,21명 / 재시도자 11명 자치구 단위 자살고위험군 대상 응급의료비 지원 : 102건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10,000천원 집행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10,000천원 변경 및 보완 사유 해당사항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A 응급실 의뢰 자살시도자 실인원수 400명 측정 방법 (19년 응급실 의뢰건수 - 18년 응급실 의뢰건수/18년 응급실 의뢰건수) 100 목표 설정 근거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실적 현황표 실행 목표 달성 내용 B 응급실 의뢰 자살시도자 실인원수 429명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107.3% 달성 미달성 사유 없음 평가 사업 평가 ○ 다양한 기관과의 발굴의뢰체계 구축 및 생명지킴이 활동 강화로 자살 고위험군 발굴을 향상시켰으며, 위기 개입 및 지속적인 사후 관리 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자살 고위험군의 위험성수준을 완화시킴. ○ 자치구 단위에서는 일부 자치구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응급실과 정신건강복지센터간의 소통체계 구축수준이 미흡하여 지역사회 연계체계 활성화에 한계가 있었음. ○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사업에서 “서비스디자인(디자인 방법을 통해서 서비스를 개선하고 개발하는 분야)”이라는 보다 참신한 접근 방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측면에서의 여러 제언사항 도출하였고, 향후 서울시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활성화를 위한 사업추진 근거를 마련함. 개선 방향 ○ 자살시도자 위기개입시 신체손상자에 대한 국공립정신보건의료서비스의 제한점이 많아 적극적인 개입을 인한 제도 마련 필요. ○ 향후 응급실 기반 자살예방 관계자 및 정신건강복지센터와의 연대감 조성 위한 네트워크 협력체계 마련이 필요함. ○ 서울시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체계 활성화를 위하여 관련기관과의 연대감 형성 및 협력체계 구축부터 우선 필요할 것으로 평가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우수활동사례 6 : 응급실 자살시도자를 생명으로 재연결하기 위한 터치포인트 찾기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서비스디자인 접근 프로젝트> 추진 배경 ○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사업 서비스 체계에 대한 변화 필요성 - '19년 기준 서울시내 권역응급의료센터(4개), 지역응급의료센터(27개), 지역응급의료기관(20개) 운영되고 있으나, 이 중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에 대한 사후관리를 수행하고 있는 곳은 현재 14곳(보건복지부 지원)이 전부임 - 서울시 관내 응급실 방문 정신응급 및 자해, 자살 환자는 연 5만명 수준으로 점차 증가 추세로, 응급실에 내원하는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체계 운영 확대 필요성 제기 ○ 서비스디자인 영역과 협력사업을 통한 새로운 관점 및 방향 모색 시도 - 최근 의료영역에서 의료 서비스의 이해관계자 경험을 바탕으로 서비스 흐름을 탐색하고 개선하는 서비스디자인적 접근이 증가 - 서울시는 응급실 자살시도자 관리 사업의 확대와 서비스 개선에 필요한 주요 사항 파악 및 발전 방향 모색을 위해 서비스디자인 전문가와 협력프로젝트 시행 후 결과 도출함. 추진 개요 - 기간 : 2019년 7월~12월 - 대상 : 서울시 응급실 내 생명사랑위기대응센터 의료진, 사례관리자, 자살시도자, 정신건강복지센터 실무자 - 참여기관 :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 서비스디자인전문가, 서울시자살예방센터 결과 및 성과 ○ 결과 - 서울시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위한 서비스디자인적 접근 연구 프로젝트 : 홍익대 시각디자인과 서비스디자인 전문가팀과 협력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서비스 디자인 개발 위한 회의 : 4회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실무자 좌담회 : 2회 총 39명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서비스 이해관계자 및 자살시도자 당사자 자문 : 2회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서비스 디자인 프로젝트 토론회 : 1회 총 16명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서비스 디자인 보고서 제작 및 배포 : 1회 ○ 성과 -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모델개발에 있어 서비스디자인적 접근 방법을 활용하여 서비스 과정상의 이해관계자들을 통해 현실적 문제 탐색이 이루어짐. -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기반으로 전체 서비스 흐름도와 장애 지점을 시각적 자료로 파악하고 개선을 위한 여러 인사이트 제공이 이루어짐. - 서울시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체계 활성화를 위한 기본적인 근거 생성의 기회가 되었음. 향후 계획 향후 서울시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체계 구축을 위하여 서비스 디자인적 접근 프로젝트의 인사이트를 적극 활용하되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단계별 접근이 필요함. 사진 실무자 좌담회 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 토론회 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 보고서 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 결과 ③-7-1.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세부 사업명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사업 목적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을 위한 업무 연계 및 협력 체계 강화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9. 1월 ~ 12월 실행 2019.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종교단체(기독교, 불교, 원불교, 천주교), 시민단체, 일반시민 등 실행 종교단체(기독교, 불교, 원불교, 천주교), 시민단체, 일반시민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지역특성마을공동체 안전망 구축사업 ○ 종교계와 함께 하는 살사 프로젝트 실행 1) 지역특성마을공동체 안전망 구축사업 ○ 고위험군 발굴 위한 마을지원 유관기관 연계 - 마을지원사업기관과의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간담회 : 1회 30명 주제 : 서울시 마을공동체사업의 방향성 논의 대상 :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 자살예방사업 위한 마을지원사업 방향성 모색 토론회 : 1회 10명 주제 : 자살예방사업 위한 마을지원사업 방향성 모색 대상 : 한국주민운동정보교육원(CONET), 서울시자살예방센터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창설 및 운영지원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사업설명회 : 1회 8명(4개구 의료사협 중심)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교육컨텐츠 개발 및 보급 : 200부 제작 구성 : 정신건강 응급처치 교육(MHFA)을 기반으로 자살, 우울증에 관한 기본 정보, 자살위험성 평가방법, 기초상담기술, 지역사회 연계방법 등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홍보컨텐츠 제작 및 보급 : 총 5종 제작 마음건강주민교육단 배너 1종, 모집 포스터 4종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모집 및 의료사협 중심 회기별 마음건강주민교육 : 11회 교육, 총 191명 수료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창설 ※마음건강주민교육단(마주단) : 마을의 우울과 자살을 포함한 마음건강문제를 주민들 간에 서로 토론하고 교육하는 모임. 서로 마주보고 이야기를 나누는 주민들의 모임. 마음의 문제를 주민이 주인이 되어 풀어나가자는 모임. 2) 종교계와 함께 하는 살사 프로젝트 ○ 자치구 중심 지역자살예방 안전망 구축 - 자치구 단체장 중심 자살예방 활성화 체계 마련(단체장 주요공약 내 자살예방 포함) - 자치구 특성에 따른 자살예방 특화사업 강화 ○ 종교계가 함께하는 살자사랑하자 프로젝트 지역 활성화 - 자살의시도자 및 자살유족을 위한 특화사업 강화 - 자살의시도자 및 자살유족을 위한 종교예식 추진 - 지역밀착형 살자사랑하자 거점 종교기관 확대 운영 - 종교계와 함께하는 살사프로젝트 포럼 추진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대종단(기독교,불교,원불교,천주교), 자치구 보건소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대종단(기독교,불교,원불교,천주교), 자치구 보건소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66,454천원 집행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66,454천원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A [변경지표] 살사프로젝트 참여기관 생명존중활동 100건 (생명존중활동 : 종교예식, 종교특화프로그램, 성직자인식개선교육(종교리더 자살예방전문교육), 자치구 협약, 교육, 간담회, 캠페인, 포럼) [이전지표] 생명존중 주민참여모임 조직화 50개 측정 방법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실적 현황표 목표 설정 근거 살사프로젝트 추진 중인 종단 내 사업 추진실적을 통해 자치구 사업 전개 확대 실행 목표 달성 내용 [변경지표] 살사프로젝트 참여기관 생명존중활동 232건 [이전지표] 생명존중 주민참여모임 조직화 91개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232% 달성(변경지표) 미달성 사유 없음 평가 사업 평가 ○ 시민과 마을의 관계기반 자살예방 모델을 적용하여 보건소 인센티브평가에도 주민조직화 개념을 도입한 지표 추가로 자치구에서도 더욱 관심을 갖고 해당 사업에 참여함. 생명존중 위한 주민조직화 사업 수행을 위한 전문기관의 자문과 토론을 통한 방향모색이 진행됨.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조직화 전략에 있어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이라는 기존에 건강이슈로 이미 조직화되어있고 주도성이 높은 그룹을 선정하여 생명존중을 위한 사회적 연대차원으로 접근한 부분이 긍정적이었음. ○ 마음건강주민교육단의 사전 교육컨텐츠 개발과정에서 시민 대상으로 이해하기 쉽게 구성하였고, 교육시에도 시민 눈높이에 맞춰 진행함. ○ 종교의 특색을 살린 다양한 자살예방사업들이 진행되었으며, 특히 자살유족들을 대상으로 하는 종교예식과 특화프로그램의 경우 만족도가 매우 높았음. 개선 방향 ○ 향후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조직화 활성화를 위해서는 주민조직화의 기본 원칙과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보다 세심한 기획과정을 통한 단계별 사업 수행이 필요함. ○ 살사프로그램 활성화 사업에 대해서는 한정된 예산과 자치구 종교시설 및 보건소의 자살예방사업에 대한 의견 차이 있음. 이로 인해 25개 자치구로 확장시키기 위해서는 예산투입의 증가와 종교시설과 보건소의 네트워크 구축이 보다 적극적으로 필요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대종단(기독교,불교,원불교,천주교), 자치구 보건소 실행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대종단(기독교,불교,원불교,천주교), 자치구 보건소 우수활동사례 7 : 생명사랑을 위해 서로 돕는 마을정신건강 안전망 구축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조직화 프로젝트> 추진 배경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 대응체계 강화를 위한 시민참여형 자살예방 마을공동체 사업수행체계 마련 필요 마을공동체 자살예방사업은 주민을 통해 마을 현안을 신속히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할 수 있으며, 공공서비스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추진 개요 - 기간 : 2019년 7월~12월 - 대상 : 서울시민 - 참여기관 : 4개구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서울시자살예방센터 결과 및 성과 ○ 결과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사업설명회 : 1회 8명(4개구 의료사협 중심) 관악구 : 관악정다운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마포구 : 마포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성동구 : 건강한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영등포구 : 서울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교육컨텐츠 개발 및 보급 : 200부 제작 구성 : 정신건강 응급처치 교육(MHFA)을 기반으로 자살, 우울증에 관한 기본정보, 자살위험성 평가방법, 기초상담기술, 지역사회 연계방법 등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홍보컨텐츠 제작 및 보급 : 총 5종 제작 마음건강주민교육단 배너 1종, 모집 포스터 4종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모집 및 의료사협 중심 회기별 마음건강주민교육 : 11회 교육, 총 191명 수료 (관악 3회기, 마포 3회기, 성동 2회기, 영등포 3회기)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창설 ○ 성과 - 자살 및 우울에 대한 주민들의 정신건강정보 이해능력 향상을 위하여 주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컨텐츠 개발 및 눈높이에 맞는 교육과정 운영을 통하여 관계기반 자살예방모델을 적용한 주민조직화를 첫 시도하였음. - 지역사회 내 정신건강 및 생명존중에 기반한 주민참여형 조직을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조직화 시작함. - 향후 마주단 교육 받은 시민들이 향후 참여형 정신건강 시민조직을 구성하여 지역사회 돌봄을 실천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하였음. 향후 계획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조직화 활성화를 위해서는 주민조직화의 기본 원칙에 근거한 보다 세심하고 단계별 주민조직화 접근 진행 예정.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교육컨텐츠를 활용하여 주민 눈높이에 맞춰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교육 진행이 기관내 보다 표준화되어 운영될 수 있도록 함. - 기존 마주단 참여대상을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에서 자살 및 우울증에 관심있는 시민으로 범위를 확장하여 단계별 조직화사업 수행 진행 사진 마음건강주민교육단 교육컨텐츠 마음건강주민교육단 홍보컨텐츠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주민교육 ③-7-2. 1차 의료기관 자살예방 역량 강화 세부 사업명 1차 의료기관의 자살예방 역량 강화 사업 목적 보건소·의료기관 이용 대상자의 자살고위험군, 우울증 조기발견 및 조기치료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9. 1월 ~ 12월 실행 2019.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일반시민, 보건소 및 의료기관 이용대상자 등 실행 일반시민, 보건소 및 의료기관 이용대상자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보건소 이용 대상자 중심 우울증 및 자살 스크리닝 강화 ○ 지역사회 의료기관 위험군 발굴체계 강화 실행 ○ 보건소 이용 대상자 중심 우울증 및 자살 스크리닝 강화 - 보건소 진료대상자 우울증 및 자살 위험성 평가 스크리닝 : 진료대상자의 PHQ-9 검사자수 : 48,411명 PHQ-9 검사자중 우울증 위험자 수 : 9,224명 MINI-Plus 검사자수 : 6,748명 PHQ-9 위험자 중 MINI-Plus 자살위험자 수 : 1,304명 자살 위험자중 보건소 자살예방 전담요원 의뢰자수 : 1,295명 (세부평가 및 서비스 욕구 파악 위해 자살예방 전담인력에게 의뢰 된 대상자수) 전담요원 의뢰자 중 생명지킴활동가 유입자수 : 79명 (위험성 낮으나 서비스 욕구는 있어 생명지킴활동가로 연결) 전담요원 의뢰자 중 정신건강복지센터 유입자수 : 174명 우울증 위험군 중 전담요원 상담자수 : 561명 - 우울증으로 확인된 대상에게 자살위험성 문진(역할: 진료의사) - 의뢰된 자살위험주민은 방문 위기상담(역할: 전담요원) - 잠재 및 저위험군 지역사회 내 관리 위한 돌봄활동(역할: 생명지킴이) ○ 지역사회 의료기관 위험군 발굴체계 강화 - 자치구 보건소-의료기관 간 업무협력 위한 MOU 체결 : 우울증 및 자살 스크리닝 활성화 도모 - 약사회 및 의료진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 의료기관 및 약국 방문 주민 대상 우울 및 자살위험성 스크리닝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생명지킴활동가(준사례관리자) 실행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생명지킴활동가(준사례관리자)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집행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1차 의료기관(보건소 포험) 진료대상자의 PHQ-9 검사 건수 35,000건 측정 방법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실적 현황표 목표 설정 근거 ○ 공공 보건서비스 외에 1차 의료기관에서 우울증 및 자살 스크리닝 확대를 통한 위험군 발굴을 증가시키고자 목표로 설정함. 실행 목표 달성 내용 1차 의료기관(보건소 포험) 진료대상자의 PHQ-9 검사 건수 48,411건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138.3% 달성 미달성 사유 - 평가 사업 평가 ○ 본 사업의 경우 전반적으로 보건소 이용 대상자에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영역의 고위험군 발굴에 한계가 있으며, 진료업무 중에 의사의 협조를 이끌어내기 어려운 부분도 있음. ○ 민간의료영역인 1차 의료기관의 사업 참여 유도가 자치구 자살예방전담팀 차원에서 추진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나, 일부 자치구의 경우 자체적으로 예산투입 통한 인센티브제도 마련으로 1차 의료기관과의 협력모델이 안정적으로 구축되어 가는 곳도 있었음. 이를 통해 지역내 병의원 및 약국의 사업참여로 보다 주민밀착형 자살예방사업 추진 및 지역사회 내 자살예방 인프라 강화에 기여함. 개선 방향 ○ 1차 의료기관을 통해 발굴된 잠재 및 자살 저위험군 관리를 위해 보건소 자살예방 전담요원을 거쳐 생명지킴활동가들을 활용하여 연결되고 있으나, 이 부분에 대한 좀 더 적극적인 사업활성화 방안 모색 필요. ○ 향후 광역형 단위에서 서울시 의사회와의 MOU 체결 및 분과별 학회 생명지킴이 교육 또는 PHQ-9 검사 교육 제안등을 고려해볼 수 있겠음.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③-8-1.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세부 사업명 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사업 목적 정신질환자 자살률 감소를 위해 공공부문 정신건강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9년 1월 ~ 12월 실행 2019년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경찰, 지역사회 의료기관, 25개구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의시도자, 정신질환자 실행 경찰, 지역사회 의료기관, 25개구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의시도자, 정신질환자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지역사회기관·정신건강유관기간 간 의뢰체계 활성화 실행 ○ 지역사회기관·정신건강유관기간 간 의뢰체계 활성화 - 자살고위험군 유관기관과 의뢰체계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 MOU 체결 - 지역사회기관·정신건강유관기관 이용자 및 실무자에게 정신건강복지센터 서비스 안내 및 의뢰방법 교육 - 지역사회기관·정신건강유관기관 통합사례회의 및 간담회 진행 - 1577-0199를 통한 자살의시도자 위험성 평가 및 개입 후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연계 - 공공영역 대면서비스 제공 보건복지인력 대상 심리지원프로그램 수행(일부 자치구단위에서 수행)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의료기관 및 경찰, 소방 등 유관기관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의료기관 및 경찰, 소방 등 유관기관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집행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연계기관 고위험군 의뢰건수(전년대비 1.5% 증가) 측정 방법 `MHIS 데이터 분석 ※ 의뢰건수 추출방법: MHIS 접수상담대장 내 자살상담?초기상담-제공제공자(기관종사자:의료기관,지역사회기관, 행정기관) 건수 ※ 목표달성 평가방법: {20년 유관기관 고위험군 의뢰건수/(19년 유관기관 고위험군 의뢰건수1.5)} 100 목표 설정 근거 다양한 지역사회기관 및 정신건강 유관기관간 의뢰체계 활성화로 자살고위험군 외부 유입 증대 도모 실행 목표 달성 내용 연계기관 고위험군 의뢰건수 3,181건 (전년대비 4% 증가) : 3,060건(18년) → 3,181건 (19년)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102.4% 달성 미달성 사유 없음. 평가 사업 평가 ○ 다양한 지역사회 유관기관들과의 상호 협력 및 자원개발활동을 통하여 자살고위험군 발견 및 의뢰 활성화에 기여 ○ 광역단위에서 청년(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자살수단통제(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 서울지부), 주거(서울도시주택공사) 영역등 다양한 유관기관들과의 MOU 체결을 통하여 실질적 사업 수행을 위한 협력체계가 구축되었으며, 여러 사회적 이슈와 맞물려 자살 고위험군 발견 활성화로 연결됨. 개선 방향 ○ 향후에도 광역단위에서 대표적인 지역사회 유관기관과의 지속적인 MOU 체결을 통하여, 자살고위험군 의뢰체계 마련 및 기타 사업수행을 위한 보다 긴밀한 협력체계구축을 강화해야할 것으로 보임.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의료기관 및 경찰, 소방 등 유관기관 실행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의료기관 및 경찰, 소방 등 유관기관 ③-8-2. 공공정신건강서비스 기능 확대 세부 사업명 공공 정신건강 서비스 기능 확대 사업 목적 정신질환자 자살률 감소를 위해 공공부문 정신건강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9년 1월 ~ 12월 실행 2019년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지역사회 자살예방사업 전담인력 전문성 향상 ○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환경 조성 실행 ○ 지역사회 자살예방사업 전담인력 전문성 향상 - 자치구 보건소 자살예방사업 전담인력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 및 사업수행관련 자문 - 25개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사업 담당인력 대상 월례포럼 및 세미나를 통한 자치구 지원 생명사랑 서울포럼(3월~12월) : 9회 346명 참여 지역기반 자살예방사업 2030 정책 수립 위한 세미나 : 1회 34명 (아동청소년, 복지관 참여 전략, 우울증 케어 및 응급실 케어, 유가족, 정신건강복지센터, 1차 의료기관 기반, 보건소, 정신의학적 접근과 지역사회적 접근, 자살수단 통제 및 언론 영역 등 9개 영역별 2030 위원 발표 및 토론 형식으로 진행)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486천원 집행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486천원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실무자 역량강화교육 건수 전년대비 1.5% 증가 측정 방법 (자체조사) 자체 조사 목표 설정 근거 지역사회 자살예방사업 환경조성 및 전문성 강화를 통한 공공 정신건강서비스 기능 확대 실행 목표 달성 내용 실무자 역량강화교육 건수 10건/380명 : 3건 100명(18년) → 10건 380명(19년)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333% 달성 미달성 사유 없음. 평가 사업 평가 ○ 매월 정기적으로 25개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사업 전담인력을 대상 정기적으로 포럼 및 세미나 개최를 통하여 정기적인 사업수행을 위한 소통체계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구조를 마련함. ○ 자살예방에 대한 정신 및 예방의학적, 통계분석적, 제도·정책적, 사회문화적 등 다학제적 접근으로 자살에 대하여 다각도로 조명하고 자살예방사업수행에 관한 다양한 의견 공유 및 토의를 통해 실무자로서 인식제고와 역량강화에 기여함. 더불어 정기적으로 서울시 자살사망 빅데이터 분석결과를 공유함으로써 지역맞춤형 자살예방 계획 수립의 근거자료를 마련함. ○ 서울시 자살예방사업 행정인증제는 미진행되었음. 개선 방향 ○ 전반적으로 보건소 관계자들 참석률이 높은 편이나,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도 좀 더 많은 실무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정신건강복지센터 실무자중심 코너 마련 및 현실적 참여 유도 방안이 필요함. 추진 담당자 계획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우수활동사례 8 : 자살예방 다학제 참여, 협력, 소통을 위한 <정기 생명사랑 서울 포럼> 추진 배경 - 지역사회에서 생명존중문화 환경 조성을 위하여 특정 직역에 치중하지 않고 다학제적 측면에서의 다양한 관점을 통한 통합적인 접근이 필수적임. - 정기적으로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5개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가 자살예방관련 정기적인 정보 공유 및 소통, 협력을 위한 보다 공식적인 의사소통구조 마련이 필요한 상황임. - 이에 공공전달체계내에서의 자살예방 전담인력의 전문성 강화와 동시에 실무현안 공유 및 토론을 진행하기 위한 정기적인 만남의 구조가 마련되어야 함. 추진 개요 - 기간 : 2019년 3월~12월 - 대상 : 서울시 25개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사업 담당자 참여기관 : 서울시 25개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서울시자살예방센터 결과 및 성과 ○ 결과 - 정기 생명사랑 서울포럼(3월~12월) : 9회 346명 참여 - 정기 생명사랑 서울포럼 기본 구성안 유지 서울시 주제별 자살사망 빅데이터 분석 결과 공유 생명사랑 실천사례 강연 및 자치구 간담회 - 생명사랑 서울포럼 운영 주제 구 분 주 제 1차 봄자살 피크 현상에 대한 통계적 분석 외 2차 서울시 독거의 다양성과 자살특성 외 3차 주거환경과 자살특성 외 4차 <모두함께 네트워크> 생명사랑 서울을 위한 시민제안 5차 서울시 자치구별 자살 특성 외 6차 직업과 자살, 청년자살문제 7차 우울증과 자살, 우울증 초간단 CBT 8차 중장년 자살예방토론회 및 4개구 오픈스페이스 결과 공유, 일본 자살예방정책 성공요인 탐색 연구 9차 2018 마이크로데이터로 본 25개구 자살사망현황 ○ 성과 - 서울시내 공공영역에서 자살예방사업 수행 인력들이 월례 포럼 형태를 통해 한자리에 모여 논의할 수 있는 구조가 정착되었음. - 포럼의 기본 포맷을 유지하여 기본적으로 자살사망통계를 공유하고, 실무적인 측면에서의 사업정보 공유 및 현안 토론을 위한 정기적인 소통구조가 마련되었음. 이를 통하여 자살예방 전담인력의 전문성 강화 및 공공부문 정신건강서비스 전달체계 강화에 기여함. 향후 계획 향후에도 정기 생명사랑 서울포럼 지속을 통해 공공영역에서의 자살예방사업 인력의 전문성 향상을 도모하며, 정신건강복지센터 실무자들의 참여율이 높이기 위한 센터 실무자 중심 코너 마련 기획 필요. 사진 생명사랑 서울포럼 ③-9-1. Gatekeeper 양성 확대 세부 사업명 Gatekeeper 양성 확대 사업 목적 Gatekeeper를 양성·관리함으로써 지역사회에서 자살위험징후 발견·의뢰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9년 1월 - 12월 실행 2019년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구청 및 보건소 공무원, 정신보건시설 종사자 등 실행 구청 및 보건소 공무원, 정신보건시설 종사자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생명지킴이 양성체계 강화 ○ 생명지킴이 관리체계 활성화 ○ 시민활동가 조직화 및 재구성 실행 ○ 생명지킴이 양성체계 강화 - 우선순위에 따른 생명지킴이 양성 : 보복부 인증 생명지킴이 교육 : 총 5,129회 14,659명 참여 살사프로젝트(4대 종단)내 종교계 생명지킴이 양성 : 227명 - 종교기관, 시민단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통장 등 지역사회 풀뿌리조직 우선교육 - 초?중?고 교사 대상 생명지킴이 양성 - 지역사회 사회복지 서비스 실무자 생명지킴이 양성 - 자치구 단위 생명지킴이의 날 진행 : 718회 12,037명 참여 - 생명지킴이교육 컨텐츠 업데이트 작업 : 1회 ○ 생명지킴이 관리체계 활성화 - 생명지킴이 온라인 관리시스템 유지관리 지속 - 생명지킴이 온라인 관리시스템 기능 개선 작업 - 2019년 자치구 생명지킴이 문자 발송 지원 - 생명지킴이 온라인 관리시스템의 서울시데이터센터 이관 작업 ○ 시민활동가 조직화 및 재구성 - 생명지킴활동가로서 명칭 변경 : 준사례관리, 생명이음청진기, 생명지킴이 희망판매소, 유해환경감시단의 역할을 통합하여 일정 교육을 이수하고 정기적으로 활동을 수행하는 기존 ‘준사례관리자’라는 명칭을 ‘생명지킴활동가’로 변경함. - 생명지킴이를 생명존중을 위한 시민활동가로서 역할을 강화하여 생명지킴활동가 활동 지원 생명지킴활동가 교육이수자수 누적 총 1,401명 생명지킴활동가 활동실인원 7,658명 생명지킴활동가 상담건수 69,033건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36,100천원 집행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3,000,000천원 지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36,100천원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A 전년대비 게이트키퍼 양성자 수 2.5% 증가 측정 방법 (‘19년 게이트키퍼 양성자 수 - ’18년 게이트키퍼 양성자 수) / ‘18년 게이트키퍼 양성자 수 100 목표 설정 근거 자체조사 실행 목표 달성 내용 (27,448명 ? 15,481명) / 15,481명 100 = 77.3% 2019년도 예상되었던 2.5% 증가된 생명지킴이 수 15,868명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172.9% 미달성 사유 - 평가 사업 평가 ○ 기존에 개발된 서울형 생명지킴이교육 컨텐츠의 지속적인 업데이트 작업이 진행되었으며, 지역내에서 보다 시의성있는 교육컨텐츠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자치구를 지원하였음. ○ 보건복지부에서 인증된 생명지킴이교육 프로그램 활용으로 해당 교육의 효과성 증진을 도모함. ○ 생명지킴이교육 대상의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지역사회내 다양한 공공 및 민간영역의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생명지킴이교육을 시행하여 지역사회에서 보다 촘촘하고 민감하게 자살고위험군의 조기발견과 사각지대를 해소하고자 하였음. ○ 생명지킴이교육 온라인 관리시스템의 일환으로 자치구에서 생명지킴이 대상 문자발송 지원이 이루어졌으나, 자살예방 전담인력의 잦은 변동으로 문자발송서비스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추후 인력대상 공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 개선 방향 ○ 생명지킴이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자치구단위에서의 활동 가이드라인을 제공 필요. ○ 광역단위에서 생명지킴이 대상 정기적인 정보 및 활동 컨텐츠 보급을 위한 툴을 개발하여 안내하는 형태로 보다 구체적인 지원활동이 필요함. ○ 기존에 양성된 생명지킴이를 생명존중을 위한 시민활동가로서 역할을 강화하여 생명지킴활동가로서 활동을 격려하고 지원하기 위한 정기적인 교육체계 마련 및 주민조직화 관점에서의 지원이 필요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③-10-1. 전문가 교육 강화 세부 사업명 전문가 교육 강화 사업 목적 지역사회 자살예방 실무자들의 질적 향상 도모 및 전문 서비스 제공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9년 1월 ~ 12월 실행 2019년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생명지킴이, 자치구 보건소·정신건강복지센터(자살예방사업 담당) 실행 생명지킴이, 자치구 보건소·정신건강복지센터(자살예방사업 담당)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자살예방응급요원 과정(14시간) 운영 ○ 자살예방전문가 양성 ○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역량강화 교육 ○ 자살예방 실무자 외상회복 지원 실행 ○ 자살예방 응급요원 과정(14시간) 운영 - 5회 84명 참여 - 자치구 자살예방 전담인력 응급요원 교육 의무화 대상 : 생명지킴이 교욱 후 6개월이 경과한 자로 정신건강전문 요원 및 보건소 자살예방전담요원, 서울내 자살예방관련기관 종사자 ○ 자살예방 전문가 양성교육 운영 - 자살예방 응급요원 교육 수료 참여자 대상 자살예방 전문가 양성교육 : 1회 총 5명 참여 ○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역량강화 교육 -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실무자교육 : 2회 105명 참여 -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담당 신규직원 1day 워크숍 : 1회 26명 ○ 자살예방 실무자 심리적 외상 지원 연수 : 2회 총 65명 참여 대상 : 서울시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사업 담당자, 서울시자살예방센터 관계자 내용 : 지역기반 자살예방사업 수행 실무자들이 경험하는 충격적 사건으로 인한 심리적 외상의 회복을 위하여 지원체계 마련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10,838천원 집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10,838천원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 사항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내용, 수치) A 전문가 자살예방교육 이수자 250명 ※ 2019년 자치구 자살예방 수행인력 전문가교육 이수자 수 (자살예방응급요원교육, 자살예방전문가교육,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역량강화 교육, 자치구 실무자 외상회복 지원) 측정 방법 자체 조사 목표 설정 근거 자치구 자살예방 수행인력(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및 유관기관 실무자의 전문성 도모를 위해 전문가 교육 이수를 촉진하고자 함. 실행 목표 달성 내용 476명 계획 대비 목표 달성 수준 190.4% 달성 미달성 사유 해당없음 평가 사업 평가 ○ 자살예방 응급요원 양성 교육의 경우 5회기 평균 참여자들의 만족도가 97.6%에 해당하는 등 높은 수준의 만족도 결과를 보였음. ○ 자살예방전문가교육의 경우 최소한의 횟수로 진행되었으며, 향후 전문가교육의 효과성 및 방향성에 대한 자문을 통한 개선 필요함. ○ 자치구 자살예방사업을 담당하는 신규직원을 대상 처음으로 1day 워크샵을 기획하여 연차별 특화된 형태의 교육과정을 마련함. ○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교육의 경우 3년차 미만 실무자의 참여가 가장 많았으며, 3년차 이상의 경우 조별 활동을 통해 현장경험 공유 및 공감대 형성을 통한 진행방식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음. 개선 방향 ○ 향후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교육의 경우 현장 경험 공유 및 수퍼비전 시간을 함께 마련하는 형태로 진행하는 것도 필요함. ○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예방사업을 진행하는 실무자들의 연차별, 유형별 교육과정을 운영하되 참여자들의 피드백을 통한 평가 및 반영으로 지속적인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행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치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③-10-2. 자살추적관찰체계 구축 세부 사업명 자살추적관찰체계 구축 사업 목적 서울시 내 자살사망자 현황을 분석하여 데이터를 구축하고 지역사회 자살예방근거의 기초자료 마련하고자 함 사업 수행 기간 계획 2019년 1월 ~ 12월 실행 2019년 1월 ~ 12월 변경 및 보완 사유 없음 사업 수행 대상 계획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데이터, 경찰청 변사자 발생표 분석 등 실행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데이터, 경찰청 변사자 발생표 분석 등 변경 및 보완 사유 없음 주요 수행 내용 계획 ○ 자살사망자 현황 분석 ○ 서울시 자살 예방 근거마련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실행 ○ 자살사망자 현황 분석 - 2018년 서울시 및 자치구 자살사망자 현황 데이터 분석 1건 특별월례포럼을 통하여 25개구별 마이크로데이터분석 보고서 공유 - 서울지방경찰청 변사자데이터 분석 : 1건 ○ 서울시 자살 예방 근거마련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 서울대 보건대학원 산학협력단 사업 협약 체결 : 1건 - 서울대 보건대학원 협력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관련통계자료 확보 자살 및 위험요인 분석을 위한 데이터 확보 진행 : 총 9종 (자료출처 : 통계청 MDIS,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울시 정신건강통계 등) - 서울시 자살사망 빅데이터 분석 : 4건 - 서울시 자살사망 특징과 자원분포 보고서 제작 : 1회 변경 및 보완 사유 변동사항 없음 사업 추진 체계 (투입 인력)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변경 및 보완 사유 없음 사업 추진 체계 (예산)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10,000천원 집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10,000천원 변경 및 보완 사유 없음 사업 수행 실적 계획 (성과지표) 성과목표 [변경지표] 자살통계데이터분석 6건 [이전지표] 자살실태현황분석 1건 [이전지표] 연구사업 2건 측정방법 자치구 자살사망자 통계현황 분석 및 배포 여부 목표설정근거 최초 목표한 건수의 달성여부 실행 목표달성 내용 [변경지표] 자살통계데이터분석 6건 - 서울시 및 자치구 자살실태 데이터분석 1건 - 경찰청 변사자데이터 분석 1건 - 서울시 자살사망 빅데이터 분석 4건 목표달성 수준 100% 달성 미달성 사유 없음 평가 사업 평가 ○ 25개구 자치구별 자살 사망자 현황파악을 위한 마이크로 데이터 분석 및 분석자료 공유를 통해 지역사회 특성에 맞는 맞춤형 자살예방계획수립에 기여함. ○ 그 동안 서울시 주무부서에서 통계청 해당부서와 협력하여 마이크로데이터를 받는 방식으로 진행해오다가, 올해부터 통계청 MDIS 통해 직접 요청하는 방식으로 변경되면서 데이터확보에 상당한 시일이 소요됨. ○ 광역단위에서 서울대 보건대학원과 협력하여 2018년 자살사망특징과 함께 2013~2017년간 서울시 5개년 자살사망 특징과 자원 분포 분석 작업이 진행되었으며, 이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간함으로써 서울시 자살예방사업의 근거를 마련함. 개선 방향 ○ 2019년도의 경우 중앙심리부검센터 및 서울시공공보건의료재단 등 서울시 자살사망현황 분석자료가 다양한 기관에서 생성되었으며, 향후 기관별 분석특징을 확인하여 사업수행과정에서의 반영이 필요함. ○ 2020년에는 국가자살동향시스템 오픈으로 자치구 입장에서 시의성을 중시하여 보다 발빠른 데이터 분석이 필요함. 이후 분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독성이 높은 보고서를 공유하고 보급하여 자치구에 대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통계 생산을 통해 지원하고자 함. 추진 담당자 계획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실행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우수활동사례 9 : 과학적 자살예방사업의 근간이 되는 데이터 기반 접근의 시작! <서울시 자살사망 특징과 자원분포 보고서 제작> 추진 배경 - 매년 통계청 데이터 분석을 통한 서울시 및 자치구별 통계가 생산되고 있으나 보다 다각적이고 입체적인 분석과정이 미흡한 상황임. - 서울시 및 25개구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자살예방사업 수행을 위해서는 서울시 사망원인통계 분석 및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에 대한 통계 결과 도출을 위하여 전문기관과의 협력이 필수적임. 추진 개요 - 기간 : 2019년 6월~12월 - 참여기관 : 서울대 보건대학원 산학협력단, 서울시자살예방센터 - 주요내용 : 서울대 보건대학원 산합협력단의 보건통계전문가의 지원으로 서울시 자살사망데이터 분석 및 분석결과 공유, 보고서 발간에 관한 협력 진행 결과 및 성과 ○ 결과 - 서울대 보건대학원 산학협력단 사업 협약 체결 : 1건 - 서울대 보건대학원 협력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관련통계자료 확보 자살 및 위험요인 분석을 위한 데이터 확보 진행 : 총 9종 - 서울시 자살사망 빅데이터 분석 : 4건 번호 구분 분석내용 1 8월 서울시 자살사망자 특성, 소지역 자살사망 분포 2 9월 계절과 자살 주제로 한 데이터 분석 3 10월 독거형태와 자살 4 11월 직업특성 및 실업이 자살에 미치는 영향 5 12월 최종 보고서 - 서울시 자살사망 특징과 자원분포 보고서 제작 : 1회 보고서 목차 구성 : ☞ 개요, 서울시 자살 사망 현황(2013~2017) 서울시 지역별 자살사망 특징(권역별, 자치구별 특징) : 총 7개 권역 구분 서울시 자치구별 정신보건 및 자살예방 자원 분포 결론, 부록 등 ○ 성과 - 자살 사망원인통계 및 자살에 미치는 다양한 요소와 관련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서울시 자살사망 특징과 자원 분포 파악이 가능해짐. - 자살예방의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전략적 접근을 위한 기반 조성함. - 5년간의 서울시 자살사망통계를 생활권 중심의 7개 권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지역별 자살사망 특징에 관한 결과를 도출하였음. 향후 계획 서울시 자살사망 특징과 자원분포 분석 결과를 활용한 사업 수행과정에 반영 사진 Ⅱ. 사업 관리 및 지원 1) 사업 관리 (1) 자살예방시행계획 공개 계획 소통광장을 통해 대시민 부분공개(또는 비공개) 실행 소통광장을 통해 대시민 부분공개 실시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1528372) (2) 관계자 의견 수렴 및 반영 ○ 자살예방사업 수행 전 “서울시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담당자 간담회”를 통해 서울시의 자살예방사업의 방향성 설명 및 의견 수렴 ○ 자살예방 시행 계획·평가·정책 방향성에 대한 의견 수렴 등을 위한 서울시 25개구 자치구와 함께 하는 간담회 수행 ○ 자치구 월 1회 정기적인 생명사랑 월례포럼, 정책 수립을 위한 릴레이세미나 등 통한 현장 실무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함과 동시에 현실적인 반영을 위한 노력 지속함. - 월 1회 생명사랑 서울포럼내 실무자 간담회 포함 진행 ○ 생명지킴이가 참여하는 자살예방의 날 행사 추진(서울시 생명지킴이 시상식 및 지킴이가 참여하는 마을 동아리 공연 등) 가.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과정 1차 계획 ○ 서울시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담당자 의견 수렴 실행 ○ 서울시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담당자 간담회 - 일시 : 2019년 2월 8일 - 참석자 : 서울시,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 사업 관계자 - 수렴내용 및 반영 결과 :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수행 매뉴얼 검토 및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 수렴 2차 계획 ○ 2019년 시·자치구 공동협력사업 평가지표 의견 수렴 실행 ○ 2019년 시·자치구 공동협력사업 평가지표 설명회 - 일시 : 2019년 3월 29일 - 참석자 : 서울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관계자 - 수렴내용 및 반영 결과 : 자살예방 및 정신질환관리 부문 인센티브 지표 가이드라인 안내 및 질의응답 나.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 과정 1차 계획 ○ 자살예방 시행계획 실무자 정기 간담회 실행 ○ 자살예방 시행계획 실무자 간담회(생명사랑 서울포럼) - 일시 : 2019년 3월 ~ 11월 (총 10회) - 참석자 :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사업 관계자 - 수렴내용 및 반영결과 : 매월 생명사랑 서울포럼의 일환으로 실무자 정보공유 및 논의를 위한 간담회 시간을 진행 ⇒ 서울대 보건대학원 통계전문가 및 다학제적 전문가들의 참여 통한 이론과 현장의 지속적인 연결작업 시도, 사업수행 전문성 강화 도모. ⇒ 자살예방시행계획 사업수행 정보 및 서울시 유형별 자살사망통계분석 결과 공유 통한 근거기반 사업수행 지원, 현장 의견 수렴 및 사업 방향성 점검 기회 마련 2차 계획 ○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2030정책 수립을 위한 자치구 지원 세미나 실행 ○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2030정책 수립을 위한 자치구 지원 세미나 - 일시 : 2019년 12월 10일 - 참석자 : 25개 자치구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사업 관계자 - 수렴내용 및 반영결과 : 2030 서울시정신건강종합계획의 자살예방분과 계획 수립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이고 실행 가능한 자살예방서비스 전략을 수립하고 계획 수립 과정에 자치구 참여를 확대하고자 논의의 장 마련함. ⇒ 아동청소년, 사회적 접근, 복지관 참여, 우울증 케어, 응급실 자살시도 자 관리, 유가족, 정신건강복지센터, 1차 의료기관, 보건소 관점, 정신의학적 접근과 지역사회적 접근, 통계기반, 자살수단 통제 및 언론 영역 등 다양한 영역과 관점에서 전문가 및 실무자들이 참여하여 현 사업수행상황 점검 및 제안, 토론이 이루어짐. 2) 사업 지원 시?군?구 평정 지원순위 지원현황 (예산) 지원 내역 서울시 ① 자살률이 높은 지역 ② 자치구의 인구 수 ③ 구비 부담률 1순위 30억 ①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전담 요원 2인 인력에 대한 인건비 지원 ② 지역밀착형 자살예방사업비 지원 - 약 1억원(인건비+사업비 등) 자치구 지원 ③ 자치구 특화사업 공모(5개구)_각1억원 25개구 자치구 지원 지역밀착형 자살예방사업 수행기관인 25개구 보건소 및 정신건강 복지센터 인력 교육훈련 지원 1순위 8천4백 ①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신규입사자 교육 ②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실무자 교육 ③ 생명지킴이 강사양성 교육 지원 ④ 자살예방응급요원 교육 및 활동지원 ⑤ 생명지킴이 콘텐츠 보완 및 보급 (교사용 지킴이 콘텐츠 개발) 지역밀착형 자살예방사업 확산을 위해 일괄지원 1순위 3천1백 - 자살유족 인식개선 위한 사회마케팅 (매체별 온라인 광고, 콘텐츠 제작, 국제 심포지엄) Ⅲ. 전체 예산 집행 실적 (단위 : 천원) 구분 계(100%) 국비(50%) 도/시비(30%) 시/군/구비(20%) 계획 집행 집행률 (%) 계획 집행 집행률 (%) 계획 집행 집행률 (%) 계획 집행 집행률 (%) 합계 6,625,609 6,181,436 93 32,000 32,000 100 5,337,541 5,039,990 94 1,256,068 1,109,446 88 민간경상 사업보조 403,000 403,000 100 - - - 403,000 403,000 100 - - - 민간 위탁금 1,934,541 1,881,363 97 - - - 1,934,541 1,881,363 97 - - - 자치단체 경상보조 3,032,000 2,787,627 92 32,000 32,000 100 3,000,000 2,755,627 92 - - - 자치구 자살예방사업 1,256,068 1,109,446 88 - - - - - - 1,256,068 1,109,446 88 ※ 자치단체경상보조 집행잔액은 반납절차 진행 예정 (세부내역:붙임1) Ⅳ. 자체평가 1) 하위 지자체 평가 계획 및 실행 [시·자치구 공동협력사업 평가] - 평가시기 : ‘19. 10월(평가기간: 1~9월) - 평가지표 : 지역사회 돌봄을 통한 자살예방사업 1) 게이트키퍼가 의뢰한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지역사회자원 연계 수 2) 생명지킴이 조직화 - 평과결과 : 우수 자치구 포상(인센티브 등) 2) 자체 평가 계획 및 실행 - 평가시기 : 사업종료 후 - 평가기준 : 구조평가 20%, 과정평가 60%, 결과평가 20% - 평과결과 : 90점 이상 ‘우수’, 80점 이상 ‘양호’, 70점 이상 ‘보통’, 70점 미만 ‘미달’ - 세부 평가지표 및 기준 등 평가계획 평가실행 및 결과 항목 평가지표 평가기준 평가방법 배점 실행 여부 평가 결과 구조 평가 (20%) 인력 자살예방 전담인력 수 (보건소 3인, 센터 3인) 150명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전문인력 확보율 자치구 정신건강 전문요원 인력비율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보건소(자살예방사업) 및 센터 퇴사율 전담인력 퇴사율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8점 예산 서울시 전년대비 예산 증감률 2018년 대비 5% 향상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자치구 자체 예산 확보 전년대비 증감률 2018년 대비 5% 향상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과정 평가 (60%) 자살 관련 사회인식 개선 자살예방서비스인지율 지표생성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6점 자살예방 언론보도 활동실적 자살보도 활동 150건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자살고위험군 지역자원 간 연계율 지역자원 간 연계율 96%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협력부처 교육 및 자문 건수 협력부처 교육 및 자문 건수 20회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자살위험 환경 개선 수다차단을 위한 교육 및 실천활동건수 수단차단 교유 및 실천활동건수 400건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자살유해정보차단 교육 참여인원 수 자살유해정보차단 교욱 참여인원 수 400명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8점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아동청소년 관련기관 생명지킴이 교육 양성자수 아동청소년 관련기관 생명지킴이 교육 양성자수 2,000명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청년,중장년층 생명지킴이 교욱 양성자수 청년,중장년층 생명지킴이 교욱 양성자수 1,000명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생명지킴활동가 노인 참여율 생명지킴활동가 노인 참여율 35%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자살 고위험군 지지체계 강화 고위헌군 자살상담건수 고위험군 자살상담건수 4%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위기대응건수 위기대응건수 3%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응급실 의뢰 자살시도자 실인원수 응급실 의뢰 자살시도자 실인원수 3%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지역사회 자살 대응 역량 강화 살사프로젝트 참여기관 생명존중활동 건수 살사프로젝트 참여기관 생명존중활동 건수 5%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1차 의료기관(보건소포함) 진료대상자 PHQ-9 검사건수 1차 의료기관(보건소) 진료대상자 PHQ-9 검사건수 5%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정신건강 인프라 확충 연계기관 고위험군 의뢰건수 연계기관 고위험군 의뢰건수 1.5%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실무자 역량강화교육건수 실무자 역량강화교육건수 1.5%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Gatekeeper 교육 등 자살예방 인력 확충 자치구 게이트키퍼교육 이수자 수 자치구 게이트키퍼교육 이수자수 2.5% 증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6점 전문가 자살예방교육 이수자 수 전문가 자살예방교육 이수자 수 250명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근거 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자살추적관찰체계 구축 자살통계데이터분석 6건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결과 평가 (20%) 사업달성도 사업목표 달성도 사업반영여부 목표대비 90%달성 목표대비 80%달성 목표대비 80%미만 10점 8점 6점 ○ 10점 사업평가 결과평가분석 내년계획반영여부 평가, 반영 평가, 미반영 평가, 미실시 10점 8점 6점 ○ 10점 3) 평가결과 분석(문제점 진단) 및 개선방안 1 평가결과 분석 (문제점 진단) ○ 서울의 특성을 반영한 자살예방전략으로서 자살의 계절성을 반영한 <봄 피크 현상>에 캠페인활동의 한계 - 지난 5년간 서울시 자살경향은 봄(3~5월)에 증가하는 봄 피크 현상이 관찰되며, 성별과 연령 크게 구분하지 않는 보편적 현상으로 서울시와 자치구 단위에서 개별 형태로 캠페인이 진행되고 있음. 개선방안 ○ 광역 및 자치구에서 함께 협력 진행하는 봄철 집중 캠페인 - 봄철 자살률 감소 위해 광역단위에서는 자치구에 동일한 홍보컨텐츠를 개발 및 보급하는 방식으로 지원, 자치구 단위에서 온오프라인 다각적인 매체 및 방법을 활용한 봄철 집중적이고 대시민 자살예방 캠페인 기획 및 추진방안 마련 2 평가결과 분석 (문제점 진단) ○ 생명지킴이 대상 목적에 맞는 활동 모니터링체계 미흡 - 지역사회에서 자살위험징후 발견 및 의뢰 활성화를 위하여 주로 교육을 통한 생명지킴이 양성에 초점을 두고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실제적으로 생명지킴이로서 인식하고 활동해나가고 있는지 모니터링체계가 미흡한 측면이 있음. 개선방안 ○ 생명지킴이의 생명사랑실천 활동가로서의 지원체계 마련 - 다양한 영역에 걸쳐 양성된 생명지킴이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생명사랑 실천 활동가로서 역할을 강화하여 지역사회내 활동을 격려하고 지원하기 위한 정기적인 교육체계 마련 및 주민조직화 관점에서의 접근 시도 3 평가결과 분석 (문제점 진단) ○ 자살 다발 발생지역(Hot Spot) 발견 후 후속조치 미흡 - 서울대 보건대학원과 협력하여 지난 5년간(‘13~’17) 25개구 동별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을 통한 자살 다발 발생지역(Hot Spot)을 발견하였으나, 이후 이러한 자살발생지역에 대한 지역사회기반의 중점관리를 위한 후속작업이 필요함. 개선방안 ○ 자살 다발 발생지역 분석결과 활용 지역관리방안 마련 - 자살 다발 발생지역에 대한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해당 지역별 맞춤형 자살예방접근 및 고위험 관리체계를 운영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정기적인 소통구조를 마련하며, 다학제적 관점 및 현장중심 경험 공유를 통한 전략을 함께 마련해나가야 함. 4) 차기년도(2020년) 자살예방시행계획에 대한 반영사항 반영사항 ○ 시민과 마을의 ‘관계기반 자살예방모델’을 기반으로 사업 수행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시민 참여 구조 마련 및 시민대상 교육과 연계를 통한 서울형 자살예방사업 활성화 지속 ○ 봄 피크 현상에 대비하여 광역 및 지역이 함께 협력하여 봄철 집중적인 캠페인 기획 및 추진으로 캠페인 효과 극대화 도모 ○ 자살수단 접근성 차단을 위하여 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 서울지부외에 다른 지부와도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조합원 대상 인식개선 위한 사업 홍보 및 설명회, 민감성 향상 위한 교육 등 다각적인 형태의 사업 추진 ○ 생명지킴이의 생명사랑실천 활동가로서의 지원체계 마련을 위한 광역단위 지원 강화 도모. 월간 생명지킴이 활동 컨텐츠 구성하여 웹진 형태로 자치구 보급 지속, 보수교육, 생명지킴이의 날 행사 운영 등 ○ 자살 및 우울 중저위험군 돌봄체계 강화를 위한 취약지역 복지관 중심 IAPT 교육체계 마련 및 긴밀한 네트워크 구축과 더불어 보다 구조화되고 실무적용에 용이한 IAPT 통합적 상담관리 프로그램 개발 진행. ○ 범부처 자살예방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좀 더 다각적인 영역의 고위험군 접점 기관(고용, 실업, 파산, 가정 위기 등) 대상으로 한 네트워크를 지속적 으로 구축 예정. ○ 2020년 서울시 자살통계 자문팀 구성을 통한 지속적인 통계분석 지원 예정 이며, 시의성을 중시한 자치구별 맞춤형 통계데이터 분석 및 보급 예정 5) 우수사례 자치구 종합 평가 자치구 종합 평가 자치구 종합 평가 ‘19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사업 추진 성과 제3장 Ⅰ. 성과목표 달성도 10대 과제 연번 세부사업명 (지표명) 실적 및 달성도 기타 성과 목표 (A) 수행실적 (B) 달성률 (B÷A×100) ①-1. ①-1-1. 생명존중문화 조성 자살 예방 홍보강화 상담서비스 이용의향률 82.5% 82.5% 100% 자살유족대상 홍보마케팅 강화로 서비스 유입 활성화, 종교계협력 봄철 자살률 감소 집중적인 운동 확산 ①-1-2. 자살관련 언론보도 개선 자살예방 언론보도 활동실적 150건 152건 101.3% 보도 권고기준 3.0 준수한 자치구단위 모니터링 강화 ①-2. ①-2-1 자살예방 사회복지안전망 강화 자살고위험군의 지역사회자원간 연계율 96% 88% 91.7% 시민 참여형 자살예방 아젠다 및 전략마련 토론회 시도 ①-2-2 범부처 자살예방 협력체계 구축 협력부처 교육 및 자문건수 20회 119회 595% 청년, 주거영역 주요 유관 기관과 MOU 협력체계 마련 ①-3. ①-3-1 자살수단의 접근성 차단 수단차단 교육 및 실천활동 400건 3,321건 830% 한국슈퍼마켓협동조합과의 MOU 구축으로 수단통제강화 ①-3-2 온라인상 자살유해정보 차단 강화 자살유해정보차단 교육 참여 인원수 400명 342명 85.5% 유해환경감시단으로서 생명지킴이활동가 매뉴얼 개발 ②-4. ②-4-1 아동?청소년 자살예방 아동청소년관련기관 생명지킴이교육 양성자수 2,000명 2,135명 106.8% 교사용 생명지킴이교육 컨텐츠 개발 및 보급 ②-4-2 청년?중장년층 자살예방 청년중장년층 생명지킴이교육 양성자수 1,000명 6,709명 570.9% 중장년 자살예방 전문가 및 시민참여형 정책 아이디어 생성 ②-4-3 노인 자살예방 생명지킴활동가 노인 참여율 35% 36.2% 103.4% 생명지킴활동가 교육시 노인 참여 증대 ②-5. ②-5-1 자살고위험군 대상별 자살예방대책 추진 고위험군 상담건수 33,230건 36,054건 108.5% 자살유족 당사자 활동 강화 통한 건강한 애도과정 지원 ②-6. ②-6-1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위기대응건수 631건 780건 123.5% 전년대비 위기대응건수 증가 ②-6-2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체계 마련 응급실 의뢰 자살시도자 실인원수 400명 429명 107.3%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서비스디자인적 접근 통한 인사이트 도출 ③-7. ③-7-1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살사프로젝트 참여기관 생명존중활동 건수 100건 232건 232% 생명사랑 마을정신건강 안전망 구축 위한 마음건강 주민교육단 창설 ③-7-2 1차 의료기관 자살예방 역량 강화 1차 의료기관(보건소포함) 진료대상자의 PHQ-9 검사건수 35,000건 48,411건 138.3% 보건소 중심 1차의료기관 이용대상자의 조기발견 강화 ③-8. ③-8-1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연계기관 고위험군 의뢰건수 3,105건 3,181건 102.4% 광역단위 주요유관기관과의 MOU 체결로 자살고위험군 발견 활성화 ③-8-2 공공정신건강서비스 기능 확대 실무자 역량강화교육 건수 3건 10건 333.3% 자살예방 다학제 참여, 협력, 소통 위한 생명사랑 서울포럼 정례화 ③-9. ③-9-1 Gatekeeper 양성 확대 게이트키퍼교육 이수자수 15,868명 27,448명 172.9% 생명지킴이 컨텐츠 업데이트 통한 자치구 지원 강화 ③-9-2 전문가 교육 강화 전문가 자살예방교육 이수자수 250명 476명 190.4% 전문가 자살예방교육의 질적 강화 및 만족도 증가 ③-10 ③-10-1 자살추적관찰체계 구축 자살통계데이터분석 건수 6건 6건 100% 서울시 5개년 자살사망분석 및 자원분포 분석 수행 10대과제 세부사업명 주요 성과 내용 비고 자살 관련 사회인식 개선 「유족지원성과」 「사회적공감대형성」 생명존중문화 조성 자살예방 홍보 강화 ○ 유족 대상 편견해소 위한 사회마케팅 강화 - 홈페이지형 블로그, 포스트 개설, 온라인 광고마케팅 확대로 노출 및 방문건수 증대, 서비스 유입 활성화로 연결됨. ○ 생명사랑 국제심포지엄 - 3일에 걸쳐 국제심포지엄, 리더쉽 컨퍼런스, IAPT 및 자살예방상담 워크샵 진행. - 생명존중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 및 국제 실천사례통한 시민참여형 자살예방전략 모색 및 서울시 자살예방사업 위상 강화 ○ 종교계와 함께하는 생명사랑 1004캠페인 - 4대 종단 협력 봄철 자살률 감소 위한 집중 캠페인으로 전국적인 언론보도 활성화 및 생명사랑문화 확산에 기여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시민참여모형」 자살예방 사회복지안전망 강화 ○ 시민참여 자살예방 아젠다 및 전략마련 토론회 - 광역단위 지원하에 오픈스페이스 토론 기법을 활용한 시민주도의 토론회를 자살위기현황이 발생된 4개구 중심으로 진행함.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시민참여모형」 청년·중장년층 자살예방 ○ 중장년층 자살예방 위한 전문가 및 시민 참여형 정책 아이디어 생성 프로젝트 - 높은 자살사망비율에도 상대적으로 사회적 관심에서 제외되었던 중장년 남성의 자살 심각성 인식제고 및 시민 참여를 통한 자살예방 정책 아이디어 생성 자살 고위험군 지지체계 강화 「유족지원성과」 자살고위험군 대상별 자살예방대책 추진 ○ 자살유족 당사자 활동강화 프로젝트 - 자살유족 당사자 멘토양성으로 자살사망경험 이후 회복한 유족이 멘토가 되어 다른 유족을 지원할 수 있도록 돕는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 자살유족 서비스 제공과정에서 자살유족으로당사자 활동 활성화로 소비자 참여수준 증대. 지역사회 자살 대응 역량 강화 「시민참여+마을기획」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 생명존중 주민참여모임 조직 활성화 - 자치구 중심의 보건소 기반 생명존중 주민참여모임 91개 조직화 진행 ○ 마음건강주민교육단 조직화 프로젝트 - 마을의 우울과 자살을 포함한 마음건강문제를 주민들간에 서로 토론, 교육, 이야기 나눔, 주민이 주인이 되어 풀어나가는 “마음건강주민교육단(마주단)”을 4개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중심으로 사회적 연대차원으로 접근하여 교육 후 창설함. Gatekeeper 교육 등 자살예방 인력 확충 「시민참여+마을지원」 Gatekeeper 양성 확대 ○ 생명지킴이 대상 시민활동가 조직화 - 생명지킴이를 생명존중을 위한 시민활동가로서 역할을 강화한 생명지킴활동가로서 활동 지원 - 생명지킴활동가는 준사례관리, 생명이음청진기, 생명지킴이 희망판매소, 유해환경감시단의 역할을 통합하여 일정 교육 이수하고 정기적으로 활동 수행 근거 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과학적 자살예방접근」 자살추적관찰체계 구축 ○ 서울시 자살사망특징과 자원분포 분석 - 서울대 보건대학원 산학협력단 보건통계전문가와의 협력체계 마련으로 서울시 5개년 자살사망특징과 자원분포 분석, ‘18년도 자살사망특징 분석으로 보다 다각적인 측면에서 데이터 분석한 보고서가 발간되었음. Ⅱ. 주요 사업성과 19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 관련 기타 사항 제4장 Ⅰ. 2019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 상 한계점 (혹은 장애요인) ? 봄 피크 현상에 대비하여 광역 및 지역단위에서 함께 참여하여 봄철 시기에 집중적인 캠페인 시행으로 봄철 자살률 감소 위한 운동 확산 필요 ? 자살보도 권고기준 3.0을 준수한 자살예방 언론보도 개선을 위해 생명지킴활동가들의 유해환경감시단으로서 역할 활성화 필요. ? 서울형 우울증 및 자살 중저위험군 개입 위한 복지관 중심 IAPT 상담역량강화 워크샵을 진행하였으나, 상담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 ? 중장년층 자살예방을 위한 전문가 및 시민 토론회 개최 통한 다양한 정책 아이디어 생성이 이루어졌으나, 상대적으로 청년층에 대한 접근이 미흡함. ? 1차 의료기관의 우울 및 자살 스크리닝 강화 사업은 대부분 보건소 이용 대상자에 한정되어 있으며,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자치구 차원에서 1차 의료기관의 사업 참여 유도에 현실적 한계점이 있음. Ⅱ. 향후 개선 방안 ? 광역 및 자치구가 함께 협력하여 광역단위에서 동일한 홍보 컨텐츠 개발 및 보급하고, 지역단위에서 동시다발적인 캠페인을 통해 봄철 집중적인 캠페인 기획 및 추진 방안 마련 ? 자살예방 언론보도 개선을 위한 생명지킴이활동가 대상 교육 활성화 ? 취약지역 복지관 중심 실무자 교육 및 네트워크 구축과 더불어 IAPT 통합적 상담관리 프로그램 개발 진행 ? 청년 자살예방에 대한 접근으로 청년 연예인에 대한 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연예인 매니지먼트사와의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생명지킴이교육 시행 예정 ? 1차 의료기관의 우울 및 자살 스크리닝 강화 사업관련하여 향후 서울시 의사회와의 MOU 체결 및 분과별 학회에서 생명지킴이 교육 또는 PHQ-9 검사 교육 제안 등 추진 예정 Ⅲ. 지자체장 자살예방사업 참여 현황 ? 자살예방의날 행사(생.동.감. Day)에서 서울시장의 영상 통한 개회사 참여 - 일시 : 2019년 9월 4일 - 내용 : 자살예방의 날 행사 기념 생명존중 메세지 전달 및 생명지킴이들에 대한 지지와 격려를 위한 개회사 동영상 촬영을 통한 참여, 생명지킴이들에 대한 서울특별시장상 표창 진행 - 사진 ? 서울시 생명사랑 마을 대잔치에서 서울시장의 영상 통한 개회사 참여 - 일시 : 2019년 12월 19일 - 내용 : 생명사랑 마을 대잔치 통해 시민주도형 자살예방활동에 관한 홍보 및 생명사랑 돌봄 활동가들이 모두 모여 수고와 우애를 나눔. 마음건강주민 교육단 발대식, 시민토론회 성과보고회, 자작나무 활동보고회, 생명사랑공로상 시상식 등 진행 - 사진 ※ 서울시 25개구별 지자체장 자살예방사업 참여에 관한 세부현황은 첨부파일 참고 ◎ 용산구 구민 정신건강강좌 “고민이 고민입니다” - 일시 : 2019. 6. 16(수) 14:00~16:00 - 장소 : 용산구청 아트홀 - 대상 : 용산구민 300명 동원예비군 훈련 대상 마음건강검진 및 캠페인 - 일시 : 2019. 11. 19(화) 12:30~16:00 - 장소 : 노고단 예비군 훈련장(경기도 고양식 덕양구 소재) - 대상 : 용산구 동원훈련 미참석자 400명 ◎ 동대문구 동대문구 자살예방 구민 토론회 - 일시 : 2019. 9. 9(월) 14시 - 장소 : 동대문구청 2층 대강당 - 대상 : 155명 한일 지역사회 자살예방 심포지엄 - 일시 : 2019. 3. 20(수) 14시 - 장소 : 수림아트센터 - 참석자 : 264명 ◎ 도봉구 ‘사진! 생명을 말하다! 생명존중 사진전 Photo voice’ 발표회 및 시상식 - 일시 : 2019년 5월 10일(금) - 장소 : 도봉구청 자운봉홀(16층) - 대상 : 발표자 및 가족, 지역주민 등 사회복지의 날 기념행사 - 일시 : 2019년 9월 6일(금) 14:00 - 장소 : 창동역 1번 출구 창동역 광장 - 대상 : 구민 복지관련 종사자, 도봉구민 총 260여명 - 내용 : “NO!! 스트레스, YES!! 마음건강” 홍보부스 운영 및 마음건강평가 ◎ 노원구 자살예방사업을 위한 서울시 마을버스 운송사업조합 노원지부 협약체결 실시 - 일시 : 2019. 10. 25.(금) - 장소 : 구청장실 - 내용 : 생명존중 및 자살예방 주민 인식개선을 위한 마을버스 내 공익광고물 부착 등 자살예방사업에 동참 및 협조 ◎ 은평구 청소년 구정평가단 생명존중 교육 - 일시 : 2019. 2. 26 - 장소 : 양천구청 4층 공감기획실 청소년을 위한 생명존중 생명사랑 뮤지컬 1) 1,2차 공연 - 일시 : 2019. 10. 16~17 - 장소 : 양천문화회관 대극장 2) 3차 공연 - 일시 : 2019. 11. 25 - 장소 : 광영여자고등학교 ◎ 관악구 2019년 생명사랑실천한마당(자살예방의날 기념 행사) 보도자료 배포 - 일시 : 2019. 9. 6 - 내용 : 생명사라 실천 한마당 행사 지역주민 참여 독려 구청장 인터뷰 ‘19년 생명지킴이(게이트키퍼) 양성실적 제5장 (단위 : 명, %) 연번 지역 복지부 인증 자살예방 생명지킴이 양성자 수(명) (A) 보정계수를 반영한 만13세 이상 시도별 인구수 복지부 인증 자살예방 생명지킴이 양성률 (A)÷(B)×100(%) 계(B) 만13세~만18세 (청소년) 시도별 인구수(명) × 보정계수 만19세 이상(성인) 시도별 인구수(명) × 보정계수 1 서울시 (합계) 27,448 2,207,180 1,242,530 964,650 1.25 2 종로구 1,039 3 중구 535 4 용산구 753 5 성동구 285 6 광진구 576 7 동대문구 1,181 8 중랑구 1,155 9 성북구 321 10 강북구 908 11 도봉구 367 12 노원구 762 13 은평구 421 14 서대문구 1,541 15 마포구 950 16 양천구 158 17 강서구 2,246 18 구로구 323 19 금천구 743 20 영등포구 5,080 21 동작구 606 22 관악구 2,833 23 서초구 608 24 강남구 331 25 송파구 1,168 26 강동구 2,558 붙임 1. 자살예방교육 이수 및 생명지킴이 양성실적 1부. 2. 2019년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정산서 1부. 끝.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 결재문서본문.hwpx (2 MB)

      PDF다운로드 원문다운로드

  • 증빙자료(자살예방교육 이수 및 생명지킴이 양성실적).hwpx

    비공개 문서

  • 2019년 지역사회기반 자살예방사업 정산서(보고용).xlsx

    비공개 문서

문서 정보

2019년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실적 보고서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시민건강국 보건의료정책과
문서번호 보건의료정책과-12999 생산일자 2020-04-13
공개구분 부분공개 보존기간 5년
작성자(전화번호) 김성주 (02-2133-7547) 관리번호 D0000039747662
분류정보 건강 > 지역보건 > 건강증진관리 > 정신보건사업수행 > 정신건강증진사업운영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