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글로벌 음악도시 서울 기본계획

문서번호 문화정책과-14996 결재일자 2019.10.19. 공개여부 대시민공개 방침번호 서울특별시장 방침 제207호 시 민 주무관 문화정책과장 문화본부장 행정1부시장 서울특별시장 박백웅 김경탁 유연식 강태웅 10/19 박원순 협 조 기획조정실장 서정협 도시재생실장 강맹훈 지역발전본부장 김선순 젠더자문관 김연주 문화시설과장 박병현 문화예술과장 김인숙 문화정책팀장 류경희 ‘글로벌 음악도시, 서울’ 기본계획 2019. 10. 문화본부 목 차 Ⅰ. 추진 배경 1 Ⅱ. 음악(산업) 현황 및 실태 분석 3 Ⅲ. 정책 비전 및 추진전략 9 Ⅳ. 세부사업 추진계획 12 ① 음악으로 시민이 행복한 도시 12 ② 음악인(산업)이 성장하는 도시 31 ③ 음악으로 세계와 교류하는 도시 53 Ⅴ. 추진일정 및 연차별 투자 계획 60 Ⅵ. 행정사항 62 ‘글로벌 음악도시, 서울’ 기본계획(안) 한류를 대표하는 K-POP 등 서울의 음악관련 자원을 토대로 음악으로 행복한 문화시민도시를 앞당기고, 음악 장르 지원 및 인프라구축 등 음악산업 육성을 통해 매력적인 글로벌 음악도시를 구현코자 함 Ⅰ 추진배경 ?? 추진근거 ○ 문화 기본법 제9조(문화 진흥을 위한 분야별 문화정책의 추진) ○ 문화산업진흥 기본법 제3조(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 ○ 서울특별시 문화도시 기본조례 제8조(문화예술의 육성), 제9조 (문화산업의 육성), 제37조(문화예술축제의 육성) ○ 민선 7기 서울특별시장 공약, 시정 4개년 계획 - ‘글로벌 음악도시, 서울’ 조성 : 음악 장르별 기반조성, 브랜드화 ?? 추진방향 ○ 시민 누구나 가까운 곳에서 손쉽게 음악을 배우고 참여할 수 있고, 언제든지 다양한 음악공연?축제를 즐길 수 있는 음악문화 형성 ○ 여러 음악장르 음악인(산업)들이 마음껏 음악을 만들고, 공연하고, 성장 할 수 있도록 창작을 지원하고 다양한 공연장 인프라 조성 ○ 음악도시 서울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앞선 음악도시들과 교류를 강화하고, 서울을 알리는 축제?명소 등 음악콘텐츠 발굴 및 홍보 서울 시민의 행복과, 음악인(산업) 성장을 통해 세계와 소통하는 매력적인 글로벌 음악도시 구현 ?? 추진경과 ○ 민선 7기 서울특별시장 문화분야 핵심 공약 : ’18.7월 - ‘글로벌 음악도시, 서울’ 조성 : 음악 장르별 기반조성, 브랜드화 ○ 더깊은변화위원회 운영 및 시정운영계획 수립 : ’18.7월 ~ 10월 - 문화분야 핵심과제 선정, ‘글로벌 음악도시’ 6개 주요 과제 선정 ○ ‘글로벌 음악도시, 서울’ TF 운영 : ’18.10월 ~ ’19. 3월 - 6개 분과(35명)운영 : 아레나, 국악, 인디, 클래식, 음악거점, 축제 - 총 21회의 분과회의 및 2회의 분과장 전체회의를 통해 추진과제 제안 분과명 주요내용 서울아레나 서울아레나 건립, 운영 방안 및 창동 음악산업 클러스터 조성 국 악 국악인 소통?협의 창구인 서울국악센터 조성을 통한 국악자원 연계 인디음악 인디음악에 대한 국내?외 공연 지원 활성화로 인디음악생태계 조성 클래식 서울 클래식 홀의 필요성과 정체성 확립 및 글로벌화 전략수립 음악거점 노들섬에코뮤직파크, 강남 K-POP, 종로 국악 등 지역별 음악자원 활성화 음악축제 ‘서울뮤직페스티벌’ 등 서울시 대표 음악축제 개발 및 글로벌화 ○ 음악도시 해외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국제행사 참가 : ’19.4월 - 뮤직시티컨벤션(MCC), 중국(청두), 13개국 21개 도시 33명 연사 발표 - 도시의 음악자산과 정책사례 공유(서울 : 글로벌음악도시 플랜 등 소개) ○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전문가 자문 및 연구 활동 : ’19.3월 ~ 8월 - 글로벌 음악도시 설계를 위한 데이터 분석 및 전문가 의견 수렴 ※ 전문가 자문회의(12회) 및 분과별 심층인터뷰(12회) 운영 - 글로벌 음악도시 TF 제안과제 검토 및 관련 현황 자료 조사 - 한국 음악 관련 시장조사 및 분석, 세계음악도시 동향분석 - Must See Seoul Music Spot 50 선정 설문조사(5월~7월) ○ 사업 검토 및 보완을 위한 연구진 및 사업부서 워크숍 : ’19.7월 ○ ‘글로벌 음악도시, 서울’ 기본계획(안) 시장 보고 : ’19.8월 ○ ‘글로벌 음악도시, 서울’ TF 전체회의 개최 : ’19.8월 Ⅱ 음악(산업) 현황 및 실태 분석 1. 서울의 음악 인프라 현황 ?? 공연장 및 음악공연 ○ 다양한 규모의 공연장(35%)과 음악공연(77%)이 서울에 집중 공 연 장(단위: 개소) 음악공연(단위: 회) 전국 서울 비율 전국 서울 비율 1,019 355 35% 2,005 1,540 77% ※ 서울공연장 규모(1천석 이상 19개소, 300석이상 109개소, 300석 미만 227개소) ※ 통계청 등록공연장 현황(2017), 공연예술통합전산망(KOPIS) 공연통계(2018) ▷ 다만, 1만명 이상 수용할 수 있는 대형 음악 전용공연장은 없음 - 월드컵경기장, 잠실주경기장, 올림픽 체조경기장 등 체육시설에서 공연 ▷ 서울시향 전용홀이 없어 정상급 연주자 초청 등 장기 기획 공연 곤란 - 예술의전당, 롯데 콘서트홀 등 클래식 전용 콘서트홀은 대관 경쟁 치열 ※ 베를린필, 뉴욕필, 런던필 등 세계 유수의 교향악단은 모두 전용홀 보유 ?? 음악산업 분야 및 사업체 수 ○ 음악관련 산업체 전국 2,717개중 1,694개(62.3%)가 서울에 위치 중분류 전 국 서 울 비 율 음악 제작업 1,128개 794개 70.4% 음악 및 오디오물 출판업 60개 43개 71.7% 음반복제 및 배급업 92개 49개 53.3% 음반 도소매업 330개 132개 40.0% 온라인 음악 유통업 236개 198개 83.9% 음악 공연업 871개 478개 54.9% 합 계 2,717개 1,694개 62.3% ※ 2018 음악 산업백서(한국콘텐츠진흥원) 2017년 기준 자료, 노래연습장 제외 ?? 음악분야 종사 예술인 수 ○ 음악분야 예술인 44,928명 중 20,864명(46%)이 서울 거주 - 전국예술인 178,540명 중 70,729명(39.6%)이 서울 거주 - 전국 음악예술인 비율 25.2%, 서울 29.5%로 전국 평균보다 높음 구 분 전 국 서 울(단위: 명) 전분야 음악 등 전분야 음악 등 계 음악 국악 대중음악 인 원 178,540 44,928 70,729 20,864 4,340 2,550 13,974 비 율 100% 25.2% 100% 29.5% 6.1% 3.6% 19.8% ※ 경기도 예술인 수(2위) : 전분야 35,837명, 음악 10,229명 서울의 절반 수준 ※ 문체부 예술인 실태조사(2018) - 전국 성별분포(남성 83천, 여성 79천, 모름 16천)만 조사됨 ▷ 개인 및 단체의 작품발표(창작) 지원 사업은 있으나 음악 장르별 예술 생태계에 대한 분석 및 맞춤형 지원정책은 미흡 ?? 다양한 유형의 축제 개최 ○ 서울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축제가 2018년 기준 126건 개최되어 전국(889건)적으로 가장 많은 축제가 개최됨 ※ 2019년 지역축제 개최계획(문화체육관광부) ▷ 장르별 음악축제(서울드럼페스티벌, 서울재즈페스티벌, 그린플러그드 페스티벌 등)가 개최 되고 있으나 글로벌 인지도 개선 필요 ?? 서울 음악 인프라의 특성 : 음악 장르 공존 및 지역별 특색 보유 ○ 서울은 K-POP의 본고장이며 강남지역은 K-POP 스타들을 배출하고, 활동하는 대형 연예기획사들이 밀집되어 있음 ○ 홍대 지역은 인디음악인들이 활동하는 공연장, 소규모 라이브클럽, 버스킹, 페스티벌, 인디레이블 등 인디음악생태계가 자리함 ○ 도심에는 남산국악당, 돈화문국악당, 정동극장, 북촌 창우극장 등 국악 공연 인프라 구축되어 다양한 공연이 이루어짐 2. K-POP 본고장 서울의 발전가능성 ?? 글로벌 음악시장에서 한국의 위상 ○ 2019년 국내 음악산업 매출액은 6.6조원으로 전년 대비 7.2% 증가, 수출액은 5.7억 달러로 12.6%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콘텐츠산업 2018년 결산 및 2019년 전망, 한국콘텐츠진흥원 ○ 세계 음반시장(스트리밍, 디지털, 오프라인, 흥행권 조사 등) 수익은 2018년 총 191억 5천만 달러로 전년대비 9.7% 증가 ○ 한국음악은 K-POP과 BTS 같은 아티스트 주도하에 ‘잠재적인’에서 ‘강력한 시장’으로 전환하는 과정이며 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음 2018년 세계 음악시장 TOP 10에서 한국은 6위에 위치함 - 1위 미국, 2위 일본, 3위 영국, 4위 프랑스, 5위 독일 6위 한국 , 7위 중국, 8위 호주, 9위 캐나다, 10위 브라질 ※ 국제음반산업협회(IFPI, 영국) 글로벌 뮤직 리포트 2019 ?? K-POP 스타들의 성공 효과 ○ BTS의 인지도가 1P 증가할 경우 3개월 이후 외국인 관광객수 0.45% 증가(연평균 약 79.6만명), 당월 소비재 수출액 증가율 의복류 0.18%, 화장품 0.72%, 음식류 0.45% 증가 효과(연평균 약 11억 1,700만달러) ○ BTS의 경제적 효과는 연평균 약 4조 1,400억원의 생산유발과 1조 4,200억원의 부가가치 유발 효과, 데뷔 이후 10년간(’14~’23년) 총 경제적 효과를 2018년 기준으로 환산하면 생산 및 부가가치유발효과는 56조 1,600억원으로 추산 ※ 현대경제연구원,『방탄소년단의 경제적 효과, 구글 트렌드 분석』(’18.12월) ○ 다수의 아이돌 그룹이 해외 팬덤을 형성하여 영향력 상승 - 걸그룹 트와이스 일본 도쿄돔 이틀만에 10만 관객 동원(’19.4월) - 걸그룹 블랙핑크 월드투어 전체 평균 좌석 점유율 96.6%(’19.7월) ?? 한류스타와 한류에 대한 연구 사례 ○ 한?일 욘사마 경제적 효과(2004, 현대경제연구원) - 드라마 겨울연가 이후 일본을 강타한 욘사마 열풍의 경제적 효과 측정 - 문화콘텐츠 상품 및 서비스, 관광, 기타 제조업 등 약 3조원 추정 ○ 가수 PSY의 경제적 효과(2013, KOTRA) - 유럽 7개 국가 대상 설문조사, 한류가 한국제품 신뢰도 향상 ※ 독일, 스페인, 영국, 이탈리아, 폴란드, 프랑스, 헝가리(일반인, 전문가, 한국기업인) - 추정결과 PSY 등 한국의 대중문화가 EU내에서 창출한 국가브랜드 자산은 6천 656억원으로 도출 ○ 한류의 경제적 효과(2017,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 문화콘텐츠 전문가, 16개국 7,800명 소비자 설문조사, 한류영향계수 추정 - 한류로 인한 총 수출액 9조3천억, 생산유발효과 17조8천억, 부가가치 유발효과 6조9천억, 취업유발효과 12만8천명으로 추정함 ?? 유튜브 조회수로 보는 K-POP 팬 분포 현황 ○ 2019 GLOBAL K-POP MAP [팬덤연구소 블립 blip ? kpop radar에서 인용, ‘18.7월~‘19.6월 유튜브 재가공] - 동남아시아 외에도 북미, 유럽, 중동 등 전세계 거의 모든 지역에서 한국의 음악에 대한 관심(한류 열풍)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파란색 원의 크기는 상대적인 유튜브 조회수의 양, 클수록 인기지역 3. 국내?외 주요 음악도시 사례 ?? 오랜 전통의 음악축제 ○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1920년 최초 개최 - 매년 7~8월 개최, 장르(클래식 콘서트, 오페라, 연극 등) - 기간중 200여회의 공연 개최 공연실황을 극장에서 라이브로 상영 ○ 에든버러 인터내셔널 페스티벌(스코틀랜드 에든버러) 1947년 최초 개최 - 매년 8월 개최, 장르(클래식 콘서트, 군악대 연주, 연극 및 공연 등) - 프린지 페스티벌(종합공연), 밀리터리 타투(군악축제) 등 다양한 구성 ※ 세계 3대 클래식 축제 : 잘츠부르크, 바이로이트, 에든버러 ○ 아스펜 음악제(미국 콜로라도주 아스펜) 1949년 최초 개최 - 매년 6~8월 개최, 장르(클래식 콘서트, 오페라, 현대음악 등) - 폐광촌이 음악제로 인해 매년 10만명 이상이 찾는 세계적 음악명소이자 관광휴양도시로 성장, 유망주 및 유아 등을 위한 음악학교 운영 ○ 도나우인셀페스트(오스트리아 비엔나) 1984년 최초 개최 - 매년 6월 개최, 장르(록, 팝, 포크, 랩, 일렉트로닉 등) - 도나우강변 야외무대에서 펼쳐지는 무료공연 관람객 약 300만명(2015년) ?? 세계적 수준의 공연 시설 ○ 스테이플스 센터(미국 캘리포니아주 LA) 1999년 건립 - 수용인원 2만명, 스포츠(농구, 아이스하키) 경기, 시상식, 공연 등 다목적 공간 ○ O2 아레나(영국 런던) 2007년 건립, 2008년 세계에서 가장 많은 관람객이 찾은 공연장 - 수용인원 2만명, ATP(테니스) 월드투어 파이널, ’12년 하계 올림픽 등 개최 ○ 바비칸 센터 - 런던심포니 오케스트라(영국 런던) 1982년 건립 - 음악당(2천석), 연극장, 전시장, 영상관, 정보도서관, 회의실, 학교 등 - 예술학교, 교육시설, 회의시설, 공연시설이 상호보완적으로 연결 ○ 링컨 센터 ? 뉴욕 필하모닉(미국 뉴욕) 1982년 건립 - 음악당(오페라하우스 3,788석, 주립극장2,729석, 애버리피셔홀2,836석), 연극장, 영상관, 뉴욕시립도서관, 줄리어드 예술학교 등 4. 음악(산업)에 대한 정책 현황 ?? 중앙정부의 음악 정책 ○ 온라인 플랫폼 활용기반 콘텐츠 제작 및 홍보 지원(한국콘텐츠진흥원) - 내용 : 대중음악 온라인 홍보 지원, 해외 진출 온라인 홍보 지원 - ’18년 실적 : (규모)60팀·12개 과제 지원/ (예산)3,000백만원 ○ 글로벌 전략시장 진출 유통 활성화(한국콘텐츠진흥원) - 내용 : 해외 장기 투어 공연 개최 지원, 해외 주요 거점 음악 마켓 참가 지원 - ’18년 실적 : (규모)뮤지션 14팀 지원/(예산)약1,100백만원 ○ 글로벌 뮤직 네트워크 구축 지원(한국콘텐츠진흥원) - 내용 : 서울국제뮤직페어(MU:CON)(컨퍼런스, 쇼케이스, 비즈매칭 등) 개최(2012년~) - ’18년 실적 : (규모)참관객 2만 여명, 국내외 음악계 1천여 명/(예산)약1,000백만원 ○ 지역기반형 음악창작소 조성지원 사업(문화체육관광부) - 내용 : 음악창작소(음악 아카데미 운영, 음악 비즈니스 멘토링, 컨퍼런스 및 세미나 개최 등) 조성 지원 - ’18년 실적 : (대상)광역지자체/(규모)2개소(2013~2018년, 총10개소 지원)/(예산)2,000백만원 ?? 서울시의 음악 정책 ○ 국악 활성화 사업 - 내용 : 국악인턴제 운영, 국악로 투어 콘서트, 한옥명소 및 거리 국악공연 등 - ’18년 실적 : (규모)인턴(12명, 8개월), 콘서트(20회), 거리 국악공연(50회) 등/(예산)520백만원 ○ 청년예술(음악 장르 포함) 지원사업 - 최초예술지원(작품 준비 또는 발표 비용 지원), 청년예술단지원(활동비, 멘토링 등 지원), 청년예술공간지원(창작발표 및 상호 협력 교류활동을 위한 공간 지원) ? ’18년 실적 : 3개분야(456건/3,760백만원, 58단체/2,240백만원, 36건/800백만원) 총 6,800백만원 ○ 서울음악창작지원센터 운영 ※ 2014.11 개관 - 개요 : 은평구 수색로 261/대지 585㎡, 연면적 708㎡(지상2층) - ’18년 실적 : (규모)뮤지션 지원(16개팀), 동아리 지원(8개팀), 뮤직포럼 개최(10월) 등/(예산)423백만원 ⇒ 음악예술 분야에 대한 지원은 있으나, 음악도시로 성장을 견인할 대중음악을 포함한 음악 산업적 측면의 정책은 부족한 상황 Ⅲ 정책 비전 및 세부추진과제 ?? 비전체계도 비전 시민이 행복하고, 음악인이 성장하는 ‘매력적인’ 글로벌 음악도시, 서울 목표 음악으로 시민이 행복한 도시 음악인(산업)이 성장하는 문화도시 세계와 교류하는 음악도시 추진 전략 1. 누구나 항상 음악을 배우고 즐기는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2. 음악을 만들고, 공연하고, 성장하는 지원 및 인프라 구축 3. 음악정책 교류 및 콘텐츠 발굴을 통한 세계와 소통 강화 핵심 과제 ① 음악 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 확대 ② 다양한 음악공연 활성화 ③ 세계적 음악축제 개최 및 축제 활성화 ④ 음악산업 체계적 지원 ⑤ 다양한 공연이 가능한 공연장 확충 ⑥ 장르별 균형적 지원(국악, 인디, 클래식) ⑦ 음악 콘텐츠 발굴 음악 관광 활성화 ⑧ 민간 및 도시간 음악교류 확대 ⑨ 글로벌 홍보 마케팅 강화 ?? 추진전략 ○ 소소한 음악축제는 많으나 대표적인 글로벌 축제 부재 ⇒ 서울(대한민국) 하면 떠올릴 수 있는 음악축제 브랜드화 - 전세계에서 찾아오는 음악팬들에게 다양한 음악공연 관람과 음악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페스티벌 개최 등으로 음악도시로서의 정체성 확립 - 서울뮤직페스티벌 개최 및 글로벌화, 다양한 음악축제 성장 지원 ○ K-POP 위주 급성장으로 장르별 불균형 심화, 체계적 지원책 미흡 ⇒ 다양한 장르가 함께 성장하는 음악 생태계 지원 - K-POP외에 국악, 인디, 클래식, 힙합, 록, EDM 등 다양한 음악들이 공존하여 고르게 발전할 수 있는 음악 장르별 생태계 조성 - 장르별 라이브 공연, 페스티벌 개최, 음악레이블 및 매니지먼트 등 균형적 육성을 통해서 음악장르의 다양성 확보 ○ 공연장은 많이 있으나, 대형 공연에 적합한 인프라 부족 ⇒ 모든 음악공연이 가능한 공연 환경 조성 - 서울 아레나, 라이브공연장, 클래식 콘서트홀, 서남권대공연장 등 음악관련 기반 시설 조성 - 미래를 이끌어나갈 음악 콘텐츠 기업 및 전문 인재 양성을 통해서 세계 최고의 음악 산업 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기반 육성 ○ 잠재력에 비해 세계적인 음악도시 중 서울의 인지도는 미약 ⇒ 세계 무대에서 음악도시 서울의 경쟁력 강화 - 세계 음악도시들간 산업 및 정책교류, 음악자원 유통을 위한 국제협의체 구축을 통해 음악도시로서 서울의 국제적 위상 제고 - 국제음악행사 서울유치(MCC, WOMAD), 글로벌 홍보대사 위촉?운영, 음악공간 BEST 50 등을 통한 다각적 홍보에 주력 ?? 세부추진과제 목록 3대 목표 9대 과제 세부 추진사업 음악으로 시민이 행복한 도시 1) 음악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 확대 - 생활문화지원센터 확충 - 찾아가는 생활예술오케스트라 공연 - 악기나눔 및 기증 사업 - 예술교육센터 확충, 연령대별 클래식 교육 - 저소득층 음악영재 교육, 세종아카데미 교양 교육 2) 다양한 음악공연 활성화 - 서울365거리공연, 한옥명소 국악공연 - 찾아가는 음악회, 문화가 흐르는 서울광장 3) 세계적 음악축제 개최 및 축제활성화 - 6개 브랜드 축제, 서울뮤직페스티벌 - 작은축제 지원 및 축제 플랫폼 구축 음악인 (산업)이 성장하는 문화도시 4) 음악산업 체계적 지원 - 음악기업유치, 비즈니스 아카데미 - 예술작품, 청년예술지원 사업(음악장르) 5) 다양한 공연이 가능한 공연장 확충 - 아레나, 중형공연장, 라이브공연장 - 서울시향 클래식 전용홀 건립 - 노들섬, 서남권대공연장 6) 장르별 균형적 지원 (국악, 인디, 클래식) - 국악의 대중화 세계화 - 인디음악 생태계 복원 - 서울시향 세계적 수준 육성 세 계 와 교류하는 글로벌 음악도시 7) 뮤직투어리즘 활성화 - 음악명소 선정 콘텐츠화 - 대중음악 명예의 전당 조성, 아카이빙 - 축제, 공연 연계 음악관광 활성화 8) 민간 및 도시간 음악교류 확대 - 20년 상반기 MCC 개최 - 22년 이후 WOMAD, WOMEX 개최 - 22년 국제음악도시 협의체 구축 9) 글로벌 홍보마케팅 강화 - 해외음악전문매체 활용 홍보 - 언론 및 인플루언서 초청 마케팅 - 명소 및 관광 프로그램 개발 홍보 Ⅳ 세부사업 추진계획 1. 누구나 항상 음악을 배우고 즐기는 행복한 음악도시 1 참여하는 음악체험, 악기나눔, 음악교육 확대 생활문화지원센터 확충 ?? 추진방향 ○ 시민 개인의 일상 속 생활문화 활동지원을 통해 문화주체로의 성장지원 - 활동지원, 공간 지원, 기반조성 등 다각적 지원으로 생활문화 지원 체계화 ?? 추진목표 - 거점형 생활문화지원센터 조성 : ’19년 3개소 ⇒ ’23년 7개소 - 생활권형 생활문화지원센터 확충 : ’19년 22개소 ⇒ ’23년 100개소 ?? 사업개요 ○ 대 상 : 신규조성 또는 지속사용 가능한 유휴공간이 있는 공공?민간단체 공모 ○ 추진내용 : 일상 속 생활예술 연습공간 및 발표·교류 등 공간 조성·확대 - 거점형 생활문화지원센터 구 분 신도림 고리 체부동 낙원 서교 위 치 구로구 구로동 3-33 종로구 체부동 188 종로구 삼일대로 428 마포구 서교동 395-43 전용면적 752.9㎡ 353.5㎡ 580㎡ 2719.51㎡ 공간구성 세미나실 다목적홀 전시공간 체부홀 마을카페 세미나실 악기공유센터, 수리센터, 창작캠프 연습실, 커뮤니티 시설, 공연장, 다목적실 등 개 관 일 ’17. 1월 ’18. 1월 ’19.12월 예정 ’20년 4월 예정 전경 (조감도) - 생활권형 생활문화지원센터 : 공공과 민간단체 대상으로 지역을 기반으로 한 생활권형 생활문화공간 공모·지원(문화재단 공모) ? 공간규모 : 80㎡ 이상 ? 지원규모 : 리모델링비(2천만원~1억), 프로그램비(3천만원~1억) ? ’18년 운영 : 중구 황학동 ‘생활문화예술센터일상’ 등) 외 54개소 ‘찾아가는 생활예술오케스트라’ 공연 ?? 추진방향 ○ 서울 전역에 생활예술오케스트라 공연 확대를 추진하여 생활예술오케스트라 단체의 자립과 시민 접점 확대에 기여 ○ ‘서울생활예술오케스트라축제’ 참여 단체를 대상으로 공연 확대를 집중 추진하여 공연의 질과 운영 효율 강화, 축제 사전 붐업 효과 기대 ?? 추진목표 : ’19년 2회 ⇒ ’23년 25회 ?? 사업개요 ○ 기간 : 5월~9월 중(‘축제 참여단체 선발 후~세종문화회관 공연’ 사이에 진행) ※‘19년은 현재 사업계획 수립 후 진행 중인 사유로 ’20년부터 추진 가능 ※‘20년 축제 세종문화회관 공연 예정일 : 9/2(수)~9/13(일) 중 9일(대관완료) ○ 내용 : 축제에 참여하는 단체를 대상으로 자치구 등 서울 전역에서 찾아가는 생활예술오케스트라 공연 추진 - 공간협의 및 대관료, 시스템 비용, 홍보, 운영인력 등 전반 지원 - 생활예술오케스트라 단체가 직접 기획한 공연 계획서를 심사 시 고려하여 축제 참가단체 선발, 세종문화회관 공연 이외에 단체별 최소 1회 공연 추가 운영 - 타 단체와 합동공연 가능, 풀 오케스트라가 아닌 앙상블 형식으로도 가능 ○ 장소 : 생활예술오케스트라 단체가 원하는 서울 전역 공간 (자치구별 대표 공연장, 자치구 축제, 유동인구가 많은 공공 공간 등) 악기나눔 공유 활성화 ?? 추진방향 ○ 잠자고 있는 악기 기증 캠페인을 통해 악기가 없어 연주가 어려운 시민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악기 공유와나눔 추진 ○ 일상 속 다양한 악기를 체험하는 생활음악의 장이 되도록 악기체험 프로그램 및 교육 제공 ?? 추진개요 ○ 추진시기 : 연 2회(상·하반기) ○ 추진대상 - 기증 : 잠자고 있는 악기를 소유하고 기증의사가 있는 개인, 단체 - 수혜 : 악기를 배우고 싶은 시민, 학생, 어린이 등 ○ 추진방법 기증캠페인 ? 악기접수 ? 악기수리 ? 악기나눔?공유 ? 악기교육 서울시, 교육청, 아름다운가게 아름다운가게 서울시, 낙원상가 서울시, 교육청 서울시, 교육청 - 아름다운가게 : 유휴악기를 기증받아 접수 및 기부영수증 발급 - 낙원 악기상가번영회 : 악기 수리?조율 - 서울시교육청 : 학교와 학생, 음악학원 등 악기 기증, 나눔, 학생교육 - 서울시(낙원생활문화지원센터) : 악기나눔 총괄, 악기수리 및 배송, 시민교육 아동?청소년 예술교육센터 조성 ?? 추진방향 ○ 아동·청소년에게 문화예술 체험기회 제공 등 다양한 예술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시설을 조성함으로써 아동·청소년의 창의성 및 감성발달 도모 ?? 추진목표 : 15개소(5대 권역별 각 2개소씩+지역밀착형 5개소) ○ (~’19년)3개소 개관⇒(’20년)7개소⇒(’23년)13개소⇒(’30년)15개소 구분 = 권역별 예술교육센터 + 지역밀착형 예술교육센터 총 15개소 10개소 건립 (5대 권역별 2개소) 5개소 건립 (문화예술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 중·소규모 조성 (자치구 유휴시설 리모델링) 대규모 조성(신축) ?? 사업개요 ○ 사업필요성 - 아동·청소년의 예술적 놀 권리를 실현시킬 전용공간 조성 - 공공 예술교육시설 건립 및 프로그램 확충을 통한 예술교육 향유기회 확대 ○ 아동·청소년 예술교육센터 공간구성 - 아동에 특화된 전시/체험공간, 블랙박스 공연장, 예술교육 프로그램실 - 예술가들을 위한 예술가Lab/세미나실, 시민 편의시설(카페 등) 등 ○ 권역별-지역밀착형 역할 체계 <권역별 거점형> 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예술가교사 양성 및 예술교육센터 간 네트워크 구축 등 각 권역의 교두보 역할 수행 <지역 밀착형> 지역기반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지역특화 예술교육 기능 수행 연령대별 클래식 교육 ‘채움 클래식’(서울시립교향악단) ?? 추진방향 ○ 영유아부터 노년기까지 세대별 특성에 맞는 클래식 체험을 통해 시민들이 클래식 친밀도 및 감수성 제고 ?? 추진목표: 총 42회 → 70회 우리아이 첫 콘서트(3회→5회), 음악 이야기(3회→5회), 음악수업2교시(6회→8회), 청소년 오케스트라 캠프(1회→2회), 대학교 교양강의 공동운영(2회→2회), 콘서트 미리 공부하기(22회→30회), 퇴근길 토크 콘서트(4회→6회), 교과서 음악 영상화(1회→2회), 치매노인 음악경험세미나 등(0회→10회) ?? 사업개요 ○ (영유아) 클래식 놀이로 영유아기 예술적 감수성 계발 - 공연장 출입이 어려운 영유아 대상 교육 콘서트(우리아이 첫 콘서트) ○ (아동기 및 청소년기) 클래식 체험 및 융복합 사고 확립 - 초?중학생 대상 공연(음악 이야기), 초등학교로 찾아가는 수업(음악수업 2교시) - 청소년 오케스트라에 연주 지도(청소년 오케스트라 캠프) - 스마트 콘텐츠 보급을 통한 공교육 보완(교과서 음악 영상화 사업) ○ (청년기~노년기) 클래식 가치 공유 및 향유 - 대학생 대상 클래식 음악과 오케스트라 이해도 높임(대학 교양강의 공동운영) - 정기공연 사전 이해도 증진(콘서트 미리 공부하기) 및 인문학 클래식 강의(퇴근길 토크 콘서트) - 치매노인 음악경험 세미나 추진(예정) ※ 참석자에 대한 성별분리통계 산출로 성별균형수혜 지향 저소득층 음악영재 교육 ?? 추진방향 ○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정의 자녀 중 음악에 재능이 있는 자를 적극 발굴, 체계적인 예술교육 지원 ○ 영재성 함양 및 흥미 충족 가능한 음악 교육을 통한 청소년의 예술적 잠재력 발현 및 자아실현 기회 제공 ?? 추진목표 : ’19년 100명 ⇒ ’23년 200명까지 확대 ?? 사업개요 ○ 교육대상 : 저소득층 초3 ~ 고1 예술에 재능있는 청소년 ○ 지원자격 : 기초생활보장수급권자 선정기준 중위소득 미만 가정의 음악·미술에 재능 있는 청소년 ○ 선발방법 : 서류 및 적성검사, 실기 및 심층면접을 통해 예술적 재능이 있는 학생 선발(성별균형수혜 지향) 서류심사 ⇒ 적성검사·실기면접 등 ⇒ 결과발표 서울시가 정한 기준에 따른 소득기준 등 심사 수탁기관 선발위원회심사 ○ 교육내용 : 이론·실기수업, 체험학습 및 연주회 개최 등 세종예술아카데미(세종문화회관) ?? 추진방향 ○ 클래식 관객 저변을 넓히기 위한 인문학 교양 교육프로그램 확대 ○ 일반시민, 어린이, 기업체 직원 등 다양한 계층의 음악감상을 위한 기초, 심화 교육 ○ 자발적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음악실기 교육 실시 ?? 추진목표 : ’19년 10강좌 2,850명 → ’23년 11강좌 3,050명 ?? 사업개요 ○ 클래식을 쉽고 재미있게 시민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음악과 관련된 역사, 도시, 여행, 음식, 사랑 등의 인문학적 주제와 연결한 강의 2019년 프로그램 일정 정원 영화도 보고 오페라도 배우고 〈영화와 오페라〉 3월∼6월/ 9∼12월 (24회) 60명 내 목소리를 찾아서 <히든보이스> 3월∼6월/ 9∼11월 (24회) 60명 정오의 클래식 예술테라피 〈정오의 클래식〉 3월∼6월/ 9∼12월 (24회) 100명 정오에 만나는 클래식 콘서트 〈정오의 음악회〉 3월∼6월/ 9∼12월 (24회) 100명 오페라와 사랑에 빠지기! 〈오페라 이야기> 3월∼5월/ 10∼11월 (12회) 80명 클래식 인문학 원정 〈클래식 플러스〉 3월∼5월/ 10∼11월 (12회) 80명 예술가역량충전 아카데미 〈오케스트라 지휘과정〉 3월∼7월 (12회) 30명 〈CEO 합창단〉 3월∼6월/ 9∼12월 (32회) 60명 어린이 대상 클래식 체험 아카데미 〈꿈나무예술탐험대〉 11월∼12월 (23회) 1,140명 기업대상 클래식 저변확대 아카데미 〈기업특강〉 3월∼12월 (18회) 1,140명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19 2020 2021 2022 2023 생활문화 지원센터 거점형 3 4 6 7 7 생활권형 22 75 90 100 100 찾아가는 생활예술 오케스트라 공연 - 15회 18회 20회 25회 악기나눔공유활성화 1회 2회 2회 2회 2회 예술교육센터 조성(누적) 3개소 7개소 8개소 11개소 13개소 채움 클래식 교육 42회 60회 60회 65회 70회 저소득층 음악영재 교육 100명 150명 165명 180명 200명 세종예술 아카데미 10강좌 2,850명 11강좌 3,050명 11강좌 3,050명 11강좌 3,050명 11강좌 3,050명 ?? 연차별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 계 2019 2020 2021 2022 2023 계 56,784 11,177 11,567 13,950 11,380 8,710 생활문화 지원센터 거점형 14,805 1,345 2,210 3,670 3,790 3,790 생활권형 2,820 720 400 500 600 600 찾아가는 생활예술 오케스트라 공연 600 - 100 130 170 200 악기나눔공유활성화 483 43 100 100 120 120 예술교육센터 조성 30,569 8,071 7,498 8,000 5,000 2,000 채움 클래식 교육 2,685 385 450 550 600 700 저소득층 음악영재 교육 3,500 400 600 700 800 1,000 세종예술 아카데미 1,322 213 209 300 300 300 2 일상공간 다양한 음악공연 활성화 서울 365 거리공연 ?? 추진방향 ○ 열린공간을 활용한 거리공연 활성화로 시민 문화 향유 기회 확대 ○ 거리공연가들의 예술활동 공간 및 기회 제공 ?? 추진목표 : ’23년 거리공연 연 3,750회 개최, 공연단 220팀 모집 ?? 사업개요 ○ 서울 도심 곳곳에서 다양한 장르의 공연 예술 제공 - 서울 시내 곳곳의 야외공간을 ‘서울거리공연’장소로 지정하여 운영 - 전통음악, 인디음악, 마술·마임 의 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 공연 무료 제공 ○ 서울거리공연단 선발 및 공연 기회 제공 통한 자생적 공연가 육성 - 공개 오디션을 통해 200여개 아마추어 예술 동아리 및 단체를 선발 예술 활동 공간 및 기회 제공 한옥명소 및 보행전용거리 국악공연 ?? 추진방향 ○ 국악 대중화를 위해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서 공연 개최 ?? 추진목표 : ’19년 연간 50회 공연 ⇒ ’23년 연간 100회 ?? 사업개요 ○ 내 용 : 시민들이 국악을 쉽게 이해하고 즐길 수 있도록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서 국악 공연 개최 ○ 기 간 : 매년 5월~10월(주말) ○ 장 소 : 북촌한옥마을, 덕수궁길·감고당길 등 보행전용거리 ※ 서울로7017, 신촌명물거리, 국악로, 은평한옥마을 등 공연장소 확대 추진 찾아가는 클래식 공연 확대(서울시립교향악단) ?? 추진방향 ○ 시민들에게 수준 높은 클래식 공연 프로그램 관람기회 제공으로 시민소통 및 지역사회와 동반 성장 ○ 수준높은 공연기획으로 예술적 수월성을 알리고 국내 클래식 선도 ?? 추진목표 : 순회공연 총 42회 → 63회, 전통시장 총 2회 → 24회 ?? 사업개요 ○ 자치구 및 국내 주요도시 순회 공연 확대 - 병원?복지관 등 서울 25개 자치구를 찾아가는 대시민 공연(우리동네 음악회) - 지방 순회공연 정례화를 통해 자치단체 간 문화교류 증진 ○ 장애인 등 문화소외계층의 포용적 프로그램 개발 및 확대 - 발달장애인 대상 공연 개최 및 시향 단원과 합주?협연 등 직접참여(행복한 음악회 함께) ○ 우리동네 시장 나들이 사업과 연계 공연 실시(서울시향) - 시장규모 및 수요에 맞는 소규모 앙상블 공연 추진(단원 50명, 20명, 5명 규모) 문화가 흐르는 서울광장 ?? 추진방향 ○ 일상 속 다양한 문화예술 공연으로 시민들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 시민이 직접 공연자로 참여하여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서울광장 구현 ?? 추진목표 : 정기공연 연 60회, 시민 아티스트 참여 확대(8팀→40팀) ?? 사업개요 ○ 광장을 찾는 시민들에게 다양한 장르·형태의 문화예술 공연 제공 - 4월~10월까지 서울광장 특설무대를 설치하여 상설 문화공연 운영 - 음악, 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의 수준 높은 문화예술 공연 무료 제공 ○ 시민 아티스트 등 시민이 직접 공연자로 참여하는 공연 확대 - 오디션을 통해 시민 아티스트를 선발하여 서울광장 공연 기회 제공 - 아마추어 밴드, 음악 동호회 등 역량 있는 시민 아티스트 발굴(성별 균형 발굴 지향) 남산국악당?돈화문국악당 운영 ?? 추진방향 ○ 서울시 거점 국악공연장인 남산·돈화문국악당의 효율적 운영을 통해 시민의 문화향유 수준 제고 ?? 추진목표 : 공연장 가동률 85% 이상 유지, 야외공연 20회 이상 실시 ※ 현재도 서울지역 평균 공연장 가동률 77%를 상회하고 있어 공연횟수 증대는 무리임 ?? 사업개요 ○ 국악당 간 기능조정을 통해 국악당별 다양한 공연 제공(공연 선택권 확대) - 서울돈화문국악당 : 자연음향을 활용한 명인·명창 무대 등 전통국악 - 서울남산국악당 : 신인 국악인들의 무대, 한옥마을 연계 공연 ○ 국악마당 등 야외 공간을 활용한 공연 확대 - 야외 공연에 적합한 시기(5~10월)에 주1회 이상 야외 공연 실시 - 인근 주민·직장인들을 위한 점심시간 무료 공연 추진 ○ 대관공연에 대해서도 기획·홍보·마케팅 등 지원을 통해 공연수준 제고 - 국악분야에서 특히 취약한 기획·홍보·마케팅 등을 지원을 통해 일정 수준 이상의 공연이 무대에 올려질 수 있도록 지원 공익공연 온쉼표(세종문화회관) ?? 추진방향 ○ 일반시민들 뿐 아니라 문화생활이 다소 어려운 사람들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다양한 장르의 공연 관람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 세종문화회관 대표 사회공헌 프로그램으로서 인지도 강화를 통해 시민들의 문화예술 향유기회를 확대 도모 ?? 추진목표 : 목표관객 ’19년 14천명, ’23년 20천명 확대 ?? 사업개요 ○ 시민의 공연관람 생활화 및 문화예술 소외계층의 향유기회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확대 - 문화예술 향유기회 확대를 위해 저렴한 가격(1,000원) 유지 및 공연의 다양성 확보를 통한 공연장 문턱 낮추기 실현 - 공연장의 문턱을 낮춰 새로운 관객을 유입하고 입문자에게도 쉽고 흥미로운 공연 관람 기회 제공 - 새로운 관객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프로그램 횟수를 확대하여 운영시간을 다양화할 예정 ○ 양질의 콘텐츠를 통한 프로그램 인지도 확보 및 관객 개발 - 우수 콘텐츠 개발 및 출연자 섭외를 통한 프로그램 인지도 확보 - 공연의 작품수준 향상 및 장르 다양화로 콘텐츠 다양성 확보 및 관객 개발 - 연간 통합홍보, 홍보물 시안 개발 등 적극적 홍보 진행 및 아름다운 사람들(문화소외계층 단체관람) 확대를 위한 기업 협찬 제안 등 공격적 마케팅을 통한 수익성 제고 ○ 콘텐츠 개발 프로세스 구축을 통한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 개발 - 차기년도 기획공연 및 해외 투어공연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는 프로그램을 파일럿으로 추진 - 문화교류 활성화와 콘텐츠 발굴을 위한 해외 콘텐츠 섭외로 콘텐츠의 다양성 확보 - 콘텐츠 발굴을 위한 개발비용 마련 및 진행을 통해 체계적인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신규 작품 발굴 및 해외 문화교류 활성화를 통한 프로그램 브랜드 이미지 확립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19 2020 2021 2022 2023 공연계 2,788회 3,734회 3,776회 4,057회 4,082회 서울 거리 공연단 공연횟수 2,600회 3,500회 3,500회 3,750회 3,750회 공연단 200팀 200팀 200팀 220팀 220팀 한옥명소 및 보행전용거리 국악공연 50회 60회 80회 90회 100회 찾아가는음악회 우리동네 40회 45회 50회 55회 60회 행복한 2회 2회 3회 3회 3회 전통시장 2회 12회 18회 24회 24회 문화가 흐르는 서울광장 공연 60회 60회 60회 60회 60회 시민참여 8팀 10팀 20팀 30팀 40팀 국악당 야외공연 (양 국악당 야외공연 수) 10회 (남산국악당) 20회 30회 40회 50회 천원의행복 ‘온쉼표’ 공연 12건 총 24회 공연 17건 총 35회 공연 15건 총 35회 공연 15건 총 35회 공연 15건 총 35회 ?? 연차별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 계 2019 2020 2021 2022 2023 계 17,536 2,656 3,490 3,610 3,840 3,940 서울거리공연단 7,200 1,000 1,500 1,500 1,600 1,600 한옥명소 국악공연 940 120 150 200 220 250 시향 찾아가는 음악회 1,086 186 200 220 230 250 문화가 흐르는 서울광장 4,950 990 990 990 990 990 국악당 야외공연 760 60 100 150 200 250 천원의행복 ‘온쉼표’ 2,600 300 550 550 600 600 3 세계적 음악축제 개최 및 축제 활성화 계절별 특색있는 음악축제 개최 ?? 추진방향 ○ 계절별 국제규모의 특색있는 음악축제 개최를 통해 국내?외에 서울의 음악자원을 홍보하고 연중 음악축제가 열리는 서울 부각 ?? 추진목표 : 4계절 음악축제 개최로 관람객 100만명 유치 ?? 사업개요 < 계절별 브랜드 음악축제 구성(안) > 계절 시기 축 제 명 장 소 분야(장르) 봄 5월 확대 서울 드럼 페스티벌 서울광장 타악/비트 여름 6월 신규 서울 국악 축제 돈화문, 남산 등 국악 8월 신규 한강썸머뮤직페스티벌 한강 대중음악 가을 9~10월 확대 인디음악 축제 홍대 앞 등 인디음악 9~10월 신규 서울 뮤직페스티벌 광화문광장 등 K-POP 대중음악 겨울 12월 신규 서울 클래식 음악축제 세종문화회관 등 클래식 ○ 서울 드럼 페스티벌 - 일시/장소 : 매년 5월 마지막주 금·토요일 / 서울광장 - 기존 드럼페스티벌의 정체성을 보다 강화하여 드럼마니아와 시민들이 함께 즐기는 세계적인 음악축제로 발전 ○ 서울 국악 축제 - 개최시기 : 매년 6월 - 개최장소 : 서울광장, 강남 코엑스 광장, 남산국악당, 돈화문국악당, 우리소리박물관, 국악로, 정동극장, 민간 국악공연장 등 - 2019년 9월 최초 개최한 ?서울 국악축제?의 규모를 확대하고, 전통예술 기반 대표축제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핵심 콘텐츠 개발 및 축제 브랜딩 추진(개최 시기 정례화, BI개발 등) ○ 한강썸머뮤직페스티벌(Hangang Summer Music Festival) - 개최시기 : 매년 8월 2주차 금·토·일요일, 3일간 - 개최장소 : 한강공원 특설무대, 노들섬 야외무대 - 한여름밤 강바람과 함께 음악의 향연으로 더위를 잊고 음악과 함께하는 즐거운 음악축제 개발 ※ ‘한강몽땅’과 시기를 같이하는 자매축제로 개최하여 시너지효과 기대 ○ 인디음악축제 - 개최시기 : 매년 9~10월, 공모 : 매년 2월 - 개최장소 : 홍대앞 클럽·공연장, 거리공원, 문화공간 등 - 서울의 음악문화를 상징할 수 있는 인디음악 축제를 공모하여 지원 ※ 지원규모 : 인디음악축제 3~5개 선정 / 총 5억원 지원 ?장기적으로 아시아 인디뮤지션들이 세계로 진출하는 교두보가 될 수 있도록 ?잔다리페스타? 같은 쇼케이스형 인디음악축제를 중점 지원 ○ 서울 클래식 음악축제(가칭 Seoul Classic Week) - 개최일시 : 매년 크리스마스 시즌 - 개최장소 : 세종문화회관, 예술의 전당 등 서울의 클래식 명소 - 단기적으로는 세종문화회관을 중심으로 한 전문 클래식 아티스트들의 축제인 ‘서울 클래식 음악축제’(가칭)를 2021년부터 개최 ※ 향후 서울 클래식 홀 건립 이후 전용공연장을 중심으로 축제 개최 서울뮤직페스티벌 개최?육성 ?? 추진방향 ○ ‘글로벌 음악도시, 서울’을 대표하는 축제로 육성 및 브랜딩하고 매년 정례화하여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하고 장르도 다양화 ○ 한류의 중심 K-POP 대표축제로 신진 예술가 육성의 장이 되며 모든 세대가 즐기고 全 세계인이 보고 싶어하는 국제 뮤직위크로 육성 ?? 추진목표 : 세계인이 찾는 음악축제 개최로 관람객 30만명 유치 ?? 사업개요 제1회 SMUF ○ 사 업 명 : 2019 서울뮤직페스티벌(Seoul MUsic Festival, SMUF) ○ 기 간 : ’19.9.28.(토) ~ 10.6.(일), 9일간 ○ 장 소 : 광화문광장 일대(광화문광장, 세종문화회관, 세종대로 등) ○ 주 최 : 서울특별시, (재)세종문화회관 ○ 행사구성 : K-POP공연, 뮤직마켓·시민참여 프로그램, 미래음악체험관 ?? 프로그램 ○ 공연 : K-POP 및 다양한 세대가 공감하는 폭넓은 대중음악(광화문광장 북측) SMUF 레전드 9.28.(토) / 가요계의 레전드 11팀 - 밤하늘을 수놓을 별들의 축제, 대한민국 최정상 K-POP 아티스트들의 공연 - 전 세계 지역예선 우승자가 참여하는 커버댄스 랜덤플레이 개최 SMUF×잔다리 9.30.(월) / 국내외 인디 뮤지션 5팀 - 홍대 인디음악 씬(Scene)을 배경으로 한 ‘잔다리 페스타’ 갈라쇼 The Show 10.1.(화) / SBS 케이블 채널 활용 - K-POP 아티스트와 해외팬들이 함께 하는 TV프로그램, 아시아 20개국 송출 SMUF HIP-HOP 10.2.(수) / 국내 힙합 뮤지션 6팀 - 서울 도심에서 펼쳐지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핫한 SMUF 힙합 스테이지 전국체전 LIVE PARK 10.4.(금) / 전국체전 개막행사 생중계 - 광화문광장에서 서울시민이 함께하는 전국체전 개막식 라이브 중계 폐막 공연 10.6.(일) / K-POP 아이돌 가수 10여팀 출연 - 국내 TOP 보컬들이 참여하여, 최고의 사운드를 보여줄 꿈의 무대 구현 ○ 마켓·시민참여 프로그램 : K-POP 전문가와 시민간의 소통(광화문광장 중앙) 뮤직마켓/거리공연?MINI STAGE 9.28.(토)~10.6.(일) - TOP 10 매니지먼트사들이 참여하는 체험/전시형 부스(사인회, MD 판매) - 다양한 쇼케이스 무대, 미니공연 및 아이돌카페·명랑팬미팅 등 이벤트 개최 K-POP관련 명사초청 야외 토크쇼 9.28.(토)~10.6.(일) - 제2의 방탄소년단, 제2의 방시혁, 제2의 테디를 꿈꾸는 지망생들이 선망하는 선배를 만날 수 있는 기회 제공 - 다양한 쇼케이스 무대, 미니공연 및 아이돌카페·명랑팬미팅 등 이벤트 개최 ○ 미래음악체험관 : 기업협찬 연계 (9.28.(토)~10.6.(일), 광화문광장 중앙광장) - (ICT 체험관) AI 기술 활용한 케이팝 체험관 운영 - (AR/VR 체험관) 3D로 실감나는 케이팝 콘서트 제공 작은 음악축제 및 파트너 축제 지원 ?? 추진방향 ○ ?작은 음악축제? 인큐베이팅을 통해 음악시장의 활력을 높이고, 소규모 음악축제를 성장·발전시켜 음악축제의 양적·질적 확대 도모 ○ 글로벌 음악도시를 대표할 수 있는 음악축제를 모아서 홍보·지원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 유도 ?? 추진목표 : ’23년 작은 음악축제 40개 지원 ?? 사업개요 ○ 작은 음악축제 지원, 인큐베이팅 및 메타축제로 통합하여 브랜딩 작은 음악축제 지원 연간 10~30건의 소규모 신규 음악축제 발굴 지원 - 단순 예산지원 보다는 컨설팅, 멘토링을 통해 중규모 축제로 성장 유도 - 3년 정도 지원한 후, 각 축제들의 협업을 통해 10개 정도의 축제를 특정 시기에 동시에 개최하는 메타페스티벌 추진, 시민 인지도 제고 ○ 서울의 우수 음악축제(서울 파트너 축제)를 대상으로 간접 지원 파트너 축제 지원 ’20년 10개 축제, 매년 5개 축제씩 확대 추진 - 민간 음악축제 중 신청을 통해 ‘서울 파트너 축제’로 그룹화(연1회) - 일체감·통일성을 부여하기 위해 통합 BI 개발 등 적극적 브랜딩 실시 - 자생력이 강한 ‘시장선도형 음악축제’와 ‘순수예술형 비영리 음악축제’로 구분하여, 각 유형별 수요에 맞는 차별적 지원서비스 제공 ? 시장선도형 : 정책지원, 마케팅 지원, 장소대관 지원, 통합홍보 순수예술형 : 컨설팅, 글로벌 홍보지원, 인력지원 등 서울 축제 지원 인프라 및 플랫폼 구축 ?? 추진방향 ○ 다양한 축제 개최 인프라 구축사업, 지속적인 컨설팅 등 축제에 대한 간접지원 영역을 총괄할 수 있는 전담 지원센터 설립·운영 ○ 서울축제 전체에 관한 정보를 한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정보 플랫폼을 구축하여, 내·외국인의 정보접근성을 높이고 지속적인 아카이빙을 통해 서울 음악축제의 개발·성장·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 ?? 추진목표 : ’21년 서울축제지원센터 설립, 축제정보 플랫폼 구축 ?? 사업개요 ○ 축제 인프라 중심의 간접지원을 통해 음악축제의 자생력 향상 - 음악축제 지도 구축(맵핑) 및 ‘서울 음악축제 캘린더’ 제작(분기별) - 통합 홍보·마케팅, 市 공연장 우선 대관·할인, 티케팅 등 통합솔루션 제공, 국제교류, 축제 전문인력 양성 등 간접지원 정책 집중 모색 ?서울축제지원센터? 설치 운영 - 음악축제의 간접지원 영역 전담 ??서울시 축제 지원 및 육성에 관한 조례?(가칭)에 설치근거 마련 ?현재의 축제지원센터(서울문화재단) 기능을 획기적으로 확대하거나 독립기관(민간위탁)으로 확대 개편 ※ 음악축제 캘린더 발행, ‘서울 파트너 축제’ 제도 운영 등 간접지원 및 인프라 구축 담당 ○ 모바일 기반의 서울축제 정보 플랫폼 ?페스티벌 서울?(가칭) 구축 - 서울의 축제정보를 한 곳에 모아 통합적으로 관리·제공하고, 아카이빙 및 DB화 할 수 있도록 축제정보 플랫폼 ?페스티벌 서울? 마련 - 멤버십 기능을 탑재하여 국내거주 외국인/외국인 학생, 국내 관광객 등 음악축제 마니아들에게 실시간 음악축제 정보 제공 - 실시간 정보업로드 기능을 강화하여 방문객 대상 이벤트, 실시간 방문객 집객 마케팅 등 실질적 활용도 제고 ※‘서울축제지원센터’에서 정보 플랫폼 구축 및 통합관리 기능을 수행하되, 서울관광재단의 관광정보와 연계·연동시켜 통합 관광상품 개발에도 기여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19 2020 2021 2022 2023 서울뮤직 페스티벌 1회 축제 개최 (광화문광장) 2회 축제 개최 (서울광장) 3회 축제 개최 (광화문광장) 4회 축제 개최 해외홍보 확대 5회 축제 개최 해외홍보확대 서울 드럼 페스티벌 글로벌 축제로의 발전 전략 수립 제22회 서울드럼 페스티벌 개최 제23회 서울드럼 페스티벌 개최 제24회 서울드럼 페스티벌 개최 제25회 서울드럼 페스티벌 개최 서울 국악 축제 기본계획 수립, 제1회 축제 개최 제2회 축제 개최 제3회 축제 개최 제4회 축제 개최 제5회 축제 개최 한강썸머뮤직 페스티벌 기본계획 수립 시범축제 개최 (2019한강몽땅 신규프로그램) 별도 축제로 기획 음악감독 선임 노들섬 특화공간 참여 제3회 축제 개최 제4회 축제 개최 인디음악 축제 발굴·지원 기본계획 수립, 공모 및 지원 (2개 축제) 공모 및 지원 (3개 축제) 공모 및 지원 (5개 축제) 공모 및 지원 (5개 축제) 공모 및 지원 (5개 축제) 서울 클래식 음악축제 - 준비위원회 구성· 운영 및 기본계획 수립 시범축제 개최 (크리스마스 시즌 해외교향악단 초청 ) 제2회 축제 개최 제3회 축제 개최 작은 음악축제 인큐베이팅 - 시범사업 (15개 축제 선정) 20개 축제선정 맞춤형 컨설팅 추진 30개 축제 지원 메타페스티벌개최 40개 축제지원 메타페스티벌 개최 서울 파트너 축제 제도 도입을 위한 의견 수렴 10개 축제 통합홍보 등 지원 15개 축제 통합홍보 등 지원 20개 축제 통합홍보 등 지원 20개 축제 맞춤형 컨설팅 통합홍보 등 지원 서울 축제 지원인프라 구축 축제조례 제정 (센터 근거 마련) 센터설립을 위한 사전절차 이행 서울 축제지원센터 설립 및 운영 서울 축제지원센터 운영 서울 축제지원센터 운영 서울 축제정보 플랫폼 구축 - 정보플랫폼 구축을 위한 사전준비 정보플랫폼 구축 및 운영 개시 정보플랫폼 참여 축제 1차 확정 멤버십 1만명 달성 축제연계관광상품 개발 및 운영 멤버십 5만명 달성 ?? 연차별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 계 2019 2020 2021 2022 2023 합 계 30,575 1,980 3,195 7,600 8,400 9,400 서울뮤직페스티벌 8,640 1,140 1,500 2,000 2,000 2,000 서울 드럼 페스티벌 2,820 420 600 600 600 600 서울 국악 축제 2,280 280 500 500 500 500 한강썸머뮤직페스티벌 1,450 - 150 300 500 500 인디음악 축제 발굴·지원 1,940 140 300 500 500 500 서울 클래식 음악축제 4,500 - - 1,000 1,500 2,000 작은 음악축제 인큐베이팅 1,275 - 75 200 300 700 서울 파트너 축제 870 - 70 200 300 300 서울 축제지원 인프라 구축 6,300 - - 2,000 2,100 2,200 서울 축제정보 플랫폼 구축 500 - - 300 100 100 2. 음악을 만들고 공연하기 좋은 성장하는 음악도시 4 음악 창작지원 확대, 음악산업 및 인재육성 음악산업 콘텐츠 기업 유치 ?? 추진방향 ○ 서울아레나, 라이브공연장 등 다양한 공연시설이 집적된 지리적 장점을 극대화하고 초기 입주 유치를 위해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 ○ 음악 및 공연사업을 포함한 문화예술 관련 기업들을 유치하여 창동 일대 대중음악 중심의 문화예술 생태계 구축 ?? 추진목표 : 창업 및 문화산업단지 등 창동일대에 300개 음악기업 유치 ?? 사업개요 ○ K-POP 등 대중음악의 생산?유통?소비 관련 기업 유치 - 공연기획, 음악플랫폼, 음악 매니지먼트, 콘텐츠솔루션, 가상현실 등 4차산업 혁명과 음악콘텐츠 연계 기업 - 앵커 역할의 업체들이 우선 입주할 수 있도록 임대료 감면 등 인센티브 제공 ○ 음악산업 현황 조사(’20년), 기본계획(’21년) 수립후 유치설명회 등 개최 - 유치 전략 수립 → 유치 설명회 → 입주 공고 → 운영 가이드라인 제시 ○ 창업 및 문화산업단지 등 음악산업 인프라 구축으로 입주기업 간접 지원 - 음악산업 지원공간 ?연관산업집적 : 스튜디오?쇼케이스?무대설비 보관실, 녹음실, 편집실, 특수효과실 등 ?문화충전지대 : 스트리트 컬쳐, 편의공간, 아트마켓, 테스팅베드, 안테나 숍 등 - 공공공간 : 음악 비즈니스 아카데미, 라이브공연장, 창업지원센터, 금융기관 등 - 사적공간 : 입주기업 사무공간, 창작공간, 주거공간 등 음악창작 및 작품발표 지원 확대 ?? 추진방향 ○ 예술가들의 작품창작 및 발표 지원, 공간지원 등 다각적 지원으로 음악창작활동 기반 마련 ※ 지원자에 대한 성별분리통계 산출로 균형수혜 지향 ?? 추진목표 : ’19년 269건 → ’23년 282건 ?? 사업개요 ○ 예술작품지원 - 사업목적 : 서울에서 발표되는 공연·전시 예술작품을 대상으로 예술가(단체)의 창작역량 강화 및 우수 창작 활동 촉진 - 사업기간 : 2019년 1월~12월 - 지원예산 : 1,327백만원(음악, 전통예술(음악) 분야) - 지원규모 : 예술가(단체) 당 최소 5백만원~최대 5천만원 ○ 유망예술지원 - 사업목적 : 데뷔 또는 설립연도 10년 이하의 잠재력 있는 유망 예술인(단체) 발굴하여 작품개발지원부터 공간지원 등 입체적 지원을 통해 새로운 예술 흐름을 선도하고 역량 있는 예술인으로의 성장 기회를 제공 - 사업기간 : 2019년 1월~2020년 11월 ※다년(2년) 지원 - 지원예산 : 192백만원(음악, 전통예술(음악), 다원예술(음악) 분야) - 지원규모 : 예술가(단체) 당 최소 8백만원~최대 2천만원 ○ 청년예술지원 - 사업목적 : 청년예술인의 성장을 견인하는 다각적 지원시스템 마련을 통해 예술현장 안착 및 다음 단계로 성장 가능한 창작활동기반 조성 ① 최초예술지원 - 사업기간 : 2019.1월~12월 - 지원대상 : 공공지원금 수혜 경험이 없는 청년예술인 (39세 또는 데뷔 10년 이하) - 지원예산 : 382백만원(음악, 전통예술(음악) 분야) - 지원내용 및 규모 구분 지원기간 범위 지원규모 창작 준비형 단년(1년) 작품 구상 및 준비 과정에서 필요한 사전준비 비용(자료조사, 연구, 워크숍 등) 2,000천원 시상금 창작 발표형 단년(1년) 다년(2년) 완성된 작품 발표 비용 (공연, 전시, 퍼포먼스 등) 5,000~15,000천원 지원금 ② 서울청년예술단 - 사업기간 : ’19. 1월~12월 - 지원대상 : 35세 이하 예술인으로 구성된 단체 - 지원예산 : 306백만원(음악, 전통예술(음악) 분야) - 지원내용 및 규모 . 직접지원(예산) : 단체별 최대 65,400천원 ※ 단체 규모에 따라 상이, 단년 기준 . 활동비 : 단체 구성원별 매월 700천원(단체별 최대 9인, 8개월간) . 사업비 : 프로젝트 운영을 위한 사업비 최대 15,000천원 - 간접지원(기반) : 멘토링·비평, 발표공간, 네트워킹, 포럼, 홍보 등 ○ 공연장상주단체육성지원 - 사업목적 : 공연장과 공연예술단체 간 상생협력을 통해 안정적 창작환경에서 음악, 전통예술 공연예술단체의 예술적 창작역량 강화 및 우수 작품 제작, 발표를 촉진하고, 공연장 운영 활성화를 도모하여 지역주민의 음악, 전통예술 문화향수 기회 확대 - 사업기간 : 2019년 1월~12월 - 지원예산 : 717백만원 (음악, 전통예술 분야) - 지원규모 : 단체 당 최소 6천만원~최대 1억 5천만원 음악 비즈니스 아카데미 설립 및 운영 ?? 추진방향 ○ 실용음악과 중심의 정규 교육과정을 보완할 수 있는 프로그램 운영 ○ 차세대 음악산업 트렌드에 대응하는 전문 교육기관 설립 ?? 추진목표 : ’23년 아카데미 설립, 매년 음악인재 100명 육성 ?? 사업개요 ○ ‘음악 비즈니스 아카데미’ 설립 ‘창업 및 문화산업단지’내 설치 - 음악산업 실무형 비즈니스 전문인력 양성 시스템 구축 ?음악공학 전공(사운드, 녹음, 무대) ?음악기획 전공(공연기획, 마케팅, 매니지먼트 등), ?음악플랫폼 전공(음악방송, 온라인 플랫폼) ?대중음악 산업 정책(음악정책, 비평, 연구 등) ?음악저작권 전공(음반, 음원, 방송, 공연, 라이센스 저작권 등) - 영화진흥위원회의 ‘영화아카데미’와 같이 수료의 권위를 인정받는 기관으로 운영 ○ 1년 과정으로 연간 100명 모집 운영 ※ 문화체육관광부에서 ’20년 추진예정인 아카데미 설립 용역 내용을 참조하여, 중앙부처 협력 방법 및 운영세부계획 추후 결정 ○ 음악창작물을 상품으로 전환하는 과정인 기획, 유통, 마케팅 관련 전문인재 양성으로 음악산업 활성화 도모 - 이론교육보다 창작자들과 협업을 통해 생산부타 판매까지 실습과정 운영 ?? 연차별 추진계획 (단위 : 건) 세부과제 2019 2020 2021 2022 2023 음악산업 콘텐츠 기업 유치 - 음악산업 현황 조사 연구용역 기본계획수립 기업유치 홍보 기업유치 홍보 기업유치 및 입주지원 창작지원 계 269 275 275 282 282 예술작품지원 173 173 173 173 173 유망예술지원 17 17 17 17 17 최초예술지원 60건 65건 65건 70건 70건 서울청년예술단 9건(34명) 10건(40명) 10건(40명) 12건(50명) 12건(50명) 공연장상주단체 육성지원 10 10 10 10 10 음악 비즈니스 아카데미 설립 부지 및 공간 확보 문체부 협의 문체부 협의 교육기관 조사 세부 협의 (이전방법, 조건 등) 교육기관 유치 내부시설 공사 아카데미 운영 ?? 연차별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 계 2019 2020 2021 2022 2023 계 17,488 2,924 2,866 2,916 4,866 3,916 음악산업 콘텐츠 기업 유치 250 - 50 50 50 100 예술작품지원 6,635 1,327 1,327 1,327 1,327 1,327 유망예술지원 960 192 192 192 192 192 최초예술지원 1,582 382 300 300 300 300 서울청년예술단 1,426 306 280 280 280 280 공연장상주단체육성지원 3,585 717 717 717 717 717 음악 비즈니스 아카데미 설립 3,050 - 50 2,000 1,000 5 모든 공연이 가능한 공연 인프라 확충 대중음악 전용 대형 공연장 ‘서울아레나’ 건립 ?? 추진방향 ○ K-POP 콘서트, 해외 뮤지션의 내한 공연 등 대형공연 인프라 조성 ○ 서울아레나를 중심으로 대중음악 공연?투어리즘 활성화 ?? 추진목표 : ’23년12월 서울아레나 조성, 연간 90회 대형공연 개최 ?? 사업개요 ○ 서울아레나 복합문화시설 건립((가칭)서울아레나㈜ 제안) - 위 치 : 도봉구창동1-23,1-24일대 - 사업규모 : 연면적 173천㎡ - 주요시설 : 아레나(19.3천석), 중형공연장(2천석), 영화관(8개관), 대중음악지원시설 - 사 업 비 : 3,932억원(BTO, 수익형 민자사업) - 사업기간 : (공사)’20년~’23년, (운영)’24년~’53년(30년) - 추진경과 【사업대상지】 【조감도】 ○ 아레나 조성으로 K-POP 콘서트는 물론 해외 뮤지션의 내한공연, 음악 시상식 및 페스티벌, 대형 아트서커스 등 공연 연간 90회 개최 ○ 다양한 문화적 욕구를 충족 시킬수 있는 복합문화시설로 운영 - 아레나 주변 신진 아티스트 공연과 팬미팅, 어린이 뮤지컬 등 다양한 행사가 열리는 중형공연장(2천석), 시민 여가 공간 영화관(8개관), 대중음악 명예의 전당 및 레스토랑 등 각종 편의시설 함께 조성 < 세계 주요도시의 아레나 현황 > '아레나(Arena)'는 스탠드를 설치해 관객이 중앙 무대를 둘러싸고 있는 원형식 실내 공연장으로, 주로 1만석~2만석 규모다. 관객과 무대와의 거리감을 해소 시야가 확보되고 다양한 무대연출이 가능해 전 세계적으로 핵심적인 공연 인프라 다양한 공연이 가능한 ‘라이브 공연장’ 건립 ?? 추진방향 ○ 다양한 장르의 소규모 음악공연이 가능한 라이브 공연장을 조성하여 서울아레나와 연계한 음악 공연 활성화 ?? 추진목표 : ’23년 5월 라이브 공연장 2개소 조성 ?? 사업개요 ○ 창업 및 문화산업단지 내에 다양한 장르의 음악 공연 활성화를 위한 소형(100~200석) ‘라이브 공연장’ 2개소 건립 ○ 록, 랩, 재즈 등 매니아 층이 강한 장르의 음악공연 활성화 ※ SH공사에서 도시개발사업으로 조성하는 ‘창업 및 문화산업단지’ 내에 라이브공연장을 건립하고 운영자는 민간사업자 공모?선정 【창업 및 문화산업단지 조성개요】 ? 건축규모: 2개동(지하7층~지상49층/지상16층), 연면적 143,519.5㎡ ? 주요시설: 문화집회·판매시설, 업무시설(오피스, 오피스텔), 환승주차장 등 ? 사업방식: 도시개발사업(시행자:서울주택도시공사) ※총사업비 : 6,555억원 【사업대상지】 【조감도】 서울시향 전용 클래식 홀 건립 ?? 추진방향 ○ 시민들에게 최상의 공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클래식 공연자 및 관객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서울시향 전용 클래식 홀 건립 ○ 세계적 수준의 오케스트라 육성을 통한 공연·문화관광 수요창출 ?? 추진목표 : ’24년 시향 전용 콘서트홀 조성, 정기공연 80회 운영 ?? 사업개요 ○ 세계 최고 수준의 ‘서울시향 전용 클래식 콘서트 홀’ 건립 - 건립장소 : 시민접근성, 강남·북 균형발전, 지역여건 고려 선정 ※ 세종로공원 市-행안부 간 협의중, 협의결과에 따라 추진방안 검토 - 건립규모 : 2.000석 내외 - 주요시설 : 콘서트홀, 리허설룸, 악기보관실, 시민교육공간 등 - 사 업 비 : 1,912억원 세종로 공원에 건립시 추정액 '전용 클래식 홀'은 여러 장르의 공연을 수용할 수 있는 다목적 공연장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클래식 공연의 특성에 맞게 음향 및 공간계획이 되어 있어 특히 음향적 측면에서 클래식 공연을 가장 잘 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미국 링컨센터】 【호주 오페라하우스】 ○ 전용 홀 건립을 통해 서울시향을 세계적 수준의 교향악단으로 성장 지원하여 ‘글로벌 음악도시, 서울’ 이미지 강화 - 콘서트 홀은 대부분 도시를 대표할 수 있는 최중심가에 위치 ○ 시향 정기공연을 ’18년 46회에서 ’24년 80회로 확대운영 - ’18년 기준 시향의 정기공연(티켓판매)은 47회, 공익공연 118회 ※ 현재 전용홀 부재로 인해 장기적인 공연스케줄 및 협연 기획 곤란 오케스트라 정기공연 공익/교육공연 연간 총 공연 횟수 보스톤 심포니 122회 20회 142회 뉴욕 필하모닉 142회 67회 209회 서울시향 ’18년 47회 118회 165회 ’24년 80회 150회 230회 ○ 클래식을 보다 많은 시민들이 접하고 즐길 수 있는 공연환경 조성 - 해외 유명 음악회에 가지 않아도 수준 높은 클래식 공연 관람 기회 제공 ※ R석 기준 해외 오케스트라 (20~40만원), 시향 공연(7~14만원) - 시향 무료 음악회에 대한 호응도를 보면 잠재수요는 높다 할 수 있음 ○ 시향 공연 및 연습 등 활용시간 외에 정기적으로 민간단체와 아마추어 클래식 단체에 시설을 공유하는 시민 참여형 시설로 운영 음악을 매개로한 복합문화공간 ‘노들섬’ 조성 및 운영 ?? 추진방향 ○ 노들섬을 생태와 자연, 음악을 접목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 하여 자연환경과 어우러지는 음악 복합문화공간으로 운영 ?? 추진목표 : 개장(’19.9.28.) 이후 연간 방문객 120만명(월 10만명) ?? 사업개요 ○ 시설개요 - 위 치 : 용산구 이촌동 302-6, 146일대(노들섬) - 면 적 : 119,854㎡(상단부 60,818㎡, 하단부 59,036㎡) - 조성기간 : ’14.10. ~ ’19. 9. - 소요예산 : 650억(민간위탁금 67.2억 포함) - 시설규모 : 건축연면적 9,747㎡, 조경 및 기반시설 33,330㎡, 보행육교 574㎡ ?건축시설 : 공연장, 다목적시설, 업무 및 상업시설, 군시설 ?옥외시설 : 노들마당, 노들숲, 보행육교 ○ 음악인?시민 모두에게 열린 ‘공간특화 프로그램’ 운영 - 청년음악인 모집, 창의적·실험적 활동지원 등을 통해 인큐베이터 기능 - 계절프로그램, 노들축제 및 연계 프로그램 확대 개최 【노들섬 전경 1】 【노들섬 전경 2】 ?? 공간 구성 및 운영계획 ○ 음악과 함께하는 공연장(456석), 뮤직라운지, 노들 오피스 - 대중음악 전문공연장 연간 80건 공연, 리허설 스튜디오 운영 - 음악테마 라운지 & 펍(PUB) 복합공간, 관람객 대기 및 휴식공간 - 음악주제 기업 입주(프로덕션C, JNH뮤직+쿨스뮤직, 플러드프로덕션) 예정 ○ 라이프스타일을 만드는 노들서가, 라이프스타일 플레이스 - 독립책방, 출판사의 플랫폼, 식물공방, 노들마켓 콘텐츠 운영 ○ 자연을 느끼는 다목적홀, 노들마당(야외 4천명 수용) - 국제행사 등 가능한 복합공간, 야외공연 및 오픈마켓이 가능한 마당 서남권 대공연장 건립 ? (가칭)제2세종문화회관 ?? 추진방향 ○ 대공연장(1천석 이상)이 부족한 서남?북권 지역에 종합공연장을 조성하여 지역민의 공연관람수요를 충족하고 지역 균형발전 도모 ※ 대공연장 현황(19개) : 도심(5), 동북(3), 동남(9), 서남(2), 서북(0) ?? 추진목표 : ’24년 서남권 대공연장 건립, 연간 90회 공연 ?? 사업개요 ○ 시설개요 - 위치(규모) : 영등포구 문래동3가 55-6 (12,947㎡, 구유지) - 건립시설 : 대공연장(1,500석 이상), 소공연장(300석), 기타 문화시설 - 사 업 비 : 약 1,500억원 ○ 서남?북권을 대표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하여 대중음악콘서트, 뮤지컬, 발레, 현대무용 등 다양한 장르의 종합공연 개최 ○ 대공연장 연간 20건의 다양한 공연, 소공연장 연간 70건의 대관?기획공연 및 창작공연 인큐베이팅 지원 ※ 유사규모 충무아트센터 대공연장 ’18년 15건, 강동아트센터 소공연장 62건 공연 ○ 공연외 시민아카데미, 창작지원(연습실, 편집실 등) 프로그램 운영 【대상지 위치】 【대공연장 스케치】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19 2020 2021 2022 2023 서울아레나건립 제3자 제안공고 협상대상자 선정 및 협상개시 사업시행자 지정 실시계획 승인 공사착공(’20.9) 공 사 공 사 공사준공 (’23.12월) 라이브 공연장 건립 각종 영향평가, 심의 및 공사착공(’19.9) 공 사 공 사 공 사 공사준공 (’23.5월) 서울 클래식 콘서트홀 건립 건립방안 확정 후속 행정절차 추진 설계공모 및 설계 공사착공 공사 복합문화공간 노들섬 조성 및 운영 개 장 (9.28.) 공연 70 (실내60,실외10) 공연 70 (실내60,실외10) 공연 70 (실내60,실외10) 공연 70 (실내60,실외10) 서남권 대공연장 건립 기본계획수립 (10월) 타당성조사 및 시·중앙투자심사 설계공모 및 실시(상세) 설계 건축착공 건축공사 ※ 시설건립시 성인지적 관점 적극 반영(수유실, 기저귀교환대, 놀이방, 임산부주차구역, 무장애 설계 등) ?? 연차별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 계 2019 2020 2021 2022 2023 합 계 1,354,978 48,030 223,596 146,720 210,099 726,533 서울아레나건립 393,188 (민간) - 22,607 56,648 116,157 197,776 라이브 공연장 건립 (창업 및 문화산업단지 조성) 655,500 (민간) 45,041 198,281 80,179 40,368 291,631 서울 클래식 콘서트홀 건립 191,200 - - 550 3,574 187,076 노들섬 조성 및 운영 14,190 2,589 2,708 2,843 3,000 3,050 서남권 대공연장 건립 100,900 400 6,500 47,000 47,000 ※ 민간재원투입 : 1,048,688백만원(서울아레나, 창업 및 문화산업단지) 6 음악장르 균형성장(국악, 인디, 클래식) 국악 창작활동 및 해외진출 지원 ?? 추진방향 ○ 국악의 대중적 공연예술 인식제고 및 세계적 공연브랜드 기반 조성 ○ 우수 공연기획자 양성 및 국악작품의 국내?외 진출 활성화 ○ 국악 콘텐츠의 디지털화로 뉴미디어 음악산업에서의 경쟁력 제고 ○ 온라인 플랫폼 구축을 통한 국악의 대중적?세계적 확산 기반 조성 ?? 추진목표 : ’22년 센터 건립이후 국악 지원사업 본격 가동 ※ 매년 공간지원 20개 단체, 국악전문 기획?콘텐츠제작자 20명 양성, 해외진출 10팀 지원, 미디어콘텐츠 제작 50건, 외국인 대상 국악프로그램 운영(연 50명) ?? 사업개요 ○ 국악인들의 활발한 창작활동 지원을 위한 공유 공간 제공 - 남산?돈화문국악당 리허설룸 등을 신진국악인들의 활동 공간으로 개방 - 창동61, 서울음악창작지원센터 등 기존 시설 활용 타장르 협업 도모 ○ 우수국악인(작품)을 선발하여 국제 음악 축제 참가 등 해외진출 지원 - 성장가능성 있는 작품을 선정하여 국제무대에 맞게 보완 및 홍보·마케팅 지원 - 국제 음악 축제, 월드뮤직 엑스포 참여 등을 통해 국제 음악시장 진입 지원 - 글로벌 공연시장 기준의 국악 전문기획자 양성 ○ 국악 콘텐츠의 디지털 미디어 작업 지원 - 국악 분야 디지털미디어 제작 전문 인력 양성 및 국악의 미디어 작업 추진 - 소셜미디어 등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국악 콘텐츠(영상, 음원) 제작?지원 ○ 국악 세계화를 위한 외국인 대상 국악 프로그램 운영 - 대학 어학당 등과 협력을 통해 외국인 대상 국악 프로그램 강좌 개설 지원 - 외국인 국악경연 대회 등 이벤트를 통해 국악에 대한 관심제고(SNS붐업) ○ 수요자와 공급자 쌍방 소통 가능한 국악정보 플랫폼 개발·운영 - 공연장 정보, 공연·대관 일정, 동호인 지원정보 등 국악 정보 포털기능 - 신규 작품 영상 제공 등 신진 국악인 프로모션 기회로 활용 ○ 창작연희, 융합예술 기반 국악공연 등 브랜드 공연 개발 지원 - 다양한 장르와 결합한 창작연희, 최신 무대기술 등 융합예술 활용 공연 서울국악센터 설치 및 운영 ?? 추진방향 ○ 국악 인적·물적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예술가와 예술단체의 성장을 도모하고 건강한 국악 생태계 조성 ○ 민간 예술가와 단체 중심의 창작기획·작품제작의 공간 제공과 민·관 협업 체계 구축으로 시민들의 국악활성화를 위한 저변 확대 도모 ?? 추진목표 : ’22년 ‘서울 국악센터’ 설치 ?? 사업개요 ○ 국악활성화 정책을 안정적으로 추진할 서울국악센터 설치 추진 - 서울국악센터 추진위원회(市, 공공, 민간 전문가 15인 이내) 구성 - 센터의 비전 및 목표 구체화, 역할과 기능, 조직구성 및 예산 등 센터 출범을 위한 세부 사항 준비 ※ 조직의 설치?운영 모델은「서울시 국악 활성화 연구용역」 결과 반영 ○ 국악 장르별(음악·무용·연희)·세대별(신진·중견·원로)·성별 다양한 인적구성의 민관협의체 중심 운영을 통한 독립성?전문성?지속성 도모 - 의사결정기구의 독립성과 운영기구(사무국)의 전문성?지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 조직 구성 - 개방형 운영을 통해 현장 예술인과의 정보 공유, 시민들의 요구 수렴 ※ 사무국(안): 5부(예술지원부, 미디어온라인플랫폼부, 홍보마케팅부, 무대지원, 행정지원) ※ 남산·돈화문국악당 시설 및 운영인력 관련 별도 논의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19 2020 2021 2022 2023 국악인 창작공간 지원 4개 단체 (문화재단) 5개 단체 (문화재단) 7개 단체 (문화재단) 15개 단체 20개 단체 청년국악인 해외진출 1팀 (남산국악당) 1팀 (남산국악당) 5건 (남산국악당) 10건 (서울국악센터) 15건 (서울국악센터) 국악 전문 공연기획자 및 미디어콘텐츠 제작자 양성 - - - 10명 20명 국악 미디어 콘텐츠 제작 지원 - 3건 5건 20건 50건 외국인 대상 국악프로그램 운영 - - 20명 (강좌 개설) 50명 (강좌 및 경연대회) 50명 (강좌 및 경연대회) 국악 온라인 플랫폼 구축 - - 사업계획 수립 홈페이지 및 아카이브 구축 홈페이지 및 아카이브 서비스 국악 브랜드 공연 개발 지원 - - 개발위원회 구성 개발 및 시연 상설공연 서울국악센터 설치 국악 활성화 연구용역 추진위원회 구성?운영 추진위원회 구성?운영 서울국악센터 설립 및 운영 서울국악센터 운영 ?? 연차별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 계 2019 2020 2021 2022 2023 합 계 13,580 440 740 1,800 5,200 5,400 국악인 창작공간지원 2,740 340 400 600 700 700 청년국악인 해외진출 1,400 - 150 250 500 500 국악 전문 공연기획자 및 미디어콘텐츠 제작자 양성 800 - - - 300 500 국악 미디어 콘텐츠 제작 지원 1,350 - 150 200 500 500 외국인 대상 국악프로그램 운영 450 50 200 200 국악 온라인 플랫폼 구축 1,600 - - 100 1,000 500 국악 브랜드 공연 개발 지원 1,600 - - 100 500 1,000 서울국악센터 설치 3,640 100 40 500 1,500 1,500 인디음악 브랜드 개발 및 온?오프라인 플랫폼 구축 ?? 추진방향 ○ 한국 인디음악 콘텐츠를 ‘서울 라이브(Seoul Live)’로 브랜딩해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내·외국인 음악 관광객 유입 활성화 ○ 국내?외 음악팬들이 서울 전역의 음악 관련 공연을 바로 확인할 수 있고, 티켓 구입까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구축 ○ 매월 개최되는 ‘라이브 클럽 데이’의 인디음악 대표 축제로 육성 지원하여 인디음악 산업의 선순환 생태계 조성 도모 ?? 추진목표 : ’20년 서울라이브 브랜드화, 온라인 플랫폼 이용자 연간 10만명, 매회 클럽데이 참여자 2천여명 ?? 사업개요 ‘서울 라이브’ 사업을 인디음악 브랜드화 ○ ‘서울 라이브’ 브랜드 디자인 및 홍보 - ‘서울 라이브’ 마스터플랜을 통해 로고 등의 시각 이미지를 구현하고 이를 홍익대 앞 지역 디자인으로 특성화 - 지하철 역사(인천공항, 김포공항, 서울역 등) 및 홍익대 주변 주요 홍보매체를 통해 라이브 공연 영상 송출, 공연장 및 공연정보 안내 - ‘서울라이브닷컴’과 연계해 인디음악에 대한 공연 접근성 향상 ○ ‘서울 라이브’ 지원사업을 통한 기획 공연 및 공연 다양성 확보 - 개성 있는 인디음악 소규모 라이브 공연을 꾸준히 지원 - 기획 공연, 지역 연계, 국내?외 연계 라이브 공연을 지원함으로써 인디음악 라이브 공연 다양성 확대, 서울라이브 공연 차별화 - 창의적이고 개성 있는 아이디어를 가진 인디음악가의 기획 프로젝트를 선정하여 인디음악 생태계 활성화 지원 홍보마케팅을 위한 온·오프라인 플랫폼 구축 ○ 서울 음악공연 뮤직투어리즘을 위한 ‘서울 라이브 닷 컴’ 운영 - 서울 지역의 모든 음악 공연(대중/전통/인디음악) 정보 제공 및 티켓 구입 시스템 구축 인디음악 공연부터 도입 후 단계적으로 확대 - 민간사업자와 연계, 한/영 버전의 온라인 플랫폼 신설 및 앱 운영 ※ 오프라인 플랫폼으로 홍익대학교 앞 ‘신디티켓라운지’ 연계 운영 ○ ‘서울 라이브 닷 컴’ 오프라인 홍보 - 매월 주요 공연/뮤지션 소식을 담은 뉴스페이퍼 한/영/중 버전 제작 - 시내 주요 거점 및 홍익대 인근 지하철역 홍보 병행, 연계 굿즈 제작 인디음악 ‘라이브 클럽 데이’ 활성화 지원 ○ ‘라이브 클럽 데이’ 업그레이드 컨설팅 및 지원 실시 - ‘라이브 클럽 데이’를 연중 12회 열리는 음악 페스티벌 형태로 재디자인 - 티켓판매 및 행사홍보시 기 구축된 ‘서울 라이브 닷 컴’ 및 매체 활용 ○ ‘라이브 클럽 데이’ 홍보를 통한 내?외국인 관광객 방문 활성화 - 내·외국인 주요이용 거점(공항?서울역?명동) 및 홍대 주변 오프라인 상설 홍보 - 서울라이브, 소셜미디어 활용을 통한 클럽데이 온라인 홍보 【라이브 클럽 데이 포스터】 【공연 시간표】 인디음악 거버넌스 구축 및 지원 강화 ?? 추진방향 ○ 인디음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수혜 중심 행정이 아닌 음악인이 직접 참여해 함께 만드는 민관협력 거버넌스 시스템 구축 ○ 인디음악인이 대중음악가로 생존할 수 있도록 활동할 수 있는 경로와 시스템을 안내하고 교육?공유하는 지원기관 설립?운영 ?? 추진목표 : ’21년 ‘인디음악지원 거버넌스’와 ‘서울인디음악지원센터’ 설립?운영을 지원하여 인디 생태계 복원 도모 ?? 사업개요 인디음악 거버넌스 구축 ○ 음악공간 운영자, 뮤지션, 정책전문가, 제작사, 마포구, 마포문화재단, 서울시, 서울문화재단 등이 참여하는 ‘서울인디음악지원네트워크’ 구성 -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사전 조사 및 공개/비공개 포럼 개최 - 인디음악 관련 사업 협의 및 제언, 집행, 보조, 평가 수행 등 거버넌스 상설화 ○ 인디음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네트워크 운영 - 소셜미디어(블로그, 유튜브, 인스타 등)를 활용한 인디음악계 전반 네트워킹 - 뉴스레터/유튜브/팟캐스트 등을 통해 인디음악 현안, 주요 콘텐츠 홍보 서울인디음악 지원센터 설립·운영 지원 ○ 서울 인디음악지원센터 운영 - 인디음악 전문 제작/유통/마케팅 전문가 및 저작권/인권/성인지 전문가 구성 - 상설 조직 운영 통해 뮤지션/제작자/음악공간운영자에게 실질적 도움 제공 - 서로의 노하우를 공유하는 교육/컨설팅 프로그램 진행 - 창작공간 제공 및 보육 서비스 제공 등으로 향후 역할 확대 등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19 2020 2021 2022 2023 서울 라이브 브랜드 디자인 및 홍보 현장 의견수렴 및 사례조사 서울라이브 브랜드화 계획 수립 서울라이브 브랜드 마스터플랜 및 로고 제작 서울라이브 브랜드 활용 거점 홍보 서울라이브 브랜드 활용 거점 홍보 서울 라이브 지원 사업 서울라이브 지원 (70건) 서울라이브 지원 (80건) 서울라이브 지원 (100건) 서울라이브 지원 (100건) 서울라이브 지원 (100건) 서울 라이브 닷컴 운영 및 홍보 현장 의견수렴 및 사례조사 서울라이브닷컴 구축 및 홍보 계획 수립 온라인 플랫폼 구축 용역 발주 뉴스페이퍼 제작 및 실외 홍보 온라인 플랫폼 구축/ 앱개발 뉴스페이퍼 제작 및 실외 홍보, 굿즈 판매 온라인 플랫폼 운영 뉴스페이퍼 제작 및 실외 홍보, 굿즈 판매 라이브 클럽 데이 지원 및 홍보 라이브클럽데이 자체 운영 라이브클럽데이 지원(1억원) 라이브클럽데이 홍보 라이브클럽데이 지원(3억원) 라이브클럽데이 홍보 라이브클럽데이 지원(3억원) 라이브클럽데이 홍보 라이브클럽데이 지원(3억원) 라이브클럽데이 홍보 인디음악지원 거버넌스 구성 서울라이브 추진위원회 운영 거버넌스 구성, 전담인력 선발 ‘서울인디음악지원 네트워크’ 운영 (월1회 이상) ‘서울인디음악지원 네트워크’ 운영 (월1회 이상) ‘서울인디음악지원 네트워크’ 운영 (월1회 이상)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현장 의견수렴 및 사례조사 온라인네트워크 운영 계획 수립 소셜미디어 및 뉴스레터/팟캐스트/유튜브 운영 소셜미디어 및 뉴스레터/팟캐스트/유튜브 운영 소셜미디어 및 뉴스레터/팟캐스트/유튜브 운영 인디음악지원 센터 운영 지원 현장 의견수렴 및 사례조사 서울인디음악지원센터 추진위 구성 서울인디음악지원센터 마스터플랜 수립 서울인디음악지원센터 운영 준비 및 개소 서울인디음악지원센터 운영 ?? 연차별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 계 2019 2020 2021 2022 2023 합 계 7,650 300 650 1,900 2,400 2,400 서울 라이브 브랜드 디자인 및 홍보 900 - - 300 300 300 서울 라이브 지원 사업 2,200 300 400 500 500 500 서울 라이브 닷컴 운영 및 홍보 700 - - 500 100 100 라이브 클럽 데이 지원 및 홍보 1,150 - 100 350 350 350 인디음악지원 거버넌스 구성 350 - 50 100 100 100 온라인 네트워크 구축 200 - 50 50 50 50 인디음악지원센터 운영 지원 2,150 - 50 100 1,000 1,000 서울시향을 세계적 수준의 오케스트라로 육성 ?? 추진방향 ○ 실력 있는 음악가 발굴?지원으로 세계적 성장 발판 마련 ○ 공연 콘텐츠 디지털 제작 등으로 클래식 저변 확대 ?? 추진목표 : 정기공연(60회), 해외순회공연(5회), 마스터클래스(3명), 영재발굴(10명), 디지털 콘텐츠 제작(10건) ?? 사업개요 ○ 수준 높은 공연기획으로 예술적 요구 부응 및 경쟁력 강화 - 우수 지휘자 초빙, 우수 협연자 초청, 다양한 레퍼토리를 가진 공연 개최(정기공연) - 해외 전략지역 순외공연 및 해외 오케스트라와 교류로 시향의 위상 강화 - 순회공연은 러시아(’19), 러시아?일본(’20), 유럽(’21) 등 연차별 진행 ※ 베세토(BeSeTo) 오케스트라 : 동북아 3개국 도시(서울, 도쿄, 베이징) 협력 추진 ○ 클래식 공연 콘텐츠 제작 및 디지털 서비스 구축 : 매년 10건 - 온라인스트리밍 공연 서비스 : 정기공연 중 연 1~2회 포털사이트 중계 - 정기공연 해설 강좌 제작(팟캐스트, 유튜브 등) 및 교과서 음악 영상화?보급 - 영유아 대상 스토리텔링 온라인 컨텐츠 등 제작?기획 ○ 분야별 맞춤 지원으로 차세대 신진 음악가 육성 : 매년 3명 - (작곡가) 국내?외 작곡가 작품 위촉을 통한 창작 활성화 - (악기 연주자) 세계적인 연주자 마스터클래스로 전공자 교육 보완 - (지휘자) 음악감독 등 유명 지휘자 마스터클래스로 유망 지휘자 육성 발굴 ※ 기존 ‘서울국제음악콩쿠르’ 확대 발전으로 신진발굴의 장으로 활용 ○ 클래식 영재발굴을 위한 협력 사업 추진 : 매년 10명(성별균형 지향) - 클래식 분야 영재 교육프로그램과 연계 및 협연기회 등 제공 ※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재교육원과 서울시향이 업무협약 체결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19 2020 2021 2022 2023 전문공연 확대 정기공연 40회 해외순회 2회 정기공연 45회 해외순회 2회 정기공연 50회 해외순회 3회 정기공연 55회 해외순회 3회 정기공연 60회 해외순회 5회 베세토 오케스트라 사전조사 3개교향악단간 업무협약 순회공연 (서울) 순회공연 (북경) 순회공연 (동경) 클래식 디지털 콘텐츠 기반조성 사전조사 및 사업계획 수립 IP기업과 협업 콘텐츠 제작 팟캐스트 활성화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 시범사업, 디지털 콘서트홀 사업계획 수립 디지털 콘서트홀 웹사이트 구축 콘서트홀 건립시 디지털 콘서트홀 시행 신진 마스터 클래스 사전조사 및 사업계획 수립 마스터클래스 시행(3명) 마스터클래스 시행(3명) 마스터클래스 시행(3명) 마스터클래스 시행(3명) 클래식 영재발굴 사전조사 및 사업계획 수립 업무협약 체결 오디션 시행 및 협연(10명) 오디션 시행 및 협연(10명) 오디션 시행 및 협연(10명) ?? 연차별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 계 2019 2020 2021 2022 2023 합 계 18,262 2,253 3,109 3,700 4,600 4,600 전문공연 확대 13,943 2,243 2,500 2,700 3,000 3,500 베세토 오케스트라 1,240 10 30 400 400 400 클래식 디지털 콘텐츠 기반조성 1,779 - 329 350 800 300 신진 마스터 클래스 1,000 - 200 200 300 300 클래식 영재 발굴 300 - 50 50 100 100 서초 음악문화지구 지정 ?? 추진방향 ○ 예술의 전당 일대 클래식음악 관련 문화시설 및 문화업종 활성화 ○ 서초음악문화지구의 문화적 특성 보전 및 생활문화 활성화 ?? 추진목표 ○ 지역사회가 만들어 나가는 지속가능 클래식 음악 문화도시 조성 ?? 사업개요 ○ 위 치 : 서초구 서초3동 1451번지 일대(예술의 전당 및 악기거리 일대) ○ 핵심콘텐츠 : “클래식 음악문화” ○ 지정목적 : 지역의 클래식음악문화의 문화적특성 보존?육성하고 주민, 문화예술인 주도의 문화활동을 촉진(’18.5) ○ 지원대상 : 음악문화 관련 영업시설, 창작공간·공연장 등 문화시설, 문화활동 및 관련단체(주민협의회 등) ?? 사업내용 : ’22년까지 47억원 투입(서초구) ○ 공연장 활용 고품격 클래식음악 콘텐츠 유치사업(가칭 : Music Chain 18) - 지구 내 공연장 활용한 공연 기획 유치하여 품격 있는 클래식 감상기회 제공 - 공연장 DB구축 및 주민협의체 분과(공연장) 형성으로 협약 공연장 확보 - 예술가들과 관객이 만나는 연결공간의 지속적인 촉발, 세계적 음악가들이 초청되는 환경 조성(공연시설 운영자 또는 공연 기획자 지원) ○ 서초 실내악 축제 개최 - 서초음악문화지구 내 소규모 공연장, 연습실, 카페 등 일상공간에서 청년문화예술인이 개최하는 정기 실내악 공연(청년문화예술인 지원) ○ 서리풀 청년음악센터 조성 - 청년 음악인, 동호회 창작활동의 공간 - 아마추어 연주자 및 동호회 지원, 네트워크 파티, 회의공간 등 공간제공 3. 세계와 교류하며 함께 즐기는 음악도시 7 서울의 숨겨진 음악명소 발굴 및 음악관광 활성화 음악명소 선정 콘텐츠화 - Music Spot 50 선정 ?? 추진방향 ○ 서울의 주요 음악관련 장소 및 콘텐츠를 발굴하여 스토리가 있는 Music Spot으로 선정하고 국내·외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로 활성화 ?? 추진목표 : ’23년까지 Music Spot 방문객 100만명(연간 25만명) ?? 사업개요 ○ 서울의 음악공간을 조사하여 ‘Must See Seoul Music Spot 50’ 선정 - 국내 음악관계자 및 음악산업 종사자, 아티스트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통해 후보지 선정하고, 대시민 대상 설문조사 등을 통해 최종적으로 50개소 선정 후 매년 업데이트 ※ 공연장, 음악축제, 음반가게, 라이브음악공간, 복합음악공간, 클럽, LP바, 악기/악보샵, 음악서점, 펍 등 다양한 구성 ○ 홈페이지, SNS, 영상제작 유통 등을 통해 적극 홍보하고, 주요 관광지 및 음악시설 등에 홍보 리플릿 비치(공항, 관광안내소 등) - 글로벌 홍보를 위한 다국어 지원 웹서비스 및 앱 구축, 홍보책자 발간 대중음악 명예의 전당 건립 및 한국 대중음악 100년사 아카이빙 ?? 추진방향 ○ 전세계 음악팬들에게 한국 대중음악을 알리는 K-POP 명소로 조성 ○ 한국 대중음악 100년사 상설 전시장 및 특별 전시관으로 구성 ?? 추진목표 : ’24년 대중음악 명예의 전당 개관 ?? 사업개요 ○ 서울아레나 건물안에 공연장과 연계한 전시 및 체험공간 조성 - 서울아레나 내 4,000㎡이상의 공간 확보 후 시설투자 운영 ※ 사업시행자가 공간 제공, 시설투자·운영은 市에서 시행 ○ 한국을 대표하는 대표적인 음악인들을 기념하고, 케이팝 가수들과 관련된 전시 진행 및 한국 대중음악의 주요 자료들을 디지털화 - 대중음악사에 길이 남을 거장들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는 아카이브 공간 ※ 음악장르 각 분야에서 성별 균형 선정 아카이빙 지향 - 콘텐츠 중심 기획전시로 아레나 진행 공연과 연계, 대중음악 체험 및 교육 공간 등 ※ 영국 리버풀 “비틀즈 스토리”,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 “로큰롤 명예의 전당” 음악관광 활성화 ?? 추진방향 ○ 계절별 축제, 공연관람, 음악명소 투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발굴하여 해외 음악팬 대상 음악관광 활성화 ?? 추진목표 : 매년 서울 관광객 3% 증가 ?? 사업개요 ○ 음악 명소 발굴 및 주제별 음악관광 코스·프로그램 개발 - 뮤직비디오 촬영지, 공연장, 방송국, 한류스타 테마존 등 음악 관광지 발굴 ? 코엑스 SM 아티움, 롯데 스타 애비뉴, 상암 방송제작단지, 홍대 버스킹거리 등 - ‘K-POP 스타 코스’, ‘인디뮤지션 코스’ 등 주제별 관광 코스·프로그램 기획 ? K-POP 스타 코스 : 강남 중심, 엔터테인먼트사 협력 → 팬미팅·콘서트 연계 프로그램 구성 ? 인디뮤지션 코스 : 홍대 중심, 소극장·클럽 등 협력 → 공연 연계 프로그램 개발 - 음악관광지도, 음악관광가이드북 등 홍보물(영상, 책자) 제작 및 배포 ○ 해외 음악팬 대상 공연·축제 연계 투어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주요 음악축제, 행사 등 연계 해외 음악팬 초청 이벤트 진행 ? 온라인 이벤트 “‘한국 음악이 좋은 이유’를 작성하고 응모 버튼을 눌러주세요!“ → 추첨 통해 음악축제·행사 백스테이지 투어 등 진행→이벤트 응모부터 진행 전 과정 영상콘텐츠로 제작 → 홍보영상으로 활용 - ‘음악공연 관람+관광’ 패키지 여행 상품 기획(인바운드 여행사 협력) 부산 원아시아페스티벌 공연+관광 패키지 티켓 뮤지컬+숙박 패키지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19 2020 2021 2022 2023 뮤직투어리즘 활성화 50개소(안) 전문가 설문조사 업데이트 및 글로벌 홍보 연간 5만명 방문 업데이트 및 글로벌 홍보 연간 5만명 방문 업데이트 및 글로벌 홍보 연간 5만명 방문 업데이트 및 글로벌 홍보 연간 5만명 방문 대중음악 명예의 전당 건립 건립부지 및 공간 확보 기본계획 수립 (사례조사 포함) 투자심사, 기본 및 실시설계 실시설계완료 공사 착공 시설공사 아카이빙 제작 음악관광 활성화 사례조사 프로그램 개발 및 홍보 프로그램 개발 및 홍보 프로그램 개발 및 홍보 프로그램 개발 및 홍보 ?? 연차별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 계 2019 2020 2021 2022 2023 합 계 8,430 0 230 800 2,200 5,200 뮤직투어리즘 활성화 360 - 60 100 100 100 대중음악 명예의 전당 건립 7,720 - 120 600 2,000 5,000 음악관광 활성화 350 0 50 100 100 100 8 국제음악행사 개최 및 도시간 협의체 구축 국제음악행사 개최 ?? 추진방향 ○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대표적인 국제 음악 컨퍼런스 및 음악 이벤트 유치하여 서울의 다양하고 풍부한 음악자원 홍보 ?? 추진목표 : MCC ’20년 유치?개최, WOMAD ’21년 유치 ’22년 개최 ?? 사업개요 ○ 국제적 인지도와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는 세계적 음악행사를 서울에 유치하여 음악도시 서울의 정책과 비전을 공유 ○ 뮤직시티즈컨벤션(MCC : Music Cities Convention) ’20년 유치?개최 - 개최시기/장소 : ’20.6월 중 2박3일 / 서울시청 및 주요 음악공간 - 주요내용 : 음악도시 관련 국제적인 정책 제언 마련과 더불어 국제적 홍보 및 ‘국제음악도시협의체(가칭)’ 추진을 위한 네트워킹 확대 ‘MCC’ 는 음악도시 정책 및 산업 전문가 300여명(70여 도시)이 참여하는 국제행사로 음악으로서 도시계획, 삶의 질, 도시 정책 및 개발 전략 등 정책 제언 마련을 위한 컨퍼런스(’15년 영국 최초 개최) ○ 월드뮤직마켓(WOMAD:World of Music, Arts Dance) ’21년 유치, 22년 개최 - 전 세계의 예술가들이 모이는 국제페스티벌(’82년 영국 최초 개최)로 유럽을 중심으로 30여개국이 참가하며 예술 형태를 소개하고 기념하는 것뿐만 아니라 문화 간의 인식과 관용을 증진시키며 다문화 사회의 가치와 잠재력에 대한 인식을 알리고 부각시키는 것을 목표함 ※ 워크숍(음악가가 진행) , 테이스트더월드(뮤지션 추천 요리 관객 제공), 글로벌 마켓 등 - 유럽 외 지역에서 개최된 적이 없어, 서울 유치시 아시아 최초 개최 의미 음악도시간 국제 협의체 구축 ?? 추진방향 ○ 세계 주요 도시들의 음악관련 정책을 교류하고 음악도시 서울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견인하기 위한 국제 네트워크 구축 ?? 추진목표 : ’22년 국제 음악도시 협의체 발족, 1회 회의 서울 개최 ?? 사업개요 ○ 음악도시를 지향하는 도시간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국제 거버넌스 조직인 ‘(가칭)국제 음악도시 협의체’ 발족 ○ 회원 구성은 ACCF, WCCF 회원 도시들간 구축된 문화 네트워크 활용 및 ’20년 상반기 개최를 목표로 하고 있는 MCC 참가 도시들간의 음악 정책관련 공감대 형성을 통해 30개 내외의 도시 협력 - 전통적인 음악도시인 유럽 및 미국 도시 협력 적극 모색 ○ 세계 주요도시들과 음악(산업)정책을 교류하고 음악을 통해 경제, 사회 전반을 아우르는 공동체 의식 형성, 도시별 성공사례 발표 공유 및 공통 의제 발굴 등 미래 지향적인 이슈 논의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19 2020 2021 2022 2023 국제 음악행사 유치 MCC 참가 (중국 청두) MCC 개최 (서울) 유치 준비 WOMAD 개최 - 국제 거버넌스 구축 - 추진위원회 구성 추진위원회 운영 거버넌스 발족 사무국운영 사무국운영 ?? 연차별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 계 2019 2020 2021 2022 2023 합 계 1,140 80 300 60 600 100 국제 음악행사 유치 720 80 290 50 300 - 국제 거버넌스 구축 420 - 10 10 300 100 9 음악도시 글로벌 홍보 강화 ?? 추진방향 ○ 온?오프라인 다각적 채널을 통한 글로벌 홍보로 음악도시 서울의 브랜드 정착과 정체성 확립 ○ 서울을 대표하는 글로벌 K-POP 스타, 차세대 유망인재 및 음악관련 국제적인 셀럽을 홍보대사로 위촉 운영 ?? 추진목표 : ‘글로벌 음악도시, 서울’ 인지도 매년 5% 향상 ※ 서울방문 내?외국인 대상 설문조사 실시 등 평가 지표 개발(’20년) 추진 ?? 사업개요 홍보물제작시 홍보물성별영향평가 실시 ○ 음악 전문 매체에 ‘음악도시 서울’ 관련 콘텐츠 기사 및 광고 게재 - 대중음악 전문 잡지, 웹진 등 매체에 서울시 음악축제, 음악인 등 소개 - ‘음악도시 서울’ 홍보 이미지 제작 → 국제적인 매체 내 게재 추진 [주요 대중음악 전문 매체] ? 미국 주간지 ‘빌보드(billboard)’(1894년 창간) ? 영국 주간지 ‘NME(New Musical Express)’(1952년 창간), ? 미국 격주지 롤링스톤(Rolling Stone)(1967년 창간) ? 미국 음악전문 웹진 스핀(SPIN)(1985년 창간, 2012년부터 웹진만 발행) ○ 해외 방송매체 및 해외방영 국내채널(아리랑TV 등) 협력 방송 노출 - 국내외 방송매체 협력을 통한 음악축제 등 행사 현장 방영 추진 - 공연장, 행사 현장 등을 방송매체 촬영장소로 제공해 방송 노출 확대 ○ 국내외 언론, 인플루언서 초청 프레스투어·팸투어 등 마케팅 행사 진행 - 계절별 음악축제 개최, 공연장 개관 시 서울시 음악자원과 연계한 프레스투어 및 팸투어 진행(언론담당관, 도시브랜드담당관 협력) - 국내외 언론, 인플루언서 초청 ‘음악도시 서울’ 설명회 개최(연 1회) ? 매년 <(가칭)음악도시 서울, 올해의 음악> 설명회 개최, 해외 언론 및 인플루언서 적극 초청 - 음악, 문화예술 분야 인플루언서 초청 대담회·토크쇼 등 행사 추진→ 영상 등 콘텐츠 제작→온라인 매체 게재 통한 확산 추진 ※ 인플루언서(influencer):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수십만 명의 구독자(팔로어)를 보유한 ‘SNS 유명인’([출처] 한경 경제용어사전) 빌보드 웹페이지 음악축제 소개 롤링스톤 웹페이지 공연장 소개 인플루언서 ‘대도서관’ 협력 콘텐츠 ○ 음악도시 홍보대사 위촉 및 글로벌 홍보 적극 협력 - 서울을 음악도시로 알리기 위해 인지도 있는 홍보대사 10명(팀)을 위촉(임기 2년)하여 홍보영상 제작 및 행사 참여 등 협조 - K-POP의 국제적 영향력을 감안하여 한류 아티스트를 우선 선정하되 서울의 음악 다양성 살릴 수 있도록 국악, 클래식, 인디 등 다양한 장르의 홍보대사로 구성(한쪽 성별에 치우치지 않도록 비율 조정) - 홍보대사 위촉시 인기도 이외에도 사회적 이미지, 발전가능성 등을 다각적으로 고려하여 심의위원회 및 시민투표로 최종 선발 ?? 연차별 추진계획 세부과제 2019 2020 2021 2022 2023 글로벌 홍보 강화 해외사례조사 홍보기획 홍보대사 위촉 광고 및 마케팅 홍보대사 운영 광고 및 마케팅 홍보대사 운영 광고 및 마케팅 홍보대사 운영 ?? 연차별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 계 2019 2020 2021 2022 2023 글로벌 홍보 강화 950 - 50 300 300 300 Ⅴ 추진일정 및 연차별 재원투입 ?? 추진일정 추진과제 2019 2020 2021 2022 2023 1) 음악 체험 활동 확대 (생활예술 공연, 센터 조성) 2회 25개소 15회 79개소 18회 96개소 20회 107개소 25회 107개소 악기나눔 공유 활성화 1회 악기나눔 협약체결 2회 (상?하반기) 2회 (상?하반기) 2회 (상?하반기) 2회 (상?하반기) 맞춤형 음악교육 확대 (채움클래식, 음악영재, 예술교육센터) 72회, 100명, 3개소 95회, 150명, 7개소 100회, 165명, 8개소 110회, 180명, 11개소 120회, 200명, 13개소 2) 다양한 음악공연 활성화 (거리공연, 서울광장, 국악당, 시향) 2,788회 3,734회 3,776회 4,057회 4,082회 3) 세계적 음악축제 개최 및 축제활성화 4개축제 개최 1회 국악, SMUF 5개축제 개최 지원사업 의견수렴 6개축제 개최 축제지원센터 설치 6개축제 개최 축제지원센터 운영 6개축제 개최 축제지원센터 운영 4) 음악 산업?인재 육성 (기업유치, 비즈니스 아카데미) 공간확보 문체부협의 음악산업현황 연구용역 기본계획 수립 기업유치 홍보 기업유치 홍보 아카데미 유치 기업 입주 및 아카데미설립 음악창작지원 확대 269건 275건 275건 282건 282건 5) 공연 인프라 확충 (노들섬, 아레나, 클래식홀, 서남권) 노들섬 개장 서울아레나 공사착공 공사 클래식홀, 서남권 공사착공 아레나 준공(12월) 문화시설 준공(5월) 6) 음악장르 균형성장 국악 활성화 연구용역 창작공간, 해외진출, 콘텐츠 제작 지원 창작공간, 해외진출, 콘텐츠 제작 지원 외국인 대상 강좌 서울국악센터 설치 및 운영 지원사업 본격화 창작공간, 해외진출, 콘텐츠 제작 지원 외국인 대상 강좌 국악 대중화 인디음악 지원 서울라이브지원 (연차별 확대) 인디거버넌스 구성 ‘서울라이브’ 브랜드 제작 인디음악지원센터 설립 온라인 플랫폼 구축/앱개발 지원 사업 본격화 시향 세계수준 육성 전문공연 42회 사전조사 및 사업계획 수립 전문공연 47회 마스터 클래스 시행(3명) 전문공연 53회 영재발굴(10명) 온라인 스트리밍 전문공연 58회 디지털콘서트홀 웹 구축 전문공연 65회 사업계속 7) 뮤직투어리즘 활성화 명소 현황 조사 전당 공간확보 선정. 홍보물 발간 계획수립 선정. 홍보물 발간 투심,실시설계 선정. 홍보물 발간 아카이빙, 공사 선정. 홍보물 발간 명예의 전당 개관 8) 민간 및 도시간 음악교류 확대 MCC 유치 해외사례조사 MCC 개최 해외사례조사 WOMAD 유치 네트워크 형성 국제협의체 발족 WOMAD 개최 음악행사 유치 사무국 운영 9) 글로벌 홍보마케팅 강화 해외사례조사 홍보기획 홍보대사 위촉 광고 및 마케팅 홍보대사 운영 광고 및 마케팅 홍보대사 운영 광고 및 마케팅 홍보대사 운영 ?? 연차별 재원투입(안) (단위: 백만원) 추진과제 소요예산 합계 2019 2020 2021 2022 2023 연차별 합계 478,685 24,799 28,905 46,529 97,360 281,092 1) 음악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 확대 56,784 11,177 11,567 13,950 11,380 8,710 2) 다양한 음악공연 활성화 17,536 2,656 3,490 3,610 3,840 3,940 3) 세계적 음악축제 개최 및 축제활성화 30,575 1,980 3,195 7,600 8,400 9,400 4) 음악산업 체계적 지원 17,488 2,924 2,866 2,916 4,866 3,916 5) 다양한 공연이 가능한 공연장 확충 306,290 2,989 2,708 9,893 53,574 237,126 6) 장르별 균형적 지원 (국악, 인디, 클래식) 39,492 2,993 4,499 7,400 12,200 12,400 7) 뮤직투어리즘 활성화 8,430 0 230 800 2,200 5,200 8) 민간 및 도시간 음악교류 확대 1,140 80 300 60 600 100 9) 글로벌 홍보마케팅 강화 950 0 50 300 300 300 ※ 민간투자(1,048,688백만원) : 서울아레나(393,188), 창업 및 문화산업단지(655,500) Ⅵ 행정사항 ?? 민관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 ○ 협의체명 : ‘글로벌 음악도시 서울 추진위원회(가칭)’ ○ 인원구성 : 전문가 및 관련부서장 등 10명 내외 ○ 운영방법 : ’19. 하반기 구성후 연2회 정례회의(필요시 수시) ○ 주요역할 : 3대 목표 9개 과제 이행상황 점검 및 세부사업 추진 자문 ※ 인원구성 및 세부운영방법 등은 별도계획 수립 ?? 음악도시 사업추진 인력 확충 및 전담 팀 신설 ○ 문화정책과 인력확충 및 ‘글로벌음악도시팀’ 신설(’20년 하반기) - 인력구성(안) : 5명(행정5급 1명, 행정6급 2명, 행정7급 1명, 건축7급 1명) ○ 음악도시 컨트롤 타워 역할 수행 및 신규사업 추진 [신규 추진 사업목록] ? 서울아레나 및 창업?문화산업단지 내 공연장 조성 협의 및 운영 ? 대중음악명예의 전당 조성 및 아카이빙 구축 ? 음악기업유치 및 산업중심지 조성, 비즈니스 아카데미 설치 운영 ? 노들섬 음악문화복합공간 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 ? 음악명소 선정 콘텐츠화, 뮤직 투어리즘 연계 ? 국제음악행사 유치 및 개최, 국제음악도시협의체 구축 ? 음악도시 글로벌 홍보 및 마케팅, 홍보대사 운영 등 ?? 사업추진 공정 점검 및 현황조사 추진 ○ 사업추진 공정 점검을 위한 모니터링 정례화 : 매년 상?하반기 - 점검사항 : 연차별 추진일정, 사업효과 및 예산 반영여부 등 ○ 대중음악 및 국내?외 음악산업 관련 국내외 현황조사 : ’20년 - 음악기업유치, 대중음악명예의 전당건립, 국제음악도시협의체 구축 등 세부사업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 부서별 세부 추진과제 부서명 추진과제 문화정책과 생활문화지원센터 확충, 악기나눔, 서울365거리공연, 문화가 흐르는 서울광장, 음악기업유치, 비즈니스 아카데미, 인디음악 생태계 복원, 음악명소 선정 콘텐츠화, 대중음악 명예의 전당 조성 및 아카이빙, 국제음악행사 개최, 국제음악도시협의체 구축, 국제홍보 및 마케팅 문화예술과 저소득측 음악영재교육, 한옥명소 국악공연, 브랜드축제 작은축제 지원 및 축제플랫폼 구축, 국악의 세계화 대중화 문화시설과 예술교육센터 확충, 서울시향 클래식 전용홀 건립 서남권대공연장 건립 공공재생과 노들섬 문화복합공간 조성 및 운영(’21년 문화본부 이관 예정) 동북권사업과 서울아레나 건립, 창업 및 문화산업단지 건립 출연기관 [세종] 세종예술아카데미, 공익공연 온쉼표 [시향] 시향 세계적 수준 육성, 연령대별 클래식 교육 [문화재단] 생활예술오케스트라, 인디음악 생태계 복원 예술작품지원 및 청년예술지원 끝.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정보

글로벌 음악도시 서울 기본계획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문화본부 문화정책과
문서번호 문화정책과-14996 생산일자 2019-10-19
공개구분 공개 보존기간 5년
작성자(전화번호) 박백웅 (02-2133-2513) 관리번호 D0000038411811
분류정보 행정 > 일반행정지원 > 과공통일반사무 > 업무계획및평가(서무) > 업무계획및보고관리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