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하수관로 정확도 개선 및 맨홀 점검·정비계획

문서번호 물재생계획과-11527 결재일자 2019.8.23. 공개여부 부분공개(5) 방침번호 시 민 주무관 하수계획팀장 물재생계획과장 물순환안전국장 김민석 김준형 하상문 08/23 이정화 협 조 하수관리팀장 이한복 하수정비팀장 이두환 하수관로 정확도 개선 및 맨홀 점검·정비계획 2019. 8. 하수관로 정확도 개선 및 맨홀 점검·정비계획 하수관로의 구조적 상태 개선과 수리능력 향상을 위해 관로 정확도 개선 및 하수맨홀의 점검(측량 포함)·정비를 시행하여 관련자료의 DB를 구축함으로서 추진중인 각종 하수관로 사업의 기반을 정비코자 함. Ⅰ 현 황 ?? 하수관로 구조상태 (맨홀 포함) ○ 1992 ~ 2001 : 하수관로 조사 및 정비기본설계 ? 대 상 : 전수조사 8,881km 중 6,224km 조사 ? 과업내용 : 관로 및 맨홀 육안·CCTV 조사, 수리검토, 기본설계 ? 활 용 : ‘95년 종합정비사업 착수, GIS DB 원시자료 활용 ○ 2015 ~ 2019 : 도로함몰 예방 노후 하수관로 조사 ? 대 상 : 30년 이상 하수관로 2,720km (정비 예정지 제외) ? 과업내용 : 하수관로 육안·CCTV 조사, 정비설계 (308km) ? 활 용 : 긴급보수 대상 관로정비 추진 중 (2017 ~ 2020) ○ 2016 ~ 2023 : 하수암거 정밀점검 (라이다 측량 포함) ? 대 상 : 하수암거 1,130km ? 과업내용 : 정밀점검, 라이다(Lidar) 측량, 고해상 영상촬영 ? 활 용 : 하수암거 보수보강, 암거 인입관로 관저고 수정 하수도관리 전산시스템 3차원 모델 구축 ?? 하수관로 수리능력 ○ 1992 ~ 2001 : 하수관로 조사 및 정비기본설계 ? 직접수준측량 및 239개 배수분구 수리검토 (5/10년 빈도) ○ 2009 : 2020 하수도정비 기본계획 ? GIS DB 활용 (유역면적 관로 단위연장 당 면적 적용) ? 확률빈도 상향에 따른 하수관로 통수능 검토 ○ 2018 : 2030 하수도정비 기본계획 ? GIS DB 활용 (유역면적 관로 단위연장 당 면적 적용) Ⅱ 문 제 점 ?? 하수관로 구조상태 ○ 조사 이후 장기간 경과시 조사 자료의 가치 감소 ? 기본설계 조사자료 관로정비 설계 시 활용 제한 ○ 대규모 하수관로 시설로 인력을 활용한 조사에 시간, 비용 과다 소요 ?? 하수관로 수리능력 ○ 기존 GIS DB 정확도 부족으로 수리분석 용도 활용 곤란 ? 공공측량 작업규정에서 오차범위 평면 30cm, 심도 30cm 이내 80% 이상시 성과심사 통과 ? 종합정비, 소구역 정비 등 설계 시 수리검토를 위해 측량 선행 필요 Ⅲ 관련사업 추진 ?? 하수관로 수리특성 평가 및 수리분석방법 개선 ○ 사업기간 : 2018.10 ~ 2019.12 ○ 사업목적 ? 2010, 2011년 대규모 침수 이후 홍수량 산정방법 변화 (기존 합리식 → 변경 SWMM) ? 변경된 유출모형에 따라 강우-유출 부정류 해석 모델 완성 ? 실측 강우-수위 자료를 이용한 검·보정 및 매개변수 제시 ?? 하수관로 수리환경 모니터링 및 성능검증 용역 ○ 사업기간 : 2019. 8 ~ 2020. 2 ○ 사업목적 ? 유량, 수질등 계측자료를 기반으로 SWMM 모델을 강우-유출-수질 모형으로 확대 ? 청천시 및 강우시 하수의 집수, 이송 및 오염부하의 이동 추적 ? CSOs 등 하천배출 오염물의 관리대책 수립 ?? 탄천 처리구역 우수토실 개선 시범사업 ○ 사업기간 : 2019.10 ~ 2020. 4 ○ 사업목적 ? 유량, 수질 등 계측자료를 기반으로 우수토실에서 계측 수질에 따라 가변 차집하는 실시간 제어시스템 시범사업 (SCADA) ?? 서울시 하수관로 성능분석 및 DB 구축사업 ○ 사업기간 : 2019.10 ~ 2021. 4 ○ 사업목적 ? 748개 소구역 별 강우-유출모형 구축 (SWMM) ? 관리청에 신뢰할 수 있는 수리분석 자료 제공 Ⅳ 추 진 방 향 ?? 정확한 하수관로 제원 확보를 위한 원형관로 측량 시행 ○ 현재 추진중인 관련 사업들은 모니터링?모델링?시설물 제어로 연계되는 스마트 하수도 시스템 구축 사업으로 신뢰성 있는 모델링 결과를 얻기 위해 하수관망의 정확한 제원 파악이 필수적임. ? 유량 및 수질계 등 계측기 설치 및 자료 수집 ? 소구역별 유출모형 구축 및 매개변수 검·보정 ? 실시간 계측, 감시, 분석 모델 완성 ? 유출 모델을 활용한 실시간 차집제어 등 SCADA 시스템 도입 ○ 이와 같은 사업을 위해서는 하수관로의 정밀한 제원정보가 필요하나 현재 하수암거에 대한 측량(라이다 포함)을 우선 시행 중이고 원형관로의 DB 정확도는 수리분석에 활용 곤란 ? 원형관로 8,925㎞중 3,513㎞ 정확도 개선 기 완료(39%) ○ 원형관로의 정확한 제원 파악을 위해 절대측량이 미실시된 관로(맨홀)에 대하여 측량 시행(위치측량+수준측량) ○ 사각형거 측량이 완료된 지역부터 연차 시행하며, 향후 맨홀 라이다(Lidar)점검과 연계하여 하수관망도 전체를 3차원 모델로 전환 추진 ?? 맨홀의 구조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종합적 맨홀점검 시행 ○ 원형관로 맨홀 라이다(Lidar)를 통한 맨홀 내·외부 정밀점검 및 고화질 영상 자료 확보 ○ 하수맨홀 정밀점검 조사결과 DB 구축을 위한 표준조사표 작성·적용 ? 서울시 “도로상 맨홀정비 및 관리지침”을 기본으로 ? 환경부 “하수관로·맨홀 조사 및 상태등급 판단기준 표준매뉴얼” 일부항목 추가 ※ 추가항목 : 뚜껑밀폐, 악취발생, 하수관로 접속부, 인버트 결함, 내피생성, 폐유부착, 임시장애물, 사다리 손상 등 ? 조사결과는 하수도관리 전산시스템 DB에 반영 Ⅴ 조 치 계 획 ?? ‘19년 맨홀 정비 예산 지원 : 총 15억원 ○ 불량맨홀 정비비 자치구 지원 : 13억원 (11개구, 677개소) ? 간선 하수관로 맨홀 : D급 300개소, E급 377개소 ※ 맨홀 정비 방법에 대한 가이드라인 마련 후 예산 재배정 ○ 도봉구에서 구비로 시행중인 맨홀 절대좌표 측량비 지원 : 2억원 ? 하수맨홀 3차원 라이다측량 및 정밀점검 용역 시행중(자치구 최초) - 금회 사업 대상 1,500개소 중 측량 미시행 맨홀 1,085개소 비용 지원 (단위: km) 총 연장 (원형관로) 제외 대상 관로 정확도개선 대상 관로 계 기 시행 재개발예정 삭제예정 8,925 4,275 3,513 735 27 4,650 시계획물량: 2,900 타사업 물량: 1,750 ※ ’16년부터 기 시행중인 사각형거 정확도 개선 사업은 2023년 까지 추진 붙임 1. 맨홀 라이다 및 정밀점검 소요사업비(연차별투자계획 포함) 1부. 2. 자치구별 노후불량 하수맨홀 정비비 재배정내역 1부. 끝.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 결재문서본문.hwpx (434.86 KB)

      PDF다운로드 원문다운로드

  • 붙임1) 맨홀라이다 측량 및 정밀점검 소요사업비(연차별 투자계획 포함).hwpx

    비공개 문서

  • 붙임2) 자치구별 노후불량 하수맨홀 정비비 재배정내역.hwpx

    비공개 문서

문서 정보

하수관로 정확도 개선 및 맨홀 점검·정비계획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물순환안전국 물재생계획과
문서번호 물재생계획과-11527 생산일자 2019-08-23
공개구분 부분공개 보존기간 5년
작성자(전화번호) 김민석 관리번호 D0000037989863
분류정보 행정 > 일반행정지원 > 과공통일반사무 > 업무계획및평가(서무) > 업무계획및보고관리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