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2019년 5월 하수처리 운영분석 결과

문서번호 운영과-979 결재일자 2019.6.21. 공개여부 부분공개(5) 방침번호 시 민 주무관 주무관 주무관 운영과장 박지현 김지응 장인환 06/21 최종인 협 조 2019년 5월 하수처리 운영분석 결과 2019. 5 난지물재생센터 (운 영 과) 목 차 Ⅰ. 총 괄 1 Ⅱ. 공정별 운영결과 및 분석 2 □ 하수처리공정 2 □ 슬러지처리공정 6 □ 분뇨처리공정 7 □ 반류수처리공정 7 Ⅲ. 물질수지 8 Ⅰ. 총괄 □ 기상여건 구 분 강우량(mm) 수온(℃) 비 고 전월(‘19.04) 47.3(9일) 18.0 금월(‘19.05) 37.8(3일) 21.9 □ 처리량 구 분 하수(m3/일) 분뇨(kL/일) 음폐수(톤/일) 전월 526,839 3,659 197 금월 532,020 3,488 202 ※ By-Pass : 68 m3/일 ( 전월 : 47 m3/일) □ 수질현황 유입수 방 류 수 구분 BOD SS T-N T-P 구분 BOD SS T-N T-P 전월 143.3 84.7 35.537 3.663 전월 2.5 3.6 15.106 0.227 금월 139.4 96.3 35.148 3.626 금월 2.1 3.5 15.058 0.225 □ 요약 ? 유 입 량 : 하수유입량 전월과 비슷한 수준. ? 유입수질 : BOD는 전월대비 약 2.7% 증가, T-P는 1% 감소. ? 방류수질 : BOD는 전월대비 약 16% 감소, T-P는 0.9% 감소. ? 수온상승으로 인한 생물학적 처리효율 증대 및 적정 MLDO 운영으로 방류수질 개선 효과. Ⅱ. 공정별 운영 결과 및 분석 1. 하수처리공정 □ 하수처리량 - 2019.5월 하수처리량은 1일 평균 약 53만m3 이고, 가동률은 62%임. - 하수유입량이 전월(526,839m3/일) 대비 약 1% 증가 (5,181m3/일) 전년동월(700,298m3/일) 대비 32% 감소(168,278m3/일)됨. (단위 : m3/일) 구 분 계 1처리장 2처리장 시설용량 860,000 391,000 469,000 운영현황 532,020 236,618 295,402 가동률 62% 61% 63% □ 유입 및 방류수질 ? 유입수질(BOD기준)은 전월대비 약 2.7% 증가. ? 방류수질(BOD기준)은 전월대비 약 16% 감소하여 수질개선. ? 방류 SS는 전월대비 약 2.7%감소, 방류 T-P는 전월대비 약 0.9% 감소. (단위 : mg/L) 구 분 (설계기준: 유입/방류) BOD COD SS T-N T-P 179/10 90/40 132/10 38/20 4.3/2(0.5) 유 입(순수하수) 139.4 54.2 96.3 35.148 3.626 방류 평균 2.1 8.4 3.5 15.058 0.225 #1 2.8 9.7 3.5 14.709 0.194 #2 1.5 7.5 3.4 15.338 0.249 □ 공정별 운영 결과분석 ? 유입분배조 - 계열별 유입량은 수질 관련 유량 조정으로 편차(-10%~3%) 발생. - 2-6지 슬러지 수집기(5/20~6/10) 교체, 초침 1-4지 슬러지수집기 교체 작업 및 단면보수공사 하자 보수 공사 (5/7~)에 따른 1계열 유량 저감 운영. - 1계열 2차처리수 BOD농도 증가는 야적된 탈수 슬러지 침출수 투입영향으로 미생물 활성도 저하에 기인. (단위 : m3/일) 구 분 계 1계열 2계열 3계열 4계열 5계열 6계열 설계기준 860,000 156,400 156,400 78,200 156,333 156,333 156,333 운영현황 532,020 88,078 99,753 48,679 99,187 98,150 98,173 평균대비(%) - -10% 3% 1% 2% 1% 1% 전월 평균대비(%) -10% 4% -1% 2% 2% 1% <계열별 2차 처리수 수질> 1계열 2계열 3계열 4계열 5계열 6계열 BOD [mg/L] 6.0 1.0 1.0 1.3 1.6 1.6 전월 4.8 1.2 1.5 2.2 2.1 2.3 ? 최초침전지 - 체류시간 및 수면적부하 · 체류시간은 설계기준보다 길게 유지, 수면적부하 설계기준보다 낮음. - 처리수질 · 5개 수질 항목 전월 보다 처리수질 개선. - 생슬러지 인발량 · #1 생슬러지 인발량 전월대비 약 5.3%, #2 전월대비 약 3.8% 감소. (단위 : mg/L) 구 분 체류시간 (hr) 수면적부하 (m3/m2·일) 유입수질 처리수질 생슬러지인발량 (m3/일) TS (%) BOD COD SS T-N T-P BOD COD SS T-N T-P 설계기준 2.2 33.4 178 91 131 40.2 4.5 125 63.8 65.6 36.1 3.8 868/1,041 3.0 #1 3.6 19.9 185 57 114 36.0 3.7 95 40 33 36.4 3.5 1,423 2.5 전월 3.6 19.8 186 57 99 36.4 3.7 109 43 33 36.5 3.6 1,503 2.5 #2 3.6 19.9 158 56 110 38.0 3.8 82 39 28 37.2 3.5 794 2.5 전월 3.6 19.7 156 56 127 37.8 3.8 98 43 31 37.8 3.6 826 2.5 ? 생물반응조 - MLSS · 수온상승으로 인한 MLSS 감소 운영으로 전월대비 #1 MLSS 9%, #2 MLSS 3% 감소. - SRT · 수온상승으로 인한 MLSS 감소 운영 위해 #1 잉여오니 인발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1 SRT 전월대비 감소 (5.4→4.5일). - MLDO · 적정 MLDO 운영으로 수질개선 기여. - NH4-N · 전 계열 1mg/L로 안정적으로 운영. 1계열 MLDO 가장 낮지만, 설계운영 범위 내에 있고, 1계열 NH4-N도 1 mg/L 이내 임으로 우려 할 만한 결과 아님. - C/N비, C/P비 · 설계기준 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포기조 유입 BOD(유기원) 감소 에 기인. - 외부반송율 · 수질관련 이유로 #2 외부반송율은 전월대비 증가(59→72%). 구 분 유입BOD (mg/L) 유입SS (mg/L) MLSS (mg/L) F/M비 (kgBOD/kgVSS?d) MLDO (mg/L) 외부반송율 (%) SRT (일) SVI #1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설계기준 124.7 65.6 2,700 0.17 2~5 35~70 10.5 300 운영현황 95.4 82.3 33.4 28.0 2,271 2,375 0.09 0.08 4.5 4.4 88 72 4.5 11.6 120 83 전월값 109.4 98.2 33.4 30.9 2,498 2,443 0.10 0.09 5.0 4.9 90 59 5.4 11.7 122 79 <계열 별 NH4-N 및 MLDO> <계열별 T-N> 1계열 2계열 3계열 4계열 5계열 6계열 T-N [mg/L] 13.471 14.610 15.387 14.126 16.110 15.390 전월 12.560 14.390 14.873 15.180 16.893 16.753 <각 처리장별 생물반응조 유입 C/N비, C/P비> C/N비 C/P비 #1 #2 #1 #2 설계기준 3.45 3.45 32.8 32.8 5월 2.62 2.21 27.2 23.3 전월 3.00 2.60 30.4 27.0 ※ C/N비 = 유기원(BOD)/총질소, C/P비 = 유기원(BOD)/총인 ? 무기응집제 주입률 및 T-P상관관계 - 무기응집제 투입율은 평균 39.1 (mg/L)(최소: 31.6 최대: 48.2mg/L)을 투입하였으며, 방류수 T-P농도는 평균 0.223 (mg/L)(최소:0.120 최대: 0.348mg/L)을 유지함. <응집제 주입율과 T-P관계> <계열별 T-P> 1계열 2계열 3계열 4계열 5계열 6계열 T-P [mg/L] 0.194 0.158 0.202 0.191 0.282 0.205 전월 0.172 0.125 0.159 0.198 0.224 0.249 ? 최종침전지 - 체류시간 · 종침에서 설계기준 보다 긴 체류시간 확보로 안정적인 처리수질 유지됨. - 수면적부하 · 수면적부하 전월과 비슷한 수준. - 잉여슬러지 · 수질관련 이유로 잉여슬러지 #1 인발량 약 4% 증가. · 잉여슬러지 #1, #2 TS 각각 0.1 %p 증가. (단위 : mg/L) 구 분 운영현황 잉여슬러지 체류시간 (hr) 수면적부하 (m3/m2·일) 인발량 (m3/일) TS (%) VS (%) 설계기준 3.1/3.6 23.3/23.4 2,954/3,545 0.8/0.6 - 계(평균) 5.9 14.3 5,310 0.7 75.9 #1 6.0 14.1 6,961 0.8 76.6 전월 6.0 14.0 6,681 0.7 76.3 #2 5.7 14.7 3,897 0.8 74.7 전월 5.8 14.6 3,940 0.7 75.6 ※ 1처리장 종침 체류시간 : 6시간(유효수심 3.5m기준), 7.7시간(실제수심 4.5m기준) ※ 1처리장 잉여슬러지량에 분뇨 잉여슬러지량이 포함 됨 2 슬러지처리공정 □ 공정별 운영 결과분석 ? 농축시설 - 슬러지 투입량 및 농축 처리량 · 슬러지 투입량 전월과 비슷한 수준. (12,951→13,074 m3/일) · #1,#2 농축처리량 전월과 비슷한 수준 유지. (7,669→7,708 m3/일) - TS (%) · #1 농축기 유출 TS(%) 0.1%p 증가. (단위 : m3/일) 구 분 슬러지 저류조 농축기 유 량 TS(%) 월류 및 탈리액 처리량 TS(%) 유입 유출 설계기준  3,821/4,586  1.2/1.3 1,549/1,692 3,821/4,586 5.0 #1 8,383 1.1 1.3 3,903 4,479 4.3 전월 8,185 1.1 1.3 3,676 4,509 4.2 #2 4,691 0.9 1.6 1,462 3,229 5.4 전월 4,766 1.0 1.5 1,606 3,160 5.3 ? 소화시설 - 소화조 유입 특성 · 농축슬러지 및 분뇨유입량 감소에 따른 #1 슬러지 투입유량 전월대비 약 19% 감소, #2 약 10% 증가. · #1 TS가 설계값에 비해 낮음, 이송장애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농축효율 높여야함. - 소화 효율 · #1, #2 소화슬러지 TS 설계 값보다 낮게 잘 처리됨. · #1 슬러지 투입유량 감소로 소화일수 증가. (#1:14.3→17.4일) · #1 소화일수 증가에 따른 적정체류시간 도달로 소화가스 발생량 증가. (28,722→37,674 m3/일) · #2 슬러지 투입유량 증가함으로(687→756 m3/일) 소화가스 발생량 증가.(12,488→15,217 m3/일) ※ 소화율에 영향 주는 요인 : 슬러지투입량, 소화온도, pH, 적절혼합, 충분한 침전시간, 적당한 유기물부하, 중금속 및 유독물 배제, 분뇨 투입 균등화 등. (단위 : %) 구 분 슬러지 투입 소화슬러지 소화일수 (일) 소화율 (%) 가스발생량 (m3/일) 유 량 (m3/일) TS VS TS VS 설계기준  1,878/ 1,073  4.6/5.0 64/50 4.4/3.5 51/38 29/20 40 -  #1 2,841 3.5 73 2.4 56 17.4 55 37,674 전월 3,514 3.5 73 2.2 57 14.3 52 28,722 #2 756 5.0 65 2.6 54 19.0 37 15,217 전월 687 5.0 66 2.5 56 20.9 34 12,488 ※ #1은 정화조 슬러지 포함 ? 탈수시설 - #1 투입슬러지량은 약 9% 감소. (4,243→3874 m3/일) - #1 투입슬러지의 TS는 전월대비 0.2%p증가 (2.2→2.4)하였고, 케익 발생량 감소. 탈수여액 SS농도는 전월대비 약 6% 증가. (134→142mg/L) 구 분 투입 슬러지량(m3/일) 케익 발생(톤/일) 탈수여액(mg/L) 약품투입율 유 량 TS (%) VS (%) 발생량 함수율(%) 유량(m3/일) SS 설계기준 3,146 5.0 51  503 78.0 2,682  2,172 0.3~1 #1 2,694 2.4 56 414 77.0 8,714 142 0.8 #2 1,180 2.6 54 반류수 3,008 2.0 66 3 분뇨처리공정 □ 공정별 운영 결과분석 ? 유입량 및 수질 - 정화조 반입량은 전월대비 약 5% 감소 (3,659→3,488 kL/일) - 정화조 유입수질(BOD기준) 약 13% 증가, 분뇨 유입수질(BOD기준)은 33% 감소. (단위 : kL/일, mg/L) 시설 용량 반입 유량 BOD TS(%) 계 정화조 분뇨 정화조 분뇨 정화조 분뇨 5월 4,500 3,488 3,472 16 5,026 7,590 0.7 1.2 전월 3,659 3,643 16 4,433 11,300 0.6 1.4 ? 농축시설 - 농축상징수 유량 전월대비 약 1.4% 감소. (4,381 → 4,317m3/일) - 분뇨유입 BOD감소로 인한 농축상징수 전월대비 약 14% 수질 개선 (BOD기준). (단위 : m3/일, mg/L) 농축 상징수 농축슬러지 유 량 BOD SS T-N T-P 처리량 TS(%) 5월 4,317 3,139 3,590 380 37 597 2.8 전월 4,381 3,655 4,061 442 43 684 2.8 ※ 금월 분뇨 연계처리 부하율(%) : BOD T-N T-P 평균 연계처리 부하율(%) 14.9 8.3 8.1 전월 17.9 9.9 9.5 4 반류수처리시설 □ 공정별 운영 결과분석 ? 분뇨반류수 - 유입분뇨 BOD감소로 인한 분뇨반류수 유입 수질 개선. - 분뇨 처리수질 개선. (단위 : m3/일, mg/L) 구 분 유입량 MLSS 수질 생슬러지 (직탈) 잉여슬러지 유입 처리 BOD COD SS T-N T-P BOD COD SS T-N T-P 설계 기준 5,300 4,000 1,335 - 820 530 53 600 600 300 180 38 47 (3.0%) 646 (0.8%) 금월 4,317 6,464 3,117 1,658 3,577 373 37 111 109 51 84 5 27 2,245 전월 4,381 7,267 3,532 2,111 4,024 441 43 139 129 49 72 5 35 1,731 ? 통합반류수 - 통합반류수 전월대비 유입량 증가. (19,732→19,452) - 통합반류수 유입수질 감소 (BOD : 2,492→1,638mg/L)에 따른, 처리수질 개선.(BOD : 43→30mg/L)) (단위 : m3/일, mg/L) 구 분 유입량 MLSS 수질 슬러지발생량(직탈) 유입 처리 BOD COD SS T-N T-P BOD COD SS T-N T-P 생량 잉여량 설계 기준 18,000 3,000 2,000 - 2,000 400 90 150 - 100 110 15 873 (3.0%) - (0.8%) 금월 19,452 6,898 1,638 515 1,537 253 24 30 40 5 140 6 246 2,734 전월 19,732 6,616 2,492 614 1,803 221 29 43 43 5 135 11 318 2,696 Ⅲ. 물질수지 ? 유입부하량대비배출부하량이 증가되어 계내 슬러지 해소 (단위 : DS톤/일) 구 분 부하량 유 입 량 계 92.6 하수유입 59.6 정화조(음폐수포함) 31.0 포기조 합성 2.0 배 출 량 계 140.8 탈수케익 94.7 소화가스 44.3 방 류 1.8 축적(오차) -48.2 ※ 물질수지 흐름도 별첨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정보

2019년 5월 하수처리 운영분석 결과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물재생센터 난지물재생센터 운영과
문서번호 운영과-979 생산일자 2019-06-21
공개구분 부분공개 보존기간 5년
작성자(전화번호) 박지현 관리번호 D0000037113866
분류정보 환경 > 중하수도 > 하수도 > 하수처리장수질및통계관리 > 하수처리수질분석및관리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