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글로벌 TOP 5 창업도시 서울 추진계획

문서번호 투자창업과-4442 결재일자 2019.4.25. 공개여부 대시민공개 방침번호 서울특별시장 방침 제88호 시 민 주무관 투자창업과장 경제정책실장 행정1부시장 서울특별시장 정민경 최판규 조인동 윤준병 04/25 박원순 협 조 기획조정실장 강태웅 주택건축본부장 류훈 지역발전본부장 김선순 여성가족정책실장 문미란 경제일자리기획관 김태희 경제정책과장 김경탁 창업정책팀장 임재근 글로벌 TOP 5 창업도시 서울 추진계획 2019. 4 경제정책실 (투자창업과) 목 차 1 추진배경 1 2 서울 창업생태계 현황 2 3 추진방향 3 4 정책비전 및 목표 4 5 글로벌 TOP 5 창업도시 서울 추진계획 5 ① 글로벌 인재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6 ② 테크 스페이스 1000 프로젝트 7 ③ 전략성장 투자 프로젝트 8 ④ 민간주도 성장촉진 플랫폼 프로젝트 9 ⑤ 제품화 180 프로젝트 10 ⑥ 테스트베드 도시 서울 프로젝트 11 ⑦ 글로벌 마켓 프로젝트 12 6 투자계획 13 7 행정사항 14 글로벌 TOP 5 창업도시 서울 추진계획 글로벌 Top 5 창업도시 도약 프로젝트 추진으로 세계 수준의 창업생태계를 조성하여 서울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함 1 추진배경 ?? 글로벌 경제는 혁신창업기업이 성장과 일자리 주도 ○ 기술기반 창업기업이 세계 경제 주도 - 美?中 등 주요국가는 기술기반 창업기업이 경제성장 견인 중 ※ 유럽의 경우 GDP 대비 스타트업 경제 기여도가 9.5%에 이름 ○ 벤처?창업기업이 일자리 창출과 고도 성장 견인 - 런던 테크시티 입주 5천개 혁신기업이 런던 일자리의 27% 창출 - 베를린 스타트업 평균 고용 27.2명으로 일반 기업 평균 2배 이상 ?? 글로벌 수준의 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역량 집중 절실 ○ 해외 주요도시는 기술기반 창업기업 육성으로 경제 활성화 - 실리콘밸리 신기술 중심, 심천은 하드웨어 중심 스타트업 생태계 발달 ○ 서울의 창업생태계는 세계 30위권 수준으로 평가됨 - 스타트업 기업가치?투자?시장경쟁력 등에서 낮은 평가(Startup Genome, ’17) ?? 4차 산업혁명 시대 정체된 성장을 견인할 혁신 동력 부족 ○ 성장 모멘텀 부족으로 경제성장률 둔화 - 한국 경제성장률 최근 5년간 3%대 성장률 기록 - ’19년 2.5% 성장으로 둔화 전망(한국은행) ○ 경제성장 뒷받침할 인적자원 경쟁력 미약 - 세계 인적자원 경쟁력지수 한국 30위, 인재유치 매력도 저조(INSEAD, ’19) 2 서울 창업생태계 현황 ?? 市 적극적 지원 정책으로 창업기업 성장기반 마련 ○ 창업 인프라 지속 확충으로 기업보육 여건 단계적 개선 - ’12년 17개 지원시설 → ’19년 44개 지원시설로 창업 인프라 확충 - 최근 7년간 총 9,478개 기업 보육(’12~’17, 연평균 1,366개) - 누적 매출 총 3조4천억원, 투자유치 2천3백억원, 지재권 5,500건 달성 ○ 서울 창업생태계 활성화에 따른 플레이어 집중 분포 - 서울소재 기술기반 신설법인이 전국의 36.4% 차지 - ’19.3월 기준 총 120개 액셀러레이터 중 서울소재 82개(55%) ?? 양적 확장에도 불구 창업 친화적 생태계 조성 미흡 ○ 글로벌 생태계에 비해 서울 창업생태계는 낮은 수준임 ○ 우수 인재의 창업활동 저조, 대기업?공공기관의 인재 쏠림현상 여전 - 대학생 창업률 중국의 10분의 1수준인 0.8%에 그쳐 창업기반 취약 ○ 경제성장 견인할 기술창업 부족, 자금투자 및 글로벌 진출 부족 - 기술기반 창업 비율 주요 OECD 국가 절반 수준 - 시리즈 A 투자규모 ?해외시장 거래처 확보는 해외 선진도시의 6분의 1 수준 일자리창출과 미래 성장동력 강화를 위해「글로벌 Top 5 창업도시 서울」추진 3 추진방향 ?? 성공적인 창업을 위한 융합형 혁신인재 양성 ○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고 혁신을 주도하는 융합형 인재 육성 - 개포 ‘혁신학교’ 운영으로 ’22년까지 2천명의 글로벌 리더급 인재 배출 ○ 6대 신산업 거점과 연계한 4차 산업혁명 기술 특화 인재 양성 - 바이오?AI?블록체인 등 미래 혁신분야 집중, 대학?연구소 등 민간 협력 ?? 민간이 주도하고 공공은 지원하는 창업지원 시스템 ○ 글로벌 전문기관이 기업 직접 선발-투자-글로벌 진출 지원 - 글로벌 액셀러레이터?VC의 우수기업 선별?책임보육으로 기업성과 제고 ○ 「서울 창업 통합플랫폼」구축으로 민간?공공의 창업지원 연계 - 통합멤버십기반 창업자 맞춤형서비스 및 시설간 프로그램?공간 공유 ?? 혁신기업 종합 패키지 지원 통한 성장사다리 구축 ○ 기술기반 창업기업 지원공간 1천개 확대 - 양재(AI)?홍릉(바이오) 등 주요 신산업거점 창업공간 확충(’22년 2,200여개) ○ 창업기업 성장단계별 전략성장 투자 지원 - 시드(Seed)자금 투자 강화 및 시리즈 A 단계 기업 집중 투자 ○ 메이커 스페이스 및 양산 전문기관 연계 통한 아이디어의 제품화 촉진 - 제품화지원센터 등 시제품제작소 운영과 국내외 제조사 협력으로 양산지원 ○ 혁신 아이디어 제품 테스트베드 제공?공공구매를 통한 판로 지원 - 혁신제품 실증기회 제공과 기술개발·사업화·마케팅 지원(~’23년, 500개) ?? 창업생태계의 Going Global을 통한 스타트업 가속 성장 ○ 서울 창업기업의 해외 투자유치 및 글로벌 판로 개척지원 - 글로벌 AC?VC 및 대학?공공기관 해외사무소 협력 통한 해외 진출 지원 ○ 담대한 아이디어?인재가 모이는 글로벌 창업도시 조성 - 글로벌 창업인재 유치를 위한 비자제도 개선 및 외국인 창업가 주거지원 4 정책비전 및 목표 비전 글로벌 TOP 5 창업도시 서울 목표 우수 인재가 창업하고 글로벌로 성장하는 도시 서울 ① 창업지원공간 ’19년 1,043개 → ’22년 2,200여개 ② 융합형 기술인재 1만명 육성 ③ 창업기업 투자시장 규모 7,800억원→ 1.2조원 ④ 매출액 100억 이상 벤처기업 100개 추가 배출 7대 프로젝트 글로벌 인재 파이프라인 ? 거점별 4차 산업혁명 기술 특화인재 6천4백명 양성 ? 혁신학교 설립으로 소프트웨어 융합인재 2,000명 양성 ? 서울창업허브 스타트업 전문아카데미 운영 실전인재 1,200명 양성 ? 비자개선?외국인 창업가 주거지원으로 글로벌 인재 400명 유치 ? 기업가정신 강좌 대폭 확대(500개)로 창업 붐 조성 테크 스페이스 1000 ? 양재 AI 혁신허브 공간 확충 (200개, 18,161㎡ 확충) ? 홍릉 바이오클러스터 공간확충 (210개, 41,333㎡ 확충) ? 마곡?G밸리 등 거점별 창업공간 820여개, 총 215,432㎡ 확충 전략성장 투자 ? 혁신성장펀드를 통한 시리즈A 단계 창업기업 집중투자(2,000개) ? 시드(Seed) 자금 투자강화로 1,000개 초기기업 지원 ? 대기업?다국적 기업 매칭으로 창업기업 Exit (M&A) 촉진 민간주도 성장촉진 플랫폼 ? 글로벌 AC?VC 직접 기업 선발?투자?글로벌 진출 지원 ? 민간주도 - 공공지원 프로그램 강화 ? 「서울 창업통합 플랫폼」 구축 제품화 180 ? 아이디어 제품화 토털 서비스 운영 ? 전문 메이커 스페이스를 통한 시제품 제작 지원 ? 최적의 양산업체 연계를 통한 제품 생산 촉진 테스트베드 도시 서울 ? 혁신 아이디어 제품 테스트베드 제공으로 시장출시 촉진 ? 창업기업 제품 공공구매 통한 판로개척 지원 글로벌 마켓 ? 창업기업 글로벌 현지 액셀러레이팅 지원 ? 공공기관 해외사무소 활용 글로벌 판로개척 지원 ? 해외 VC 네트워크 활용한 글로벌 투자유치 5 글로벌 TOP 5 창업도시 서울 추진계획 ?? 7대 프로젝트 22개 전략과제 프로젝트 연번 핵심과제 소관부서 글로벌 인재 파이프라인프로젝트 (5개) 1-1 4차산업혁명 기술특화 인재 양성 경제정책과 1-2 혁신인재학교 도입?운영 경제정책과 1-3 실전창업인재 양성 투자창업과 1-4 글로벌 창업인재 유치 투자창업과 외국인다문화담당관 주택정책과 공공주택과 1-5 창업 붐 조성을 위한 기업가정신 강의 확대 캠퍼스타운활성화과 서울산업진흥원 테크 스페이스 1,000 프로젝트 (4개) 2-1 양재 AI 창업기업 허브 조성 산업거점활성화반 2-2 홍릉 바이오의료 클러스터 조성 산업거점조성반 2-3 서울창업허브 신생기술 스타트업 초기육성 투자창업과 2-4 거점별 창업인프라 지속확충(G밸리?DMC?마곡 등) 산업거점활성화반 산업거점조성반 서남권사업과 투자창업과 전략성장 투자 프로젝트 (3개) 3-1 미래혁신성장펀드 1조2천억원 운용 경제정책과 투자창업과 산업거점조성반 사회적경제과 3-2 창업단계 Seed 자금 투자 확대 투자창업과 서울산업진흥원 3-3 해외투자유치?Exit 촉진 투자창업과 서울산업진흥원 민간주도 성장촉진 프로젝트 (3개) 4-1 창업시설 운영 전문화 투자창업과 4-2 민간주도-공공지원 프로그램 강화 투자창업과 경제정책과 4-3 서울 창엄 통합플랫폼 구축 투자창업과 제품화 180 프로젝트 (2개) 5-1 창업기업 제품화 원스톱 서비스 투자창업과 5-2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및 유관기관 협력 투자창업과 테스트베드도시 서울 프로젝트 (2개) 6-1 공공테스트베드 실증기회 제공 경제정책과 6-2 혁신제품 공공구매 경제정책과 글로벌 진출 (3개) 7-1 창업기업 글로벌 현지 액셀러레이팅 투자창업과 7-2 공공기관 해외사무소 활용 시장 개척 투자창업과 7-3 해외 VC 네트워크 기관 활용 투자유치 투자창업과 ① 글로벌 인재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 추진배경 ○ 청년·고학력 인재의 창업활동 저조로 경제역동성 제고에 한계 - 창업관심도 중국 대학생의 89.8%, 한국 2.8% ? 기존 기업 취업 중심 ※ 창업활동 비교 : 64개국 중 52위, 청년층 62위(글로벌기업가정신 모니터링, ’17) ○ 기술창업 비율 저조로 양질의 일자리 확장성 축소 - 30대 창업자 중 도소매?숙박?음식점업 등 생계형 창업이 54% ?? 주요사업 ① 신산업거점별 거버넌스 통한 기술특화인재 6천4백명 양성(연 1,600명) - 양재?홍릉?마포 등 6대 거점별 AI?IoT?Bio 등 기술인재 배출 - 거점별 민간?연구소?다국적 기업 협력 교육과정 운영 거버넌스 구축 ※ 양재?개포(AI?블록체인,525명), 홍릉(바이오?의료, 400명), 마포(핀테크?블록체인, 335명), G밸리(IoT, 240명), DMC(콘텐츠, 100명) 등 ② 혁신인재학교 도입을 통한 연 500명 소프트웨어 융합인재 양성 - (개방) 교사?교재 등이 없는 개인?그룹별 자기주도형 프로젝트 수행 - (혁신) 문제해결 솔루션, 기업과 연계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 ※ ’19.11월 개포디지털혁신파크 내 혁신학교 설립(서울시·과기부 공동사업) ③ 창업허브 내 스타트업 아카데미 운영으로 연 300명 실전창업인재 양성 - 창업단계별로 직면하는 과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교과과정 운영 - 창업팀 구성, 실전 창업과정별(자금조달?법무?노무 등) 과제해결, 취창업 지원 ④ 글로벌 혁신창업인재 유치를 위한 비자 및 정주여건 개선 - AC?VC 등으로부터 1억원 투자유치 시 기술창업비자 즉시발급 등 법무부 협의 - 신산업거점에 서울형 외국인지원주택 마련 및 주거바우처 지원(연 최대 1,500만원) ※ 서울창업허브 단지 내 행복주택 280호 국내 창업자 제공 ⑤ 대학 내 기업가정신 강좌 확대를 통한 창업 붐 조성 - 대학 기업가정신 교육생 10배 이상 확대(’18년 3천명 → ’22년 3만명) - 30개 대학 참여를 통한 캠퍼스 CEO 강좌 500개 운영 ※ 혁신기업가 정신, 성공?실패사례 분석, 모의창업 연습 등 ② 테크 스페이스 1000 프로젝트 ?? 추진배경 ○ 기술기반 창업기업 공간 제공으로 초기 사업구상 및 성장 지원 ○ 산업생태계를 고려한 거점별 특화 창업시설 집중 확충 ?? 주요사업 ① 양재지역을 아시아 AI 창업기업의 허브로 조성(26개→226개 기업) - 인근 민간건물 임차?공공 공간 개보수 등을 통한 AI 기업 공간 추가확보 ※ 교총회관500㎡, 하이브랜드6,238㎡, 품질시험소별관1,423㎡등총18,161㎡ 확충(~’22년) 민간임차공간확대(’19~22) 시유지 활용 공간제공(’19~24) 양재 R&D 캠퍼스 조성(’24~) ② 홍릉 일대 동북아 글로벌 바이오의료 클러스터 조성(40개→230개 기업) - 바이오?의료 창업지원 앵커시설 ‘서울바이오허브’ 공간 확충(~’21, 150개) - BT-IT 융합센터, 첨단의료기기개발센터 등 총 42,333㎡ 확충 서울바이오허브(’17~’21) BT-IT 융합센터(’20) 첨단의료기기개발센터(’21) ③ 마포 서울창업허브 신생기술 스타트업 초기육성 전진기지 마련 - 신생산업?기술 창업기업 초기 집중 지원을 통한 기술창업 생태계 활성화 - 창업허브 내 블록체인 신생산업 공간 600㎡ 확충, 20개 기업 육성(’19.4월) ④ 마곡?G밸리 등 거점별 창업공간 820여개 확충 - 마곡 BT?IT?GT 등 분야 기업 연구개발 지원(서울M+센터 등 208,240㎡, 735개 ) - G밸리 IT 제조분야 네트워크?제작 지원(메이커스페이스 G캠프 1,000㎡, 10개) - DMC 내 AR?VR 기업 공간 제공(첨단산업센터 2,605㎡, 22개) ※ 관악 창업공간 : 20개 기업(봉천동,994㎡), ICT분야, 관·학협업모델구축(’21.3월~) ③ 전략성장 투자 프로젝트 ?? 추진배경 ○ 창업기업 투자유치 어려움 해소를 통한 창업인식 개선 - 창업기업 3대 애로사항 중 투자자금 조달 곤란이 23.1%로 1위 - 창업기업 자금 조달방법은 본인?가족?지인 조달이 가장 큰 비중(30.2%) ○ 투자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창업기업 M&A 촉진 - 국내 투자시장 투자회수 유형 중 M&A 비율 11%에 불과, 평균 13년 소요 ?? 주요사업 ① 시리즈A 단계 집중투자로 데스밸리 극복 지원(’18~22년 총 2,000개) - 창업·재도전·4차산업 등 7개 분야 펀드조성으로 초기 투자 생태계 활성화 - 市?정부?민간 자금 매칭으로 1조 2천억원 펀드 운용(’22년까지) ※ 시리즈 A: 창업초기 시제품제작부터 시장공략 직전까지의 기간(2~10억원 미만 투자단계) ② 시드자금 투자강화로 초기단계 적극지원(총 1,000개) - SBA 재원 190억원을 활용한 초기자금 지원(400개 기업, ’19~’22) - 초기기업 대상 600억원 시드펀드 조성(’20~, 市 중소기업육성기금 등 활용) ※ 「벤처투자촉진에 관한 법률」 제정과 병행하여 단계적 추진 ③ 해외 투자유치?EXIT 촉진을 통해 유니콘기업으로 성장 뒷받침 - 창업기업 투자정보시스템으로 AC·VC·기업 간 정보공유 ? 투자·M&A 촉진 - SBA 외자펀드 조성으로 해외 VC의 국내기업 투자확대(’19년 250억원 조성) ④ 민간주도 성장촉진 플랫폼 프로젝트 ?? 추진배경 ○ 시장(市場)의 평가를 반영한 시설운영 및 전문 보육 서비스 제공 필요 - 공공기관 중심 창업지원시설 운영으로 기업지원 전문성 강화 절실 ○ 창업기업 성장촉진을 위한 시?민간 보유 역량 적극 협력 ?? 주요사업 ① 글로벌 AC·VC 기업 직접 선발·보육으로 市 창업시설 운영 혁신 - (운영) 전문 AC·VC를 선정하여 액셀러레이팅 全 과정 서비스 지원 - (보육) 운영사별 10개 내 유망기업을 직접 선발하여 책임 보육 ? 7년미만 혁신산업분야 기업 또는 민간 투자자로부터 기 투자유치기업 대상 선발 - (평가) 기업매출·투자유치 등 성과와 연계한 평가로 인센티브 제공 ? 전문기관 운영성과에 따라 공간 및 기업선발권 확대 ? ① ’19년 서울창업허브를 대상으로 글로벌 AC·VC 직접 책임보육 시스템 도입 ② 그 성과평가 등을 통하여 ’20년에 홍릉, 양재 및 지역보육센터에 확대도입 ② 민간 창업보육기관 연계·협업을 통한 민간주도-공공지원 프로그램 강화 - 창업박람회 등 주요행사의 글로벌 전문기관 공동 주최·후원으로 성과 확대 - 민간 공유오피스 공동 활용을 통한 기업 공간·전문보육 강화 ※ 여의도 WeWork공간 내 제2핀테크랩 단계적 개관(60개 기업, ’19.7~11월) - 민간시설 입주 창업기업에 대한 공동 해외 IR 및 홍보 등 지원 ③ 서울 창업 통합플랫폼 구축 통한 기업 성장 가속화 - ‘창업자 멤버십’ 도입으로 졸업기업·입주기업·창업준비자 등급별 성장관리 - 창업카페-보육센터-창업허브로 이어지는 시 창업시설 통합 멤버십 운영 ? 44개 시설 공동 멤버십 도입으로 교육프로그램, 공간활용 등 공유시스템 마련 - 창업기업 DB 구축과 체계적 정보제공으로 글로벌 AC·VC 협업기회 확대 ⑤ 제품화 180 프로젝트 ?? 추진배경 ○ 아이디어의 신속한 제품화 및 양산이 창업기업 성공의 핵심 - 중국 심천 저비용·신속한 시제품 제작지원으로 하드웨어 스타트업 중심지 부상 ○ 창업 아이디어 구상-시제품제작-양산-판매까지 종합 지원 필요 - 180일 내 제품화가 가능한 토탈 서비스 제공으로 아이디어의 제품화 지원 ?? 주요사업 ① 제품 제작지원 종합전담창구 운영으로 아이디어 제품화 토털서비스 제공 - 사업성점검·중복성검토와 제품설계·제작등 아이디어 사업화 全과정 지원 - 국내외 수탁 제조사 DB 구축으로 분야·기술별 최적 생산업체 연결 지원 중국 제품양산 시스템 사례 ? 중국 정부 공인 30개 액셀러레이터가 제품제작부터 양산?판매까지 지원 ? 액셀러레이터 별 수천개의 공급 체인과 연계하여 생산 지원 ? 제품개발 단계부터 직접 투자하고 수익에 따른 투자자금 회수 ② 메이커 스페이스 운영 및 유관기관 연계로 신속한 시제품 제작 지원 - 디지털대장간 운영으로 초기 아이디어 제품화 및 장비사용법 교육 등 지원 - 메이커스페이스 G캠프를 통한 정밀가공, 전기·전자회로 제작지원(’19.5월 개관) - 바이오 등 특정 분야 전문 제품제작을 위한 관계기관 협력 ※ KIST, 한국콜마 등 협력, 팹랩 서울(세운), 서울테크노파크 팹랩 등 서비스 연계 ⑥ 테스트베드 도시 서울 프로젝트 ?? 추진배경 ○ 제품의 사업화를 위해 실증기회 및 초기시장 확보가 필수 - 창업기업 혁신제품·서비스의 실증기회 부족으로 데스밸리 위기 ○ 창업기업의 혁신 기술·제품의 판로확보를 위한 공공기관 지원 ?? 주요사업 ① 혁신 아이디어 제품·서비스 테스트베드 제공(~’23년, 500개) - 혁신성?안전성을 충족하는 창업기업 제품?서비스에 대한 테스트베드 제공 지원대상 선정기준 ? 창업기업 : 판로개척에 어려움을 겪는 서울소재 중소?벤처기업 지원 ? 혁 신 성 : 4차 산업혁명 관련 핵심기술을 활용하여 서울시 행정혁신, 도시문제 해결 등에 기여할 수 있는 제품?서비스 ? 안 전 성 : 법령 등 규제에 적합하여 시정현장에 곧바로 적용할 수 있는 제품 - [기술평가]+[실증기회]+[레퍼런스] 제공으로 기술개발?사업화?마케팅 지원 - 상시접수 플랫폼 구축, 성과평가 후 성능확인서 발급?판로개척 지원 시정 적용가능성 검토 (수요기관?퇴직공무원) 성과평가 기업제안 접 수 신기술접수소 적정성 평 가 서면심사 기술?사업성 평 가 대면심사 실 증 현장적용 성능확인서 발급 레퍼런스 추가구매? 기타지원 접수~평가 2개월 내 평가~협약 2개월 최장 1년 ② 혁신기술 적용 창업기업 제품 공공구매 확대 - 서울기술연구원 상시접수?기술전문가 평가를 통한 공공구매 - 평가 완료한 제품?서비스에 대하여 기관?부서별 구매 추진(수의계약 범위 내) - 혁신제품 구매 촉진을 위한 피칭데이 정기 개최로 기관장 대상 홍보 기회제공 기업참여 접 수 심사?선정 피칭데이 PT 발표 후속조치 구 매 ⑦ 글로벌 마켓 프로젝트 ?? 추진배경 ○ 창업기업 지속 성장을 위해 해외시장 진출 필수적 - 서울 창업기업 매출의 89%가 국내시장 중심, 해외시장 매출 11%에 불과 ○ 유니콘 기업 배출을 위한 글로벌 진출 집중 지원 필요 - 글로벌 시장 동향 제공?마케팅 노하우 및 해외 파트너 매칭 지원 ※ 유니콘 기업 현황: 미국 156개. 중국 92개, 영국 16개, 한국 7개(’19.3월) ?? 주요사업 ① 제품화 단계부터 창업기업 글로벌 현지 액셀러레이팅 추진(~’22년, 40개) - 서울창업허브?SBA 보유 글로벌 네트워크 활용 기업 해외진출 - 우수기업 선발 ⇒ 국내 사전 부트캠프 ⇒ 현지 액셀러레이팅(약12주) ? 대공방, Society 3, 로켓스페이스, PnP, 500 Startups, Sazze 등 연계 - 서울 소재 유수 대학·연구소와 네트워킹을 통한 글로벌 협력 사업 개발 ② 공공기관 해외사무소 협력 등을 통한 글로벌 진출 지원(~’22년, 80개) - 중소기업진흥공단 ‘수출인큐베이터’(14국 22개소) 활용 현지 공간?마케팅 지원 - 코트라 해외무역관 연계 통한 현지 컨퍼런스 참여 및 현지 액셀러레이팅 - 해외 대학 네트워크 활용한 글로벌 협력 사업 개발 코트라 무역관(실리콘밸리) 중소기업진흥공단 수출인큐베이터 버클리 스카이덱 프로그램 ③ 해외 VC 네트워크 기관 활용으로 글로벌 투자유치 지원(~’22년, 40개) - 한국벤처투자 해외사무소(실리콘밸리?상하이?싱가포르) 활용 투자지원 - 「Global Startup Week 2019」민간 전문기관 공동 개최 ? 글로벌 스타트업 데모데이?포럼 등 프로그램 운영으로 기업 노출기회 제공 - 대기업과 스타트업 투자유치 행사 공동추진으로 우수기업 투자유치 지원 6 투자계획 ?? 연도별 투자계획 : 총 1조 9천 8백억원 투자('19년~'22년) (단위 : 백만원) 구 분 계 2019 2020 2021 2022 계 1,987,752 240,729 422,489 553,226 771,308 국 비 683,800 105,200 142,700 201,500 234,400 시 비 853,185 95,516 166,765 190,315 400,589 SH공사 148,547 1,483 52,894 68,681 25,489 민 자 302,220 38,530 60,130 92,730 110,830 ※ 시비 : SBA 출연금 포함 ?? 분야별 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구 분 계 2019 2020 2021 2022 계 1,987,752 240,729 422,489 553,226 771,308 글로벌 인재 파이프라인 187,120 38,235 47,713 49,585 51,587 테크 스페이스 1000 603,013 45,929 133,559 140,279 283,246 전략성장 투자 1,059,000 138,250 211,750 323,250 385,750 민간주도 성장촉진 플랫폼 24,066 5,525 5,971 6,285 6,285 제품화 180 8,943 1,700 2,156 2,287 2,800 테스트베드 도시 100,000 10,000 20,000 30,000 40,000 글로벌 마켓 5,610 1,090 1,340 1,540 1,640 7 행정사항 ?? 대시민 홍보 및 소통계획 ○ 글로벌 TOP 5 창업도시 서울 프로젝트 추진 및 주요 사업성과 관련 시점별 온?오프라인 매체를 통한 지속 홍보 ○ 사업별 후속 기자설명회, 보도자료, 기획보도, 전문가 기고 등 추진 - 테스트베드 도시 서울 추진계획 : 5월 4주 - 메이커스페이스 G캠프 개관 : 5월 4주 - 서울창업허브 운영 전문화 : 6월 3주 ?? 협조사항 ○ 연차별 예산 및 중기재정계획 반영(기획조정실) - 사업 추진 실행력 담보를 위한 예산 확보 및 중기재정계획 반영 협조 ○ 추진과제별 세부 실행계획 수립(과제별 소관부서 별첨) - 투자계획 및 재원분석, 실행가능성을 바탕으로 구체적 실행방안 마련 - 현장 정책수요에 기반하고 체감도 높은 목표치(KPI) 설정 - 사업성과 홍보효과 극대화를 위한 대시민 소통방안 추진 주요 협조사항 ? 외국인 창업자 비자발급 개선 법무부 협의 공동 추진(여성가족정책실) ? 국내외 창업가 지원을 위한 주거공간 조성(주택건축본부) ? 마곡 단지 내 창업기업 공간 및 연구개발 지원(지역발전본부) 별첨1. 「글로벌 Top 5 창업도시 서울」 기자설명회 발표자료(PT) 별첨2. 22개 추진과제별 세부 실행계획. 끝.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정보

글로벌 TOP 5 창업도시 서울 추진계획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경제정책실 경제일자리기획관 투자창업과
문서번호 투자창업과-4442 생산일자 2019-04-25
공개구분 공개 보존기간 5년
작성자(전화번호) 정민경 (02-2133-4752) 관리번호 D0000036114545
분류정보 경제 > 고용정책 > 고용촉진지원 > 고용촉진정책수립 > 창업지원수립및추진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