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스마트시티 서울 추진 계획

문서번호 정보기획담당관-11058 결재일자 2018.8.16. 공개여부 대시민공개 방침번호 행정1부시장 방침 제196호 시 민 주무관 정보기획팀장 정보기획담당관 정보기획관 행정1부시장 윤경애 이영순 고경희 김태균 08/16 윤준병 협 조 기획조정실장 강태웅 통계데이터담당관 안정준 정보시스템담당관 代송종선 공간정보담당관 최영창 정보통신보안담당관 김완집 주무관 배성호 주무관 이은진 - 시민의 삶을 바꾸는 - 스마트시티 서울 추진 계획 2018. 8. 서 울 특 별 시 (정 보 기 획 관) 목 차 Ⅰ 추진배경 1 Ⅱ 글로벌 동향 및 국내 현황 2 Ⅲ 스마트시티 서울의 현주소 7 Ⅳ 비전 및 전략 12 Ⅴ 정책과제 16 1. 스마트서울 협치 시스템 구축 16 2. 스마트시티 서비스 제공 18 3. 스마트시티 기업 성장 지원 21 4. 스마트시티 서울 플랫폼 구축 29 5. 제도적 기반 마련 54 Ⅵ 투자계획 61 붙임 스마트시티 실?본부?국 사업 현황 62 추 진 경 과 ? 스마트시티 서울 전략계획 수립 계획 ('18. 3. 15) ?? 정책방향, 전략 마련을 위해 수립 절차, 계획의 범위 등 정리 ? 정보기획관 TF 킥오프 회의 ('18. 3. 21) ?? 정보기획관 TF 구성 : 부서장, 분야별 담당 팀장 및 주무관 ?? 스마트시티 서울 전략계획 수립 계획 공유 등 ? 현황 조사 및 국내외 사례 조사 ('18. 3 ~ 4월) ?? 서울시 업무현황 조사, 국내외 사례조사 및 벤치마킹 ?? 3개 통신사 대상 기술동향 및 서비스 분석 ? 관련기관 및 전문가 의견 수렴 ('18. 4 ~ 5월) ?? 서울연구원, 서울디지털재단, SH공사 정책 공유 회의 : '18. 4. 6 ?? 정보화전략위원회 자문회의 : '18. 4. 30. ? 실?본부?국 협력관 구성 및 협력 회의 ('18. 4 ~ 5월) ?? 4개 분야 실?본부?국 협력관 지정 (19명) ?? 분야별 정책자문단(관련분야 외부전문가) 구성?운영 ? 분야별 전문가 자문 및 정책과제 발굴 ('18. 5 ~ 6월) ?? 분야별 정책자문단, 협력관 및 관련자 참여 자문 회의 ?? 주요 쟁점사항에 대한 전문가 밀착(1:1) 면담 ?? 스마트시티 서울 정책과제 발굴 ? 외부 전문가 추진 계획 검토 ('18. 7 ~ 8월) ?? 정보화추진위원회 내용 자문 : '18. 7. 16. ?? 관련 기관(서울연구원, 서울디지털재단 등) 정보 공유 ?? 더 깊은 변화 위원회 스마트시티 분야 중점 추진사항 검토 시민의 삶을 바꾸는 스마트시티 서울 추진 계획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서울의 도시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이기 위한 정책으로 첨단 ICT를 활용한 “글로벌 혁신 스마트시티” 전략을 마련 추진 ◈ 스마트시티 개념 : 인공지능, IoT,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첨단 ICT를 활용하여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시민 삶의 질을 높이며 新성장동력을 창출하여 혁신성장을 이루는 기술혁신 기반 도시 정책 Ⅰ. 추 진 배 경 ?? 세계적인 급속한 도시화로 도시문제 심화 ○ 세계 도시화율 54% : 한국 82.5% → 2050년 90% 전망('15년, UN인구국) - 중국의 도시화는 영국과 비교하여 10배 속도, 경제규모는 100배로 성장 ○ 인구 도시 집중에 따른 도시문제 및 기후변화 영향 심각 - 자원?에너지 부족, 인프라 노후화, 교통 혼잡, 기상이변?재해 확대 등 ?? 글로벌 경쟁 격화, 서울 성장 동력 갈수록 약화 ○ 글로벌 경제가 新산업으로 재편되는 가운데 국내 혁신성장 역량 취약 - 자동차?조선 등 국가 주력산업 활력 저하, ICT 기반 글로벌 기업가치 확대 ?주력산업 세계시장 점유율: 자동차 5.2→3.8, 조선 36→20('15~'25, %, KIET, '16) ○ 청년실업 악화, 서울을 떠나는 청년층 증가, 생산인구 감소 - 청년실업률 11%, 시 전출인구 2030비율 46%, 출산율 0.84명(OECD 최저)('17) ○ 기술혁신, 혁신창업 등 기업의 혁신 역량을 높여 성장 동력 창출 필요 ?? 혁신성장의 새로운 대안으로 스마트시티 대두 ○ 스마트시티로 新 성장 동력을 창출하고자 세계 각국 경쟁 - 스마트시티는 향후 10년간 가장 빠른 성장이 예상되는 시장으로 평가 ○ 4차 산업혁명 기술혁신은 중소벤처?스타트업에게 빠른 성장 기회 제공 - ICT 지능화가 제품?서비스 경쟁력 좌우, 新비즈니스 모델로 기업가치 확대 Ⅱ. 글로벌 동향 및 국내현황 1 글로벌 동향 세계 각국?도시에서 혁신 모델로 다양한 스마트시티 정책을 추진 중이며 국가?도시별 상황과 여건에 맞춰 스마트시티 전략을 마련하여 적용 ?? 주요현황 ① 데이터를 활용한 도시 플랫폼 구현 ⇒ 데이터 기반 다양한 서비스 제공 ○ (영국 밀턴케인즈) - 도시 인프라에서 수집되는 각종 정보를 모아 데이터 허브 구성 - 도시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민 체감이 높은 다양한 스마트서비스 개발 제공 예) 교통정보(목적지까지 예상 소요 시간), 물정보(지역 물사용량), 대기정보(대기오염도 지도) 등 ○ (싱가포르) - '14년부터 국가 전체를 연결?지능화하는 스마트 국가 비전 설정 추진 - 모든 장소에 센서?카메라 설치, 교통?환경?기후 등의 데이터 실시간 수집 - 데이터 공유, 국가 전체를 新기술?제조 R&D 테스트베드로 조성 예) 버츄얼싱가폴(국가를 3D모델화, 데이터 플랫폼, 재난?교통 등 시뮬레이션 분석) ② 리빙랩, 테스트베드 조성 ⇒ 자유로운 신기술 실험 공간 제공 ○ (스페인 산탄데르) - 시민?기업 참여 리빙랩 조성, 도시 전역을 기술·서비스 실험공간으로 제공 도시 내에 설치된 2만여 개의 센서, 컬렉터, 카메라 등이 시스템에 연결되어 공공기관?기업?시민들이 도심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면서 데이터를 활용 ○ (덴마크 코펜하겐) - 공공?기업?연구기관?시민 협력, 스마트LED?소음장벽 프로젝트 실증 네트워크 플랫폼 “Gate21"은 지자체?기업?연구기관의 통합창구로 기후변화, 에너지 등 스마트시티 솔루션 제공 및 시민이 제품에 대해 실증하고 피드백하는 리빙랩 운영 ③ 민관협력 거버넌스 활성화 ⇒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협력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 ASC 주도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추진, 에너지?교통 분야 집중 투자 ASC : 전담조직, 공공?기업?대학 등 9개 기관 파트너쉽 (Amsterdam Smart City) 예)지속가능한 이웃(스마트미터기 에너지절약), 카고호퍼(도심 전기화물차) 프로젝트 등 ○ (핀란드 헬싱키, 칼라사타마) - 포럼 비리움 헬싱키(FVH) 운영, 신기술 및 개방형 데이터 강조 개발 아이디어는 사용자의 일상생활 일부로 테스트, 기업에 비즈니스 기회 제공 - 스마트 미터링, 폐기물 등 16개 프로젝트 운영을 통한 도시문제 해결 ○ (캐나다 토론토) - 정부?기업 대규모 협력, ‘사이드워크 토론토(구글 참여)’ 프로젝트 추진 북미 최대 최첨단 기술 복합단지 개발 프로젝트('17.10) 자율주행, 쓰레기 수거, 에너지 및 교통 시스템 등을 통합한 첨단기술 도입 예정 ④ 스타트업 지원 ⇒ 규제개혁, 신기술 R&D 중심 혁신 성장 지원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 SIR(Startup In Residency) : 공공수요 → 기업기술제안 → 공공?기업 협력 개발 ○ (중국 베이징, 중관촌) - 국영 기업 조성단지,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센터 운영, 세계적 IT R&D 지역 - 인재들의 지식?연구결과 상품화, 기술개발을 위한 정부자금?행정지원 등 ○ (스위스 추크, 크립토밸리) - 세계 블록체인 암호화폐 경제특구 ‘크립토밸리’ 육성, 170여개 스타트업 활동 네거티브규제?규제샌드박스 원칙 적용, 개인ID, 전자투표 등 블록체인 기술 적용 ? 시사점 : 도시 여건을 고려한 맞춤 전략 중요, 해외 도시의 다양한 사례를 서울의 여건에 맞게 분석 적용 <세계 스마트시티 현황> <스마트시티 사례> 밀턴케인즈 데이터허브 개념도 (Data Hub를 통한 데이터 수집?통합 및 활용) 코펜하겐 “Gate21” (솔루션 제공 플랫폼으로 실증?참여기관 현황 지도) 시민이 제품에 대해 실증?피드백하는 리빙랩 운영 2 국내 현황 국가 혁신성장 핵심 사업으로 스마트시티 추진 전략 마련 추진 중이며, 지방정부도 자체 방안을 마련하고 국가 공모에 적극 참여 중 ?? 중앙정부 ○ 스마트시티, 국가 혁신성장을 위한 핵심 사업으로 추진 -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 산하 ‘스마트시티 특별위원회’ 운영 ('17.11월) - 관계부처 합동 “스마트시티 추진 전략” 발표 ('18.1월) - 스마트도시법 개정('18.2월, 국토교통부), 지능정보화 기본법 발의('18.2월, 과기부) ○ 부처별 추진현황 - <국토교통부> 도시운영 통합플랫폼 사업, 신기술 연계, 규제샌드박스 발굴 적용 CCTV 활용 교통?방범?방재 등 통합 관리, 112?119 연계 긴급구호 지원 - <과기정통부> 빅데이터?AI?IoT 등 혁신 ICT융합 솔루션 개발?실증 확대 - <행정안전부> 스마트시티 분야 공공데이터 개방 확대, 우수 서비스 확대 보급 - <산업자원부> 스마트미터(AMI), 에너지관리시스템(EMS),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등 검증기술 활용 도시 내 스마트 에너지시스템 확산 - <환 경 부> 수자원, 전기차 분야 스마트시티 확산사업 지속 추진 ※ '18년 지방정부 대상 공모사업 - <국토교통부> 국가 시범도시 조성(세종?부산), 데이터허브 모델(R&D 실증, 2곳) 테마형 특화단지 조성(4곳), 스마트 도시재생(매년 5곳) - <과기정통부> 스마트SOC 선도 프로젝트(교통?안전?산업?환경?공공시설 지능정보화) ICT 기반 공공서비스 촉진사업(AI?IoT 등 지능정보기술 선도 적용) ?? 지방정부 : 국가 공모 참여, 시도별 스마트시티 추진 방안 모색 ○ 부 산 - (해운대구) 개방형 스마트시티 실증단지 조성 ('15~'17년, 과기정통부) ?4대 분야 28개 서비스 (안전, 교통, 생활, 에너지) ?개방형 스마트시티 플랫폼 구축 및 도시유망서비스 실증 - (에코 델타시티) 국가 전략 R&D 시범도시로 지정 ('18~'22, 국토교통부) ?국제물류 연계, 생활체감 스마트시티 조성, 지진·홍수 통합관리시스템 도입 등 ○ 대 구 - 헬스케어 플랫폼 구축 및 첨단의료 복합단지 조성 ('15~'17, 과기정통부) ?헬스케어와 연관된 실증 서비스(일반인 건강 및 만성질환 관리) - 자율주행 실증 도로 구축('17~'21, 국토교통부) ?자율주행 부품 테스트를 위한 도로 실증 인프라 조성, 도로관제 서비스 등 ○ 세 종 - K-Smart City모델 구축, 도시 토탈 솔루션 실증 ('16, 국토교통부) ?스마트공공자전거, 스마트주차정보, 3D 지하매설물 공간정보, 스마트가로등 등 - 국가 전략 R&D 시범도시로 지정 ('18~'22, 국토교통부) ?제로에너지단지 조성, 자율주행 특화도시, 재난대응 AI 시스템 등 도입 ○ 고 양 - 사물인터넷 융?복합 시범단지 조성 (‘16~’17, 과기정통부) ?환경, 안전 2개 분야 11종 서비스 ?복합 환경 가로등, 안심주차, 고양 스마트 지원센터 조성, 리빙랩 구축 등 ○ 성 남(판 교) - K-Smart City모델 구축, 상업·문화·관광 분야 실증 ('16, 국토교통부) ?증강현실(AR), 공공WiFi 도입, 스마트파킹, 스마트가로등 등 - 제로시티 자율주행 실증단지 구축 ('17~'19, 국토교통부) ?관제센터/플랫폼,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자율주행 셔틀 등 ? 시사점 : 중앙정부와 국가R&D 협력 추진, 타 시도에 모델 제시?지원 등 선도 Ⅲ. 스마트시티 서울의 현주소 1 현 황 ?? 서울은 세계적으로 알려진 스마트시티 ○ 교통?안전?환경 등 시정 분야별 다양한 스마트시티 사업 추진 - 교 통 차세대 지능형 교통, 빅데이터 기반 교통예측 - 안 전 스마트 재난대응, 도시기반시설 빅데이터 관리 - 환 경 지능형 전력계량, 태양광 에너지, 상하수도 관리, 수질 관리 - 경 제 G밸리?상암DMC?마곡U-city, 앱비즈니스센터, 핀테크 대응 - 복지?여성 CCTV 활용 여성안심이, 사회약자(치매, 발달장애) 안전서비스 - 거버넌스 엠보팅?민주주의 서울 등 시민참여 온라인 채널 운영 ○ 사물인터넷 시정에 선도 적용 (15개 지역 리빙랩 조성, 65개 서비스 실증) - 사물인터넷 리빙랩 조성, 실증 : 市 테스트베드 제공 + 스타트업 실증 - 서울 IoT센터 운영 : 기업의 서비스 발굴·실증?사업화?시장진출 지원 ○ 빅데이터 기반 조성, 공공데이터 개방, 데이터 분석 정책 지원 -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빅데이터 캠퍼스 운영, 빅데이터 분석 시정 적용 ○ 공공 무선인터넷 WiFi 확충(1만개 설치), 클라우드센터 인프라 구축 ○ 첨단 기술인 블록체인, 인공지능 행정 도입 추진 ('18) 등 ※ 시 정보시스템 468종 운영, '18년 842개 정보화사업에 2,121억 투자 ?? 우수 ICT 인프라 및 스마트시티 경험?자원?기업 기술력 보유 ○ 市 전역 초고속통신망?공공WiFi 설치, 세계 최고 전자정부 구축 경험 ○ 市산하 연구원?재단 보유, 56개 대학 서울 소재, 스타트업 95% 수도권 활동 참고 스마트시티 시정 분야별 세부 추진현황 분야 추진내용 추진성과(’17년 기준) 교통 ? 빅데이터 기반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 버스혼잡도 표기 ? 빅데이터 활용 맞춤교통서비스 개발(다람쥐, 올빼미버스) ?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 자율주행) 추진 ? 교통사고 빅데이터 분석, 택시정보시스템 ? 공공자전거 ‘따릉이’ 빅데이터 분석 ? 주차정보(앱) 시영주차장 IoT 검지기 설치 ? 대중교통 이용 만족도 80.6점 ? 다람쥐(8개), 올빼미(11개) 버스노선 운행 ? 정부주관 CITS 도시로 서울 선정 ? 교통사고 사망자 전년대비 35% 감소 ? 공공자전거 운영 20,000대(누계) ? 실시간 주차장정보 제공 181개 안전 ? 스마트 긴급구조, 재난현장 황금시간 목표제 ? 서울안전 앱(’18.1.), 지진대피소 확충 ? 도로함몰·포트홀 발생 저감 추진 ? 사회약자 안심서비스 제공 ? CCTV 고도화 ? CCTV 활용 여성 안심이 서비스 제공 ? 집중호우 예보·예측관리시스템 개발 ? 화재현장 5분내 도착 90.3% ? 지진대피소 2,284개소 ? 도로함몰 저감 전년대비 67% ? 치매환자 서비스 보급 1천건 ? 저화질 방범 CCTV 교체 3천대 ? 안심이 14개 자치구로 확대 ? 수위관측망 104(‘17)→224개소(’18) 환경 ? 대기환경 정보 고도화 ? 지능형 전력계량기 보급 ? 태양광 백만가구 보급 ? 전기차 보급 확대 및 충전인프라 확충 ? 상하수도 관리, 수질관리시스템(수질자동감시 등) ? 상수도관망 네트워크, 상수도 지하시설물 3D 구축 ? 초미세먼지 22(‘17)→20㎍/m³(’18) ? 전력계량기 보급 1만3천호(목표 ’18년1만5천호) ? 전력자립률 12%(목표 ’18년 15%) ? 전기차 보급 6,358대(목표 ’18년 1만대) ? 아리수품질확인제 30만가구(매년) ? 노후 상수도관 정비 89km(잔여 310) 경제 ? 서울디지털재단(’16.1.), 서울IoT센터(’17.2.) 설립 ? 개포디지털혁신파크, 앱비즈니스센터 ? G밸리 IoT 기업 경쟁력강화 ? 마포핀테크, 상암DMC, 마곡U-City 사업추진 등 ? IoT센터 지원 기업 212개 ? 개포 입주 기업 13개 ? G밸리 지원 기업 274개 ? 핀테크 육성 기업 5개(누계) 거버 넌스 ? 엠보팅 활용한 시민?직원 투표 운영, 의견 수렴 ? 시민참여 채널 민주주의 서울 운영 ? 민관 오픈데이터 이용 활성화 ? 스마트불편신고 운영 ? 정보화사업 시민참여단 등 거버넌스 시범사업 ? 엠보팅 가입자 62만명, 투표발제 5천건 ? 제안건수 240건(일평균) ? 오픈데이터 활용 41억건(누계) ? 불편신고 1,279건(일평균) ? 시민참여 시범사업 8개 ICT 인프라 ? 사물인터넷 실증지역 확대 ? 빅데이터 플랫폼 고도화 ? 공간정보 공유·활용 확대 ? 공공 무선인터넷(WiFi) 인프라 구축 ? IoT 실증지역 15개소(누계) ? 데이터셋 확보 244개, 분석 32회 ? 공간정보 연계시스템 48종(누계) ? 공공 WiFi 1만 개 설치(누계) 글로벌 ? 디지털 서밋 개최, 세계 스마트시티 기구(WeGO) ? 서울 스마트시티 수출협의회 구성, 해외 벤치마킹 지원 등 ? 서밋디지털정책 해외협력 46건 - 해외방문단 지원 33회, 국제행사 참가 10회, WeGO 협력 교육·홍보 지원 등 3회 2 글로벌 평가 ?? 전자정부 세계 최고로 평가, 스마트시티는 다소 저평가 ○ 세계 100대 도시 전자정부 평가 7회 연속 1위 (UN후원, 미국 럿커스대, '17년) ○ 세계 주요 도시 스마트시티 평가에서 3위, 6위, 21위 - 에덴전략연구소(싱가포르 기업컨설팅 연구소) : 상위 50개 중 3위 ('18.7월) ?ICT 기술의 시민주도 접근방식(디지털2020), 교통 등 60개의 모바일 서비스 엠보팅, 민주주의 서울 등의 시민 참여 프로그램 우수 평가 - 주니퍼 리서치(영국 글로벌시장조사업체) : 상위 20개 중 6위 ('17.3월) ?이동성(12위), 보건(2위), 공공안전(4위), 생산성(9위) 4개 분야에서 스마트시티 서비스가 시민에게 돌려주는 시간 평가 (예: 교통체증 낭비시간 절약 등) - 이지파크 그룹(스웨덴 도시컨설팅업체) : 주요도시 500개 중 21위('17.11월) ? 10점 만점 평균 7.31점 ? 스마트주차 61위, 교통혼잡 50위 ? 친환경에너지 84위, 환경보호(CO2 배출량) 94위 ? 시민참여(의회선거투표율) 48위, 도시계획(녹색공공지역비율) 79위 ? WiFi 3위, 스마트폰보급률 2위 ? 전문가 평가 9위 <평가지표 분석 및 세계 스마트시티 분야별 분포> ? 평가지표 : 국제 표준 지표는 없고 평가 기관별로 지표 다양 - 해외 : 교통?인프라는 공통 지표, 안전?공유?환경?헬스케어 등은 차이 - 국내 : 국토교통부에서 스마트도시법의 인증 관련 지표 개발 중 ? 세계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분야별 분포 - 교통?에너지?공공 서비스가 80%, 이중 교통이 50%(네비건트 리포트) - 도시 70%가 교통?안전?에너지 3대 요소에 집중 전망 (IDC) ? 시사점 : 스마트시티 정책목표 달성을 위해 성과지표를 마련하고 이행 관리 3 개선할 점 ?? 시민 수요 고려 미흡 ○ 인프라 위주 U-City(스마트시티 전 단계) 추진의 한계 - 자원?비용?시간 절감 등 효율성 측면에서 기술 중심으로 U-City 설계 - 낮은 시민 체감도, 재원 부족에 따른 사업 중단 등 지속가능성 한계 ○ 수요자이자 공급자인 민간의 아이디어?신기술의 적극적 수용 부족 - 스마트시티 관련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 필요 - (민간) 혁신?도전?변화대응에 장점 (공공) 토대 마련, 조직화에 장점 ? 시민?기업과 함께 만들고 발전시키는 스마트시티 추진 기반 마련 ?? 도시데이터 분야 민?관 협력 미흡 ○ 도시데이터의 자유로운 이용은 스마트시티의 토대 ○ 민?관이 공동 생산 활용하는 빅데이터 공유 환경 미흡 - 공개된 데이터는 많으나 실시간?고품질 데이터 개방 미흡 ? 민?관이 고품질 데이터를 함께 만들고 활용하는 거버넌스 구축 ?? 경제정책?혁신성장과 연계 부족 ○ 세계 최고 수준의 ICT를 보유함에도 4차 산업혁명 빠른 변화에 대처 부족 ○ 스마트시티 사업과 연계한 신산업?일자리 창출 미흡 ? 중소벤처?스타트업의 스마트시티 사업 참여가 용이한 환경 마련 ?? 분야별 사업 개별 추진, 성과관리 부재 ○ 교통, 안전, 환경 등 분야별 스마트시티 사업 독자적으로 추진 ○ 스마트시티 성과관리로 사업 실효성을 높이고 정책목표 달성 필요 ? 플랫폼 구축?성과관리로 효율적인 스마트시티 생태계 조성 4 스마트시티 서울 핵심가치 글로벌 동향 및 스마트시티 서울 현주소 분석 등을 통해 도출한 시사점과 개선할 점을 바탕으로 향후 정책 추진을 위한 5대 핵심 가치 도출 기술 중심 ? 시민 삶을 바꾸는 “사람 중심” ○ 도시가 지향하는 다양한 가치를 포괄하며, 사람 중심의 스마트시티 구현 ○ 저소득층, 노약자, 장애인, 소상공인 등 취약 계층을 배려하는 정책 추진 인프라 확장 투자 ? “서비스 중심” 투자 ○ 모든 스마트시티 정책은 시민의 서비스 체감 관점에서 접근 ○ ICT를 활용한 행정서비스 질 제고에 집중 투자 공공 주도 사업 추진 ? “협치” 기반 정책 추진 ○ 시민, 기업이 함께 참여하고 성과를 내는 협치 지향 ○ 각 분야의 관련 정책?사업이 도시를 중심으로 융합?연계 일회성 사업 ? “지속가능한” 사업 ○ 스마트시티 추진 기반으로의 핵심기술 기반 ‘도시 플랫폼’ 구축 ○ 기본 인프라 위에 공공?민간의 다양한 기술 도입?서비스 개선 도시 관리 정책 차원 ? “혁신성장”과 연계 ○ 4차 산업 혁명에 따른 다양한 신기술을 도시 관리에 접목?실증 ○ 도시 자체가 혁신성장의 동력을 키워낼 수 있도록 기업 지원 정책 추진 Ⅳ. 비전 및 전략 1 정책비전 체계 사람중심 사람중심 비전 시민의 삶을 바꾸는 스마트시티 서울 목표 세계 최고 글로벌 혁신 스마트시티로 도약 핵심 가치 사람중심 서비스중심 협 치 지속가능 혁신성장 전략 정책 과제 1. 스마트서울 협치 시스템 구축 2. 스마트시티 서비스 제공 3. 스마트시티 기업 성장 지원 4. 스마트시티 서울 플랫폼 구축 5. 제도적 기반 마련 2 추 진 전 략 전략 1 민관 협력의 추진기반 마련 ○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고 함께 성과를 창출하는 협치 시스템 구축 ○ 민간의 혁신 아이디어와 신기술 적극 수용, 공공 선도적 역할 수행 전략 2 시민체감 스마트시티 서비스 중점 제공 ○ 교통?안전?환경 등 꼭 필요한 스마트시티 서비스 제공 ○ 시민·기업과 함께 만드는 시민체감 스마트시티 서비스 확대 전략 3 기업참여 확대, 혁신거점 운영을 통해 기업성장 지원 ○ 스마트시티 사업 기업참여 확대로 기업의 기술혁신 역량 강화 지원 ○ 스마트시티 스타트업의 혁신창업 지원, 테스트베드 특구 운영 전략 4 플랫폼 기반의 효율적 스마트시티 생태계 조성 ○ 민관 협력의 “SmartCity Seoul 플랫폼” 구축 ○ SmartCity Seoul 플랫폼을 구성하는 6개 기반 플랫폼을 상호?연계 운영 전략 5 성과 및 품질관리로 정책목표 달성 ○ 스마트시티 체계적 추진을 위한 성과지표 마련, 법 제도?위원회 정비 ○ 시 산하 연구원·재단과 협력 스마트시티 연구개발(R&D) 강화 3 정 책 과 제 ?? 5대 분야 15개 정책과제 연번 정 책 과 제 1 스마트서울 협치 시스템 구축 2 스마트시티 서비스 제공 3 스마트시티 기업 성장 지원 3-1 기업 참여 스마트시티 사업 추진 3-2 스마트시티 스타트업 성장 지원 3-3 스마트시티 테스트베드 특구 지정 3-4 스마트서울 체험관 운영 4 스마트시티 서울 플랫폼 구축 4-1 민관 공동 빅데이터 플랫폼 4-2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4-3 인공지능 플랫폼 4-4 블록체인 플랫폼 4-5 공간정보 플랫폼 4-6 통신 인프라 플랫폼 5 제도적 기반 마련 5-1 스마트시티 성과 지표 설정 5-2 스마트시티 서울 연구개발(R&D) 강화 5-3 법규 정비 및 거버넌스 운영 ?? 정책과제별 추진목표 시민의 삶을 바꾸는 스마트시티 서울 1 스마트서울 협치 시스템 구축 ?스마트시티 이해관계자 정보 공유 ?기업 제안 신기술 도입 및 사업 추진 ?스마트시티 온라인 마켓 운영 1만명 참여 2 스마트시티 서비스 제공 ?실?본부?국 스마트시티 사업 : 공약 25개, 계속사업 21개 ?정책조정, 기술표준, 성과관리, 홍보 지원 46개 서비스 3 스마트시티 기업 성장 지원 ?스마트시티 기업성장 지원 : 년간 300개 ?기업참여 스마트시티 사업 추진 ?스마트시티 테스트베드 특구 지정 : 2개 자치구 1천2백개 기업 4 스마트시티 서울 플랫폼 구축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구축 : 5만개 IoT 센서 설치 ('22), IoT 네트워크 구축 ('20) ?블록체인 플랫폼 : 15개 서비스 ('20) ?민관 공동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 市 공공 데이터 전면 개방 ('20) ?스마트 CCTV 그물망 안전체계 구축 : 강력범죄율 50% 감소 ('21) 6개 플랫폼 Ⅴ. 정 책 과 제 1 스마트서울 협치 시스템 구축 시 각 부서와 시민?기업?전문가?자치구 등 다양한 스마트시티 관계자가 정보를 공유하고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협치 시스템 구축 ?? 추진방향 ○ 스마트시티 성과 창출을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상호 협력 추진 ○ 자동?체계화된 스마트시티 지원 시스템을 통해 효율적 사업 추진 ○ 커뮤니티?정보 공유 기능 우선 구축, 사업 운영?오픈마켓으로 확대 ○ 민간의 혁신 아이디어와 신기술 상시 접수, 시 지원 자원 및 사업 공개 ?? 추진내용 ○ 구축방안 - 서울시 홈페이지와 연계한 신규 웹사이트 구축 ('19.1월 1차 오픈) - 정보는 전체 공개?공유, 사업관리?커뮤니티 등은 회원 권한 부여 운영 ○ 주요기능 (5개 분야) 분 야 내 용 ? 스마트시티 커뮤니티 네트워크 ? 특정 참여자 그룹 간 정보 공유 ? 스마트시티 정보 공유 ? 분야별 사업, 기업?전문가 인력풀, 정보자원, 기술 등 ? 기업 참여 스마트시티 사업 ? 수요공개 → 시민?기업 제안 → 사업화 추진 ? 스타트업 제안 시범?실증 사업 ? 제안접수 → 평가 → 프로젝트 추진 ? 온라인 스마트시티 오픈 마켓 ? 기업 신기술?제품?서비스 등록, 유통판매 지원 ○ 세부 추진내용 ① 스마트시티 커뮤니티 네트워크 - 스마트시티 서울 회원 1만명 확보 - 기업, 전문가, 유관기업, 스타트업, 관계공무원 등 회원 관리 - 분야별 사업, 테스트베드, 리빙랩 등과 관련한 관계자 활동 지원 - 구성원 간 지식 정보 공유, 오프라인 활동 지원 등 ② 스마트시티 정보 공유 - 분야별 스마트시티 사업 현황, 테스트베드?리빙랩 운영 현황 - 스마트시티 관련 사업부서, 기업, 전문가 인력풀 등 참여자 현황 - 시?기업 지원 통신 인프라, 클라우드, 보조금 등 각종 지원 현황 - 시 스마트시티 사업 추진 성과 공개, 시민과 공유 ③ 기업 참여 스마트시티 사업 추진 - 공공 스마트시티 사업의 시민, 기업 참여 지원 - 정책수요 공개, 사업 제안, 프로젝트 추진, 평가 등 전 과정 체계적 관리 ④ 스타트업 신기술 제안 시범?실증 사업 추진 - 기업 아이디어?솔루션 제안, 사업성 검토, 프로젝트 추진 과정 지원 - 프로젝트팀 운영, 기업?협업부서?전문 멘토단 연계 지원 등 ⑤ 온라인 스마트시티 오픈 마켓 - 기업의 스마트시티 솔루션(기술?제품?서비스) 정보 제공 및 유통 관리 ? IoT, AI 등 융복합 신기술 제품, 서비스 개발 모듈?연계 API, 센서 등 - 등록 기술, 인프라를 활용한 스타트업 창업 아이디어 기반 제공 - 시 기술 인증 여부 확인, 유통 판매 지원 등 ??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주요사업 투 자 계 획 계 2018 2019 2020 2021 2022 스마트서울 협치 시스템 구축 2,104 0 504 1,000 300 300 2 스마트시티 서비스 제공 실?본부?국의 분야별 스마트시티 공약 및 계속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 하기 위한 사업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국내외 홍보 마케팅 추진 ?? 스마트시티 관련 사업 : 46개 (공약 25, 계속 21) ① 민선7기 공약 사업 : 25개 사업 ? 11개 실?본부?국에서 추진 ○ 분야별 현황 : 교통 6, 안전 4, 환경?에너지 2, 경제 7, 복지 4, 거버넌스 2 ※ 세부내역은 [붙임] 참조 ○ 주요 사업현황 분 야 사 업 명 실?본부?국 스마트 교 통 자율협력주행 테스트베드 조성 도시교통본부 V2X 커넥티드 카 혁신사업(C-ITS) 추진 도시교통본부 IoT 기술을 도입한 공유주차제 도입 도시교통본부 스마트 안 전 노후인프라 빅데이터 분석·통합 관리시스템 구축 안전총괄본부 공공노후인프라(교량, 고가도로 등) 상시모니터링센터 설치 안전총괄본부 전통시장 화재취약지역 소방시설 보완?설치 - 24시간 무선 화재 감지시스템 설치, 전기안전 원격감시 시스템 시범 도입 소방재난본부 경제진흥본부 스마트 환경/에너지 어르신 생활시설 청정공기 조절시스템 시범 보급 어린이집 IoT 기반 공기측정기 시범사업 (어린이)여성가족정책실 (노인)복지본부 마곡엠벨리 스마트시티 시범단지 조성 지역발전본부 스마트 경 제 서울문제 해결을 위한 글로벌 챌린지 개최 경제진흥본부 도심제조 스마트 팩토리 건설 - 성수 수제화, 중구 인쇄, 성북 봉제 등 20개소 경제진흥본부 서울형 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펀드 조성 (1조2천억원) - 스마트시티 솔루션/인프라 2,500억원 포함 경제진흥본부 스마트 복 지 사회적 약자를 위한 소셜벤처 100개 육성 - 에이블테크 특화창업 허브 조성,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벤처 지원 일자리노동정책관 장애인 콜택시 대기시간 단축 - 빅데이터 분석으로 장애인 콜택시 대기시간 단축 및 대기장소 최적화 도시교통본부 ② 계속 사업 : 21개 사업 ? 11개 실?본부?국에서 추진 ○ 분야별 현황 : 교통 4, 안전 6, 환경 7, 복지 4 ※ 세부내역은 [붙임] 참조 ○ 주요 사업현황 분 야 사 업 명 실?본부?국 스마트 교 통 빅데이터 기반 교통예측시스템 운영 도시교통본부 서울형 스마트 통합 이동 서비스 구축 도시교통본부 빅데이터 기반 택시정보시스템을 활용, 실시간 택시수요정보 제공(시범) 도시교통본부 스마트 안 전 교량?터널 통합관리센터 구축?운영 안전총괄본부 집중호우 예보·예측 관리시스템 개발 물순환안전국 스마트 환 경 IoT 기반 태양광 모니터링 시스템 시범 구축 기후환경본부 ICT를 활용한 하수악취 상시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물순환안전국 차세대 지능형 상수도관리 시스템 구축 - 빅데이터 활용 수요예측 계획생산, 위험요인 사전진단?경고 - 사물인터넷기반 원격검침시스템 도입(2,000개소) 상수도사업본부 스마트 복 지 IoT와 AI 기술을 활용, 스마트 아파트 시범사업 추진 서울주택공사 복지정보 분석진단시스템 구축 - 미래 복지수요 예측, 선제적 복지서비스 제공 복지본부 중증장애인 화재·가스감지 센서 활용, 응급안전 알림 서비스 추진 복지본부 ?? 정보기획관 추진계획 ? 스마트시티 서울 정책조정회의 개최 - 연 2회 ○ 실?본부?국의 스마트시티 사업 조정 (우선순위, 재원배분, 칸막이 해소 등) ○ 도시 빅데이터 통합 관리 및 공공데이터 개방 추진 ○ 스마트시티 서울 공정 점검 및 성과 공유 ◈ 정책조정회의 외부전문가 참여 (정보화전략위원회 스마트시티 분과) ② 스마트시티 공약 및 계속 사업 추진 지원 ○ 사업 수요?내용?진행사항 등은 협치 시스템을 통해 시민 공유 ○ 정보자원 지원, 통신인프라 확충, 기술 표준화, 품질관리 지원 ○ 사업 추진 과정에서 축적되는 데이터 통합 관리 - IoT 기반 도시데이터 생성 사업 ⇒ 데이터 연계?제공 의무化 ? 데이터의 표준화, 데이터의 저장?연계?가공?활용?공개 가이드 제공 ? 연계 대상?방법 등은 상호협의 하에 정의 후 수집?공개?유통 ○ 정보기획관 및 외부 연구기관, 전문가 그룹과 협업 체계 마련 ③ 정책 성과 관리 ○ 사업 성과 평가, 평가 결과 환류, 사업 이행관리 등 ○ 사업 성과의 종합적?체계적 관리 및 기록화 - 격년 백서 발간(국문, 영문) ④ 스마트시티 홍보 마케팅 강화 ○ 스마트시티 정책 성과 홍보물 제작 ○ 국내?외 행사에서 스마트시티 사례 발표, 전시?체험관 운영 ??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주요사업 투 자 계 획 계 2018 2019 2020 2021 2022 스마트시티 서비스 제공 920 0 230 230 230 230 3 스마트시티 기업 성장 지원 3-1 기업 참여 스마트시티 사업 추진 스마트시티와 연계한 기업의 기술 혁신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시민과 기업이 함께 만들고 발전시키는 스마트시티 사업 추진 ?? 추진배경 ○ 전문가들은 스마트시티 성공의 키워드로 민관 협력을 역설 ○ 스마트시티로 기업의 혁신성장 동력을 키우는 공공의 지원 정책 필요 ?? 추진방향 ○ 스마트시티 사업에 시민?기업의 아이디어와 신기술을 적극 수용 ○ 시민체감형 서비스 발굴 제공으로 기업의 新비즈니스 모델 창출 지원 ○ 4차 산업혁명 신기술 수요 창출을 위해 스마트시티 사업 확대 ?? 추진내용 ○ 기획 단계부터 시민?기업?전문가가 참여하는 스마트시티 사업 절차 운영 - (공공) 시민 생활불편, 市 현안 과제 등 사전 수요 공개, 공공사업 추진 - (민간) 시민의 아이디어, 기업의 첨단 기술, 전문가 전문지식 제안 ○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이 있는 시민 체감형 스마트시티 서비스 발굴 ○ 사업 수행 시 제안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 사업 결과물인 기술?서비스의 상품화, 시?기업 공동 마케팅 추진 < 스마트시티 사업 추진절차 > 수요 공개 ◈ 정책 수요(도시문제) 공유 ⇒ 적정 기술 제안 유도 ?(시민) 생활불편 개선, 도시문제 해결에 ICT 적용 제안 ?( 市 ) 분야별 정책 수요 공개 (시민, 市) ? 솔루션 제안 ◈ 아이디어와 기술 제안 ?(시민) 생활에서 체득한 실용적인 아이디어 제안 ?(기업)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솔루션 제안 ※ 스타트업의 우수 아이디어, 솔루션도 접수 ?(전문가) 시민?기업 제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 제시 (시민, 기업, 전문가) ? 제안 평가 ◈ 우수제안 선정 ?(평가방법) 전문가 평가를 통해 제안 채택 여부 결정 ?(고려요소) 실현가능성?효과성?지속가능성?혁신성?파급성 등 ※ 제안평가 전문가 풀(POOL) - 정책전문가 : 교통, 안전, 환경 등 해당 분야 전문가 - ICT전문가 : IoT, 빅데이터 등 ICT 분야 전문가 ※ 성숙이 필요한 초기 기술 보유 기업의 제안 ☞ (3-2)스타트업 성장 지원 프로그램 활용 (외부전문가) ? 사업화 결정 ◈ 심사위원회 구성?심의(전문가?공무원 10~15인) ?(심의내용) 추진시기, 실행방법, 재원조달방안, 소관부서 등 ?(심의기준) 중복성, 규모, 내용 적정성 등 사업 타당성 ?(결과조치) 소관부서(사업계획 수립), 예산부서(익년 예산 반영) ☞ 재원조달 관련 - 기업주도 방식을 희망하는 기업이 있는 경우 우선 검토 ※ 제안의 사업화 유형 (재원조달 방식) ㉠ 기업주도+市 행정지원 ㉡ 기업+市 매칭협력 ㉢ 기업주도+시민 이용료 지불 ㉣ 기업주도+市 이용료 지불 ㉤ 市 주도 (심사위원회) ? ⑤ 사업 실행 ◈「지방계약법」등 관련 규정에 따라 사업자 선정?실행 ☞ 제안자 인센티브 부여 - 해당사업 입찰참여시 가산점 부여 (정량평가 5%) ※「협상에 의한 계약」 정량적 평가의 배점한도 內 적용 (기업, 市) ??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주요사업 투 자 계 획 계 2018 2019 2020 2021 2022 기업참여 스마트시티 사업 추진 155 0 29 38 44 44 3-2 스마트시티 스타트업 성장 지원 스타트업의 ICT 신기술을 신속하게 도시 행정에 적용하고 실증을 통해 기술 사업화 지원 ?? 추진방향 ○ 스타트업 ICT 신기술의 도시 행정 적용이 용이한 열린 환경 조성 ○ 스타트업의 성장 걸림돌 제거를 위한 종합 지원체계 운영 - 자금?기술력?시장정보?마케팅 역량 부족, 규제 등이 걸림돌로 작용 - 테스트베드?리빙랩 활용, 정보공유, 보조금 지원, 규제완화 협의 등 지원 ○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 및 유니콘 기업으로의 성장 지원 ?? 추진내용 ? 스타트업의 신기술 및 서비스 제안 창구 운영 ○ 스마트서울 협치 시스템 활용 : 온라인 상시 신청?접수 - 대 상 : ICT 신기술을 접목한 제품, 솔루션 및 스마트시티 서비스 모델 등 - 피드백 : 48시간內 온라인 응대, 프로젝트 접수?추진일정 등 안내 ○ 제안의 사업성 검토, 우수 제안은 시범?실증 프로젝트로 추진 ② 우수 제안 시범?실증 프로젝트 추진 ○ “스마트시티 센터”를 기업 지원 종합 창구로 활용 - 서울 IoT센터 ('16. 10월 개관) → 스마트시티 센터로 역할 확대 - 스마트시티 시범?실증사업 관련 기업 지원 확대 : 연간 300개 - 참여업체 인증서 발급 및 혜택 부여(공공사업 참여시 가점 등) ○ 프로젝트팀 운영 : 기업 + 현업부서 + 스마트시티 센터 전문가 연계 - 기획부터 제작, 실증까지 스마트시티 센터의 전문 멘토단 지원 - 시작품 제작 및 일부 보조금 지원, 국내외 홍보?마케팅 연결 - 관련 현업부서 자문, 행정 협조, 테스트베드 운영 지원, 규제완화 협의 등 ○ 프로젝트 완료 후 사후관리 - 서비스 인증서 및 실증 확인서 발급 :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 스마트시티 서비스 온라인 오픈 마켓 등록?공개 ? 스마트시티 기술?제품?서비스를 한곳에서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공개 - 스마트시티 서울 포럼?컨퍼런스 등 에서 우수 사업 발표 ③ 청년 스타트업 해외진출 지원 ○ 시 주관 또는 시 참여 국제행사에 스마트업과 동반 참여 ○ 시 주요 정책과 연계한 해외 홍보 마케팅 지원 ○ WeGO, SBA 등 연계 타 시도, 해외 도시 진출 지원 ??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주요사업 투 자 계 획 계 2018 2019 2020 2021 2022 계 8,770 1,594 1,794 1,794 1,794 1,794 스마트시티 기업 성장 지원 7,970 1,594 1,594 1,594 1,594 1,594 스타트업 해외진출 지원 800 0 200 200 200 200 3-3 스마트시티 테스트베드 특구 지정 기업이 신규 개발한 스마트시티 기술·제품·서비스의 성능·효과를 실제 현장에서 실증·상용화시킬 수 있도록 테스트베드 특구 제공 ?? 추진방향 ○ 스마트시티 기술?서비스를 상시 테스트 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 구축 ○ 4차 산업혁명 신기술을 생활 현장에 적용하여 빠른 기술 변화에 대응 ○ 일정지역에 시범사업을 집중 추진하여 서비스의 장기적 효과 분석 ○ 프로젝트에 따라 다양한 시민 참여의 리빙랩 방식 발굴 적용 ?? 주요내용 ○ 스마트시티 테스트베드 특구 지정 ('18.10월 ) - 대 상 : 2개 자치구 - 추진절차 기준 마련 ? 자치구 공모?선정 ? 협력체계 구축 ? 성과 평가 ?자치구 선정기준 ?지정과제 선정 ?테스트베드 최소환경 ?예산지원 규모 등 ?사업제안서 공모 (지정2?선택3 과제) ?제안서 평가(2차심사) ?심사위원회 심사 (7명 내외 전문가 구성) ?시?구 협약 체결 ?업체 선정?사업추진 ?상시 관리 체계 구축 ?성과 모니터링 ?기업,시민 의견 수렴 ?개선 및 보완 - 선정방법 : 희망 자치구 제안서 공모 후 평가 실무자 사전회의 ? 제안서 공모 ? 제안서 평가 ? 협약체결 사업추진 시, 자치구 서울시 심사위원회 시, 자치구 - 시비지원 : 자치구별 연 5억, 자치구 부담 1억 ('19~'21) - 운영방법 : 테스트베드 운영 기준 적용, 소규모 리빙랩 실험 활성화 (리빙랩) 실제 생활현장에서 사용자?생산자가 공동으로 혁신을 만들어가는 실험실 4차 산업혁명 융합신산업단지 사물인터넷 실증지역 ○ 시?자치구 협력체계 구축 - 스마트시티 시?자치구 협의회 구성 : 관련 실?국장, 기업 참여 - 정기?수시 운영회의 개최 : 실증대상 선정, 운영 협의, 평가?개선안 마련 등 ○ 테스트베드 특구 운영 기준 마련 - 4차 산업혁명 신기술 제품?서비스 대상, 스타트업 실증 우선 지원 등 - 인프라 운영기준, 실증데이터 관리, 기업요청 관리, 주민불편 최소화 방안 등 ○ 시?자치구 협력 프로젝트 추진 - 프로젝트 추진 관련 공청회, 시민?기업 대상 설명회 등 공동 개최 - 국가 R&D 공모사업 협력 추진 ○ 스마트시티 사업 모델 발굴 지원 - 사업 결과물은 오픈 마켓을 통해 공개, 비즈니스 모델 창출 기반 마련 ? 센서 정보, 통신망 정보, 개발모듈, 스마트 서비스 정보 등 - 우수 프로젝트의 타 시도 홍보, 글로벌 마케팅(WeGo, 서울IoT센터) 지원 등 ??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주요사업 투 자 계 획 계 2018 2019 2020 2021 2022 스마트시티 테스트베드 특구 지정 7,500 1,500 2,000 2,000 2,000 - 3-4 스마트서울 체험관 운영 스마트시티 관련 기술?제품?서비스를 한 곳에 전시하여 시 주요 정책과 연계하여 기업(스타트업)의 해외 홍보 마케팅을 지원하고자 함 ?? 추진방향 ○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 및 유니콘 기업으로의 성장 지원 - 4차 산업기술 기반 스타트업의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적용된 상품 전시?홍보 - WeGO 등과 연계하여 해외도시 진출을 위한 전략적 홍보지로 거점化 ○ 방문객 대상 즐거움과 새로움을 경험할 수 있는 서비스 체험관 운영 - 시민체감형 콘텐츠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상설관과 기획관으로 나눠 운영 ?? 주요내용 ○ “스마트서울 체험관” 설치 - 사업기간 : 2019. 3. ~ 12월 (10개월) - 위치(면적) : 에스플렉스센터 1층 시너지움 (70평) - 규 모 : 100명∼130명 동시수용 가능 ○ 전시관 구성(안) - 상설관 : 주제별로 1관, 2관 상시 운영되는 전시 ? 스마트시티 서울 1관 : 서울시 스마트시티 사례 중 해외도시 관심서비스 ? 스마트시티 서울 2관 : 시범, 실증사업을 통한 시민체감 서비스 - 기획관 : 기업 및 테마별 전시관으로 일정기간 특별 전시 ? 수출협의회, WeGo, 스타트업 기획 전시 ? 실·국·본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시티 분야 특별 전시 ??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주요사업 투 자 계 획 계 2018 2019 2020 2021 2022 스마트서울 체험관 운영 2,100 - 1,000 500 300 300 4 스마트시티 서울(SmartCity Seoul) 플랫폼 구축 < 기본 방향 > ◈ “SmartCity Seoul 플랫폼” 의 개념 - 스마트시티 정책 추진의 기반이 되는 6개 플랫폼 ① 빅데이터 ② 사물인터넷 ③ 인공지능 ④ 블록체인 ⑤ 공간정보 ⑥ 통신인프라 - 교통, 안전, 환경 등 분야별 구축된 서비스 플랫폼과 연계?운영 4-1 민관 공동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 중심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해 민관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여 공공?민간 데이터 공유 활성화 ◈ 민관 공동 빅데이터 플랫폼 - 민?관의 원천 데이터를 수집?처리?분석하여 지능화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민?관이 공동으로 활용하고 상호 협력하는 빅데이터 활용용 오픈 플랫폼 ?? 추진배경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새로운 도시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 필요 - 데이터의 수집?저장?개방?활용을 위한 공공데이터 통합관리 체계 부재 ○ 고품질 실시간 공공 데이터 개방 요구 증가 - 데이터 개방 증가율 둔화 및 시민 요구가 높은 데이터 개방 속도 미흡 ○ 민간과의 정보 교류와 공유 등 지속가능한 협력체계 구축 필요 - 생활인구 등 개별 프로젝트 중심으로 공공 및 민간의 데이터 공동 활용 <공공 데이터 개방 및 이용 현황> ?? 공공 데이터 개방 : 920개 (‘12) → 4,205개 (’15) → 4,915개 (‘18.5.31기준) ?? 공공 데이터 이용 : 49억건 (교통 > 환경 > 문화관광 순, '12~'18 ) ?? 데이터 개방 효과 : 경제가치 1조 590억 추정 (‘16 한국지역정보개발원 평가) ※ 경제가치 측정방법 : 총 6개 분야별 추정치 합산 (교통 3개, 환경 3개) ?? 추진방향 ○ 민관협력을 통한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공공과 민간 빅데이터 공유 ○ 데이터 개방 및 교환 표준 등 논의를 위한 거버넌스 구성?운영 ○ 공공 및 민간 빅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위한 민관협력 강화 ?? 추진내용 ? 민관 공동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방안 컨설팅 추진 ('18.8월~11월) ○ 추진방법 : 市 빅데이터 통합 저장소 구축 컨설팅 사업에 포함하여 추진 ○ 주요내용 : 빅데이터 민간수요, 빅데이터 개방 플랫폼 구축 및 서비스 방안 등 ② 빅데이터 공개 논의 거버넌스 구성 ('18.10) ○ 참여대상 : 기업(포털, 통신, 금융), 연구기관, 대학, 시민단체, 스타트업 등 (예시) SKT, KT, LGU+, 네이버, 다음카카오, 신한카드, 디지털재단, 서울대, 연세대, OGP, 오픈넷 등 ○ 추진방법 - 민관협의체 구성 후, 컨설팅 결과를 바탕으로 컨퍼런스, 연구발표회 등 개최 ○ 논의내용 - 가치가 큰 민간 빅데이터와 공공데이터를 결합한 대시민 서비스 발굴 - 메타데이터, 데이터 포맷, 데이터 단위 등 데이터 공개표준 합의 - 개인정보 비식별화 방안과 데이터 교환(거래) 표준 마련 - 데이터 이용자와 제공자 간 투명한 가치 보상체계 마련 - 민간데이터 무상 제공제도 및 서비스 수혜자 기준 마련 ③ 민관 공동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 市 공공 빅데이터 통합저장소 구축 ('19 ~ '21) - 서울시 468개 정보시스템의 전수 데이터 수집?저장?제공 서비스 - 통합저장소 구축 로드맵 : DB 통합관리 시스템 수 구 분 2019년 2020년 2021년 계획(누적) 142(142) 266(408) 60(468) 서울시 빅데이터 통합저장소(Big Data Lake) : 시에서 생성?보유하고 있는 원시 데이터를 필요시까지 원본 그대로 보관하는 물리적 공간 ○ 빅데이터 개방 민관 컨소시엄 구성 ('19. 8) ⇒ 빅데이터 개방 협약 체결 - 참여대상 : 핵심 데이터 제공 기업 (포털, 통신 ,금융 등) ○ 민관 공동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21) - 플랫폼개념 : 민?관에서 수집한 빅데이터를 공동 저장?분석?가공하여 시민과 공유 활용하는 서비스 플랫폼 - 주요기능 : 민관 빅데이터 수집, 저장, 가공, 개방, 분석, 결합, 거래 서비스 - 구축방법(주체) : 1안 市구축, 民참여 2안 民(기업) 구축 3안 컨소시엄 조직 구축 - 추진일정 : 빅데이터 개방 플랫폼 파일럿 프로젝트('20) 플랫폼 구축 및 서비스('21) ④ 데이터 공개 확대 및 활용 활성화 ○ 단계적 확대를 통한 공공데이터 전면 개방 ('18~'20) 년도 추진대상 상 세 내 용 2018 개방수요 높은 데이터 ? 시민선호도 높은 실시간 데이터 (공공자전거 따릉이 대여, 교통예측 등) ? 통합공간정보시스템의 428종 중 개방 가능한 잔여 데이터 360종 (기 개방 : 68종) ? ‘18 국가 중점 공공데이터 : 사회안전망 강화, 정부투명성 강화, 일자리 창출 등 2019 개방수요가 높고 신규 연계가 필요한 데이터 ? 교통분석용 빅데이터, 지하수 관측, 상수도, 대중교통 환승, 건물DB 등 ?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 등 4차산업 육성에 필요한 핵심 공공데이터 발굴 ? 시민소득 및 지역별 고용지표 통계 데이터, 시민체감형 알기쉬운 통계분석데이터 2020 비정형데이터 및 공개제한 데이터 ? 스마트카드, 민원상담, 공공자전거 주행정보 등 비식별 및 비정형 데이터 ○ 데이터 활용 활성화 - (市) 기업 협력 활용가치가 높은 빅데이터 제작?분석 사업 실행 (‘18 ~ ’20) ? 생활인구, 미세먼지, 1인가구, 모빌리티(이동) 등 데이터 구매 또는 제작 공개 - (市) 열린데이터 광장과 정보소통광장(정보공개정책과)의 분산 체계를 통합 (’20) ? 민?관 빅데이터 원스탑 제공 통합 플랫폼으로 일원화 ⑤ 데이터로 열리는 미래 서울 구현 ○ 데이터 주권에 기반한 시민 데이터 공유 서비스 - 개인 정보가 담긴 공공, 민간 데이터의 통합 저장 공간 마련 - 구매이력, 소득정보 등 개인 정보 융합?분석 서비스 제공 ○ 데이터 기반 스마트 시티 구현 - 교통, 환경 등 현업 부서 데이터에 연관 데이터 융합?공유 - 정교화된 데이터에 근거한 최적화, 시뮬레이션, 예측 서비스 제공 ○ 4차 산업혁명의 기술 기반으로서 데이터 제공 - 도시문제 분석의 정확도 개선을 위한 설명력 높은 데이터 확보 - 신기술 기반 스타트업의 필요를 신속하게 반영?공유 [ 중앙정부 개인정보보호법 추진 동향 ] 4차산업혁명위원회 중심의 규제 개혁 해커톤 개최 ('18) ? 빅데이터 분석 등 새로운 기술과 융합 산업의 출현으로 정보의 활용 중요성 증대 ? “개인정보보호와 활용 간 조화”를 주제로 혁신 해커톤 2회 개최('18. 2월, 4월) ? 해커톤 개최 결과 합의내용을 근거로 관계부처 정책 개선 추진 개인정보보호법 일부 개정 발의 (‘18. 7. 2) 주요내용 ? 개인정보의 보호와 활용의 균형을 위해 개인정보를 개인정보, 가명정보, 익명정보로 구분 ? 익명정보는 다른 정보와 결합하여도 개인을 알아볼 수 없으므로 적용 제외 ? 가명정보는 ①통계작성 ②학술연구 ②서비스의 제공 및 개선 등의 목적을 위해서는 당초 수집 목적 외의 용도로 이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 가능 ?? 소요예산 (단위:백만원) 주요사업 투 자 계 획 계 2018 2019 2020 2021 2022 계 53,233 800 14,733 16,600 13,900 7,200 민?관 공동 빅데이터 플랫폼 44,433 800 13,433 14,400 11,400 4,400 정책 기초 통계 확충 8,800 - 1,300 2,200 2,500 2,800 4-2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교통, 상하수도, 에너지, 방재, 환경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센서 기반 ‘스마트 인프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도시데이터 수집?활용 기반 마련 ?? 추진배경 ○ IoT 기술 실증 단계에서 대 시민서비스 전면 제공 단계로 전환 필요 ○ 다양한 IoT 데이터를 축적?이용하는 데이터 유통구조 개편 시급 ○ 사물인터넷 인프라?데이터를 기반으로 시 전역으로 스마트서비스 확산 <사물인터넷 도시 조성 실증 사업> - ‘15~’17년 : 15개소 65개 서비스, ‘18년 : 12개소 34개 서비스 ※ 도시안전?사회적약자 지원서비스(6개), 시민편의 증진서비스(8개 특화, 20개 실증) ?? 추진방향 ○ 교통?안전?환경 등 도시문제 대응을 위한 IoT센서 기반 인프라 구축 - 도시 곳곳 IoT 센서를 통해 도시문제를 진단 ○ 민?관 협력을 통해 IoT 도시데이터 축적?활용 시스템 마련 - 사물인터넷 데이터를 수집하고 빅데이터, 공간정보와 연계 추진 - 민간 센서에서 생성되는 IoT 도시데이터 수집 및 유통 기반 마련 ○ 시민 체감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전면 확산 ?? 추진내용 ①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 도시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연구용역 ('18) - 도시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시티 추진 방향 ? 민간수요 및 시 정책수요 분석, 도시데이터 범주 설정(예시: 미세먼지, 소음 등) - 도시데이터 측정 시스템 및 IoT 네트워크 구축 방안 ? IoT 복합센서 기술규격, 설치기준 설정 및 적격지 선정, 최적의 통신방식 등 - 도시데이터 활용 방안(시민, 기업, 연구기관, 행정기관 등) - 스마트시티 실현을 위한 도시데이터 수집·활용 중장기 정책과제 ② 서울 전역 IoT 도시데이터 센서 설치 5만개 설치 (교통, 방재, 환경 분야) ○ 도시데이터(복합) 센서 : 14,000개 설치 - 미세먼지, 소음, 빛공해, 진동, 온?습도 등 도시정책 데이터 측정 (가로등, 보안등 이용) ○ 스마트시티 서비스 분야별 센서 : 36,000개 설치 - 화재감지, 주차관리, 사회적약자 지원, 에너지 절감 등 ③ IoT 도시데이터 관리시스템 구축?활용 ○ IoT 도시데이터 관리시스템 구축 ('18~ '19) - IoT 센서 기반 수집된 도시데이터의 저장?공개?활용을 위한 데이터 저장소 - 1단계('18) : IoT 도시데이터를 수집?저장할 데이터베이스 구축 ?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구축 ('18년 IoT 시범사업(14)의 데이터 수집) - 2단계('19) : IoT 도시데이터를 분류?제공하기 위한 유통시스템 구축 ? IoT데이터 수집 데이터 대상 및 분야 확대 : '22년까지 500종 - 시스템 개념도 ○ IoT 도시데이터 활용 ('20 ~ '22) - 열린데이터 광장, 공간정보 플랫폼을 통해 공개?활용 - 디지털 시장실, 시민말씀지도 등 다양한 채널로 시민 서비스 제공 - 민?관 도시 빅데이터 공유체계 구축 (통계데이터담당관 협업 추진) ? 도시?통계?지도?민간 데이터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통합하여 구성 ④ 스마트서울 IoT 네트워크 구축 ○ 정보화전략계획을 통해 효과적인 IoT 네트워크 구축방안 설계 (’19) - 기존 e/u-Seoul Net과 신규 IoT 통신망 연계 방안 - IoT 네트워크 표준플랫폼 정립 등 ○ IoT 네트워크 구축 및 초고속정보통신망 유무선 연계 (’20) - 이동통신사 상용망 임대, IoT 자가망 설치 병행 ⑤ 시민 체감 사물인터넷 서비스 확산 (실증 → 市 전체 확산) ○ 안전과 교통, 사회적 약자 대상의 시민 체감 서비스 확산 분 야 내 용 ? 안전?재난 예방 ?전통시장 화재감지 : 24개소('18) → 350개소('21) ?지하상가 안전사고 예방 : 1개소('18) → 전체 25개소('21) ? 사회적 약자 지원 ?어린이집 실내 공기질 측정 : 600개소 1,500대('18) → 6,226개소 18,000대 ('21) ? 교통?주차 ?공영주차장 주차정보 관리 : 전체 17,853면 ('22) ?차량주행?상태정보 관리 : 장애인 콜택시 480대 ('20) 관용차량 1,050대 ('22) ○ 지하 IoT 센서 설치로 서비스 영역 확장 : 지상 ? 지하까지 - 지상에 적용된 시민체감형 IoT 서비스를 실내 및 지하로 확대 - 민?관 최초로 지하시설에 IoT서비스용 실내 GPS신호 제공 환경 구축 ? 소공동 지하도상가 시범사업 (‘18) → 25개 지하상가로 확대 ??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주요사업 투 자 계 획 계 2018 2019 2020 2021 2022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10,463 1,928 1,837 2,186 2,296 2,216 4-3 인공지능 플랫폼 인공지능 기술의 행정 적용으로 시민 편의 및 직원 업무 경감을 도모하고 전자정부에서 지능형 정부로 전환하기 위한 혁신 기반 마련 ?? 추진방향 ○ 인공지능 기반 대화형서비스(지능형 챗봇) 시정 적용, 지능형 정부 기반 마련 ○ 챗봇 문자서비스를 우선 구축하고 음성서비스로 확대 ○ 인공지능의 행정 적용을 통해 행정 혁신 및 정책결정 지원 <지능형 챗봇 (ChatBot)> -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접수 답변을 대화로 진행하는 Bot 서비스 - ARS 같은 선택형 챗봇과 다르게 학습을 통한 자연어 인식 처리로 ‘가상비서’ 서비스 제공 ?? 추진내용 ① 시민과 소통하는 지능형 챗봇 서비스 제공 ○ 지능형 챗봇 문자서비스 구축?운영('18~'21) - 서울시 지능형 챗봇 통합 인프라 구축('19년) - 지능형 챗봇 연차별 시정 적용('19~'21년) ? 120다산콜(‘18), 평생교육?일자리 정보 추천, 상수도 콜센터, 외국인 관광안내 등 ○ 지능형 음성봇 서비스 구축?운영('21~'22) - 지능형 챗봇에 음성기술을 결합하여 대화를 통한 상담 및 안내 - 모바일 음성상담(홈페이지), 120전화, AI스피커 등 시민 소통 채널 활용 ※ 지능형 챗봇 데이터 API 개방 : 민간 개발 유도로 시민의 시정 접근성 강화 ○ AI 맞춤형 서비스, ‘인공지능 시민 비서’ 운영 ('21~'22) - 인공지능 시민비서로 개인 맞춤 서비스 제공 ? 개인별 행정서비스 이용내역, 수혜서비스 및 생활정보 안내 등 <예시> 출생신고 한 경우 양육?보육수당 안내, 여권만료 및 자동차 검사 안내 등 ※ 인공지능 기반 대화형 서비스 개념도 ② 직원 업무경감을 위한 ‘인공지능 행정 비서’ 구축?운영('20~'21) ○ 지능형 챗봇 문자서비스로 직원의 단순?반복 업무 처리 지원 - (정보처리 비서) 정보시스템 이용방법, PC?프린터 장애조치 상담 - (계약발주 비서) 계약관련 절차, 세부 추진방안 등 상담 - (법 령 비서) (신규)업무 시 각종 법?제도, 규정 등 적합여부 등 상담 ③ 인공지능을 활용한 데이터 기반 과학행정 환경 조성('18~'21) ○ 업무 관련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AI 머신러닝 기술을 적용 분석 -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API로 만들어 타 업무에 활용 - 민원 유발 원인 빅데이터 분석 및 개선 방안 도출 ○ 분석결과를 정책결정 및 스마트시티 서비스 제공에 활용 ??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주요사업 투 자 계 획 계 2018 2019 2020 2021 2022 인공지능 플랫폼 10,715 705 510 1,800 2,500 5,200 4-4 블록체인 플랫폼 블록체인 시정 적용을 위한 시스템 기반을 마련하고 참여기관 확대를 통해 블록체인이 갖는 공유, 보안, 참여의 혁신적 가치 실현 ?? 추진배경 ○ 전 세계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의 혁신적 가치에 대한 관심과 기대 증폭 ○ 해외 선진국 및 국내에서 블록체인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 치열 ○ 블록체인 시장 및 기술력 확보를 위한 선도적 역할 수행 < 블록체인 정보전략계획('18~'22) 주요내용> ? 市 주요정책(911개), 정보시스템(466개), 단위업무(2,758개) 분석 ? 블록체인 적용 5大 업무유형 설계 : 131개 단위업무 5대 업무유형 : 정보관리, 전자서식, 지출정산, 통합인증, 보상지급 ? 블록체인 공유 행정 서비스 개발 과제 : 15개 도출 ?? 추진방향 ○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인 블록체인을 市 행정업무에 선도적으로 도입 ○ 블록체인 기술 자체보다는 혁신을 통해 시정 핵심가치를 실현 ○ 시민참여 중심의 직접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 ?? 추진내용 ○ 블록체인 표준 플랫폼 구축?운영 ('18~'21) - 블록체인 하드웨어 시스템 구축 : 서버 등 HW, 상용 블록체인 SW 설치 - 블록체인 프로그램을 API로 만들어 다양한 업무에 상호 활용하는 체계 마련 ? 정보기획관 : 사업부서 업무시스템을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블록생성, 통합관제 등 블록체인 핵심 기능을 개발하여 제공 ○ 블록체인 행정서비스 개발?확대 운영 ('18~'22) - 정보전략계획에서 도출된 전략과제 15종을 단계적으로 구축 - 블록체인이 신기술임을 감안하여 사전검증과 본 사업 병행 추진 구분 2018 2019 2020 본 사업 ? 중고차 매매 신뢰체계 ? 시민참여 직접 민주주의 실현 ? 서류 없는 자격검증 실현 ISP 수립 ? 시간제 노동자 권익보호 ISP 수립 ? 서류 없는 자격검증 실현 ? 시간제 노동자 권익보호 ? 마일리지 통합 관리(S-Coin) ? 하도급 대금 자동지급 ? 서울시민카드 통합 인증 ? 디지털 서울 시민권 발급 ? 자기주도 스마트 헬스케어 ISP 수립 ? 온라인 민원서류 위변조 방지 ? 자기주도 스마트 헬스케어 ? 전기자동차 생애주기 관리 ? 태양광 전력 거래 활성화 ? 스마트 커넥티드카 데이터 활용 ? 민간위탁금 관리체계 개선 ? 기부금품 관리내역 공유 사전 검증 ? 마일리지 통합 관리(S-Coin) ? 하도급 대금 자동지급 ? 서울시민카드 통합 인증 ? 시민참여 직접 민주주의 실현 (민주주의 서울) ? 온라인 민원서류 위변조 방지 ? 기부금품 관리내역 공유 ??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주요사업 투 자 계 획 계 2018 2019 2020 2021 2022 블록체인 플랫폼 34,804 1,354 7,103 11,618 9,397 5,332 4-5 공간정보 플랫폼 ① 3D 기반 ‘Virtual Seoul’ 구현 도시정보가 저장된 3D 기반의 가상 테스트베드를 구현하고 가상 공간에서 무한 시뮬레이션 후 최적 스마트서비스를 실제 적용하는 환경 조성 ?? 추진배경 ○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시각화된 공간정보를 통해 소통하는 환경 필요 ○ 신기술 도입에 따른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는 정책결정 지원 도구 필요 ?? 추진방향 ○ 신기술 테스트베드를 실현하는 가상현실공간(Digital Twin) 구현 ○ 시민 수요가 많은 3D 공간정보서비스 발굴·공유 ○ 상하수도, 도시계획 등의 3D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구축비용 최소화 ?? 추진내용 ○ 3D 기반 「Virtual Seoul」개념 3차원 공간정보 시스템 (현) ? Virtual Seoul ? 현 건축물의 일조권?조망권 확인 서비스 ? 건축물 좌표, 높이 등 기본 정보 제공 ? 도시개발 사업시 가상공간 건축을 통한 시뮬레이션 ? 도시계획, 토지정보, 실내 공간정보 등 확충 ? 환경, 교통, 안전 관련 정보 시각화 ※ 시뮬레이션 분석 기능 예시 ? 도시계획(생활권 계획 포함), 재개발, 재건축 추진시 가상도시 설계 ? 가상도시 설계 결과에 따른 경관, 바람길, 교통, 기반시설, 환경영향 등 분석 ? 도시의 생태 면적률, 녹시율 등 녹지면적 확보여부 분석 ○ 3D 기반 「Virtual Seoul」구현 ('18 ~ '21) - 구축범위 : 605.23㎢ (지형), 63만동 (건축물), 304개 역사 (지하철) - 구축내용 : 市 전역 3D 공간정보 구축, 시스템 개발 - 활용분야 : 도시계획, 상수도, 기후환경, 건축설계, 재난안전 등 ? 바람길, 일조권, 조망권, 건축물배치, 녹지면적 등 시뮬레이션 ? 태양광 산출량?소비량 시뮬레이션, 재난상황 예측 및 대응, 시설물관리 등 - 구축절차 DB 구축 ('18) ? ISP?모의시험 ('19) ? 모의시험 확대 ('20) ? Virtual Seoul 구축 ('21) ?3D 공간정보 DB 구축 ?605.23㎢, 63만동 ?ISP 및 시스템 개발 ?행정시스템 대상 모의시험 시범 개발 ?대민서비스 대상 단계별 모의시험 확대 ?Virtual Seoul 운영 ? 중장기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19 ) : Virtual Seoul 활용?운영, 단계별 고도화, 시민서비스 설계?활용 방안 등 ? Virtual Seoul 시스템 개발 (‘19 ) : 공유 플랫폼, DB연계관리, 시각화?통합뷰어, 정책지원용 시뮬레이션 등 ○ 3D 공간정보 수집?갱신 체계 구축 (‘18년 ~ ) - 공간정보 데이터의 주기적 갱신을 통한 정보 최신화 ? 전면갱신 :항공사진 이용, 市 전역 3D 공간정보 주기적 갱신, ? 부분갱신 : 드론을 활용하여 주요 변화지역은 실시간 정보 갱신 - 3D 지도시스템 보유기업(NAVER 등)과 협력하여 공간정보 확충 ? 3D 건물모델 구축 지원 협약(네이버, ‘18.4. 5) 의 후속 실무협약 추진 → 민?관 협력으로 재원 부담(2년 주기)을 통한 자료 갱신 및 3D 모델 구축 ○ 시민 대상 Digital Twin 서비스 개발(예시) - 미세먼지, 대기오염 등 대기질 모니터링 및 분석 서비스 - 건물 신축에 따른 일조권·조망권·바람길 시뮬레이션 등 영향도 예측 서비스 ? 도시관리 정책에 시민?기업?학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 참여 - 시뮬레이션을 통해 장시간 그늘지는 장소 분석 → 제설작업 효율성 향상 - 스마트 CCTV 설치 시 가시권 분석 ※ ‘Virtual Singapore Project’ ? 도시 가상화 모델인 디지털 트윈 시스템을 통해 도시 각 분야의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예측 시뮬레이션을 통해 도시 계획 및 관리에 활용 예정 ('14.12월 ~ '18.1월) < 태양열 패널 설치 위치분석 > < 도심 바람길 시뮬레이션 분석 사례 > ??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주요사업 투 자 계 획 계 2018 2019 2020 2021 2022 3D 기반 “Virtual Seoul” 구현 5,357 440 1,317 2,000 700 900 ② 스마트 시민말씀지도 구축 시민(Smart Citizen)의 삶과 밀접한 환경·안전 정보와 시민말씀(현장민원·제안)을 지도로 시각화하고 변화추이도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서비스 획기적 개선 ◈ 시민말씀지도 : 지도정보 + 환경·안전 센서 정보 + 시민말씀 정보 ? 공간정보로 시각화 ?? 시민생활지도 서비스 구축 현황 ○ 시민 수요가 예상되나 민간 구축이 어려운 지도, 틈새정보 발굴·제작 - 전통시장, 공중화장실, 어린이집 등 170종 생활·지역 테마 지도 보유 ('13년~) - 지도 서비스 공동 활용 위한 市 연계 시스템 48개 ('17년 기준) - 주요 지도 컨텐츠는 네이버, 카카오와 협력하여 시민 제공 ('18년~) ?? 추진방향 ○ 시민말씀(현장민원)을 지도에서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공간화 분석 적용 ○ 변화 추이 분석이 가능한 환경·안전 정보 수집 확대 및 공간정보화 ○ 현 공간정보 플랫폼을 최대한 활용한 공간정보 수집·공유 기반 마련 ?? 추진내용 ○ 시민말씀을 담은 공간정보 구축 ⇒ 선제적 민원대응체계 마련 ('19) < ‘시민말씀지도’ 개념도 > - 시민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예측할 수 있는 시민말씀 정보 수집 ? 대 상 : 응답소, 스마트불편신고(앱), 민주주의 서울, 시민참여예산 등 - 시민말씀 청취-해결 과정에서 쉽고 빠른 위치정보 확보 방안 마련 ? 120민원 해결에 신고자 위치가 중요한 경우 등 - 민원처리 등 市 업무에 활용 가능한 위치기반 시민말씀 분석시스템 구축 ? 악취·소음 등 민원 발생 지점과 환경·안전 센서 정보와의 연관성 분석에 활용 ○ 기 운영 중 센서 정보(대기, 소음, 진동 등)를 공간정보로 재가공하고 연계 < 市 환경·안전 센서 현황 > ? 대기환경측정소(39개, 대기정책과), 지진가속도계(21개, 상황대응과), ? 대형공사장 소음모니터링(50개,생활환경과), 악취(물재생센터 4, 음식물처리시설 1) ? 수질자동감시(203개, 상수도사업본부), 수위관측망(104개, 하천관리과) ? 전통시장 화재감지 서비스 실증(2곳, 정보기획담당관) 등 ○ 시계열, 위치 기반의 도시 환경 정보 구축 - 市 전역 도시문제 해결형 IoT 복합센서 설치 계획과 연계 - 지도를 기반으로 하는 시각화된 도시데이터 제공 ○ 시민 누구나 분석·활용할 수 있는 시각화 서비스 제공 - 모니터링 및 분석을 위한 위성영상 기반 주제도 제작 - 환경 정보, 민원 정보 등 연관성 분석 기능 구현 및 시각화 서비스 제공 - 오픈데이터 기반 시민사회(학교, 연구소 등)와 공유 서비스 구축 ??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주요사업 투 자 계 획 계 2018 2019 2020 2021 2022 스마트 시민 말씀 지도 구축 2,012 282 420 500 430 380 4-6 통신 인프라 플랫폼 ① 스마트 서울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 구축 교통?안전?환경 등 다양한 분야의 사물인터넷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신?활용할 수 있도록 지능형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 구축 ?? 추진배경 ○ 시정 각 분야에 실시간 현장 데이터 수집을 위한 IoT 수요 증가 - 지능형 교통(자율주행 시범지구), 멀티센서(교통·안전·재난), 미세먼지 계측 등 ○ 다양한 IoT 센서와 IoT 활용 시스템 간 표준 통신방식 필요 - 수집 데이터의 특성?크기?전송주기를 고려한 저비용?고효율의 IoT 네트워크 정립 ○ 센서 네트워크 구축?운영 절차 마련으로 한정된 통신자원 효율적 사용 - 다양한 서비스 용도?통신 방식을 수용하는 IoT 네트워크 구축 ?? 추진방향 ○ 서비스 용도?성능에 따라 직접 구축과 통신사망 임대 병행 ○ 자치구의 개별 IoT 네트워크 확산에 대응, 중복투자 방지 방안 마련 - 구로구 IoT 네트워크 구축('17), 서초?노원 IoT망(임대) 구축 중('18) ○ 통신망 속도 및 처리 용량 향상을 위해 市 초고속정보통신망 고도화 ?? 추진내용 ○ 市 초고속정보통신망 고도화 (´18 ~ ´20) - 통신속도 20Gbps → 50Gbps, 처리용량 7TB → 40TB ? 초고속통신망 백본, 백본스위치 등 통신장비 보강 - 초고속망 우회경로 확보를 위한 광통신선로 보강(시청, 데이터센터, 클라우드센터) ○ 단계별 IoT 네트워크 구축 - (1단계) IoT 네트워크 구축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19) ? 기존 e/u-Seoul Net과 신규 IoT 전송망 연계 방안, IoT 표준 플랫폼 정립 ? 교통?안전?환경 등 통합 IoT 서비스 제공 방안 수립 등 - (2단계) IoT 네트워크 구축 (´20) ? SW 기반 인공지능(AI) 네트워크 도입 ? IoT 융합망 역할 수행 무선망 ? 유선망 ? 유·무선 융합망 IoT 네트워크 서울시 초고속통신망 (e-Seoul Net, u-Seoul Net) 초연결·초지능 통신 인프라 플랫폼 통신사 임대 및 자가망 구축 병행 초고속 통신망 고도화 - (3단계) IoT 네트워크 인프라 확충 (´21~) ? 모든 사물이 연결되는 스마트시티 서비스 제공을 위한 IoT 통신 인프라 지속 확충 IoT 네트워크 IoT 플랫폼 초고속통신망 IoT 센서 ※ 스마트시티 서울 IoT 전용망 구성도(예시) ??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주요사업 투 자 계 획 계 2018 2019 2020 2021 2022 스마트서울 IoT 네트워크 구축 14,230 2,150 2,340 4,740 2,500 2,500 ② 스마트 CCTV 그물망 안전체계 구축 市·자치구·소방·경찰·재난센터 간 CCTV정보를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스마트 안전망 구축으로 각종 사고·범죄로부터 안전한 서울 구현 ?? 운영현황 ○ CCTV 설치현황 : 75개 기관 71,608대 ('18. 6월 기준) 구 분 계 시 시의회 자치구 투출기관 기관(개) 75 33 1 25 16 CCTV(대) 71,608 5,976 66 48,697 16,869 관제센터(개소) 27 2 0 25 0 운영인력(명) 643 25 0 618 0 ○ 범죄예방, 교통정보수집, 시설안전관리 등 목적에 따라 개별 운영 ⇒ 기관?용도별로 운영 중인 CCTV의 유기적 연계?운영으로 시민 안전체계 확보 필요 ?? 추진방향 ○ 정부(국토부·과기정통부)와 협력하여 클라우드 기반의 도시안전망 구축 ○ 사회적 약자의 사고·범죄 예방을 위해 스마트 CCTV 확대 설치 - 행동패턴 등을 분석하여 선제적인 사고 예방 및 재난 예측력 강화 ? 강력범죄 발생건수 50% 감축 목표 (‘16년 410건 → ‘21년 200건) ○ 첨단 기술을 활용한 시민체감 안전서비스 제공 - 시 중심으로 자치구?경찰?소방?재난 망 등의 연계 구축 - 골든타임 확보와 신속한 대응으로 시민체감 안전서비스 제공 ○ 유관기관(112, 119, 자치구, 한전, 통신사 등)과 민?관 협력체계 강화 ?? 추진내용 ① 스마트 CCTV 그물망 안전체계 구축 : '19 ~ '21 ◈ 스마트 CCTV (지능형 CCTV) - 컴퓨터(영상분석 솔류션)가 CCTV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이상행위 탐지 - 규칙에 따라 특정상황(배회, 싸움, 방화 등)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처리 ○ 방범용 스마트 CCTV 추가 설치 : 20,000대 - '21년까지 20,000대 증설 : 39,463대('18) → 59,463대('21) - 시?구 협력 사업으로 추진 : 시?구 6:4 매칭으로 추진 ○ 도시공원?놀이터 스마트 CCTV 설치 : 328개소, 1,312대 - 스마트 CCTV 설치 현황 : 1,146개소('18) → 1,474개소 ('21) ○ 저화질 CCTV 카메라 교체 : 5,072대 (34,391대('18) → 39,463대('21)) - 객체식별이 가능토록 저화질 카메라 성능개선 (40만 → 200만화소 이상) < 40만 화소 > < 200만 화소 > ② 스마트서울 CCTV 안전망 구축 : '18 ~ '20 ○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서울 안전센터 구축 ('18 ~ '20) - 정보전략계획 수립 ('18) ? 환경분석, 추진과제·전략수립, 설계·운영관리방안, 아키텍쳐 설계 등 - 시범구축(시 1, 구 2) 및 실증 ('18) ? 인프라 : 마포구·서초구 ↔ 스마트 서울 안전센터 ↔ 112·119 ? 서비스 : 5대 안전(112·119 긴급출동, 112 영상지원, 재난안전, 사회약자 보호) - 단계별 추진계획 ○ CCTV 영상정보 내부통제시스템 구축 ('18 ~ '19) - 저장된 CCTV 영상의 임의수정 차단, 진본성 보장, 증거자료 신뢰성 확보 - 관제요원의 CCTV 영상정보 접속기록 보관 (로그저장) - CCTV 임의조작 등 오남용 행위 의심 시 관제센터 관리자에 통보 ③ CCTV 민관협력 강화 : '18 ~ '19 ○ CCTV 추진협의체 운영 - 구성?운영 : 시, 정부기관, 연구기관, 기업, 학계 등 구성 - 주요 기능 : 스마트서울 안전망 구축관련 민?관 협력체계 강화 ?스마트서울 안전망 구축 및 운영 협력 및 개인영상정보 보호 관련 사항 등 ○ CCTV 시설물 공동 활용 - 대상기관 : 서울특별시장, 서울지방경찰청장, 한국전력공사사장 - 시 설 물 : 한전전주, 통신신주, 신호등(경찰청), 보안등(구), 가로등(도로사업소) - 협약내용 ?긴급 상황 발생 시 시만 안전을 위한 업무 협업 : CCTV 영상정보 공유 등 ?자원의 효율적 활용 : CCTV, WiFi, IoT 센서 설치 시 시설물 무상사용(공동활용) ??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주요사업 투 자 계 획 계 2018 2019 2020 2021 2022 스마트 CCTV 그물망 안전체계 구축 167,068 3,100 47,970 67,813 48,185 - ③ 와이파이 소외 없는 서울 구현 주거 소외 지역 커뮤니티 공간과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이용구간에 시민 정보이용 편의 제공을 위해 공공 와이파이 공급 및 서비스 개선 ?? 운영현황 ○ 민선6기 공약 「공공 와이파이 10,000개 설치」조기 완료 - 민관(서울시-이통사-자치구) 공동협력 '17년 108% 초과달성(10,786AP) ? 구축지역 : 주요거리, 관광명소, 전통시장, 광장 등 유동 인구 밀집지역 ○ 공공 WiFi 이용자수 지속 증가, 경제적 비용 절감 - '14년도 연 218만명에서 '17년도 557만명으로 2.5배 증가 - 월 평균 360TB의 데이터를 이용, 연748억원 통신비 절감 ?? 추진방향 ○ 주요거리, 공원 등 설치 위주에서 주거 소외 지역 커뮤니티 공간내 집중설치 ○市 전역 마을버스 내 공공와이파이 구축으로 시민의 정보이용 편의 제공 ?? 추진내용 ① 지역 커뮤니티 공간 공공와이파이 공급 ('18~'22) ○ 대상지역 : 1,240개 복지시설 - 지하방, 옥탑방, 고시원 등이 밀집된 주거소외 지역 계 2018 2019 2020 2021 2022 1,240 90 300 250 300 300 ○ 설치공간 : 복지관(사회?어르신?장애인?청소년), 마을공동체 공간(마을예술창작소 등) ② 대중교통버스 공공 와이파이 설치 ('18~'22) ○ 마을버스 총 244노선 1,568대에 WiFi 구축 ('19~'20) - 50개 노선 시범설치 후 시민수요 파악, 사용편의성 등 검토 ('19) - 마을버스 전 노선 구축 완료 (이용료 부담 : 월 30천원/대) ('20) ※ 구로구 마을버스 15개노선 85대 설치완료 (’15.1.1) ○ 시내버스 와이파이 설치 ('18~'22) - 사업대상 : 총 6,000대 ? ’18년도 광역버스 위주(220여대) 설치 후, 향후 이용객이 많은 노선 우선 설치 - 정부사업과 연계해 시내버스 全차량에 공공와이파이 구축 ? 국?시비 1:1매칭, 3년간 WiFi AP임차비용 지원 (버스 1대당 연72만원) ? 국?시비 지원 이후(3년) 사업자가 광고, 사물인터넷 등 수익모델 발굴 및 운영 ③ 지하철내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 향상 ('18~'20) ○ 현재 속도 대비 120배 빠른 속도 제공 (10Mbps → 1.2Gbps) ○ 1∼9호선 역사 307역(전체), 전동차 3,784량 ??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주요사업 투 자 계 획 계 2018 2019 2020 2021 2022 와이파이 소외 없는 서울 구현 18,079 595 2,645 4,589 5,053 5,197 5 제도적 기반 마련 5-1 스마트시티 성과 지표 설정 스마트시티 추진의 실효성?효과성을 확보하기 위해 스마트시티 성과 지표를 설정하고 성과 평가를 통해 스마트시티 정책 보완 ?? 추진배경 ○ 스마트시티를 통한 유?무형 가치 변화 측정 필요성 대두 - 도시의 디지털 혁신으로 산업·경제 구조 재편, 사회 구조 등 변화 ○ 스마트시티의 성공적 추진과 지속 발전을 위한 기준 마련 필요 <평가지표 관련 국내외 현황> ? 세계 각국?글로벌 기업에서 지표를 발표하였으나 관점에 따라 상이 ? 국내는 스마트도시법에 스마트도시 인증 조항 포함 ('17. 9월) ? 국토교통부는 인증을 위한 성과지표 검토 중 ?? 주요내용 ○ 스마트시티 성과지표 마련 : 서울디지털재단 등 연구기관 과제로 추진 ('19) - 글로벌 발표 지표 중 서울에 적합한 지표 반영 - 글로벌 혁신 스마트시티에 적합한 미래 지향적 지표 발굴 ○ 이행 관리, 성과 측정 및 환류 ('20~'21) - 지속적인 평가지표 보완, 객관적?체계적인 성과 측정 관리 - 투자 대비 효과 분석을 통해 정책 보완 < 스마트시티 성과 평가 : 정책목표 달성 및 환류체계 구축 > 정책, 기본계획 + 성과지표 마련, 보완 ? 이행관리, 성과측정 평가결과 환류 참고 스마트시티 성과지표 (국내 사례) ?? 스마트시티 성과지표 ('15, 이정훈, 연세대, 더 깊은 변화 위원회) ? 스마트도시 성숙도 및 잠재력 진단 모형 개발과 적용방안 연구 참조(국토연구원, 이재용, '16) ○ 특 징 : 다양한 관점 반영, 시민참여?민관협력?개방성 등 강조 ○ 평가지표 : 7개 영역 48개 지표 측정영역 측 정 지 표 서비스 혁신성 (4) - 스마트시티 서비스 수, 서비스 종류(유형) 분포, 융복합 서비스 수 기존 서비스에서 파생된 스마트시티 서비스 수 기술지능화, 지속가능성 (4) - 환경 관련 서비스 수, 시민참여가 가능한 환경서비스 수 사물인터넷 인프라가 적용된 실증 서비스 비율 -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서비스의 비율 개 방 성 (6) - 시민체감형 실증서비스 비율, 커뮤니티 존재여부, 공공데이터 활용 건수 - 시민참여프로그램(공모전, 해커톤 등) 존재 여부 시민 요구 수렴 온?오프라인 소통창구 운영, 자료 공개 정보 인프라 통합 (8) - 스마트시티 플랫폼의 국제 표준 플랫폼과 호환 수준 이기종 디바이스간 상호운용성 확보 수준, 공공 자가망 활용 가능 수준 모니터링 스마트시티 서비스 비율, 모니터링 운영 인원 등 운영 거버넌스 (10) - 실행 지원을 위한 지자체 중심의 리더십 수준 - 전략 수립 정도, 전담조직?지원센터 등 운영체계 수립 정도 등 혁 신 성 (15) - 실증단지 내 규제 프리존 도입 수준, 투자예산, 리빙랩 형태의 시민참여 플랫폼 활성화, 타 리빙랩과의 연계 서비스 실증 지원건수, 창출 일자리 수, 출원된 특허 수 등 협력 파트너십 (7) - 협의체 활동 건수, 민관 협력 합작회사 조직건수 - 사업 참여 협력기관 수, 국내외 도시간 협력 체결 건수 등 ○ 스마트시티 평가지표로 10개 도시 평가(스마트시티 인덱스 리포트, '17) - 대상 : 서울, 부산, 암스테르담, 바르셀로나, 헬싱키, 런던, 뉴욕, 파리, 샌프란시스코, 싱가포르 - 서울의 진단 결과 ? 인프라, 운영거버넌스, 혁신성, 협력파트너십은 강점 ? 서비스 혁신성, 기술지능화, 지속가능성, 개방성은 부족 5-2 스마트시티 서울 연구개발(R&D) 강화 스마트시티 사업 효율화, 기술?서비스 품질 확보를 위해 市 연구기관과 협력하여 스마트시티 정책과제 연구, 국가 R&D 참여, 성과관리 등 수행 ?? 스마트시티 관련 정책연구 과제 현황 ○ 서울연구원 : 9개 과제 과 제 명 연구원 연구부서 수행기간 서울시 스마트시티 공간전략 연구 임희지 도시공간연구실 ‘18. 5~’19.1 서울시 스마트 안전도시 구축방안 연구 이석민 안전환경연구실 ‘18. 3~12 서울형 통합교통서비스(MaaS) 도입방안 윤혁렬 교통시스템연구실 ‘18. 1~8 자율주행과 도심 주차공간의 변신 김원호 교통시스템연구실 ‘18. 1~8 미래 환경변화와 서울시 행정전략 김귀영 도시경영연구실 ‘18. 1~12 4차 산업혁명이 시민생활양식과 문화가치에 미치는 변화 변미리 글로벌미래연구센터 ‘18. 1~12 사물인터넷(IoT) 산업 육성을 위한 서울시의 역할 조달호 시민경제연구실 ‘17.7~’18.3 4차 산업혁명과 서울경제의 활로 김묵한 시민경제연구실 ‘18.1~12 기술변화에 따른 서울시 직업군 변화 오은주 시민경제연구실 ‘17.1~’18.2 ○ 서울 디지털재단 : 2개 과제 과 제 명 연구원 수행기간 서울형 스마트시티 모델 수립 연구 박건철 ‘18. 5~7 서울시 스마트시티 민?관 협력 추진모델 연구 이승하 ‘18. 8~12 (예정) ?? 추진방향 ○ 연구기관별 전문성을 고려하여 역할을 정립하고 상호 협력 강화 ○ 스마트시티 정책사업 발굴, 체계적 운영, 평가까지 프로세스화 ?? 추진방법 : 시 연구기관 및 재단과 협업 추진 ?? 기관별 역할 정 보 기획관 - 스마트시티 R&D 과제 발굴 ? 기관 간 협업?의견 조율, 온라인 협치 시스템을 통한 정보공유 - 실?본부?국 스마트시티 사업 지원 ? 서비스 및 데이터 표준화, ICT 인프라 지원, 정보보안 컨설팅 등 - 국가 스마트시티 R&D 사업 참여, 스마트시티 성과 환류 - 규제 개선을 위한 기관 간 허브 역할 : 연구기관 ⇔ 기업 연결 서 울 연구원 - 스마트시티 정책과제 연구 (교통, 환경, 안전, 복지, 경제 등 분야별) 서 울 디지털 재 단 - 스마트시티 정책과제 연구 (ICT) - 스마트시티 서울 성과지표 - 스마트시티 성과지표 이행 관리 ? 스마트시티 성과 측정, 스마트시티 지표 수정 보완 - 전문가 POOL 관리 - 스마트 시티즌 양성, 혁신가 커뮤니티 등 시민참여 활성화 지원 서울기술 연구원 - 스마트시티 기술, 기반 연구, 신기술 정책 도입 ? 정보통신 인프라 분야 정책 연구 ? 공간정보 시스템 분야 정책 연구 - 사물인터넷(IoT) 분야 표준화 ? 사물인터넷 센서 권장 규격,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표준화 - 스마트시티 서비스 품질 관리 기준 마련 5-3 법규 정비 및 거버넌스 운영 스마트시티 추진을 위한 관련 법?제도 정비로 스마트시티 추진 기준과 동력을 확보하고 정책 목표 달성을 위한 거버넌스 기반 조성 ?? 추진배경 ○ 정보화 관련 제도적 기반을 스마트시티로 전환할 시점 도래 - 대상 : 정보화기본조례, 정보화전략위원회, 유비쿼터스 도시건설 사업에 관한 조례 ○ 스마트시티 정책을 종합 조정하고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추진 동력 마련 필요 < 중앙정부 추진현황 > ? 국토교통부 : 스마트도시법('17.9 제정) ? 개정안 발의('18.3) 데이터 비식별정보 확인, 드론?자율주행, 적용대상 구역, 산업특구 등 ? 과기정통부 : 국가 정보화 기본법 ? 지능정보화 기본법 전부개정 발의('18.2) 4차 산업혁명 대응 추진체계 정립(4차산업혁명위원회), 지능정보기술 개발·보급 촉진 등 ?? 추진내용 ① 법?제도 정비 ○ 추진방향 : 4차 산업혁명의 빠른 변화에 신속 대응할 수 있도록 개선 ○ 주요내용 - 정보화기본조례에 스마트시티 정책 내용을 반영하여 “스마트시티 및 지능정보화 기본조례”로 개정 (‘19. 2) - 중앙정부 법률 개정 후 개정 내용 조례 반영 기 존 ? 개 정 (가칭) - 정보화기본조례 및 시행규칙 - 유비쿼터스 도시건설 사업에 관한 조례 - 스마트시티 및 지능정보화 기본조례 ② 위원회 운영 ○ 현 황 - 정보화기본조례에 의거 ‘정보화전략위원회’ 운영 중 ? 31명 이내, 임기 2년, 기본계획 심의 등 - '18. 12월에 제10대 정보화전략위원회 임기 만료, 위원회 재구성 예정 ? 현 위원은 전자정부, 정보시스템, 컴퓨터공학 등 분야 위주로 구성 ○ 추진내용 - 정보화전략위원회 재구성시 “스마트시티 분과” 구성('18. 12) ? 스마트시티에 전문성이 있는 위원을 확대하여 정보화전략위원회 구성 - (가칭) 스마트시티 및 지능정보화 기본조례로 개정 시 위원회에 대한 내용 반영 - 스마트시티와 지능정보화 분야 부위원장이 실질적인 MP 역할을 수행 ○ “스마트시티 분과 위원회” 기능 및 역할 - 조직 : 정보화전략위원회 산하 구성된 분과위원회 ? 분과위원회 : 위원회 업무의 수행을 위해 특정 현안 사항 논의 필요시 운영 - 구성 : 총 15명 (민간 10명, 내부위원 5명) ? 민간위원 : 스마트시티 전문가로 구성 (학계, 연구기관, 기업 등) ? 내부위원 : 스마트시티 분야별 실?본부?국장 ※ 정보화(필수), 교통, 안전, 환경, 도시재생 등은 사안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 - 운영 : 정기 1회 (조정회의 참여) 수시 (부위원장의 소집요구 또는 분과위원장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 역할 ? 市 스마트시티 사업의 우선순위, 재원배분 및 사업별 중점 고려사항 등 자문 ? 스마트시티 기업성장 지원 프로젝트 사업의 관리감독, 자문 및 심의 수행 ? 스마트시티 서울 공정 점검 및 기존 성과 고도화?확산 논의 등 ③ 전문가 자문단 구성 ○ 현 황 - 서울 디지털재단 디지털닥터단 자문 운영 ? ‘15. 3월 출범, 정책 제안 중심 운영→ 시민의 디지털 정책 참여 지원 - 서울시 정보화사업을 자문?심사하는 전문가 인력풀 운영 : 487명('18. 6) ○ 추진내용 - 스마트시티 전문가 자문단 POOL 구성 ? 정책자문단 : 교통, 안전, 환경 등 분야별 정책전문가 ? ICT자문단 : AI,IoT, 블록체인,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분야 전문가 Ⅳ. 투 자 계 획 ?? 투자 총액 총 3천 3백억원 투자 ('18년~'22년) ※ 실본부국의 분야별 스마트시티 관련 사업비 별도 ?? 연도별 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계 2018 2019 2020 2021 2022 337,510 14,448 84,432 117,408 89,629 31,593 ?? 과제별 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정 책 과 제 명 계 2018 2019 2020 2021 2022 총 계 337,510 14,448 84,432 117,408 89,629 31,593 1 스마트서울 협치 시스템 구축 2,104 0 504 1,000 300 300 2 스마트시티 서비스 제공 920 - 230 230 230 230 3 스마트시티 기업 성장 지원 18,525 3,094 4,823 4,332 4,138 2,138 3-1. 기업 참여 스마트시티 사업 추진 155 - 29 38 44 44 3-2. 스마트시티 스타트업 성장 지원 8,770 1,594 1,794 1,794 1,794 1,794 3-3. 스마트시티 테스트베드 특구 지정 7,500 1,500 2,000 2,000 2,000 - 3-4. 스마트서울 체험관 운영 2,100 - 1,000 500 300 300 4 스마트시티 서울 플랫폼 구축 315,961 11,354 78,875 111,846 84,961 28,925 4-1. 민관 공동 빅데이터 플랫폼 53,233 800 14,733 16,600 13,900 7,200 4-2. 사물인터넷 플랫폼 10,463 1,928 1,837 2,186 2,296 2,216 4-3. 인공지능 플랫폼 10,715 705 510 1,800 2,500 5,200 4-4. 블록체인 플랫폼 34,804 1,354 7,103 11,618 9,397 5,332 4-5. 공간정보 플랫폼 7,369 722 1,737 2,500 1,130 1,280 4-6. 통신 인프라 플랫폼 199,377 5,845 52,955 77,142 55,738 7,697 붙 임 스마트시티 실?국?본부 사업 현황 ① 민선7기 공약 사업 : 25개 - 11개 실?본부?국 분 야 사 업 명 실?본부?국 스마트 교 통 (6) ① 자율협력주행 테스트베드 조성 도시교통본부 ② V2X 커넥티드 카 혁신사업(C-ITS) 추진 도시교통본부 ③ 미래교통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분석 강화 도시교통본부 ④ 태그 없는 버스승하차 및 환승시스템 구축 도시교통본부 ⑤ 시내버스 7,400대 와이파이 설치 도시교통본부 ⑥ IoT 기술을 도입한 공유주차제 도입 도시교통본부 스마트 안 전 (4) ① 스마트기술 적용 여성안심인프라 확충 여성가족정책실 ② 노후인프라 빅데이터 분석·통합 관리시스템 구축 안전총괄본부 ③ 공공노후인프라(교량, 고가도로 등) 상시모니터링센터 설치 안전총괄본부 ④ 전통시장 24시간 무선화재 감지시스템 설치, 전기안전 원격감시 시스템 시범 도입 소방재난본부 경제진흥본부 스마트 환경/에너지 (2) ① 어르신 생활시설 청정공기 조절시스템 시범 보급 어린이집 IoT 기반 공기측정기 시범사업 (어린이)여성가족정책실 (노인)복지본부 ② 마곡엠벨리 스마트시티 시범단지 조성 지역발전본부 스마트 경 제 (7) ① 4차산업혁명의 메카, 6대 융합 신산업단지 조성 - 핀테크, 블록체인, AI, 빅데이터, IoT, BIT 경제진흥본부 ② 공공 테스트베드 사업 추진 - 서울형벤처 개발 신기술 . 제품 우선 구매 경제진흥본부 ③ 서울문제 해결을 위한 글로벌 챌린지 개최 경제진흥본부 ④ 도심제조 스마트 팩토리 건설 - 성수 수제화, 중구 인쇄, 성북 봉제 등 20개소 경제진흥본부 ⑤ 청년창업과 도시재생의 허브, 캠퍼스타운 60개소 조성 - 주요거점별 스마트 리빙랩 및 온라인플랫폼 구축·운영 도시계획국 ⑥ 서울형벤처 5,000개 육성 - 펀드조성 3천개, 창업보육시설 1천개, 창업생태계 1천개 경제진흥본부 ⑦ 서울형 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펀드 조성 (1조2천억원) - 스마트시티 솔루션/인프라 2,500억원 포함 경제진흥본부 스마트 복 지 (4) ① 사회적 약자를 위한 소셜벤처 100개 육성 - 에이블테크 특화창업 허브 조성,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벤처 지원 일자리노동정책관 ② 장애인 콜택시 대기시간 단축 - 빅데이터 분석으로 장애인 콜택시 대기시간 단축 및 대기장소 최적화 도시교통본부 ③ 와이파이 소외 없는 서울 정보기획관 ② IoT 센서 기반 ‘스마트인프라’ 구축 - 교통, 상하수도, 에너지, 방재, 환경 관리 정보기획관 스마트 거버넌스 (2) ① 민관 공동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정보기획관 ② 시민정책 참여플랫폼을 확대, 활성화(열린파트너십) - 디지털 시민정부 “민주주의 서울” 확장 및 활성화 서울혁신기획관 ② 계속 사업 : 21개 - 11개 실?본부?국 분 야 주 요 사 업 실?본부?국 스마트 교 통 (4) ① 빅데이터 기반 교통예측시스템 운영 도시교통본부 ② 서울형 스마트 통합 이동 서비스 구축 도시교통본부 ③ 빅데이터 기반 택시정보시스템을 활용, 실시간 택시수요정보 제공(시범) 도시교통본부 ④ 불법주정차 통합플랫폼 구축 (스마트 고지, 챗봇, 빅데이터 적용 등) 도시교통본부 스마트 안 전 (6) ① IoT 활용 소방시설 작동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소방재난본부 ② 교량?터널 통합관리센터 구축?운영 안전총괄본부 ③ 교통안전 시설물 관리시스템 기능 개선 도시교통본부 ④ 산사태 예방을 위한 사면관리시스템 운영 푸른도시국 ⑤ 집중호우 예보·예측 관리시스템 개발 물순환안전국 ⑥ IoT 적용 지하수위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물순환안전국 스마트 환 경 (7) ① IoT 기반 태양광 모니터링 시스템 시범 구축 기후환경본부 ② 대기질 종합분석시스템 구축, 대기환경정보시스템 운영 기후환경본부 ③ 자동차배출가스 친환경등급제 ⇒ 자동차통행관리시스템 구축 기후환경·도시교통 ④ IoT 활용 가정·상업·공공 등 새로운 에너지 절약 방안 확산 - 공동주택 AMI(원격검침인프라,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보급 확산 - 공공기관 ESS(에너지저장시스템, Energy Storage System) 설치 기후환경본부 ⑤ 하천관리시스템 고도화로 도시침수 예측 능력 확보(‘17~’23) 물순환안전국 ⑥ ICT를 활용한 하수악취 상시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물순환안전국 ⑦ 차세대 지능형 상수도관리 시스템 구축 - 빅데이터 활용 수요예측 계획생산, 위험요인 사전진단?경고 - 사물인터넷기반 원격검침시스템 도입(2,000개소) 상수도사업본부 스마트 시민생활 (4) ① IoT와 AI 기술을 활용, 스마트 아파트 시범사업 추진 서울주택공사 ② 스마트 자동모기 포집기 및 데이터 활용한 모기 예보제 고도화 시민건강국 ③ 용산 Y-밸리 스마트시티 조성사업 도시재생본부 ④ 중증장애인 화재·가스감지 센서 활용, 응급안전 알림 서비스 추진 복지본부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정보

스마트시티 서울 추진 계획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정보기획관 정보기획담당관
문서번호 정보기획담당관-11058 생산일자 2018-08-16
공개구분 공개 보존기간 10년
작성자(전화번호) 윤경애 (02-2133-2923) 관리번호 D0000034250591
분류정보 행정 > 정보통신정책 > 행정정보화정책 > 정보화계획수립및조정 > 시정보화사업관리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