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서울기록원 3개년 운영 계획 (2018년 ~ 2020년)

문서번호 기록정책과-98 결재일자 2018.8.6. 공개여부 대시민공개 방침번호 시 민 주무관 기록정책과장 서울기록원장 김승희 김은실 08/06 조영삼 협 조 서울기록원 3개년 운영 계획 (2018년 ~ 2020년) 2018. 8. 국내 최초 설치 지방기록물관리기관으로서 법적 설치 의무 이행의 모범이 되고 있는 ‘서울기록원’이 ’19년 개관을 앞두고 있음에 따라, 수도 서울을 대표하는 아카이브로서의 대표성과 상징성에 적극 부응하고 서울기록의 수집·보존·활용을 통한 사회·문화·역사적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자 체계적인 개관 초기 업무 추진을 위해 ‘서울기록원 3개년(2018~2020) 운영 계획’을 수립하고자 함 목 차 Ⅰ. 건립 배경 및 목적 서울기록원 건립 배경 1 서울기록원 건립 목적 2 Ⅱ. 관련 근거 설치 근거 3 운영 근거 3 Ⅲ. 일반 현황 연혁 4 조직 4 인력 4 시설 5 예산 6 Ⅳ. 비전 및 목표체계 정책비전 및 목표 7 추진과제 7 주요 성과지표 및 예산운용계획 8 Ⅴ. 세부추진과제 운영 계획 세부추진과제 운영 목표 9 세부추진과제 주요 내용 10 Ⅰ 건립 배경 및 목적 ① 서울기록원 건립 배경 ○ 기록에 대한 시대적 요구 및 사회적 의미 확대 - 기록관리를 통한 행정의 투명성 및 업무효율성 증진 등 기록을 통한 설명 책임 및 효율성 강조 - 사람 · 소통 중심의 시정철학 및 시민사회 성숙과 기록의 공개·활용이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 한다는 기록의 사회적 의미 확대 ○ 지방자치제의 성숙과 기록자치 개념의 도입 - 1995년 본격적인 지방자치제 추진 이후 20년이 지나면서 지방자치제의 운영체계가 안정적으로 성숙 단계에 이름 - 2007년「공공기록관리에 관한 법률」전부 개정 시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치 조항 신설로 독자적인 지방의 기록문화 형성과 인프라 확충을 위한 ‘기록자치’ 개념 도입 ○ 국제적 도시 서울을 대표하는 세계적 수준 ‘메트로폴리탄 아카이브’로의 출발 - OECD 국가 80% 이상이 수도 내에 시(city) 자체 기록물관리기관을 설치?운영 중 - 서울은 뉴욕, 런던, 암스테르담, 북경, 동경 등 경쟁도시(GDP 및 인구기준) 중 유일하게 지방영구기록물관리기관이 없는 도시 - 서울시는 2007년 지방기록물관리기관 건립 기본계획 수립 이후 2012년 ‘소통?공유?참여의 열린시정 2.0’의 일환으로 수도 서울을 대표하는 메트로폴리탄 아카이브(Metropolitan Archives)로의 ‘서울기록원’ 건립 본격화 ② 서울기록원 건립 목적 ○ 진정한 기록자치 실현을 위한「지방기록물관리기관」최초 설치와 운영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명시된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치 의무 조항을 최초로 이행하는 관할 지역 최고 기록물관리기관으로 건립 - ‘서울기록원’ 건립을 통해 지방정부의 설명책임성과 행정투명성을 제고하고 지역과 시민이 함께 공동체 아카이빙을 실천하는 진정한 기록자치 실현 ○ 최고 수준의 서울기록(시정기록 및 시민기록) 관리 체계 구축 - ‘서울기록원’ 건립으로 모든 형태의 서울기록, 즉 시정기록의 이관?인수?보존?활용과 다양한 유형의 시민기록에 대한 수집·관리·활용 체계 구축 - 디지털 환경에 조응하여 서울의 다양한 아카이브를 네트워킹하고 디지털 기록정보를 관리?서비스할 수 있는 선진적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지역의 사회·문화적 정체성 확립과 역사 전승을 책임지는 서울의 핵심 문화기관 - 공공기관이 수행하는 공적활동을 넘어 지역 사회 전반에 대한 기록화 및 적극적 기록정보서비스로 서울기록을 통한 지역의 사회·문화적 정체성 확립 - 서울의 핵심 문화기관으로써 서울의 과거와 현재의 가치있는 기록을 선별하고 과학적으로 관리하여 다음 세대가 활용하게 하는 역사 전승의 책임 수행 ○ 기본권인 시민 알권리의 근원적 실현과 획기적 접근?활용 보장 - 서울시의 주요 정책과정에서 발생하는 시정기록을 포함하여 시민이 자생적으로 생산하는 다양한 유형의 기록정보를 축적하여 자원화 - 헌법에 명시된 기본권인 시민의 알권리를 근원적으로 실현함과 동시에 시민의 획기적 접근성과 활용성을 보장 Ⅱ 관련 근거 ① 설치 근거 ○『공공기록관리에 관한 법률』제11조(지방기록물관리기관)제1항 제11조(지방기록물관리기관) ①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는 소관 기록물의 영구보존 및 관리를 위하여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도 또는 특별자치도(이하 "시·도"라 한다)의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이하 "시·도기록물관리기관"이라 한다)을 설치·운영하여야 한다. ○「서울특별시 기록물 관리에 관한 조례」제2장(서울기록원의 설치 및 운영)제5조 제5조(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설치) ① 시장은 법 제11조에 따라 기록물의 영구보존 및 관리를 위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을 설치·운영 한다. ② 제1항에 따른 지방기록물관리기관으로 서울특별시 서울기록원(이하 "서울기록원"이라 한다)을 설치·운영 한다. ③ 서울기록원장은 시장의 명을 받아 소관 사무를 총괄하며, 소속직원을 지휘 감독한다. ② 운영 근거 ○ 관리대상 기록물 :「서울특별시 기록물 관리에 관한 조례」제2장 제7조 - 시 및 소속기관에서 생산한 보존기간 30년 이상 중요기록물 - 투자·출연기관 및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을 설치하지 않은 자치구·교육청의 보존기간 30년 이상 기록물 - 그 밖에 시와 관련된 향토자료 등 민간기록물 ○ 서울기록원 기능 :「서울특별시 기록물 관리에 관한 조례」제2장 제6조 Ⅲ 일반 현황 ① 연 혁 ○ 2007.12월: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 기본계획 수립 ○ 2012. 9월: 정보공개정책과 신설 ○ 2013. 8월:「서울기록원」건립 타당성 조사 완료 ○ 2014. 1월:「서울특별시 기록물 관리에 관한 조례」제정 ○ 2015. 1월: 정보공개정책과 내 전담팀 신설(기록문화팀) ○ 2016. 5월:「서울기록원」기공식 ○ 2017. 9월:「서울특별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개정, 서울기록원 조직 명문화 ○ 2018. 1월:「서울기록원」조직 정식 출범 ○ 2019. 5월:「서울기록원」개관(예정) ② 조 직 : 3개과 23명 (’18.1.4. 출범) 서울기록원 (23) [원장(1): 임기제기록연구관, 개방형] 기록정책과 (기록연구관) 보존서비스과 (기록연구관) 운영지원과 (행정 5) -기록물관리 총괄·운영 -기록물관리 제도관리 -기록물 이관·수집 정리, 평가 -기록물의 영구 보존정책 수립 -기록 보존처리 및 복원 -영구기록관리시스템 구축 운영 -조직 운영지원 총괄 -시설 및 장비 유지관리 -청사보안 관리 (6/5명) (7/6명) (9/8명) ③ 인 력 : 정원 23/현원 20명(△3명) ('18. 8. 6.기준) 구 분 계 일 반 직(△1명) 연구직(△2명) 임기직 소계 5급 6급 7급 8급 9급 소계 연구관 연구사 연구관 연구사 정 원 23명 12 1 2 8 1 - 7 - 7 3 1 현 원 20명 11 1 5 3 - 2 5 - 5 3 1 ④ 시 설 ○ 위 치 : 은평구 녹번동 산1-61호 ○ 건물규모 : 지하2층/지상5층 (연면적 15,004㎡) ○ 주요시설규모 - 보존서고 : 4,404㎡ 13개실. 서가량 434개 보관량 1,191천(권/점) - 전시/열람: 전시공간 986㎡(동시 60명 수용) 2,3F 열람실 216㎡ (동시 20명 수용) 2F - 교육/세미나: 268㎡ (동시 50명 수용) 3F - 대 강 당 : 219㎡ (동시 100명 수용) 5F - 주 차 장 : 지상1층 89대 (옥내 55대, 옥외 34대) 1F 구 분 층별 면적 공간 구성 지상 5층 1,170㎡ 대강당, 사무실, 회의실 지상 4층 1,207㎡ MF작업실, 복원처리실, 전산관리작업실, 행정박물처리실, 시청각기록물처리실 지상 3층 1,594㎡ 행정박물보존서고, 기증(위탁)기록물서고, 민간기록물서고, 다목적 프로그램실, 세미나실, 교과학습자료실, 체험실 지상 2층 2,306㎡ 전시실, 기록열람실 지상 1층 2,845㎡ 주차장, 이용자센터, 하역장, 인수등록실, 소독/훈증/탈산실 지하 1층 3,083㎡ 일반문서고, 역사박물관 유물수장고, 전기실 지하 2층 2,799㎡ 일반문서고, 마이크로필름 보존서고, 전자기록보존서고, 기계실 합 계 15,004㎡ ○ 층별안내 ⑤ 예 산 ○ 본 예산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2018년 2017년 증감 총 계(①+②) 27,768 3,036 24,732 도시개발특별회계(①) 25,985 1,736 24,249 서울기록원 건립 25,985 1,736 24,249 일반회계(② 1,783 1,300 483 서울기록원운영관리 528  - 528 서울기록원운영기반준비 -  200 △200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1,255 1,100 155 ○ 2018년 예산현액(사고이월 포함) (단위 : 백만원) 사업명/과목별 예산현액 (①+②) 본예산 ① 사고이월 ② 비고 서울기록원 건립  38,823 25,985 12,838 시설비 32,903 20,482 12,420 감리비 1,665 1,270 395 시설부대비 56 33 23 자산및물품취득비 4,200 4,200 - ※ 시설비 사고이월 세부내역 : 도급비 99억, 관급자재 23억, 전시설계 2억 Ⅳ 비전 및 목표체계 ① 정책비전 및 목표 ② 추진과제 사업목표 핵심과제 세부추진과제 백년을 내다보는 영구기록관리 체계 구축 1.통합기록관리 체계 구축 1-① 기록관리 정책수립 및 시행 1-② 서울형 기록관리 기준 마련 1-③ 서울기록원 운영체계 확립 및 고도화 2.영구기록 보존관리체계 구축 및 운영 2-① 서울시정 중요기록물 통합 보존 및 관리 2-②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및 운영 2-③ 기록물 보존·복원 처리 체계 구축 서울기록원의 차별화된 콘텐츠 구성 3.서울기록 수집 및 기록화 3-① 서울과 서울시민의 삶 기록화 3-② 서울기록의 완결성을 위한 공유?협업 체계 구축 4.서울기록 연구기반 마련 4-① 서울기록원 소장기록 연구 체계 구축 4-② 지방기록물관리 연구기반 구축 시민과의 소통활성화 5.기록문화확산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5-① 기록전시 연구 및 전시관 운영 5-② 기록을 활용한 교육·문화 협력 프로그램 운영 5-③ 서울기록원 홍보 및 출판 ③ 주요 성과지표 및 예산운용계획 핵심과제 세부추진과제 주요 성과지표 예산액(백만원) 2018 2019 2020 1.통합 기록관리 체계 구축 1-① 기록관리 정책수립 및 시행 ? 서울기록관리위원회 운영 ? 공공기록관리협의체 운영 ? 중·장기 마스터플랜 수립 11 20 90 1-② 서울형 기록관리 기준 마련 ? 기록관리 기준 및 업무매뉴얼 개발 - 30 20 1-③ 서울기록원 운영체계 확립 및 고도화 ? 기록원 청사 유지 관리 및 점검 (연 2회~4회) 324 1,152 1,450 2.영구기록 보존관리체계 구축 및 운영 2-① 서울시정 중요기록물 통합 보존 및 관리 ? 서울시 3개 서고 비전자기록물 이관 및 정리 (약 18만권 100% 이관) - 1,954 1,000 2-②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및 운영 ? 서울시 RMS 전자기록물 이관 (약 166만건) ? 디지털아카이브 구축 및 운영 1,255 1,101 405 2-③ 기록물 보존·복원 처리 체계 구축 ? 기록물 탈산 등 보존?복원 24 150 363 3.서울기록 수집 및 기록화 3-① 서울과 서울시민의 삶 기록화 ? 서울기록 수집 및 기록화 (수집 컬렉션 약 6건, 협력체결 약 30건) 100 299 200 3-② 서울기록의 완결성을 위한 공유?협업 체계 구축 ?부서별 기록화 사업 대상 협력 프로그램 운영 - - - 4.서울기록 연구기반 마련 4-① 서울기록원 소장기록 연구 체계 구축 ? 카탈로그 및 리서치가이드 제작 (카탈로그 약 130건, 리서치가이드 약 6건 제작) - 298 300 4-② 지방기록물관리 연구기반 구축 ? 정책 및 업무기능별 연구프로그램 운영 - - - 5.기록문화 확산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5-① 기록전시 연구 및 전시관 운영 ? 전시 연계 프로그램 운영 ? 특별전시 기획 및 설치 - 328 583 5-② 기록을 활용한 교육·문화 협력 프로그램 운영 ? 교육 및 컨설팅 프로그램 운영 (시민아키비스트?기록전문가, 프로그램,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컨설팅 등) - 65 80 5-③ 서울기록원 홍보 및 출판 ? 홍보 컨텐츠 제작 및 행사개최 ? 번역서 및 학술저널 출간 70 140 190 계 1,784 5,537 4,681 ※ 위 성과지표와 예산은 서울기록원 운영계획관련 주요 사업에 관한 사항이며 변경될 수 있음 Ⅴ 세부추진과제 운영 계획 2018 ‘19년 상반기 서울기록원의 개관 일정에 맞춘 면밀한 준비 ○ 일정에 맞춘 공사 마무리와 능률적인 조직운영으로 성공적 개관 준비 ○ 개관단계 기본계획 및 조례 제·개정 등「지방영구기록물관리기관」운영 기틀 확립 ○ 디지털아카이브 구축완료 및 전문보존장비 도입을 통한 중요기록물 관리기반 마련 ○ 협력·연대에 기초한 시민기록 수집 및 서울기록화 체계 구축 ○ 서울기록원 개관전시, 브랜드 북 및 홍보물제작 등 서울기록원 개관에 맞춘 공공 마케팅 2019 서울기록원의 성공적 개관과 운영 ○ 차질 없는 개관 준비와 일정관리로 성공적인 서울기록원 개관 ○ 법·제도·표준 정립을 통한 서울기록원의 정체성 확보 ○ 개관초기 기록물 수집, 보존, 활용 등 서울기록원 업무기능 정의 및 프로세스 설계?시범 적용을 통한 기본 업무의 안정적 정착 기반 마련 ○ 서울시 통합기록관리시스템의 장기보존 대상 전자기록 및 본청?서소문?청도 문서고 소재 중요기록물의 단계적 이관 ○ 전자기록, 데이터세트, 웹·소셜미디어 기록 시범 입수·관리 ○ 서울기록화 및 시민기록 수집을 위한 협력네트워크 공고화 ○ 전시, 교육, 체험 프로그램 시범 운영 2020 서울기록원 안정화 및 재도약 발판마련 ○ 자치구 및 투출기관 공공기록관리 총괄·지도?감독?지원업무를 통한 관할 지역 최고 기록물관리기관의 업무 수행 ○ 서울기록원 도약을 위한 향후 5년간의 중장기 계획 수립 ○ 정원 확충 2단계 및 직원역량 강화를 통한 조직체계 고도화 계획 수립 ○ 서울기록원 디지털 아카이브의 체계화 및 선진화 ○ 전시, 교육, 체험 프로그램 확대운영 및「서울기록페어」등 시민참여행사 개최, 번역서 기획·출간 등 기록문화 확산 ○ 서울기록화를 포함하여 소통 및 협업채널 확대를 위한 네트워크 협력 강화 ① 세부추진과제 운영 목표 【핵심과제 1】통합기록관리 체계 구축 ② 세부추진과제 주요 내용 1-① 기록관리 정책수립 및 시행 □ 추진배경 및 목적 ○ 최고 기록관리 기관으로 권한 있는 정책마련 및 제도적 실현 - 수도 서울의 영구기록물관리기관으로서 대표성과 상징성을 갖는 정책 제시 - ‘서울기록’의 수집·관리 등 서울형 기록물 관리체계 제도화 및 전문화 □ 추진방향 ○ 법령상 부여된 영구기록물관리기관 체계 확립 - 모든 형태의 서울시 행정기록물(시정기록)을 이관·인수·보존·활용 하고, 시민이 생산한 광범위한 유형의 기록물(시민기록)을 수집·관리·활용하는 서울기록 관리체계 확립 □ 사업개요 ○ 조례 제?개정 및 시행규칙 수립의 단계적 추진 (서울기록원 운영 제도화) - 관할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시행 - 법령상 부여된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기능 및 법률근거, 효력범위 등을 검토하여 조례 제·개정 및 시행규칙 수립 ※ 개관전 서울기록원 운영 조례 및 시행규칙 제?개정 및 공포 예정 ○ 공공기록관리 정책 총괄, 지도?감독?지원 (자치구 및 투출기관 대상) - 관할 지역내 공공기록물 보존 및 활용 계획 총괄, 지도?감독?지원 - 서울시 공공기록 관리지침 수립 및 시행 - 자치구 및 투·출기관 참여「서울지역 공공기록관리 협의체」구성 및 운영 ○ 서울기록(관리)위원회 구성과 운영 - 서울기록원 정책, 운영, 실무 자문을 위한「서울기록관리위원회」구성 및 운영 □ 추진계획 2018년 2019년 2020년 서울기록원 기본계획수립 (3개년) 서울기록원 운영관련 조례 제·개정 추진 서울기록원 운영관련 조례 및 시행규칙 공포 자치구 및 투·출기관 공공기록관리 지침 개발 「공공기록관리 협의체」 및 「서울기록관리위원회」 구성?운영 서울기록원 도약을 위한 중·장기 마스터플랜 수립 「공공기록관리 협의체」 및 「서울기록관리위원회」 운영 1-② 서울형 기록관리 기준 마련 □ 추진배경 및 목적 ○ 서울형 기록관리 업무 설계 및 수집?정리?분류 표준 체계 정립 - 서울기록(시정기록 및 시민기록) 수집· 관리 프로세스 정립 - 서울시민과 이해당사자들이 기록정보에 쉽게 접근·활용할 수 있는 기준 제시 □ 추진방향 ○ 국내외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제도를 참고하되 서울기록원의 방향성 수립 - 방향성에 부합하는 국외사례 및 국가기록원 벤치마킹 □ 사업개요 ○ 국내·외 아카이브의 업무체계 검토 - 국가기록원 업무기능 분석 및 관련 자료(업무계획, 실무매뉴얼 등) 확보 - 국외 아카이브 업무기능 및 프로세스 분석(동향 분석 및 참고자료) ○ 기록관리 업무기능 정의와 업무 프로세스 정립 - 서울기록원에서 수행하는 분야별 업무조사 및 목록화 - 개별 업무를 정의하고 절차를 규정하는 업무 프로세스 정립 ○ 시정기록 생산관리, 처분, 보존, 공개·활용 등에 관한 ‘서울형 기준’ 마련 -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에 명시된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의무와 권한에 기반 한 법제화 및 실무매뉴얼 개발 대상 도출 - 서울기록원의 개관 전?후 운영 환경을 고려한 단계별 개발 우선순위 결정 및 추진 법제화 및 실무 매뉴얼 개발 대상 [붙임 참조] 개관단계 4종 16개 총 4종 36개 안정화단계 4종 20개 ○ 서울시정과 관련된 시민기록의 수집 및 관리체계 전문화 - 중요 시민기록 선별?수집 및 관리체계에 대한 구체적 방안 마련 □ 추진계획 2018년 2019년 2020년 서울기록원 서울형 기준 마련을 위한 계획 수립 · 국내·외 아카이브 체계검토 · 기본업무 업무기능정의 및 프로세스 검토 (1단계) 업무기능 및 프로세스 설계 · 개관 단계 : 서울형 기준 개발(4종) 시민기록 수집·관리 체계 개발 (2단계) 업무기능 및 프로세스 고도화 · 안정화 단계 : 서울형 기준 개발(4종) 시민기록 수집·관리 체계 고도화 구분 주기 대상 제정/시행 개수 운영규정 (12개) 장기 - 민간기록물 수집 등 관리 규정 보존서고 운영 규정 기록물 열람 운영 규정 개관단계 3개 기록관 설치 및 기관 지정 등에 관한 규정 생산의무 기록물 관리 규정 기록물평가심의회 운영 규정 보존매체 관리 규정 기록물 상태점검 및 복원처리 규정 비공개 기록물 공개 재분류 운영 규정 기록물공개심의회 운영 규정 민간 유출 기록물 조사 및 회수를 위한 운영 규정 영구기록물관리시스템 운영규정 안정화단계 9개 지침 (10개) 단기 - 기록물관리 지도·감독 지침 기록물 이관 지침(비전자, 전자) 기록관리기준표 운영 지침(별도 기능분류방식을 통한 관리 포함) 간행물 발간 지침 기록물 생산현황 관리 지침 개관단계 5개 폐지기관 기록관리 지침 시청각기록물 관리 지침 행정박물 관리 지침 기록물 평가 및 폐기 지침 비밀기록물 관리 지침 안정화단계 5개 매뉴얼 (6개) 중단기 - 민간기록물 수집 및 관리 절차 매뉴얼 기록물 열람 운영 매뉴얼 개관단계 2개 생산의무 기록물 관리 매뉴얼 보존매체 관리 매뉴얼 기록물 상태점검 및 .복원 처리 매뉴얼 비공개 기록물 공개재분류 매뉴얼 안정화단계 4개 계획 (8개) 중단기 - 기본계획 - 교육·훈련 계획 수집계획 기록물 보안 및 재난 대비 계획(비전자, 전자) 보존서고 운영 계획 전자기록물 보존관리 계획 개관단계 6개 보존기록물 활용 계획(정리, 기술, 콘텐츠 구축 등) 보존기록물 전자화 계획 안정화단계 2개 계 총 4종 36개 [붙임] 법제화 및 실무 매뉴얼 개발 대상(안)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의 명시된 의무와 권한을 바탕으로 작성 1-③ 서울기록원 운영체계 확립 및 고도화 □ 추진배경 및 목적 ○ ‘19년 상반기 성공적인 개관 및 안정화와 체계적인 조직운영 □ 추진방향 ○ 서울기록원의 차질 없는 공사 마무리 ○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고객중심의 문화공간 구축 ○ 기록관리 전문 기관 공고화를 위한 조직 및 인력체계의 고도화 □ 사업개요 ○ ‘19년 상반기 개관을 목표로 서울기록원 건립 준비 점검 - 서울기록원 건립 주요공정 중점관리를 통해 예정된 일정내 차질 없이 공사완료 - 사무용 가구, 외부 조경수, 부설주차장 등 건물 내외부 환경 정비 - 준공 이후 시설 안정화(유지관리) 작업 및 안전(재난)관리 ○ 서울기록원 시설 및 방문자 운영 계획 수립 - 기관 개방 시간, 휴무일 지정 등 서울기록원 시설 운영 계획 수립 - 유모차·휠체어 대여서비스, 기념품 숍, 장애인 편의시설 등 관람자 편의시설 운영계획 마련 ○ 유연하고 능률적인 조직운영 및 정원 확충 계획 수립 - 청사 준공에 맞춰 본격적인 개관준비 체제로 전환 - 전시·열람실 운영과 연계하여 숙직, 일직, 주말근무 등 직원 근무 지침 수립 - 조직/정원 확충 2단계 계획 수립 및 조직역량 강화 (전문성 제고) □ 추진계획 구 분 2018년 2019년 2020년 시설 관리 서울기록원 개관준비 안전(재난)관리 계획 수립 경비, 청소, 시설유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 건물 내·외부 환경정비 경비, 청소, 시설유지관리 통신 유지관리 경비, 청소, 시설유지관리 통신 유지관리 방문계획 기록원 방문자 운영계획 수립 편의시설 설치·운영 편의시설 운영관리 조직 운영 개관준비 체제전환 근무 지침 수립 조직/정원 확충계획수립 실무교육(국내·외) 조직전문성 제고 방안마련 실무교육(국내·외) 【핵심과제 2】영구기록 보존?관리 체계 구축과 운영 2-① 서울시정 중요기록물 통합 보존 및 관리 □ 추진배경 및 목표 ○ 서울시 본청(3개), 자치구(25개), 투자출연기관 시정기록의 통합 관리 □ 추진방향 ○ 시정기록의 전문적 통합 보존 및 관리를 위한 단계적 기록 이관 ○ 자치구 및 투자출연기관, 법인과 협의를 통한 효율적 시정기록 관리 □ 사업개요 ○ 서울시 문서고 소재 보존기간 30년 이상 중요 기록물 이관 - 2020년까지 본청 서고(청도, 본관, 서소문) 30년 이상 중요 기록물을 대상으로 단계적 전자화를 추진하여 이관 및 인수 완료 - 다만, 청도문서고 기록물은 마이크로필름의 스캔 등 전자화 여부와 관계없이 ’19년 우선 이관 및 인수 조치 ※ 이관대상 기록물 구분 인수?정리 대상 전자화 대상 (마이크로필름 스캔 등) 현 보존서고 1단계 (2019년) 101,439 31,359 청도 2단계 (2020년) 83,271 28.497 본청 및 서소문 계 184,710 59,856 ○ 「서울지역 공공기록관리 협의체」를 통한 실질적 수요 파악 및 방안 마련 - 정례적으로 운영될 「서울지역 공공기록관리 협의체」를 통해 자치구 및 투·출기관의 기록관리 현황과 실질적 수요를 면밀히 파악하고 구체적 협력 방안 마련 □ 추진계획 2018년 2019년 2020년 서울시 3개 문서고 현황 조사 30년 이상 중요기록물 이관계획 수립 서울시 문서고 기록물 이관 (1단계-청도 서고) 서울시 문서고 기록물 이관 (2단계-본청,서소문 서고) 2-②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및 운영 □ 추진배경 및 목적 ○ 기록 보존?관리?서비스를 위한 영구기록관리시스템 구축 및 운영 ○ 전자기록, 데이터세트, 웹?미디어 등 다양한 기록 매체의 통합적 관리 □ 추진방향 ○ 디지털 아카이브의 단계적 구축 및 운영 (중기계획 1단계: ‘17~’19) ○ 디지털 아카이브 고도화 및 유지관리 (중기계획 2단계: ‘20~’22) ○ 디지털아카이브에 기반을 둔 체계적인 기록정보의 제공 □ 사업개요 ○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및 고도화 - 디지털아카이브 업무기능 및 서비스 구현을 위한 중기계획1단계 추진 ※ ‘17년 디지털 보존시스템 구축(1차), ’18년 기록관리 업무처리 기능개발 (2차), ‘19년 기록정보서비스 기능 구축 (3차) - 디지털아카이브 고도화를 위한 중기계획2단계 실시 (‘20년~) ○ 본청 통합기록관리시스템 이관대상 전자기록 단계적 이관 (총 166만건) ○ 정리기술 디지털 카탈로그(catalog) 제작 방법 연구 및 시범제작 - 소장기록 및 조직 정보의 맥락 연결, 설명(기술)을 위한 디지털 카탈로그 제작 - 향후 지속적인 카탈로그 및 조사?연구가이드 제작 기반 마련 ○ 쉽고 편리한 기록정보열람서비스 체계 구축 및 제공 - 시정기록 및 시민기록 통합형 검색기능을 통한 기록물 열람 체계 구축 - 공개 대상 기록 정보(메타데이터 및 원문)의 웹서비스 제공 □ 추진계획 2018년 2019년 2020년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기록관리 업무기능: 2차) 서울시 RMS 기록 2차 이관 (16만건) 정리기술 디지털 카탈로그 제작 방법 연구 및 시범 제작 중요 시민기록 디지털 컬렉션 수집 대상 조사 및 시범 수집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기록정보서비스 기능: 3차) 서울시 RMS 기록 3차 이관(50만건) 전자기록, 데이터세트, 웹미디어 기록 시범 입수 및 관리 디지털 아카이브 기능 고도화 및 유지관리(중기계획2단계) 서울시 RMS 기록 4차 이관 (100만건) 전자기록, 데이터세트, 웹미디어 기록 입수 및 관리 2-③ 기록물 보존·복원 처리체계 구축 □ 추진배경 및 목적 ○ 역사적 가치를 지닌 중요 장기보존 대상 기록물의 과학적 보존처리 및 복원 □ 추진방향 ○ 보존에 특화된 장비 확보로 기록물 관리체계의 전문화 확보 ○ 장기보존 대상 기록물의 안정적 보존을 통한 기록자원화 □ 사업개요 ○ 건축공정과 연계해서 장비 구매계획 수립 및 도입?설치 적기 추진 - 보존?복원실 등 기록물 전문 처리실 장비 도입 구축 ○ 안정적인 서고관리와 영구 기록물 보존관리시스템 체계화 - 이관 기록물의 소독처리 등 보존처리 후 서고입고?관리 - 과학적인 보존?복원 시설장비 운영을 통한 보존관리시스템 체계화 - 국가기록원, 유관 박물관?미술관 등의 전문 경험 및 기술, 지식 교류 ○ 매체별 기록물의 디지털 변환 및 보존 - 아날로그 기록물(종이, 사진, 영상, 행정박물 등)의 디지털 변환을 통한 보존 안정성 강화 ○ 훼손 기록물의 매체별 복원 및 보존 체계 수립?운영 □ 추진계획 2018년 2019년 2020년 전문보존 장비 도입 및 시험 가동 ? 기록물의 인수?등록 체계 구축 ? 행정박물, 전자기록물, 구술기록 보존?복원 장비 구축 ? 기본 보존처리 기능 장비 구축 (소독/훈증/탈산) 등 기록물 보존·복원 장비 본격가동 기록물 탈산/소독 검증 보존서고 소독관리 보존서고 공기질 측정 기록물 보존·복원 장비 유지 관리 용역 보존서고 소독관리 용역 보존서고 공기질 측정 용역 아날로그 시청각기록물 디지털 변환 용역 【핵심과제 3】서울기록 수집 및 기록화 3-① 서울과 서울시민의 삶 기록화 □ 추진배경 및 목적 ○ 수집 및 기록화를 통해 서울의 역사와 시민의 기억을 발굴하고 보존·관리 □ 추진방향 ○ 서울 시정 주요 인물중심 기록화 체계 구축 ○ 서울과 서울시민의 일상을 수집·기록화하여 주제별 ‘서울컬렉션’ 구축 ○ 자생적인 시민기록활동 발굴 및 협력·지원 및 공유 방안 모색 □ 사업개요 ○ 서울시 시장단 등 시정의 주요 인물중심 기록화 추진 - 전직 시장단 등 시정 관련 주요 인물들의 저서, 기록물 등 관련기록의 소재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인물중심 기록화 체계 구축 - 향후 주요정책 관련 인물들의 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토록 제도화 추진 ○ 서울의 시·공간, 대표적인 사건, 시민 일상의 주제별 기록화 추진 - 기존 사업을 통해 선정한 기록화 주제들을 검토하여 주제별 기록화 전략계획을 수립하고 주제 컬렉션 축적 (예시 : 도시재생) - 긴급하게 수집 및 기록화가 요구되는 사안에 대한 대응체계 마련 ○ 시민과 공동으로 추진하는 거버넌스형 서울기록화 - 자생적인 시민기록활동 현황 파악 및 지속적인 협력네트워크 구축 - 인수·등록부터 보존·관리 및 활용까지의 협업 체계 구축 ※ 기록활동 주체의 여건과 요구에 맞춘 단계별 협업 모델 설계 ○ 지방 아카이브의 정체성에 걸 맞는 ‘서울기록 이니셔티브’ 구성 - 자생적 기록 활동가와 관련 연구자들로 구성된 ‘서울기록이니셔티브’ 구성 - 거버넌스형 기록화모델과 협력네트워크의 지속적 운영과 소통 체계 구축 □ 추진계획 2018년 2019년 2020년 서울기록화 사업 추진 협력네트워크 기반 마련 전체 수집 프로세스 테스트 서울시 주요정책 인물별 기록물 소재정보 조사 지속적 서울기록 수집 및 기록화 전체 수집 프로세스 정립 지속적인 소장처 확보와 관리로 협력네트워크 지속 방안 마련 ‘서울기록이니셔티브’ 구성 주요정책 인물중심 기록화 체계 마련 서울기록화 사업 정립 및 안정화 협력네트워크 및 ‘서울기록 이니셔티브’ 체계 안정화 주요정책 인물중심 기록화 체계 안정화 3-② 서울기록의 완결성을 위한 공유?협업 체계 구축 □ 추진배경 및 목적 ○ 서울시 부서/기관별 서울기록화 성과의 보존·관리 및 활용 체계 확립 - 서울시 각 부서에서 업무상 추진한 서울기록화 사례를 조사하고 상호협력을 통한 체계적인 보존·관리 및 적극적 대시민 서비스 지원 □ 추진방향 ○ 각 부서/기관, 정보공개정책과, 서울기록원간 역할 정립을 통해 체계적인 서울기록화 추진과 효율적인 보존·관리 및 활용체계 구축 ○ 서울기록화 관련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 개발·운영으로 기록물 보존 및 활용에 대한 인식 제고와 서울기록화 소통·협업체계 공고화 □ 사업개요 ○ 서울시 부서별 서울기록화 현황 조사 - 서울시 각 부서/기관에서 추진한 서울기록화 사례 조사 - 주요 서울기록화 사례 선별 및 부서/기관 방문을 통한 상세 조사 실시 ○ 보존·관리·활용 인프라 제공을 통한 공동관리활용체계 구축 - 아날로그 자료 : 보존공간 및 관리서비스 제공과 활용 방안 협의 - 디지털 자료 : 디지털아카이브 등록 및 기록물에 대한 관리자 권한부여 ○ 부서 및 기록관 간 협업 및 소통 채널 구축 - 서울시 내부 부서를 대상으로 서울기록화 및 안전한 보존과 활용에 대한 협업 및 지원 프로그램 운영 - 정보공개정책과와 긴밀한 협업으로 일련의 관리 · 활용 방안 체계 마련 - 서울기록화 관련 다양한 지원·협력 프로그램 개발로 부서/기관의 기록화업무 지원 □ 추진계획 2018년 2019년 2020년 서울시 부서별 서울기록화 현황 파악 및 방문 조사 정보공개정책과와 서울기록화 추진 부서와 상호 협력 논의 부서별 기록화 대상 선정 및 소통 채널 구축 및 운영 협업·지원 프로그램 개발 지속적인 협업·지원 프로그램 운영체계 구축 및 안정화 【핵심과제 4】서울기록 연구 기반 마련 4-① 서울기록원 소장 기록 연구 체계 구축 □ 추진배경 및 목적 ○ 기록기반 연구 활성화 및 서울기록원 소장 기록의 정리?기술 등 적극적?지속적 활용기반 구축 □ 추진방향 ○ 소장 기록 조사와 연구가 가능한 인프라 구축 및 운영 - 서울과 기록을 연구·조사하는 전문가와 학자 등을 위한 인프라 조성 ○ 소장기록의 체계적인 정리·기술과 지속적인 연구·활용 기반 마련 □ 사업개요 ○ 서울기록원 소장 기록 연구 프로그램 운영 - 소장 기록물 연구를 위한 공간, 시설/장비 등 환경 조성 및 세미나 등 교육·연구 프로그램 운영 ○ 소장 기록 정리·기술(description) 카탈로그 발간 - 서울기록원 영구기록정보의 신속하고 유의미한 검색?활용을 위해 주요 소장 기록 정리·기술(description) 카탈로그 발간 ※ 카탈로그 : 소장 기록 계층구조 정리 및 계층별 정보와 맥락 기술 포함 - 향후 이관?수집기록 대상 정리·기술 프로세스 정립 필요 ○ 특정 주제에 대한 기록 검색·열람 도구로 조사?연구가이드 발간 - 특정 주제 소장 기록물을 선별하고, 카탈로그와 연계하여 주제별 상세 연구정보를 제공하는 조사?연구가이드(Research Guide) 발간 - 교육자, 연구자 및 예술가 등 다양한 이용자가 원하는 기록정보를 효과적으로 찾을 수 있는 주제별 기록물 검색 도구로 활용 □ 추진계획 2018년 2019년 2020년 정리?기술 카탈로그 발간 조사연구 가이드 보완 ※ 디지털아카이브 사업에서 추진 카탈로그 및 조사연구가이드 발간 계획수립 소장기록 정리?기술 카탈로그 발간(30개) 주제별 조사연구 가이드 발간(3개) 소장기록 정리?기술 카탈로그 발간(30개) 주제별 조사연구 가이드 발간(3개) 4-② 지방기록물관리 및 기록정책 연구 □ 추진배경 및 목적 ○ 지역 최고의 지방기록관리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서의 정책 연구 수행 - 지방기록물관리기관으로서 서울기록원이 자체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지방기록의 관리와 정책에 대한 연구를 수행 □ 추진방향 ○ 지방 아카이브로서 서울기록원의 정책 및 제도 연구 ○ 지방기록물관리 및 서울기록화를 위한 제 분야에 대한 연구 □ 사업개요 ○ 지방기록물관리의 방향성 정립을 위한 지속적인 정책 연구 - 지방기록물관리를 위한 법/제도 및 정책 연구 수행 - ‘서울기록관리위원회’ 및 ‘서울기록이니셔티브’와 함께 정책 방향 연구 ○ 서울기록원 업무기능별 연구 프로그램 운영 - 전자적 환경을 고려한 지방기록물 보존·관리 및 서비스를 위한 연구 - 시민기록 수집 및 기록화 체계 확립을 위한 이론 및 실무 연구 ○ 내부 직원 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 내부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 학습 프로그램 조직·운영 및 외부 기관 견학, 전문 세미나 참가 등 □ 추진계획 2018년 2019년 2020년 서울기록원 정책 및 기능연구 계획 수립 -서울기록원 정책 및 기능연구프로그램 운영(1단계) ? 지방기록물관리 정책 연구 ? 수집, 보존관리,서비스 기능 연구 ? 직원 교육 프로그램 운영 -서울기록원 정책 및 기능연구프로그램 운영(2단계) ? 지방기록물관리 정책 연구 ? 수집, 보존관리,서비스 기능 연구 ? 직원 교육 프로그램 운영 【핵심과제 5】기록문화확산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5-① 기록전시 연구 및 전시관 운영 □ 추진배경 및 목적 ○ 아카이브 전시 지속 연구와 시민과 소통?공감?체험 하는 전시관 운영 - 아카이브 전시 분야 특화를 위한 지속적 연구와 전시 콘텐츠 개발 - 기록 활동 개인?단체를 위한 참여 전시 공동 기획 및 추진 □ 추진방향 ○ 기록 활동과 맥락을 재현하는 아카이브 전시 연구 및 전시 콘텐츠 개발 ○ 개인과 단체의 기록 활동을 알릴 수 있는 참여 전시 공동 기획 및 추진 □ 사업개요 ○ 아카이브 전시 연구 및 전시 콘텐츠 개발 - 시정과 지역의 역사를 기록 전시로 재현하기 위한 방법론 연구 - 주요 이관?수집 기록의 조사?연구를 통한 아카이브 전시 콘텐츠 개발 ○ 체험형 전시공간 조성 및 전시 프로그램 구성 - 스토리텔링, 첨단 디스플레이 기법 등을 활용한 새로운 전시 방법 적용으로 시민 관심 및 만족도 제고 - 기록전시와 연계한 견학, 강연, 워크숍 등 프로그램 진행 ○ 기록 활동 개인 및 단체와의 참여형 공동 전시 - 지역기록활동가, 지역문화원, 동네 도서관 등 네트워크를 활용한 참여 전시 공동 추진 - 시민, 학생, 전문가 등 수요 대상별 연계 프로그램 기획 운영 □ 추진계획 2018년 2019년 2020년 서울기록원 개관 전시 설계 및 설치 특별 및 기획 전시 개관 개관 전시 연계 프로그램 진행 : 견학, 강연, 워크숍 등 전시 연구 및 콘텐츠 발굴 전시물 유지관리 특별 전시 설계 및 설치 전시 연계 프로그램 진행 : 견학, 강연, 워크숍 등 전시물 유지관리 5-② 기록을 활용한 교육·문화 협력 프로그램 운영 □ 추진배경 및 목적 ○ 기록문화 확산 및 전문 기술 함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 기록관리 수요에 기반한 컨설팅 프로그램 운영 □ 추진방향 ○ 시민의 자발적 기록문화 활동을 지원하는 교육 프로그램 설계와 운영 ○ 기록전문가(실무자) 대상 역량강화 교육 프로그램 운영 ○ 시민단체나 NGO 대상 기록관리(프로세스, 시스템) 컨설팅 지원 □ 사업개요 ○ 시민 기록문화학교 운영 - 자서전 쓰기, 사진 앨범 정리 강좌 등 시민 대상 교양 교육 진행 - 디지털 아카이브를 활용한 전사(轉寫, transcription), 인물?장소? 사건 태깅(tagging) 등 단계적으로 추진 - 디지털 플랫폼 활용 교육 프로그램으로 단계적 발전 계획 수립 ※ 국외사례참조 (영국: Learning Curve, 미국: Docs Teach 등) ○ 기록전문가 교육 프로그램 운영 - 정보거버넌스, 기록시스템, ICT 등 연관 주제에 대한 업무 역량 강화 교육 ○ 단체 및 NGO 대상 기술 지원 프로그램 운영 - 오픈소스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기록관리 프로세스 교육 및 시스템 설치?운영 지원과 협력 □ 추진계획 2018년 2019년 2020년 시민 아키비스트 프로그램 기획(수요조사, 사례조사, 비예산) 기록전문가 교육 파일럿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정보공개정책과 협력) 시민 아키비스트 파일럿 프로그램 운영 기록전문가 교육 파일럿 프로그램 오픈소스소프트웨어 컨설팅 시민 아키비스트 프로그램 확대 운영 기록전문가 교육 프로그램 확대 운영 오픈소스소프트웨어 컨설팅 5-③ 서울기록원 홍보 및 출판 □ 추진배경 및 목적 ○ 국내 최초 설치 지방기록물관리기관으로의 서울기록원 브랜드 구축 및 서울기록원의 비전 및 철학의 공유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수단 개발 □ 추진방향 ○ 지방기록물관리기관으로서 서울기록원의 정체성 확립 및 브랜드 화 ○ 기록 활용 연구, 기록관리실무 연구, 기록시스템 연구 성과물 출판 □ 사업개요 ○ 개관 전후 단계별 홍보계획 수립 및 시행 - 개관시점에 맞춰 시민 및 전문가 등 타켓별 홍보계획 마련 - 사전 현장투어?맞춤형 체험 등 시민 참여형 개관식 행사 기획 - 도서관 등 인근 문화시설, 혁신파크 등을 연계한 홍보 활동 지속강화 ○ 지방 기록의 가치 확산과 ‘메트로폴리탄 아카이브’(Metropolitan Archives)로의 대내외 인지도 확대를 위한 공공마케팅 추진 - ‘메트로폴리탄 아카이브’로의 상징성과 정체성 수립 및 확산을 위한 간행물 발간(서울기록원 백서, 서울의 기록관&아카이브 지도 등) - 서울기록원 브랜드 북 및 기념품, 브랜드 포스터 등 홍보물 제작 - (가칭)서울기록페어(archives fair) 기획 및 개최 ※ 기록인대회, 5월12일 일기 프로젝트, 아키비스트캠프 추진팀 협력 ○ 서울기록원 연구 성과 출판 및 연계 프로그램 운영 - 지역 및 커뮤니티 아카이브 연구 분야에 특화된 국외 기록관리 이론?실무?교양서적 번역(ICA, SAA)서 발간 - <기록학연구> 20주년 선집 협력 출간 및 연계 세미나 기획추진 □ 추진계획 2018년 2019년 2020년 개관 준비 홍보계획 수립 서울기록원 브랜드 북(개관 전시 도록 포함) 발간 및 홍보물 제작 개관식 준비 및 시행 번역서 기획 및 출간(1호) 서울기록원 백서 발간 <기록학연구> 선집 기획 및 연구비 지원 1회 서울기록페어 개최 번역서 기획 및 출간(2호) <기록학연구>선집 협력 출간 및 연계 세미나 추진 서울의 기록관&아카이브 지도 발간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정보

서울기록원 3개년 운영 계획 (2018년 ~ 2020년)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서울기록원 기록정책과
문서번호 기록정책과-98 생산일자 2018-08-06
공개구분 공개 보존기간 5년
작성자(전화번호) 김승희 관리번호 D0000034176128
분류정보 행정 > 일반행정지원 > 과공통일반사무 > 업무계획및평가(서무) > 업무계획및보고관리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