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서울 미래 혁신성장 프로젝트 추진계획

문서번호 경제정책과-2332 결재일자 2018.2.24. 공개여부 대시민공개 방침번호 서울특별시장 방침 제29호 시 민 주무관 경제정책과장 경제진흥본부장 행정1부시장 서울특별시장 김형근 김경탁 강태웅 윤준병 02/24 박원순 협 조 기획조정실장 김용복 도시계획국장 권기욱 도시교통본부장 고홍석 지역발전본부장 정수용 경제기획관 김태희 경제정책팀장 박주선 서울 미래 혁신성장 프로젝트 추진계획 2018. 2 경제진흥본부 (경제정책과) 지속 가능성 ● 정책·계획 등의 지속가능성을 검토하였습니까? 예) 지역경제 발전, 사회적 형평성, 환경의 보전 등 □ □ 목 차 Ⅰ 추진배경 1 Ⅱ 서울경제 현황 2 Ⅲ 서울 혁신성장의 방향 3 Ⅳ 정책비전 및 목표 4 Ⅴ 혁신성장 프로젝트 추진계획 6 ① 도심제조 활력 도시 7 ② 바이오 의료 벤처도시 9 ③ 글로벌 R&D 허브도시 11 ④ 문화콘텐츠 융성도시 13 ⑤ 혁신창업 친화도시 15 ⑥ 테스트베드 도시 17 Ⅵ 추진체계 및 투자계획 19 Ⅶ 행정사항 21 서울 미래 혁신성장 프로젝트 추진계획 저성장의 지속, 4차 산업혁명 도래 등 급변하는 경제환경에 대응하고서울의 미래 먹거리와 일자리 창출기반을 마련 Ⅰ 추진배경 ?? 장기간의 저성장 기조와 함께 글로벌 경쟁의 격화 ○ 경기 둔화와 고용 없는 성장으로 세계는 지금 일자리 전쟁 중 - 미국?일본 등은 실업난 해소를 위해 국내기업 자국 이전(Reshoring) ○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글로벌 인재 유치 경쟁 심화 - 한국의 고급 두뇌유출지수 세계 37위(’13) → 54위(’17)로 하락 ?? 4차 산업혁명 시대 도래에 따른 새로운 경제 환경에 직면 ○ 첨단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新산업 출현으로 일자리 변화 - ’20년까지 일자리 710만개 감소, 200만개 생성(’16.세계경제포럼) ○ 대기업과 수출에 의존하는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 전략의 한계 - 혁신 기업의 성장 지원과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핵심인재 양성 중요 ?? 급변하는 경제여건 속에서 서울의 성장동력은 갈수록 약화 ○ 청년 실업 악화에 따른 고용절벽, 서울을 떠나는 청년층 증가 - ’17년 청년실업률 11%, 서울시 전출인구 중 2030 비율 약 46% ○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성장잠재력 약화 우려 - 합계출산율 0.94명(OECD 최저), 2030년 60세이상 예상 고령인구 320만명 ※ 新정부는 소득주도 성장과 함께 새로운 경제성장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 혁신성장과 4차산업혁명 대응전략 강조 Ⅱ 서울경제 현황 ?? 2000년 이후 저성장 국면에 진입, 일자리 여건은 악화 ○ 지역내총생산(GRDP)은 증가하나 전국내 비중 감소, 청년실업 증가 <지역내총생산 및 전국내 비중 추이> <연령별 실업률 추이> < 2010년~2016년 서울의 주요 경제지표 > 구 분 지역내총생산 (1인당 GRDP) 실업관련 지표(연평균) 소비자 물가지수 (’15년=100) 외국인 투자 실업자 (실업률) 청년실업자 (실업률) 2010년 289조 7,187억원 (29백만원) 244천명 (4.7%) 87천명 (8.4%) 90.146 27억$ 2016년 331조 6,662억원 (36백만원) 228천명 (4.3%) 101천명 (10.3%) 101.18 95억$ ?? 미래 먹거리와 일자리를 위해 세계 도시들과의 치열한 경쟁 ○ 도시 경쟁력은 도쿄, 싱가포르에 뒤져 있고 장기간 순위 정체 - ’17년 종합경쟁력 순위(모리재단) : 도쿄(3), 싱가포르(5), 서울(6) ○ 글로벌 경제지수는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새로운 계기 마련 필요 < 2011년~2017년 글로벌 파워도시 지수 > 6개 분야 ‘17년 ’16년 ’15년 ’14년 ’13년 ’12년 ’11년 주요 평가항목 종합 6위 6위 6위 6위 6위 6위 7위 경 제 10위 9위 8위 11위 8위 13위 17위 시장규모, 시장매력도, 경제집적, 인적자본, 비즈니스 환경, 법규제·리스크 연구개발 5위 5위 6위 6위 6위 7위 5위 연구집적, 연구환경, 연구개발성과 … 저성장과 4차 산업혁명 시대 서울 경제의 활력을 되찾고 미래 먹거리와 일자리 마련을 위해 혁신성장 방안 마련 필요 Ⅲ 서울 혁신성장의 방향 ??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글로벌 융복합 인재 양성 ○ 새로운 분야에 끊임 없이 도전하고, 다른 분야와의 협업으로 새로운 기술과 가치를 창출하는 혁신 인재 육성 - 인공지능, 빅데이터, IoT, 유전공학, 블록체인, 핀테크 등 기술 융복합 ○ 서울 소재 56개 대학의 고급인재 육성 및 해외 우수인재 적극 유치 ?? 서울형 유망산업을 중심으로 한 지역거점 확충 ○ 산업경쟁력, 성장성, 좋은 일자리를 고려하여 서울형 유망산업 선정 - 76개 산업을 분석기준에 따라 도심제조, 바이오의료, R&D, 문화콘텐츠 도출 ○ 서울의 강점을 활용하여 지역 자원과 연계한 유망산업 거점 육성 산업분야 산업거점 서울의 강점 도심제조 의류?봉제, 귀금속 등 30만명 숙련 기술인력 보유 바이오의료 신약개발 임상시험 1위, 병원 BIG5 소재 R&D GDP대비 R&D투자율 세계2위, 56개 대학 소재 문화콘텐츠 게임, 애니메이션업체 전국의 2/3 집중 ?? 담대한 아이디어를 실현하는 혁신 창업생태계 조성 ○ 창업 전주기 지원을 통한 창업도전 장려, 글로벌 창업환경 조성 - 창업공간 제공, 교육?컨설팅, 펀드?자금지원, 재기, 글로벌 진출 지원 등 ○ 중앙부처와 협력하여 혁신기업 성장과 신산업 창출을 막는 규제완화 ※ 글로벌 100대 스타트업 중 70%, 한국에서는 규제 저촉 ?? 글로벌 혁신도시로 성장, 지방과 성과공유로 상생발전 ○ 세계 혁신가가 모여들고 혁신기술이 상용화되는 테스트베드 도시 조성 ○ 타 지역에 서울 혁신성장 사례 전파 및 공동 협력으로 함께 성장 - 지방에 생산기반?투자?일자리 확대, 인재교류, 공동 R&D 추진 Ⅳ 정책비전 및 목표 비전 모두 함께 잘사는 경제도시, Weconomics 목표 혁신이 만드는 기회의 도시 서울 ① 2022년까지 혁신인프라 66개 조성 ② 중소?창업기업 9,396개 입주 지원 ③ 좋은 일자리 62,533개 창출 추진 전략 서울형 유망산업 육성 4차 산업혁명 혁신기반 조성 6대 프로 젝트 1 2 3 4 5 6 도심제조 활력 도시 바이오 의료 벤처도시 글로벌 R&D 허브도시 문화 콘텐츠 융성도시 혁신 창업 친화도시 테스트베드 도시 혁신 성장 방향 창의적 융복합 인재양성 ? 유망산업 거점 확충 ?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 ? 글로벌 경쟁력향상 성과공유 추진 기반 정부 혁신성장 협력체계 구축 | 경제주체간 상생·협력기반 마련 | 글로벌 혁신인재 유치 ?? 핵심사업 정책지표(앵커 66개, 입주기업 9,396개, 일자리 62,533개) 구 분 지 표 단위 소계 2018 2019 2020 2021 2022 도심제조 활력도시 입주기업수 개 1,000 - 200 250 250 300 앵커시설조성 개소 20 4 5 5 6 0 조성연면적 ㎡ 118,000 20,400 29,500 29,500 38,600 - 일자리창출 명 5,060 - 952 1,190 1,240 1,678 ㅂ 바이오의료 벤처도시 입주기업수 개 76 46 30 - - - 앵커시설조성 개소 3 2 1 - - - 조성연면적 ㎡ 9,328 6,328 3,000 - - - 일자리창출 명 722 437 285 - - - 글로벌 R&D허브도시 입주기업수 개 550 50 - 80 70 350 앵커시설조성 개소 2 - - - 1 1 조성연면적 ㎡ 94,022 - - - 21,680 72,342 일자리창출 명 8,155 437 825 1,181 1,999 3,713 문화콘텐츠 융성도시 입주기업수 개 170 - - - - 170 앵커시설조성 개소 1 - - - - 1 문화콘텐츠펀드조성 억원 1,000 200 200 200 200 200 일자리창출 명 2,343 175 254 333 411 1,170 혁신창업 친화도시 입주기업수 개 7,600 1,302 1,408 1,580 1,630 1,680 앵커시설조성 개소 39 11 9 8 6 5 조성연면적 ㎡ 40,999 11,818 6,691 17,008 2,891 2,591 일자리창출 명 42,786 6,379 8,865 9,098 9,242 9,202 테스트베드 도시 입주기업수 개 - - - - - - 앵커시설조성 개소 1 - 1 - - - 조성연면적 ㎡ - - - - - - 일자리창출 명 3,468 226 728 728 648 1,138 Ⅴ 혁신성장 프로젝트 추진계획 < 6대 프로젝트 23개 전략과제(신규 19, 확대 4) > 프로젝트(과제수) 연번 전략과제 유형 소관부서 도심제조 활력도시 (3개) 1-1 도심제조 스마트 앵커 조성 신규 경제정책과 1-2 서울 패션혁신허브 조성 신규 문화융합경제과 1-3 메이드인 서울 브랜드 구축 신규 문화융합경제과 바이오의료 벤처도시 (4개) 2-1 홍릉 서울바이오허브 조성 확대 신성장산업과 2-2 홍릉 바이오 의료 클러스터 단계별 공간 확충 신규 신성장산업과 2-3 제2호 서울 바이오펀드 조성 신규 신성장산업과 2-4 창동?상계 글로벌 바이오?ICT 첨단산업단지 조성 신규 신성장산업과 동북권사업반 글로벌R&D 허브도시 (5개) 3-1 양재 R&D 캠퍼스 조성 신규 경제정책과 3-2 양재 R&D 혁신허브 활성화로 글로벌 인재육성 확대 경제정책과 3-3 마곡 산업단지 강소기업 지원시설 확충 신규 서남권사업과 3-4 IoT 융복합 거점으로 G밸리 활성화 신규 신성장산업과 3-5 4차산업혁명 선도 인재 양성 확대 경제정책과 (서울산업진흥원) 문화콘텐츠 융성도시 (3개) 4-1 서울애니메이션센터 재건축 및 애니타운 조성 신규 문화융합경제과 4-2 문화콘텐츠 펀드 조성 신규 문화융합경제과 4-3 DMC 디지털콘텐츠 기술 융합거점 조성 신규 신성장산업과 혁신창업 친화도시 (4개) 5-1 특화 창업인프라 확충 신규 디지털창업과 동북권사업반 5-2 캠퍼스타운 조성 확대 캠퍼스타운조성단 5-3 혁신펀드(4차 산업혁명?창업?재기) 조성 신규 경제정책과 디지털창업과 (서울산업진흥원) 5-4 청년 창업 지원 프로그램 신규 경제정책과 디지털창업과 테스트베드 도시 (4개) 6-1 서울글로벌 챌린지 개최 신규 경제정책과 6-2 신기술 공공구매 및 판로지원 신규 경제정책과 6-3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조성 신규 교통정보과 6-4 서울 솔루션으로 혁신기업 세계 진출 신규 해외도시협력담당관 1 도심제조 활력 도시 ?? 추진배경 ○ 도심제조업 30만 종사자의 재도약을 위한 산업경쟁력 강화 필요 - 영세한 작업환경과 인력 고령화로 도심제조업 침체 및 사양화 우려 - 디자인, 유통?판매 등 가치사슬 단절에 따른 시장수요와 괴리로 부가가치 감소 ○ ‘메이드인 서울’ 브랜딩을 통한 패션제조산업의 고부가가치화 필요 - 생산환경 혁신과 협업시스템 구축으로 도심제조업 재도약 기반 마련 ?? 주요사업 ① 도심제조 스마트앵커 조성 : '22년까지 20개 - 추진방향 : 스마트팩토리, 협업시스템, 자생적 운영기반 마련 - 조성방법 : 공공부지 위탁개발(SH), 장기 임대수익을 통한 투자비 회수 ※ 건립비 1개소당 약 156억원 소요(공공에서 60% 이상 선투자) - 운영방안 : 소공인 대상 협동화 사업을 통하여 조합 결성 및 운영 도심제조 스마트 앵커 조성 2018년 선도사업(4개소) < 성북 봉제 > ? 집적지 규모 : 1,763개 기업 ? 앵커면적 : 5,900㎡ ? 입주기업 : 50개 < 중랑 봉제 > ? 집적지 규모 : 2,447개 기업 ? 앵커면적 : 5,900㎡ ? 입주기업 : 50개 < 성동 수제화 > ? 집적지 규모 : 515개 기업 ? 앵커면적 : 2,700㎡ ? 입주기업 : 30개 < 중구 인쇄 > ? 집적지 규모 : 5,532개 기업 ? 앵커면적 : 5,900㎡ ? 입주기업 : 50개 ② 서울 패션혁신허브 조성 : 경찰청 기동대본부 부지 활용 - 패션 전(全)단계 집적(제조-디자이너 연계, 판매 유통지원, 패션산업 테스트베드) ※ 기동대본부 부지(18,524㎡, 국가소유) 시유지와 자산교환 협의 중 - 글로벌 패션인재 육성(ICT 연계 융합형 인재육성을 위한 전문 패션스쿨 설립) 글로벌 패션인재 육성 디자이너-제조연계 패션산업 테스트베드 판매 유통지원 ?전문 패션스쿨 설립 ?ICT융합형 인재양성 ?취업?창업 실무교육 ?연결?협업플랫품 ?네트워크 공간 ?혁신적 원부자재 연구?개발 ?아이디어/신기술 실험 ?소비자 맞춤형 온오프라인 판매시스템 ③ ‘메이드인 서울’ 브랜드 구축 - 봉제, 수제화 등 서울산 고품질 상품에 대한 가치부여와 글로벌 진출 지원 ? 패션 산업 분야의 생산, 유통, 소비자, 학계 등 민?관 거버넌스 운영 ? 패션 관계자와 소비자의 지지를 얻을 수 있는 BI, 슬로건 등 브랜드 개발 공감대 형성 브랜드 도입 업체인증 판매 유통지원 ?협의체 구성 ?분야별 전문가 자문 (‘17.9 봉제인 의견청취) ?고급 브랜드 이미지 ?제품 신뢰성 향상 ?자격 요건을 갖춘 우수업체 ?DB구축,일감연계 ?해외박람회 참여 ?한류콘텐츠 제작 홍보 ④ 소공인 협업화 지원 - 협동조합 구성(’22년까지 50개 지원, 역량강화 교육) - 스마트앵커 입주 및 협업(인증업체 우선입주, 수발주시스템 구축 등) - 지속가능 운영지원(공동브랜드 개발?판매지원, 일감연계 사업) ?? 연차별 소요예산 (단위: 백만원) 단위사업명 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도심제조 스마트앵커 조성 소계 312,000 8,000 48,000 80,000 80,000 96,000 시 비 99,100 7,900 14,400 24,000 24,000 28,800 SH공사 100 100 - - - - 국 비 91,200 - 14,400 24,000 24,000 28,800 민 자 121,600 - 19,200 32,000 32,000 38,400 서울 패션혁신허브 조성 소계 116,810 190 420 6,100 49,500 60,600 시비 38,570 190 420 1,970 15,700 20,290 국비 33,560 - - 1,770 14,500 17,290 민자 44,680 - - 2,360 19,300 23,020 메이드인 서울 브랜드 구축 및 소공인 협업화 사업 소계 4,720 720 1,000 1,000 1,000 1,000 시비 4,720 720 1,000 1,000 1,000 1,000 2 바이오의료 벤처 도시 ?? 추진배경 ○ 바이오 산업은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신규 투자비율이 가장 높은 산업 - 고용유발효과가 15.8명/10억원(제조업 9.4명)으로 크고 반도체·자동차·화학 3대 산업 합계 규모를 뛰어 넘는 급성장 예상 ○ 서울은 신약개발 임상시험 세계 1위, 국내 BIG5 병원 소재 등 바이오 산업의 강점을 갖고 있으며, 홍릉 바이오의료 클러스터 조성 중 ?? 주요사업 ① 2023년까지 홍릉 일대 바이오 연구지원센터 입주공간 200개 확충 ○ 서울바이오허브 조성('15~'23) : 29,912㎡, 입주공간 120개 - 산업지원동, 연구지원동, 지역열린동, 글로벌협력동 4개동 ○ BT-IT 융합센터 조성('19) : 3,000㎡, 입주공간 30개 - 舊 국방벤처센터 증축 → BT 활용 헬스케어, IoT 개발 ○ 첨단의료기기 개발센터 조성('23) : 10,000㎡, 입주공간 50개 - 정릉천변 SH공사 부지 활용 → 의료기기개발 지원센터 및 주거공간 조성 ※ KIST, 고대, 경희대 등 대학·연구기관 조성시설 사업연계 : 14만㎡, 입주공간 300개 ② 창동 차량기지 이전부지(약 18만㎡) 활용, 바이오?ICT 첨단산업단지 조성 - 유치기업 : 의료제조·서비스 강소기업 유치 및 교류·협력 플랫폼 운영 등 - 추진일정 : 진접 차량기지 개발('18~'24), 첨단산업단지 조성('25~) ? 홍릉 : 바이오의료 R&D(연구 중심, 스타트업 양성) ? 창동?상계 : 바이오?ICT융합단지(스마트 의료?제조, 강소기업 지원) ③ 제2호 서울바이오펀드 조성('18~'22) : 1,000억원(市 100억원 출자) - 바이오의료 분야 5년 이하 초기 창업기업 대상, 1호 펀드 수익금 활용 재투자 구분 제2호 서울 바이오펀드 제1호 서울 바이오펀드 규모 1,000억원(市100억원, 정부·민간900억원) 630억원(市 252억원 출자) 존속기간 ’10년(투자5년, 회수5년) ’10년(투자5년, 회수5년) 투자대상 바이오의료 분야 초기창업 기업(5년이하) 바이오의료 기업 전반 (바이오, 제약, 헬스케어 등) 특징 ① 초기 창업기업 발굴 육성 집중 ② 글로벌 자금유치 통한 투자기업 해외진출 지원 ③ 1호 펀드 수익금 재투자로 펀드 신뢰성 확보 서울소재 바이오의료 기업 일정금액 의무투자 수익률 302%(’18.1 기준) ④ 바이오 스타트업 지원을 위한 범용성 공용장비 구축 - 구매기간/장비 : 범용성 공용장비 150여종, 300억원(‘18년~’23년) - 설치장소 : 서울바이오허브 신관 공용연구장비실, 세포 배양실 등 - 장비선정 : 입주기업 설문조사 및 전문가 검토(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소요예산 : 300억원(’18년도 70억원, ’19~’23 230억원) ?? 연차별 소요예산 (단위: 백만원) 단위사업명 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서울바이오허브 조성 신관 리모델링 및 별관신축 시 비 39,977 19,977 5,000 5,000 5,000 5,000 글로벌협력동 신축 시 비 79,241 1,689 200 25,784 25,784 25,784 (~23) 공용연구장비실 구축 시비 30,000 7,000 3,000 3,000 2,000 15,000 (~23) BT-IT 융합센터 시비 5,986 344 5,642 - - - 첨단의료기기개발센터 SH공사 14,200 - - 1,000 6,600 6,600 (~23) 제2호 서울 바이오펀드 조성 계 100,000 20,000 20,000 20,000 20,000 20,000 시비 10,000 2,000 2,000 2,000 2,000 2,000 국비/민자 90,000 18,000 18,000 18,000 18,000 18,000 3 글로벌 R&D 허브 도시 ?? 추진배경 ○ 저성장과 4차 산업혁명 시대 R&D 거점 중심의 성장동력 창출 필요 - 미래 첨단산업은 높은 비용으로 인해 공동개발, 자금?위험분담 수요 증가 - 산?학?연 등 혁신 행위주체가 모여 네트워크와 상호작용으로 시너지 창출 ○ 서울은 56개 대학, 연구소 28.3%가 입지한 R&D 최적의 도시 ?? 주요사업 ① 양재 R&D 캠퍼스 조성 - 250여개의 글로벌 연구소?기업 입주, 연구인력 3,200명 상주, 연구개발 및 창업을 위한 미래형 스마트 캠퍼스 조성 ※ 대상부지 및 위치 현재용도 대지면적(소유자) 용도지역 위치도 양곡도매시장 32,095㎡ (서울시) ?일반 상업지역 ?제1종 지구단위계획구역 ?유통업무설비 - 공간구성 : 업무시설 50%, 지원시설 30%, 문화여가 20% - 개발방식 : 리츠(서울주택도시공사 설립)를 통한 민간자금 투자유치 - 추진일정 : 개발방식 확정 및 타당성조사(’18), 해외기업 유치 국제 아이디어 공모(’19), 기본?실시설계(’20), 착공(’21) ② 양재 R&D 혁신허브 활성화로 AI분야 글로벌 스타트업 육성 - (공간 확충) ’22년까지 7,000㎡로 확충(’18년 2,900㎡, 46개 기업 입주) - (전문인재 양성) KAIST AI School(연 90명), 딥러닝 연구커뮤니티(연 30명) - (AI 특화기업 육성) AI 코워킹 프로젝트(7개월), 기술 경영자문 - (글로벌 진출지원) 시장성 보고서 지원(전문가 코칭), 해외 비즈니스상담회 참석 - (소통?교류촉진) 글로벌 AI혁신포럼(연4회), 기술정보 공유세미나(연12회) ③ 마곡 산업단지내 대기업과 상생할 강소기업 1,000개 육성 - 공공산업지원시설(1개) : R&D연구실, 창업보육, 70개 기업 입주 - 지식산업센터(15개) : 임대 수요형 강소기업 800개 입주 - 도전숙(1개) : 1인 창업가 임대주택?문화시설, 130개 기업 입주 ※ 공공산업지원시설(3,528㎡) : ’18.7 착공, ’20년 준공 지식산업센터?도전숙 복합개발(12,949㎡) : ’18년 타당성 검토?설계공모, ’20년 착공 ④ 4차 산업혁명 선도, IoT산업 융복합 거점으로 G밸리 활성화 - 법정계획인 G밸리 개발계획 변경계획 수립?고시하여 혁신활동 거점 확보 ? IoT 산업 융복합 지원시설 : 공동작업 오피스, 시제품 제작?교육, IoT 기술지원센터 ? 근로자 문화복지시설 : 문화?체육센터, 전시?공연장 등 ※ 용지변경(산업시설용지 → 복합용지) 및 용적률 인센티브 연계 공공기여분 활용 - 교통문제 개선(2~3단지 연결 두산길 지하차도 건설, 안양천 남측 횡단 교량 신설) ⑤ 4차 산업혁명 혁신인재 양성 - 기업맞춤형 기술인재 5,000명 : 기업 주문형 IT 기술 집중교육(3개월) - 융합형 인재 1,000명 : 4차 산업혁명 대응 분야별 글로벌 R&D리더 육성 ? 양재(AI), 개포(Big Data), G밸리(IoT), 홍릉(바이오), 마포(블록체인) ?? 연차별 소요예산 (단위: 백만원) 단위사업명 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양재 R&D 캠퍼스 조성 계 434,981 465 17,891 36,295 190,330 190,000 국제 아이디어 공모 시비 2,000 - 2,000 - - - 양곡 도매시장 이전 시비 33,177 165 14,691 17,991 330 - 건립공사 SH공사 399,804 300 1,200 18,304 190,000 190,000 양재 R&D 혁신허브 인재양성 시비 13,120 2,320 2,700 2,700 2,700 2,700 마곡 강소기업 지원시설 확충 계 285,406 11,806 32,100 96,500 72,500 72,500 공공산업지원시설 건립 시비 61,271 11,271 26,000 24,000 - - 지식산업센터(1개소) 및 도전숙 복합건립 SH공사 224,135 535 6,100 72,500 72,500 72,500 IoT융복합거점 G밸리 활성화 계 91,907 34,727 6,110 13,955 25,770 11,345 두산길 지하차도 건설 시비 68,457 34,577 6,110 13,000 14,770 - 도로 확장 및 교량 신설 시비 23,450 150 0 955 11,000 11,345 4차산업혁명 인재양성 시비 25,000 1,740 4,610 5,150 6,050 7,450 4 문화콘텐츠 융성 도시 ?? 추진배경 ○ 문화콘텐츠 산업은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을 생산하는 미래 핵심산업 - 반도체?자동차 산업 대비 고용유발계수 2배 이상(13.7명/10억원, 반도체 2명) - 전국 종사자의 50%, 사업체의 32%, 매출액의 64%가 서울에 집중 ○ 애니메이션·게임 등에 VR·AR 신기술 융복합으로 연쇄 부가가치 창출 가능 ?? 주요사업 ① 서울애니메이션센터 재건축 및 애니타운 조성 - 만화, 애니메이션 산업 진흥의 구심점 서울애니메이션센터 재건축(~’22) ?규 모 : 부지 8,473㎡, 연면적 15,900㎡(지하3층, 지상3층) ?기 능 : 창작+유통?마케팅+체험(소비)이 결합된 공간으로 조성 창작 팩토리 유통 플랫폼 상상 놀이터 ?스타트업에서 중소기업 까지 기업 생태계 조성 ?개별 창작 공간 35개소 ?기업에 신작 전시 기회를 제공하여 마케팅 지원 ?전시, 컨퍼런스, 상영관 ?능동적 체험을 유도하는 캐릭터 놀이 공간 ?카툰 박물관, 캐릭터 매장 ※ 재건축 설계완료(’18.10), 철거?문화재조사(’19.1~9), 공사(’19.10~’22.6) - 창작 스타트업 기업의 성장 지원을 위한 애니콘텐츠팩토리 조성(~’23) ?규 모 : 부지 2,074㎡, 연면적 8,793㎡(지하1층,지상6층) 소방재난본부 리모델링 ?기 능 : 상상산업과 관련된 기업·창작자 지원공간으로 스타트업 100개 입주 ② 문화콘텐츠 펀드 조성 - 조성규모 : '22년까지 1,000억원 조성(市 출자 100억원) - 존속기간 : 7년 이상 장기투자(투자4년, 회수 3년 이상) - 투자조건 : 애니메이션, 만화·웹툰, 게임, 캐릭터 등 유망 문화콘텐츠 기업 ※ ’18년~’22년 연간 200억원 조성, 투자-회수-재투자로 선순환 산업생태계 조성 ③ DMC 5G, 디지털사이니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옥외광고로, 관제센터에서 통신망을 통해 광고 내용을 제어할 수 있는 광고판 시범사업 추진(~’20) - 위 치 : 상암 DMC 내 DMS 거리 - 설치시설 : 홀로그램 광고판, 인터랙티브 구조물 등 ※ 추진일정 : 규제완화(’18), 시범설치?운영(’19), 평가?확대시행(’20~) ④ DMC VR/AR센터 조성(~’21) - 위 치 : 첨단산업센터, 교육첨단부지 등 DMC 내 가용공간 활용 - 기 능 : VR/AR 전시체험, 교육, R&D 및 사업화 지원 ※ 추진일정 : 계획수립(’18), 설계(’19), 공사(’20~’21) ⑤ DMC 페스티벌 확대 추진(매년 10월 정례 개최) - 컨 셉 :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산업축제 - 행사내용 : 방송?음악, VR/AR, 게임?영상 등 콘텐츠 및 기술 융합축제 월드컵경기장, 문화비축기지 연계, 방송사 등 입주기업과 협력 ?? 연차별 소요예산 (단위: 백만원) 단위사업명 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서울애니메이션센터 재건축 시 비 60,078 2,730 16,318 16,795 12,361 11,874 애니콘텐츠팩토리 조성 시 비 7,170 20 20 20 20 7,090 글로벌 페스티벌 개최 등 시 비 29,000 2,440 7,900 7,680 7,520 3,460 문화콘텐츠 펀드 조성 계 100,000 20,000 20,000 20,000 20,000 20,000 시비 10,000 2,000 2,000 2,000 2,000 2,000 민자 90,000 18,000 18,000 18,000 18,000 18,000 VR/AR센터 설립 시비 60 60 추후확정 추후확정 추후확정 추후확정 5G, 디지털사이니지 시범사업 시비 3,250 610 630 650 670 690 5 혁신창업 친화 도시 ?? 추진배경 ○ 서울창업허브 등 업종별?기능별 창업 인프라 확충으로 매년 1,000개의 스타트업을 지원하고 있으나, 현장에서는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인식 ○ ‘창업실패=신용불량’ 이라는 인식과 재기가 어렵다는 점은 청년과 고학력 인재의 창업활동에 걸림돌로 작용 ※ 창업활동 비교 : 64개국 중 52위, 청년층 62위(글로벌기업가정신 모니터링 2017) ○ 적극적으로 창업에 도전하고 실패시 재도전할 수 있는 여건 마련 필요 ?? 핵심사업 ① 특화·균형 지향 창업인프라 확충 운영 - AI, IoT, 바이오, 도심제조업, 관광 등 서울형 혁신산업을 지원하는 창업인프라를 확충하여 혁신 창업생태계 기반 조성 - ’22년까지 창업지원시설을 48개소(176,422㎡)에서 90개소(284,329㎡)로 확충, 8천여개 스타트업 성장지원 ?창업보육센터(4) : 홍릉 BT-IT센터, 동북권창업센터, 핀테크랩, 마곡 공공산업지원시설 ?창업카페 등 창업정보?교류공간(21), 창업기업 업무?주거공간(17) ② 청년, 대학생 창업활성화를 위한 캠퍼스타운 조성 - 대학이 가진 다양한 자원(인적?물적?지적 자원)과 市 공공자원(계획수립? 재정지원?갈등관리 등)을 결합하여 청년일자리 활성화, 지역재생 도모 - ’25년까지 캠퍼스타운 60개소(종합형10, 단위형50) 조성 ※ ’18년 현재 17개 ③ 청년 창업 지원프로그램 확대 - 청년?대학생 창업 뉴딜프로그램 운영으로 창업아이템 기획, 기술개발 상용화, 경영컨설팅, 판로개척 등 지원(연 200명, ’18년 50명 시범운영) ? 4차 산업혁명 분야 우수 창업 준비생에 대해 창업공간, 창업장려금 지원 - 우수 대학생 동아리 사업화 지원(연 10팀), 기술 보유 대학 연계 대학생 창업기업 제품상용화 촉진(연 25팀) ④ 혁신펀드 1조원 조성 운영(’18~’22) 구 분 대 상 조성규모 (민·관, 5년간) 운용기간 4차산업혁명펀드 서울소재 4차산업혁명 기술 관련 창업기업 4,500억원 8년 (투자4년 /회수4년) 창업펀드 서울소재 업력 3년이내 중소?벤처기업 5,000억원 재기펀드 서울소재 재창업 7년이내 기업 500억원 ⑤ 글로벌 혁신성장을 위한 해외 인재 유치기반 마련 - 해외 주요도시와 창업기업 교환보육(마포), 글로벌창업센터 조성(양재) - 외국인 대상 실시간 주거정보 제공, 외국인 창업가 전용 주거공간 확충 - 외투기업의 외국인 전문인력 채용시 고용보조금 월 1백만원 지급(최대 6개월) ?? 연차별 소요예산 (단위: 백만원) 단위사업명 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화 창업인프라 확충 계 345,834 59,588 61,800 68,846 77,300 78,300 시비 325,718 55,930 55,800 64,388 74,300 75,300 국비 20,116 3,658 6,000 4,458 3,000 3,000 캠퍼스타운 조성 시비 144,827 12,020 34,440 25,480 37,400 35,487 혁신성장 펀드 조성 합계 1,000,000 160,000 210,000 210,000 210,000 210,000 4차산업혁명 펀드 계 450,000 50,000 100,000 100,000 100,000 100,000 시비 45,000 5,000 10,000 10,000 10,000 10,000 민자·모태 405,000 45,000 90,000 90,000 90,000 90,000 창업펀드 계 500,000 100,000 100,000 100,000 100,000 100,000 시비 5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민자·모태 450,000 90,000 90,000 90,000 90,000 90,000 재기펀드 계 5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시비 5,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민자·모태 45,000 9,000 9,000 9,000 9,000 9,000 청년 창업 지원 프로그램 시비 19,855 1,595 3,080 5,060 5,060 5,060 6 테스트베드 도시 ?? 추진배경 ○ 4차 산업혁명 대두로 기술혁신이「탈추격(모방→선도) 단계」로 진입, 혁신주체들은 새로운 기술과 시장을 동시에 창조해야 하는 상황 ○ 신기술 개발?상용화를 위해서는 서울 같은 대도시에서에서 테스트베드를 제공하고 혁신기술 제품?서비스에 대한 판로 지원 등 필요 ?? 주요사업 ① 서울글로벌 챌린지 개최로 혁신기술 상용화 지원 - 참가자간 교류 및 경쟁을 통해 도시문제 해결 등 지정과제에 대한 혁신적 해결방안을 찾아 기술개발, 상용화 및 판로개척 지원 ※ 인공지능, 블록체인, IoT, 빅데이터, 핀테크, 드론 등 4차 산업혁명 기술 활용 - 운 영 : 지역별 대표 글로벌 IT 기업, 엑셀러레이터, 대학에 위탁 - 절 차 : 권역별(유럽,아시아, 아메리카 등) 예선 → 협업?시제품 제작 → 결선 기초조사 ('18.1.~3.) 컨설팅 용역 ('18.3.~6.) 추진계획 수립 ('18.7.~9.) 공고·신청접수 ('18.10.~12.) 교류·기술지원 ('19.) 특허, 민원 분석 설문조사 등 ▶ Key Question 도출 실행기구·절차 설계 ▶ 혁신성장위원회 심의·자문 ▶ 실행기구 구성 병행 ▶ 네트워킹데이 2회 최종평가 '19.11. ② 신기술 공공구매와 판로지원으로 혁신기업 성장 지원 - 구매대상 : 혁신 기술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 ? 4차 산업혁명 관련 핵심 요소기술(빅데이터, AI등)이 포함된 제품 ? 개발 후 상용화 직전에 있거나 갓 출시되어 실적이 필요한 제품 ? 서울의 도시·사회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제품 - 소요예산 : 5년간 1,000억원 규모(’18년 46억원) - 절 차 : 신청접수(상시) → 1·2차 평가 → 구매·설치 → 평가·관리 ③ 도심 지역 일반도로에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구축 - 후 보 지 : 상암 DMC, 장안평, 마곡, 코엑스 주변 - 구축내용 : 초정밀 전자지도, V2X 기반 C-ITS 인프라 관제시스템 등 - 추진일정 : 테스트베드 선정('18) → 오픈('19) → 미래교통 허브 조성('20) ? 전국 최초 실제도로에서 Level 4 고급 자율주행 상용화 지원 ④ 서울 솔루션을 통해 혁신기업의 세계 진출 교두보 마련 - 정책수출 전담기구「서울글로벌파트너스」설립으로 실행력 제고('19) - 전략적 민관협업 강화를 통해 '22년까지 60개 도시 120개 사업 진출 ? 진출실적 : 28개국 39개 도시 53개 사업('18.1월) Making ?우수정책 발굴 ?수출콘텐츠 개발 Sharing ?정책 공유?홍보 (현지방문?초청) Selling ?정책 교육?훈련 ?컨설팅, 타당성조사 ?시스템 구축 외국도시 유관기관?국제기구 민간기업 ?? 연차별 소요예산 (단위: 백만원) 단위사업명 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서울 글로벌 챌린지 개최 시비 51,000 2,000 10,000 12,000 12,000 15,000 신기술 공공테스트베드 시비 100,000 4,600 20,000 20,000 20,000 35,400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조성 계 29,000 7,700 12,500 8,800 - - 시비 11,400 3,700 5,000 2,700 - - 국비 17,600 4,000 7,500 6,100 - - 서울 솔루션 해외 진출 시비 3,800 - 650 1,050 1,050 1,050 Ⅵ 추진체계 및 투자계획 ?? 중앙정부, 지방정부와의 협력체계 구축 ○ 중앙정부와 연대 강화 - 정부 혁신성장에 발맞추어 서울형 유망산업을 지역맞춤형으로 지원 - 규제완화(자율주행차), 공동 시범사업(스마트앵커, 5G망, VR/AR), 부지교환(동대문 기동본부) 등 협력 추진 ○ 지방정부 상생협력 - 혁신성장 협의체 구성(중앙?지방정부, 기업, 대학), 상생협력 아젠더 설정 - 테스트베드 성과사례 축적(아카이빙), 공통 도시문제 해결방안 공유 - 지방정부간?기업간 교류협력, 지역상생 혁신포럼 개최, 글로벌 시장공동 개척 ?? 민?관 협력 거버넌스 구축 및 추진체계 개편 ○ 필요성 - 정부 혁신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중앙-지방정부간 협력체계 구축 필요 - 혁신성장 6개 프로젝트 23개 전략과제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실행력 보강 ○ 서울 혁신성장 위원회 : 총괄 컨트롤 타워, 민관 거버넌스 - 혁신성장과 혁신기술에 대한 주요 정책수립, 조정, 의사결정 - 대학총장, 기업대표, 연구소장, 해외석학 등 (시장, 민간 공동위원장) ○ 서울미래혁신재단(가칭) 설립 : 서울 디지털 재단 확대 개편 - 4차 산업혁명 혁신기술 R&D, 정책연구, 인력양성 - 글로벌혁신 챌린지, 신기술 공공 테스트베드 등 서울형 R&D 개선안 지원 ○ 서울 산업진흥원(SBA) 역할 강화 - 거점별 클러스터 관리 및 산업공동체 협력 네트워크 구축 - 펀드 운영, 글로벌 마케팅 전문성 강화로 창업과 기업성장의 체계적 지원 ?? 재정 투자계획 총 3조 4천 4백억원 투자('18년~'22년) ?? 연도별 투자계획 (단위 : 억원) 구 분 계 2018 2019 2020 2021 2022 계 34,472 3,824 5,440 6,928 8,906 9,374 국 비 1,625 77 279 363 415 491 시 비 14,003 1,938 2,646 3,054 3,037 3,328 SH공사 6,382 9 73 918 2,691 2,691 민 자 12,462 1,800 2,442 2,593 2,763 2,864 ※ 시비 : SBA 출연금 포함 ?? 분야별 투자계획 (단위 : 억원) 구 분 계 2018 2019 2020 2021 2022 계 34,472 3,824 5,440 6,928 8,906 9,374 도심제조 4,335 89 494 871 1,305 1,576 바이오의료 2,694 490 339 547 594 724 R&D 8,505 511 634 1,546 2,974 2,840 문화콘텐츠 1,995 259 449 451 405 431 혁신창업 15,104 2,332 3,093 3,094 3,297 3,288 테스트베드 1,839 143 431 419 331 515 Ⅶ 행정사항 ?? 전략 과제별 세부 실행계획 수립 및 시행 ○ 수립주체 : 과제별 추진부서 (p.6 소관부서 참조) ○ 주요내용 - 현장 정책 수요에 기반하고 체감도 높은 ‘계량화된 목표치’ 설정 - 투자계획 및 재원 분석, 실행가능성을 바탕으로 ‘구체적 실행방안’ 마련 - 사업 추진 실행력 담보를 위해 ‘중기재정계획 및 연차별 예산’ 반영 - 사업 성과의 시민 홍보효과 극대화를 위한 ‘대시민 소통방안’ 포함 ○ 수립 및 제출시기 : 매년 1월 중 수립?제출(’18년은 2월 중) ※ 5개년 중기계획으로 추진성과 및 정책환경 변화에 따른 수요 반영 ?? 성과관리 계획 ○ 목 적 : 진도점검, 우수사례 공유, 장애요인 해소로 사업효과 제고 ○ 대 상 : 혁신성장 프로젝트 세부 전략과제 23개 사업 ○ 시 기 : 수시 개최(월 1회 이상) ○ 방 법 : 행정1부시장 주재 보고회 개최 ?? 프로젝트 성과 제고를 위한 對정부 협력 강화 ○ 4차 산업혁명 대응 및 인프라 구축을 위한 市-정부 공동정책화 - DMC VR/AR센터 건립(과기정통부),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조성(국토부) ○ 핵심사업 성과 창출을 위한 조속한 자산 교환 및 국비 지원 - 패션허브 조성 위한 기동본부 부지교환(기재부), 스마트앵커 건립 국비 지원(중기부) ○ 서울 솔루션 혁신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코트라 등 정부 자원 공유 ?? 대시민 홍보 및 소통계획 ○ 혁신성장 프로젝트 추진 및 사업성과에 대해 시기별?수혜대상자별로 온?오프라인 매체를 통해 지속적으로 이슈화?홍보 ※ 핵심메시지 : 모두 함께 잘사는 Weconomics, 혁신이 만드는 기회의 도시 서울 ○ 사업별 후속 보도자료, 기획보도, 전문가 기고, 민?관 공동캠페인 개최 등 ① 기자설명회 (위촉·발대식) ?서울혁신성장위원회 위촉 및 운영계획 발표 ?이음피움 봉제역사관 개관 현장설명회 및 운영계획 발표 ?메이드 인 서울 추진위원회 위촉 및 운영계획 발표 ②보도자료 ?2018 서울창업지원정책 발표 ?청년봉제인력 고용지원 사업 운영계획 발표 ?핀테크 랩 개관 및 핀테크 아카데미 운영 ③기획보도 ?도시 살리는 제조업 현장을 가다(주얼리, 수제화 등) ?4차 산업혁명시대를 준비하는 미생(AI, 핀테크, 빅데이터 등) ?혁신가들의 도전, 스타트업 4.0세대 사람들(우수사례 인터뷰) 별첨1. 23개 전략과제별 세부 실행계획 별첨2. 서울 미래 혁신성장 프로젝트 기자설명회 자료(PT)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정보

서울 미래 혁신성장 프로젝트 추진계획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경제진흥본부 경제기획관 경제정책과
문서번호 경제정책과-2332 생산일자 2018-02-24
공개구분 공개 보존기간 영구
작성자(전화번호) 김형근 (02-2133-4830) 관리번호 D0000032884260
분류정보 경제 > 지역산업 > 지역산업관련기획 > 지역산업진흥정책수립및추진 > 경제정책수립및관리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