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2016년 서울시 정보화 시행 계획

문서번호 정보기획담당관-5641 결재일자 2016.4.10. 공개여부 대시민공개 방침번호 행정1부시장 방침 제120호 시 민 주무관 정보기획팀장 정보기획담당관 정보기획관 행정1부시장 박숙경 김순희 신종우 최영훈 04/10 류경기 협 조 Global Digital Seoul 2016년 서울특별시 정보화 시행계획 2016. 4. 서 울 특 별 시 (정보기획담당관) ☞ 해당사항이 있는 부분에 ‘ ■ ’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 비고 : 필요시 검토내용 기재) 구 분 사전 검토항목 점검 사항 검토완료 해당없음 비 고 시민 참여 ● 시민 의견 반영 및 사업 참여 방안을 검토하였습니까? 예) 청책토론회, 설문조사, 시민공모 등 □ ■ 전문가 자문 ● 관련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였습니까? 예) 자문위원회 개최, 타당성 검토, T/F 운영 등 □ ■ 갈 등 ● 이해 당사자 간 갈등발생 가능성을 검토하였습니까? 예) 주택가 공공주차장 조성, 택시 불법영업 단속 등 □ ■ 사회적 약자 배려 ●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를 검토하였습니까? 예) 여성, 아동, 장애인, 한부모 가정 등 □ ■ 선거법 ● 공직선거법에 저촉 여부를 검토하였습니까? 예) 홍보물 배포, 표창수여, 경품지급, 기부행위 등 □ ■ 안전 ● 시민 안전 위험요인과 안전대책을 검토하였습니까? 예) 장소·시설물 점검, 안전관리 인력확보 등 □ ■ 타 기관 ● 타 기관 협의·협력(타 자원 활용 등)을 하였습니까? 예) 중앙부처, 타 지자체, 투자·출연기관, 민간단체 등 □ ■ 홍 보 ● 사업홍보 방안을 검토하였습니까? 예) 보도자료, 기자 설명회, 현장 설명회 등 ■ □ 바른 우리말 ● 서울시 행정 순화어 목록을 확인하였습니까? 예) 별첨, 첨부 ⇒ 붙임, 가이드라인 ⇒ 지침 등 ■ □ 목 차 Ⅰ 서울시 전자정부 현황 1 Ⅱ 2015년 서울시 전자정부 추진성과 9 Ⅲ 2016년 서울시 정보화 시행계획 17 1. 시행계획 수립 개요 2. 서울시 전자정부 정책환경 3. 서울시 전자정부 추진방향 및 과제 4. 2016년 정보화 주요사업 추진계획 17 18 23 28 부 록 85 1. 서울시 전자정부 조직 및 인력현황 2. 기관별 대표 홈페이지 현황 3. 2016년도 전자정부 예산 현황 4. 2016년 서울시 정보화사업 총괄표 5. 2015년 서울시 정보화사업 총괄표 6. 2016년도 자치구 정보화사업 86 92 93 95 112 126 Ⅰ. 서울시 전자정부 현황 새로운 연결, 다른 경험 Global Digital Seoul 2020 1. 인력 및 조직 가. 인 력 : 총 1,003명 (서울시 450명, 자치구 553명) (단위:명) 구분 총계 서 울 시 자치구 직 종 별 기 관 별 계 전산 통신 임기제 행정 기타 계 정보 기획관 타부서 인원 1,003 450 218 120 37 75 450 193 257 553 ․ 서울시 인력 중 ‘행정․기타’ 75명은 정보기획관에 근무하는 인력으로, 일반직 58명(행정42, 토목 2, 지적 5, 기계 1, 전기4, 건축 2, 운전 2), 전문경력관 3명, 관리운영직 14명으로 구성 ․ 임기제는 개방형, 전산, 통신, 전자정부통번역 등 정보화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인력만 포함 ․ '16. 2월 현원 기준 (e-인사마당 통계정보마당) 나. 서울시 전자정부 조직 (5담당관 23팀, 1사업소 3과) ‣ 자치구 조직은 부록 (1. 서울시 정보화조직 및 인력현황) 별도 수록 다. 정보기획관 부서별 주요기능 (※ 참고 : 서울특별시 행정기구 설치조례 시행규칙) 부서(기관)별 주 요 업 무 정보기획담당관 ○ 서울시 정보화사업계획 수립 및 조정 ○ 전자정부 해외진출 및 세계도시 전자정부협의체 운영 ○ 정보화사업 예산 심사 및 기술 검토․감리 ○ 서울시 홈페이지 운영․개발 ○ 웹서비스 기본정책 및 사업계획 수립․조정 ○ 모바일 서비스 정책 총괄 조정․운영 통계데이터담당관 ○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전략계획 수립 조정 ○ 빅데이터 수집․저장․활용업무 총괄 조정 ○ 행정데이터 개방․활용․공유 추진 및 열린 데이터 광장 고도화 ○ 통계 조사계획 총괄 조정, 통계 간행물․통계조사보고서 발간 정보시스템담당관 ○ 행정정보시스템 구축계획 수립․조정 ○ 시도․시군구 행정시스템 운영 및 관리 ○ 행정포털․업무관리시스템 운영 및 관리 ○ 공통행정정보시스템(32종) 운영 및 고도화 공간정보담당관 ○ 공간정보시스템 구축계획 수립 및 조정 ○ 수치지도 제작․갱신․유지관리 ○ 공간정보시스템 표준화 업무 ○ 실내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서비스 확대 ○ 공간정보 분야 뉴딜일자리 사업 추진 정보통신보안담당관 ○ 서울시 정보통신 기본계획 수립 및 조정 ○ 무선인터넷 인프라 구축 및 운영 ○ 정보보안 계획․정책 수립 및 개인정보보호 확립 ○ 서울시 통합보안관제센터 운영 및 사이버 침해사고 대응 데 이 터 센 터 ○ 데이터센터 사업계획 수립․조정 및 총괄 ○ 정보시스템(서버, 스토리지 등 IT 하드웨어 자원) 운영 관리 ○ 데이터센터 정보통신, 정보보호 시스템 운영 ○ 취약계층 정보격차 해소 및 정보역량 강화 2. 전자정부 예산 (단위 : 백만원) 연 도 서울시 예산 (총예산) 서울시 예산 (순계기준) 전자정부 예산 (본청․사업소) 전자정부 예산 비율(순계비율) 2016년 27,503,758 24,235,017 207,593 0.75%(0.86%) 2015년 25,518,445 22,842,748 200,503 0.79%(0.88%) 2014년 24,413,332 21,549,786 158,293 0.65%(0.73%) 2013년 23,506,900 20,628,720 149,109 0.63%(0.72%) 2012년 21,782,900 19,949,633 126,151 0.58%(0.63%) 2011년 20,585,000 18,994,612 129,591 0.63%(0.68%) 2010년 21,257,300 170,445 0.80% 2009년 21,036,900 162,303 0.77% 2008년 19,434,300 96,578 0.50% 2007년 16,920,000 123,657 0.73% 2006년 15,160,000 120,054 0.79% 2005년 14,565,800 120,497 0.82% ※ 건축사업 예산 포함 : IT-Complex 건립(’07~’16) : 228,808백만원, 개포디지털혁신파크(’15~’16) 10,684백만원 ○ 서울시 총예산 대비 정보화 예산 추이(’05~’16) 서울시 총예산 정보화 예산 전자정부 예산 (건축사업 포함) 전자정부 예산 (건축사업 제외) 3. 정보서비스 및 자원 현황 가. 시 홈페이지 서비스 운영 현황 : 135개 (단위:개) 합계 국문 외국어 비고 135 115 20 영어7, 중국어7, 기타6 나. 시 정보시스템 운영 현황 : 614종 (단위 : 개) 계 개별(자체) 공통 시스템 표준 단일 기타 614 499 19 96 0 ※ 개별(자체) : 우리시 자체 개발 보급 시스템 ※ 공통시스템 : 중앙부처에서 16개 시도 공통업무로 배포한 시스템 - 표준 : 프로그램은 중앙부처에서 유지관리하고 서버는 SDC에서 유지관리 - 단일 : 프로그램 및 자산을 중앙부처에서 유지관리하고 우리시는 서비스만 이용 다. 전자정부 자원 정보자원(H/W) 현황 ○ 서버 1,025대, 스토리지 75대, 자동백업장비 13대, 부가장비 64대 (단위: 대) 백오피스 프론트오피스 서 버 스토리지 자동백업 기 타 서 버 스토리지 자동백업 기 타 538 52 11 38 487 23 2 26 통신 장비 및 회선 ○ 통신장비 256대 (단위 : 대) 계 프론트 오피스 백 오피스 인터넷 LAN e-Seoul Net 국가정보통신망 사업소, 유관기관 기타 256 82 99 9 26 5 6 11 18 ○ 데이터회선 46회선 (단위: 회선) 계 사업소 인터넷 국가정보통신망 외부행정기관 유관기관 ADSL 46 22 3 2 5 12 2 정보보호시스템 현황 (단위: 대) 계 침입차단 침입방지 VPN DDOS/QOS 접근통제 기타 87 27 10 32 2 2 14 기전시설 (단위: 식) 계 기계시설(27식) 전기시설(92식) 항온 항습기 소방 시설 승강기 UPS 발전기 축전지 수배전 분전반 변압기 119 25 1 1 3 3 3 32 47 4 라. 정보통신 자원 서울시 초고속정보통신망(e-Seoul Net) 현황 ○ 서울시 주요행정기관 총 35개 기관을 광케이블로 연결(지하철구간 활용) ○ 36대의 전송장비와 e-SNOC(Seoul Network Operating Center)로 24시간 운영 (단위 : 대) 광선로설비 M/E(Metro-Ethernet) 전송장비 인터넷 광케이블 통신관로 수공 20Gbps 스위치 10Gbps 스위치 스마트 라우터 224km 26km 177기 7 29 2 u-Seoul Net 정보통신 현황 ○ 서울시 주요행정기관 총 32개 기관을 광케이블로 연결(지하철구간 활용) ○ 91대의 광전송장비 및 광케이블 구축(2011. 2. 구축완료) (단위 : 대) 광선로설비 u-서비스망 CCTV망 무선망 인터넷 정보보호 광케이블 20Gbps스위치 10Gbps스위치 20Gbps스위치 10Gbps스위치 20Gbps스위치 10Gbps스위치 10Gbps 스위치 DDOS 196km 6 23 6 24 6 24 2 2 행정정보 통신장비 현황 (단위 : 대) 구분 정보통신 운영 장비 백 본 스위치 워크그룹 스위치 엑세스 스위치 라우터 원거리사무소 VPN UPS 항온항습기 수량 6 23 279 2 19 2 12 ※ 기타 남산한옥마을, 민방위교육장 등 25개 원거리사무소 통신망 운영 정보보호시스템 현황 ○ 통합보안관리시스템(ESM), 침입차단시스템, IPS 등 15종 71대 (단위 : 대) . 계 통합보안관리 침입 차단 (F/W) 침입 방지 (IPS) 유해 차단 좀비 PC 로그 분석 DDoS 방어 Virus방역 VPN 다중영역 보안 해킹분석 포렌식 APT대응 시스템 종합 분석 T M S E S M 71 2 3 9 9 9 6 11 1 2 3 1 6 4 1 4 개인정보보호시스템 현황 ○ 개인정보노출점검시스템, 개인정보필터링시스템 등 7종 21대 (단위 : 식) 계 개인정보 노출점검 개인정보 필터링 자료유출 방지 보안 USB PC개인정보 암 호 화 시 스 템 보안서버 점검시스템 웹하드 시청 구청 23 6 11 1 1 1 1 1 1 다기능사무기기 보유 현황 구 분 PC 본체 모니터 노트북 보급대상 보유현황 15,632 15,986 1,326 본청․본부․사업소 전기관 (상수도사업본부 제외) ※ 다기능사무기기 구매 및 관리의 효율화를 위해 통합 구매 (2008.1~) : 정보통신보안담당관 공공 WiFi 설치 현황 ○ 용도별 : 총1,632지역 5,220AP [공공 1,587(4,596), 공공 45(624)] [단위 :지역( AP)] 구 분 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계 1,632 /5,220 36 /327 149 /730 288 /935 499 /1,598 660 /1,630 공공 이통사협력 977 /2,475 24 /117 128 /496 218 /600 288 /630 319 /632 국비지원 546 /1,990 63 /266 207 /862 276 /862 자 체 64 /131 64 /131 행정 45 /624 12 /210 21 /234 7 /69 4 /106 1 /5 ○ 지역별 [단위 :지역( AP)] 연도별 계 공 공 행 정 주요거리 전통시장 광장 공원 문화관광 버스 승차대 국비지원 (복지센터 등) 공공 기관 계 1,632 /5,220 303 /826 142 /521 31 /71 468 /968 47 /170 50 /50 546 /1,990 45 /624 2011년 36 /327 17 /90 7 /27 12 /210 2012년 149 /730 43 /183 9 /39 12 /30 52 /202 12 /42 21 /234 2013년 288 /935 48 /120 78 /252 6 /10 72 /158 14 /60 63 /266 7 /69 2014년 499 /1,598 46 /98 49 /204 10 /21 127 /244 6 /13 50 /50 207 /862 4 /106 2015년 660 /1,630 149 /335 6 /26 3 /10 210 /337 15 /55 276 /862 1 /5 4. 정보서비스 시민 이용현황 홈페이지 일일 방문자 현황(‘15년 기준) (단위 : 명) 구 분 서울시 홈페이지 메인 홈페이지 일일 방문수 235,395 74,583 공공서비스 예약 및 운영 현황(‘15년 기준) (단위: 건) 분야 총계 체육시설 시설대관 교육 문화행사 진료 566,245 (일평균 1,551건) 231,737 204,737 105,600 23,738 433 모바일서울(m.Seoul) 이용현황 ○ 2015년 1일 평균 이용실적 방문자수(명) 방문수(건) 접속건수(건) 비고 27,000 503,109 633,767 2015.1.1~12.31 ○ 모바일서울앱 누적 다운로드 : 총 145,531건 (‘13.11.28~’15.12.31) ※ 스마트폰용 – 모바일서울앱(아이폰․안드로이드폰), 모바일WEB(m.seoul.go.kr), 일반휴대폰(피처폰)용 - 모바일WAP(모바일 단축번호 "02") Ⅱ. 2015년 서울시 전자정부 추진성과 2015년에는 ‘데이터 기반 디지털서울 구현’ 이라는 비전 아래, 급변하는 디지털 패러다임의 변화에 발 맞추어 사물인터넷 도시 조성, 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 기반 행정, 시민 중심 참여시정 등 시민 체감형 디지털 환경을 구현하려는 노력들을 추진하였으며, 전자정부 분야 글로벌 리더로서의 국제적 위상을 공고히 하였음. ○ 2013~2014년 세계 대도시 전자정부 평가에서 세계 1위 도시로 선정 되어 2003년부터 6회 연속(2년마다 평가) 세계 최고 전자정부 도시 위상을 이어가게 되었음 세계 대도시 전자정부 평가는 미국 럿거스대학교 공공행정학과 소속 전자정부 연구소 주관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서울은 85.8점으로 2위 뉴욕의 66.15점, 3위 홍콩 60.32점과 월등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시민참여 부분에서 많은 점수를 받았음 ○ 새로운 초연결 디지털 사회에도 서울시가 디지털 분야 리더십을 선점하고 시정 전 분야에 걸쳐서 디지털을 적용하고 시민이 행복한 도시를 만들기 위한 서울디지털 5개년 기본계획「Global Digital Seoul 2020」을 수립하였음 시민의 의견을 온․오프라인으로 수렴하고 공청회, 디지털닥터단의 정책 자문, 정보화전략위원회 자문회의 등 다양한 검토를 통해 시민이 주도하는 ‘소셜특별시’, 경제를 키우는 ‘디지노믹스’, 시민 불편을 혁신적으로 해결하는 ‘디지털사회혁신’, 세계를 선도하는 ‘글로벌디지털리더’로 구성된 4대 전략에 54개 실행과제를 수립하였음 [ Global Digital 2020 비전 체계도 ] ○ 제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로 부상하고 있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하여 안전, 복지, 교통, 관광, 환경 등 서울의 다양한 도시문제 해결을 추진하였음 관광 수요 증가로 기존 거주민의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는 북촌을 시범지역으로 지정하고 공공 WiFi, 공간정보 API 등 기본 인프라를 구축하여 민간에 전면 개방하고 스타트업 등 민간 기업에서 이를 융합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기반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개발 제공하는 방식으로 추진하였음 북촌 주요거점내에 주민, 관광객, 개발자가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경험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체험 및 협업공간인 리빙랩 7개소를 조성하였음 \ [] [ 재동초등학교 - IoT 미래교실 ] [ 스마트 쓰레기통 ] [ 서울시 와이파이 구축 ] [ 민관협력 북촌 센서 지도 ] [ 스마트방재시스템 ] 다양한 IoT디바이스와 서비스의 연계 관리가 가능한 개방형 플랫폼을 구축하여 ’16년 이후의 사물인터넷 도시 인프라 환경 구축시 활용하고자 함 ○ ‘데이터기반 디지털시정 구현’ 을 위하여 도시 전반의 복잡한 현안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기 위한 주체로서 민관 빅데이터를 융합 분석할 수 있는 시민 참여형 빅데이터 플랫폼을 마련하여 데이터 기반의 사회 혁신 생태계를 구현하고 있음 민관협력을 통한 빅데이터 융합 분석을 위해 한국전력, 신한카드, 비씨카드, KT 등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자영업자를 위한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서비스, 장애인 이동편의 증진을 위한 이동권 분석, 문화관광 축제사업 효과분석 등 시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에 빅데이터를 활용하고 있음 ① 진입장벽이 낮고 밀집 포화 상태인 골목상권에 대한 경쟁구조, 소비자 트랜드 등 상권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서비스 ② 문화관광 축제사업 효과 분석(드럼페스티벌 등 5개 축제) ③ 서울시 결핵환자 발생 및 유형구분에 따른 지역의 특성요인 분석 ④ 장애인 이동편의 증진을 위한 이동권 분석을 수행하였고 자치구 과제로 마을버스 노선 조정, 교통안전 표지판 효과, 교통사고 예방, 주차문제 해소, 축제 효과 분석(서대문구,물총)을 추진함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 서비스 장애인 거주 및 이동지역 분석(예시) ○ 사회․경제적으로 활용가치가 높은 공공데이터를 발굴․개방하여 민간 비즈니스 창출 기회 제공 및 IT 산업 육성에 기여하고자 2015년말 4,300여개의 데이터셋을 개방하고 있으며 데이터간의 공유와 이용 활성을 위한 LOD서비스 및 시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주제별 시각화 서비스를 구축하였음 시민에게 유용한 데이터 개방 건수는 985개(’12)→2,524개(’13)→2,916개(’14)→4,312개(’15)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5개 자치구 열린데이터 광장을 구축 오픈하여 자치구 데이터 개방 확대하여 운영중임 한눈에 보는 서울시 예산 구별 유치원 원아수 가구원수별 변화 추이 ○ 모바일투표 ‘엠보팅’을 통한 시민참여제도 연계 및 자치구 확대로 지역기반의 주민참여 활성화 및 민주적 시정 협치를 확산하였음 엠보팅은 시민의 의견을 받아들이는 소통 플랫폼으로써 서울시 주민참여예산 제안 사업선정에 엠보팅을 통한 전자투표를 실시하여 약 10만명이 투표에 참여하였으며 정책서포터즈와 시민모니터단을 운영하여 서비스 활성화와 올바른 투표문화 정책을 위해 노력하였음 (‘15년 말 현재 앱 다운로드 수 111천건, 투표참여자 617천명, 정책반영 121건) ○ 서울시 홈페이지는 시민생활과 밀접한 데이터기반 분석을 통해 시민 중심 기획 콘텐츠 발굴․서비스 활성화로 시민 공감․소통 시정 구현하였음 인기 검색어, 설문조사 결과 등 데이터 분석을 통해 보행전용거리(3월), 광복70년 서울근대역사여행(5월), 골목길(7월) 등 디지털스토리텔링 콘텐츠 기획․제작하고 봄꽃길(3월), 지하철9호선 교통대책(4월), 메르스 대책․신고하기(6월),하이서울축제(10월) 등 시정 이슈, 시기․계절에 따른 시민관심 콘텐츠 중심 메인페이지를 운영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였음 보행전용거리 광복70년서울근대역사여행 골목길 가을정취 ○ 서울시 대표앱 ‘모바일서울앱’은 생활속에서 즐겨찾고 이용하기 편리한 최상의 모바일서비스를 제공하고 시정업무에 모바일을 도입하여 이용실적 증가함 가장 많이 이용하는 버스도착정보의 화면 개편 및 지도․사진을 추가하고, 둘레길․골목길 모바일전용 콘텐츠 및 태블릿 전용 메인화면을 제작함 시정업무에 모바일의 즉시성․편리성을 도입하여 시민들이 참여하는 행사 및 모집시 모바일 신청을 제공하여 많은 호응을 받음(대학생 여름/겨울방학 아르바이트 모집, 남산100만인․둘레길걷기 등) (2015년 이용실적 : 일방문수 50만명, 모바일서울앱 다운로드 14만5천건) 모바일서울앱 메인화면 생활 - 버스도착정보 고도화 신청 - 대학생 방학 알바 모집 ○ 기존 제작된 정책지도를 최신현황으로 갱신하여 1년간의 변화모습을 통해서 우리시 주요정책에 대한 성과를 공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시민들과 공유하였고, 지도 위에 공공정보를 쉽고 빠르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울형 지도태깅을 무료로 제공하였으며, 서울의 모습과 삶이 담긴 디지털 역사지리지를 발간하여 서울시를 이해할 수 있는 기본 지침서로 활용하도록 체계를 정립하였음. 시민들이 정책지도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PC 및 모바일웹으로 제공하고,새로운 도로명 주소법(도로명 주소, 국가기초구역, 국가지점번호)을 기초로 한 서울형 지도태깅 기능으로 개선하였고, 서울특별시 지리지를 제작하여 중앙부서, 시청, 자치구 및 도서관 등 필요 부서에 배부하였음 모바일웹페이지 모바일웹페이지 ○ 생활주변의 각종 불편사항을 모바일앱을 통해 편리하게 신고하고 처리되는 것을 느낄 수 있는 「서울 스마트 불편신고」를 운영하였음 주요기능 개선으로 편의성을 증대하고, 자원봉사 시간인정과 연계함으로써 신고건수가 전년대비 218% 증가하였음 [113,778건(’14) → 247,768건(’15)] ○ “제4회 서울앱페스티벌”을 개최하여 디지털 신기술 교류 및 창업 기업 지원을 통해 산업발전에 기여하고 시민 누구나 첨단 기술(드론, 웨어러블, 사물인터넷, 3D프린터, 가상현실 등)을 자유롭게 즐기고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하였음 서울시장과 글로벌 기업대표 간담회, 글로벌 기업 디지털 기술동향 강연, 드론 재난구조 경진대회, 공간정보 기술사 합동 컨퍼런스, 공동학술대회, 스마트 골든벨 등을 개최하였음 서울시장과 글로벌 기업대표 간담회 컨퍼런스 공동학술대회 드론 재난구조 경진대회 전시 및 체험 ○ 시민들이 모바일을 잘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서울 WiFi 확대 구축과 스마트폰 충전 서비스를 실시하였음 서울 WiFi 설치대수는 ‘15년말 현재 1,632개지역, 5,220AP 이며, 스마트폰 무료 충전 서비스도 서울시내 공원, 공공시설, 행사장 등에 이어 공공기관에까지 확대 운영하고 있음(도서관, 공원 등 운영 장소 408개소, 충전기 5,728개 운영) ○ 정보취약계층의 스마트 기기 적응력 향상과 사회활동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IT복지 사업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음 정보취약계층에 사랑의 PC 보급(3,000대), 장애인 정보통신보조기기 보급(600대), 장애인, 고령층 등 정보취약계층 정보화교육(17,424명), 정보소외계층 대상 스마트기술 활용 교육(4,761명) 등 다양한 정보격차 해소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 행정포털을 통한 부서․직원간 소통과 협업을 강화하기 위해서 “SNS게시판” 개설, 행정포털 만족도 평가, 커뮤니티 메뉴를 통한 소통강화 등을 추진하고 있음 서울시 170여개 내부 행정정보시스템을 권한에 맞게 접근하는 관문 역할을 하고 있는 행정포털은 직원들간의 협업을 위해 메일, 메신저를 더욱 활성화시키고, 시장과 간부들간의 소통을 위한 “원순씨와 통”을 2015.3월에 개설하였으며, 모바일 오피스를 통해 시업무공지, 경조사, 시정연합뉴스 등 서울시 주요정보를 24시간 모바일로 제공하고 있음 ○ 신속하고 효율적인 업무처리를 위해 서울형 업무관리시스템을 개선하여 업무효율성과 문서 공동활용을 추진하고 있으며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관련 솔루션을 도입하여 기안 시부터 개인정보 유출에 대비하고 있음 ○ 보안관제기관 확대, 통합 정보보호시스템 확충 및 안정적 운영으로 서울시 정보보호 수준을 강화하고 사이버보안 대응능력과 개인정보보호 관리수준을 향상하였음 서울시 보안관제기관을 10개 확대하여 54개 기관으로 운영 중에 있으며 통합 정보보호시스템을 36종 250식으로 확충하였고 개인정보 영향평가를 6개 시스템에 수행하고 20개 기관의 관리실태 점검을 수행하여 개인정보 침해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있음 ○ 정보자원 통합 및 공동 활용을 위한 정보자원 통합인프라 구축사업을 추진하였고, 클라우드 기반의 미래형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해 정보화전략계획을 수립하여 클라우드센터 구축․운영기반을 마련하였음 서울시 31개 부서 43개 사업에 대한 H/W 및 S/W을 통합․도입하여 정보시스템 가용성, 안정성 확보 및 정보자원 관리효율성을 제고하였고, 상암동 S플렉스센터에 클라우드센터 구축을 위해 기본 인프라 설계, 서울시 5개 전산실 통합 및 이전계획 및 데이터센터 중장기 발전계획을 포함한 서울시 클라우드센터 정보화전략계획을 수립하였음 ○ 정보자원 인프라의 국내 ICT제품 사용률 제고로 외산제품 편중현상 개선과 국내 ICT 산업발전에 기영함은 물론 시 정보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도모하였음 서버 4대, NAS 스토리지 1대, L2 스위치 2대를 ICT 인프라 환경을 구축하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등 공인기관으로부터 성능테스트를 수행하여 서울시 ICT 노후장비 교체 및 신규장비 도입에 확대 적용 추진함 ○ 상암 DMC 내에 IT기술과 문화콘텐츠, 디지털 미디어 역량을 집약한 국제적 랜드마크 S플렉스센터를 2016년 6월 개관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음 S플렉스센터는 지하7층 지상21층 2개동, 연면적 81,969㎡규모로 e-Sports 경기장, 애니메이션기술지원센터, 교통방송, 클라우드센터, IT공방과 기타 부대시설이 입주할 예정임 ○ 서울시가 의장도시로 참여하고 있는 세계 도시 전자정부 협의체(WeGO)는 ‘15. 9월 러시아 율리아노브스크에서 집행위원회를 개최하고, ‘15. 11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는 Smart City Expo World Congress에 WeGO회원도시와 함께 참여하여 글로벌네트워크 및 홍보를 강화하였음 ‘14.4월부터 WeGO 전담 사무국을 설치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세계 99개 도시가 회원으로 가입하여 활동하고 있음(’16. 4월 기준) ○ WeGO회원도시 전자정부 사전 타당성 조사를 통해 시민 참여형 전자정부 타당성 컨설팅을 수행하고 현지 적용 가능한 시범 서비스를 설계 구축함 베트남 하노이, San Ferdinando La Uuion /Quezon(필리핀) ○ 특히 ’16.1월 국제관계 전문가인 남영숙 사무총장을 임명하여 WeGO의 위상 제고 및 국제기구와의 교류협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바르셀로나 스마트시티 엑스포 2015 WeGO 집행위원회 베트남 하노이 F/S 사업 교육 Ⅲ. 2016년 서울시 정보화 시행계획 1 시행계획 수립 개요 가. 추진목표 새로운 초연결 디지털 사회에 서울시가 디지털분야 리더십을 선점하고 시정 전분야에 걸쳐 디지털을 적용하는 「서울디지털기본계획 2020」과 연계하여 2016년 서울시 디지털 시정 추진방향, 목표 수립 및 이에 따른 사업별 세부 시행계획을 마련하여 이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함 < 수립근거 > ○ 서울특별시 정보화기본조례 ‘제6조 정보화시행계획의 수립·시행’ ‣ 매년 정보화시행계획을 서울특별시정보화전략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수립·시행하여야 함 나. 대상기관 : 서울시 실·본부·국 사업소(자치구 포함) 정보화 사업 다. 추진방향 ○ 민선6기 서울시정 비전과 서울시 전자정부 비전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고 서울디지털 기본계획 2020과 연계될 수 있도록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보화계획 수립 ○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 및 시정 환경에 탄력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수립 ○ 모든 시민이 정보를 공유하고 시너지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는 디지털 환경 구현 라. 소요예산(서울시 기준) : 총 451개 사업 207,593백만원 ‣ 총 순계예산 24,235,017백만원 대비 전자정부 예산 비율 0.86% - 정보기획관 추진사업 : 79개 사업 95,949백만원 - 타 실국본부 소관 추진사업 : 372개사업 111,645백만원 ※ 25개 자치구 예산 : 957개 사업 106,534백만원(시구총계 3,141억원) 2 서울시 전자정부 정책환경 가. 서울시 전자정부 패러다임 변화 ○ 서울시 IT행정은 시정운영 기조와 디지털시대의 변화를 빠르게 반영하여 시민중심의 IT환경을 구현하여 왔으며, 소통․개방․공유․협업의 패러다임을 선도하고 있음 ○ 1999년 CIO제도가 처음 도입 된 이후, CIO리더쉽 체제의 강력한 전자정부 추진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 행정업무 시스템화, 웹서비스 등 정보화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였음. ○ 2003년에는『서울정보화 마스터플랜과 전자정부 로드맵』을 수립하여 1단계로 2003~2004년까지 ‘정보서비스와 자원의 통합과 연계’ 정책을, 2단계로 2005~2006년까지 ‘전자정부 서비스 시민이용활성화와 통합정보자원 고도화’ 정책을 본격 추진하게 되었음. 다수의 홈페이지를 시민 관점에서 단일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통합하였으며, 서울시 데이터센터를 개관(2004년)하여 기관에 산재된 전산실을 통합하고 H/W 도입, 운영, 유지보수까지 일원화하는 서울시 정보자원 통합인프라 구축사업을 추진하였음. 서울시 및 35개 주요기관을 183km의 초고속 광케이블로 연결하는 자가망 e-Seoul Net 개통, 서울시 EA(Enter prise Architecture)기반 프로젝트 방법론 완성, 통합정보보호체계 수립 등으로 전자정부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음 ○ 2006년(2006~2010년)에는『u-Seoul 마스터플랜』을 수립하여 「유비쿼터스 서울, 세계 최고의 전자정부」를 비전으로 ① 다양한 e-서비스 제공 ② e-시민참여 확대 ③ 디지털행정 추진 ④ 첨단형 도시관리 ⑤ u-Seoul 추진 등 5대 정책 사업을 추진하였음 참여, 공유, 개방을 지향하는 Web2.0을 시정에 도입하였고, 온라인을 통한 시민참여를 획기적으로 확대하였음. 모바일 환경과 연계하여 언제 어디서나 참여할 수 있는 모바일 포털 m702을 구축하였고, 도시 안전을 위해 공간정보 기반의 행정서비스 및 지능형 도시 관리를 추진하였음. u-서울 구축을 위한 무선 인프라 시범 조성 및 u-서비스 시범사업 등이 추진되었으며, 보안관제센터를 구축하고 관련기관들과 공조체제를 마련함으로써 365일 24시간 사이버 침해사고 대응 수준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였음 ○ 2011년(2011~2015년)에는 시민과 함께하는 행복한 스마트 서울 『Smart-Seoul 2015』계획을 수립하여, ① 스마트 인프라 확충 ② 스마트 정보격차 해소 ③ 지속가능 복지실현 ④ 온라인 시민소통 ⑤ 시민공감 맞춤형서비스 ⑥ 스마트 정보보안강화 ⑦ 안전한 서울 ⑧ 에너지 절약도시 ⑨ 스마트 도시 생활 ⑩ 서울형 지식서비스 산업 ⑪ 공공정보개방 ⑫ IT서울 세계 리더쉽 확보 등 4대분야 12개 과제를 2015년까지 추진하였음 ‘개방, 공유, 소통의 열린 시정 2.0’ 과 연계하여 ‘열린 전자정부’를 구현하였으며, 유무선 통합인프라를 기반으로 공공 정보 개방, 시민 맞춤형 서비스, 모바일 시정 추진 등 양방향 시민 소통 및 참여가 확대되었음 민관 협력을 통한 융합 빅데이터 분석으로 심야버스 노선 수립 등 도시문제 해결을 추진하였으며, 다양한 문서와 컨텐츠가 시민들에게 공개되었고 개방, 공유된 서울의 공공데이터와 공간정보데이터를 활용하여 민간으로부터 다양한 앱, 서비스 개발 및 활용 사례들이 확대되었음 ○ 이러한 노력은 2003년 미국 행정학회와 UN의 후원으로 미국 럿커스대학교(RutgersUniversity)와 성균관대학교가 공동으로 실시한 세계 100대 도시 전자정부 평가에서 서울시가 처음으로 1위에 선정된 이후, 6회 연속(2년마다 평가) 1위 도시로 선정되어 세계 최고 전자정부 도시 위상을 이어가게 되었으며, 서울이 전자정부 글로벌 리더쉽을 발휘하여 ‘세계 도시 전자정부 협의체(WeGO)’를 창립하는 계기가 되었음. 세계 도시 전자정부 협의체는, 2008년 서울시가 주도하여 추진한 ‘세계 도시 전자정부 시장포럼’에 모인 35개 도시 시장(대표)가 ‘서울 전자정부 선언’을 통해 협의체 창립을 발의하면서 시작되었으며, 2009년 CIO포럼, 2010년 창립총회를 통해 최종 설립되었음. 현재 99개 도시가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으며, 서울은 전담 사무국을 운영하며 3회 연속 의장도시로 선출되어 활동 중에 있음 ○ 2013년에는 ‘99년 이후 계속 사용하였던 정보화기획단의 명칭을 ’화‘자를 떼어내고 정보기획단으로 변경하였음. 시대적 수요와 IT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조직의 주 역할이 인프라 구축의 ‘정보화 촉진’에서 ‘정보 활용’ 측면으로 변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구 명칭에 대한 개정이 필요하게 되었음 이에 따라 ‘정보’의 수집․분석․융합을 통한 신행정서비스 창출과 시민들의 다양한 서비스 수요에 부응한다는 의미로「정보기획단」이라고 명칭을 바꾸게 되었음 ○ 현재사회에서 디지털은 시민생활 양식 뿐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산업, 문화 등 모든 분야에 있어서 변화와 혁신을 주도하는 동인(Driver)의 역할을 하고 있음. 디지털을 행정의 동력으로, 부서간 협업을 통해 새로운 행정 가치를 창출하고, 행정 경험과 민간의 지혜를 결합하여 창의적 협력기반을 마련하는 민관 거버넌스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하며, 시민이 자유롭게 행정에 참여하여 콘텐츠를 생성하고, 서비스를 공유하는 시민협력 플랫폼을 만들어 가고자 함 ○ 향후, 디지털은 행정, 도시, 생활의 모든 곳에서 따로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항상 같이 있는 일상이 될 것임 서울시 전자정부 역할도 새로운 디지털 서비스를 만들기 보다는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정보를 생산하여 유통하고 분석하여 활용할 수 있을까를 연구하는데 초점을 맞추게 될 것이며, 이를 위하여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에 집중하게 될 것임 ○ ’16년 2월에는 서울이 새로운 초연결 디지털 세상에서도 IT분야 리더쉽을 선점하고, 세계에서 사물인터넷을 가장 잘 활용하는 시민․도시를 만들기 위한「서울디지털기본계획 2020」을 수립하였음 서울시는 세계 1위 전자정부 성과를 지속 발전시키고, 민선6기 시민중심 정책환경 변화에 부응하며, 새로운 초연결 디지털 사회에서도 서울시가 디지털분야 리더십을 선점하고 시정 전 분야 걸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여 시민이 행복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수립하였음 서울의 정보화 비전을 “새로운 연결, 다른경험 Global Digital Seoul 2020” 으로 정립하고 시민 참여(주도) 디지털 정책 추진, 신성장 디지털 산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 시정의 디지털화 확대로 시민 생활 개선, 세계에 전자정부 교류로 ‘함께 서울’ 가치 확산을 4대 목표로 설정하였으며 목표달성을 위해 4대 전략, 54개 이행과제 선정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고자 함 [서울시 디지털정책 변화 단계] 나. 디지털 정책 환경 󰏚 정치적 환경 : 열린정부(Open Gov.) 부상 및 개인의 권력 접근성 확대 ‣ 선진적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개방․공유․협력의 정책 환경 도래 ‣ 스마트기기․SNS등 소셜미디어 확대로 개인의 정책 참여 접근성 향상 ‣ 커뮤니케이션 기술 발달은 범국가적 이해집단 네트워크 형성 촉진 ‣ 열린 정부 구현을 위한 시민 주도 정책 마련 필요 󰏚 경제적 환경 : 세계 경제 저성장기조 지속 및 소득 양극화 심화 ‣ 국가간 경제 사회적 교류 증가로 경제적 안정성 하락 및 고용 창출 부진 ‣ 세계경제는 저성장이 전망되며 유럽국가 대비 한국 창업기업 생존율 저조 ‣ 대기업 대 중소기업, 개인 대 개인간 소득격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소득 격차 감소를 위한 분배정책 지속 필요 ‣ 경제 저성장 기조 지속에 따른 신성장동력 확보를 통한 경제활성화 필요 󰏚 사회적 환경 : 세계 인구 증가와 고령화 추세 및 다양한 도시문제 발생 ‣ 세계인구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노동력 부족 및 성장률 둔화 우려 ‣ 미혼․이혼․별거 증가와 고령화 등으로 1인 가구 복지 수요 증가 ‣ 고용, 의료, 교육, 복지 등 삶의 편의성 향상이 최우선 과제로 부상 ‣ 국제적 재난, 재해, 테로 등 사회 불안 요소 증가로 경제․사회적 비용 발생 ‣ 도심지역 업무 집중 지속에 의한 승용차 증가로 주차 문제 심각 ‣ 국제적 이동수단 발달로 서울의 외국인 방문객 수 지속 증가 ‣ 복잡․다양한 도시문제 해결 도구로 첨단 기술의 선제적 적용 필요 󰏚 디지털 환경 : 사용자 참여기반 실생활 중심으로 디지털 기술환경 변화 ‣ ICT 기술 융복합형 사물인터넷(IoT)기반으로 도시문제 해결형 서비스 확산 ‣ 유럽 중심으로 혁신적 아이디어 실현 및 사용자 주도형 IT서비스 리빙랩 모델 부상 ‣ 시장 경제의 양축인 공급자와 소비자간 경계가 점차 허물어지고 있으며 앱스토어나 유튜브 등 활동을 통한 ‘생산적 소비자’인 프로슈머 대폭 증가 ‣ 실생활 밀착형 디지털 서비스 확대로 시민 삶의 가치 향상 필요 3 서울시 전자정부 추진방향 및 과제 가. 비전체계도 나. 추진방향 및 주요과제 󰏚 시민이 만드는 소셜특별시 ‣ 시민 주도형 디지털 거버넌스 구축 ‣ 시민 소통 채널 강화 ‣ 민간자원과 연계 협력 ○ 시정 정책의 수요자인 시민 중심, 시민주도형 디지털거버넌스 체계 구축 ○ 데이터에 기반한 시민중심 디지털 서비스 제공 ○ 모바일 투표 ‘엠보팅’을 통한 시민참여 활성화 ○ 온라인을 통한 시민 여론 수렴 활성화 ○ 민‧관‧산‧학 파트너십으로 빅데이터 캠퍼스 설치 및 운영 ○ 열린 시정의 가치향상을 위한 민·관 오픈데이터 이용 활성화 ○ 글로벌 디지털 기업과의 전략적 협력관계 구축 󰏚 경제를 키우는 디지노믹스 ‣ 창업 인큐베이팅 활성화 ‣ 디지털 경제 통합 플랫폼 ‣ 기존산업과 디지털 융합 ○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도시문제 해결 활성화를 위한 서울 사물인터넷 인큐베이션 센터 구축 운영 ○ ICT 중심의 다양한 분야간 융합을 통한 신성장 동력 창출과 창의적 인력 양성을 위한 개포디지털혁신파크 조성·운영 ○ 앱개발자 육성 지원 확대를 위한 서울 앱비즈니스센터 설치·운영 ○ 디지털 도시 서울 구현을 위한 서울 디지털재단 설립·운영 󰏚 시민 삶을 바꾸는 디지털 사회혁신 ‣ 디지털을 통한 도시문제 해결 ‣ 디지털을 통한 시민 삶의 가치 향상 ○ 재난현장의 One-Stop 상황판단 및 의자결정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스마트 긴급구조통제단시스템 구축 ○ 첨단기술 활용 미래 지향적 재난대응 체계 구축 ○ 안심 지키미 CCTV 확충 및 개인영상정보 보호 강화 ○ 효율적 주차공간 활용으로 도심 주차난 해소 추진 ○ 전자식 계량기 보급을 통해 지능형 전력계량시스템 구축 ○ 대기환경 정보를 시민에게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제공 ○ 찾아가는 복지와 생애주기별 맞춤서비스, 생활복지통합정보시스템(BigCare) 구축 ○ 50+세대를 위한 온라인 소통공간 “50+포털” 확충 ○ 정보취약계층 정보역량 강화 및 사랑의 PC 보급 ○ 문화행사정보 통합관리를 통한 맞춤형 문화정보 제공 󰏚 세계를 선도하는 글로벌 디지털 리더 ‣ 첨단 디지털 기술 선제적 적용 ‣ 세계 최고, 디지털 인프라 구현 ‣ 디지털사업 추진 역량 강화 ‣ 세계 시민과의 디지털 경험 공유 ○ 민간기업과 시민이 함께하는 서울 사물인터넷 실증지역 확대 조성 ○ 클라우드 서비스 실현을 위한 미래형 데이터센터 구축 ○ 오픈 이노베이션 환경 제공을 위한 사물인터넷 플랫폼 고도화 ○ 민․관데이터를 융합․분석할 수 있는 빅데이터 공유·활용 플랫폼 고도화 ○ 도시공간정보 연계 활용을 위한 공간정보 공유․활용 확대 ○ 초고속 정보통신 인프라 고도화 ○ 공공 무선인터넷(WiFi) 인프라 구축 ○ 서울시 전 기관 통합보안관제 시행 ○ 해외교류 협력 강화 및 전자정부 정책(서비스) 해외진출 확대 다. ’16년 예산 현황(자치구 제외) ○ 2016년 정보화예산은 207,593백만원으로 시 총예산(순계) 대비 0.86%로, 전년대비 7,090백만원 증가 - 정책방향별 사업수 및 예산현황 (단위: 백만원) 사업수/사업비 정책방향 총계 정보기획관 실국사업소 사업수 사업비 사업수 예산 사업수 예산 총계 451 207,593 79 97,091 372 111,645 시민이 만드는 소셜특별시 139 32,505 20 10,098 119 22,408 경제를 키우는 디지노믹스 16 36,900 4 25,770 12 11,130 시민삶을 바꾸는 디지털사회혁신 115 51,890 7 7,243 108 44,647 세계를 선도하는 글로벌디지털리더 181 86,297 48 52,837 133 33,460 정책방향별 현황 예산규모별 현황 - 예산 항목별 현황 (단위: 백만원) 구분 총 계 일반 운영비 전산 개발비 자산 및 물품취득비 시설비 민간 위탁금 기타 예산 207,593 75,500 28,303 38,541 35,718 16,737 12,794 비율 100% 36.37% 13.63% 18.57% 17.21% 8.06% 6.16% - 실․본부․국별 정보화사업 추진 현황 ‣ 예산 상위 실국 순 (단위: 백만원) 연번 실국명 사업수 소요예산 연번 실국명 사업수 소요예산 총계 451 207,593 1 정보기획관 79 95,949 20 도시재생본부 5 1,530 2 도시교통본부 32 22,871 21 푸른도시국 13 1,136 3 소방재난본부 16 11,231 22 도시기반시설본부 5 1,056 4 경제진흥실 8 10,129 23 서울역사박물관 2 867 5 상수도사업본부 22 9,097 24 주택건축국 14 806 6 행정국 14 5,790 25 여성가족정책실 11 791 7 관광체육국 10 5,285 26 서울혁신기획관 7 776 8 복지건강실 23 5,028 27 일자리노동국 3 694 9 평생교육정책관 5 4,634 28 기획조정실 10 651 10 시민소통기획관 31 4,633 29 시민건강국 12 645 11 문화본부 20 4,176 30 도시계획국 5 466 12 서울시립대학교 12 3,461 31 도시공간개선단 2 309 13 물순환안전국 8 3,006 32 한강사업본부 8 295 14 재무국 9 2,326 33 서울시립미술관 8 223 15 기후환경본부 18 2,148 34 비상기획관 3 83 16 인재개발원 7 1,995 35 대변인 3 44 17 교통방송 2 1,963 36 감사관 2 38 18 안전총괄본부 13 1,884 37 기술심사담당관 1 2 19 시의회사무처 8 1,575 4 2016년 정보화 주요사업 추진계획 A 시민이 만드는 소셜특별시 B 경제를 키우는 디지노믹스 C 시민 삶을 바꾸는 디지털 사회혁신 D 세계를 선도하는 글로벌 디지털 리더 A. 시민이 만드는 소셜특별시 A-1 | 시민주도형 디지털거버넌스 체계 구축 (정보기획관 정보기획담당관) 기존 공공주도의 정책 추진에서 벗어나, 시정 정책의 수요자인 시민 중심의, 시민 주도의 사업 추진을 위한 체계를 마련하고 정보화 사업 추진 시, 이를 단계적으로 개선, 확대 적용 󰏚 배경 및 필요성 ○ 시민의 시정 참여 의지와 성숙도 향상 및 선진 도시의 시민 참여 확대 추세 ○ 시민에게 직접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시스템 구축사업이 점점 증가됨에 따라 ○ 시정 정책 수요자인 시민 중심의, 시민 주도의 정보화사업 추진 체계 마련 및 추진이 필요 󰏚추진방향 ○ 시민주도형 사업 추진을 위한 법제도 기반 확보 ○ 시범사업 추진을 통한 단계적 확산 󰏚사업개요 ○ 사업기간 : ‘16.5 ~ ’17.3 ○ 사업내용 - 2016년 신규 시스템 구축 사업 대상 시민참여형 시범 사업 선정 - 시민참여형 신규 시범사업에 대한 참여단계별 시민 참여 유도 - 정보기획관 주관 사업에 우선 적용하여 제도 기반 검증 및 보완 적용 󰏚 추진일정 내 용 추진 계획 수립 시범 사업 선정, 시민추진단 참여 유도 및 업무 수행 시민추진단 참여 사업에 대한 결과보고 추진기간 ’16. 5 ’16. 6~12 ’17.1 ~ 3. A-2 | 시 소셜 미디어 운영의 효율성 제고 (시민소통기획관 뉴미디어담당관) 각 부서에서 관리하고 있는 SNS 계정 중 활동하지 않거나 기능이 유사한 계정 통․폐합 및 SNS 운영 활성화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필요 󰏚추진방향 ○ 계정 통·폐합 및 소셜미디어 가이드라인 수립을 통한 체계적인 SNS 활용 시스템 구축 ○ 부서간 온라인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효과적인 시정확산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 1. ~ 12. ○ 사업내용 - 전문 평가기관 용역을 통한 비효율적인 SNS 계정 통․폐합 추진 · 대상․범위 : 115개부서(본청 46, 사업소 69), 150개 SNS 계정 · 평가 지표 : 활동성, 호응도, 반응도, 네트워크 영향력 등 · 효율성 진단기준을 설정하여 운영성과 평가 후 통‧폐합 ※ 재난 및 시민접점 사업부서 계정의 경우 통‧폐합 대상에서 제외 - 소셜계정 운영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소셜미디어 직원 가이드라인 마련 - 소셜미디어 가이드라인에 대한 이해 등 기관 SNS 운영 담당자 교육 - SNS 활용 우수부서 선발 󰏚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2 ’16. 3 ’16. 3 ~ 12. 󰏚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0 0 24,000 24,000 A-3 | 시민중심 디지털 서비스 제공 (정보기획관 정보기획담당관) 빅데이터 기반 다양한 스마트기기 환경을 아우르는 시민중심 디지털 서비스 제공으로 ‘시민의 일상과 함께 하는 서울시’ 구현 󰏚추진방향 ○ 안정적 시민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범 서비스 후 확대 추진 ○ 시민중심 디지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구 용역 ○ 데이터 기반 민의 일상과 함께하는 맞춤형 서비스 구축 󰏚사업개요 ○ 서울시 홈페이지 공통기반 시스템 고도화 - 통합게시판 및 웹로그분석시스템 고도화, 통합검색시스템 기능 개선 ○ 유․무선 통합 방안 수립 및 시범 서비스 - 이용 활성화를 위한 유․무선 통합 방안 수립 및 공통기반 시스템 적용 확대 ○ 방문자 이용패턴 분석기반 시범 추천 서비스 구현 - 관련글, 추천서비스 등 연관성 있는 서비스·소식 등 제공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3 ’16. 4~ 5. ’16. 7 ~ 12.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1,286,368 1,049,803 1,964,000 964,000 A-4 | 엠보팅을 통한 시민참여 확대 (정보기획관 정보기획담당관) 서울시 대표 투표앱인 엠보팅이 『시정협치』플랫폼으로 확산 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 시민 참여 채널로서의 역할 강화 󰏚배경 및 필요성 ○ 엠보팅을 통한 시민참여 확대로 시정 협치 플랫폼 강화 필요 ○ 풀뿌리 주민참여를 확대하여 지역현안 등에 대한 주민의견 수렴 필요성 증대 ○ 실제 생활 속에서 즐겨 찾고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로서의 진화(進化) 필요 󰏚추진방향 ○ 자치구 및 교육청 등 타기관 엠보팅 확대를 위한 서비스 개선 ○ 쟁점투표 지속발굴을 통한 시민참여 저변확대 및 대중화 기반 마련 󰏚사업개요 ○ 사업기간 : ’16. 3월 ~ 12월 ○ 사업내용 - 투표관리체계 개선 및 타기관(자치구, 교육청) 엠보팅 확대추진 - 서비스 진입장입 장벽 완화 및 서비스 대중화 기반 마련 - 투표결과에 대한 대시민 피드백 개선 및 정책반영 신뢰성 강화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5. 12 ’16. 1 ~ 3. ’16. 3 ~ 12.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147,988 133,231 191,620 58,388 A-5 | 온라인을 통한 시민 여론 수렴 활성화 (시민소통기획관 뉴미디어담당관) 오프라인 중심으로 시민의견을 청취하던 방식에서 온라인을 통한 실시간 여론까지 수렴하여 정책에 반영하는 시스템으로 강화 필요 󰏚추진방향 ○ 오프라인 중심인 청책토론회 및 간담회 등에 소셜방송을 활용한 시공간 제약 없는 온라인 시정참여 기회 확대 ○ 소셜빅데이터 분석 방식을 접목한 시정여론조사 및 ‘사이버 서울시민’ 운영 통한 글로벌 시민들과 소통 확대 󰏚사업개요 ○ 소셜방송을 활용한 청책토론회 온라인 시민참여 강화 가) 정책 이해관계자 및 관심층 대상 단계별 사전홍보 - 서울시 매체(SNS, 내 손 안에 서울 등) 및 서울시장 SNS 활용 홍보 - ‘엠보팅’ 이벤트 설문개설 등 시민참여 유도 나) 민‧관 소셜방송 매체를 통한 사전, 실시간 시민의견 접수 - 청책홈페이지, 아프리카 TV 등 민‧관 방송매체 내 사전 의견접수 - 민·관 소셜방송 매체를 활용한 해시태그(#) 활용 의견접수 다) 현장스크린 설치 및 생방송 화면 자막 제공 - 실시간 채팅방 운영, 온‧오프라인 시민의견 연계 - 온라인 의견 정책반영 피드백으로 시민참여 활성화 ○ 소셜빅데이터(민원, SNS) 반영한 여론조사 개선 가) 여론조사 전, 내・외부 빅데이터 분석 통한 시민의견 반영 - 서울시 내‧ 외부 온라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여론조사 주제 선정 및 설문 설계 나) 여론조사 결과분석 시, 온라인상 빅데이터 분석결과 반영 -‘소셜 빅데이터 분석 툴’ 활용, 온라인상의 빅데이터 시계열, 긍·부정, 주요 키워드별 분석 등을 통해 반영 - 다음소프트 등 외부 빅데이터 전문기관 공동작업 통해 분석 ○ 소셜시장실 홈페이지 구축․운영 가) 해시태그(#)를 활용한 실시간 소통기능 강화 - 서울시, 서울시장 관련 시민의견을 다양한 소셜미디어 채널을 활용하여 수집 - 추진중인 시 주요 정책들에 대한 시민들의 반응을 실시간으로 확인 (예 : 서울역고가, 여성안심특별시, 서울브랜드 등) 나) 온라인을 통한 시민과 시장간 쌍방향 소통기회 확대 - 시민이 만난 원순씨(시민 인증샷), 시민토론방 등 시민과의 만남, 의견 수렴 확대 - 다양한 정책, 공약에 대한 의견 등 시민들의 시정참여 기회 확대 - 시민편집위원 선발, 해시태그 캠페인 등을 통해 시민과 함께 만들어나가는 소셜시장실 구축 다) 서울시장의 활동을 시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 - 시민과 함께하는 소통현장을 생생하게 공개하여 시정에 대한 신뢰 제고 - 지도기반의 시장일정, SNS소식, 영상 및 사진, 공약 이행사항 등 시장관련 콘텐츠의 실시간 업데이트 󰏚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1~2월 ’16년 상반기 ’16. 3 ~ 12. A-6 | 직원 소셜미디어 활용문화 확산 (시민소통기획관 뉴미디어담당관) 직원들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직무와 관련된 내용까지 시민들과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고 점진적으로 확산 필요 󰏚추진방향 ○ 시직원들의 소셜미디어 사용을 확대하기 위해 직급별 맞춤형 교육 실시 ○ 직무수행 과정에 SNS계정 활용, 행정정보 공개 확대 등 소셜을 통한 시민소통 활성화 󰏚사업개요 ○ 추진기간 : 2016 〜 2017 ○ 사업내용 소셜미디어 사용 확대를 위한 단계별 추진전략 SNS 배우기 ⇨ 쉬운 것부터 적용하기 ⇨ 활발하게 이용하기 󰋻뉴미디어 전문가 교육 󰋻소셜사용 매뉴얼 보급 󰋻소셜 교육과정 증설 󰋻공문서 SNS 계정 표기 󰋻민원 부서 우선 추진 (카카오페이 지방세납부 등) 󰋻소셜미디어로 공모전 접수․운영 󰋻정책개발시 SNS 활용 󰋻행정정보 공개 확대 󰋻소셜 미디어 공공계정 기반 구축 1단계(’15년) 2단계(’16년) 3단계(’17년) 󰏚추진계획 1) SNS 배우기 가) SNS 활용 방법에 대한 전문가 교육 추진 - 시, 자치구, 투자기관 직원 대상으로 소셜미디어 활용 매뉴얼 교육(전문가) - 정기적인 뉴미디어 전문가 교육 실시 · 소셜미디어 계정 만들기, 포스팅, 공유 등 활용방법, 우수사례 중심 나) 맞춤형 소셜 교육과정 단계적 확대 추진(인재개발원) ’15년 ⇨ ’16년 ⇨ ’17년 6개 과정 15개 과정 20개 과정 - 기본‧직무‧리더십, IT 분야 등 전체 과정 중 소셜역량 과정 확대 추진 · ‘16년 15개 과정 (전체 교육과정의 6.5%) · 블로그로 통하는 인터넷 세상, 소셜미디어로 홍보하기, 모바일로 시작하는 SNS, SNS로 홍보하기, SNS와 집단지성(소셜러닝) - 소셜미디어 활용, 직무 역량 강화 관련 내용 포함 교육 실시 · 실질적인 활용 사례, 국내외 실제 적용 사례 중심으로 직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내용 구성 · SNS 시대 정책홍보 전략,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소통 향상, 소셜미디어에 대한 이해, 소셜미디어 개념 및 SNS 설명, 뉴미디어 활용 홍보사례 등 2) SNS 쉬운 것부터 적용하기 가) 소셜미디어 계정 사용 점진적 확대 - 공문서 등에 부서별 SNS 계정 사용 기재 - 공모전, 민원처리 등에 소셜미디어 계정을 통한 시민 등의 적극 참여 · 지방세 납부 등 시민 접점부서 대상을 중심으로 시범 실시 후 점진적 확대 󰏚추진일정 내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1~2월 ’16년 상반기 ’16. 3 ~ 12.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0 0 20,000 20,000 A-7 | SNS 오피니언 리더들과의 소통기반 강화 (시민소통기획관 뉴미디어담당관) 1인 미디어 등 다양한 온라인 매체의 출현, 시민들의 온라인 정보 콘텐츠 소비 추세 증가 등에 대응하기 위한 효과적인 시정정보 소통 필요 󰏚추진방향 ○ 점차 미디어로서의 위상과 파급력이 강화되고 있는 1인미디어 운영자 발굴 및 협력기반 구축 ○ 1인미디어 운영자 대상 시정관련 취재지원과 협업을 통해 중요 시정 및 이슈 대응 콘텐츠 제작·확산 󰏚사업개요 ○ 사업기간 : ’16. 1. ~ 12. ○ 사업내용 - 서울 미디어 메이트(Seoul Media Mate) 선발·운영 - 주요 시정 주제별 <정책 토론회> 개최 - 서울시·네이버·1인미디어가 함께하는 ‘소상공인 활성화 캠페인’ - <소셜미디어 콘텐츠 창작 공모전> 개최 󰏚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2 ’16. 2 ~ 12. 󰏚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0 0 100,000 100,000 A-8 | 국내외 SNS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 (시민소통기획관 뉴미디어담당관) SNS 등 소셜미디어 전문가들과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최신 트렌드를 적극 수용하고, 민간의 온라인 소통 전문가들의 시정참여 활성화 󰏚배경 및 필요성 ○ 소셜특별시 구현 방안 모색을 위한 소셜미디어 전문가 집단과의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과 선진사례 공유의 장 마련 필요 󰏚추진방향 ○ 국내‧외 최신 소셜 트렌드를 서울시 소셜행정에 접목 ○ 국내·외 SNS 전문가 집단과의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소셜 행정의 중장기 발전방안 모색 󰏚사업개요 ○ 행 사 명 : 2016 서울 소셜 국제컨퍼런스(자문회의) ○ 기 간 : ’16.10월 (예정) ○ 장 소 : 신청사 8층 다목적홀 ○ 주 제 : 소셜 행정 혁신을 통한 소셜특별시 서울 구현 󰏚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4. ’16. 5 ~ 6. ’16. 7 ~ 12.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 - 172,500 172,500 A-9 |데이터 기반의 사회혁신 기반 조성(빅데이터캠퍼스 설치 운영) (정보기획관 통계데이터담당관) 민‧관‧산‧학 파트너십으로 「서울시 빅데이터 캠퍼스」를 설치․운영하여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울의 도시문제를 시민과 분석하고 해결하는 사회혁신 생태계 구현 󰏚배경 및 필요성 ○ 시민․대학․연구소․중소상공인은 빅데이터 확보가 사실상 불가능하고, 공공기관 보유 빅데이터는 소유권과 개인정보보호 정책 등으로 개방 불가 - 민간부문 빅데이터는 제한적이고 폐쇄적으로 비대칭성 해소 필요 - 공공 보유 빅데이터는 민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분석 환경 조성 필요 ○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울의 도시문제를 해결하여 서비스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과학적․선제적 정책 지원 수요 증가 - 시, 자치구, 시민과 분석한 결과를 다양하게 활용하는 정책 확대 필요 - 다양한 분야에서 중소기업과 청년 창업 희망자 등의 스타트업 활성화 지원 필요 󰏚추진방향 ○ 서울시 중심의 공공과 민간부문의 빅데이터 자원의 통합과 활용 - 파트너십을 통한 민간부문의 빅데이터와 인프라 등 분석 자원 확보 ○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인프라와 서비스 수준 단계별 확대 - 데이터 소유권과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 단계별 사용범위와 대상 확대 ○ 다양한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민․관․산․학 상생협력모델 도입 - 시민, 중소상공인, 대학 등 빅데이터를 통한 상생프로젝트로 추진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 3. ~ 12 ○ 사업내용 - 빅데이터 캠퍼스 시설 조성 ▸상암동 S-플렉스센터 : ‘16. 6월 오픈 예정 ▸개포동 디지털혁신센터 : ‘16. 11월 오픈 예정 상암동 S-플렉스센터 개포동 디지털혁신센터 - 빅데이터 분석 및 보안을 위한 클라우드 시스템 구축(S-플렉스센터 15층) ▸소유권과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원천데이터 유출방지 가상화 기술 적용 ▸범용성이 높고 예산부담이 적은 오픈소스(Python, R, QGIS, Hadoop 시스템 등) 사용 ▸사용자별로 분석에 필요한 자원을 할당하고 대량 분석시스템은 공유 - 민·관·산·학 융합 분석을 위한 빅데이터 확보 등 활용 환경 조성 ‣서울시 빅데이터플랫폼 공유․활용 플랫폼과 연계 활용 환경 조성 ‣데이터 보유‧생산 기관(부서)과 업무협력으로 빅데이터 지속 확보 - 시민 체감형 빅데이터 분석과제 발굴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엠보팅, 공모, 정책박람회 등을 통해 도시문제 해결과 관련된 분석과제 발굴 ‣파트너십 대학, 일반인, 기업 등과 협업으로 운영 추진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3 ’16. 4~ 5. ’16. 6 ~ 12.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 - 2,980,000 2,980,000 A-10 | 열린시정의 가치향상을 위한 민․관 오픈데이터 이용 활성화 (정보기획관 통계데이터담당관) 수요자 중심의 데이터 발굴과 민․관 협력 커뮤니티 활성화를 통해 다양한 고품질의 데이터 개방을 확대하고, 활용기반을 구축하여 시민 스스로 사회적으로 큰 가치와 다양한 비즈니스 창출의 기회 제공 󰏚추진방향 ○ 양적 데이터 개방에서 질적 데이터 개방으로의 공공데이터 개방 추진 ○ 민관 공유 협의체를 통한 제휴 민간데이터 개방 확대 및 상호협력 강화 ○ 공공데이터의 효과적 활용과 활성화를 위한 열린데이터 광장 고도화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 1. ~ 12. ○ 사업내용 ① 수요자 중심의 데이터 발굴 확대로 이용․가치 향상 - 수요자 의견과 주요시책 중심으로 가치있는 데이터 개방 - 데이터 간의 공유와 활성화를 위한 연결 지향 데이터(LOD) 개방 확대 ② 민․관 협력 활성화를 위한 협의체 구성 및 커뮤니티 플랫폼(CKAN) 운영 - 민간업체 제휴를 통한 민간데이터 제공 추진 - 민간협의체 발대식 추진을 위한 파트너쉽, 협의체 운영 계획 수립 ③ 공공데이터 안정적 제공 및 품질 향상을 위한 품질관리시스템 개선 - 열린데이터 정확도, 최신성 등 현행화 유지 및 기 오픈데이터 대한 표준화 적용, 서비스명, 중복성 데이터 관리 등 품질관리 최적화 추진 - 비정형 데이터(업무추진비 등)를 정형화해서 개방한 데이터 유지관리 ④ 공공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 시각화 대시보드, 홍보 추진 - 시정 데이터를 신속하고 직관적인 시각화로 표현하여 시민 참여환경 조성 -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 핵심 공공데이터 설명회 개최 ⑤ 공공데이터 제공 효과 분석 및 라이선스 제공 정책 검토 - 공공데이터 개방에 따른 경제적 효과 분석을 위해 지역정보개발원을 통한 연구 용역 추진 - 전문가 자문 검토를 통한 공공데이터 제공 라이선스 정책 검토 󰏚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4 ’16. 6 ’16. 6 ~ 12.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1,654,218 1,045,903 800,764 △245,139 A-11 | 글로벌 디지털기업과의 전략적 협력관계 구축 (정보기획관 정보기획담당관) 글로벌 디지털 기업들과의 지속가능한 협력체계 구축을 통하여 전문기업의 역량과 경험을 공유하고, 서울이 글로벌 디지털 수도로서의 역할을 높이기 위한 동반자적 협력 기반 마련 󰏚배경 및 필요성 ○ 새로운 디지털 기술을 선점하려는 글로벌 기업과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도시문제를 해결하려는 글로벌 도시와의 상호 협력 필요성 증가 ○ 복잡·다양한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전문기업의 역량·자원 협력 필요 󰏚추진방향 ○ 글로벌 디지털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서울시 각 분야별 디지털 정책 및 발전방향에 대한 자문 및 의견 교류 ○ 공동 프로젝트, 협력사업 등 지속가능한 협력체계 구축방안 마련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 3. ~ 12. ○ 사업내용 1) 협력 가능한 글로벌 디지털 기업 선정(15개 내외) 및 참여 유도 - 지속가능한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조직화 및 정례화 추진방안 논의 2) 협력·제안사항 논의를 위한 「Seoul Digital Summit 2016」개최 - 사물인터넷 등 첨단 디지털기술 관련 글로벌 민관협력을 통해 서울이 글로벌 신기술 적용의 중심지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방안 모색 - 디지털 정책 조정회의 개최 등 협력 구체화 검토 및 협력·제안사업 추진 󰏚 추진일정 내 용 Summit 2016 개최 협력사업 구체화 협력사업 추진 추진기간 ’16. 3. 30. ’16. 4. ~ ’16. 7 ~ 12. B. 경제를 키우는 디지노믹스 B-1| 사물인터넷 인큐베이션 센터 (정보기획관 정보기획담당관) 시민, 개발자 등의 사물인터넷(IoT)을 접목한 도시문제 해결형 아이디어를 발굴 및 실험‧제작하고 사업화할 수 있도록 사물인터넷 특화 전문 인큐베이션센터 구축 운영 󰏚추진방향 ○ 시민 누구나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사업화할 수 있도록 제반 서비스 제공 ○ 서울 사물인터넷 도시조성을 위한 IoT서비스 확산 사업과 연계 추진 ○ IoT서비스의 개발단계부터 수요단계까지 선순환 구조의 자생적 생태계 조성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 1. ~ 12. ○사업내용 -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실험·제작할 수 있는 창의적 공간 구축 운영 - 아이디어 발굴, 기술 및 장비활용 교육, 전문가 멘토링, 제품화 지원,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운영 - 서울의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서비스 실증 및 확산 적용 추진 - 국내외 기업 및 해외도시 등 과의 협력 채널을 통한 우수서비스의 시장개척 지원 󰏚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센터 조성 추진 운영추진 추진기간 ’16. 3 ’16. 4~ 10. ’16. 10 ~ 󰏚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 - 2,105 2,105 B-2| 개포디지털혁신파크 조성․운영 (경제진흥본부 디지털산업과) ICT 중심의 다양한 분야간 융합을 통한 신성장 동력 창출과 창의적 인력양성을 위한 ‘24시간 소통과 열린 공간’ 조성 󰏚배경 및 필요성 ○ 도시 중심의 창의적 콘텐츠 개발 확산을 위한 모바일 융합 구심체 필요 - 세계 모바일 시장 급성장, 사회 전 영역에서 모바일 플랫폼과의 융합 활발 ○ 모바일 산업이 대기업 위주로 형성, 중소 모바일콘텐츠 개발 지원 필요 - 1인 개발자 기업 등 중소 콘텐츠 개발업체 지원을 위한 환경 조성 󰏚추진방향 ○ ICT 중심의 다양한 분야간 융합을 통한 신성장 동력 창출과 창의적 인력 양성을 위한 ‘24시간 소통과 열린 공간’ 조성 ○ 서울시에서 공간 조성하되, 민간의 경험과 인프라를 활용하여 운영 󰏚사업개요 ○ 위 치 : 강남구 개포로 416 ○ 대지면적 : 16,077.9㎡ ○ 건물현황 : 3개동(신관, 본관, 체육관) 6,178.85㎡ <舊 개포 일본인학교 부지> ○ 사업기간 및 사업비 : ‘14 ~ ’16, 12,525백만원(‘16년 4,936백만원) ○ 사업내용 : 기존 시설을 리모델링, ICT 중심의 융․복합공간으로 조성 󰏚 컨셉 및 주요기능 :‘교육 및 스타트업’ ○ 교육을 통해 창업에 필요한 아이디어와 솔루션 개발 ○ 이와 동시에 일정 부분 창업공간을 확보하여 스타트업 통합 지원 <공간활용 프로세스> ①창조교육 ➡ ②아이디어․ 솔루션 개발 ➡ ③연구지원 및 시제품 제작 ➡ ④창업 ➡ ⑤글로벌 네트워킹 ➡ ⑥글로벌 스타트업 󰏚 공간구성(안) 구분 본관 신관 체육관 운동장 수영장 5층 운영사무실 스타트업 혁신센터 글로벌 네트워킹 (국제회의, 해커톤 등) 오픈공간 (소통과 네트워킹) 도시농업공간 4층 창조교육센터 3층 2층 ICT융합연구센터 1층 테크숍, 코워킹룸 카페테리아 지하 커뮤니티룸 전기,기계실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5. 9 ’15.12~‘16.1 ’16.1 ~ 9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205,000 7,366,000 4,953,382 2,412,618 B-3| 서울 앱비지니스센터 설치․운영 (경제진흥본부 디지털산업과) 서울앱비즈니스센터를 설치·운영하여 서울시 앱산업을 활성화를 도모함 󰏚배경 및 필요성 ○ 스마트기기 확산으로 모바일앱산업이 IT성장동력 및 일자리 창출 대안으로 부상함에 따라 앱개발자 양성과 1인창업기업 육성지원 필요 󰏚추진방향 ○ 모바일 앱개발자 육성지원 확대를 통해 일자리창출과 앱 산업 활성화에 기여 󰏚사업개요 ○ 사업기간 : `16.2 ~ 계속 ○ 위 치 : 에스플렉스센터 (16층) ○ 규 모 : 입주개발실 (16실), 교육실 (2실), 테스트베드 (1실) 등 ○ 사업내용 - 모바일앱 창업자에 대한 입주개발공간 및 교육·창업지원 제공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2. ’16. 3~4. ’16. 4 ~ 계속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213,485 205,550 1,037,819 832,269 B-4| 핀테크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 (경제진흥본부 투자유치과) 스타트업 기업 육성 프로그램 도입 등 지원체계 구축을 통한 핀테크산업 육성 󰏚배경 및 필요성 ○ 고부가가치 산업인 핀테크산업 육성을 통한 서울의 경쟁력 강화 ○ 금융소비자 편의성 제고 및 은행산업 미래 신성장 동력 창출 필요 󰏚추진방향 ○ 글로벌 핀테크 엑셀러레이터와 협력을 통한 스타트업 발굴 및 육성, 국내기업 해외진출․해외 투자유치 확대 󰏚사업개요 ○ 사업기간 : ’16.3 ~ 계속 ○ 사업내용 - 해외 핀테크 엑셀러레이터 교류 확대 · 영국 바클레이스 엑셀러레이터 서울 센터 오픈 추진 · 호주 민간 핀테크 엑셀러레이터 기관 Tyro*와 협력 MOU체결 추진 * Tyro : 호주 금융 및 IT 관련 회사들이 주축이 되어 만든 호주 제1의 핀테크 인큐베이션 센터 - 유망 핀테크기업 발굴 해커톤 “서울 핀테크 Future 10” 개최 · 핀테크 스타트업 기업을 대상으로 아이디어 및 신기술 공모전 개최 󰏚 추진일정 추진기간 사업내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핀테크 해커톤 ’16. 3 ’16. 4 ’16. 5 ~ 6 해외 IR ‘16. 5 ‘16. 6 ‘16. 9 󰏚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220,000 B-5| 서울 디지털재단 설립․운영 (경제진흥본부 디지털산업과) 천만도시 서울이 처한 문제 해결에 첨단 디지털기술을 접목해 ‘디지털 도시 서울’을 구현하기 위한 서울시 디지털 정책의 싱크탱크 구현 󰏚배경 및 필요성 ○ IT기반의 공유경제급부상등 온-오프라인 연결시대 도래 ○ 서울의 특수성을 반영한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필요성 대두 󰏚추진방향 ○ 공공성을 기반으로 자율성과 전문성을 지닌 지속가능한 기관 설립·운영 ○ 초기 소수 전문 인력 중심 운영, 년차별 사업 확대에 따라 조직 규모 확대 󰏚사업개요 ○ 설립시기 : ’16년 5월 출범(예정) ○ 조직 및 인력 : 1사무국 2팀, 총8명 ○ 사업내용 - 서울 디지털경제 육성을 위한 ICT정책연구 및 컨설팅 - IT스타트업 지원, 디지털(SW)교육·포럼 및 커뮤니티 활성화 - 디지털국제페스티벌 개최 등 디지털 네트워킹 활동 - 개포 디지털혁신파크 운영 등 󰏚추진일정 내 용 재단법인설립 추진 (임직원채용, 설립등기 및 사무실조성 등) 재단 출범 사업추진 추진기간 ~ ’16. 4 ’16. 5. ’16. 5 ~ 12.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 74,000 1,685,000 1,611,000 B-6| G밸리 산업고도화를 위한 사물인터넷 지원 추진 (서울산업진흥원 G밸리기업지원팀) G밸리 내 전통 제조업 및 사물인터넷(IoT) 기업 대상 융·복합 촉진을 통한 클러스터 내 산업경쟁력 강화하고 사물인터넷(IoT) 활용 기업 新 비즈니스모델 발굴 및 협업 촉진 󰏚배경 및 필요성 ○ 낮은 진입장벽 및 시장규모 확장으로 인한 사물인터넷(IoT) 산업 급부상 ○ 중국 등 제조강국의 부상으로 인한 G밸리 기업 경쟁력 약화 - 사물인터넷(IoT) 산업 매칭 통한 기존 제조업 생산성 향상 및 시장 창출 필수 󰏚추진방향 ○ 사물인터넷(IoT) 산업이 초기성장 단계임을 감안하여 단계별·연차별 추진 - 기반확대 → 과제발굴 → R&D 및 사업화 → 실증사업 추진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1 ~ 2016.12 (총 12개월) ○ 기반확대 : 사물인터넷 전문 아카데미, G밸리 제조기업 IoT 융·복합 기술지원 ○ 과제발굴 : G밸리 산·학·연 과제발굴연구회(총 14개사 내외) ○ R&D 및 사업화 - G밸리 전략산업 시제품 제작지원, 지역특화(IoT) R&D, 글로벌 IR 진출 지원 - G밸리 홍보마케팅 지원, G밸리 투자보육 연계지원, SBA 내부 기능 연계지원 등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2 ’16. 3 ~ 12.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 - 100,000 100,000 ※ 서울산업진흥원 고유사업으로 추진됨에 따라 서울시 정보화사업 및 예산에 미포함 C. 시민 삶을 바꾸는 디지털 사회혁신 C-1 |스마트 긴급구조통제단시스템 구축 (소방재난본부 현장대응단) 재난현장의 One-Stop 상황판단 및 의사결정 지원체제 구축 신속한 보고체계 구축 및 지원기관 효율적 운영체계 확립 󰏚배경 및 필요성 ○ 재난현장 One-Stop 상황판단 및 의사결정 지원체계 필요 ○ 재난현장 업무프로세스 정보화로 신속한 대응 필요 ○ 현장업무를 전산화하여 재난대응의 신속성 확보 필요 󰏚추진방향 ○ 시민 및 전문가 등의 시민 자율 참여 체계 구축 ○ 재난현장 활동에 필요한 인적·물적 자원의 신속한 동원 ○ 재난현장 중심의 상황관리 및 전파체계 구축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 5월 ~ 2016. 11월 ○ 사업내용 - 사 업 명 : 스마트 긴급구조통제단시스템 구축 - 소요예산 : 1,500,000천원(협상에 의한 계약) - 중점사항 ․ 긴급구조통제단 운영업무 전산프로그램 개발 ․ 10만 시민안전파수꾼 관리업무 전산프로그램 개발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3 ’16. 3~ 4 ’16. 5 ~ 11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0 434,220 1,500,000 + 1,065,780 C-2 |첨단기술 활용 재난대응 체계 구축 (소방재난본부 현장대응단) 재난현장에 적합한 무인기 등 첨단장비를 도입하여 특수․복합 재난현장에 활용, 미래 지향적 재난대응 체계 구축하기 위함 󰏚배경 및 필요성 ○ 인력·공간 등 재난대응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한 첨단장비 도입 ○ 재난대응 기술력 첨단화로 재난 사각지대 해소 및 황금시간 목표 달성 󰏚추진방향 ○재난대응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드론 등 첨단장비 도입, 대응체계 구축 ○産․學․官 3자 추진위원회를 통한 현장 적합형 첨단장비 배치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 1월 ~ 2016. 12월 ○ 사업내용 - 산악 및 한강 지역 인명탐색용 무인항공기(드론) 도입 배치 · 드론 + 임무장비(광학카메라/열화상카메라) = 인명탐색(상반기) · 드론 + 임무장비(응급조치 기구 전달) = 인명구조용(하반기) - 시민 위기상황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가상현실 체험교육 프로그램 도입 - 구조대원 체력적·공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근력지원웨어러블 시범 도입 󰏚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1~2 ’16. 3~ 4 ’16. 5 ~ 12 󰏚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0 0 1,489,000 1,489,000 C-3 |소방안전지도 구축 (소방재난본부 현장대응단) 소방안전지도의 접근성 및 사용 편의성을 제고하고, 입력정보의 확장과 현행화를 통한 현장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고도화 계획임 󰏚배경 및 필요성 ○ 기존 소방안전지도 활용상 문제점 개선 및 기능향상 필요 ○ 내부 입력정보의 현행화와 시스템의 효율적 관리체계 필요 ○ 현장 활용성 극대화를 위한 단․장기적 전략 계획수립 필요 󰏚추진방향 ○ 소방 출동대의 현장대응정보제공 체계인 소방안전지도의 안정적 운영 ○ 소방안전지도의 기능 고도화를 통해 사용자중심의 재난대응능력 향상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 3월 ~ 2016. 10월 ○ 사업내용 - 사 업 명 : 소방안전지도 시스템 고도화사업 - 소요예산 : 894,753천원(협상에 의한 계약) - 중점사항 ․소방안전지도 시스템 성능개선 및 프로그램 개발(개선) ․화재진압 작전도 표준화 및 DB구축, 진압작전도 시뮬레이터 개발 ․유관기관(브이월드,토피스,서울시 공간정보 등)연계 소방력 강화 등 󰏚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3 ’16. 3~ 4 ’16. 5 ~ 10 󰏚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42,768 355,524 965,637 + 610,113 C-4 |안전지킴이 CCTV 고도화 (정보기획관 정보통신보안담당관) 도시공원 등 범죄취약지역에 CCTV를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저화질 카메라를 고화질로 개선하여 시민이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 󰏚배경 및 필요성 ○ 범죄취약지역에 CCTV 확충과 더불어 방범용 CCTV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화질개선 필요 󰏚추진방향 ○ CCTV 미설치 공원에 1개소씩 우선 설치하고, 저화질 카메라는 자치구별 예산상황 등에 따라 연차적으로 교체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 3 ~ 12월 ○ 사업내용 - 공원녹지사업소 및 자치구 관내 141도시공원에 CCTV 1개소씩 설치 - 성북구 관내 저화질 카메라 135대를 200만 화소 이상으로 교체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3. ’16. 4~ 12. ’16. 4 ~ 12.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2,985,478 2,960,270 2,310,000 △650,270 C-5| 효율적 주차공간 활용기반 마련 (도시교통본부 주차계획과) 주차장 위치, 실시간 주차정보 등을 스마트폰 앱, 인터넷 등을 통해 편리하게 이용하기 위한 통합주차정보시스템을 구축‧운영하여 주차공간의 효율적 활용으로 도심 주차난 해소 󰏚현 황 ○ 서울시 통합주차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앱 & 웹서비스를 통한 주차장 이용 정보 제공으로 주차편의 및 주차장 이용 효율성 제고(‘14년 도입) ○ 서울시 통합주차정보시스템 개요 - 주차장 기본정보 : 자치구 주차관리시스템→통합센터→앱&웹 정보제공 - 실시간 주차가능정보 : 주차검지시스템 or 주차관제시스템→통합센터 <실시간 노상주차 주차정보시스템 개요도> 󰏚추진방향 ○ 도심 공영주차장에 우선적으로 실시간 주차정보 시스템 확대설치 ○ 실시간 주차정보를 통합주차정보시스템을 통해 공공에서 민간으로 연계·확대하고 관련 데이터를 열린데이터 광장을 통해 민간에서 활용토록 제공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1~12 ○ 사업내용 - 공영(시영,구영) 주차장 대상 실시간 주차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도심 공영주차장 주차검지시스템 구매‧설치 공사> ‣설치대상 : 남대문시장 주변 공영주차장 10개소 228면 ‣사업내용 : 공영주차장에 검지기 설치 후 통합주차정보안내시스템과 연계하여 ‘서울주차정보’ 앱이나 ‘서울주차정보안내시스템’ 웹을 통해 실시간 주차가능 면수 정보제공 - 민영주차장 대상 실시간 주차정보 연계협의 추진 ‣주차정보제공시 교통유발부담금 감면 등 참여 독려를 위한 인센티브 마련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4 ’16. 5~ 6. ’16. 7 ~ 12.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109,000 478,257 492,0001) 13,743 주1) 주차정보관리안내시스템 유지보수 용역비(150백만원)+남대문시장주변 주차장 검지기 설치비(342백만원) C-6 |지능형 전력계량시스템 구축 (기후환경본부 녹색에너지과) 서울시내 공동주택 대상 전자식 계량기 보급을 통해 지능형 수요관리를 실시함으로써 에너지 절감 및 지속가능한 저소비사회 구조 실현 󰏚배경 및 필요성 ○ 전국 단위 스마트그리드 인프라구축을 통하여 에너지사용 및 피크 저감 등 효율적 에너지사용 도모 ○ 스마트그리드 핵심인프라인 지능형전력계량시스템 구축으로 소비자에게 다양한 에너지정보를 제공하여 자발적인 에너지절약 및 수요반응 유도 󰏚추진방향 ○ 정부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참여로 지능형전력계량시스템 인프라 확대 ○ 아파트 지역단위로 스마트그리드 거점 지역 집중 육성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 3. ~12. ○ 사업내용 - 600세대 이상 아파트 대상으로 AMI 4,500개 설치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3 ’16. 4~ 5. ’16. 6 ~ 12.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0 0 188,000 188,000 C-7 |대기환경 정보제공 고도화 (기후환경본부 대기관리과) 대기오염측정망과 대기환경정보 통합시스템을 운영하여 대기질 정보를 시민에게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제공하고자 함 󰏚배경 및 필요성 ○ 대기오염 측정장비가 오래되어 장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정확도 떨어질 수 있음 ○ 중앙의 상황실(보건환경연구원)과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측정소에서 장애 발생시 처리시간 지체되어 민원 발생 ○ 대기환경정보 홈페이지에 대기질 농도 표출시간 오래 걸려 민원 제기 󰏚추진방향 ○ 노후화된 대기오염측정망 교체로 정확하고 안정적인 대기오염도 측정 ○ 원거리의 측정소에서 발생하는 장애 처리를 위한 원격시스템 구축 ○ 대기환경정보 홈페이지 고도화를 통한 신속하고 편리한 대기 정보 제공 󰏚사업개요 대기오염측정망 교체 ○ 대기오염측정망 현황 : 총 45개소 - 도시대기측정망(25), 도로변대기측정망(14), 도시배경측정망(6) - 설치년도 : 2005~2015년(내구연한 10년) * 24시간 365일 연속 가동되고 오염물질을 직접 채집하는 과정에서 노후화 ○ 정확한 대기오염도 측정과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내구연한 도래 및 노후된 측정망 교체 ○ 교체수량 및 위치: 3개소(동작구‧성북구‧남산측정소) 대기오염측정망 원격관리 시스템 구축 ○ 장애 원인에 대해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 중앙상황실 및 측정망 45개소 연계 - 측정소의 자료수집기 및 측정기 모니터 화면을 원격으로 제어 서울시 대기환경정보 홈페이지 고도화 및 유지보수 ○ 서울시 대기환경정보 홈페이지 고도화 - 데이터 연계방식 변경하여 측정값이 홈페이지에 표출되는 시간 단축 < 연계방식 변경 전후 비교 > 구분 변경 전 변경 후 연계방식 파일전송(FTP) 데이터베이스 연계(DB to DB) 표출시간 30분 10분 - 시민이 보고 편리한 디자인으로 개편, 콘텐츠‧메뉴 재구성 ○ 서울시 대기환경정보 홈페이지 유지보수 - 홈페이지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하여 수시‧정기 유지보수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대기오염측정망 교체 ’16. 2. ’16. 4. ~ 5. ’16. 6. ~ 9. 대기오염측정망 원격관리 시스템 구축 ’16. 3. ’16. 4. ~ 5. ’16. 6. ~ 7. 대기환경정보 홈페이지 고도화 ’16. 2 ’16. 5. ’16. 6 ~ 9. 대기환경 홈페이지 유지보수 ’15. 10. ’15. 12. ’16. 1 ~ 12.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103,300 686,706 851,901 165,195 대기오염측정망 교체 0 586,706 600,000 13,294 대기오염측정망 원격관리 시스템 구축 0 0 40,000 40,000 서울시 대기환경정보 홈페이지 고도화 및 유지보수 103,00 100,000 211,901 111,901 C-9 | 생활복지통합정보시스템(BigCare) 구축 (복지본부 복지정책과) 찾아가는 복지와 생애주기별 맞춤서비스 제공을 위해 생활복지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복지 주체와 객체가 융합되는 복지 생태계 조성 󰏚배경 및 필요성 ○ 기존 행복e음은 찾아가는 복지사업을 지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음 - 행복e음은 공적급여 신청내용, 자산조사 결과와 급여 등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우리동네주무관, 복지플래너 등 핵심사업의 활동내용을 관리할 기능이 없음 - 또한, 방문간호사에게 행복e음 사용권한이 없어 건강상담결과의 관리가 곤란 ○ 복지전달체계 혁신을 뒷받침하기 위해 IT 기술의 적극 활용 필요 - 민․관 협력을 통해 지역 내 복지자원을 통합 관리하고 봉사 및 후원 참여를 희망하는 주민과 도움이 필요한 주민을 실시간 연계하는 시스템 필요 󰏚추진방향 < 1단계 : ’16년> ○ 서울형 복지 통합정보시스템의 단계적 구축전략과 설계도를 제시하는 정보전략계획(ISP) 수립 ○ 찾아가는 복지상담 결과를 누적 관리하여 복지욕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 입력된 가구현황과 상담결과를 통해 주민의 복지욕구가 자동 분석되고 복지욕구에 따른 복지플랜 설계지가 출력될 수 있도록 시스템화 < 2단계 : ’17년> ○ 보건복지부 시스템, 민간 복지기관 개별 시스템의 연계 구축 - 행복e음,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 민간기관 개별시스템에 분산되어 있는 주민서비스 이력의 통합 및 조회 기능 구현 - 민‧관 기관 간 서비스 의뢰와 피드백의 시스템화 󰏚사업개요 ○ 사업기간 : ‘16.2~12월 ○ 사업내용 : ISP추진 및 생활복지통합정보시스템 구축 - ISP 사업내용 ‣ 생활복지통합정보시스템의 비전‧목표 및 추진전략 제시 ‣ ‘16년 생활복지통합정보시스템구축 프로세스 분석 및 논리설계 ‣ 현 IT업무(복지플랜시스템, 홈페이지) 지원 ‣ 중앙정부‧서울시‧자치구‧민간기관 간 정보연계 방안 수립 ‣ 음성 빅데이터를 활용한 상담‧사례관리시스템 구축방안 마련 ‣ 사물인터넷 및 모바일 활용방안 제시 - 생활복지통합정보시스템 구축 내용 : ‘16년 사업범위 󰋮 통합 대상 시스템 - 내부업무 : 복지플랜, 재가노인돌봄시스템, 서울아기건강첫걸음 통합구축 - 복지포탈 : 복지 및 건강 정보, 법인 및 시설운영현황 정보공개 등 󰋮 연계 : 주민등록망(행자부) 󰋮 DB통합 : 복지플랜, 재가노인, 서울아기, 희망온돌 등 󰏚 추진일정 내 용 ISP사업 추진 본 사업 추진 발주준비 및 계약 체결 사업 추진 발주준비 및 계약 체결 사업 추진 추진기간 ’16. 1.~3 ’16. 4~ 8. ‘16.4~7 ‘16.8~’17.3 󰏚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0 78,000 1,064,454 986,454 C-10 | 법인시설 관리시스템 구축을 통한 업무 효율화 (복지본부 복지정책과) 복지법인과 다양한 복지시설의 정보에 대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업무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시민들에게 복지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제공 󰏚추진배경 ○ 급속히 증가하는 복지시설 및 법인의 각종 복지DB를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의 필요성 대두 ○복지시설의 인권문제, 민원 발생, 보조금지원 등에 대한 이력관리 요구 󰏚추진방향 ○ 중앙부처(보건복지부, 행정자치부) 정보시스템 연계를 통한 업무 효율화 ○ 법인 인허가 (준)영구 문서 전자화 사업을 통한 문서 훼손방지 󰏚 주요 내용 ○ 보건복지부(시설정보시스템), 행정자치부(e호조시스템 등) 연계한 종합적인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 (시설정보시스템) 종사자정보, 후원금, 세입·세출회계 등 시설정보 공유 - (e호조시스템) 6,644개 복지시설 보조금 지원 프로세스 간소화 ○ 시설기능보강 사업 및 평가정보 이력관리 기능 개발 - (기능보강) 안전점검결과 자료관리로 장비보강 및 건물 증개축 등 이력관리 - (평가정보) 평가지표, 종사자 관리, 후원금, 세입세출관리 등 ○ 법인 인·허가 신청문서 (준)영구보관문서 전자DB화 사업 : 2,000여권 󰏚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1 ’16. 2~ 3. ’16. 4 ~ 11. 󰏚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0 209,938 649,850 439,912 C-11 |50+세대를 위한 온라인 소통공간 “50+포털” 운영 (복지본부 인생이모작지원과) 장년층을 위한 디지털 복지의 일환인 50+포털을 운영하여 눈높이에 맞는 온라인 소통공간을 마련하고 정보를 제공함 󰏚배경 및 필요성 ○ 장년층(만50세~64세) 전용 온라인 서비스 부재 ○ 50플러스 재단, 캠퍼스, 센터의 교육, 일자리 등 관련 정보 원스톱 제공 필요 󰏚추진방향 ○ 이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 및 관리 ○ 50+센터 홈페이지의 이용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확보 및 홍보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2.19.~12.31. ○ 사업내용 - 50+세대 맞춤형 일감정보 실시간 제공 ※일자리플러스센터, 서울시 희망창업 등과 연계하여 재취업 및 창업 정보 서비스 - 인생이모작 지원을 위한 온라인 교육정보(평생학습포털과 연계) ※50+캠퍼스, 센터의 영상자료는 물론 평생학습포털의 온라인교육자료 연계 - 문화, 재무, 건강, 취미, 정책, 뉴스, 복지 등 분야별 정보 제공 - 온라인 커뮤니티 공간 조성으로 개인화 서비스 제공(카페, 블로그 등) 󰏚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1 ’16. 2 ’16. 2 ~ 12. 󰏚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40,500 158,570 187,919 29,349 C-12 |정보취약계층 정보격차 해소 (정보기획관 정보통신보안담당관, 데이터센터) 저소득층 및 장애인 등 정보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사랑의 PC 보급, 맞춤형 정보화 교육, 정보통신보조기기 제공 등을 통해 시민과의 정보소통 강화 및 사회 통합에 기여 함 󰏚추진방향 ○ 정보취약계층에 IT기기 보급으로 정보접근성 향상 및 정보격차 해소 ○ 장애인 정보통신보조기기 보급 및 스마트기기 활용교육 비중 확대 󰏚사업개요 ○ 사업기간 : ’16. 1 ~ 12월 ○ 사업내용 1) 정보취약계층 사랑의 PC 보급 2) 장애인에게 필요한 맞춤형 정보통신보조기기 보급(600대) - 독서확대기, 스크린리더, 특수마우스 등 84종 기기 지원 3) 취약계층 정보 활용능력 향상 교육 확대 - 어르신, 장애인, 결혼이민자, 학생 등에게 온․오프라인 정보화교육 확대 - 복지관 등에 찾아가는 스마트 및 인터넷 활용 현장교육 병행 등 󰏚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사랑의PC 보급 ’15. 11. ’15. 12. ’16. 1 ~ 12. 장애인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 ’16. 3 ’16. 4 ~ 5.(접수) ’16. 6 ~ 8.(보급) 소외계층 정보화 교육 ’16. 1. ’16. 2. ’16. 3 ~ 12. 󰏚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사랑의PC 보급 304,886 297,259 306,785 9,526 장애인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 597,800 597,537 606,298 8,761 소외계층 정보화 교육 556,506 626,760 664,758 37,998 C-13 | 디지털 소셜 역량 강화 (시민소통기획관 뉴미디어담당관) 시민들의 소셜격차를 해소하고 생업지원에 필요한 소셜강좌 지원 등을 통한 소셜문화 확산 및 시민 삶의 질 개선 필요 󰏚배경 및 필요성 ○사적 영역 중심으로 활용되던 소셜미디어가 공적 영역으로 확대되어소통수단으로 인식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소셜미디어 사용에 취약한 계층에 대한 교육 필요 󰏚 추진방향 ○ 민간전문가들과 연계한 소셜활용 교육 등을 통한 시민들의 소셜격차 해소 ○ 시민생업에 필요한 소셜강좌 지원 및 취약계층 소셜미디어 활용 지원 󰏚사업개요 ○ 사업기간 : ’16.1월~12월 ○ 사업내용 - 소셜강좌 교육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추진계획 수립 · 소셜미디어 전문가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실태조사 실시 - 연령별, 관심분야별 수요조사를 통한 맞춤형 교육과정 마련 · 수요조사 결과에 대해 소셜전문가 자문을 거쳐 단계별 교육콘텐츠 개발 및 평생학습포털과 연계하여 온라인 소셜강좌 교육 실시 - 시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공장소를 활용하여 소셜강좌 운영 · 공공장소 이용 및 소셜전문가의 재능기부(나눔활동)과 연계하여 저비용 지원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4 ’16. 4~ 5. ’16. 6 ~ 12. 󰏚사업비 (단위 : 천원) 구 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 - 20,000 20,000 C-14 | 문화행사정보 통합관리를 통한 맞춤형 문화정보제공 (문화본부 문화정책과) 시민 누구나가 자신에게 맞는 문화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한 번에 찾아볼 수 있는 맞춤형 문화정보 서비스제공을 통해 시민문화생활 향유 기회 확대에 기여코자 함 󰏚배경 및 필요성 ○ 시민 소득증대에 따라 문화생활 향유 및 안내서비스 욕구 지속적 증대 ○ 자치구, 산하기관, 민간단체별 분산되어 안내되는 문화행사 정보의 통합 수집․공개 플랫폼 서비스 구축․운영 필요 󰏚추진방향 ○ 시민, 공무원, 행사관계자 누구나가 손쉽게 문화정보를 입력토록 구현 ○ 수집된 문화행사 정보를 시민 맞춤형(지역별, 유형별, 대상별)으로 편리하게 검색 가능토록 지속적인 기능개선 및 유지관리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 1 ~ 12월 ○ 사업내용 - 서울문화포털 홈페이지 안정적 운영 관리 및 기능 보완 ․문화행사 통합 수집을 통한 맞춤형(기간별, 장르별 등) 문화행사 안내 - 산하기관 문화행사 공연정보 시스템 연계를 통한 안정적 행사정보 수집 - 25개 자치구 문화행사정보 안정적 수집체계 유지 및 관리(월 2,000건) - 월별 문화예술프로그램 리플릿 온/오프라인 제작․배포(월 18,000부) 󰏚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5. 11 ’15. 12. ’16. 1 ~ 12. 󰏚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40,000 25,000 31,000 6,000 C-15 |사용자 주도의 온오프라인 관광 정보 제공 (관광체육국 관광사업과) 관광객 입장에서 쉽고 편리하게 서울 관광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실제 사용자의 직접참여 기회 확대로 서비스 다양화와 이용 만족도 제고 󰏚배경 및 필요성 ○ 서울시 공식 관광정보 웹사이트 : www.visitseoul.net (5개 언어) ○ 서울시 공식 관광정보 앱 : iTourSeoul+(안드로이드/애플, 5개 언어) ○ 서울시 시민참여형 관광스토리 발굴 웹사이트 : www.seoulstory.kr 󰏚추진방향 : “모바일 하나로 다 되는 서울 관광 정보” 󰏚사업개요 ○ 사업기간 : ’16.1 ~ 12월 ○ 사업내용 1) 생생하고 재미있는 콘텐츠 제작 - 시민참여 : 학생·파워블로거·여행작가 등 숨겨진 서울명소와 스토리 직접 발굴 - 유명인 활용 : 한류스타·스타쉐프 등 참여 서울여행기 가이드북 발간 등 - 민간협업 : 협동조합, 스타트업 등 강소기업과 공동 관광정보 제작 2) 편리한 모바일 중심의 서비스 - 관광 웹사이트와 관광 앱과의 연계를 통해 ‘모바일 하나로 다되는 서울관광 서비스’ 구현 - 서울시 저작권 보유 사진/텍스트 등 관광 데이터 단계적 개방 및 민간 활용 독려로 사용자 주도의 관광 서비스 다양화 󰏚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1 ’16. 1 ’16. 2 ~ 12. 󰏚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728,955 867,632 900,000 32,368 D. 세계를 선도하는 글로벌 디지털 리더 D-1 | 사물인터넷 실증지역 확대 조성 (정보기획관 정보기획담당관) 사물인터넷(IoT)기술을 활용하여 서울의 다양하고 복잡한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안전, 환경, 교통, 관광 등 사물인터넷 실증단지 확대조성 추진 󰏚추진방향 ○ 시(市)에서는 통신망, 콘텐츠 등 필수 인프라를 제공하고, 민간에서는 인프라 융합을 통해 도시문제 해결형 서비스를 개발‧제공 ○ ‘15년 북촌시범사업을 시작으로 ’16년부터 서울전역으로 단계별 확산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 1. ~ 12. ○ 추진체계 : 유관기관, 자치구, 민간기업 등 협력 추진 ○사업내용 1) 북촌 사물인터넷 시범지역 고도화 - 북촌의 서비스 활성화 및 실증 활동 지원을 위한 인프라와 콘텐츠 보강 2) 주거 지역 사물인터넷 특화 지역 확대 구축 - 서울시는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및 센서 네트워크 환경을 조성하고, 민간이 서비스를 설치하고 실증하는 민간 주도형으로 추진 3) 관광 상권 분야 서비스 실증 지역 조성 - 사물인터넷 기술로 다양한 서비스 적용이 가능한 관광(상권) 지역을 선정하여 관광편의 개선 및 상권활성화를 위한 실증단지 조성 󰏚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지역 선정 사업 추진 추진기간 ’16. 3 ~ 4 ’16. 3~ 5. ’16. 4~ 12. 󰏚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 - 1,623,023 1,623,023 D-2 | 사물인터넷 도시브랜드화 추진 (정보기획관 정보기획담당관) 민관 공동협력으로 추진한 북촌IoT 시범서비스의 분석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서비스 모델을 정립하고 도시브랜드화 추진으로 디지털 서울 수도로써의 글로벌 위상을 제고 󰏚배경 및 필요성 ○ 사물인터넷 스마트도시의 위상 제고를 위해 북촌 시범서비스의 체계적·지속적인 관리 강화 및 글로벌 브랜드화 필요 󰏚추진방향 ○ 북촌의 ‘서울 제1호 사물인터넷 시범지역’에 대한 상징성과 대표성 유지 ○ 북촌의 사물인터넷 브랜드화로 글로벌 홍보를 위한 기틀 조성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 4. ~ 12. ○ 사업내용 - ‘15 북촌 시범사업 참여 기업(스타트업:18개社)의 서비스 실태 분석 및 평가 · 시범서비스에 대한 점검 및 평가 기준 마련 · 시범서비스의 지속 가능여부에 대한 평가 실시(서면/현장) · 검증된 우수한 사업모델의 지원방안 마련 등 서비스 고도화 추진 - 북촌 IoT 시범 지역의 글로벌 브랜드화를 위한 홍보, 마케팅 추진 - 북촌 사물인터넷 리빙랩 조성 공간 활성화 대책 마련 󰏚추진일정 내 용 ’15년 사업 평가 추진 계획 수립 사업 추진 추진기간 ’16. 4 ’16. 5. ’16. 6~ 12.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 - 360,000 360,000 D-3 | 클라우드 서비스 실현을 위한 데이터센터 구축 (데이터센터 정보자원운영과) S플렉스센터 준공에 따라 클라우드 기반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분산된 전산실의 이전․통합 등 정보자원의 클라우드 전환을 통해 효율적인 IT기반을 마련코자 함 󰏚배경 및 필요성 ○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정보량 급증에 따른 IT 인프라 수요 증가 ○ 서울시 전산실이 산재되어 운영비용 증가 및 업무 비효율성 초래 ○ IT 자원 클라우드화로 정보자원절감 및 신속한 공공서비스 제공 󰏚추진방향 ○ IT 자원의 점진적 클라우드화를 통한 업무혁신으로 공공서비스 인프라 신속 제공 ○ 공개SW 기반의 전문인력 양성 등 클라우드 역량 강화로 미래 비용 절감 ○ 서초·상암간 분산운영 체계로 안정성 제고 및 급증하는 정보자원 수요에 효과적 대응 󰏚사업개요 ○ 사업기간 : 계약일로부터 7개월 ○ 사업예산 : 11,919백만원 ○ 사업내용 -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시스템 구축·운영기반 마련 - 클라우드센터 운영을 위한 기본 정보통신, 정보보호 인프라 구축 - 클라우드센터 기반시설 설치 및 운영 - 5개 전산실 1단계 이전 및 통합 구축 󰏚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3. ’16. 4. ~ 6. ’16. 7. ~ 12. 󰏚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0 188,438 11,918,850 11,730,412 D-4 | 사물인터넷 플랫폼 고도화 (정보기획관 정보기획담당관) 서울시에서 개방된 인프라와 공공 데이터를 활용하여 누구나 쉽게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픈이노베이션 환경 제공을 위한 개방형 사물인터넷 플랫폼의 고도화 추진 󰏚배경 및 필요성 ○누구나 서울시의 공공 데이터를 활용하여 서비스를 개발, 제공 받을 수 있는 환경 조성 ○글로벌 사물인터넷 플랫폼 간의 상호 운용성 확보가 필요 󰏚추진방향 ○IoT 서비스 표준기술(OneM2M)을 반영하고 민간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다양한 국제 표준 기반의 플랫폼과의 호환 및 연계 기능 제공 ○개방형 공공 플랫폼 활용성 강화(Open API 개발, 사용자/관리자 포털 구축)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 4. ~ 12. ○사업내용 - 급격하게 증가하는 센서 디바이스와 센싱 데이터에 대한 통합관리 체계 구축 - IoT기술 및 서비스 표준 동향 반영과 타 플랫폼간의 상호연계 등 기능 고도화 󰏚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4 ~ 5 ’16. 5 ~ 6. ’16. 6~ 12. 󰏚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 - 492,000 492,000 D-5 | 빅데이터 공유 · 활용 플랫폼 고도화 (정보기획관 통계데이터담당관) 민․관데이터를 융합·분석 할 수 있는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여 사회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시정에 활용하는 과학적 행정 구현 󰏚배경 및 필요성 ○ 정보시스템 중심에서 데이터 중심으로 행정 환경 변화 - 사회적으로 데이터의 공유 및 활용 요구 증대 - 해외 선진도시와 중앙정부, 타 지자체의 데이터 기반의 정책 확대 추세 ○ 정책의 품질이 데이터 활용과 비례 - 데이터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한 선제적인 정책추진으로 효과 극대화 󰏚추진방향 ○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을 위한 과학적 분석환경 마련 ○ 시민 요구에 부응하는 행정서비스를 위한 빅데이터 구축 ○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책추진 지원 기반 조성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 4. ~ 12 ○ 사업내용 - 시민 중심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공유 활용 플랫폼 고도화 ‣10개 분야 66종 데이터셋에 대한 최신화 ‣분석을 위해 주제별로 분류하여 체계적으로 관리 및 확대 구축 - 공유활용 플랫폼 유지보수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및 상용SW 유지보수(주소정제툴, QlikView, 하둡 등) 󰏚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4 ’16. 5~ 6. ’16. 6 ~ 12.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1,115,559 1,399,056 829,000 감570,056 D-6 | 공간정보 공유․활용 확대 (정보기획관 공간정보담당관) 도시공간정보의 체계적인 수집․관리를 통해 정확성을 확보하고, 정보공유를 통한 업무부서 활용 활성화 및 고품질 공간정보 개방하여 민간 서비스 활용 확대 󰏚배경 및 필요성 ○ 개별 부서에서 보유한 공간정보 현황에 대한 통합관리 필요 ○ 시정업무 전반에 공간정보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기반체계 확립 필요 󰏚추진방향 ○ 시에서 생산되는 정밀도 및 활용성이 높은 고품질 공간정보 체계적 관리 ○ 개별 운영되는 공간정보 시스템 연계․공유를 위한 플랫폼 고도화 ○ 디지털시정 구현 및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공간정보 활용 ○ 공간정보를 활용한 민간 서비스 확대 위해 고품질 공간정보 적극 개방 󰏚사업개요 < 서울형 지도태깅과 공간정보 플랫폼 활용 확산 > ○ 사업기간 : 2016. 3. ~ 11. ○ 사업내용 - 유통되는 공간정보 파일(KML, GML, SHP 등) 지도태깅 등록 모듈 개발 - PC와 스마트폰에서 사용가능한 반응형 지도 웹 뷰어 개발 - 시민에게 정보공개를 위한 “공간정보 플랫폼→열린데이터광장” 연계 구현 (원천데이터, 공간정보 유통 파일, Open API 등) - 콘텐츠 관리와 시민 맞춤형 위치기반 검색용 메타데이터 설계 및 구축 < 통합공간정보시스템(SDW) 기능 개선 사업 > ○ 사업기간 : 2016. 3. ~ 11. ○ 사업내용 - 주요 기본 공간정보시스템 갱신주기 단축 및 연계모듈 개선 - 서울시 공간정보시스템 추가 연계 및 공간데이터 수집 확대 - 메타데이터관리시스템 정비 및 공간정보통합안내시스템 구축 - 로그인 시스템 개선 및 데이터 권한체계 정비 - 빅데이터캠퍼스, 열린데이터광장 등 공간데이터 개방 확대 - 공간정보 유통 보안프로그램(S-work) 업그레이드 󰏚 추진일정 ○ 서울형 지도태깅과 공간정보 플랫폼 활용 확산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3 ’16. 4 ~ 5. ’16. 5 ~ 11. ○ 통합공간정보시스템(SDW) 기능 개선 사업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3 ’16. 4 ~ 5. ’16. 5 ~ 11. 󰏚사업비 ○ 서울형 지도태깅과 공간정보 플랫폼 활용 확산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202,735 188,141 197,613 9,472 ○ 통합공간정보시스템(SDW) 기능 개선 사업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120,500 147,035 146,000 -1,035 D-7 | 공공 무선인터넷(WiFi) 인프라 구축 (정보기획관 정보통신보안담당관) 시민, 관광객 누구나 무선인터넷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WiFi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도시 경쟁력 향상 및 정보격차 양극화 해소 󰏚배경 및 필요성 ○ 시민들의 다양하고 차별화된 모바일 서비스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데이터비용이 가계생활비 부담 가중 ○ 사물인터넷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 기반 서비스를 시민과 관광객이 이용할 수 있도록 누구나 사용가능한 통신 인프라 제공 필요 󰏚추진방향 ○ 유동인구가 많은 주요거리, 관광명소 등 집중 구축 ○ 공공장소, 대중교통 시설은 2017년까지 무선인터넷 구축을 완료하고, 2018년부터 연차적으로 광역AP로 시스템 고도화 시행 ○ IoT 시범사업 시 무선인프라 구축과 병행 추진하여 효율성 추구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 1. ~ 12. ○사업내용 - 유동인구 많은 지역 ▪ 주요장소 : 관광명소, 주요거리, 전통시장, 공원, 광장 등 900AP (자가망 지역 600AP, 이통망 지역 300AP) ▪ 유동인구 빅데이터를 활용 스마트폰 이용이 많은 곳 선정 ▪ 자치구 자가망․CCTV 지주․전원 활용, 이동통신사 협력 - 사물인터넷(IoT) 사업과 병행 핵심인프라 ▪ 대 상 : 2016년도 사업지역 ▪ 특기사항 : 해당지역과 주변 관광객이 많은 곳까지 특화존 - 버스, 도시철도는 정보기획관과 도시교통본부 상호협력 ▪ 규 모 : 시내버스 7,866대, 전동차 3,715량, 307개 역사 ▪ 방 안 : 기업의 마케팅 비용을 활용한 비예산 사업 - 관광객 많은 유명 릉에 서비스 ▪ 대 상 : 정릉, 의릉, 인릉, 선릉, 헌릉, 태릉, 강릉 ▪ 서울시 : u-Seoul Net 무선망 연계, PublicWiFi@Seoul 제공 ▪ 문화재청 : 궁 내부 통신망과 AP 설치 (시설비 100%부담) - 지방자치단체 보조사업 ▪ 대 상 : 구로, 노원, 강서 164AP ▪ 방 법 : 서울시·자치구·이동통신사가 협력하여 버스정류장, 주요광장 등에 구축 - 자치구, 산하기관 공동관리 ▪ 대 상 : 2,000AP ▪ 방 법 : SSID 공유, 스마트서울맵에 표기 홍보, 통합관제시스템 등록 󰏚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6 ’16. 7 ~ 12. 󰏚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1,301,531 1,405,057 1,831,181 426,124 D-8 | 기반시설 전용 보안관제 체계 구축 (정보기획관 정보통신보안담당관) 서울시 및 투자출연기관, 민간에서 운영관리하고 있는 지하철, 상수도 등 주요 정보통신기반시설에 대한 사이버위협을 사전에 탐지·차단하고 침해사고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복구할 수 있는 체계 구축 󰏚추진근거 ○ 정보통신기반보호법, 동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 국가 정보보안 기본지침 제42조~제47조(주요 정보통신기반시설 보호) 󰏚추진방향 ○ `16년에 모의해킹 및 상세 위험분석을 통해 시급한 취약점 우선 조치하고, `17년에 기반시설 전용 보안관제시스템 도입 ○ 제어망은 폐쇄망으로 운영해야 하므로 행정업무망 통합보안관제와 별도로 전용 통합보안관제 추진 ○ 기반시설 관리기관과 보안관제센터에 명확한 역할 및 책임 부여 - 시설 관리기관 : 침해사고대응팀 구성·운영, 침해피해 복구 등 - 보안관제센터 : 침해사고 조사, 기술지원, 국가기관 연계 공조 등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 4 ~ 12 ○ 사업내용 - 자체 상시 관제가 어려운 기반시설 제어시스템에 대한 최적 관제방안 도출 - 인터넷 및 업무망과 분리된 폐쇄망에 특화된 통합보안관제시스템 설계 󰏚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4 ’16. 5 ~ 6 ’16. 6 ~ 12.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 - 3,725,078 3,725,078 D-9 | 서울시 전기관 통합보안관제 시행 (정보기획관 정보통신보안담당관) 24시간 365일 실시간 탐지․분석․대응을 통한 사이버 침해사고 사전예방 및 사고발생시 신속한 대응조치를 위한 서울시 전기관 통합보안관제 체계 확립 󰏚배경 및 필요성 ○ 정부, 지자체 등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 위협 지속적 증가 추세 ○ 네트워크, 서버 등 정보통신망에 대한 직접 공격에서 상대적으로 보안이 취약한 사용자 PC에 대한 해킹메일, 악성코드 유포 등 지능적인 우회 수법 증가 ○ 서울시 전기관에 대한 일관성 있는 보안정책 수립․시행 필요 󰏚추진방향 ○ 市 전기관에 대한 사이버공격 탐지․차단․분석․전파, 보안관제 정책 수립․시행, 이행실태 점검 등 사이버보안 컨트롤 타워 역할 수행 ○ 서울시 통합보안관제센터 이전․구축 사업(에스플렉스센터, 2016.7월)과 연계하여 서울시 전기관 단계적 통합보안관제 수용(행정망, 인터넷망)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 4 ~ 12 ○ 사업내용 - 서울시 통합보안관제센터 이전 구축(에스플렉스센터 스마티움 20층, 21층) - 차세대 보안관제시스템 및 부대장비 구축 - 보안관제 대상기관 확대(54개 → 64개 기관) 󰏚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 2 ’16. 3 ~ 4. ’16. 4 ~ 12.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1,604,890 2,275,136 3,725,078 1,449,942 D-10 | 해외교류 협력 강화 (정보기획관 정보기획담당관) 서울시가 2010년 창립하고 의장도시로 있는 세계도시전자정부협의체 (WeGO)와 타 국제기구 등의 국제협력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해외 교류 협력 강화 󰏚배경 및 필요성 ○ WeGO의 국제적 위상을 높임으로써 의장도시로서의 서울시 전자정부의 우수성 홍보 및 글로벌 리딩도시로서의 위상 확립 ○ WeGO와 서울시의 네트워킹을 활용하여 서울시 전자정부의 해외진출 기반을 마련하고 세계에서의 전자정부 협력체계 구축 󰏚사업개요 ○ 추진목표 : 전자정부에 기반을 둔 지속가능한 도시발전 ○ 추진기반 : 국제기구 유관기관 및 회원도시간 네트워크, 서울시 전자정부 글로벌 리더쉽 ○ 주요사업 - ADB(아시아개발은행), ITU(국제전기통신연합) 등과 협력사업 추진 - WeGO 회원도시 전자정부 사전 타당성 조사 추진 등 - 디지털 역량강화를 위한 인재개발원 회원도시 공무원 전자정부 교육 - WeGO 미션 조정 및 중기 전략계획 수립 등 - 2016 WeGO 집행위원회 개최(터키 베요글루) 󰏚 추진일정 내 용 사업계획 수립 사업발주 및 계약체결 사업추진 추진기간 ’16.1. ~ 3 ’16. 4~ 6. ’16. 7 ~ 12.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580,000 636,311 780,987 144,676 D-11 | 전자정부 정책(서비스) 해외 진출 확대 (정보기획관 정보기획담당관) 세계 대도시 전자정부 평가 1위인 서울시의 전자정부의 우수성을 해외에 알리고, 국내 IT기업 지원을 통한 우수 디지털 정책 해외진출 확대 󰏚배경 및 필요성 ○ 서울시 전자정부 정책 우수사례 세계도시 전파 강화 ○ 국제기구, 민관 IT기업과의 협력을 통한 전자정부 해외진출 추진 󰏚사업개요 ○ 서울형 전자정부 30개 대표시스템(우수정책)을 선정하여 집중 홍보 및 마케팅 - ICT를 활용한 우수사례(엠보팅, 스마트불편신고 등) 전파 등 ○ 서울형 전자정부 해외진출 민관협의체(KOSMIC)와 공동 추진 - 국제회의 공동부스 운영, 해외사업 공동 발굴 및 대응 ○ WeGO 네트워크를 활용한 해외진출 및 홍보 - WeGO 회원도시 및 협력기관과 연대강화 ○ 우수정책에 대한 상품화 추진 - 각실국의 정책에 내재된 전자시스템을 상품화 추진 〈 서울형 전자정부 해외진출 플랫폼 〉 서울시 IT 기업 WeGO 우수정책제공 및 컨설팅 ⇔ 해외전시참여 해외홍보 ⇔ 국제기구와의 사업연계 해외도시 벤치마킹 지원 입찰참여, 수주,개발 WeGO회원도시 F/S, 교육 서울형전자정부 해외진출 시스템 해외수출 국제적 지위 향상 󰏚사업비 (단위 : 천원) 구분 2014 결산 2015 결산(A) 2016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1,604,890 2,275,136 3,725,078 1,449,942 부록 부 록 1 서울시 전자정부 조직 및 인력현황 86 2 기관별 대표 홈페이지 운영현황 92 3 2016년 전자정부 예산 현황 부록 93 4 2016년 서울시 정보화사업 총괄표 95 5 2015년 서울시 정보화사업 추진현황 112 6 2016년 자치구 정보화사업 현황 126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정보

2016년 서울시 정보화 시행 계획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정보기획관 정보기획담당관
문서번호 정보기획담당관-5641 생산일자 2016-04-10
공개구분 공개 보존기간 준영구
작성자(전화번호) 박숙경 (02-2133-2917) 관리번호 D0000025781965
분류정보 행정 > 정보통신정책 > 행정정보화정책 > 정보화계획수립및조정 > 정보화기본계획관리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