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자료
자원회수시설 주변 주민건강영향조사 연구용역(4단계 3차년도 사업)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설명 (초록)
초록
연구대상지역은 서울시의 자원회수시설 주변지역(강남구, 노원구, 양천구)과 참고지역(자원회수시설 영향을 받지 않는 지역구 : 서초구 방배동, 광진구 자양동, 양천구 신정동)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역의 환경영향평가 결과, 주거지역의 대기 중 미세먼지(PM10) 평균농도는 모든 지점에서 환경기준 이하였다. 대기의 미세먼지(PM10) 중 유해물질(중금속) 납(Pb)의 경우 규제기준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그 밖에 대기 중 중금속인 크롬(Cr), 니켈(Ni), 카드뮴(Cd), 수은(Hg), 비소(As)의 경우, 전체 평균농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대기 중 알데하이드류 농도는 전체적으로 낮았다. 휘발성유기화합물류 (VOCs) 농도는 자원회수시설 인근 지역과 참고지역간의 유의한 차이 없이 유사한 농도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대기 중 교통관련 오염물질 중 블랙카본(Black carbon)과 먼지류(Dust)의 측정 결과 트럭 차량의 이동이 많은 자원회수시설의 입반출구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고, 주거지역의 경우 참고지역과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대기 중 다이옥신을 조사 결과, 모든 지점이 대기기준 이하에 만족하는 농도를 보였다.연구대상자는 4단계 1, 2, 3차년도에 걸쳐 자원회수시설 주변의 300m 반경 이내에 5년 이상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을 대상자로 진행하였다. 자원회수시설 인근 주민들의 혈중 다이옥신 농도를 모니터링한 결과, 지역 간의 유의한 농도차이는 없었고 평균 10 pg TEQ/g lipid 농도 수준를 보였다. 자원회수시설 인근 지역에 장기간 거주함으로 인한 유해 중금속의 인체 노출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혈중 납, 카드뮴, 수은 농도를 조사한 결과,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제시하고 있는 일반인 노출 수준 상한값을 초과하는 대상자는 없었다.
건강진단 결과에서 나타난 이상 소견 중 고혈압은 자원회수시설 인근 지역주민에서 50명으로 15.2%로 나타났으며 그 비율은 양천구에서 18.4%로 가장 높았다. 체질량 지수(BMI) 25 이상으로 비만 유소견자는 총 80명으로 24.3%를 보였으며 강남에서 35.4%로 가장 높았다. 이상지질혈증은 32명으로 전체의 9.7%, 당뇨병은 30명으로 9.1%, 비뇨기계 및 신장질환은 67명으로 20.4%, 간담도 질환은 5명으로 1.5%, 고요산혈증은 8명으로 2.4%로 나타났다. 흉부질환을 판별하기 위한 흉부 방사선 검사에서 유소견자는 3명으로 나타났으며 폐기종 2명, 폐동맥 종대 소견을 보이는 경우가 1명 있었다. 조혈기계질환은 23명으로 7.0%로 나타났으며, 갑상선질환은 36명으로 10.9%로 나타났다. 종양표지자의 경우에는 CEA와 CA125, PSA 세 가지 항목에서만 기준치를 초과하는 사람이 있었으며 각각 21명(6.4%), 4명(1.2%), 1명(0.3%)로 나타났다.
대표 자료(2008~2012년)를 활용하여 인구집단의 유병률을 비교하는 경우, 강남구 전체의 경우 서울특별시 전체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유병률을 보였고, 노원구 전체의 경우 서울특별시 전체 대비 전반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표준화 유병비를 보였다. 양천구 전체의 경우 서울시 전체 대비 양천구의 표준화 유병비 역시 5개 년도에서 전반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위해도 인식 조사 결과 강남․노원․양천지역 모두 현재거주 지역 환경 상태에 대한 인식은 약간 불만족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거주 지역 환경 오염정도는 모든 지역에서 모두 오염되어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회수시설에 대한 관심정도는 모든 지역에서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나타났다. 자원회수시설 영향에 대한 인식에서는 모두 동네이미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자원회수시설 주변 주민건강영향조사 연구용역(4단계 3차년도 사업)
* 본 정책연구자료의 최초 타당성 심사결과는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문서 설명 (목차)
목차
문서 정보
관련문서
-
등록일 : 2014-11-22 부서 : 자원순환과
-
등록일 : 2018-12-22 부서 : 자원순환과
-
등록일 : 2022-12-12 부서 : 자원순환과
-
등록일 : 2019-12-12 부서 : 자원순환과
라이브리 소셜 공유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