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자료

성내,탄천배수구역하수관거조사 및 정비 기본설계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설명 (초록)

초록

2000년 하수계획과에서 시행한 용역임.
성내,탄천배수구역하수관거조사 및 정비 기본설계

문서 설명 (목차)

표지 1|제출문 3|목차 5|제1장 개요 11| 1.1 과업의 목적 13| 1.2 과업의 대상지역 13| 1.3 과업의 주요내용 14| 1.3.1 목표년도 14| 1.3.2 과업의 범위 14| 1.3.3 과업의 흐름도 17| 1.4 시설 개요 18| 1.5 소요사업비 18| 1.6 사업의 효과 19|제2장 기초자료의 조사 21| 2.1 기상개황 23| 2.1.1 기온 23| 2.1.2 강수량 24| 2.1.3 천기일수 25| 2.1.4 풍향 및 풍속 25| 2.1.5 상대습도 및 증발량 26| 2.2 관련계획 27| 2.2.1 하수도정비 기본계획(변경) (1998.7, 서울특별시) 27| 2.2.2 수도정비 기본계획(서울특별시 상수도사업본부, 1997) 35| 2.2.3 2011 서울 도시 기본계획(서울특별시, 1997.4) 37| 2.2.4 제3차 국토종합개발계획(건설부, 1992) 40| 2.2.5 강북수원지 건설 기본설계(서울특별시 상수도 사업본부, 1991.5) 41|제3장 현장조사 45| 3.1 관거현황조사 및 측량 47| 3.1.1 조사목적 및 범위 47| 3.1.2 조사방법 47| 3.1.3 조사결과 및 분석 49| 3.2 관거내부 실태 조사 52| 3.2.1 조사목적 및 범위 52| 3.2.2 조사방법 53| 3.2.3 조사내용 54| 3.2.4 불량관거 판단기준 55| 3.2.5 조사결과 및 분석 71| 3.3 유량 및 수질조사 78| 3.3.1 개요 78| 3.3.2 조사방법 81| 3.3.3 조사결과 86|제4장 기본설계 기준설정 91| 4.1 계획구역 93| 4.2 계획인구 93| 4.3 계획하수량 산정 97| 4.3.1 하수량 원단위 97| 4.3.2 배수분구별 계획하수량 98| 4.4 관거 설계기준 설정 102| 4.4.1 우수 유출량 산정 방법 검토 102| 4.4.2 강우강도 공식 120| 4.4.3 계획설계빈도 124| 4.4.4 유출계수 124| 4.4.5 유달시간 127| 4.4.6 최소유속 검토 기준 130| 4.4.7 최대유속 검토기준 136|제5장 개선 기본방향 검토 137| 5.1 하수배제방식 선정 139| 5.1.1 분류식과 합류식의 일반적 장·단점 139| 5.1.2 기존 하수배제방식 현황 및 문제점 141| 5.1.3 외국의 하수배제방식 선정사례 147| 5.1.4 하수배제 방식 선정 148| 5.1.5 분류식 가능지역 검토 기준 149| 5.2 합류식 하수관거 시설 개선방안 150| 5.2.1 지하수 유입 억제를 위한 시설 개선방안 150| 5.2.2 수세식 변소수의 직유입 방안 151| 5.3 우수 유출 억제 시설 175| 5.3.1 개론 175| 5.3.2 우수저류시설 176| 5.3.3 침투시설 185| 5.3.4 외국의 법규 및 사례 검토 191| 5.3.5 서울시에 적용 가능한 우수유출 억제방안 검토 229| 5.3.6 대심도 간선 지하조절지 도입검토 232| 5.3.7 결론 236| 5.4 하수관거 관종선정 237| 5.4.1 하수관거 사용 현황 및 문제점 237| 5.4.2 관종선정 238| 5.4.3 관종별 기초 및 강도검토 247| 5.5 관거의 연결 및 수밀성 개선방안 259| 5.6 관부식 방지방안 262| 5.6.1 관부식의 메카니즘 262| 5.6.2 관거부식의 대책 263| 5.7 우수받이 시설 개선방안 269| 5.7.1 문제점 269| 5.7.2 개선방안 269| 5.8 배수설비 개선방안 271| 5.8.1 배수설비의 개요 271| 5.8.2 배수설비의 개선방안 276|제6장 기본설계 281| 6.1 불명수량 산정 283| 6.1.1 개요 283| 6.1.2 불명수 유입시 문제점 283| 6.1.3 불명수량 산정 284| 6.1.4 허용지하수량 설정 296| 6.1.5 불명수 유입 저감방안 298| 6.1.6 받이 및 연결관 검토 305| 6.2 통수능부족 및 최소유속 미달관거 정비계획 308| 6.2.1 계획기준 308| 6.2.2 통수능 및 최소유속 검토결과 311| 6.2.3 관거 개량방법에 따른 경제성 검토 313| 6.2.4 통수능 부족관거 정비 316| 6.2.5 최소유속 미달관거 정비 320| 6.2.6 유지관리 대상관거 322| 6.3 불량관거 개·보수공법의 선정 323| 6.3.1 개·보수공법의 선정기준 323| 6.3.2 굴착공법의 종류 및 특징 330| 6.3.3 불량관거 개·보수공법의 분류 338| 6.3.4 비굴착 개·보수공법의 검토 345| 6.3.5 신기술에 의한 비굴착공법 353| 6.3.6 검토결과 364| 6.4 하수관거정비 기본방향 365| 6.4.1 관거정비 기본방향 366| 6.4.2 장래 관거정비 기본방향 368| 6.5 관거정비계획 370| 6.5.1 배수분구별 관거정비계획 371| 6.5.2 배수분구별 개·보수 등급 377| 6.6 개략공사비 산정 380| 6.6.1 공사비 산출기준 380| 6.6.2 배수분구별 소요사업비 382| 6.7 배수분구별 사업 우선순위 388| 6.7.1 우선순위 결정기준 388| 6.7.2 평가항목별 배점기준 389| 6.7.3 배수분구별 평가내용 392| 6.7.4 배수분구별 사업우선순위 397|제7장 하수관거 유지관리 및 관거정비 개선방안 399| 7.1 개요 401| 7.2 유지관리의 필요성 402| 7.3 유지관리 현황 및 문제점 407| 7.4 유지관리 개선대책 409| 7.5 유지관리 방안 415| 7.5.1 하수도대장의 정비 415| 7.5.2 하수관거의 점검 420| 7.5.3 관내부조사 435| 7.5.4 청소 및 준설 437| 7.5.5 부실관거 개량 및 보수 449| 7.5.6 연결관 접합부 452| 7.5.7 관거시설의 손상과 보호 및 방호 453| 7.5.8 작업시 안전관리 및 고려사항 457| 7.5.9 우수토실 관리지침 458| 7.5.10 재해와 사고대책 461| 7.5.11 시설의 인계 463| 7.5.12 안전관리 464| 7.5.13 기타 고려사항 465| 7.6 관거정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469| 7.6.1 문제점 469| 7.6.2 개선방안 470| 7.7 하수관거 정비효율 계량화 방안 471| 7.8 하수관거의 타 기능과의 효율적인 이용방안 검토 472| 7.8.1 본 과업과 타 사업간의 병행추진 가능성 검토 472| 7.8.2 하수관거의 타 이용방안 474|▨ 개·보수비 내역 475|▨ 건설기술심의 지적사항 및 조치내용 497|▨ 건설기술심의 지적사항 및 조치내용(재심의) 513|

문서 정보

성내,탄천배수구역하수관거조사 및 정비 기본설계 - 문서정보 : 관리번호, 등록일, 유형, 생산년도, 분야, 지역,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소요예산, 라이센스
관리번호 D0000024077634 등록일 20151103
유형 정책연구자료 생산년도 2000
분야 건설 지역 서울시 전체
원본시스템 기술용역 제공부서 기술심사담당관
작성자(책임자) 임복섭 생산일 2015-10-30
소요예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3.0 마크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