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자료

서울시 녹색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녹지 확충 방안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설명 (초록)

초록

[년 도] 1997년
[부 서] 도시환경연구부
[연 구 진] 이상호, 정주영, 이연희, 차수영
[보고서 절판]

[연구개요]
-----------------------------------------------------------------------------

서울시의 공원·녹지는 지형 특성상 대부분이 시외곽에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시민들의 이용이 빈번한 생활권 공원은 부족할 뿐만 아니라 각 자치구간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국가의 단기적이고 한시적인 공원·녹지 정책으로
대부분의 공원들은 상호 연결된 체계를 구축하지 못하고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시민들로부터 공원으로서의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으며 생태계의
심각한 단절현상까지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서울시에서는 공원·녹지 확충 5개년 사업을 수립해 4대분야에서 총 52개
사업이 시행 중이다. 그러나 본 사업중 공원 녹지 확충 사업은 녹색네트워크
개념이 고려되지 않고 면적 단위의 가치만을 강조한 사업이 많으므로 추후
시행될 사업은 녹색네트워크 개념의 고려와 지역간 균형을 이룬 사업의 실행
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서울시의 공원 녹지 현황 및 정책을 분석하고, 선
진외국의 녹지확충 정책과 녹색네트워크 현황을 파악하며 현재 추진중인 서
울시 공원·녹지 확충 5개년 사업의 검토를 통해 녹지의 지역간 균형적 배
분과 사업의 보완사항 등을 열거하여 자치구간 균형있는 공원·녹지의 확보
를 위한 녹지 추가확충 전략을 제시하고 서울시 가상 녹색네트워크를 구상
및 녹색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녹지확충 방안을 제시하였다.
서울시 녹색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녹지 확충 방안

문서 정보

서울시 녹색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녹지 확충 방안 - 문서정보 : 관리번호, 등록일, 유형, 생산년도, 분야, 지역,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소요예산, 라이센스
관리번호 D0000023953376 등록일 20151021
유형 정책연구자료 생산년도 1997
분야 기타 지역 서울시 전체
원본시스템 서울연구원 제공부서 서울연구원
작성자(책임자) 이상호 생산일 1997-12-31
소요예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3.0 마크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