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자료

제717차-대기질 개선과 공중보건을 위한 담배유해연기 제거기술 개발 및 성능 표준안 마련-타당성심사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 대기질 개선과 공중보건을 위한 담배유해연기 제거기술 개발 및 성능표준안 마련.pdf (18.75 MB)

    원문다운로드

문서 설명 (초록)

초록

국민건강증진법 제 9조(금연을 위한 조치) 시행에 따라 흡연인구가 길거리 및 주택, 상가 등 이면구역으로 나오면서 초미세먼지, VOCs, 악취 등 인체에 유해한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되어 시민들의 건강 위해성 증대 및 주변지역의 대기질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흡연 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의 특성조사를 통한 대기질 개선 시책 수립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흡연 시 발생되는 유해연기 최적 제거 기술 개발과 담배유해연기 제거 기술에 대한 성능 표준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담배연기의 배출특성을 ISO 기준(FTC method)에 준하여 담배 10개비를 동시에 연소시켰다. PM10, PM2.5, PM1.0의 평균농도는 각각 1.82㎎/㎥, 1.79㎎/㎥, 1.73㎎/㎥이었으며, PM1.0이 TSP 중 92.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VOC는 1,142.5㎍/㎡이었으며, 개별 VOCs는 toluene(170.1㎍/㎡) > benzene(114.6㎍/㎡) > m,p-xylenes(86.1㎍/㎡)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PM10, PM2.5, PM1.0의 배출계수는 각각 10,863㎍/cig, 10,665㎍/cig, 10,328㎍/cig이었으며, toluene, benzene, m,p-xylenes의 배출계수는 각각 609㎍/cig, 410㎍/cig, 305㎍/cig인 것으로 나타났다.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흡연으로 배출되는 PM10, PM2.5의 기여도를 조사한 결과, 전국 배출량 기준으로는 각각 0.1%, 0.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에서 배출되는 PM10, PM2.5 중 흡연이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7.6%, 8.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배연기 최적기술은 필터구성에 따라 5가지 안으로 제시되었다. 그 중 기술?경제적으로 타당한 기술은 전기집진+활성탄필터+HEPA필터의 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담배연기제거장치의 미세먼지 및 TVOC의 처리효율기준은 80%이상이 타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문서 정보

제717차-대기질 개선과 공중보건을 위한 담배유해연기 제거기술 개발 및 성능 표준안 마련-타당성심사 - 문서정보 : 관리번호, 등록일, 유형, 생산년도, 분야, 지역,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소요예산, 라이센스
관리번호 D0000033174515 등록일 20180318
유형 기타 생산년도 2017
분야 기타 지역 전국,서울시 전체
원본시스템 기술용역 제공부서 대기환경연구부
작성자(책임자) 이원영 생산일 2017-11-28
소요예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3.0 마크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